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0970A - 접객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접객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0970A
KR20010020970A KR1020000031735A KR20000031735A KR20010020970A KR 20010020970 A KR20010020970 A KR 20010020970A KR 1020000031735 A KR1020000031735 A KR 1020000031735A KR 20000031735 A KR20000031735 A KR 20000031735A KR 20010020970 A KR20010020970 A KR 20010020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order
customer care
counter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9073B1 (ko
Inventor
데라세다카오
Original Assignee
데라세 다카오
가부시키가이샤 와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라세 다카오, 가부시키가이샤 와이테크 filed Critical 데라세 다카오
Publication of KR20010020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1Price look-up processing, e.g. 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4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comprising interface for record bearing medium or carrier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or payment cred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7Tax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서비스내용의 열람이 가능하고, 서비스내용 중에서 선택하여 주문할 수 있으며 전지로 구동되는 휴대 가능한 발주단말과, 발주단말로부터의 주문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는 수주단말과, 발주단말에서 청산지시를 받아 요금을 계산하고 표시하는 정산기와, 발주단말, 수주단말, 정산기 상호간의 데이터 교환처리를 실시하는 점내제어장치를 갖추어 이루어지며, 발주단말, 수주단말, 정산기 및 점내제어장치 사이의 데이터교환은 무선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객관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접객관리장치{Apparatus for managing guest serving}
본 발명은 레스토랑, 패밀리레스토랑, 주점, 패스트푸드점, 기타 각종 음식점, 나아가 노래방, 이발소나 미용실 등에 있어서 손님이 가게를 방문했을 때부터 나갈 때까지의 모든 관리를 종합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접객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 단말이나 기기 사이의 정보교환을 무선으로 실행하도록 한 것이다.
레스토랑 등 각종 음식점에서 메뉴의 주문이나 결제, 배선(配膳) 등의 정보를 전자화하여 관리의 합리화와 손님에 대한 서비스 향상을 도모하려는 시도가 각종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특허공개소58-13707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식당관리장치는 그 중 하나로서, 손님자리의 주문용 단말장치로부터의 입력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로 처리하고 이것을 주방용 및 배선용 표시장치에 전송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한 것이다. 이 종류의 다른 종래예로서 특허공개소59-194262호 공보, 실용공개소61-180347호 공보, 특허공개평7-28887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또한 배선계의 부담을 경감시킴과 동시에 전송케이블의 설치가 필요없어 식당 내부의 설치변경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일본특허공개소58-13707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식당관리장치와 같이 배선지시장치를 배선계가 휴대할 수 있는 무선기기로 구성하여 배선지시데이터를 CPU로 무선으로 결합한 것도 알려져 있다. 무선을 이용한 다른 예로서, 실용공개소63-179557호 공보, 특허공개평8-44798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손님이 메뉴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무선을 사용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AC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 필요하다.
통로가 방해될 정도로 큰 케이스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가격도 비싸다.
단일전파의 무선을 사용하고 있어 대수가 많아지면 손님의 기다리는 시간이 발생하는 직렬통신방식처리이다.
모든 손님이 테이블에 앉아 메뉴선택을 하려고 해도 손님에게 가지고 올 수 없을 정도로 장치가 커서 조작이 어렵다.
손님이 단말을 직접 조작하여 점원을 호출할 수 있으며, 또는 손님의 동향을 자동적으로 점원에게 알려 점원이 앞질러서 서비스 제공이나 각종 처리를 할 수 있다면 고객서비스상 유효하지만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지 않다. 또한 서로 떨어져 있는 손님과 점원의 통화, 점원·주방요원·배선요원·그 밖의 요원 상호간의 전자적 연락이나 통화를 할 수 없다.
테이블매립형 장치이기 때문에 테이블 위에 요리가 놓였을 때 보이지 않게 된다.
손님이 메뉴를 스스로 선택하는 종래의 것으로서 무선을 사용한 휴대형 단말형식의 것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웨이트리스 등 배선계가 원격조작으로 자신의 단말과 손님의 단말을 조합하거나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각각의 장소에서 확실한 배선확인을 하는데 손이 많이 간다.
큰 정보량을 갖는 비쥬얼 메뉴정보나 그 밖의 변경정보를 점내센터장치나 본점 또는 본사에서 일괄적으로 보낼 수 없다.
또한 손님이 그 단말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카운터 형태의 테이블이 설치되어 있는 가게에서는 카운터에 앉은 손님이 단말을 조작하여 메뉴를 고르고 직접 주문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은 접객관리장치 또는 음식점용 접객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든 단말이나 기기 사이의 데이터교환을 무선으로 실시함과 동시에 단말은 전지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AC전원이 불필요하고 휴대가능하며 서비스 또는 메뉴의 주문부터 서비스 제공 또는 조리, 배선 나아가 청산까지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퍼스널핸디폰(이하, PHS라 한다)을 이용함으로써 통화계도 함께 이용할 수 있다. PHS전파를 사용하기 때문에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는 소전력 디지탈무선대응으로 신뢰성이 있다.
새로운 메뉴화상정보나 CM정보 등 적당한 정보를 점내센터의 관리장치에서 모든 단말에 송신하여 손쉽게 정보를 갱신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점내관리장치에는 본점이나 본사 등으로부터 공통정보의 갱신이나 변경을 할 수 있다.
점두에서 테이블의 빈자리상태나 입점할 수 있는 시간표시 등을 내점객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손님에게 자동적으로 대응하여 정리권의 발행이나 자리가 준비되었을 때의 자동안내로 손님이 원하는 빈 테이블까지의 유도를 화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등 전체가 무인화되어 있다.
테이블에 배치되어 있는 단말에서 사진같이 선명한 칼라로 표시된 진짜와 흡사한 상품을 손쉽게 선택하여 주문할 수 있다. 테이블에 배치되어 있는 단말은 소형화, 박형화가 가능하며 테이블 끝에 기대어 세워지기 때문에 걸리적거리지 않고 자기쪽으로 방향을 돌릴 수 있으며 가까이 가져다 놓고 종래의 메뉴표와 같이 취급할 수 있다.
단말 등에 AC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완전한 무선이다.
각 테이블에서 손님이 확인한 후 임시 정산처리를 하기 때문에 손님이 정산처리한 것을 한가한 점원을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그 단말로 연락함으로써 손님을 기다리게 하지 않고서 레지스터를 향해 정산처리를 할 수 있다.
CS장치라는 단말무선접속장치의 대수를 가게의 규모에 따른 단말의 수나 사용빈도 등에 의해 적당히 조정함으로써 전파의 채널수를 증감시킬 수 있어 손님을 기다리게 하는 일이 없어진다.
가게 전체의 회전률 자동확인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아르바이트, 각 담당요원의 보급 삭감 등 자동컨설테이션을 실행하여 유효한 제언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점내외의 구석구석까지 자동화되어 가게 전체의 흐름이 모두 데이터로 집계된다.
각 단말에서는 조작한 점원의 이름과 시간 및 처리항목이 기록되고 이들을 집계하여 표로 출력한다. 이로써 점내업무의 흐름이 정상인지 어떤지의 판단, 이상이 있으며 이상개소의 발견이 가능하며 문제에 대해 신속한 대응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그 가게의 평가나 점원의 근무평가의 재료가 된다.
나아가 손님이 단말을 조작하여 점원을 호출하면 한가한 점원에게 우선적으로 알리는 기능을 갖고 있다.
배선대에서 배선하는 장소를 알 수 있는 유도화상이 도시되기 때문에 초보자도 배선해야 할 장소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단말장치 상에서도 배선대기마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완벽한 배선처리가 가능하고 배선실수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노동력 절감이나 손님에 대한 서비스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로써 얻어지는 이익을 고객만족을 얻는 데 가장 중요한 요리의 맛으로 환원할 수 있어 그 가게의 더 나은 발전으로 연결할 수 있다.
카운터 타입의 테이블이 설치되어 있는 가게에서는 카운터에 앉은 손님도 메뉴를 골라 직접 주문할 수 있다.
테이블단말 상호간, 카운터단말 상호간 또는 테이블단말과 카운터단말 상호간에 통신 가능하고 손님끼리 메일로 교신할 수 있다.
디지탈카메라나 스캐너 등을 사용하여 새로운 메뉴를 손쉽게 작성할 수 있는 오퍼레이션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나아가 요리법 입력, 표시, 칼로리값, 가격, 표준조리시간, 재료의 입수장소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레스토랑 등의 음식점에 한하지 않고 그 밖의 접객업소에서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노래방에서 빈방 정보나 음식물의 발주, 배선관리, 생산업무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발소이나 미용실 등에서 고객마다 신상카드화상과 이전에 담당한 이발사 또는 미용사 등의 이력과 함께 데이터를 미리 기록해 두고 손님이 입점했을 때 수주단말에서 각종 지정 등을 끝낸 후 이발사 또는 미용사를 지명하면 미리 기록한 데이터를 기초로 어느 정도 기다려야 하는지를 계산하여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점원은 한가한 이발사 또는 미용사를 소개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그 밖의 본 발명의 목적 및 구성상의 특징은 이하에 설명하는 발명의 실시형태를 참조함으로써 분명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음식점관리장치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 점내 전(全)제어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단말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4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산기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5는 상기 실시형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5의 동작에 계속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7은 상기 실시형태의 동작을 신호의 전달경로로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8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별도의 동작을 신호의 전달경로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접객관리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장치의 개요를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레스토랑, 주점, 기타 각종 음식점의 각 테이블(좌석)(11)에는 테이블단말(10)이 배치되어 있다. 테이블단말(10)은 메뉴정보를 열람가능하며 메뉴정보 중에서 선택하여 주문할 수 있다. 테이블단말(10)은 또 예컨대 액정표시패널을 갖는 소형에 박형의 휴대가능한 단말로서, 각각의 단말(10)이 내장된 전지로 구동되어 마치 메뉴를 보는 것과 같은 느낌으로 볼 수 있다. 각 테이블(11)에는 테이블단말 거치대(12)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거치대(12)에 테이블단말(10)을 놓아 둘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한 예에서는 테이블석 외에 카운터석(31)도 있고 카운터석(31)에도 상기 테이블단말(10)과 같은 구성의 카운터단말(30)이 배치되어 있다. 카운터석(31)에는 또 한사람분의 좌석에 대응하여 카운터단말 거치대(32)가 설치되어 있다. 카운터단말(30)은 한사람분의 좌석마다 배치해도 상관없는데, 도 1에 도시한 예에서는 하나의 카운터단말(30)을 복수의 손님이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 주문할 때에는 그 손님의 좌석 앞에 있는 카운터단말 거치대(32)에 카운터단말(30)을 세팅하여 주문한다. 그룹으로 카운터석(31)에 앉았을 때에는 그 그룹에 공통되는 하나의 카운터단말(30)을 사용하면 된다.
배선대(14)에는 하나 또는 여러개의 배선단말(15)이 배치되어 있다. 배선단말(15)은 미배선된 주문메뉴와 배선완료된 주문메뉴를 표시한다.
