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067B1 - 폴리이미드 및 폴리아믹 에스테르 폴리머의 개선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이미드 및 폴리아믹 에스테르 폴리머의 개선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067B1
KR102219067B1 KR1020157033991A KR20157033991A KR102219067B1 KR 102219067 B1 KR102219067 B1 KR 102219067B1 KR 1020157033991 A KR1020157033991 A KR 1020157033991A KR 20157033991 A KR20157033991 A KR 20157033991A KR 102219067 B1 KR102219067 B1 KR 102219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polymer
purification
organic solution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188A (ko
Inventor
윌리엄 에이. 레이너쓰
산자이 말릭
비노드 비. 드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일렉트로닉 머티리얼스 유.에스.에이.,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일렉트로닉 머티리얼스 유.에스.에이., 아이엔씨. filed Critical 후지필름 일렉트로닉 머티리얼스 유.에스.에이.,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60011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03Preparatory processes
    • C08G73/1007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 C08G73/1028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tself, e.g. steps, continuous
    • C08G73/1032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tself, e.g. steps, continuou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67Wholly aromatic polyimides, i.e. having both tetracarboxylic and diamino moieties aromatically bound
    • C08G73/1071Wholly aromatic polyimide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bonds in the main ch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he substrate being rotated
    • B05D1/005Spin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1/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11/01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11/02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211/09Di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1/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03Preparatory processes
    • C08G73/1007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 C08G73/101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containing chain terminating or branching agents
    • C08G73/1014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containing chain terminating or branching agents in the form of (mono)anhydr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39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comprising halogen-containing sub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42Copolyimides derived from at least two different tetracarboxylic compounds or two different diamino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67Wholly aromatic polyimides, i.e. having both tetracarboxylic and diamino moieties aromatically b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35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61/00 - C09D177/00
    • C09D1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9D1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1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carbon based polymeric organic or inorganic material, e.g. polyimides, poly cyclobutene or PV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8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liquid deposition, e.g. spin-coating, sol-gel techniques, spray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29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carbon
    • H01L23/293Organic, e.g. plas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2/00Systems containing two condensed rings
    • C07C2602/02Systems containing two condensed rings the rings having only two atoms in common
    • C07C2602/04One of the condensed rings be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602/08One of the condensed rings be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the other ring being five-membered, e.g. ind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61/00 - C08J2377/00
    • C08J23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J23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Other Resins Obtained By Reactions Not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Ink Jet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머의 정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a) 1종 이상의 극성의 반양성자성 중합 용매 중에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유기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b)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를 유기 용액에 첨가하여, 유기 용액 희석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유기 용액 희석액을 물 또는 수용액으로 세척하여, 세척된 유기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세척된 유기 용액에서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를 적어도 일부 제거하여 정제된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는 1종 이상의 중합 용매보다 극성이 낮고, 25℃에서 1종 이상의 중합 용매보다 수용성이 낮다. 본 발명은 또한, 반도체 기판 상에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 뿐만 아니라 관련된 정제된 폴리머 용액, 필름 및 물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이미드 및 폴리아믹 에스테르 폴리머의 개선된 제조 방법{IMPROVE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IMIDE AND POLYAMIC ESTER POLYMERS}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3년 5월 17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번호 61/824,529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의 내용은 그 전체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폴리이미드 폴리머는 수십년간 다양한 용도들에서 내열성 물질 및 내화학성 물질로서 사용되어 왔다. 또한, 이것은 다양한 전자 소자의 제조에 유용한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진다.
폴리이미드(PI) 폴리머는 전형적으로, 이의 전구체, 폴리아믹산(PAA) 폴리머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PAE) 폴리머의 화학적 처리 또는 열 처리에 의해 제조된다. 대부분의 PAA 및 PAE 폴리머는 이들이 합성되는 극성의 반양성자성 중합 용매에서 가용성인 반면, 이미드화로 형성되는 제조되는 PI 폴리머는 통상 불용성이다. 많은 적용들에서, PI 폴리머가 가용성이 아니기 때문에, PAA 또는 PAE 폴리머를 기판 상에 코팅한 후, 350℃가 넘는 온도로 경화하여, PI 폴리머를 형성시킨다. 최근 고급 적용들에서는, 가용성 PI 폴리머를 코팅하는 것이, 필수 경화 온도가 보다 낮고 경화로 인한 필름 두께 감소율이 더 낮아 기판에 대한 응력이 거의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이의 PAA 또는 PAE 전구체를 코팅하는 것보다 더 바람직하다.
PI 폴리머가 용해된 상태로 있는 경우, 분리 및 정제는 다량의 비-용매에 중합액을 첨가함으로써 달성된다. 예를 들어, 특허 번호 US3856752, US4026876, US5252534, US5478915, US20040265731 및 US20040235992를 참조하며, 이들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전형적인 비-용매는 물, 메탄올 및 2-프로판올과 같은 저 비점 알코올, 또는 헥산 또는 톨루엔과 같은 탄화수소 용매이다. 석출된 폴리머는 이후 여과하고, 부가적인 다량의 비-용매로 세척한 다음 승온된 온도에서 진공 하에 건조한다. 대부분의 경우, 순도가 충분한 물질을 수득하기 위해, 폴리머를 용매에 재용해한 다음 비-용매 중에서 다시 석출시켜야 한다. PI 폴리머에 불순물이 존재하면, 내기계성, 내전기성 또는 내화학성과 같은 특성이 저하된 조성물이 생성된다. 또한, 최종 폴리머 또는 이들 폴리머로부터 유래되는 조성물에 바람직하지 않은 극성의 반양성자성 중합 용매가 소량 존재하는 것은 환경, 안전성 및 건강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들 방법은 또한, PAA 및 PAE 폴리머를 분리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PI, PAA 및 PAE 폴리머의 제조에 사용되는 종래의 방법은 종종, 제조되는 폴리머 1 kg 당 폐기물 100 kg 내지 500 kg을 발생시킬 것이다. 부가적으로,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부적절한 극성의 반양성자성 중합 용매와 PI, PAA 및 PAE 폴리머 간의 강한 결합으로 인해, 잔류 용매의 양을 원하는 수준(예, 1 중량% 미만)까지 줄이기 대단히 어렵다. 더욱이, 여러번의 석출, 여과 및 건조 단계들로 인해 취급되는 과량의 폴리머는, 미량 금속과 같은 화학종에 의한 오염으로 인해 폴리머의 순도를 더 해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용성 폴리이미드(PI) 및 폴리아믹 에스테르(PAE) 폴리머의 환경친화적이며 효율적인 제조 및 정제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이 방법은, 발생되는 폐기물을 종래의 석출 방법과 비교하여 상당히 감소시키면서도, 수득되는 PI 폴리머 및 PAE 폴리머에서 불순물(예, 잔류 용매 또는 금속)의 양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득되는 PI 폴리머 및 PAE 폴리머는 반도체 소자용 유전체 및 포장 물질과 같은 광범위하게 다양한 용도들을 가진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a) 1종 이상의 극성의 반양성자성 중합 용매 중에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유기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b)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를 유기 용액에 첨가하여, 유기 용액 희석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유기 용액 희석액을 물 또는 수용액으로 세척하여, 세척된 유기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세척된 유기 용액에서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를 적어도 일부 제거하여, 정제된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을 특징으로 하며,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는 1종 이상의 중합 용매보다 극성이 낮고, 25℃에서 1종 이상의 중합 용매보다 수용성이 낮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정제된 폴리머 용액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a) 1종 이상의 극성의 반양성자성 중합 용매 중에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유기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b)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를 유기 용액에 첨가하여, 유기 용액 희석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유기 용액 희석액을 물 또는 수용액으로 세척하여, 세척된 유기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d) 세척된 유기 용액에서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를 적어도 일부 제거하여, 정제된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e) 정제된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용액을 기판 상에 코팅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판 상에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며,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는 1종 이상의 중합 용매보다 극성이 낮고, 25℃에서 1종 이상의 중합 용매보다 수용성이 낮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독립형(free-standing) 필름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 및 반도체 상에서 상기 기술된 방법에 의해 형성된 필름을 포함하는 물품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실시예 7의 폴리머 및 비교예 1의 폴리머로부터 수득되는 GPC 크로마토그램의 중복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크로마토그램 1은 실시예 7의 폴리머로부터 수득되었다. 크로마토그램 2는 비교예 1의 폴리머로부터 수득되었다.
용어 "용매(들)"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항상,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더라도, 이는 단일 유기 용매 또는 둘 이상의 용매들의 조합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개선된 순도를 가진 PI 폴리머 및 PAE 폴리머의, 효율적이며 환경친화적인 제조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서 기술된 방법은 고체 폴리머의 석출 및 분리를 피할 수 있으며, 열-경화성 조성물 및 광화학-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들의 조성물 내에 혼입되기에 유용한 바람직한 폴리머의 정제된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폴리머의 정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a) 1종 이상의 극성의 반양성자성 중합 용매 중에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유기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b)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를 유기 용액에 첨가하여, 유기 용액 희석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유기 용액 희석액을 물 또는 수용액으로 세척하여, 세척된 유기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d) 세척된 유기 용액에서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를 적어도 일부 제거하여 정제된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는 1종 이상의 중합 용매보다 극성이 낮고, 25℃에서 1종 이상의 중합 용매보다 수용성이 낮다.
