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920A -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22920A KR20140122920A KR20130039980A KR20130039980A KR20140122920A KR 20140122920 A KR20140122920 A KR 20140122920A KR 20130039980 A KR20130039980 A KR 20130039980A KR 20130039980 A KR20130039980 A KR 20130039980A KR 20140122920 A KR20140122920 A KR 201401229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pper
- height adjusting
- extension cable
- space
- elast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7/00—Details of attaching or adjusting engine beds, frames, or supporting-legs on foundation or base; Attaching non-moving engine parts, e.g. cylinder bloc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03—Transport contai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11—Means for leveling refrig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8—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바디와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바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에 탄성력을 부과하는 제1탄성수단 및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탑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제1바디 내부로 일정 길이 삽입되어 높이가 조절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의 경우 수평을 정확하게 맞추어 주어야 제품의 수명이 오래 유지되는데 바닥면이 고르지 않을 경우 높이와 수평을 맞추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냉장고,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은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그 하면에 높이 조절용 바퀴 또는 이동용 바퀴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설치 후 전면부의 높이 조절은 손쉽게 할 수 있으나 후면부의 경우는 높이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실의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저장물이 장기간 신선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저장실의 내부에 공급되는 냉기는 냉매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된다. 저장실의 내부로 공급된 냉기는 대류에 의해서 저장실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의 내부에 음식물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형태의 저장실을 구비한다. 그리고, 저장실의 전면에는 저장실의 개폐를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도어는 본체에 힌지 결합되고 회동하여 저장실을 개폐한다.
냉장고는 음식물의 저장 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저장실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냉장실과 냉동실이 냉장고의 본체 내부에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냉장실 및 냉동실을 각각 개폐하기 위하여 냉장실 도어 및 냉동실 도어가 각각 마련된다.
특히, 냉장고의 전방에 설치된 높이조절나사에 의해 수평이 어려운 경우, 냉장고의 수평을 맞추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전제품 등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바디와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바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에 탄성력을 부과하는 제1탄성수단 및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탑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제1바디 내부로 일정 길이 삽입되어 높이가 조절된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실시예는 제2바디에 휠에 결합되어 전자제품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며, 이동도 가능한 이점이 존재한다.
둘째, 실시예는 전자제품의 전방에 형성된 높이조절나사에 의해 수평을 맞추기 힘든 경우에, 전자제품의 후방에 설치되어 쉽게 전자제품의 수평을 맞출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실시예는 전자제품을 힘들게 들어올리는 수고 없이, 미세한 힘만 사용하여서, 전자제품의 수평을 맞추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실시예는 전자제품이 가정에 형성된 공간으로 수용되게 위치하는 경우에도 손쉽게 가전제품의 수평을 맞출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면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면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10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제1바디(110)와, 제1바디(110)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1바디(110)와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바디(120)와,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사이에 탄성력을 부과하는 제1탄성수단과,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탑퍼(140)를 포함하고, 제2바디(120)가 제1바디(110) 내부로 일정 길이 삽입되어 높이가 조절된다.
제1바디(110)는 내부에 제2바디(120)가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제1바디(110)에 제2바디(12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1공간(114)이라 정의한다.
또한, 제1바디(110)는 내부에 스탑퍼(140)가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제1바디(110)에 스탑퍼(14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2공간(115)이라 정의한다.
제1바디(110)는 상술한 제1공간(114)과, 제2공간(115)을 가지며, 일측으로 제2바디(120)가 결합되는 개구를 가지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바디(110)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의 제1공간(114)을 가지고, 하부가 개구되며, 제1공간(114)의 일측에 육면체 형상의 제2공간(115)이 위치할 수 있다. 물론, 제1공간(114)과 제2공간(115)은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제1바디(110)의 외관도 대략적인 육면체 형상을 가질 것이다.
다른 예를 들면, 제1바디(110)는 대략적인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제1공간(114)과 제2공간(115)의 내부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바디(1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바디(1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다수의 부품이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바디(110)는 위와 아래로 개구된 제1공간(114)을 가지고, 일측 방향으로 개구된 제2공간(115)을 가지는 측면부(112)와 측면부(112)의 상측에 개구된 제1공간(114)을 덮는 상면부(111)와, 일측 방향으로 개구된 제2공간(115)을 덮는 사이드 덮개부(113)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들은 다수의 볼트(199)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측면부(112)의 하부의 외면에는 플랜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110)는 높이조절장치(100)의 외면을 형성하고, 제2바디(120)가 수용되는 하우징의 역할을 한다.
