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364B1 - 히든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히든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364B1
KR102405364B1 KR1020200067098A KR20200067098A KR102405364B1 KR 102405364 B1 KR102405364 B1 KR 102405364B1 KR 1020200067098 A KR1020200067098 A KR 1020200067098A KR 20200067098 A KR20200067098 A KR 20200067098A KR 102405364 B1 KR102405364 B1 KR 102405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ver
light guide
gu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0125A (ko
Inventor
박종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7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364B1/ko
Priority to EP21177085.4A priority patent/EP3919846A1/en
Priority to AU2021203621A priority patent/AU2021203621B2/en
Priority to US17/337,843 priority patent/US11988436B2/en
Publication of KR20210150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7/00Lighting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7/00Lighting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7/001Lighting arrangements on the external side of the refrigerator, freezer or cooling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히든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가지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도어의 전면에 배치되며 광의 투과가 가능한 투과부를 가지는 표시창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투과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1디스플레이와, 상기 투과부와 대응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제2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히든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냉장고{Refrigerator with a hidden display}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도어에는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냉장고의 동작에 따른 각종 정보를 숫자나 글자, 기호 또는 그림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통해서 출력되는 정보를 확인하여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냉장고의 동작을 위한 조작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7-0040710호에는 냉장고 도어의 전면이 금속 소재로 형성된 아웃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고, 아웃 플레이트에는 다수의 관통구에 의해 표시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개시된다. 도어 내부에는 발광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장착되어,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이 아웃 플레이트의 관통구를 통과할 수 있다.
선행문헌의 다수의 관통구들의 집합은 7세그먼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에러 코드나 특정 모드 동작 시 숫자 및/또는 알파벳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인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아웃 플레이트에 에러 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구가 존재하는 경우, 다수의 관통구를 형성하는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고, 외부에서 볼 때 미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의 냉장고의 경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장착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으며, 관통구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발광부 사이의 정렬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발광부의 광은 다수의 관통구 중 일부 관통구를 통과하여 외부로 조사되는데, 아웃 플레이트의 관통구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발광부 사이의 정렬이 용이하지 못하는 경우, 광이 원래 관통하여야 하는 관통구 외의 관통구를 관통하게 되어 정확한 정보를 표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서 제2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냉장고의 현재 상태 정보 뿐만 아니라, 에러 코드를 표시할 수 있는 히든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서비스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도어에서 분리한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제2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히든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들와 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 및 라이트 가이드 들이 안정적으로 정렬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가지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도어의 전면에 배치되며 광의 투과가 가능한 투과부를 가지는 표시창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투과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1디스플레이와, 상기 투과부와 대응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제2디스플레이를 포함함으로써, 투과부와 대응되는 제1디스플레이를 통해 현재 상태 정보 뿐만 아니라, 에러 코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아웃 플레이트에 형성하여는 투과부의 개수가 줄어들 수 있다.
서비스 과정에서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도어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투과부와 대응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제2디스플레이에서 각종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제1디스플레이와 제2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피씨비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는 각각 다수의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의 발광부의 광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라이트 가이드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의 발광부의 광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라이트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와 제2 라이트 가이드는 각각 다수의 가이드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는 세븐 세그먼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은,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확산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도어에서 분리한 상태에서도 제2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는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슬라이딩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슬라이딩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의 양측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슬라이딩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는, 커버 전면과, 커버 둘레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전면은,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와 대응되는 커버 라이트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장착되면,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는 상기 커버 라이트 가이드와 정렬되고,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는 상기 커버 전면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는, 냉장고의 작동 상태와 에러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는, 냉장고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의 테스트 결과 정보를 표시하거나, 냉장고의 작동 테스트 시의 모드를 표시하거나, 프로그램 업데이트 과정에서 작동하는 모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의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가이드하기 위한 커버 라이트 가이드와, 상기 커버 라이트 가이드 일측방에 배치되며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를 가지는 커버 전면과, 상기 커너 전면의 둘레에서 연장되는 커버 둘레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은, 상기 커버 라이트 가이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와,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의 일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는 상기 커버 전면에서 후방을 향하여 함몰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는, 상기 커버 둘레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커버 전면과 이격되는 커버 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의 타측방에 위치되는 제 1 사이드 연장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방에 위치되는 제 2 사이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사이드 연장부는 상기 커버 전면과 상기 커버 후면 사이 공간에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후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사이드 연장부를 상기 커버 라이드 가이드 측으로 가압하는 커버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이드 연장부와 제 2 사이드 연장부에는 상기 커버 후면과 접촉되는 가압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은, 상기 제 1 및 사이드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가이드와 정렬되는 제2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는,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에서 상기 수용부 측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안착되는 안착벽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연장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장착되면,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2돌기와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2돌기와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냉장고의 현재 상태 정보 뿐만 아니라, 에러 코드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아웃 플레이트에 형성하여는 투과부의 개수가 줄어들어 조립성 및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서비스 과정에서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도어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2디스플레이를 통해 각종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 피씨비가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에 밀착되고,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가 커버 라이트 가이드에 밀착되므로,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이 디스플레이 피씨비와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 사이 또는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와 커버 라이트 가이드 사이로 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의 광에 의해서 제1디스플레이가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어의 표시창 및 터치 조작부를 확대한 도면.
