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874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874B1
KR101954874B1 KR1020160001290A KR20160001290A KR101954874B1 KR 101954874 B1 KR101954874 B1 KR 101954874B1 KR 1020160001290 A KR1020160001290 A KR 1020160001290A KR 20160001290 A KR20160001290 A KR 20160001290A KR 101954874 B1 KR101954874 B1 KR 101954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nsing device
front panel
sub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2091A (ko
Inventor
구자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1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874B1/ko
Priority to EP21217222.5A priority patent/EP4005438B1/en
Priority to EP17150126.5A priority patent/EP3190366B1/en
Priority to EP20151888.3A priority patent/EP3677152B1/en
Priority to EP23172079.8A priority patent/EP4230090A1/en
Priority to US15/399,097 priority patent/US10808990B2/en
Priority to CN201710007120.8A priority patent/CN106949689B/zh
Publication of KR20170082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091A/ko
Priority to US16/271,476 priority patent/US1082349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A47F3/0434Glass or transparen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 Y02B40/30
    • Y02B40/34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고내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Refir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공간의 배치형태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는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별도의 수납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납 공간을 통해서 냉장고 도어 전체를 개방하지 않고 일부의 보조 도어 또는 홈바 도어를 개방하여 수납 공간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식품들은 상기 냉장고 도어에 제공되는 별도의 수납공간에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식품의 수납을 위해 상기 냉장고 도어 전체를 개방하지 않기 때문에 고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근본적으로 냉장고 도어를 열지 않으면 내부의 식품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원하는 식품이 고내의 공간에 수납되어 있는지, 도어에 제공된 별도의 수납공간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어를 개방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만약 보조 도어 또는 홈바의 개방시 원하는 식품이 없는 경우 다시 메인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으며, 이때 냉기의 불필요한 유출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일부를 투명한 소재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고내의 단열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도 내부를 투시할 수 있게 되는 경우 음식물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 매우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고내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의 전면 적어도 일부가 하프 글라스로 구성되고, 냉장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고내의 라이팅 유닛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되어 고내를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를 노크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하여 고내를 가시화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어 냉장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도 고내측의 투시가 가능하며, 동시에 단열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라이팅 유닛이 켜진 상태에서는 고내의 투시가 가능하고, 라이팅 유닛이 꺼진 상태에서는 거울면과 같이 형성되어 냉장고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의 일부를 하프 글라스 소재로 형성하여 고내측의 선택적인 투시가 가능하되 생산성과 내구성이 보다 향상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조작하기 위한 조작을 감지하는 감지장치의 노출을 방지하고 투시 면적을 확장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메인 도어;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메인 도어에 구비되는 라이팅 유닛; 상기 개구의 내측에 수용되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서브 도어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서브 도어의 상하면을 형성하는 캡 데코;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캡 데코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조립된 모듈 상태로 장착되어 상기 개구를 차폐하며, 상기 라이팅 유닛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고내측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외측 둘레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캡데코의 내측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단열재;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여 상기 라이팅 유닛을 온/오프시키는 감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개구를 커버하여, 상기 서브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보다 작은 크기의 투명한 유리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단열 패널; 상기 전면 패널과 단열 패널 및 복수의 단열 패널의 사이에 둘레를 따라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전면 패널과 단열 패널 및 복수의 단열 패널들의 사이가 이격된 상태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간봉;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패널은, 투명한 유리층; 상기 유리층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라이팅 유닛에서 조사되는 빛의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투과되도록 하는 레이어; 및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라이팅 유닛에서 조사된는 빛이 추과되지 않도록 차단하며, 상기 간봉 및 전면 패널의 둘레와 결합되는 부분의 노출을 차단하는 베젤을 포함하며, 상기 캡 데코는, 상기 도어 외측에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향하여 패널 어셈블리를 향하여 개구되며, 상기 단열 패널보다 더 돌출된 상기 전면 패널 둘레의 후방에 상기 감지장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감지장치 수용부; 및 상기 베젤과 마주보는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의 일측에 개구된 관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로 삽입 장착되며,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과 접하여 상기 베젤에 의해 가려지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배면에 제공되며, 사용자의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노크 조작을 감지하는 노크 감지장치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감지장치의 배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베젤의 일측에는 투명하게 형성되는 투과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투과부의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냉장고 전방의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며, 상기 투과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상기 전면 패널과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레이어는, 상기 유리층의 배면에 티탄화합물이 진공증착에 의해 형성되는 진공증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진공증착층의 배면에 상기 진공증착층과 베젤을 커버하도록 투명소재로 인쇄되는 투명 인쇄층이 더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레이어는, 상기 유리층의 전면에 티탄화합물을 포함하는 반사 잉크로 스크린 인쇄 후 가열 형성되는 세라믹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레이어는, 상기 유리층의 전면에 철(Iron), 코발트(cobalt), 크롬(chrome)의 3중 레이어로 코팅되는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드 코팅층은 대기화학기상증착(APCAVD) 또는 스프레이 분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베젤은 유리분말이 포함된 세라믹 안료로 인쇄되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리층은 그레이 컬러 글래스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세라믹 인쇄층은 상기 전면 패널이 20%~30%의 투과율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면 패널과 단열 패널 및 상기 복수의 단열패널들의 사이에는 간봉에 의해 기밀되는 단열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단열 공간에는 불활성기체가 충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면 패널과 단열 패널 및 상기 복수의 단열패널들의 사이에는 간봉에 의해 기밀되는 단열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단열 공간은 진공처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브 도어의 전면은 상기 서브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메인 도어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브 도어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서브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서브 힌지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 도어의 상기 개구 내측면에는 상기 서브 힌지가 관통되는 힌지 홀이 개구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캡 데코 및 사이드 프레임의 후단과 결합되며, 상기 서브 도어의 배면 둘레를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도어의 일부에 선택적으로 빛을 투과 및 반사하는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되고, 도어 내부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 되는 라이팅 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라이팅 유닛을 점등하여 고내를 투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고내의 공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식품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의 불필요한 개폐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냉기의 손실을 방지하여 소비전력의 개선 및 저장성능의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하프 글라스와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되어 라이팅 유닛이 점등된 상태에서는 내부를 투시가능하게 되며, 상기 라이팅 유닛이 점등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미러와 같은 형태가 되어 냉장고 도어의 외관이 보다 돋보이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배면에는 사용자의 패널 어셈블리의 노크 조작시 진동에 의한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노크 조작에 의해 상기 라이팅 유닛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있으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투명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 전면의 어느 위치를 노크하게 되더라도 동일 매질에서 전달되는 진동의 소리는 동일하므로 조작이 용이하고 효과적인 감지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하프미러 소재의 전면 패널과 단열 유리 소재로된 복수의 단열 패널로 구성되어 패널 어셈블리를 통한 열 손실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전면 패널과 단열 패널 그리고 복수의 단열 패널 사이는 간봉 및 실런트에 의해 밀폐되도록 하여 단열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단열 공간은 진공 또는 불활성 기체로 채워지게 되어 단열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는 금속 증착층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 플레이트가 하프 미러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도어의 외관이 보다 개선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의 전면에는 세라믹 인쇄층이 형성되거나 하드 코팅층이 형성되며, 고온 가열에 의한 강화에 의해 유리층에 소성되어 하프 미러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보다 저렴한 생산비용 및 공정수의 절감을 통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에는 베젤이 형성되고 상기 베젤상에 상기 감지장치가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전면 패널의 노크 조작은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감지장치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보다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감지장치는 전면 패널 하단의 배젤에 형성되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전면 패널의 다른 위치의 베젤을 얇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도어의 가시화 부분이 보다 넓어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전체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서브 도어가 불투명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서브 도어가 투명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메인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메인 도어와 디스플레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장착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13-13'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어 개방장치의 장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의 16-16' 단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서브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상기 서브 도어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서브 도어를 후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20-20' 절개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패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패널 어셈블리의 전면 패널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23은 패널 어셈블리의 전면 패널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24는 패널 어셈블리의 전면 패널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25는 상기 서브 도어의 횡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6은 상기 서브 도어의 어퍼 힌지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상기 어퍼 힌지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28은 상기 어퍼 힌지의 결합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29는 상기 서브 도어의 로어 힌지의 결합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30은 상기 서브 도어의 제 2 감지장치와 노크 감지장치 결합 구조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상기 서브 도어의 제 2 감지장치와 노크 감지장치 결합 구조를 하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2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17의 33-33' 단면도이다.
도 34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의 마이크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5는 상기 제 2 감지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6은 상기 제 2 감지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7은 상기 서브 도어 내부의 전선 배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38은 상기 서브 도어의 발포액 주입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9는 상기 서브 도어의 벤트 홀의 배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40은 상기 냉장고의 투사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1은 상기 냉장고의 냉동실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절결 사시도이다.
도 42는 상기 냉장고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43은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 조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4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장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5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46은 노크 온 조작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7은 상기 서브 도어 개폐시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8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오토 도어 기능 설정시의 디스플레이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9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오토 드로워 기능 설정시의 디스플레이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0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정온 기능 설정시의 디스플레이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전체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베리어(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2)의 내부에는 선반, 서랍 또는 바스켓과 같은 다양한 수납부재(1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121)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인출입 될 수도 있으며, 인출입에 의해 식품을 수납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장실(12)에는 냉장실을 밝히기 위한 메인 라이팅 유닛(8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라이팅 유닛(85)은 냉동실(13)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고내의 내측 벽면 어느 위치에도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냉동실(12)의 내부에는 인출입 가능한 서랍 형상의 냉동실 수납부재(131)가 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들 냉동실 수납부재(131)는 냉동실 도어(30)의 개방에 연동하여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냉동실 도어(30) 전면에는 사용자의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제 1 감지장치(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장치(31)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어는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냉동실(13)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각각 냉동실(13)과 냉동실(13)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에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바스켓은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고내에 구비되는 수납부재(121,131)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금속 소재로 외관이 형성되어, 상기 냉장고(1) 전체가 금속 소재의 질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동실이 하방에 구비되는 바텀 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 하나의 공간을 한쌍의 도어가 회동되어 각각 개폐되는 프렌치 타입의 도어가 적용된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우측(도 1에서 볼 때)의 냉장실 도어(20)는 이중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금속 소재로 외관이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40)와, 상기 메인 도어(4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는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좌측(도 1에서 볼 때)의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 힌지(401) 및 미들 힌지(402)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12)의 일부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에는 개구부(403)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비롯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도어 바스켓(404)이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개구부(403)를 통해서 상기 메인 도어(40)를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도어 바스켓(404)으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403)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둘레 일부를 제외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403)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는 적어도 일부가 유리와 같은 투명 소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통해 상기 개구부(403)로의 접근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투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씨스루 도어라 불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 도어(50)를 구성하는 유리소재는 빛의 투과율과 반사율이 조절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의 선택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에서만 투명하게 되어 고내를 가시화시키고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는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서브 도어가 불투명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도어(40)와 상기 서브 도어(50)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에 아무런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서브 도어(50)는 불투명한 블랙 색상 또는 거울면과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의 공간 즉, 상기 메인 도어(40)의 수납 공간 및 상기 냉장실(12)의 내부 공간을 가시화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블랙 색상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냉장고의 외관이 미려한 검은색의 거울과 같은 질감을 가지도록 하여 심플하고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외관은 상기 메인 도어(40) 및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들의 금속 질감과 조화되어 한층 더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줄 수 있게 된다.
도 5는 상기 서브 도어가 투명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도어(40)와 상기 서브 도어(50)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조작을 통해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한 상태가 되면 상기 메인 도어(40)의 수납 공간 및 냉장실(12)의 내부 공간이 가시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메인 도어(40) 및 서브 도어(50)를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메인 도어(40)의 수납 공간 및 냉장실(12)의 내부 공간의 식품 수납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한 상태가 될 경우 상기 서브 도어(50) 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유닛(60) 또한 가시화 상태가 되어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를 통해 상기 메인 도어(40)의 수납 공간 및 냉장실(12)의 내부 공간을 가시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작 방법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에 관하여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메인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도어(40)는 금속 소재의 아웃 플레이트(41)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와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42)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와 도어 라이너(42)의 상하단에 구비되는 도어 캡데코(45,46)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41)는 판상의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과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403)와 대응하는 영역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42)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42) 또한 상기 개구부(403)와 대응하는 영역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403)에는 상기 도어 바스켓(404)이 장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요철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42)의 배면 둘레에는 리어 가스켓(4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 가스켓(44)은 상기 캐비닛(10)의 둘레와 밀착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와 캐비닛(10) 사이의 냉기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42)의 상면에는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밝히기 위한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상기 개구부(403)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도어 바스켓(404)을 비롯한 상기 개구부 전체를 밝힐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캡데코(45,46)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게 되며, 각각 상기 메인 도어(40)가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 장착부(4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의 상단은 상기 메인 힌지(401)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도어(40)의 하단은 미들 힌지(402)와 결합되어 상기 메인 도어(40)를 상하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하면 즉, 상기 캡데코(46)에는 도어 핸들(462)이 함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도어 핸들(462)에 손을 넣어 상기 메인 도어(40)를 회동 조작하여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와 상기 도어 라이너(42)의 사이에는 도어 프레임(4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43)은 각각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와 도어 라이너(42) 사이에서 결합되며, 상기 개구부(403)의 둘레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와 도어 라이너(42), 도어 프레임(43) 및 상기 캡데코(45,46)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도어(40)의 내부 공간에는 발포액이 충전되어 단열재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개구부(403)의 둘레 영역 내부에는 단열재가 배치되어 고내 공간과 고외 공간을 단열시키게 된다.
