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527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2527B1 KR101652527B1 KR1020100022619A KR20100022619A KR101652527B1 KR 101652527 B1 KR101652527 B1 KR 101652527B1 KR 1020100022619 A KR1020100022619 A KR 1020100022619A KR 20100022619 A KR20100022619 A KR 20100022619A KR 101652527 B1 KR101652527 B1 KR 1016525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slider
- handle
- pivoting
- push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둘레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캐비닛에 밀착되는 가스켓;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해 파지하는 도어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핸들은, 내부가 중공되며,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핸들 바디와; 상기 핸들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핸들을 당기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는 누름부재; 상기 도어핸들의 내측에 축결합되며, 상기 누름부재의 조작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부재; 및 상기 도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캐비닛을 밀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보조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실시 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구성이 부가되고 있다.
예컨데, 근래에는 냉장고 내부의 냉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냉장고 도어의 둘레에 가스켓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의 내부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스켓이 캐비닛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가스켓의 기밀 성능이 향상되어 냉기의 누설 방지 효과가 향상되는 반면, 상기 자석의 작용으로 인해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 보다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냉장고 도어 핸들을 회동조작하여 냉장고 도어가 보다 용이하게 열릴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냉장고들은 대부분 도어 핸들 자체를 회동 조작시키거나, 도어 핸들에 구비된 다른 구성을 회동조작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 도어의 실제 개방시 상기 도어 핸들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 냉장고 도어의 초기 이동 방향이 달라 초기 개방시 축 회전에 필요한 힘의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도어의 회동 조작과 동시에 별도의 조작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냉장고 도어에 고정된 도어 핸들에 누름 조작에 의해 냉장고 도어를 이격시키는 누름부재가 구비되어 냉장고 도어의 초기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둘레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캐비닛에 밀착되는 가스켓;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해 파지하는 도어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핸들은, 내부가 중공되며,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핸들 바디와; 상기 핸들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핸들을 당기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는 누름부재; 상기 도어핸들의 내측에 축결합되며, 상기 누름부재의 조작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부재; 및 상기 도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캐비닛을 밀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보조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한쌍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부재의 중앙과 대응하는 도어핸들에는, 상기 한쌍의 회동부재의 회전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누름부재와 접하여 구름운동하는 구름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 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이 상기 누름부재와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 바디에는 상기 누름부재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도어의 외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도어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누름부재 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더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2연장부와 대응하는 상기 핸들 바디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 바디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핸들 바디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탄성지지하는 슬라이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본 실시 예에서는 냉장고 도어에 고정 장착된 핸들 바디에 누름 조작에 의해 수평이동되는 누름부재가 구비되며, 누름부재의 조작에 의해 회동부재가 회동하고, 슬라이더가 이동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초기 개방을 보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을 위한 파지시 자연스럽게 눌려지게 되며, 도어 핸들을 회동시키기 위해 당기는 동작에 의해 자연스럽게 눌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을 위해 도어핸들을 회동 조작시키거나, 다른 구성의 회전 조작 없이 상기 도어핸들을 쥐는 동작만으로 상기 누름부재를 누를 수 있게 되어 힘의 손실없이 용이하게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 바디의 내부에 두개의 회동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누름부재의 누름 조작에 의해 두개의 회동부재가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부재의 상부와 하부 어느 위치를 누르게 되더라도 상기 누름부재 수평이동에 의해 한쌍의 회동부재가 회동하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핸들에 의한 상기 냉장고 도어의 초기 개방시 슬라이더의 오작동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누름부재의 조작이 한층 더 용이해 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도어핸들이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상기 도어 핸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핸들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누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은 상기 도어핸들의 조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핸들의 내부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도어핸들이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상기 도어 핸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핸들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누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은 상기 도어핸들의 조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핸들의 내부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수납장치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방에 위치하는 바텀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 있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10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공간은 상하로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12)과 냉동실(14)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00)는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4)을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10)와 냉동실 도어(1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110)에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디스플레이(1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112)에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110)의 전면에는 디스펜서(114)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114)는 정수된 물 또는 고내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110)의 배면에는 디스펜서(114) 및 아이스 메이커(16)로 물공급을 하기 위한 워터탱크(1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의 내측에는 선반, 서랍 등과 같은 다수의 수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110)의 배면에도 바스켓 등과 같은 