주방에는 하나 또는 여러개의 주방단말(16)이 배치되어 있다. 주방단말(16)은 요리전, 요리중, 요리완료의 주문메뉴를 색분류하고 또 작업자명으로 분류하여 표시한다. 각 요리사는 PHS단말(22)을 갖고 있다. 점원도 PHS단말(22)을 가지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PHS단말(22)간에 음성으로도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부호17은 정산기를 도시하고 있으며, 18은 점두안내표시기를 도시하고 있다. 테이블단말(10) 또는 카운터단말(30)에서 청산지시가 출력되면 정산기(17)가 요금을 계산하여 청산금액이 표시된다. 상기 점두안내표시기(18)에는 만석(滿席)인지 아닌지, 빈자리가 있는 경우에는 어디가 비어있는지, 만석의 경우에는 입점하기까지 걸리는 시간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순서를 기다리는 손님을 위해 정리권 발행기(19)가 부속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테이블단말(10), 카운터단말(30), 배선단말(15), 주방단말(16), 요리사나 점원이 가지고 있는 PHS단말(22), 정산기(17), 점두안내표시기(18) 상호간의 데이터 교환처리를 실행하는 점내 전제어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단말과 점내 전제어장치(20) 사이에는 이들 각 단말과 점내 전제어장치(20)의 무선통신처리를 하기 위한 CS장치(21)가 개재되어 있어 각 단말과 점내 전제어장치(20) 사이의 데이터통신은 무선으로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CS장치(21)는 각 단말 개수에 따라 1대 또는 복수대 사용된다. 상기 각 단말은 퍼스널핸디폰시스템(PHS)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로써 통화계도 함께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손님은 테이블단말(10) 등을 사용하여 점원을 호출할 수도 있다.
각 단말, 특히 테이블단말(10), 카운터단말(30), 배선단말(15), 주방단말(16) 등은 휴대가능한 박형 및 소형의 단말이고 전지로 구동되기 때문에 집중충전대(23)가 준비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각 단말을 충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점내 전제어장치(20)는 판매시점정보 관리시스템(이하「POS」라 함)기능도 갖추고 있어 IP네트워크 또는 전용회선을 통해 본점 또는 본사의 전점 집중관리장치(25)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가게의 점내 전제어장치(26)에도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점내 전제어장치(20) 기능의 개요,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점내 전제어장치(20)의 주된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점내 회전률의 확인기능
각 단말에서는 조작한 점원의 이름과 시간 및 처리항목이 기록되어 본 장치로 보내져 오기 때문에 이들을 집계하여 표로 만든다. 이 표를 참조하면 점내업무 흐름의 정상, 이상 및 이상개소의 발견으로 연결되어 신속한 대응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그 가게의 평가나 점원의 근무평가의 재료가 된다.
(2) 각 단말통신의 호출제어기능
각 단말간에 있어서 통신기능을 제어한다.
(3) 테이블관리기능
각 테이블의 빈자리 관리를 실시한다.
(4) 주방관리기능
주문를 받았지만 미착수라는 요지의 정보, 요리중이라는 요지의 정보, 완성정보나 품절정보의 관리를 실시한다.
(5) 배선관리기능
배선순서, 배선장소 표시의 관리를 실시한다.
(6) 손님호출관리기능
손님으로부터의 호출관리를 실시한다.
(7) POS관리처리부로의 데이터송수신 제어기능
상기 점내 전제어장치(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로 이하의 네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내 전제어부(40)
·단말인터페이스회로부(42)
·POS관리처리부(44)
·PCM인터페이스부(46)
각 단말장치와의 무선통신처리를 하기 위한 CS장치와, 점내 전제어부(40)를 하드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상기 단말인터페이스회로부(42)를 갖추며 기존의 각 사 POS계장치로의 접속도 고려된 POS관리처리장치(44)와, 공중망에 접속가능한 PCM인터페이스부(46)로 구성되어 있다. PCM인터페이스부(46)는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이 아니라 옵션으로 준비해 두고 본 발명장치의 이용자의 희망에 의해 필요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 체제로 되어 있다면 충분하다.
상기 점내 전제어장치(20)에는 PHS를 내선통화로서 교환처리하기 위한 회로가 준비되어 있으며 단말인터페이스 게이트어레이부(48)와 상기 단말인터페이스회로부(42)를 한쌍으로 하여 확장함으로써 32CS까지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최대의 동시통신용량으로 함으로써 96대의 테이블단말(10) 또는 카운터단말(30)과 접속통신을 할수 있게 된다.
또 테이블단말(10) 또는 카운터단말(30)끼리의 통화는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통화접속은 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기본적으로는 점원이 소지하고 있는 PHS단말(22), 테이블단말(10), 카운터단말(30), 배선단말(15), 주방단말(16) 및 정산기(17) 사이는 서로 통화나 호출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각 부의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점내 전제어부(40)는 각 단말간의 데이터통신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이하의 각 부로 구성되어 있다.
a. 교환제어스위치회로(401)
각 단말간을 접속하여 음성이나 데이터통신을 실시하는 스위치회로를 갖추고 있다.
b. 단말전송인터페이스·게이트어레이부(48)
CS장치로부터 전송되어오는 데이터, 음성의 각 채널정보를 동기제어채널을 해석하면서 정보를 송수신제어하는 부분으로 LSI로 이루어진다.
c. CPU(402)
점내 전제어부를 제어하는 센트럴프로세서유니트이다.
d. CPU주변 게이트어레이부(403)
CPU(402)의 주변LSI를 접속하기 위한 LSI이다.
e. 이더넷·인터페이스(404)
POS관리처리부(44)와의 통신을 이더넷방식으로 데이터통신한다.
f. 플래시ROM(405)
점내 전제어부(40)를 제어하는 프로그램ROM과, 변경이 발생할 때마다 비쥬얼 정보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이 중 프로그램ROM에 대해서는 통상동작시용과 이상검출시나 보수유지시의 교환백업용의 2면이 준비되어 있다.
g. 백업RAM(406)
이상시 등에 꺼져서는 안되는 정보를 기억해두는 메모리이다.
단말인터페이스회로부(42)
점원이 소지하고 있는 PHS단말(22), 테이블단말(10), 카운터단말(30), 배선단말(15), 주방단말(16) 및 정산기(17)와의 무선통신처리를 하기 위한 상기 CS장치(21)와의 인터페이스회로이다. 단말과의 전송방식은 핑퐁인터페이스방식으로 하여 2대의 CS장치를 접속가능하게 하는 회로를 갖는다. 또한 본 회로부를 타원형(거북이 등딱지 모양)으로 접속함으로써 최대 32대의 CS장치를 접속할 수 있다. CS장치 1대로 동시에 단말장치 3대까지 통신가능하기 때문에 최대 동시에 96대의 단말통신이 가능하다.
POS관리처리부(44)
점내 전제어부(40)에서 POS관리처리부(44)로 정산처리데이터가 보내져 데이터처리된 후 하루의 집계시간이 되면 본점 또는 본사에 데이터가 전송되어 전점포 집중관리를 실시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식품재료관리 등도 동시에 실시하여 부족분에 관한 보급에 대해서도 계절이나 요일 등의 관계를 고려하여 자동적으로 관계기관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주문연락이 간다. 통상의 PC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점 또는 본사와는 IP네트워크 또는 전용회선으로 접속 가능하다.
PCM인터페이스부(46)
점원이 소지하고 있는 PHS단말(22)을 공중망에 접속하여 외선통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테이블단말(10), 카운터단말(30), 배선단말(15), 주방단말(16), 점두안내표시기(18)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 각부의 단말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각 단말의 구성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는 이하에 도시한 각 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통상의 PC에 PHS단말기능을 부가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a. PC기능부(1O1)
b. PHS단말기능부(102)
c. TFT액정패널부(103)
d. 배터리전원부(104)
상기 PC기능부(101)는 통상의 PC로서의 기능을 다하는 것 외에 이하의 하드웨어를 갖고 있다.
·PHS단말접속인터페이스
각 장치나 단말과의 데이터통신은 모두 이 인터페이스를 사이에 두고 PIAFS방식에 의해 PHS단말로서의 제어기능으로 동작하게 된다.
·터치패널제어부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비쥬얼한 표시그림과 조합시켜 대부분의 조작은 이 터치패널에서 실시할 수 있다.
·게임용조작기 인터페이스부
TFT액정패널(103)을 일반 게임기의 모니터로 사용할 때 각 일반의 게임용 조작기가 장착된다.
·유지시 접속가능한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부
키보드, 마우스, FDD, CDR 등을 접속할 수 있다.
·테이블번호 자동독해기능부
단말거치대에 설정되어 있는 각 테이블번호나 카운터번호를 단말거치대 위에 단말을 놓았을 때 자동적으로 독해하는 인터페이스회로를 갖고 있다.
·정리권발행기(19)
소형의 프린터를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부착되어 있으며 점두안내표시기(18)에 있어서 정리권발행용으로서 사용한다.
상기 PHS단말기능부(102)는 PHS방식에 의한 무선통신을 제어하는 회로부이다.
상기 TFT액정패널부(103)는 비스듬히 보아도 분명히 시인할 수 있는 터치패널이 부착된 액정패널이다.
상기 배터리전원부(104)는 일회의 충전으로 예컨대 15시간 정도는 연속사용(배터리세이빙 동작 포함)가능한 것으로 한다. 나아가 경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정산기(17)의 구성을 도시한다. 정산기(17)의 구성도 상기 단말과 거의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는데, PC기능부에 시판품인 캐시레지스터(106)를 접속할 수 있도록 LAN&RS232C인터페이스회로가 준비되어 있는 점이 상기 단말과 다른 점이다.
집중충전대(23)는 10대 이상의 단말을 급속충전 가능하게 한 장치이다.
테이블단말 거치대(12), 카운터단말 거치대(32)는 각 테이블번호나 카운터번호를 설정할 수 있는 번호설정기를 구비하여 거치대 위에 단말이 세팅되었을 때 단말측이 상기 테이블번호나 카운터번호를 자동으로 독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점내 전제어장치(20) 이외의 각 부의 구성 내지는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1) 테이블단말(10)
이하에 손님에 대한 서비스 사항과 점포측에서 볼 때 가치가 있는 기능으로 나누어 개요를 설명한다.
손님 응대와 서비스사항
a. 손님이 단말을 조작하기 위한 화상메뉴 선택기능
b. 광고방영기능
c. 앙케이트기입기능
d. 게임이용기능
e. 도전퀴즈 제공기능
f. 점원의 호출기능
g. 점원과의 통화기능
h. 정기적으로 변하는 토막상식정보 제공기능
상기 기능의 상세예를 이하에 도시한다.
메뉴선택시에 있어 노인용, 젊은이용, 어린이용, 여성용, 주부용, 진한 타입, 산뜻한 타입 등 손님이 자기 기호의 미각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어류, 육류, 야채류, 샐러드계, 밥계, 국수류, 일식계, 이탈리아계, 피자 및 파스타계, 음료계, 국 및 수프계 등으로 나누어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체의 메뉴도 표시 가능하고 큰 분류에서 점점 세밀한 분류도 볼 수 있으며 칼로리나 들어가 있는 영양소 등도 표시 가능하다.
또한 지금 주문한 것을 일람할 수 있으며 한사람이 먹는 것을 더한 칼로리계산 등도 표시할 수 있다.
오늘의 추천메뉴를 표시한다.
완성시간 표시 및 완성되어 배선대기 등을 실시간으로 알리기 위한 표시를 실시한다.
어린이용 화면을 작성하여 표시한다. 예컨대 캐릭터의 사용이나 어린이도 선택할 수 있는 코스를 준비한다. 어린이 선택코스, 어른 선택코스 등을 준비한다.
정산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카드, 현금, 전자결제, 휴대전화 결제 등 각종 방식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재까지의 주문에 대한 대금의 합계액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부가세를 별도로 표시해도 상관없고 세금 포함해서 표시해도 상관없다.
배선완료와 미배선을 항상 알도록 한다.
근린상점의 광고를 내보낸다. 손님이 보거나 안 보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귀찮을 경우에는 임의로 소거할 수 있도록 한다.
긴급한 필요성이 있는 경우 등에 테이블단말(10)에서 손님이 웨이트리스를 부를 수 있도록 한다.
