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853A - 카메라, 프린터, 인쇄 시스템, 제어 방법, 기억 매체 및이에 대한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카메라, 프린터, 인쇄 시스템, 제어 방법, 기억 매체 및이에 대한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853A
KR20020065853A KR1020020006732A KR20020006732A KR20020065853A KR 20020065853 A KR20020065853 A KR 20020065853A KR 1020020006732 A KR1020020006732 A KR 1020020006732A KR 20020006732 A KR20020006732 A KR 20020006732A KR 20020065853 A KR20020065853 A KR 20020065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printer
printing
hos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9209B1 (ko
Inventor
시라이와요시노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5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2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95Arrangements for reducing operator in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58Sequential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browsing or scr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7Indicating status, e.g. of a jo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901Using different supplies or connection to an external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5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the still video camera incorporating a hardcopy reproducing device, e.g. a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6Detecting or check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41Point to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49By wire, cabl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린터의 접속을 검출하고 프린터의 검출에 응답하여 인쇄 모드로 이동함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인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 프린터, 인쇄 시스템, 제어 방법, 기억 매체 및 이에 대한 프로그램{CAMERA, PRINTER, PRINT SYSTEM, CONTROL METHOD, MEMORY MEDIUM AND PROGRAM THEREFOR}
본 발명은, 화상을 기록하는 카메라, 화상을 인쇄하는 프린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감열(heat-sensitive) 용지를 인쇄 용지로서 사용하고 메인 주사(main scanning)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열생성 부재들을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서브 주사 방향으로 용지를 이송하여 그 용지 상에 점선을 인쇄하는 라인 열전사(thermal transfer) 시스템의 프린터가 공지되어 있다.
최근에,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영상 카메라 또는 스캐너 등의 영상 입력 장치가 진보함에 따라, 열전사 시스템의 프린터 장치는 인쇄 수단으로서 주목을 끌고 있다.
그 이유는, 열전사 시스템의 프린터는, 제어가능한 열(heat) 레벨이 각 화소에서 쉽게 변경될 수 있어 고품질의 매끄러운 화상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각 화소에 대해 복수의 계조(gradation) 레벨들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열 헤드(thermal head)의 성능과 인쇄 용지의 성능이 계속 진보하여 할로겐화 은(silver halide) 사진 인쇄의 화질과 견줄만한 화상 인쇄를 제공하므로, 이와 같은 프린터는 디지털 카메라의 최근 진보와 함께 사진 화상을 인쇄하는 것으로 주목을 끌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인쇄 장치 및 디지털 카메라 또는 디지털 영상 카메라 등의 화상 픽업 장치가 직접 접속되거나 통합적으로 구성되어 컴퓨터 등의 화상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를 통하지 않고 촬상 정보를 인쇄하는 상업화된 시스템이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디지털 카메라 또는 디지털 영상 카메라로부터 화상 정보의 사진 인쇄 출력을 쉽게 달성하는 것을 가능케 하며 매우 편리하다.
일 예로서, 일본국 특개평9-65182호는 통합 구성으로 입력 및 출력을 달성할 수 있는 화상 입출력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와 같은 복합(composite) 카메라는, 전자식 뷰 파인더(view finder)가 제공되며 기록 매체 상에 화상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화상 픽업 수단, 및 기록 매체 상에 화상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 수단을 통합적으로 포함하고, 또한 인쇄 수단이 기록 용지 상에 화상 정보를 인쇄하는 동안 상술한 전자식 뷰 파인더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 수단도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인쇄 동작 동안 전자식 뷰 파인더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아 전력을 절약하는데 효율적이므로, 사용자는 전력 공급에 관한 걱정 없이 그 시스템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10-243327호는 화상 입력 장치와 화상 출력 장치간의 접속을 설명한다. 여기에는 화상 입출력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고, 그 화상 입출력 시스템은 화상 출력 장치 및 화상 입력 장치로 구성되고, 화상 출력 장치는 화상 입력 장치로부터 화상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고 화상 입력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가 제공되며, 화상 입력 장치는 화상 출력 장치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화상 출력 장치로부터 전력 공급을 수신하는 접속 케이블에 의해 화상 출력 장치와 접속된다. 화상 입력 장치는 전력 공급 장치 및 전력 공급을 위한 식별 수단이 제공되고, 화상 출력 장치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거나 식별 수단을 이용하는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 화상 출력 장치로부터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디지털 카메라 등의 화상 입력 장치의 남아 있는 전력을 고려하지 않고 인쇄 출력 동작을 실행할 수 있어, 사용자는 전력 공급에 관한 걱정 없이 화상 입출력 장치를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화상 입출력 장치에서 채용된 화상 출력 장치는 상술한 화상 입력 장치와는 다른 장치들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상술한 전용 접속 케이블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 등에 접속되거나 통상의 인쇄 케이블(직렬 또는 병렬)에 의해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지털 카메라를 위한 화상 출력을 위해 또는 개인용 컴퓨터의 프린터로서 단일 화상 출력 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카메라는 USB(Universal Serial Bus;범용 직렬 버스)를 이용하는 컴퓨터 또는 프린터와 접속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예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화상 입력 장치와 프린터 장치로 시스템이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소형화시에 만족할 만한 해상도, 비용, 속도, 사용 편의성 등을 충분히 제공하지 않는다.
특히, 쉽게 인쇄하기 위해서, 인쇄 동작을 실행할 수 있을 때까지 일정한 준비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로부터의 인쇄 명령에 의한 인쇄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프린터 장치를 디지털 카메라에 접속한 후, 디지털 카메라를 인쇄 모드로 설정하고 그 인쇄 모드에서 인쇄 명령을 제공하기 위해, 인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프린터가 디지털 카메라 뿐만 아니라 개인용 컴퓨터 등에 접속가능한 경우에도, 이와 같은 프린터에서, 디지털 카메라로 접속이 수행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에서 이와 같은 설정을 실행하는 절차를 필요로 하므로, 인쇄를 용이하게 획득하는 것이 더 어렵게 된다.
또한, USB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호스트(마스터)의 커넥터(connector)와 기능부(슬레이브: 주변 장치)의 커넥터가 서로 형상이 다르므로, 호스트와 USB 접속을 위한 커넥터가 제공된 카메라로 새 기능부를 대체한 프린터와 USB 접속하는 경우에는, 프린터 접속을 위한 커넥터가 추가로 카메라에 제공되어야 한다.
상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린터와의 접속에 의해 인쇄 모드로 이동하고 그 모드에서 간단히 인쇄를 얻을 수 있는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스트와 접속을 위한 커넥터가 장착되고, 프린터와 접속을 위한 커넥터가 새로 장착되며, 카메라를 제공할 필요가 없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목적들은, 프린터와의 접속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 및 검출 수단에 의한 프린터와의 접속 검출에 응답하여 인쇄 모드로 이동하는 이동 수단을 포함한 카메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호스트로서 기능하는 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 또는 기능부로서 기능하는 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이 접속되었는지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 및 식별 수단에 의한 식별 결과에 따라 호스트 또는 기능부로서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포함한 프린터도 제공된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제1 실시예의 흐름도 1.
도 3은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제1 실시예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제1 실시예의 흐름도 2.
도 7은 제1 실시예의 시퀀스 1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제1 실시예의 시퀀스 2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제1 실시예의 흐름도 3.