다양한 수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4)의 내부에도 서랍, 선반과 같은 수납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4) 내부에는 얼음이 만들어지는 아이스 메이커(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6)는 냉장고의 형태에 따라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어 디스펜서를 통해 취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110)와 냉동실 도어(120)의 배면 둘레에는 가스켓(130)이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130)은 상기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4) 내부의 냉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기밀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스켓(130)은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탄성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자석이 내장되어 상기 도어(100)가 닫혔을 때 상기 가스켓(130)이 상기 캐비닛(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130)에는 필요에 따라 완충 및 기밀을 위한 리브 또는 공기 챔버 등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100)에는 도어(100)의 개방을 위한 도어핸들(200)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핸들(200)은 상기 냉장실 도어(110)와 냉동실 도어(120)의 외측단에 각각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110)와 냉동싱 도어(100)의 개별적인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어핸들(200)이 상기 도어(100)의 측면에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상기 도어핸들(200)의 일부가 상기 도어(100)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핸들에 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한다. 상기 도어핸들(200)은 상기 냉장실 도어(110)에 구비되는 도어핸들(200)과 냉동실 도어(120)게 구비되는 도어핸들(200)이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냉장실 도어(110)에 장착되는 상기 도어핸들(200)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에서 냉장실 도어는 도어로 통칭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도어핸들이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상기 도어 핸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핸들 바디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누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6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핸들(200)은 상기 도어(100)의 측면에 장착되며, 외형을 형성하는 핸들 바디(300)와, 상기 핸들 바디(300)에 구비되는 누름부재(400), 회동부재(500) 및 슬라이더(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핸들 바디(300)는 상기 도어핸들(200)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 바디(300)는 상기 도어(100)의 측면에 장착된다. 상기 핸들 바디(300)는 상기 도어(100)의 양측 중 축결합되는 일측과 대향되는 측면에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330)에 의해 고정 장착된다.
상기 핸들 바디(300)는 내부가 중공되어 내부에 회동부재(500)를 비롯한 상기 누름부재(400) 및 슬라이더(60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 바디(300)는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310)와 상기 연장부(310)에서 절곡되어 상기 도어(100)의 측면에 장착되는 고정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320)에는 결합부재(330)가 관통되는 체결홀(324)이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재(330)는 상기 고정부(320)와 상기 슬라이더(600)를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도어(100)의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핸들 바디(300)가 상기 도어(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320)의 단부에는 상기 핸들 바디(300)가 상기 도어(100)의 모서리에 안착될 수 있도록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안착부(3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322)는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600)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 바디를 상기 도어에 고정 장착하게 될 때 상기 슬라이더(600)는 상기 안착부(322)의 내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310)의 내측 대략 중앙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회전핀(530)이 장착되는 회전핀 장착부(312)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핀 장착부(312)는 상기 회전핀(530)의 양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310)의 내부 양측에서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310)의 내부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이동 가이드(314)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314)는 상기 누름부재(400)가 조작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될 때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314)는 상기 연장부(310)의 내측면에서 상기 누름부재 장착구(316)를 향하여 돌출 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가이드(314)는 상기 누름부재(400)에 형성된 가이드 수용부(410)와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재(400)의 장착시 상기 이동 가이드(314)와 가이드 수용부(410)가 서로 형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연장부(310)의 중앙부에는 상기 누름부재(400)가 구비되는 누름부재 장착구(316)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재 장착구(316)는 상기 도어(100) 전면과 마주보는 상기 연장부(310) 상에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310)를 따라서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재(400)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핸들(200)을 파지하거나, 상기 도어핸들(200)을 당겨 상기 도어(100)를 개방하게 될 때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재(4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눌려지게 되면 전후방향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세히, 상기 누름부재(400)는 상기 누름부재 장착구(316)의 내측에 수용 가능하도록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재(400)의 배면에는 가이드 수용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수용부(410)는 상기 누름부재(400)의 배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314)가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수용부(410)는 상기 이동 가이드(314)의 단부가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재(400)가 상기 핸들 바디(3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가이드(314)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 수용부(410)의 내측 단부에서 걸림 구속되어 상기 누름부재(400)가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가이드(314)가 상기 가이드 수용부(41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누름부재(400)는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누름부재(400)는 상기 누름부재 장착구(316)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재 장착구(316)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누름부재(400)는 탄성부재(54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회동부재(500)의 단부와 접하는 상태가 되어 상기 누름부재 장착구(316)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핸들(200)을 파지하는 것으로, 상기 누름부재(400)를 누를 수 있게 되며, 상기 누름부재(400)는 상기 누름부재 장착구(316)의 전후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500)는 상기 누름부재(400)의 이동에 따라 회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핸들 바디(300)의 내측에 장착된다. 