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980B1 - 힌지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힌지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980B1
KR101469980B1 KR1020080030699A KR20080030699A KR101469980B1 KR 101469980 B1 KR101469980 B1 KR 101469980B1 KR 1020080030699 A KR1020080030699 A KR 1020080030699A KR 20080030699 A KR20080030699 A KR 20080030699A KR 101469980 B1 KR101469980 B1 KR 101469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late
fixing
hinge
doo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5325A (ko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0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980B1/ko
Priority to US12/673,321 priority patent/US8245352B2/en
Priority to PCT/KR2009/001667 priority patent/WO2009123416A1/en
Publication of KR20090105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81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for transmitting energy, e.g. electrical cable rou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구속레버가 구비되는 힌지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냉장고 본체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냉장고 본체에 가고정되며, 다른 일측에는 냉장고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플레이트; 상기 힌지플레이트에 축결합되며, 상기 힌지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수평방향 회동에 의해 상기 힌지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힌지, 레버, 고정

Description

힌지어셈블리 { Hinge assembly }
본 발명은 힌지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종래에 비래 크기가 커서 운반시 운반의 편의를 위해 도어를 분해하여 운반하는 경우가 있으며, 도어의 서비스 상황발생시에도 본체로부터 도어를 분해하게 된다.
그러나, 냉장고 도어는 볼트 너트 또는 스크류 등에 의해 냉장고 본체에 강한 결합력을 가지도록 고정된 힌지어셈블리에 의해 장착되어 있어, 사용자가 임의 로 이를 분해하거나, 재조립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 의해 냉장고 도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해 및 재조립할 수 있는 다양한 힌지어셈블리가 개발되고 있다.
우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28385호에 의하면, 냉장고의 본체에 체결브라켓이 구비되고, 도어와 축결합되는 힌지플레이트가 체결브라켓과 결합된다. 그리고, 별도형성된 고정레버를 체결브라켓에 끼워서 돌리는 것에 의해 힌지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발명이 게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63575호와 제1999-026937호에 의하면, 도어와 축결합되는 힌지플레이트가 본체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상하방 회동에 의해 상기 힌지플레이트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레버가 구비되어 레버를 고정브라켓에 끼운 후 누르는 것에 의해 힌지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발명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모두 상기 힌지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레버 또는 레버가 별도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분해 조립과정에서 착탈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힌지플레이트의 분해시 상기 고정레버 또는 레버를 돌려 구속을 해지하고, 힌지플레이트를 본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상기 고정레버또는 레버를 분리해야만 한다.
따라서, 분해 조립 과정 중에 상기 고정레버 또는 레버를 분실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황 발생시 도어 자체의 장착이 불가능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구속레버가 구비되는 힌지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어셈블리는, 냉장고 본체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냉장고 본체에 가고정되며, 다른 일측에는 냉장고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플레이트; 상기 힌지플레이트에 축결합되며, 상기 힌지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수평방향 회동에 의해 상기 힌지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본체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부가 관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면과 힌지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속레버는 수평방향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힌지플레이트에 축결합된다.
상기 힌지플레이트에는 내부로 전원선 및 물공급관이 안내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관형상의 힌지핀이 더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힌지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돌기 수용구가 형성된다.
상기 구속레버의 일측은 상방 또는 하방을 만곡 형성되어 회동시 상기 힌지플레이트를 가압하여 구속한다.
상기 구속레버에의 일측에는 상기 구속레버의 회동시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함몰된 안내구가 더 형성된다.
