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004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004B1
KR101993004B1 KR1020187035979A KR20187035979A KR101993004B1 KR 101993004 B1 KR101993004 B1 KR 101993004B1 KR 1020187035979 A KR1020187035979 A KR 1020187035979A KR 20187035979 A KR20187035979 A KR 20187035979A KR 101993004 B1 KR101993004 B1 KR 101993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display
sensor
front pane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5987A (ko
Inventor
박승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35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6Safet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4Piezo-electric touch switches
    • H03K17/9643Piezo-electric 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45Resistive touch switches
    • H03K17/9647Resistive 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401Calibration techniques
    • H03K2217/94031Calibration involving digita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15Constructional details for touch switches
    • H03K2217/96023Details of electro-mechanic connections between different elements, e.g.: sensing plate and integrated circuit containing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42Touch switches with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42Touch switches with illumination
    • H03K2217/96046Key-pad combined with display, back-l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58Fail-safe touch switches, where switching takes place only after repeated touc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05Safety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e.g. increasing reliability, fail-saf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85Capacitive touch switches with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85Capacitive touch switches with illumination
    • H03K2217/96079Capacitive touch switches with illumination using a single or more light guid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냉장고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창이 형성된 전면 패널; 상기 냉장고 도어의 내부에 채워지는 발포액에 의해 형성되는 단열재;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발포재 사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장착되는 커버 디스플레이; 및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서 상기 전면 패널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가압하는 커버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터치센서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을 인식하여 가전제품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며, 정전용량 센서 또는 저항셀 방식의 센서 등을 포함하며, 이들 센서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고 이를 신호 처리하여 가전제품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최근의 가전제품들은 외관의 개선을 위해 외관이 스틸이나 유리 또는 이와 유사한 코팅이 형성된 소재의 외장부재가 사용되며, 이들 외장부재의 터치 조작시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센서 어셈블리 또한 개발되고 있다.
한편,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 내부는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내부에는 선반, 서랍, 바스켓 등의 수납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도어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배치와 및 도어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고급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따라 외관이 한층 개선되고 다양한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예컨데, 외관을 구성하는 외장부재가 스틸이나 유리 또는 이와 유사한 코팅이 형성된 소재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디스플레이와 조작 장치들이 채용되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34365호에는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냉장고의 제조 완료 후 생산 라인에서 제품의 검사를 하거나 사용자가사용 중인 상태에서 서비스 상황 발생시 진단 또는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통상적인 조작 모드가 아닌 특정 모드로의 진입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특정 모드는 냉장고의 동작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조작부의 일반적인 조작 형태가 아니라 복수의 버튼을 동시에 누르도록 하거나, 조작부가 아닌 위치에 별도의 리셋 또는 특정 모드 진입이 가능한 버튼을 배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금속 소재의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메탈 터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터치센서의 민감도 향상을 위해 기본전압(base voltage)을 높여 작은 힘의 터치 조작에도 감지 가능 전압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메탈 터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 이전에 터치센서의 기본전압을 0V 이상이 되도록 하여 터치 조작시의 작은 압력 변화에도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메탈 터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발포액이 주입되는 가전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에 부착될 수 있는 메탈 터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발포압력을 견딜 수 있는 두께를 가지는 금속 패널의 터치 조작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메탈 터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복수의 터치부를 순차조작하여 특정 모드로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터치 조작되는 가전기기의 터치 감도 조절을 가시화 상태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냉장고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창 및 터치부가 형성된 전면 패널; 전면부가 접착 부재에 의하여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고, 상기 터치부의 후방에 대응하는 어느 지점에 수용부가 함몰 형성되는 커버 디스플레이;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어 상기 터치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밀착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전면부의 가장자리가 접착 부재에 의하여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프레임;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프레임, 및 상기 도어 라이너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채워지는 단열재;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창의 후방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수용 공간을 정의하는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서 상기 전면 패널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 후면의 양 측면 가장자리를 상기 전면 패널 쪽으로 가압하는 커버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전면 패널을 누르는 조작시 적은 힘으로 누르게 되더라도, 터치센서가 전면 패널과 직접 접촉되는 상태로 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면 패널의 변형이 그대로 상기 터치센서로 전달될 수 있게 되어 터치 인식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터치센서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터치센서의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터치센서의 밀착력이 향상됨은 물론,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상기 터치센서에서 발생되는 기본 전압을 높일 수 있게 되어 적은 힘의 터치 조작으로도 터치 인식이 가능하게 되어 터치센서의 민감도가 향상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터치 인식 능력의 향상으로 인해 가전기기의 외장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의 두께를 두껍게 한 상태에서도 신뢰성 있는 터치 인식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터치부를 정해진 순서에 의해 순차 조작할 때에만 서비스 또는 검사를 위한 특정 모드로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복수의 터치부가 동시에 인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터치센서의 특성상 잘못된 영역의 터치로 인하여 복수의 터치부가 선택되거나 도어의 개폐시 충격에 의해 복수의 터치부가 인식되어 원하지 않는 동작 또는 원하지 않는 특정 모드로 진입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터치부를 터치 조작할 때의 감도를 해당 터치부를 눌러 직관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감도의 변화를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터치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부를 사용자가 선호하는 터치의 감도로 조절 가능하게 되어 터치 조작의 인식불량 또는 과도한 누름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개별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감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되므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터치부를 각각 원하는 감도로 설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 또는 사용 패턴에 따라서 다양한 세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디스플레이 창과 조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장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프레임 디스플레이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7-7'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8-8' 단면도이다.
도 9는 센서 피시비와 디스플레이 피시비의 연결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10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와 프레임 디스플레이의 결합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와 터치센서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2의 13-13' 절결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센서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센서 피시비의 평면도(a)와 배면도(b)이다.
도 19는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컨덕티브 포일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터치 부스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의 22-22' 절결 사시도이다.
도 23는 도 22의 B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4는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터치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조의 개요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터치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조의 개요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터치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조의 개요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감도 설정 모드 수행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9는 상기 감도 설정 모드의 진입시 조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상기 감도 설정 모드에서 감도 설정 조작시의 일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상기 감도 설정 모드에서 감조 설정 조작시의 다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검사 모드 진입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테스트 모드 진입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매장 전시 모드 진입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는 종래기술에 의한 터치센서가 구비된 가전기기에서의 터치 조작 감지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센서의 터치 조작 감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장착되어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좌우 양측 및/또는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공간의 개구된 전면에는 각각의 공간을 개폐하는 다수의 냉장고 도어(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10)는 슬라이딩 또는 회전 방식으로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냉장고 도어(10) 중 일측의 냉장고 도어(10)에는 사용자의 조작 및 식별이 용이한 높이에 디스플레이 창(11)과 조작부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11)은 냉장고(1)의 작동 상태를 외부로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면서 기호 또는 숫자 등을 표현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창(11)은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형태의 구멍, 투명한 부분을 통칭하여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가 냉장고(1)의 동작을 위해 터치 조작하는 다수의 터치부(12)로 구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일부 영역에 제공되며, 누름 조작이 감지될 수 있는 부분이 인쇄 또는 에칭과 같은 표면 가공 또는 빛의 투과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디스플레이 창과 조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장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 도어(10)는 전체적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20)과, 상기 전면 패널(2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데코부재(40,43)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3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전면 패널(20)은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상의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은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외관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냉장고가 아닌 다른 가전 제품에서는 외장부재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0)은 스테인레스 스틸이 아닌 금속 또는 금속과 같은 질감을 가지도록 하는 소재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0)은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은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측면 일부도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패널(20)의 표면에는 지문방지 처리 또는 헤어라인 가공이 더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창(11)은 상기 전면 패널(20)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관통구(2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11)은 숫자를 나타내는 숫자 표시부(11a)와, 기호나 문자 또는 그림으로 나타내는 기호 표시부(11b)를 일정한 배치로 천공된 다수의 제 1 관통구(21)의 집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숫자 표시부(11a)는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집합이 7세그먼트의 형상으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숫자 표시부(11a)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냉장실과 냉동실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몰론 상기 숫자 표시부(11a)는 온도 정보 외에 숫자로 표현 가능한 다른 정보의 표시도 가능할 것이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서 선택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숫자 표시부(11a)의 하방에는 기호 표시부(11b)가 형성된다. 상기 기호 표시부(11b)는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기호 또는 그림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집합이 이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예컨데, 도 3의 기호 표시부(11b) 중 가장 위쪽에 위치된 기호 표시부(11b)는 자물쇠 모양으로 표현되어 잠금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중간에 위치된 기호 표시부(11b)는 필터 형상으로 표현되어 제균 또는 탈취 기능의 동작을 나타낼 수 있으며, 가장 아래에 위치한 기호 표시부(11b)는 팬이 회전하는 형상으로 표현되어 급속 냉동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물론 상기 기호 표시부(11b)의 형상은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으며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11)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 2 관통구(220) 및 제 3 관통구(321)의 배치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관통구(21)는 레이저 가공이나, 에칭 등을 통해서 미세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빛이 통과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도 3 은 상기 숫자 표시부(11a)와 기호 표시부(11b)가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로 이루어지는 형태를 보여주기 위해 도면상에 명확하게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지만, 실제 상기 제 1 관통구(21)의 크기가 미세하여 일정한 거리가 떨어진 상태에서 엘이디(313)가 켜지지 않게 되면 육안으로 잘 식별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숫자 표시부(11a)의 경우 7세그먼트의 동작에 따라 빛이 조사되는 부분만이 상기 제 1 관통구(21)를 투과하여 상기 전면 패널(20)로 숫자가 표시될 수 있으며, 빛이 조사되지 않는 부분은 잘 식별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호 표시부(11b)의 경우 해당 기능의 사용시 대응하는 엘이디(313)가 켜지는 경우 빛이 조사되어 기호 표시부(11b)는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게 되지만, 엘이디(313)가 꺼진 상태에서는 잘 식별되지 않게 된다.