도 10은 제1 실시예의 표시 화상 1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제1 실시예의 표시 화상 2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제1 실시예의 표시 화상 3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린터
12 : 테어-어웨이 스티치 라인
16 : 여백
17 : 화상 영역
29 : 디지털 카메라
30 : 호스트 컴퓨터
101 : 화상 픽업부
102 : 화상 처리부
103, 122 : 메모리부
104, 112, 123 : 제어부
105, 124 : 표시부
106 : 표시 제어부
107, 111, 121 : 데이터 I/F부
108, 125 : 입력부
116 : 프린터 엔진
1001 : 모드 이동 스위치
1002 : 셔터 버튼
1003 : 뷰 파인더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그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은, 승화형(sublimation type) 열전사 기록 시스템의 프린터 장치를 채용하고, 임의 개수의 전자 화상 정보 인쇄물들을 인쇄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인쇄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통상의 열전사 프린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 후, 그 시스템에서 인쇄 모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한 프린터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 프린터의 전체 구성에 있어서, 기록 용지(P)는 분리되어, 기록 용지들이 쌓이는 용지 카세트(2)로부터 급송 롤러(3)에 의해 장치의 메인 바디(1;main body)로 하나씩 공급된다. 기록 용지들(P)은 스프링(20)에 의해 바이어스되는 푸시-업 판(push-up plate;21)에 의해 급송 롤러(feeding roller;3)와 접촉을 유지한다. 급송 롤러(3)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 용지(P)는 한 쌍의 이송 롤러(4)에 의해 핀치(pinch)되고 기록 장치를 통해 왕복 운동(reciprocating)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이송 롤러들(4)은 핀치 롤러(42) 및 그립 롤러(grip roller;41)로 구성된다.
기록부에서, 기록 정보에 따라 열을 생성하는 열 헤드(6) 및 플래튼 롤러(platen roller;5)는 기록 용지의 이송 경로를 가로 질러 서로 대향하고, 잉크카세트(7)에 수용되며 열적으로 가용성이거나 열적으로 승화할 수 있는 잉크로 이루어진 잉크 층 및 인쇄 표면 상에 그를 보호하기 위해 코팅되는 오버코트(overcoat) 층이 제공되는 잉크 용지(8)는, 열 헤드(6)에 의해 기록 용지(P)에 압착되고 선택적으로 가열되어 원하는 화상을 기록 용지(P) 상에 전사 기록을 실행하고 그 위에 보호층을 오버코팅한다.
상술한 잉크 용지에는, 노란색(Y), 마젠타색(M) 및 시안색(C)의 잉크 층들 및 오버코트 층(OP)이 서로 인접한 위치들에 제공되어 기록 용지(P)의 인쇄 영역을 피복하고, 각 층은 인쇄 크기와 거의 같은 크기를 갖고, 기록 용지(P)는 각 층의 열전사 후 기록 시작 위치(P1)로 복귀되므로 그 층들은 연속하여 서로 중첩된 방법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기록 용지(P)는 잉크 층들 및 오버코트 층의 수에 의해 한 쌍의 이송 롤러들(4)에 의해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서, 각 잉크 층의 인쇄 후 기록 용지(P)는 그 장치 메인 바디(1)의 전방에 위치하고, 용지 카세트의 전방 아래에서 가이드부(guide portion)를 통해 메인 바디(1) 아래로 유도된다. 기록 용지는 그 장치의 전방에서 반전되므로, 공간에서의 낭비 또는 기록 용지와의 의도되지 않은 접촉과 같은, 인쇄 소스에서 기록 용지(P)의 외부 노출로부터 발생하는 결점들을 피할 수 있게 되고,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지 카세트(2)의 하부는 용지 가이드로서 직접 이용되므로, 그 장치의 메인 바디(1)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기록 용지(P)가 잉크 카세트(7)와 용지 카세트(2)간의 공간으로 통과하여 그 메인 바디(1)의 전체 높이를 최소화하므로,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용지 카세트(2)의 용지 이송 가이드부(25)는, 메인 바디(1)의 전방으로부터 반전되어 이송된 기록 용지(P)를 메인 바디의 후방으로 반전시키는 기능을 하고, 용지 카세트(2) 상에 제공되어 그 장치의 전체 메인 바디(1)의 소형화에 상당히 기여하게 된다.
또한, 용지 카세트(2)의 상부면은 인쇄 후 배출된 기록 용지(P)를 위한 트레이부로서 이용되고, 이와 같은 구성도 그 장치 메인 바디(1)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잉크 층들로 인쇄한 후, 기록 용지(P)는 배출 롤러들(1, 9-1, 2, 9-2)로 유도되고 메인 바디(1)의 후방부로부터 전방부 방향으로 배출됨으로써, 기록 동작이 종료된다.
배출 롤러(discharge roller;1)는 그 배출 동작시에만 기록 용지(P)와 접촉되고 인쇄 동작 중에는 압착되지 않는다.
장치의 메인 바디(1)는 기록 용지(P)를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부(15)가 제공된다.
용지 전환 이송 경로(16)는 일단 공급되면 기록 용지(P)를 배출측 경로로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인쇄를 위한 열 헤드(6)는 헤드 암(head arm;22) 상에 통합적으로 제공되고, 대체시에는 잉크 카세트(7)의 추출 또는 삽입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후퇴한다.
이와 같은 대체 동작은 용지 카세트(2)를 추출함으로써 가능하게 되고, 이와같은 동작에서, 용지 카세트(2)의 탈부착 동작과 연동하여, 헤드 암(22)은 캠부(cam portion;22-1)에 의해 압착되는 상태로부터 용지 카세트 캠부(2-1)의 후퇴에 의해 후퇴 동작을 달성하기 위해 수직으로 이동한다.
통상의 열전사 프린터의 경우, Y, M 및 C의 3색이 면-순차(plane-sequential) 방법으로 기록되므로, 각 색의 기록 전단(front ends)을 정확하게 맞추기 위해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한 쌍의 이송 롤러들(4)에 의해 기록 용지(P)를 단단히 잡고 이송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송 방향으로 기록 용지(P)의 단부에는 기록할 수 없는 여백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고 여백 없는 최종 인쇄를 쉽게 얻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용지(P)가 제공되고, 그 스티치 홀 라인들은 기록 시작시 한 쌍의 이송 롤러들(4)에 의해 단단히 잡혀져 있고 기록에 이용될 수 없는 여백부들을 나중에 수동으로 떼기 위한(tearing off)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테어-오프(tear-off) 스티치 라인들 및 열전사 프린터가 제공된 기록 용지(P)로 실행되고, 상술한 기록 용지의 스티치 라인 영역의 영역은 오버코트된다.
또한, 대각선으로 해치(hatch)된 영역은 인쇄 영역을 나타내고 스티치 라인 영역들을 포함한 영역에서 인쇄를 실행하기 위해 제어를 수행한다. 오버코트는 거의 인쇄 영역에서 수행되지만, 인쇄 영역을 포함하고 인쇄 영역보다 약간 더 크도록 제어된다.
