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657B1 -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657B1
KR101451657B1 KR1020070129356A KR20070129356A KR101451657B1 KR 101451657 B1 KR101451657 B1 KR 101451657B1 KR 1020070129356 A KR1020070129356 A KR 1020070129356A KR 20070129356 A KR20070129356 A KR 20070129356A KR 101451657 B1 KR101451657 B1 KR 101451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einforcing plate
rail
insertion ho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2225A (ko
Inventor
오경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9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657B1/ko
Publication of KR20090062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는 내부에 저장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이 수용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을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대 운동시킬 수 있는 레일 어셈블리;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는 보강판; 및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보강판의 안착을 안내하는 안내 돌기;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에 의하면, 보강판에 안내 돌기 삽입 홀이 형성되고, 내부 케이스에 안내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내부 케이스에 보강판이 안착될 때, 안내 돌기가 안내 돌기 삽입 홀에 삽입되어, 보강판이 내부 케이스에 대해 용이하게 요구되는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판과 내부 케이스의 결합이 용이해지고, 결국 레일 어셈블리, 내부 케이스 및 보강판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레일 어셈블리, 보강판, 안내 돌기, 안내 돌기 삽입 홀

Description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Rail combining apparatus of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서,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의 상태에 따라서 냉동 또는 냉장하여 보관하게 된다.
냉장고의 내부에 공급되는 냉기는 냉매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되며,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사이클(Cycle)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지속적으로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되고, 공급된 냉매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으며, 저장공간의 구성에 따라 그 형태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에는 식품 등의 저장 대상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바스켓이 설치된다. 냉장고 케이스 내부에는 레일 어셈블리(rail assembly)가 설치되어, 상기 바스켓이 레일 어셈블리에 의해 냉장고 케이스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냉장고 케이스에 고정되는 레일 홀더와, 상기 레일 홀더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과, 상기 고정 레일에 대해 상대 운동하는 이동 레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 레일에 바스켓이 결합되어, 함께 이동된다.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냉장고 케이스에 레일 어셈블리 및 그와 대응되는 다른 부품들을 결합할 때, 그 결합을 위한 기준점이 제대로 형성되지 아니하여, 레일 어셈블리 및 그와 대응되는 다른 부품들을 결합하는 공정이 용이하지 아니하였고, 그 결합 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냉장고 케이스에 레일 어셈블리 및 그와 결합되는 구성 요소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는 내부에 저장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이 수용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을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대 운동시킬 수 있는 레일 어셈블리(rail assembly);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는 보강판; 및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보강판의 안착을 안내하는 안내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에 의하면, 보강판에 안내 돌기 삽입 홀이 형성되고, 내부 케이스에 안내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내부 케이스에 보강판이 안착될 때, 안내 돌기가 안내 돌기 삽입 홀에 삽입되어, 보강판이 내부 케이스에 대해 용이하게 요구되는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판과 내부 케이스의 결합이 용이해지고, 결국 레일 어셈블리, 내부 케이스 및 보강판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에 의하면, 안내 돌기가 내부 케이스 외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다수 개 형성될 수 있고, 보강판에는 다수 개의 안내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안내 돌기 삽입 홀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보강판이 내부 케이스의 외면에 안착될 때, 다수 개의 안내 돌기가 각각 대응되는 위치의 안내 돌기 삽입 홀에 삽입될 수 있어서, 보강판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보강판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에 의하면, 안내 돌기가 최초로 삽입되는 쪽의 안내 돌기 삽입 홀 공간의 크기가 안내 돌기가 최후에 안착되는 쪽의 안내 돌기 삽입 홀 공간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안내 돌기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안내 돌기 삽입 홀 공간의 크기가 점감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안내 돌기 삽입 홀의 상대적으로 큰 공간으로 안내 돌기가 최초로 삽입될 수 있어서, 안내 돌기가 원활하게 안내 돌기 삽입 홀에 최초 삽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안내 돌기가 안내 돌기 삽입 홀에 최초 삽입된 후에는, 안내 돌기가 점감되는 안내 돌기 삽입 홀을 따라 이동되어, 결국 대략 안내 돌기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안내 돌기 삽입 홀의 타단에 안착될 수 있어서, 안내 돌기와 안내 돌기 삽입 홀이 서로 맞추어질 수 있으므로, 보강판이 내부 케이스 외면에서 요동되지 아니하고, 안정적인 자세 및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에 의하면,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안내 돌기 삽입 홀의 하측 공간의 크기가 안내 돌기 삽입 홀의 상측 공간의 크기보다 상 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어서, 안내 돌기 삽입 홀의 상대적으로 큰 하부 공간에 안내 돌기가 최초 삽입된 후, 중력에 의해 보강판이 내부 케이스의 외면을 따라 하강됨에 따라, 안내 돌기가 안내 돌기 삽입 홀의 상대적으로 작은 상부 공간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중력을 이용하여 안내 돌기와 안내 돌기 삽입 홀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으므로, 내부 케이스에 보강판을 결합하는 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위치한 바텀 프리즈 타입(Bottom freeze type)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냉장실과 냉동실 어디에도 적용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결합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의 전면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11)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11)의 내부에는 내부 케이스(12)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12)에는 식품의 냉장 또는 냉동저장을 위한 냉장실(20)과 냉동실(30)이 형성된다.