상기 회동부재(500)는 상기 연장부(310)의 내측에 한쌍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회동부재(50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한쌍의 회동부재(500)는 하나의 회전핀(530)에 의해 상기 핸들 바디(300) 내부에서 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500)는 전체적으로 상하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끝이 라운드 지거나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500)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 마모성과 윤활성능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예컨데, 피오엠(POM:Polyoxymerhylene)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500)는 상기 회전핀(530)을 기준으로 상기 누름부재(400)측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510)와, 상기 제1연장부(510)와 대향되는 상기 고정부(320) 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5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510)는 상기 제2연장부(520)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제1연장부(510)의 단부가 상기 누름부재(400)의 배면 상부 또는 하부와 접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부(510)의 단부에는 구름부재(5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름부재(512)는 상기 회동부재(50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연장부(51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구름부재(512)는 롤러 형상외에 구름운동할 수 있는 베어링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연장부(510)는 상기 구름부재(512)가 상기 누름부재(400) 배면에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부재(400)와 구름부재(512)는 서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누름부재(400)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름부재(512)는 상기 누름부재(400) 배면과 접촉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름부재(512)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500)는 상기 회전핀(53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구름부재(512)는 상기 누름부재(400)의 중앙에서 다소 일측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구름부재(512)가 상기 누름부재(400)의 배면과 접촉하게 될 때 상기 가이드 수용부(410)와 간섭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제2연장부(520)는 상기 회전핀(530)을 기준으로 상기 제1연장부(510)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연장부(520)는 상기 고정부(320)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연장부(520)의 단부는 상기 슬라이더(600)가 장착된 상기 고정부(32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연장부(520) 중 상기 고정부(320)와 인접한 쪽은 상기 제1연장부(510)를 비롯한 제2연장부(520)의 나머지 부분보다 폭이 저 넓게 형성된 접촉부(522)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522)는 상기 슬라이더(600)와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320)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500)가 상기 회전핀(530)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될 때 상기 접촉부(522)의 단부가 상기 슬라이더(600)의 일측을 눌러 상기 슬라이더(6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연장부(520)의 일측에는 탄성부재(540)가 구비되는 탄성부재 안착부(524)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 안착부(524)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탄성부재(540)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540)는 상기 회동부재(500)와 상기 핸들 바디(30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동부재(5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40)에 의해 상기 구름부재(512)는 상기 누름부재(400)의 배면에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540)는 일단이 상기 탄성부재 안착부(524)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누름부재 장착구(316) 상측 또는 하측의 상기 핸들 바디(300) 내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540)는 상기 제2연장부(520)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연장부(510)의 단부가 상기 누름부재(400)와 접하도록 상기 회동부재(500)의 회동이 강제된다.
한편, 상기 누름부재(400)의 조작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500)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회동부재(500)의 회동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540)는 압축된다. 그리고, 외력의 제거시 상기 회동부재(500)는 상기 탄성부재(540)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다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600)는 상기 회동부재(500)의 회동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누름부재(400)의 왕복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600)는 상기 핸들 바디(300)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된 고정부(32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600)는 상기 고정부(320)에서 직선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더(600)의 일부가 상기 고정부(3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캐비닛(10)을 밀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600)는 상기 슬라이더(600)의 양단을 형성하는 회동부재 접촉부(610) 및 누름부(630)와 상기 회동부재 접촉부(610)와 누름부(63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6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동부재 접촉부(610)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연장부(520)의 단부와 접하여 눌려 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재 접촉부(610)는 상기 고정부(320)의 내측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연장부(520)의 단부와 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620)는 상기 회동부재 접촉부(610)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회동부재 접촉부(610)와 상기 누름부(630)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620)는 상기 누름부(630)가 상기 고정부(320)의 개구된 단부를 통해 노출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620)에는 상기 연결부(620)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슬라이딩홀(622)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홀(622)은 상기 고정부(320)를 관통하는 결합부재(33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핸들 바디(300)의 고정 장착을 위해 상기 결합부재(330)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결합부재(330)는 상기 고정부(320)의 체결홀(324)과 상기 슬라이딩홀(622)을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도어(100)의 측면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홀(622)은 상기 슬라이더(600)의 이동방향으로 개구된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600)의 직선 왕복 운동시 상기 결합부재(330)와 상기 슬라이딩홀(622)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600)의 이동이 안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630)는 상기 고정부(320)의 단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누름부(630)의 일부가 상기 고정부(320)를 통해 노출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더(60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630)는 상기 고정부(320)의 단부와 접하는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고정부(320)의 단부와 간섭되어 더 이상 상기 고정부(320) 내측으로 인입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630)는 상기 슬라이더(600)의 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620)의 일측단에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63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600)의 이동시 상기 캐비닛(10)을 밀어 상기 도어(100)의 초기 개방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누름부(630)의 전체 또는 적어도 캐비닛(10)과 접하는 일면은 고무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캐비닛(10)과의 접촉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600)에는 상기 슬라이더(600)를 탄성 지지하는 슬라이더 탄성부재(640)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더 탄성부재(640)는 상기 슬라이더(600)가 상기 고정부(320)의 내측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장착된다.
