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333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333B1
KR102184333B1 KR1020187005444A KR20187005444A KR102184333B1 KR 102184333 B1 KR102184333 B1 KR 102184333B1 KR 1020187005444 A KR1020187005444 A KR 1020187005444A KR 20187005444 A KR20187005444 A KR 20187005444A KR 102184333 B1 KR102184333 B1 KR 102184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operation
proximity sensor
opening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3053A (ko
Inventor
다쿠야 마시모
도모야스 사에키
슌지 우에노
šœ지 우에노
히데타케 하야시
다카히코 아베
도시로 나가사카
가츠시 스미히로
마사노리 다케시타
고지 미시마
가즈마 마에다
노부키 가토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3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 H01H36/0013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co-operation between reed switch and permanent magnet; Magnetic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55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는 전면이 개구된 냉장고 본체(11)와, 냉장고 본체(11)의 전면 개구부에 부착된 단열성의 문(21, 22)과, 냉장고 본체(11)에 부착되고, 문(21, 22)을 강제적으로 개방 동작시키는 문 개방 장치(54, 55)와, 문(22)에 설치된, 냉장고의 냉각제어내용을 변경하는 조작을 하기 위한 제어 조작부(50)와, 문(21, 22)에 설치되고, 문 개방 장치(54, 55)의 문 개방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문 개방 조작부(51, 52)와, 제어 조작부와 문 개방 조작부(51, 52)로부터의 조작신호를 입력하고, 해당하는 냉각제어와 문 개방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부(56)를 구비한다. 문 개방 조작부(51, 52)에 대해서 문 개방 조작 입력을 부여하는 부분은 문의 전면판(21A, 22A)의 일부이고 전면판(21A, 22A)과 일체로 연속되고 있다. 제어 조작부(50)에 대한 조작과 문 개방 조작(51, 52)에 대한 조작은 다른 조작방법으로 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문 전면의 전면판에 터치 오픈 센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문에 유리제나 플라스틱제의 화장판의 전면판을 구비한 냉장고가 출현하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에서는 조작 입력부는 정전용량식 터치 버튼으로 하여 전면판에 배치하고, 사용자가 전면판의 전면의 조작 버튼에 대응하는 부위에 터치하면,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 조작 입력을 감지하고,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냉장고 제어부에 전송한다. 이러한 냉장고에서도 사용자의 전면판의 특정 장소로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고 문을 자동 개방시키는 문 개방 장치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전면판의 어느 특정 장소에 터치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문을 개방하도록 한 경우, 사용자가 문을 개방할 의사가 없는데 부주의로 해당 장소에 순간 터치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몸의 일부가 무의식적으로 해당 장소에 접촉된 경우에도 문을 개방하는 오동작 발생의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오동작을 피하기 위해서, 터치 검지 수단에 의해 문 개방 장치를 작동시키는 기술이 생각되지만, 오동작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57627호(JP 2009-257627 A) 일본 특허 제4347234호 공보(JP 4347234 B)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7865호 공보(JP 2012-017865 A)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7866호 공보(JP 2012-017866 A)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가 해당 장소에 문을 개방할 의도없이 장시간 접촉된 경우나 물체가 장시간 접촉된 경우에도 문 개방의 오동작을 하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형태의 냉장고는 전면이 개구된 냉장고 본체와, 냉장고 본체의 전면 개구부에 부착된 단열성의 문과, 냉장고 본체에 부착되어, 문을 강제적으로 개방 동작시키는 문 개방 장치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형태의 냉장고는 전면이 개구된 냉장고 본체와, 냉장고 본체의 전면 개구부에 부착된 단열성의 문과, 냉장고 본체에 부착되고 문을 강제적으로 개방 동작시키는 문 개방 장치와, 문에 설치되어 냉장고의 냉각 제어 내용을 변경하는 조작을 하기 위한 제어 조작부와, 문에 설치되어 문 개방 장치의 문 개방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문 개방 조작부와, 제어 조작부와 문 개방 조작부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입력하고, 해당하는 냉각 제어와 문 개방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문 개방 조작부에 대해서 문 개방 조작 입력을 부여하는 부분은 문의 전면판의 일부이고 상기 전면판과 일체로 연속되어 있다. 제어 조작부에 대한 조작과 문 개방 조작부에 대한 조작은 다른 조작 방법으로 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문 개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냉장실 부분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에서의 문 개방 제어의 블럭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의 문 개방 제어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의 문 개방 조작부의 부착 조작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의 문 개방 조작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제7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의 문 개방 조작부 및 문 개방 조작 표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제8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의 문 개방 조작부 및 문 개방 조작 표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9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의 문 개방 조작부의 설치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10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의 문 개방 조작부의 터치 검지 전극의 배치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11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의 문 개방 조작부의 터치 검지 전극의 배치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제11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의 문 개방 조작부의 터치 검지 전극의 다른 배치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제12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의 문 개방 조작부 및 문 개방 조작 표시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제15 실시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17 실시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18 실시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16 실시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제15 실시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제20 실시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제19 실시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제22 실시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제24 실시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제16 실시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제25 실시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제26 실시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다른 실시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다른 실시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제27 실시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제27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문 개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제27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냉장실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2는 제27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의 문 개방 제어의 블럭도이다.
도 33은 제27 실시형태의 냉장실의 좌측 문과 우측 문을 사용자에 의해 수동이 아니라 자동적으로 여는 모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4는 제27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예를 들어 우측 문의 횡단면의 모식도이다.
도 35는 제27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의 문 개방 제어의 블럭도이다.
도 36은 제27 실시형태의 근접 센서의 기능을 갖게 한 문 개방 조작부의 동작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7은 제28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38은 제28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문 개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제28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냉장실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0은 제28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의 문 개방 제어의 블럭도이다.
도 41은 도 37 내지 도 39에 도시한 문의 문 개방 조작부가, 냉장고의 사용자의 인체를 검지하기 위한 인체 검지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2는 제29 실시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43은 도 42에 도시한 냉장고의 인체 검지 수단을 포함하는 문 개방 제어의 블럭도이다.
도 44는 제29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상부를 도시한 전후 방향에 따른 단면이다.
도 45는 제29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의 냉장고의 상부를 나타내는 전후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6은 제29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의 냉장고의 상부를 나타내는 전후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7은 제29 실시형태의 제3 변형예의 냉장고의 상부를 나타내는 전후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8은 제30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냉장고(1)의 정면도이다.
도 49는 도 48에 도시한 냉장고의 평면도이다.
도 50은 도 48에 도시한 냉장고의 측면도이다.
도 51은 문 개방 조작부의 기판의 구조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2는 도 51에 도시한 문 개방 조작부의 기판에 배치된 근접 센서와 가드 전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3은 문 개방 조작부의 구조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4는 제어부와, 문 개방 조작부와, 문 개방 장치인 문 개방 구동부 등의 전기 접속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5는 좌측 문과 우측 문에서의 기판의 수납 구조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6은 제31 실시형태를 도시한 냉장고(1)의 정면도이다.
도 57은 도 56에 도시한 좌측 문(21)에서의 근접 센서(607)를 포함하는 문 개방 조작부(651)의 부근(또는 우측 문(22)에서의 근접 센서(608)를 포함하는 문 개방 조작부(652)의 부근)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V1-V1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8은 도 56에 도시한 제어 조작부(650)의 V2-V2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9는 제어부와, 제어 조작부와, 문 개방 조작부와, 문 개방 장치인 문 개방 구동부의 전기 접속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60은 도 56에 도시한 좌측 문의 근접 센서가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근을 검지한 후에, 손가락이 문 개방 조작부의 터치 버튼의 전극에 접촉한 경우에, 좌측 문의 제어 조작부와 문 개방 조작부가, 점등하는 모습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1은 제32 실시형태를 도시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62는 도 61에 도시한 냉장고의 평면도이다.
도 63은 도 61에 도시한 냉장고의 측면도이다.
도 64는 도 61에 도시한 문 개방 조작부의 기판의 구조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5는 도 64에 도시한 문 개방 조작부의 기판에 배치된 근접 센서와 가드 전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6은 문 개방 조작부의 구조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7은 제어부와, 문 개방 조작부와, 문 개방 장치인 문 개방 구동부 등의 전기 접속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8은 좌측 문과 우측 문에서의 기판의 수납 구조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9는 제33 실시형태를 도시한 냉장고(1)의 정면도이다.
도 70은 도 69에 도시하는 ZR-ZR선에서의 조작 검지부의 구조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1는 제어부와, 조작 검지부와, 문 개방 장치인 문 개방 구동부 등의 전기 접속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2는 사용자가 손바닥이나 손의 측부, 또는 팔꿈치 등의 동작(제스추어)에 의해 근접 센서에 대해서 미리 정한 특정의 순서로 접근 조작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3은 근접 센서에 대해서 다른 미리 정한 특정 순서로 접근 조작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4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5는 근접 센서가 손가락의 터치를 검지하는 원리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76은 근접 센서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7은 근접 센서에서의 근접 모드와 정전 터치 모드의 전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8은 근접 센서에서의 근접 범위의 변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1)는 냉장고 본체인 캐비닛(11)을 구비하고 있다. 캐비닛(11)은 상단으로부터 냉장실(12), 야채실(13), 고내 설정 온도를 전환할 수 있는 전환실(14), 냉동실(1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환실(14)의 좌측에는 제빙실(16)이 설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12)의 전면 개구부를 덮기 위해, 좌우 한쌍의 좌측 문(21), 우측 문(22)이 각각 좌측단부, 우측단부의 상하를 힌지부로 양쪽 개방식으로 개폐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한, 야채실(13), 전환실(14), 냉동실(15), 제빙실(16)에는 인출식 문(23, 24, 25, 26) 각각이 설치되어 있다. 야채실(13)의 배면에는 냉장실(12)과 야채실(13)을 냉각하기 위한 냉장용 증발기(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된다. 전환실(14) 및 냉동실(15)의 배면에는 전환실(14), 냉동실(15), 제빙실(16)을 냉각하기 위한 냉동용 증발기(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야채실(13)의 배면에는 냉장고(1)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진 제어부(56)도 배치되어 있다.
좌측 문(21), 우측 문(22)은 모두, 전면에 개구되는 편평한 내판의 개구부에 착색 투명한 유리제의 전면판(21A, 22A)을 부착하고, 내부 공동부에 진공단열재를 배치하며, 진공단열재로 완전히 메워지지 않은 공동부에 발포 폴리우레탄 단열재(이하, 간단히 우레탄 단열재로도 기재한다) 또는 미리 성형된 고체 단열재(예를 들어 EPC)를 배치한 구조이다. 전면판(21A, 22A)의 착색도는 외부광을 받은 상태에서 밖으로부터 전면판(21A, 22A)의 내측(裏側) 단열재 등의 충전물이 보이지 않는 농도이다. 또한, 후술하는 조작 버튼명, 냉각 기능명, 냉각 강도 등을 투과 표시하는 LED 표시등, 온도값 등의 변화하는 수치를 투과 표시하는 7세그먼트 LED 표시장치의 점등 상태에서 빛이 투과하여 표면측으로부터 보이는 농도이기도 하다. 또한, 7세그먼트 LED에 한정되지 않고, LCD나 EL이어도 좋다.
좌측 문(21)의 우측단부, 즉 닫힌 상태에서 우측 문(22)의 좌측단부에 근접하여 대향하는 개방측 부분에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 우측 문(22)의 좌측단부, 즉, 개방측 부분과의 시일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회전 칸막이체(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칸막이체(31)의 내부에는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결로 방지 히터가 내장되어 있다.
우측 문(22)의 전면판(22A)의 내측(裏側)에는 전면판(22A)의 표면으로부터의 터치 조작에 의해 냉장고를 조작하기 위한 정전용량식의 제어 조작부(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 조작부(50)에는 냉장고 주위의 환경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적외선 수광부, 홈 버튼, 이 홈 버튼으로의 터치를 검지하고 조작 버튼명, 냉각 기능명, 냉각 강도 등을 투과 표시하는 LED 표시등, 온도값 등의 변화되는 수치를 투과 표시하는 7세그먼트 LED 표시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좌측 문(21)의 전면판(21A), 우측 문(22)의 전면판(22A)의 하변 근방의 이면 측 각각에는 좌우 횡방향으로 가늘고 긴 문 개방 조작부(51, 5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판(21A, 22A)의 표면에는 문 개방 조작부인 것 또한 문 개방 조작 방향을 나타내는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 52A)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에는 좌측 방향으로 손가락을 터치한 채 슬라이드시키고 문 개방 조작하는 것을 인식시키는 좌측 방향의 화살표 마크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A)에는 우측 방향으로 손가락을 터치한 채 슬라이드시키고 문 개방 조작하는 것을 인식시키는 우측 방향의 화살표 마크가 설치되어 있다.
캐비닛(11)의 천정판 상면의 전방단 근방의 좌우 2개 각각, 좌측 문(21), 우측 문(22) 각각의 상변의 개방측단부 근방에 대응하는 위치 각각에, 문 개방 구동부(54, 55) 각각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문 개방 구동부(54, 55)는 전자석에 의한 플런저(54A, 55A)를 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좌측 문(21), 우측 문(22) 각각의 개방측단부 근방의 상변을 전방으로 밀어내어 각각의 문을 자동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좌측 문(21)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좌측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의 우측단 또는 우측단 근처의 화살표 마크에 터치한 채 좌측 방향으로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면, 문 개방 조작부(51)가 그 연속적인 터치를 감지하고 터치 검지 신호를 제어부(56)에 보내며, 제어부(56)에서는 문 개방 조작 지령이라고 판단하면 좌측 문(21)의 문 개방 구동부(54)를 동작시키고, 좌측 문(21)을 자동 개방한다. 한편, 우측 문(22)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우측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A)의 좌측단 또는 좌측단 근처의 화살표 마크에 터치한 채 우측 방향으로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면, 문 개방 조작부(52)가 그 연속적인 터치를 감지하고 터치 검지 신호를 제어부(56)에 보내며, 제어부(56)에서는 문 개방 조작 지령이라고 판단하면 우측 문(22)의 문 개방 구동부(55)를 동작시키고 우측 문(22)을 자동 개방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의 제어부(56)가 실시하는 냉각제어는 일반적인 것이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압축기, 조작 패널, 결로 방지 히터, 제빙실 내부의 제빙 장치, 냉장실 팬, 냉동실 팬, 제상(除霜) 히터가 이 제어부(56)에 접속되어 제어된다.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 52A)에서의 화살표 마크는 이 표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곳에 터치하여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문 개방 조작이 되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표시이면, 마크의 형상이나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좌측 문(21), 우측 문(22)에서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 52A) 각각보다 하측의 하단면 부분에는 손바닥을 위로 하고 손가락을 끼워넣어, 앞측으로 당기는 조작에 의해 좌측 문(21), 우측 문(22) 각각을 개별적으로 수동 개방할 수 있도록 손잡이(61, 62)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의 자동 문 개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 개방 조작부(51, 52) 각각에는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 52A)의 좌우 횡방향으로 5개 나열된 화살표 마크 각각에 전면판(21A, 22A)을 끼고 대향하도록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51-1~51-5, 52-1~52-5)가 나열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51-1~51-5, 52-1~52-5)는 각각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변화를 검지하고 터치 검지 신호를 제어부(56)에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우측 문(22)을 열고자 하여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A)의 부분에서 좌측단의 화살표 마크에 손가락을 터치하고, 터치한 채 우측 방향으로 그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면,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52-1~52-5) 중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지한 센서 각각이 터치 검지 신호를 터치의 순으로 제어부(56)에 송신한다. 그래서, 제어부(56)는 도 5의 플로우차트의 논리에 따라 문 개방 조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정규의 문 개방 조작으로 판단하면 우측 문의 개방 구동부(55)에 문 개방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우측 문(22)을 자동 개방시킨다. 또한,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의 경우에는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에 대해서 우측단 또는 우측단 근처의 화살표 마크에 터치한 채 좌측 방향으로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에 대해서, 동일한 좌측 문(21)의 개방 조작을 판단한다.
여기에서의 문 개방 판단의 논리는 다음과 같다. 좌우 각각 5개의 센서 중 적어도 3개의 센서가 소정 시간(예를 들어, 0.5초 또는 1초)내에, 또한, 나열순으로 터치 검지한 경우에 문 개방 조작이라고 판단하여 해당하는 문을 자동 개방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우측 문(22)의 개방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A)의 화살표 마크 중 하나에 터치되면 문 개방 조작부(52)측의 해당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통상은 좌측단 또는 좌측단 근처의 화살표 마크에 터치되므로, 여기에서는 좌측단의 센서(51-1)로 함)가 터치 검지하여 터치 검지 신호를 제어부(56)에 송신한다. 제어부(56)는 이 신호를 수신하여 문 개방 조작의 판단 처리를 시작한다(단계(S0)). 그리고, 우선 타이머 카운트를 개시한다(단계(S1)).
타이머가 카운트업할 때까지 계속해서 우측 옆, 우측 옆의 옆의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52-2, 52-3)가 터치 검지하고 검지 신호를 송신하면, 제어부(56)는 그 신호를 수신하고, 터치된 센서가 우측 방향으로 연속하는 3개가 되고,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방향으로서는 순방향의 슬라이드 조작이라고 판단한다. 즉, 단계(S2)에서 아니오, 단계(S3)에서 예, 단계(S4)에서 예, 단계(S5)에서 예라고 판단한다. 그 결과, 제어부(56)는 우측 문(22)에 대한 정규의 문 개방 조작이라고 판단하여 우측 문의 문 개방 구동부(55)에 대해서 문 개방 구동지령을 출력하고, 문 개방 구동부(55)를 동작시켜 우측 문(22)을 자동 개방한다(단계(S6)).
또한, 도중에서 슬라이드를 멈추거나, 슬라이드 스피드가 늦거나, 슬라이드의 길이가 짧으면, 일정 시간(예를 들어, 0.5초 또는 1초) 내에 3개 이상의 화살표 마크가 순방향으로 터치된 것을 판단할 수 없으므로, 이 문 개방 조작의 판단 처리는 일단 중지하고, 다음의 터치 검지를 기다리게 된다(단계 S2에서 '예'로 분기하여 단계 S7로 점프하여 판단 처리를 중지한다). 또한,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A)에서 우단측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해도 우측 문은 열리지 않는다(단계 S5에서 '아니오'로 분기하고 단계 S7로 점프하여 판단 처리를 중지한다).
좌측 문(21)의 개방 조작의 판단 처리도 동일하다. 단, 좌측 문(21)의 경우, 우측 문(22)과는 방향이 반대이고,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에서의 우측단 또는 우측단 근처의 화살표 마크에 터치하고 나서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경우에 문 개방 조작으로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좌측단 또는 그 근처의 화살표 마크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해도 좌측 문은 열리지 않는다.
또한, 상기의 자동 문 개방 제어에서는 제어부(56)가 문 개방 조작을 판단하고, 또한 문 개방 구동부(54, 55)를 구동시키는 수순이었지만, 이를 대신하여 문 개방 조작부(51, 52)측에 마이크로컴퓨터를 탑재시키고,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51-1~51-5, 52-1~52-5)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변화를 검지하여 터치 검지 신호를 그 마이크로컴퓨터에 입력하고, 문 개방 조작부(51, 52)에서 소정의 시간 내에 일정 방향의 슬라이드 조작이 있었다고 판단했을 때, 최종적으로 문 개방 조작이 있다고 판단하고 좌측 문 개방 또는 우측 문 개방의 지령 신호를 제어부(56)에 송신하고, 제어부(56)에서는 이 문 개방 지령을 수신하면 문 개방 구동부(54) 또는 문 개방 구동부(55)를 문 개방 구동시키는 수순을 채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6, 도 7을 사용하여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좌측 문(21), 우측 문(22) 각각에의 편성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부(52)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부(51)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우선, 문 개방 조작부(52)는 W 방향이 짧고 T 방향이 긴, 가늘고 긴 기판(52P) 위에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52-1~52-5)를 길이 방향 T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나열하여 설치한 구조이다. 그리고, 이 문 개방 조작부(52)를 그 길이 방향인 T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전면판(22A)의 배면에 밀착되는 자세로 우측 문(22)의 하단 내부에 설치한다.
거기에서 우측 문(22)의 하단부의 좌측단 근처에, 하측으로 개구하는 조작부 설치공간(6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부 설치공간(64)은 문 개방 조작부(52)의 길이 방향(T)의 길이보다 약간 좌우 횡방향의 폭이 길게 되어 있고, 문 개방 조작부(52)를 그 길이방향(T)을 횡 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하면 개구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문 개방 조작부(52)를 그 길이방향(T)을 좌우방향에 맞춘 자세 그대로 조작부 설치공간(64)에 그 하면 개구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삽입하고, 조작부 설치공간(64)의 상단에 도달할 때까지 슬라이드시켜 고정한다. 그리고, 문 개방 조작부(52)를 전면판(22A)의 배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테입 등으로 가고정한다. 그 후, 우측 문(22)의 내부 공동부에 단열재(22B)로서 액상 우레탄을 주입하여 발포, 고화시킴으로써 조작부 설치공간(64)내에 이 문 개방 조작부(52)를 고정한다. 좌측 문(21)에 대한 문 개방 조작부(51)에 대해서도 동일한 수순으로 부착한다.
이와 같은 설치수순을 채용함으로써, 특히 문 개방 조작부(51, 52)는 좌우 횡방향인 T방향으로 길고, 상하방향인 W방향으로는 짧아지는 자세로 조작부 설치공간(64)에 설치, 고정되므로, 길이방향인 L방향에서 한쪽을 띄우고, 우측의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52-5)가 전면판(22A)의 배면에 밀착되어 있어도 좌측의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52-1)가 전면판(22A)의 배면에 밀착되지 않고 들뜬 상태로 고정되는, 또는 반대로 좌측의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52-1)가 전면판(22A)의 배면에 밀착되어 있어도 우측의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52-5)가 전면판(22A)의 배면에 밀착되지 않고 들뜬 상태로 고정되는 상태가 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횡방향으로 나열하여 설치되어 있는 모든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52-1~52-5)를 전면판(22A)의 배면에 동등하게 밀착된 상태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냉장고의 가장 단순한 문의 구조로서는 냉장실의 전방에 좌측 개방 또는 우측 개방의 한쪽 개방식 1매의 문을 배치하고, 이 문의 구조로서, 단열성의 문 본체의 전면에 착색 투명한 비도전성 전면판을 부착하며, 냉장고의 냉각 제어 내용을 변경하는 조작을 하기 위한 제어 조작부와 문 개방 장치의 문 개방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문 개방 조작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도 1~도 3에 도시한 우측 문(22)의 구성을 1매의 문에 구비시킨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제2 실시형태).
또한, 제어 조작부(50), 문 개방 조작부(51, 52)는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감압식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의 전면판(21A, 22A)의 표면측에 요철을 만들지 않고 사용자의 조작에 대해서 감응하여 해당하는 조작을 할 수 있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는다(제3 실시형태).
또한, 제어 조작부(50)와 문 개방 조작부(51, 52)는 다른 조작방법에 대하여 조작입력에 감응하는 설정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어 조작부(50)이면, 해당 부분으로의 포인트 터치에 감응하여 하나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지만,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경우에는 해당 부분을 일정 거리 이상 터치한 채로 슬라이드시키지 않으면 문 개방 조작 입력으로 인식하지 않는 설정으로 할 수 있다(제4 실시형태).
또한, 문 개방 조작부(51, 52)는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을 대신하여 복수 부분을 소정의 순으로 또는 소정의 방향으로 차례로 터치하는 조작을 검지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제5 실시형태). 또한, 다른 변경예로서 문 개방 조작부는 문의 하단부를 대신하여, 상단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제6 실시형태).
또한, 다른 실시형태로서 다음과 같은 변경예가 가능하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문(21, 22)이 양쪽 개방식인 냉장고에 있어서, 문 개방 조작부(51, 52)에 대한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1, 52A-1)를 전면판(21A, 22A)의 표면의 지상으로부터 동일한 높이 위치에 설정하고,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1)에서는 그 좌측단 근처부터 우측단 근처까지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하면서 슬라이드시키면 좌측 문(21)을 개방시킬 수 있고,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A-1)에서도 그 좌측단 근처부터 우측단 근처까지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하면서 슬라이드시키면 우측 문(22)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도 8에 화살표 A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문(21)의 개방 조작 표시부(51A-1)의 좌측단 근처부터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A-1)의 우측단 근처까지 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에 의해 좌우 양문(21, 22)을 동시에 개방할 수 있다(제7 실시형태).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문(21, 22)이 양쪽 개방식인 냉장고에서 문 개방 조작부(51, 52)에 대한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2, 52A-2)를 각 문(21, 22)의 전면판(21A, 22A)의 개방단 근처에 설치하고, 각 문(21, 22)의 개방측과는 반대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각 문(21, 22) 각각을 개방할 수 있는 설정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좌측 문(21)에 대해서는 그 우측단이 개방단이므로,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2)는 그 우단측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표시로 하고 있다. 또한 우측 문(22)에 대해서는 그 좌측단이 개방단이고,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A-2)는 그 좌단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표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설정으로 함으로써, 문 개방 조작에 의해 문의 개방단이 열리는 방향으로 사용자는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이 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열리기 시작한 문의 개방단과 간섭하는 일이 적고, 원활한 개방 조작이 가능해진다(제8 실시형태).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 문이 한쪽 개방식이어도, 또는 양쪽 개방식의 2매의 문이어도, 그 문(여기에서는 문(22)으로 함)의 상하 좌우의 4 모퉁이 중 어느 근처에 수평으로 또는 수직으로, 또는 모퉁이를 향하여 비스듬한 방향으로 문 개방 조작부(52)를 설치하고,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A-3)도 문(22)의 전면판(22A)의 그것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하고, 또한 문 개방 조작 방향이 상기 문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인 경우에 문 개방 동작하는 설정으로 할 수 있다(제9 실시형태).
예를 들어, 도 10(a)는 문(22)의 개방단측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문 개방 조작부(52),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A-31)를 설치하고, 문(22)의 개방단측을 향하여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문을 개방할 수 있는 설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변경예의 경우, 문 개방 조작부(52),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A-31)를 문(22)의 개방단측의 상단부에 동일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0(b)는 문(22)의 개방단측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문 개방 조작부(52),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A-32)를 설치하고 문(22)의 하단을 향하여 위에서 아래로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문 개방할 수 있는 설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c)는 문(22)의 개방단측의 상단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문 개방 조작부(52),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A-33)를 설치하고, 문(22)의 상단을 향하여 아래에서 위로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문 개방할 수 있는 설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d)는 문(22)의 회전 힌지단측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문 개방 조작부(52),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A-34)를 설치하고, 문(22)의 하단을 향하여 위로부터 아래로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문 개방할 수 있는 설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변경예의 경우, 문 개방 조작부(52),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A-34)를 문(22)의 회전 힌지단측의 상단부에 설치하고, 아래로부터 위로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문을 개방하는 설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e)는 문(22)의 네 모퉁이 중 하나, 개방단측의 하방 모퉁이부에서 비스듬히 대각선 방향으로 문 개방 조작부(52),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A-35)를 설치하고, 문(22)의 하방 모퉁이를 향하여 비스듬히 위로부터 비스듬히 아래로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문을 개방시킬 수 있는 설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변경예의 경우, 문 개방 조작부(52),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A-35)를 문(22)의 네 모퉁이 중 다른 3개의 모퉁이 중 어느 것에 설치하고, 각 모퉁이를 향하여 비스듬히 아래로부터 위로, 또한 비스듬히 위로부터 아래로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문을 개방할 수 있는 설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 문이 한쪽 개방식이어도, 또는 양쪽 개방의 2매의 문이어도, 그 문(22)의 전면판(22A)의 이면측에 설치하는 문 개방 조작부(52)에 설치하는 정전용량 터치 센서(52-1~52-5)에 대해서는 슬라이드 조작 방향(A2)과는 다른 방향(A3)에서 이웃하는 센서끼리 일부 겹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센서의 오버랩 구성에 의해, 슬라이드 조작시에 터치 부족이 없어지고, 이웃하는 센서끼리 동시에 터치되어도 정전용량의 변화는 면적이 넓은 센서 쪽에서 커져, 동시 검지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제10 실시형태).
또한, 도 12,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 문이 한쪽 개방이어도, 또는 양쪽 개방식의 2매의 문이어도, 그 문(여기에서도 문(22)으로 함)에 편성되는 문 개방 조작부(52)는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문 개방 조작을 검지하는 것이고, 복수개의 슬라이드 검지용 터치 센서가 원고리 형상으로 또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상하, 좌우에 설치되고, 또한 이 복수 개의 전극이 일정한 패턴을 그리는 슬라이드 조작에 대해서 문 개방 조작을 검지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제11 실시형태).
도 12의 예는 문(22)에 편성되는 문 개방 조작부(52)에서의 복수 개의 슬라이드 검지용 터치 센서(52-1~52-8)를 원고리 형상으로 배치하고 있고, 이러한 문 개방 조작부(52)에 대해서는 원을 그리도록 3개 이상의 이웃하는 터치 센서가 연속하여 터치되면 문 개방 동작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화살표 A4~A6 중 어느 슬라이드 조작이어도, 또는 그들과는 역방향의 슬라이드 조작이어도 문 개방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예는 문(22)에 편성되는 문 개방 조작부(52)에서의 복수개의 슬라이드 검지용 전극(5211~5244)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상하 좌우로 배치하고 있고, 이와 같은 문 개방 조작부(52)에 대해서는 화살표 A7~A1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3개 이상의 상방향, 하방향, 또는 비스듬히 상방향, 비스듬히 하방향으로 이웃하는 전극이 연속하여 터치되면 문 개방 동작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문이 한쪽 개방이어도, 또는 양쪽 개방식의 2매의 문이어도(여기에서는 양쪽 개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그 문(21, 22)의 문 개방 조작부(51, 52)는 모두 소정의 한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한 문 개방 조작을 검지하는 것이고, 좌측 문(21)에 있어서는 그 회전 힌지측으로부터 개방단측을 향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드되었을 때 문 개방 검지하고, 우측 문(22)에 있어서도 그 회전 힌지측으로부터 개방단측을 향하여 반대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드되었을 때 문 개방 검지하는 구성이다. 이 경우,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 52A) 각각은 슬라이드 조작 방향을 나타내므로, 각각 개방단을 향하는 화살표 마크를 시행하고 있다(제12 실시형태). 이 개방단을 향하는 슬라이드 조작에 의한 문 개방 조작은, 특히 사용자가 냉장고의 외측으로부터 냉장고의 중심부에 와서 문을 개방 조작하는 것이 통상이므로, 그 동선방향과 슬라이드 조작방향이 일치하여, 문 개방 조작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또한, 다른 변경예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이 가능하다. 사람이 냉장고 문의 앞에 선 것을 검지하는 사람감지 검지수단(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사람을 인식하는 카메라 등)을 문에 설치하고, 그 사람감지 검지수단이 사람을 검지한 후에 문 개방 조작을 액티브로 하는 제어를 제어부가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물이나 정전기 등으로 멋대로 냉장고 문이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제13 실시형태).
또한, 냉장실(12) 앞의 회전식 개방문(21, 22)이 아니라 야채실(13)이나 전환실(14) 등의 인출식문(23,24) 등에 냉장실 문(21, 22)의 문 개방 조작부(51, 52)을 설치할 수도 있다(제14 실시형태). 또한, 이 경우에는 전기 배선은 인출식 문의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서 제어부(56)와 접속하게 된다.
또한, 실시형태의 냉장고(1)는 이하에 차례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제15 실시형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조작부(제어 조작 기판이라고도 함)(50)는 우측 문(22)의 세로 방향의 측면부인 문 전면판을 지지하는 문의 좌우 상하측면을 구성하는 문 캡에 형성된 삽입구(50V)로부터 수납부(50R)내에, G방향으로 삽입하여 수납할 수 있다. 문 개방 조작부(터치 오픈용 스위치 기판이라고도 함)(52)는 우측 문(22)의 세로 방향의 측면부의 삽입구(52V)로부터 수납부(52R)내에, G방향으로 삽입하여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문 개방 조작부(터치 오픈용 스위치 기판)(51)는 좌측 문(21)의 세로 방향의 측면부의 삽입구(51V)로부터 수납부(51R)내에, H방향으로 삽입하고 수납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손걸이)(61, 62)는 좌측 문(21)의 하면부(하변)와 우측 문(22)의 하면부(하변)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손잡이(61, 62)와 문 개방 조작부(51, 52)는 좌측 문(21)의 하측의 모퉁이부의 위치와 우측 문(22)의 하측의 모퉁이부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어 문의 다른 변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문 개방 조작부(51, 52)와 손잡이(61, 62)는 상하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우측 문(22)은 후술하는 도 19와 같이, 예를 들어 우측 문(22)은 유리판인 전면판(22A)과 내부판(22K)과 문 캡(72)으로 구성하고, 삽입구(50V)를 문 캡(72)에 설치하면 좋다. 그리고, 삽입구(50V)와 연속하여 문 캡(72)으로부터 전면판(22A)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수납부(50R)를 설치하고, 그 수납부(50R)에 기판을 삽입하면 좋다.
또한, 수납부(50R)의 외측의 전면판(22A)과 내부판(22K)과 문 캡(72) 사이의 공간은 우레탄 등의 발포 단열재나 진공단열재로 메워 단열하는 것이 좋다.