단말상의 앙케이트나 퀴즈를 풀면 정산시에 작은 선물을 하는 등의 서비스도 가능해진다. 또한 앙케이트의 회답자에게는 자동으로 할인해 주는 것도 가능해진다.
각 단말상에서는 웨이트리스나 웨이터, 그 밖의 점원과 통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손님으로부터는 점원의 통화지정에 의해 가능하게 한 방법으로 한다. 표시호출과 공진호출도 가능하다. 이것은 CS접속측에서 어떤 형태로든 설정할 수 있다.
건강에 관한 중요한 정보나 여러 가지 잡다한 지식적인 내용도 볼 수 있다.
상품을 삼차원 CG로 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2)배선단말(15)
기능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a. 배선장소가 아르바이트나 초보자도 알 수 있도록 화상으로 표시된다.
b. 종업원간의 통화에 의한 연락이 가능하다.
c. 배선처리가 화면표시에 의해 유도되어 아르바이트나 초보자라도 실수하지 않는다.
d. 뒷처리를 해야 하는 테이블이 화상으로 표시되어 이것을 보고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e. 방수, 항균처리가 되어 있다.
상기 배선단말(15)기능의 상세예를 이하에 도시한다.
배선완료와 미배선을 항상 알 수 있다. 배선단말에 주문된 요리를 배선한다는 요지를 입력하면 해당되는 배선장소의 테이블단말 화면에 배선이 시작된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색변화 등으로 표시처리가 이루어진다. 테이블단말에 배선완료되었다고 입력하면 배선단말에 배선완료를 색변화 등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이들을 확인함으로써 배선실수를 확실히 막을 수 있다.
배선하는 순서가 주문시의 시계열(時系列)로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순서에 따라 배선함으로써 먼저 주문한 손님의 배선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선단말(15) 상에서 완성된 물건의 표시부분을 터치하면 배선순서가 나온다.
(3) 주방단말(16)
주방단말(16) 기능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a. 요리전, 요리중이나 요리완료를 화면표시의 색분류과 작업자명의 표시로 분별할 수 있다.
b.「요리중」,「요리완료」의 지시를, 점원이 가지고 있는 PHS단말(22)이나 터치패널 또는 전용펜으로 간단히 설정할 수 있다.
c. 품절 등이 발생한 경우에 점원이 가지고 있는 PHS단말(22)이나 터치패널 또는 전용펜으로도 간단히 그 요지를 설정할 수 있으며 그것이 즉시 전단말에 알려진다. 이로써 손님이 주문한 후에 품절인 것을 알 수 있어 손님이 다시 다른 것을 주문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나 불량한 서비스를 해소할 수 있어 상호 시간손실이나 트러블을 막을 수 있다.
d. 방수, 방습, 항균처리가 되어 있다.
상기 주방단말(16) 기능의 상세예를 이하에 도시한다.
조리완료된 것을 체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품절이나 당일 불가능한 것 등을 확인하여 이것을 예컨대 터치패널 조작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내용이 전단말에 알려져 손님은 테이블단말(10), 카운터단말(30), 점두안내표시기(18) 등을 보고 확인할 수 있다.
한명의 요리사에 의해 현재 조리중인 요리가 다른 주방단말(16)에서도 색분류 표시되고 또한 작업자명도 표시된다. 이로써 복수의 요리사가 서로 중복하여 요리를 만드는 것을 막을 수 있다.
(4) 점두안내표시기(18)
점두안내표시기(18) 기능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a. 현재의 빈자리 상태나 대기시간의 통지.
b. 오늘의 추천요리의 화상표시.
c 점내의 빈자리로의 유도안내와 위치를 도면으로 표시.
d. 점내로의 유도안내와 동시에 점원이 가지고 있는 PHS단말(22)에 알린다. 이 때 직전에 뒷처리를 하여 빈자리 처리를 한 점원에게 알린다.
상기 점두안내표시기(18)의 기능의 상세예를 이하에 도시한다.
점두안내표시기(18)는 큰 화상표시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대형화면에 오늘의 추천요리나 손님이 붐비는 상황, 곧 몇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지 등을 표시한다.
손님이 내점하였을 때 인원수를 입력하면 윗자리에서 순서대로 빈자리를 지시하여 안내방송이 나온다.
만석일 경우에는 순서대기를 지정하면 정리권발행기(19)로부터 정리권이 발행된다. 그 후 인원수 만큼의 자리를 확보할 수 있으면 정리번호에서의 호출음성이 나온다. 호출에 해당하는 손님이 점두안내표시기(18)의 소정 위치에 터치하면 지정된 테이블 배치장소의 도면이 표시된다. 한가한 점원이 없는 경우에는 가게의 상황에 따라 다음 빈자리의 대기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5) 정산기(17)
정산기(17)의 기능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a. 정산처리기능.
b. 손님의 종류 입력기능.
상기 기능의 상세예를 이하에 도시한다.
테이블단말(10) 또는 카운터단말(30)에서 청산을 지시하면 데이터가 정산기(17)로 보내지고 정산기(17)의 화면에 청산액 외에 적당한 데이터가 표시된다. 레지스터에서는 이미 만들어져 있는 영수증으로 대응한다.
손님의 종류 내용을 보고 앙케이트로 회답되어 있는 내용을 확인하여 수정한다.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새로 입력한다. 이것은 노인, 남녀, 어린이 등 간단히 그림풀이로 터치패널 입력할 수 있는 내용으로 한다. 이것을 점내 전제어장치에 보내 각종 관리업무에 사용한다.
(6) 집중충전대(23)
집중충전대(23)는 한번에 테이블단말장치(10) 및 카운터단말(30)을 10대 이상 2시간 정도로 급속충전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7) 테이블단말 거치대(23)
테이블단말 거치대(23) 기능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a. 손님대면 회전기능.
b. 테이블번호 설정기능.
c. AC입력 및 충전기능(옵션)
d. 테이블단말 낙하보호기능.
상기 기능의 상세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손님쪽으로 간단히 방향을 바꿀 수 있으며 임의의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테이블단말 거치대(23)에 테이블번호 설정용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위치로 테이블단말 거치대(23)마다 테이블번호를 설정한다.
모든 테이블단말 거치대(23) 또는 일부 특정한 테이블단말 거치대(23)에서는 전원으로서 AC(교류)를 사용하도록 해도 상관없으며 테이블단말(10)의 전지를 충전하는 기능을 갖추게 해도 좋다.
테이블단말(10)의 도난방지와, 떨어지더라도 부서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신축성 있는 특수한 열쇠달린 끈으로 테이블단말(10)과 테이블단말 거치대(23)를 연결한다.
(8) PHS단말(22)
PHS단말(22) 기능의 개요
a. 간단한 조작으로 각 단말에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로 지시를 보낼 수 있다.
b. 경량이어서 간단히 손에 들고 조작할 수 있다. 이어폰을 사용함으로써 본체를 팔 등의 신체 일부에 부착시켜 손에 들지 않고도 대응할 수 있다.
c. 한가한 점원은 PHS단말(22)에서 점내 전제어장치(20)로 알리면 다음 처리가 있는 경우에는 점내 전제어장치(20)로부터 연락이 들어간다.
웨이트리스나 웨이터에게 PHS단말(22)을 갖게 하는 경우에는 이어폰 딸린 PHS단말(22)을 지급한다. 웨이트리스나 웨이터가 근무중에 PHS단말(22)을 일반적인 형태로 사용하고 있으면 손님에게 나쁜 인상을 주고 소리가 시끄럽기 때문에 이어폰을 사용하게 하여 PHS단말(22)이 눈에 띄지 않도록 한다.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기본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업무의 흐름에 대해, 8명의 손님이 내점하여 그 중 2명이 초등학생이라고 가정하여 도 5, 도 6,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동작스텝을 S1,S2,···과 같이 표시한다. 또한 손님의 움직임을 a1,a2,···과 같이, 장치간 접속통신을 b1,···과 같이, 장치간 무선통신을 c1,c2···과 같이, 장치간 유선통신을 d1,···과 같이, 점원의 움직임을 e1,e2,···과 같이, 점외통신을 f1,···과 같이 표시한다.
우선 손님이 점내에 들어오면(S1), 내점객은 순로(順路)(a1)를 따라 진행하며 상기 점두안내표시기(18)를 본다(S2). 점두안내표시기(18)에는 점내의 빈자리 상황, 대기시간 등이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내점객은 표시되어 있는 점내의 빈자리 상황을 본다. 만석인 경우에는 대기시간을 본다. 또한 오늘의 추천메뉴 등도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볼 수도 있다. 내점객은 이들 표시나 음성 등으로 그 가게에 들어갈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들어갈 경우에는 점두안내표시기(18)에 있는 내점버튼을 터치한다(S3). 카운터냐 테이블이냐의 선택화면이 표시되고 손님이 테이블버튼을 터치하면 예컨대『호명하겠사오니 정리권을 받으시고 기다려 주십시오』라는 음성으로 손님에게 전달함과 동시에 화면에도 표시된다. 이 시점에서 빈자리가 있는 경우에는 점원이 가지고 있는 PHS단말(22)로 내점객이 있다는 것을 알린다.
다음에 S4에서 인원수를 지정하는 안내가 나가고 인원수 8명을 터치한다. 그리고 순서대기버튼을 터치하면, 예컨대『알겠습니다』라는 안내와 인사가 흐른다. 테이블이 따로따로 되어도 좋은지를 묻기도 한다. 만석이어서 순서를 기다리는 경우에는 순서대기 정리권이 정리권발행기(19)로부터 발행된다. 손님은 정리권을 가지고 순로(a3)를 따라 대기실에서 호명될 때까지 기다린다.
점원이 PHS단말(22)로 각 단말에 입력하는 경우에는 그 점원의 이름이 자동으로 기록되지만 펜이나 터치패널로 입력하는 경우에는 처음에 그 점원의 이름에 터치해야만 진행되도록 되어 있다. 이후의 동작도 동일하다.
점원이 앞 손님의 테이블 정리를 끝내고 손님이 와도 좋은 상태가 되면 S5에서, 점원은 그 테이블의 테이블단말(10)에 손님OK를 입력한다. 이 때의 입력은 테이블단말(10)로 직접 실시해도 좋고 점원이 가지고 있는 PHS단말(10)로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신호는 도 7에 도시한 무선에 의한 순로(c3)에 의해 그 때 한가한 CS장치(21)를 거쳐 전점내 제어장치(20)로 보내진다. 또한 동시에 테이블단말 거치대(12)에서 해당 테이블단말 번호를 순로(b2)에서 읽어 이후 이 번호에서의 주문정산처리가 된다. 점원은 언제나 점두안내표시기(18)를 터치함으로써 현재의 빈자리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이로써 점원이 손님을 유도할 수 있다.
전점내 제어장치(20)는 무선순로(c2)를 지나서 점두안내표시기(18)에 대하여 다음 순서를 기다리고 있는 손님에게 예컨대『···번 정리권을 가진 고객은 「입장」을 터치하고 ···번 테이블로 와주시기 바랍니다』라고 방송한다(S6). 점두안내표시기(18)에는 점내의 해당 장소 위치가 표시됨과 동시에 입점 여부의 선택버튼이 표시된다.