도 4는 본 실시 예의 도어로부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디스플레이 커버,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피씨비의 사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프레임의 사시도.
도 9는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디스플레이 피씨비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커버를 앞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2는 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커버를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3은 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디스플레이 피씨비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디스플레이 프레임이 디스플레이 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프레임의 제1가이드와 디스플레이 커버의 제2가이드가 정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16-16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확산 시트가 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도 17의 18-18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9는 제1표시 그룹과 제2표시 그룹에서 에러 코드를 표시하기 위하여 영역을 구분한 모습을 보여.
도 20은 특정 에러 코드가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그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바텀 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 구비되는 한쌍의 냉장실 도어 중 일측의 냉장실 도어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은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방향을 정의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그와 반대되는 캐비닛(10)의 높은 면을 향하는 방향을 상방이라 할 수 있다.
도어(20)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상기 도어(20)를 기준으로 캐비닛(10)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정의되지 않는 방향을 이야기 하고자 할 때에는 각 도면을 기준으로 방향을 정의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장착되어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저장공간은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상방의 제1저장실은회전되는 다수의 도어(20a)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제1저장실의 하방에는 하나 이상의 제2저장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저장실은 서랍형 도어(20b)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도어(20a)의 전면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20)에는 사용자의 조작 및 식별이 용이한 높이에 표시창(211)과 터치 조작부(212)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창(211)와 터치 조작부(212)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일례로, 상기 표시창(211)과 상기 터치 조작부(212)는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20a)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어의 표시창 및 터치 조작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20)는 전체적으로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21)와,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22) 및 상기 도어(2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캡 데코(23)의 결합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21)는 상기 도어(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상의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21)는 스테인레스 강판, 또는 스테인레스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된 컬러 강판(VCM, PCM)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는 대략 0.5mm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20)의 전면에는 지문방지 처리가 되거나, 특정 색상이나, 패턴, 문양이 표현될 수 있으며, 메탈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헤어라인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에는 표시창(211)과 터치 조작부(21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창(211)은 냉장고(1)의 작동 상태를 외부로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어(20)의 내부의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창(211)은 광을 투과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시창(211)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다수의 투과부(211c, 211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창(211)은, 좌우 방향으로 구분되는 제1표시 그룹(211a)과, 제2표시 그룹(21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표시 그룹(211a)은 다수의 제1투과부(211c)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표시 그룹(211b)은 다수의 제2투과부(211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그룹(211a, 211b)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글자를 포함하며, 글자와 인접한 위치에 투과부 들(211c, 211d)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211c, 211d)는 일례로 투과홀일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글자에 해당하는 발광부에서 광이 조사되어 특정 투과부(211c, 211b)를 투과하면 사용자는 특정 글자를 확인하여 현재 냉장고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투과부(211c, 211d)는 레이저 가공, 에칭 또는 엔시티(NCT)가공 등에 의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211c, 211d)는 그 크기가 미세하고, 내부에 홀 매움부재가 채워져 있어 후술할 상기 발광부가 온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외부로 잘 드러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후면에는 상기 투과부(211c, 211d)를 커버하는 커버 시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조작부(212)는 사용자가 냉장고(1)의 동작을 위해 조작을 입력하는 부분으로 상기 도어(20)의 전면 일부 영역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창(211)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터치 조작부(212)는 상기 표시창(211)의 일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조작부(212)는 누름 조작이 감지될 수 있는 부분이 인쇄처리되거나 에칭 등과 같은 표면 가공을 통해 사용자에게 조작 부위가 보일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조작부(212)와 대응하는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후술할 터치 센서 어셈블리(7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기 터치 조작부(212)의 누름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와 터치 센서 어셈블리(70)의 배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도어로부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디스플레이 커버,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20)는 아웃 플레이트(21)와 도어 라이너(22) 및 캡 데코(23)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와 도어 라이너(22) 및 캡 데코(23)가 결합된 상기 도어(20)의 내부 공간에는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는 발포액을 주입하여 발포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디스플레이 커버(30)에 결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와 터치 센서 어셈블리(70)의 장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 케이스(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25)는 일례로 상단이 상기 캡 데코(23)의 하면과 결합되고, 전면 둘레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와 결합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25)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도어(20)에 발포액의 주입될 때 발포액이 침투되지 않도록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7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25)는, 