또한, 삽입한 제어 조작부(50)나 문 개방 조작부(51)는 삽입 후 후방으로부터 전면판(22A)에 억압하는 탄성 수단에 의해 전면판(22A)에 밀착시켜도 좋지만, 횡폭이 긴 기판인 경우(문 개방 조작부(51) 등)은 직접, 전면판(22A)의 이면에 접착재 등으로 접착시켜도 좋다. 그렇게 하면, 조작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살표 마크인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 52A)는 LED(51M, 52M)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살표 마크로서는 유리에 직접 인쇄한 것이어도 좋고, 필름에 인쇄한 것을 유리의 이면에 설치하여 광으로 볼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도 15에 도시한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을 개방하기 위한 문 개방 조작부(51, 52)는 정전스위치를 이용한다. 회전문인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에서는 정전 스위치는 전기 배선을 이용하여 캐비닛(11)측의 제어부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온도차가 비교적 적은 냉장실의 회전문이므로, 문 개방 조작부(51, 52)로서는 정전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정전스위치는 습기에 약하기 때문에 온도차가 적은 부분에 이용한다.
이에 대해, 인출식 문, 예를 들어 냉동실(15)의 인출식 문(25)을 개방하기 위한 문 개방 조작부(71)나, 인출식 문(23)을 개방하기 위한 문 개방 조작부(77)는 홀 IC의 스위치를 이용한다. 인출식 문은 캐비닛(11)(냉장고 본체)으로부터 인출하여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전기 배선을 사용하여 문 개방 조작부(77)와 캐비닛(11)측의 제어부를 접속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문 개방 조작부(71, 77)로서는 인출식 문에 마그네트를 배치하고, 인출식 문을 누르면 마그네트의 위치가 바뀌고, 홀 IC의 스위치가 비접촉으로 이 마그네트의 위치가 바뀐 것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홀 IC로부터의 마그네트의 위치가 바뀐 것을 나타내는 신호에 의해, 제어부는 인출식 문을 미는 밀기 수단을 조작시킴으로써 인출식 문을 개방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5에 도시하는 우측 문(22)의 수평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측 문(22)은 유리판인 전면판(22A)과 내판(22K)과 보강판(70)과 문 캡(72)과, 문 개방 조작부(52)의 기판(74)을 갖고 있다. 이 우측 문(22)의 내부에는 단열용 우레탄 부재 또는 20mm 두께의 진공단열재(73)가 배치되어 있다. 기판(74)과 유리판(22A)의 간극은 제로이다. 문 캡(72)이 유리판인 전면판(22A)의 단부를 덮어 들어간다. 유리판인 전면판(22A)은 강화 유리이지만, 만약 유리판의 단부가 노출 상태인 경우에는 유리판의 노출되어 있는 단부를 보호하기 위해, 유리판의 노출되어 있는 단부에는 C면 컷을 설치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문 개방 조작부(52)를 조작하여 자동적으로 문이 개방되므로 냉장고의 이웃에 배치되어 있는 다른 주방가구나, 벽에 전면판(22A)의 단부가 접촉될 우려가 있지만, 단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면판(22A)의 단부에는,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부를 덮음으로써 보호하는 방지수단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문 개방 조작부(52)의 기판(74)은, 전면판(22A)의 내면에 대해서 간극이 없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 대칭 형상이기는 하지만, 좌측 문(21)이어도 동일한 구조이다. 또한, 좌우의 문 개방 조작부(52)의 기판의 크기는 다르게 해도 좋다. 예를 들어, 큰 문측의 기판을 작은 문의 기판보다 크게 하면 좋다.
[제16 실시형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문(21)의 내측의 고기 플레이트 천정판의 하단선의 위치(LL)보다 아래에, 문 개방 조작부(51)를 배치한다. 즉, 도 24는 냉장고 본체의 세로 방향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닛(11)내에서는 냉각기로부터의 냉기가 통과하는 냉기 덕트가 배면에 있고, 덕트로부터 문측을 향하여 분사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 24와 같이 냉기가 화살표 방향으로 흐른다.
캐비닛(11)에는 고기 플레이트(99T)가 배치되어 있고, 고기 플레이트(99T)의 뒤쪽에는 분사구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 문(21)에서 고기 플레이트 천정판의 하단선의 위치 LL보다 아래에, 문 개방 조작부(51)를 배치한다. 이에 의해, 고기 플레이트(99T)를 통과한 냉기는 고기 플레이트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방벽 등의 방풍(防風) 수단에 의해 좌측 문(21)내의 문 개방 조작부(51)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냉기는 좌측 문(21)내의 문 개방 조작부(51(52))에는 도달하지 않으므로, 문 개방 조작부(51(52))가 냉각되어 버리는 데 따른 결로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기 플레이트(99T)의 상단보다, 포켓 틀의 상단이 위에 있는 편이, 냉기가 도어 배면에 닿지 않는다. 이에 의해, 문 개방 조작부(51(52))를 수용하기 위해, 문 개방 조작부(51(52))의 부분에서는 단열재가 얇은 점에서 결로하기 쉬워져 있는 부분에는, 냉기가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결로에 의해 동작하여 신호를 제어부에 보내는 일이 없고, 문 개방 조작부(51)가 부주의로 동작하여 좌측 문(21)이 멋대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도 18에 도시한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부(52)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고기 플레이트(99T)는 칠드 실로서도 이용 가능한 것으로, 문과 인출식 용기를 갖고, 전방으로 인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칠드 실로서는 인출 용기를 수납 가능한 보강된 수납 케이스와 문으로 밀폐 가능하게 하는 밀폐 공간에 의해 구성해도 좋고, 이 밀폐수납공간 내부의 공간을 감압수단인 진공펌프로 감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고기 플레이트(99T)이고 수납 케이스의 배면에 설치된 냉기 분사구로부터의 냉기를 문에 직접 도달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분사구의 차가운 온도대를 밀폐 공간의 감압된 단열층에 의해 단열할 수 있어, 전열(傳熱)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납 케이스로 분사구를 덮도록 설치하면 좋다. 또한, 이 밀폐 수납부의 배면에 설치된 분사구로부터의 냉기를 풍량 조정 수단인 댐퍼에 의해 제어해도 좋고,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고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에 의해 온도가 낮아진 것을 검지하여 댐퍼를 폐쇄하여 문에 냉기가 닿기 어렵게 하도록 제어하면 좋다.
또한, 문 개방 조작부(52)를 구비한 기판의 후방에는 문의 내부에 배치된 진공단열재가 기판과, 고기 플레이트(99T)의 뒤에 배치되는 분사구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기판을 결로시키지 않도록 단열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 기판은 문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층을 구비하는 수지제의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고, 이 경우에는 특히 결로가 되기 쉬워지지만, 진공단열재를 구비하고 고내의 냉열을 단열함으로써, 결로를 방지하여 문이 갑자기 개방되는 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수납부의 주위에 전열(傳熱)이 우수한 금속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외기의 열을 수납부에 전달하여 따뜻하게 함으로써 결로를 방지시켜도 좋다.
또한, 우측 문과 좌측 문 사이에 배치하고 있고 한쪽 문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개폐하는 세로 칸막이를 구비하고, 상기 세로 칸막이의 내부에 열원을 수납해도 좋다. 그리고, 이 기판이나 수납부를 고(庫)의 열원의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열을 기판이나 수납부에 전달할 수 있고, 보다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이 열원은 세로 칸막이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기판 또는 수납부의 위치의 히터 밀도를 높이는 등하여 전열량을 많게 하면 좋다. 그 히터 밀도는 히터선을 2중으로 배치하거나, 절곡하여 배치하거나, 세로 칸막이 내에서 기판측에 열이 전달되도록 열전도성이 양호한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을 히터로부터 기판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해도 좋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닛(11)내의 분사구(79R)의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문 개방 조작부(51(52))를 부착함으로써, 분사수(79R)로부터의 냉기는 좌측 문(21)내의 문 개방 조작부(51(52))에는 도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냉기는 좌측 문(21) 내의 문 개방 조작부(51)(52)에는 도달하지 않으므로, 문 개방 조작부(51)(52)가 냉각되어 버리는 데 따른 결로 현상을 일으키지 않고, 이 결로에 의해 동작하여 신호를 제어부로 보내는 일이 없고, 문 개방 조작부(51)(52)가 부주의하게 동작하여 좌측 문(21)(우측 문(22))이 멋대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7 실시형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조작부(50)와 문 개방 조작부(51)는 좌측 문(21)에서 1매의 기판(99)에 배치할 수도 있다. 문 개방 조작부(51)(52)의 검지부와 검지 신호 처리부는 1매의 기판(99)으로 구성할 수 있다. 검지부와 검지 신호 처리부는 수납부(50R)에 함께 수납한다. 마이크로컴퓨터(MC)는 동일한 기판에 배치하면 좋다.
제어 조작부(50)와 문 개방 조작부(52)는 우측 문(22)에서 별도의 기판에 배치할 수 있다. 제어 조작부(50)와 마이크로컴퓨터(MC)가 1매의 기판(99A)에 배치되고 문 개방 조작부(52)는 별도의 기판인 99B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로써, 노이즈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MC를 별도의 기판으로 함으로써, 문 개방 조작부(52)가 오검지하여 멋대로 문이 열리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50R)를 기판(99A)과 기판(99B)이 별도로 수납되는 구획된 다른 수납부를 갖는 경우에는, 기판(99B)의 전기 신호선을 다른 장소의 수납부(예를 들어 기판(99A)이 수납된 수납부)의 제어수단(MC)에 접속하면 좋다. 특히, 다른 장소의 수납부로부터 접속 커넥터가 미리 기판(99B)의 수납부에 연장되어 있고, 기판(99B)을 수납부에 수납했을 때 기판(99B)의 접속선과 접속 커넥터를 연결하도록 하면, 문 조립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MC)는 동일한 기판(99B)상에서도 다른 위치에 배치된 다른 기판(99C)에 배치해도 좋다. 그리고, 기판(99)은 세로로 긴 형상이어도 가로로 긴 형상이어도 좋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조작부(50)와 문 개방 조작부(51, 52)는 직접 리드선으로는 연결하지 않도록 한다. 즉, 제어 조작부(50)와 문 개방 조작부(51, 52)는 별도의 전기 배선(LA, LB)을 이용하여 각각 제어부(56)의 전원 기판을 통하여 연결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은 제어 조작부(50)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가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문 개방 동작을 부주의로 일으키는 것을 확실하게 막기 위해서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식 문(23, 24, 25, 26)의 손잡이(손걸이)는 각 인출식 문(23, 24, 25, 26)의 좌측 또는 우측면부에 배치할 수 있다. 손잡이(손걸이)는 인출식 문 전면부에는 배치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인출식 문(23)의 문 개방 조작부(77)와, 인출식 문(25)의 문 개방 조작부(71)가 각각 전면부에 배치되어 있을 뿐이다. 이에 의해, 인출식 문의 전면부에는 손잡이(손걸이)가 없으므로, 외관이 좋아진다.
[제18 실시형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문(22)에서는 제어 조작부(50)와 문 개방 조작부(52)의 배치 위치가 좌우의 가로 방향에 관해서 다르다. 즉, 제어 조작부(50)는 우측 문(22)의 우측면부 근처의 위치에 있고, 문 개방 조작부(52)는 우측 문(22)의 좌측면부 근처의 위치에 있다. 이에 의해, 제어 조작부(50)는 문 개방 조작부(52)의 상측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젖은 손으로 만지거나 함으로써 제어 조작부(50)로부터 가령 물이 흘러내렸다 해도, 이 물이 하부의 문 개방 조작부(52)에는 닿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 조작부(50)의 수납부와 문 개방 조작부(52)의 수납부 사이의 거리(Wb)는 제어 조작부(50)와 문 개방 조작부(52) 사이의 거리(Wa)에 비해서 작고, 거리(Wb)는 최소한 이격하지 않으면 안되는 거리이다.
또한, 제어 조작부(50)에서는 문 개방 조작부(52)의 기판을 수납하는 수납부는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고, 좌우 방향으로 겹치도록 랩(lap)시켜 배치해도 좋다. 제어 조작부(50)에서는 문 개방 조작부(52)의 기판도 좌우 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치해도 좋다. 각각의 기판상의 정전용량식의 스위치(SA)와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A)가 겹치지 않으면, 상방에 배치된 정전용량식 스위치(SA)로부터 하방에 배치된 문 개방 조작부(52A)에 물이 흘러내리는 일이 없다. 그리고, 수납부나 기판을 랩시키는 것에서는 문이 작은 면적 중에서 좌우 방향으로 겹쳐 배치됨으로써,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또한, 각각의 기판을 좌우 방향으로 겹쳐 배치하는 것은 동일한 수납부내에 기판을 배치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전극은 제어 조작부(50)의 전극에 비해서, 사용자가 조작한 경우의 검출 감도를 다르게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전극의 검출 감도를 제어 조작부(50)의 전극에 비해서 크게 함으로써,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조작 감도를 좋게 할 수 있다.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전극은 제어 조작부(50)의 전극의 용량을 달리해도 좋고, 전극의 면적을 변경함으로써 다르게 해도 좋다.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전극은 복수 배치가 아니라 하나의 전극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제어 조작부(50)에 대한 조작과 문 개방 조작부(51, 52)에 대한 조작은 다른 조작 방법을 채용하고 있지만, 다른 조작 방법으로서는 제어 조작부(50)에서는 예를 들어 0.5초의 오래 누르기 조작을 하고, 문 개방 조작부(51, 52)에서는, 예를 들어 1초의 오래 누르기 조작을 함으로써 조작의 검지를 실시하는 것이다.
[제19 실시형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조작부(50)의 LED는 전부 소등하고 있고, 제어 조작부(50)의 어딘가의 스위치를 누르면, 제어 조작부(50)의 복수의 LED 또는 모든 LED가 점등한다. 그리고, 점등 중에는 그 동안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스위치는 조작을 검지해도 무효로 하는 제어를 갖고, 사용자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고 문 개방 조작을 무효로 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유효이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점등 중에는 그 동안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LED는 OFF이고, 점등하고 있지 않다. 그렇지 않고, 제어 조작부(50)의 LED가 전부 소등 중에는, 그동안, 문 개폐 조작부(51, 52)의 스위치는 유효이고 조작할 수 있다(무효이고 조작할 수 없도록 해도 좋다). 제어 조작부(50)의 LED가 전부 소등 중에는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LED는 ON이고 점등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 스위치가 유효이고, 문 개방 조작부(51, 52)를 무효로 구성함으로써, 제어 조작부(50)를 손가락으로 누르고 있을 때에 갑자기 문 개방 조작부(51, 52)에 팔꿈치가 닿아 문이 갑자기 개방되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 스위치의 LED가 점등하고, 문 개폐 조작부(51, 52)의 LED를 소등하는 구성은, 동시에 점등하고 있으면, 예를 들어 아이가 제어 조작부(50)와 문 개방 조작부(51, 52)를 동시에 누르고 싶은 충동을 느껴, 문이 개방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조작부(50)와 문 개방 조작부(51, 52)도 유효하게 하여 동시에 눌린 것을 검지한 경우에도, 문 개방 조작부(51, 52)를 무효로 하는 것을 표시나 음성 등으로 알림으로써 주의를 환기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조작부(50)의 형태가 다른 스위치 SA와 스위치 SB는 소정 시간, 동일한 조작 감도를 동일하게 하여 동일한 동작방법으로 ON 할 수 있다. 동일한 조작방식의 스위치 SA와 스위치 SB가, 기판의 한면에 있다. 또한, 문 개방 조작부(51, 52)도 스위치 SA와 동일한 조작 방식으로 해도 좋고, 이 구성으로 하는 것은 각 실시형태에 채용 가능하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조작부(50)의 전기 배선(LA)의 속선(束線)과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전기 배선(LB)의 속선과 히터선은 함께 하나로 정리되지 않는다. 즉, 문 내에서는 각각을 이격시켜 배치하고, 캐비닛에 통하는 문 힌지 부분에서 접근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AC선과 DC선은 따로 묶으면 좋다. 이에 의해 노이즈를 방지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우측 문(22)의 도 19에 도시한 유리판인 전면판(22A)는 강화 유리이기는 하지만, 보강판(70)을 추가하고, 또한 비산 방지 필름을 배치해도 좋다. 전면판(22A)의 단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전면판(22A)의 단부를 덮도록 문 캡(72)이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 19와 달리, 문 캡이 전면판(22A)의 단부를 덮지 않고 유리판(22A)의 단부가 노출 상태인 경우에는, 유리판(22A)의 단부에 컷면인 C면 컷이나 R면을 형성하면 좋다. 유리판인 전면판(22A)은 강화 유리이기는 하지만, 만약 유리판(22A)의 단부가 노출 상태인 경우에는 유리판(22A)의 단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유리판(22A)에는 C면 컷을 설치함으로써 문 개방 조작부를 설치하고 있어, 갑자기 문이 개방된 경우에도 단부가 어딘가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좌우 대칭 형상이기는 하지만, 좌측 문(21)에서도 동일한 구조이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문 개방 조작부(51, 52)는 고장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단열재(73)를 배치하고 있고, 상기 진공단열재(73)의 단열 두께가 20mm이상이며, 세로 칸막이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진공단열재(73)에는 결로가 발생하지 않는다. 히터(도시하지 않음)가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부근에 배치되어 있고, 문 개방 조작부(51, 52) 내에 진공단열재(78)를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문 개방 조작부(51, 52)가 저온부로부터의 영향에 의해 결로되는 것을 피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어 조작부(50)의 스위치(SA, SB)는 조작 감도를 조정하는 기능을 갖고, 감도나 소정 시간을 변경하는 설정수단을 갖는다. 이에 의해, 설정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스위치(SA, SB) 또는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 52A)를 조작했을 때의 조작 감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제20 실시형태]
도 20은 도 15에 도시한 예를 들어 인출식 문(23, 25)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예를 들어 인출식 문(23, 25)은 각각 문 개방 조작부(77, 71)를 갖고 있다. 문 개방 조작부(77, 71)의 기판(82)은 인출식 문(23, 25)의 상면부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수납부(81)에 삽입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인출식 문(23, 25)의 전면부에는 간극이 생기지 않으므로 깔끔하여, 인출식 문(23, 25)의 전면부의 유리면의 외관이 좋다.
도 20에 도시한 문 개방 조작부(77, 71)는 기판(82)과 전지(83)와, 기판(82)을 전면부의 내면에 억압하기 위한 탄성 수단(84)을 갖고 있고, 전지(83)는 문 개방 조작부(77, 71)에 전원 공급한다. 그러면, 하기의 전기 배선을 금속 레일을 따라서 문으로 안내하는 경우에 비하여 노이즈가 문 개방 조작부(77, 71)에 들어가 멋대로 문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한 전지(83)를 대신하여 전원을 다른 곳으로부터 전기 배선을 이용하여 취하는 전원식의 경우에는, 전기 배선을 금속 레일을 따라서 문으로 안내하여 문의 개폐동작에 따라서 최대 인출시의 거리만큼의 배선의 길이를 가동 가능하고 변형 가능하게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그 경우, 인출식 문을 안내하는 금속 레일을 따라서 노이즈가 전기 배선에 실릴 가능성이 있으므로, 문 개방 조작부(77, 71)에 들어가는, 또는 문 개방 조작부(77, 71)로부터 개방 조작을 지시하는 마이크로컴퓨터에 들어가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노이즈 제거 수단인 노이즈 필터를 설치하면 좋다. 또한, 금속 레일을 따라서 배치하는 전기배선의 주위에 절연 수단(노이즈 제거 수단)을 설치하고, 금속과 직접 접촉시키지 않음으로써 노이즈를 제거해도 좋다(제21 실시형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판을 갖는 인출식 문(23, 24, 25, 26) 중, 예를 들어 인출식 문(25)은, 인출식 문(25)의 유리제의 전면부 이외의 부분이며 다른 소재의 문 캡(예를 들어 수지제)에 누름 버튼(95)을 구비한다. 이 수지제의 누름 버튼(95)을 누름으로써, 인출식 문(25)을 개방할 수 있다.
[제22 실시형태]
도 22는 인출식 문(23)(24, 25, 26)과 냉장고의 캐비닛(11)을 도시한 수평 단면도로 인출식 문(23)(24,25,26)과 냉장고의 캐비닛(11) 사이에는, 억압부재(120)가 배치되어 있다. 억압부재(120)는 인출식 문(23)(24,25,26)과 냉장고의 캐비닛(11) 사이에 간극(DH)을 설정하고 있다. 사용자가 인출식 문(23)(24,25,26)을 억압부재(120)의 힘에 대항하여, 화살표로 나타내는 억압방향으로 누름으로써, 비접촉의 거리센서(130)의 발신부(131)가 수신부(132)에 접근한다. 이에 의해, 거리 센서(130)는 거리를 검지하고, 이 검지한 거리가 미리 정한 거리보다 작아지면, 문 개방 조작부(77)(71)가 제어부에 지령을 내리고 압출수단에 의해 인출식 문을 개방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식 문(23, 24, 25, 26)을 개방하기 위한 문 개방 조작부(101, 102, 103, 104)가 예를 들어 좌측 문(21)에 배치되도록 해도 좋다. 문 개방 조작부(101, 102, 103, 104)는 인출식 문(23, 24, 25, 26)의 배치 형상에 맞추어 디자인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쉽고 자세를 바꾸지 않고, 필요한 인출식 문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좌측 문(21), 우측 문(22), 인출식 문(23, 24, 25, 26)은 그들의 전면부에는 손잡이(손걸이)를 전혀 설치하지 않도록 하여 올플랫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23 실시형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식 문(23, 24, 25, 26) 사이의 간극(X, Y)에 대해서는 간극(X) > 간극(Y)가 되어 있다. 즉, 문 개방 조작부(77)를 갖는 인출식 문(23)과 문 개방 조작부(71)를 갖는 인출식 문(25)의 간극(Y)은 문 개방 조작부가 없는 인출식 문(24, 26)의 간극(X)에 비하여, 작게 설정되어 있다. 즉, 손잡이(140)를 갖고 있고 문 개방 조작부가 없는 인출식 문(24, 26)의 간극(X)은, 손을 넣기 위해 문 개방 조작부(77)를 갖는 인출식 문(23)과 문 개방 조작부(71)를 갖는 인출식 문(25)의 간극(Y)에 비하여 크게 취하고 있다. 또한, 문 개방 조작부(77)를 갖는 인출식 문(23)과 문 개방 조작부(71)를 갖는 인출식 문(25)은, 인출식 문의 좌우 측면부에 손잡이를 설치하면 좋다. 이때, 이 손잡이는 유리판을 지지하고 있는 캡에 오목부를 설치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유리판을 갖는 인출식 문을 개폐하기 위해서, 도 22에 도시한 문의 변위량을 검지하는 수단으로서, 비접촉의 거리 센서(130)를 이용하므로, 유리판을 갖는 인출식 문을 약간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인출식 문을 열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조작부(50)는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의 한쪽 또는 양쪽에 배치할 수도 있다.
[제24 실시형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의 유리판(전면판(21A, 22A))의 상부에는 문의 프레임이고 장식부인 캡(15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캡(150)은 외부(상방)로 돌출되어 설치된 돌기(151)를 갖고 있고, 이 돌기(151)는 압출 수단(160)의 억압 부재(161)에 부딪치도록 되어 있다. 돌기(151)는 유리판인 전면판(21A, 22A)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압출 수단(160)의 억압 부재(161)가 돌기(151)를 누르고,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을 개방하고자 할 때, 전면판(21A, 22A)은 힘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캡(150)의 내부에는 보강 리브(162, 163, 164, 165)가 형성되어 있고, 보강 리브(162, 163)에는 유리판(전면판(21A, 22A))이 꼭 끼어 있고, 보강 리브(163, 164)에는 단면 "コ"자형의 보강판(169)이 고정되어 있다. 보강 리브(165)에는 내판(170)이 배치되어 있다. 유리판인 전면판(21A, 22A)과 내판(170) 사이에는 보강을 위해서 우레탄이 메워 넣어진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는 각 도면에 도시한 양쪽 개방식 문을 갖는 냉장고에 한정되지 않고, 한쪽 개방식 문의 냉장고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25 실시형태]
도 25a는 냉장고의 예를 들어 인출식 문(25)의 평면을 도시하고 있고, 인출식 문(25)의 양측에는 건물의 벽(200)이 있다. 인출식 문(25)의 좌우 측면부(25S)에는 오목형의 손잡이(201)가 설치되어 있다. 도 25b에서는 인출식 문(25)의 좌우 측면부에는 오목형의 손잡이(202)가 설치되어 있는데, 좌우 측면부는 전방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5G)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의해, 좌우에 건물의 벽(200)이 있어도 경사면(25G)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간극이 생겨 사용자는 손가락을 손잡이(202)에 간단하게 넣을 수 있다. 또한, 이 때 손잡이(202)는 도면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이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상으로 해도 좋다.
[제26 실시형태]
도 26은 인출식 문(210, 220, 230)의 예를 나타내고 있고, 인출식 문(220)의 상면부에는 오목형의 손잡이(240)가 설치되어 있다. 인출식 문(230)은 그 전면부에 문 개방 조작부(77)가 설치되어 있다. 인출식 문(230)은 그 전면부에 문 개방 조작부(77)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면부의 전면을 유리면으로 할 수 있다. 인출식 문(230)과 인출식 문(220)의 간극 C는 인출식 문(210)과 인출식 문(220)의 간극 B에 비하여 작게 할 수 있어 외관이 좋아진다.
또한, 사용자가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터치 스위치식의 문 개방 조작부(51) 또는 문 개방 조작부(52)로부터 손을 접촉시켰을 때가 아니라, 손가락을 떼었을 때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이 열리도록 하면 좋다. 또한, 사용자가 문 개방 조작부(51) 또는 문 개방 조작부(52)에 손가락을 터치 접촉하고 나서 미리 정한 소정 시간을 경과했을 때,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이 열리도록 해도 좋다.
즉, 제어부는 사용자가 문 개방 조작부(51)를 눌렀을 때와 다른 타이밍으로 문 개방을 지시하도록 제어하고 있고, 사용자가 문 개방 조작부(51)를 눌렀을 때가 아니라 떼었을 때를 검지하여 문 개방을 지시해도 좋으며, 문 개방 조작부(51)를 눌렀을 때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후에 문 개방을 지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문 개방 조작부(51)를 떼었을 때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후에 문 개방을 지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는, 제어부는 문 개방 제어할 때, 터치 센서가 터치 조작을 검지한 후, 비검지가 된 후에 문 개방 제어하는 제어를 하는 것이기도 하고, 문 개방 제어할 때 터치 센서가 터치 조작을 검지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예를 들어 1초 이내이며, 0.3초가 바람직하다)에 문 개방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문 개방 조작부(51) 또는 문 개방 조작부(52)에 손가락으로 터치했을 때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이 바로 열리는 경우에 비하여, 문 개방 조작부(51) 또는 문 개방 조작부(52)에 터치한 손이, 열린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에 부딪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문 개방 조작부(51) 또는 문 개방 조작부(52)를 손가락으로 길게 누른 경우에는, 문 개방 조작부(51) 또는 문 개방 조작부(52)에 터치한 손이 개방된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에 부딪히게 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문 개방 조작부(51) 또는 문 개방 조작부(52)에 손가락을 터치하고 나서 미리 정한 소정 시간을 경과했을 때,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이 열리도록 함으로써, 터치한 손이 개방된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문 구조에 대해서는 상세하게는 하기와 같은 구성이어도 좋다.
도 27은 도 1에 도시한 냉장고(1)의 냉장실(12)의 양쪽 개방식 문의 한쪽 문만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시사도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냉장고(1)의 냉장실(12)의 양쪽 개방식 문을 구성하는 좌측 문(21)과 우측 문(22) 및 야채실(13), 제빙실(16), 상부 냉동실(14) 및 냉동실(15)의 각각의 인출식 문(23~25)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도 27에 도시한 문과 동일하고, 문(103b)으로서 구조예를 대표하여 설명한다.
도 27에 도시한 냉장실(12)의 문(103b)은 상기 문(103b)의 전면(前面)을 전면적으로 덮도록 설치된 외표면의 유리판(121)을 갖는다. 도 27에서 유리판(121)이 설치되어 있는 측이 문(103b)의 전면측이고, 유리판(121)과 반대측의 후방이 냉장실(12)의 내부를 향하는 문(103b)의 후측이다.
유리판(121)의 상하 좌우의 외주부에는 상측 문 캡(134), 하측 문 캡(133), 좌측 문 캡(135) 및 우측 문 캡(137)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상하 좌우 4개의 문 캡은 유리 기판(121)의 상하 좌우 측면을, 상하 좌우의 외측에서 유지하여 고정한다. 이들 상측 문 캡(134), 하측 문 캡(133), 좌측 문 캡(135) 및 우측 문 캡(137)은 유리판(121)의 4변 부분에 고정하고 또한 유리 기판(121)의 4변 부분에서의 장식을 실시하는 장식부로서 기능한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판(121)의 내측에는 문의 내판을 구성하는 문 내측 구성체(125)가 문 캡에 부착됨으로써 문(103b)을 전체적이면서 또한 일체적으로 조립하고 있다. 이 문 내측 구성체(125)의 내측으로, 냉장실(12)의 내부를 향하는 내측에는 문과 캐비닛을 시일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시일 수단인 개스킷(12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리판(121)과 문 캡과 문 내측 구성체(125) 사이의 공간에 발포 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진 발포 단열재가 충전되어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발포 단열재가 유리판(121)의 내면에 접착되어 유리판(121)을 고정 부착하며, 유리판(121)이 떨어지거나 휘지 않도록 고정하고 있다. 유리판(121)에는 도료가 칠해지고, 그 내측에 유리가 파손되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 방지 시트가 설치되며, 이 비산 방지 시트와 우레탄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 부재를 설치해도 좋다.
다음에, 도 28을 참조하여, 정전용량형의 스위치를 갖는 기판과 문의 관계성의 구조예를 설명한다.
도 28은 상술한 제어 조작부(50)나 문 개방 조작부(51, 52)를 구성하는 정전용량형 스위치(스위치(SA, SB),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 52A) 등에 해당)를 갖는 문(문(21,22) 등)의 횡단면도의 모식도이다.
도 28에 도시한 좌측 문 캡(135)은 문(103b)의 상하 방향(도 28의 지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좌측의 장식부이고, 우측 문 캡(137)은 문(103b)의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우측의 장식부이다. 문(103b)의 상하 방향은 도 28에 도시한 Z방향이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판(121)의 일단부(좌측단부)(155)는 좌측 문 캡(135)에 의해서 전면적으로 덮여 있지 않고, 좌측 문 캡(135)으로부터 노출된 상태가 되어 있는 거의 노출 상태의 단부이다. 이에 대해서 유리판(121)의 타단부(우측단부)(121f)는 물림부(137a)에 의해 덮여 있어, 노출되어 있지 않은 단부이다.
유리판(121)의 일단부(155)의 측면(152)의 전방측 부분에는 R면(156)이 형성되어 있고, 직각 형상으로는 되어 있지 않다. 이 R면(156)은 예를 들어 1/4 원주 형상의 R면이다. 예를 들어, R면(156)은 일단부(155)의 일부를 절제 후에 연마하여 둥그스름함을 갖게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고, 이 R면(156)은 Z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문 캡(135)의 측면(153)에 비하여 유리판(121)의 일단부(155)의 측면(152)은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의해, 유리판(121)의 측면(152)은 좌측 문 캡(135)의 측면(153)으로부터는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유리 기판(121)의 측면(152)을 보호할 수 있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문 캡(135)의 측면(153)에는 기판 삽입부(15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판 삽입부(154)는 관통 구멍이고, 좌측 문 캡(135)의 외측으로부터, 수납 부재(105)의 내부에 기판(110)을 삽입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기판(110)은 정전용량형 스위치(101)와 냉장고의 정보를 외부에 통신하거나, 다른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수단(106)을 탑재하고 있다. 수납 부재(105)는 유리판(121)의 내면(121M)과 좌측 문 캡(135)의 내면(135M)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 수납 부재(105)는 기판(110)을 수납 가능한 수납부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그리고, 기판 삽입부(154)에는 덮개를 설치하고, 덮개로 닫음으로써 수납부를 밀폐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수납부의 주위에 열전도성이 양호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설치하거나, 내부에 보강용 금속을 배치함으로써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기판(110)은 스프링과 같은 탄성 수단(103)을 이용하여 수납 부재(105)측으로부터 유리판(121)의 내면(121M)에 대해서 억압함으로써, 내면(121M)에 대해서 밀착되어 유지하게 되어 있다. 기판(110)은 좌측 문 캡(135)의 지지부(P2)와는 다른 위치 P1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정전용량형 스위치(101)를 갖는 기판(110)은, 좌측 문 캡(135)의 지지부(P2)를 피하고 유리 기판(121)의 내면(121M)에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정전용량형 스위치(101)는 유리판(121)의 내면(121M)에 간극을 두지 않고 억압하여 배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유리판(121)의 표면으로부터 정전용량형 스위치(101)의 온 오프 조작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정전용량형 스위치(101)를 유리판(121)의 내면(121M)에 간극을 두지 않고 억압하는 방법으로서는, 탄성 수단이 아니라,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기판(110)을 이동시키는 가이드 수단을 설치해도 좋고, 예를 들어 수납부를 기판의 삽입 방향을 향하여 좁아지도록 경사를 설치하거나, 기판(110)에 설치한 돌기가 수납부에 설치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가이드됨으로써 억압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기판은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 용기에 배치된 구성이어도 좋고, 이 지지 용기 내에 발광 수단인 LED를 배치하고, 기판의 이면으로부터 LED를 발광시키면 좋다.
또한, 정전용량형 스위치(101)는 이면에 배치된 LED기판의 표면에 전극이 배치됨으로써 일체형이 되어 있어도 좋고, LED를 배치한 기판과는 별도로 다른 기판에 설치해도 좋다. 그 기판은 탄성을 갖는 필름 형상의 투명 필름에 정전용량형 스위치의 전극을 설치하면 좋다. 그렇게 하면 LED를 투명 전극의 배면에 배치할 수 있고, 전극의 내측으로부터 발광시킬 수 있다.