손님은 순로(a4)에서 점두안내표시기(18) 있는 곳으로 가서 점두안내표시기(18)에 표시되어 있는 「입점」버튼을 터치한다. 점두안내표시기(18)에는 테이블까지의 순로가 비쥬얼로 표시되어 손님을 유도함과 동시에 점두안내표시기(18)로부터 무선순로(c1), 유선순로(d1), 무선순로(c5)에 의해 점원이 가지고 있는 PHS단말(22)로 연락이 가게 되어 손님이 테이블로 간 것을 알린다. 이 알림을 받아 점원은 순로(e1)를 지나서 자리에 앉은 손님에게 인사를 하고 예를 들면 물과 물수건을 배치한다. 이 때 두개의 테이블을 붙여도 좋고 안 붙여도 상관없다. 어느쪽이든 8명의 손님을 통합하여 정산할 것인지의 여부를 물어 같은 정산이면 「테이블단말(1)」과「테이블단말(2)」를 같은 손님의 그룹으로 하여 PHS단말(22)을 사용하여 설정한다.
손님이 테이블에 앉을 때까지는 점두안내표시기(18)에 예컨대「새로 내점하신 손님은 정리권을 발행하겠사오니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라는 방송을 표시한다.
손님은 테이블단말(10)을 사용하여 메뉴선택을 시작한다(S7).
점원은 인사를 한 후 그 테이블단말(10)을 향하여 손님이 준비되었다는 요지의 지시를 PHS단말(22)에서 보낸다. 이 때 PHS단말(22)로부터 무선순로(c6), 유선순로(d1)의 왕복, 무선순로(c2)를 지나서 점두안내표시기(18)에 대하여 다음 손님의 정리권 발행에 관한 대응을 재촉하는 지시를 한다.
점원이 대응할 수 없는 경우에도, 손님이 최초로 그 테이블의 테이블단말(10)을 조작함으로써 테이블단말(10)에서 무선순로(c3), 유선순로(d1)의 왕복, 무선순로(c2)에 의해 점두안내표시기(18)에 대하여 다음 손님의 정리권 발행에 관한 대응을 재촉하는 지시를 내린다.
또한 동시에 테이블단말 거치대(12)에서 그 테이블단말번호를 순로(b2)에서 읽어 이후 이 번호에서의 주문처리 및 정산처리를 하게 된다.
어른을 포함하여 어린이가 테이블단말(10)을 사용하여 게임을 할 수도 있게 되어 있다. S8에 있어서 어린이가 게임을 이용하고 싶을 때에는 테이블단말(10)의 화면상에 있는 「호출」을 터치하여 점원을 부른다. PHS단말(22)을 가지고 있는 점원에게 호출이 온다. 호출을 받는 점원은 복수로 설정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점원은 PHS단말(22)로 예컨대『기다려 주십시오』라고 말하고 어느 테이블에서인지 표시번호를 확인한다. 확인했으면 그 테이블에 가서 보호자에게 게임이용을 확인한 후 게임조작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점원이 오지 않은 경우라도 손님은 테이블단말(10)을 조작할 수 있으며 테이블단말(10)을 사용하여 S9에서 청산방법의 선택, 영수증의 필요여부 선택, 메뉴의 계통선택, 그래픽입체표시메뉴의 선택 등을 한다.
청산방법의 선택은, 나가면서 정산할 때의 방법을 선택하는 것으로서, 청산방법으로서 현금, 카드, 전자머니, 휴대전화결제 등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메뉴의 계통선택은,
· 노인용, 젊은이용, 어린이용, 여성용, 주부용,
· 진한 타입, 산뜻한 타입,
· 어류, 육류, 야채류, 샐러드계, 밥계, 국수류,
· 일식계, 이탈리아계, 피자와 파스타계, 음료계, 국과 수프계,
등 좋아하는 요리의 계통을 선택하고 지정한다.
칼로리나 영양소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주문을 받은 요리마다 칼로리계산을 하고 이것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래픽입체표시메뉴는, 메뉴를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서 입체표시 여부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현재 요리의 마무리시간을 표시한다. 마무리시간은 대기요리의 수 등을 종합하여 자동계산된다.
그 시점의 주문합계금액이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또한 요리의 가짓수는 처음에 시스템 내에 입력되어 있으며 곧 품절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마크가 표시되고 그 후 주문수가 재고수에 달하면 즉시 품절마크 표시로 변한다.
S10에서 주문 최종확인을 하여 변경이나 주문누락이 없으면 주문리스트와 합계금액을 확인하여 테이블단말(10)의 주문최종확인을 의미하는 예컨대「주문」버튼을 터치한다.
여기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해당 요리담당의「주방단말(1)∼(n)」(16)에 주문품 데이터가 무선순로(c3), 유선순로(d1), 유선순로(d2), 무선순로(c12) 및 (c13)을 거쳐 각각 전송된다.
이후 테이블단말(10)에서는 이하의 선택 내지는 조작을 할 수 있다.
a. 재주문
b. 매주 변하는 토막상식정보의 표시
c. 광고의 표시
d. 앙케이트기입
e. 게임이용
f. 도전퀴즈
상기 광고를 선택하면 근린상점의 광고나 일반광고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앙케이트를 선택하면 가게의 요리나 서비스에 대한 앙케이트가 만화적인 화상으로 표시되어 퀴즈정답자를 포함해 회답자에게는 작은 선물서비스 또는 할인으로 대응한다.
게임이용의 경우에는 보호자동반으로 미리 게임이용 여부를 확인하여 조작기가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작기를 사용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다. 게임이용은 무료여도 좋고 유료여도 상관없다. 유료인 경우에는 이용금액이 항상 같은 그룹의 테이블단말(10) 모두에 표시된다.
또 아무것도 조작하지 않고 있으면 일정시간 경과하면 배터리 절약을 위해 화면은 무표시가 된다. 단 신경쓰이지 않을 정도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재주문이나 광고, 앙케이트기입, 게임이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라는 화면이 표시된다. 이것도 거슬린다고 생각하는 손님은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한 S11에 있어서, 조리인은 자기 담당 주방단말(16)에 표시된 주문요리를 조리한다. 처음에는 그 요리가 표시된 색이 예컨대「빨간색」으로 되어 있다. 조리에 들어갈 때에 주방단말(16)에 표시되어 있는 해당 요리를 PHS단말(22)로 지정하면 무선순로(c11), 유선순로(d2) 왕복, 무선순로(c12,c13), 무선순로(c8,c9,c10)을 지나서 그 요리를 나타내는 화면의 색이 예컨대「파란색」이 되어 현재 요리중이라는 것을 알린다. 요리가 완성되면 요리가 완성되었다는 사실을 그 요리사가 가지고 있는 PHS단말(22)로 지시한다. 이 지시는 무선순로(c11), 유선순로(d2), 무선순로(c12) 및 (c13), 무선순로(c8,c9,c10)를 거쳐 각 주방단말(16), 각 배선단말(15)로 전달되어 이들 단말에서의 해당 요리를 나타내는 화면의 색이 예컨대「하얀색」이 된다. 나아가 각 배선단말(15)에 요리가 완성되었다는 데이터가 가서 배선계의 PHS단말(22)에 알린다. 또한 유선순로(d1), 무선순로(c4)에 의해 테이블단말(10)에도 해당 요리가 완성되었다는 것이 알려져 표시된다.
요리사는 완성된 요리를 순로(e3)에 의해 배선대(14)로 가지고 와서 각 배선단말(15)에 대하여 요리사가 가지고 있는 PHS단말(22)로 무선순로(c11), 유선순로(d2), 무선순로(c8),(c9) 및 (c10)에 의해 배선준비OK라는 지시를 내린다. 이로써 각 배선단말(15)에 표시되어 있는 해당 요리를 나타내는 색이 예컨대「노란색」으로 변한다.
이 때 동시에 전점내 제어장치(20)가 한가한 점원을 자동으로 찾아서 유선순로(d1), 무선순로(c5)에 의해 점원이 가지고 있는 PHS단말(22)로 배선준비OK를 알린다.
S12에 있어서, 요리의 완성을 PHS단말(22)로 알린 배선계는 배선단말(15)에 표시된 완성된 요리와 테이블번호를 보고 배선을 한다. 즉 점원은 순로(e2)에 의해 해당 요리를 받아서 배선중이라는 것을 무선순로(c6), 유선순로(d1), 유선순로(d2), 무선순로(c8),(c9) 및 (c10), 무선순로(c4)를 거쳐 송신한다. 배선단말(15) 위의 해당 요리의 표시색은 예컨대「옥색」이 되며 나아가 테이블단말(10)의 표시에도 해당 요리가 배선중이라는 것을 알린다.
익숙하지 않은 점원을 위해 테이블번호만으로는 배선장소를 모를 때 배선단말(14)의 특정한 위치를 터치하면 배선장소가 색깔별로 표시되게 되어 있다.
S13에 있어서, 점원은 순로(e4)에 의해 해당 요리를 해당하는 테이블에 보낸 후 테이블단말(10)에 대하여 해당 요리를 배선완료한 것을 지시한다. 이것은 점원이 소지하고 있는 PHS단말(22)에서 무선순로(c6), 유선순로(d1), 유선순로(d2), 무선순로(c8),(c9) 및 (c10), 무선순로(c4)를 거쳐 송신된다. 배선단말(15) 상의 해당 요리의 표시색은 예컨대「녹색」이 되며 나아가 테이블단말(10)에도 해당 요리의 배선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표시된다.
따라서 단말의 화면을 보면 모든 요리가 배선되었는지의 여부를 색깔별로 확인할 수 있다.
S14에 있어서 식사가 끝나고 손님이 나갈 때에는 손님은 테이블단말(10)에 표시되어 있는「정산」을 터치하여 정산처리시킨다. 이 때 무선순로(c3), 유선순로(d1), 유선순로(d2), 무선순로(c15), 무선순로(c5)에 의해 정산기(17)에 정산처리시켜서 손님을 기다린다. 동시에 한가한 점원을 골라 점원의 PHS단말(22)에 정산하고 싶은 손님이 있다는 것을 알려 정산하는 곳으로 향하도록 지시한다. 현금, 카드, 전자머니, 휴대전화결제, 영수증이 필요한지 등을 재확인하거나 또는 새롭게 지정한다.
이 때 손님에게 정산방법의 지정을 확인받아 정산기(17)에 그 데이터가 전송되어 영수증을 발행한다. 동시에 PHS단말(22)을 가진 점원에게 나가는 손님이 있다는 것을 알린다.
정산하고자 하는 손님은 순로(a6)에 의해 정산기(17)에서 처리를 기다린다. 이 때 정산처리를 하는 점원은 해당하는 테이블단말(10)이 테이블(11) 위의 테이블단말거치대(12)에 세팅되어 있는 것을 정산기(17) 상의 표시로 확인한다.
S15에 있어서, 정산기(17)를 취급하는 점원은 테이블과 손님과 금액을 확인하여 지정된 정산처리를 실시한다. 여기에서 정산처리가 완전히 확인되면 해당 테이블단말(10)은 대기상태로 되돌아간다.
정산기(17)를 취급하는 점원은, 정산기(17)에 표시되어 있는 각종 정보의 내용을 보면서 앙케이트로 회답되어 있는 내용을 확인하여 수정한다.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새로 입력한다.
또한 손님의 내점부터 메뉴선택, 주문, 배선, 정산까지의 일련의 흐름에 있어서, 손님 종류를 포함한 메뉴에 의한 처리시간을 계산하여 점내 전제어장치(20)에 기록한다. 기록된 내용은 적당히 POS관리처리 PC 등에서 관리된다.
나아가 점내 전제어장치(20)에서 POS관리처리 PC 등으로 정산처리데이터가 보내져 데이터처리된 후에 그날의 집계시간이 되면 본점 또는 본사로 데이터가 전송되어 전점 집중관리를 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식품재료관리 등도 동시에 실시하여 부족분을 보급하는 경우, 계절이나 요일 등 여러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관계기관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락이 간다.