상세히, 상기 슬라이더 탄성부재(640)는 상기 회동부재 접촉부(610)의 하면과 상기 고정부(320) 내측의 돌출된 돌출부(326)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00)의 개방을 위해 상기 슬라이더(600)가 이동하여 상기 누름부(630)가 상기 고정부(320)로부터 돌출되면, 상기 슬라이더 탄성부재(640)는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6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슬라이더 탄성부재(6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600)는 다시 상기 고정부(320)의 내측에 인입된 상태가 된다. 물론, 상기 슬라이더(6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도 상기 슬라이더 탄성부재(6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600)는 상기 고정부(320)의 내측에 최대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과 도 8은 상기 도어핸들의 조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상기 냉장고(1)에서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켓(130)이 상기 캐비닛(10)의 선단부 둘레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스켓(130)의 내부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으며, 자석에 의해 상기 가스켓(130)이 기밀을 유지하게 되어 상기 캐비닛(10)과 도어(100) 사이의 냉기 누설을 차단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핸들(200)은 도 7과 같은 상태가 된다.
상세히, 상기 도어(100)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핸들(200)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 도어핸들(200)의 조작 전에는 상기 누름부재(400)가 상기 핸들 바디(300)의 누름부재 장착구(316)로부터 다소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누름부재(400)는 상기 회동부재(500)의 제1연장부(510)에 장착된 구름부재(512)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500)는 상기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구름부재(512)가 상기 누름부재(400)의 배면에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500)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한쌍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하나의 회전핀(530)에 의해 상기 핸들 바디(300) 내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회동부재(500) 각각에 구비되는 구름부재(512)는 상기 누름부재(400) 상부와 하부를 각각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회동부재(500)는 상기 제2연장부(520)를 지지하는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한쌍의 회동부재(500)가 각각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장부(510)의 단부는 상기 회전핀(530)을 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각각의 회동부재(500)에 구비되는 구름부재(512)가 상기 누름부재(400)의 배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연장부(520)는 상기 슬라이더(600)의 회동부재 접촉부(61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600)는 상기 고정부(320)의 내측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가 되어 상기 누름부재(400)의 일부만이 상기 고정부(320)의 단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600)에 구비되는 슬라이더 탄성부재(640)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600)는 상기 고정부(320)의 내측에 최대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600)가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누름부(630)는 상기 캐비닛(10)의 선단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누름부(630)가 상기 캐비닛(10)의 선단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가 될 수도 있으나, 이때에는 상기 누름부(630)가 상기 캐비닛(10)을 가압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도어(100)의 개방을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핸들(200)을 파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핸들(200)을 감싸쥔 상태에서 당기게 되면, 상기 도어(100)는 회동하게 되면서 개방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도어핸들(200)을 감싸쥐거나, 상기 도어핸들(200)을 감싸쥔 상태에서 당기게 되는 순간 상기 도어핸들(200)의 슬라이더(600)는 상기 캐비닛(10)의 선단부를 밀어 상기 가스켓(130)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캐비닛(10)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핸들(200)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100)의 초기 개방을 보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핸들(200)은 도 8과 같은 상태가 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도어(100)의 개방을 위해 상기 도어핸들(200)을 감싸쥐거나, 상기 도어핸들(200)을 당기게 되면 상기 누름부재(400)가 사용자에 의해 자연스럽게 눌려지게 된다.