상기 냉장실(20)과 냉동실(30)은 베리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획되어 각각 냉장고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냉장실(20)과 냉동실(30)에는 상기 냉장실(20)과 냉동실(30)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24)와 냉동실 도어(32)가 구비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4)는 상기 냉장실(20)의 전면을 좌우 양측으로 회동하여 개방할 수 있도록 좌측과 우측에 각각 양문형 도어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4)의 전면에는 홈바 또는 디스펜서와 같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구성이 더 구비되기도 하며, 이와 같은 구성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냉동실 도어(32)는 소정의 각도만큼 틸팅(Tilting) 후 서랍식으로 인출하여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냉동실 도어(32)에는 냉동실(30) 내에 저장되는 저장 대상물을 수용하는 바스켓(31)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31)의 양 측면의 각 상부에는 이동 레일(6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레일(60)은 가이드 레일(50)에 삽입된 채로, 상기 가이드 레일(50)을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 레일(60) 및 가이드 레일(50)은 레일 어셈블리(100)를 구성하여, 상기 바스켓(31)이 상기 내부 케이스(12)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상기 바스켓(31)을 이동시킨다.
이하에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100)에 적용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 결합 장치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의 결합된 전면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의 분해된 전면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100)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레일(60) 및 가이드 레일(50)과 함께, 고정 레일(120) 및 레일 홀더(110)로 구성된다.
이러한 레일 어셈블리(100)는 상기 바스켓(31)을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대해 상대 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레일 어셈블리(100)는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에 있어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100)에 대응되는 구성 요소로 보강판(200)이 적용된다.
또한, 상기 레일 어셈블리(100), 상기 내부 케이스(12) 및 상기 보강판(20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12)에는 안내 돌기(300)가 형성된다.
이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상기 레일 홀더(110)는 상기 내부 케이스(12)의 내면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이동 레일(60), 가이드 레일(50) 및 고정 레일(120)을 지지한다.
상세히, 상기 레일 홀더(110)에는 볼트 등의 별도의 결합 부재가 관통될 수 있는 결합부(113)가 다수 개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부(113)를 관통하는 결합 부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12)를 함께 관통함으로써, 상기 레일 홀더(110)가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 홀더(110)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13)로, 상기 별도의 결합 부재가 관통되는 것 이외에, 후크 형식의 결합부 등도 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바스켓(31)을 향하는 상기 레일 홀더(110)의 내부에는 고정 레일 장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 레일 장착부에는 상기 고정 레일(120)이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일 홀더(110)의 하부에는 기어 형상의 랙(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랙에는 상기 고정 레일(120)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 레일(50) 내의 이동 레일(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미도시)이 맞물린다. 이러한 랙에 피니언이 맞물리고, 상기 바스켓(31)의 양 측에 배치되는 각 피니언 사이에 회전축(미도시)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바스켓(31)의 인출 또는 인입시에, 상기 바스켓(31)의 자세가 좌우로 요동되지 아니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보강판(200)은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대한 상기 레일 어셈블리(100)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120에 안착된다. 