단계 1 -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일부 구현예에서, 1종 이상의 극성의 반양성자성 중합 용매 중에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유기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는, 결과적으로 수득되는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의 분리없이도, 1종 이상의 극성의 반양성자성 중합 용매에서 적절한 출발 시약을 사용하여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를 제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정의 일 구현예의 초기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다이아민(들)은 1종 이상의(예, 2, 3 또는 그 이상의) 중합 용매(들)에서 하나 이상의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들)과 조합되어, 폴리아믹산(PAA) 폴리머를 형성한다. 일 구현예에서, 형성된 PAA 폴리머는 화학적으로 또는 열에 의해 이미드화되어, PI 폴리머를 형성하며, 이는 중합 용매(들)에서 가용성을 유지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PAA 폴리머는, 폴리머 합성 동안에 적절한 시약을 사용하거나 또는 폴리머 합성 후 및 이미드화 전에 적절한 제제를 사용함으로써 말단-캡핑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형성된 PAA 폴리머는 에스테르화되어, PAE 폴리머를 형성하며, 이는 중합 용매(들)에서 가용성을 유지한다. 다른 예로, 또 다른 구현예에서, PAE 폴리머는 1종 이상의 중합 용매(들)에서 테트라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절반과 하나 이상의 다이아민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PAE 폴리머는 이미드화 전에 적절한 제제를 사용함으로써 말단-캡핑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화학적 이미드화제(예, 탈수제)는, 이미드 관능기를 형성하기 위해 폴리아믹산기의 고리-닫기 탈수 공정을 촉매하는 PAA 폴리머에 첨가되며, 이로써 PI 폴리머가 형성된다. 적합한 탈수제의 예로는, 트리플루오로메탄 설폰산, 메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에탄설폰산, 부탄설폰산, 퍼플루오로부탄설폰산, 아세트산 무수물, 프로피온산 무수물 및 부티르산 무수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탈수 공정은 염기성 촉매의 추가적인 첨가에 의해 촉매될 수 있다. 적합한 염기성 촉매의 예로는,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트리부틸아민, 다이사이클로헥실메틸아민, 2,6-루티딘, 3,5-루티딘, 피콜린,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DMAP)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되는 경우, 염기성 촉매는 전술한 말단-캡핑 반응에서 사용된 염기성 촉매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PI 폴리머는 이미드화 후, 중합 용매에서 가용성을 유지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PAE 폴리머는 에스테르화 및/또는 중합 후, 중합 용매에서 가용성을 유지한다.
말단캡핑된 및 비-말단캡핑된 PAA 폴리머, PI 폴리머 및 PAE 폴리머의 합성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의 예는 미국 특허 US2731447, US3435002, US3856752, US3983092, US4026876, US4040831, US4579809, US4629777, US4656116, US4960860, US4985529, US5006611, US5122436, US5252534, US5478915, US5773559, US5783656 및 US5969055, 미국 특허 출원 US20040265731, US20040235992 및 US2007083016, 및 유럽 특허 출원 EP0317754 A2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은 그 전체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중합 용매(들)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극성의 반양성자성 용매이거나, 또는 둘 이상의 극성의 반양성자성 용매의 조합이다. 적합한 극성의 반양성자성 용매의 예로는, 다이메틸포름아미드(DMF), 다이메틸아세타미드(DMAc), N-포르밀모르폴린(NFM), N-메틸피롤리디논(NMP), N-에틸피롤리디논(NEP),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 감마-부티로락톤(GBL), 헥사메틸 인산 트리아미드(HMPT),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 1,4-다이옥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중합, 이미드화, 및/또는 에스테르화 반응용 반응 혼합물은 또한, 부가적인 중합 공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중합 공용매의 예로는, 1,2-다이메톡시에탄, 1,2-다이메톡시프로판, 다이글림, 트리글림 및 테트라글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합 용매 및/또는 반응 공용매는 수 혼화성 용매일 수 있다.
PI 폴리머 또는 PAE 폴리머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다이아민의 예로는, 4,4'-[1,4-페닐렌-비스(1-메틸에틸리덴)] 비스아닐린(DAPI),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 프로판(BAPP),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 헥사플루오로프로판(HFBAPP), 2,2-비스(4-아미노페닐) 헥사플루오로프로판(Bis-A-AF), 4,4'-옥시다이아닐린(ODA), 1,3-페닐렌 다이아민, 1,4-페닐렌 다이아민, 4,4'-메틸렌다이아닐린(MDA), 3,4'-옥시다이아닐린, 4,4'-다이아미노다이페닐설폰(DDS), 3,3'-다이아미노다이페닐설폰, 4,4'-다이아미노다이페닐설파이드(ASD), 1,3-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APB-133), 4,4'-메틸렌-비스(2-클로로아닐린), 1,3-비스(아미노프로필)테트라메틸다이실록산, m-톨리딘, o-톨루이딘, 1,4-다이아미노듀렌(DAD), 1,3-다이아미노메시틸렌(DAM) 및 상기 참조된 미국 특허 및 미국 특허 출원에서 언급된 다이아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I 폴리머 또는 PAE 폴리머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의 예로는,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 3,3',4,4'-벤조페논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BTDA), 2,2'-비스(3,4-다이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이무수물(6FDA), 3,3',4,4'-바이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BPDA), 4,4'-옥시다이프탈산 무수물(ODPA), 5-(2,5-다이옥소테트라하이드롤)-3-메틸-3-사이클로헥센-1,2-다이카르복실산 무수물(B-4400), 4,4'-비스페놀 A 이무수물(BPADA), 3,3',4,4'-다이페닐설폰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DSDA) 에틸렌 글리콜 비스(트리멜리트산 무수물) 및 상기 참조된 미국 특허 및 미국 특허 출원에서 언급된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합, 이미드화 및 에스테르화 반응에 대한 광범위하게 상이한 시간, 온도 및 농도 조건이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의 예는 상기 참조된 미국 특허 및 미국 특허 출원에 기술되어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들 합성에 적용될 적절한 조건들을 이해할 것이다.
단계 2 - 정제 용매(들)를 사용한 희석
단계 1에서 중합, 이미드화, 및/또는 에스테르화 반응 후, 단계 1에서 형성된 반응 혼합물은 1종 이상의(예, 2, 3 또는 그 이상의) 정제 용매(들)로 희석되어,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유기 용액 희석액이 제조될 수 있다. 정제 용매(들)는, 극성의 반양성자성 중합 용매(들)보다 극성이 낮으며 25℃에서 적용되는 중합 용매(들)보다 물에서 더 낮은 용해도를 가진 용매, 또는 둘 이상의 용매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론으로 결부시키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정제 용매(들)의 2가지 주요 기능은 (1) PI 폴리머 또는 PAE 폴리머를 용액에서 유지시키는 것과, (2) 물 및/또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용액과의 이염기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이염기성 혼합물은 2개의 구별되는 개별 상들(예, 2개의 구별되는 액체상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지칭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정제 용매(들)는 에스테르, 에테르, 케톤, 하나 이상의 할라이드(예, F, Cl, Br 또는 I)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탄화수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정제 용매(들)의 예로는,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이소부틸 아세테이트, sec-부틸 아세테이트, 사이클로헥실 아세테이트, 에틸 락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GMEA),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아세테이트, 프로필 포르메이트, 부틸 포르메이트, 이소부틸 포르메이트, 펜틸 포르메이트, 입실론-카프로락톤, 다이에틸 에테르, 다이프로필 에테르, 다이부틸 에테르, 다이사이클로헥실 에테르, 사이클로펜틸 메틸 에테르, 메틸 tert-부틸 에테르, 에틸 tert-부틸 에테르, 아니솔, 페닐 에틸 에테르, 다이페닐 에테르, 1,2-다이메톡시프로판, 1,2-다이메톡시에탄, 2-부타논, 2-펜타논, 3-펜타논, 메틸 이소부틸 케톤, 에틸 이소부틸 케톤, 메틸 이소프로필 케톤, 사이클로펜타논, 사이클로헥사논, 아세토페논, 이소포론, 메시틸 옥사이드,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 벤젠, 클로로벤젠, 1,2-다이클로로벤젠, α,α,α-트리플루오로톨루엔, 펜탄, 헥산, 헵탄, 옥탄, 사이클로헥산, 메틸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헥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I 폴리머 또는 PAE 폴리머의 용해도 특징에 따라, 정제 용매(들)는 희석/정제 단계에서 단독 용매(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구현예에서, 정제 용매(들) 외에도, 정제용 공용매(들)가 사용될 수 있다. 정제용 공용매는, 25℃에서 정제 용매(들)보다 물에서 더 높은(예, 상당히 더 높은) 용해도를 가진 유기 용매이다. 일반적으로, 정제용 공용매(들)는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으나,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들)와 조합하여 사용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정제 용매는 수 비혼화성 용매일 수 있다.
적합한 정제용 공용매의 예로는, 아세톤, 감마-부티로락톤(GBL), 푸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메틸 에테르, 1,4-다이옥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정제용 공용매는 수 혼화성 용매일 수 있다.