[제27 실시형태]
도 29는 제27 실시형태의 냉장고(1)의 정면도이고, 도 30은 이 냉장고(1)의 문 개방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1은 이 냉장고(1)의 냉장실(12)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9와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7 실시형태의 냉장고(1)에서는 냉장고 본체인 캐비닛(11)은 상단으로부터 냉장실(12), 야채실(13), 고내 설정 온도를 전환할 수 있는 전환실(14), 냉동실(1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환실(14)의 좌측에는 제빙실(16)이 설치되어 있다.
도 29~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12)의 전면 개구부를 덮기 위해, 좌우 한쌍의 좌측 문(21), 우측 문(22)이 각각 좌측단부, 우측단부의 상하를 힌지부로 양쪽 개방식으로 개폐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야채실(13), 전환실(14), 냉동실(15), 제빙실(16)에는 인출식 문(23, 24, 25, 26)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좌측 문(21), 우측 문(22)은 모두, 전면에 개구하는 편평한 내판의 개구부에 착색 투명의 유리제의 전면판(21A, 22A)을 부착하고, 또한 내부 공동부에 진공단열재를 배치하고, 진공단열재로 완전히 메워지지 않는 공동부에 우레탄 단열재 또는 고체 단열재를 배치한 구조이다. 전면판(21A, 22A)의 착색도는 외광을 받은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면판(21A, 22A)의 내측의 단열재 등의 충전물이 보이지 않는 농도이다. 또한, 전면판(21A, 22A)의 착색도는 후술하는 조작 버튼명, 냉각 기능명, 냉각 강도 등을 투과 표시하는 LED 표시등, 온도값 등의 변화하는 수치를 투과 표시하는 7세그먼트 LED 표시 장치의 점등 상태에서 광이 투과하여 표면측으로부터 보이는 농도이기도 하다.
우측 문(22)의 전면판(22A)의 내측에는 전면판(22A)의 표면으로부터의 터치 조작에 의해 냉장고를 조작하기 위한 정전용량식 제어 조작부(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 조작부(50)에는 냉장고 주위의 환경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적외선 수광부, 홈 버튼, 이 홈 버튼으로의 터치를 검지하고 조작 버튼명, 냉각 기능명, 냉각 강도 등을 투과 표시하는 LED 표시등, 온도값 등의 변화하는 수치를 투과 표시하는 7세그먼트 LED 표시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좌측 문(21)의 전면판(21A), 우측 문(22)의 전면판(22A)의 하변 근방의 이면 측에는 각각에 좌우 횡방향으로 가늘고 긴 문 개방 조작부(51, 5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판(21A, 22A)의 표면에는 문 개방 조작부인 것, 또한 문 개방 조작 방향을 나타내는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 52A)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는 좌측 방향으로 손가락을 터치한 채 슬라이드시켜 문 개방 조작하는 것을 인식시키는 좌측 방향의 화살표 마크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A)에는 우측 방향으로 손가락을 터치한 채 슬라이드시켜 문 개방 조작하는 것을 인식시키는 우측 방향의 화살표 마크가 설치되어 있다.
캐비닛(11)의 천정판 상면의 전방단 근방의 좌우 2군데에는 각각 좌측 문(21), 우측 문(22) 각각의 상변의 문 개방측 단부 근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문 개방 구동부(54, 5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문 개방 구동부(54, 55)는 전자석에 의해 플런저(54A, 55A)를 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좌측 문(21), 우측 문(22) 각각의 개방측 단부 근방의 상변을 전방으로 밀어내고 각각의 문을 자동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문(21)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좌측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의 우측단 또는 우측단 근처의 화살표 마크에 터치한 채 좌측 방향으로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면, 문 개방 조작부(51)가 그 연속적인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 검지 신호를 제어부(56)에 보내고, 제어부(56)에서는 문 개방 조작지령이라고 판단하면 좌측 문(21)의 개방 구동부(54)를 동작시켜, 좌측 문(21)을 자동 개방한다. 한편, 우측 문(22)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우측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A)의 좌측단 또는 좌측단 근처의 화살표 마크에 터치한 채 우측 방향으로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면, 문 개방 조작부(52)가 그 연속적인 터치를 감지하고 터치 검지 신호를 제어부(56)에 보내며, 제어부(56)에서는 문 개방 조작지령이라고 판단하면, 우측 문(22)의 개방 구동부(55)를 동작시키고 우측 문(22)을 자동 개방한다.
또한, 제27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의 제어부(56)가 실시하는 냉각제어는 일반적인 것이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압축기, 조작 패널, 결로 방지 히터, 제빙실 내부의 제빙 장치, 냉장실 팬, 냉동실 팬, 제상 히터가 이 제어부(56)에 접속되어 제어된다.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 52A)의 화살표 마크는, 이 표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터치하여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문 개방 조작이 되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표시이면, 마크의 형상이나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좌측 문(21), 우측 문(22)에서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 52A) 각각보다 하측의 하단면 부분에는 손바닥을 위로 하여 손가락을 끼워 넣고, 앞측으로 당기는 조작에 의해 좌측 문(21), 우측 문(22) 각각을 개별적으로 수동 개방할 수 있도록 손잡이(61, 62)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제27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의 문의 자동 개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2는 냉장고(1)에서의 문 개방 제어 블럭도이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각각에는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 52A)의 좌우 횡방향으로 5개 나열된 화살표 마크 각각에 전면판(21A, 22A)을 끼고 대향하도록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51-1~51-5, 52-1~52-5)가 나열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51-1~51-5, 52-1~52-5)는 각각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변화를 검지하고 터치 검지 신호를 제어부(56)에 송신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거기에서 사용자가 우측 문(22)를 열고자 하여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A)의 부분에서 좌측단의 화살표 마크에 손가락을 터치하고, 터치한 채 우측 방향으로 그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면,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52-1~52-5) 중 정전용량변화를 검지한 센서 각각이 터치 검지 신호를 터치의 순으로 제어부(56)에 송신한다. 거기에서 제어부(56)는 문의 개방 조작 여부를 판단하고 정규의 문 개방 조작으로 판단하면 우측 문의 개방 구동부(55)에 문 개방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우측 문(22)을 자동 개방시킨다. 또한, 좌측 문(21)의 개방 조작의 경우에는, 좌측 문(21)의 개방 조작 표시부(51A)에 대해서 우측단 또는 우측단 근처의 화살표 마크에 터치한 채로 좌측 방향으로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에 대해서, 동일한 좌측 문(21)의 개방 조작을 판단한다.
여기에서의 문 개방 판단의 논리는 다음과 같다. 좌우 각각 5개의 센서 중 적어도 3개의 센서가 소정 시간(예를 들어 0.5초 또는 1초)내에, 또한, 나열순으로 터치 검지한 경우에 문 개방 조작이라고 판단하고 해당하는 문을 자동 개방으로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A)의 화살표 마크 중 하나에 터치되면, 문 개방 조작부(52)측의 해당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통상은 좌측단 또는 좌측단 근처의 화살표 마크에 터치되므로, 여기에서는 좌측단의 센서(52-1)로 함)가 터치 검지하고 터치 검지 신호를 제어부(56)에 송신한다. 제어부(56)는 이 신호를 수신하고, 문 개방 조작의 판단 처리를 시작한다. 그 결과, 제어부(56)는 우측 문(22)에 대한 정규의 문 개방 조작이라고 판단하고, 우측 문의 문 개방 구동부(55)에 대해서 문 개방 구동지령을 출력하고, 문 개방 구동부(55)를 동작시켜 우측 문(22)을 자동 개방한다.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의 판단 처리도 동일하다. 단지, 좌측 문(21)의 경우, 우측 문(22)과는 방향이 반대이고,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A)에서의 우측단 또는 우측단 근처의 화살표 마크에 터치하고나서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경우에 문 개방 조작으로 판단하게 된다.
다음에,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음성 인식 수단인 2개의 음성 인식 센서(NS1, NS2)와, 사람 감지 센서(HS)와, 조도 센서(LS)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9와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음성 인식 센서(NS1)와, 사람 감지 센서(HS), 조도 센서(LS)는 냉장고(1)의 캐비닛(11)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 하나의 음성 인식 센서(NS2)는, 예를 들어 우측 문(22)의 하부에서 하나의 음성 인식 센서(NS1)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음성 인식 센서(NS1, NS2)로서는 예를 들어 컨덴서 마이크를 사용할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30과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의 음성 인식 센서(NS1)는 냉장고(1)의 캐비닛(11)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지만, 하측의 음성 인식 센서(NS2)는 예를 들어 우측 문(22)의 하단부 내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의 음성 인식 센서(NS1, NS2) 중 어느 한쪽의 음성 인식 센서를 배치하는 것만이어도 좋다.
도 31에 도시한 사람 감지 센서(HS)로서는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1에 도시한 상측의 음성 인식 센서(NS1)와, 사람 감지 센서(HS)와, 조도 센서(LS)는 각각 수납 케이스(CS1, CS2, CS3)에 수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음성 인식 센서(NS1)와, 사람 감지 센서(HS)와, 조도 센서(LS)는 캐비닛(11)의 상면에 겹쳐 배치되거나 나란히 배치할 수 있어,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수납 케이스(C1, C2, C3)는 캐비닛(11)의 상면에서, 예를 들어 문 개방 조작부(51, 52)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각 센서의 배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들 센서는 문 개방 구동부(54, 55)의 케이스 내에 수납해도 좋고 도어를 개폐하는 지점(支點)의 힌지를 커버하기 위한 케이스에 수납해도 좋다.
도 32는 냉장고에서의 문 개방 제어의 블럭도이다. 도 33의 흐름도는 냉장실의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을 자동적으로 여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음성 인식 센서(NS1, NS2)와, 사람 감지 센서(HS)와, 조도 센서(LS)는 제어부(56)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2개의 음성 인식 센서(NS1, NS2)가 소리를 수신했을 때의 음성 신호는 제어부(56)에 보낼 수 있다. 사람 감지 센서(HS)의 검지 신호는 제어부(56)에 보낼 수 있다. 조도 센서(LS)의 조도 신호는 제어부(56)에 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음성 인식 센서(NS1, NS2)를 설치함으로써, 나중에 설명하지만, 도 33에 도시한 흐름도와 같이 하여, 사용자가 음성으로 말을 함으로써 냉장실의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을 사용자에 의해 수동이 아니고, 즉 사용자가 손잡이(손잡이)를 잡고 문을 여는 이외에, 소리 및 음성을 검지하는 등의 다른 검지(조작) 방법으로 자동적으로 열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56)에는 기억부(300)와 관련성 입력 등록 수단(305)이 접속되어 있다. 관련성 입력 등록 수단(305)에서는 사용자가 「수용물인 식품 등의 명칭」이나, 예를 들어 「좌측 문(21)의 수납 포켓의 명칭」, 「우측 문(22)의 수납 포켓의 명칭」, 「냉장고(1)의 고내의 수용장소의 명칭」 등을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수용물인 식품 등의 명칭」으로서는 예를 들어, 「우유」, 「달걀」, 「버터」, 「쥬스」, 「와사비」, 「두부」 등이다. 「냉장고(1)의 고내의 수용 장소의 명칭」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 29에 도시한 냉장실(12), 야채실(13), 전환실(14), 냉동실(15), 제빙실(16) 등이다.
도 32에 도시한 제어부(56)는 기억부(300)에는 상술한 「수용물인 식품 등의 명칭」이, 「냉장고(1)의 고내의 어떤 수용 장소의 명칭」에 들어 있는지의 관련정보를 기억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일례로서는 기억부(300)에는 사용자가 좌측 문(21)측의 수납 포켓에는, 예를 들어 「우유」, 「달걀」, 「버터」를 세팅(기억)시키고, 단계(S12)에서는 우측 문(22)측의 수납 포켓에는 예를 들어 「쥬스」, 「와사비」, 「두부」를 세팅(기억)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냉장실의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을 자동적으로 여는 경우를 도시한 도 3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음성에 의해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을 자동적으로 여는 경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3에서 단계(S11)에서는 사용자가 미리 관련성 입력 등록수단(305)의 예를 들어 키보드나 터치 패널 등을 조작하여, 좌측 문(21)측의 수납 포켓에 관련하여, 예를 들어 「우유」, 「달걀」, 「버터」를 입력하여 등록하고, 우측 문(22)측의 수납 포켓에는 예를 들어 「쥬스」, 「와사비」, 「두부」를 입력하여 등록한다. 이에 의해, 도 32에 도시한 제어부(56)는 도 32에 도시한 기억부(300)에 대해서, 좌측 문(21)측의 수납 포켓에 관련하여, 예를 들어 「우유」, 「달걀」, 「버터」를 세팅하고(기억시키고), 단계(S12)에서는 우측 문(22)측의 수납 포켓에는 예를 들어, 「쥬스」, 「와사비」, 「두부」를 세팅(기억)시킨다.
도 33의 단계(S13)에서는 사용자가 냉장고에 접근한 것을, 예를 들어 사람 감지 센서(HS) 또는 조도 센서(LS) 등으로 검지함으로써, 제어부(56)에는, 사람 감지 센서(HS)로부터 검지 신호가 보내어지거나 또는 조도 센서(LS)로부터 조도 신호가 보내어진다. 이 때문에, 제어부(56)에서는 검지 신호 또는 조도 신호에 의해, 제어부(56)의 음성 인식 기능 개시의 트리거가 걸리고, 즉 제어부(56)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발휘할 타이밍을 발생시킴으로써, 제어부(56)의 음성 인식 기능이 작용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음성 인식 기능 개시의 트리거는 사람 감지 센서(H)가 냉장고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검지한 경우에, 사람 감지 센서(HS)로부터 제어부(56)에 검지 신호를 부여했을 때나, 조도 센서(LS)가, 사용자에 의해 냉장고가 놓여 있는 부엌의 조명을 켠 것을 검지한 경우에, 조도 센서(LS)로부터 제어부(56)에 조도 신호를 부여했을 때이다.
그리고, 도 33의 단계(S14)에서 사용자가 음성으로 「우유」, 「달걀」, 「버터」 중 적어도 하나를 말하면, 도 32에 도시한 음성 인식 센서(NS1, NS2)가 이 음성을 수신하여 제어부(56)에 음성 신호를 보냄으로써, 제어부(56)가 음성 인식한다. 이에 의해, 단계(S15)에서 제어부(56)는 「우유」, 「달걀」, 「버터」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되어 있는 도 32에 도시한 좌측 문(21)의 문 개방 구동부(54)에 대해서 문 개방 구동 지령을 출력하고, 문 개방 구동부(54)를 동작시킨다. 이 때문에 단계(S16)에서는 좌측 문(21)의 수납 포켓은 문 개방 구동부(54)의 동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동일하게 하여, 단계(S14)에서 사용자가 음성으로 「주스」, 「와사비」, 「두부」 중 적어도 하나를 말하면, 도 32에 도시한 음성 인식 센서(NS1, NS2)가 이 음성을 수신하여, 제어부(56)에 음성 신호를 보냄으로써, 제어부(56)가 음성 인식한다. 이에 의해, 단계(S17)에서 제어부(56)는 「쥬스」, 「와사비」, 「두부」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되어 있는 우측 문(22)의 문 개방 구동부(55)에 대해서 문 개방 구동 지령을 출력하고, 문 개방 구동부(55)를 동작시킨다. 이 때문에, 단계(18)에서는 우측 문(22)의 수납 포켓은 문 개방 구동부(55)의 동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기억부(300)에서는 예를 들어 미리 「우유」가 들어가 있는 좌측 문(21)의 수납 포켓을 관련지어 등록해 둠으로써, 「우유」가 들어 있는 냉장고 내의 장소를 알지 못하는 사람도, 「우유」라고 하면, 좌측 문(21)측을 자동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우유」가 들어 있는 냉장고내의 장소를 알지 못하는 사람이, 잘못하여 「우유」가 들어 있지 않은 우측 문(22)을 개방하는 일이 없게 된다. 이 때문에, 문의 개방 폐쇄의 횟수가 감소되고 에너지 절감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제빙용 저수 탱크가 냉장고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예를 들어 「저수」라고 발성(發聲)함으로써 저수 탱크가 저장되어 있는 측의 문, 예를 들어 좌측 문(21)이 열리므로, 사용자는 저수 탱크를 든 채 고내 저장 탱크의 소정의 수용 위치에 수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저수 탱크를 두 손으로 들고 있어 양손을 쓸 수 없는 경우에도, 저수 탱크를 수용하기 위해서 열고자 하는 예를 들어 좌측 문(21)을, 도 29에 도시한 손잡이(61)를 사용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열 수 있다.
또한, 도 29에 도시한 인출식 문(23, 24, 25, 26)에 대해서도 문 개방 구동부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좌측 문(21)과 우측 문(22)과 동일하게 하여, 음성에 의해 문을 자동 개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좌측 문(21), 우측 문(22), 인출식 문(23, 24, 25, 26)을 수동으로 여는 수동 조작과는 달리, 자동적으로 문을 열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양손으로 식품 등을 들고 있는 경우 등에 매우 편리하다.
또한 다른 문을 개방하는 음성을 동시에 인식한 경우에는, 이들 다른 문의 개방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여 개방하는 등, 사용자의 문 충돌 방지를 도모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 33에 도시한 단계(S13)에서 제어부(56)에 대해서 음성 인식 개시를 위한 트리거를 부여하는 예로는, 사용자가 발성하는 말(단어)을 음성 인식 센서(NS1, NS2)에 의해 인식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음성 인식 센서(NS1, NS2)로부터의 음성 신호이다. 사용자가 발성하는 미리 정한 말(단어)로서는 예를 들어 「플러스 열려가 참깨」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이 제어부(56)에 대해서 음성 인식 개시를 위한 트리거를 부여하기 위한 바람직한 예로서는, 예를 들어 「열려라 참깨」 또는 「플러스 열려라 참깨」와 같은 통상 회화에서는 등장하지 않는 단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56)에 대해서 음성 인식 개시를 위한 트리거를 부여하는 예가 사람의 음성인 경우에는, 통상의 회화 내용에서 발생하는 단어에 의해 제어부(56)가 음성 인식 동작을 개시하는 폐해를 막기 위해서, 통상의 회화에서는 나오지 않는 단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어부(56)가 잘못하여 음성 인식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56)에 대해서 음성 인식 개시를 위한 트리거를 부여하는 음성은 냉장고에서 발생하는 이상음, 예를 들어 컴프레서 등의 소리나, 문 개방시를 통지하는 알람음, 문의 개폐음, 방에서 사용하는 청소기나 방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등의 소리와는 다른 소리로 설정하면 좋다. 또한, 인식하는 소리를 음성이 아닌 소리로 설정할 때에는, 박수를 복수회(예를 들어 2회) 친 소리를 인식하도록 설정하면, 냉장고에서 발생하는 소리와 다르므로 잘못된 개폐가 없어진다.
다음에 도 34를 참조하여, 도 30에 도시한 우측 문(22)의 하부에 배치된 음성 인식 센서(NS2)의 배치예를 설명한다. 도 34는 예를 들어 우측 문(22)의 횡단면의 모식도이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인식 센서(NS2)는 예를 들어 컨덴서 마이크이고 우측 문(2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음성 인식 센서(NS2)는 수납 부재(105)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수납 부재(105)는 유리판(121)의 내면(121M)과 좌측 문 캡(135)의 내면(135M)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 수납 부재(105)는 기판(110)을 수납 가능한 수납부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구멍부(154)는 예를 들어 우측 문(22)의 좌측 문 캡(135)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발생하는 음성 등은 구멍부(154)를 통하여 음성 인식 센서(NS2)에 도달하게 되어 있다. 이 구멍부(154)는 단일 구멍이어도 좋고, 복수의 구멍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음성 인식 센서(NS2)는 우측 문(22)의 하부 내에 내장되도록 하여 배치할 수 있고, 또한 구멍부(154)를 통하여 외부의 음성 등을 확실히 모을 수 있다. 또한, 이 음성 인식 센서(NS2)는 기판(110)에 탑재되어 있어도 좋고, 구멍부(154)를 덮는 덮개를 구비하고 덮개에 작은 구멍을 형성해도 좋다.
그런데,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56)는 발광부(330)와 소리 발생부(340)와, 음성 발생부(350)에 접속되어 있다. 발광부(330)와 소리 발생부(340)와 음성 발생부(350)는 음성 인식 센서(NS1, NS2)가 검지한 소리(음성)에 의해 문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대해서 이 문이 열리는 것을 경고하기 위해 알리는 알림 수단이다.
발광부(330)는 예를 들어 LED 발광부이고, 소리 발생부(340)는 예를 들어 부저이다. 음성 발생부(350)는 예를 들어 스피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2에 도시하는 음성 인식 센서(NS1, NS2) 중 적어도 한쪽이 사용자의 음성을 검출하고, 제어부(56)가, 예를 들어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을 개방하는 지령을 내면, 제어부(56)는 도 32에 도시하는 발광부(330)를 예를 들어 「적색」으로 발광시키거나, 소리 발생부(340)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음성 발생부(350)에 의한 음성으로 「문이 열립니다」등의 경고내용을, 사용자에게 보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 대해서 빛, 소리, 음성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문이 열리는 것을 알릴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갑자기 문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56)에는 사람 감지 센서(HS)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사람 감지 센서(HS)는 사용자가 냉장고에 접근한 것을 검지하면, 제어부(56)에 대해서 검출 신호를 내고 사람을 검지한 것을 통지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56)는 냉장고에 사용자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면, 도 32에 도시한 제어부(56)는, 음성 발생부(350)를 통하여 「문을 열까요?」라는 문의 내용을, 음성 가이던스로 사용자에게 물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예를 들어 「예」라고 대답하면, 이 「예」는 음성 인식 센서(NS1, NS2)에 의해 인식하고, 제어부(56)에 음성 신호를 통지한다. 이에 의해, 제어부(56)는 예를 들어 우측 문(22)의 문 개방 구동부(55)에 대해서 문 개방 구동 지령을 출력함으로써 우측 문(22)을 개방할 수 있다. 동일하게 하여, 제어부(56)는 예를 들어 좌측 문(21)의 문 개방 구동부(54)에 대해서 문 개방 구동 지령을 출력함으로써 좌측 문(21)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이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은 각각 개방하는 속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은 문 개방 구동부(54, 55)의 구동에 의해, 통상은 개방 속도를 천천히 늦게 설정함으로써, 문이 급격하게 열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56)에는 신장 계측 센서(410)가 접속되어 있다. 이 신장 계측 센서(410)는 예를 들어 포토 커플러와 같은 광 센서를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대략적인 신장을 계측한다. 예를 들어, 신장 계측 센서(410)는 사용자 신장값이 상단측의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에 도달할 정도의 값인지, 도달하지 않는 값인지를 구별하여 계측하면 좋다. 이에 의해 제어부(56)는 신장 계측 센서(410)가 측정한 사용자의 신장값에 기초하여, 상단측의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의 열리는 속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장 계측 센서(410)가 계측한 사용자 신장값이 상단측의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에 이르기까지의 값인 경우에는 제어부(56)는 문 개방 구동부(54, 55)의 동작을 더 늦게 하고, 문 개방 구동부(54, 55)는 상단측의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을, 각각 통상의 개방되는 속도보다 더욱 천천히 한 속도로 개방한다.
이에 의해,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이 사용자의 머리부나 신체에 부딪히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신장 계측 센서(410)가 계측한 사용자의 신장값이, 상단측의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에 도달하지 않은 값인 경우에는, 문 개방 구동부(54, 55)는 상단측의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을, 각각 통상의 열리는 속도로 개방한다.
도 32 또는 도 35에 도시한 제어부(56)가 음성 발생부(350)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우측 문을 엽니다」라는 경고 내용을 사용자에 대해서 알린 경우에, 이 사용자가 다시 한번 이 경고 내용을 확인하고 싶을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다시 한번」이라든가, 「반복」과 같은 반복 재촉 내용을 말하면, 음성 인식 센서(NS1, NS2)가, 「다시 한번」이라든가, 「반복」과 같은 반복 재촉 내용의 음성신호를 제어부(56)에 보낸다. 제어부(56)는 음성 인식 센서(NS1, NS2)로부터의 음성 신호에 의해 음성 발생부(350)를 이용하여 적어도 다시 한번 「우측 문을 엽니다」라는 경고 내용을, 사용자에 대해서 알린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냉장고측이 발하는 경고 내용을 듣지 못해도, 간단하게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단의 냉장실의 우측 문(22)을 개방하여 고내를 들여다 보고 있을 때, 예를 들어 다른 문인 좌측 문(21)이 자동으로 열리는 조작을, 제어부(56)가 접수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우측 문(22)을 개방하여 고내를 들어다 보고 있고, 사용자가 예를 들어 「우유도 꺼내지 않으면」이라고 중얼거렸을 때, 잘못하여 「우유」가 들어 있는 측인 좌측 문(21)이 자동적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좌측 문(21)이 사용자의 예를 들어 안면에 부딪히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동일하게 하여, 사용자가 상단의 냉장실의 우측 문(22)을 열고 고내를 들여다보고 있을 때, 「채소도 꺼내지 않으면」이라고 중얼거렸을 때, 잘못하여 「채소」가 들어 있는 야채실의 문이 자동적으로 나와 사용자의 하복부나 무릎 등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접수를 무효로 하는 이외에는 어느 문이 개방되어 있을 때 다른 문의 개방 스피드를 통상의 스피드보다 늦게 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좋다.
또한, 냉장고로부터 이상음(컴프레서음, 부저음)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음성 인식을 잘 인식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다시 한번 말해 주십시오」 등의 사용자에 대한 지시의 음성을 스피커로부터 흘려도 좋다.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56)에는 근접센서(400)가 접속되어 있다. 이 근접센서(400)는 예를 들어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에 배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에 손을 접근하면, 터치 스위치인 문 개방 조작부(51, 52)나 제어 조작부(50)가 예를 들어 LED 램프 등을 사용하여 발광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의해, 냉장고가 놓여 있는 장소가 어두운 곳이어도, 사용자는 문 개방 조작부(51, 52)나 제어 조작부(50)의 위치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근접 센서의 기능과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400)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는 없다.
도 36은 근접 센서의 기능을 갖게 한 문 개방 조작부의 동작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경우에는 도 3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계(S21)에서 도 35의 제어부(56)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근접 센서를 겸하는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정전 스위치의 감도를 높여 유지해 둠으로써 근접 센서로서도 기능을 유지하게 해 둔다.
그리고, 도 36의 단계(S22)에서 근접 센서를 겸하는 문 개방 조작부(51, 52)가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근을 검지했을 때에는 단계(S23)에서 제어부(56)의 지령에 의해 근접 센서를 겸한 문 개방 조작부(51, 52)가 발광하고, 또한 근접 센서를 겸하는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감도를 원래의 상태로 낮춤으로써, 근접 센서를 겸한 문 개방 조작부(51, 52)는 문 개방 조작부로서만 기능한다. 여기서, 근접 센서를 겸하는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감도를 낮추지 않으면 근접 센서를 겸하는 문 개방 조작부(51, 52)로의 터치 입력 전에 감지하게 되어, 정확한 입력을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근접 센서를 겸하는 문 개방 조작부(51, 52)가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근을 감지하고, 근접 센서를 겸하는 문 개방 조작부(51, 52)가 발광함으로써, 근접 센서를 겸하는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위치를 명확히 알 수 있고, 또한 근접 센서를 겸하는 문 개방 조작부(51, 52)를 이용하여 입력 가능하게 된 것을 사용자에 알릴 수 있다. 별도 근접 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근접 센서를 겸하는 문 개방 조작부(51, 52)가 발광하기 전에는 제어부(56)는 근접 센서를 겸하는 문 개방 조작부(51, 52)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없도록 하고, 사용자가 입력을 의도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근접 센서를 겸하는 문 개방 조작부(51, 52)에 접촉되었을 때의 오입력을 방지한다.
[제28 실시형태]
도 37은 제28 실시형태의 냉장고(1)의 정면도이다. 도 38은 이 냉장고(1)의 문 개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이 냉장고(1)의 냉장실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7과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8 실시형태의 냉장고(1)는 냉장고 본체인 캐비닛(11)을 구비하고 있다. 캐비닛(11)은 상단으로부터 냉장실(12), 야채실(13), 고내 설정 온도를 전환할 수 있는 전환실(14), 냉동실(1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환실(14)의 좌측에는 제빙실(16)이 설치되어 있다.
도 37 내지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12)의 전면 개구부를 덮기 위해, 좌우 한쌍의 좌측 문(21), 우측 문(22)이 각각 좌측단부, 우측단부의 상하를 힌지부로 양쪽 개방식으로 개폐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한, 야채실(13), 전환실(14), 냉동실(15), 제빙실(16)에는 인출식 문(23, 24, 25, 26) 각각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야채실(13)의 배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냉장실(12)과 야채실(13)을 냉각하기 위한 냉장용 증발기가 배치되고, 전환실(14) 및 냉동실(15)의 배면에는 동일하게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전환실(14), 냉동실(15), 제빙실(16)을 냉각하기 위한 냉동용 증발기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7과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야채실(13)의 배면에는 이 냉장고(1)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진 제어부(56)가 배치되어 있다.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은, 모두 전면에 개구하는 편평한 내판의 개구부에 착색 투명한 유리제의 전면판(21A, 22A)을 부착하고, 또한 내부 공동부에 진공단열재를 배치하며, 진공단열재로 완전히 메워지지 않은 공동부에 우레탄 단열재 또는 고체 단열재를 배치한 구조이다.
유리제의 전면판(21A, 22A)의 착색도는 외광을 받은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면판(21A, 22A)의 내측의 단열재 등의 충전물이 보이지 않는 농도이다. 또한, 유리제의 전면판(21A, 22A)의 착색도는, 예를 들어 제어 조작부(50)의 조작 버튼명, 냉각 기능명, 냉각 강도 등을 투과 표시하는 LED 표시등, 온도값 등의 변화하는 수치를 투과 표시하는 7세그먼트 LED 표시 장치의 점등 상태에서, 빛이 투과하여 표면측에서 보이는 농도이기도 하다.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문(21)의 우측단부, 즉 폐쇄 상태에서의 우측 문(22)의 좌측단부에 근접하여 대향하는 개방측 부분에는 문의 폐쇄 상태에서 우측 문(22)의 좌측단부, 즉, 개방측 부분과의 시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회전 칸막이체(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칸막이체(31)의 내부에는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결로 방지 히터가 내장되어 있다.
우측 문(22)의 전면판(22A)의 내측에는 전면판(22A)의 표면으로부터의 터치 조작에 의해 냉장고를 조작하기 위한 정전용량식 제어 조작부(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 조작부(50)에는 냉장고 주위의 환경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적외선 수광부, 홈 버튼, 이 홈 버튼으로의 터치를 검지하고, 조작 버튼명, 냉각 기능명, 냉각 강도 등을 투과 표시하는 LED 표시등, 온도값 등의 변화하는 수치를 투과 표시하는 7세그먼트 LED 표시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 조작부(50)는 냉장고(1)의 냉각제어 내용을 변경하는 조작을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우측 문(22)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 조작부(50)의 홈 버튼은 사용자(유저)가 손가락으로 터치함으로써 각종 조작을 냉장고(1)의 제어부(56)에 지령을 할 수 있는 메뉴 버튼이다.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문(21)의 전면판(21A)과 우측 문(22)의 전면판(22A)의 하변 근방의 이면측에는 각각 좌우 횡방향을 따라서, 가늘고 긴 문 개방 조작부(51, 52)가 설치되어 있다. 문 개방 조작부(51, 52)는 문의 오픈 버튼이라고도 한다. 전면판(21A, 22A)의 표면에는 문 개방 조작 방향을 나타내는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B, 52B)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B)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좌측 방향으로 터치한 채 슬라이드시켜 문 개방 조작하는 것을 인식시키는 좌측 방향의 화살표 마크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B)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우측 방향으로 터치한 채 슬라이드시켜 문 개방 조작하는 것을 인식시키는 우측 방향의 화살표 마크가 설치되어 있다.
도 37과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 개방 구동부(54, 55)는 캐비닛(11)의 천정판 상면의 전단 근방의 좌우 2군데의 위치, 즉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의 상변의 개방측단부 근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문 개방 구동부(54, 55)는 전자석에 의해 플런저(54B, 55B)를 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의 개방측단부 근방의 상변을 전방으로 밀어내어,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을 각각 자동 개방할 수 있다. 좌측 문(21)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좌측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B)의 우측단 또는 우측단 근처의 화살표 마크에 터치한 채 좌측 방향으로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면 문 개방 조작부(51)가 그 연속적인 터치를 감지하고, 터치 검지 신호를 제어부(56)에 보낸다. 그리고, 제어부(56)에서는 문 개방 조작 지령이라고 판단하면 좌측 문(21)의 문 개방 구동부(54)를 작동시켜 좌측 문(21)을 자동 개방할 수 있다.