이러한 보강판(200)은 그 몸체(210)와, 경사부(220)와, 보강판 지지 돌기(230)와, 고정부(240)와, 안내 돌기 삽입 홀(2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몸체(210)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형상의 몸체(210)는 상기 내부 케이스(12)의 외부에 넓은 접촉 면적을 가지면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판(200)은 상기 내부 케이스(12)의 외부에 안착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100)는 상기 내부 케이스(12)의 내부에 안착되어, 서로 결합되므로, 상기 보강판(200)이 플레이트 형상을 이룸에 따라 넓은 접촉 면적을 가지고 안착되면, 상기 레일 어셈블리(100)가 상기 보강판(200)에 의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220)는 상기 몸체(210)의 상단 및 하단부가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경사진 부분이다. 이러한 경사부(220) 사이에는 상기 보강판 지지 돌기(230)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판(200)이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12)와 상기 외부 케이스(11) 사이에 발포가 이루어질 때, 상기 경사부(220) 및 상기 보강판 지지 돌기(230)는 상기 발포 부분 속으로 함몰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보강판(200)이 발포 부분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40)는 상기 보강판(200)에서 돌출된 부분으로, 상기 레일 홀더(110)의 결합부(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240)에는 상기 레일 홀더(110)의 결합부(113)를 관통하는 별도의 결합 부재가 함께 관통된다. 그러면, 상기 내부 케이스(12)를 사이에 두고, 상기 레일 홀더(110) 및 상기 보강판(20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250)은 상기 몸체(210)에 형성된 소정 길이의 홀로서, 상기 안내 돌기(300)가 삽입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안내 돌기(300)는 상기 내부 케이스(12)에서 소정 길이로 돌출된 것으 로, 상기 보강판(200)이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안착될 때,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대한 상기 보강판(200)의 안착을 안내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보강판(200)에 안내 돌기 삽입 홀(250)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상기 안내 돌기(30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상기 보강판(200)이 안착될 때, 상기 안내 돌기(300)가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250)에 삽입되어, 상기 보강판(200)이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대해 용이하게 요구되는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판(200)과 상기 내부 케이스(12)의 결합이 용이해지고, 결국 상기 레일 어셈블리(100), 상기 내부 케이스(12) 및 상기 보강판(20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 돌기(300)는 상기 내부 케이스(12) 외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200)에는 상기 다수 개의 안내 돌기(30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2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보강판(200)이 상기 내부 케이스(12)의 외면에 안착될 때, 상기 다수 개의 안내 돌기(300)가 각각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250)에 삽입될 수 있어서, 상기 보강판(200)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상기 보강판(20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케이스(12) 및 보강판(200)의 결합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에 적용되는 보 강판의 안내 돌기 삽입 홀에 안내 돌기가 삽입된 초기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안내 돌기가 안내 돌기 삽입 홀에 삽입 완료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의 결합 과정 및 안내 돌기 삽입 홀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보강판(200)이 상기 내부 케이스(12)의 외면에 결합될 때, 상기 보강판(200)의 몸체(210)가 상기 내부 케이스(12)의 외면에 안착된다.
이 때, 상기 내부 케이스(12)에서 돌출된 안내 돌기(300)가 각각 상기 보강판(200)에 형성된 안내 돌기 삽입 홀(250)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250)은 서로 다른 크기의 공간이 연통된 형상을 이룬다.