케이스 상면(251)과 케이스 전면(25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측에 전방과 상방으로 개구된 공간(250)을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 상면(251)은 상기 캡 데코(23)와 접하며, 상기 케이스 전면(252)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후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전면(252)은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공간(250) 상단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상측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25) 내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70)와 연결되는 전선들이 출입되는 전선 홀(253)이 측방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공간 좌우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커버 지지부(2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지지부(255)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를 후방에서 지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가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지지부(255)의 상측에는 측방으로 함몰된 케이스 홈(25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홈(254)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 상측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의 장착을 위해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내측 공간에는 디스플레이 커버(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후면에 밀착되어 장착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구되어 상방에서 하방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개구된 상면은 상기 캡 데코(23)에 형성된 데코 개구(23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데코 개구(231)는 데코 커버(23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데코 커버(232)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를 상기 이너 케이스(25) 내측의 공간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는 상면이 개구되고, 상기 이너 케이스(25) 내측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삽입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의 개구된 상면으로 삽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는 자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의 내측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데코 커버(232)가 상기 데코 개구(231)를 차폐하도록 장착될 때 상기 데코 커버(232)의 하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의 상단을 눌러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완전히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도록 안내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와 디스플레이 커버(30)는 서로 접하거나 형합되는 다수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의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 내측에서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의 발광부(513, 514)와 라이트 가이드(도 8의 614, 615참조), 관통홀(도 11의 311, 312 참조) 및 투과부(211c, 211d)가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513, 514)가 온되면, 상기 발광부(513, 514)에서 조사되는 광은 차례로 라이트 가이드(도 8의 614, 615참조), 관통홀(도 11의 311, 312 참조) 및 투과부(211c, 211d)를 통과하여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에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와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7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는 커버 전면(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전면(31)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는 상기 커버 전면(31)과 이격된 커버 후면(33)과, 상기 커버 전면(31)과 커버 후면(33)을 연결하는 커버 둘레벽(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전면(31), 커버 후면(33) 및 상기 커버 둘레벽(32)은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수용되는 공간(3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70)가 장착되는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 전면(31)에 상기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는, 발광부(513, 514)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피씨비(50)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50)가 고정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50)가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이 상기 도어(20)의 외측에서 상기 데코 개구(231)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은, 좌우 양측에서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는 제 1 사이드 연장부(62) 및 제 2 사이드 연장부(63)와, 상기 제 1 사이드 연장부(62)와 제 2 사이드 연장부(63)의 사이를 배치되는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은,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7)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은, 손잡이부(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66)에는 와이파이 모듈(41)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70)는, 터치 센서(712)가 장착되는 터치 피씨비(71)와, 상기 터치 피씨비(7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72) 및 상기 터치 피씨비(71)를 차폐하는 터치 커버(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2)와 터치 피씨비(71) 및 터치 커버(73)는 차례로 상기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7)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2)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7)의 장착벽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2)는 고무와 같은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피씨비(71)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가압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72)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721)와, 상기 베이스(721)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 돌기(722, 7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721)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다수의 지지 돌기(722, 723)가 상기 베이스(721)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 돌기(722, 723) 사이에 하나의 터치 센서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지지 돌기(722, 723)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 돌기(722, 723)는 상기 베이스(721)의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기(722,723)의 가로 방향 길이는 상기 터치 센서(712)의 직경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피씨비(71)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7)의 내측에 수용 가능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72)에 의해 전체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터치 피씨비(71)의 전면에는 다수의 터치 센서(7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712)는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 조작을 인식하는 센서 장치로 일반적인 피에조 타입의 터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센서(712)는 사용자의 상기 아웃 플레이트(21) 누름 조작시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변형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다.