이처럼, 상기 디스플레이 창(11)을 형성하는 숫자 표시부(11a)와 기호 표시부(11b)는 빛이 조사되지 않는 영역은 외부에서 식별이 어려운 정도의 미세한 크기의 제 1 관통구(21)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외관에 다른 구성 요소들이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전면 패널(20)에 의해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외관 전체가 메탈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듯한 느낌을 주도록 하여 심플하고 고급스러운 미감을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부에는 실링부재(22)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22)는 상기 제 1 관통구(21)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실링부재(22)는 실리콘 또는 에폭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관통구(21)를 막되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이 상기 실링부재(22)에 의해 채워짐으로써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가공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실링부재(22)는 별도의 공정을 통해서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을 채울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20)의 표면 코팅 과정에서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채우거나, 시트의 형태로 부착되어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가 동시에 막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 패널(20)의 내 지문 코팅액 및/또는 확산시트가 실링부재(22)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가 터치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표시된 부분으로 다수의 터치부(1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부(12)은 사용자가 상기 터치부(12)의 영역을 터치하게 되었을 때 터치센서 어셈블리(500)에서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터치부(12)는 물리적인 버튼이 아닌 상기 전면 패널(20)의 전면에 표시된 영역을 지칭하는 것으로, 표시된 영역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과 접하는 센서(750)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터치부(12)은 에칭이나 인쇄 또는 기타 표면 가공을 통해서 상기 전면 패널(20)의 전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볼 때 두드러지지 않는 형태로 표현되어 상기 전면 패널(20) 전체의 질감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부(12)은 글자나 기호의 형태로 사용자가 각 터치부(12)의 해당 기능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부(12)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시 인식 가능한 영역을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된 부분을 누를 때 효과적으로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30)는 상기 전면 패널(20)과 결합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을 향하는 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3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되며, 둘레를 따라서 가스켓이 배치되거나 바스켓 등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30)는 상기 전면 패널(20)과의 결합시 상기 도어 라이너(30)와 전면 패널(2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이 공간에는 단열재(24)를 형성하는 발포액이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는 프레임(100)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서 발포액이 충진되지 않는 별도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커버 디스플레이(20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 터치센서 어셈블리(500), 프레임 디스플레이(400) 등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데코부재(40,43)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상부와 하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 패널(20)과 도어 라이너(3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상단과 하단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데코부재(40,43) 중 상기 냉장고 도어(10) 상부의 데코부재(40)에는 삽입구(41)와 상기 삽입구(41)를 개폐하는 삽입구 커버(42)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구(41)는 상기 데코부재(40)를 관통하며 상기 프레임(100)이 형성하는 공간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구(41)를 통해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조립된 상태의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를 삽입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삽입구(41)는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데코부재(40)의 일측에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회전 축이 되는 힌지가 장착되는 힌지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홀을 통해서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에서 안내되는 전선이 출입되어 상기 캐비닛의 전원부와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냉장고 도어(10) 하부의 데코부재(43)에는 도어 핸들(44)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핸들(44)은 포켓 형태로 함몰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10)를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냉장고 도어(10) 하부의 데코부재(43)에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개폐 조작을 위한 레버(45)가 더 구비되며, 상기 레버(45)의 조작에 의해 래치 어셈블리(31)가 구동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개방 또는 닫힘 상태의 유지를 선택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는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부착된다.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는 엘이디(313)가 실장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장착을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 양면테이프 또는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접착부재(25)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상기 전면 패널(20)의 누름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센서 어셈블리(500)가 장착된다.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는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창(11)과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형성된 제 2 관통구(220)가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는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삽입구(41)를 통해서 상기 프레임(100) 내부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와 디스플레이 창(11)을 지나서 외부로 조사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프레임 디스플레이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4의 7-7'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4의 8-8'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센서 피시비와 디스플레이 피시비의 연결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100)은 전면과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되었을 때 상면이 개구된 공간(11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100)의 상단을 제외한 둘레가 상기 전면 패널(20)을 향하여 절곡되며, 그 단부가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프레임 접착부(12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 접착부(120)에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부재(25)가 제공되어 상기 프레임(100)이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단이 상기 데코부재(40)의 하면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00)의 개구된 상면이 상기 삽입구(41)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 상기 단열재(24)의 형성을 위한 발포액의 주입시에도 상기 프레임(100) 내부의 공간으로 발포액이 유입되지 않고 보호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후면에는 다수의 보강 리브(130)가 가로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열재(24)의 성형을 위한 고압의 발포액 충진시에도 상기 보강 리브(130)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상기 프레임(100) 내부의 공간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 좌우 양측단에는 서포트 플레이트(141)가 안착되는 플레이트 지지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41)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 공간의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 패널(20)을 후방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20)의 대응하는 부분이 일렁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 충격에 의해 전면 패널(2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40)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41)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41)는 상기 프레임(100)이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40)와 상기 전면 패널(20)의 사이 공간으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41)는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40)에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0)의 부착될 때 함께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00)의 측면 상부에는 전선 출입구(150)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 출입구(150)는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장 부품들과 상기 캐비닛 상의 전원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전선이 출입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선 출입구(150)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힌지와 가까운 측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힌지 홀과 가까운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측에 발포액을 주입할 때에는 마감 처리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로 발포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좌우 양측에는 구속홈(160)이 형성된다. 상기 구속홈(160)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좌우 양측단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구속부(23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구속홈(160)은 외측 방향으로 함몰되며 상기 구속부(23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유동되지 않고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속홈(160) 하부의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를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170)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지지부(170)는 상기 프레임(100)의 좌우 양측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좌우 양측단을 후방에서 눌러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0)이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되고 발포액이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 주입되면, 상기 커버 지지부(170)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를 전방으로 밀어서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를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시키는 상기 접착부재(25)가 경화되어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커버 지지부(170)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를 가압하여 상기 전면 패널(20)과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 지지부(170)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 전체를 고르게 눌러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와 인접하는 커버 지지부(170)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71)가 더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71)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리브 형상 또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와 선 또는 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와 상기 커버 지지부(170)의 접촉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며, 각각의 상기 커버 지지부(170)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고른 압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는 판상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좌우 양측단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속홈(160)에 삽입되는 구속부(23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는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가 장착되는 수용부(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창(11)과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제 2 관통구(220)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상기 엘이디(313)가 실장된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의 전면에 배치되는 리플렉터(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 상에는 상기 센서(750)로 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처리하는 센서 제어부(314)와, 상기 센서(750)의 감도 설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315)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저장부(315)에 저장되는 감도 설정값을 제공하는 호스트 제어부(3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센서 제어부(314)는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와 떨어진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 상에 제공되므로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의 센서 피시비(700)와 케이블 커넥터(600)로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와 떨어진 위치에서 조작에 의해 감지된 상기 센서(750)의 신호를 상기 센서 제어부(314)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제어부(314)는 상기 센서(750)에서 발생되는 전기량의 변화를 입력받아 이를 데이터 처리하여 상기 호스트 제어부(316)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 제어부(314)는 상기 센서(750)의 조작시 입력되는 전기량의 변화를 상기 저장부(315)에 저장된 감도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센서(750)의 조작이 유효한 조작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이를 상기 호스트 제어부(316)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전면 패널(20)의 터치부(12)를 조작하게 되었을 때 누름의 정도에 따라 조작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 제어부(316)는 상기 센서 제어부(314)로부터 상기 센서(750)의 조작 여부를 입력받아, 선택된 상기 센서(750) 조작에 대응하는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 창(11)으로 표시하거나, 냉장고(1)의 동작을 지시할 수 있는 신호를 별도 제공되는 메인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거나 또는 냉장고의 구동을 위한 각 전장부품들로 직접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호스트 제어부(316)는 상기 센서(750)의 감도 설정값이 저장되는 저장부(315)와 연결되어 감도 설정값에 대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315)는 상기 센서(750)의 조작시 발생되는 전기량의 변화값과 비교되는 감도 설정값이 저장되는 것으로, 비휘발성 메모리인 이이피롬(EEPROM)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설정된 상기 센서(750)의 감도 설정값은 지속적으로 상기 저장부(315)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의 전원이 꺼진 후 다시 켜지게 되어도 상기 센서(750)의 감도 설정값이 저장 및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사용자의 상기 터치부(12)의 누름 조작시 상기 센서 제어부(314)는 이를 유효한 조작인지를 판단하여 호스트 제어부(316)로 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감도 설정 모드와 같은 특수 모드의 진입시 상기 저장부(315)에 저장된 감도 설정값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감도에서 상기 터치부(12)의 조작이 인식될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하게 된다.
상기 터치부(12) 조작에 따른 신호의 흐름에 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일반적인 조작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터치부(12) 중 어느 하나의 터치부(12)를 누르게 되면, 상기 전면 패널(20)이 변형되면서 발생되는 압력이 상기 센서(750)에 전달된다. 상기 센서(750)에서는 압력에 따른 전기량의 변화가 발생되며, 이 전기량의 변화값은 상기 센서 제어부(314)로 전달된다.