상기 누름부재(400)를 가압시켜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부재(400)는 전방(도 8 에서 우측)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부재(400)는 이동 가이드(314)가 상기 가이드 수용부(41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인입되면서 상기 누름부재(40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 가이드(314) 및 상기 가이드 수용부(410)는 상기 누름부재(400)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부재(400)를 안정적으로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누름부재(400)가 눌려지게 되면, 상기 누름부재(400)는 수평 이동하여 상기 누름부재 장착구(316)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누름부재(40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누름부재(400)의 배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접하는 회동부재(500)는 상기 회전핀(530)을 기준으로 각각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누름부재(4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연장부(510)의 단부는 가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구름부재(512)는 상기 누름부재(400)의 배면을 따라서 상부와 하부로 구름 이동된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구름부재(512)는 상기 탄성부재(540)의 탄성에 의해 상기 누름부재(40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500)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540)는 상기 제2연장부(520)에 의해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장부(5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연장부(520)의 단부는 상기 슬라이더(600)의 회동부재 접촉부(610)를 누르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 접촉부(610)를 누르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600)는 후방(도 8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600)는 상기 결합부재(330)와 슬라이딩홀(622)의 안내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500)의 회동시 발생되는 상기 제2연장부(520) 단부의 수평 변위만큼 상기 슬라이더(600)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600)의 후방이동시에 상기 슬라이더 탄성부재(640)는 압축된다.
상기 슬라이더(600)의 후방이동으로 인해 상기 누름부(630)는 상기 캐비닛(10)의 선단부를 밀어주게 되고, 자연스럽게 상기 도어(100)가 회동되는 방향으로 힘을 더하게 되어 상기 가스켓(130)이 상기 캐비닛(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핸들 바디(300)의 내부에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한쌍의 회동부재(500)가 동일한 회전핀(530)에 의해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회동부재(500)의 단부는 상기 누름부재(4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630)의 중앙부는 물론 상부와 하부 중 어느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를 눌러 가압하게 되더라도 상기 회동부재(500)는 동시에 회동되어 상기 도어핸들(200) 상부와 하부의 슬라이더(600)를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재(400)를 누르고 있는 손을 떼거나,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 탄성부재(640)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600)는 다시 상기 고정부(320)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상기 탄성부재(540)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500)는 회동되어 도 7과 같은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00)를 다시 닫게 될 때, 상기 슬라이더(600)가 상기 도어 캐비닛(10)과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른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도어 바디의 내측에 하나의 회동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재의 조작에 의해 상기 회동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른 구성들은 동일하며, 상기 회동부재와 슬라이더가 하나씩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핸들의 내부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캐비닛(10)에 냉장실 및 냉동실과 같은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공간은 도어(100)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도어(100)에는 냉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가스켓(130)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100)의 측면에는 도어핸들(70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핸들(700)은 외형을 형성하는 핸들 바디(300)와 상기 핸들 바디(300)에 구비되는 누름부재(400)와 회동부재(800) 및 슬라이더(600)로 구성된다.
상기 핸들 바디(300)는 상기 연장부(310)와 고정부(320)로 구성되며, 상기 연장부(310)에 상기 누름부재(400)가 장착된다. 상기 누름부재(4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직선 왕복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 바디(300)의 내측에는 회동부재(800)가 구비된다. 상기 회동부재(800)는 회전핀(530)에 의해 상기 핸들 바디(30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800)는 상기 회전핀(530)을 기준으로 상기 누름부재(400)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810)와 상기 고정부(320)측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8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연장부(810)의 단부에는 상기 구름부재(812)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재(400)와 접촉되어 상기 누름부재(400)의 수평이동시 상기 누름부재(400)를 따라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장부(310)에는 탄성부재(840)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840)는 상기 제1연장부(820)에 장착된 상기 구름부재(812)가 상기 누름부재(400)에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장부(310)를 가압하여 회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양측의 고정부(320) 중 상기 회동부재(800)의 상기 제2연장부(820)와 인접하는 일측의 고정부(320)에는 슬라이더(600)가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더(600)는 상기 고정부(320)를 관통하는 결합부재(330)에 의해 상기 고정부(320)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600)는 상기 제2연장부(820)의 단부와 접하는 회동부재 접촉부(610)와, 상기 회동부재 접촉부(610)와 아래에서 설명할 누름부(630)를 연결하는 연결부(620) 그리고, 상기 고정부(320)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더(600)의 이동시 상기 캐비닛(10)을 밀어주는 누름부(63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620)에는 상기 결합부재(330)가 관통되어 상기 슬라이더(6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홀(62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핸들 바디(300) 양측의 고정부(320) 중 일측에만 상기 슬라이더(600)가 구비되며, 다른 일측은 슬라이더(600)가 구비되지 않고 바로 상기 도어(100)의 측면에 고정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800)는 상기 제1연장부(810)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지 않고,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슬라이더(600)의 위치 또한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100. 도어 130. 가스켓