다수의 터치 센서(712)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지지 돌기(722, 723)의 사이 영역 마다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센서(712)가 장착된 위치의 인접한 상방과 하방에 상기 지지 돌기(722, 723)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돌기(722, 723)의 배치에 의해 상기 터치 센서(712)에 가해지는 압력은 상기 터치 센서(712)의 중앙부로 집중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피씨비(71)는 상기 탄성부재(72)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고, 상기 지지 돌기(722, 723)에 의해 한층 더 전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터치 센서(712)는 보다 상기 터치 커버(73)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커버(73)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보다 효과적으로 인식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터치 커버(73)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7)의 개구된 전면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커버(73)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커버 후크(732)에 의해 상기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7)에 전후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72)에 의해 상기 터치 피씨비(71)가 전방으로 가압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후면에 보다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누름 조작시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터치 센서(712)를 보다 효과적으로 누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터치 커버(73)에는 터치 부스터(73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부스터(731)는 상기 터치 센서(712)의 중앙부와 동심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712)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부스터(731)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나선 형상의 부스터 절개부(731a)가 형성되어 상기 터치 부스터(731)에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터치 부스터(731)의 중앙 부위가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부스터 절개부(731a)에 의해 상기 터치 부스터(731)는 탄성 변형되면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누르는 손을 떼게 되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부스터(731)의 중앙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누름 조작에 의한 상기 터치 부스터(731)의 후방 이동시 상기 터치 센서(712)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피씨비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50)는, 제1디스플레이(510)와, 제2디스플레이(5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510)는, 발광부(513, 5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516)도 발광부(5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510)의 발광부(513, 514)에서 조사된 광은 상기 표시창(211)을 투과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디스플레이(510)의 발광부(513, 514)는 표시창(211)의 투과부(211c, 211d)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510)의 발광부(513, 514)의 개수는 상기 표시창(211)의 투과부(211c, 211d)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510)의 발광부(513, 514)에서 조사되는 광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디스플레이(516)의 발광부(515)는 표시창(211)의 투과부(211c, 211d)와 대응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516)는 도어 전방에서 볼 수 없는 히든 디스플레이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510)는, 제1발광 그룹(511)과 제2발광 그룹(5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발광 그룹(511)은 제1표시 그룹(211a)과 대응되고, 상기 제2발광 그룹(512)은 제2표시 그룹(211b)과 대응된다.
상기 제1발광 그룹(511)이 다수의 발광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발광 그룹(512)도 다수의 발광부(5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516)도 다수의 발광부(5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발광부(513, 514, 515)는 엘이디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50)는, 다수의 커넥터들(5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들(541)은, 상기 터치 피씨비(71)와 연결되는 터치 커넥터, 냉장고의 메인 제어부와 연결되는 메인 커넥터 및 상기 와이파이 모듈(41)과 연결되는 와이파이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다수의 커넥터들(541)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에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삽입되기 전에 전선들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50)에는 상기 발광부(513, 514, 515)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505)을 비롯한 다수의 소자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50)는 상기 터치 센서(712)의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마이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50)는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에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50)에는 다수의 체결 홀(5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홀(52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의 체결 돌기(64)가 삽입되고, 상기 체결 홀(520)을 관통한 체결 돌기(64)의 단부는 융착되어 상기 체결 홀(520)의 후면에서 상기 체결 홀(520)과 완전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 홀(520)은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50)의 전체 영역에 다수개가 고르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50)와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디스플레이 피씨비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은,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와,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7)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6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의 일측방에 상기 수용부(68)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은,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의 일측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제 1 사이드 연장부(62)와, 상기 수용부(68)의 일측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제 2 사이드 연장부(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사이드 연장부(62),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 수용부(68) 및 제 2 사이드 연장부(63)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의 상단에는 손잡이부(6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66)의 상단에 상기 데코 커버(232)와 접하는 파지부(6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66)의 후면에는 상기 와이파이 모듈(41)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의 상측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50)가 노출되는 프레임 개구(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개구(65)로 노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50)의 영역에 상기 마이컴(505)을 비롯한 소자들이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 개구(65)를 통해 보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는, 제1디스플레이(510)의 발광부(513, 514)에서 조사된 광을 가이드하는 제1 라이트 가이드(614a, 615a)와, 제2디스플레이(516)의 발광부(515)에서 조사된 광을 가이드하는 제2 라이트 가이드(6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614a, 615a)는, 상기 제1발광 그룹(511)과 대응되는 제1가이드 그룹(614a)과, 상기 제2발광 그룹(511)과 대응되는 제2가이드 그룹(615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가이드 그룹(615a)은 발광부(513, 514)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가이드 홀(614, 