상기 구속레버는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서 측방으로 연장된 걸림부와 상기 힌지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상기 관통구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힌지어셈블리에 의하면, 본체에 장착된 도어의 분해 조립시, 힌지플레이트에 일체로 장착된 구속레버를 회동 조작하여 상기 힌지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게 됨으로써 상기 도어의 분해 또는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속레버는 상기 힌지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분해 조립 과정 중에 힌지플레이트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되며, 구속레버의 분실 가능성이 전혀 없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 및 작업자는 구속레버의 분실 부담이 없이 자유롭게 분해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편의성 및 서비스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미 일체로 결합된 부품상태로 공급되는 힌지플레이트의 조립시에는 상기 구속레버의 회동 조작만으로 조립이 가능하게 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힌지어셈블리는 힌지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모든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양문형 냉장고에 적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어셈블리가 채용된 냉장고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1)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구획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공간을 갖는 본체(100)와 이를 차폐하는 도어(20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음식물의 수납을 위한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공간은 좌우측으로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과 냉동실을 형성하게 되며, 각각의 저장공간은 도어(2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도어(200)는 냉장고(1)의 개구된 전면 즉,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개구된 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0)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저장공간의 냉기를 단속하며, 아울러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차폐하는 각각의 도어(20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본체(100)에 축결합되며, 이를 기준으로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도어(200)의 상단은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제공되는 힌지어셈블리(300)와 결합된다. 상기 힌지어셈블리(300)는 상기 도어(200)가 상기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상세한 구성은 아래에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0)의 하단과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도어(200)가 회동 가능하도록 축결합 및 지지하는 힌지에 관하여서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도어(200)의 전면에는 도어(200)의 회동을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도어핸들(210)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200)에는 사용상태의 확인을 위한 디스플레이(220)와, 저장공간 내부의 음식물을 상기 도어(200)를 개방하지 않고 꺼내기 위한 홈바(230) 및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240)가 선택적으로 구비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어셈블리의 장착을 보인 부분 사시도로서, 상기 도어(200)의 상부면과 본체(100)의 상부면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상기 도어(200)의 상면 외측단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 외측단은 힌지어셈블리(30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도어(200)는 상기 힌지어셈블리(300)의 일구성인 힌지플레이트(500)의 전단과 축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플레이트(500)의 타측은 상기 본체(100)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20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200)의 내측에는 디스펜서(240), 디스플레이(220), 아이스메이커 등 다수의 전장부품이 필요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으며, 물공급이 필요한 구성이 구비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전장부품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110)과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호스는 상기 도어(200)와 힌지플레이트(500)가 결합되는 힌지핀(570)을 통 하여 안내된다. 즉, 관상의 힌지핀(570)을 통해 상기 도어(200)의 외측으로 안내되는 전선(110)은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제공되는 메인피시비 또는 서브피시비(120)에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고, 급수호스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힌지어셈블리(300)의 상방에는 상기 힌지어셈블리(300)의 구성들과 전선(110) 및 급수호스 등을 차폐하기 위하여 힌지커버(310)가 제공된다. 상기 힌지커버(310)는 하방이 개구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에 장착시 상기 힌지어셈블리(300)를 비롯한 전선(110)과 급수호스 등을 차폐하게 된다.
물론, 상기 힌지핀(570)을 통해 전선(110)과 급수호스이 안내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힌지핀(570)이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커버(310) 또한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힌지어셈블리(300)는 고정부재(400)와 힌지플레이트(500) 그리고 구속레버(60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힌지플레이트(500)의 가고정을 위한 것으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상부 내측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과 내측에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서 스크류 체결되며,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발포 충진되는 단열재와 접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고정부재(400)의 전반부(도3 에서 좌측) 좌우 양측에 고정돌기(41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410)는 상기 고정부재(4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고정돌기 관통구(130)와, 상기 힌지플레이트(500)에 형성된 고정돌기 수용구(530)에 각각 수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410)의 후측(도 3 에서 우측) 대략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부(42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420)는 상기 힌지플레이트(500)의 고정을 위한 것으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100) 상면의 고정부 통과구(140)와 상기 힌지플레이트(500)의 관통구(540)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고정부(420)는 상기 고정부재(400)의 일부를 절개한 후 상방으로 수직하게 절곡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고정부재(400)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42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고정부(420)는 좌우로 긴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부(422)와, 상기 연장부(422)의 상단에서 좌우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424)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422)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구속레버(6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구속레버(600)의 높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속레버(600)의 삽입시 상기 걸림부(424)와 상기 구속레버(600)가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00) 후반부에는 지지부(43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430)는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100) 상면의 지지부 통과구(150)를 지나 상기 힌지플레이트(500)의 수용단(550)에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힌지플레이트(500)가 회전 또는 유동하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는 힌지플레이트(500)가 장착된다. 