상기 센서 제어부(314)에서는 입력된 상기 전기량의 변화값과 상기 저장부(315)에 저장된 감도 설정값과 비교하여 입력되는 전기량의 변화값이 저장된 감도 설정값을 만족할 경우 상기 호스트 제어부(316)로 상기 센서(750) 조작의 인식 성공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호스트 제어부(316)에서는 상기 센서 제어부(314)에서 전달된 데이터 값에 따라서 선택된 상기 터치부(12)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을 지시하게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창(11)을 통해서 이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상기 터치부(12)를 순차적으로 조작하여 감도 설정 모드에 진입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복수의 상기 터치부(12) 중 특정 터치부(12)를 누르게 되면, 이때의 입력 신호는 상기 센서 제어부(314)로 전달되고, 상기 센서 제어부(314)에서 처리된 데이터는 상기 호스트 제어부(316)로 전달된다. 상기 호스트 제어부(316)에서는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저장부(315)에 새로운 감도 설정값을 입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작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작을 원하는 특정 상기 터치부(12)를 누를 때마다 상기 센서 제어부(314)를 거쳐 상기 호스트 제어부(316)로 데이터가 전달되며, 상기 호스트 제어부(316)는 그때마다 상기 저장부(315)로 새로운 감도 설정값을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작의 반복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터치부(12)의 조작을 인식하기 위한 감도 설정값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센서 제어부(314)와 호스트 제어부(316) 및 저장부(315)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상에 하나의 모듈 형태로 제공되되, 하나의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상에 모두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와 일체로 구성되되 복수의 피시비 상에 제공되고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서(750)가 실장된 센서 피시비(7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와 별도로 구성되며, 서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 피시비(700)와 디스플레이 피시비(310)는 케이블 커넥터(60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600)는 센서 피시비(700)와 연결되는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와 연결되는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는 각각 상기 센서 피시비(700)와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10)에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 커넥터(600)의 전체 길이는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에서 상기 삽입구(41)까지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41)의 외측에서 서로 연결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2 케이블 커넥터(620)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단자(311)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의 상단 좌측(도 5에서 볼 때)에 배치된다. 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자(311)가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와 가능한 먼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의 전면에는 상기 엘이디(313)의 빛이 상기 제 1 관통구(21)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리플렉터(320)가 구비된다. 상기 리플렉터(320)는 상기 엘이디(313)의 빛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리플렉터(320)의 두께만큼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자(311)가 상기 전면 패널(20)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정전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전면 패널(20)이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창(11)에 인접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배치되어야 하는 구조의 특성상 사용 중 발생되는 정전기에 취약할 수 있으나, 상기 리플렉터(32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가 구조적으로 상기 전면 패널(20)과 이격되면서도 빛의 전달이 우수하도록 하여 정전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플렉터(320)에는 상기 엘이디(313)의 배치와 대응하며, 상기 제 2 관통구(220) 및 제 1 관통구(21)와 연통될 수 있는 제 3 관통구(321)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관통구(21)와 제 2 관통구(220) 및 제 3 관통구(321)는 모두 밀착되고 서로 연통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디스플레이 창(11)을 통해서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의 배면에는 음향 출력장치(340)가 구비된다. 상기 음향 출력장치(340)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소리로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스피커, 버저(buzzer)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장치(340)는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프레임 홀(412)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향 출력장치(340)에서 출력되는 소리는 상기 냉장고 도어(10) 외측의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가 안착 가능한 판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둘레를 따라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테두리(410)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좌우 양측단에는 좌우 양측으로 절곡되는 슬라이딩 삽입부(415)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삽입부(415)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24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는 상기 슬라이딩 삽입부(415)에 의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전면 전체에는 가로 및 세로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격자형상을 형성하는 보강 리브(411)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음향 출력장치(340)와 대응하는 일측에는 프레임 홀(4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 상단에는 프레임 절개부(414)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 절개부(414)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자(311)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대응하는 크기로 절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단자(311)와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를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312)가 체결되는 보스(413)가 형성된다. 상기 보스(413)는 상기 스크류(312)와의 결합은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를 하방에서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 상단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 핸들(420)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 핸들(420)은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결합될 때 사용자가 쥐고 조작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 핸들(420)은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서 연장되는 제 1 수직부(421)와, 상기 제 1 수직부(421)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422), 그리고 상기 경사부(422)의 상단에서 다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수직부(423)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수직부(421)와 제 2 수직부(423)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되 상기 경사부(422)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수직부(423)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그립부(424)가 가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를 삽입시 상기 그립부(424)를 쥐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하단부터 상기 삽입구(41) 내측으로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를 하방으로 삽입하게 될수록 상기 프레임 핸들(420)의 구조에 의해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후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 커버(42)를 닫게 되면, 상기 삽입구 커버(42)는 상기 그립부(424)와 접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삽입구 커버(42)의 하면에는 상기 그립부(424)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성형된 핸들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구 커버(42)가 닫히게 될 때 상기 프레임 핸들(420)의 상단이 상기 핸들 결합부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와 프레임 디스플레이의 결합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와 터치센서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좌우 양측단에는 가이드 레일(24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240)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양단이 절곡되어 상기 슬라이딩 삽입부(415)가 상기 가이드 레일(240)을 따라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240)은 상단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삽입부(415)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240)의 내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삽입될수록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 장착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를 향하여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삽입부(415)가 상기 가이드 레일(240)의 내측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리플렉터(320)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후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3 관통구(321)는 제 2 관통구(220)와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전면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가 수용되는 수용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210)는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수용부(2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의 전면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10)는 개구된 둘레를 따라서 상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의 장착시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의 둘레면과 접하여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가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10) 내부의 네 모서리에는 하우징 지지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지지부(211)는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센서 하우징의 모서리를 감싸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수용부(210)보다 더 연장될 수 있으며, 그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센서 하우징의 둘레면과 후면을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전면 패널(20)을 누르게 되어 압력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는 위치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고 조립된 상태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센서 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수용부(210)의 내측과 걸림 결합되는 하우징 결합부(511)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결합부(511)는 후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수용부(210)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는 전방에서 상기 수용부(2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 결합부(511)가 상기 수용부(210)의 일측에 걸림 구속되어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전면에는 제 2 관통구(22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제 2 관통구(220)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제 1 관통구(2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관통구(220)는 상기 7세그먼트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기타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다양한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 2 관통구(220)의 둘레에는 차단부(221)가 형성된다. 상기 차단부(221)는 상기 제 2 관통구(220)의 외측에서 상기 제 2 관통구(2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접착을 위한 접착부재(25)는 상기 차단부(221)의 외측 영역에만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부착시 상기 접착부재(25)의 두께에 의해 발생되는 제 1 관통구(21)와 제 2 관통구(220)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 공간을 통해서 빛이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단부(221)의 돌출 높이는 빛 샘을 차단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 전면에 부착되는 접착부재(25)가 압축되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접착부재(25)의 압축 전 높이보다는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도 2의 13-13' 절결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도 13의 A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상기 접착부재(25)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관통구(21)와 제 2 관통구(220)가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관통구(21)의 크기는 아주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관통구(220)의 크기보다 훨씬 더 작게 되며,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은 상기 하나의 제 2 관통구(220)의 내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3 관통구(321)가 상기 제 2 관통구(220)와 서로 일치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2 관통구(220)와 제 3 관통구(321)는 그 크기가 동일하며, 상기 리플렉터(320)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후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 2 관통구(220)와 제 3 관통구(321)는 서로 완전히 겹쳐지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관통구(321)와 제 2 관통구(220) 그리고 제 1 관통구(21)는 모두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제 3 관통구(321)와 제 2 관통구(220) 및 제 1 관통구(21)를 차례로 지나 냉장고 도어(10)의 외부로 조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된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는 확산시트(26)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확산시트(26)는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창(11)을 통해 조사되는 빛이 상기 디스플레이 창(11) 전체에 고르게 밝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확산시트(26)는 상기 디스플레이 창(11)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되어 상기 제 1 관통구(21) 전체를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센서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는 전체적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센서 하우징과, 상기 센서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센서 피시비(700), 상기 센서 피시비(700)를 지지하는 탄성부재(720) 그리고, 상기 센서 하우징의 개구된 전면에 결합되는 터치 부스터(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센서 하우징은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센서 피시비(70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하우징 커버(510)와 하우징 바디(5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510)는 상기 센서 하우징의 전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 결합부(511)가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커버(510)는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수용부(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이 노출되며, 상기 접착부재(25)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전면에는 개구(51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512)에는 터치 부스터(530)가 장착된다.