이하, 이 장치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이송 롤러들(4)은 핀치 롤러(42) 및 그립 롤러(41)로 구성되고, 그립 롤러(41)는 스텝핑 모터의 출력 샤프트(shaft)로의 축소 기구에 접속되고 스텝핑 모터의 회전 제어에 의해 역상으로 구동된다. 기록 용지(P)는 한 쌍의 이송 롤러들(4)에 의해 단단히 잡혀지고 왕복 운동하므로, 기록 용지(P)도 스텝핑 모터의 회전 구동에 의한 정확한 위치 제어하에서 이송된다. 일 예로서, 열 헤드(6)에 의한 라인의 기록 피치가 85 ㎛이고 스텝핑 모터가 라인에 의해 기록 용지(P)를 이송하기 위한 4개의 스텝들을 갖는 경우, 기록 용지(P)는 스텝핑 모터의 4개의 스텝들의 회전 제어에 의해 라인(즉 85 ㎛)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인쇄 영역이 이송 방향으로 144 ㎛인 경우, 1694개의 라인들이 인쇄될 수 있고, 기록 용지(P)는 스텝핑 모터의 6776개의 스텝들의 회전에 의한 대응량만큼 이송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프린터(1)의 경우, 기록 용지의 선단(leading end)을 검출하는 센서(10)는, 급송 롤러(3)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한 쌍의 급송 롤러들(4)의 근방에 위치함으로써, 기록 용지의 선단을 검출하게 되고, 검출 후 소정 수의 라인들만큼 기록 용지를 전진시키고 한 쌍의 이송 롤러들(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위치는 상술한 기록 시작 위치가 된다. 이와 같은 위치에서, 열 헤드는 각 색의 화상을 기록하거나 오버코트 층을 전사하기 위해 먼저 기록될 노란(Y)색으로부터 시작하면서 기록 정보에 따라 구동된다. 각 색의 기록 후, 기록 용지는 소정 수의 라인들만큼 배출 롤러(9)를 향해 다시 이송되고, 이와 같은 절차는 Y, M 및 C 색들의 전사 및 오버코트 층의 전사를 위해 4회 반복된다.
도 1에 도시된 프린터(1)에서, 기록 용지(P) 상의 열 헤드(6)의 압착 위치와 플래튼 롤러(5)간의 거리는 그 장치내에서 구성요소들의 배열을 고려하여 기록 용지 상에 20 ㎜로서 선택되지만, 이와 같은 거리는 본래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인쇄는,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오버코트 층의 전사 기록 및 각 색들의 전사 기록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용지를 인쇄하는 경우 오버코팅 및 색 잉크 전사의 시퀀스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흐름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은 제어부(112)의 롬(ROM)에 저장되고 CPU에 의해 실행된다.
S201 : 사용자로부터의 인쇄 명령에 응답하여, 인쇄 동작을 명령하기 위해 인쇄 명령을 내린다.
S202 : 장치 메인 바디(1)내의 처리 회로(18)는 인쇄 명령을 실행하는 장치와 통신을 시작하고, 인쇄 명령을 실행하는 장치로 인쇄하는데 필요한 조건들의 확인을 실행하며, 필요한 경우, 화상 정보를 인쇄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화상 처리를 실행한다.
S203 : 인쇄를 위한 준비가 완료된 경우, 제어 수단(19)은 기록 용지(P)의 급송을 시작하기 위해 급송 롤러(3)에 접속된 모터를 구동한다.
S204 : 기록 용지의 선단 검출 후, 소정 수의 스텝들만큼 스텝핑 모터를 회전하여 인쇄를 시작한다. 인쇄 시작 위치를 12.465 ㎜로 하고, 기록 용지의 선단을 기준으로 한다.
S205 : 열 헤드를 활성화시키고 4스텝만큼 스텝핑 모터를 회전하여 인쇄를 실행한다. 총 6776스텝(1694 라인)의 회전 후 인쇄 동작이 종료된다. 상기 예에서 인쇄 종료 위치는 기록 용지의 선단으로부터 156.455 ㎜로 된다.
S206 : 그 후, 정지 전 감속을 위해, 스텝핑 모터는 약 10라인(40스텝에 대응) 회전한 후 정지된다.
S207 : 정지 상태로부터, 스텝핑 모터는 인쇄 동작과 반대 방향으로 기록 용지(P)를 이송하기 위해 역방향으로 활성화된다. 소정 수의 스텝들(6776스텝 - 감속을 위한 스텝 수)만큼 상기와 같이 역회전한 후, 스텝핑 모터는 감속을 위해 10라인(40스텝에 대응) 더 회전한 후 정지된다.
S208 : 상술한 시퀀스가 Y, M 및 C의 3색들에 대해 3회 반복됨으로써, 기록 용지(P) 상에 원하는 화상의 전사 인쇄를 실행하게 된다.
S209 : 그 후, 인쇄면을 보호하기 위한 오버코트 층의 전사가 실행된다
S210 : 그 후, 스텝핑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기록 용지를 배출하기 위해 나중에 구동되는 배출 롤러들(3)로 기록 용지를 유도하고, 이 때 동작 시퀀스가 종료된다.
상술한 설명에서, 제어 수단(19)은, 센서(10)에 의해 초기에 검출된 기록 용지의 선단에 대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또한 기록 용지(P)의 이송 동작에서 위치와 스텝핑 모터의 스텝수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전체 인쇄 동작에서 스텝핑 모터의 회전 스텝들의 수를 유지함으로써 기록 위치를 제어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지만, 이와 같은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Y, M 및 C 색들 및 오버코트 층의 전사 기록시 기록 용지의 선단부에 위치한 센서에 의해 기록 용지의 선단을 검출하고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스텝핑 모터의 회전 스텝들의 수를 유지함으로써 기록 위치를 유지하는 구성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 오버코트 층의 전사는 열 헤드를 단지 온/오프 구동에 의해서만 실행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지만, 오버코트 층의 전사 시작시 열 생성량을 점차 증가시키기 위해 또한 오버코트 층의 전사 종료시 열 생성량을 점차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와 같은 제어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이하, 다음 설명에서 그 시스템의 인쇄 모드를 설명한다.
도 4는, 프린터 장치의 메인 바디(1)와 디지털 카메라(29)가 USB 케이블(27)에 의해 접속되는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개인용 컴퓨터와의 접속은 USB 케이블(28)에 의해 커넥터(29)에 접속된 USB 케이블(27)을 대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인쇄 명령은 디지털 카메라(28) 또는 호스트 컴퓨터(30)로부터 주어진다.
다음으로, 단계(S202)에서 상술한 인쇄 명령의 실행시, 프린터 장치의 통신에 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화상 픽업 동작 후, 디지털 카메라(29)는 그 내부 메모리에 화상 정보를 보유한다. 바람직하게는, 그 메모리는 소형 플래시 카드 또는 스마트 매체(smart media) 등의 탈착가능 메모리로 구성된다. 재생 모드에서 디지털 카메라(29)를 설정하고 임의의 화상을 재생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화상 정보의 재생은 디지털 카메라(29) 상에 제공된 액정 디스플레이에 의해 어느때라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임의의 촬상 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케이블(27) 또는 무선 수단에 의해 프린터 장치의 메인 바디(1)와 통신할 수 있는 상태에서, 인쇄 명령은, 디지털 카메라(29)가 프린터 장치로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고 핀트 출력이 프린터 장치의 메인 바디(1)로부터 얻어질 때 소정의 절차에 의해 주어진다.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에서, 화상은 디지털 카메라에서 선택되고 인쇄는 디지털 카메라로부터의 인쇄 명령에 응답하여 시작된다.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에서, 디지털 카메라는 디지털 카메라와 프린터 장치간에 접속함으로써 인쇄 모드로 이동한다. 또한, 이와 같은 모드 이동과 함께, 디지털 카메라 상에 제공된 버튼 스위치들 중 하나의 버튼 스위치는 인쇄 모드 설정 버튼 스위치에 대한 기능에서 이동한다.
