KR20040087901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7901A
KR20040087901A KR1020040023601A KR20040023601A KR20040087901A KR 20040087901 A KR20040087901 A KR 20040087901A KR 1020040023601 A KR1020040023601 A KR 1020040023601A KR 20040023601 A KR20040023601 A KR 20040023601A KR 20040087901 A KR20040087901 A KR 20040087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main body
image forming
cooling fan
j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3507B1 (ko
Inventor
야마가따마사노리
가쯔마따도모히데
요꼬야마세이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7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5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76Arrangements for regulating environment, e.g. removing static electricity
    • H04N1/00978Temperature control
    • H04N1/00981Temperature control by forced convection, e.g. using f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25Fault detection
    • H04N1/32635Fault detection of reproducing apparatus or receiver, e.g. out of pap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46Counter-mea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20Reducing volume of filled material
    • B65B1/24Reducing volume of filled material by mechanical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2039/008Strain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7Guides or funnels for introducing article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12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movable towards or away from container or wrapper during filling or deposi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6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 B65D88/68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using rotating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48Jam, error detection, e.g. double fee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03Control of other part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state of copy medium feeding

Abstract

장치 본체 내부에 복수의 냉각 팬을 구비하고, 용지 잼과 같은 에러의 발생을 검지하는 에러 검지 기능을 포함하며, 검지된 에러의 형태에 따라서 냉각 팬을 가동과 비가동 사이에서 전환하거나 또는 가동시 냉각 팬의 회전수를 변경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개시된다. 이에 따라, 에러 발생시의 장치 내부의 온도 제어, 및 용지 잼 발생시의 장치 각 내부의 온도 제어를 최적화할 수 있게 되어, 에러 발생시의 장치 온도 상태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IMAGE FORM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내에 배치되는 냉각 수단의 제어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복사기 또는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화상 가열 및 정착 장치의 근방에는, 정착 장치의 열로 인해 장치 본체 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냉각 팬이 배치되어 있다. 냉각 팬은 정착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열기를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의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기하여서, 소위 화상 형성부 내로 가열된 공기가 유입되어 화상 형성에 열적 악영향을 끼치지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소형화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장치와 부품들 사이의 간극이 최소화되는 형태로 설계되도록 노력되어 왔다. 그 결과로서, 전사 벨트 및 현상 장치 등의 다른 구성 부품이나 장치가 가열 소자인 정착 장치에 근접하여 배치되어야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정착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주위 부품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냉각 팬을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설치하고 정착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열기를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출하여서, 각 부분에 열적 악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매우 일반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에, 장치 본체가 대기하고 있을 때의 정착 장치의 제어 온도는 실제 인쇄 동작 중일 때와 상이하다. 또한, 전자의 온도가 후자의 온도보다 낮게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관련하여, 장치의 본체의 대기 시와 실제 인쇄 동작 중일 때에 다른 속도를 갖도록 장치의 본체 내부에 제공된 냉각 팬의 회전수(회전 속도)를 전환하도록 제어된다. 일반적으로, 종종 실제 인쇄 동작 중보다 대기 시에 느린 회전수로 있도록 제어된다.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인쇄하는 중에 용지 잼을 포함하는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 그의 실제 인쇄 동작이 긴급 정지되고, 정착 장지의 히터에의 통전이 오프(OFF)되고, 냉각 팬의 회전수가 대기 시와 동일한 회전수로 전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00-007205호 및 제2001-005366호).
잼 처리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방 도어를 개방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를 개방함으로써 수행된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11-190924호). 개방 도어를 개방함으로써 전원 회로가 자동적으로 차단되어, 잼 처리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전기적 안전성을 보장한다. 따라서, 전술된 바와 같이, 대기 시의 회전수와 동일한 회전수로 전환된 냉각 팬의 구동도 개방 도어를 개방함으로써 전원 회로를 차단할 때 정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모든 에러 상태에서 냉각 팬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경우에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정착 장치의 근방에 용지가 체류하여 잼을 일으킨 경우, 사용자가 잼을 처리할 때 정착 장치의 히터로의 통전은 오프(OFF)이지만, 정착 장치의 온도는 아직 고온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정착 장치로부터 발산되는 열로 인해 처리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잼 검지로 인한 비상시 화상 형성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으로부터 잼 처리용 개방 도어를 개방함으로써 전원 회로를 차단할 때까지의 시간 동안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이 부분을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정착 장치 근방에 위치된 팬을 예컨대, 상기 시간 동안 평상시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용지가 정착 장치 근방이 아닌 다른 위치에 체류하여 잼을 유발하는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은 팬 제어가 수행된다면 정착 장치 자체가 급냉되어, 사용자가 잼 처리를 수행한 후에 재차 인쇄 동작에 들어가려 해도, 일단 냉각된 정착 장치가 목표의 제어 온도에 도달하는데 시간이 걸려, 기다리는 시간이 늘어나는데 대한 불만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동일하게 정착 장치 근방에서 잼이 발생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보통 용지의 경우와 OHT 필름의 경우 사이에 바람직한 냉각 속도가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종류의 OHT 필름은 정착 장치 주변에서 잼을 일으켜, 고온으로 방치된 경우 급격히 연화하여 변형되며, 그 후 상온으로 방치되면 그 형상으로 다시 경화하기 때문에, 잼 처리가 매우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필름에 의한 잼이 발생한 경우에는, 냉각 팬의 회전수를 최대한으로 올려 급냉할 필요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즉 장치 본체에 있어서 발생된 잼의 종류와, 에러의 종류와 같은 형태에 따라 각각 냉각 팬의 적절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에러 발생시 화상 형성 장치의 온도 제어와, 용지 잼 발생시 화상 형성 장치 내부의 각부의 온도 제어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여, 에러 발생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온도 상태와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 본체 내부에 복수의 냉각 팬을 구비하고, 용지 잼을 포함한 여러 유형의 에러 발생을 검지하는 에러 검지 기능을 포함하며, 냉각 팬의 가동과 비가동 사이를 전환하거나 검지된 에러의 유형에 따라 가동시의 회전수(회전 속도)를 변경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예의 개략 블록도.
