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877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877B1
KR100806877B1 KR1020060034205A KR20060034205A KR100806877B1 KR 100806877 B1 KR100806877 B1 KR 100806877B1 KR 1020060034205 A KR1020060034205 A KR 1020060034205A KR 20060034205 A KR20060034205 A KR 20060034205A KR 100806877 B1 KR100806877 B1 KR 100806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media
main body
supply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2276A (ko
Inventor
최재훈
이지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4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877B1/ko
Priority to US11/645,759 priority patent/US7938529B2/en
Priority to CN2007100082995A priority patent/CN101054028B/zh
Publication of KR20070102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4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concerning sheet refeed sections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e.g. intermediate stac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41J29/023Framework with reduce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3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thermal heads
    • B41J2202/34Thermal printer with pre-coating or post-processing

Landscapes

  • Handling Of Cut Paper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내부에 인쇄엔진부가 설치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와; 상기 인쇄엔진부로 공급된 미디어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유닛과; 상기 미디어의 공급선단을 상기 본체 내외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후퇴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의 공급후단부터 인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화상형성장치, 카세트, 미디어, 공급 경로, 후퇴 경로, 배출 경로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미디어의 이송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화상형성장치 본체 20..인쇄엔진부
21..리본카트리지 23..TPH
30..공급유닛 31..커버 카세트
32..픽업 플레이트 33..픽업롤러
34..가압부재 35..댐부재
40..이송유닛 41.42..이송롤러
50..공급 경로 60..후퇴 경로
62,63..제1가이드부재 64..제2가이드부재
70..배출경로 81..가이드레버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를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할 뿐 아니라, 직접 포토 프린팅 용지와 같은 인쇄매체에 출력하여 보관하기를 원하는 사용자가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이를 위해 개발된 것이 포토프린터(Photo Printer)이다. 포토프린터는 화상형성장치의 일종이며 실질적인 작용과 구조는 다른 화상형성장치와 동일하나 휴대가 용이하도록 소형화, 경량화가 요구된다.
포토프린터는 일반적인 인쇄가 아닌 컬러 사진 인쇄 전용으로 사용되는 제품이다.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으로 다양한 종류의 포토프린터가 등장했는데, 초기 제품의 경우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고 PC에 저장된 사진을 출력하는데 그쳤으나, 이제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직접 데이터를 받아 프린팅이 가능하고 다양한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도 있다.
최근에는 기존 거치형의 포토프린터의 크기를 줄여서 휴대하여 다닐 수 있고, PC는 물론 메모리에 저장된 촬영 데이터의 편집도 가능하다. 여기서, 한발 더 나가 최근 500만 화소 이상까지 치닫는 고성능의 카메라폰의 등장에 대응하듯 카메라폰의 사진도 프린트 할 수 있다.
또한, 근래에는 잉크젯 방식, 열승화(dye sublimation thermal transfer) 방식, 감열(direct thermal) 방식 등의 프린팅 기술을 적용하여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화상을 인쇄하는 포토 프린터가 상용화되고 있다.
포토 프린터는 화상을 인쇄하는 프린팅부(인쇄엔진)와, 미디어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롤러를 구비한다. 프린팅부는, 잉크젯 프린터의 경우에는 잉크젯 헤드, 열승화 또는 감열방식 프린터의 경우에는 TPH(thermal printing head)이다.