또한 프린터 장치는, 카메라를 갖는 통신 수단의 접속시 핀 상태에 기초하여 통신 수단을 변경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고, 통신 수단의 접속시 이와 같은 핀 상태가 개인용 컴퓨터와의 접속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프린터는 호스트로 되고 카메라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오고, 개인용 컴퓨터와 접속한 상태인 경우, 프린터는 기능부로 되고 개인용 컴퓨터를 위한 프린터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에서, 프린터가 디지털 카메라에 접속될 때, 프린터는 호스트로 되고 카메라로부터 데이터를 위한 페칭(fetching) 동작을 실행한다.
〈인쇄 시스템의 구성〉
도 5는 USB 인터페이스로 디지털 카메라(29)와 프린터(1)를 접속시킴으로써 구성되는 인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29)는 화상 픽업부(101)내의 CCD에 의한 화상 픽업 동작에 의해 화상 신호를 얻는다. 화상 픽업 동작에 의해 얻어진 신호는, 화상 처리부(102)에서 색변환 처리, 필터링 처리 등을 거침으로써,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 변환된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어, CPU, 롬, 램 등으로 구성된 제어부(104)에 의해, 메모리부(103)에 저장된다. 그 후, 제어부(104)는, 재생 모드의 경우, 메모리부(103)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표시 제어부(106)를 제어하여 표시부(105) 상에 화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입력부(108)로부터의 인쇄 명령에 응답하여, 제어부(104)는 메모리부(103)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를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와 같이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I/F부(107)를 통해 프린터(1)로 전송한다. 프린터로부터 프린터의 식별 신호, 상태 등이 데이터 I/F부(107)를 통해 전송된다.
프린터(1)는 디지털 카메라(29) 및 호스트 컴퓨터(30)와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 I/F부(111)가 제공된다. CPU, 롬, 램 등으로 구성된 제어부(112)는 프린터 엔진을 제어하여 데이터 I/F부(111)를 통해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한다.
개인용 컴퓨터 등의 호스트 컴퓨터(30)는, 디지털 카메라(29) 및 프린터와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 1/F부(121), 하드 디스크 등의 메모리부(122), CPU, 롬, 램 등으로 구성된 제어부(123), CRT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124) 및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25)로 구성된다.
도 6은, 프린터(1)가 디지털 카메라(29)와 또는 호스트 컴퓨터와 접속되는지에 따라 호스트(마스터) 또는 기능부(슬레이브)로서 기능하도록 전환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흐름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은 제어부(112)의 롬에 저장되고 그 CPU에 의해 실행된다.
단계(S61)는 USB 케이블의 접속을 식별한다. USB 케이블이 접속된 것으로 식별되면, 기능부로서 기능하는 디지털 카메라와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27)과 접속되었는지 또는 호스트로서 기능하는 호스트 컴퓨터와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28)과 접속되었는지를, 접속 핀들의 상태에 기초하여 식별하는 단계(S62)로 시퀀스가 진행한다. 예를 들어, 통상의 통신에 이용되는 핀들 이외의 특정 핀이 접지(ground; GND)상태에 있는 경우, 접속의 상대방은 기능부로서 식별되지만, 특정 핀이 비접속(NOT CONNECTED) 상태에 있는 경우, 접속의 상대방은 호스트로서 식별된다.
단계(S62)에서 접속의 상대방이 기능부인 것으로 식별한 경우, 단계(S63)은 프린터가 호스트로 되는 것으로 설정하지만, 단계(S62)에서 접속의 상대방이 기능부가 아닌 것으로 식별한 경우, 단계(S64)는 프린터가 기능부로 되는 것으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단계(S63)에서 프린터를 호스트로 설정한 경우 인쇄 시퀀스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도 7은 프린터가 호스트로 되는 경우(디지털 카메라와의 접속 상태), 인쇄 실행시 디지털 카메라와 프린터 간의 통신 흐름을 나타낸다.
프린터에 의해 실행되며 도 7에 도시된 시퀀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은 제어부(112)의 롬에 저장되고 그 CPU에 의해 실행되지만,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실행되는 시퀀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은 제어부(104)의 롬에 저장되고 그 CPU에 의해 실행된다.
사용자가 카메라의 버튼들에 의해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을 동작시킬 때, 인쇄 동작에 대한 트리거 신호는 카메라로부터 주어진다(인쇄 요구).
인쇄 요구에 응답하여, 프린터는 인쇄 동작을 입력하고, 인쇄 데이터(Y)를 카메라에 요구하고,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페치(fetch)하여 인쇄한다.
필요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린터는 다음 인쇄 데이터(M)를 카메라에 요구하고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페치하여 인쇄한다.
그 후, 이와 유사하게 프린터는 인쇄 데이터(C)를 페치하여 인쇄한다.
인쇄 데이터(C)를 인쇄한 후, 프린터는 오버코팅을 실행한다.
상술한 절차를 종료하면, 프린터는 인쇄 종료를 카메라에 통지한다.
인쇄 종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면, 카메라는 예상 동작이 종료되었음을 확인하고, 이와 같은 취지를 프린터에 통지한다.
다음으로, 단계(S64)에서 프린터를 기능부로서 설정한 경우 인쇄 시퀀스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도 8은 프린터가 기능부로 되는 경우(개인용 컴퓨터와의 접속 상태), 인쇄 실행시 개인용 컴퓨터와 프린터 간의 통신 흐름을 나타낸다.
프린터에 의해 실행되며 도 8에 도시된 시퀀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은 제어부(112)의 롬에 저장되고 그 CPU에 의해 실행되지만, 개인용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시퀀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은 제어부(123)의 롬에 저장되고 그 CPU에 의해 실행된다.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에 의해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을 동작시킬 때, 인쇄 동작에 대한 트리거 신호는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주어진다(인쇄 실행 요구).
인쇄 실행 요구에 응답하여, 프린터는 인쇄 동작을 입력하고,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인쇄 데이터(Y)를 페치하여 인쇄한다.
필요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한 후, 개인용 컴퓨터는 다음 인쇄 데이터(M)를 프린터에 요구하고 상기 데이터를 페치하여 인쇄한다. 이와 유사하게 개인용 컴퓨터는 인쇄 데이터(C)를 프린터에 진송하고, 그 프린터는 상기 인쇄 데이터를 페치하여 인쇄한다.
인쇄 데이터(C)를 인쇄한 후, 프린터는 오버코팅을 실행한다.
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을 완료하면, 개인용 컴퓨터는 프린터에 상태를 요구함으로써, 그 기능부를 감시하게 된다.
상태 요구를 수신하면, 프린터는 그 상태를 개인용 컴퓨터에 전송하고, 인쇄 동작을 완료하면 상기 취지의 상태를 개인용 컴퓨터에 전송한다.
인쇄의 종류를 나타내는 상태를 수신하면, 개인용 컴퓨터는 인쇄 절차가 종료되었음을 인식한다.
프린터가 호스트로서 또는 기능부로서 전환될 수 있으므로, 디지털 카메라는 호스트 컴퓨터와의 접속에 종래 이용된 USB 단자를 이용하지만 프린터와의 USB접속을 위한 새 USB 단자를 필요로 하지 않고 프린터와 접속될 수 있다.