도2는 도1의 부분 확대도.
도3은 냉각 팬 회전수 제어 시스템의 블록 회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작동 및 제어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Y, M, C, K : 제1 내지 제4 화상 작성 유닛
1 : 감광 드럼
2 : 대전 롤러
3 : 레이저 스캐너 유닛
4 : 현상 장치
7 : 전사 벨트
8 : 반송로(반송 경로)
10 : 용지 카세트
20 : 정착 장치(정착기)
25 : 배지 트레이
30 내지 36 : 용지 검지 센서
40 : 팬 덕트
60 내지 62 : 냉각 팬
70 : 양면 인쇄 유닛
검지된 에러의 유형에 따라 냉각 팬의 가동과 비가동 사이를 전화시키는데 있어서, 제2 냉각 팬(61)은 예를 들어 표1의 제2 냉각 팬(61) 및 제3 냉각 팬(62)을 제어하는 것과 같이, 정착 온도 제어기가 잼으로 인해 오프(OFF)되는 경우에 그 회전이 항상 오프(OFF)된다. 그러나, 이는 정착 온도 제어기의 초과시 에러 상태에서 최대 속도(이 경우에는 3500rpm)로 회전된다. 이는 화상 작성 유닛의 근방에 악영향을 미치는 열 효과를 신속하게 해결하려는 것이다. 제3 냉각 팬(62)은 양면 인쇄 유닛과는 다른 잼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오프(OFF)되지만, 양면 인쇄 유닛의 내부에 잼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회전된다. 이는 또한 정착 온도 제어기의 초과시 오프(OFF)된다.
장치 본체 내부에 용지 잼 또는 다른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장치 본체의 내부의 반송 경로 중 잔류 용지의 위치를 검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잔류 용지에 대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 본체 내부의 복수의 냉각 팬 모두 또는 특정 냉각 팬의 가동과 비가동 사이를 전환시키는 수단도 구비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는 또한 가동시의 냉각 팬의 회전수를 전환시키는 수단을 구비하여야 한다.
잔류 용지에 대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 본체의 내부의 복수의 냉각 팬 모두 또는 특정 냉각 팬의 가동과 비가동 사이를 전환시키는 제어 모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장치의 비정상 작동으로 인한 안전 문제를 위해 전원 공급이 완전히 끊겨야만 하는 경우 모든 팬이 오프(OFF)되는 상황을 생각할 수 있다.
장치 본체 내부의 용지 잼으로 인해 체류하는 용지가 제거되었는지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검지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수단은, 에러 발생시의 장치 본체의 제어 상태로부터 평상시의 대기 상태 또는 인쇄 상태와 동일한 제어 상태로 냉각 팬의 제어를 복귀시킨다.
용지를 지지하면서 가열하는 정착 장치를 포함하고 장치 본체 내의 정착 장치 근방에서의 용지 잼의 발생을 검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검지 수단에 의해 정착 장치 근방에서의 용지 잼 혹은 용지 체류가 인식된 경우, 장치 본체 내의 특정 냉각 팬을 정지 상태로부터 가동 상태로 전환하거나 또는 장치 본체의 대기 또는 인쇄 시의 회전수보다 빠른 속도로 전환하여 회전시킨다.
정착 장치 근방에서의 용지 잼 혹은 용지 체류의 발생을 인식한 경우, 장치 본체 내의 특정 냉각 팬을 정지 상태로부터 가동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 모드는, 예를 들면, 제1 냉각 팬(60)이 통상 대기 및 인쇄 시의 모두에 있어 회전을 오프(OFF)시킬지라도, 장치 내의 온도에 대해 특히 문제가 없는 시스템의 경우, 정착부 잼인 경우에만 회전되는 형태이어야 한다. 즉, 표1의 냉각 팬(60)이 정착 장치 근방의 잼 (및 온도 제어 에러) 이외에는 오프(OFF)된 경우이다.
정착 장치 근방으로부터 체류 용지가 제거된 것을 검지한 때 냉각 팬을 에러 발생 이전의 가동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인쇄하는 용지의 종류를 검지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장치 본체 내의 용지 잼의 발생 위치와 용지의 종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 본체 내의 특정 냉각 팬의 회전수를 변경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하고 있는 매체(용지)의 종류 및 잼 발생 위치에 따라 장치 내의 냉각 팬의 가동, 비가동 및 회전수를 전환 및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에러 발생시의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온도 제어, 및 용지 잼 발생시의 장치의 각 내부의 온도 제어를 최적화할 수 있어, 에러 발생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온도 상태에 관련된 여러 가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치 본체가 잼을 검지한 경우, 이 수단은 잼의 발생 위치에 따라 장치 내의 팬의 제어를 선택하여, 최적의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장치 본체의 반송 경로에서 체류 용지를 검지하는 복수의 검지 수단은 용지 잼이 발생한 경우 발생 위치를 특정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전술의 예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정착 장치 근방에서 잼 처리를 할 필요성이 있고 정착 장치의 온도에 의해 처리의 곤란함이 예상되는 경우, 그 근방에 배치된 냉각 팬이 통상보다 고속으로 회전되어 이 영역은 빠르게 냉각되고 사용자의 잼 처리에 있어서의 열적인 장해가 제거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잼으로 인해 체류한 용지를 제거했다는 정보를 기초로 재차 팬의 회전수를 변경하여, 빠르게 장치 본체가 인쇄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제어한다.