상기 도어 프레임(43)은 상기 도어 라이너(42)와 이종의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도어 프레임(43)은 도어 라이너(42)와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와 직접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프레임(43)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프레임 단차부(43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혔을 때 상기 프레임 단차부(431)는 상기 서브 도어(5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 단차부(431)에는 프론트 가스켓(434)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 가스켓(434)은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힐 때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과 접하여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의 사이를 실링하게 된다. 물론, 상기 프론트 가스켓(434)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가스켓(434)은 금속 소재의 시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자력을 가지는 서브 도어 가스켓(591)과 자력에 의해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 단차부(431)의 배면에는 프레임 히터(4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히터(432)는 상기 프레임 단차부(431)를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 단차부(431)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 단차부(431)는 고내 냉기의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표면의 온도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단차부(431)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 히터(432)의 구동에 의해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프레임(43)의 일측에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장착을 위한 서브 힌지(51,52)가 장착되는 힌지 홀(433)이 개구된다. 상기 힌지 홀(433)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측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개구되며 상기 서브 힌지(51,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힌지 홀(433)과 대응하는 상기 도어 프레임(43)의 내측면(단열재와 접하는 면)에는 힌지 케이스(4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케이스(47)는 제 1 케이스(471)와 제 2 케이스(472)가 상하측에서 서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케이스(47)는 상기 제 1 케이스(471)와 제 2 케이스(472) 결합시 상기 힌지 홀(433)을 관통하여 삽입된 상기 서브 힌지(51,52)의 일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힌지 케이스(47)의 함몰된 공간에는 힌지 장착부재(473)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 장착부재(473)는 상기 제 1 케이스(471)와 제 2 케이스(472)의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장착부재(473)는 스틸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힌지(51,52)의 힌지 축이 삽입되는 축 삽입부(47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43)의 상하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힌지 홀(433)에는 각각 상기 힌지 케이스(47)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하 배치되는 각각의 힌지 케이스(47)는 그 구조와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프레임(43)의 외측에는 힌지 프레임(4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 프레임(48)은 상하로 연장 형성되어 상방과 하방에 배치된 상기 힌지 케이스(47)를 각각 고정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힌지 프레임(48)은 금속 또는 강도가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프레임(48)의 상단(482)과 하단(483)은 각각 절곡되어 상기 메인도어(40) 상하단의 캡데코(45,46)에 각각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 프레임(48)은 상기 캡데코(45,46)에 상단과 하단이 고정되어 장착위치가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힌지(51,52)를 간접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프레임(48)의 상부와 하부에는 케이스 고정부(48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고정부(481)는 상기 힌지 프레임(48)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 프레임(48)의 절개된 케이스 고정부(481)에 상기 힌지 케이스(47)의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 수용되며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 케이스(47)는 스크류와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힌지 프레임(48)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프레임(48)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케이스 고정부(481)의 사이에는 프레임 보강부(484)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보강부(484)에는 다수의 프레임 개구(48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보강부(484)는 상기 힌지 프레임(48)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며 휨이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힌지 케이스(47)의 장착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발포액이 상기 메인 도어(40)에 주입될 때 표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발포액과 밀착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 개구(485)를 통해 발포액이 통과될 수 있어 발포액의 흐름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상기 단열재의 형성시 상기 힌지 프레임(48)이 상기 단열재에 매립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힌지(51,52)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단에 장착되는 어퍼 힌지(51)와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에 장착되는 로어 힌지(5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힌지(51)와 로어 힌지(52)는 상기 힌지 홀(433)을 향하여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내측에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힌지(51,52)는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측방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 사이의 틈새에 상기 서브 힌지(51,52)의 간섭 구조가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은 상태를 유지하여 외관이 더욱 미려하게 보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은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상기 서브 도어(50)의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동시 메인 도어(4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힌지(51)의 상방에는 상기 어퍼 힌지(51)를 차폐하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선 출입을 가이드 하기 위한 힌지 커버(5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힌지(51,52)의 구체적인 구조와 상기 힌지 커버(53)의 구조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상기 메인 도어와 디스플레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a 및 도 10b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장착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에는 디스플레이 유닛(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은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표시 및 조작을 위한 것으로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한 상태가 되었을 때 외부에서 사용자가 상기 서브 도어(50)를 통해서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서브 도어(50)가 불투명한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며, 상기 서브도어(50)가 투명한 상태에서는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에는 상기 냉장고(1)의 상태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61)와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설정을 위한 각종 조작 버튼(62)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 버튼(62)의 조작에 의해 상기 냉장고(1)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은 상기 개구부(403)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의 점검 또는 수리가 필요한 경우 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조립 후 별도 모듈로 조립된 디스플레이 유닛(60)을 간단하게 장착하여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1)의 사양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가진 디스플레이 유닛(60)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의 탈착을 위해서 상기 개구부(403)의 내부 양측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착돌기(43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403)의 하단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연결부(4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돌기(435)는 상기 개구부(403)의 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어 라이너(42)의 일부와 상기 도어 프레임(43)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돌기(435)는 라이너측 장착부(4352)와 프레임측 장착부(4351)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며 원형 단면을 가지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의 장착시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돌기(435)는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도어 라이너(42)와 상기 도어 프레임(43) 사이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돌기(435)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돌기(435)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가이드(634)와 형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가이드(634)는 하방으로 개구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이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돌기(435)와 상기 디스플레이 가이드(634)가 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403)의 하단에서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연결부(436)는 상기 도어 라이너(42)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연결부(436)는 하방으로 함몰되거나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의 장착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연결부(436)에는 도어 커넥터(436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넥터(4361)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의 동작을 위한 전원과 신호의 전달을 위한 전선이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탈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61)의 탈착구조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커넥터(4361)는 상기 디스플레이 연결부(436)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의 장착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의 바닥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커넥터(651)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어 커넥터(4361)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의 기능별로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의 디스플레이(61)와 조작 버튼(62)들에 대응하는 도어 커넥터(4361)가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에 별도의 전원과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유닛(60)의 후면 하단에는 케이스 연장부(63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연장부(635)에는 스크류가 체결되는 스크류 홀(6351)이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이 상기 메인 도어(4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은 외형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63)와 상기 아웃 케이스(63)의 내측에 구비되는 이너 케이스(64), 그리고 디스플레이 피시비(65) 그리고 디스플레이 커버(6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케이스(63)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이너 케이스(64)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수용 공간은 전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도어 커넥터(4361)와 결합되기 위한 디스플레이 커넥터(651)에 연결되는 전선이 출입되는 커넥터 개구(6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개구(631)의 하방에 상기 디스플레이 커넥터(651)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넥터(651)는 상기 커넥터 개구(631)에 고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을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403)에 장착하게 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을 상하 이동시키는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커넥터(651)와 도어 커넥터(4361)가 서로 결합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연결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으로의 전원 공급과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 공간의 내측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64)와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다수의 케이스 결합돌기(63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632)는 상기 수용 공간의 개구된 입구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 공간의 내측면 좌우 양측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64)를 지지하는 케이스 지지부(633)가 내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케이스 지지부(633)에는 스크류가 삽입되는 스크류 홀(6331)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64)가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아웃 케이스(63)의 좌우 양측면에는 디스플레이 가이드(634)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가이드(634)는 상기 아웃 케이스(63)의 좌우 양측면에서 돌출된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가이드(634)는 하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돌기(435)가 개구된 하방을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가이드(634)는 개구된 입구(6343)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가이드(634)의 상단부(6341)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돌기(435)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돌기(435)는 상기 디스플레이 가이드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가이드(634)의 상단부(6341)에서 구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가이드(634)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부(6342)가 더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6342) 사이의 거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돌기(435)의 직경보다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6342)를 통과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가이드(634)는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가이드(634)의 상단부(6341)로 이동시 압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64)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5)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64)의 중앙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5)와 대응하는 크기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64)의 둘레에는 다수의 케이스 결합홈(641)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결합돌기(632)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64)의 양측면에는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 지지부(633)에 안착되는 케이스 안착부(642)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안착부(642)의 스크류 홀(6421)에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이너 케이스(64)는 상기 아웃 케이스(63)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64)의 일측면에는 케이스 홀(643)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홀(643)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5)와 연결된 전선들이 출입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 홀(643)을 지나 상기 커넥터 개구(631)를 통해 디스플레이 커넥터(65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5)는 상기 이너 케이스(64)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5)에는 디스플레이(61)와 다수의 조작 버튼(62)이 모듈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피시비(65) 상의 소자들은 방수 및 방습을 위해 수지재로 둘러싸여 밀폐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1)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상태 및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패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 버튼(62)은 상기 디스플레이(61)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방에 다수개가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6)를 누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조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5)가 상기 이너 케이스(64)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64)는 상기 아웃 케이스(63)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61)는 상기 아웃 케이스(63)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61)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65)와 상기 이너 케이스(64)는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6)는 상기 아웃 케이스(63)의 개구된 전면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6)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6)의 중앙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1)에서 출력되는 정보가 투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61)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6)의 개구를 통해 노출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6)의 일부가 투명하게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61)의 좌우 양측방에는 다수의 조작 버튼(6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6)의 양측에도 상기 조작 버튼(62)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6)에 표시되는 조작 버튼(62)은 사실상 실질적인 조작 버튼(62)은 아니지만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 또는 누름 조작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6)의 좌우 양측단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6)를 고정 장착시키기 위한 케이스 고정부재(66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661)는 단부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케이스(63)의 양측면에 형성된 케이스 구속홈(636)과 걸림 구속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6)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은 도 1의 13-13'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도어(40)의 상부에는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상기 도어 라이너(42)와 도어 프레임(43)의 사이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그 장착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어 라이너(42) 또는 도어 프레임(43)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밝힐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상기 메인 도어(40)의 내측에 장착되는 램프 케이스(491)와, 상기 램프 케이스(491)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수의 엘이디(4921)가 배치되는 램프 피시비(492)와, 상기 램프 케이스(491)의 개구면을 차폐하며 상기 개구부(403)로 노출되는 램프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램프 커버(493)는 상기 도어 라이너(42)를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램프 피시비(49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4914)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함몰부(4914)는 상기 램프 피시비(492)와 마주보는 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라운드면(4915)을 통해 상기 램프 피시비(492)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되어 상기 램프 케이스(491)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4914)의 내측면 특히 상기 라운드면(4915)에는 빛의 반사율을 높이기 위한 필름이 부착되거나 코팅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라운드면(4915)과 마주보는 일면에는 상기 램프 피시비(492)가 장착되는 램프 피시비 장착부(4913)가 형성된다. 상기 램프 피시비 장착부(4913)는 상기 램프 커버(493)와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램프 피시비(492)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램프 피시비 장착부(4913) 및 상기 램프 피시비(492)의 위치는 상기 도어 프레임(43)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며, 하방에서 볼 때 상기 도어 프레임(43)의 단부에 의해 가려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별도의 베젤이 없이도 상기 도어 프레임(43)의 단부에 의해 상기 엘이디(4921)가 가려질 수 있게 되어 빛의 맺히는 것과 같이 보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4914)의 양단에는 제 1 케이스 장착부(4911)와 제 2 케이스 장착부(491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케이스 장착부(4911)와 제 2 케이스 장착부(4912)는 각각 도어 라이너(42)와 상기 도어 프레임(43)의 내측면과 면접촉 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램프 케이스(491)가 상기 메인 도어(40)의 내측에서 걸림 구속되거나 접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 장착부(4911)와 제 2 케이스 장착부(4912)에는 커버 삽입홈(4916,49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삽입홈(4916,4917)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램프 케이스(491)의 장착시 상기 제 1 케이스 장착부(4911)와 상기 도어 라이너(42) 그리고 상기 제 2 케이스 장착부(4912)와 도어 프레임(43) 사이에 상기 램프 커버(493)의 양단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램프 커버(493)는 상기 함몰부(4914)의 라운드면(4915)에서 반사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4914)의 개구를 차폐하고 동시에 상기 도어 라이너(42)와 도어 프레임(43)의 사이 공간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램프 커버(493)는 상기 라운드면(4915)에서 반사되어 고르게 퍼지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램프 커버(493)를 통과하는 빛은 간접 조명 방식으로 고내측을 밝히게 되며 면발광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 커버(493)는 보다 효과적으로 빛을 확산시키기 위해 필름이 부착되거나, 코팅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램프 커버(493)의 사출 성형시 빛을 확산시키는 입자 또는 소재가 첨가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램프 커버(493)의 양단에는 상기 램프 커버(493)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삽입홈(4916,4917)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커버 고정부(4931,493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램프 커버(493) 양측의 상기 커버 고정부(4931,4932)는 상기 커버 삽입홈(4916,4917)의 내측에 후크 형상으로 결합되거나 압입되어 상기 램프 커버(493)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 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온 되면 상기 개구부(403) 및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이 밝아지게 된다.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의 점등에 의해 고내측이 고외측보다 밝아지게 되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에 의해 조사되는 빛은 상기 서브 도어(50)를 투과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서브 도어(50)를 투명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도어(40) 내측의 수납 공간을 외부에서 상기 서브 도어(50)를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냉장실(12)의 내부에 별도의 메인 라이팅 유닛(85)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메인 라이팅 유닛(85)의 온/오프에 의해 고내 공간을 상기 서브 도어(50)를 통해 외부에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냉장실(12)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 라이팅 유닛(85)은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과 함께 온/오프 될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온/오프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 단차부(431)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히터 지지부(435)가 형성된다. 상기 히터 지지부(435)는 상기 프레임 단차부(431)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 지지부(435)의 돌출 위치는 상기 프레임 단차부(431)의 외측(도 13에서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 히터가 상기 프레임 단차부(431)의 외측단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히터(432)는 결로 가능성이 높은 상기 프레임 단차부(431)의 모서리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 단차부(431)의 모서리는 상기 서브 도어 가스켓(591) 외측 부분과 접하는 부분으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고 외기와 접하는 부분으로 결로의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히터(432)에 의해 상기 프레임 단차부(431)의 외측이 가열되어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 도어(40) 및 서브 도어(50)에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도어 구속부재(4361,5721)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 구속부재(4361,5721)는 별도의 구속 구조 없이 자력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50)가 상기 메인 도어(40)에 구속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회동시 발생되는 관성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50)가 임의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개구부(403) 상면을 형성하는 상기 도어 프레임(43)의 내측면에는 제 1 마그네틱 장착부(436)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마그네틱 장착부(436)에 제 1 마그네틱(4361)이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마그네틱 장착부(436)와 대응하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부에는 제 2 마그네틱 장착부(572)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마그네틱 장착부(572)에 상기 제 2 마그네틱(5721)이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제 2 마그네틱 장착부(572)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57)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제 2 마그네틱(5721)은 외부로 노출되지는 않는다.