동일하게 하여, 우측 문(22)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우측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B)의 좌측단 또는 좌측단 근처의 화살표 마크에 터치한 채 우측 방향으로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면, 문 개방 조작부(52)가 그 연속적인 터치를 감지하고, 터치 검지 신호를 제어부(56)에 보낸다. 그리고, 제어부(56)에서는 문 개방 조작 지령이라고 판단하면 우측 문(22)의 문 개방 구동부(55)를 동작시켜, 우측 문(22)을 자동 개방할 수 있다.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냉각 제어 내용을 변경하는 조작을 하기 위한 제어 조작부(50)가, 예를 들어 우측 문(12)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이 제어 조작부(50)를 조작함으로써 냉장고(1)의 냉각 제어 내용을 변경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우측 문(12)에서는 문 개방 조작부(52)는 제어 조작부(50)의 하방에 배치되고 또한 문 개방 조작부(52)는 이 제어 조작부(50)의 바로 아래의 위치가 아니라, 제어 조작부(50)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우측 문(22)에서는 메뉴 버튼을 갖는 제어 조작부(50)의 하방의 위치에는, 문 개방 조작부(52)가 배치되어 있지만, 이 문 개방 조작부(52)는 메뉴 버튼을 갖는 제어 조작부(50)의 위치에 대해서, 화살표 QR 방향에 따라서 우측 방향으로 다른 위치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제어 조작부(50)의 메뉴 버튼을 손가락으로 터치한 경우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물에 젖어 있는 상태로, 이 물이 손가락으로부터 떨어졌다고 해도, 손가락으로부터 떨어진 물이 문 개방 조작부(52)에는 부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정전 터치식의 문 개방 조작부(52)가 손가락으로부터 떨어진 물에 의해 반응하는 일이 없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문 개방 조작부(52)가 멋대로 반응함으로써 제어부(56)가 우측 문(22)의 문 개방 구동부(55)를 동작시킨다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문(22)이 멋대로 자동 개방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조작부(50)의 메뉴 버튼(메뉴 키)을 누름으로써, 제어 조작부(50)에서의 다른 조작 버튼이 발광하여 그 조작 버튼의 조작이 유효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문 개방 조작부(52)(오픈 스위치)가 제어 조작부(50)에 대해서 다른 장소(어긋난 위치)에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제어 조작부(50)에서의 발광 조작이 유효해져 있는 다른 조작 버튼을 접촉했다고 해도, 손가락으로부터 떨어진 물은 문 개방 조작부(52)에는 부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문(22)을 자동 개방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문 개방 조작부(52)와, 제어 조작부(50)의 메뉴 버튼(메뉴 키)만을 유리제의 전면판(22A)에 인쇄하고 제어 조작부(50)의 메뉴 버튼을 제외한 다른 요소는, LED의 점등에 의해 떠오르는 구성으로 하면, 냉장고(1)의 우측 문(22)은 깔끔한 외관이 된다.
또한, 제28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제어부(56)가 실시하는 냉각제어는 일반적인 것이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압축기, 조작 패널, 결로 방지 히터, 제빙실 내부의 제빙 장치, 냉장실 팬, 냉동실 팬, 제상 히터가 이 제어부(56)에 접속되고 제어된다.
도 37과 도 39에 도시한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B, 52B)에서의 화살표 마크는 이 표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터치하여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문 개방 조작이 되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표시이면 마크의 형상이나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21)과 우측 문(22)에는 손잡이(61, 62)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61, 62)는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B, 52B)의 하측의 하단면 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손바닥을 상방을 향하게 하여 손가락을 손잡이(61, 62)에 끼워 넣고, 앞측으로 당기는 조작에 의해 좌측 문(21), 우측 문(22)을 개별적으로 수동 개방할 수 있다.
다음에 제28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의 자동 문 개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0은 냉장고(1)에서의 문 개방 제어의 블럭도이다.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 개방 조작부(51, 52)는 각각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B, 52B)를 갖고 있다.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B, 52B)는 그 좌우 횡방향을 따라서 각각 5개 나열된 화살표 마크를 갖고 있다.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B, 52B)에는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51-1~51-5, 52-1~52-5)가 각각 나열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51-1~51-5, 52-1~52-5)는 각각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변화를 검지하고 터치 검지 신호를 제어부(56)에 송신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거기에서 사용자가 우측 문(22)를 열고자 하여 문 개방 조작 표시부(52B)의 부분에서 좌측단의 화살표 마크에 손가락을 터치하고, 터치한 채 우측 방향으로 그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면,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52-1~52-5) 중 정전용량변화를 검지한 센서가, 터치 검지 신호를 터치의 순으로 제어부(56)에 송신한다. 거기에서 제어부(56)는 문 개방 조작 여부를 판단하고, 정규의 문 개방 조작으로 판단되면, 우측 문의 문 개방 구동부(55)에 문 개방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우측 문(22)을 자동 개방시킨다. 또한, 좌측 문(21)의 개방 조작의 경우에는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 표시부(51B)에 대해서 우측단 또는 우측단 근처의 화살표 마크에 터치한 채 좌측 방향으로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에 대하여, 제어부(56)는 동일한 좌측 문(21)의 개방 조작을 판단한다.
도 41은 도 37 내지 도 39에 도시한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부(51)와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부(52)가, 냉장고(1)의 사용자의 인체를 검지하기 위한 인체 검지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문 개방 조작부(51)와 문 개방 조작부(52)는 사용자의 인체를 검지하면, 제어부(56)에 인체 검지 신호를 보낸다. 이에 의해, 제어부(56)는 문 개방 조작부(51)로부터 조작 신호의 입력을 유효로 하고, 해당하는 좌측 문(21)의 문 개방 제어를 실시하며, 문 개방 조작부(52)로부터의 조작 신호 입력을 유효로 하여 해당하는 우측 문(22)의 문 개방 제어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56)는 예를 들어 인체 검지 수단인 문 개방 조작부(52)를 예로 들면, 문 개방 조작부(52)에 의해 사용자의 인체를 검지하면, 문 개방 조작부(52)의 표시를 온한다. 제어부(56)는 문 개방 조작부(52)의 점등에 의한 표시를,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의 방법에 의해 전환할 수 있다.
인체 검지 수단인 문 개방 조작부(52)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정전 스위치이고, 정전 스위치가 사용자의 인체를 검지할 때에는 제어부(56)는 정전 스위치의 감도를 높게 전환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인체 검지 수단인 문 개방 조작부(52)는 인체가 접근하면 검지하는 근접 센서이고, 제어부(56)는 이 근접 센서인 문 개방 조작부(52)의 감도를 전환하여 문 개방 조작부(52)를 접촉 센서로서 기능하게 하고,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을 유효하게 하며, 또한 접촉 센서로서의 문 개방 조작부(52)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접촉한 것을 검지하면, 제어부(56)는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을 실제로 실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문 개방 조작부(52)의 감도를 전환함으로써 문 개방 조작부(52)를 근접 센서로부터 접촉 센서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이하에서 도 41의 예를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1(a)에서는 제어부(56)는 정전 스위치인 문 개방 조작부(52)를 「근접 센서」로서 기능시키기 위해서, 제어부(56)는 문 개방 조작부(52)의 감도를 「대」로 설정함으로써, 「근접 센서」로서의 기능은 「유효」이다. 이 때문에, 제어부(56)는 문 개방 조작부(52)의 본래의 기능인 우측 문(22)의 오픈(문 개방 조작)은 「무효」로 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56)는 문 개방 조작부(52)의 점등 표시는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오프 상태이다.
다음에, 도 41(b)에서는 사용자가 손가락(HT)을 「근접 센서」로서의 문 개방 조작부(52)에 접근시키면, 문 개방 조작부(52)는 「근접 센서」로서 손의 접근을 온하여 검지한다. 문 개방 조작부(52)는 손의 접근을 검지하면, 제어부(56)는 문 개방 조작부(52)의 「근접 센서」로서의 감도를 「대」로부터 「소」로 전환하여 설정한다. 이 때문에, 제어부(56)는 문 개방 조작부(52)의 본래의 기능인 「접촉 센서」로서 기능시키므로, 문 개방 조작부(52)에 손가락(HT)이 접촉됨에 의한 우측 문(22)의 오픈 조작(문 개방 조작)은 「유효」가 된다. 또한, 제어부(56)는 문 개방 조작부(52)의 점등 표시는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가 되어, 문 개방 조작부(52)를 예를 들어 LED에 의해 점등시킨다.
다음에, 도 41(c)에서는 사용자가 손가락(HT)을 「접촉 센서」로서의 문 개방 조작부(52)에 직접 접촉(터치)하면 제어부(56)는 문 개방 조작부(52)의 「접촉 센서」로서의 감도인 「소」의 상태로 유지하고, 이대로 「접촉센서」로서 기능시킨다. 그리고, 제어부(56)는 문 개방 조작부(52)의 본래의 기능인 우측 문(22)의 오픈(문 개방 조작)은 「유효」 그대로이다. 또한, 제어부(56)는 문 개방 조작부(52)의 점등 표시는,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온 상태이고, 문 개방 조작부(52)를 예를 들어 LED에 의해 점등하고 있다.
그 후, 도 41(d)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HT)이 「접촉 센서(터치 센서)」로서 기능하는 문 개방 조작부(52)에 직접 접촉(터치)한 상태로부터 떨어진 것을, 제어부(56)가 인식하면, 제어부(56)는 문 개방 조작부(52)로부터의 조작 신호의 입력을 유효로 하고, 문 개방 구동부(55)를 동작시킴으로써, 해당하는 우측 문(22)의 문 개방 제어를 실시한다. 이에 의해, 우측 문(22)은 자동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문 개방 조작부(52)에 직접 접촉(터치)하러 가는 동작의 도중의 상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냉장고(1)에 접근하려고 하는 상태에서 제어부(56)는 문의 개방 지시의 오검지를 방지하기 위해서 직접 접촉(터치)의 유효·무효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문 개방 조작부(52)의 점등 표시는,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온 상태로 하고, 문 개방 조작부(52)를 예를 들어 LED에 의해 점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예를 들어 문 개방 조작부(52)의 LED 점등 표시에 의한 문 개방 조작부(52)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HT)이 「접촉 센서(터치 센서)」로서 기능하는 문 개방 조작부(52)에 직접 접촉(터치)한 상태로부터 떨어진 것을, 제어부(56)가 인식하면, 제어부(56)는 문 개방 조작부(52)로부터의 조작 신호의 입력을 유효로 하고, 해당하는 우측 문(22)의 문 개방 제어를 실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점에서, 사용자의 손이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부(52)로부터 떨어진 후에, 우측 문(22)이 실제로 오픈하므로, 우측 문(22)의 오픈 동작에 의해 사용자가 손가락이 삐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문 개방 조작부(51, 52)에서의 점등 표시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 40에 도시한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전극)(51-1~51-5, 52-1~52-5)의 간극으로부터 전방으로 표시시킬 수 있는 LED(발광 다이오드) 등의 발광 소자를 배치하면 좋다. 또한,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전극)(51-1~51-5, 52-1~52-5) 내를, 문자나 마크 등의 오려낸 부분을 형성하고, 발광소자의 광은 전극의 이면으로부터 오려낸 부분을 통하여 전방으로 비추도록 해도 좋다. 또는, 발광소자의 광은 도광판을 사용하여 전극의 이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비추도록 해도 좋다.
도 41에서 설명한 우측 문(22)의 오픈 동작은 도 37에서의 좌측 문(21)에 배치되어 있는 문 개방 조작부(51)를 사용한 좌측 문(21)의 오픈 동작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좌우의 문 개방 조작부(51, 52)에서의 점등표시의 색은 좌우의 문 개방 조작부(51, 52)에서 동일한 색이어도 좋고, 다른 색이어도 좋다.
좌측 문(21)이나 우측 문(22)이 천천히 개방될 때와, 빨리 개방될 때에는, 좌우의 문 개방 조작부(51, 52)에서의 점등표시의 색은 다르도록 하여 표시해도 좋다.
좌측 문(21)과 우측 문(22) 중 한쪽만 개방할 때와,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이 동시에 개방될 때에는, 좌우의 문 개방 조작부(51, 52)에서의 점등표시의 색을 바꿀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문 개방 조작부(51, 52) 중 한쪽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의 양쪽을 오픈시키는 사양으로 하는 경우에는, 좌측 문(21)과 우측 문(22) 중 한쪽만 개방하는 경우와는 달리, 다른 표시의 색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감도를 「대」로 하여 문 개방 조작부(51, 52) 「근접 센서」로서 기능시킬 때에는, 인체가 소정 시간 이상 근접한 것을 검지했을 때에는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의 한쪽만 개방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이 동시에 개방되도록 사양을 바꾸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이 동시에 개방되도록 사양을 바꿈과 동시에, 문 개방 조작부(51, 52)를 점등 표시하거나,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색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점멸 표시 등의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점등 방법은 임의로 바꿀 수 있다.
제28 실시형태의 냉장고(1)에서는 사용자(유저)가 터치하러 가는 동작의 도중에서 오검지를 하는 것을 방지하여, 문 개방의 오동작을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9 실시형태]
도 42는 제29 실시형태의 냉장고(1)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43은 도 42에 도시한 냉장고(1)의 인체 검지 수단을 포함하는 문 개방 제어 블럭도이다.
인체 검지 수단(500)은 예를 들어 원격 검지 센서(100)와, 근접 센서로도 기능하는 문 개방 조작부(52)를 갖고 있다. 원격 검지 센서(100)와 근접 센서로서도 기능하는 문 개방 조작부(52)는, 예를 들어 우측 문(22)에 배치되어 있다. 원격 검지 센서(100)는 근접 센서로서도 기능하는 문 개방 조작부(52)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다.
원격 검지 센서(100)는 사용자의 인체가 냉장고(1)로부터 먼 장소에 있는 경우에 인체를 검지하기 위한,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이다. 이에 대해서, 근접 센서로도 기능하는 문 개방 조작부(52)는, 사용자의 인체가 냉장고(1)에 접근한 경우에 인체를 검지하는 정전 검지 센서이다.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 검지 센서(100)와, 근접 센서(정전 검지 센서)로서도 기능하는 문 개방 조작부(52)는 제어부(56)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6)에는, 바람직하게는 전환 수단(104)이 접속되어 있다. 사용자가 이 전환 수단(104)을 조작함으로써 전환 수단(104)으로부터 제어부(56)에는 선택 신호가 보내짐으로써, 인체를 검지하기 위해 원격 검지 센서(100)와, 근접 센서(정전 검지 센서)로서도 기능하는 문 개방 조작부(52) 중 어느 것을 채용하여 인체를 검지할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로도 기능하는 문 개방 조작부(52)는 정전 검지 센서이지만, 이 정전 검지 센서의 감도를 임의로 바꾸고 조정하는 감도 조정 수단(199)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감도 조정 수단(199)은 제어부(56)에 접속되어 있고, 사용자가 감도 조정 수단(199)을 조작함으로써 제어부(56)에는 감도 조정 신호를 보낸다. 이에 의해, 제어부(56)는 정전 검지 센서인 문 개방 조작부(52)의 감도를 「대」로부터 「소」 사이에서 조정 가능하다.
정전 검지 센서인 문 개방 조작부(52)의 감도를 바꾸는 방법으로서는, 정전 검지 센서는 예를 들어 1초에 수 10회, 정전 용량(컨덴서 용량)의 충방전을 반복하는 사이클을 갖고 있다. 사용자가 정전 검지 센서인 문 개방 조작부(52)에 손가락을 접근시키거나 또는 접촉함으로써 컨덴서 용량이 바뀌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문 개방 조작부(52)에 손가락을 접근시키거나 또는 접촉하면, 충방전 사이클에 변화가 생긴다. 제어부(56)가 충방전의 사이클의 변화의 정도를 체크하고 있고, 미리 임계값을 설정함으로써 이 임계값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가 문 개방 조작부(52)에 손가락을 접근시켰거나, 또는 접촉시켰는지를 제어부(56)는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문 개방 조작부(52)로부터 손가락을 떼었을 때를 검지하는 경우도, 제어부(56)가 충방전의 사이클로 변화했을 때부터 통상으로 돌아온 것을 판단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정전 검지 센서인 문 개방 조작부(52)의 감도를 변경 조정할 수 있다. 만약, 냉장고(1)를 예를 들어 부엌 싱크대의 배면측에 설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싱크대 부근에 있으면, 항상 원격 검지 센서(100)가 인체를 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 전환 수단(104)을 조작함으로써, 전환 수단(104)으로부터 제어부(56)에는 선택 신호가 보내어지고, 원격 검지 센서(100)가 아니라, 근접 센서로서도 기능하는 문 개방 조작부(52)를, 인체의 검지수단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싱크대의 부근에 있는 것만으로는 문 개방 조작부(52)는 인체를 검지하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냉장고(1)의 근접 검지 센서로서 기능하는 문 개방 조작부(52)에 접근한 경우에만, 문 개방 조작부(52)가 인체를 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냉장고(1)로부터 비교적 떨어져 있는 경우의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원격 검지 센서(100)를 사용하므로, 도 42에 도시한 유리 전면판(22A)의 이면에 인쇄 착색으로서는 적외선을 투과하는 인쇄를 채용하거나 또는 유리 전면판(22A)의 이면에서의 적외선을 통과한 부분에는 인쇄를 하지 않도록 하는 게 좋다.
제29 실시형태의 냉장고(1)에서는 사용자(유저)가 터치를 하러 가는 동작의 도중에서 오검지를 하는 것을 방지하고, 문 개방의 오동작을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냉장고(1)의 천정에 배치한 케이스에는 음성 인식 수단이 있고, 상기 케이스에는 음성이 전달되는 구멍이 있다. 솔레노이드의 케이스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 이하가 되도록 제어 기판의 케이스가 배치된다. 제어기판은 천정벽의 뒤가 오목이 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기판의 지지부가 우레탄 내에 매설되어 있다. 솔레노이드도 매설되어 있다. 진공단열재가 절곡되어 매설되어 있는 부품을 이격하여 배치하여, 솔레노이드의 하측과 기판의 하측을 덮도록 배치되고, 절곡하여 전체에 덮고 있다. 또한, 천정 조명은 천정의 우레탄의 오목부에 매설되어 배치되어 있다. 진공단열재는 천정 조명과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진공단열재는 천정의 내벽과 접하여 배치되고, LED는 천정벽 밖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벽의 절곡부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진공단열재는 분할되어, 솔레노이드, 기판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랩되어 있다. LED는 진공단열재와 이격되어 있고, 기판 아래의 진공단열재는 내벽에 접하고 있다.
천정벽의 절곡부에 경사져 있고, 경사부에 LED를 매설하여 진공단열재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44는 상술한 구조를 갖는 냉장고(1)의 상부를 도시한 전후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닛(본체)(11)의 천정부(11A)에는 케이스(700)가 배치되어 있다. 천정부(11A)의 후방부분(11B)에는 오목 부분(11C)이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700)는 이 오목 부분(11C)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700)는 예를 들어 직방체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케이스(700)의 내부 공간에는 제어 기판(710)이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제어 기판(710)은 제어 기판(710)의 앞쪽이 뒤쪽에 비하여 위가 되도록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제어 기판(710)의 앞쪽에는 음성 인식 수단(720)이 탑재되어 있다.
음성 인식 수단(720)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이다. 이 케이스(700)의 앞쪽 부분에는 음성 인식 수단(720)에 음성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구멍(700H)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음성 인식 수단(720)이 케이스(700) 내에 배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발성하는 음성은 케이스(700)의 구멍(700H)을 통하여, 음성 인식 수단(720)에 확실히 전달되어, 사용자의 음성이나 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부(11A)의 앞쪽에는 문 개방 구동부(54, 5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문 개방 구동부(54, 55)는 바람직하게는 솔레노이드이고 문 개방 구동부(54, 55)는 각각 케이스(762)와, 신축 자유로운 로드(761)를 갖고 있다. 문 개방 구동부(54, 55)가 구동하여 이 로드(761)가 나옴으로써, 이 문 개방 구동부(54, 55)는 좌측 문(21)(또는 우측 문(22))의 내측을 밀어서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700)의 높이는 문 개방 구동부(54, 55)의 케이스(762)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케이스(700) 높이는 문 개방 구동부(54, 55)의 케이스(762)의 높이에 비해서 차이(DF)만큼 낮아져 있다. 이에 의해, 케이스(700)를 천정부(11A)에 배치해도 냉장고의 전체 높이가 문 개방 구동부(54, 55)의 케이스(762)보다 커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판(710)은 복수의 지지부(711)를 갖고 있고, 이 지지부(711)를 이용하여 경사진 상태로 우레탄 등의 단열재(730) 내에 메워 넣어져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어 기판(710)은 단열재(730)를 사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문 개방 구동부(54, 55)는 복수의 지지부(763)를 갖고 있고, 이 지지부(763)를 사용하여 단열재(730) 내에 매설되어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문 개방 구동부(54, 55)는 단열재(730)를 사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부(11A)의 내측에는 우레탄 등의 단열재(730)와, 진공단열재(740)가 겹쳐서 배치되어 있다. 진공단열재(740)는 단열재(730)의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고, 진공단열재(740)의 도중 부분은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진공단열재(740)의 도중부분은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진공단열재(740)는 문 개방 구동부(54, 55)의 하측 영역 부분과, 제어 기판(710)의 하측 영역 부분을 덮도록 하여 배치할 수 있고, 또한 진공단열재(740)는 문 개방 구동부(54, 55)의 지지부(763)와, 제어 기판(710)의 지지부(711)로부터는 이격되어 있다.
도 44에 도시한 냉장고(1)의 천정 조명(750)은 예를 들어 LED(발광 다이오드) 램프를 갖고 있고, 천정의 우레탄 등의 단열재(730)의 오목부(733)에 매설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천정 조명(750)은 천정의 내벽(755)으로부터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진공단열재(740)는 이 천정 조명(750)으로부터는 내벽(755)에 의해 이격되어 있다.
다음에 도 45 내지 도 47을 참조하여 제29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하지만, 도 45 내지 도 47에 도시한 제29 실시형태의 변형예 냉장고의 부분이, 도 44에 도시한 제29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사용한다.
도 45 내지 도 47은 도 44와 동일하게, 각각 다른 변형예의 냉장고의 상부를 나타내는 전후 방향을 따른 단면이다.
우선, 도 45에 도시한 제1 변형예의 냉장고(1)에서는 천정 조명(750)은 천정의 내벽(755)에 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천정 조명(750)의 LED램프(750a)는 천정의 내벽(755)의 외측(고내 측)에 배치되어 있어, 냉장실내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천정 조명(750)은 천정의 내벽(755)의 절곡부(757)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캐비닛(본체)(11)의 천정부(11A)의 오목 부분(11C)의 절곡부에 대해서 천정의 내벽(755)의 절곡부를 앞쪽에 위치시켰으므로, 캐비닛 외벽의 절곡부와 내벽(755)의 절곡부의 전후 방향의 간극에 공간을 만들 수 있으므로, 그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진공단열재를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진공단열재(740)의 도중 부분의 절곡부를 그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진공단열재는 분할된 별체이어도 좋다. 또한, 그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진공단열재를 다른 장소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공단열재에 비하여 얇게 해도 좋다. 그러면 캐비닛 외벽의 절곡부와 내벽(755)의 절곡부의 전후 방향의 간극에 공간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내벽(755)의 굴곡부를 후방으로 퇴피시킬 수 있어 고내의 용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외벽의 절곡부의 오목 부분(11C)의 저부의 전방측 모퉁이와, 내벽(755)의 절곡부의 상방측(오목 부분(11C)측) 모퉁이의 거리 치수는, 다른 절곡부를 갖는 않는 천정부(11A)의 두께 치수보다 작으므로, 우레탄 단열재뿐이면 단열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지만 상기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단열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6에 도시한 제2 변형예의 냉장고(1)에서는 진공단열재(770)는 복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고, 진공단열재(770)는 제1 부분(771)과, 제2 부분(772)으로 나뉘어 있다. 제1 부분(771)은 문 개방 구동부(54)(55)의 하측의 영역부분을 덮고 있고, 제2 부분(772)은 제어 기판(710)의 하측의 영역 부분을 덮고 있다. 천정 조명(750)의 LED램프(750a)는 진공단열재(770)의 제1 부분(77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제어 기판(710)측의 진공단열재(770)의 제2 부분(772)은 내벽 부분(776)에 접하고 있다.
또한 제1 부분(771)과, 제2 부분(772)의 진공단열재는 전후 방향으로 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캐비닛(본체)(11)의 천정부(11A)의 오목 부분(11C)의 절곡부에 대해서 천정의 내벽(755)의 절곡부를 앞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캐비닛 외벽의 절곡부와 내벽(755)의 절곡부의 전후 방향의 간극에 공간을 만듦으로써, 겹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외벽의 절곡부의 오목 부분(11C)의 저부의 전방측 모퉁이와 내벽(755)의 절곡부의 상방측(오목 부분(11C)측)의 모퉁이의 치수는, 다른 절곡부를 갖지 않는 천정부(11A)의 두께 치수보다 작을 때에는, 제조시에 발포 단열재인 우레탄이 흐르기 어려운 경우가 있고, 그 때문에 이 사이에는 진공단열재를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우레탄이 흐르는 공간을 확보하여, 우레탄의 충전을 확실히 하고, 또한 충전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7에 도시한 제3 변형예의 냉장고(1)에서는 천정의 내벽(755)의 절곡부(780)가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천정 조명(750)은 경사져 있는 절곡부(780)의 형상에 맞추어 예를 들어 직각삼각형으로 만들어져 있고, 천정 조명(750)은 이 절곡부(780) 내에 매설되어 배치되어 있다. 진공단열재(740)는 분할되어 있지 않고 일체물이다. 이와 같이, 천정 조명(750)의 LED램프(750a)는 절곡부(780) 내에 배치되어 있고, 천정 조명(750)은 진공단열재(740)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다.
제29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도 1에 도시한 문 개방 조작부(51, 52)를 일정 시간 이상 계속하여 터치함으로써 문 개방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42에 도시한 원격 검지 센서(100)는 사용자(유저)의 인체가 냉장고(1)에서 먼 장소에 있는 경우에, 인체를 검지하기 위한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이지만, 이 원격 검지 센서의 적외선을 문 전방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전면판의 인쇄 도료를 잘라낸 구멍(개구)에 대해서는, 그 구멍에 인쇄 도료와 동일한 계열의 색의 적외선 투과 부재를 붙이는 등 하여 배치해도 좋다. 또한, 그 곳에는 작은 구멍(개구)이 복수 만들어지도록 도료를 칠하는 등하여 도료의 잘라내기가 두드러지지 않게 하면 좋다. 또한, 이에 의해 유리판의 배면에 배치한 적외선 센서인 원격 검지 센서가 정면으로부터 시인하기 어려워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도료를 작외선을 투과하는 도료로 하거나, 스퍼터나 에칭 등에 의해 적외선 파장을 투과시켜 가시광의 일부를 투과시키기 어렵게 하는 반투과성 수단을 구비해도 좋다. 그 경우, 반투과성 수단으로서 파장이 긴 색이 투과하는 것을 이용하면 좋다. 예를 들어, 청색의 파장(450-495 nm)보다 파장이 긴 적색의 파장(예를 들어 620-750 nm)을 투과하도록 구성하면 그 이상의 긴 파장인 적외선 파장(예를 들어 760-830 nm 이상)이 투과하기 쉬워진다. 또한 그 경우, 적외선 센서의 근방에 있는 표시 수단의 색은, 동일하게 파장이 긴 색의 발광수단(녹색이나 황색, 적색의 발광 다이오드 등)을 이용함으로써 그 광의 표시도 반투과성 수단을 투과시킬 수 있고, 사용자에게 시인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적외선 센서나, 문 내부의 부품을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센서인 원격 검지 센서는 기반(基盤)에 배치되고, 제어 조작부(50) 또는 문 개방 조작부(51, 52)와 함께 삽입되도록 해도 좋다. 그 경우에는 제어 조작부(50) 또는 문 개방 조작부(51, 52)의 전극의 일부를 잘라낸 슬릿을 설치하고, 그 전극의 내측으로부터 적외선이 문측으로 송신할 수 있게 되도록 하면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원격 검지 센서는 조작하는 사용자를 검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원격 검지 센서는 제어 조작부(50)와 터치 오픈 SW의 원격조작부(51, 52) 사이에 설치해도 좋다.
[제30 실시형태]
도 48은 제30 실시형태를 도시한 냉장고(1)의 정면도이다. 도 49는 도 48에 도시한 냉장고(1)의 평면도이고, 도 50은 도 48에 도시한 냉장고(1)의 측면도이다.
도 48 내지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이, 냉장고(1)의 냉장실(12)의 전면 개구부를 덮는다. 이 때문에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은 각각 냉장고 본체인 캐비닛(11)의 좌측단부, 우측단부의 상하를 힌지부로 양쪽 개방식으로 개폐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좌측 문(21), 우측 문(22)은 모두 전면으로 개구하는 편평한 내판의 개구부에 착색 투명한 유리제의 전면판(21A, 22A)이 부착되고, 또한 내부 공동부에 진공단열재가 배치되며, 진공단열재로 완전히 메워지지 않는 공동부에 발포 폴리우레탄 단열재(이하 간단히 우레탄 단열재로 기재한다) 또는 미리 성형된 고체 단열재(예를 들어 EPC)가 배치된 단열 구조 부재이다.
도 48 내지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 개방 조작부(551, 552)가 좌측 문(21)의 전면판(21A), 우측 문(22)의 전면판(22A)의 하변 근방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문 개방 구동부(54, 55)가 캐비닛(11)의 천정판 상면의 전단 근방의 좌우 부분이고, 좌측 문(21), 우측 문(22)의 상변의 개방측단부 근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문 개방 구동부(54, 55)는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을 별도로 강제로 문을 개방 동작시키는 문 개방 장치이다. 문 개방 구동부(54, 55)는 전자석에 의해 플런저(54A, 55A)를 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좌측 문(21), 우측 문(22)의 각각의 개방측단부 근방의 상변을 전방으로 밀어내고, 좌측 문(21), 우측 문(22)을 강제로 자동 개방한다.
한쪽의 문 개방 조작부(551)는 좌측 문(21)의 우측 하단 위치에 배치되고, 다른쪽의 문 개방 조작부(552)는 우측 문(22)의 좌측 하단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문 개방 조작부(551)는 좌측 문(21)의 유리제 전면판(21A)의 내부에 배치되고, 문 개방 조작부(552)는 우측 문(22)의 유리제 전면판(22A)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51은 도 48에 도시한 문 개방 조작부(551)의 기판(553)의 구조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2는 도 51에 도시한 문 개방 조작부(551)의 기판(553)에 배치된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3은 문 개방 조작부(551)의 구조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8에 도시한 문 개방 조작부(551)와 문 개방 조작부(552)는 동일한 구조를 갖지만, 좌우 대칭 형상이어도 좋고, 좌우 동일한 형상이어도 좋다. 도 51은 문 개방 조작부(551)의 기판(553)의 형상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문 개방 조작부(552)와 문 개방 조작부(551)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이므로, 도 51 내지 도 53을 참조하고, 문 개방 조작부(551)의 기판(553)을 대표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53을 참조하면 문 개방 조작부(551)는 기판조립체(500M)와, 기판조립체(500M)를 수납하기 위한 오픈 박스로 불리는 플라스틱제 수납공간부재(585)와, 플라스틱제 덮개부재(590)를 갖고 있다. 플라스틱제 수납공간부재(585)의 이면(585R)에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체인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이 붙어 있다. 플라스틱제 덮개부재(590)의 내면에는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체(591)가 붙어 있다. 이에 의해 냉장고(1)의 본체측이 발생하는 전자파가, 기판조립체(500M)측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있다.
기판조립체(500M)는 플라스틱제 차폐판(599)과, 기판(553)과, 조작명판(597), 표시용 LED(557)를 탑재한 LED 기판(598)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판(553)은 정전 터치스위치 기판이고, 차폐판(599)의 전면측에 지지되어 고정되어 있다. 기판(553)의 전면측에는 조작명판(597)이 배치되어 있다. 차폐판(599)의 배면측에는 표시용 LED 기판(598)이 지지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LED 기판(598)에는 복수개의 LED(577)가 탑재되어 있다. 차폐판(599)은 2개의 기판(553), LED 기판(598)을 지지하는 지시 수단과, LED광을 이격시키는 이격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기판(553)과 조작명판(597)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좌우의 슬릿(574, 575)(투광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574, 575)의 위치는 근접 센서(560)와 중간 영역 부분(589) 사이에 있다. 이 기판조립체(500M)는 수납공간부재(585)의 장방형 개구부분(586)을 통하여 수납공간부재(585)내에 수납된다. 수납공간부재(585)의 개구부분(586)은 덮개부재(590)로 덮이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51(a)와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 개방 조작부(551)의 기판(553)은 세로로 긴 장방형 또는 정방형이고, 기판(553)은 도 51(a)에 도시한 표면(553A)과 도 51(b)에 도시한 이면(553B)을 갖는다. 기판(553)에는 전자부품의 탑재부분(571)과,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의 배치부분(572)이 설치되어 있다. 도 51(a)와 도 52에 도시한 전자부품의 탑재부분(571)에는 이면에 돌출되어 이격 수단의 차폐판(599)의 오목부에 수납되도록 필요한 전자부품이나 커넥터 부품 등이 탑재된다. 또한, 기판(553)의 표면에는 돌출되지는 않지만 거의 평평한 상태에서 금속제의 전기 접속부(571b)를 형성시킴으로써, 유리문의 이면에 기판(553)을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 수단인, 기판(553)을 감추기 위한 조작명판(597)으로 덮음으로써, 전기 접속부(571b)에 사용자가 접촉했을 때의 오동작이나 유리문에 정전기가 고였을 때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조작명판(597)은 착색된 것, 또는 증착된 것이어도 좋다.
도 51(a)에 도시한 표면(553A)측의 배치부분(572)에는 제1 전극인 근접 센서(560)와, 제3 전극인 가드 전극(570)과, 제2 전극인 중간 영역 부분(589)이 배치되어 있다. 중간 영역 부분(589)은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과 중간 영역 부분(589)은 금속 전극이지만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제2 전극인 중간 영역 부분(589)은 근접 센서(560)를 보조하고 근접 센서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가드 전극(570)은 근접 센서(560)의 검지의 유효범위의 변경을 실시한다.