잼이 정착 장치에 관련되지 않은 영역에서 발생한 경우, 특히, 정착 장치 근방을 급냉할 필요성이 없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팬의 제어 방법이 채용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용지 잼 발생의 위치, 용지의 종류 및 체류 용지의 위치와 같은 장치의 본체 내에 발생되는 에러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잼에 의해 체류하는 용지의 위치 정보 및 용지의 종류에 대한 정보에 따라 장치 내부에 배치된 냉각 팬의 회전수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에러 발생시에 장치 본체 내부 및 잼 용지의 근방의 온도 관리를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1) 화상 형성 장치의 예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예의 개략 블록도이다. 본 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양면 인쇄가 가능하고 전자사진식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병렬 방식의 풀 컬러 레이저 프린터이다. 도2는 제1 내지 제4의 4개의 화상 작성 유닛부의 확대도이다.
Y, M, C 및 K는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순서대로 병렬로 배치된 제1 내지 제4의 화상 작성 유닛이다. 각각의 화상 작성 유닛은 전자 사진식 기구이고, 화살표로 지시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감광 드럼(1)과, 감광 드럼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기 위한 대전 롤러(2)와, 감광 드럼의 균일하게 대전된 표면을 레이저로 주사하고 노광하여 화상 정보의 정전 잠상을 기록하여 형성하는 레이저 스캐너 유닛(3)과, 감광 드럼 표면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 화상 등으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 장치(4) 등으로 구성된다.
제1 내지 제4 화상 작성 유닛(Y, M, C, K)은, 각각의 컬러의 화상 데이터에 따라 서로 미리 정해진 제어 타이밍 관계로 감광 드럼(1)의 표면상에 각각의 풀 컬러 화상의 3색 분해 성분 화상으로서 옐로우 토너 화상, 마젠타 토너 화상, 시안 토너 화상 및 블랙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 작성 유닛(Y, M, C, K)에서의 토너 화상 형성의 원리 및 프로세스는 공지되어 있으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부호 7은 3개의 지지 롤러(7a, 7b, 7c) 사이에 연장되어 긴장되어 있고 화살표로 지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무단 전사 벨트를 나타낸다. 제1 내지 제4 화상 작성 유닛(Y, M, C, K)은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순서대로 병렬로 전사 벨트(7)의 지지 롤러(7a, 7b) 사이에 수평 벨트부의 상측에배치된다. 전사 벨트(8)가 백업 롤러(전사 롤러)(5)에 의해 제1 내지 제4 화상 작성 유닛(Y, M, C, K)의 감광 드럼(1)의 하부면에 접촉하여 전사 포인트(6)(도2 참조)를 형성한다.
도면 부호 10은 내부에 적재되어 수납된 용지(S)를 갖는 급지 카세트를 나타낸다. 급지 롤러(11)가 인쇄 개시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제어 타이밍에 회전 구동되고, 용지(S) 중 1매의 용지가 급지 카세트(10)로부터 분리 급지되어, 반송 롤러 쌍(12, 13)에 의해 반송로(8) 상으로 협지 반송되어, 회전 구동하는 전사 벨트(7)의 상행측 벨트부의 상부면으로 이송된다.
전사 벨트(7)는 이송된 용지(S)를 상행측 벨트부의 상부면에 정전 흡착에 의해 유지하거나 척에 의해 파지하고, 제1 내지 제4 화상 작성 유닛(Y, M, C, K)의 전사 포인트(6)로 순서대로 반송한다. 미리 정해진 전사 바이어스가 도시하지 않은 전사 바이어스 전원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제어 타이밍에 전사 포인트(6)의 백업 롤러(5)에 인가된다. 따라서, 제1 화상 작성 유닛(Y)의 옐로우 토너 화상, 제2 화상 작성 유닛(M)의 마젠타 토너 화상, 제3 화상 작성 유닛(C)의 시안 토너 화상 및 제4 화상 작성 유닛(K)의 블랙 토너 화상이 제1 내지 제4 화상 작성 유닛(Y, M, C, K)의 전사 포인트(6)로 순차적으로 반송된 동일 용지(S)의 표면상에 순차적으로 정렬 상태로 중첩 전사되어 풀 컬러 토너 화상이 합성 형성된다.
제4 화상 작성 유닛(K)의 전사 포인트(6)를 통과한 용지(S)는 전사 벨트(7)로부터 분리되고, 정착 장치(20)(이하, 정착기라 함)로 도입되어 미정착 풀 컬러 토너 화상의 가열 정착 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일면 인쇄의 경우, 정착기(20)로부터 나온 용지(S)는 배지 롤러 쌍(14)에 의해 외부 배지 트레이(25) 상에 배출된다.
