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916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916B1
KR101443916B1 KR1020080026178A KR20080026178A KR101443916B1 KR 101443916 B1 KR101443916 B1 KR 101443916B1 KR 1020080026178 A KR1020080026178 A KR 1020080026178A KR 20080026178 A KR20080026178 A KR 20080026178A KR 101443916 B1 KR101443916 B1 KR 101443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main body
door
operating member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0771A (ko
Inventor
정용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6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916B1/ko
Publication of KR20090100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05B17/0033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for opening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22Function thereof for opening
    • E05Y2201/426Function thereof for opening for the initial open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에 제공되어 상기 도어의 열림이 용이하도록 하는 보조 개방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보조 개방 장치는, 외력이 가해지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본체를 미는 복수 개의 작동부가 포함된다.
냉장고, 도어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실시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이 저온의 상태로 보관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동실의 하측에 냉장실이 위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측에 위치되는 바텀프리즈 타입(Bottom freeze type)과, 좌우로 각각 냉동실과 냉장실이 위치되는 양문형 타입(Side by side type)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핸들이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핸들을 잡은 상태로 상기 도어를 회전 또는 슬라이딩시켜 상기 저장실을 개페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에 의하면, 상기 도어의 배면에 형성된 가스켓이 상기 본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와 본체의 밀착력보다 큰 힘으로 상기 도어를 당겨야하므로, 사 많은 힘이 소요되느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도어에 음식물이 수납된 경우에는 상기 도어를 열기 위하여 더 많은 힘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사용자가 적은 힘을 들이고 쉽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도어에 형성되는 핸들에 도어의 개방을 보조하는 보조 개방 장치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핸들을 잡는 것에 의해서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에 제공되어 상기 도어의 열림이 용이하도록 하는 보조 개방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보조 개방 장치는, 외력이 가해지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본체를 미는 복수 개의 작동부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에 제공되어 상기 도어의 열림이 용이하도록 하는 보조 개방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보조 개방 장치는, 상기 본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 조작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상기 전달받아 상기 본체를 미는 하나 이상의 작동부와,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상기 작동부로 전달하는 전달 유닛이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보조 개방 장치에 의해서 상기 도어와 본체의 밀착력이 감소되므로, 사용자가 적은 힘을 들이고 상기 도어를 당겨 상기 저장실을 쉽게 개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력이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작동부로 전달되어 복수 개의 작동부가 상기 본체를 밀게 되므로, 보다 적은 힘으로 상기 도어를 당겨 저장실을 개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부재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당기는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핸들을 잡는 동작 만으로 상기 조작 부재를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된다.
또한, 제 1 전달 부재와 제 2 전달 부재를 연결하는 힌지가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므로,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력이 상기 작동부로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측면도이다.
도 1에는 일 례로,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가 도시되나, 본 실시예에서 냉장고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모든 종류의 냉장고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는,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 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힌지 어셈블리(110)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120, 130)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실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본체(100)의 상측 부에 형성되는 냉동실과, 상기 본체(100)의 하측 부에 형성되는 냉장실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20, 130)에는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120)와,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각 도어(120, 130)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핸들(140, 1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핸들(140, 150)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120, 130)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보조 개방 장치(2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각 핸들(140, 150)에 구비되는 보조 개방 장치(200)는 동일한 구조이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조 개방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어의 수직 측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140, 150)은 상기 도어(120, 130)의 전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140, 150)이 상기 도어(120, 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140, 150)의 일부는 상기 도어(120, 130)에서 이격되어 상기 도어(120, 130)와 상기 핸들(140, 150) 사이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151)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을 상기 공간부(151)에 넣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120, 130)를 당겨 상기 저장실을 개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개방 장치(200)는 상기 핸들(140, 150)의 내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을 위하여 일부가 상기 공간부(151)로 돌출된다.
상세히, 상기 보조 개방 장치(200)에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210)와, 상기 조작 부재(210)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며 상기 본체(100)를 밀어 상기 도어(140, 150)가 상기 본체(100)에서 쉽게 이격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작동부(230)와, 상기 조작 부재(210)의 조작력을 상기 각 작동부(230)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전달 유닛(220)과, 상기 조작 부재(21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24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작동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전달 유닛의 구조는 서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공통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핸들(140, 150)에는 상기 조작 부재(210)의 일부가 관통하는 개구부(14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부재(210)는 상기 개구부(141)를 관통하여 상기 핸들(140, 15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 때, 상기 돌출된 조작 부재(210)는 상기 공간부(151)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조작 부재(210)는 상기 핸들(140, 150)에서 상기 본체(100)를 향하여 돌출된다.