이러한 포토 프린터는 기존의 일반적인 레이저 칼라 프린터나, 잉크젯 프린터와 마찬가지로 PC 또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기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있어서, PC나 촬영기기로부터 사진영상을 전송받아 인쇄매체에 인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포토 프린터의 경우에는 디지털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휴대가 용이하도록 그 사이즈가 작고, 경량화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촬영기기와 함께 휴대하고 다니다가, 촬영기기에서 촬영한 사진영상을 포토 프린터로 전송하여 바로 인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포토프린터의 사이즈가 소형화되는 것과는 별개로, 인쇄를 위한 미디어(Media)의 사이즈는 포토프린터보다 상대적으로 큰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실제 포토프린터 본체의 사이즈에 비해서 미디어의 급지를 위한 급지 카세트의 사이즈가 커지므로, 그 급지를 위한 공간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열승화 또는 감열방식 프린터의 경우, 급지된 미디어에 칼라인쇄를 하기 위해서는 미디어를 몇 회 반복하여 전후퇴 시켜야 하므로, 포토프린터 본체의 급지카 세트가 있는 전방측과 더불어서, 미디어가 배출되는 후방측(또는 전방측)에서도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 주어야만 미디어가 안정되게 전후퇴 왕복이동되면서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및 코팅(coating) 순으로 칼라화상을 인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린터본체의 사이즈의 소형화와는 별개로, 미디어의 급지 및 인쇄경로를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디어 급지카세트를 프린터 본체와는 별개로 제작하여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미디어의 공급 및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첫 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두 번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내부에 인쇄엔진부가 설치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와; 상기 인쇄엔진부로 공급된 미디어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유닛과; 상기 미디어의 공급선단을 상기 본체 내외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후퇴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의 공급후단부터 인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쇄엔진부로 미디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유닛과; 상기 공급유닛에서 상기 인쇄엔진부로 미디어를 가이드하는 공급경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오픈시 적재되는 미디어의 후단쪽을 지지하는 카세트와; 상기 본체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미디어의 공급선단 쪽을 지지하는 픽업플레이트와; 상기 본체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픽업플레이트에 적재된 미디어의 공급선단을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플레이트를 상기 픽업롤러 쪽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픽업롤러에 마주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되는 미디어를 낱장씩 분류하는 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댐부재는 상기 픽업플레이트와는 별개 부품으로 상기 본체에 고정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픽업플레이트는 상기 커버 카세트의 개폐 여부에 따라서 외부에 노출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본체 상부에는 상기 커버 카세트의 오픈각도를 규제하고,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턱이 마련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공급경로는, 상기 공급유닛에서 상기 인쇄엔진부의 하부로 상기 미디어의 이송을 가이드하도록 'C'자 형태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공급경로는 상기 본체의 전면벽의 내측면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라운드면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후퇴경로는,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상기 미디어의 공급선단이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 후퇴 배출구와; 상기 인쇄엔진부의 하부에서 상기 후퇴 배출구로 미디어를 가이드 하도록 상기 본체 내의 바닥면과 후면벽;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후퇴 배출구는, 상기 본체의 상측에 마련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후퇴경로는, 대략 'L'자 형상으로 미디어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후퇴경로는, 상기 미디어를 상기 바닥면과 후면벽에 치우치게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미디어를 상기 후방배출구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부재는 상기 바닥면과 후면벽 사이에 설치되는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인쇄엔진에서 인쇄완료된 미디어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경로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배출경로는 상기 인쇄엔진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후퇴경로의 반대쪽에 마련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배출경로는 상기 본체의 전면벽에 마련된 배출구와; 상기 이송유닛을 통과하는 미디어를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는 배출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배출경로는 상기 공급경로와 소정 부분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분기부분에는 상기 인쇄엔진에서 인쇄되어 나오는 미디어가 상기 공급경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배출경로로 안내하도록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버가 설치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버를 상기 공급경로를 차단하는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버는 상기 공급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미디어에 눌려서 상기 미디어의 공급을 허용하고, 미디어의 공급완료 후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공급경로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도록 설치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인쇄엔진부는,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미디어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칼라별 현상제가 마련된 인쇄리본을 제공하기 위한 리본카트리지와; 상기 리본카트리지를 가열 및 가압하기 위한 TPH(thermal printing head)와; 상기 미디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TPH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회전 가능한 탄성롤러; 및 상기 TPH를 지지한 채 상기 리본을 상기 탄성롤러 측으로 접근 및 이격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에 설치되는 인쇄엔진부(2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마련되어 미디어(1)를 공급하는 공급유닛(30)과, 인쇄엔진부(20)로 공급된 미디어(1)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유닛(40)과, 본체(10)에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미디어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공급경로(50), 후퇴경로(60) 및 배출경로(7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는 소정 사이즈 및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로서, 그 내부에는 상기 인쇄엔진부(20)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 미도시된 전자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바닥벽(11), 전면벽(12), 후면벽(13) 및 상부벽(1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인쇄엔진부(20)는 공급유닛(30)에서 공급된 미디어(1)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인쇄엔진부(20)는 리본 카트리지(21)와, TPH(thermal printing head, 23) 및 구동부(35)를 구비하다.