이 예의 정착기(20)는 미정착 토너 화상을 담지한 용지(S)가 미정착 화상이 열과 압력에 의해 용지(S) 상에 정착되도록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정착 롤러(21)에 잡힌 상태로 회전하는 할로겐 히터(23) 및 가압 롤러(22)를 내포하는 정착 롤러(21)와의 접촉점인 정착 닙부(N)를 통과하는 히트 롤러 형태이다.
양면 인쇄의 경우에, 정착기(20)로부터 나온 일면(제1 면) 상에 인쇄된 용지(S)는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전환기(diverter; 45)의 절환 동작에 의해 거의 수직으로 설치된 반송로(46)로 이의 단부가 하향으로 된 상태에서 안내되고, 반송 롤러 쌍(15, 16, 17)에 의해서 반송로(경로)(46) 내로 반송된다. 그 후, 용지의 단부가 반송로(46)의 말단(47)에 근접부에 도달한 시점에서, 반송 롤러(16, 17)의 회전 방향은 용지가 반전되어 역류되도록 반송되도록 역회전되어, 이는 복수의 이송 롤러 쌍에 의해 장치 본체의 우측으로 이송되도록 다른 전환기(48)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용지 반송로(49) 내부로 안내된다. 그리고, 이는 합류부(50)에서 급지 카세트(10)로부터의 반송로와 결합하고, 용지 반전을 완료하고 그 이후에 1면째와 동일한 수순에 의해서 2면째를 인쇄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화상은 용지(S)의 2면 상에 인쇄되고 정착되고, 그런 후 용지는 배지 트레이(25) 상으로 배출된다.
흑백 인쇄 모드의 경우 제4 화상 작성 유닛(K)만이 작동한다.
참조 부호 70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양면 인쇄 유닛부를 나타낸다.
(2) 냉각 팬
참조 부호 60은 화상 형성 장치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도록 정착기(20)의 근방에서 발생된 열기를 팬 덕트(40)를 통해 장치의 외부로 배기하는 제1 냉각 팬을 나타낸다.
참조 부호 61은 제1 냉각 팬(60)이 위치되는 장치 측벽측에 대향되는 장치 측벽측에 위치되는 제2 냉각 팬을 나타낸다. 제2 냉각 팬(61)은 장치 외측의 공기(외기)를 장치 내부로 흡기하여 열기가 화상 작성 유닛 내에 머무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내지 제4 화상 작성 유닛(Y, M, C, K)으로부터 정착기(20)로의 공기 흐름을 생성한다.
참조 부호 62는 양면 인쇄 유닛(70) 내부에 위치되는 제3 냉각 팬을 나타낸다. 제3 냉각 팬(62)은 양면 인쇄 유닛 내에 열기가 머무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면 인쇄 유닛 내부로부터 양면 인쇄 유닛 외부로 공기 유동을 생성한다.
(3) 용지 검지 센서
참조 부호 30 내지 36은 장치 내부의 반송로 내에 적절하게 위치되어 용지 잼 상태에서 용지 잼 검지 수단 및 용지 위치 검지 수단으로서 제1 내지 제7 용지 검지 센서를 나타낸다. 이들이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발광측, 수광측의 한 쌍으로 사용되는 광투과형의 센서이다. 물론, 보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광투과형의 센서 및 요동 가능한 레버 부재의 조합이더라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이 예에서, 제1 용지 검지 센서(30)는 반송 롤러 쌍(12)과 반송 롤러 쌍(13)사이의 반송로(8)의 도중 위치에 위치되고, 제2 용지 검지 센서(31)는 반송 롤러 쌍(13)의 앞 위치에 위치되고, 제3 용지 검지 센서(32)는 정착기(20)의 용지 입구측 위치에 위치되고, 제4 용지 검지 센서(33)는 정착기(20)의 용지 출구측 위치에 위치되고, 제5 용지 검지 센서(34)는 반송로(46)의 스위치백 반송용 반송 롤러 쌍(16, 17) 사이의 위치에 위치되고, 제6 및 제7 용지 검지 센서(35, 36)는 양면 인쇄 유닛(70) 내의 전환기(48)의 앞의 반송로 부분의 상류측 위치 및 하류측 위치에 각각 위치된다.
(4) 잼 검지 및 냉각 팬 제어
제1 내지 제7 용지 검지 센서(30 내지 36)는 급지 카세트(10)로부터 용지(S)가 급지되고, 그 급지된 용지 상에 화상이 일면 또는 양면 인쇄 모드로 인쇄되어 배지 트레이(25) 상으로 배출되기까지의 반송로 내의 각각의 센서 위치를 용지(S)가 통과하는 타이밍을 검지한다.
용지 검지 센서(30 내지 36)에 의해, 용지의 정상 통과 상태와 비교하여 임의의 부분에서 용지의 도착 타이밍의 지연 또는 소정 시간보다 더 길게 센서부에서 정체하고 있는 용지를 검지함으로써 용지 잼의 발생을 검지하고 장치 본체의 어느 영역에서 용지가 정체하고 있는 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잼 검지 정보는 장치의 본체 내의 도시되지 않은 제어 기판 상의 제어 회로인 CPU로 전송되고, 본 실시예에 따라, CPU는 이 잼 검지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의 본체 내에 위치된 냉각 팬(60 내지 62)의 제어 방법을 결정한다. 도3은 제어 회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더 구체적으로, 이러한 제어는 용지 종류 검지 수단(105), 용지 잼 검지 수단 및 용지 잼 상태에서의 용지 위치 검지 수단(용지 검지 센서)(30 내지 36), 입출력(I/O) 인터페이스(103), CPU(100), ROM(101) 및 RAM(102)이 결합되고, I/O(103)가 냉각 팬의 회전수(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냉각 팬 회전수 제어 수단(예를 들면, 전류값 변경 회로)(106)에 연결되고 냉각 팬(60 내지 62)에도 연결되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스템에서 가능하다.