단계 3 - 유기 용액 희석액의 세척
일단 PI 폴리머 또는 PAE 폴리머가 정제 용매(들)에서 희석된 경우, 이 유기 용액 희석액은 물 및/또는 첨가제(예, 산 또는 염기)를 포함하는 수용액으로 세척되어, 세척된 유기 용액이 수득될 수 있다. 이론으로 결부시키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단계는 폴리머-함유 유기상으로부터 수성상으로 중합 용매(들), 중합 부산물, 촉매, 잔류하는 모노머 및 다른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PI 폴리머 또는 PAE 폴리머를 정제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이 이 단계에 사용되는 경우, 이 용액은 산, 염기, 또는 킬레이트제와 같은 부가적인 성분을, 불순물(예, 중합 부산물)의 제거에 의해 PI 폴리머 또는 PAE 폴리머의 순도를 증강시키기에 충분한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수용액에서 산, 염기 또는 다른 첨가제의 농도는 약 0.1 중량% 이상(예, 약 0.3 중량% 이상, 약 0.5 중량% 이상 또는 약 1 중량% 이상) 내지 약 10 중량% 이하(예, 약 8 중량% 이하, 약 7 중량% 이하 또는 약 5 중량%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세척 단계는 상기 희석 단계에서 수득된 유기 용액 희석액에 물 또는 수용액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세척 단계는 (예, 유기상 및 수성상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음으로써) 유기상 및 수성상을 가진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 단계는 수성상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희석액의 세척은 실질적으로, 유기 용액 희석액에서 1종 이상의 중합 용매 또는 또 다른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세척 단계의 효과를 개선시키기 위해, PI 폴리머 또는 PAE 폴리머를 포함하는 단계 2 유래의 유기 용액 희석액 및 수성 세척 매질(예, 물 또는 수용액)은 교반(agitation)에 의해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교반은 교반(stirring), 진탕(shaking), 인버팅(inverting) 또는 유기상과 수성상의 효과적인 혼합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다른 방법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혼합 후, 혼합물은 2개의 구별되는 개별 상들이 형성될 때까지, 방해받지 않은 채 유지될 수 있다. 구별되는 개별 상들의 형성 시, 수성상은 제거 및 폐기되어 불순물(예, 중합 용매)이 제거될 수 있다. 단계 3(및 선택적으로 필요한 경우 단계 2와 함께)은 원하는 폴리머 순도를 달성하기 위해 임의의 횟수로 반복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수성 세척 횟수는 1회 내지 5회(즉, 1회, 2회, 3회, 4회 또는 5회)이다.
PI 폴리머 또는 PAE 폴리머의 정제를 위해 사용되는 물 및/또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의 총량은 폴리머 1 kg 당 수성 매질 약 1 kg 내지 약 80 kg 범위이다.
광범위한 교반 속도, 시간, 온도 및 분리 조건이 사용될 수 있다. 이론으로 결부시키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단계의 필수적인 측면은 상당량의 중합 용매(들) 및 다른 불순물들을 수성상 내로 추출하기 위해 혼합물을 충분히 혼합한 다음 상분리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 조건은 혼합 및 분리에 사용되는 용기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교반 시간은 약 1분 내지 약 24시간(예, 약 10분 내지 약 6시간)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교반 온도는 약 10℃ 내지 약 40℃(예, 약 15℃ 내지 약 30℃)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분리 시간은 약 10분 내지 약 24시간(예, 약 15분 내지 약 12시간)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분리 온도는 약 10℃ 내지 약 40℃(예, 약 15℃ 내지 약 30℃)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PI 폴리머가 제조 및 정제되는 경우, 최종적인 수성 세척 후 잔류하는 잔류 중합 용매(들)의 양은 PI 폴리머의 중량의 약 1 중량% 이하(예, 약 0.5 중량% 이하)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PAE 폴리머가 제조 및 정제되는 경우, 최종적인 수성 세척 후 잔류하는 잔류 중합 용매(들)의 양은 PAE 폴리머의 중량의 약 5 중량% 이하(예, 약 4 중량% 이하, 약 3 중량% 이하, 약 2 중량% 이하, 약 1 중량% 이하, 약 0.5 중량% 이하)이다.
단계 4 - 용매 제거 및/또는 교환
PI 폴리머 또는 PAE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기 용액이 수성 매질(예, 물)에 의해 세척된 후, 유기 용매 내의 정제 용매(들) 중 적어도 일부(예, 실질적으로 모두)는 제거되거나 또는 1종 이상의 분리 용매(들)로 교환되어, 정제된 PI 폴리머 또는 PAE 폴리머를 포함하는 용액(즉, 정제된 폴리머 용액)이 수득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정제된 폴리머 용액에서 정제 용매(들)(및 필수적으로 모든 잔류하는 물)의 적어도 일부(예, 실질적으로 모두)는 분리 용매(들)로 교환되는 용매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분리 용매(들)는, 비점이 정제 용매(들)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높은 용매 또는 둘 이상의 용매들의 조합이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분리 용매(들)는 정제 용매(들) 또는 중합 용매(들)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분리 용매(들)는 정제 용매(들) 또는 중합 용매(들)와 상이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분리 용매(들)는 다수의 산업적 용도에 사용되는 다양한 코팅 및 적용 방법과 상용성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분리 용매(들)는 케톤, 에스테르, 탄화수소, 설폭사이드, 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분리 용매(들)의 예로는, 메틸 에틸 케톤(MEK), 메틸 이소부틸 케톤(MIBK), 2-헵타논, 사이클로펜타논, 사이클로헥사논, 자일렌, 감마-부티로락톤, 다이메틸설폭사이드,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GMEA),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PGME), 에틸 락테이트(EL)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분리 용매(들)는 우선, PI 폴리머 또는 PAE 폴리머를 포함하는 세척된, 정제된 유기 용액에 첨가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이러한 구현예에서, 정제 용매(들)는 증발 또는 증류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 단계 후에 잔류하는 잔류 정제 용매(들)의 양은 PI 폴리머 또는 PAE 폴리머의 중량의 약 2 중량% 이하(예, 약 1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이론으로 결부시키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정제 용매(들)의 비점보다 높은 비점을 가진 분리 용매(들)의 첨가는 증류 동안에 정제 용매(들)의 제거를 촉진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론으로 결부시키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정제 용매(들)를 분리 용매(들)로 교환하는 것 외에도, 이 단계는 또한, 잔류하는 물을 정제 용매(들)와 함께 (예, 증류를 통해) 제거함으로써 최종 폴리머 용액을 건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정제 용매(들) 중 적어도 일부(예, 실질적으로 모두)가 분리 용매(들)로 교환된 후, PI 폴리머 또는 PAE 폴리머를 포함하는 용액은 기판 상에 코팅하기에 적합한 용액을 제조하기 위해 농축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분리 용매(들)가 정제 용매(들)와 동일한 경우, 용매 제거 단계는 우선, 소정량의 정제 용매(들)를, PI 폴리머 또는 PAE 폴리머를 포함하는 세척된, 정제된 유기 용액에 첨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형성되는 용액에서 정제 용매(들) 중 적어도 일부는 (예, 증발 또는 증류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이론으로 결부시키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잔류하는 물 및 중합 용매(들)를 정제 용매(들)를 사용하여 (예, 증발 또는 증류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최종 폴리머 용액의 순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나아가, 이론으로 결부시키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단계에서 정제 용매(들)를 첨가하는 것은 폴리머가 용매 제거 공정 동안에 용액으로부터 석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증류 조건은, 원하는 최종 결과를 창출할, 폴리머가 안정한 임의의 온도 및 압력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증류 온도는 약 20℃ 내지 약 70℃(예, 약 25℃ 내지 약 45℃)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증류 압력은 약 760 Torr 내지 약 0.1 Torr(예, 약 100 Torr 내지 약 0.1 Torr)이다. 상기 상세한 공정을 통해 순도가 증강된 PI 폴리머 및 PAE 폴리머가 제조되지만, 비제한적인 예로 이온 교환 및 여과를 포함하는 부가적인 공정 단계가 이 공정의 단계 3 및 단계 4 전 및/또는 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공정으로부터 수득되는 정제된 PI 폴리머 또는 PAE 폴리머 용액을 특징으로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정제된 PI 폴리머 또는 PAE 폴리머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예, 증류를 통한 용매의 제거 또는 석출에 의해) 상기 수득된 정제된 폴리머 용액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개선된 순도의 PI 폴리머 및 PAE 폴리머는 조성물(예, 필름-형성 조성물, 열-경화성 조성물, 감광성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기판(예, 반도체 기판) 상에서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방법은 (a) 1종 이상의 극성의 반양성자성 중합 용매 중에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유기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b)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를 유기 용액에 첨가하여, 유기 용액 희석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유기 용액 희석액을 물 또는 수용액으로 세척하여, 세척된 유기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d) 세척된 유기 용액에서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를 적어도 일부 제거하여 정제된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e) 정제된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용액을 기판 상에 코팅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는 1종 이상의 중합 용매보다 극성이 낮고, 25℃에서 1종 이상의 중합 용매보다 수용성이 낮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기술된 코팅 단계는 잉크젯 프린팅, 스핀 코팅, 분무 코팅, 딥 코팅, 롤러 코팅 또는 동적 표면 장력 코팅(dynamic surface tension coating)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 및 반도체 기판 상에서 상기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필름을 포함하는 물품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물품의 예로는, 와이어 분리, 와이어 코팅, 와이어 에나멜 또는 잉크드(inked) 기판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물품의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를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반도체 소자는 집적 회로, 발광 다이오드, 태양 전지 및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서 기술되는 정제된 PI 폴리머 또는 PAE 폴리머 용액으로부터 독립형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수득되는 독립형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a) 본원에 기술된 정제된 PI 폴리머 또는 PAE 폴리머 용액으로 기판을 코팅하여, 필름 코팅된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b) 필름 코팅된 기판을 (예, 온도 T1에서 제1 베이킹(baking) 온도에서) 베이킹하여, 정제된 PI 폴리머 또는 PAE 폴리머 용액에서 용매 중 적어도 일부(예, 실질적으로 모두)를 제거하는 단계; 및
c) 필름 코팅을 기판으로부터 (예, 기계적 힘 또는 화학적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방출하여, 독립형 필름을 수득하는 단계.