S16에 있어서, 점원은 종료된 테이블을 정돈한 후 배터리를 확인하여 배터리교환 마크가 표시되어 있으면 별도의 충전된 테이블단말(10)과 교환한다. 그리고 테이블단말(10)을 테이블단말 거치대(12)에 세팅한 후에 그 테이블단말(10)을 직접 조작하거나 또는 PHS단말(22)을 사용하여 테이블단말번호가 자동입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이 완료되면「손님OK」라는 설정을 하여 점두안내표시기(18)에 무선순로(c6), 유선순로(d1), 무선순로(c4), 무선순로(c2)에 의해 알린다.
점두안내표시기(18)는 다음에 대기하고 있는 손님을 처리하기 위해 상술한 S16으로 되돌아간다. 대기손님이 없는 경우에는 S6으로 되돌아간다.
이상, 손님이 테이블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장치에 따르면 손님이 카운터석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그 이점을 살릴 수 있다. 이하 카운터석을 이용하는 경우의 동작 내지는 작용에 대해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 테이블을 이용하는 경우와 공통되는 부분의 설명은 간략화하고 카운터석을 이용하는 경우에 특징적인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손님이 내점하면 우선 a1의 순로에서 점두안내표시기(18) 앞으로 온다. 점두안내표시기(18)에 표시되어 있는「입점」버튼을 터치하면, 카운터냐 테이블이냐의 선택화면이 표시된다. 손님이 카운터를 선택하여 그 버튼을 터치하면 점내의 카운터(31)까지의 순로가 시각적으로 표시되어 손님을 유도한다. 이 때 동시에 점두안내표시기(18)로부터 무선순로(c1), 유선순로(d1), 무선순로(c5)에 의해 점원이 가지고 있는 PHS단말(22)로 손님이 카운터(31)로 향한 사실을 알린다. 이 지령을 받고 점원은 자기가 받은 것을 PHS단말(22)을 확인조작함으로써 알린다. 동시에 점원은 e1의 순로로 물이나 물수건을 손님에게 가지고 가 인사한다.
점원은 카운터(31)의 카운터단말 거치대(32)에 비어있는 카운터단말(30)을 놓고 손님이 대기하고 있다는 지시를 점원이 PHS단말(22)로 내린다. 이 때 PHS단말(22)에서 무선순로(c14), 유선순로(d1)에 의해 점내 전제어장치(20)로 통지하여 만석체크나 각종 처리를 실시한다. 또 점원이 대응할 수 없는 경우에도 손님이 비어있는 카운터단말(30)을 카운터단말 거치대(32)에 세팅한다. 처음으로 카운터단말(30)을 조작함으로써 카운터단말(30)에서 무선순로(c3), 유선순로(d1), 전점두제어장치(20)에 통지하여 마찬가지로 만석체크나 각종 처리를 실시한다.
손님은 점원이 오지 않은 경우라도 카운터단말(30)을 조작할 수 있으며 나갈때 정산하는 방법, 영수증발행여부 선택, 메뉴계통 선택 등을 지정하거나 또는 선택할 수 있다.
다음에 표시된 각종 메뉴에서 요리를 선택한다.
손님은 카운터단말(30)에 의해「주문」버튼을 터치함으로써 해당 요리담당의 주방단말(16)로 각 요리지시가 무선순로(c3), 유선순로(d1), 유선순로(d2), 무선순로(c12) 및 (c13)을 거쳐 나온다.
이 다음에 손님은 카운터단말(30)로 광고나 토막상식정보를 보거나 게임하거나 재주문을 할 수 있다.
조리사는 자기 담당의 주방단말(16)에 지시되어 있는 요리의 조리를 시작한다. 처음에는 그 요리의 표시색이 예컨대「빨간색」으로 되어 있으며 요리사가 가지고 있는 PHS단말(22)로 요리개시를 지시하면 무선순로(c11), 유선순로(d2), 무선순로(c12) 및 (c13), 무선순로(c8), (c9) 및 (c10)에 의해 그 요리의 표시색은 예컨대「파란색」으로 변해 현재 요리중이라는 것을 알린다.
다음에 요리가 완성되었을 때 PHS단말(22)로 완료지시를 하면 무선순로(c11), 유선순로(d2), 무선순로(c12),(c13), 무선순로(c8),(c9) 및 (c10)을 거쳐 해당 요리의 표시색이 예컨대「흰색」이 된다. 유선순로(d1), 무선순로(c4)에 의해 카운터단말(30)에도 해당 요리가 완성된 것을 표시한다.
요리사는 완성된 요리를 배선대(14)로 가져가서 배선단말(15)에 대해 PHS단말(22)에서 배선준비OK의 지시를 내린다. 배선단말(15)에 표시되어 있는 해당 요리의 표시색이 예컨대「노란색」으로 변한다. 이와 동시에 전점내 제어장치(20)가 한가한 점원을 자동으로 찾아서 한가한 점원부터 우선적으로 유선순로(d1), 무선순로(c5)에 의해 점원이 가지고 있는 PHS단말(22)로 배선준비OK를 알린다.
점원은 해당 요리를 받아서 배선중이라는 것을 무선순로(c6), 유선순로(d1), 유선순로(d1), 무선순로(c8),(c9) 및 (c10), 무선순로(c4)에 의해 카운터단말(30)에 알린다. 배선단말(15)상의 해당 요리의 색은 예컨대「옥색」으로 변하고 카운터단말(30)도 해당 요리가 배선중이라는 것을 표시한다.
점원은 해당 요리를 카운터(31)에 보낸 후 카운터단말(30)에 대하여 해당 요리를 배선완료했다는 것을 지시한다. 이것은 PHS단말(22)에서 무선순로(c6), 유선순로(d1), 유선순로(d2), 무선순로(c8),(c9) 및 (c10), 무선순로(c4)에 의해 배선단말(15), 카운터단말(30)로 전송된다. 배선단말(15)상의 해당 요리의 표시색은 예컨대「녹색」이 되고 카운터단말(30)의 표시도 해당 요리의 배선완료를 알 수 있는 표시가 된다.
손님은 요리를 먹은 후 정산할 때 카운터단말(32)에 표시되어 있는「정산」버튼을 터치하여 정산처리시킨다. 이 때 무선순로(c7), 유선순로(d2)의 왕복, 무선순로(c15)에 의해 정산기(17)에서 정산처리시켜 손님을 기다린다. 동시에 한가한 점원을 골라 점원의 PHS단말(22)로 정산하는 손님이 있다는 것을 알려 정산하는 곳으로 향하게 하는 지시를 한다. 이하 상술한 예와 동일하게 회계처리가 실행된다.
카운터단말(32)은 상기 테이블단말(10) 대신에 또는 테이블단말(10)과 함께 카운터석에 배치되는 카운터단말(32)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하루의 영업개시시점 등에 테이블단말 거치대(12) 또는 카운터단말 거치대(32)에 테이블단말 또는 카운터단말을 한번 세팅함으로써 그 테이블 또는 카운터에서의 단말이 사용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말이 단말거치대에 한번 세팅되어 사용가능해진 후 단말이 단말거치대를 벗어나 그 상태가 일정시간 계속되면 음성, 빛, 화면표시, 진동 등에 의해 경고가 발생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단말거치대에 단말이 한번 세팅되면 항상 어떤 단말에서든 모든 단말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테이블단말(10) 상호간, 카운터단말(32) 상호간 또는 테이블단말(10)과 카운터단말(32) 상호간 문자정보에 의한 메일통신기능을 갖추게 해도 좋다. 이로써 손님끼리의 커뮤니케이션을 촉진시킬 수 있다. 단 일정한 질서가 유지되도록 특정 단말을 선택하여 이것에 발신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일정 양식의 말을 준비하여 그 말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면 된다. 나아가 메일의 수신측에서는 교신을 거부하거나 또는 응답하는 것은 자유이며 일단 응답을 거부한 단말에서는 그 단말을 사용하고 있는 손님이 바뀔 때까지는 메일을 수신하지 않도록 해도 좋고 각 단말마다 처음부터 메일수신기능을 불허하도록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테이블단말(10), 카운터단말(32)을 포함하는 발주단말에서 TV화상, VTR재생화상, 그 밖의 콘텐츠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손님은 주문한 요리나 상품이 올 때까지 남는 시간에 콘텐츠화상을 즐길 수 있다.
테이블단말(10) 또는 카운터단말(32)로 재료의 생산지, 구입처, 무농약재배, 유기재배 등의 재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점포측에서 본 주된 이점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a. 게임 이용의 요금부과가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수입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b. 광고방영료가 들어온다.
c. 정산방식이 손님의 선택으로 자동으로 정산기에 전송된다.
d. 메뉴나 그 밖의 다른 서비스정보를 센터의 관리장치에서 일괄적으로 변경처리할 수 있다.
e. 손님의 메뉴선택에 대하여 요리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 또는 품절정보 등을 즉시 대응하여 표시할 수 있다.
f. 배선완료처리를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 점원이 가지고 있는 PHS단말이나 터치 또는 전용펜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의 이점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점원도 각각의 테이블의 배선완료와 미배선을 항상 알 수 있다.
배선완료처리를 간단히 실행할 수 있다. 터치패널 또는 전용펜을 사용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화면도중 끼어들기로 대응하여 배선처리가 종료되면 원래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점원이 가지고 있는 PHS단말(22)로도 떨어진 곳에서 배선완료처리를 할 수 있다.
근린상점 등을 스폰서로 하여 그 광고를 내보낸다. 기본적으로는 내장메모리에서 화상신호를 출력하여 정지화상으로서 표시하고 화상의 변경시에만 CS장치를 통해 화상신호가 전단말에 대해 일괄적으로 송신된다. 광고를 본 사람의 인원수, 시간, 횟수 등 광고의 열람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 데이터에 따라 광고료를 산출하여 스폰서에게 청구하도록 해도 좋다. 광고에 따른 수입은 예컨대 본 발명장치의 대여료로 돌릴 수 있다.
긴급시 단말에서 손님이 점원을 부를 수 있다. 점원은 어느 테이블에서인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호출된 번호를 점내에 대형화면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그 밖의 기능 및 이점
a. 일회의 충전으로 통상 하루의 영업시간을 커버할 수 있다.
b. 방수, 항균처리가 되어 있다.
상기 기능의 상세예를 이하에 도시한다.
일회의 충전으로 연속 15시간 이상 사용가능하며 가게가 끝나면 충전대(23)에 모든 단말을 세팅한다.
사용중에 전지가 나간 것은 충전된 것과 재빨리 교환한다. 단말을 다시 거치대(23)에 세팅할 때까지는 그 번호가 계속된다. 이 때문에 웨이트리스는 그 테이블에 테이블단말(10)을 세팅했을 때 자기가 가지고 있는 PHS단말(22)로 그 테이블단말(10)을 호출, 단말(10)이 단말거치대(12)를 읽어 정확하게 번호설정이 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손님의 숫자가 많은 그룹에서 복수의 테이블을 붙인 경우에는 복수의 테이블단말(10)이나 카운터단말(30)의 정산을 통합하여 실시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장치는 일반적인 음식점 외에 다음과 같은 점포에 적용시킬 수 있다.
(1) 손님이 직접 가지고 가는 도시락가게에서, 가게 앞에 설치된 단말의 손님에 의한 메뉴조작과 주방단말, 정산기를 연동시킨다.
(2) 햄버거 가게 등 패스트푸드 점포에서, 가게 앞에 설치된 단말의 손님에 의한 메뉴조작과 주방단말, 정산기를 연동시킨다.