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사용자가 상기 전면 패널(20)을 누름 조작하였을 때 발생되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변위를 아래에서 설명할 센서(75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그 상세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개구(512)는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장착시 상기 터치 부스터(53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구(512)의 둘레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리브(517)가 형성되며, 상기 센서 피시비(700)의 둘레와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센서 피시비(700)의 전후 유동시 상기 센서 피시비(700)가 기울어지지 않고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512)의 내측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부스터 지지부(5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스터 지지부(513)는 상기 터치 부스터(53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둘레를 후방에서 지지하여 상기 터치 부스터(530)에 압력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상기 터치 부스터(530) 자체가 설정 위치 이상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부스터 지지부(513)는 상기 개구(512)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부스터 지지부(513)에는 후크홈(514)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홈(514)은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후크(531)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형성되며, 상기 부스터 지지부(513)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후크홈(514)은 상기 부스터 지지부(513)가 아닌 상기 개구(512)에 인접하는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일측에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후크(531)와 후크홈(514)은 좌우 양측의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조작시 상기 터치 부스터(530)가 일 방향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크홈(514)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후크(531)가 상기 후크홈(514)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상기 하우징 커버(5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되 전후 방향으로는 소정의 간격만큼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상기 하우징 커버(5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전면이 상기 하우징 커버(510)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 및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될 때,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둘레면에는 커버 결합부(516)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결합부(516)는 하우징 바디(520)에 형성되는 바디 결합부(521)와 형합되는 부분으로, 후크 형상의 상기 커버 결합부(516)가 걸림 구속될 수 있는 홈 또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결합부(516)의 위치는 상기 커버 결합부(516)와 바디 결합부(521)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탄성부재(720)가 압축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즉, 상기 하우징 커버(510)와 하우징 바디(520)의 결합시, 상기 탄성부재(720)는 압축되어 상기 센서 피시비(700) 및 터치 부스터(530)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항상 돌출되어 상기 전면 패널(2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의 상기 전면 패널(20)의 누름 조작시 이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상면에는 전선홀(515)이 형성된다. 상기 전선홀(515)은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장착된 센서 단자(711)와 연결되는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가 출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다. 상기 전선홀(515)은 상기 하우징 커버(510)와 하우징 바디(52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520)는 상기 하우징 커버(510)와 결합되어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의 후반부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센서 피시비(70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 바디(520)의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절곡된 둘레면에는 다수의 바디 결합부(521)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 결합부(521)는 상기 하우징 바디(520)의 둘레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결합부(516)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 커버(510)와 하우징 바디(520)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 결합부(516)와 바디 결합부(521)는 모두 등 간격으로 배치되며 좌우 양측의 동일 위치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커버(510)와 하우징 바디(520)의 결합이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힘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720)가 조립과정 중에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 바디(520)의 둘레 상면에는 전선홀(5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홀(522)은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전선홀(515)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가 출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바디(520)의 바닥면에는 장착 가이드(523)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 가이드(523)는 다수의 상기 탄성부재(720)의 장착을 가이드 하는 것으로,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부착된 상기 탄성부재(7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장착 가이드(523)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720)의 가로폭과 대응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720)는 상기 장착 가이드(523)의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장착 가이드(523)의 좌우 양측면은 상기 탄성부재(720)의 좌우 양측단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720)가 압축되는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720)가 일 방향으로 뒤틀리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구비되는 상기 센서 단자(711)와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 바디(520)의 바닥면에는 단자 홀(524)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자 홀(524)은 상기 센서 단자(71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단자(711)가 상기 단자 홀(524)을 통해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 피시비(700)가 전후로 유동되더라도 상기 센서 단자(711)가 상기 하우징 바디(520)의 바닥과 간섭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는 상기 센서 단자(711)의 측면으로 결합되므로 상기 단자 홀(524)을 통해서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상기 센서 단자(711)의 결합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서 피시비(700)는 상기 스페이서(730)와 센서(750) 및 컨덕티브 포일(740)이 배치된 상태로 상기 센서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탄성부재(720)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상기 개구(512)에 전후 유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전면 패널(20) 및 컨덕티브 포일(740)과 접하여 누름 조작시 발생되는 변위를 상기 센서(750)로 즉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센서 피시비의 평면도(a)와 배면도(b)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컨덕티브 포일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센서 피시비(70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회로를 구성하는 구리 도막(712)이 인쇄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피시비(700)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상기 전면 패널(20)의 누름 변위를 감지하는 센서(750)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750)는 피에조 센서로 구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판(751)의 상면에 세라믹 소자(752)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판(751)은 사용자의 상기 전면 패널(20)의 터치 조작 압력에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세라믹 소자(752)는 이 압력에 따른 전기량의 변화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센서(750)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센서(750)의 형상이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750)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를 따라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750)가 장착되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의 전면에는 센서 지지부(713)가 형성된다.
상기 센서 지지부(713)는 상기 센서의 크기보다 직경이 작은 홈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750)의 둘레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금속판(751)의 둘레를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센서 지지부(713)는 상기 금속판(751)의 둘레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상기 센서 지지부(713)는 홈의 형태가 아닌 상기 금속판(751) 둘레를 지지하는 돌기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 지지부(713)의 크기는 상기 금속판(751)의 직경보다는 더 작게 형성되고 상기 세라믹 소자(752)의 직경보다는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금속판(751)은 전방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즉각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세라믹 소자(752)는 압력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센서 피시비(700)의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센서들의 양극과 상기 회로에 의해 연결되는 공통 접점(714)이 형성된다. 상기 공통 접점(714)은 다수의 상기 센서(750)들의 하면을 연결하게 되며,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의 접착시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의 도체 라인(741)과 접하여 다수의 상기 센서(750)들의 음극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센서가 통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센서 피시비(700)의 배면에는 상기 탄성부재(720)의 정확한 장착 위치를 표시하는 장착 표시부(715)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 표시부(715)는 인쇄 또는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720)가 장착되는 위치를 나타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720)의 장착 위치, 즉 상기 장착 표시부(715)의 위치는 상기 센서(750)의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도 17에서 볼 때)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720)의 장착 위치 즉 상기 장착 표시부(715)의 위치는 상기 센서(750)의 외측단보다 더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720)에 의해 상기 센서(750)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센서(750)의 감지 능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다수의 탄성부재(720)들은 상기 센서(750)와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하여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동일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상기 센서(750)의 위치는 상기 바디 결합부(521) 및 커버 결합부(516)와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센서(750)의 좌우 양측방의 동일 연장선상에 상기 바디 결합부(521)와 커버 결합부(516)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750)와 인접한 한쌍의 상기 탄성부재(720) 사이에 상기 바디 결합부(521)와 커버 결합부(516)가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상기 센서(750)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양측에는 상기 바디 결합부(521)와 커버 결합부(516)가 위치하며, 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한쌍의 탄성부재(720)가 위치하게 된다. 다수의 상기 바디 결합부(521)와 커버 결합부(516)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720)들은 모두 이러한 배치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이로 인해 상기 센서 하우징 내부에 위치된 상기 센서 피시비(700) 전체에 고른 압력이 제공되고, 다수의 센서(750)들 모두 동일한 조건에서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센서 피시비(700)의 전면에는 스페이서(730)가 부착된다. 상기 스페이서(730)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와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이 접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성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730)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 및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730)는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이 적정한 높이에서 상기 센서(750)의 상면 및 상기 공통 접점(714)과 접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센서(75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센서홀(731)이 천공되어 형성된다. 상기 센서홀(731)은 상기 센서(750)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센서(750)가 상기 센서홀(731)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750)의 작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홀(731)은 상기 센서(750)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만큼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센서홀(731)에는 소정의 길이로 절개된 벤트홀(732)이 형성된다.