6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616)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516)의 발광부(515)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가이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616)의 가이드 홀은 일례로 세븐 세그먼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도면 상으로는 다수의 가이드 홀의 두 개의 세븐 세그먼트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는, 후술할 확산 시트가 안착되는 함몰된 형태의 안착홈(616a)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616a) 상에 상기 제2가이드(61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가이드 홀이 상기 안착홈(616a)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의 둘레벽(612)은 디스플레이 피씨비(50)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5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의 내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50)가 삽입 장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50)는 정확한 장착 위치를 유지하여 상기 발광부(513, 514)가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의 가이드 홀(614, 615)와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50)에 밀착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상기 발광부(513, 514)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과 디스플레이 피씨비(50) 사이로 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이드 연장부(62)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상단 연장부(621)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사이드 연장부(63)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상단 연장부(631)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상단 연장부(621, 631)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68)는 하부 개구(6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개구(681)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7)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7)가 상기 수용부(68)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이드 연장부(62)와 제 2 사이드 연장부(63)의 대략 중간 지점에는 가압 돌기(6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돌기(636)는 상기 제 1 사이드 연장부(62)와 제 2 사이드 연장부(63) 각각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의 커버 후면(33)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돌기(636)는 상하 높이 중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 돌기(636)는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의 양측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 돌기(636)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은 전방으로 가압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의 커버 전면(31)의 후면에 보다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라이드 가이드(61)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체결 돌기(6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돌기(64)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50)의 상기 체결 홀(520)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체결 돌기(64)는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의 후면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 홀(520)을 통과할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돌기(64)는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의 성형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 돌기(64)는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과 같이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돌기(64)는 상기 체결 홀(520)을 관통한 상태에서 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50)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체결 홀(520)을 통과하여 돌출된 상기 체결 돌기(64)의 단부는 융착되어 상기 체결 홀(520) 둘레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구조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과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50)는 매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50)가 밀착 상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는 상기 제 1 사이드 연장부(62)와 상기 제 2 사이드 연장부(63) 사이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6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이드 연장부(62)과 상기 제 2 사이드 연장부(63)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에 슬라이딩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와 상기 커버 전면(31) 사이로 빛이 새어나가지 않기 위해서는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가 상기 커버 전면(31)의 후면에 밀착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 1 사이드 연장부(62)와 상기 제 2 사이드 연장부(63)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와 상기 수용부(68)가 위치되므로,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가 상기 커버 전면(31)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제1가이드(618)가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 또는 수용부(68)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68)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7)가 위치되기 위한 공간(6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682)의 일부는 상기 둘레벽(612)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682)의 다른 일부는 사이드 벽(613)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 다른 일부는 후측 벽(683)에 의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에서 상기 후측 벽(683)은,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 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의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상기 수용부(68)가 형성되는 것으로도 설명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벽(613)은 상기 제 2 사이드 연장부(63)와 연결되고, 상기 둘레벽(612)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가이드(618)는, 일례로,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에서 상기 공간(682)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18a)와, 상기 연장부(618a)에서 후측 벽(683)을 향하여 상기 연장부(618a)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돌기(618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618b)는 상기 후측 벽(683)과 이격되어 상기 제1돌기(618b)와 상기 후측 벽(683) 사이에 갭이 존재한다.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커버를 앞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커버를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는 다수의 관통홀(311, 312)이 형성되는 커버 라이트 가이드(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라이드 가이드(310)는, 제1관통홀 그룹(311a)과, 제2관통홀 그룹(31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관통홀 그룹(311a)이 다수의 관통홀(311)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관통홀 그룹(311b)은 다수의 관통홀(3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 그룹(311a)은, 상기 제1발광 그룹(511), 상기 제1가이드 그룹(614a) 및 상기 제1표시 그룹(211a)과 대응된다. 상기 제2관통홀 그룹(312a)은, 상기 제2발광 그룹(512), 상기 제2가이드 그룹 (615a) 및 상기 제2표시 그룹(211b)과 대응된다.