또한, 도 5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553)의 배치부분(572)에 대응하는 이면(553B)에는 제4 전극인 메시의 그라운드 패턴(573)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 그라운드 패턴(573)은 냉장고 본체로부터의 노이즈가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전자계와 가드 전극(570)이 발생하는 전자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도 51(a)와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560)의 중앙 위치에는 관통구멍(560C)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관통구멍(560C)에는 도 5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선 패턴(560H)이 접속되어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근접 센서(560)를 누르는(접촉하는) 행위는, 통상은 근접 센서(560)의 한가운데를 목표로 실시되므로, 관통구멍(560C)가 근접 센서(560)의 한가운데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관통구멍(560C)을 근접 센서(560)의 거의 한가운데의 위치에 형성하는 것은 다음의 이유에서이다. 즉, 근접 센서(560)에서는 이 관통구멍(560C)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의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서 가장 스위치 감도가 높아진다. 이것으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이 관통구멍(560C)의 근접 스위치(560)의 한가운데를 누름으로써 가장 감도가 좋은 곳에 손가락을 접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51과 도 52에 도시한 근접 센서(560)는 정전 터치(접촉)용 전극이고, 도 49와 도 50에 도시한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의 정면(전면)방향으로, 예를 들어 약 100mm에 인체 또는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기 위한, 정전용량식 검지수단이다. 이 근접 센서(560)는 사용자의 인체의 일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손가락이 접근하면, 이 손가락의 접근을 검지한다. 근접 센서(560)는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이지만 상호 커패시턴스 방식의 터치 센서나 자기(自己) 커패시턴스 방식의 터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호 저항 방식에서는 하나의 송신 전극과 하나의 수신 전극으로 구성되고, 송신 전극에 전류가 공급되면 전자계가 생성되어, 전자계가 수신 전극에 수신된다. 예를 들어 인체의 손가락이 근접 센서(560)의 검지 영역에 접근하면, 전자계의 일부가 흡수되고 수신 전극에 수신되므로, 검출되는 에너지의 양이 줄어 근접 센서(560)는 손가락의 접근을 검지할 수 있다.
자기 저항 방식에서는 부유 용량을 갖는 전극(근접 센서(560))이 하나 필요하다. 전극(근접 센서(560))의 부유 용량은 이 전극(근접 센서(560))과 그 주위의 도전체(인체의 손가락)와의 사이에 있는 기생 용량의 영향을 받는다. 인체의 손가락이 근접 센서(560)에 접근하면, 기생 용량의 영향을 받아 부유 용량의 값이 증가하고, 이 증가된 부유 용량을 계측함으로써 근접 센서(560)는 손가락의 접근을 검지할 수 있다.
도 51과 도 52에 예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560)는 예를 들어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장방형상의 스위치이고, 근접 센서(560)의 주위에 전극을 둘러싸도록 슬릿(574, 575)이 형성되어 있다.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슬릿(574, 575)에는 안으로부터 기판(598)이 덮여 있고, 조명 장치로서 기능하는 LED(577)가 복수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단, 복수개의 LED(577) 내의 슬릿(574, 575)의 4개의 모퉁이부(576R)에 대응하는 4개의 LED(577)는, 슬릿(576) 내로부터 벗어난 슬릿(576)의 외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560)의 일단부는 연결 부분(560A)에 의해 배치부분(572)에 연결되고, 근접 센서(560)의 타단부는 연결 부분(560B)에 의해 배치부분(572)에 연결되어 있다. 근접 센서(560)의 중앙부에는 전기 접속용 관통구멍(560C)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근접 센서(560)의 중앙 부분에 관통구멍(560C)을 형성하는 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관통구멍(560C)을 설치한 근접 센서(560)의 영역 부분이 다른 영역 부분에 비해서 검출 감도가 높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근접하여 접촉되는 영역 부분은 근접 센서(560)의 중앙 부분이므로, 관통구멍(560C)을 근접 센서(560)의 중앙 부분에 설치하고 있다. 근접 센서(560)는 기판의 배치 부분의 슬릿(574, 575)의 영역(572a)에, 점선의 영역에 전극이 형성됨으로써 거의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릿(574, 575)이 근접 센서(560) 전체를 둘러싸고 있지 않고,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슬릿 주위의 주위부(572b)와 접속되는 다리(572ab)를 만듬으로써, 내측과 외측을 접속하여 기판이 분할되지 않고 하나의 기판으로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51과 도 52에 도시한 가드 전극(570)은 배치부분(572)에서 근접 센서(560)와 중간 영역 부분(589)의 주위에, 장방형상의 테두리틀로 형성되어 있다. 가드 전극(570)은 금속체이고 한쌍의 단변 전극 부분(570A)과 한쌍의 장변 전극 부분(570B)으로 이루어진다. 가드 전극(570)은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전자계와는 반대 방향의 전자계를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도 49와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전자계(560P)는 가드 전극(570)이 발생하는 반대 방향의 전자계에 의해 확대가 억제된다. 이 때문에, 가드 전극(570)이 발생하는 전자계는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전자계(560P)의 확대를 억제함으로써, 가드 전극(570)은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를 변경하는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 변경수단의 역할을 한다.
가드 전극(570)은 인체의 예를 들어 손가락의 접근을 검지할 때의 근접 센서(560)의 검지 범위를 좁혀 변경함으로써, 근접 센서(560)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가드 전극(570)이 근접 센서(560)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를 변경한 결과,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문(21)의 개방 조작부(551)의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전자계(560P)는, 근접 센서(560)의 정면 전방 방향으로만 인도된다. 동일하게 하여,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부(552)의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전자계(560P)는 근접 센서(560)의 정면 전방 방향으로만 인도된다.
이 때문에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전자계(560P)는 좌우 방향인 X방향으로는 확대되지 않도록 좁히고 있다.
또한,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부(551)의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전자계(560P)는, 근접 센서(560)의 정면 전방 방향으로만 인도된다. 동일하게 하여,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부(552)의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전자계(560P)는 근접 센서(560)의 정면 전방 방향으로만 인도된다. 이 때문에 도 50에서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전자계(560P)는 상하 방향인 Z방향으로는 확대되지 않도록 좁히고 있다.
즉, 도 49와 도 50에 도시한 근접 센서(560)의 전자계(560P)는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를 도시하고 있고, 이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는 근접 센서(560)의 전방과는 다른 방향의 범위(상하, 좌우로 확대되는 범위)와는 다른 범위에 상당한다. 즉,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는 근접 센서(560)의 사용자의 조작 방향을 적어도 유효범위로 하는 것으로, 조작 방향과 다른 방향의 범위를 좁히는 등 변경함으로써 유효범위를 한정하고, 구체적으로는 전방과는 다른 방향의 범위 중 적어도 일부(상하, 좌우, 후방으로 확산되는 범위 등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범위이다.
도 54는 제어부(556)와, 문 개방 조작부(551, 552)와, 문 개방 장치인 문 개방 구동부(54, 55) 등의 전기 접속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556)는 문 개방 조작부(551, 552)의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과, 문 개방 구동부(54, 55)와, 복수의 조명 장치로서의 LED(57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를 「고감도」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손가락이 근접 센서(560)의 검지 영역인 도 49와 도 50에 도시한 전자계(560P)에 들어가면, 도 54의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에 손가락이 접근하고 있는 것의 신호(SG)를 근접 센서(560)로부터 받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54의 제어부(556)는 이 근접 센서(560)로부터의 신호(SG)를 받으면, 손가락이 근접 센서(560)에 대해서 접근했다고 판단하고, 가드 전극(570)으로의 통전을 정지하고, 또한 근접 센서(560)의 감도를 「고감도」로부터 「저감도」로 변경하여 낮추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어부(556)는 이 근접 센서(560)로부터의 신호(SG)를 받으면, 제어부(556)는 LED(577)을 점등시키고 근접 스위치(560)의 주위를 조명함으로써, 근접 스위치(560)의 위치를 조명에 의해 떠오르게 하여, 사용자가 근접 스위치(560)의 위치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LED(577)가 점등하는 효과로서는 LED(577)로 점등 표시하므로 사용자에 대해서 조작 부분을 시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유리판의 전면판(21A)(또는 22A)에 대해서, 조작부의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인쇄 등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손가락이 근접 센서(560)에 접근한 상태로부터 근접 센서(560)에 접촉하면, 근접 센서(560)는 접촉 스위치로서 기능하고, 근접 센서(560)는 제어부(556)에 대해서 손가락이 근접 센서(560)에 접촉된 접촉 신호(SH)를 보낸다. 이에 의해,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를 접촉 센서로서 기능하게 하고, 예를 들어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유효하게 하며, 제어부(56)는 문 개방 구동부(54)를 동작시켜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실제로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조작 수순은 우측 문(22)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에 의해,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의 유리면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근접 스위치(560)의 위치를, 사용자는 LED(577)에 의한 조명의 도움을 받아 눈으로 확인하면서 접촉하여,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을 개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의 감도를 손가락이 접근할 때의 「고감도」로부터 「저감도」로 전환함으로써, 근접 센서(560)를 접촉 센서로서 기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손가락이 근접 센서(560)에 접근할 때에는 제어부(556)는 정전 스위치(560)를 「근접 센서」로서 기능시키기 위해,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의 감도를 「대」로 설정함으로써, 「근접 센서」로서의 기능은 「유효」이다. 이 때문에,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를 「근접 센서」로서 기능시키지 않으므로, 근접 센서(560)는 문 개방 조작부(551, 552)의 본래의 기능인 좌측 문(21), 우측 문(22)의 오픈(문 개방 조작)에 대해서는 「무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을 근접 센서(560)에 접근시켜, 손가락이 근접센서(560)의 인체의 검지범위의 유효범위로서의 전자계(560P)에 들어가면, 근접 센서(560)는 손가락의 접근을 제어부(556)에 통지한다. 그리고, 근접 센서(560)로부터 손가락의 접근이 제어부(556)에 통지되면,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로서의 감도를 「대」로부터 「소」로 전환하여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의 점등 표시는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가 되고, 근접 센서(560)의 위치는 LED(577)에 명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근접 센서(560)의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손가락으로 근접 센서(560)에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다. 제어부(56)는 근접 센서(560)를 본래의 기능인 「접촉 센서」로서 기능시키므로, 근접 센서(560)에 손가락으로 접촉함으로서,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의 오픈 조작(문 개방 조작)은 「유효」가 된다.
상술한 좌측 문(21)의 오픈 조작(문 개방 조작)은 우측 문(22)의 오픈 조작(문 개방 조작)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1과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560)의 주위에는 가드 전극(570)을 배치함으로써, 근접 센서(560)의 인체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인 전자계(560P)는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의 정면 방향(전방 방향)에서 예를 들어 약 100mm의 범위에 사람의 손이나 손가락이 접근한 것을 검지한다. 이 때, 근접 센서(560)의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인 전자계(560P)는 가드 전극(570)을 배치함으로써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는 확대되지 않도록 제한하고 있다.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560)의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의 확대를 좌우 방향(X방향)에 대해서 제한함으로써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문(21)을 화살표 21M으로 나타내는 궤적을 따라서 개방하도록 하여 손가락을 좌측 문(21)의 근접 센서(560)에 접근시킬 때, 닫혀 있는 우측 문(22)의 근접 센서(560)에 의해 손가락을 검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동일하게 하여, 우측 문(22)를 화살표 22M으로 나타내는 궤적을 따라서 개방하고자 하여 손가락을 우측 문(22)의 근접 센서(560)에 접근시킬 때, 닫혀 있는 좌측 문(21)의 근접 센서(560)에 의해 손가락을 검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우측 문(22)의 근접 센서(560)의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인 전자계(560P)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좌측 문(21)을 개방할 때의 궤적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동일하게 하여, 좌측 문(21)의 근접 센서(560)의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인 전자계(560P)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우측 문(22)을 개방할 때의 궤적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의해,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을 개방할 때, 개방되지 않고 닫혀 있는 측의 우측 문(22) 또는 좌측 문(21)의 근접 센서(560)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을 부주의로 잘못 검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560)의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의 확대를 상하 방향(Z방향)에 대해서 제한함으로써, 이동 수단으로서의 인출식 문(23)을 화살표 방향으로 빼낼 때, 좌측 문(21)의 근접 센서(560)의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인 전자계(560P)와 우측 문(22)의 근접 센서(560)의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인 전자계(560P)는 인출식 문(23)을 개방할 때의 궤적내에 들어가지 않는다.
이에 의해, 인출식 문(23)을 개방할 때, 좌측 문(21)의 근접 센서(560)와 우측 문(22)의 근접 센서(560)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인출식 문(23)을 부주의로 잘못 검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런데, 도 51과 도 52에 도시한 가드 전극(570)의 크기는 가로 세로의 사이즈가 예를 들어 30mm×30m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드 전극(570)의 크기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예를 들어 손가락이 아니라 팔꿈치로 근접 센서(560)에 접촉하고,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을 열고자 하는 경우에, 팔꿈치가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의 양쪽 동시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손가락으로도 팔꿈치로도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을 개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5를 참조하여,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의 기판(553)의 수납 구조예를 설명한다. 도 55는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에서의 기판(553)의 수납 구조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5(a)는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의 정면도이고, 도 55(b)는 기판(553)의 수납 구조를 도시한 좌측 문(21)의 내측 단면부(21T)(우측 문(22)의 내측 단면부(22T))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5(c)는 덮개부재(590)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을 닫은 상태에서는 좌측 문(21)의 내측 단면부(21T)와 우측 문(22)의 내측 단면부(22T)는 마주보고 있다. 각 내측 단면부(21T)에서는 수납공간부재(585)의 장방형의 개구부분(586)이 위치되어 있고,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의 내부에는 기판조립체(500M)의 수납공간부재(585)가 위치되어 있다. 기판조립체(500M)는 개구부분(586)으로부터 수납공간부재(585)내에 삽입하여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개구부분(586)은 기판조립체(500M)를 수납한 후에, 덮개부재(590)에 의해 닫는다. 이 덮개부재(590)의 내면에는 알루미늄박 테입이나 철판과 같은 금속체(591)가 배치되어 있다. 금속체(591)는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로서의 전자계를 제한하고, 근접 센서(560)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이다.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 변경수단으로서의 금속체(591)는 인접하는 이동 수단인 좌측 문(21)과 우측 문(2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덮개부재(590)에 금속체(591)를 배치함으로써, 금속체(591)는 좌측 문(21)과 우측 문(22) 사이에서 전자계를 차단한다. 따라서, 좌측 문(21)의 근접 센서(560)의 전자계와 가드 전극(570)의 전자계가, 우측 문(22)의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의 전자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우측 문(22)의 근접 센서(560)로부터의 전자계와 가드 전극(570)의 전자계가, 좌측 문(21)의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의 전자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음에 도 48 내지 도 50과 도 54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예를 들어 좌측 문(21)을 개방하는 경우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도 49와 도 50에 도시하는 좌측 문(21)측의 근접 센서(560)에 접근하여, 도 49와 도 50에 도시하는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로서의 전자계(560P)에 들어가면, 고감도 상태의 근접 센서(560)는 손가락이 근접 센서(560)에 접근하고 있음을 검지한다. 이에 의해, 도 54의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에 손가락이 접근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SG)를 받는다.
그리고, 도 54의 제어부(556)는 이 근접 센서(560)로부터의 신호(SG)에 의해, 가드 전극(570)으로의 통전을 정지하고, 또한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의 감도를 낮추어 「고감도」에서 「저감도」로 변경한다. 또한, 제어부(556)는 LED(577)를 점등하고 근접 스위치(560)를 조명함으로써 근접 스위치(560)의 위치를 명시하여 사용자가 근접 스위치(560)의 위치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손가락이 근접 센서(560)에 접촉되면, 저감도의 근접 센서(560)는 좌측 문(21)을 개방하기 위한 터치 스위치(접촉 스위치)로서 기능하고, 도 54의 제어부(556)에 손가락이 근접 센서(560)에 접촉한 접촉 신호(SH)를 보낸다. 이에 의해, 제어부(556)는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유효로 하고, 제어부(556)는 문 개방 구동부(54)를 동작시키므로 좌측 문(21)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우측 문(22)을 개방하는 경우의 동작예는 상술한 좌측 문(21)을 여는 경우의 동작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접촉 센서로서 기능하는 근접 센서(560)에 접촉되었을 때에는, 제어부(556)는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을 자동적으로 열 수 있다.
사용자가 근접 센서(560)에만 접촉되었을 때에는,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를 터치 센서(접촉 센서)로서 기능시키고,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유효」로 함으로써,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실시한다. 이것은 우측 문(22)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그런데, 사용자가 도 51에 도시한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의 양쪽에 부주의로 접촉한 경우에는,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를 접촉 센서로서 기능시키지 않고,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무효」로 함으로써,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실시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제어부(556)는 사용자의 예를 들어 팔꿈치 등이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의 양쪽에 부주의로 접촉된 경우에는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무효」로 하고,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금지할 수 있다. 또한, 물방울이 도 54와 도 51에 도시한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의 양쪽에 부착된 경우에도,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를 접촉 센서로서 기능시키지 않고,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무효」로 함으로써,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실시하지 않는다. 상술한 문 개방 조작의 금지는 우측 문(22)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도 54와 도 51에 도시한 가드 전극(570)과 중간 영역 부분(589)의 양쪽에, 예를 들어 사용자의 팔꿈치가 동시에 접촉된 경우에는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유효」로 하고,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것은 우측 문(22)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제 전면판(21A, 22A)을 갖는 양쪽 개방형의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이 각각 정전기 터치형 접촉 센서를 갖고 있고, 이 정전 터치형 접촉 센서는 인체의 손가락 등이 접근한 것을 검지하는 근접 센서(560)로서 사용한다.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553)에서는 정전 터치용 전극인 근접 센서(560)의 주위에, 가드 전극(570)이 근접 센서(560)에 대해서 간격을 두고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가드 전극(570)은 인체가 접근할 때, 근접 센서(560)의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 변경방법이다. 가드 전극(570)은 근접 센서(560)가 인체의 근접을 검지할 때 발생하고 있는 전자계와 반대 방향의 전자계를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가드 전극(570)은 근접 센서(560)가 인체의 근접을 검지할 때 발생하는 전자계를 상하 방향, 좌우 방향에 대해서 제한하고, 도 49와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근접 검지용의 전자계의 확대 범위를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전자계(560P)(근접 검지 범위)는 근접 센서(560)의 정면 전방 방향으로만 제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을 구비하고 있는 양쪽 개방식 냉장고의 경우, 예를 들어 좌측 문(21)의 개폐에 의해, 우측 문(22)의 근접 센서(560)가 오검지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측 문(22)의 문 개폐에 의해, 좌측 문(21)의 근접 센서(560)가 오검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쪽 개방식 냉장고가 아니라, 한쪽 개방식 냉장고의 경우에는 냉장고의 측면에 인체 또는 물체가 온 경우에, 문의 근접 센서가, 그 인체 또는 물체를 부주의로 오검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1 실시형태]
도 56은 제31 실시형태를 도시한 냉장고(1)의 정면도이다.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이, 냉장고(1)의 냉장실(12)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고 있다. 이 때문에,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은 각각 냉장고 본체인 캐비닛(11)의 좌측단부, 우측단부의 상하를 힌지부로 양쪽 개방식으로 개폐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은 모두 전면에 개구되는 편평한 내판의 개구부에 착색 투명한 유리제의 전면판(21A, 22A)을 부착하고, 또한 내부 공동부에 진공단열재를 배치하며, 진공단열재로 완전히 메워 넣지 못한 공동부에 발포 폴리우레탄 단열재(이하, 간단히 우레탄 단열재라고 함) 또는 미리 성형된 고체 단열재(예를 들어 EPC)를 배치한 단열 구조 부재이다.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문 개방 조작부(651, 652)가 좌측 문(21)의 전면판(21A), 우측 문(22)의 전면판(22A)의 내측의 하변 근방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문 개방 조작부(651, 652)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전면판(21A)의 표면으로부터의 터치 조작을 할 수 있다. 문 개방 조작부(651)는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607)와, 정전용량식 터치 버튼의 전극(633)을 갖고 있다. 문 개방 조작부(652)는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608)와, 정전용량식 터치 버튼의 전극(633)을 갖고 있다. 근접 센서(607)는 터치 버튼의 전극(633)의 상측에 배치되고 근접 센서(608)는 터치 버튼의 전극(633)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 문(21)의 전면판(21A)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전면판(21A)의 표면으로부터의 터치 조작에 의해 냉장고를 조작하기 위한 정전용량식 제어 조작부(6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 조작부(650)에는 예를 들어 냉장고 주변 환경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적외선 수광부, 컨트롤 버튼(컨트롤 스위치)(650CS)과 홈 버튼(홈 스위치)(650HS), 이 홈 버튼(650HS)에의 터치를 검지하고, 조작 버튼명, 냉각 기능명, 냉각 강도 등을 투과 표시하는 LED 표시등, 온도값 등의 변화되는 수치를 투과 표시하는 7세그먼트 LED 표시 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 개방 구동부(54, 55)가 캐비닛(11)의 천정판 상면의 전단 근방의 좌우 부분인, 좌측 문(21), 우측 문(22)의 상변의 개방측단부 근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문 개방 구동부(54, 55)는 좌측 문(21), 우측 문(22)을 별도로 강제적으로 문을 개방 작동시키는 문 개방 장치이다. 문 개방 구동부(54, 55)는 전자석에 의해 플런저(54A, 55A)를 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좌측 문(21), 우측 문(22)의 각각의 개방측단부 근방의 상변을 전방으로 밀어내고, 좌측 문(21), 우측 문(22)을 강제적으로 자동 개방한다.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근접 센서(607)를 포함하는 문 개방 조작부(651)는 좌측 문(21)의 우측 하단의 위치에 배치되고, 다른쪽 근접 센서(608)를 포함하는 문 개방 조작부(652)는 우측 문(22)의 좌측 하단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근접 센서(607)를 포함하는 문 개방 조작부(651)는 좌측 문(21)의 유리제 전면판(21A)의 내부에 배치되고, 근접 센서(608)를 포함하는 문 개방 조작부(652)는 우측 문(22)의 유리제 전면판(22A)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57은 도 56에 도시한 좌측 문(21)에서의 근접 센서(607)를 포함하는 문 개방 조작부(651)의 부근(또는 우측 문(22)에서의 근접 센서(608)를 포함하는 문 개방 조작부(652)의 부근)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V1-V1선의 단면도이다. 도 56에 도시한 문 개방 조작부(652) 부근의 구조예는 도 56에 도시한 문 개방 조작부(651) 부근의 구조예와 동일하다.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제 전면판(21A, 22A)의 내면측에는 차폐용 시트재(621)가 인쇄 등에 의해 배치되어 있다. 이 시트재(621)는 전면판(21A, 22A)을 통하여 내부가 보이는 것을 막기 위해 배치되어 있다.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판(21A, 22A)의 내면측에는 제1 기판(631)과 제2 기판(632)이, 간격을 두고 전면판(21A, 22A)에 대해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앞쪽에 배치된 제1 기판(631)의 이면에는 근접 센서(607)(또는 근접 센서(608))와 커넥터(629)가 배치되고, 제1 기판(631)의 표면에는 정전용량식 복수의 터치 버튼(전극)(633)이 배치되어 있다. 제1 기판(631)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634)이 형성되어 있고, 각 구멍(634)은 터치 버튼(633)에 대응한 배후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근접 센서(607, 608)는 근접 센서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컴퓨터이다.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631)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는 제2 기판(632)의 표면에는 복수의 LED(635)와 커넥터(636)가 배치되어 있다. 제2 기판(632)의 커넥터(636)는, 제1 기판(631)의 커넥터(629)에 대해서 중계 속선(628)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각 LED(635)는 제1 기판(631)의 각 구멍(634)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LED(635)가 발생하는 조명용 광(LLT)은 각 구멍(634)을 통하여 터치 버튼(633)을 배후로부터 전면판(21A)(22A)측을 향하여 조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근접 센서(607)(608)의 위치와, 각 터치 버튼(633)의 위치를, 전면판(21A)(또는 전면판(22A))과 시트재(621)를 통하여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58은 도 56에 도시한 제어 조작부(650)의 V2-V2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제 전면판(21A)의 내면측에는 차폐용 시트재(621)가 인쇄 등에 의해 배치되어 있다. 이 시트재(621)는 전면판(21A)을 통하여서 내부가 보이는 것을 막기 위해서 배치되어 있다. 전면판(21A)의 내측에는 조작 명판(661), 확대 필름(662), 투명 전극(663), 및 기판(664)이 배치되어 있다. 전면판(21A)에서 기판(664)을 향하여, 조작 명판(661)과, 확대 필름(662)과, 투명 전극(663)의 순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확대 필름(662)은 기판(664)에 탑재되어 있는 복수의 LED(665)가 발생하는 조명용 광(LLS)을, 전면판(21A)측으로 확산시킨다.
기판(664)의 표면에는 복수의 LED(665)와, 도광용 차폐판(666)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커넥터(667)가 탑재되어 있다. 이 커넥터(667)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68)에 의해 투명 전극(663)에 접속되어 있다. 각 LED(665)는 양옆의 차폐판(666)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각 LED(665)의 조명용 광(LLS)은 차폐판(666)에 의해 투명 전극(663)측으로 조사되고, 투명 전극(663)을 통과한 후에, 확대 필름(662)에 의해 전면판(21A)으로 확대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전면판(21A)과 시트재(621)를 통하여, 투명 전극(663)의 전극 위치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59는 제어부(656), 제어 조작부(650), 문 개방 조작부(651, 652), 및 문 개방 장치인 문 개방 구동부(54, 55)의 전기 접속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656)는 제어 조작부(650)와, 제1 기판(631)과 제2 기판(632)과, 문 개방 구동부(54, 5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56에 도시한 냉장고(1)에서는 사용자가 냉장고(1)의 좌측 문(21)(또는 우측 문(22))을 개방하는 경우에, 어두운 환경이면 문 개방 조작부(651, 652)의 근접 센서(607)(608)의 위치와 터치 버튼(633)의 위치를 시인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문 개방 조작부(651, 652)의 조작이 어려운 것을 개선하기 위해,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 개방 조작부(651, 652)의 터치 버튼(633)의 배면과 근접 센서(607)(608)의 배면에는 조명광을 공급하기 위한 조명 수단으로서의 LED(635)가 탑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문 개방 조작부(651, 652)의 터치 버튼(633)을 터치 조작하고 싶은 경우에는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607)(또는 근접 센서(608))가 사람이 접근한 것을 검지한다. 제어부(656)는 근접 센서(607)(또는 근접 센서(608))로부터 사람이 접근한 것을 알리는 신호를 받으므로, 제어부(656)의 지령에 의해, 조명용 LED(635)가 점등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문 개방 조작부(651, 652)의 근접 센서(607)(608)의 위치와 터치 버튼(633)의 위치를 시인하고, 문 개방 조작부(651, 652)의 터치 버튼(633)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고, 좌측 문(21)(또는 우측 문(22))을 열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근접 센서(607)(또는 근접 센서(608))가 사람이 접근한 것을 검지하면, 제어부(656)는 근접 센서(607)(또는 근접 센서(608))로부터 사람이 접근한 것을 알리는 신호를 받으므로, 제어부(656)의 지령에 의해 도 58에 도시한 제어 조작부(650)의 조명용 LED(665)가 점등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제어 조작부(650)의 위치를 시인하고 제어 조작부(65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문 개방 조작부(651, 652)의 터치 버튼(633)을 유리제 전면판(21A, 22A)의 위로부터 비접촉으로 터치 조작하고 싶은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도 59의 제어부(656)는 LED(635)의 점등시의 밝기를 복수 단계로 할 수 있다.
즉, 근접 센서(607)(또는 근접 센서(608))가 사람이 접근한 것을 검지하면, 도 59의 제어부(656)는 LED(635)를 미약하게 점등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문 개방 조작부(651, 652)의 터치 버튼(633)을 비접촉으로 터치 조작하고 좌측 문(21)(또는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이 성립한 경우에는, 도 59의 제어부(656)는 LED(635)를 완전히 점등시키고 광량을 올린다.
그 후, 사용자가 터치 버튼(633)으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제어부(656)는 문 개방 구동부(54)(또는 문 개방 구동부(55))를 동작시켜, 좌측 문(21)(우측 문(22))을 열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문 개방 조작부(651, 652)의 터치 버튼(633)을 터치 조작하고 좌측 문(21)(또는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이 성립한 경우, LED(635)는 미약한 점등에서 완전한 점등으로 하여 광량을 높이므로, 사용자는 이 광량의 변경, 즉 바람직하게는 광량의 증가에 의해, 문 개방 조작이 성립한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59에 도시한 제어 조작부(650)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냉각제어내용을 변경 조작하기 위해서 조작된다. 제어부(656)는 도 58에 도시한 제어 조작부(650)의 LED(665)를 점등시키는 동작 개시 시점(점등 시기)이 도 57에 도시한 문 개방 조작부(651, 652)의 LED(635)를 점등시키는 동작 개시 시점(점등 타이밍)에 비해서 다르고, 미리 정한 지연시간만큼 늦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 조작부(650)의 LED(665)의 발광방법의 타이밍과 문 개방 조작부(651, 652)의 LED(635)의 발광방법의 타이밍은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 개방 조작부(651, 652)의 LED(635)의 점등 타이밍이 제어 조작부(650)의 LED(665)의 점등 시기보다 빠르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제어 조작부(650)의 LED(665)의 점등 타이밍이 문 개방 조작부(651, 652)의 LED(635)의 점등 타이밍보다 빨리 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근접 센서(607)(또는 근접 센서(608))가 사람이 접근한 것을 검지하면, 문 개방 조작부(651, 652)의 LED(635) 뿐만 아니라 제어 조작부(650)의 LED(665)도 점등시킬 수 있다.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에서는 근접 센서(607, 608)의 위치는 제어 조작부(650)의 위치보다 아래에 배치되고 또한 근접 센서(607, 608)는 문 개방 조작부(651, 652)의 터치 버튼(633)의 근방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손가락을 근접 센서(607)(또는 근접 센서(608))에 접근시켜, 근접 센서(607)(또는 근접 센서(608))에 접촉한 후에, 그대로 약간 손가락을 내리는 이동에 의해, 문 개방 조작부(651, 652)의 터치 버튼(633)에 접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사용하기 쉽다.
다음에, 도 60은 도 56에 도시한 좌측 문(21)의 근접 센서(607)가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근을 검지한 후에, 손가락이 문 개방 조작부(651)의 터치 버튼(633)에 접촉한 경우에, 좌측 문(21)의 제어 조작부(650)와 문 개방 조작부(651)가 점등하는 모습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0(a)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은 아직 근접 센서(607)에는 전혀 접근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어부(656)는 정전 스위치인 근접 센서(607)를 「근접 센서」로서 기능시키기 위해, 제어부(656)는 근접 센서(607)의 감도를 「대」로 설정하고 감도를 올려 둠으로써, 「근접 센서」로서의 기능은 「유효」하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656)는 문 개방 조작부(651)의 터치 버튼(633)의 기능인 좌측 문(21)의 오픈(문 개방 조작)은 「무효」로 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656)는 제어 조작부(650)의 점등 표시와 문 개방 조작부(651)의 점등 표시는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프 상태」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 조작부(650)의 컨트롤 스위치(컨트롤 버튼)(650CS)와 홈 스위치(홈 버튼)(650HS)의 조작(문 개방 조작) 기능은 「무효」가 되어 있다.
다음에, 도 60(b)에서는 손가락(HT)이 근접 센서(607)에 접근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근접 센서(607)는 손가락(HT)의 접근을 검지하므로 제어부(656)는 근접 센서(607)의 「근접 센서」로서의 감도를 「대」로부터 「소」로 전환하여 감도를 떨어뜨려 근접 센서의 기능을 낮춘다.
이 때문에 제어부(656)는 문 개방 조작부(651)의 터치 버튼(633)을 기능시키므로 손가락(HT)이 터치 버튼(633)에 대해서 전면판의 표면으로부터 접촉됨에 의한 좌측 문(21)의 오픈 조작(문 개방 조작)기능은 「무효」에서 「유효」가 된다.
또한, 제어부(656)는 제어 조작부(650)의 점등 표시와, 근접 센서(607)의 문 개방 조작부(651)의 점등 표시는,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온 상태」가 되고, 도 57에 도시한 LED(635)와 도 58에 도시한 LED(665)는, 예를 들어 미약하게 점등한다. 즉, 도 58에 도시한 LED(665)가 미약하게 점등함으로써 제어 조작부(650)를 배후에서 조명하여 발광시키고, 또한 도 57에 도시한 LED(635)가 점등함으로써 문 개방 조작부(651)를 배후에서 조명하여 발광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이 점등 표시 시간은 소정의 시간 예를 들어 10초간만 점등하도록 하고, 이 10초 사이에 손가락(HT)이 문 개방 조작부(651)의 터치 버튼(633)에 접촉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LED(635, 665)가 소등하게 해도 좋다.
단지, 제어부(656)은 도 58에 도시한 제어 조작부(650)의 LED(665)를 점등시키는 동작 개시 시점(점등 시기)이 도 57에 도시한 문 개방 조작부(651)의 LED(635)를 점등시키는 동작 개시 시점(점등 타이밍)에 비해서 다르고, 미리 정한 지연시간만큼 늦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656)는 제어 조작부(650)의 LED(665)의 발광방법의 타이밍과 문 개방 조작부(651)의 LED(635)의 발광방법의 타이밍은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 개방 조작부(651)의 LED(635)의 점등 타이밍이 제어 조작부(650)의 LED(665)의 점등 타이밍보다 빠르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제어 조작부(650)의 LED(665)의 점등 타이밍이 문 개방 조작부(651)의 LED(635)의 점등 타이밍보다 빠르게 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점등 타이밍을 다르게 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해서 제어 조작부(650)의 위치와, 문 개방 조작부(651)의 위치를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조작부(650)의 컨트롤 스위치(650CS)와 홈 스위치(650HS)의 조작 기능은 온이 되어 「무효」로부터 「유효」가 된다.