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마그네틱(4361)과 제 2 마그네틱(5721)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서로 마주보는 면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마그네틱(4361)과 제 2 마그네틱(5721)의 인력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50)는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전력이 상기 제 1 마그네틱(4361)과 제 2 마그네틱(5721)의 자력보다 더 크게 작용하게 되면 상기 서브 도어(50)는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1 마그네틱(4361)과 제 2 마그네틱(5721)은 서로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할 때에 자력이 강하게 작용되며, 상기 제 1 마그네틱(4361)과 제 2 마그네틱(5721)의 배치 구조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전 축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개방되기 시작하면 상기 제 1 마그네틱(4361)과 제 2 마그네틱(5721)은 서로 엇갈리게 되어 자력이 크게 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일정 각도만큼 회전된 이후에는 상기 서브 도어(50) 개방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 도어(40)의 상단에는 상기 캡데코(45)가 구비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와 도어 라이너(42), 도어 프레임(43) 및 캡데코(45)가 형성하는 내부의 공간에는 발포액이 주입되어 상기 단열재가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캡데코(45)에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개방장치 수용부(452)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장치 수용부(452)는 캡데코 커버(453)에 의해 차폐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어 개방장치의 장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도어(40) 상면의 캡데코(45)에는 상기 개방장치 수용부(4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장치 수용부(452)의 내측에는 도어 개방장치(7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장치 수용부(452)의 개구된 상면은 캡데코 커버(453)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7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자동 개방을 위한 것으로 개방장치 케이스(71)의 내부에 구동모터(72)와 메인 도어(40)를 밀어서 개방하기 위한 푸쉬로드(74)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72)의 동력을 상기 푸쉬로드(74)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73)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푸쉬로드(74)의 외측면에는 상기 기어(73)들과 기어 결합되기 위한 렉기어(741)가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72)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40) 배면의 로드 홀(4511)을 통해 출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로드(74)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40)의 회동시에도 상기 푸쉬로드(74)의 전단이 상기 캐비닛(10)의 전면과 안정적으로 접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을 지속적으로 밀어 상기 메인 도어(40)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 도어(40)는 사용자가 식품을 들고 있어 두손을 사용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팔꿈치 등 신체 일부를 넣어서 상기 메인 도어(40)를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의 동작에 의해 상기 메인 도어(40)와 이웃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 사이의 간격(D)이 대략 90mm가 되도록 개방될 수 있으며, 이때의 상기 메인 도어(40)의 회동 각도는 24°~ 26°사이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격(D)만큼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자동으로 개방되면 사용자는 물건을 들고 있어 양손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에서도 팔꿈치나 신체 일부를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개방된 틈새로 넣어 상기 냉장실 도어(20)를 추가 개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 개방장치(70)는 제한된 폭을 가지는 상기 캡데코(45)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인출입되는 상기 푸쉬로드(74)의 길이에 대한 제약이 있다. 따라서, 푸쉬로드(74)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개방장치(70)는 최대한 상기 메인 힌지(401)의 회전축과 인접한 위치에 위치하되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방을 위한 힘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메인 도어(40)의 개방 각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일정 길이의 푸쉬로드(74)가 최대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기어(73)들의 조합 배치하게 된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70)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개방장치 수용부(452)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개방장치(70)는 스크류에 의해 관통되는 완충부재에 의해 상기 개방장치 수용부(452) 내측에서 지지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동작시 발생되는 진동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 개방장치(7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며, 사용자에 의한 도어 개방 신호 입력시 상기 구동모터(72)의 동작에 의해 상기 메인 도어(40)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양손은 사용을 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의 동작 입력은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직접적인 입력 방식이 아닌 위치의 감지 및 모션의 감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6은 도 1의 16-16'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도어(4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와 도어 프레임(43) 그리고 도어 라이너(42)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403) 양측방의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 프레임(43)의 전단에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4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절곡된 프론트 지지부(437)가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지지부(437)의 단부에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의 단부가 절곡된 상태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론트 수용부(437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수용부(4371)에 위치되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의 단부는 다수회 연속 절곡되는 다중 절곡부(411)를 형성하며, 상기 다중 절곡부(411)는 상기 개구부(403)의 일단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다중 절곡부(411)가 위치되는 상기 개구부(403)의 일단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제 2 사이드 프레임(56)에 형성되는 손잡이(561)와 인접되는 부분이다.
상기 다중 절곡부(411)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을 형성하는 부분에서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제 1 절곡부(411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 1 절곡부(4111)의 경사면은 상기 개구부(403)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절곡부(4111)의 단부는 상기 개구부(403)의 일단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절곡부(4111)의 단부에는 상기 제 1 절곡부(4111)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2 절곡부(4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절곡부(4112)의 연장된 단부에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과 평행하게 절곡되는 제 3 절곡부(4113)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절곡부(4112)와 제 3 절곡부(4113)는 상기 프론트 수용부(4371)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프론트 지지부(437)와 밀착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중 절곡부(411)가 형성되는 상기 개구부(403)의 일단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손잡이(561)가 위치되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손이 빈번하게 출입된다. 사용자의 손이 출입과정에서 상기 개구부(403)의 일단에 사용자의 손이 접촉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다중 절곡부(411)의 제 1 절곡부(4111)의 경사면에 의해서 걸리거나 긁힘 없이 원활한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다중 절곡부(411)의 형상에 의해 강도가 보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이 빈번하게 출입되는 과정 중에 발생되는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아웃 플레이트(4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낟.
상기 손잡이(561)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일측면을 형성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사용자가 손을 넣어 당길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403)의 일단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프레임(43)의 프레임 단차부(431)에는 배면에는 상기 프레임 히터(432)와 상기 히터 지지부(435)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단차부를 가열하여 결로를 방지하게 된다.
도 17은 상기 서브 도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서브 도어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서브 도어를 후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개구부(403)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복수의 유리가 일정 간격으로 적층 구성되는 패널 어셈블리(54)와, 상기 서브 도어(50)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55,56),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 둘레를 형성하는 서브 도어 라이너(59),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57) 및 로어 캡데코(5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전체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541)와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단열 패널(5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 패널(542)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패널(541)와 단열 패널(542) 그리고 복수의 단열 패널(542)들 사이에는 간봉(543)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은 유리 또는 내부의 투시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고내를 투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은 단열 소재 또는 단열 구조를 가지며 고내의 냉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구성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55,56)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55,56)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와 상기 도어 라이너(42)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55,56)은 상기 서브 힌지(51,52)가 장착되는 일면을 형성하는 제 1 사이드 프레임(55)과, 사용자가 회동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561)가 형성되는 제 2 사이드 프레임(5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은 상기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어퍼 힌지(51)와 로어 힌지(52)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의 상단과 하단에는 어퍼 힌지(51)와 로어 힌지(52)가 삽입되는 힌지 삽입부(551,552)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 삽입부(551,552)는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의 상단과 하단에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어퍼 힌지(51) 및 로어 힌지(52)의 일부가 형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강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힌지(51)와 로어 힌지(52)가 정확한 장착 위치를 유지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무게에 의해 장착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에 최초의 장착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외측단과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403)는 매우 밀접한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회동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은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과 같이 금속 또는 강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을 넣을 수 있도록 함몰된 손잡이(56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어퍼 캡데코(57)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과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의 상단을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상단 및 상기 서브 도어 라이너(59)의 상단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캡데코(57)의 일측단에는 어퍼 힌지 장착부(571)가 형성된다. 상기 어퍼 힌지 장착부(571)는 상기 어퍼 힌지(51) 및 상기 힌지 커버(53)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함몰되며, 상기 힌지 커버(53)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커버(53)와 상기 어퍼 캡데코(57)의 상면은 동일 평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로어 캡데코(58)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과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의 하단을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하단 및 상기 서브 도어 라이너(59)의 하단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캡데코(58)의 일측단에는 로어 힌지 장착부(581)가 형성된다. 상기 로어 힌지 장착부(581)는 상기 로어 힌지(52)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함몰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캡데코(58)에는 제 2 감지장치(81)와 노크 감지장치(82)가 장착되는 감지장치 수용부(582)가 형성되며,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는 수용부 커버(583)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캡데코(58)에 장착되는 제 2 감지장치(81)는 사용자의 근접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서브 도어(50)의 노크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제 2 감지장치(81)와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과 인접하는 상기 전면 패널(541)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감지장치(81)와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에 의해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되어 상기 서브 도어(50) 내측을 투시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 2 감지장치(81) 및 노크 감지장치(82)의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서브 도어 라이너(59)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 둘레의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 라이너(59)는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과 제 2 사이드 프레임(56) 그리고 어퍼 캡데코(57)와 로어 캡데코(58)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 라이너(59)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서브 도어(50) 둘레의 내부 공간에는 발포액이 주입되어 단열재(미도시)가 충전되며 상기 서브 도어(50) 둘레의 단열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서브 도어(50)의 중앙 부분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구성하는 단열 패널(542)에 의해 단열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둘레는 상기 단열재에 의해 단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 라이너(59)의 배면에는 서브 도어 가스켓(591)이 구비된다. 상기 서브 도어 가스켓(591)은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히게 되었을때, 상기 메인 도어(40)와 접하여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 사이의 냉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7의 20-20'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패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는 패널 어셈블리(54)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양단에 제 1 사이드 프레임(55)와 제 2 사이드 프레임(56)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와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 및 제 2 사이드 프레임(56)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는 발포액이 충전되어 단열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전체면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541)과 상기 전면 패널(541)의 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열 패널(542)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 및 복수의 단열 패널(542) 사이를 지지하는 간봉(5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541)은 빛의 투과율 및 반사율에 따라서 내부의 선택적인 투시가 가능한 유리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프 미러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541)은 고내의 메인 라이팅 유닛(85) 또는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켜진 상태에서는 고내측의 빛이 상기 전면 패널(541)을 투과하면서 상기 전면 패널(541)이 투명하게 보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 후방의 고내 공간 또는 상기 메인 도어(40)에 형성된 수납 공간을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서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꺼진 상태에서는 빛이 상기 전면 패널(541)을 투과하지 못하고 반사되며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541)은 거울면과 같이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서브 도어(50) 후방의 고내 공간 또는 상기 메인 도어(40)에 형성된 수납 공간을 외부에서 볼 수 없게 된다.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 둘레를 따라서 베젤(5411)이 형성된다. 상기 베젤(5411)은 빛의 투과가 불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패널(541)과 결합되는 사이드 프레임(55,56)와 어퍼 캡데코(57)와 로어 캡데코(58) 및 간봉(543)이 상기 전면 패널(541)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541)의 하단에 형성된 베젤(5411)에는 상기 제 2 감지장치(81)와 노크 감지장치(82)가 배치될 수 있게 되며,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가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541)의 하단에 형성된 베젤(5411) 상기 제 2 감지장치(81)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투과부(54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는 상기 제 2 감지장치의 전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젤(5411)이 인쇄 형성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베젤(5411)은 상기 전면 패널(541)의 둘레를 따라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인쇄 형성되되 상기 투과부(5412)는 제외하고 인쇄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5412)는 상기 제 2 감지장치(81)에서 조사되는 광선이 상기 베젤(5411)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상기 전면 패널(541)을 통과하여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투과부(5412)와 접하는 상기 제 2 감지장치(81)의 전면은 상기 베젤(5411)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과부(5412)에 의해 상기 제 2 감지장치(81)의 전면이 노출되는 상태에서도 상기 투과부(5412) 영역이 쉽게 노출되지 않고 전체 상기 전면 패널(541)과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에는 제 1 사이드 프레임(55)과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이 장착된다.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과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은 각각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 양측단에 접착되며, 상기 베젤(5411)의 영역 내측에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 둘레에는 간봉(543)이 형성된다. 상기 간봉(543)은 상기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을 서로 이격시키게 되며, 상기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며, 그 사이가 밀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간봉(543)은 복수의 상기 단열 패널(542)의 사이에도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 그리고 복수의 간봉(543)은 접착제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으며, 실런트가 도포되어 상기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 그리고 간봉(543)의 사이가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열 패널(542)은 상기 전면 패널(541)보다 크기가 더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전면 패널(541)의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 패널(542)은 유리전이온도 이상에서 유리를 전해질 용액에 담가서 화학적으로 강화시킨 화학강화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열 패널(542)의 후면에는 복사에 의한 저장실 내로의 열전달을 줄이기 위한 저방사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방사코팅층이 형성된 유리를 로이 유리(Low-ε Glass)라고 하는데, 유리의 표면에 보통 은 등을 스퍼터링(Sputtering) 등으로 증착함으로써 저방사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봉(543)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 사이의 밀폐된 공간 및 복수의 단열 패널 사이의 밀폐된 공간 사이는 진공 상태로 형성되어 단열되도록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 사이의 밀폐된 공간 및 복수의 단열 패널(542) 사이의 밀폐된 공간 사이에는 단열을 위한 아르곤 가스와 같은 비활성 기체가 충전될 수 있다. 비활성 기체는 일반 공기에 비해 단열 특성이 더욱 우수하다. 이러한 이유로,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 사이 그리고 복수의 단열 패널(542) 사이에 비활성 기체가 충전되는 소정 공간을 형성하여 단열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열 패널(542)은 단일 패널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 패널(541)과 이격되도록 장착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의 상기 단열 패널(542)이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적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하프 미러 구조를 가지는 전면 패널(541)의 구조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2는 패널 어셈블리의 전면 패널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예에 의한 상기 전면 패널(541)은 외관을 형성하는 유리층(5413)과, 상기 유리층(5413) 배면에 형성되는 진공 증착층(5414) 그리고 상기 진공 증착층(5414) 배면에 형성되는 베젤 인쇄층(5415) 그리고 상기 베젤 인쇄층(5415) 및 진공 증착층(5414) 배면 전체를 형성하는 투명 인쇄층(541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리층(5413)은 일반적으로 투명한 유리로 많이 사용되는 청유리(green glass)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패널(541)의 전체면을 형성한다. 물론 상기 청유리 외에 백유리 등 투명한 소재의 다양한 다른 유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진공 증착층(5414)은 상기 전면 패널(541)이 하프 글래스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티탄화합물(TiO2)이 진공증착에 의해 상기 유리층(5413)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리층(5413)의 배면 전체에는 진공 증착층(5414)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켜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진공 증착층(5414)에 의해 빛이 반사되어 상기 전면 패널(541)을 전방에서 바라 보았을 때 거울과 같이 보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젤 인쇄층(5415)은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 둘레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베젤 인쇄층(5415)에 의해 상기 베젤(5411)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젤 인쇄층(5415)은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켜진 상태에서도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구성들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젤 인쇄층(5415)과 상기 진공 증착층(5414)을 포함한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 전체에는 투명 인쇄층(54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인쇄층(5416)은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패널(541) 또는 패널 어셈블리(54)의 가공 중 상기 전면 패널(541)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특히, 상기 투명 인쇄층(5416)은 상기 진공 증착층(541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전면 패널(541)은 상기 단열 패널(542)과의 결합을 위해 간봉(543) 등이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면 패널(541)은 상기 단열 패널(542)과 별도로 제작 운송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투명 인쇄층(5416)이 없는 경우에는 진공 증착층(5414)이 손상되어 하프 글래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진공 증착층(5414)은 공기 중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산화되어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유리층(5413)의 배면에 상기 진공 증착층(5414)이 형성되는 구조에서는 반드시 투명 인쇄층(5416)을 필요로 하게 된다.