도 9는 디지털 카메라와 프린터 장치간의 접속 상태로부터 디지털 카메라의 인쇄 모드로 이동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흐름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은 제어 장치(104)의 롬에 저장되고 그 CPU에 의해 실행된다.
인쇄 모드로의 이동은 디지털 카메라의 재생 모드 상태로부터 발생하지만, 인쇄 모드로의 이동은 화상 픽업 모드로부터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6의 시작(START)과 종료(END)에서 디지털 카메라는 재생 모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의 표시 수단은 도 7에 도시된 화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화상은 카메라의 선택 버튼에 의해 선택되어 표시된다. 디지털 카메라와 프린터 장치가 상기 상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디지털 카메라는 다음 절차에 의해 인쇄 모드로 이동한다.
단계(S901)에서는 디지털 카메라가 재생 모드에 있는지를 식별한다. 그 카메라가 예를 들어 화상 픽업 모드로 설정되고 재생 모드에 있지 않은 것으로 식별된 경우, 시퀀스는 단계(S902)로 진행하고 설정 모드에서 처리를 실행한다. 카메라가 재생 모드에 있는 것으로 식별된 경우, 시퀀스는 단계(S903)으로 진행하여 재생 모드에서 처리를 실행한다. 재생 모드에서는,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화살표 키들(1006, 1007)을 눌러 표시 장치(105) 상에 표시 화상(1050)을 전환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모드 전환 스위치(1001)에 의해 모드를 전환할 수도 있다.
그 후, 단계(S904)에서는 인터페이스 케이블(27)이 접속되었는지를 식별한다.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시퀀스는 단계(S901)로 복귀하지만, 접속된 것으로 식별되면 시퀀스는 단계(S905)로 진행하여 니고시에이션(negotiation)이 OK인지를 식별한다. OK인 경우 시퀀스는 단계(S905)로 진행하지만, OK가 아닌 경우시퀀스는 단계(S906)로 진행하여 에러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S905)에서는 인쇄 모드로의 이동을 실행한 후, 시퀀스는 단계(S908)로 진행하여 도 11에 도시된 인쇄 모드 마크(1100)를 표시한다.
단계(S909)에서는 설정 버튼(1004)이 눌러 졌는지를 식별하고, 아닌 경우, 시퀀스는 단계(S910)으로 진행하여 화살표 버튼들(1006, 1007)의 누름 여부를 식별한다. 그 후, 단계(S911)에서는 상기 누름에 따라 표시 화상을 전환하고 재생 모드에서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S909)에서 설정 버튼(1004)이 눌러진 것으로 식별된 경우, 시퀀스는 단계(S912)로 진행하여 도 12에 도시된 화상(1201)을 표시하고 이동 상태를 나타낸다. 그 후, 단계(S913)에서 설정 버튼이 두 번 눌러진 것으로 식별된 경우, 시퀀스는 단계(S914)로 진행하여 표시 화상(1201)에 의해 설정된 양식(style)으로 표시된 표시 화상(1050)을 인쇄한다.
단계(S913)에서 설정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것으로(NO) 식별된 경우, 사용자가 인쇄의 실행을 현재 원하고 있지 않으므로, 시퀀스는 단계(S915)로 진행하여 선택 버튼들(1006, 1007)의 누름 여부를 식별한다. 단계(S915)에서 선택 버튼(1006 또는 1007)이 눌러진 것으로(YES) 식별된 경우, 시퀀스는 단계(S916)으로 진행하여 도 12에 도시된 연속 동작들(인쇄 양식의 변경, 인쇄 취소, 및 인쇄 실행)에서 선택하고 표시 장치의 톤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선택을 표시한다. 그 후, 시퀀스는 단계(S917)로 진행하고 설정 버튼(1004)의 누름 여부를 식별한다. 선택 버튼들(1006, 1007)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NO), 사용자가 현재 선택된 동작을 변경하기를 원하지 않으므로, 시퀀스는 단계(S913)으로 복귀하여 설정 버튼(1004)의 누름 여부를 식별한다. 단계(S917)에서 설정 버튼(1004)이 눌러진 것으로(YES) 식별된 경우, 시퀀스는 단계(S918)로 진행하여 단계(S916)에 의해 선택된 동작을 실행한다. 설정 버튼(1004)이 눌러지지 않은 것으로(NO) 식별된 경우, 사용자가 현재 선택된 동작의 실행을 원하지 않으므로, 시퀀스는 단계(S919)로 진행하여 선택 버튼들(1006, 1007)의 누름 여부를 다시 식별한다. 단계(S919)에서 선택 버튼(1006 또는 1007)이 눌러진 것으로(YES) 식별된 경우, 시퀀스는 단계(S916)으로 복귀하여 도 12에 도시된 연속 동작들(인쇄 양식의 변경, 인쇄 취소, 및 인쇄 실행)에서 선택하고 표시 장치의 톤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선택을 표시한다. 그 후, 시퀀스는 단계(S917)로 진행하여 설정 버튼(1004)의 누름 여부를 식별한다. 선택 버튼들(1006, 1007)이 눌러지지 않은 것으로(NO) 식별된 경우, 사용자가 현재 선택된 동작을 변경하기를 원하지 않으므로, 시퀀스는 단계(S917)로 진행하여 설정 버튼(1004)의 누름 여부를 식별한다.
상술한 시퀀스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 및 원하는 양식을 선택할 수 있게 됨으로써, 원하는 인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양식 변경 후 선택 버튼(1004)을 두 번 누름으로써, 사용자는 변경된 양식으로 현재 표시된 표시 화상(1050)을 인쇄할 수 있다.
상술한 흐름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처리에서 프린터 장치와 디지털 카메라가 통신할 수 있는 것으로 식별된 경우, 디지털 카메라는 인쇄 모드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의 표시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화상 대신 도 11에 도시된 화상을 표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에 도시된 표시 화상에 더해, 디지털 카메라가 현재 인쇄 모드에 있음을 나타내는 마크(1100)가 표시된다. 설명을 위해, 이와 같은 상태를 인쇄 모드로의 이동 초기 상태로서 정의한다. 상기 상태에서, 표시 화상은 재생 모드의 경우에서와 같이 카메라의 선택 버튼에 의해 선택될 수 있고, 선택된 화상은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된다. 상기 표시 화상은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에서 인쇄된다.
상기 상태에서는, 재생 모드에서 단독으로 눌러졌을 때 어느 기능도 수행하지 않는 설정 버튼이 인쇄 모드 설정 버튼으로 되고, 상기 상태로부터 그 버튼의 누름은 제어 상태를 인쇄 명령을 제공하기 위한 상태로 이동시킨다. 상기 상태로의 이동시, 카메라의 표시 수단은 도 12에 도시된 화상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인쇄 동작, 인쇄 취소 또는 인쇄 방법의 선택을 실행할 수 있다. 그 동작들은 상술한 선택 버튼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선택된 동작은 다른 동작들과는 다른 방법으로 표시된다. 상기 상태에서는, 인쇄 모드 설정 버튼을 눌러 선택된 동작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의 경우, 인쇄 모드 설정 버튼을 한 번 눌러 인쇄 모드의 초기 상태로부터 이동한 상태에서, 인쇄 동작이 항상 디폴트로서 선택되므로 상기 상태에서 인쇄 모드 설정 버튼을 다시 눌러 인쇄 동작을 실행한다.