상기 탄성 부재(240)는 상기 조작 부재(210)를 탄성 지지하며, 일단이 상기 핸들(140, 15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140, 150)의 내측에는 상기 탄성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2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42)는 상기 탄성 부재(24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싼다. 상기 지지부(242)는 상기 핸들(140, 150)의 내측에서 상기 조작 부재(210)를 향하여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부재(210)의 양측으로는 상기 조작 부재(210)의 일정 부분이 상기 핸들(140, 15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140, 150) 내면에 걸리는 걸림부(212)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12)는 상기 조작 부재(210)의 일정 부분 만이 상기 핸들(140, 15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전달 유닛(220)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조작 부재(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각 전달 유닛(220)에는 제 1 전달 부재(221)와 제 2 전달 부재(22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전달 부재(221)는 상기 조작 부재(210)의 걸림부(212)에 힌지(223)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전달 부재(221)의 연결 위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제 2 전달 부재(222)는 상기 제 1 전달 부재(221) 및 상기 작동부(230)에 힌지(224, 225)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140, 150)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전달 부재(221)와 제 2 전달 부재(222)를 연결시키는 힌지(22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50)이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224)는 상기 가이드홈(250)에 삽입된 상태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 부재(210)의 조작력이 상기 작동부(230)로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힌지(224)가 상기 가이드홈(2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움직이므로, 상기 가이드홈(250)의 형성 방향 외의 방향으로 상기 힌지(224)가 요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조작 부재(210)의 조작력이 상기 작동부(230)로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홈(250)은 일 례로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수 개의 작동부(230)는 상기 조작 부재(21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된다. 예를 들면, 제 1 작동부는 상기 조작 부재(210)의 일측에 위치되고, 제 2 작동부는 상기 조작 부재(210)의 타측에 위치된다.
상기 도어(120, 130)는 상기 작동부(230)가 관통하는 관통홀(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230)는 일부가 상기 핸들(140, 15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121)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230)는 상기 관통홀(121)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210)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본체(100)를 향하여 이동하여 상기 본체(100)를 밀게 된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저장실을 개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보조 개방 장치(2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상기 저장실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핸들(140, 150)을 잡는다. 사용자가 상기 핸들(140, 150)을 잡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의 일부는 상기 공간부(151)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조작 부재(210)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조작 부재(210)가 가압되면, 상기 탄성 부재(240)는 수축되고 상기 조작 부재(210)는 상기 본체(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조작 부재(210)는 사용자 가 상기 도어(120, 130)를 당기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핸들(140, 150)을 잡는 동작 만으로 상기 조작 부재(210)를 가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부재(210)가 가압되어 일정 거리 이동되면, 상기 조작 부재(210)는 상기 지지부(242)에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탄성 부재(240)는 더이상 수축되지 않고, 상기 조작 부재(210)는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부재(210)가 가압되면, 상기 복수 개의 전달 유닛(220)은 각각 작동하여 상기 복수 개의 작동부(230)로 조작력을 각각 전달한다.
상세히, 상기 조작 부재(210)가 가압되면, 상기 제 1 전달 부재(221)는 상기 조작 부재(210)에 대해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전달 부재(221)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전달 부재(221)에 연결된 힌지(224)는 상기 가이드홈(250)을 따라 상기 조작 부재(2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224)가 상기 가이드홈(25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전달 부재(222)는 상기 제 1 전달 부재(221)에 대해서 회전되고, 상기 작동부(230)를 상기 본체(100) 측으로 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230)가 상기 본체(100) 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작동부(230)는 상기 본체(100)를 밀게 된다. 상기 작동부(230)가 상기 본체(100)를 미는 힘에 의해서 상기 본체(100)와 상기 도어(120, 130)의 밀착력, 실질적으로는 가스켓과 상기 본체(100)의 밀착력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0)와 상기 도어(120, 130)의 밀착력이 감소된 상태 또는 감소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도 어를 당김으로써 상기 도어(120, 130)가 상기 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이격되어 최종적으로 저장실이 개방된다.