도 23은 패널 어셈블리의 전면 패널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른 예에 의한 상기 전면 패널(541)은 외관을 형성하는 유리층(5413)과, 상기 유리층(5413) 전면에 형성되는 세라믹 인쇄층(5417) 그리고 상기 유리층(5413)의 배면에 형성되는 베젤 인쇄층(541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리층(5413)은 빛의 투과 및 투시가 가능한 유리 소재로 형성되되, 투명 상태에서 미세하게 다크 그레이(Dark gray)색상을 띄게 되는 일명 다크 그레이 글래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리층(5413)의 다크 그레이 색상은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켜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541)이 거울과 같은 상태가 될 때, 상기 전면 패널(541)의 질감이 실제 거울과 같이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색감을 보조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 세라믹 인쇄층(5417)은 상기 유리층(5413)의 전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며,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 잉크를 이용하여 실크스크린 인쇄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 잉크는 티탄화합물(TiO2)을 주성분으로 하여 점도조절용 수지와 유기용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사잉크는 실크스크린 인쇄를 위하여 소정의 점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라믹 인쇄층(5417)은 40 ~ 400nm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라믹 인쇄층(5417)은 반사잉크를 이용한 실크스크린 인쇄를 통해서 거울면과 유사한 평탄도를 가질 수 있으며, 가열에 의한 강화시 거울면과 같이 성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세라믹 인쇄층(5417)은 상기 유리층(5413)의 표면에 별도로 형성되며, 상기 유리와 다른 굴절율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고외측에서 상기 전면 패널(541)로 입사되는 빛은 상기 세라믹 인쇄층(5417)에서 일부 반사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유리층(5413)에서 반사될 수 있으며, 반사되는 빛의 간섭 효과에 의해 거울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즉, 굴절율이 다른 매질의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간섭 효과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볼 때에는 상기 전면 패널(541)이 거울과 같이 보일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켜지게 되면, 고내측에서 상기 유리층(5413)을 향하여 빛이 조사되고, 상기 유리층(5413)을 투과하는 빛은 상기 세라믹 인쇄층(5417)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 외측에서 볼 때 상기 전면 패널(541)이 투명하게 보일 수 있으며, 고내의 공간을 투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전면 패널(541)의 투과율이 대략 20%~30% 정도가 될 수 있도록 상기 세라믹 인쇄층(5417)을 형성하게 된다. 투과율이 20%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온 된 상태에서도 상기 전면 패널(541)의 투명도가 낮아 고내의 공간 식별이 어렵게 된다. 그리고, 투과율이 30%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고내의 공간이 비치게 되어 유리와 같은 표면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하프 미러의 효과를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패널(541)의 투과율이 대략 20%~30%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세라믹 인쇄층(5417)은 거울면과 같이 고휘도를 가지는 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강화되며, 가열을 통해 유기 성분이 완전히 제거하고 티탄화합물(TiO2)이 상기 유리층(5413)의 표면에 소성된다.
한편,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에 의해 상기 세라믹 인쇄층(5417)을 인쇄한 후에 상기 전면 패널(541)을 가열하게 될 때에는 반사 잉크의 유기성분이 완전히 제거되고 티탄화합물이 소성될 수 있도록 고온에서 가열하되 너무 높은 온도에서 과도한 온도로 가열하게 될 경우 휘어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표면이 변형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541)은 유기성분의 제거와 티탄화합물의 소성을 위해 서로 다른 온도에서 단계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젤 인쇄층(5415)은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 둘레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베젤 인쇄층(5415)에 의해 상기 베젤(5411)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젤 인쇄층(5415)은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켜진 상태에서도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구성들을 차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젤 인쇄층(5415)은 무기인쇄방식(초자인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젤 인쇄층(5415)은 유리분말(Frit)과 무기안료 그리고 오일이 혼합된 세라믹 안료를 주성분으로 하여 인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젤 인쇄층(5415)은 유리 강화과정에서 가열에 의해 수지가 분해되어 휘발되며 유리분말이 녹아 안료를 감싸고 유리층의 표면에 녹아 붙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무기인쇄방법은 일반적인 유기인쇄방법에 비해 도막이 낮고, 강한 내구성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유리성분이 녹아 상기 유리층(5413)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게 되어 추가적인 단열 패널(542)과의 복층 가공시 열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부착성 또한 우수한 이점이 있다.
도 24는 패널 어셈블리의 전면 패널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또 다른 예에 의한 상기 전면 패널(541)은 외관을 형성하는 유리층(5413)과, 상기 유리층(5413) 전면에 형성되는 하드 코팅층(5418) 그리고 상기 유리층(5413)의 배면에 형성되는 베젤 인쇄층(541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리층(5413)은 빛의 투과 및 투시가 가능한 유리 소재로 형성되되, 투명 상태에서 미세하게 그레이(Dark gray)색상을 띄게 되는 일명 그레이 글래스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의 상기 그레이 글래스는 전술한 예에서의 다크 그레이 글래스 보다는 다소 밝은 색상을 가지며, 이러한 차이는 상기 유리층(5413)에 형성되는 세라믹 인쇄층(5417)과 하드 코팅층(5418)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유리층(5413)의 그레이 색상은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켜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541)이 거울과 같은 상태가 될 때 상기 전면 패널(541)의 질감이 실제 거울과 같이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색감을 보조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 하드 코팅층(5418)은 상기 유리층(5413)의 전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며, 하프미러의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빛의 투과율이 25-50%, 반사율이 45~65%)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투과율과 반사율이 동시에 높아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하드 코팅층(5418)은 대략 30~80n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철(Iron), 코발트(cobalt), 크롬(chrome)의 3중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투과율과 반사율 그리고 색차를 고려하여 3개의 레이어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레이어를 생략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하드 코팅층(5418)은 기체화 된 코팅 물질을 상기 유리층(5413)의 전면에 형성시키는 대기화학기상증착(APCAVD:Atmospheric Pressure Cemical Vapor Deposition)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액체 상태의 코팅 물질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팅층(5418)은 상기 유리층(5413)의 표면에 별도로 형성되며, 상기 유리층(5413)과 다른 굴절율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고외측에서 상기 전면 패널(541)로 입사되는 빛은 상기 하드 코팅층(5418)에서 일부 반사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유리층(5413)에서 반사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541)은 반사되는 빛의 간섭 효과에 의해 거울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즉, 굴절율이 다른 매질의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간섭 효과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볼 때에는 상기 전면 패널(541)이 거울과 같이 보일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켜지게 되면, 고내측에서 상기 유리층(5413)을 향하여 빛이 조사되고, 상기 유리층(5413)을 투과하는 빛은 상기 하드 코팅층(5418)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 외측에서 볼 때 상기 전면 패널(541)이 투명하게 보일 수 있으며, 고내의 공간을 투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면 패널(541)의 투과율이 대략 20%~30% 정도가 될 수 있도록 상기 하드 코팅층(5418)을 형성하게 된다. 투과율이 20%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온 된 상태에서도 상기 전면 패널(541)의 투명도가 낮아 고내의 공간 식별이 어렵게 된다. 그리고, 투과율이 30%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고내의 공간이 비치게 되어 유리와 같은 표면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하프 미러의 효과를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패널(541)의 투과율이 대략 20%~30%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베젤 인쇄층(5415)은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 둘레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베젤 인쇄층(5415)에 의해 상기 베젤(5411)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젤 인쇄층(5415)은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켜진 상태에서도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구성들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젤 인쇄층(5415)은 무기 인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도 22 내지 도 24에서와 같이 상기 전면 패널(541)을 구성하는 유리층(5413)의 표면에는 빛의 부분적인 반사를 위한 레이어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이어는 진공증착층(5414), 세라믹 인쇄층(5417), 하드 코팅층(5418)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25는 상기 서브 도어의 횡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양측방에는 사이드 프레임(55,56)이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55,56)은 상기 전면 패널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 라이너와 결합되어 상기 단열재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둘레를 단열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은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다른 일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의 양단에는 제 1 프론트 절곡부(553)와 제 1 리어 절곡부(5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론트 절곡부(553)는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과 접하도록 절곡 형성되며, 상기 간봉(543)의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외측의 온도가 금속 소재의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을 따라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까지 전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 1 프론트 절곡부(553)와 접하는 상기 전면 패널(541)의 일측에는 결로가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에는 서브 도어 히터(502)가 장착되는 제 1 히터 장착홈(5531)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제 1 히터 장착홈(5531)은 상기 제 1 프론트 절곡부(553)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간봉(543)과 인접하는 위치에 서브 도어 히터(502)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 히터(502)는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의 특성상 상기 제 1 프론트 절곡부(553)와 접하는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을 가열하여 상기 전면 패널(541)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리어 절곡부(554)는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의 후단에서 절곡되며 상기 서브 도어 라이너(59)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1 리어 절곡부(554)는 상기 서브 도어 라이너(59)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히게 될 때 상기 서브 도어 가스켓(591)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은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다른 일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은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403)의 일면과 인접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의 양단에는 제 2 프론트 절곡부(562)와 제 2 리어 절곡부(5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론트 절곡부(562)는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의 단부에서 연장되되 사용자가 손을 넣을 수 있도록 함몰되어 손잡이(561)를 형성한다. 상기 손잡이(561)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측방을 향하여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손잡이(561)는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 일부만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프론트 절곡부(562)는 상기 손잡이(561)를 형성하되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외측의 온도가 금속 소재의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을 따라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까지 전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 2 프론트 절곡부(562)와 접하는 상기 전면 패널(541)의 일측에는 결로가 방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프론트 절곡부(562)는 상기 전면 패널(541)보다 더 외측에서 상기 전면 패널(541)을 향하여 함몰되며, 함몰된 단부는 상기 전면 패널(541)의 외측단보다 내측으로 더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프론트 절곡부(562)는 상기 전면 패널(541)의 후방에 위치되어 사용자는 상기 제 2 프론트 절곡부(562)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손잡이(561)의 내측에 손을 집어넣아 상기 서브 도어(50)를 회동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프론트 절곡부(562)에는 서브 도어 히터(502)가 장착되는 제 2 히터 장착홈(5621)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제 2 히터 장착홈(5621)은 상기 간봉(543)과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서브 도어 히터(502)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 히터(502)는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의 특성상 상기 제 2 프론트 절곡부(562)와 접하는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을 가열하여 상기 전면 패널(541)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론트 절곡부(562)의 내측면 중 상기 전면 패널(541)과 접하는 부분은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고 전방으로 용이하게 당길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리어 절곡부(563)는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의 후단에서 절곡되며 상기 서브 도어 라이너(59)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2 리어 절곡부(563)는 상기 서브 도어 라이너(59)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히게 될 때 상기 서브 도어 가스켓(591)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6은 상기 서브 도어의 어퍼 힌지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7은 상기 어퍼 힌지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의 어퍼 캡데코(57)에는 어퍼 힌지(51)와 힌지 커버(53)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함몰된 어퍼 힌지 장착부(57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힌지 장착부(571)는 상기 어퍼 캡데코(57) 상단에 형성되며, 인접한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 상단의 힌지 삽입부(551)와 상기 어퍼 캡데코(57)의 상기 어퍼 힌지 장착부(571)는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어퍼 힌지(51)는 상기 상기 어퍼 힌지 장착부(571)와 상기 힌지 삽입부(551)가 연결되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모서리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서브 도어(50) 하단의 상기 로어 캡데코(58) 또한 동일한 구조로 상기 서브 도어(50)의 모서리에 상기 로어 힌지(52)가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어퍼 힌지 장착부(571)에는 상기 어퍼 힌지(5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힌지 수용부(57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수용부(5711)에는 상기 어퍼 힌지(51)를 관통하는 스크류가 체결되는 힌지 고정홀(57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힌지 장착부(571)의 일측에는 상기 어퍼 힌지(51)에 배치되는 전선(L)이 출입되는 전선 안내부(5714)와 전선 홀(57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안내부(5714)를 통해 안내되는 전선(L)은 상기 서브 도어(50)에 구비되는 제 2 감지장치(81) 및 노크 감지장치(82)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로어 캡데코(58)와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을 지나 상기 어퍼 캡데코(57)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힌지 장착부(571)에 형성되는 전선 홀(5713)을 통해 상기 전선 안내부(5714)로 유입되며, 상기 전선 안내부(5714)를 통해 상기 서브 도어(50)의 외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전선 안내부(5714)를 따라 안내되는 전선(L)은 상기 어퍼 힌지(51)가 연장된 방향으로 안내되며, 상기 어퍼 힌지(51)의 일측과 함께 상기 메인 도어(40)의 힌지 홀(433)을 통해 상기 메인 도어(4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어퍼 힌지(51)는 상기 어퍼 힌지 장착부(571)에 스크류에 의해 고정 장착되며, 상기 서브 도어(50)에 고정되는 도어 장착부(511)와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결합부(51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장착부(511)는 상기 어퍼 힌지 장착부(571)에 고정되는 수평부(5111)와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의 힌지 삽입부(551)에 고정되는 수직부(51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5111)와 수직부(5112)는 서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어퍼 힌지(51)가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단 모서리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 결합부(512)는 상기 수평부(5111)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결합부(512)는 일방향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된 단부에 힌지 축(5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축(5121)은 판상의 상기 회전 결합부(512)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결합부(512)에는 상기 회전 결합부(512)가 측방으로 벤딩된 형상과 같이 형성되도록 절개부(5122)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5122)는 상기 힌지 축(5121)이 형성된 일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결합부(512)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폐시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절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힌지(51)가 상기 메인 도어(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개방되도록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절개부(5122)의 내측으로 상기 힌지 홀(433)을 형성하는 상기 도어 프레임(43)의 일단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결합부(512)의 외측단을 따라서 상기 회전 결합부(512)의 변형을 방지하고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테두리(51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5123)는 상기 회전 결합부(512)와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결합부(512)의 일단에는 스토퍼(512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124)는 상기 힌지 축(5121)과 인접하는 상기 회전 결합부(512)의 일측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서브 