일부 구현예에서, T1은 약 150℃ 미만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기판의 예로는, 반도체 기판, 예컨대 산화규소 웨이퍼(HF 처리를 사용함으로써 필름의 방출을 촉진할 수 있음), 다양한 플라스틱 캐리어,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기판(가요성이며 박리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음), 세라믹, 유리 패널 또는 가요성 유리 필름, 직물 필름, 금속 호일 또는 시트(예, 구리 시트 또는 알루미늄 시트), 페이퍼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부가적인 필름 처리, 예컨대 방사선, 코로나, 플라즈마 및/또는 전자파 방사선에의 노출 또는 온도 T2(예, 약 180℃ 내지 약 250℃)에서의 제2 베이킹 단계가 적용되어, 제1 베이킹 단계 후 및 필름을 독립형으로 방출하기 전에, 필름 코팅을 경화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독립형 필름에 적용될 수 있는 부가적인 처리로는, 물 또는 용매를 사용한 독립형 필름의 세척 및/또는 독립형 필름의 건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름을 분리하기 위한 기계적 힘의 예로는 박리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름을 방출하기 위한 화학적 처리의 예로는 희석 HF 수용액처리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일단 독립형 필름이 형성되면, 이는 반도체 소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반도체 기판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반도체 기판의 예로는, 인쇄 회로 기판 및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인용되는 모든 공개문헌들(예, 특허, 특허 출원 공개 및 논문)의 내용은 그 전체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실시예
약어
6FDA: 2,2'-비스(3,4-다이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이무수물
DAPI: 4,4'-[1,4-페닐렌-비스(1-메틸에틸리덴)] 비스아닐린
BTDA: 3,3',4,4'-벤조페논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PMDA: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ODA: 4,4'-옥시다이아닐린
ODPA: 4,4'-옥시다이프탈산 무수물
DAM: 1,3-다이아미노메시틸렌
HEMA: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NMP: N-메틸 피롤리디논
GBL: 감마-부티로락톤
DMSO: 다이메틸설폭사이드
실시예 1
PI 폴리머의 실시예를 하나의 다이아민 및 하나의 이무수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여기서, 분리 용매(즉, 락톤)는 정제 용매(즉, 에스테르 및 케톤)와 상이하였다. 사용된 물 : 폴리머의 비율은 46:1이었다.
고체 6FDA(334.0 g)를 실온에서 NMP(2206 g) 중의 DAPI(218.4 g)의 용액에 충진하였다. 부가적인 NMP(816 g)를 사용하여, 이무수물을 용액으로 헹구었다. 반응 온도를 60℃로 승온시키고, 혼합물을 3.5시간 동안 반응하도록 하였다. 다음, 아세트산 무수물(125.7 g) 및 피리딘(49.5 g)을 첨가하고, 반응 온도를 100℃로 승온시키고,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반응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기계적 교반기가 구비된 더 큰 크기의 용기로 이송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를 정제 용매로서 사용하여 희석하고, 물로 1시간 동안 세척하였다. 교반을 중단하고, 혼합물을 흔들리지 않도록 놔두었다. 일단 상 분리가 발생하면, 수성상을 제거하였다. 유기상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아세톤의 조합을 정제 용매로서 사용하여 희석하고, 물로 3회 세척하였다. 모든 세척에 사용한 정제 용매(즉, 에틸 아세테이트 및 아세톤) 및 물의 양을 표 1에 나타낸다.
세척 1 세척 2 세척 3 세척 4
에틸 아세테이트 (g) 4085 1897 1025 1030
아세톤 (g) --- 696 570 570
물 (g) 5311 6585 6580 6700
세척된 유기상을 진공 증류에 의해 농축시켰다. GBL(705 g)을 분리 용매로서 첨가하고, 진공 증류를 계속하였다. 최종 폴리머 용액은 33.82 중량%의 농도를 가졌다. GC 분석 시, 최종 폴리머 용액에서 검출가능한 NMP는 존재하지 않았다.
실시예 2
말단-캡핑된 PI 폴리머의 실시예를 하나의 다이아민 및 하나의 이무수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여기서, 분리 용매(즉, 락톤)는 정제 용매(즉, 에스테르 및 케톤)와 상이하였다. 사용된 수성 세척액 : 폴리머의 비율은 48:1이었다.
고체 6FDA(244.3 g)를 실온에서 NMP(2290 g) 중의 DAPI(159.8 g)의 용액에 충진하였다. 반응 온도를 60℃로 승온시키고, 혼합물을 3시간 동안 반응하도록 하였다. 다음, 7-옥사바이사이클로[2.2.1]헵트-5-엔-2,3-다이카르복실산 무수물(16.7 g)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60℃에서 3시간 더 놔둔 후, 아세트산 무수물(92.0 g) 및 피리딘(36.2 g)을 첨가하고, 반응 온도를 100℃로 승온시키고,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반응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기계적 교반기가 구비된 더 큰 크기의 용기로 이송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를 정제 용매로서 사용하여 희석하고, 1% 염산 수용액으로 1시간 동안 세척하였다. 교반을 중단하고, 혼합물을 흔들리지 않도록 놔두었다. 일단 상 분리가 발생하면, 수성상을 제거하였다. 유기상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아세톤의 조합을 정제 용매로서 사용하여 희석하고, 물로 3회 세척하였다. 모든 세척에 사용한 정제 용매(즉, 에틸 아세테이트 및 아세톤) 및 물의 양을 표 2에 나타낸다.
세척 1 세척 2 세척 3 세척 4
에틸 아세테이트 (g) 3111 1447 778 780
아세톤 (g) --- 527 429 440
1% 수성 HCl ( g) 4045 --- --- ---
물 (g) --- 5015 5009 5014
세척된 유기상을 진공 증류에 의해 농축시켰다. GBL을 분리 용매로서 첨가하고, 진공 증류를 계속하였다. 최종 폴리머 용액은 41.99 중량%의 농도를 가졌다. GC 분석 시, 최종 폴리머 용액에서 검출가능한 NMP는 존재하지 않았다.
실시예 3
말단-캡핑된 PI 폴리머의 실시예를 하나의 다이아민 및 하나의 이무수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여기서, 분리 용매(즉, 락톤)는 정제 용매(즉, 에스테르 및 케톤)와 상이하였다. 사용된 물 : 폴리머의 비율은 48:1이었다.
고체 6FDA(333.9 g)를 실온에서 NMP(2721 g) 중의 DAPI(218.4 g)의 용액에 충진하였다. 부가적인 NMP(410 g)를 사용하여, 이무수물을 용액으로 헹구었다. 반응 온도를 60℃로 승온시키고, 혼합물을 5시간 동안 반응하도록 하였다. 다음, 7-옥사바이사이클로[2.2.1]헵트-5-엔-2,3-다이카르복실산 무수물(22.8 g) 및 NMP(21.8 g)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60℃에서 3시간 더 놔둔 후, 아세트산 무수물(126.6 g) 및 피리딘(48.9 g)을 첨가하고, 반응 온도를 100℃로 승온시키고,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반응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기계적 교반기가 구비된 더 큰 크기의 용기로 이송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를 정제 용매로서 사용하여 희석하고, 물로 1시간 동안 세척하였다. 교반을 중단하고, 혼합물을 흔들리지 않도록 놔두었다. 일단 상 분리가 발생하면, 수성상을 제거하였다. 유기상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아세톤의 조합을 정제 용매로서 사용하여 희석하고, 물로 3회 이상 세척하였다. 모든 세척에 사용한 정제 용매(즉, 에틸 아세테이트 및 아세톤) 및 물의 양을 표 3에 나타낸다.
세척 1 세척 2 세척 3 세척 4
에틸 아세테이트 (g) 4237 1967 1061 1057
아세톤 (g) --- 724 586 589
물 (g) 5508 6820 6817 6822
세척된 유기상을 진공 증류에 의해 농축시켰다. GBL(706 g)을 분리 용매로서 첨가하고, 진공 증류를 계속하였다. 최종 폴리머 용액은 43.75 중량%의 농도를 가졌다. 최종 폴리머 용액 내의 NMP 함량은 GC에 의해 폴리머 0.05 중량%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말단-캡핑된 PI 폴리머의 실시예를 2개의 다이아민 및 하나의 이무수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여기서, 분리 용매(즉, 케톤)는 정제 용매(즉, 케톤 및 방향족 탄화수소) 중 하나와 동일하였다. 사용된 물 : 폴리머의 비율은 21:1이었다.
NMP(667 g) 중의 DAPI(160 g) 및 DAM(90.2 g)의 용액을 50℃에서 NMP(772.8 g) 중의 BTDA(367.3 g)의 슬러리에 첨가 펌프에 의해 서서히 첨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 반응 온도를 60℃로 승온시키고,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반응하도록 하였다. 다음, 고체 5-이소벤조푸란카르복실산, 1,3-다이하이드로-1,3-다이옥소-2-[(2-메틸-1-옥소-2-프로펜-1-일)옥시]에틸 에스테르(36.6 g) 및 NMP(205 g)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60℃에서 6시간 더 놔둔 후, 피리딘(47.7 g) 및 NMP(180 g)를 첨가하였다. 60℃에서 18시간 더 놔둔 후, 아세트산 무수물(122.4 g)을 첨가하고, 반응 온도를 100℃로 승온시키고,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반응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혼합물 303.5 g을 기계적 교반기가 구비된 분리 플라스크로 이송하였다. 반응 용액을 사이클로펜타논 및 톨루엔을 정제 용매로서 사용하여 희석하고, 물로 1시간 동안 세척하였다. 교반을 중단하고, 혼합물을 흔들리지 않도록 놔두었다. 일단 상 분리가 발생하면, 수성상을 제거하였다. 유기상을 사이클로펜타논을 정제 용매로서 사용하여 희석하고, 물로 3회 이상 세척하였다. 모든 세척에 사용한 정제 용매(즉, 사이클로펜타논 및 톨루엔) 및 물의 양을 표 4에 나타낸다.