이 경우에는 입력한 손님에 대한 점원쪽에도 같은 단말을 설치하여 주문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정산기와 메뉴조작단말기를 합체시키고 합체한 메뉴조작단말기 및 청산기와 주방단말 사이의 데이터교환은 무선으로 실시하 도록 하면 된다.
(3) 드라이브인 형식의 책방에 쇠사슬로 이은 단말을 설치하고 자동차의 운전자는 상기 단말을 조작하여 책을 선택하여 주문한다.
(4) 역구내에서 영업하고 있는 요리의 품종이 많은 스낵코너나 그와 유사한 점포에서 자동판매기 내에 설치한 메뉴조작단말과 주방단말로의 데이터전송을 실시한다. 주방단말은 정산기를 겸하고 있다.
(5) 배달도시락점
현재 상태는 무선시스템이 아니기 때문에 주문을 듣고나서 무선통신과 화상표시로 실시한다.
(6) 노래방의 빈방정보 표시와, 손님으로부터의 음식물 발주관리 및 정산업무.
새로이 배선처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새로 만드는 경우 또는 호텔 등에서 변경하는 경우에 공사비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노래방 등 이용시간을 미리 설정하는 접객업에 대해서는, 남는 시간이 일정시간 이하가 된 것을 손님쪽 단말을 통하여 손님에게 알려 손님쪽 단말에서는 연장처리나 주문스톱처리 등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서비스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착석순서 대기공간이나 특별한 테이블에서는 TV이나 CATV의 접속에 의해 방송프로그램을 서비스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음식점용 접객관리장치는 물론 모든 접객업에 적용 가능하다. 모든 접객업에 적용하는 경우를 상정한 본 발명은, 서비스내용을 열람할 수 있으며 서비스내용 중에서 선택하여 주문할 수 있고 전지로 구동되는 휴대가능한 발주단말과, 발주단말로부터의 주문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는 수주단말과, 발주단말에서 청산지시를 받아 요금을 계산하고 표시하는 정산기와, 발주단말, 수주단말, 정산기 상호간의 데이터 교환처리를 하는 점내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발주단말, 수주단말, 정산기 및 점내제어장치 사이의 데이터교환은 무선으로 실시된다는 구성이 된다. 또한 이 구성에 있어서 주문데이터에 대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을 때 그 요지를 수주단말에서 입력 가능하게 하고 또 발주단말에서 표시가능하게 하면 더욱 좋다.
본 발명에는 다음과 같은 부가기능을 설치하면 된다.
본 발명장치를 인터넷에 접속하고 외부의 클라이언트단말에서 본 발명장치로 억세스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의 클라이언트단말에서 빈자리정보를 확인할 수 있 도록 한다. 이렇게 해두면 고객은 빈자리가 있는 것을 확인하여 가게로 갈 수 있다. 인터넷를 통하여 예약할 수 있도록 하면 더 효율적으로 손님을 받을 수 있으며 고객 서비스도 향상된다.
발주단말, 테이블단말 또는 카운터단말 등으로부터 입력한 주문내용을 음성으로 복창하는 기능을 갖추어 놓으면 주문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주문품과 제공품이 다른 실수를 줄일 수 있다.
상품마다 재고관리를 하여 품절일 경우에는 그 요지를 각 단말에 표시하도록 하면 된다.
본 발명장치에 화상입력장치를 부가하고 이 화상입력장치에서 집어넣은 화상을 사용하여 메뉴를 작성할 수 있는 오퍼레이션 기능을 구비시키면 된다. 이렇게 해두면 점포단위로 독자적인 메뉴를 작성할 수 있고 POS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부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작성한 메뉴를 각 점포에 일괄적으로 배포발신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 외에 본 발명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1) 단말 등에 교류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완전한 무선이기 때문에 손님이 지금까지의 메뉴와 같은 감각으로 손에 들고 지금까지의 메뉴보다도 즐겁게 간편하게 메뉴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필요하면 3차원CG도 볼 수 있기 때문에 입체적으로 그 요리를 확인하면서 선택하여 주문함으로써 한층 더 손님을 끄는 효과가 있다.
(2) POS네트워크가 접속되어 있는 타입에서는 본점이나 본사에서 각 점포와 관련된 공통의 정보나 개별정보에 대해서도 일괄송신하며 메뉴화상정보 갱신, 변경 등이 전국적으로 보다 신속하게 대응가능해진다.
(3) 손님의 주문이 시계열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배선의 순서가 바뀌는 데 따른 트러블이 없어진다.
(4) 주방에서, 주방단말로 비추어져 주문품을 직접 터치하거나 또는 떨어진 곳에서 PHS 단말로 조리중 또는 조리완성 등을 지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제까지와 같이 출력되었던 전표 등은 필요 없다.
(5) 돌발적인 사정으로 요리나 상품을 공급할 수 없을 때에는 수주단말 또는 주방단말에서 그 요지를 입력함으로써 동시에 전단말에 그 요지를 알리고 표시시킬 수 있다. 가령 오해가 있더라도 취소사실을 화면상과 음성으로서 사과할 수 있다.
(6) 조작을 귀찮아하거나 또는 알려고 하지 않는 손님에게도 점원이 단말의 화상을 보여주고 손님에게 확인을 받으면서 주문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주문의 실수가 발생하지 않아 이 시스템의 이용이 침체되지는 않는다.
(7) 가게에서 떨어진 옥외 테이블로부터의 주문에도 대응할 수 있으며 룸이 많은 술집이나 레스토랑에서 이용하면 효과적이다.
(8) 앞으로 냉동조리품의 기술력 향상으로 급격히 조리속도가 빨라지리라는 것은 자명하므로 본 발명장치의 이용빈도의 향상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장치를 사용하여 주방처리, 배선처리, 뒷처리 등 각각을 연계한 효율을 최적화함으로써 매출상승은 확실해진다.

Claims (34)

  1. 서비스내용의 열람이 가능하고, 서비스내용 중에서 선택하여 주문할 수 있으며 전지로 구동되는 휴대 가능한 발주단말과,
    발주단말로부터의 주문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는 수주단말과,
    발주단말에서 청산지시를 받아 요금을 계산하고 표시하는 정산기와,
    발주단말, 수주단말, 정산기 상호간의 데이터 교환처리를 실시하는 점내제어장치를 갖추어 이루어지며,
    발주단말, 수주단말, 정산기 및 점내제어장치 사이의 데이터교환은 무선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객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주문데이터에 대응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을 때, 그 요지를 수주단말에서 입력 가능하고 또 발주단말에서 표시 가능한 접객관리장치.
  3. 메뉴정보를 열람 가능하고 메뉴정보 중에서 선택하여 주문할 수 있으며 전지로 구동되는 휴대 가능한 테이블단말과,
    테이블단말로부터의 주문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는 주방단말과,
    테이블단말에서 청산지시를 받아 요금을 계산하고 표시하는 정산기와,
    테이블단말, 주방단말, 정산기 상호간의 데이터 교환처리를 실시하는 점내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테이블단말, 주방단말, 정산기 및 점내제어장치 사이의 데이터교환은 무선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용 접객관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주문데이터에 대응한 조리가 완료되었을 때, 조리완료된 데이터를 주방단말에서 입력가능하며 또한 테이블단말에서 표시가능한 접객관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주방단말에 조리완료된 데이터가 입력됨으로써 배선해야 할 테이블이 표시되는 배선단말을 갖춘 접객관리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빈자리 정보를 표시하는 점내안내표시기를 갖춘 접객관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점내안내표시기는 빈자리 정보와 함께 착석장소의 유도표시 및 착석할 수 있는 시간을 표시하는 접객관리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퍼스널핸디폰시스템(PHS)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통화계통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접객관리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새로운 메뉴화상정보나 광고 등 적당한 정보를 센터에서 전(全)단말로 송신하여 전 단말의 설정을 갱신할 수 있는 접객관리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테이블단말은 평면디스플레이형으로 되어 있어 손님 가까이에서 메뉴정보를 열람하고 주문할 수 있는 접객관리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테이블단말을 세팅할 수 있는 단말거치대가 테이블마다 설치되어 있어서 단말거치대에 테이블단말을 한번 세팅함으로써 그 테이블에서 테이블단말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접객관리장치.
  12.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모든 단말에 있어서 어느 점원이 어떤 단말을 조작했는지를 알 수 있는 접객관리장치.
  13.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각 단말에서는 조작한 점원의 이름과 시간 및 처리항목이 기록되는 접객관리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테이블단말 대신에, 또는 테이블단말과 함께 카운터석에 배치되는 카운터단말을 이용하는 접객관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카운터단말을 세팅할 수 있는 단말거치대가 카운터석마다 설치되어 있고, 단말거치대에 카운터단말을 한번 세팅함으로써 그 카운터에서 카운터단말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접객관리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카운터단말과 테이블단말은 같은 구성인 접객관리장치.
  17. 제1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단말거치대에 단말을 한번 세팅함으로써 항상 어느 단말에서도 모든 단말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접객관리장치.
  18. 제1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단말이 단말거치대에서 떨어져 있는 상태가 일정시간 계속되면 경고가 나오는 접객관리장치.
  19. 제1항, 제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테이블단말 상호간, 카운터단말 상호간 또는 테이블단말과 카운터단말 상호간에서의 메일통신 기능을 갖는 접객관리장치.
  2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인터넷에 접속되어 외부의 클라이언트단말에서 빈자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접객관리장치.
  21. 제1항, 제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발주단말, 테이블단말 또는 카운터단말에서 각종 콘텐츠화상표시를 가능하게 한 접객관리장치.
  22. 제3항에 있어서, 판매정보시점 관리시스템(POS)에 접속되어 있어 본부에서 각 점포에 공통정보나 개별정보를 송신하여 메뉴정보의 갱신이나 변경이 가능한 접객관리장치.
  23.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품마다의 재고관리를 하여 품절일 경우에는 각 단말에 표시하는 접객관리장치.
  2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돌발적인 사정으로 상품을 공급할 수 없을 때에는 수주단말 또는 주방단말에서 그 요지를 입력함으로써 각 단말에 그 요지를 표시하는 접객관리장치.
  25. 제3항에 있어서, 배선단말에 주문된 요리를 배선하는 요지의 입력을 하면 해당되는 테이블단말이 배선중인 것을 표시하고 테이블단말에 배선완료를 입력하면 배선단말이 배선완료를 표시하는 접객관리장치.
  26. 제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테이블단말 또는 카운터단말에 재료의 생산지, 구입처, 무농약재배, 유기재배 등의 재료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접객관리장치.
  27. 제3항에 있어서, 화상입력장치를 가지며 메뉴작성 가능한 오퍼레이션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접객관리장치.
  28. 제9항에 있어서, 광고를 본 사람의 숫자, 시간, 횟수 등 광고의 열람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접객관리장치.
  29. 제1항, 제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발주단말, 테이블단말 또는 카운터단말에서 입력한 주문내용을 음성으로 복창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접객관리장치.
  3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이용시간을 미리 설정하는 접객업에 이용하는 접객관리장치로서, 남은 시간이 일정시간이 된 것을 단말에서 알려 연장처리나 주문중지처리를 가능하게 한 접객관리장치.
  31. 제3항에 있어서, 그룹의 손님이 복수의 테이블로 분리된 경우, 테이블별 청산인지 또는 일괄청산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접객관리장치.
  3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종업원의 가동상황을 항시 파악하여 한가한 종업원부터 우선적으로 지시가 발생하는 접객관리장치.
  33. 제1항, 제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발주단말, 테이블단말 또는 카운터단말에는 발주한 상품의 대금합계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접객관리장치.