조건은 매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예를 들면 매체가 일반 용지 또는 오버헤드 프로젝터 투명 용지(OHT 용지)인지 여부와 같은 매체의 종류를 인식한다. 매체 종류의 인식은 용지를 반송시키는 경우 용지 종류 검지 수단(105)에 의해서나 사용자가 인쇄 명령을 내리는 경우 프린터 드라이버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수행된다.
용지 종류 검지 수단(105)(용지 종류 검지 센서)은 장치의 본체 내에 위치된 광투과형 센서 혹은 사용될 용지 종류가 사용자에 의해 프린터 드라이버 등으로부터 입력되게 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로부터 사용자가 장치 상에서 용지의 통과에 대해 사용하고 있는 매체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1) 용지 검지 센서(30 내지 36)가 화상 작성 시퀀스의 실행 중에 급지 용지(S)의 잼 또는 정체를 검지하면, CPU(100)는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작성 및 용지 반송 작동을 급히 정지시킨다. 표시기(104) 상에 잼 발생 및 용지 정체 위치를 표시한다. 정착기(20)의 히터로의 통전을 오프(OFF)시킨다. 후술되는 도1에서의 회전수 제어 테이블에 따라 인쇄 회전수 상태로부터 잼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잼 회전수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냉각 팬(60 내지 62)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전수 제어 수단(106)을 사용한다.
2) 잼 용지의 제거 처리(잼 처리)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방 도어(도시 생략)를 개방시킴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다. 개방 도어의 개방 시, 도어 스위치(도시 생략)는 이와 연계하여 오프(OFF)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 회로는 화상 형성 장치가 사용자에 대해 전기적으로 안전하게 되도록 차단 상태에 놓여진다. 냉각 팬(60 내지 62)의 구동은 개방 도어가 개방되고 도어 스위치가 오프(OFF)되면 전원 회로의 차단과 연계하여 정지한다. 양면 인쇄 유닛(70) 내에서의 잼 처리는 양면 인쇄 유닛(70)을 화상 형성 장치 내로부터 밖으로 인출시킴으로써 수행된다.
3) 개방 도어는 잼 처리 후에 폐쇄된다. 양면 인쇄 유닛(70)이 인출되면,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수용되고, 이어서 개방 도어는 폐쇄된다. 개방 도어의 폐쇄 시에, 도어 스위치는 이와 연계하여 온(ON)되고 장치의 전원 회로는 제어 회로를 리셋시키도록 복귀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여전히 잔류하는 제거되지 않은 잼 용지 또는 정체 용지가 존재하면, 용지 검지 센서(30 내지 36)에 의해 검지된다. CPU(100)는 장치의 재기동을 금지시키고, 사용자가 잼 처리를 다시 수행하도록 잼 및 용지의 정체 위치를 표시기(104) 상에 표시한다.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제거되지 않은 잼 용지 또는 정체 용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용지 검지 센서(30 내지 36)는 용지의 존재를 검지하지 않는다. 즉, 잼 용지나 정체 용지가 모두 제거된 것을 검지한다. 이 경우, CPU(100)는 화상 형성 장치의 소정의 재기동 시퀀스 동작을 실행시킨다.
팬 제어의 일 예가 도4 및 표1에서 설명된다.
재기동 시의 시퀀스 동작에서, 전원 스위치는 메인 모터를 기동시키도록 온(ON)되고, 정착기(20)의 정착 히터(23)로의 통전이 온(ON)되며(S402), 냉각 팬(60 내지 62)이 구동된다. 냉각 팬(60 내지 62)은 이들을 잼 발생시의 회전수 제어 상태로부터 정상시의 대기 시의 회전수 제어 상태(대기 시의 셋-업 조건)로 복귀시킴으로써 구동된다(S403).
4) 화상 형성 장치는 미리 정해진 재기동 시퀀스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인쇄 가능한 상태로 복귀되고, 인쇄 시작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 상태에 놓여진다. 대기 상태에서, 메인 모터의 구동이 중지되고, 정착기(20)는 소정의 대기 온도로 제어된 온도를 갖고, 냉각 팬(60 내지 62)은 정상시의 대기 상태에서의 회전수 제어 상태에서 구동된다.
5) 인쇄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S404), 메인 모터의 구동이 개시되고, 정착기(20)는 소정의 인쇄 온도로 제어된 온도를 갖고, 냉각 팬(60 내지 62)은 화상 작성 시퀀스 동작을 수행하도록 인쇄 시의 회전수 제어 상태로 구동된다(S406, S407).
전술한 4)에서의 재기동 시퀀스 동작을 수행할 때 인쇄 개시 신호가 이미 입력되었을 경우에, 소정의 재기동 시퀀스 동작을 완료시에는 메인 모터의 구동은 대기 상태로 진행하지 않고 연속하여 수행된다. 그리고, 정착기(20)는 소정의 인쇄 온도로 제어된 온도를 갖고, 냉각 팬(60 내지 62)은 화상 작성 시퀀스 동작을 수행하도록 인쇄 시 회전수 제어 상태로 절환함으로써 구동된다.