따라서, 재생 모드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와 프린터를 접속하고 카메라 상에 제공된 설정 버튼을 연속하여 두 번 누름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이동 상태에서도, 선택 버튼에 의해 인쇄 취소를 선택하고 설정 버튼을 누름으로써, 인쇄를 취소할 수 있고, 이 때 시스템은 인쇄 모드의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인쇄 모드의 선택을 선택하고 상기 동작 실행을 위한 설정 버튼을 누름으로써, 본 발명에서 설정된 복수의 인쇄 방법들 중 하나의 인쇄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상태로 제어 상태를 더 이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인쇄 방법의 선택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태로부터, 상술한 이동 상태는 카메라 상에 제공된 버튼들 중 하나의 버튼인 모드 버튼을 누름으로써 회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에서 선택가능한 인쇄 방법들은, 여백 인쇄, 여백 없는 인쇄 및 8분할 실(seal) 인쇄이다.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상술한 시퀀스들은 모두, 제어부에 의해 상술한 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해 제어부에서 미리 프로그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픽업된 대상계(object field)의 광학 화상을 전자 화상 신호로 변환하는 화상 픽업 수단, 기록 소자 상에 화상 픽업 수단에 의해 광전기적으로 변환된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 기록 소자 상에 기록된 전기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이 제공되는 카메라, 및 카메라에 의해 픽업된 전자 화상 신호의 보이는 인쇄 출력을 위한 프린터 장치, 및 상술한 카메라와 상술한 프린터 장치간의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통신 수단으로 구성된 인쇄 시스템이 제공되고, 제어 수단은 통신 수단에 의한 카메라와 프린터 장치의 접속에 응답하여 인쇄 모드로 이동되고, 카메라 상에 제공된 버튼 스위치들 중 하나의 버튼 스위치의 기능을 인쇄 모드에서의 인쇄 모드 설정 버튼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며, 인쇄 모드는, 카메라 상에 제공된 선택 버튼을 눌러 인쇄 동작, 인쇄 취소 및 인쇄 방법의 선택을 포함한 복수의 동작들을 선택하고, 인쇄 모드 설정 버튼을 눌러 선택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상태로, 인쇄 모드로 제어 수단이 이동한 후 초기 상태에서 인쇄 모드 설정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동하는 시퀀스를 포함하고, 제어 수단은 인쇄 모드로 이동한 후 초기 상태에서 카메라의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된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디폴트 설정을 가지고, 이에 따라 인쇄 동작은 인쇄 모드 설정 버튼을 연속하여 두 번 누름으로써 인쇄 모드로 이동한 후 초기 상태에서 시작한다. 따라서, 원하는 화상을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재생 모드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와 프린터를 접속하고 카메라 상에 제공된 설정 버튼을 연속하여 두 번 누름으로써 간단하게 원하는 화상의 인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프린터 엔진이 열 승화(thermal sublimation) 프린터로 구성된 것으로 가정하였지만, 잉크 젯 프린터 등의 다른 타입의 프린터 엔진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프린터의 접속에 의해 인쇄 모드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모드에서 간단하게 인쇄를 제공할 수 있는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린터와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가 새로 제공되며, 호스트 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가 제공되는, 카메라를 필요로 하지 않는 프린터가 제공된다.

Claims (41)

  1. 프린터와의 접속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 및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상기 프린터의 검출에 응답하여 인쇄 모드로 이동하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카메라.
  2. 프린터와의 접속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 및
    재생 모드에서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프린터 검출의 경우 인쇄 모드로 이동하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모드로 이동시, 상기 인쇄 모드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모드로 이동한 후 소정 버튼의 누름에 응답하여 양식(style) 확인 화상을 표시하고 소정 버튼의 누름에 응답하여 상기 화상을 인쇄하도록 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 확인 화상의 표시 후 상기 양식의 변경을 실행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6. 제2항에 있어서, 화상 픽업 수단으로부터의 화상 픽업 신호를 화상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상기 화상 신호를 기록 소자 상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 및 상기 기록 소자 상에 기록된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7. 호스트로서 기능하는 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 또는 기능부로서 기능하는 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는지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 및
    상기 식별 수단에 의한 식별 결과에 따라 호스트 또는 기능부로서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프린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로서 설정한 경우, 상기 접속된 장치에 인쇄 데이터를 요구하여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고, 상기 기능부로서 설정한 경우, 상기 접속된 장치로부터 인쇄 요구를 수신하여 상기 장치에 인쇄 가능 상태를 통지하고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수단을 더 포함하는 프린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접속된 장치가 카메라인 경우 호스트로서 설정을 실행하고, 상기 접속된 장치가 컴퓨터인 경우 기능부로서 설정을 실행하는 프린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로서 설정한 경우, 상기 인쇄 수단은 상기 접속된 장치로부터 인쇄 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장치에 인쇄 데이터를 요구하며,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프린터.
  11. 카메라에 대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프린터와의 접속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
    상기 검출 단계에 의한 상기 프린터의 검출에 응답하여 인쇄 모드로 이동하는 이동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카메라에 대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프린터와의 접속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
    재생 모드에서 상기 검출 단계에 의해 프린터를 검출한 경우 인쇄 모드로 이동하는 이동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모드로의 이동시, 상기 인쇄 모드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모드로의 이동 후 제1 명령에 응답하여 인쇄 양식을 표시하고, 표시된 화상을 제2 명령에 응답하여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양식의 표시 후 상기 인쇄 양식에서의 변경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명령들은 동일 버튼의 누름에 기초한 명령들인 제어 방법.
  17. 프린터에 대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호스트로서 기능하는 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 또는 기능부로서 기능하는 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는지를 식별하는 식별 단계; 및
    상기 식별 단계에 의한 식별 결과에 따라 호스트 또는 기능부로서 설정하는 설정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로서 설정한 경우, 상기 접속된 장치에 인쇄 데이터를 요구하여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고, 상기 기능부로서 설정한 경우, 상기 접속된 장치로부터 인쇄 요구를 수신하여 상기 장치에 인쇄 가능 상태를 통지하고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상기 접속된 장치가 카메라인 경우 호스트로서 설정을 실행하고, 상기 접속된 장치가 컴퓨터인 경우 기능부로서 설정을 실행하는 제어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로서 설정한 경우, 상기 인쇄 단계는 상기 접속된 장치로부터 인쇄 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장치에 인쇄 데이터를 요구하며,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제어 방법.
  21. 카메라에 대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프린터와의 접속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
    상기 검출 단계에 의한 상기 프린터의 검출에 응답하여 인쇄 모드로 이동하는 이동 단계
    를 포함하는 기억 매체.
  22. 카메라에 대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프린터와의 접속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
    재생 모드에서 상기 검출 단계에 의해 프린터를 검출한 경우 인쇄 모드로 이동하는 이동 단계
    를 포함하는 기억 매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인쇄 모드로의 이동시, 상기 인쇄 모드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억 매체.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인쇄 모드로의 이동 후 제1 명령에 응답하여 인쇄 양식을 표시하고 표시된 화상을 제2 명령에 응답하여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억 매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인쇄 양식의 표시 후 상기 인쇄 양식에서의 변경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억 매체.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명령들은 동일 버튼의 누름에 기초한 명령들인 기억 매체.