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는 상기 커버 라이트 가이드(31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라이트 가이드(310)의 일부는 상기 제2가이드(616)의 전체를 커버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이 도어에 장착되어도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616)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는 커버 둘레벽(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둘레벽(32)은 입구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부(321)는 상기 커버 둘레벽(32) 중 양측면 상방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상방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는 개구된 상면의 폭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의 가로 폭 보다 크게 되며, 따라서 상방에서 삽입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후면(33)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의 후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 둘레벽(32)의 후단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후면(33)은 상기 커버 둘레벽(32)을 따라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후면(33)의 중앙은 전체적으로 개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에 삽입 장착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의 후면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후면(33)의 상단에는 커버 연결부(3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연결부(331)는 상기 커버 둘레벽(32)의 양측면 상단을 연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의 개구된 상면의 개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로 삽입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 내부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커버 연결부(331)는 양단이 전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상기 커버 둘레벽(32)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삽입될 수 있는 입구의 전후 방향 폭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라이트 가이드(310)의 후면과 상기 커버 후면(33) 사이 공간으로 상기 제 1 사이드 연장부(62)와 제 2 사이드 연장부(63)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후면(33)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사이드 연장부(63)를 상기 커버 라이드 가이드(311) 측으로 가압하는 커버 돌기(3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돌기(324)가 상기 각 사이드 연장부(62)의 후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커버 라이트 가이드(310)의 후면에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가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의 전면에는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7)는 상기 커버 라이트 가이드(310)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7)는 상기 커버 전면(31)의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7)는, 안착벽(371)과, 상기 안착벽(371)의 둘레에 형성되는 둘레 벽(3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벽(371)에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70)가 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착벽(371)에는, 상기 탄성부재(72)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벽(371)에는 상기 탄성부재(72)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 리브(3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 리브(372)는 상기 탄성부재(72)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72)는 상기 장착 리브(37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72)의 둘레는 상기 장착 리브(37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2)가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7) 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피씨비(71)는 상기 탄성부재(72)의 전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커버(73)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7)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72)에 의해 상기 터치 피씨비(71)의 터치 센서(712)는 상기 터치 커버(73)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7)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터치 커버(73)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커버(73)가 상기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7)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둘레 벽(373)에는 후크 홀(37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 홀(374)은 상기 터치 커버(73)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커버 후크(732)가 삽입되도록 개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 홀(374)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터치 커버(73)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터치 조작부(212)를 누르게 되면 상기 아웃 플레이트(21)가 눌려지면서 미세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커버(73)는 후방으로 약간 밀리면서 상기 터치 센서(712)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후크(732)와 후크 홀(374)의 형상에 의해 상기 터치 커버(73)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되어 상기 터치 센서(712)의 인식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착벽(37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에 결합될 때, 상기 제1가이드(618)와 정렬되는 제2가이드(3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375)는 상기 안착벽(371)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76)와, 상기 연장부(376)에서 상기 연장부(376)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돌기(37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돌기(377)는 일례로 상기 커버 라이트 가이드(310)의 후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안착벽(371)의 일측방에 상기 커버 라이트 가이드(310)가 위치되며, 상기 연장부(376)는 상기 안착벽(371)에서 상기 커버 라이트 가이드(310) 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76)는 커버 라이트 가이드(310)와 대략 평행하고, 상기 제2돌기(377)는 상기 연장부(376)에서 상기 커버 라이트 가이드(310)의 후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도 13은 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디스플레이 피씨비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디스플레이 프레임이 디스플레이 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에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50)가 결합되면, 제1디스플레이(510)의 발광부(513, 514)가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의 제1 라이트 가이드(614a, 615a)의 가이드 홀(614, 615)과 정렬된다. 또한, 상기 제2디스플레이(516)의 발광부(515)는,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616)의 가이드 홀과 정렬된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을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에 결합시키면, 상기 제1디스플레이(510)의 발광부(513, 514)는,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614a, 615a)의 가이드 홀(614, 615) 및 상기 커버 라이트 가이드(310)의 관통홀(311, 312)과 정렬된다.
반면, 상기 제2디스플레이(516)의 발광부(515)는 커버 라이트 가이드(310)와 정렬되지 않는다. 즉, 상기 커버 전면(31)이 상기 제2디스플레이(516)를 커버한다.
따라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516)의 발광부(515)과 온되더라도 상기 발광부(515)의 광이 상기 커버 전면(31)을 통과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에 상기 제2디스플레이(516)와 대응되는 세븐 세그먼트 형태의 관통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아웃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관통구의 개수가 줄어들어 미감이 향상되고, 아웃 플레이트의 제조 과정이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5는 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프레임의 제1가이드와 디스플레이 커버의 제2가이드가 정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16-1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에 슬라이딩 결합되면, 상기 제2가이드(375)와 상기 커버 전면(31) 사이에 상기 제1가이드(618)가 위치된다.