세척 1 세척 2 세척 3 세척 4
톨루엔 (g) 306.3 --- --- ---
사이클로펜타논 (g) 599.3 124.5 99.3 102.8
물 (g) 605.0 401.6 403.7 402.1
세척된 유기상을 진공 증류에 의해 농축시켰다. 사이클로펜타논(300.6 g)을 분리 용매로서 첨가하고, 진공 증류를 계속하였다. 최종 폴리머 용액은 33.92 중량%의 농도를 가졌다. 최종 폴리머 용액 내의 NMP 함량은 GC에 의해 폴리머 0.29 중량%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5
말단-캡핑된 PI 폴리머의 실시예를 2개의 다이아민 및 2개의 이무수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여기서, 분리 용매(즉, 케톤)는 정제 용매(즉, 케톤 및 방향족 탄화수소) 중 하나와 동일하였다. 사용된 물 : 폴리머의 비율은 20:1이었다.
NMP(574 g) 중의 DAPI(199.8 g) 및 DAM(112.7 g)의 용액을 실온에서 NMP(1022.5 g) 중의 BTDA(221.5 g) 및 PMDA(150.0 g)의 슬러리에 첨가 펌프에 의해 서서히 첨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 부가적인 NMP(455 g)를 첨가하고, 반응 온도를 60℃로 승온시키고,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반응하도록 하였다. 다음, 고체 5-이소벤조푸란카르복실산, 1,3-다이하이드로-1,3-다이옥소-2-[(2-메틸-1-옥소-2-프로펜-1-일)옥시]에틸 에스테르(76.1 g) 및 NMP(59 g)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60℃에서 20시간 더 놔둔 후, 아세트산 무수물(153.4 g) 및 피리딘(60.1 g)을 첨가하고, 반응 온도를 100℃로 승온시키고,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반응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혼합물 414.4 g을 기계적 교반기가 구비된 분리 플라스크로 이송하였다. 반응 용액을 사이클로펜타논 및 톨루엔을 정제 용매로서 사용하여 희석하고, 물로 1시간 동안 세척하였다. 교반을 중단하고, 혼합물을 흔들리지 않도록 놔두었다. 일단 상 분리가 발생하면, 수성상을 제거하였다. 유기상을 사이클로펜타논을 정제 용매로서 사용하여 희석하고, 물로 3회 이상 세척하였다. 모든 세척에 사용한 정제 용매(즉, 사이클로펜타논 및 톨루엔) 및 물의 양을 표 5에 나타낸다.
세척 1 세척 2 세척 3 세척 4
톨루엔 (g) 410.5 --- --- ---
사이클로펜타논 (g) 639.5 90.7 99.4 100.2
물 (g) 612.1 600.9 402.5 400.8
세척된 유기상을 진공 증류에 의해 농축시켰다. 사이클로펜타논(378.5 g)을 분리 용매로서 첨가하고, 진공 증류를 계속하였다. 최종 폴리머 용액은 31.23 중량%의 농도를 가졌다. 최종 폴리머 용액 내의 NMP 함량은 GC에 의해 폴리머 0.40 중량%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6
비-말단-캡핑된 PI 폴리머의 실시예를 하나의 다이아민 및 하나의 이무수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여기서, 분리 용매(즉, 락톤)는 정제 용매(즉, 에스테르 및 케톤)와 상이하였다. 사용된 물 : 폴리머의 비율은 46:1이었다.
고체 6FDA(81.52 g)를 실온에서 NMP(539.7 g) 중의 ODA(40.10 g)의 용액에 충진하였다. 부가적인 NMP(146 g)를 사용하여, 이무수물을 용액으로 헹구었다. 반응 온도를 60℃로 승온시키고, 혼합물을 4시간 동안 반응하도록 하였다. 다음, 아세트산 무수물(32.32 g) 및 피리딘(12.00 g)을 첨가하고, 반응 온도를 100℃로 승온시키고,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반응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96.1 g을 분리 깔때기로 이송하였다. 반응 용액을 사이클로펜타논 및 톨루엔을 정제 용매로서 사용하여 희석하고, 깔때기를 20회 인버팅함으로써 물로 세척하였다. 2개의 별개의 구별되는 층들이 형성될 때까지, 혼합물을 흔들리지 않도록 놔두었다. 일단 상 분리가 발생하면, 수성상을 제거하였다. 유기상을 사이클로펜타논을 정제 용매로서 사용하여 희석하고, 물로 4회 이상 세척하였다. 모든 세척에 사용한 정제 용매(즉, 사이클로펜타논 및 톨루엔) 및 물의 양을 표 6에 나타낸다.
세척 1 세척 2 세척 3 세척 4 세척 5
톨루엔 (g) 96.5 --- --- --- ---
사이클로펜타논 (g) 99.6 65.2 43.3 44.7 25.9
물 (g) 177.0 175.1 154.7 161.8 140.5
세척된 유기상 중 일부를 진공 증류에 의해 농축시켰다. 사이클로펜타논(179.7 g)을 분리 용매로서 첨가하고, 진공 증류를 계속하였다. 최종 폴리머 용액은 8.86 중량% 농도를 가졌다. GC 분석 시, 최종 폴리머 용액에서 검출가능한 NMP는 존재하지 않았다.
실시예 1 내지 6에서 사용된 시약 및 수득된 폴리머이 특성을 표 7에 요약한다.
가용성 폴리이미드 폴리머 데이터
폴리머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다이아민(들) DAPI DAPI DAPI DAPI:DAM DAPI:DAM ODA
이무수물(들) 6FDA 6FDA 6FDA BTDA BTDA:PMDA 6FDA
분자량 14900 25000 24000 25700 13100 15400
PDI 2.3 2.8 2.8 2.8 2.5 2.2
고체(%) 33.82 41.99 43.75 33.92 31.23
NMP 함량(중량%) ND ND 0.05 0.29 0.4 ND
ND: 검출 불가능함.
실시예 7
PAE 폴리머의 실시예를 하나의 다이아민 및 하나의 이무수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여기서, 분리 용매(즉, 락톤 및 설폭사이드)는 정제 용매(즉, 에스테르 및 케톤)와 상이하였다. 사용된 물 : 폴리머의 비율은 69:1이었다.
5-L 쟈켓드 용기(jacketed vessel)에, HEMA(108.72 g)를 실온에서 다이글림(691 g) 중의 ODPA(126.65 g), 하이드로퀴논(0.22 g) 및 피리딘(143.56 g)의 슬러리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로 4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10℃로 냉각시켰다. 다이글림(369 g) 중의 티오닐 클로라이드(100.97 g)의 용액을 -10℃에서 반응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로 1시간 동안 가온한 다음, -10℃로 재냉각시켰다. NMP(312 g)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한 후, NMP(74.4 g) 중의 ODA(483.23 g)의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ODA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0℃로 30분 동안 가온한 다음, 10℃로 가온하였다. 무수 에탄올(452.5 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반응 혼합물 중 일부(523.2 g)를 기계적 교반기가 구비된 분리 플라스크로 이송하였다. 반응 용액을 사이클로펜타논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정제 용매로서 사용하여 희석하고, 물로 1시간 동안 세척하였다. 교반을 중단하고, 혼합물을 흔들리지 않도록 놔두었다. 일단 상 분리가 발생하면, 수성상을 제거하였다. 유기상을 사이클로펜타논을 정제 용매로서 사용하여 희석하고, 물로 3회 이상 세척하였다. 모든 세척에 사용한 정제 용매(즉, 사이클로펜타논 및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의 양을 표 8에 나타낸다.
세척 1 세척 2 세척 3 세척 4
에틸 아세테이트 (g) 520.4 --- --- ---
사이클로펜타논 (g) 237.2 154.0 162.3 168.0
물 (g) 877.3 876.0 877.7 880.5
세척된 유기상을 진공 증류에 의해 농축시켰다. GBL:DMSO(59.4 g)의 80:20 혼합물을 분리 용매로서 첨가하고, 진공 증류를 계속하였다. 최종 폴리머 용액은 44.68 중량% 농도를 가졌다.
정제된 폴리머의 NMP 함량은 GC에 의해 폴리머 4.29 중량%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7에 기술된 PAE 폴리머 정제 공정은 최적화되어 있진 않지만, 상기 결과는, 중합 용매(즉, NMP)의 잔류량을, 동일한 PAE 폴리머의 정제를 위한 종래의 석출 방법을 기술하고 있는 비교예 1에 의해 수득된 것보다 훨씬 낮은 수준(즉, 6.15 중량%)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비교예 1
실시예 7에서 제조된 반응 혼합물 중 일부를 하기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였다. 사용된 물 : 폴리머의 비율은 492:1였다.
PAE 중합 용액(2997 g)을 물(36.0 kg)에 서서히 첨가하여, 미정제 폴리머를 석출시켰다. 미정제 폴리머를 진공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물(28.8 kg)로 세척한 다음, 진공 하에 건조하였다. 미정제 건조 폴리머(131 g)를 유리병에 든 THF(750 g)에 용해시키고, 물(80 g)을 첨가한 다음, 용액을 1시간 동안 롤링에 의해 혼합하였다. UP6040 이온 교환 수지(131 g)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밤새 롤링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이온 교환 수지를 제거한 다음, 여과물을 물(12.0 kg)에 서서히 첨가하여, 폴리머를 재석출시켰다. 고체 폴리머를 진공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9.6 kg)로 세척한 다음, 45℃에서 진공 하에 밤새 건조하였다. 최종 석출된 폴리머의 NMP 함량은 GC에 의해 폴리머 6.15 중량%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7에서 제조된 폴리머 용액을 이용한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최종 고체 폴리머의 GPC 분석은 도 1에 제공되며, 폴리머의 분자량 프로파일은 동일하였음을 보여준다. 표 9는 실시예 7과 비교예 1에서 사용된 방법 및 수득된 폴리머 간의 차이를 요약한다.