다음으로, 잼 발생에 대한 냉각 팬(60 내지 62)의 구동 제어에 대해 설명된다. 용지 반송 동작 및 정착 온도는 상기 정상적 시퀀스(S408)에서 정상인지에 대한 여부가 판단된다. 정상이라면 인쇄가 종료되지만, 임의의 비정상이 발생하면 인쇄 동작이 중지된다(S410).
여기에서, 에러 상태가 인지된다(S411). 예를 들어, 용지 잼이 정착기(20)의 근방에서 발생할 경우, 즉 제3 용지 검지 센서(32) 또는 제4 용지 검지 센서(33)에 의해 검지되는 영역에서 용지 잼이 발생하거나 용지가 체류하는 경우에, 정착기(20)의 히터(23)로의 통전이 오프(OFF)된다(S412). 그리고, 표1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냉각 팬의 회전수가 변경된다. 예를 들어, 정착기(20)의 근방에서의 제1 냉각 팬(60)의 회전수는 즉각적으로 통상보다 높게 하고, 이에 따라 정착기(20)는 정착기의 근방에서의 잼 처리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열적 안전성 및 작업성을 보장하도록 가능한 한 냉각된다(S413).
양면 인쇄 유닛(70)에서의 제6 용지 검지 센서(35) 또는 추가로 제7 용지 검지 센서(36)에 의해 검지 가능한 영역에서 용지 잼이 발생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장치 본체로부터 양면 인쇄 유닛(70)을 인출하여 내부에 체류하는 용지를 제거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행할 때, 용지가 필름계이면 상대적으로 장시간 동안 정착기(20)의 열에 노출되어 녹아서 제거하기 어려울 정도로 반송 롤러에 달라붙거나 또는 사용자가 이를 손에 닿았을 때 통상적인 용지와 비교하여 매우 고온으로 느끼는 경우들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 매체를 냉각시키도록 근방에 위치한 제3 냉각 팬(62)을 통상보다 빠르게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매체 정보는 용지 종류 검지 수단(105)에 의해 냉각 팬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CPU)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장치 본체는 사용되는 용지 종류 및 잼 발생 위치의 양방의 정보를 조합함으로써 더 상세한 팬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더 상세하게는, 잼 검지로 인해 장치의 화상 작성 및 용지 반송 동작을 긴급 정지시킨 후 잼 처리를 위하여 장치의 개방 도어가 열리고 도어 스위치가 오프(OFF)되어 장치의 전원 회로가 비작동되기까지의 시간 동안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착기(20)의 근방 또는 양면 인쇄 유닛(70)의 내에서 필름계 용지의 잼이 발생할 때에만, CPU(100)는 통상보다 높은 회전수로 제1 냉각 팬(60) 또는 제3 냉각 팬(62)을 회전시켜서, 통상적인 용지 잼의 경우보다 훨씬 빠르게 제1 냉각 팬(60)을 회전시켜 냉각을 촉진시키고, 정착기(20)의 근방에서 필름계 용지의 잼이 발생할 때는 급냉시키게 된다.
그 밖의 부위에서 용지 잼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특별하게 이러한 팬 제어를 행하는 대신에, 통상적인 대기시에서의 장치와 동일한 회전수 또는 인쇄 시의 회전수로 이를 제어하는 것과 같은 최적의 팬 제어를 할 수 있다(S413).
<냉각 팬 제어의 예>
냉각팬의 회전수(rpm)
용지 종류 상태 정착 제어온도(℃) 제1 냉각팬(60) 제2 냉각팬(61) 제3 냉각 팬(62)
- 대기 시 165 1500 1000 1000
보통 용지 인쇄 시 175 2000 2000 2000
OHT 필름 인쇄 시 185 2500 2000 2000
보통용지 잼 (정착기 근방에체류지 없음) ※1 OFF 2000 OFF OFF
보통 용지 잼 (정착기 근방에체류지 있음) ※1 OFF 3000 OFF OFF
OHT 필름 잼 (정착기 근방에체류지 없음) ※1 OFF 2000 OFF OFF
OHT 필름 잼 (정착기 근방에체류지 있음) ※1 OFF 3500 OFF OFF
보통 용지 잼 (중간 유닛 내에체류지 있음) ※2 OFF 2000 OFF 3000
OHT 필름 잼 (양면 인쇄 유닛 내에체류지 있음) ※2 OFF 2000 OFF 3500
종류 불문 정착기 온도 제어 에러(이상 온도 상승) ※3 OFF 3500 3500 OFF
※1 : 양면 인쇄 유닛 내에는 체류지 없음.
※2 : 정착기 근방에는 체류지 없음.
※3 : 양면 인쇄 유닛 내에 그리고 정착기 근방에는 체류지 없음.