다음에, 도 60c에서는 손가락(HT)이 문 개방 조작부(651)의 터치 버튼(633)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어부(656)는 근접 센서(607)의 「접촉 센서」로서의 감도인 「소」의 상태로 유지시킨다. 제어부(656)는 문 개방 조작부(651)의 터치 버튼(633)의 기능인 좌측 문(21)의 오픈 조작(문 개방 조작) 기능을 「유효」 그대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 조작부(650)의 컨트롤 버튼(컨트롤 스위치)(650CS)과 홈 버튼(홈 스위치)(650HS)의 조작 기능은 온이 되어 「유효」이므로,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656)는 제어 조작부(650)의 점등 표시와, 근접 센서(607)의 문 개방 조작부(651)의 점등 표시는,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도 60(b)에서의 제어 조작부(650)의 점등 표시의 광량과 근접 센서(607)의 개폐 조작부(651)의 점등표시의 광량은 비교적 작게 하고 미약한 점등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도 60(c)에서의 손가락(HT)의 접촉시에서는 제어 조작부(650)의 점등 표시의 광량과 문 개방 조작부(651)의 점등 표시의 광량은 미약한 점등으로부터 올리고, 보다 큰 광량에 의한 완전한 점등으로 발광시킨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문 개방 조작부(651)의 터치 버튼(633)을 터치 조작하여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이 성립된 경우에는 LED(635)는 미약한 점등으로부터 완전한 점등으로 하여 광량을 높이므로, 사용자는 점등량의 증가에 의해, 문 개방 조작이 성립된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어 조작부(650)의 표시와 문 개방 조작부(651)의 표시를 보다 확실하게 시인할 수 있고, 또한 소비 전력의 에너지 절약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607)에 손가락(HT)를 접근시킨 경우와, 도 60(c)에 도시한 터치 버튼(633)에 손가락(HT)을 접촉한 경우에는, 제어부(656)는 제어 조작부(650)의 조명과 문 개방 조작부(651)의 조명을 실시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점등시의 광량을 변경하여 올릴 수 있다.
그 후, 도 60(d)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HT)이 문 개방 조작부(52)의 터치 버튼(633)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어부(656)는 문 개방 조작부(651)의 터치 버튼(633)으로부터의 조작신호의 입력을 유효로 하고, 문 개방 구동부(54)를 동작시킴으로써 해당하는 좌측 문(21)의 문 개방 제어를 실시한다. 이에 의해, 좌측 문(21)은 자동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56)는 제어 조작부(650)의 점등 표시와, 근접 센서(607)의 문 개방 조작부(651)의 점등 표시는,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 조작부(650)의 컨트롤 스위치(650CS)와 홈 스위치(650HS)의 조작 기능은 오프가 되어 「유효」로부터 「무효」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0을 참조하여 설명한 좌측 문(21)의 오픈 동작과 동일하게 하여, 도 56에 도시한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부(652)를 이용한 우측 문(22)의 오픈 동작에 대해서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부(651)의 터치 버튼(633)에 의해 좌측 문(21)을 개방하면,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부(652)의 터치 버튼(633)의 기능이 전환되어, 문 개방 조작부(652)의 스위치 기능을 무효가 되도록 하고, 우측 문(22)이 개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동일하다.
그런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문 개방 조작부(651, 652)의 터치 버튼(633)을 비접촉으로 터치 조작하고 싶은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도 59의 제어부(656)는 LED(635)의 점등시의 점등색을 바꿀 수 있다. 즉, 근접 센서(607)(또는 근접 센서(608))가 사람이 접근한 것을 검지하면, 도 59의 제어부(656)는 LED(635)를 제1발광색인 예를 들어 청색으로 점등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문 개방 조작부(651, 652)의 터치 버튼(633)을 터치 조작하고 좌측 문(21)(또는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이 성립한 경우에는, 도 59의 제어부(656)는 LED(635)를 제2발광색인 예를 들어 적색으로 점등시킨다.
그 후, 사용자가 터치 버튼(633)으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제어부(656)는 문 개방 구동부(54)(또는 문 개방 구동부(55))를 동작시켜, 좌측 문(21)(우측 문(22))을 개방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문 개방 조작부(651, 652)의 터치 버튼(633)을 터치 조작하여 좌측 문(21)(또는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이 성립한 경우에, LED(635)는 청색에서 적색으로 점등 색을 변경하게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점등 색의 변경에 의해, 문 개방 조작이 성립한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발광 색과 제2 발광 색의 종류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60(b)와 같이 근접 센서(607)에 손가락(HT)을 접근시킨 경우에는 LED(635, 665)를 점멸시키고 도 60(c)에 도시한 터치 버튼(633)에 손가락(HT)을 접촉시킨 경우에는 LED(635, 665)를 상시 점등시키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문 개방 조작이 성립한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6에 도시한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이 양쪽 개방식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좌측 문(21)의 개방 중에는, 제어부(656)는 우측 문(22)에서의 문 개방 조작부(652)의 터치 버튼(633)의 LED(635)는 상시 점등시키도록 해도 좋다. 동일하게 하여, 우측 문(22)의 개방 중에는 제어부(656)는 좌측 문(21)에서의 문 개방 조작부(651)의 터치 버튼(633)의 LED(635)는 상시 점등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개방되어 있지 않은 측의 우측 문(22)(또는 개방되어 있지 않은 측의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부의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여 문 개방 조작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내용은 냉장고 이외의 가전기구, 예를 들어 세탁(laundry) 기구나, 조리 기구 등에 채용 가능하고, 조작부로서의 발명으로서도 유효하다.
[제32 실시형태]
도 61은 제32 실시형태를 도시한 냉장고(1)의 정면도이다. 도 62는 도 61에 도시한 냉장고(1)의 평면도이고, 도 63은 도 61에 도시한 냉장고(1)의 측면도이다.
도 61 내지 도 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이 냉장고(1)의 냉장실(12)의 전면 개구부를 덮는다. 이 때문에,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은 각각 냉장고 본체인 캐비닛(11)의 좌측단부, 우측단부의 상하를 힌지부로 양쪽 개방식으로 개폐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좌측 문(21), 우측 문(22)은 모두 전면에 개구하는 편평한 내판의 개구부에 착색 투명의 유리제의 전면판(21A, 22A)을 부착하고, 또한 내부 공동부에 진공단열재를 배치하고 진공단열재로 완전히 메워지지 않은 공동부에 발포 폴리우레탄 단열재(이하, 간단히 우레탄 단열재로도 기재한다) 또는 미리 성형된 고체 단열재(예를 들어 EPC)를 배치한 단열 구조 부재이다.
도 61 내지 도 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 개방 조작부(551, 552)가 좌측 문(21)의 전면판(21A), 우측 문(22)의 전면판(22A)의 하변 근방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문 개방 구동부(54, 55)가 캐비닛(11)의 천정판 상면의 전단 근방의 좌우 부분이며, 좌측 문(21), 우측 문(22)의 상변 개방측단부 근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문 개방 구동부(54, 55)는 좌측 문(21)과 우측 문(22)를 별도로 강제적으로 문을 개방 동작시키는 문 개방 장치이다. 문 개방 구동부(54, 55)는 전자석에 의해 플런저(54A, 55A)를 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좌측 문(21), 우측 문(22)의 각각의 개방측단부 근방의 상변을, 전방으로 밀어내고, 좌측 문(21), 우측 문(22)을 강제적으로 자동 개방한다.
도 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문 개방 조작부(551)는 좌측 문(21)의 우측 하단 위치에 배치되고, 다른쪽의 문 개방 조작부(552)는 우측 문(22)의 좌측 하단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문 개방 조작부(551)는 좌측 문(21)의 유리제 전면판(21A)의 내부에 배치되고, 문 개방 조작부(552)는 우측 문(22)의 유리제 전면판(22A)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 문(21)의 전면판(21A)의 내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전면판(21A)의 표면으로부터의 터치 조작에 의해 냉장고를 조작하기 위한 정전용량식 제어 조작부(6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 조작부(650)는 좌측 문(21)에서 문 개방 조작부(551)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어 조작부(650)에는 예를 들어 냉장고 주위의 환경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적외선 수광부, 컨트롤 버튼(컨트롤 스위치)(650CS)과 홈 버튼(홈 스위치)(650HS), 이 홈 버튼(650HS)으로의 터치를 검지하고 조작 버튼명, 냉각 기능명, 냉각 강도 등을 투과 표시하는 LED 표시등, 온도값 등의 변화하는 수치를 투과 표시하는 7세그먼트 LED 표시 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64는 도 61에 도시한 문 개방 조작부(551)의 기판(553)의 구조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5는 도 64에 도시한 문 개방 조작부(551)의 기판(553)에 배치된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6은 문 개방 조작부(551)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1에 도시한 문 개방 조작부(551)와 문 개방 조작부(552)는 동일한 구조를 갖지만, 좌우 대칭 형상이다. 도 64는 문 개방 조작부(551)의 기판(553)의 형상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문 개방 조작부(552)와 문 개방 조작부(551)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이므로, 도 64 내지 도 66을 참조하여, 문 개방 조작부(551)의 기판(553)을 대표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66을 참조하면 문 개방 조작부(551)는 기판조립체(500M)와, 기판조립체(500M)를 수납하기 위한 오픈 박스라고 불리는 플라스틱제 수납공간부재(585)와, 플라스틱제 덮개부재(590)를 갖고 있다. 플라스틱제 수납공간부재(585)의 이면(585R)에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체인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이 붙어 있다. 플라스틱제 덮개부재(590)의 내면에는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체(591)가 붙어 있다. 이에 의해, 냉장고(1)의 본체측이 생성하는 전자파가 기판조립체(500M)측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있다.
기판조립체(500M)는 플라스틱제 차폐판(599)과, 기판(553)과, 조작명판(597), 표시용 LED(557)를 탑재한 LED 기판(598)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판(553)은 정전 터치스위치 기판이고, 차폐판(599)의 전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기판(553)의 전면측에는 조작명판(597)이 배치되어 있다. 차폐판(599)의 배면측에는 표시용 LED 기판(598)이 고정되어 있다. 이 LED 기판(598)에는 복수개의 LED(577)가 탑재되어 있다.
기판(553)과 조작명판(597)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좌우의 슬릿(574, 57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기판조립체(500M)는 수납공간부재(585)의 장방형의 삽입구인 개구부분(586)을 통하여, 수납공간부재(585)내에 수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수납공간부재(585)의 개구부분(586)은 덮개부재(590)로 덮이게 되어 있다.
도 64(a)와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 개방 조작부(551)의 기판(553)은 장방형 또는 정방형이고, 기판(553)은 도 64(a)에 도시한 표면(553A)과 도 64(b)에 도시한 이면(553B)을 갖는다. 기판(553)에는 전자부품의 탑재부분(571)과,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의 배치부분(572)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문 개방 조작부(551)의 기판(553)과 문 개방 조작부(552)의 기판(553)은 바람직하게는 좌우 대칭 형상으로 하여 공통 부품으로 할 수 있다.
도 64(b)에 도시한 이면(553B)측의 전자부품의 탑재부분(571)은 하단부분에 제1 단부(553M)와, 제2 단부(553N)을 갖고 있다. 이면(553B)측의 전자부품의 탑재부분(571)의 하단부분은 계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면(553B)측의 전자부품의 탑재부분(571)에는 2개의 커넥터 부품(CC1, CC2)과,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전자부품 등이 탑재된다. 커넥터 부품(CC1)은 제1 단부(553M)에 배치되고, 커넥터 부품(CC2)은 제2 단부(553N)에 배치되어 있다.
즉, 커넥터 부품(CC1)과 커넥터 부품(CC2)은 수평 방향으로 가로방향 나열로 되어 있지 않고, 커넥터 부품(CC1)의 기판(553)의 이면(553B)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가, 커넥터 부품(CC2)의 기판(553)의 이면(553B)에 부착되어 있는 위치에 비하여, Z방향(상하 방향)에 관해서 하측의 위치가 되어 있다. 커넥터 부품(CC1)은 제1 단부(553M)를 따라서 배치되고, 커넥터 부품(CC2)은 제2 단부(553N)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 부품(CC1, CC2)의 위치가 상하 방향에 관해서 어긋나 있으므로, 유지 관리시에 커넥터 부품(CC1, CC2)을 분리하거나 부착할 때, 공구를 사용하여 착탈하기 쉬워진다.
또한, 커넥터 부품(CC1, CC2)의 위치가 상하 방향에 관하여 어긋나 있으므로, 결로에 의한 물이 커넥터 부품(CC1, CC2) 사이로부터 흘러내리기 쉬워져 있으므로, 커넥터 부품(CC1, CC2)의 지점에서, 결로에 의한 물이 고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기판의 이면으로부터 커넥터 부품(CC1, CC2)이 이격되어 있으므로, 수납부 내에 물이 고인 경우에도 커넥터 부품(CC1, CC2)이 물에 젖지 않는다.
또한, 기판(553)의 이면(553B)측의 전자부품의 탑재부분(571)에는 2개의 커넥터 부품(CC1, CC2)과, 도시하지 않은 전자부품 등이 탑재되고, 기판(553)의 표면(553A)에는 전자부품이 탑재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전자부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노이즈 제거 컨덴서, 신호 처리용 컨덴서, 트랜지스터, 마이크로컴퓨터 등이다. 이와 같이 전자부품이 기판(553)의 표면(553A)이 아니라 이면(553B)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명판(597)의 내면이 전자부품에 영향을 받지 않고, 기판(553)의 표면(553A)에 대해서 밀착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기판(553)의 이면(553B)측의 전자부품의 탑재부분(571)에는 2개의 커넥터 부품(CC1, CC2)이 배치되어 있지만, 커넥터 부품(CC1, CC2)과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을 떨어뜨려 배치함으로써, 커넥터 부품(CC1, CC2)으로부터의 노이즈가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64(a)에 도시한 기판(533)의 표면(553A)측의 배치부분(572)에는 제1 전극인 근접 센서(560)와, 제3 전극인 가드 전극(570)과, 제2 전극인 중간 영역 부분(589)이 배치되어 있다. 근접 센서(560)는 배치부분(572)의 가장 중앙에 위치되고, 가드 전극(570)은 배치부분(572)의 가장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중간 영역 부분(589)은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과 중간 영역 부분(589)은 금속 전극이지만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제2 전극인 중간 영역 부분(589)은 근접 센서(560)를 보조하고, 근접 센서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가드 전극(570)은 근접 센서(560)의 검지의 유효범위의 변경을 실시한다. 근접 센서(560)는 복수의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1장의 장방형상의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손가락에 의해 터치 조작하기 쉬운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553)의 배치부분(572)에 대응하는 이면(553B)에는 제4 전극인 메시의 그라운드 패턴(573)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라운드 패턴(573)은 냉장고 본체로부터의 소음이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전자계와 가드 전극(570)이 발생하는 전자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도 64(a)와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560)의 중앙 위치에는 관통구멍(560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560C)에는, 도 6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선 패턴(560H)이 접속되어 있다. 이 도선 패턴(560H)은 연결 부분(560A)의 부분을 통하여 관통구멍(560C)에 대해서 접속되어 있다. 도선 패턴(560H)은 슬릿(574, 575) 이외의 장소인 연결 부분(560A)의 내측 부분을 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연결 부분(560A)은 뒤에 설명한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근접 센서(560)를 누르는(접촉하는) 행위는 통상은 근접 센서(560)의 한가운데를 목표로 실시되므로, 관통구멍(560C)이 근접 센서(560)의 한가운데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관통구멍(560C)을 근접 센서(560)의 한가운데의 위치에 형성하는 것은 다음의 이유에서이다. 즉, 근접 센서(560)에서는 이 관통구멍(560C)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의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서 가장 스위치 감도가 높아진다. 이 것으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이 관통구멍(560C)의 어느 근접 스위치(560)의 한가운데를 누름으로써 가장 감도가 좋은 곳에 손가락을 접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64와 도 65에 도시한 근접 센서(560)는 정전 터치(접촉)용 전극이고, 도 62와 도 63에 도시한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의 정면(전면)방향에서, 예를 들어 약 100mm에 인체 또는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기 위한, 정전용량식 검지수단이다. 이 근접 센서(560)는 사용자의 인체의 일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손가락이 접근하면, 이 손가락의 접근을 검지한다. 근접 센서(560)는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이지만, 서로 커패시턴스 방식의 터치 센서나 자기(自己) 커패시턴스 방식의 터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호 커패시턴스 방식에서는 1개의 송신 전극과 1개의 수신 전극으로 구성되어 송신 전극에 전류가 공급되면 전자계가 생성되어 전자계가 수신 전극에 수신된다. 예를 들어 인체의 손가락이 근접 센서(560)의 검지 영역에 접근하면 전자계의 일부가 흡수되어 수신 전극에 수신되므로, 검지되는 에너지의 양이 감소됨으로써, 근접 센서(560)는 손가락의 접근을 검지할 수 있다.
자기 저항 방식에서는 부유 용량을 갖는 전극(근접 센서(560))이 1개 필요하다. 전극(근접 센서(560))의 부유 용량은 이 전극(근접 센서(560))과 그 주위의 도전체(인체의 손가락)의 사이에 있는 기생 용량의 영향을 받는다. 인체의 손가락이 근접 센서(560)에 접근하면, 기생 용량의 영향을 받아 부유 용량의 값이 증가하고 이 증가한 부유 용량을 계측함으로써 근접 센서(560)는 손가락의 접근을 검지할 수 있다.
도 64와 도 65에 예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560)는 예를 들어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장방형상의 스위치이고, 근접 센서(560)의 주위에 전극을 둘러싸도록 슬릿(574, 575)이 형성되어 있다. 즉, 슬릿(574, 575)은 근접 센서(56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여 Z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릿(574, 575)을 설치함으로써, 근접 센서(560)의 위치를 알기 쉽다.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슬릿(574, 575)에는, 예를 들어 투명 필름체(576)가 덮여 있고, 투명 필름체(576)에는 조명 장치로서 기능하는 발광 소자인 LED(577)가 복수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단,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LED(577) 내의 슬릿(574, 575)의 4개의 모퉁이부(576R)에 대응하는 4개의 LED(577)는 슬릿(574, 575) 내로부터 벗어난 바깥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4개의 모퉁이부(576R)에 대응하는 4개의 LED(577)가 발생하는 조명광은 슬릿(574, 575)에 대하여 그림자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여 조사할 수 있다.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560)의 일단부는 연결 부분(560A)에 의해 배치부분(572)에 연결되고, 근접 센서(560)의 타단부는 연결 부분(560B)에 의해 배치부분(572)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연결 부분(560A, 560B)은 근접 센서(560)와, 그 주위 부분인 중간 영역 부분(589)이 이어지도록 연결되어 있고, 「다리(橋)」라고도 한다. 연결 부분(560A, 560B)은 상술한 LED(577)가 배치되어 있는 장소 이외의 위치에 피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결 부분(560A, 560B)이 LED(577)의 조명광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근접 센서(560)의 중앙부에는 전기 접속용 관통구멍(560C)이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근접 센서(560)의 중앙 부분에 관통구멍(560C)을 형성하는 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관통구멍(560C)을 설치한 근접 센서(560)의 영역 부분이, 다른 영역 부분에 비해서 검지 감도가 높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근접하여 접촉하는 영역 부분은 근접 센서(560)의 중앙 부분인 점에서, 관통구멍(560C)을 근접 센서(560)의 중앙 부분에 설치하고 있다.
다음에, 도 64와 도 65에 도시한 가드 전극(570)에 대해서 설명한다.
가드 전극(570)은 배치부분(572)에서 근접 센서(560)와 중간 영역 부분(589)주위에 장방형상의 테두리틀로 형성되어 있다. 가드 전극(570)은 금속체이고 한쌍의 단변의 전극 부분(570A)과 한쌍의 장변의 전극 부분(570B)으로 이루어진다. 가드 전극(570)은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전자계와는 반대 방향의 전자계를 발생한다.
이에 의해, 도 62와 도 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전자계(560P)는 가드 전극(570)이 발생하는 반대 방향의 전자계에 의해 확대가 억제된다. 이 때문에, 가드 전극(570)이 발생하는 전자계는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전자계(560P)의 확대를 억제함으로써, 가드 전극(570)은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를 변경하는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 변경수단의 역할을 한다.
가드 전극(570)은 인체의 예를 들어 손가락의 접근을 검지할 때의 근접 센서(560)의 검지 범위를 좁혀서 변경함으로써, 근접 센서(560)의 검지범위의 유효범위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가드 전극(570)이 근접 센서(560)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를 변경한 결과, 도 6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부(551)의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전자계(560P)는 근접 센서(560)의 정면 전방 방향으로만 인도된다. 동일하게 하여,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부(552)의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전자계(560P)는 근접 센서(560)의 정면 전방 방향으로만 인도된다.
이 때문에 도 6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전자계(560P)는 좌우 방향인 X방향으로는 확대되지 않도록 좁혀져 있다.
또한, 도 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부(551)의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전자계(560P)는 근접 센서(560)의 정면 전방 방향으로만 인도된다. 동일하게 하여,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부(552)의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전자계(560P)는 근접 센서(560)의 정면 전방 방향으로만 인도된다. 이 때문에, 도 63에서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전자계(560P)는 상하 방향인 Z방향으로는 확대되지 않도록 좁혀져 있다.
즉, 도 62와 도 63에 도시한 근접 센서(560)의 전자계(560P)는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를 도시하고 있고, 이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는 근접 센서(560)의 전방과는 다른 방향의 범위(상하, 좌우로 확대되는 범위)와는 다른 범위에 상당한다.
다음에, 도 67는 제어부(556)와, 문 개방 조작부(551, 552)와, 문 개방 장치인 문 개방 구동부(54, 55) 등의 전기 접속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556)는 문 개방 조작부(551, 552)의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과, 문 개방 구동부(54, 55)와, 복수의 조명 장치로서의 LED(57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56)의 제어에 의해, 근접 센서(560)를 「고감도」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손가락이 근접 센서(560)의 검지 영역인 도 62와 도 63에 도시한 전자계(560P)에 들어가면, 도 67의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에 손가락이 접근하고 있다는 신호(SG)를 근접 센서(560)로부터 받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67의 제어부(556)는 이 근접 센서(560)로부터 신호(SG)를 받으면, 손가락이 근접 센서(560)에 대해서 접근했다고 판단하고, 가드 전극(570)으로의 통전을 정지하고, 또한 근접 센서(560)의 감도를 「고감도」로부터 「저감도」로 변경하여 낮추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어부(556)은 이 근접 센서(560)로부터의 신호(SG)를 받으면, 제어부(556)는 LED(577)를 점등시켜 근접 스위치(560)의 주위를 조명함으로써, 근접 스위치(560)의 위치를 조명에 의해 떠오르게 하여 사용자가 근접 스위치(560)의 위치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손가락이 근접 센서(560)에 접근한 상태로부터 근접 센서(560)에 접촉하면, 근접 센서(560)는 접촉 스위치로서 기능하고, 근접 센서(560)는 제어부(556)에 대해서, 손가락이 근접 센서(560)에 접촉한 접촉 신호(SH)를 보낸다. 이에 의해,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를 접촉 센서로서 기능시키고, 예를 들어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유효하게 하고, 제어부(56)는 문 개방 구동부(54)를 동작시키고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실제로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조작 순서는 우측 문(22)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에 의해,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의 유리면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근접 스위치(560)의 위치를, 사용자는 LED(577)에 의한 조명의 도움을 받아 눈으로 확인하면서 접촉하고,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을 개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의 감도를, 손가락이 접근할 때의 「고감도」로부터 「저감도」로 전환함으로써, 근접 센서(560)를 접촉 센서로서 기능시키도록 되어 있다. 손가락이 근접 센서(560)에 접근할 때에는 제어부(556)는 정전 스위치(560)를 「근접 센서」로서 기능시키기 위해,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의 감도를 「대」로 설정함으로써 「근접 센서」로서의 기능은 「유효」이다. 이 때문에,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를 「접촉 센서」로서 기능시키지 않으므로, 근접 센서(560)는 문 개방 조작부(551, 552)의 본래의 기능인 좌측 문(21), 우측 문(22)의 오픈(문 개방 조작)에 대해서는 「무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근접 센서(560)에 접근시켜, 손가락이 근접 센서(560)의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로서의 전자계(560P)에 들어가면, 근접 센서(560)는 손가락의 접근을 제어부(556)에 통지한다. 그리고, 근접 센서(560)로부터 손가락의 접근이 제어부(556)에 통지되면,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로서의 감도를 「대」로부터 「소」로 전환하여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의 점등 표시는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하고, 근접 센서(560)의 위치는 LED(577)에 명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근접 센서(560)의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손가락으로 근접 센서(560)에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다.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를 본래의 기능인「접촉 센서」로서 기능시키므로, 근접 센서(560)에 손가락으로 접촉함으로써,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의 오픈 조작(문 개방 조작)은 「유효」가 된다.
상술한 좌측 문(21)의 오픈 조작(문 개방 조작)은 우측 문(22)의 오픈 조작(문 개방 조작)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4와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560)의 주위에는 가드 전극(570)을 배치함으로써, 근접 센서(560)의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인 전자계(560P)는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의 정면 방향(전방 방향)에서 예를 들어 약 100mm의 범위에 사람의 손이나 손가락이 접근한 것을 검지한다. 이 때, 근접 센서(560)의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인 전자계(560P)는 가드 전극(570)을 배치함으로써,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는 확대되지 않도록 제한하고 있다.
도 6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560)의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의 확대를 좌우 방향(X방향)에 대해서 제한함으로써, 도 6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문(21)을 화살표 21K로 나타내는 궤적을 따라서 개방하고자 손가락을 좌측 문(21)의 근접 센서(560)에 접근시킬 때, 닫혀 있는 우측 문(22)의 근접 센서(560)에 의해 손가락을 검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동일하게 하여, 우측 문(22)을 화살표 22K로 나타내는 궤적을 따라서 개방하고자 하여 손가락을 우측 문(22)의 근접 센서(560)에 접근시킬 때, 닫혀 있는 좌측 문(21)의 근접 센서(560)에 의해 손가락을 검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우측 문(22)의 근접 센서(560)의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인 전자계(560P)는 이동 수단으로서 좌측 문(21)을 개방할 때의 궤도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동일하게 하여, 좌측 문(21)의 근접 센서(560)의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인 전자계(560P)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우측 문(22)을 개방할 때의 궤적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의해,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을 개방할 때에, 개방하지 않고 닫혀 있는 측의 우측 문(22) 또는 좌측 문(21)의 근접 센서(560)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을 부주의로 잘못하여 검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560)의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의 확대를 상하 방향(Z방향)에 대해서 제한함으로써, 이동 수단으로서의 인출식 문(23)을 화살표 방향으로 끌어 낼 때, 좌측 문(21)의 근접 센서(560)의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인 전자계(560P)와 우측 문(22)의 근접 센서(560)의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인 전자계(560P)는 인출식 문(23)을 개방할 때의 궤적내에 들어가지 않는다.
이에 의해, 인출식 문(23)을 개방할 때, 좌측 문(21)의 근접 센서(560)와 우측 문(22)의 근접 센서(560)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인출식 문(23)을 부주의로 잘못 검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4(a)와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드 전극(57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드 전극(570)은 금속체이고, 한쌍의 단변 전극 부분(570A)과 한쌍의 장변 전극 부분(570B)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도 61에 도시한 좌측 문(21)의 전면판(21A)에 수분이 부착되고, 그 수분이 가드 전극(570)의 위치의 전면판(21A)까지 부착되며, 가드 전극(570)은 수분에 의해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지하면 도 67에 도시한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에 의한 문 개방 구동부(문 개방 장치)(54, 55)의 문 개방 동작을 무효로 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좌측 문(21)의 전면판(21A)의 표면 또는 우측 문(22)의 전면판(22A)의 표면을 젖은 행주를 이용하여 닦았을 때, 가드 전극(570)이 수분을 검지하면, 근접 센서(560)가 젖은 행주를 감지하여 온 상태가 되었다고 해도 도 67에 도시한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에 의한 문 개방 구동부(문 개방 장치)(54, 55)의 문 개방 동작을 「무효」로 함으로써,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이 멋대로 열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이 갑자기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556)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가드 전극(570)에 접촉한 후에 근접 센서(560)에 접촉하면, 근접 센서(560)에 의한 문 개방 구동부(문 개방 장치)(54, 55)의 문 개방 동작을 「무효」로 한다. 또한, 제어부(556)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가드 전극(570)에 접촉함과 동시에 근접 센서(560)에 접촉하면, 근접 센서(560)에 의한 문 개방 구동부(문 개방 장치)(54, 55)의 문 개방 동작을 「무효」로 한다.
이에 의해, 가드 전극(570)이 잘못하여 인체를 검지한 경우에는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이 갑자기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문(21)의 전면판(21A)의 내측에서는 제어 조작부(650)가 설치되고, 제어 조작부(650)의 하부에는 문 개방 조작부(551)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 조작부(650)와 문 개방 조작부(551)의 근접 센서(506) 사이의 위치에는 문 개방 조작부(551)의 가드 전극(570)의 단변 전극 부분(570A)이 배치되어 있다. 이 단변 전극 부분(570A)은 도 64와 도 65에도 도시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좌측 문(21)의 전면판(21A)의 표면의 제어 조작부(650)를 젖은 행주를 이용하여 닦았을 때, 그 물이 전면판(21A)을 따라서 흘러내려 가드 전극(570)에 도달한다. 이 경우에는, 가드 전극(570)의 단변 전극 부분(570A)이 수분을 검지하면, 근접 센서(560)가 젖은 행주를 감지하여 온 상태가 되었다고 해도, 도 67에 도시한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에 의한 문 개방 구동부(문 개방 장치)(54)의 문 개방 동작을 「무효」로 함으로써, 좌측 문(21)이 멋대로 열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좌측 문(21)이 갑자기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도 65에 도시한 전극(570)의 가로 방향의 전극 간극의 간격(HF)과 세로 방향의 전극 간극의 간격(RF)은 인체의 손가락(HT)의 폭(MF)보다 크다. 가드 전극(570)의 가로 방향의 전극 간극의 간격(HF)과 세로 방향의 전극 간극의 간격(RF)은, 바람직하게는 15mm 내지 75mm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손가락(HT)을 근접 센서(560)에 가깝게 접근하여 접촉할 때, 손가락(HT)이 갑자기 가드 전극(57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드 전극(570)의 가로 방향의 전극 간극의 간격(HF)과 세로 방향의 전극 간극의 간격(RF)은, 인체의 구부러져 있는 팔꿈치가 닿아도 가드 전극(570)에는 접촉되지 않는 크기이다. 이들의 가드 전극(570)의 가로 방향의 전극 간극의 간격(HF)과 세로 방향의 전극 간극의 간격(RF)은, 예를 들어 30mm 내지 75mm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드 전극(570)의 크기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양손으로 냄비나 접시 등을 들고 있고, 손가락이 아니라 굽힌 팔꿈치를 이용하여 근접 센서(560)에 접촉하여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을 열고자 하는 경우에도, 팔꿈치가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의 양쪽 동시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손가락으로도 팔꿈치로도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을 열 수 있다.
다음에 도 68을 참조하여,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에서의 기판(553)의 수납 구조예를 설명한다. 도 68은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에서의 기판(553)의 수납 구조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8(a)는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의 정면도이고, 도 68(b)는 기판(553)의 수납 구조를 도시한 좌측 문(21)의 내측 단면부(21T)(우측 문(22)의 내측 단면부(22T))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8(c)는 덮개부재(590)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을 닫은 상태에서는 좌측 문(21)의 내측 단면부(21T)와 우측 문(22)의 내측 단면부(22T)는 마주보고 있다. 각 내측 단면부(21T)에서는 수납공간부재(585)의 장방형의 개구부분(586)이 위치되어 있고,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의 내부에는 기판조립체(500M)의 수납공간부재(585)가 위치되어 있다. 기판조립체(500M)는 개구부분(586)으로부터 수납공간부재(585)내에 삽입하여 수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단, 이와 같이, 기판조립체(500M)를 수납공간부재(585)내에 삽입하여 수납하는 경우에는,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553)의 배치부분(572)측이 덮개부재(590)측에 오도록 하고, 전자부품의 탑재부분(571)측으로부터 개구부분(586)으로 삽입하여 전자부품의 탑재부분(571)측이 수납공간부재(585)의 안쪽에 이르도록 한다.
이와 같이,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은 기판(553)의 표면에 배치되고 기판(553)의 이면에는 전자부품의 탑재부분(571)이 설치되며, 기판(553)이 좌측 문(21)내에 유지된 상태에서는 전자부품의 탑재부분(571)은 삽입구인 개구부분(586)측에 위치되는 기판(553)의 배치부분(572)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기판조립체(500M)를 수납공간부재(585)내에 삽입하여 수납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전자부품의 탑재부분(571)의 제1 단부(553M)와 제2 단부(553N)의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기판조립체(500M)를 수납공간부재(585)내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기판조립체(500M)를 잘못된 삽입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개구부분(586)은 기판조립체(500M)를 수납한 후에, 덮개부재(590)에 의해 닫는다. 이 덮개부재(590)의 내면에는 알루미늄박 테이프나 철판과 같은 금속체(591)가 배치되어 있다. 금속체(591)는 근접 센서(560)가 발생하는 인체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로서 전자계를 제한하고, 근접 센서(560)의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이다. 검지 범위의 유효범위 변경수단으로서의 금속체(591)는, 인접하는 이동 수단인 좌측 문(21)과 우측 문(2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덮개부재(590)에 금속체(591)를 배치함으로써 금속체(591)는 좌측 문(21)과 우측 문(22) 사이에서 전자계를 차단한다. 따라서, 좌측 문(21)의 근접 센서(560)의 전자계와 가드 전극(570)의 전자계가, 우측 문(22)의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의 전자계측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우측 문(22)의 근접 센서(560)로부터의 전자계와 가드 전극(570)의 전자계가, 좌측 문(21)의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의 전자계측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음에, 도 61~도 63과 도 67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예를 들어 좌측 문(21)을 여는 경우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도 62와 도 63에 도시한 좌측 문(21)측의 근접 센서(560)에 접근하여, 도 62와 도 63에 도시한 인체의 검지범위의 유효범위로서의 전자계(560P)에 들어가면, 고감도 상태의 근접 센서(560)는 손가락이 근접 센서(560)에 접근하고 있는 것을 검지한다. 이에 의해, 도 67의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에 손가락이 접근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SG)를 받는다.