도어(50)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회동 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홀(433) 또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일측과 간섭되어 상기 서브 도어(50)가 더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힌지 커버(53)는 상기 어퍼 힌지 장착부(571)의 개구를 차폐하고 동시에 상기 어퍼 힌지(51)를 상방에서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힌지 커버(53)는 상기 어퍼 힌지 장착부(571)를 차폐하는 캡데코 차폐부(531)와 상기 어퍼 힌지(51)의 회전 결합부(512)를 차폐하는 힌지 차폐부(5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캡데코 차폐부(531)는 상기 어퍼 힌지 장착부(571)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다수의 스크류 홀(5311)이 형성되어 상기 어퍼 캡데코(57)에 스크류가 직접 체결되도록 하거나, 상기 도어 장착부(511)를 관통하는 스크류가 출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차폐부(532)는 상기 어퍼 힌지(51)의 회전 결합부(512)의 형상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결합부(512)를 상방에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차폐부(532)는 상기 회전 결합부(512)와 다소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회전 결합부(512)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전선 안내부(5714)를 통과한 전선(L)이 상기 힌지 차폐부(532)와 상기 회전 결합부(512)의 사이 공간을 통해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8은 상기 어퍼 힌지의 결합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퍼 힌지(51)는 상기 어퍼 캡데코(57)의 어퍼 힌지 장착부(571)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힌지 커버(53)에 의해 차폐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가 상기 메인 도어(4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어퍼 힌지(51)가 상기 힌지 홀(433)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어퍼 힌지(51)의 회전 결합부(512)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어퍼 힌지(51)의 힌지 축(5121)은 상기 메인 도어(40)의 축 장착부(438)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축 장착부(438)는 별도의 부재에 의해 상기 메인 도어(40)의 내측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메인 도어(40)를 구성하는 상기 도어 프레임(43)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축 장착부(438)는 상기 힌지 축(5121)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 축이 상기 축 장착부(438)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힌지(51)가 상기 메인 도어(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위해 상기 서브 도어(5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어퍼 힌지(51) 또한 회전하게 되며, 이때 상기 힌지 홀(433)의 측단은 상기 어퍼 힌지(51)의 절개부(512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어퍼 힌지(51)의 구조로 인하여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상기 개구부(403)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힌지(51)가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도어(40)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어퍼 힌지(51)는 간섭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외측면과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면은 매우 밀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동 조작시에도 상기 어퍼 힌지(51)에 의한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통해 상기 서브 도어(50)가 처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캡데코(57)의 전선 안내부(5714)를 통해서 유입되는 전선(L)은 상기 힌지 커버(53)의 힌지 차폐부(532)를 통해서 상기 힌지 홀(433)을 통과하여 상기 메인 도어(40)의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동 과정 중에서도 상기 전선(L)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힌지 커버(53)에 의해 차폐되는 상태로 상기 메인 도어(40)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도 29는 상기 서브 도어의 로어 힌지의 결합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로어 힌지(52)는 상기 어퍼 힌지(5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절곡된 방향만 상방으로 절곡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로어 힌지(52)의 장착을 위해 상기 로어 캡데코(58)에는 상기 로어 힌지 장착부(581)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로어 힌지(52)는 상기 로어 힌지 장착부(581)와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의 힌지 삽입부(552)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로어 힌지(52)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의 모서리에 고정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어퍼 힌지(51)와 로어 힌지(52)는 각각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에 의해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특성상 상기 어퍼 힌지(51)와 로어 힌지(5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하중이 가해지는 환경에서도 상기 서브 도어(50)의 처짐이나 변형 없이 안정적인 고정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와 메인 도어(40) 사이의 공간을 매우 좁게 설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외관을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다.
상기 로어 힌지(52)는 상기 로어 힌지 장착부(581)에 스크류에 의해 고정 장착되는 도어 장착부(521)와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결합부(5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장착부(521)는 상기 로어 힌지 장착부(581)에 고정되는 수평부(5211)와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의 힌지 삽입부(552)에 고정되는 수직부(521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결합부(522)는 상기 수평부(5211)의 단부에서 상기 메인 도어(40)의 힌지 홀(433)을 통과하도록 연장되며, 연장된 일단에는 힌지 축(5221)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 축(5221)은 상기 메인 도어(40) 내측의 축 장착부(439)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힌지(5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결합부(522)에는 절개부(5222)가 형성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전시 상기 힌지 홀(433)의 일측단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결합부(522)에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522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는 일측면의 상단과 하단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어퍼 힌지(51)와 로어 힌지(52)에 의해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구비되어 비교적 무게가 무거운 상태의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개구부(403) 내측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30은 상기 서브 도어의 제 2 감지장치와 노크 감지장치 결합 구조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1은 상기 서브 도어의 제 2 감지장치와 노크 감지장치 결합 구조를 하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에는 제 2 감지장치(81)와 노크 감지장치(8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감지장치(81)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 조작을 위해 상기 냉장고(1) 전방에 서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감지장치(81)는 상기 제 1 감지장치(31)와 동일 연장선상에서 상하로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감지장치(81)가 설치되는 높이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으로 일반적인 성인의 경우 감지가 가능하지만 키가 작은 유아 또는 동물 기타 상기 제 2 감지장치(81)의 높이보다 낮은 다른 물건의 경우 감지를 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사용자가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패널(541)을 노크 조작하였는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에 의해 감지되는 노크 조작에 의해 상기 냉장고(1)의 특정 동작을 지시할 수 있게 된다. 예컨데, 사용자의 노크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점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감지장치(81)와 노크 감지장치(82)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면을 형성하는 상기 로어 캡데코(58)에는 로어 힌지(52)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힌지(52)와 떨어진 일측 즉,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과 인접한 일측에는 감지장치 수용부(582)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는 상기 제 2 감지장치(81)와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의 개구된 하면은 수용부 커버(583)에 의해 차폐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용부 커버(583)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부 커버(583)를 상기 로어 캡데코(58)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가 체결되는 케이스 고정부(48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 커버(583)의 다른 일측에는 주입구 커버부(5831)가 더 형성된다. 상기 주입구 커버부(5831)는 상기 로어 캡데코(58) 상에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501) 성형을 위해 충전되는 발포액이 주입되는 제 1 주입구(5824)를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주입구 커버부(5831)의 상면에는 다수의 후크부(5832)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주입구(5824)의 내측에 압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주입구 커버부(5831)는 상기 제 1 주입구(5824)에 압입되고, 상기 케이스 고정부(481)는 스크류가 체결되어 상기 로어 캡데코(58)에 고정되며 상기 수용부 커버(583) 전체가 상기 로어 캡데코(58)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수용부 커버(583)를 상기 로어 캡데코(58)에 장착하게 되면,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를 차폐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상기 제 1 주입구(5824)까지 차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 커버(583)의 상면에는 피시비 장착부(5833)가 더 형성된다. 상기 피시비 장착부(5833)에는 상기 제 2 감지장치(81)와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신호 처리를 위한 감지장치 피시비(83)가 장착된다.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상기 제 2 감지장치(81) 및/또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와 연결되며 상기 피시비 장착부(5833)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상기 제 2 감지장치(81) 및/또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 2 감지장치(81) 및 노크 감지장치(82)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하여 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신호를 처리하는 피시비가 원거리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감지된 신호가 처리되기 위해서 신호선을 통해 이동하게 될 때 발생되는 노이즈가 증가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를 상기 제 2 감지장치(81)와 노크 감지장치(82)가 장착되는 위치에 함께 배치함으로써 메인 제어부(2)는 유효한 노크 온 신호 입력 여부만 수신하게 된다. 이를 통해, 메인 제어부(2)와 감지장치 피시비(83) 사이의 신호선에 의한 노이즈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를 통해 노이즈가 최소화된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따라서, 정확한 인식률의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경우 마이크(8211)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는 mV 단위임에 비해 냉장고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2)는 기본적으로 V 단위의 신호를 입력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물리적인 신호의 스케일 차이로 인해 메인 제어부(2)에서 정상적인 노크 온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냉장고는 대전압/대전류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이다. 따라서, 전기적인 노이즈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크다. 이는 마이크(8211)에 의해 출력되는 mV 단위의 신호가 전기적인 노이즈에 더욱 취약할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를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서 노이즈의 획기적인 감소와 이로 인한 인식률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로어 힌지(52)와 인접하는 상기 로어 캡데코(58)의 일측에는 발포액이 주입되는 제 2 주입구(584)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 2 주입구(584)는 별도의 주입구 커버(5841)에 의해 차폐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구 커버(5841)의 상면에는 다수의 후크부(5842)가 형성되어 상기 주입구 커버(5841)가 상기 제 2 주입구(584)의 내측에 압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 2 감지장치(81)의 고정을 위한 스크류가 체결되는 제 1 보스(5821)와,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고정을 위한 제 2 보스(5822)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의 일면에는 전선 홀(5823)이 형성된다.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 및 상기 제 2 감지장치(81), 노크 감지장치(82)와 연결된 전선(L)은 상기 전선 홀(5823)을 통해서 상기 서브 도어(50) 외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541)과 접하는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의 전면에는 상기 제 2 감지장치(81)와 노크 감지장치(82)가 상기 전면 패널(541)과 밀착될 수 있도록 개구되는 관통부(582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32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3은 도 17의 33-33' 단면도이다. 도 34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의 마이크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구조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노크 온 신호를 감지하는 마이크 모듈(821)과, 상기 마이크 모듈(821)이 수용되는 홀더(823) 그리고 상기 홀더(823) 및 마이크 모듈(821)을 상기 전면 패널(541)측으로 가압 밀착시키는 탄성부재(824)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824) 및 상기 홀더(823)를 지지하는 지지부재(8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821)은 음파를 직접 센싱하는 마이크(8211)와 상기 마이크(8211)를 수용하는 마이크 수용부(8212)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8211)는 음파의 직접적인 센싱을 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 모듈(821)의 내부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마이크(8211)의 일면은 음파를 수용하는 음파 수신부(8213)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음파 수신부(8213)는 상기 마이크 수용부(8212)의 개구(8214)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8211)의 타측에는 신호선(8216)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선(8216)은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수용부(8212)는 고무와 같은 탄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541)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마이크 수용부(8212)에는 상기 마이크 수용부(8212) 내부에 장착된 마이크(8211)와 인접하는 일측에 개구(8214)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8214)의 둘레에는 원형의 돌기(82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8215)는 상기 마이크 수용부(8212)가 상기 전면 패널(541)에 밀착될 때 일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상기 개구부(403)의 개구된 전면이 전체적으로 상기 전면 패널(54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돌기(8215)에 의해 밀착되는 개구(8214)와 상기 음파 수신부(8213) 사이에는 밀폐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착 공간의 전방은 매질 즉, 전면 패널(541)에 의해 밀폐된다. 따라서, 상기 매질 내부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 상기 소정 공간 내의 공기를 진동시키게 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한 음파가 상기 마이크(8211)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로 인해 외부 소음이나 진동이 상기 소정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외부 노이즈로 인해 노크 온 판단 오류, 오작동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노크 온 인식률을 매우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노크 온 입력이 가해졌을 때 이를 노크 온으로 판단하는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홀더(823)는 상기 마이크 모듈(821)을 수용하며, 상기 전면 패널(541)을 향하여 개구된 모듈 안착부(82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821)은 상기 모듈 안착부(8231)에 안착된 상태에서 적어도 상기 돌기(8215)가 상기 홀더(823)의 전면보다 더 돌출되도롤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823)에는 상기 마이크(8211)와 연결된 상기 신호선이 출입되는 홀더 슬롯(8232)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 슬롯(8232)은 상기 모듈 안착부(8231)의 일측에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823)의 배면에는 상기 탄성부재(824)가 고정 장착되도록 돌출되는 제 1 탄성부재 고정부(8233)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탄성부재 고정부(8233)는 코일 형상의 상기 탄성부재(824)의 일단을 관통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823)의 양측에는 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825)와 결합되는 홀더 결합부(8234)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 결합부(8234)에 의해 상기 홀더(823)는 상기 지지부재(825)에 의해 탈거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 결합부(8234)의 후크 형상에 의해 상기 홀더(823)는 상기 지지부재(825)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받지 않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825)는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홀더(823)가 개구된 전면을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823)의 내측에는 상기 탄성부재(824)가 고정 장착되도록 돌출되는 제 2 탄성부재 고정부(82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탄성부재 고정부(8251)는 상기 제 1 탄성부재 고정부(8233)와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부재(824)의 일단을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823)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탄성부재(824)가 압축되더라도 상기 탄성부재(824)는 좌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기 홀더(823)를 상기 전면 패널(541)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824)에 의해 상기 마이크 모듈(821)은 상기 전면 패널(54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특히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의 개폐시에 발생되는 충격 또는 상기 메인 도어(40) 및 서브 도어(50) 회동시의 관성에 의해서도 상기 마이크 모듈(821)은 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상기 전면 패널(541)에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825)의 일측에는 지지부재 슬롯(82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 슬롯(8252)은 상기 홀더 슬롯(8232)과 동일 연장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 슬롯(8232)을 통과하는 신호선이 상기 지지부재 슬롯(8252)을 통과하여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825)의 다른 일측에는 지지부재 고정부(8253)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 고정부(8253)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에 돌출된 제 2 보스(5822)에 안착된다. 그리고, 지지부재 고정부(8253)의 스크류 홀(8254)을 관통하여 상기 스크류가 상기 제 2 보스(5822)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부재(825)가 상기 로어 캡데코(58) 상에 고정 장착된다.