많은 화상 형성 장치는 정착기(20)의 조절 온도가 대기와 인쇄 사이에서 차이 나게 설정된다. 또한, 용지의 종류에 따라 최적으로 선택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본 발명에 실시예에서와 같이, 표1에 도시된 제어에는 잼 발생 위치(용지의 체류 위치) 및 용지의 종류에 따라 제1 및 제3 냉각 팬의 회전수가 최적으로 선택된다. 따라서, 냉각 팬의 회전 속도 및 정착 온도는 매체를 인식한 후에 변화된다. 이를테면, OHT 용지의 인쇄 상태나 일반 용지의 경우에 상기 설정들은 변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장치 본체 내의 어떤 부분에서 어떤 종류의 용지의잼이 발생되었는지의 상황에 따라서 장치 본체 내에 있는 복수의 팬의 회전수 등이 최적으로 제어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잼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제1 내지 제3 냉각 팬(60 내지 62) 모두의 회전수를 보다 높게 올리면 장치의 소음 문제가 발생하거나, 정착기(20)가 과냉각되어 잼 처리 후에 재차 인쇄 가능한 상태까지 정착기(20)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기동 시간을 불필요하게 연장시키게 되어 사용자가 불만족스러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용지의 종류에 따라서는 보통 용지의 경우에서보다 신속하게 정착기 주변 온도를 낮추어야 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 내에 복수의 냉각 팬 및 복수의 용지 검지 센서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에러 상태 특히, 용지의 종류 및 잼 발생 위치에 따라 팬을 최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5) 기타
상기 실시예에서는 용지 잼 검지와 냉각 팬 제어 사이의 연계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용지 잼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에러 상황에도 응용 가능하다. 다른 에러란 인쇄 중에 장치의 일부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등의 에러이다. 예를 들면, 정착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중에, 실제로 온도 검지 수단에 의해 모니터되는 온도가 제어하려고 하는 목표 온도를 초과한 경우, 즉 제어 회로 또는 시퀀스가 고장나서 정착기 온도가 제어 온도를 초과하여 상승한 경우이다. 제어 목표 온도가 T1이고 실제 검지 온도가 T2일 경우, 온도차는 ΔT = T2 - T1이다. 예를 들면, 상기 ΔT 가 +10 ℃ 이상이 된 경우, 상기 장치는 정착기 온도 제어 불량(에러)을 인식한다. 이러한 경우, 장치에의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착기 근방의 제1 냉각 팬(60) 및 드럼 주변 온도를 냉각하기 위한 제2 냉각 팬(61)을 최고 속도(예를 들면, 표1에 도시된 3500 rpm)로 회전시키는 [단, 양면 인쇄 유닛 내의 온도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기 때문에 제3 냉각 팬은 오프(OFF)된다] 등의 처리를 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예와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이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가 본원 명세서 내의 특정한 설명과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모두 설명된 다양한 수정 및 변경까지 확대된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에러 발생시 화상 형성 장치의 온도 제어와, 용지 잼 발생시 화상 형성 장치 내부의 각부의 온도 제어를 최적화할 수 있기 때문에, 에러 발생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온도 상태와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장치 본체 내부에 복수의 냉각 팬을 구비하고, 용지 잼을 포함한 여러 유형의 에러 발생을 검지하는 에러 검지 기능을 포함하며, 냉각 팬의 가동과 비가동 사이를 전환하거나 검지된 에러의 유형에 따라 가동시의 회전수(회전 속도)를 변경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6)

  1.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내에 위치한 복수의 냉각 팬과,
    용지 잼과 같은 에러의 발생을 검지하는 에러 검지 수단과,
    상기 에러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에러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냉각 팬을 가동과 비가동 사이에서 전환하거나 또는 가동시 상기 복수의 냉각 팬의 회전수를 변경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장치의 본체 내부에서 용지 잼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 장치의 본체 내부의 반송 경로 내에서의 잔류 용지의 위치를 검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잔류 용지의 위치를 검지하는 상기 수단으로부터의 잔류 용지에 대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수단은 복수의 냉각 팬 모두나 특정의 냉각 팬만을 가동과 비가동 사이에서 전환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냉각 팬 모두나 특정의 냉각 팬의 회전수만을 변경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장치의 본체 내에 용지 잼으로 인해 체류하는 용지가 제거된 상태를 검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체류 용지가 제거된 상태가 검지될 때 제어 수단은 상기 냉각 팬의 회전 제어를 에러 발생시의 장치의 본체의 제어 상태로부터 정상 시간에서의 인쇄 상태 또는 대기 상태와 동일한 제어 상태로 복귀시키는 화상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용지를 압접 및 가열하는 정착 장치와,
    장치의 본체 내부의 상기 정착 장치 근방에서의 용지 잼의 발생을 검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용지 잼의 발생을 검지하는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 정착 장치 근방에서의 용지 체류나 용지 잼의 발생이 인지된 경우, 제어 수단은 장치의 본체 내부의 비가동 상태의 특정 냉각 팬을 가동시키거나, 상기 냉각 팬을 장치 본체의 대기시 또는 인쇄시의 회전수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정착 장치의 근방으로부터 체류 용지의 제거가 감지될 때 상기 냉각 팬을 에러 발생 전의 가동 상태로 복귀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인쇄용 용지의 종류를 검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장치의 본체 내부의 용지 잼 발생의 위치 및 용지 종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의 본체 내부의 특정 냉각 팬의 회전수를 변경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40023601A 2003-04-07 2004-04-07 화상 형성 장치 KR100633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03216A JP4332366B2 (ja) 2003-04-07 2003-04-07 画像形成装置
JPJP-P-2003-00103216 2003-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901A true KR20040087901A (ko) 2004-10-15
KR100633507B1 KR100633507B1 (ko) 2006-10-16

Family

ID=3286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601A KR100633507B1 (ko) 2003-04-07 2004-04-07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85677B2 (ko)
EP (1) EP1467260B1 (ko)
JP (1) JP4332366B2 (ko)
KR (1) KR100633507B1 (ko)
CN (1) CN100498582C (ko)
DE (1) DE602004015183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5648B1 (en) 2017-07-05 2019-01-08 Hp Printing Korea Co., Ltd. Paper sensor to sense paper passing through fus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3708A (ja) * 2002-08-30 2004-03-25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US7224916B2 (en) * 2004-06-07 2007-05-2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oner containing wax with image density detecting means used for image density adjustment
US7252286B2 (en) * 2004-06-08 2007-08-07 Xerox Corporation Compact printer paper path manual access improvement with collapsible air ducts
JP2006078683A (ja) * 2004-09-08 2006-03-2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冷却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317467B2 (en) * 2004-10-19 2008-01-08 Lexmark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controlling printer cooling fan