상기 리본 카트리지(21)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구성으로서, 카트리지 본체 내에서 리본(21a)을 공급하는 공급릴과, 상기 공급릴에서 공급되는 리본을 회수하는 회수릴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릴에서 공급되는 리본(21a)에는 각 칼라별 즉,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오버코팅 순서대로 현상제와 코팅제가 소정 면적씩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미디어(1)에 칼라 인쇄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리본(21a)을 공급하되, 미디어(1)는 총 4회에 걸쳐서 왕복 이동된다.
상기 TPH(23)는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에 해당되는 것으로써, 상기 리본(21a)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면서 미디어(1) 측으로 밀착시킴으로써, 리본(21a)의 현상제가 미디어(1)로 옮겨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부(25)는 상기 TPH(23)를 미디어(1) 측으로 접근 및 이격시키기 위 한 것으로서, 일단에 TPH(23)를 지지하고, 타단은 본체(1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동부(25)는 미도시된 구동모터 또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회동레버를 소정 각도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인쇄엔진부(20)는 미디어(1)를 사이에 두고 TPH(23)에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탄성롤러(27)를 더 구비한다.
상기 공급유닛(30)은 화상형성장치용 미디어(1)를 인쇄엔진부(20)로 픽업하여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공급유닛(30)은 본체(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커버 카세트(31)와, 픽업플레이트(32)와, 픽업롤러(33)와, 탄성부재(34) 및 댐부재(35)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 카세트(31)는 본체(1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커버 카세트(31)의 일단은 본체(10)에 힌지(31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커버 카세트(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된 상태에서 미디어(1)의 후단쪽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커버 카세트(31)의 오픈 각도를 제한하고,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16)이 설치된다. 이 지지턱(16)은 본체(10)의 상부벽(1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픽업플레이트(32)는 상기 커버 카세트(31)의 개폐 동작에 의해 외측으로 노출되거나 감추어질 수 있도록,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되, 커버 카세트(31) 보다는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이 픽업플레이트(32)의 일단은 힌지(32a)에 의해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픽업플레이트(32)에는 미디어(1)의 선단쪽 즉, 픽업되는 부분이 적재되어 지지된다.
상기 픽업롤러(33)는 픽업플레이트(32)의 타단에 대응되도록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34)는 픽업플레이트(33)를 픽업롤러(33) 쪽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한다. 이 탄성부재(34)는 인장스프링으로서, 일단은 픽업플레이트(32)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10)에 연결된다. 따라서, 픽업플레이트(32)에 적재된 미디어(1)의 최상단에 위치한 미디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롤러(33)에 접촉될 수 있게 된다. 픽업롤러(33)에 접촉된 최상단의 미디어는 픽업롤러(33)가 회전할 때, 마찰력에 의해서 픽업된다.
상기 댐부재(35)는 픽업롤러(33)에 의해 픽업되는 미디어가 낱장으로 분류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픽업플레이트(32)의 타단에 인접되게 설치된다. 이 댐부재(35)는 픽업플레이트(32)와는 별개의 부품으로서 본체(10)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커버 카세트(31)와 픽업플레이트(32)를 포함하는 공급유닛(30)을 본체(10)의 상부에 설치하게 되면, 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측에 미디어 카세트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추가적인 부품이 불필요하여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상부에 미디어를 적재하여 공급하게 되므로, 미디어의 공급을 위해서 최소한의 공간이 본체(10)의 상부에 요구된다. 따라서, 포토 프린터를 사용할 수 있는 공간적 제한을 덜 받아, 용이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유닛(40)은 공급유닛(30)에서 공급된 미디어(1)를 전달받아 인쇄엔진부(20)를 기준으로 전후 왕복 이동시키고, 인쇄 완료된 미디어를 본체(10) 외부 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이송유닛(40)은 인쇄엔진부(20)의 하측에 설치된 한 쌍의 이송롤러(41,42)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롤러들(41,42)은 서로 접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방향 회전모터와 같은 구동원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공급경로(50)는 공급유닛(30)에서 픽업된 미디어(1)를 인쇄엔진부(20)의 하측으로 이송되게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공급경로(50)는 대략 'C'자 형태로 형성되며, 본체(10)의 전면벽(12)의 내측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라운드면(12a)을 구비한다.