200. 도어핸들 300. 핸들 바디
400. 누름부재 500. 회동부재
510. 제1연장부 512. 구름부재
520. 제2연장부 530. 회전핀
540. 탄성부재 600. 슬라이더
640. 슬라이더 탄성부재
200. 도어핸들 300. 핸들 바디
400. 누름부재 500. 회동부재
510. 제1연장부 512. 구름부재
520. 제2연장부 530. 회전핀
540. 탄성부재 600. 슬라이더
640. 슬라이더 탄성부재
Claims (11)
-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둘레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캐비닛에 밀착되는 가스켓;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해 파지하는 도어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핸들은,
내부가 중공되며 상기 도어의 전면에 배치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도어의 측면을 향하여 절곡되며, 체결홀을 구비하는 고정부;
상기 연장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핸들을 당기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는 누름부재;
상기 연장부의 내측에 축결합되며, 상기 누름부재의 조작에 의해 회동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재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누름부재의 일면에 접하여 구름운동하는 한 쌍의 구름부재;
상기 도어 핸들의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의 회전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핀;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캐비닛을 밀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보조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으로 개구된 장공을 형성하는 슬라이딩홀; 및
상기 체결홀과 상기 슬라이딩홀을 관통하여, 상기 도어 핸들를 상기 도어의 측면에 체결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한쌍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이 상기 누름부재와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바디에는 상기 누름부재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누름부재 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더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2연장부와 대응하는 상기 핸들 바디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바디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핸들 바디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탄성지지하는 슬라이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2619A KR101652527B1 (ko) | 2010-03-15 | 2010-03-15 | 냉장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2619A KR101652527B1 (ko) | 2010-03-15 | 2010-03-15 | 냉장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3522A KR20110103522A (ko) | 2011-09-21 |
KR101652527B1 true KR101652527B1 (ko) | 2016-09-09 |
Family
ID=44954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2619A KR101652527B1 (ko) | 2010-03-15 | 2010-03-15 | 냉장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252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72538A (ko) | 2019-12-09 | 2021-06-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의 도어핸들 |
EP4027085A1 (en) | 2021-01-07 | 2022-07-13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222488B (zh) * | 2015-11-16 | 2017-10-27 |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 门体及冷柜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3916B1 (ko) * | 2008-03-21 | 2014-11-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
2010
- 2010-03-15 KR KR1020100022619A patent/KR101652527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72538A (ko) | 2019-12-09 | 2021-06-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의 도어핸들 |
EP4027085A1 (en) | 2021-01-07 | 2022-07-13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US12078406B2 (en) | 2021-01-07 | 2024-09-03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3522A (ko) | 2011-09-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008408B1 (en) | Refrigerator | |
US8857930B2 (en) |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 |
US9534833B2 (en) | Basket for refrigerator | |
US8376481B2 (en) | Refrigerator and rail assembly of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door alignment method | |
RU2608220C1 (ru) | Скольз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холодильник, имеющий скольз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 |
US20110023530A1 (en) | Refrigerator having drawer cover | |
KR100905560B1 (ko) | 냉장고의 탈기 저장장치 | |
KR101918059B1 (ko) | 드로어 밀폐유지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 |
KR20110064720A (ko) | 냉장고 | |
KR20110009348A (ko) | 냉장고 도어 개방 장치 | |
US11391505B2 (en) | Refrigerator | |
KR20080100553A (ko) | 냉장고의 도어개방구조 | |
KR20090090142A (ko) | 냉장고 | |
WO2008111817A1 (en) | Refrigerator and drawe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the same | |
KR101652527B1 (ko) | 냉장고 | |
KR20100134962A (ko) | 냉장고 및 냉장고 서랍장치 | |
KR20080050672A (ko) |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 | |
KR20090121030A (ko) | 슬라이딩 선반을 구비한 냉장고 | |
KR20160021438A (ko) | 냉장고 | |
KR20120009651A (ko) | 냉장고 | |
KR101621558B1 (ko) | 냉장고 | |
KR101266872B1 (ko) | 냉장고의 슬라이드레일장치 | |
JP2014102069A (ja) | 冷蔵庫 | |
KR101952679B1 (ko) |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 |
US20240191933A1 (en) |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