JP4815890B2 (ja) * 2005-06-20 2011-11-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031012A (ja) * 2005-07-22 2007-02-08 Fujifilm Corp 画像記録装置
JP2007041025A (ja) * 2005-07-29 2007-02-15 Canon Inc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086629A (ja) * 2005-09-26 2007-04-05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EP1770451A3 (en) 2005-09-29 2009-05-13 Oki Dat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219192A (ja) * 2006-02-17 2007-08-30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冷却制御方法
JP4878194B2 (ja) * 2006-03-30 2012-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8039828A (ja) * 2006-08-01 2008-02-21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4882752B2 (ja) * 2007-01-11 2012-02-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053726B2 (ja) * 2007-06-26 2012-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200112B2 (en) * 2007-11-30 2012-06-12 Lexmark International, Inc. Fuser assembly heater setpoint control
JP2009198880A (ja) 2008-02-22 2009-09-03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4877259B2 (ja) * 2008-03-31 2012-0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装置
JP5581939B2 (ja) * 2010-03-15 2014-09-03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US20130051826A1 (en) * 2011-08-23 2013-02-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Apparatus
KR101552409B1 (ko) 2011-09-06 2015-09-1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JP5453504B1 (ja) * 2012-10-16 2014-03-26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JP2015125429A (ja) * 2013-12-27 2015-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22295B2 (ja) * 2014-10-08 2018-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4360588A (zh) * 2014-11-17 2015-02-18 成都西华升腾科技有限公司 基于对纸张复印或扫描质量进行提高的定影组件
CN104317179A (zh) * 2014-11-17 2015-01-28 成都西华升腾科技有限公司 能够提高纸张分离准确性的定影系统
US9637337B2 (en) * 2015-05-26 2017-05-02 Kabushiki Kaisha Toshib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17120294A (ja) * 2015-12-28 2017-07-06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JP6589789B2 (ja) * 2016-09-21 2019-10-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7121915B (zh) * 2017-06-21 2021-01-26 珠海奔图电子有限公司 图像形成装置、散热风扇的控制方法及装置
JP7350514B2 (ja) * 2018-06-08 2023-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0034863A (ja) * 2018-08-31 2020-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452122B2 (ja) 2020-03-12 2024-03-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2186495A (ja) * 2021-06-04 2022-1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8612A (en) * 1989-12-06 1993-05-04 Ricoh Company, Ltd. Image recording apparatus constituting of selectable units
JP3288639B2 (ja) 1990-03-27 2002-06-0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998819B2 (ja) 1992-09-11 2000-01-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962153A (ja) 1995-08-24 1997-03-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1202737A (ja) 1998-01-08 1999-07-30 Ricoh Co Ltd 記録装置
JP2000007205A (ja) 1998-06-17 2000-01-11 Canon Inc シート反転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305325A (ja) 1999-04-20 2000-11-0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1005366A (ja) 1999-06-23 2001-01-12 Copyer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283590B1 (en) * 1999-10-04 2001-09-04 Xerox Corporation Liquid ink printer including a non-scorching dryer assembly
JP4048694B2 (ja) * 2000-05-31 2008-02-20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定着装置
US6374063B1 (en) * 2000-09-28 2002-04-16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Fixing device use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132122A (ja) 2000-10-27 2002-05-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2258722A (ja) 2000-12-28 2002-09-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記録媒体、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4670184B2 (ja) 2001-06-04 2011-04-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5648B1 (en) 2017-07-05 2019-01-08 Hp Printing Korea Co., Ltd. Paper sensor to sense paper passing through fuser
WO2019009516A1 (en) * 2017-07-05 2019-01-10 Hp Printing Korea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85677B2 (en) 2006-01-10
EP1467260B1 (en) 2008-07-23
KR100633507B1 (ko) 2006-10-16
CN1536452A (zh) 2004-10-13
EP1467260A1 (en) 2004-10-13
JP2004309796A (ja) 2004-11-04
DE602004015183D1 (de) 2008-09-04
CN100498582C (zh) 2009-06-10
US20040197108A1 (en) 2004-10-07
JP4332366B2 (ja)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507B1 (ko) 화상 형성 장치
US850964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732088B2 (ja) 画像加熱装置
WO2016052753A1 (ja) 定着装置
JP2007079039A (ja) 画像形成装置
JP6399881B2 (ja) 定着装置
JP594357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6071130A5 (ko)
JP2008116858A (ja) 像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89000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oling device and controller permitting image heating during error occurrence
JP493896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330426A (ja) 電子写真装置
JP200801498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7220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07756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43030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003564A (ja) 印刷装置
JP201118021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37328A (ja) 画像形成装置
JP742935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308465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94576A (ja) 画像形成装置
JPH0916030A (ja) プリンタ装置
JP200235799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7121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