한편,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상기 전면 패널(541)의 상기 베젤(5411) 영역에 장착되며,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541)의 외측에서 볼 때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외부로 나타나지 않게 된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상기 전면 패널(541)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게 되지만, 사용자의 노크 조작의 유효 입력 부분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동 자체가 아닌 진동에 의한 음파를 감지하는 마이크(8211)의 특성상 매질에 밀착되어 있는 환경에서는 어느 위치를 노크 조작하더라도 연속되는 동일 매질을 통해 음파가 전달되어 유효하게 감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노크 감지장치(82)의 위치는 전선의 배치와 상기 서브 도어(50)의 가시화 면적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일단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사용자는 전면 패널(541)의 어느 지점을 노크 조작하게 되더라도 동일 매질상에 밀착된 상기 마이크(8211)를 통한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세히, 사용자가 노크 입력을 가하는 영역은 전면 패널(541)의 전면이 정의하는 영역 모두일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상기 전면 패널(541)의 대부분은 실질적으로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되는 시스루 영역으로 상기 노크 온 감지장치가 배치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상기 전면 패널(541) 중 상기 베젤(5411) 영역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면 패널(541)의 좌우양측 보다는 하단에 위치하는 것이 상기 전면 패널(541) 좌우 양측과 상단의 베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베젤(5411)의 형상에 의해 상기 시스루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선이 상대적으로 많이 가지 않는 하단부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시스루 영역이 보다 넓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상기 베젤(5411)의 영역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지만, 상기 전면 패널(541)에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전면 패널(541)의 어느 위치를 노크 하더라도 사용자의 노크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노크 조작 외에도 전면 패널(541)의 전면에 진동을 가하는 환경 요소는 매우 많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 및 서브 도어(50)의 열고 닫음에 따른 충격, 외부의 강한 소음 등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50) 전면이 진동할 수 있고, 이러한 외부 환경에 의한 입력을 노크 신호로 판단될 여지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는 사용자가 서브 도어(50) 전면을 복수 회 두드리는 것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복수 회 두드리는 것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서브 도어(50) 전면을 2 회 두드리는 경우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용자의 노크 패턴을 분석하면 첫번째 노크와 두번째 노크 사이의 간격은 약 600 ms 미만임을 알 수 있다. 즉, 1 초(s)가 1000 ms 임을 감안하며, 1초 미만의 간격을 두고 첫번째 노크와 두번째 노크가 발생됨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간 간격을 설정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입력을 노크 신호로 오인하는 것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노크의 강도는 사용자마다 편차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매질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러한 강도의 편차는 클 수 있으나, 진동 패턴의 편차는 매우 작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크의 강도 편차는 알고리즘을 통해서 상쇄시킬 수 있으며, 노크 입력의 패턴과 노크 사이의 시간 간격을 인자로 하여 정상적인 노크 입력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반대로, 비정상적인 입력을 노크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도 35는 상기 제 2 감지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6은 상기 제 2 감지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2 감지장치(81)는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감지장치(81)는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피에스디(Position Sensing Device)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감지장치(81)는 발광부(811)와 수광부(812)로 구성되어 상기 발광부(811)에서 적외선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빛의 각도를 수광부(812)에서 측정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에스디에 의해 검출 가능한 근접 거리는 설정 가능하며, 상기 제 2 감지장치(81)는 감지 가능 거리를 1m 이내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 전면의 1m 거리 이내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가 조작을 위해 상기 냉장고(1)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감지장치(81)의 장착 위치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와 마찬가지로 상방에 위치되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에 해당하며, 이 위치는 지면으로부터 대략 1m 정도 상방의 높이에 해당하므로 키가 작은 유아 또는 높이가 낮은 다른 물건들이 감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감지장치(81)의 후방에는 가압부재(8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813)는 상기 제 2 감지장치(81)가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에 고정 장착됨은 물론 상기 제 2 감지장치(81)가 상기 전면 패널(541)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가압부재(813)에는 상기 제 2 감지장치(81)의 후면과 고정되는 감지장치 고정부(8131)가 형성된다. 상기 감지장치 고정부(8131)는 상기 제 2 감지장치(81)의 양측단과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813)와 상기 제 2 감지장치 고정부(8131)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장치 고정부(8131)의 사이에는 후방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탄성부(8132)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8132)는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감지장치(81)가 장착된 상태에서 돌출된 상기 탄성부(8132)의 단부는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의 벽면에 밀착되어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81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 2 감지장치(81)는 상기 전면 패널(541)측을 향하여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감지장치(81)의 발광부(811)와 수광부(812)는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감지장치(81)의 전면은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 전면의 관통부(5823)를 관통하게 되며, 상기 베젤(5411)에 투명하게 형성되는 투과부(5412)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감지장치(81)는 사실상 상기 투과부(5412)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지만 상기 제 2 감지장치(81)가 검정색 또는 짙은 회색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프 미러 구조를 가지는 전면 패널(541)의 색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을 가지게 되어 외측에서 볼 때 잘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감지장치(81)에 의해 조사되는 광선이 상기 베젤(5411)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외부에서 볼 때 상기 제 2 감지장치(81)가 두드러지게 노출되어 외관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압부재(813)의 일측에는 가압부재 고정부(8133)가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재 고정부(8133)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에 돌출된 제 1 보스(5821)에 안착된다. 그리고, 가압부재 고정부(8133)의 스크류 홀(8134)을 관통하여 상기 스크류가 상기 제 1 보스(5821)에 체결되어 상기 가압부재(813)가 상기 로어 캡데코(58) 상에 고정 장착된다.
도 37은 상기 서브 도어 내부의 전선 배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제 2 감지장치(81)와 노크 감지장치(82)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 커버(583)에 의해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가 차폐된다. 이때,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상기 수용부 커버(583)의 내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감지장치(81), 노크 감지장치(82) 및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와 연결된 전선(L)은 상기 전선 홀(5823)을 통해서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의 외측으로 안내된다.
상기 서브 도어(50)에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외측 둘레 즉, 상기 어퍼 캡데코(57)와 로어 캡데코(58) 그리고 제 1 사이드 프레임(55)과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의 내측 영역에는 상기 단열재(501)가 형성되는 공간이 제동된다.
따라서, 상기 단열재(501)의 성형을 위한 발포액의 주입 전에는 빈 공간이을 형성되며,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의 전선 홀(5823)을 통해 출입되는 전선(L)은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 및 상기 어퍼 캡데코(57)가 형성하는 공간을 따라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힌지 장착부(571)의 전선홀(5713)을 통해서 상기 어퍼 힌지 장착부(571)로 출입되며, 상기 힌지 커버(53)에 의해 상기 전선(L)은 가려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L)은 상기 힌지 커버(53)와 상기 어퍼 힌지(51)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메인 도어(40)의 내측으로 안내되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동 과정에서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로어 캡데코(58)에는 상기 제 1 주입구(5824)와 제 2 주입구(584)가 형성되며, 각각 상기 수용부 커버(583)에 형성되는 주입구 커버부(5831)와 주입구 커버(5841)에 의해 차폐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주입구(5824)는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의 측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과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주입구(5824)는 가능한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와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의 사이 공간과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는 지점에서 형성되는 것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와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 사이로 발포액을 주입하는데 용이할 것이나,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에 형성되는 상기 손잡이(561)의 형상으로 인하여 간섭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캡데코(58)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주입구(5824)의 내측에서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발포액 안내부(58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주입구(5824)를 통해 발포액이 주입될 때, 발포액은 자연스럽게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과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사이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주입구(584)는 상기 로어 힌지 장착부(581)와 인접한 상기 로어 캡데코(58)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주입구는 상기 로어 힌지 장착부(581)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 2 주입구(584)는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의 영역보다 더 측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의 폭은 그 폭이 좁아 발포액의 직접적인 주입시 발포액이 오버플로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교적 공간이 넓은 상기 로어 캡데코(58)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발포액이 1차적으로 주입된 후 자연스럽게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주입구(5824)와 제 2 주입구(584)는 그 위치에 따른 발포액의 유동성에 차이가 있으며, 상기 제 1 주입구(5824)와 제 2 주입구(584)의 양측에서 동시에 발포액을 주입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둘레에 발포액을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도 38은 상기 서브 도어의 발포액 주입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9는 상기 서브 도어의 벤트 홀의 배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 커버(583)와 주입구 커버(5841)를 개방한 상태에서 개구된 상기 제 1 주입구(5824)와 제 2 주입구(584) 측으로 발포액을 주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주입구(5824)와 제 2 주입구(584)로 주입되는 발포액의 압력은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상대적으로 공간이 넓은 공간으로 유동되는 상기 제 1 주입구(5824) 측으로 주입되는 발포액은 상대적으로 고압으로 주입될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여 발포액의 유동 경로를 살펴보면, 상기 제 1 주입구(5824)로 주입되는 발포액은 발포액 안내부(585)를 통해서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과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유입된다. 다음으로 발포액은 이어지는 상기 어퍼 캡데코(57)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차례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주입구(584)로 주입되는 발포액은 상기 로어 캡데코(58)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먼저 주입되고, 다음으로 이어지는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과 패널 어셈블리(54)의 사이 공간으로 차례로 유동된다.