상기 힌지플레이트(500)는 상기 도어(200)와 본체(100)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도어(20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400)보다 길이가 긴 판상으로 형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힌지플레이트(500)는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는 결합부(510)와 상기 결합부(51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도어(200)와 결합되는 연결부(520)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510)는 상기 고정부재(400)와 대응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510)의 가장 전반부(도 3 에서 좌측) 좌우측에는 고정돌기 수용구(53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 수용구(530)는 상기 고정부재(400)의 고정돌기(410)가 수용되는 것으로 천공 형성된다. 이때,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 고정돌기 수용구(530)는 상기 힌지플레이트(500)의 규격화를 위해 일측의 고정돌기 수용구(530)가 장공의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돌기 수용구(530)의 후방에는 관통구(540)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540)는 상기 고정부재(400)의 고정부(420)가 관통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420)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좌우로 긴 슬릿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420) 와 고정부 통과구(14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510)의 후단에는 상기 고정부재(400)의 지지부(4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개된 수용단(550)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단(550)은 상기 지지부(430)와 대응하는 상방에 형성되며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510)의 일측에는 스크류의 헤드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단(560)이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430)를 상기 수용단(550)에 수용하고 상기 체결단(560)에 스크류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힌지플레이트(500)는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관통구(540)와 인접한 상기 결합부(510)의 좌측(도 3 에서 볼 때)에는 구속레버(600)가 결합된다. 상기 구속레버(600)는 상기 힌지플레이트(500)의 선택적인 구속 고정을 위한 것으로, 조작부(610)와 작용부(620)로 구성된다.
상기 조작부(610)는 상기 구속레버(600)의 회동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힌지플레이트(500)의 좌측에 결합부재(630)에 의해 축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630)는 핀, 스크류, 볼트, 너트 등 회동이 가능하면서도 상기 힌지플레이트(500)와 상기 조작부(61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재(630)에 의해 상기 힌지플레이트(500)와 구속레버(600)는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610)는 상기 결합부재(630)와 결합된 부분에서 연장된 후 다시 소정의 각도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조작부(610)의 조작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400)의 고정부(420)와 구속레버(600) 사이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다.
한편, 상기 조작부(610)는 상기 구속레버(600)를 회동시켜 상기 힌지플레이트(5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닫았을 때 그 단부가 상기 힌지플레이트(500)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힌지커버(310)의 장착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작용부(620)는 상기 고정부(420)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플레이트(500)를 구속하는 것으로, 상기 조작부(610)의 대략 중앙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작용부(62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작용부(620)의 중앙은 가장 볼록하거나 오목하고 외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작용부(620)와 상기 고정부(420)의 접촉시 상기 힌지플레이트(500)를 점진적으로 가압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작용부(620)의 일단에는 안내구(622)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구(622)는 상기 작용부(620)의 외측단에서 내측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420)의 좌우 폭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속레버(600)의 회동 조작시 상기 안내구(622)의 내측으로 상기 고정부(420)의 연장부(4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510)의 전단에서 연장되는 연결부(520)는 전방으로 연장된 후 상기 도어(200)의 외측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520)의 단부에는 상기 힌지핀(570)이 삽입장착된다.
상기 힌지핀(570)은 상기 도어(200)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힌 지홀(250)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20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핀(570)은 관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110)과 급수호스를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힌지어셈블리 및 힌지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의 작용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어셈블리의 구속레버가 닫힌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어셈블리의 구속레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우선 상기 도어(200)가 본체(100)에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는 도 4 에서와 같이 상기 구속레버(600)가 닫힌 상태가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도어(200)는 상기 힌지플레이트(500)의 힌지핀(570)과 축결합된 상태가 되고, 상기 구속레버(600)는 회동되어 상기 구속레버(600)의 작용부(620)가 상기 힌지플레이트(500)와 고정부재(400)의 걸림부(424)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작용부(620)의 하단은 상기 힌지플레이트(500)를 누르고, 상기 힌지플레이트(500)를 관통하는 고정부(420)의 걸림부(424)는 상기 작용부(620)의 양단을 누르는 상태가 되어 상기 힌지플레이트(500)에는 하방으로의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플레이트(500)에는 각각 상기 고정부재(400)의 고정돌기(410)와 고정부(420) 및 지지부(430)가 수용되어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200)의 분리를 위해서는 상기 구속레버(6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 구속레버(600)를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작용부(620)의 안내구(622)가 상기 고정부재(400)의 걸림부(424)와 상기 힌지플레이트(500) 사이에서 외측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420)의 연장부(422)는 상대적으로 상기 작용부(620)의 안내구(622)를 통해 빠져나오는 상태가 된다.