  27. 프린터에 대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호스트로서 기능하는 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 또는 기능부로서 기능하는 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는지를 식별하는 식별 단계; 및
    상기 식별 단계에 의한 식별 결과에 따라 호스트 또는 기능부로서 설정하는 설정 단계
    를 포함하는 기억 매체.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호스트로서 설정한 경우, 상기 접속된 장치에 인쇄 데이터를 요구하여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고, 상기 기능부로서 설정한 경우, 상기 접속된 장치로부터 인쇄 요구를 수신하여 상기 장치에 인쇄 가능 상태를 통지하고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억 매체.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상기 접속된 장치가 카메라인 경우 호스트로서 설정을 실행하고, 상기 접속된 장치가 컴퓨터인 경우 기능부로서 설정을 실행하는 기억 매체.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로서 설정한 경우, 상기 인쇄 단계는 상기 접속된 장치로부터 인쇄 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장치에 인쇄 데이터를 요구하며,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기억 매체.
  31. 카메라에 대한 제어 프로그램에 있어서,
    프린터와의 접속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
    상기 검출 단계에 의한 상기 프린터의 검출에 응답하여 인쇄 모드로 이동하는 이동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프로그램.
  32. 카메라에 대한 제어 프로그램에 있어서,
    프린터와의 접속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
    재생 모드에서 상기 검출 단계에 의해 프린터를 검출한 경우 인쇄 모드로 이동하는 이동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프로그램.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모드로의 이동시, 상기 인쇄 모드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프로그램.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모드로의 이동 후 제1 명령에 응답하여 인쇄 양식을 표시하고 표시된 화상을 제2 명령에 응답하여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프로그램.
  3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양식의 표시 후 상기 인쇄 양식에서의 변경을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프로그램.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명령들은 동일 버튼의 누름에 기초한 명령들인 제어 프로그램.
  37. 프린터에 대한 제어 프로그램에 있어서,
    호스트로서 기능하는 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 또는 기능부로서 기능하는 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는지를 식별하는 식별 단계; 및
    상기 식별 단계에 의한 식별 결과에 따라 호스트 또는 기능부로서 설정하는 설정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프로그램.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로서 설정한 경우, 상기 접속된 장치에 인쇄 데이터를 요구하여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고, 상기 기능부로서 설정한 경우, 상기 접속된 장치로부터 인쇄 요구를 수신하여 상기 장치에 인쇄 가능 상태를 통지하고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프로그램.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상기 접속된 장치가 카메라인 경우 호스트로서 설정을 실행하고, 상기 접속된 장치가 컴퓨터인 경우 기능부로서 설정을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로서 설정한 경우, 상기 인쇄 단계는 상기 접속된 장치로부터 인쇄 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장치에 인쇄 데이터를 요구하며,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
  41. 프린터와의 접속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 및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상기 프린터의 검출에 응답하여 인쇄 모드로 이동하는 이동 수단을 포함한 카메라; 및
    호스트로서 기능하는 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 또는 기능부로서 기능하는 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는지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 및 상기 식별 수단에 의한 식별 결과에 따라 호스트 또는 기능부로서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포함한 프린터
    를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
KR1020020006732A 2001-02-07 2002-02-06 카메라 및 카메라의 제어 방법 KR100619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31248A JP3862507B2 (ja) 2001-02-07 2001-02-07 カメラ及びその制御方法
JPJP-P-2001-00031248 2001-02-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412A Division KR100628420B1 (ko) 2001-02-07 2004-11-30 화상 재생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853A true KR20020065853A (ko) 2002-08-14
KR100619209B1 KR100619209B1 (ko) 2006-09-01

Family

ID=188953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732A KR100619209B1 (ko) 2001-02-07 2002-02-06 카메라 및 카메라의 제어 방법
KR1020040099412A KR100628420B1 (ko) 2001-02-07 2004-11-30 화상 재생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412A KR100628420B1 (ko) 2001-02-07 2004-11-30 화상 재생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20020105678A1 (ko)
EP (2) EP1231768A3 (ko)
JP (1) JP3862507B2 (ko)
KR (2) KR100619209B1 (ko)
CN (2) CN1254099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136B1 (ko) * 2002-07-16 2006-02-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기억장치, 외부화상처리장치, 화상기억장치를 위한제어방법 및 외부화상처리장치를 위한 제어방법
KR100646274B1 (ko) * 2003-07-16 2006-11-2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린터 능력에 관련된 정보 전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86866A4 (en) * 2002-03-01 2007-07-18 Seiko Epson Corp PICTURE DISTRIBUTION SYSTEM WITH MULTIPLE INSTALLATIONS IN COMMUNICATION CONNECTION IN MASTER-SLAVE RELATIONSHIP
US20040088465A1 (en) * 2002-11-06 2004-05-06 Bianchi Mark John Docking station
JP4497807B2 (ja) * 2002-11-26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該装置の制御方法
JP2004258780A (ja) * 2003-02-24 2004-09-16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
JP2004310672A (ja) 2003-04-10 2004-11-04 Seiko Epson Corp データ入力装置および画像出力システム
JP4136771B2 (ja) 2003-04-23 2008-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125172B2 (ja) * 2003-04-23 200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125173B2 (ja) 2003-04-23 200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の接続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241228B2 (ja) * 2003-07-11 2009-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4805532B2 (ja) * 2003-07-29 2011-11-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バイス機器
JP4562373B2 (ja) * 2003-10-20 2010-10-13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JP4532917B2 (ja) * 2004-01-30 2010-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05316625A (ja) * 2004-04-28 2005-11-10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データ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画像サーバおよび携帯型電子装置なら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
US20060132827A1 (en) * 2004-12-16 2006-06-22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external processing for a printing device
US7835041B2 (en) * 2005-09-22 2010-11-16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a size of a scanning device
JP2007271721A (ja) * 2006-03-30 2007-10-18 Yamaha Corp 電子楽器
KR100806877B1 (ko) * 2006-04-14 2008-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4886463B2 (ja) 2006-10-20 2012-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パラメータ設定方法、通信装置及び通信パラメータを管理する管理装置
US20080144144A1 (en) * 2006-10-31 2008-06-19 Ricoh Corporation Ltd. Confirming a state of a device
JP2008311950A (ja) * 2007-06-14 2008-12-25 Canon Inc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049900B2 (ja) * 2008-06-30 2012-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設定装置、画像出力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04768B2 (ja) * 2014-09-03 2019-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425569B2 (ja) * 2015-01-30 2018-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
KR20170016215A (ko) * 2015-08-03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7529A (en) * 1990-09-24 1994-07-05 Geoworks Process of designing user's interfaces for application programs
JPH04355580A (ja) * 1991-05-31 1992-12-09 Sony Corp カメラ付ビデオプリンタ
JPH0546245A (ja) 1991-08-21 1993-02-26 Toshiba Corp 無人搬送車の制御装置
US5806072A (en) * 1991-12-20 1998-09-08 Olympus Optical Co., Ltd. Electronic imaging apparatus having hierarchical image data storage structure for computer-compatible image data management
US5717496A (en) * 1992-11-19 1998-02-10 Olympus Optical Co., Ltd. Electronic imaging apparatus
JP3413228B2 (ja) * 1993-01-20 2003-06-03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