상기 제 1 주입구(5824)와 제 2 주입구(584)로 동시에 주입되는 발포액은 상기 어퍼 캡데코(57) 영역(A) 또는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 영역(B)에서 서로 만나게 된다. 이후 상기 어퍼 캡데코(57)와 제 1 사이드 프레임(55) 및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이 형성하는 공간에 발포액이 모두 충진된 후에는 상기 로어 캡데코(58)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형성하는 공간에 발포액이 마지막으로 충전되며, 충전완료 후 상기 수용부 커버(583)와 상기 주입구 커버(5841)로 상기 제 1 주입구(5824)와 제 2 주입구(584)를 차폐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서브 도어 라이너(59)에는 발포액의 주입시 상기 서브 도어(50) 내측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벤트 홀(5921)이 형성된다. 상기 벤트 홀(5921)은 상기 서브 도어 라이너(59)를 따라 형성되는 서브 도어 가스켓(591)이 장착되는 가스켓 장착홈(59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장착홈(592)은 상기 서브 도어 라이너(59)의 둘레를 따라서 함몰 형성되며, 상기 벤트 홀(5921)은 상기 가스켓 장착홈(592)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포액의 완전한 충전 후에는 상기 가스켓 장착홈(592)에 상기 서브 도어 가스켓(591)을 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벤트 홀(5921)은 상기 서브 도어 가스켓(591)에 의해 가려질 수 있게 되며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벤트 홀(5921)은 전체 상기 가스켓 장착홈(592) 중 일부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트 홀(5921)은 상기 어퍼 캡데코(57)와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이 배치되는 영역(A,B)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어퍼 캡데코(57)와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주입구(5824)와 제 2 주입구(584)로 주입된 발포액이 서로 만나게 되는 지점과 인접한 영역에서 서브 도어(5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으며, 발포액이 완전히 충전될 때까지 지속적인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도 40은 상기 냉장고의 투사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1은 상기 냉장고의 냉동실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절결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동실(13)은 한쌍의 냉동실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30) 중 우측(도 40에서 볼 때)의 냉동실 도어(30)에는 제 1 감지장치(31)와 투사장치(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장치(31)와 투사 장치는 한쌍의 상기 냉동실 도어(30) 중 상기 서브 도어(50)가 위치되는 우측의 냉동실 도어(3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감지장치(31)는 상기 제 2 감지장치(81)와 동일 연장선상에서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하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3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331)에 상기 제 1 감지장치(31)와 상기 투사장치(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사장치(32)는 상기 냉장고(1) 전방의 바닥면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투사 장치를 통해 소정의 도안이나 글자와 같은 상(P)을 투사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투사장치(32)가 켜지게 되면 상기 냉장고(1) 전방의 바닥에는 "Door open"과 같은 문자로 된 상(P)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사장치(32)의 하방에는 제 1 감지장치(3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사장치(32)와 제 1 감지장치(31)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331)에 함께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장치(31)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의 일종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사장치(32)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투사장치(32)에 의해 투사되는 상(P)의 위치에 물체가 있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투사장치(32)에 의해 투사되는 상(P)의 부분에 사용자의 발과 같은 신체를 위치시키게 되면 상기 제 1 감지장치(31)는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감지장치(31)는 피에스디 센서 또는 초음파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대략 10-20cm 사이의 거리를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근접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사장치(32)와 제 1 감지장치(31)는 상기 경사면 상에 장착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냉장고(1)의 바로 앞 또는 상기 경사면(331)의 하방에 상을 투사하고 물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1) 앞을 단순히 지나치는 사람이나 동물 또는 청소를 위해 움직이는 물체 등에 의한 오감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 1 감지장치(31)의 감지를 위해서 상기 냉장고(1)와 가까운 지점에 서게 되며 이때 사용자의 발이 경사면(331)의 바로 앞 또는 상기 경사면(331)의 하방에 위치하게 될 때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감지장치(31)의 감지는 상기 투사장치(32)에 의해 투사되는 상(P)의 영역 적어도 일부를 설정시간 동안 가리도록 하거나, 상의 영역을 통과하도록 하거나, 그외 상기 제 1 감지장치(31)에서 인식될 수 있는 다른 제스쳐를 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 1 감지장치(31)와 제 2 감지장치(81)의 조합에 의해 동시 감지시에만 사용자가 냉장고(1)의 조작을 위해 위치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오작동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투사장치(32)의 동작이 상기 제 2 감지장치(81)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투사장치(32)가 동작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감지장치(31)의 감지값이 유효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감지장치(31)와 제 2 감지장치(81)가 모두 유효하게 감지되면 상기 도어 개방장치(70)가 동작하여 상기 메인 도어(40)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메인 도어(40)가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에 의해 개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의 위치에 따라서 서브 도어(50) 또는 냉동실 도어(30)가 개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사용자가 상기 냉동실 손잡이를 잡고 회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회동에 의해 상기 냉동실(13)이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냉동실 도어 힌지(301)에는 개폐 감지장치(302)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개폐 감지장치(302)에 의해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개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30)가 설정 각도이상 개방되어 상기 냉동실 도어(30) 내부에 구비되는 냉동실 수납부재(131)의 인출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상기 냉동실 수납부재(131)는 수납부재 인출장치(34)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랍 또는 바스켓 형상의 상기 냉동실 수납부재(131)는 상기 냉동실(13) 내부에서 인출입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레일(13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3) 내부에 구비되는 수납부재 인출장치(34)는 모터 및 기어조립체의 구동에 의해 인출입 로드(341)가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로드(341)는 상기 냉동실 수납부재(131)와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 인출장치(34)의 구동에 의해 상기 냉동실 수납부재(131)는 자동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냉동실 수납부재(131)가 다수개 구비된 경우에도 연결부재(342)에 의해 상기 인출입 로드(341)와 다수의 냉동실 수납부재(131)가 모두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수개의 상기 냉동실 수납부재(131)가 동시에 인출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30)가 닫히도록 회전하게 되고, 상기 냉동실 도어(30)가 인출된 상기 냉동실 수납부재(131)와 접하기 전 일정각도 이상 회동 된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상기 수납부재 인출장치(34)가 역회전하여 상기 인출입 로드(341)가 인입되며, 상기 냉동실 수납부재(131)의 최초의 위치로 슬라이딩 인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서브 도어의 작용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2는 상기 냉장고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43은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 조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2)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2)는 도어 스위치(2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스위치(21)는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20) 또는 메인 도어(40)의 개방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도어(40)에 구비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감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된 상기 메인 라이팅 유닛(85)과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20) 또는 메인 도어(40)의 개방시 고내를 밝힐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과 연결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시 또는 노크 온 신호의 입력시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2)는 디스플레이 유닛(60)과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을 통한 조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2)는 도어 개방장치(70) 및 수납부재 인출장치(34)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와 수납부재 인출장치(34)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2)는 통신모듈(84)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84)은 상기 냉장고(1)의 상태정보,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사용 패턴 정보의 전달 등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것으로 엔에프씨(NFC),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등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통신모듈(84)의 설정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제 1 감지장치(31)와 제 2 감지장치(81), 노크 감지장치(82) 및 투사장치(32)와 직,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들에 의한 동작 신호를 수신하거나 동작의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노크 감지장치(82) 및/또는 상기 제 1 감지장치(31)가 감지장치 피시비(83)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가 메인 제어부(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와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기 냉장고(1)는 별도의 조작이 없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가 불투명한 상태로 거울면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고내의 투시가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감지장치(31)와 제 2 감지장치(81) 그리고 노크 감지장치(82)는 활성화된 상태로 언제든지 사용자의 조작 입력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S110]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의 메인 도어(40) 또는 서브 도어(50)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냉장고(1)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 2 감지장치(81)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성인이 아닌 유아인 경우 상기 제 2 감지장치(81)의 위치의 특성상 감지되지 않으며, 청소나 이동 중인 물체 또한 높이가 상기 제 2 감지장치(81)보다 낮은 경우 이를 감지하지 못하여 오작동 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2 감지장치(81)에 의한 감지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S120]
다음으로 사용자가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즉, 상기 전면 패널(541)을 두드리게 되는 노크 온 조작을 하게 되면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에서는 이를 감지하게 되고,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는 노크 온 조작이 유효 조작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세히, 사용자가 상기 전면 패널(541)을 두드리게 되면 이때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파장이 동일 매질인 상기 전면 패널(541)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전면 패널(541)과 밀착된 마이크(8211)에서 음파를 수신하게 된다.
수신된 음파는 상기 필터와 증폭기를 지나면서 필터링 및 증폭되어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로 전달되며,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노크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수집 분석된 신호로 노크를 판단하게 된다.
즉, 고내 또는 고외측의 소음이나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의 경우 노크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와 그 특성에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노크 신호의 특성에 해당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노크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물론, 특정한 상황에서 노크 신호와 유사한 신호가 발생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조작 미숙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541)에 노크와 유사한 충격이 발생될 수도 있고, 외부 소음이 노크 신호의 파장과 유사한 신호로 인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특수 상황에서의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상기 노크 신호가 설정된 패턴에 의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지를 확인하고, 이러한 패턴이 설정시간 내에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유효한 노크 온 신호로 감지되기 위해서는 노크로 인식되는 신호가 1초 이내에 두번 발생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통상 일반적인 사용자의 노크 패턴을 분석하여 본 결과 연속 2회 노크를 실시하고 그 시간 간격은 1초 이내에 해당하므로 이와 같이 설정할 경우 특수 상황에서의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노크 조작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유효 노크 온 신호로 판단되기 위한 노크 신호의 횟수와 설정시간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 2 감지장치(81)에서 감지신호를 감지하지 못하거나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를 통해 유효 노크 온 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2)는 별도의 제어 동작을 실시하지 않고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 또는 서브 도어(5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감지장치(81)와 노크 감지장치(82)가 비활성화 되도록 하거나, 입력되는 신호를 무시하도록 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S130]
한편, 유효 노크 온 신호가 감지되어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 상기 메인 제어부(2)로 유효 신호를 전달하게 되면,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메인 라이팅 유닛(85) 또는 도어 라이팅 유닛(49)을 온 시키게 된다.
상기 메인 라이팅 유닛(85) 또는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켜지게 되면 고내측이 밝아지게 되고, 고내측의 빛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통과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전면 패널(541)을 통과하게 되면서 상기 전면 패널(541)은 투명하게 되어 도 5에서와 같이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하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메인 도어(40) 내부의 수납공간 또는 고내 공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식품을 수납하기 위해 서브 도어(50)를 개방하거나 필요한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 또한 온 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서브 도어(50)를 통해서 상기 메인 도어(40) 내측에 배치된 상기 디스플레이(61)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S140]
점등된 상기 메인 라이팅 유닛(85) 또는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0초 동안 점등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충분히 고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 또한 설정된 시간 동안 점등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라이팅 유닛(85) 또는 도어 라이팅 유닛이 온 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설정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메인 라이팅 유닛(85) 또는 도어 라이팅 유닛(49)을 오프 시키게 된다. [S150]
그리고, 상기 메인 라이팅 유닛(85) 또는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온 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유효 노크 온 조작 신호가 입력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고내를 확인하기 위해 노크 온 조작을 하여 고내를 확인한 후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설정시간이 지나기 전에 상기 메인 라이팅 유닛(85) 또는 도어 라이팅 유닛(49)을 오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라이팅 유닛(85) 또는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온 된 후 5초 이내에 사용자가 고내의 수납상태를 확인하였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 완료한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불투명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자 한다면, 다시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즉 상기 전면 패널(541)을 노크 조작하게 된다.
이때의 노크 조작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인 라이팅 유닛(85) 또는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오프 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 또한 정보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물론, 이때의 노크 조작의 유효성 판단은 [S130]에서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다른 노크 입력 패턴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S160]
상기 메인 라이팅 유닛(85) 또는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온 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 되거나 유효 노크 온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메인 라이팅 유닛(85) 또는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오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라이팅 유닛(85) 또는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오프되면 고내측은 어두워지게 되고, 고 외측이 밝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고외측의 빛이 전면 패널(541)에서 반사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은 거울과 같은 상태로 내부의 투시가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새로운 조작이 입력될 때까지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S170]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유닛(60)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4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장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5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은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 하단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하게 되도록 상기 메인 라이팅 유닛(85) 또는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온 되는 경우 함께 온 되어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서브 도어(5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은 상기 서브 도어(50)가 개방되는 상태에서도 온 상태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의 조작을 위해 상기 서브 도어(50)를 개방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스위치(21)에 의해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이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의 전면 중앙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1)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61)의 좌우 양측에는 다수의 상기 조작 버튼(6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1)는 냉장고(1)의 동작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으로 상기 전면 패널(541)의 노크 온 또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폐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 버튼(62)은 상기 냉장고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들로 통신 버튼(621), 락 버튼(622), 오토 도어 버튼(623), 오토 드로워 버튼(624), 냉장실 정온 버튼(625), 냉동실 정온 버튼(626), 공기청정 버튼(627), 급속냉동 버튼(62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버튼(62)의 조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도 46은 노크 온 조작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61)는 상기 전면 패널(541)을 노크 온 조작하기 전에는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전면 패널(541)을 노크 온 조작하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61)가 온 되며,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61)는 고내의 온도와 현재 동작중이 기능을 출력하는 제 1 화면(611) 또는 제 2 화면(612)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라이팅 유닛(85) 또는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점등되어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디스플레이(61)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이 켜진 후 설정시간이 경과되거나, 다시 사용자가 상기 전면 패널(541)을 노크 온 조작하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61)는 꺼지게 되고, 이때 상기 메인 라이팅 유닛(85) 또는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 또한 꺼지게 되어 상기 서브 도어(50)는 불투명한 상태가 되고 외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61)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도 47은 상기 서브 도어 개폐시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61)는 오프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도어 스위치(21)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감지하게 되고,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디스플레이(61)를 온 시키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61)가 온 되면 제 1 화면(611)에서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화면이 전환되어 제 2 화면(612)에서 상기 냉장고(1)의 다른 동작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화면(611)과 제 2 화면(612)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설정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화면(611)에서는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온도를 모두 표시하고, 현재 동작중인 기능에 대해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화면(612)에서는 냉장실(12) 또는 냉동실(13) 중 어느 하나의 저장공간의 온도와 해당 저장공간에서 동작중인 기능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 도어(50)를 닫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61)는 상기 도어 스위치(21)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50)의 닫힘을 감지하게 되고,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디스플레이(61)를 오프 시키게 된다.