표 9: 공정 비교: 실시예 7 및 비교예 1
Figure 112015116229405-pct00001
표 9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7에서 기술된 방법은 비교예 1에서 기술된 종래의 석출 방법과 비교하여 사용되는 물의 양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리하여, 상당히 더 적은 양의 폐기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비교예 2
실시예 4에서 제조된 반응 혼합물 중 일부를 하기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였다.
PI 중합 용액(100 g) 중 일부를 동일한 부피의 THF로 희석시키고, 희석액을 물(2000 g)에 서서히 첨가하여, 미정제 폴리머를 석출시켰다. 미정제 폴리머를 진공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미정제 습식 폴리머를 메탄올로 슬러리화하고, 진공 여과에 의해 수집한 다음, 45℃에서 진공 하에 밤새 건조하였다.
최종 석출된 폴리머의 NMP 함량은 GC에 의해 폴리머 2.25 중량%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교예 3
실시예 6에서 제조된 반응 혼합물 중 일부를 하기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였다.
PI 중합 용액(10 g) 중 일부를 동일한 부피의 THF로 희석시키고, 희석액을 물(2000 g)에 서서히 첨가하여, 미정제 폴리머를 석출시켰다. 미정제 폴리머를 진공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미정제 습식 폴리머를 메탄올로 슬러리화하고, 진공 여과에 의해 수집한 다음, 45℃에서 진공 하에 밤새 건조하였다.
최종 석출된 폴리머의 NMP 함량은 GC에 의해 폴리머 6.08 중량%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성물 및 필름 실시예 1 (필름 형성 조성물)
실시예 1에서 수득된 폴리머 용액 100부 및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 숙신산 무수물 1.5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고, 1.0미크론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한다. 조성물을 규소 웨이퍼 상에 스핀 코팅하여, 두께가 10미크론인 코팅을 형성한다. 코팅된 웨이퍼를 120℃에서 3분 동안 베이킹한다. 코팅 결함 및 필름 균열을 광학 현미경으로 검사한다.
조성물 및 필름 실시예 2 (필름 형성, 열-경화성 조성물)
열경화성 조성물을, 실시예 2에서 수득된 폴리머 용액 100부,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8.5부, N-메틸다이사이클로헥실 아민 0.5부 및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4.5부를 혼합함으로써 제조한다. 조성물을 1.0미크론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한다. 조성물을 규소 웨이퍼 상에 스핀 코팅하여, 두께가 10미크론인 코팅을 형성한다. 코팅된 웨이퍼를 120℃에서 5분 동안 베이킹한다. 코팅 결함 및 필름 균열을 광학 현미경으로 검사한다. 필름을 200℃ 대류식 오븐에서 N2 분위기 하에 1시간 동안 가열한다. 생성되는 필름을 필름 결함에 대해 광학 현미경으로 다시 검사한다. 필름을 다양한 용매(PGMEA, GBL 및 아세톤)에 침지하여, 이의 내용매성을 평가한다.
조성물 및 필름 실시예 3 (필름 형성, 열-경화성 조성물)
열경화성 조성물을, 실시예 3에서 수득된 폴리머 용액 100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4-설파닐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7부, 트리에틸아민 0.7부 및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t-부틸 카르바메이트 3부를 혼합함으로써 제조한다. 조성물을 1.0미크론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한다. 조성물을 규소 웨이퍼 상에 스핀 코팅하여, 두께가 12미크론인 코팅을 형성한다. 코팅된 웨이퍼를 130℃에서 4분 동안 베이킹한다. 코팅 결함 및 필름 균열을 광학 현미경으로 검사한다. 필름을 220℃ 대류식 오븐에서 N2 분위기 하에 1시간 동안 가열한다. 생성되는 필름을 필름 결함에 대해 광학 현미경으로 다시 검사한다. 필름을 다양한 용매(PGMEA, GBL 및 아세톤)에 침지하여, 이의 내용매성을 평가한다.
조성물 및 필름 실시예 4 (필름 형성, 감광성 조성물)
감광성 조성물을, 실시예 4에서 수득된 폴리머 용액 100부,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20부 및 NCI-831(제품명, ADEKA Corporation 사로부터 입수가능함) 1.5부를 혼합함으로써 제조한다. 조성물을 0.2미크론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규소 웨이퍼 상에 스핀 코팅하여, 두께가 약 9미크론인 코팅을 형성한다. 코팅된 웨이퍼를 105℃에서 3분 동안 베이킹한다. 감광성 폴리이미드 필름을 원하는 노출 패턴을 가진 마스크를 통해 광대역 UV 노출 기구(Carl Suss MA-56)를 사용하여 노출시킨다.
노출 후, 비노출된 부분을 사이클로펜타논을 발색제로 사용하여 제거한 후, 발색된 필름을 PGMEA로 헹구어서, 패턴을 형성한다. 패턴 형성 후, 발색된 필름을 100℃의 온도에서 2분 동안 가열한다. 생성되는 필름을 필름 결함에 대해 광학 현미경으로 검사한다.

Claims (30)

  1. 폴리머의 정제 방법으로서,
    1종 이상의 극성의 반양성자성 중합 용매 중에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유기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를 상기 유기 용액에 첨가하여, 유기 용액 희석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유기 용액 희석액을 물 또는 수용액으로 세척하여, 세척된 유기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세척된 유기 용액에서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를 적어도 일부 제거하여, 정제된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는 상기 1종 이상의 중합 용매보다 극성이 낮으며, 25℃에서 상기 1종 이상의 중합 용매보다 수용성이 낮고,
    상기 방법은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의 석출을 회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중합 용매는 다이메틸포름아미드, 다이메틸아세타미드, N-포르밀모르폴린, N-메틸피롤리디논, N-에틸피롤리디논, 다이메틸설폭사이드, 감마-부티로락톤, 헥사메틸 인산 트리아미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 1,4-다이옥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중합 용매는 1종 이상의 수 혼화성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는 에스테르, 에테르, 케톤, 하나 이상의 할라이드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탄화수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는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이소부틸 아세테이트, sec-부틸 아세테이트, 사이클로헥실 아세테이트, 에틸 락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아세테이트, 프로필 포르메이트, 부틸 포르메이트, 이소부틸 포르메이트, 펜틸 포르메이트, ε-카프로락톤, 다이에틸 에테르, 다이프로필 에테르, 다이부틸 에테르, 다이사이클로헥실 에테르, 사이클로펜틸 메틸 에테르, 메틸 tert-부틸 에테르, 에틸 tert-부틸 에테르, 아니솔, 페닐 에틸 에테르, 다이페닐 에테르, 1,2-다이메톡시프로판, 1,2-다이메톡시에탄, 2-부타논, 2-펜타논, 3-펜타논, 메틸 이소부틸 케톤, 에틸 이소부틸 케톤, 메틸 이소프로필 케톤, 사이클로펜타논, 사이클로헥사논, 아세토페논, 이소포론, 메시틸 옥사이드,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 벤젠, 클로로벤젠, 1,2-다이클로로벤젠, α,α,α-트리플루오로톨루엔, 펜탄, 헥산, 헵탄, 옥탄, 사이클로헥산, 메틸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헥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는 1종 이상의 수 비혼화성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정제 용매의 첨가 단계는 상기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보다 수용성이 높은 1종 이상의 정제용 공용매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정제용 공용매는 아세톤, 감마-부티로락톤, 푸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메틸 에테르, 1,4-다이옥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정제용 공용매는 1종 이상의 수 혼화성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은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액 희석액의 세척 단계는 물 또는 수용액을 상기 유기 용액 희석액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액 희석액의 세척 단계는 유기상 및 수성상을 가진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액 희석액의 세척 단계는 상기 수성상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액의 세척 단계는 상기 유기 용액 희석액에서 1종 이상의 중합 용매 또는 다른 불순물을 실질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단계는 1종 이상의 분리 용매를 상기 세척된 유기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분리 용매는 상기 1종 이상의 정제 용매의 비점보다 높은 비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분리 용매는 케톤, 에스테르, 탄화수소, 설폭사이드, 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분리 용매는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2-헵타논, 사이클로펜타논, 사이클로헥사논, 자일렌, 감마-부티로락톤, 다이메틸설폭사이드,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 락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분리 용매는 상기 1종 이상의 정제 용매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분리 용매는 상기 1종 이상의 정제 용매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정제 용매의 적어도 일부는 증발 또는 증류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극성의 반양성자성 중합 용매 중에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유기 용액은 상기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의 분리없이 중합 반응으로부터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단계 후, 정제된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용액을 농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정제 방법.
  24.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정제된 폴리머.
  25. 기판 상에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1종 이상의 극성의 반양성자성 중합 용매 중에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유기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를 상기 유기 용액에 첨가하여, 유기 용액 희석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유기 용액 희석액을 물 또는 수용액으로 세척하여, 세척된 유기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유기 용액에서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를 적어도 일부 제거하여, 정제된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제된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용액을 기판 상에 코팅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1종 이상의 정제 용매는 상기 1종 이상의 중합 용매보다 극성이 낮으며, 25℃에서 상기 1종 이상의 중합 용매보다 수용성이 낮고,
    상기 방법은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 에스테르의 석출을 회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상에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단계는 1종 이상의 분리 용매를 상기 세척된 유기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단계는 잉크젯 프린팅, 스핀 코팅, 분무 코팅, 딥 코팅, 롤러 코팅 또는 동적 표면 장력 코팅(dynamic surface tension coating)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필름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8항에 따른 방법으로 수득되는 독립형(free-standing) 필름.