상기 벤트홀(732)은 상기 스페이서(730)의 부착시 발생되는 기포의 배출을 위한 것으로, 상기 스페이서(7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모두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730)는 상기 센서홀(731)에서 상기 벤트홀(73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730) 및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이 부착될 때, 정확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페이서(730) 및 컨덕티브 포일(740)에는 가이드부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페이서(730) 및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에 제공되는 관통홀(733,744)로 상기 관통홀(733,744)은 상기 스페이서(730) 및 컨덕티브 포일(740)을 따라서 복수개가 형성되며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는 상기 관통홀(733,744)과 대응하는 위치에 작업봉(760)을 배치하여 대응하는 작업봉(760)에 상기 관통홀(733,744)을 통과시켜 상기 스페이서(730)와 컨덕티브 포일(740)을 차례로 부착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730)와 컨덕티브 포일(740)은 정확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제공되는 센서(750)와 정확한 간격을 유지하여 다수의 센서(750)들에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은 피이티(PET)와 같은 수지 필름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피시비(700) 및 상기 스페이서(730)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에는 다수의 상기 센서(750)들의 상면과 상기 공통 접점(714)을 모두 연결할 수 있는 메쉬 형상의 도체 라인(741)이 형성된다. 상기 도체 라인(741)은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의 하면에 실버 소재로 인쇄되며, 상기 도체 라인(741)이 인쇄된 면이 상기 스페이서(730)와 접착되고 동시에 상기 센서(750) 및 공통 접점(714)과 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에는 상기 센서(750)가 정확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이너 가이드 라인(742)과 아우터 가이드 라인(743)이 인쇄 형성된다. 상기 이너 가이드 라인(742)은 상기 세라믹 소자(752)의 크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가이드 라인(743)은 금속판(751)의 크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750)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세라믹 소자(752)는 상기 이너 가이드 라인(742)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금속판(751)은 상기 아우터 가이드 라인(743)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격자 또는 메쉬 형상의 도체 라인(741)은 상기 공통 접점(714)과 상기 센서(750)의 상면 즉 음극을 연결하여 상기 센서(750)가 통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1은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터치 부스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개구(512)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512)를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좌우 양측단에는 후크(531)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531)는 상기 하우징 커버(510)에 형성되는 후크홈(514)과 결합되는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531)는 상기 후크홈(514)의 내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부스터(530)에는 상기 센서(750)의 개수와 대응하는 다수의 탄성 변형부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 변형부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터치부(12) 및 상기 센서(75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터치부(12)를 누르게 되면 상기 전면 패널(20)의 변형에 따라 상기 터치부(12)의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센서(750)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부(12)에서 손을 뗄 경우 상기 탄성 변형부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 되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탄성 변형부는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개구된 영역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532)와, 상기 제 1 연장부(532)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533) 그리고, 상기 제 1 연장부(532)와 제 2 연장부(533)가 연결되도록 중앙에 배치되는 공통부(5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532)와 제 2 연장부(533)는 상기 공통부(534)가 유동 가능하도록 비교적 좁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되 적어도 1 회 이상 절곡되어 탄성 변형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장부(532)와 제 2 연장부(533)는 상기 공통부(534)의 둘레를 따라 연장 및 절곡되며, 상기 공통부(534)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장부(532)와 제 2 연장부(533) 및 상기 공통부(534)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상기 공통부(534)의 중심을 향하는 나선 형상으로 절개되어 절개부(536)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연장부(532)와 제 2 연장부(533) 및 상기 공통부(534)의 둘레를 따라서 절곡되는 형상으로 절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통부(534)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535)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535)는 상기 공통부(534)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센서(750)의 중앙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공통부(534)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센서(750)의 중앙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도 22는 도 2의 22-22' 절결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3는 도 22의 B부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4는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접착부재(25)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전면과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와 터치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터치 부스터(530)에는 접착부재(25)가 제공되지 않으며,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밀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의 조립시 상기 탄성부재(720)가 압축되면서 상기 센서 피시비(700)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 피시비(700)는 상기 터치 부스터(530)와 밀착된다.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상기 하우징 커버(5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되며, 상기 탄성부재(720)의 가압에 의해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전면보다는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착부재(25)에 의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와 하우징 커버(510)가 상기 전면 패널(20)에 접착되는 상황에서도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전면이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전면 패널(20)의 터치부(12)를 터치하게 되면, 조작되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영역에서 변위가 발생되며, 상기 전면 패널(20)의 변위는 완전히 밀착된 상태의 터치 부스터(530)를 통해서 상기 센서(750)로 즉각적으로 전달되어 가압하게 되고, 이를 통해서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720)는 조작시 압력에 따라 더 압축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후크(531)와 후크홈(514) 간의 결합에 의해 후방으로 다소 유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부(12)에서 손을 떼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720)의 복원력과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복원력 그리고 상기 센서(750)의 금속판(751)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센서 피시비(700)와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조작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사용자의 상기 터치부(12) 조작시 상기 전면 패널(20)에 변형이 발생되고, 상기 전면 패널(20)의 변형에 의한 가압에 의해 상기 센서(750)에서는 전기량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를 상기 센서 제어부(314)로 전달하여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20)에 표시된 터치부(12) 영역을 눌렀을 때 사용자의 조작이 가장 정확하게 인식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상기 터치부(12)의 외에 다른 영역을 눌렀을 때에는 상기 센서(750)에서 정확한 동작을 인식할 수 없으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상기 센서(750)가 누름 조작을 인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터치부(12)의 사이 영역을 누르게 되면, 하나의 판상으로 형성된 상기 전면 패널(20)의 구조의 특성상 두개의 센서(750)가 동시에 누름 동작을 인식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냉장고(1)의 동작을 정확하게 지시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구조 및 사용 특성상 도어(10)가 닫히게 될 때 충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충격에 의한 상기 전면 패널(20)의 일시적인 변형 또는 복수의 상기 센서(750)에 순간적인 가압 상황이 발생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때에 의도하지 않은 상기 센서(750)의 인식에 의해 오작동 상황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센서(750)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탄성부재(720)에 의해 상기 센서 피시비(700)가 지지되고, 상기 센서 피시비(700)상에 상기 센서(750)가 실장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720)는 위치의 특성상 상기 센서의 양측에서 상기 센서(750) 외측단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센서 피시비(700)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상기 터치부(12)의 사이 영역을 누르게 되면,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상기 센서(750) 측으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탄성부재(720)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즉, 상기 전면 패널(20)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탄성부재(720)에 작용 되어 상기 센서(750)로 전달되는 힘이 줄어들게 되어 인접하는 센서(750)가 인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10)가 닫힐 때 발생되는 충격을 상기 탄성부재(720)가 흡수하여 완충함으로써 상기 센서(750)에 전달되는 압력을 최소화하여 오조작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센서 어셈블리(500)는 이와 같은 구조 외에 다른 구조를 통해 사용자 조작시의 터치 오작동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이를 도면을 통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터치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조의 개요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는 복수의 센서(750)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센서(750)들의 사이에는 누름 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누름 지지부재(770)는 상기 전면 패널(20)과 상기 센서 피시비(700)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센서(750)의 높이보다는 적어도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전면 패널(20)의 터치부(12)가 아닌 그 사이의 영역을 누르게 되더라도, 사용자의 누르는 힘은 상기 누름 지지부재(770)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며 상기 누름 지지부재(770)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상기 센서(750)로는 압력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 지지부재(770)는 상기 전면 패널(20)을 지지하게 되어 상기 전면 패널(20)의 누름 변형을 구조적으로 방지하게 되어 상기 전면 패널(20)의 변형에 의한 상기 센서(750)들의 동시 인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터치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조의 개요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센서(750)의 신호를 처리하는 상기 센서 제어부(314)에서 서로 이웃하는 터치부(12)의 누름 신호가 동시에 발생하게 되면, 상기 센서 제어부(314)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무시하고 누름 신호를 처리하지 않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센서 제어부(314)에서는 상기 센서(75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량의 변화값을 감지하여, 상기 냉장고(1)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하지만, 두개 이상의 상기 센서(750)로부터 동시에 설정량 이상의 전기량 변화가 발생될 경우, 상기 센서 제어부(314)에서는 이를 오조작 상황으로 판단하여 입력 신호를 무시하게 되고, 조작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터치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조의 개요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 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센서(750)들 사이에 더미 센서(780)를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전면 패널(20) 상에 형성된 상기 터치부(12)가 아닌 사이의 영역을 누르게 될 경우, 상기 더미 센서(780)에서 조작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더미 센서(780)에서 발생되는 전기량의 변화값 크기가 인접하는 다른 센서(750)들의 전기량의 변화값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센서 제어부(314)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잘못되었음을 판단하여 다른 센서(750)들의 입력 신호를 무시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더미 센서(780)에서 발생되는 전기량의 변화값이 더 큰 경우에는 사용자의 조작이 잘못되었음을 판단하여 상기 표시부(11)를 통해 오조작 되었음을 표시하거나 음향 출력장치(340)을 이용하여 외부로 오조작을 음성 안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오조작시 냉장고의 동작을 위한 신호 입력을 무시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일반적인 운전 상태의 조작 외에 냉장고의 상태 진단 또는 일반적인 운전 상태가 아닌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다양한 특수 모드로의 진입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특수 모드는 예컨데 터치부의 조작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감도 설정 모드와, 냉장고의 각 구성의 운전 상태를 진단하는 검사 모드, 아이스 메이커 등의 개별 구성의 정상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 판매를 위해 매장에 전시하게 될 때의 매장 전시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감도 설정 모드의 진입 및 감도 설정 작업의 수행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감도 설정 모드 수행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9는 상기 감도 설정 모드의 진입시 조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0은 상기 감도 설정 모드에서 감도 설정 조작시의 일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1은 상기 감도 설정 모드에서 감조 설정 조작시의 다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에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 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다수의 상기 터치부(12) 부분 중 어느 하나를 눌러 상기 냉장고(1)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에 따라 상기 터치부(12)를 누르는 힘이 다르며 선호하는 누름 조작의 세기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기존에 감도 설정이 아닌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다수의 터치부(12)의 조합된 조작에 의해, 상기 센서(750)가 상기 터치부(12)의 누름 조작을 유효하게 인식하는 감도를 조절하여 설정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도 2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상기 터치부(12) 중 "냉장 온도"라고 표시된 제 1 터치부(12a)를 누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터치부(12a)를 누른 후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초)가 경과 되기 전에 "잠금 풀림"이라고 표시된 제 4 터치부(12d)를 연속하여 3회 누르게 되면 감도 설정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4 터치부(12d)를 연속하여 3회 누르는 조작 또한 설정시간(예를 들어 3초) 이내에 이루어져야 하며, 물론 상기 설정 시간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상기 감도 설정 모드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창(11)은 모두 꺼지게 되며, 사용자는 감도 설정을 원하는 다수의 터치부(12) 중 어느 하나의 터치부(12)를 누르게 되면 해당하는 터치부(12)의 현재 감도가 표시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창(11)의 상기 숫자 표시부(11a) 및 기호 표시부(11b)는 모두 5개이며, 상기 터치부(12) 또한 5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터치부(12)와 대응하는 측방에는 1개씩의 상기 숫자 표시부(11a) 또는 기호 표시부(11b)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0에서와 같이 감도 설정 모드로 진입된 상태에서 제일 상방에 위치된 "냉장 온도"라고 표시된 제 1 터치부(12a)의 감도 조절을 위해 상기 제 1 터치부(2a)를 누르게 되면, 측방에 위치된 숫자 표시부(11a)가 점멸되면서 현재의 감도를 숫자의 형태로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감도 조절을 위해서 현재 선택된 터치부(12)의 확인은 물론 현재의 감도까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도 31에서와 같이, 감도 설정 모드로 진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감도의 조절을 위해서 "제균 탈취"라고 표시된 제 3 터치부(12c)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제 3 터치부(12c)의 측방에 위치된 필터 형상의 기호 표시부(11b)가 점멸되고, 상방의 숫자 표시부(11a)에서는 현재의 감도를 숫자의 형태로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감도의 조절을 원하는 터치부(12)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터치부(12) 및 선택된 터치부(12)의 감도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해당 터치부(12)를 반복하여 누름으로써 선택된 터치부(12)의 감도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컨데, 도 30에서와 같이 현재 제 1 터치부(12a)의 감도 설정값이 "3"으로 표시되는 특정 값인 단계에서 상기 제 1 터치부(12a)를 한번 더 누르게 되면 감도 설정값은 1단계 더 높아지게 되며 상기 숫자 표시부(11a)에서는 숫자 "4"가 표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터치부(12a)를 추가적으로 누르는 횟수에 따라서 상기 숫자 표시부(11a)에서 표시되는 숫자는 커지게 되고 상기 제 1 터치부(12a)의 감도 설정값 또한 그 단계가 높아지게 된다.