상기 작용부(620)가 상기 걸림부(424)와 힌지플레이트(500)로부터 완전하게 빠져나오게 되면, 도 5 와 같은 상태가 되며, 상기 힌지플레이트(500)에 가해지던 하방 압력이 제거됨은 물론 상기 힌지플레이트(500)의 상방 탈거를 위한 구속력이 해지된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상기 힌지플레이트(500)를 상방으로 탈거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힌지플레이트(500)의 탈거로 상기 도어(200)와 본체(100)의 상부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200)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상기 본체(100)로부터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200)를 분리한 후에는 상기 본체(100)와 도어(200)를 따로 운반이 필요한 곳으로 각각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0)의 서비스 시에는 분리하여 서비스 또는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200)의 재장착을 위해서는 전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하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어셈블리가 채용된 냉장고.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어셈블리의 장착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어셈블리의 구속레버가 닫힌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어셈블리의 구속레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Claims (13)

  1. 냉장고 본체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냉장고 본체에 가고정되며, 다른 일측에는 냉장고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플레이트;
    상기 힌지플레이트에 축결합되며, 상기 힌지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수평방향 회동에 의해 상기 힌지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본체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부가 관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힌지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면과 힌지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힌지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레버는 수평방향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힌지플레이트에 축결합되는 힌지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플레이트에는 내부로 전원선 및 물공급관이 안내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관형상의 힌지핀이 더 형성되는 힌지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힌지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돌기 수용구가 형성되는 힌지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레버의 일측은 상방 또는 하방을 만곡 형성되어 회동시 상기 힌지플레이트를 가압하여 구속하는 힌지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레버에의 일측에는 상기 구속레버의 회동시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함몰된 안내구가 더 형성되는 힌지어셈블리.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레버는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서 측방으로 연장된 걸림부와 상기 힌지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상기 관통구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힌지어셈블리.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80030699A 2008-04-02 2008-04-02 힌지어셈블리 KR101469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699A KR101469980B1 (ko) 2008-04-02 2008-04-02 힌지어셈블리
US12/673,321 US8245352B2 (en) 2008-04-02 2009-04-01 Hinge assembly and refrigerator with hinge assembly
PCT/KR2009/001667 WO2009123416A1 (en) 2008-04-02 2009-04-01 Hinge assembly and refrigerator with hing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699A KR101469980B1 (ko) 2008-04-02 2008-04-02 힌지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325A KR20090105325A (ko) 2009-10-07
KR101469980B1 true KR101469980B1 (ko) 2014-12-05

Family

ID=4113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699A KR101469980B1 (ko) 2008-04-02 2008-04-02 힌지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45352B2 (ko)
KR (1) KR101469980B1 (ko)
WO (1) WO200912341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07708A (zh) * 2015-12-22 2016-04-2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铰链组件
CN105927074A (zh) * 2016-04-20 2016-09-07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顶铰链和冰箱
CN107288462A (zh) * 2017-07-27 2017-10-2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冰箱铰链及其冰箱上铰链
CN107366486A (zh) * 2016-05-13 2017-11-21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固定结构的合页及采用该合页的箱门固定方法
KR20190070626A (ko) * 2017-12-13 2019-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6155A1 (en) * 2006-12-18 2010-02-04 Kyeong-Seog Yun Hinge assembly for refrigerator
DE102010028295A1 (de) * 2010-04-28 2011-11-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KR101785343B1 (ko) * 2010-08-11 2017-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ES2413498B1 (es) * 2011-02-21 2014-12-16 Fagor, S. Coop. Bisagra para una puerta de un aparato frigorífico