여기서, "밀착력이 감소된 상태"는 사용자가 상기 핸들 만을 잡았을 때의 상태이고, "밀착력이 감소되는 상태"는 사용자가 상기 핸들을 잡음과 동시에 상기 도어를 당기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 때, 상기 작동부가 상기 본체를 미는 힘이 상기 본체와 도어의 밀착력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작동부에 의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가 이격되어 상기 저장실에 개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120, 130)가 이격되는 과정에서 상기 작동부(230)는 상기 도어(140, 15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반면, 상기 조작 부재(210)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 부재(240)는 신장된다. 그러면, 상기 탄성 부재(24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조작 부재(210)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도어(120, 13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작동부(230)의 일 부분은 상기 도어(120, 130) 내부로 인입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조 개방 장치(200)에 의해서 상기 도어(120, 130)와 본체(100)의 밀착력이 감소되므로, 사용자가 적은 힘을 들이고 상기 도어(120, 130)를 당겨 상기 저장실을 쉽게 개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부재(210)의 조작력이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작동부(230)로 전달되어 복수 개의 작동부(230)가 상기 본체(100)를 밀게 되므로, 보다 적은 힘으로 상기 도어(120, 130)를 당겨 상기 저장실을 개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조 개방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어의 수직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전달 유닛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개방 장치(300)에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310)와, 상기 조작 부재(310)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며 상기 본체(100)를 밀어 상기 도어(120, 130)가 상기 본체(100)에서 쉽게 이격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작동부(330)와, 상기 조작 부재(310)의 조작력을 상기 각 작동부(330)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전달 유닛(320)과, 상기 각 전달 유닛(320)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34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각 전달 유닛(320)은 일단이 상기 작동부(330)에 힌지에 의해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 유닛(320)은 상기 핸들(140, 150)에 힌지(322)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달 유닛(320)이 힌지(322)에 의해서 상기 핸들(140, 150)에 지지되므로, 상기 전달 유닛(320)의 요동이 방지되어 상기 조작 부재(310)의 조작력이 상기 작동부(330)로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 유닛(320)은 상기 탄성 부재(3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310)를 상기 본체(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전달 유닛(320)이 상기 조작 부재(310)를 가압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 부재(310)의 일부는 상기 핸들(140, 150)의 외부로 돌출된다.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저장실을 개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여 상기 보조 개방 장치(3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핸들(140, 150)을 잡으면, 상기 조작 부재(310)가 가압된다. 상기 조작 부재(310)가 가압되면, 상기 조작 부재(310)는 상기 각 전달 유닛(320)을 밀게 되고, 상기 탄성 부재(340)는 수축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전달 유닛(320)은 상기 힌지(32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각 작동부(330)가 상기 본체(100)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330)가 상기 본체(100) 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작동부(330)는 상기 본체(100)를 밀게 된다. 상기 작동부(330)가 상기 본체(100)를 미는 힘에 의해서 상기 본체(100)와 상기 도어(120, 130)의 밀착력, 실질적으로는 가스켓과 상기 본체(100)의 밀착력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0)와 상기 도어(120, 130)의 밀착력이 감소된 상태 또는 감소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를 당김으로써 상기 도어(120, 130)가 상기 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이격되어 최종적으로 저장실이 개방된다.
반면, 상기 조작 부재(310)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각 탄성 부재(340)는 신장된다. 그러면, 상기 탄성 부재(340) 들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각 전달 유닛(320)은 이전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조작 부재(310)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조작 부재(310)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도어(120, 13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작동부(330)의 일 부분은 상기 도어(120, 130) 내부로 인입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전달 유닛(320)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전달 유닛(320)과 조작 부재(310)를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보조 개방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어의 수직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전달 유닛 및 탄성 부재의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개방 장치(400)에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410)와, 상기 조작 부재(410)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며 상기 본체(100)를 밀어 상기 도어(120, 130)가 상기 본체(100)에서 쉽게 이격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작동부(430)와, 상기 조작 부재(410)의 조작력을 상기 각 작동부(430)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전달 유닛(420)과, 상기 각 작동부(43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44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각 작동부(430)는 바디(432)와, 상기 바디(43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달 유닛(420)과 상호 작용하는 제 1 단부(434)와, 상기 바디(432)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제 2 단부(436)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단부(436)는 상기 본체(100)를 가압하므로, 가압단이라고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부(434) 및 제 2 단부(436)는 상기 바디(432)의 두께(t)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 부재(430)는 상기 제 1 단부(434)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작동부(430)가 상기 본체(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그리고, 상기 전달 유닛(420)은 상기 제 2 단부(434)의 타측에 위치되어 상기 조작 부재(410)의 작동시 상기 작동부(430)를 상기 본체(100) 측으로 밀게 된다.
상기 전달 유닛(420)은 상기 핸들(140, 150)에 힌지(422)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430)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 1 단부(434)가 상기 전달 유닛(420)을 미는 상태에서는 상기 전달 유닛(420)은 상기 조작 부재(410)를 상기 본체(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한편, 상기 도어(120, 130)의 배면에는 상기 제 2 단부(436)가 안착되는 안착홈(123)이 형성된다.