  30. 반도체 기판 및 제25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필름을 포함하는, 물품.
KR1020157033991A 2013-05-17 2014-05-19 폴리이미드 및 폴리아믹 에스테르 폴리머의 개선된 제조 방법 KR102219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24529P 2013-05-17 2013-05-17
US61/824,529 2013-05-17
PCT/US2014/038562 WO2014186785A1 (en) 2013-05-17 2014-05-19 Improve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imide and polyamic ester polym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188A KR20160011188A (ko) 2016-01-29
KR102219067B1 true KR102219067B1 (ko) 2021-02-23

Family

ID=518962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712A KR102219068B1 (ko) 2013-05-17 2014-05-16 새로운 폴리머 및 이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조성물
KR1020157033991A KR102219067B1 (ko) 2013-05-17 2014-05-19 폴리이미드 및 폴리아믹 에스테르 폴리머의 개선된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712A KR102219068B1 (ko) 2013-05-17 2014-05-16 새로운 폴리머 및 이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4) US9695284B2 (ko)
EP (2) EP2997075B1 (ko)
JP (2) JP6538027B2 (ko)
KR (2) KR102219068B1 (ko)
CN (2) CN105408399B (ko)
SG (3) SG11201508593QA (ko)
TW (2) TWI636075B (ko)
WO (2) WO20141867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1984B2 (en) 2012-12-21 2017-09-05 Hitachi Chemical Dupont Microsystems, Ltd. Polyimide precursor,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aid polyimide precursor, and cured-pattern-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sai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US10725379B2 (en) * 2012-12-21 2020-07-28 Hitachi Chemical Dupont Microsystems, Ltd. Polymide precursor resin composition
US9519221B2 (en) * 2014-01-13 2016-12-13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for microwave processing of photosensitive polyimides
CN106164132B (zh) * 2014-01-31 2019-08-23 富士胶片电子材料美国有限公司 聚酰亚胺组合物
WO2016172089A1 (en) * 2015-04-21 2016-10-27 Fujifilm Electronic Materials U.S.A., Inc. Photosensitive polyimide compositions
FR3041352B1 (fr) * 2015-09-21 2019-12-13 Arkema France Systeme de solvants comprenant un melange de dimethylsulfoxyde et d'au moins une lactone
JP6531725B2 (ja) * 2015-12-28 2019-06-1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TWI625232B (zh) * 2016-02-26 2018-06-01 Fujifilm Corp 積層體、積層體的製造方法、半導體元件以及半導體元件的製造方法
US10280335B2 (en) * 2016-06-06 2019-05-07 Cymer-Dayton, Llc Preparation of polyamide-imide resins using N-formyl morpholine:3-methoxy N,N-dimethylpropanamide
JP6949357B2 (ja) * 2016-07-20 2021-10-13 ユニチカ株式会社 末端マレイミド化オリゴイミドの製造方法
WO2018080870A1 (en) * 2016-10-25 2018-05-03 Fujifilm Electronic Materials U.S.A., Inc. Polyimides
JP7127937B2 (ja) * 2016-11-01 2022-08-30 フジフイルム エレクトロニック マテリアルズ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ポリイミド
US10793676B2 (en) * 2016-11-03 2020-10-06 Fujifilm Electronic Materials U.S.A., Inc. Polyimides
JP6969772B2 (ja) * 2017-05-15 2021-11-24 ユニチカ株式会社 可溶性ポリイミド溶液の製造方法
WO2018232214A1 (en) 2017-06-16 2018-12-20 Fujifilm Electronic Materials U.S.A., Inc. Multilayer structure
CN109789644B (zh) 2017-09-11 2023-01-31 富士胶片电子材料美国有限公司 形成介电膜的组合物
WO2019246235A1 (en) * 2018-06-21 2019-12-26 Dupont Electronics, Inc. Polymers for use in electronic devices
JP2022550611A (ja) 2019-10-04 2022-12-02 フジフイルム エレクトロニック マテリアルズ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平坦化プロセス及び組成物
CN112646170B (zh) * 2020-12-21 2022-05-03 山东大学 一种手性自具微孔聚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315463B (zh) * 2021-03-08 2023-06-20 杰富意化学株式会社 聚酰亚胺树脂及其制造方法、聚酰亚胺树脂溶液、涂敷材料以及成型材料
KR20240045361A (ko) * 2021-08-26 2024-04-05 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즈 유에스에이, 엘.엘.씨. 폴리아미드이미드 중합체를 함유하는 점도 감소 조성물
CN115093041B (zh) * 2022-02-22 2024-02-13 杨自林 生产5-氨基-2-硝基三氟甲苯产生的工业废水的资源化处理方法
CN114561010B (zh) * 2022-03-10 2023-09-05 哈尔滨工业大学 一种自乳化非离子型水性聚酰胺酰亚胺及其制备方法、碳纤维上浆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3954A (en) 1988-12-23 1990-05-08 Ethyl Corporation Production of particulate polyimide polymers
JP2004292682A (ja) * 2003-03-27 2004-10-21 Osaka Prefecture ポリイミド微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22858A (ja) * 2007-03-13 2008-09-25 Jsr Corp ポリイミドの精製方法およびポリイミド含有組成物
JP2013064130A (ja) * 2011-08-31 2013-04-11 Toho Chem Ind Co Ltd ポリベンゾオキサゾール前駆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1447A (en) 1954-06-11 1956-01-17 Du Pont Novel polyimides
US3435002A (en) 1967-05-15 1969-03-25 Gen Electric Polyamide acid resins and polyimides therefrom
US4122076A (en) 1970-11-27 1978-10-24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of preparing maleimides
US3856752A (en) 1973-10-01 1974-12-24 Ciba Geigy Corp Soluble polyimides derived from phenylindane diamines and dianhydrides
US3993630A (en) 1973-12-26 1976-11-23 Ciba-Geigy Corporation Polyimide, polyamide-imide or polyamide-acids with olefin end groups in combination with a reactive Schiff base compound
DE2437348B2 (de) 1974-08-02 1976-10-07 Ausscheidung in: 24 62 105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eliefstrukturen
US3983092A (en) 1975-01-20 1976-09-28 Ciba-Geigy Corporation Phenylindane diamine mixture and epoxy resin therewith
US4026876A (en) 1975-01-20 1977-05-31 Ciba-Geigy Corporation Soluble polyamide-imides derived from phenylindane diamines
JPS5950249B2 (ja) 1980-12-25 1984-12-0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紫外線硬化可能な樹脂組成物
US4579809A (en) 1982-10-22 1986-04-01 Ciba-Geigy Corporation Positive image formation
US4629777A (en) 1983-05-18 1986-12-16 Ciba-Geigy Corporation Polyimide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JPS59220729A (ja) 1983-05-30 1984-12-12 Ube Ind Ltd 有機溶媒可溶性の感光性ポリイミド
US4684714A (en) 1983-09-27 1987-08-04 The Boeing Company Method for making polyimide oligomers
US4656116A (en) 1983-10-12 1987-04-07 Ciba-Geigy Corporation Radiation-sensitive coating composition
US5047487A (en) 1985-01-04 1991-09-10 Raychem Corporation Compositions of poly(imides) having phenylindane diamines and/or dianhydride moieties in the poly(imide) backbone
JPS61254543A (ja) 1985-05-02 1986-11-12 Mitsui Toatsu Chem Inc 1−(4−(4−アミノフエノキシ)フエニル)−1,3,3−トリメチル−6−(4−アミノフエノキシ)インダ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8295B2 (ja) * 1985-07-31 1994-02-02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熱硬化可能なイミド化合物
EP0214750B1 (en) 1985-07-31 1993-09-2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Use of imides hardeners for epoxy resins and epoxy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these imides.
JPS6250375A (ja) 1985-08-30 1987-03-05 Mitsui Toatsu Chem Inc 耐熱性接着剤
JPS6250374A (ja) 1985-08-30 1987-03-05 Mitsui Toatsu Chem Inc 耐熱性接着剤
US4689378A (en) 1985-12-16 1987-08-25 Ciba-Geigy Corporation Stable imide-containing composition from diamino phenyl indane-bis-maleimide and alkenyl phenol
CA1326673C (en) 1986-12-26 1994-02-01 Yasuhisa Saito Imide compound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5606013A (en) * 1986-12-31 1997-02-25 Ciba-Geigy Corporation Polyamic acids and polyimides
EP0317754A3 (en) 1987-05-04 1990-05-16 The Boeing Company Polymide oligomers and blends
US4775734A (en) * 1987-08-12 1988-10-04 Ashland Oil, Inc. Non-nucleophilic acid salts of amines as cure accelerators
DE59008553D1 (de) 1989-01-20 1995-04-06 Ciba Geigy Ag Härtbare Epoxidharz-Stoffgemische enthaltend einen Thermoplast mit phenolischen Endgruppen.
GB8916259D0 (en) * 1989-07-15 1989-08-31 Ciba Geigy Compounds
FR2653132B1 (fr) * 1989-10-17 1993-06-04 Etu Materiaux Organ Techn Cent Materiaux expanses a base de resine nadimide.