감도 설정값의 단계는 상기 호스트 제어부(316)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감도 설정값이 가장 높은 단계에서 다시 상기 제 1 터치부(12a)를 누르게 되면, 감도 설정값이 최저인 단계로 돌아가게 되며, 다시 상기 숫자 표시부(11a)로 표시되는 숫자는 "1"이 된다. 이때, 상기 감도 설정값의 설정 가능한 최저값은 상기 센서(750)의 노이즈 레벨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것이며, 숫자가 낮을수록 상기 센서(750)는 민감하게 상기 터치부(12)의 조작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감도 설정의 조작은 설정된 시간 예컨데 마지막 터치부(12) 조작 후 3초 이내에 이루어져야만 하며, 설정 시간이 경과 된 경우에는 마지막 선택된 감도 설정값이 상기 저장부(315)에 저장되고 감도 설정 모드가 종료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감도 설정 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창(11)은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일반적인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한편, 상기 감도 설정 모드로의 진입을 위해 조작되는 상기 제 1 터치부(12a)와 제 4 터치부(12d)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누름 방식의 조합을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일 뿐으로, 설정에 따라 다른 터치부(12)의 조합으로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한 터치부(12)의 조작은 설정에 따라, 감도 설정 모드가 아닌 다른 특수 모드의 조작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검사 모드 진입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상 운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검사 모드로의 진입을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는 "특급 냉동"이라고 표시된 제 3 터치부(12c)를 누른 후 설정시간(예를 들어 3초)가 경과하기 전에 "냉동 온도"라고 표시된 제 2 터치부(12b)를 누르고 있게 되면 검사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제 2 터치부(12b) 또한 설정시간 동안 누르고 있는 상태가 되어야 하며, 사용자는 설정된 시간 동안 누른 후 검사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손을 떼고 진입 조작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검사 모드는 냉장고(1)가 제조 완료된 직후 또는 출하 전에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냉장고(1)의 전체적인 세팅을 확인하거나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검사 모드로의 진입을 위해 조작되는 상기 제 3 터치부(12c)와 제 2 터치부(12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누름 방식의 조합을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일 뿐으로, 설정에 따라 다른 터치부(12)의 조합으로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한 터치부(12)의 조작은 설정에 따라, 검사 모드가 아닌 다른 특수 모드의 조작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테스트 모드 진입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상 운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테스트 모드로의 진입을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는 냉장고 도어(1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 풀림"이라고 표시된 제 5 터치부(12e)을 누른 후 설정시간(예를 들어 3초)가 경과하기 전에 "냉장 온도"라고 표시된 제 1 터치부(12a)을 누르고 있게 되면 테스트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제 1 터치부(12a) 또한 설정시간 동안 누르고 있는 상태가 되어야 하며, 사용자는 설정된 시간 동안 누른 후 테스트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손을 떼고 진입 조작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는 냉장고(1)의 사용중 문제 발생시 서비스를 위한 것으로 사용자 또는 서비스 작업자가 테스트 모드로 진입하여 아이스 메이커와 디스펜서 등과 같은 냉장고(1) 내에 구비되는 장치의 정상 작동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테스트 모드로의 진입을 위해 조작되는 상기 제 5 터치부(12e)와 제 1 터치부(12a)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누름 방식의 조합을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일 뿐으로, 설정에 따라 다른 터치부(12)의 조합으로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한 터치부(12)의 조작은 설정에 따라 테스트 모드가 아닌 다른 특수 모드의 조작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매장 전시 모드 진입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상 운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매장 전시 모드로의 진입을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는 냉장고 도어(1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특급 냉동"이라고 표시된 제 4 터치부(12d)을 누른 후 설정시간(예를 들어 2초)가 경과하기 전에 "냉장 온도"라고 표시된 제 1 터치부(12a)을 누르고 있게 되면 매장 전시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제 1 터치부(12a) 또한 설정시간(예를 들어 3초) 동안 누르고 있는 상태가 되어야 하며, 사용자는 설정된 시간 동안 누른 후 매장 전시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손을 떼고 진입 조작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매장 전시 모드에서는 냉장고(1)의 판매 전시를 위해 전시되는 상태에 적합하도록 냉장고의 운전 상태 또는 설정 상태를 변경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매장 전시 모드는 고내 온도의 유지 필요가 없으며, 제상 운전 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압축기의 구동 및 히터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장 전시 모드로의 진입을 위해 조작되는 상기 제 4 터치부(12d)와 제 1 터치부(12a)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누름 방식의 조합을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일 뿐으로, 설정에 따라 다른 터치부(12)의 조합으로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한 터치부(12)의 조작은 설정에 따라 매장 전시 모드가 아닌 다른 특수 모드의 조작에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각각 다른 방법으로 다양한 특수 모드로의 진입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모드들 외에 다른 특수 모드로의 진입도 가능할 것이며, 전술한 터치부(12)의 조합 외에 다른 터치부(12)의 조작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35는 종래기술에 의한 터치센서가 구비된 가전기기에서의 터치 조작 감지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종래의 가전기기의 외관 일부는 외장부재(2)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장부재(2)는 금속소재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장부재(2)의 배면에는 접착제(3)가 도포된다. 그리고, 센서 피시비(5)에 실장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 압력을 감지하는 터치센서(4)가 접착제에 의해 상기 외장부재의 배면에 고정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외장부재(2)를 누르는 터치 조작시 상기 터치센서(4)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여 가전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외장부재(2)의 두께(D1)가 얇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외장부재(2)를 터치 조작하게 될 때 상기 외장부재가 일시적으로 눌려지게 된다. 상기 외장부재(2)를 소정의 크기 이상의 힘(F1)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외장부재(2)는 상기 접착제(3)와 함께 눌려지게 되어 상기 터치센서(4)에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센서(4)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가 설정된 압력보다 더 크게 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하게 된다. 즉, 상기 터치센서(4)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의 크기가 감지 가능 전압 레벨 이상이 되는 경우 유효한 터치 조작으로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효한 터치 조작을 위해서 상기 외장부재를 특정 압력 이상으로 눌러서 조작하게 된다.
한편, 도 3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외장부재(2)는 필요에 따라서 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되거나, 강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데, 상기 냉장고의 경우 상기 외장부재(2)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는 도어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경우 발포 압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외장부재(2)는 통상 0.5mm 두께(D2)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냉장고를 포함한 다른 가전기기들에서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외장부재(2)에 찌그러지거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반복적인 터치 조작 또는 과도한 누름에 의한 상기 외장부재(2)에 영구적인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외장부재(2)는 0.5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외장부재(2)의 두께가 두꺼워 지게 되는 경우에는, 도 35의 (a)에서와 같은 크기의 힘(F1)으로 상기 외장부재(2)를 눌러서 터치 조작하게 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상기 외장부재(2)가 더 작게 변형된다. 또한, 상기 외장부재(2)의 변형이 작게 되면 상기 접착제(3)가 가지는 탄성에 의해 흡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터치센서(4)로 전달되는 압력의 크기는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즉, 도 35의 (a)에서와 동일한 크기의 힘(F1)으로 상기 외장부재(2)를 누르게 되더라도 상기 터치센서(4)에 전달되는 압력의 크기는 훨씬 더 작아진다. 따라서, 도 3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센서(4)에서 발생되는 전압은 유효한 터치 조작으로 감지되기 위한 전압의 레벨에 도달하지 못하고, 결국 터치 조작을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접착제(3)를 사용하지 않고 탄성부재(720)에 의해 상기 터치센서(4)가 외장부재(2)와 대응하는 전면 패널(20)에 직접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720)에 의해 터치센서(4)가 전면 패널(20)의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여 전면 패널(20)의 작은 변형으로도 상기 터치센서(4)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터치센서(4)의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센서의 터치 조작 감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전면 패널(20)은 가전기기의 외관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금속 소재의 판 또는 시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은 소정의 두께(D2)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면 패널(20)은 냉장고를 포함한 가전기기의 외장부재로서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0.4 ~ 1.0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발포 압력에 의한 변형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한 영구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0)에는 사용자가 터치 조작을 하는 터치부(도 3에서 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12)는 사용자의 유효한 터치 조작을 유도하기 위하여 터치 조작되는 부위를 상기 전면 패널의 전면에 표시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인쇄나 에칭 등 다양한 표면 가공을 통해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20)에는 터치부(12) 외에도 윈도우 창(도 3에서 11)이 더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 창(11)은 상기 터치부(12)와 함께 모듈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실장된 터치센서(7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75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압전 소자 또는 저항셀(저항막) 방식의 소자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터치센서(750)는 압전 소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압전 소자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20)의 터치부(12)가 터치될 때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의 변화로 터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센서(750)는 저항셀 방식의 소자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일정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20)의 터치부(12)가 터치될 때 발생되는 압력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압력의 변화를 산출하고 이를 통해 터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750)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터치부(12)에 직접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기 터치부(12) 조작시의 힘이 손실되지 않고 즉각적으로 상기 터치센서(75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터치센서(750)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실장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상기 터치센서(750)가 상기 터치부(12)의 각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나의 센서 피시비(700) 상에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센서 피시비(700)는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터치센서(750)가 상기 센서 피시비(700)들에 각각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는 상기 터치센서(750)를 가압할 수 있는 탄성부재(7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센서(750)는 상기 탄성부재(720)에 의해서 상기 전면 패널(20) 측으로 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720)의 압축 탄성력(F2)에 의해서 상기 터치센서(750)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면 패널(20)의 방향으로 가압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센서(750)에는 상기 탄성부재(720)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터치센서(750)의 기본 전압(base voltage)은 상기 탄성부재(720)에 의해 소정의 크기 만큼 제공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720)의 배치는 도 17에서와 같이 상기 터치센서(750)의 바깥쪽에 대응하는 센서 피시비(7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터치센서(750)를 상기 전면 패널(20)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면 다양한 다른 위치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720)의 형상 또한 육면체의 형상이 아닌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 등 소재와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터치센서(750)를 상기 전면 패널(20)측으로 가압할 수 있는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터치센서의 감지 상태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6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전면 패널(20)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전면 패널(20)은 변형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하지만, 상기 터치센서(750)는 상기 탄성부재(720)에 의해서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을 향하여 가압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터치센서(750)는 일정한 크기의 기본 전압을 가지게 된다.