상기 후퇴경로(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경로(50)를 통해 공급된 미디어(1)의 공급선단(1a)을 후방으로 빼고, 공급후단(1b)을 인쇄엔진부(20)의 하부에 정렬시켜서, 공급후단(1b)부터 옐로우, 마젠타, 시안, 오버코팅 순으로 인쇄를 반복해서 할 수 있도록 미디어(1)의 공급후단(1b)을 본체(10)의 내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후퇴경로(60)는 본체(10)의 상부에 마련된 후퇴 배출구(61)와, 본체(10)의 바닥벽(11)과 후면벽(13)을 구비한다.
상기 후퇴경로(60)는 미디어(1)를 대략 'L'자 형태로 변형되게 가이드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퇴 배출구(61)는 본체(10)의 상측에 마련됨으로써, 인쇄엔진부(20)의 하측에서 후퇴되는 미디어(1)의 공급선단(1a)이 본체(10)의 후방이 아니고, 실질적으로는 상방으로 이동됨으로써, 본체(10)의 후방측에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상기 후면벽(13)과 바닥벽(11)의 경계 즉, 바닥벽(11)에서 후면벽(13)으로 이어지는 모서리부분은 라운드면(11a)으로 형성되어 미디어(1)와의 마찰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라운드면(11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가이드부재(62)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62)는 회전 가능한 아이들롤러로서, 미디어(1)를 제1가이드부재(62)와 라운드면(11a) 사이로 자연스럽게 구겨지지 않고 지나갈 수 있도록 지지 및 안내한다.
상기 배출경로(70)는 인쇄가 완료된 미디어(1)를 본체(1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배출경로(70)는 본체(10)의 전방에 마련된 배출구(71)와, 이송유닛(40)에 의해 이송되는 미디어(1)를 배출구(71) 쪽으로 안내하는 배출가이드(72)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구(70)는 본체(10)의 전방 즉, 인쇄엔진부(20)를 사이에 두고 후퇴 배출구(61)의 반대 쪽에 형성된다. 상기 배출가이드(72)는 배출구(70)에서 상기 이송롤러들(41,42)에 인접된 부분까지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배출가이드(72)는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경로(70)는 이송유닛(40)에 인접된 부분에서 공급경로(50)와 분기되게 형성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한 프린팅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과 같이 커버 카세트(31)가 닫힌 상태에서는 미디어(1)를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카세트(31)를 오픈시키고, 그 오픈된 커버 카세트(31)와 픽업 플레이트(32) 상에 미디어(1)를 적재한다.
이 상태에서, 인쇄명령이 전달되면, 픽업롤러(33)가 회전되면서 적재된 미디어들 중에서 최상단의 미디어(1)를 낱장 픽업하여 공급경로(50)를 통해 인쇄엔진부(20)의 하측으로 공급한다. 공급된 미디어(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계 -> 2단계 -> 3단계 -> 4단계에 걸친 미디어의 이송과정을 거치면서, 칼라화상을 미디어(1)에 프린팅하게 된다.
1단계에서는, 'C'형 공급경로(50)를 통해 공급된 미디어(1)를 이송롤러들(41,42)을 이용하여 후퇴시켜서, 미디어(1)의 공급후단(1b)이 인쇄선단이 되도록 정렬시킨 상태에서, 다시 배출경로(70) 쪽으로 이송시키면서 옐로우 칼라를 프린팅 한다.
다음으로, 2단계에서는 다시 후퇴 경로(60) 쪽으로 미디어(1)를 후퇴시킨 다음, 다시 전진시키면서 마젠타 칼라를 프린팅 한다.
다음 3단계에서도 마젠타칼라가 프린팅된 미디어(1)를 다시 후퇴시킨 다음, 다시 전진시키면서 시안 칼라를 프린팅 한다.