  34. 메뉴정보를 열람 가능하고, 메뉴정보 중에서 선택하여 주문할 수 있는 메뉴조작단말과,
    메뉴조작단말로부터의 주문데이터를 수신하고 표시할 수 있는 주방단말과,
    메뉴조작단말에서 청산지시를 받아 요금을 계산하고 표시하는 정산기를 갖추어 이루어지며,
    메뉴조작단말과 정산기는 합체되어 있으며,
    합체된 메뉴조작단말 및 정산기와 주방단말 사이의 데이터교환은 무선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용 접객관리장치.
KR1020000031735A 1999-08-20 2000-06-09 음식점용 접객관리장치 KR100719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33655 1999-08-20
JP23365599 1999-08-20
JP2000119233A JP3582782B2 (ja) 1999-08-20 2000-04-20 飲食店用接客管理装置
JP2000-119233 2000-04-20
JP12-119233 2000-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970A true KR20010020970A (ko) 2001-03-15
KR100719073B1 KR100719073B1 (ko) 2007-05-16

Family

ID=2653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735A KR100719073B1 (ko) 1999-08-20 2000-06-09 음식점용 접객관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57547B1 (ko)
JP (1) JP3582782B2 (ko)
KR (1) KR100719073B1 (ko)
TW (1) TW546572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936A (ko) * 2001-08-13 2001-09-29 이상현 음성을 이용한 접객업소용 주문 처리 시스템
KR100896354B1 (ko) * 2006-03-30 2009-05-08 주식회사 워커힐 호텔 부속 카지노 고객 관리방법
KR100981030B1 (ko) * 2010-03-11 2010-09-10 주식회사 이드림 유ㆍ무선주문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메뉴 자동 주문처리 시스템
KR100981029B1 (ko) * 2010-03-11 2010-09-10 주식회사 이드림 무선주문리모콘을 이용한 실시간 메뉴 자동 주문처리 시스템
KR20140122930A (ko) * 2013-04-11 2014-10-21 전화성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8165A1 (en) * 2000-07-10 2002-03-28 Mchale John T. 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patrons of restaurants and bars
KR100731015B1 (ko) * 2001-01-09 2007-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 정합형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2366626A (ja) * 2001-06-08 2002-12-20 Seiko Instruments Inc 注文管理システム
JP2003115082A (ja) * 2001-10-05 2003-04-18 Toshiba Corp オーダーエントリーシステム
CN1592912A (zh) 2002-02-18 2005-03-09 精工爱普生株式会社 产品定购系统、产品定购方法、促销系统及促销方法
WO2003071509A1 (fr) * 2002-02-25 2003-08-28 Seiko Epson Corporation Systeme publicitaire, procede publicitaire et programme correspondant
JP2003317155A (ja) * 2002-04-23 2003-11-07 Aska T3 Kk レストラン等におけるオーダリングサービスシステム
US20040143503A1 (en) * 2002-07-23 2004-07-22 Suthar Yogin P. Restaurant automation system
US7945477B2 (en) * 2002-09-23 2011-05-17 Werbitt Julie M Patron service system and method
JP2004133870A (ja) * 2002-10-09 2004-04-30 Kazuhiro Kawasaki レストラン等のメニュー提供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5149286A (ja) * 2003-11-18 2005-06-09 Ishida Co Ltd 注文処理システム、注文処理方法および注文処理プログラム
JP4604525B2 (ja) * 2004-03-17 2011-01-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4762504B2 (ja) * 2004-05-07 2011-08-31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制御方法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JP4573595B2 (ja) * 2004-08-04 2010-11-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呼出しシステム、端末装置、サーバ、呼び出し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60085265A1 (en) * 2004-09-02 2006-04-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staurant electronic menu
TWI257581B (en) * 2004-09-10 2006-07-01 Ind Tech Res Inst Restaura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RFID
US7385479B1 (en) * 2004-11-12 2008-06-10 Esp Systems, Llc Service personnel communication system
US20060218040A1 (en) * 2005-03-17 2006-09-28 Sabapathypillai Rohan G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rdering food/beverage items at a food/beverage establishment using a mobile terminal
JP3882940B2 (ja) 2005-04-08 2007-02-21 ワールドピーコム株式会社 画面情報の編集装置と方法とプログラム、記録媒体、情報処理端末の生産方法
JP2006301821A (ja) * 2005-04-19 2006-11-02 Sukegawa Electric Co Ltd 飲食店の業務補助管理装置、業務補助管理方法及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842565B2 (ja) * 2005-05-23 2011-12-2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ハンディーターミナル、およびオーダエントリシステム
US8503641B2 (en) * 2005-07-01 2013-08-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of automated order status retrieval
JP4552807B2 (ja) * 2005-08-23 2010-09-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商取引システム、pos代行サービスシステム、電子商取引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80103917A1 (en) * 2006-11-01 2008-05-01 Coleman Lauderdale Service order system and service carrier
KR101151059B1 (ko) * 2007-05-11 2012-06-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원격 주문 방법 및 그 시스템
US8436715B2 (en) * 2008-06-17 2013-05-07 Daniel R. Elgort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managing electronic menus
US20100023404A1 (en) * 2008-07-23 2010-01-28 Elgort Daniel R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nd managing showroom items
JP5429847B2 (ja) * 2008-09-24 2014-02-26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セルフオーダーシステム、オーダーエントリーコントローラー、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92431A (ja) * 2008-10-10 2010-04-22 Toshiba Tec Corp 電子メニュー装置及び電子メニュープログラム
JP4802231B2 (ja) * 2008-10-10 2011-10-2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子メニュー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100100844A1 (en) * 2008-10-10 2010-04-2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Electronic menu apparatus
JP4740990B2 (ja) * 2008-10-10 2011-08-0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飲食店用テーブル及びこのテーブルを用いた電子メニュー装置
KR101011276B1 (ko) * 2008-11-04 2011-01-27 홍나혜 식재료의 원산지 표시를 관리할 수 있는 전자식 메뉴판 관리 시스템
JP4824787B2 (ja) * 2009-04-08 2011-11-3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注文受付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521402B2 (ja) * 2009-06-18 2014-06-11 株式会社寺岡精工 オーダ方法及びオーダ管理システム
US10266155B2 (en) 2009-08-18 2019-04-23 Innovatice Control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washing a vehicle
JP5128623B2 (ja) * 2010-03-09 2013-01-2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子メニュー装置及び電子メニュープログラム
JP2012027812A (ja) * 2010-07-27 2012-02-09 Casio Comput Co Ltd オーダエントリシステム
US20120050019A1 (en) * 2010-08-30 2012-03-01 Castro Margie E Table tek systems
US10679469B2 (en) * 2010-10-08 2020-06-09 Nc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unavailable items in shared screen data
TWI482113B (zh) * 2010-11-18 2015-04-21 Claridy Solutions Inc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used in food and beverage management devices and delivery methods
US8888492B2 (en) 2011-11-21 2014-11-18 Daniel Riscalla Systems and methods for ordering prepared food products
US10127585B1 (en) 2011-12-08 2018-11-13 Uptown Network LLC Interactive method and system for ordering and marketing wine and other products
JP5356615B1 (ja) * 2013-02-01 2013-12-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顧客行動分析装置、顧客行動分析システムおよび顧客行動分析方法
JP5314200B1 (ja) 2013-02-01 2013-10-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接客状況分析装置、接客状況分析システムおよび接客状況分析方法
US20140244408A1 (en) * 2013-02-22 2014-08-28 Select Electronic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gesture-based electronic ticket wheel
JP5764595B2 (ja) * 2013-02-25 2015-08-19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注文受付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20150088671A1 (en) * 2013-09-20 2015-03-26 Sony Corporation Providing customized entertainment based on wait time
CN104036599A (zh) * 2014-06-12 2014-09-10 中山达华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助交易终端
US20160093003A1 (en) * 2014-09-30 2016-03-31 Flo Solutions, Llc Operation management
US10096011B2 (en) * 2015-01-22 2018-10-09 Ebay Inc. Smart table devices and accessories for determining ordering aspects and bills
JP2016177755A (ja) * 2015-03-23 2016-10-06 日本電気株式会社 注文端末装置、注文システム、客情報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576781B (zh) * 2015-04-08 2017-04-01 神雲科技股份有限公司 銷售點裝置及銷售點系統
US10147079B2 (en) 2015-04-14 2018-12-04 Square, Inc. Open ticket payment handling with offline mode
US10762484B1 (en) 2015-09-30 2020-09-01 Square, Inc. Data structure analytics for real-time recommendations
US9569757B1 (en) 2015-09-30 2017-02-14 Square, Inc. Anticipatory creation of point-of-sale data structures
US10078820B2 (en) 2015-12-31 2018-09-18 Square, Inc. Split ticket handling
US11151528B2 (en) 2015-12-31 2021-10-19 Square, Inc. Customer-based suggesting for ticket splitting
JP6297733B1 (ja) * 2017-03-27 2018-03-20 株式会社リクルートホールディングス 順番管理システム、順番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482697B1 (ja) * 2018-02-09 2019-03-13 株式会社リクルート 順番管理システム
US10943193B1 (en) * 2018-05-03 2021-03-09 Saverio Dalia Food and beverage venue management system
US10979238B2 (en) * 2018-05-04 2021-04-13 Hellofactory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processing group message in a store
JP6500153B1 (ja) * 2018-09-13 2019-04-10 ワールドピーコム株式会社 オーダーシステム
KR102306237B1 (ko) * 2019-01-07 2021-09-29 (주) 헬로팩토리 서비스 요청 디바이스
US11961373B2 (en) 2020-07-01 2024-04-16 Pepsico, Inc. Method and system of touch-free vending

Family Cites Families (9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51912A (ko) * 1962-08-24 1900-01-01
US3310797A (en) * 1963-07-01 1967-03-21 Ulysses G Auger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restaurant operation
US3304416A (en) * 1966-03-07 1967-02-14 Marriott Hot Shoppes Inc Business order control system and apparatus
US3821707A (en) * 1973-07-23 1974-06-28 C Peters Waitress call system for cocktail lounge restaurant or the like
US4074793A (en) * 1976-07-09 1978-02-21 Yuter Seymour C Restaurant dining system
US4128757A (en) * 1977-05-05 1978-12-05 Garner Jr Dudley E Customer initiated ordering system
US4222111A (en) * 1977-12-19 1980-09-09 Sherwood Johnst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tatus of tables in a restaurant
US4518821A (en) * 1980-07-28 1985-05-21 Yuter Seymour C Restaurant telephone entertainment system
US4415065A (en) * 1980-11-17 1983-11-15 Sandstedt Gary O Restaurant or retail vending facility
US4388689A (en) * 1981-01-28 1983-06-14 Ocr Marketing Associates, Inc. Restaurant video display system
US4530067A (en) * 1981-03-10 1985-07-16 Xecutek Corporation Restaurant management information an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S58132856A (ja) * 1982-01-30 1983-08-08 San Atom:Kk 注文授受兼精算自動化飲食店店舗装置
JPS6013508B2 (ja) 1982-02-08 1985-04-0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食堂管理装置
US4516016A (en) * 1982-09-24 1985-05-07 Kodron Rudolf S Apparatus for recording and processing guest orders in restaurants or the like
US4722053A (en) * 1982-12-29 1988-01-26 Michael Dubno Food service ordering terminal with video game capability
JPS59194262A (ja) 1983-02-08 1984-11-05 Tatsuku:Kk 食堂サ−ビスシステム
US4553222A (en) * 1983-03-14 1985-11-12 Kurland Lawrence G Integrated interactive restaurant communication system for food and entertainment processing
DE3586524T2 (de) 1984-10-31 1993-01-21 Texas Instruments Inc Durch beide, physikalische und virtuelle addressen, addressierbarer cache-speicher.