US5122436A (en) 1990-04-26 1992-06-16 Eastman Kodak Company Curable composition
EP0531259A1 (en) 1991-09-05 1993-03-10 Ciba-Geigy Ag Photoimageable polyimide
US5252534A (en) 1992-05-29 1993-10-12 Eastman Kodak Company Slipping layer of polyimide-siloxane for dye-donor element used in thermal dye transfer
US5397847A (en) * 1992-10-20 1995-03-14 The University Of Akron Heat-resistant laminate materials and preparation thereof
US5412065A (en) * 1993-04-09 1995-05-02 Ciba-Geigy Corporation Polyimide oligomers
JPH07247364A (ja) 1994-03-10 1995-09-26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オリゴマー分解性高分子、その製造方法、回収方法及び再生方法
JP3257325B2 (ja) 1995-01-31 2002-02-18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ポリイミド系共重合体の製造方法、薄膜形成剤、並びに液晶配向膜の製造方法
US5618655A (en) 1995-07-17 1997-04-08 Olin Corporation Process of reducing trace levels of metal impurities from resist components
US5637772A (en) 1995-09-22 1997-06-10 Aerojet General Corporation Fluorinated diamines and polymers formed therefrom
US5783656A (en) 1996-02-06 1998-07-21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Polyamic acid, polyimide and liquid crystal aligning agent
EP0840161B1 (en) 1996-05-16 2005-04-06 JSR Corporation Liquid crystal aligning agent
US5914385A (en) 1996-10-03 1999-06-22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Polyimid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prepreg and paint and method for curing resin using the same
US5945251A (en) 1998-05-08 1999-08-31 Olin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purified solutions of blocked polyhydroxystyrene resins
EP1086147A4 (en) 1998-05-08 2003-02-05 Arch Spec Chem Inc PROCESS FOR PRODUCING PURIFIED SOLUTIONS OF INHIBITED POLYHYDROXYSTYRENE RESIN
US6303744B1 (en) 2000-03-23 2001-10-1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Polyimides and process for preparing polyimides having improved thermal-oxidative stability
DE60105754T2 (de) * 2000-04-28 2005-06-23 Mitsui Chemicals, Inc. Polyimid und polyamidsäure
FR2819892B1 (fr) * 2001-01-22 2003-06-13 France Telecom Procede d'obtention d'un materiau electro-optique et solution de polyimides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US20040235992A1 (en) 2001-05-30 2004-11-25 Koji Okada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photosensitive dry film resist and photosensitive coverlay film produced therefrom
WO2003027049A1 (en) * 2001-09-20 2003-04-03 Ezaki Glico Co., Ltd. Method of extracting and method of purifying an effective substance
US7141614B2 (en) 2001-10-30 2006-11-28 Kaneka Corporatio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photosensitive films and laminates made by using the same
US7312281B2 (en) 2002-04-19 2007-12-25 Dupont Electronic Polymers L.P. Anhydrous, liquid phase process for preparing hydroxyl containing polymers of enhanced purity
US6670487B1 (en) * 2002-06-18 2003-12-3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oxidation products
JP2004149590A (ja) * 2002-10-29 2004-05-27 Teijin Ltd 安定性を高めた芳香族ポリアミック酸溶液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4104103A1 (ja) 2003-05-20 2004-12-02 Kaneka Corporation ポリイミド樹脂組成物、ポリイミド樹脂を含む高分子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もちいた積層体並びに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AU2004297228A1 (en) 2003-12-03 2005-06-23 Nektar Therapeutics Al, Corporation Method of preparing maleimide functionalized polymers
KR20060054005A (ko) 2004-10-15 2006-05-22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US7745516B2 (en) 2005-10-12 2010-06-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position of polyimide and sterically-hindered hydrophobic epoxy
JP5140996B2 (ja) 2006-08-29 2013-02-13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回路接続材料、回路部材の接続構造及び半導体装置
US9023974B2 (en) 2007-01-26 2015-05-05 Honshu Chemical Industry Co., Ltd. Ester group-containing tetracarboxylic acid dianhydride, novel polyesterimide precursor derived therefrom, and polyesterimide
US20090025380A1 (en) * 2007-07-24 2009-01-29 Parker Hannifin Corporation, An Ohio Corporation Fixed/variable hybrid system
WO2009032355A1 (en) 2007-09-07 2009-03-12 Man Tech Srs Technologies, Inc. Polyimide polymer with oligomeric silsesquioxane
US8440736B2 (en) 2008-04-07 2013-05-14 University Of Southern Mississippi Photocuable thiol-ene low gas permeability membranes
DE102008038021A1 (de) * 2008-08-16 2010-02-18 Lanxes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Isolierung von Di-Trimethylolpropan
WO2010111755A2 (en) 2009-04-01 2010-10-07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 K.U.Leuven R & D Improved method for making cross-linked polyimide membranes
KR101748247B1 (ko) 2010-05-10 2017-06-16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액정 표시 소자 및, 이에 포함된 중합체
EP2407638A1 (de) 2010-07-15 2012-01-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Abgasdiffusor für eine Gasturb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Gasturbine mit einem solchen Abgasdiffusor
JP5737002B2 (ja) * 2011-06-24 2015-06-1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コークス炉装入用配合炭の製造方法
WO2014111998A1 (ja) * 2013-01-18 2014-07-24 日立化成デュポンマイクロ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ポリマ溶液の製造方法及びポリマ溶液
CN103289090B (zh) 2013-05-15 2016-04-20 常州市尚科特种高分子材料有限公司 热塑性聚酰亚胺模塑料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3954A (en) 1988-12-23 1990-05-08 Ethyl Corporation Production of particulate polyimide polymers
JP2004292682A (ja) * 2003-03-27 2004-10-21 Osaka Prefecture ポリイミド微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22858A (ja) * 2007-03-13 2008-09-25 Jsr Corp ポリイミドの精製方法およびポリイミド含有組成物
JP2013064130A (ja) * 2011-08-31 2013-04-11 Toho Chem Ind Co Ltd ポリベンゾオキサゾール前駆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77117B2 (en) 2017-10-03
TWI636075B (zh) 2018-09-21
US20170174837A1 (en) 2017-06-22
SG11201508593QA (en) 2015-12-30
US20170260330A1 (en) 2017-09-14
JP6538027B2 (ja) 2019-07-03
KR20160012166A (ko) 2016-02-02
US20140343223A1 (en) 2014-11-20
KR20160011188A (ko) 2016-01-29
EP2997075A1 (en) 2016-03-23
JP2016518511A (ja) 2016-06-23
JP6503341B2 (ja) 2019-04-17
SG11201508596VA (en) 2015-12-30
TWI624497B (zh) 2018-05-21
KR102219068B1 (ko) 2021-02-23
CN105408399A (zh) 2016-03-16
CN105408399B (zh) 2019-01-01
SG10201709161SA (en) 2017-12-28
US10604628B2 (en) 2020-03-31
TW201502175A (zh) 2015-01-16
EP2996990A4 (en) 2017-03-08
CN105658585A (zh) 2016-06-08
WO2014186785A1 (en) 2014-11-20
WO2014186721A1 (en) 2014-11-20
EP2997075B1 (en) 2021-12-15
US20140343199A1 (en) 2014-11-20
JP2016521769A (ja) 2016-07-25
US9617386B2 (en) 2017-04-11
TW201500408A (zh) 2015-01-01
EP2997075A4 (en) 2017-01-25
EP2996990A1 (en) 2016-03-23
EP2996990B1 (en) 2018-03-28
US9695284B2 (en)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067B1 (ko) 폴리이미드 및 폴리아믹 에스테르 폴리머의 개선된 제조 방법
KR102103157B1 (ko) 수지 조성물, 폴리이미드 수지막, 및 그 제조 방법
CN107429057A (zh) 聚酰亚胺前体树脂组合物
JP7375318B2 (ja) ポリイミド前駆体樹脂組成物、ポリイ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膜状物、それを含む積層体、ならびに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
CN111183194A (zh) 聚酰亚胺清漆组合物、其制造方法和聚酰亚胺薄膜
KR20200020643A (ko) 폴리이미드의 제조방법
JP3897576B2 (ja) ケトン及び/又はエーテルの溶媒に可溶なブロック共重合ポリイミド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WO2022054766A1 (ja) 重合体組成物、ワニス、及びポリイミドフィルム
JP7359602B2 (ja) ジアミ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15159911A1 (ja) レジスト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
CN116057109B (zh) 聚合物组合物、清漆、和聚酰亚胺薄膜
JP2526845B2 (ja) ポリイミドワニス組成物及びその使用法
JP2007099842A (ja) 新規なポリイミド樹脂
CN111212868B (zh) 聚酰亚胺树脂及其制造方法、聚酰亚胺溶液、以及聚酰亚胺薄膜及其制造方法
KR20210073552A (ko)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조 방법
JP4427493B2 (ja) ケトン及び/又はエーテルの溶媒に可溶なブロック共重合ポリイミド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KR20230145070A (ko) 낮은 유전 손실을 갖는 폴리이미드
TW202208506A (zh) 聚醯亞胺高分子、聚醯亞胺混合物及其製備之聚醯亞胺薄膜
US20230416465A1 (en) Polyamic acid composition, and polyimide comprising same
JP2021063208A (ja) ポリイミド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240027771A (ko) 폴리아미드산, 폴리아미드산 조성물, 폴리이미드, 폴리이미드막, 적층체,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KR20240015656A (ko) 폴리아미드산 조성물, 폴리이미드, 그 적층체, 플렉시블 디바이스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2024507156A (ja) 低い誘電損失を有するポリイミド
KR20220068600A (ko)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JP2007126634A (ja) 新規なポリイミド樹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