이때의 상기 기본 전압은 상기 탄성부재(720)의 탄성력(F2)에 의한 것으로, 터치센서(750)의 감지 가능 전압보다는 더 낮게 설정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720)의 탄성력(F2)의 조절을 통해서 상기 터치센서(750)에 상기 기본 전압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전면 패널(20)의 상기 터치센서(75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터치 터치부(12)를 누르게 되면, 도 36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전면 패널(20)은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전면 패널(20)의 변형은 상기 터치센서(750)로 직접 전달되며, 상기 터치센서(750)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변형에 의한 압력을 그대로 전달받게 된다.
이때, 상기 전면 패널(20)을 터치 조작할 때 사용자가 누르게 되는 힘(F1)의 방향은 상기 탄성부재(720)에 의해 상기 터치센서(750)에 가해지는 압축 탄성력(F2)의 방향과 반대 방향이 되므로 상기 터치센서(750)에는 실질적으로 양방향의 힘(F1,F2)이 더해져서 가압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720)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20) 측으로 가압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전면 패널(20)을 누르게 되면 상기 터치센서(750)는 상기 기본 전압에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 변화가 더해지게 되어 터치 조작의 감지 가능 전압 레벨을 넘어서게 된다.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20)이 작은 크기로 변형되더라도 상기 전면 패널(20)의 변형량은 손실 없이 상기 터치센서(750)로 그대로 전달된다. 동시에 상기 터치센서는 상기 탄성부재(720)에 의해 제공되는 압축 탄성력(F2)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20)의 작은 변형에도 터치 조작의 감지 가능 전압 레벨보다 큰 전압을 발생킬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터치센서(750)는 민감도가 향상되며, 전면 패널(20)이 충분한 강도와 두께(D2)를 가지는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터치센서(750)가 저항셀 방식으로 구성된 경우에도 이러한 작용 효과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20)가 상기 터치센서(750)를 터치부(12)의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일정한 전류가 가해지는 상태에서 가압에 의해 상기 터치센서(750)의 저항값이 감소하게 되며 저항값의 감소로 인해 기본전압이 일정 크기 이상 작용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터치부(12)를 터치 조작하게 되면, 상기 전면 패널(20)의 일부가 변형되면서 상기 터치센서(750)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추가 압력에 의해 저항값은 감소되고 이에 따라 전압이 증가하여 도 36의 (b)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 예는 냉장고(1)의 전면 패널(20)에 터치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관을 형성하는 금속제 패널에 터치센서가 부착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세탁기와, 식기세척기, 조리기기 등 다양한 가전기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Claims (6)

  1.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냉장고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창 및 터치부가 형성된 전면 패널;
    전면부가 접착 부재에 의하여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고, 상기 터치부의 후방에 대응하는 어느 지점에 수용부가 함몰 형성되는 커버 디스플레이;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어 상기 터치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밀착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전면부의 가장자리가 접착 부재에 의하여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프레임;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프레임, 및 상기 도어 라이너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채워지는 단열재;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창의 후방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수용 공간을 정의하는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서 상기 전면 패널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 후면의 양 측면 가장자리를 상기 전면 패널 쪽으로 가압하는 커버 지지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지지부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는, 양 측단에서 후방으로 다수 회 절곡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에 삽입되는 프레임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87035979A 2014-11-07 2015-11-06 냉장고 KR101993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781 2014-11-07
KR20140154781 2014-11-07
PCT/KR2015/011956 WO2016072802A1 (en) 2014-11-07 2015-11-06 Metal touch sens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having metal touch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720A Division KR101931681B1 (ko) 2014-11-07 2015-11-06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546A Division KR102023152B1 (ko) 2014-11-07 2015-11-06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987A KR20180135987A (ko) 2018-12-21
KR101993004B1 true KR101993004B1 (ko) 2019-06-26

Family

ID=6939990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546A KR102023152B1 (ko) 2014-11-07 2015-11-06 냉장고
KR1020167034720A KR101931681B1 (ko) 2014-11-07 2015-11-06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20187035979A KR101993004B1 (ko) 2014-11-07 2015-11-06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546A KR102023152B1 (ko) 2014-11-07 2015-11-06 냉장고
KR1020167034720A KR101931681B1 (ko) 2014-11-07 2015-11-06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330380B2 (ko)
EP (2) EP3215798B1 (ko)
JP (1) JP6334063B2 (ko)
KR (3) KR102023152B1 (ko)
CN (1) CN106461316A (ko)
WO (1) WO20160728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800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CN105588400B (zh) 2014-11-07 2018-04-13 Lg电子株式会社 冰箱及冰箱控制方法
KR101659181B1 (ko) 2014-12-22 2016-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59180B1 (ko) 2014-12-22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68922B1 (ko) 2014-12-2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8921B1 (ko) 2014-12-2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59184B1 (ko) 2014-12-24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 제조 방법
EP3147609B1 (en) * 2015-09-25 2023-07-26 Lg Electronics Inc. A refrigerator door including an exterior member
WO2017071725A1 (de) * 2015-10-30 2017-05-04 Diehl Ako Stiftung & Co. Kg Kapazitiver berührungsschalter
KR101736608B1 (ko) 2015-11-27 2017-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180250B2 (en) * 2016-07-27 2019-01-15 Whirlpool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a household appliance
CN108061316A (zh) * 2016-11-08 2018-05-22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烹饪器触摸灵敏度的调整方法、装置及电烹饪器
CN110337574A (zh) * 2017-03-03 2019-10-15 夏普株式会社 冰箱及冰箱门的制造方法
CN107153482B (zh) * 2017-03-20 2021-08-17 联想(北京)有限公司 金属触控板及电子设备
KR102318556B1 (ko) * 2017-04-12 2021-10-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980293A (zh) * 2017-04-27 2017-07-25 陈雪燕 一种表面无按键使用方法
KR101913949B1 (ko) 2017-06-26 2018-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JP6876141B2 (ja) * 2017-10-13 2021-05-26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入力装置
JP7102133B2 (ja) * 2017-12-05 2022-07-19 シャープ株式会社 操作装置、洗濯機
KR102551391B1 (ko) * 2017-12-06 2023-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아웃 플레이트
KR102097013B1 (ko) * 2018-07-31 2020-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
KR102630165B1 (ko) * 2018-10-23 2024-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CN111189289B (zh) * 2018-11-14 2021-10-29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抽屉的上盖组件、抽屉及冰箱
KR20200059487A (ko) * 2018-11-21 2020-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패널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109780800B (zh) * 2019-01-04 2023-03-31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具有显示屏组件的门中门及具有其的冰箱
CN112304009B (zh) * 2019-08-02 2022-01-21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冰箱的门体及其装配方法
KR20210065579A (ko) * 2019-11-27 2021-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81991A (ko) * 2019-12-24 2021-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74961B1 (ko) * 2020-03-18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
KR102405364B1 (ko) * 2020-06-03 2022-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든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냉장고
KR102366479B1 (ko) * 2020-10-06 2022-02-22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전기레인지용 히든타입 조작 입력 장치, 전기레인지용 조작입력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
CN112732129B (zh) * 2021-01-12 2022-11-29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结构及电子装置
US11796249B2 (en) 2021-05-07 2023-10-2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ingle button capacitive user interface
US20230213268A1 (en) * 2022-01-04 2023-07-0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s
KR20230151126A (ko) * 2022-04-22 202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어셈블리 및 냉장고
KR20230157184A (ko) * 2022-05-09 2023-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전 용량 방식 도어 센서 및 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
WO2024019477A1 (ko) * 2022-07-18 2024-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의 터치 감도를 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가전기기

Family Cites Families (9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6699A (en) 1975-11-13 1977-11-01 Essex International, Inc. Touch plate assembly
JPS5814433A (ja) * 1981-07-17 1983-01-27 リズム時計工業株式会社 タツチスイツチの誤動作防止装置
JPH0695803B2 (ja) 1986-03-28 1994-1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の絶縁抵抗測定用端子
JPH0660031A (ja) 1992-08-11 1994-03-04 Toshiba Corp トランザクション処理状況表示装置
JPH0695803A (ja) * 1992-09-17 1994-04-08 Oki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センサのエラー通知方法
JPH0660031U (ja) * 1993-01-26 1994-08-1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に内蔵された感圧素子の予圧構造
DE19645678C2 (de) * 1996-11-06 2000-05-25 Preh Elektro Feinmechanik Bedieneinheit zum Schalten und Steuern von Haushaltsgeräten
US5923522A (en) 1997-06-27 1999-07-13 Eaton Corporation Capacitive switch with elastomeric membrane actuator
KR100292502B1 (ko) 1998-11-07 2001-07-12 구자홍 터치스위치및그의대전층제조방법
US6242076B1 (en) 1999-02-08 2001-06-05 Michael D. Andriash Illuminated imageable vision control panels and methods of fabricating
KR100346266B1 (ko) 2000-06-01 2002-07-26 엘지전자주식회사 평판형 발광소자를 백라이트로 이용한 터치 스위치 장치
JP3795323B2 (ja) 2000-12-05 2006-07-12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異物検出方法
US20030043449A1 (en) 2001-09-03 2003-03-06 Ngk Insulators,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TWI238348B (en) 2002-05-13 2005-08-21 Kyocera Corp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a
US7155317B1 (en) 2004-08-20 2006-12-26 Nhan Tran Occupant Counter Control Switch for automatic turning on and off electrical appliances in a room
US7911321B2 (en) 2004-10-26 2011-03-22 Adac Plastics, Inc. Keyless entry system incorporating concealable keypad
WO2006066097A2 (en) 2004-12-17 2006-06-22 Stoneridge Control Devices, Inc. Touch sensor system and method
JP2006250485A (ja) 2005-03-14 2006-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の扉装置
US7255466B2 (en) * 2005-05-17 2007-08-14 Lear Corporation Illuminated keyless entry control device
KR100634365B1 (ko) 2005-08-11 2006-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MXPA06009347A (es) 2005-08-19 2007-03-01 Ego Control Systems Gmbh Dispositivo sensor.