JPH0766474B2 (ja) * 1985-06-17 1995-07-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売上データ管理システム
US4701849A (en) * 1986-03-07 1987-10-20 Elden Michael G System for summoning service personnel and monitoring their response time
JPH0764966B2 (ja) 1987-01-22 1995-07-12 旭化成工業株式会社 形状記憶性樹脂材料
FR2622718B1 (fr) * 1987-10-30 1990-05-25 Kalfoun Jean Claude Dispositif pour la transmission d'informations dans un restaurant
US4800438A (en) * 1987-12-08 1989-01-24 Yuter Seymour C Telephone console for restaurant tables
US5003472A (en) * 1988-12-05 1991-03-26 Wand Corporation Apparatus for order entry in a restaurant
JPH0322259A (ja) * 1989-03-22 1991-01-30 Seiko Epson Corp 小型データ表示・再生装置
US5128862A (en) * 1989-06-28 1992-07-07 Management Information Support, Inc. Customer operable system for a retail store or fast-food restaurant having plural ordering stations
US5272474A (en) * 1990-05-16 1993-12-21 Intelli-Hos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tables
US5594470A (en) * 1992-10-02 1997-01-14 Teletransaction, Inc. Highly integrated portable electronic work slate unit
US5355115A (en) * 1992-12-14 1994-10-11 Goor Associates, Inc. Waitstaff signaling device for use in a service establishment
US5463742A (en) * 1993-03-05 1995-10-31 Hitachi Computer Products (America), Inc. Personal processor module and docking station for use therewith
US5347734A (en) * 1993-03-08 1994-09-20 Howell Lloyd A Modular display device
US5832446A (en) * 1993-03-31 1998-11-03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Interactive database method and system for food and beverage preparation
US6019393A (en) * 1993-06-11 2000-02-01 Loebner; Hugh Gene Planar means for indicating a gratuity as a function
JPH0728887A (ja) 1993-06-24 1995-01-31 Oki Electric Ind Co Ltd オーダターミナル
US5477415A (en) * 1993-11-12 1995-12-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utomatic computer docking station having a motorized tray, cammed side connectors, motorized side connectors, and locking and unlocking guide pins
US5489887A (en) * 1993-12-20 1996-02-06 Porras; Miguel A. Waiter signaling device
US5594409A (en) * 1994-01-31 1997-01-14 Shank; Edward J. Customer activated device
US5828294A (en) * 1994-01-31 1998-10-27 Shank; Edward J. Customer activated signal for service
US5625829A (en) * 1994-03-25 1997-04-29 Advanced Micro Devices, Inc. Dockable computer system capable of symmetric multi-processing operations
US5596728A (en) * 1994-05-04 1997-01-21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lving resource conflicts after a portable computer has docked to an expansion base unit
US5488572A (en) * 1994-05-04 1996-01-30 Compaq Computer Corp. Portable computer system for docking to an expansion base unit
JPH0844798A (ja) 1994-07-29 1996-02-16 Tec Corp 無線式注文管理システム
US5926111A (en) * 1994-08-29 1999-07-20 D & B Supply, Inc. Pulsed width modulated remote signalling and location identification system for summoning a service industry worker
US5602730A (en) * 1994-12-07 1997-02-11 Altoc Corporation Restaurant management system
US5587560A (en) * 1995-04-10 1996-12-24 At&T Global Information Solutions Company Portable handwritten data capture device and method of using
US5826043A (en) * 1995-06-07 1998-10-20 Ast Research, Inc. Docking station with serially accessed memory that is powered by a portable computer for identifying the docking station
US5912743A (en) * 1995-06-16 1999-06-15 Seiko Epson Corporation Terminal device
US5845263A (en) * 1995-06-16 1998-12-01 High Technology Solutions, Inc. Interactive visual ordering system
JP3384517B2 (ja) * 1995-07-19 2003-03-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レジスター
US5798951A (en) * 1995-12-29 1998-08-2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un-preconditioned insertion/removal capability between a notebook computer and a docking station
US5838798A (en) * 1996-02-07 1998-11-17 Ncr Corporation Restaurant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5699226A (en) * 1996-02-13 1997-12-16 Dell U.S.A., L.P. Computer docking station having interchangeable receivers configured for docking various sized portable computers
US5748083A (en) * 1996-03-11 1998-05-05 Security Solutions Plus Computer asset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6286102B1 (en) * 1996-04-30 2001-09-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ive wireless disablement for computers passing through a security checkpoint
KR200173188Y1 (ko) * 1996-06-03 2000-03-02 정진한 무선리모콘 송수신기의 회로
US5800264A (en) * 1996-08-05 1998-09-01 Silicon Gam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ignal indicating the approximate amount of elapsed time
KR100207596B1 (ko) * 1996-09-13 1999-07-15 윤종용 카드 가맹점용 전자식 지불 단말기
US5757616A (en) * 1996-10-31 1998-05-26 Hewlett-Packard Company Physical security system for portable computer
US5937386A (en) * 1996-12-09 1999-08-10 Frantz; Howard J. Computerized method and system for fulfillment of an itemized food order from a quick-service restaurant menu
US6088681A (en) * 1997-02-11 2000-07-11 Coleman; James Hamilton Restaurant management system
US6341268B2 (en) * 1997-03-21 2002-01-22 Walker Digital, Llc System and method providing a restaurant menu dynamically generated based on revenue management information
US20020032667A1 (en) * 1997-03-21 2002-03-14 Walker Jay S. System and method providing a restaurant menu dynamically generated based on revenue management information
US5966285A (en) * 1997-06-06 1999-10-12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obile portable computer docking/office station
US6275882B1 (en) * 1997-09-30 2001-08-14 Encanto Network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hot docking interface for transmitting digital video data
US6556435B1 (en) * 1997-10-31 2003-04-29 Hewlett-Packard Company Adjustable height docking station and computing device for use therewith
JPH11143933A (ja) * 1997-11-07 1999-05-28 Seiko Instruments Inc 注文データ管理装置
CA2254695A1 (en) * 1997-12-19 1999-06-19 John M. Todd Anti-theft alarm for portable electrically operated devices
US6212265B1 (en) * 1998-01-27 2001-04-03 Darin Duphorne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mail notification
US5907275A (en) * 1998-01-30 1999-05-25 Battistini; Michael Order communication system for restaurant
US6087927A (en) * 1998-01-30 2000-07-11 Techknow, Inc. Order communication system for restaurant
US5969968A (en) * 1998-04-17 1999-10-19 Pentel; Randolph M. Remote ordering system for restaurant drive-up lane
US6135801A (en) * 1998-04-30 2000-10-24 Hewlett-Packard Company Computer underside docking method and apparatus
US6359994B1 (en) * 1998-05-28 2002-03-19 Compaq Information Technologies Group, L.P. Portable computer expansion base with enhancement speaker
US6170026B1 (en) * 1998-06-16 2001-01-02 Modubility Llc Mobile computing systems which automatically reconfigure to operate any devices attached to a docking module upon connection to the docking station
US6133830A (en) * 1998-06-19 2000-10-17 Lexent Technologies, Inc. Motion sensitive anti-theft device with alarm screening
JP2000010689A (ja) * 1998-06-22 2000-01-14 Sharp Corp フリーキーレイアウト設定装置
JP2000011042A (ja) * 1998-06-25 2000-01-14 Hitachi Ltd 発注オーダ・料金情報管理システム
US6137409A (en) * 1998-08-28 2000-10-24 Stephens; Bruce Randall Computer anti-theft system
US6553386B1 (en) * 1998-12-14 2003-04-22 Oliver Alabaster System and method for computerized visual diet behavior analysis and training
US6301124B1 (en) * 1999-02-04 2001-10-09 Dell Usa, L.P. Computer chassis identification method
US20020194129A1 (en) * 1999-04-08 2002-12-19 Hitachi, Ltd. IC card reader/writer
JP2002543505A (ja) * 1999-04-26 2002-12-17 カッツ・ロナルド 視覚障害者のための販売時点情報管理端末
JP2002543500A (ja) * 1999-04-27 2002-12-17 アイスリーイー・ホールディングス・エルエルシー 遠隔注文システム
US6973437B1 (en) * 1999-06-29 2005-12-06 Olewicz Tadeusz A Computer integrated communication system for restaurants
US6301564B1 (en) * 1999-08-20 2001-10-09 Helena B. Halverson Dimensional dining restaurant management system
US6594502B1 (en) * 1999-08-27 2003-07-15 Singles Advantage Dating system
US6327576B1 (en) * 1999-09-21 2001-12-04 Fujitsu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xpiration-dated products utilizing an electronic receipt
US6646659B1 (en) * 1999-12-17 2003-11-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specifying an electronic food menu with food preferences from a universally accessible database
USD433438S (en) * 2000-03-17 2000-11-07 Kevin G Wharram Restaurant ordering unit
US6366196B1 (en) * 2000-04-25 2002-04-02 Daniel Green Restaurant waiter paging system
US20030088469A1 (en) * 2000-05-08 2003-05-08 Richard Leifer Restaurant management system
US6636835B2 (en) * 2001-04-04 2003-10-21 3De Innovations Wireless maitre d' system for restaurants
US20020188495A1 (en) * 2001-06-07 2002-12-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ood processing management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936A (ko) * 2001-08-13 2001-09-29 이상현 음성을 이용한 접객업소용 주문 처리 시스템
KR100896354B1 (ko) * 2006-03-30 2009-05-08 주식회사 워커힐 호텔 부속 카지노 고객 관리방법
KR100981030B1 (ko) * 2010-03-11 2010-09-10 주식회사 이드림 유ㆍ무선주문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메뉴 자동 주문처리 시스템
KR100981029B1 (ko) * 2010-03-11 2010-09-10 주식회사 이드림 무선주문리모콘을 이용한 실시간 메뉴 자동 주문처리 시스템
KR20140122930A (ko) * 2013-04-11 2014-10-21 전화성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46572B (en) 2003-08-11
KR100719073B1 (ko) 2007-05-16
JP2001134673A (ja) 2001-05-18
US7257547B1 (en) 2007-08-14
JP3582782B2 (ja) 200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073B1 (ko) 음식점용 접객관리장치
US6973437B1 (en) Computer integrated communication system for restaurants
US20040143503A1 (en) Restaurant automation system
KR101714023B1 (ko) 자동 주문 및 배달 기능을 갖는 무인 자동화 음식점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60143087A1 (en) Restaurant management using network with customer-operated computing devices
JP2003044563A (ja) 飲食店における情報管理システム
JP3867208B2 (ja) 飲食店用券売機を用いた料理提供システム
JP4227848B2 (ja) 注文データ受付方法および装置
JP2004127110A (ja) 注文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2001319275A (ja) セルフオーダーエントリシステム
JP5318599B2 (ja) 注文情報管理システム
WO2001035716A2 (en) Interactive menu system for restaurants
KR20210039513A (ko) 무인 자동 주문수거 식당관리 시스템
JPH07191643A (ja) 飲食店のメニュー提示方法、その装置、注文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6839334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訪問支援方法
JP4455739B2 (ja) 店舗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3115082A (ja) オーダーエントリーシステム
WO2019202846A1 (ja) 食品管理システム
JP2000123088A (ja) 飲食店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4280615A (ja) 飲食店における飲食物告知発注システム
JP2002117120A (ja) テーブルオンラインシステム
KR102551908B1 (ko) 포터블 키오스크를 적용한 무인 매장 운용시스템
JP3363092B2 (ja) オーダーシステム
JP2004220150A (ja) 予約システムおよび予約方法
JPH0520341A (ja) 複数の入出力装置を用いた対話式商品登録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