마지막 4단계에서는, 시안 칼라가 프린팅된 미디어를 후퇴시킨 뒤, 다시 전진시키면서 오버코팅(overcoating) 한 후 배출구(71)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낱장의 프린팅 동작을 완료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미디어(1)를 후퇴시킬 때, 'L'자 형의 후퇴경로(60)를 이용하게 됨으로써, 미디어(1)를 후퇴시키기 위해서 본체(10)의 후방쪽에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게 된다.
여기서, 물론 설명은 하지 않았으나, 상기 TPH(23)는 미디어(1)를 후퇴시킬 때는 리본(21a)에서 이격되고, 미디어(1)를 전진시켜서 프린팅할 때는 리본(21a) 쪽으로 가압 및 구동되어 프린팅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구성도이다. 도 4에서 앞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도면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후퇴경로(60)에는 미디어(1)의 후퇴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1 및 제2가이드부재(63,64)가 마련된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63)는 본체(10) 내부의 라운드면(11a)에 마주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리브이다. 이러한 제1가이드부재(63)와 라운드면(11a) 사이로 미디어(1)가 진입되어 가이드된다.
상기 제2가이드부재(64)는 후퇴배출구(61)에 인접되게 마련되어 미디어(1)의 공급선단(1a)을 후퇴배출구(61)로 진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가이드부재(63,64)는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개의 부품으로 마련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경로(50)와 배출경로(70)의 분기된 부분에는 가이드레버(8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가이드레버(8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83)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공급경로(50)를 차단하는 자세로 유지된다. 상기 가압부재(83)는 가이드레버(81)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토션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가압부재(83)는 공급경로(50)를 통해 공급되는 미디어(1)에 의해서 가이드레버(81)가 B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을 정도의 스프링 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레버(81)는 평상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유지되다가, 공급경로(50)를 통해서 미디어(1)가 공급되면, 공급되는 미디어(1)에 밀려서 B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미디어(1)가 인쇄엔진부(20)의 하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미디어(1)의 공급후단이 가이드레버(81)를 지나간 뒤에는, 가이드레버(81)는 가압부재(83)의 복원력에 의해 A 방향으로 회동되어 공급경로(50)를 차단한다.
상기 상태에서, 미디어(1)는 프린팅을 위해서 이송롤러들(41,42)에 의해서 후퇴 및 전진을 반복하다가, 최종적으로는 배출경로(70)로 배출된다. 미디어(1)의 배출시, 미디어(1)는 가이드레버(81)에 의해 가이드되어 공급경로(50)로 역행하지 않고, 배출경로(70)를 통해서 본체(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미디어 카세트를 프린터 본체의 상부에 일체화함으로써, 미디어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미디어카세트를 프린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 넓은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미디어 카세트를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위 범위 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5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내부에 인쇄엔진부가 설치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와;
    상기 인쇄엔진부로 공급된 미디어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유닛과;
    상기 미디어의 공급선단을 상기 본체 내외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후퇴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의 공급후단부터 인쇄가 되고,
    상기 후퇴경로는,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상기 미디어의 공급선단이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 후퇴 배출구와;
    상기 인쇄엔진의 하부에서 상기 후퇴 배출구로 미디어를 가이드 하도록 상기 본체 내의 바닥면과 후면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 배출구는, 상기 본체의 상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경로는, 대략 'L'자 형상으로 미디어를 가이드 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경로는,
    상기 미디어를 상기 바닥면과 후면벽에 치우치게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미디어를 상기 후퇴배출구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는 상기 바닥면과 후면벽 사이에 설치되는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내부에 인쇄엔진부가 설치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와;
    상기 인쇄엔진부로 공급된 미디어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유닛과;
    상기 미디어의 공급선단을 상기 본체 내외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후퇴경로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쇄엔진부로 미디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유닛과;
    상기 공급유닛에서 상기 인쇄엔진부로 미디어를 가이드하는 공급경로와;
    상기 인쇄엔진부에서 인쇄완료된 미디어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의 공급후단부터 인쇄가 되고,