JP6092027B2 (ja) * 2013-07-12 2017-03-0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05041086B (zh) * 2015-08-18 2017-03-22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铰链组件及冰箱
US9885514B2 (en) * 2015-12-04 2018-02-06 Whirlpool Corporation Foldable hinge for refrigerator door
US9834967B2 (en) 2015-12-15 2017-12-0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Hinge constructions
KR101954874B1 (ko) 2016-01-05 2019-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6193863B (zh) * 2016-06-29 2017-11-17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门体的铰链安装结构及冰箱
US10544983B2 (en) 2017-01-03 2020-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10873506B (zh) * 2018-08-31 2021-07-23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定位门体的铰链结构及冰箱
US11091943B2 (en) 2018-12-29 2021-08-17 Whirlpool Corporation Articulating wire chase for use with an articulating hinge for an appliance door
US11072956B2 (en) 2019-05-21 2021-07-27 Whirlpool Corporation Hinge bracket
US11970895B2 (en) * 2019-05-21 2024-04-30 Whirlpool Corporation Hinge bracket assembly
US11697954B2 (en) * 2021-03-07 2023-07-11 Whirpool Corporation Adjustable door hinge system
WO2023130651A1 (zh) * 2022-01-04 2023-07-13 海信冰箱有限公司 冰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6764A (en) * 1994-11-23 1997-09-16 Whirlpool Corporation Fixed hinge-door removal/door seal resolution
KR0169462B1 (ko) * 1996-10-08 199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0249364B1 (ko) * 1997-10-09 2000-04-01 구자홍 냉장고의 힌지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3451A (en) * 1959-03-30 1962-03-06 Delmar G Thoel End gate latch and hinge
US3869753A (en) * 1973-05-21 1975-03-11 John G Boback Removable hinge arrangement
AU733320B2 (en) * 1997-08-09 2001-05-10 Lg Electronics Inc. Door hinge fix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KR19990026937A (ko) * 1997-09-26 1999-04-15 윤종용 냉장고용 도어 지지 구조
KR100267936B1 (ko) * 1997-11-22 2000-11-01 윤종용 냉장고
KR200309593Y1 (ko) 2003-01-14 2003-04-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도어의 상부 힌지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6764A (en) * 1994-11-23 1997-09-16 Whirlpool Corporation Fixed hinge-door removal/door seal resolution
KR0169462B1 (ko) * 1996-10-08 199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0249364B1 (ko) * 1997-10-09 2000-04-01 구자홍 냉장고의 힌지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07708A (zh) * 2015-12-22 2016-04-2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铰链组件
CN105927074A (zh) * 2016-04-20 2016-09-07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顶铰链和冰箱
CN107366486A (zh) * 2016-05-13 2017-11-21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固定结构的合页及采用该合页的箱门固定方法
CN107288462A (zh) * 2017-07-27 2017-10-2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冰箱铰链及其冰箱上铰链
KR20190070626A (ko) * 2017-12-13 2019-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67057B1 (ko) 2017-12-13 202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23416A1 (en) 2009-10-08
US8245352B2 (en) 2012-08-21
US20110209495A1 (en) 2011-09-01
KR20090105325A (ko)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980B1 (ko) 힌지어셈블리
KR20160019489A (ko) 냉장고
RU2608220C1 (ru) Скольз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холодильник, имеющий скольз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20100263402A1 (en) Refrigerator and rail assembly of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door alignment method
US11499771B2 (en) Refrigerator
KR20100037266A (ko) 냉장고
KR101329489B1 (ko) 냉장고용 홈바
KR20110103523A (ko) 냉장고
US20100269533A1 (en) Ice bank for refrigerator
KR20180080092A (ko) 냉장고
US20240053093A1 (en) Refrigerator
KR102474964B1 (ko)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
KR101621558B1 (ko) 냉장고
KR101652527B1 (ko) 냉장고
KR101979451B1 (ko) 냉장고
KR100693572B1 (ko) 냉장고의 제빙기 커넥터 설치구조
KR20140008559A (ko) 냉장고의 분리형 도어케이스
KR20090056642A (ko)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KR101446495B1 (ko) 냉장고
JP4460971B2 (ja) 冷却貯蔵庫
KR100549078B1 (ko) 냉장고
KR20150066195A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5052311B2 (ja) 製氷機
KR101451657B1 (ko)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KR101508385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