JP2007100995A (ja) 2005-09-30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つき加熱装置
US7543453B2 (en) 2005-12-09 2009-06-09 Whirlpool Corporation Measured fill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US8089473B2 (en) 2006-04-20 2012-01-03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Touch sensor
CN102172422B (zh) 2006-07-24 2013-08-14 沃尔夫冈·赫尔曼 臭氧或者臭氧/氧气混合气体的计量系统
US7573701B2 (en) 2006-08-30 2009-08-11 U-Line Corporation Electronic control mount with switch support and light guide
KR100756451B1 (ko) 2006-09-15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모드 제어방법
WO2008051001A1 (en) 2006-10-25 2008-05-02 Lg Electronics Inc. Display for refrigerator
CN101535748B (zh) 2006-12-06 2013-03-20 Lg电子株式会社 冰箱用显示装置以及冰箱用显示装置的输入装置
KR20080056559A (ko) 2006-12-18 2008-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기기 그리고 이의명령 입력방법
KR100881186B1 (ko) 2007-01-04 2009-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US20080196945A1 (en) 2007-02-21 2008-08-21 Jason Konstas Preventing unintentional activation of a sensor element of a sensing device
US20090033635A1 (en) * 2007-04-12 2009-02-05 Kwong Yuen Wai Instruments, Touch Sensors for Instruments, and Methods or Making the Same
CN101809691B (zh) 2007-04-20 2012-07-18 英克-罗吉克斯有限公司 模内成型的电容式开关
DE102007054778A1 (de) 2007-11-16 2009-05-20 Diehl Ako Stiftung & Co. Kg Bedienvorrichtung mit wenigstens einem Druckschalter
KR101043527B1 (ko) 2007-12-05 2011-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지문 코팅층을 갖는 가전제품의 스테인리스 스틸 외부 케이스
KR101346502B1 (ko) * 2008-02-21 201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KR101437984B1 (ko) * 2008-03-07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수평조절장치
KR20090127580A (ko) * 2008-06-09 2009-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전제품
US20090322700A1 (en) * 2008-06-30 2009-12-3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wo simultaneous touches and gestures on a resistive touchscreen
JP4353314B1 (ja) * 2008-07-02 2009-10-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DE102008033369A1 (de) 2008-07-08 2010-01-14 E.G.O. Elektro-Gerätebau GmbH Bedieneinrichtung für ein Elektrogerät und Auswerteverfahren für diese Bedieneinrichtung
FR2934921B1 (fr) 2008-08-05 2010-09-24 Stantum Capteur tactile multicontacts a moyens d'espacement de taille et impedance variables
US8648832B2 (en) 2008-09-25 2014-02-11 Stoneridge Control Devices, Inc. Touch sensor system and method
CN101738051B (zh) 2008-11-27 2012-10-31 无锡松下冷机有限公司 电冰箱
CN101741371B (zh) * 2008-11-27 2012-03-21 无锡松下冷机有限公司 触摸开关
DE102008062216B4 (de) 2008-12-13 2010-09-23 Diehl Ako Stiftung & Co. Kg Bedienvorrichtung mit wenigstens einem Druckschalter
EP2202619A1 (en) 2008-12-23 2010-06-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actile touch-sensitive input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1132463B1 (ko) * 2009-02-20 2012-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든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DE102009010952A1 (de) 2009-02-27 2010-09-09 Schott Ag Beschichtung für den Anzeigebereich von Glas- oder Glaskeramik-Scheib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Beschichtung und deren Verwendung
JP5584433B2 (ja) 2009-06-17 2014-09-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DE102009033538A1 (de) 2009-07-09 2011-01-13 E.G.O. Elektro-Gerätebau GmbH Bedieneinrichtung für ein Elektrogerät
KR20110015745A (ko) * 2009-08-10 201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감도 조절 방법 및 장치
JP2011048696A (ja) 2009-08-27 2011-03-10 Kyocera Corp 入力装置
JP5282904B2 (ja) * 2009-10-22 2013-09-04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壁スイッチ装置
KR101748605B1 (ko) 2010-01-15 2017-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진단시스템
US8860686B2 (en) 2010-04-30 2014-10-14 Atmel Corporation Multi-chip touch screens
JP5667805B2 (ja) * 2010-07-14 2015-02-1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KR20120011516A (ko) * 2010-07-29 2012-02-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유닛 장착장치
WO2012032432A1 (de) 2010-09-10 2012-03-1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ebedienvorrichtung
JP2012098828A (ja) * 2010-10-29 2012-05-24 Minebea Co Ltd 電子機器の入力装置及び入力制御方法
JP2012124452A (ja) 2010-12-06 2012-06-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プリント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31288B1 (ko) 2010-12-06 2012-03-30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16207A (ko) 2011-04-12 2012-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20120274602A1 (en) 2011-04-29 2012-11-0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Wiring and periphery for integrated capacitive touch devices
JP2013025503A (ja) 2011-07-19 2013-02-04 Canon Inc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5784429B2 (ja) * 2011-09-07 2015-09-24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CN202582565U (zh) 2012-01-21 2012-12-05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压电传感器、应用该压电传感器的触控组件及移动终端
JP2014031958A (ja) * 2012-08-03 2014-02-20 Panasonic Corp 冷蔵庫及び表示装置
JP2014031978A (ja) * 2012-08-06 2014-02-20 Panasonic Corp 冷蔵庫及び操作表示装置
JP6038543B2 (ja) * 2012-08-21 2016-12-0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5771581B2 (ja) 2012-08-27 2015-09-0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WO2014034434A1 (ja) * 2012-08-28 2014-03-06 株式会社 東芝 冷蔵庫
JP5992782B2 (ja) 2012-09-12 2016-09-14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KR101999264B1 (ko) 2012-10-10 2019-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5971757B2 (ja) 2012-10-19 2016-08-17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US8841957B2 (en) * 2013-01-23 2014-09-23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control panel of the same
EP2770638A1 (en) 2013-02-20 2014-08-27 Aito Interactive Oy Piezoelectric sensor, and an electrical appliance, an installation or a gadget comprising at least one piezoelectric sensor
JP6168470B2 (ja) * 2013-03-29 2017-07-26 Toto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センサ
US8960934B2 (en) 2013-04-08 2015-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83719B1 (ko) * 2013-04-08 2020-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JP6373653B2 (ja) * 2013-06-25 2018-08-1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US9207802B2 (en) * 2013-07-01 2015-12-08 Atmel Korea Llc Suppression of unintended touch objects
CN206574060U (zh) * 2013-11-21 2017-10-20 3M创新有限公司 具有力检测的电子设备
JP5567734B1 (ja) * 2013-11-29 2014-08-06 株式会社フジクラ 入力装置
KR20150081800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US10260087B2 (en) * 2014-01-07 2019-04-16 Fundació Privada Institut De Medicina Predictiva I Personalitzada Del Cáncer Method for generating double stranded DNA libraries and sequencing methods for the identification of methylated cytosines
CN106028891B (zh) * 2014-02-27 2019-07-19 三菱电机株式会社 干手装置
KR101954749B1 (ko) 2014-04-01 2019-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EP2975345B1 (en) 2014-07-16 2019-01-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do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105577156B (zh) * 2014-10-09 2020-08-25 E.G.O.电气设备制造股份有限公司 用于电气设备的操作控制单元以及电气设备
KR101677334B1 (ko) 2014-10-24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1753호(2014. 10. 16.) 1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4-40939호(2014. 3. 6.)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15798B1 (en) 2020-01-01
KR20180135987A (ko) 2018-12-21
KR102023152B1 (ko) 2019-09-20
US20170234609A1 (en) 2017-08-17
US10330380B2 (en) 2019-06-25
US20200173718A1 (en) 2020-06-04
KR20160148037A (ko) 2016-12-23
CN106461316A (zh) 2017-02-22
EP3215798A1 (en) 2017-09-13
US11181317B2 (en) 2021-11-23
US10619915B2 (en) 2020-04-14
KR101931681B1 (ko) 2018-12-21
KR20190072695A (ko) 2019-06-25
JP6334063B2 (ja) 2018-05-30
EP3215798A4 (en) 2018-07-18
EP3696485A1 (en) 2020-08-19
WO2016072802A1 (en) 2016-05-12
US20190226757A1 (en) 2019-07-25
JP2017527095A (ja) 201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004B1 (ko) 냉장고
KR101659180B1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39522B1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59181B1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US11056051B2 (en) Touch sensor assembly and refrigerator door with touch sensor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359227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68921B1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736608B1 (ko) 냉장고
AU2020264346B2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