이때, 상기 각 가이드의 연장부(376, 618a)에 의해서, 상기 제1가이드(618)의 제1돌기(618b)가 상기 제2가이드(375)의 제2돌기(377)와 정렬된다. 일례로 상기 제1돌기(618b)과 제2돌기(377)는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1)가 상기 커버 라이트 가이드(310)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어, 제1디스플레이(510)의 발광부(513, 514)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프레임 라이드 가이드(611)와 상기 커버 라이트 가이드(310) 사이 틈새로 새어 나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7은 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확산 시트가 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18-18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2디스플레이(516)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상기 도어(2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작동하지 않으나,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를 상기 도어(2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상기 도어(20)에서 분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의 제2 라이트 가이드(616)가 바로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516)의 발광부(515)가 온되어도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616)의 적어도 일부의 가이드 홀을 통과하는 광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516)의 발광부(515)에서 조사되는 광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에서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616)에 대응되는 위치에 확산 시트(616b)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확산 시트(616b)는 상기 안착홈(616a)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616a)에 상기 확산 시트(616b)가 안착됨에 따라서, 상기 확산 시트(616b)가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확산 시트(616b)가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면,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1)가 상기 커버 라이트 가이드(310)에서 이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516)를 통하여, 작업자가 냉장고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의 테스트 결과 정보를 표시하거나, 냉장고의 작동 테스트 시의 모드를 표시하거나, 프로그램 업데이트 과정에서 작동하는 모드 정보를 표시하는 등, 상기 제1디스플레이(510)에서 표시하지 않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516)는 정보를 숫자 및/또는 알파벳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9는 제1표시 그룹과 제2표시 그룹에서 에러 코드를 표시하기 위하여 영역을 구분한 모습을 보여주고, 도 20은 특정 에러 코드가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도 7,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510)는, 냉장고의 현재 상태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에러 발생 시에는 에러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표시 그룹(211a)과 제2표시 그룹(211b)은 일례로 세븐 세그먼트 형태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각 표시 그룹에서 숫자 또는 알파벳 형태의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라도, 상기 제1표시 그룹(211a)과 상기 제2표시 그룹(211b)에서 투과되는 광의 위치를 확인하여 작업자는 에러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와 같이, 제1표시 그룹(211a)에서 다수의 투과부(211c) 들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표시 그룹(211a)의 다수의 투과부(211c) 들은 상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투과부(211c) 중에서 특정 투과부에서 광이 투과되는 경우, 해당 투과부(211c)에 부여되는 번호가 실제로 에러 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숫자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2표시 그룹(211a)에서 다수의 투과부(211d)는 다수의 표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표시 영역은 상하로 배열되며,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알파벳이 부여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9와 같이 제2표시 그룹(211a)에 4개의 표시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측에서부터 A 영역, B 영역, C 영역, 및 D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영역 구분 및 투과부의 부여 번호에 의해서, 도 20과 같이 에러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표시 그룹에서 위에서부터 4번째의 투과부에서 광이 투과되고, A 영역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투과부에서 광이 투과되는 경우, 사용자는 에러 코드가 4A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아웃 플레이트에 에러 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투과홀을 형성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에러 코드의 확인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20: 도어 21: 아웃 플레이트
25: 디스플레이 케이스 30: 디스플레이 커버
40: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50: 디스플레이 피씨비
60: 디스플레이 프레임 70: 터치 센서 어셈블리
510: 제1디스플레이 516: 제2디스플레이

Claims (15)

  1. 저장실을 가지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인출입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도어의 전면에 배치되며 광의 투과가 가능한 투과부를 가지는 표시창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피씨비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에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상기 도어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투과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1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에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상기 도어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투과부와 대응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제2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슬라이딩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는, 커버 전면과, 커버 둘레면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전면은, 제1 라이트 가이드와 대응되며 관통홀을 구비하는 커버 라이트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은, 상기 커버 라이트 가이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의 발광부의 광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가이드 홀을 구비하는 제1 라이트 가이드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의 발광부의 광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가이드 홀을 구비하는 제2 라이트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장착되면,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는 상기 커버 라이트 가이드와 정렬되고,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의 노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커버 전면에 의해서 커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상기 도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가 작동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상기 도어에서 인출된 상태에서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제2디스플레이가 작동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는 각각 다수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와 제2 라이트 가이드는 각각 다수의 가이드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는 세븐 세그먼트 형태로 배치되는 냉장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은,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확산 시트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냉장고.