그리고, 도 67의 제어부(556)는 이 근접 센서(560)로부터의 신호(SG)에 의해, 가드 전극(570)으로의 통전을 정지하고, 또한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의 감도를 낮추어 「고감도」로부터 「저감도」로 변경한다. 또한, 제어부(556)는 LED(577)를 점등하여 근접 스위치(560)를 조명함으로써, 근접 스위치(560)의 위치를 명시하여 사용자가 근접 스위치(560)의 위치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손가락이 근접 센서(560)에 접촉되면, 저감도의 근접 센서(560)는 좌측 문(21)을 열기 위한 터치스위치(접촉 스위치)로서 기능하고, 도 67의 제어부(556)에 손가락이 근접 센서(560)에 접촉한 접촉 신호(SH)를 보낸다. 이에 의해, 제어부(556)는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유효하게 하고, 제어부(556)는 문 개방 구동부(54)를 동작시키므로, 좌측 문(21)을 열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우측 문(22)을 여는 경우의 동작예는 상술한 좌측 문(21)을 여는 경우의 동작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접촉 센서로서 기능하는 근접 센서(560)에 접촉했을 때에는, 제어부(556)는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을 자동적으로 열 수 있다.
사용자가 근접 센서(560)에만 접촉했을 때에는,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를 터치 센서(접촉 센서)로서 기능시키고,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유효」로 함으로써,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실시한다. 이것은 우측 문(22)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그런데, 사용자가 도 64에 도시한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의 양쪽에 갑자기 접촉한 경우에는,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를 접촉 센서로서 기능시키지 않고,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무효」로 하는 것으로,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실시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제어부(556)는 사용자의 예를 들어 팔꿈치 등이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의 양쪽에 갑자기 접촉된 경우에는,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무효」로 하고,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금지할 수 있다.
또한, 물방울의 부착에 의해, 도 64에 도시한 근접 센서(560)와 가드 전극(570)의 양쪽이 검지한 경우에도,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를 접촉 센서로서 기능시키지 않고,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무효」로 함으로써,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을 실시하지 않는다. 상술한 문 개방 조작 금지는 우측 문(22)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양쪽 개방식의 냉장고가 아니라 한쪽 개방식의 냉장고인 경우에는, 냉장고의 측면에 인체 또는 물체가 온 경우에, 문의 근접 센서가, 그 인체 또는 물체를 부주의로 오검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도 64에 도시한 근접 센서(560)가 사용자의 손가락(HT)의 근접을 검지하는 「근접 검지 모드」와, 근접 센서(560)가 사용자의 손가락(HT)의 접촉을 검지하는 접촉 센서로서 기능하는 「정전 터치 모드」는 다음과 같이 전환할 수 있다.
도 6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전극으로서의 근접 센서(560)와, 제2 전극으로서의 중간 영역 부분(589)이, 제어부(556)의 마이크로컴퓨터(599C)에 접속되어 있다.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로서는 상술한 「근접 검지 모드」로부터 「정전 터치 모드」로 전환할 때와, 「정전 터치 모드」로부터, 「근접 검지 모드」로 전환할 때가 있다.
「근접 검지 모드」로부터 「정전 터치 모드」로 전환할 때에는 근접 센서(560)가 손가락(HT)의 근접을 검지하면, 마이크로컴퓨터(599C)는 제1 전극의 근접 센서(560)와, 제2 전극으로서의 중간 영역 부분(589)의 내부 접속을 끊고, 근접 센서(560)만이 「정전 터치 모드」에서의 정전 터치 센서로서 기능한다.
반대로 「정전 터치 모드」로부터, 「근접 검지 모드」로 전환할 때에는 손가락(HT)이 근접 센서(560)로부터 떨어져, 「정전 터치 모드」로부터 소정 시간, 예를 들어 10초 경과하거나, 또는 도어 오픈으로부터 도어 클로우즈 등으로 리셋되었을 때, 마이크로컴퓨터(599C)는 제1 전극으로서의 근접 센서(560)와, 제2 전극으로서의 중간 영역 부분(589)의 내부 접속을 실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도 74는 제32 실시형태에서의 도 51과 도 52에 도시한 제1 전극으로서의 근접 센서(560)에 손가락(HT)을 접촉시켜 좌측 문(21)을 여는 경우에 대해서, 제1 전극으로서의 근접 센서(560)와, 제2 전극으로서의 중간 영역 부분(589)의 전환을 실시하고, 좌측 문(21)의 제어 조작부(650)와 근접 센서(560)가 점등하는 모습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모습은 우측 문(22)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74(a)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은 아직 근접 센서(560)에는 전혀 접근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어부(556)는 정전 스위치인 근접 센서(560)를 「근접 센서」로서 기능시키기 위해서,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를 온하고 근접 센서(560)의 감도를 「대」로 설정하여 감도를 높여 두는 것으로, 「근접 센서」로서의 기능은 「유효」이다. 또한, 제어부(556)는 중간영역부분(589)를 온하고 중간영역부분(589)의 감도를 「대」로 설정하여 감도를 높여 두는 것으로, 「근접 센서」로서의 기능은 「유효」이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556)는 문 개방 조작부(651)의 터치 버튼(633)의 기능인 좌측 문(21)의 오픈(문 개방 조작)은 「무효」로 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556)는 제어 조작부(650)의 점등 표시와 근접 센서(560)의 점등 표시는 「오프 상태」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 조작부(650)의 컨트롤 스위치(컨트롤 버튼)(650CS)와 홈 스위치(홈 버튼)(650HS)의 조작(문 개방 조작)기능은 「무효」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74(b)에서는 손가락(HT)이 근접 센서(560)에 접근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근접 센서(560)는 손가락(HT)의 접근을 검지하므로,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를 온 상태이고 근접 센서(560)의 「근접 센서」로서의 감도를 「대」로부터 「소」로 전환하여 감도를 떨어뜨려 근접 센서의 기능을 낮추지만, 중간 영역 부분(589)을 오프로 한다.
이 때문에,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를 접촉 센서로서 기능시키므로, 손가락(HT)이 접촉 센서로서 기능하는 근접 센서(560)에 대해서 전면판의 표면으로부터 접촉됨에 의한 좌측 문(21)의 오픈 조작(문 개방 조작) 기능은 「무효」에서 「유효」가 된다.
또한, 제어부(556)는 제어 조작부(650)의 LED의 점등 표시와, 근접 센서(560)의 LED의 점등 표시는 「온 상태」가 되고, 양쪽의 LED의 점등 상태로서는 예를 들어 미약하게 점등한다. 즉, 도 58에 도시한 LED(665)가 미약하게 점등함으로써 제어 조작부(650)를 배후로부터 조명하여 발광하게 하고, 또한 도 52에 도시하는 LED(577)가 미약하게 점등함으로써 접촉 센서로서 기능하는 근접 센서(560)를, 슬릿(574, 575)을 통해서 배후에서 조명하여 발광하게 한다.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이 점등 표시 시간은 소정의 시간, 예를 들어 10초간만 점등하도록 하고, 이 10초 동안에 손가락(HT)이 접촉 센서로서 기능하는 근접 센서(560)에 접촉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LED(635, 577)가 소등하도록 해도 좋다.
단, 제어부(556)는 도 58에 도시한 제어 조작부(650)의 LED(665)를 점등시키는 동작 개시 시점(점등 시기)이 도 52에 도시한 근접 센서(560)의 LED(577)를 점등시키는 동작 개시 시점(점등 타이밍)에 비하여 다르고, 미리 정한 지연 시간만큼 늦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556)는 제어 조작부(650)의 LED(665)의 발광방법의 타이밍과 근접 센서(560)의 LED(577)의 발광방법의 타이밍은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560)의 LED(577)의 점등 타이밍이 제어 조작부(650)의 LED(665)의 점등 타이밍보다도 빠르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제어 조작부(650)의 LED(665)의 점등 타이밍이, 근접 센서(560)의 LED(577)의 점등 타이밍보다 빠르게 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점등 타이밍을 다르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해서 제어 조작부(650)의 위치와, 근접 센서(560)와 중간 영역 부분(589)의 위치를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조작부(650)의 컨트롤 스위치(650CS)와 홈 스위치(650HS)의 조작 기능은 온이 되어 「무효」에서 「유효」가 된다.
다음에, 도 74(c)에서는 손가락(HT)이 접촉 센서로서 기능하는 근접 센서(560)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의 「접촉 센서」로서의 감도인 「소」의 상태로 유지시킨다. 제어부(556)는 접촉 센서로서 기능하는 근접 센서(560)의 기능인 좌측 문(21)의 오픈 조작(문 개방 조작)기능을 「유효」상태로 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의 LED의 점등 표시의 점등 상태로서는 미약한 점등으로부터 발광방법을 변경하여 통상의 점등으로 한다.
즉, 도 58에 도시한 LED(665)가 통상의 점등을 함으로써 제어 조작부(650)를 배후로부터 더 밝아지게 조명하여 발광시키고, 또한 도 52에 도시한 LED(577)가 통상의 점등을 함으로써, 접촉 센서로서 기능하는 근접 센서(560)를, 슬릿(574, 575)을 통하여 배후로부터 더 밝아지도록 조명하여 발광시킨다. 즉, 도 74(c)에서의 손가락(HT)의 접촉시에는 제어 조작부(650)의 점등 표시의 광량과 근접 센서(560)의 점등 표시의 광량은 미약한 점등에서 통상 점등으로 올리고, 더 큰 광량에 의한 완전한 점등으로 발광시킴으로써, 근접 센서(560)의 점등 표시는 보다 밝아진다. 제어부(556)는 제어 조작부(650)의 LED의 점등 상태도 미약한 점등으로부터 통상의 점등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 조작부(650)의 컨트롤 버튼(컨트롤 스위치)(650CS)과 홈 버튼(홈 스위치)(650HS)의 조작 기능은 온이 되고 「유효」이므로, 조작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근접 센서(560)를 터치 조작하고 좌측 문(21)의 문 개방 조작이 성립한 경우에는, LED(577)는 미약한 점등에서 완전한 점등으로 하여 광량을 높이므로, 사용자는 점등량의 증가로 문 개방 조작이 성립한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어 조작부(650)의 표시와 LED(577)의 표시를 보다 확실하게 시인할 수 있고, 또한 소비 전력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7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560)에 손가락(HT)을 접근시킨 경우와, 도 74(c)에 도시한 터치 버튼(633)에 손가락(HT)을 접촉한 경우에는, 제어부(556)는 제어 조작부(650)의 조명과 근접 센서(560)의 조명을 실시하기 위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점등시의 광량을 변경하여 높일 수 있다.
그 후, 도 74(d)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HT)이 접촉 센서로서 기능하는 근접 센서(560)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어부(556)는 근접 센서(560)로부터의 조작 신호 입력을 유효로 하고, 문 개방 구동부(54)를 동작시킴으로써 해당하는 좌측 문(21)의 문 개방 제어를 실시한다. 이에 의해, 좌측 문(21)은 자동적으로 열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56)는 접촉 센서로서 기능하는 근접 센서(560)의 기능을 「무효」로 한다.
또한, 제어부(556)는 제어 조작부(650)의 점등 표시와, 근접 센서(560)의 슬릿(574, 575)에서의 LED(577)의 점등 표시는,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 조작부(650)의 컨트롤 스위치(650CS)와 홈 스위치(650HS)의 조작 기능은 오프가 되어 「유효」로부터 「무효」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74를 참조하여 설명한 좌측 문(21)의 오픈 동작과 동일하게 하여. 도 56에 도시한 우측 문(22)의 문 개방 조작부(652)를 사용한 우측 문(22)의 오픈 동작에 대해서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5를 참조하여, 근접 센서(560)가 손가락의 접촉을 검지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도 75는 근접 센서(560)가 손가락(HT)의 접촉을 검지하는 원리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75에 도시한 접촉검지회로(888)는 접촉 센서(Cx)로서의 근접 센서(560)와, 조정 컨덴서(Cmod)(889), 클럭 발생원(890), IDAC(전류 출력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891), 래치(892), 타이머(893), AND회로(894), 및 카운터(895)를 갖고 있다. IDAC(891)는 접촉 센서로서의 근접 센서(Cx)(560)와 조정 컨덴서(Cmod)(889)에, 매회 동일한 전류를 펄스적으로 복수회 흐르게 하고, 접촉 센서로서 근접 센서(Cx)(560)와 조정 컨덴서(Cmod)(889)에 전하를 조금씩 모은다. 접촉 센서(Cx)로서의 근접 센서(560)와 조정 컨덴서(Cmod)(889)가 동전위가 될 때까지 계속해서 전하를 모으고, 카운터(895)는 조정 컨덴서(Cmod)(889)에 규정한 전하가 고일 때까지의 펄스의 횟수를 카운트한다.
손가락(HT)이 접촉 센서(Cx)로서의 근접 센서(560)에 접촉되면, 접촉 센서로서의 근접 센서(Cx)(560)의 정전 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조정 컨덴서(Cmod)(889)에 흘러 고이는 전하가 적어지고, 조정 컨덴서(Cmod)(889)에 전하의 고임이 종료될 때까지 시간이 걸리므로, 카운터(895)가 카운트하는 펄스의 카운트수가 많아(기울기가 완만해)지므로, 그 결과 기울기의 변위가 바뀌게 된다. 이 기울기의 변위의 차분으로 손가락의 유무를 판정한다. 즉, 카운터(895)가 카운트하는 펄스의 카운트 수가 통상의 카운트수(베이스 카운트)보다 일정한 임계값을 초과한 값이 되었을 때, 제어부(556)는 손가락(HT)이 접촉 센서(Cx)로서의 근접 센서(560)에 접촉되었다고 판단한다.
다음에, 손가락(HT)이 접촉 센서(Cx)로서의 근접 센서(560)에서의 감도의 변경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감도의 변경 방법으로서는 IDAC(891)의 전류값을 적게 하면, 근접 센서(Cx)(560)에 고이는 전하량이 동일하면 충전을 종료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완만하게 된다. 완만해지면 동일한 임계값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감도가 높아진다.
기울기가 완만한 상태(전류값이 작은 상태)에서는 손가락이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부터 손가락이 접촉한 상태를 검지할 때에는 기울기의 변화가 커지고, 임계값을 초과하기 쉽고 감도가 크다. 또한, 기울기가 완만하지 않은 상태(전류값이 큰 상태)에서는 손가락이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부터 손가락이 접촉한 상태를 검지 할 때에는 기울기의 변화가 작아지고, 임계값을 초과하기 어려워 감도가 작다.
즉, 손가락면 전체에서 접촉했을 때 비로소 임계값을 초과하여 검지하는 상태에 비하여, 전류값을 작게 함으로써, 손가락의 끝만 접촉해도 검지할 수 있어, 감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임계값을 작게 하는 것으로도 감도는 올라가지만, 노이즈도 검지해 버리는 과제가 있으므로, 상기의 감도 변경 방법으로 감도를 변경하고 있다.
다음에, 도 76은 근접 센서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6과 같이, 근접 센서(560)와 동(銅) 그라운드(569)는 피복층(560R), 유전체층(560D) 사이에 위치되어 있고, 근접 센서(560) 자체의 정전 용량(CP)과, 손가락(HT)의 정전 용량(CF)을 더한 것이, 손가락이 접촉되었을 때의 근접 센서(560)의 정전 용량(CX)이다.
근접 센서(560)에 손가락(HT)이 정전 터치하는 동작에서는 손가락(HT)이 접촉되었을 때의 근접 센서(560)의 정전 용량(CX)의 변화를 검지한다. 또한, 근접 센서(560)에 손가락(HT)이 근접하는 것을 검지하는 동작에서는, 손가락이 접근했을 때의 근접 센서(560) 자체의 정전 용량(CP)의 변화를 검지한다. 손가락의 근접시에는, 근접 센서(560) 자체의 정전 용량(CP)을 변화시킴으로써 근접 거리(감도)를 변경한다. 근접시에는 손가락이 근접함에 의한 약간의 정전 용량(CP)의 변화를 검지한다. 정전 용량(CP)은 3차원 방향의 전계이고, 전계에 손가락이 있으면 약간 변화되므로, 전체의 근접 센서의 정전 용량(CX)이 변화되어, 상술한 검지에 의해 손가락의 검지가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77은 도 74에 도시한 제1 전극인 접촉 센서로서 기능하는 근접 센서(560)와, 제2 전극인 중간 영역 부분(589)에 대해서, 근접 모드와 정전 터치 모드시의 전환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극인 접촉센서로서 기능하는 근접 센서(560)와, 제2 전극인 중간 영역 부분(589)은 멀티플렉서(556R)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멀티플렉서(556R)는 제어부(556)의 마이크로컴퓨터(556M)의 지령에 의해, 근접 센서(560)와 중간 영역 부분(589)을 내부 접속하거나, 내부 접속을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 근접 모드로부터 정전 터치 모드로의 전환 동작시
근접 모드로부터 정전 터치 모드로의 전환 동작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도 7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HT)이 근접 센서(560)에 접근하고, 근접 센서(560)가 손가락(HT)을 검지하면, 근접 모드로부터 정전 터치 모드로 전환한다. 즉, 도 77의 마이크로컴퓨터(556M)의 지령에 의해 멀티플렉서(556R)는 근접 센서(560)와 중간 영역 부분(589)을 내부 접속 상태로부터, 내부 접속의 해제 상태로 하여, 근접 센서(560)와 중간 영역 부분(589)의 접속을 끊는다. 이에 의해, 근접 센서(560)만이 정전 접촉 센서로서 기능하여 사용하게 되며, 중간 영역 부분(589)은 오프가 되어 사용하지 않는다.
(2) 정전 터치 모드로부터 근접 모드로의 전환 동작시
반대로 정전 터치 모드로부터 근접 모드로의 전환 동작을 실시하는 경우라는 것은, 예를 들어 정전 터치 모드로부터 10초 경과하거나, 또는 문의 오픈으로부터 문의 클로우즈 등으로 리셋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556M)의 지령에 의해, 멀티플렉서(556R)는 근접 센서(560)와 중간 영역 부분(589)의 내부 접속의 해제 상태로부터 내부 접속 상태로 되돌리고, 근접 센서(560)와 중간 영역 부분(589)을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도 48 내지 도 50을 참조한다. 도 48 내지 도 50에는 제1 전극인 근접 센서(560)와, 제2 전극인 중간 영역 부분(589)의 근접검지 유효범위의 변경예를 도시하고 있다.
근접 센서(560)의 근접검지 유효범위는 제1 전극인 근접 센서(560)만을 사용하면, 작은 원(HC1)의 범위이다. 그리고, 근접 센서(560)에 추가하여 제2 전극인 중간 영역 부분(589)도 병용함으로써, 근접 센서(560)의 근접검지 유효범위는 작은 원(HC1)으로부터 큰 원(HC2)까지 범위를 넓힐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근접검지 유효범위를 넓히려고 하면, 큰 원(HC2)의 근접 센서의 근접검지 유효범위에서는 이동 수단인 옆의 문(21)(또는 문(22))이나, 문의 내측의 도어포켓에 들어가는 페트병 등이 근접 센서(560)의 근접검지 유효범위에 반응하여, 문을 여는 지령이 나와, 열고자 하지 않는 측의 문이 부주의로 열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근접 센서(560)의 근접검지 유효범위의 변경을 실시하기 위해서, 근접검지 유효범위의 변경 수단으로서, 도 78과 도 51(b)에 도시한 제4 전극인 그라운드 패턴(573)과, 도 51(a)에 도시한 제3 전극인 가드 전극(570)을 설치하고 있다.
도 78은 근접 센서(560)와 중간 영역 부분(589)에서의 근접 범위의 변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5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553)의 배치부분(572)에 대응하는 이면(553B)에는 제4 전극인 메시의 그라운드 패턴(573)이 배치되어 있다. 이 그라운드 패턴(메시 전극)(573)은 근접 센서(560)와 중간 영역 부분(589)의 이면측의 기판(553)을 덮고 있다. 그라운드 패턴(573)과 근접 센서(560)를 동일한 전압으로 함으로써, 근접 센서(560)와 중간 영역 부분(589)으로부터 그라운드 패턴(573)에 대해서는 전계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전계 범위를 변경시키고, 근접 센서(560)에 의해 검지시키고 싶지 않은 범위를 제거할 수 있다. 그라운드 패턴(573)으로부터의 전계는 근접 센서(560)와 중간 영역 부분(589) 방향에 대해서만 전계가 발생하도록 하고 있고, 근접 센서(560)와 중간 영역 부분(589)으로부터 그라운드 패턴(573)을 향하는 전계를 소거하고, 기판(553)의 내측 방향을 향하는 전계가 없어지도록(캔슬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7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553)의 안에 제4 전극인 그라운드 패턴(573)이 배치되면, 근접 센서(560)와 중간 영역 부분(589)의 근접검지범위(DL1)가, 도 7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검지범위(DL2)에 비해서 크게 할 수 있다. 그라운드 패턴(573)은 메시 금속 시일드 전극이고, 도 78(a)와 도 78(b)를 비교하면 그라운드 패턴(573)의 배치에 의해 도 78(a)에서는 도 49에 나타낸 범위 A만큼 뒤쪽 방향의 전계가 감소하거나 없어진다.
또한, 도 5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틀의 가드 전극(570)을 기판(553)에 배치하고, 가드 전극(570)이 근접 센서(560)와 중간 영역 부분(589)을 둘러쌈으로써 도 49에 도시한 범위 U만큼 좌우 방향의 전계가 감소한다. 이에 의해, 도 48 내지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560)의 근접검지 유효범위는 큰 원(HC2)으로부터 작은 형상(HC3)으로 변경할 수 있고, 또한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는 범위(V)만큼 감소한다.
그러면, 근접 센서(560)의 근접검지 유효범위는 도 50의 작은 형상(HC3)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근접 센서(560)와 중간 영역 부분(589)의 근접검지범위(DL1)의 전방 방향만이 연장되고, 거리가 긴 범위에서 근접 검지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53에 도시한 금속체(591)를 설치함으로써도, 전계를 작용시켜 근접 센서의 근접검지 유효범위가 금속체(591)를 넘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있고, 보다 근접 센서에 의한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제33 실시형태]
도 69는 제3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냉장고(1)의 정면도이다.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냉장실(12), 야채실(13), 전환실(14), 냉동실(15), 제빙실(16)을 갖고 있다. 한쌍의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이 냉장실(12)의 전면 개구부를 덮는다. 이 때문에,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은 각각 냉장고 본체인 캐비닛(11)의 좌측단부, 우측단부의 상하를 힌지부로 양쪽 개방식으로 개폐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우측 문(22)의 폭은 좌측 문(21)의 폭에 비해 크다.
좌측 문(21), 우측 문(22)은 모두 전면에 개구하는 편평한 내판의 개구부에 착색 투명한 유리제의 전면판(21A, 22A)을 부착하고, 또한 내부 공동부에 진공단열재를 배치하며, 진공단열재로 완전히 메워지지 않는 공동부에 발포 폴리우레탄 단열재(이하, 간단히 우레탄 단열재라고도 기재함) 또는 미리 성형된 고체 단열재(예를 들어 EPC)를 배치한 단열 구조 부재이다.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조작 검지부(701)가, 예를 들어 좌측 문(21)에 비해 사이즈가 큰 우측 문(22)의 전면판(22A)의 하부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문 개방 구동부(54, 55)가 캐비닛(11)의 천정판 상면의 전단 근방의 좌우 부분이고, 좌측 문(21), 우측 문(22)의 상변의 개방측단부 근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문 개방 구동부(54, 55)는 좌측 문(21), 우측 문(22)을 별도로 강제적으로 개방 동작시키는 문 개폐 장치(문 개방 장치)이다. 문 개방 구동부(54, 55)는 전자석에 의해 플런저(54A, 55A)를 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좌측 문(21), 우측 문(22)의 각각의 개방측단부 근방의 상변을 전방으로 밀어내고, 좌측 문(21), 우측 문(22)을 강제적으로 자동 개방한다.
도 70은 도 69에 도시한 ZR-ZR선에서의 조작 검지부(701)의 구조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9에 도시한 조작 검지부(701)는 도 7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제 전면판(22A)의 내면측에는 차폐용 시트재(721)가 인쇄 등에 의해 배치되어 있다. 이 시트재(721)는 전면판(22A)을 통하여 내부가 보이는 것을 막기 위해 배치되어 있다.
전면판(22A)의 내면측에는 제1 기판(731)과 제2 기판(732)이 배치되어 있다. 제1 기판(731)과 제2 기판(732)은 간격을 두고 전면판(22A)에 대해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기판(731)의 표면에는 비접촉 센서로서의 예를 들어 4개의 정전용량식 근접 센서(711, 712, 713, 714)가 배치되고, 이면에는 커넥터(729)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근접 센서(711, 712, 713, 714)는 예를 들어 우측 문(22) 내의 제1 기판(731)상에 이차원적(평면)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711, 712, 713, 714)는 정방형의 각 모퉁이부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근접 센서(711)는 좌측 상단의 모퉁이부에 배치되고, 근접 센서(712)는 우측 상단의 모퉁이부에 배치되며, 근접 센서(713)는 우측 하단의 모퉁이부에 배치되고, 근접 센서(714)는 좌측 하단의 모퉁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근접 센서(711, 712, 713, 714)는 사용자(인체)의 손가락은 물론, 손바닥이나 손의 측부나 팔꿈치 등을 이동시키는 상태를 비접촉으로 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문 개방 구동부(54) 또는 문 개방 구동부(55)를 구동 조작시킴으로써,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을 열게 되어 있다.
근접 센서(711, 712, 713, 714)는 정전 터치(접촉)용 전극이고 우측 문(22)의 정면(전면)방향에서 사용자의 손이나 팔꿈치 등이 접근한 것을, 전면판(22A)을 통하여 비접촉으로 검지하는, 예를 들어 정전용량식 검지수단이다. 이 근접 센서(711~714)는 사용자의 인체의 일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손바닥이나 손의 측부나 팔꿈치 등이 접근하면 그 접근을 검지한다. 근접 센서(711~714)는 정전용량식의 터치 센서인 상호 커패시턴스 방식의 터치 센서나 자기 커패시턴스 방식의 터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기판(732)의 표면에는 복수의 LED(735)와 커넥터(736)가 배치되어 있다. 제2 기판(732)의 커넥터(736)는 제1 기판(731)의 커넥터(729)에 대해서 중계 속선(728)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각 LED(735)는 제1 기판(731)의 각 구멍(734)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LED(635)가 발생하는 광은 각 구멍(734)을 통하여 근접 센서(711~714)를 배후에서 조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어두운 환경이어도, 사용자는 각 근접 센서(711~714)의 위치를, 전면판(22A)과 시트재(721)를 통하여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71는 제어부(756)와, 조작 검지부(701)와, 문 개방 장치인 문 개방 구동부(54, 55)등의 전기 접속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756)는 조작 검지부(701), 문 개방 구동부(54, 55), 복수개의 LED(735), 및 거리 측정 수단(77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69에 도시한 냉장고(1)에서는 사용자가 냉장고(1)의 좌측 문(21)(또는 우측 문(22))을 개방하는 경우에, 어두운 환경이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조작 검지부(701)의 비접촉에 의한 조작을 하기에는, 조작 검지부(701)의 각 근접 센서(711~714)의 위치가 보기 어렵다. 이와 같이, 각 근접 센서(711~714)의 조작이 어려운 것을 개선하기 위해서, 각 근접 센서(711~714)의 배면에는 각각 LED(735)를 탑재하고 있다.
근접 센서(711~714)가 미리 정한 특정의 순서로 손가락은 물론 손바닥이나 손의 측부나 팔꿈치의 접근을 검지하면, 제어부(756)는 각 근접 센서(711, 712, 713, 714)로부터 사람이 접근한 것을 알리는 신호를 받으므로, 제어부(756)는 문 개방 장치인 문 개방 구동부(54) 또는 문 개방 구동부(55)에 의해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를 개방 동작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때에는 제어부(756)는 각 근접 센서(711, 712, 713, 714)로부터 사람이 접근한 것을 알리는 신호를 받으므로, 제어부(756)의 지령에 의해 LED(735)가 점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조작 검지부(701)의 각 근접 센서(711, 712, 713, 714)의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고, 각 근접 센서(711, 712, 713, 714)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고, 좌측 문(21)(또는 우측 문(22))을 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3 실시형태의 조작 검지부(701)는 접촉 검지에 의해 사람의 조작 검지를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비접촉 검지에 의해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을 열도록 되어 있다. 접촉 검지에 의해 문을 여는 경우에는, 접촉 검지 부분에 손가락을 접촉할 필요가 있고, 사용자가 손에 무엇인가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는 문을 열기 어렵거나, 또는 팔꿈치로 열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 조작 검지부(701)는 접촉 검지 부분에 접촉할 필요가 없는 비접촉 조작을 채용하고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동작이나 주위 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문의 개방 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도 69와 도 70에 도시한 조작 검지부(701)의 각 근접 센서(711, 712, 713, 714)는 사용자의 손가락은 물론, 손바닥이나 손의 측부나 팔꿈치 등을 이동시키는 동작인 소위 제스추어를 실시함으로써,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을 여는 것을 비접촉으로 실시할 수 있고, 접촉 검지 부분에 접촉할 필요가 없는 비접촉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동작이나 주위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문을 여는 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검지부(701)의 각 근접 센서(711, 712, 713, 714)는 동일한 간격을 두고, 상하 방향(VT방향)과 좌우 방향(HL방향)으로, 2차원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정방형의 4개의 모퉁이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의 손이나 팔꿈치 등이 조작 검지부(701)의 각 근접 센서(711, 712, 713, 714)에 대해서, 비접촉으로 특정의 순서(상하 방향, 좌우 방향, 비스듬한 방향)로 이동함으로써, 도 71의 제어부(756)는 각 근접 센서(711, 712, 713, 714)에서 검지 된 손가락은 물론, 손바닥이나 손의 측부나 팔꿈치부의 이동을 인식한다. 이에 의해, 제어부(756)는 예를 들어 좌측 문(21)의 문 개방 구동부(54)를 구동하여 좌측 문(21)을 열거나, 제어부(756)는 우측 문(22)의 문 개방 구동부(55)를 구동하여 우측 문(22)을 여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 검지부(701)는 우측 문(22) 중 하나의 칸막이부에 부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 검지부(701)는 유리제 전면판의 유무에 관계없이, 또한 문의 디자인이나 각종 동작 표시에 관계없이 배치할 수 있다.
조작 검지부(701)의 각 근접 센서(711, 712, 713, 714)는 1장의 제1 기판(731)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작 검지부(701)의 각 근접 센서(711, 712, 713, 714)는 1장의 제1 기판(731)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기판상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조작 검지부(701)의 각 근접 센서(711, 712, 713, 714)의 배치상의 자유도가 더 향상된다.
다음에, 상술한 냉장고(1)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사용예에서는 사용자가 양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물품, 예를 들어 접시나 냄비 등을 들어 양손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용해서는 도 69에 도시한 근접 센서(711~714)에 대한 접촉에 의해 조작하여, 예를 들어 좌측 문(21)(또는 우측 문(22))을 개방 동작할 수 없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근접 센서(711~714)를 비접촉으로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의 인체 부위는 손바닥이나 손의 측부, 또는 팔꿈치 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바닥이나 손의 측부, 또는 팔꿈치 등을 이용하여, 근접 센서(711~714)를 미리 정한 특정의 순서로 검지하면, 제어부(756)는 예를 들어 좌측 문(21)의 문 개방 구동부(54)를 구동하여 좌측 문(21)을 열거나, 또는 제어부(756)는 우측 문(22)의 문 개방 구동부(55)를 구동하여 우측 문(22)을 열 수 있다.
도 72는 사용자가 손바닥이나 손의 측부, 또는 팔꿈치 등의 동작(제스추어)에 의해, 근접 센서(711~714)에 대해서 미리 정한 특정 순서대로 접근 조작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특정의 순서라는 것은 사용자의 손바닥이나 손의 측부, 또는 팔꿈치가, 근접 센서(711~714)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근접 센서에 근접하여 이동시키는 경로를 말하고, 미리 정해졌다.
도 72(a)에 나타낸 특정 순서로서는 사용자의 손바닥이나 손의 측부, 또는 팔꿈치의 우측 방향 화살표로 나타내는 1방향(DD1)에 따른 이동에 의해, 2개의 근접 센서(711, 712)가 인체(손바닥이나 손의 측부, 또는 팔꿈치)를 순차적으로 검지하고 제1 방향(DD1)과는 다른 좌측 방향 화살표로 나타내는 제2 방향(반대 방향)(DD2)을 따른 이동에 의해 2개의 근접 센서(712, 711)가 인체(손바닥이나 손의 측부, 또는 팔꿈치)를 순차적으로 검지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방향(DD1)과 제2 방향(DD2)은 제1 특정 방향(F1)을 구성하고 있고, 이 제1 특정 방향(F1)의 특정 순서는, 예를 들어 제어부(756)에 대해서, 문 개방 구동부(54)에 의해 좌측 문(21)을 개방 동작시키는 기능을 지시한다.