상세히,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250)은 상기 안내 돌기(300)가 최초로 삽입되는 쪽의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250) 공간의 크기가 상기 안내 돌기(300)가 최후에 안착되는 쪽의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250) 공간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250)은 상기 안내 돌기(250)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통된 안내 돌기 삽입 홀(250) 공간의 크기가 점감(漸減)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250)의 상대적으로 큰 공간으로 상기 안내 돌기(300)가 최초로 삽입될 수 있어 서, 상기 안내 돌기(300)가 원활하게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250)에 최초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안내 돌기(300)가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250)에 최초 삽입된 후에는, 상기 안내 돌기(300)가 점감되는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250)을 따라 이동되어, 결국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상기 안내 돌기(30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250)의 타단에 안착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안내 돌기(300)와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250)이 서로 맞추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보강판(200)이 상기 내부 케이스(12) 외면에서 요동되지 아니하고, 안정적인 자세 및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250)은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250)의 하측 공간의 크기가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250)의 상측 공간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250)의 상대적으로 큰 하부 공간에 상기 안내 돌기(300)가 최초 삽입된 후, 중력에 의해 상기 보강판(200)이 상기 내부 케이스(12)의 외면을 따라 하강됨에 따라, 상기 안내 돌기(300)가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250)의 상대적으로 작은 상부 공간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중력을 이용하여 상기 안내 돌기(300)와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250)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으므로,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상기 보강판(200)을 결합하는 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 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에 의하면, 냉장고 케이스에 레일 어셈블리 및 그와 결합되는 구성 요소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결합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의 전면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의 결합된 전면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의 분해된 전면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에 적용되는 보강판의 안내 돌기 삽입 홀에 안내 돌기가 삽입된 초기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안내 돌기가 안내 돌기 삽입 홀에 삽입 완료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장고 11 : 외부 케이스
12 : 내부 케이스 20 : 냉장실
24 : 냉장실 도어 30 : 냉동실
31 : 바스켓 32 : 냉동실 도어
50 : 가이드 레일 60 : 이동 레일
100 : 레일 어셈블리 110 : 레일 홀더
111 : 고정 레일 장착부 120 : 고정 레일
200 : 보강판 210 : 보강판의 몸체
220 : 경사부 230 : 보강판 지지 돌기
240 : 고정부 250 : 안내 돌기 삽입 홀
300 : 안내 돌기

Claims (10)

  1. 내부에 저장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바스켓을 상기 바스켓이 수용되는 케이스에 대해 상대 운동시킬 수 있는 레일 어셈블리;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는 보강판; 및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보강판의 안착을 안내하는 안내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은,
    상기 케이스에 면접촉되게 배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테두리부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몸체의 테두리부에서 상기 경사부 사이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경사부와 함께 내부 케이스 및 외부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발포부에 함몰되게 배치되는 보강판 지지 돌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안착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돌기는 상기 케이스에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돌기는 서로 이격되도록 다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에는 상기 안내 돌기가 삽입되는 안내 돌기 삽입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은 서로 다른 크기의 공간이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돌기가 최초로 삽입되는 쪽의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 공간의 크기가 상기 안내 돌기가 최후에 안착되는 쪽의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 공간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돌기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 공간의 크기는 점감(漸減)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의 하측 공간의 크기가 상기 안내 돌기 삽입 홀의 상측 공간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소정 각도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KR1020070129356A 2007-12-12 2007-12-12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KR101451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356A KR101451657B1 (ko) 2007-12-12 2007-12-12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356A KR101451657B1 (ko) 2007-12-12 2007-12-12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225A KR20090062225A (ko) 2009-06-17
KR101451657B1 true KR101451657B1 (ko) 2014-10-16

Family

ID=4099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356A KR101451657B1 (ko) 2007-12-12 2007-12-12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6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8455A (ja) * 1997-04-16 1998-10-27 Hitachi Ltd 野菜室付き冷蔵庫
JPH11230668A (ja) * 1998-02-12 1999-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の扉
JP2003279241A (ja) * 2002-03-26 2003-10-02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JP2006038376A (ja) * 2004-07-29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8455A (ja) * 1997-04-16 1998-10-27 Hitachi Ltd 野菜室付き冷蔵庫
JPH11230668A (ja) * 1998-02-12 1999-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の扉
JP2003279241A (ja) * 2002-03-26 2003-10-02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JP2006038376A (ja) * 2004-07-29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225A (ko)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7918B2 (ja) ラッチ装置
US9534833B2 (en) Basket for refrigerator
US9429355B2 (en) Refrigerator
US20080203875A1 (en) Refrigerator
RU2608220C1 (ru) Скольз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холодильник, имеющий скольз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20090230832A1 (en) Refrigerator having drawer
KR20160019489A (ko) 냉장고
US20070228911A1 (en) Refrigerator
KR20130039436A (ko) 냉장고
EP2268988B1 (en) Refrigerator
KR101451657B1 (ko)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KR20090121030A (ko) 슬라이딩 선반을 구비한 냉장고
JP2007170751A (ja) 貯蔵庫
KR101652527B1 (ko) 냉장고
KR20090066778A (ko) 냉장고용 선반
KR20090106233A (ko) 냉장고 드로워의 롤러 결합 장치
US20090095011A1 (en) Can serv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40122920A (ko) 높이조절장치
KR20130087318A (ko)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090056642A (ko)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US20240159457A1 (en) Refrigerator
KR100907257B1 (ko)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KR20090056643A (ko)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KR101952678B1 (ko)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0969799B1 (ko)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