  7. 삭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는, 냉장고의 작동 상태와 에러 코드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는, 냉장고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의 테스트 결과 정보를 표시하거나, 냉장고의 작동 테스트 시의 모드를 표시하거나, 프로그램 업데이트 과정에서 작동하는 모드 정보를 표시하는 냉장고.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라이트 가이드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의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가이드하고, 상기 커버 전면은 상기 커버 라이트 가이드 일측방에 배치되며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를 가지고,
    상기 커버 둘레면은 상기 커버 전면의 둘레에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의 일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는 상기 커버 전면에서 후방을 향하여 함몰된 형태로 배치되는 냉장고.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는, 상기 커버 둘레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커버 전면과 이격되는 커버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의 타측방에 위치되는 제 1 사이드 연장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방에 위치되는 제 2 사이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사이드 연장부는 상기 커버 전면과 상기 커버 후면 사이 공간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후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사이드 연장부를 상기 커버 라이트 가이드 측으로 가압하는 커버 돌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이드 연장부와 제 2 사이드 연장부에는 상기 커버 후면과 접촉되는 가압 돌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은, 상기 제 1 및 제 2 사이드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가이드와 정렬되는 제2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는,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에서 상기 수용부 측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안착되는 안착벽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연장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장착되면,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2돌기와 정렬되는 냉장고.
KR1020200067098A 2020-06-03 2020-06-03 히든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냉장고 KR102405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098A KR102405364B1 (ko) 2020-06-03 2020-06-03 히든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냉장고
EP21177085.4A EP3919846A1 (en) 2020-06-03 2021-06-01 Refrigerator with a hidden display
AU2021203621A AU2021203621B2 (en) 2020-06-03 2021-06-03 Refrigerator with a hidden display
US17/337,843 US11988436B2 (en) 2020-06-03 2021-06-03 Refrigerator with a hidden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098A KR102405364B1 (ko) 2020-06-03 2020-06-03 히든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125A KR20210150125A (ko) 2021-12-10
KR102405364B1 true KR102405364B1 (ko) 2022-06-07

Family

ID=7621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098A KR102405364B1 (ko) 2020-06-03 2020-06-03 히든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88436B2 (ko)
EP (1) EP3919846A1 (ko)
KR (1) KR102405364B1 (ko)
AU (1) AU2021203621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9886S1 (en) * 2020-07-06 2022-11-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175B1 (ko) 1995-11-22 1999-06-15 가나이 쓰도무 보틈프리저식 냉장고
KR101815383B1 (ko) 2016-06-30 2018-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403581U1 (de) * 1984-02-07 1988-01-07 Bosch-Siemens Hausgeraete Gmbh, 7000 Stuttgart Elektrisches Haushaltgerät
KR101730183B1 (ko) 2010-01-18 2017-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디스펜서
US8441801B2 (en) * 2010-04-27 2013-05-1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lexible mount system
US20120102981A1 (en) * 2010-10-29 2012-05-03 Norcold, Inc. Absorption refrigerator unit with temperature and level monitoring
KR102183719B1 (ko) * 2013-04-08 2020-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82062A (ko) * 2014-08-14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50081800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KR101931681B1 (ko) 2014-11-07 2018-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N105588400B (zh) * 2014-11-07 2018-04-13 Lg电子株式会社 冰箱及冰箱控制方法
KR101815580B1 (ko) * 2015-09-11 2018-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770032B1 (ko) 2015-10-05 2017-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CN106016889A (zh) * 2016-05-20 2016-10-1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及其制造方法
KR102601892B1 (ko) * 2017-01-02 2023-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175B1 (ko) 1995-11-22 1999-06-15 가나이 쓰도무 보틈프리저식 냉장고
KR101815383B1 (ko) 2016-06-30 2018-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125A (ko) 2021-12-10
EP3919846A1 (en) 2021-12-08
US11988436B2 (en) 2024-05-21
US20210381751A1 (en) 2021-12-09
AU2021203621B2 (en) 2023-06-22
AU2021203621A1 (en)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6509B (zh) 冰箱和用于打开冰箱门的方法
KR101829352B1 (ko) 냉장고
KR101810760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2431187B1 (ko) 냉장고
KR101954874B1 (ko) 냉장고
KR101993004B1 (ko) 냉장고
KR101639522B1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59181B1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856835B1 (ko) 냉장고
KR101659180B1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EP3367029B1 (en) Refrigerator
US8523304B2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668921B1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20160048587A (ko) 냉장고 도어
KR102405364B1 (ko) 히든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냉장고
US20230314062A1 (en) Refrigerator
KR102448186B1 (ko) 냉장고
AU2020264346B2 (en) Refrigerator
KR20190022608A (ko) 냉장고
KR20220003344A (ko) 냉장고
KR20220005332A (ko) 냉장고
KR20210054324A (ko) 냉장고 도어
JP2018013303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