도 72(b)에 나타낸 다른 특정 순서로서는 사용자의 손바닥이나 손의 측부, 또는 팔꿈치의 우측 화살표로 나타내는 1방향(DD1)을 따른 이동에 의해, 2개의 근접 센서(711, 712)가 인체(손바닥이나 손의 측부, 또는 팔꿈치)를 순차적으로 검지하고, 또는 제1 방향(DD1)과는 다른 아래 방향 화살표로 나타내는 3방향(DD3)을 따른 이동에 의해 2개의 근접 센서(712, 713)가 인체(손바닥이나 손의 측부, 또는 팔꿈치)를 순차적으로 검지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경우에는, 제1 방향(DD1)과 제3 방향(DD3)은 제2 특정 방향(F2)을 구성하고 있고, 이 제2 특정 방향(F2)의 특정 순서는, 예를 들어 냉장고(1)의 수납실인 예를 들어 도 69에 도시한 고내 설정 온도를 전환할 수 있는 전환실(14)내를 급격하게 냉동하는, 소위 「급속 냉동」기능을 제어부(756)에 대해서 지시한다. 이 「급속 냉동」기능은 식품의 수분이 어는 -1℃ 내지 -5℃의 온도대를 단숨에 통과하여 냉동시의 세포 손상을 억제하고 맛을 유지하는 기능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바닥이나 손의 측부, 또는 팔꿈치 등의 동작(제스추어)에 의해 근접 센서(711~714) 중 적어도 2개의 근접 센서에 대해서 미리 정한 특정 순서로 접근 조작 함으로써, 미리 정한 기능으로서 예를 들어 좌측 문(21)을 열거나, 우측 문(22)을 열 수 있다.
이에 의해, 근접 센서(711~714)를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에 배치했다고 해도, 사용자가 단순히 냉장고(1) 앞을 지나간 것만으로는 좌측 문(21) 또는 우측 문(22)이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3은 근접 센서에 대해서 다른 미리 정한 특정 순서로 접근 조작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접시나 냄비 등을 들어 양손이 사용 불가능한 상태이고, 양손의 손가락을 근접 센서(711~714)에 대한 근접 조작에 사용할 수 없을 때, 손바닥이나 손의 측부, 팔꿈치 등을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근접 센서(711~714)를 미리 정한 특정 순서로 검지시킴으로써, 미리 정한 임의의 기능을 제어부(756)에 지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손바닥이나 손의 측부나 팔꿈치를 제스추어로서 움직이는 방향은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비스듬한 방향을 2개 또는 3개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3(a)에서는 제1 방향(우측 방향)(DD1)과 제4 방향(비스듬히 아래 방향)(DD4)의 조합을 나타내고, 도 73(b)에서는 제5 방향(아래 방향)(DD5)과 제6 방향(위 방향)(DD6)의 조합을 나타내고 있다.
도 73(c)에서는 제3 방향(아래 방향)(DD3)과 제7 방향(위 방향)(DD7)의 조합을 나타내고, 도 73(d)에서는 제8 방향(우측 방향)(DD8)과 제9 방향(좌측 방향)(DD9)의 조합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복수 방향의 제스추어의 조합에 의해, 제어부(756)는, 예를 들어 좌측 문(21)을 열거나, 우측 문(22)를 여는 등의 각종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런데, 도시한 예에서는 조작 검지부(701)는 4개의 근접 센서(711, 712, 713, 714)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 검지부(701)는 2개의 근접 센서, 3개의 근접 센서, 5개 이상의 근접 센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들 근접 센서는 문에서 2차원적(평면)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냉장고(1)에서는 양쪽 개방식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을 구비하고,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의 전면측에는 유리판의 전면판(21A, 22A)이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좌측 문(21)과 우측 문(22)의 전면측은 유리판이 아니라, 강판 등의 금속판이어도 좋다. 또한, 냉장고로서는 한쪽 개방식의 1매의 문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조작 검지부(701)의 각 근접 센서(711, 712, 713, 714)는 정전용량식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외선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을 비접촉으로 검지하는 방식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냉장고에는 예를 들어 도 69와 도 71에 예시하는 거리 측정 수단(777)을, 좌측 문(21)의 유리제 전면판(21A)의 이면측 또는 우측 문(22)의 유리제 전면판(22A)의 이면측, 냉장고의 프레임, 또는 각 저장실을 구분하고 있는 칸막이 부분 등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거리 측정 수단은(777)은 냉장고(1)로부터 사용자의 인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냉장고가 설치되는 방의 크기에 따라서는 거리 측정 수단(777)에 의해 측정되는 인체의 거리가 변경되는 경우가 있다. 넓은 방에 냉장고가 설치되어 있으면 냉장고(1)와 인체의 거리는 커지고, 좁은 방에 냉장고가 설치되어 있으면 냉장고(1)와 인체의 거리는 작아진다.
따라서, 거리 측정 수단(777)에 의해 측정되는 인체까지의 거리가 변경된 것에 기초하여 제어부(756)는 비접촉 센서인 근접 센서(711, 712, 713, 714)가 인체를 검지할 수 있는 동작이 유효해지는 범위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근접 센서(711, 712, 713, 714)의 검지시의 감도를, 고감도로부터 중감도 정도의 사이에서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조작 검지부(701)의 각 근접 센서(711, 712, 713, 714)는 유리제 전면판을 갖고 있지 않은 통상 구조의 강판제의 예를 들어 우측 문(22)에 삽입식으로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조작 검지부(701)는 문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조작 검지부(701)는 도 70에 도시한 전면판(22A)의 내측인, 우레탄 단열재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 검지부(701)는 문의 임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조작 검지부(701)는 우측 문(22)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플라스틱제의 캡 위 또는 캡 아래에 부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 검지부(701)는 유리제 전면판의 유무에 관계 없이, 또한 문의 디자인이나 각종 동작 표시 부분이 배치되어 있는 것에 관계없이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의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다양한 실시형태와 조합할 수 있으며,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와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LED의 표시에 맞추어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인쇄 등을 해도 좋다. 이 인쇄는 LED광이 투과하는 반투명한 인쇄 등이 바람직하다.
1: 냉장고 11: 캐비닛
12: 냉장실 13: 야채실
14: 전환실 15: 냉동실
16: 제빙실 21: 좌측문
22: 우측 문 21A, 22A: 전면판
50: 제어 조작부 51, 52: 문 개방 조작부
51A, 52A: 문 개방 조작 표시부 54, 55: 문 개방 구동부
61, 62: 손잡이

Claims (10)

  1. 전면(前面)이 개구된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의 전면 개구부에 부착된 단열성의 문,
    상기 문을 개방시키는 문 개방 장치,
    상기 문에 설치되고, 상기 문에 대한 인체의 2차원 평면상에서의 동작을 검지 가능한 복수의 비접촉 센서,
    상기 문에 설치되고, 빛에 의해 상기 비접촉 센서의 검지 영역을 나타내는 광원,
    상기 냉장고 본체로의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 검지부, 및
    상기 인체의 접근을 검지하는 경우에 상기 광원을 점등시키고 상기 비접촉 센서가 상기 인체의 제1 동작을 검지하면, 상기 제1 동작에 대응한 상기 문 개방 장치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 검지부의 검지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을 점등시킨 후, 상기 비접촉 센서에 의한 별도의 검지가 없는 채로 상기 광원을 소등시키는 조건이 성립되면, 상기 문 개방 장치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광원을 소등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센서가 상기 제1 동작과는 다른 제2 동작을 검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동작에 대응한 냉장고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센서가 미리 정한 특정의 순번으로 상기 인체의 접근을 검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한 특정의 순번에 대응한 냉장고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순번은 상기 인체의 제1 방향을 따른 이동에 의해 상기 비접촉 센서가 상기 인체를 검지하고, 또한 상기 인체의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을 따른 이동에 의해 상기 비접촉 센서가 상기 인체를 검지함으로써 얻어지는,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문 개방 장치는 상기 냉장고 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비접촉 센서가 상기 미리 정한 특정의 순번으로 상기 인체의 접근을 검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 개방 장치에 의해 문 개방 동작시키는, 냉장고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 개방 장치는 상기 냉장고 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특정의 순번은 상기 제어부에 대해서 상기 문 개방 장치에 의해 상기 문 개방 동작시키는 기능을 지시하며,
    별도의 상기 특정의 순번은 상기 제어부에 대해서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을 급격하게 냉동하는 기능을 지시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거리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상기 인체의 거리가 변경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비접촉 센서가 상기 인체를 검지하는 동작이 유효해지는, 냉장고.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7005444A 2013-06-25 2014-06-25 냉장고 KR1021843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32645 2013-06-25
JPJP-P-2013-132645 2013-06-25
JPJP-P-2013-197435 2013-09-24
JP2013197435 2013-09-24
JP2013272191 2013-12-27
JPJP-P-2013-272191 2013-12-27
JP2014014535 2014-01-29
JPJP-P-2014-014535 2014-01-29
JPJP-P-2014-106232 2014-05-22
JP2014106232 2014-05-22
JP2014112829 2014-05-30
JPJP-P-2014-112829 2014-05-30
JP2014119511 2014-06-10
JPJP-P-2014-119511 2014-06-10
JP2014126223A JP6373653B2 (ja) 2013-06-25 2014-06-19 冷蔵庫
JPJP-P-2014-126223 2014-06-19
PCT/JP2014/066808 WO2014208585A1 (ja) 2013-06-25 2014-06-25 冷蔵庫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101A Division KR101836592B1 (ko) 2013-06-25 2014-06-25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647A Division KR20200135566A (ko) 2013-06-25 2014-06-2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053A KR20180023053A (ko) 2018-03-06
KR102184333B1 true KR102184333B1 (ko) 2020-11-30

Family

ID=5214191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101A KR101836592B1 (ko) 2013-06-25 2014-06-25 냉장고
KR1020207033647A KR20200135566A (ko) 2013-06-25 2014-06-25 냉장고
KR1020217013588A KR20210054062A (ko) 2013-06-25 2014-06-25 냉장고
KR1020187005444A KR102184333B1 (ko) 2013-06-25 2014-06-25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101A KR101836592B1 (ko) 2013-06-25 2014-06-25 냉장고
KR1020207033647A KR20200135566A (ko) 2013-06-25 2014-06-25 냉장고
KR1020217013588A KR20210054062A (ko) 2013-06-25 2014-06-25 냉장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373653B2 (ko)
KR (4) KR101836592B1 (ko)
CN (26) CN107166857B (ko)
MY (1) MY183145A (ko)
TW (1) TWI572837B (ko)
WO (1) WO20142085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26221B2 (ja) * 2013-11-29 2018-05-1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KR101677334B1 (ko) 2014-10-24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CN105588400B (zh) 2014-11-07 2018-04-13 Lg电子株式会社 冰箱及冰箱控制方法
EP3696485A1 (en) 2014-11-07 2020-08-19 LG Electronics Inc. Metal touch sens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having metal touch sensing apparatus
KR101659180B1 (ko) 2014-12-22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59181B1 (ko) 2014-12-22 2016-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68922B1 (ko) 2014-12-2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8921B1 (ko) 2014-12-2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59184B1 (ko) 2014-12-24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 제조 방법
JP6552830B2 (ja) * 2015-02-03 2019-07-3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04675264A (zh) * 2015-02-10 2015-06-0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开门装置、冰箱及非接触式开门方法
CN104654736A (zh) * 2015-02-10 2015-05-2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CN104675263A (zh) * 2015-02-10 2015-06-0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开门装置、冰箱及非接触式开门方法
JP6445353B2 (ja) * 2015-03-02 2018-12-26 シャープ株式会社 冷却庫
JP2016166694A (ja) * 2015-03-09 2016-09-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JP6449073B2 (ja) * 2015-03-25 2019-01-09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6598481B2 (ja) * 2015-03-26 2019-10-3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6560006B2 (ja) * 2015-04-08 2019-08-1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6626268B2 (ja) * 2015-04-15 2019-12-2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06152697B (zh) * 2015-04-21 2020-10-02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控制冰箱开关门的方法以及冰箱
KR101639522B1 (ko) 2015-05-07 2016-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US10280673B2 (en) 2015-06-11 2019-05-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JP6584164B2 (ja) * 2015-06-22 2019-10-0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KR102562149B1 (ko) 2015-07-14 2023-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및 냉장고
DE102015009157A1 (de) * 2015-07-14 2017-01-19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JP6782064B2 (ja) * 2015-07-17 2020-11-1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EP4043819A1 (en) 2015-09-03 2022-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2223627B1 (ko) * 2015-09-03 2021-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2017083099A (ja) * 2015-10-30 2017-05-1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KR101736608B1 (ko) 2015-11-27 2017-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7159047B2 (ja) * 2015-12-23 2022-10-2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人のバイタルサインを決定する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6730068B2 (ja) * 2016-01-26 2020-07-2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6732171B2 (ja) * 2016-01-29 2020-07-29 青島海爾股▲フン▼有限公司 冷蔵庫
JP2017146058A (ja) * 2016-02-19 2017-08-2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6779016B2 (ja) * 2016-02-19 2020-11-0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WO2017145387A1 (ja) * 2016-02-26 2017-08-31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JP6749105B2 (ja) * 2016-02-29 2020-09-02 シャープ株式会社 扉構造
CN105806037A (zh) * 2016-04-26 2016-07-27 合肥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门体的开启方法与冰箱
CN105953521B (zh) * 2016-05-10 2019-01-1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与冰箱门体的开启方法
JP6484669B2 (ja) * 2016-07-01 2019-03-13 株式会社タカギセイコー 医療用テーブル
JP2018021731A (ja) * 2016-08-05 2018-02-0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KR101897356B1 (ko) * 2016-11-03 2018-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01870B1 (ko) * 2016-11-03 2019-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CN108120205A (zh) * 2016-11-29 2018-06-05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冰箱
JP7016000B2 (ja) * 2016-12-21 2022-02-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EP3764293B1 (en) 2017-01-03 2023-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od storag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872916B2 (ja) * 2017-01-31 2021-05-1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6890880B2 (ja) * 2017-02-03 2021-06-18 アール・ビー・コントロールズ株式会社 操作装置
DE102017205184A1 (de) * 2017-03-28 2018-10-04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Gerätekomponente mit von oben greifbarer Mulde in einer schrägen Streifenfläche
CN107255391A (zh) * 2017-06-26 2017-10-1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及其打开冰箱箱门的方法
JP2019005323A (ja) * 2017-06-27 2019-01-17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身長測定装置、ヘルスケア機器および回転ゲート
KR102106847B1 (ko) * 2017-06-28 2020-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의 도어 자동 개방 제어 방법
US20190017735A1 (en) * 2017-07-11 2019-01-17 Bsh Hausgeraete Gmbh Household cooling appliance comprising a speech control for a dispenser unit, which is configured for dispensing liquid and/or ice, as well as method for operating a household cooling appliance
TWI683081B (zh) * 2017-08-02 2020-01-21 日商日立環球生活方案股份有限公司 冰箱
CN112013604B (zh) * 2017-08-02 2022-02-22 日立环球生活方案株式会社 冰箱
JP6967904B2 (ja) * 2017-08-03 2021-11-1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07401880B (zh) * 2017-08-04 2020-10-09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的门体调节装置
KR102418952B1 (ko) 2017-08-31 2022-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가전제품
CN107680264A (zh) * 2017-09-29 2018-02-09 创斯达科技集团(中国)有限责任公司 一种机身安全机构
JP6879880B2 (ja) * 2017-10-11 2021-06-02 三菱電機株式会社 食器洗い乾燥機、及び家電機器の前面ドアの制御方法
CN108253713B (zh) * 2017-12-27 2020-08-2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安装有麦克风的冰箱门体及冰箱
JP6917933B2 (ja) * 2018-03-22 2021-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2019184167A (ja) * 2018-04-11 2019-10-2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家電機器、冷蔵庫
JPWO2019207845A1 (ja) * 2018-04-27 2021-05-27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2020008177A (ja) 2018-07-03 2020-01-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CN110873497A (zh) * 2018-08-30 2020-03-10 Lg电子株式会社 冰箱
TWI656311B (zh) * 2018-09-11 2019-04-11 捷騰光電股份有限公司 Power supply structure of refrigerator door panel
KR102211191B1 (ko) 2018-12-07 2021-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N109855354A (zh) * 2018-12-29 2019-06-0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及其开门控制方法
AU2019420355B2 (en) * 2019-01-11 2022-06-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frigerator
KR102633905B1 (ko) * 2019-01-31 202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리 입력이 가능한 냉장고
JP7237651B2 (ja) * 2019-02-28 2023-03-13 ホシザキ株式会社 貯蔵庫
JP2020143829A (ja) * 2019-03-06 2020-09-1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KR20200125305A (ko) * 2019-04-26 2020-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686032B2 (en) 2019-04-30 2023-06-27 Whirlpool Corporation User-interface system for a laundry appliance
US11182123B2 (en) 2019-04-30 2021-11-23 Whirlpool Corporation User-interface system for a laundry appliance
CN111854302A (zh) * 2019-04-30 2020-10-30 青岛海高设计制造有限公司 开启结构、冰箱及用于控制冰箱的方法
DE102019112433A1 (de) * 2019-05-13 2020-11-19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ystem aus einem Bodenbearbeitungsgerät, einem in einer Umgebung des Bodenbearbeitungsgerätes befindlichen Objekt, einer Detektionseinrichtung und einer Steuereinrichtung
CN110173948A (zh) * 2019-05-22 2019-08-27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控制设备开关门的方法及装置
US11761134B2 (en) 2019-05-23 2023-09-19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appliance
US11377772B2 (en) 2019-05-23 2022-07-05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appliance
EP3742093B1 (de) * 2019-05-23 2023-11-01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CN210374267U (zh) * 2019-06-11 2020-04-21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JP2019200042A (ja) * 2019-07-18 2019-11-2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7424793B2 (ja) * 2019-10-29 2024-01-3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WO2021107345A1 (ko) * 2019-11-28 2021-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1153059A1 (ja) * 2020-01-29 2021-08-05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静電入力装置
KR20210103608A (ko) * 2020-02-13 2021-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서버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2128698B1 (ko) * 2020-04-17 2020-06-30 장석운 탄화수소계가스 절감 장치 내장 공기 청정기
CN111425064B (zh) * 2020-05-06 2021-09-03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门组件和储物柜
KR102510802B1 (ko) * 2020-11-27 2023-03-17 곽정규 맞춤형 화장품 스마트 세트 보관함
KR20220102426A (ko) * 2021-01-13 2022-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EP4050289A1 (de) * 2021-02-25 2022-08-31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Bedieneinheit für ein kühl- und / oder gefriergerät
DE102021205018A1 (de) 2021-05-18 2022-11-24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spezifischer automatischer Türöffnung, sowie Verfahren
CN115406148A (zh) * 2021-05-28 2022-11-29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冰箱及其控制方法
KR102577283B1 (ko) * 2021-10-26 2023-09-12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비데의 비접촉 조작장치
KR20230071576A (ko) * 2021-11-16 202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TWI778871B (zh) * 2021-11-23 2022-09-21 台灣松下電器股份有限公司 冰箱及其製造方法
IT202100032807A1 (it) * 2021-12-28 2023-06-28 Gewiss Spa Struttura di copertura di apparecchi elettrici di comando
KR20230151126A (ko) * 2022-04-22 202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어셈블리 및 냉장고
CN114739106A (zh) * 2022-04-25 2022-07-12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及冰箱的控制方法
KR20230157184A (ko) * 2022-05-09 2023-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전 용량 방식 도어 센서 및 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
WO2024039033A1 (ko) * 2022-08-18 2024-0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입력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JP2024039193A (ja) * 2022-09-09 2024-03-22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240133619A1 (en) * 2022-10-18 2024-04-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4977A (ja) * 2004-06-01 2005-12-15 Toshiba Corp 冷蔵庫
JP2007017020A (ja) * 2005-07-05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WO2011001813A1 (ja) * 2009-06-29 2011-01-06 ソニー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および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JP2012021696A (ja) * 2010-07-14 2012-02-02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705429U1 (de) * 1977-02-23 1977-06-02 Bosch-Siemens Hausgeraete Gmbh, 7000 Stuttgart Schalt- und Anzeigevorrichtung für ein elektrisch betriebenes Haushaltsgerät, insbesondere Schaltpult für eine Gefriertruhe o.dgl
JPS6091171A (ja) * 1983-10-25 1985-05-22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の急速冷凍装置
JPH0173689U (ko) * 1987-10-30 1989-05-18
JPH079340B2 (ja) * 1988-01-04 1995-02-01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CN2037457U (zh) * 1988-07-27 1989-05-10 顾文照 电子式多功能冰箱控制器
US5100213A (en) * 1990-06-07 1992-03-31 Amana Refrigeration Inc. Vertical sliding chiller compartment door
JPH04347234A (ja) 1991-05-24 1992-12-02 Taisei Corp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JPH0587443A (ja) * 1991-09-26 1993-04-06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JPH08339750A (ja) * 1995-06-13 1996-12-24 Seikosha Co Ltd 静電容量型近接スイッチ
DE19835462C2 (de) * 1998-08-06 2003-10-30 Heinrich Klostermann Transportbehälter
ATE318359T1 (de) * 1998-08-19 2006-03-15 Fisher & Paykel Appliances Ltd Türöffnungs- und türschliesssystem
JP2000111238A (ja) * 1998-10-02 2000-04-18 Nec Gumma Ltd 自動ドア締め冷蔵庫
EP1085500B1 (en) * 1999-09-13 2007-01-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oice recognition for controlling a device
CN2429801Y (zh) * 2000-06-13 2001-05-09 广东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可语音控制的智能冰箱
CN100465559C (zh) * 2001-05-09 2009-03-04 海尔集团公司 语音开门的电冰箱
CN2486933Y (zh) * 2001-06-24 2002-04-17 海尔集团公司 声控开门冰箱
CN1393672A (zh) * 2001-06-24 2003-01-29 海尔集团公司 声控开门冰箱
JP3923755B2 (ja) * 2001-07-12 2007-06-06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KR20030021810A (ko) * 2001-09-07 2003-03-1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램프장치
CN1252437C (zh) * 2001-11-27 2006-04-19 广东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冰箱门开关控制方法及使用该方法的冰箱
JP2004044980A (ja) * 2002-07-15 2004-02-12 Toshiba Corp 冷蔵庫扉
JP2004108604A (ja) * 2002-09-13 2004-04-08 Hitachi Ltd ドア制御装置、自動ドア、ドア制御方法及び自動ドアを用いた冷蔵庫
JP2004340499A (ja) * 2003-05-16 2004-12-02 Toshiba Corp 冷蔵庫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40251746A1 (en) * 2003-06-12 2004-12-16 Nifco Inc. Moving device
JP2005011773A (ja) * 2003-06-20 2005-01-13 Toshiba Corp タッチスイッチ装置、およびタッチスイッチ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2005241215A (ja) * 2004-02-27 2005-09-08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機器、冷蔵庫、冷蔵庫の操作方法
KR20050097788A (ko) * 2004-04-02 2005-10-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전자석에 의한 도어 개폐장치
JP4168969B2 (ja) * 2004-04-27 2008-10-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タッチキーを用いた加熱調理器
JP4531469B2 (ja) * 2004-07-15 2010-08-25 株式会社フジクラ 静電容量式近接センサ
US20100231506A1 (en) * 2004-09-07 2010-09-16 Timothy Pryor Control of appliances, kitchen and home
SE0402261D0 (sv) * 2004-09-17 2004-09-17 Electrolux Home Prod Corp Capacitive Sensor System
KR100619757B1 (ko) * 2004-11-09 2006-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및 그 냉장고의 바스켓 승강장치의 제어방법
JP4347234B2 (ja) * 2005-02-14 2009-10-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JP4254755B2 (ja) * 2005-07-05 2009-04-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KR20070047896A (ko) * 2005-11-03 200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4587317B2 (ja) * 2006-01-24 2010-11-24 国立大学法人岐阜大学 接近センサ及び接近・接触センサ
JP4687478B2 (ja) * 2006-01-31 2011-05-25 ぺんてる株式会社 静電容量型タッチスイッチ装置
KR100678067B1 (ko) * 2006-02-28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센서 장치
CN101449461B (zh) * 2006-03-13 2013-06-12 艾登特技术股份公司 电容传感器设备
EP1999848B1 (en) * 2006-03-17 2019-06-1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oor position sensor
JP4667288B2 (ja) * 2006-03-31 2011-04-06 三洋電機株式会社 貯蔵庫
CN2909123Y (zh) * 2006-04-28 2007-06-06 广东富信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冷冻柜的控制装置
KR20080004822A (ko) * 2006-07-06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자동표시장치
KR100764281B1 (ko) * 2006-07-20 200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정보 관리 장치
JP5045023B2 (ja) * 2006-08-09 2012-10-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入力装置
CN101126591B (zh) * 2006-08-17 2010-10-13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冰箱用控制器的组装结构
CN101131276A (zh) * 2006-08-22 2008-02-27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一种冰箱储藏室冷气的供给装置
JP4991236B2 (ja) * 2006-10-05 2012-08-01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KR20080037269A (ko) * 2006-10-25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조명장치
KR20080057474A (ko) * 2006-12-20 2008-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7686127B2 (en) * 2007-01-04 2010-03-30 Whirlpool Corporation Acoustic chamber as part of adapter or appliance
EP2506677A2 (en) * 2007-01-22 2012-10-03 Panasonic Corporation Cooking device
JP4384187B2 (ja) * 2007-02-09 2009-12-1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4384191B2 (ja) * 2007-02-09 2009-12-1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2009024921A (ja) * 2007-07-19 2009-02-05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JP2009032570A (ja) * 2007-07-27 2009-02-12 Fujikura Ltd 人体接近検出装置
KR100885584B1 (ko) * 2007-08-23 2009-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2009063064A (ja) * 2007-09-06 2009-03-26 Hitachi Appliances Inc 真空断熱材及びこれを用いた冷蔵庫
CN201116818Y (zh) * 2007-10-12 2008-09-17 东莞凤岗雁田精博塑胶电子制品厂 软壳小冰箱
US8421757B2 (en) * 2007-10-12 2013-04-16 Sony Corporation Touch sensor with a plurality of touch sensor sections
JP5315910B2 (ja) * 2007-10-12 2013-10-16 ソニー株式会社 接触センサ
KR20090043993A (ko) * 2007-10-30 200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개폐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1469504B (zh) * 2007-12-29 2012-09-19 海尔集团公司 一种洗衣机检测提醒方法及系统
KR101245140B1 (ko) * 2008-02-12 2013-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576672B1 (ko) * 2008-02-21 2015-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AU2009200531B2 (en) * 2008-03-10 2014-07-24 Aktiebolaget Electrolux An Appliance Door Sensor
JP5238329B2 (ja) 2008-04-14 2013-07-17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CN101738051B (zh) * 2008-11-27 2012-10-31 无锡松下冷机有限公司 电冰箱
TWI548846B (zh) * 2008-12-24 2016-09-11 Panasonic Corp refrigerator
DE102009026659A1 (de) * 2009-06-03 2010-12-0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EP2267386A3 (en) * 2009-06-22 2014-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O2011002025A1 (ja) * 2009-06-30 2011-01-06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静電容量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US8434837B2 (en) * 2009-07-08 2013-05-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JP4948578B2 (ja) * 2009-08-12 2012-06-0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KR101100146B1 (ko) * 2009-08-12 2011-12-29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KR20110024883A (ko) * 2009-09-03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JP2011074617A (ja) * 2009-09-29 2011-04-14 Sun Wave Corp 扉自動開閉装置
JP5563275B2 (ja) * 2009-10-27 2014-07-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セント
JP5408717B2 (ja) * 2009-10-27 2014-02-05 株式会社フジクラ 静電容量式スイッチ装置
CN202050396U (zh) * 2011-05-03 2011-11-23 旭丽电子(广州)有限公司 触控装置
WO2011074226A1 (ja) * 2009-12-16 2011-06-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CN201575653U (zh) * 2010-01-08 2010-09-08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自动开门冰箱
JP2011144993A (ja) * 2010-01-14 2011-07-28 Panasonic Corp 冷蔵庫
KR101831614B1 (ko) * 2010-01-28 2018-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1846434A (zh) * 2010-03-26 2010-09-29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冰箱显示板背景灯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
US9595960B2 (en) * 2010-05-04 2017-03-14 Whirlpool Corporation Dead-front user interface
JP5590974B2 (ja) * 2010-06-08 2014-09-17 キヤノン株式会社 操作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12013422A (ja) * 2010-06-29 2012-01-19 Yazaki Corp 移動方向判定装置
JP2012017866A (ja) 2010-07-06 2012-01-26 Panasonic Corp 冷蔵庫
JP2012017865A (ja) 2010-07-06 2012-01-26 Panasonic Corp 冷蔵庫
CN201724505U (zh) * 2010-07-13 2011-01-26 江苏德莱仕电器有限公司 冰箱用双向滑动门
CN201724516U (zh) * 2010-07-13 2011-01-26 江苏德莱仕电器有限公司 智能开关门冰箱
CN201726574U (zh) * 2010-07-23 2011-01-26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箱体内部照明灯的自动控制装置
KR101114873B1 (ko) * 2010-08-31 2012-02-28 주식회사 이음플러스 근접센서를 이용한 이동 감지장치 및 이동 감지방법
KR101768699B1 (ko) * 2010-12-07 2017-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이중 도어 개폐 장치
JP5637898B2 (ja) * 2011-02-25 2014-12-10 住友理工株式会社 タッチスイッチ
CN202049720U (zh) * 2011-03-16 2011-11-23 安徽康佳同创电器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应用该显示装置的冰箱
KR20120134586A (ko) * 2011-06-03 2012-12-12 강태훈 보관 시간 표시 기능과 통신장비를 장착한 냉장고
JP5784427B2 (ja) * 2011-09-07 2015-09-24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JP5779485B2 (ja) * 2011-09-08 2015-09-1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KR101373088B1 (ko) * 2011-09-08 2014-03-11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JP2013077556A (ja) * 2011-09-12 2013-04-25 Futaba Corp タッチスイッチ
CN202928279U (zh) * 2011-09-13 2013-05-08 江苏白雪电器股份有限公司 电冰箱
CN202413589U (zh) * 2011-10-20 2012-09-05 范小骐 汽车车辆门及门框边缘提示信号系统
CN103126600B (zh) * 2011-11-21 2016-04-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便座装置
CN102494511A (zh) * 2011-11-24 2012-06-13 李守勇 冰箱门开启的控制方法及使用该方法的冰箱
DE202012005255U1 (de) * 2012-05-29 2012-06-26 Youse Gmbh Bedienvorrichtung mit einer Gestenüberwachungseinheit
CN102945671A (zh) * 2012-10-31 2013-02-27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语音识别方法
CN102889751A (zh) * 2012-10-31 2013-01-23 昆山黄昆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语音识别冰箱
CN203012693U (zh) * 2012-12-03 2013-06-19 合肥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冰箱上的电容触摸屏
CN103051321A (zh) * 2012-12-10 2013-04-17 天津天地伟业数码科技有限公司 应用于监控设备的触摸按键
CN103277974B (zh) * 2013-06-19 2016-01-27 青海汉拉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汉语语音控制智能电冰箱的装置
CN103438658A (zh) * 2013-08-15 2013-12-11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冰箱手势控制系统
CN103838496B (zh) * 2014-02-20 2020-01-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4977A (ja) * 2004-06-01 2005-12-15 Toshiba Corp 冷蔵庫
JP2007017020A (ja) * 2005-07-05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WO2011001813A1 (ja) * 2009-06-29 2011-01-06 ソニー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および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JP2012021696A (ja) * 2010-07-14 2012-02-02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388706A (zh) 2017-11-24
CN107014138A (zh) 2017-08-04
JP2016014484A (ja) 2016-01-28
CN107421199A (zh) 2017-12-01
CN106940120A (zh) 2017-07-11
CN107036371A (zh) 2017-08-11
CN107062758A (zh) 2017-08-18
CN107144080B (zh) 2020-11-06
CN107062760A (zh) 2017-08-18
CN105308403B (zh) 2017-07-07
KR20210054062A (ko) 2021-05-12
CN107062760B (zh) 2021-07-27
KR20160003211A (ko) 2016-01-08
CN107152834A (zh) 2017-09-12
CN107367109A (zh) 2017-11-21
CN107192207A (zh) 2017-09-22
CN107192207B (zh) 2020-11-06
CN107166856A (zh) 2017-09-15
CN105308403A (zh) 2016-02-03
CN107062797A (zh) 2017-08-18
CN107178957A (zh) 2017-09-19
CN107131713B (zh) 2022-06-14
CN106949700A (zh) 2017-07-14
WO2014208585A1 (ja) 2014-12-31
MY183145A (en) 2021-02-16
CN107131713A (zh) 2017-09-05
CN107388706B (zh) 2022-06-14
KR101836592B1 (ko) 2018-04-19
CN107084586A (zh) 2017-08-22
CN107144080A (zh) 2017-09-08
CN107062797B (zh) 2020-08-21
CN107166858A (zh) 2017-09-15
CN107166855A (zh) 2017-09-15
CN107084586B (zh) 2020-06-23
CN106969578A (zh) 2017-07-21
TW201512619A (zh) 2015-04-01
CN107388705B (zh) 2023-08-04
CN107014138B (zh) 2019-10-25
CN107024070A (zh) 2017-08-08
CN107166857B (zh) 2019-08-23
CN107178957B (zh) 2022-03-01
CN107152834B (zh) 2020-07-14
CN107062758B (zh) 2020-03-24
JP6373653B2 (ja) 2018-08-15
TWI572837B (zh) 2017-03-01
CN107024060A (zh) 2017-08-08
KR20200135566A (ko) 2020-12-02
KR20180023053A (ko) 2018-03-06
CN107166857A (zh) 2017-09-15
CN107166855B (zh) 2019-11-05
CN107152833A (zh) 2017-09-12
CN107388705A (zh)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4333B1 (ko) 냉장고
JP7422724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