    상기 배출경로는 상기 공급경로와 소정 부분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분기부분에는 상기 인쇄엔진에서 인쇄되어 나오는 미디어가 상기 공급경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배출경로로 안내하도록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버를 상기 공급경로를 차단하는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버는 상기 공급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미디어에 눌려서 상기 미디어의 공급을 허용하고, 미디어의 공급완료 후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공급경로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9.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엔진에서 인쇄완료된 미디어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경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0. 삭제
  51. 삭제
KR1020060034205A 2006-04-14 2006-04-14 화상형성장치 KR100806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205A KR100806877B1 (ko) 2006-04-14 2006-04-14 화상형성장치
US11/645,759 US7938529B2 (en) 2006-04-14 2006-12-27 Photo printer
CN2007100082995A CN101054028B (zh) 2006-04-14 2007-01-29 照片打印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205A KR100806877B1 (ko) 2006-04-14 2006-04-14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276A KR20070102276A (ko) 2007-10-18
KR100806877B1 true KR100806877B1 (ko) 2008-02-22

Family

ID=38604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205A KR100806877B1 (ko) 2006-04-14 2006-04-14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38529B2 (ko)
KR (1) KR100806877B1 (ko)
CN (1) CN1010540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501056U (zh) * 2015-01-06 2015-05-11 Avision Inc 多功能事務機
CN107908069B (zh) * 2017-12-27 2024-03-08 云南微拓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易于散热的简便式自助照片冲印机
JP7190116B2 (ja) * 2021-02-19 2022-12-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両面用プリン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095A (ko) * 2001-08-07 2003-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잉크젯 프린터
KR20050000363A (ko) * 2001-02-07 2005-01-0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재생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JP2005007652A (ja) 2003-06-17 2005-01-13 Funai Electric Co Ltd フォト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1250A (ja) 1984-11-01 1986-05-29 Tokyo Electric Co Ltd 静電写真プリンタの給紙装置
JPH0679941B2 (ja) 1988-06-30 1994-10-12 株式会社新興製作所 電子写真式プリンタの用紙送り装置
JPH0717077B2 (ja) 1989-09-04 1995-03-01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リンタの用紙給排路構造
CN1124208A (zh) * 1995-02-05 1996-06-12 卡西欧计算机公司 带盘可拔出的色带盒和使用该色带盒的热转移印刷机
US5897258A (en) * 1997-11-21 1999-04-27 Eastman Kodak Company Platen-drive thermal dye printer with cone shaped scuff rollers transporting the receiver in reciprocating directions
JP4240705B2 (ja) * 1999-12-07 2009-03-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方法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およびこれに用いるテープカートリッジ
KR100485815B1 (ko) 2003-01-17 200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이송장치와, 이러한 용지이송장치를 구비하는 프린터및 그 용지이송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363A (ko) * 2001-02-07 2005-01-0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재생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KR20030013095A (ko) * 2001-08-07 2003-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잉크젯 프린터
JP2005007652A (ja) 2003-06-17 2005-01-13 Funai Electric Co Ltd フォト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42122A1 (en) 2007-10-18
CN101054028B (zh) 2011-04-13
US7938529B2 (en) 2011-05-10
CN101054028A (zh) 2007-10-17
KR20070102276A (ko) 200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30355B2 (ja) カード類の記録装置
US7973816B2 (en) Mobile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540197A (ja) 熱転写リボン及び記録媒体一体型カートリッジとこれを採用する熱転写プリンタ
KR100806877B1 (ko) 화상형성장치
KR100726433B1 (ko) 급지카세트
RU2370374C1 (ru) Кассета для печат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JP2001253570A (ja) 記録装置
JP481654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1391749B1 (ko)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EP1752299B1 (en) Recording apparatus
JP2002225365A (ja) 記録装置
JP2005074705A (ja) 記録装置
JP2000177856A (ja) 画像記録装置
JP2021080031A (ja) カード供給装置及び記録装置
JP2001253616A (ja) 記録装置
JP2005089033A (ja) 印刷装置
WO1999020470A1 (fr) Imprimante
JP2006124089A (ja) 記録装置
JP2004093737A (ja) 画像読取記録装置
JP2002292916A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並びに記録システム
JP2011157160A (ja) 給紙装置及びプリント装置
JP2008184323A (ja) 用紙仕分け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記録装置
JP2004131224A (ja) 給紙カセットケース
KR20080006060U (ko) 모바일 기기용 프린터
JP2005074728A (ja) 熱転写式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