JP3175348B2 (ja) * 1992-11-06 2001-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
US5914787A (en) * 1992-11-19 1999-06-22 Olympus Optical Co., Ltd. Electronic imaging apparatus
JP3382276B2 (ja) * 1993-01-07 2003-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3498754B2 (ja) * 1993-03-31 2004-02-1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並びにビデオカメラとステーション及びモニタ
US5414809A (en) * 1993-04-30 1995-05-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Graphical display of data
US5442687A (en) * 1993-10-13 1995-08-15 Hewlett-Packard Company Facsimile having a user interface with automatic offer of help message
JPH07135631A (ja) * 1993-11-10 1995-05-23 Canon Inc 画像記録装置
US5844606A (en) * 1994-03-03 1998-12-01 Fuji Photo Film Co., Ltd. Videocamera having a multiconnector connectable to a variety of accessories
JPH07249113A (ja) 1994-03-14 1995-09-26 Hitachi Ltd 自動認識結果の確認方法
JP3715695B2 (ja) 1995-08-29 2005-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複合カメラ
US5847836A (en) * 1995-08-29 1998-12-08 Canon Kabushiki Kaisha Printer-built-in image-sensing apparatus and using strobe-light means electric-consump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970059901A (ko) * 1996-01-12 1997-08-12 김광호 프린터의 병렬 케이블 감지 장치 및 방법
US5784581A (en) * 1996-05-03 1998-07-21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peripheral device as either a master device or a slave device
JP3832089B2 (ja) * 1997-05-26 2006-10-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H09322032A (ja) * 1996-05-31 1997-12-12 Canon Inc 記録再生装置
EP0846389A1 (en) * 1996-06-25 1998-06-10 Casio Computer Co., Ltd.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
JPH10100514A (ja) 1996-09-30 1998-04-21 Ricoh Co Ltd ネットワークプリンタ装置
US6115137A (en) * 1996-12-06 2000-09-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system, digital camera, and printing apparatus
US6573927B2 (en) * 1997-02-20 2003-06-03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still camera for capturing digital image and creating a print order
JPH10243327A (ja) 1997-02-28 1998-09-11 Canon Inc 画像入力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画像入出力システム
JP3718685B2 (ja) * 1997-03-25 2005-11-24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電子スチルカメラ
JP3747564B2 (ja) * 1997-04-28 2006-02-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プレイ装置
JPH114375A (ja) * 1997-06-13 1999-01-06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的撮像装置
JPH118792A (ja) * 1997-06-13 1999-01-12 Kyocera Corp プリンタ一体結合可能なディ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JPH1117993A (ja) * 1997-06-27 1999-01-22 Nikon Corp 外部機器との接続機構を有するカメラ
JPH1164961A (ja) * 1997-08-20 1999-03-05 Sanyo Electric Co Ltd 画像印刷装置
JPH1188742A (ja) * 1997-09-09 1999-03-30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JPH1188815A (ja) 1997-09-09 1999-03-30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US6771896B2 (en) * 1997-10-03 2004-08-03 Konica Corporation Electric camera with image printing system
JPH11122563A (ja) * 1997-10-09 1999-04-30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信号出力装置およびプリンタ装置
US6963359B1 (en) * 1997-10-23 2005-11-08 Fuji Photo Film Co., Ltd. Electronic still camera, instant printer and instant film
US6657657B1 (en) * 1997-12-19 2003-12-02 Pentax Corporation Camera, printer and picture compression system
KR19990060283A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디지탈 카메라 영상의 출력기능을 갖는 프린터 및 방법
US7173721B1 (en) * 1998-01-08 2007-02-06 Fuji Xerox Co., Ltd. Multifunction machine, server, multifunction machine/server syste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JPH11252489A (ja) * 1998-03-03 1999-09-17 Minolta Co Ltd 画像プリントシステム
WO1999048289A1 (fr) * 1998-03-16 1999-09-23 Seiko Epson Corporation Systeme d'impression d'images photographiques, imprimante d'images photographiques, support d'information lisible par ordinateur contenant un programme d'impression d'images photographiques
JPH11266384A (ja) * 1998-03-18 1999-09-28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JPH11306119A (ja) * 1998-04-17 1999-11-05 Minolta Co Ltd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H11308433A (ja) 1998-04-20 1999-11-05 Canon Inc 画像入力装置及び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KR100299965B1 (ko) * 1998-11-18 2001-10-29 윤종용 디지털카메라와프린터간의직접프린팅인터페이스장치
JP2000225754A (ja) 1999-02-08 2000-08-15 Fuji Xerox Co Ltd パラメータ処理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JP4323610B2 (ja) * 1999-03-19 2009-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データ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0286875A (ja) * 1999-03-31 2000-10-1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媒体
JP2000353145A (ja) * 1999-06-10 2000-12-19 Mitsumi Electric Co Ltd Usb切替器
JP3862132B2 (ja) * 1999-11-04 2006-12-27 富士フイルム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子スチルカメラ
US6912060B1 (en) * 2000-07-05 2005-06-28 Lexmark International, Inc. Photoprinter control of peripheral devic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136B1 (ko) * 2002-07-16 2006-02-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기억장치, 외부화상처리장치, 화상기억장치를 위한제어방법 및 외부화상처리장치를 위한 제어방법
KR100646274B1 (ko) * 2003-07-16 2006-11-2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린터 능력에 관련된 정보 전달
US7474430B2 (en) 2003-07-16 2009-01-06 Canon Kabushiki Kaisha Conveyance of information relating to printer cap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70007A (zh) 2002-09-18
KR100628420B1 (ko) 2006-09-28
EP1231768A2 (en) 2002-08-14
US8493450B2 (en) 2013-07-23
EP1587296A1 (en) 2005-10-19
US20020105678A1 (en) 2002-08-08
EP1587296B1 (en) 2017-09-27
CN1254099C (zh) 2006-04-26
CN1697477A (zh) 2005-11-16
US20070223046A1 (en) 2007-09-27
CN100471225C (zh) 2009-03-18
KR100619209B1 (ko) 2006-09-01
EP1231768A3 (en) 2005-01-19
KR20050000363A (ko) 2005-01-03
US20130182132A1 (en) 2013-07-18
JP3862507B2 (ja) 2006-12-27
JP2002237974A (ja) 200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9209B1 (ko) 카메라 및 카메라의 제어 방법
JP3890222B2 (ja) 撮像装置、印刷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363079B2 (en) Printer and printer system
US20050111042A1 (en) Printing system, image sens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4652586B2 (ja) プリントシステムおよびプリンタ
JP4217729B2 (ja) カメラ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030315A (ja) プリンタおよびプリンタの制御方法
JP2005115954A (ja) カメラ、プリンタ、プリントシステム、制御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06164245A (ja) 画像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4034584A (ja) 入出力装置及び記録動作指示手段
JP2004120416A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237652A (ja) 画像記録装置
JP2003237170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制御プログラム、記憶媒体、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3165253A (ja) プリントシステム、撮像装置、プリンタ装置、プリンタ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2248833A (ja) 印刷装置
JP2003335013A (ja) 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2262149A (ja) 印刷方法、印刷システム、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H11249862A (ja) 画像プリント装置及びスイッチ
JP2002254686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6116852A (ja) 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6060487A (ja) プリントシステム及び撮像装置
JP2002238012A (ja) プリント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2003280848A (ja) 撮像装置、プリント装置、プリントシステム、プリント装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3153145A (ja) プリント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カメラ、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9212934A (ja) プリント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画像供給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印刷制御装置及び印刷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