도 48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오토 도어 기능 설정시의 디스플레이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가 개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61)가 온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오토 도어 버튼(623)을 누르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61)는 도어 개방장치(7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이를 표시하는 제 3 화면(613)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만약 도어 개방장치(70)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라면, 상기 디스플레이(61)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70)가 비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 4 화면(614)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61)가 제 3 화면(613) 또는 제 4 화면(614)을 표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상기 오토 도어 버튼(623)을 다시 조작하게 되면 제 3 화면(613)과 제 4 화면(614)은 서로 전환될 수 있게 되며, 상기 도어 개방장치(70) 또한 실질적으로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도어 개방장치(70)를 이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오토 도어 버튼(623)의 조작을 통해 설정 가능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70)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제 3 화면(613)과 제 4 화면(614)의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설정시간 이상 사용자의 조작이 없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61)는 고내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 1 화면(611) 또는 제 2 화면(612)의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도어 개방장치(70)가 활성화 되었다면 상기 오토 도어 버튼(623)이 점등 상태가 되고 비활성화 되었다면 상기 오토 도어 버튼(623)이 소등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49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오토 드로워 기능 설정시의 디스플레이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가 개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61)가 온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오토 드로워 버튼(624)을 누르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61)는 수납부재 인출장치(34)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이를 표시하는 제 5 화면(615)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만약 수납부재 인출장치(34)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라면, 상기 디스플레이(61)는 상기 수납부재 인출장치(34)가 비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 6 화면(616)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61)가 제 5 화면(615) 또는 제 6 화면(616)을 표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상기 오토 드로워 버튼(624)을 다시 조작하게 되면 제 5 화면(615)과 제 6 화면(616)은 서로 전환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수납부재 인출장치(34) 또한 실질적으로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수납부재 인출장치(34)를 이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오토 드로워 버튼(624)의 조작을 통해 설정 가능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수납부재 인출장치(34)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제 5 화면(615)과 제 6 화면(616)의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설정시간 이상 사용자의 조작이 없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61)는 고내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 1 화면(611) 또는 제 2 화면(612)의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수납부재 인출장치(34)가 활성화 되었다면 상기 오토 드로워 버튼(624)이 점등 상태가 되고 비활성화 되었다면 상기 오토 드로워 버튼(624)이 소등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50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정온 기능 설정시의 디스플레이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가 개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61)가 온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 정온 버튼(625)을 누르게 되면 상기 메인 제어부(2)에 의해 고내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운전이 제어될 수 있으며 이를 표시하는 제 7 화면(617)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만약 냉장실 정온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라면, 상기 디스플레이(61)는 냉장실 정온 모드가 비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 8 화면(618)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61)가 제 7 화면(617) 또는 제 8 화면(618)을 표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상기 냉장실 정온 버튼(625)을 다시 조작하게 되면 제 7 화면(617)과 제 8 화면(618)은 서로 전환될 수 있게 되며, 상기 냉장고(1)의 운전 모드 또한 실질적으로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 정온 모드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냉장실 정온 버튼(625)의 조작을 통해 설정 가능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실 정온 모드의 운전이 수행되지 않게 된다.
한편, 제 7 화면(617)과 제 8 화면(618)의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설정시간 이상 사용자의 조작이 없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61)는 고내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 1 화면(611) 또는 제 2 화면(612)의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이때 냉장실 정온 모드가 활성화 되었다면 상기 냉장실 정온 버튼(625)이 점등 상태가 되고 비활성화 되었다면 상기 냉장실 정온 버튼(625)이 소등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정온 버튼(626), 공기청정 버튼(627), 급속냉동 버튼(628), 통신 버튼(621)의 조작시에도 화면의 내용만 다를 뿐 전술한 방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61)의 상태가 동일하게 변경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Claims (19)

  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메인 도어;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메인 도어에 구비되는 라이팅 유닛;
    상기 개구의 내측에 수용되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서브 도어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서브 도어의 상하면을 형성하는 캡 데코;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캡 데코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조립된 모듈 상태로 장착되어 상기 개구를 차폐하며, 상기 라이팅 유닛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고내측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외측 둘레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캡데코의 내측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단열재;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여 상기 라이팅 유닛을 온/오프시키는 감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개구를 커버하여, 상기 서브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보다 작은 크기의 투명한 유리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단열 패널;
    상기 전면 패널과 단열 패널 및 복수의 단열 패널의 사이에 둘레를 따라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전면 패널과 단열 패널 및 복수의 단열 패널들의 사이가 이격된 상태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간봉;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패널은,
    투명한 유리층;
    상기 유리층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라이팅 유닛에서 조사되는 빛의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투과되도록 하는 레이어; 및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라이팅 유닛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차단하며, 상기 간봉 및 전면 패널의 둘레와 결합되는 부분의 노출을 차단하는 베젤을 포함하며,
    상기 캡 데코는,
    상기 서브도어 외측에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향하여 개구되며, 상기 단열 패널보다 더 돌출된 상기 전면 패널 둘레의 후방에 상기 감지장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감지장치 수용부; 및
    상기 베젤과 마주보는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의 일측에 개구된 관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서브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로 삽입 장착되며,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과 접하여 상기 베젤에 의해 가려지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배면에 제공되며, 사용자의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노크 조작을 감지하는 노크 감지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의 배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베젤의 일측에는 투명하게 형성되는 투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투과부의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냉장고 전방의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며,
    상기 투과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상기 전면 패널과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는,
    상기 유리층의 배면에 티탄화합물이 진공증착에 의해 형성되는 진공증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진공증착층의 배면에 상기 진공증착층과 베젤을 커버하도록 투명소재로 인쇄되는 투명 인쇄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는,
    상기 유리층의 전면에 티탄화합물을 포함하는 반사 잉크로 스크린 인쇄 후 가열 형성되는 세라믹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는,
    상기 유리층의 전면에 철(Iron), 코발트(cobalt), 크롬(chrome)의 3중 레이어로 코팅되는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팅층은 대기화학기상증착(APCAVD) 또는 스프레이 분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은 유리분말이 포함된 세라믹 안료로 인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층은 그레이 컬러 글래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인쇄층은 상기 전면 패널이 20%~30%의 투과율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과 단열 패널 및 상기 복수의 단열패널들의 사이에는 간봉에 의해 기밀되는 단열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단열 공간에는 불활성기체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에 형성되는 상기 단열 공간은 진공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과 단열 패널 및 상기 복수의 단열패널들의 사이에는 간봉에 의해 기밀되는 단열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단열 공간은 진공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서브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서브 힌지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 도어의 상기 개구 내측면에는 상기 서브 힌지가 관통되는 힌지 홀이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삭제
  18. 삭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캡 데코 및 사이드 프레임의 후단과 결합되며, 상기 서브 도어의 배면 둘레를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60001290A 2016-01-05 2016-01-05 냉장고 KR101954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290A KR101954874B1 (ko) 2016-01-05 2016-01-05 냉장고
EP21217222.5A EP4005438B1 (en) 2016-01-05 2017-01-03 Refrigerator
EP17150126.5A EP3190366B1 (en) 2016-01-05 2017-01-03 Refrigerator
EP20151888.3A EP3677152B1 (en) 2016-01-05 2017-01-03 Refrigerator
EP23172079.8A EP4230090A1 (en) 2016-01-05 2017-01-03 Refrigerator
US15/399,097 US10808990B2 (en) 2016-01-05 2017-01-05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710007120.8A CN106949689B (zh) 2016-01-05 2017-01-05 冰箱及其控制方法
US16/271,476 US10823495B2 (en) 2016-01-05 2019-02-08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290A KR101954874B1 (ko) 2016-01-05 2016-01-05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137A Division KR20190022608A (ko) 2019-02-27 2019-02-27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091A KR20170082091A (ko) 2017-07-13
KR101954874B1 true KR101954874B1 (ko) 2019-05-30

Family

ID=5770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290A KR101954874B1 (ko) 2016-01-05 2016-01-05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808990B2 (ko)
EP (4) EP4230090A1 (ko)
KR (1) KR101954874B1 (ko)
CN (1) CN10694968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5201A1 (ko) * 2020-05-08 2021-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시창이 설치된 가전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39440C2 (nl) * 2012-03-06 2013-09-09 Polyplastic Groep B V Koelinrichting en toegangsdeur.
KR101728196B1 (ko) 2013-04-26 201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045545A (ko)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909991B1 (ko) * 2015-07-15 2018-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KR101892794B1 (ko) * 2015-08-25 2018-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BR112018016324A2 (pt) * 2016-02-12 2018-12-18 Anheuser-Busch Inbev S.A. disposição de resfriamento setorizado
EP3441705B1 (en) * 2016-04-04 2022-03-30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KR102601889B1 (ko) 2016-12-12 2023-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102017217632A1 (de) * 2017-10-04 2019-04-04 BSH Hausgeräte GmbH Tür für ein Haushaltskältegerät mit gleicher Montagevorrichtung in seitlichen Rinnen von gegenüberliegenden Längsseiten, sowie Haushaltskältegerä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Tür
US10422571B2 (en) 2017-11-13 2019-09-24 Midea Group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french doors for a freezer compartment
CN115177123A (zh) 2018-01-17 2022-10-14 安东尼股份有限公司 安装可移动电子显示器的门
CN110360796A (zh) * 2018-04-10 2019-10-2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制冷器具
JP2019196856A (ja) * 2018-05-09 2019-11-14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冷蔵庫
KR102568666B1 (ko) * 2018-05-18 2023-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190135396A (ko) * 2018-05-28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149201B1 (ko) * 2018-07-13 2020-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N110873497A (zh) 2018-08-30 2020-03-10 Lg电子株式会社 冰箱
CN109341187B (zh) * 2018-08-31 2021-06-22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冰箱的照明控制方法
AU2019375590B2 (en) * 2018-11-08 2022-10-13 Lg Electronics Inc. Panel assembly,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s
CN109780800B (zh) * 2019-01-04 2023-03-31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具有显示屏组件的门中门及具有其的冰箱
CN111664623B (zh) * 2019-03-05 2023-04-07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具有抽屉的家用制冷器具
US10514722B1 (en) * 2019-03-29 2019-12-24 Anthony, Inc. Door for mounting a removable electronic display
WO2020213861A1 (en) 2019-04-15 2020-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2312667B1 (ko) 2019-04-15 2021-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EP3904797B1 (en) * 2019-08-20 2022-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12797711A (zh) * 2019-11-13 2021-05-14 Lg电子株式会社 冰箱
KR20210081774A (ko) * 2019-12-24 2021-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 방법
EP4103020A4 (en) * 2020-02-11 2024-02-28 Pepsico Inc BEVERAGE CHILLER FOR SUPPLYING SUPERCOOLED OR CHILLED BEVERAGES
KR20210125379A (ko) 2020-04-08 2021-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01781A (ko) * 2020-06-30 2022-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936801A1 (en) 2020-07-06 2022-01-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220005218A (ko) * 2020-07-06 2022-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7661944A (zh) * 2020-07-30 2024-03-08 Lg电子株式会社 多关节连杆铰链和包括该多关节连杆铰链的冰箱
US11828531B2 (en) * 2021-09-24 2023-11-28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User interface module with adjustable mount for domestic appliance
US11635249B1 (en) 2021-11-23 2023-04-25 Whirlpool Corporation Magnetic closur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20230092118A (ko) * 2021-12-17 2023-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가전기기
WO2024019370A1 (ko) * 2022-07-20 2024-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7374778B (zh) * 2023-10-20 2024-03-01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 一种配网台区拓扑智能识别装置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7361A1 (en) 2004-07-23 2006-01-26 Robert Rendel Hinge conduit casing
DE102005057154A1 (de) * 2005-11-30 2007-05-3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m von einer Glastür her beleuchteten Innenraum
RU2395853C2 (ru) * 2006-04-12 2010-07-27 Электролюкс Хоум Продактс Корпорейшн Н.В. Бытовой электроприбор
KR101346502B1 (ko) * 2008-02-21 201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KR101469980B1 (ko) 2008-04-02 2014-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어셈블리
CN101681034A (zh) 2008-04-03 2010-03-2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信息显示装置
KR101635570B1 (ko) * 2009-07-21 2016-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운전 방법
KR101325818B1 (ko) * 2010-02-01 2013-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614081B1 (en) 2010-02-01 2022-12-2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8690273B2 (en) 2010-03-26 2014-04-0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utilities in a refrigerator
EP3916324A1 (en) 2010-06-22 2021-12-0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9052536B2 (en) * 2011-05-10 2015-06-09 Anthony, Inc. Display case door with transparent LCD panel
BR112015000172A2 (pt) 2012-07-09 2017-06-27 Red Bull Gmbh dispositivo de exibição, porta ou placa de cobertura, e refrigerador
US10217392B2 (en) * 2012-12-31 2019-02-26 Lg Display Co., Ltd.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728196B1 (ko) * 2013-04-26 201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06179B1 (ko) 2014-03-11 2021-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954749B1 (ko) * 2014-04-01 2019-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23493A (ko) * 2014-04-25 2015-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801474B2 (en) * 2014-10-01 2017-10-31 True Manufacturing Co., Inc. Edge-lit door for refrigerator unit
KR101862564B1 (ko) * 2016-01-05 201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5201A1 (ko) * 2020-05-08 2021-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시창이 설치된 가전기기
KR20210136593A (ko) * 2020-05-08 202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시창이 설치된 가전기기
KR102593785B1 (ko) * 2020-05-08 2023-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시창이 설치된 가전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90366A1 (en) 2017-07-12
EP3190366B1 (en) 2020-03-11
EP3677152A1 (en) 2020-07-08
US20190178568A1 (en) 2019-06-13
CN106949689B (zh) 2020-10-23
US10808990B2 (en) 2020-10-20
KR20170082091A (ko) 2017-07-13
EP3677152B1 (en) 2022-03-02
US20170191744A1 (en) 2017-07-06
EP4005438B1 (en) 2023-08-09
EP4005438A1 (en) 2022-06-01
EP4230090A1 (en) 2023-08-23
CN106949689A (zh) 2017-07-14
US10823495B2 (en)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874B1 (ko) 냉장고
KR101810760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1829352B1 (ko) 냉장고
KR101856835B1 (ko) 냉장고
KR102266800B1 (ko) 냉장고
KR20190022608A (ko) 냉장고
KR102259771B1 (ko) 냉장고
KR102495909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