도 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저장실을 개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핸들(140, 150)을 잡으면, 상기 조작 부재(410)가 가압된다. 상기 조작 부재(410)가 가압되면, 상기 조작 부재(410)는 상기 각 전달 유닛(420)을 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전달 유닛(420)은 상기 힌지(42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 유닛(420)은 회전 과정에서 상기 각 작동부(430)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각 작동부(430)가 상기 본체(10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440)는 상기 전달 유닛(420)의 미는 힘에 의해서 수축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430)가 상기 본체(100) 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작동부(430)는 상기 본체(100)를 밀게 된다. 상기 작동부(430)가 상기 본체(100)를 미는 힘에 의해서 상기 본체(100)와 상기 도어(120, 130)의 밀착력, 실질적으로는 가스켓과 상기 본체(100)의 밀착력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0)와 상기 도어(140, 150)의 밀착력이 감소된 상태 또는 감소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를 당김으로써 상기 도어(120, 130)가 상기 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이격되어 최종적으로 저장실이 개방된다.
반면, 상기 조작 부재(410)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각 탄성 부재(440)는 신장된다. 그러면, 상기 탄성 부재(440) 들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각 작동부(430)는 상기 각 전달 유닛(420)을 밀어 상기 각 전달 유닛(420)을 이전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전달 유닛(420)은 회전 과정에서 상기 조작 부재(410)를 밀게 되고, 상기 조작 부재(410)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도어(120, 13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작동부(430)의 제 2 단부(436)는 상기 안착홈(423)에 안착되어, 상기 작동부(430)의 이동은 정지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달 유닛(420)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상기 전달 유닛(420)과 상기 작동부(430) 및 조작 부재(410)를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측면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조 개방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어의 수직 측단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저장실을 개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조 개방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어의 수직 측단면도.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저장실을 개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보조 개방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어의 수직 측단면도.
도 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저장실을 개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Claims (11)

  1.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에 제공되어 상기 도어의 열림이 용이하도록 하는 보조 개방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보조 개방 장치는,
    외력이 가해지는 조작 부재;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본체를 미는 복수 개의 작동부;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상기 복수 개의 작동부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전달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각 전달 유닛은 힌지에 의해서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냉장고.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는 상기 힌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유닛은 상기 조작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 개의 전달 부재가 포함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전달 유닛을 각각 탄성 지지하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달 유닛은 상기 각 탄성 부재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를 가압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작동부를 각각 탄성 지지하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가 더 포함되며,
    상기 각 작동부는 상기 탄성 부재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달 유닛을 가압하는 냉장고.
  9.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에 제공되어 상기 도어의 열림이 용이하도록 하는 보조 개방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보조 개방 장치는,
    상기 본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 조작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본체를 미는 하나 이상의 작동부와,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력을 상기 작동부로 전달하는 전달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조작부, 작동부 및 전달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되는 냉장고.
KR1020080026178A 2008-03-21 2008-03-21 냉장고 KR101443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178A KR101443916B1 (ko) 2008-03-21 2008-03-2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178A KR101443916B1 (ko) 2008-03-21 2008-03-2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771A KR20090100771A (ko) 2009-09-24
KR101443916B1 true KR101443916B1 (ko) 2014-11-03

Family

ID=41358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178A KR101443916B1 (ko) 2008-03-21 2008-03-21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9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527B1 (ko) * 2010-03-15 2016-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006A (ko) * 1996-10-18 1998-07-15 김광호 냉장고
KR20000009944U (ko) * 1998-11-13 2000-06-05 전주범 냉장고의 도어손잡이
KR20040045651A (ko) * 2002-11-25 2004-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0575226B1 (ko) 1999-06-14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개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006A (ko) * 1996-10-18 1998-07-15 김광호 냉장고
KR20000009944U (ko) * 1998-11-13 2000-06-05 전주범 냉장고의 도어손잡이
KR100575226B1 (ko) 1999-06-14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개방장치
KR20040045651A (ko) * 2002-11-25 2004-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771A (ko)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0879B1 (en) Refrigerator
EP3008408B1 (en) Refrigerator
RU2484392C1 (ru) Холодильник
US8506028B2 (en) Refrigerator with door opening device
US8944540B2 (en) Semi-auto clos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8459759B2 (en) Refrigerator and drawe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the same
US20090179540A1 (en) Opening device for refrigerator
US20150308158A1 (en) Refrigerator
US20090179539A1 (en) Refrigerator door stop
US20130049562A1 (en) Refrigerator
KR20080100553A (ko) 냉장고의 도어개방구조
KR20190126633A (ko) 냉장고의 홈바 도어 개폐장치
EP3686528B1 (en) Refrigerating appliance comprising door closure assembly
EP2596310A2 (en) Storage unit with a door and a fastening mechanism for fastening the door, and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the storage unit
KR20190139606A (ko) 냉장고
US8262176B2 (en) Refrigerator
KR101443916B1 (ko) 냉장고
JP2006125122A (ja) 扉開閉機構
KR20110029516A (ko)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US20180334844A1 (en) Refrigerator
EP3008409B1 (en) Refrigerator
KR20160017017A (ko) 냉장고
KR102078368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0526827B1 (ko) 냉장고
KR20110029514A (ko)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