아래로 개구된 제1공간(114)에는 제2바디(120)가 제1바디(110)와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따라서, 제1공간(114)의 형상은 제2바디(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는 제2바디(120)가 제1바디(110)의 내부로 수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반대로,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의 내부로 수용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제1바디(110)는 일정한 강도를 가지는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으나,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바디(110)에는 제2바디(120)에 형성된 돌출부(128)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 슬릿(118)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118)은 제2바디(120)의 이동경로를 제한하고, 제1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제2바디(120)가 제1바디(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 슬릿(118)은 돌출부(128)의 형상 및 위치와 대응되는 형상 및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슬릿(118)은 측면부(112)에 위에서 아래로 길게 형성된 홀일 수 있다. 즉, 제2바디(120)에 형성된 돌출부(128)가 가이드 슬릿(118)에 삽입되어서, 제2바디(12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제1탄성수단은 탄성력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탄성수단은 탄성스프링(13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스프링(130)은 제2바디(120)가 제1바디(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멀어지도록 하는 탄성력을 부과하게 된다.
탄성스프링(130)은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바디(120)의 상부와, 제1바디(110)의 상면부(11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바디(120)에는 탄성스프링(130)을 가이드 하는 스프링가이드(12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가이드(125)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탄성스프링(130)의 내부로 일정 길이가 삽입되도록 제2바디(120)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탄성스프링(130)이 제2바디(120)의 내부에 일정 길이로 삽입되도록 제2바디(120)에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제2바디(120)는 제1바디(110)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1바디(110)와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아래로 개구된 제1바디(110)의 제1공간(114)에 제2바디(120)가 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제2바디(120)는 도 2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바디(120)는 제1바디(110)의 내부로 일정 길이 삽입되어 높이조절장치(10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제2바디(120)는 제1바디(110)의 제1공간(114) 내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바디(120)는 제1바디(110)의 제1공간(114)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바디(110)의 제1공간(114)이 대략적인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제2바디(120)의 외형도 대략적인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바디(120)의 재질은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제1바디(1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바디(120)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128)는 제2바디(120)에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1바디(110)의 측면부(112)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118)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돌출부(128)는 강성 유지를 위해서, 적어도 제1바디(110)의 측면부(112)의 두께 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바디(120)의 일면 중 스탑퍼(140)와 접촉하는 면에는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요철(122)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122)은 스탑퍼(140)와의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요철(122)은 산과 골이 일정한 피치로 반복되거나, 오목과 볼록한 형상이 반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2바디(120)의 하부는 플랫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휠(19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휠(190)은 제2바디(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예를 들면, 제2바디(120)에 형성된 샤프트홀(124)에 샤프트(170)가 결합되고, 휠(190)은 샤프트(1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스탑퍼(140)는 제2바디(120)의 이동을 제한한다. 스탑퍼(14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제2바디(120)와 형합하여 제2바디(1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스탑퍼(140)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사이에서, 제2바디(120)를 가압하여 제2바디(1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스팝퍼는 제2바디(120)가 제1바디(110)에서 탄성스프링(130)에 의해 멀어지는 것을 락팅(Locking)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2와 같이, 스탑퍼(140)는 제1바디(110)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즉, 스탑퍼(140)는 제1바디(110)의 제2공간(115)에 제2바디(120)의 이동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스탑퍼(140)는 제2바디(120)의 이동방향의 수직방향에서 제2바디(120)를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수직, 수평의 의미는 수학적 의미에서의 완전한 수직, 수평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공학적 의미에서 오차를 포함하는 수직, 수평을 의미한다.
스탑퍼(140)가 제2바디(120)를 효과적을 가압하기 위해, 스탑퍼(140)와 제1바디(110)의 사이에 탄성력을 부과하는 제2탄성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탄성수단은 다양한 탄성력을 부과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가압스프링(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압스프링(150)은 제1바디(110)의 사이드 덮개부(113)와 스탑퍼(140)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가압의 효율성을 위해, 스탑퍼(140)의 일면 중 제2바디(120)와 접촉하는 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은 제2바디(120)에 형성된 요철(122)과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탑퍼(140)는 가압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 제2바디(120)를 가압하게 된다. 외부에서 외력이 가해져서 스탑퍼(140)를 당기면 제2바디(120)가 자유롭게 움직이게 되고, 외력이 해제되면 제2바디(120)의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스탑퍼(140)에 외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스탑퍼(140)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연장케이블(180)이 연결될 수 있다. 연장케이블(180)은 원거리에서 스탑퍼(140)에 외력(인력)을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연장케이블(180)은 제1바디(110)에 형성된 홀(113-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사용자는 원거리에서 연장케이블(180)을 잡아당겨 제2바디(120)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실시예의 높이조절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초기에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가 근접한 상태에서, 스탑퍼(140)가 가압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 제2바디(120)에 체결된다. 높이조절장치(100)는 가전제품 등의 저면에 설치되게 된다.
가전제품이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연장케이블(180)을 당겨서, 스탑퍼(140)를 제2바디(120)에서 이격시키면, 제2바디(120)의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제2바디(120)는 탄성스프링(130)에 의해 어느 정도 하방으로 진행하는 힘이 발생하게 되지만, 가전제품의 무게의 의해 이동은 제한된다.
이때, 사용자가 가전제품을 미약한 힘으로 들어올리면, 제2바디(120)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3c를 참조하면, 가전제품의 수평이 맞는 경우, 사용자는 연장케이블(180)에 작용한 외력을 해제하여, 스탑퍼(140)가 제2바디(120)를 가압하게 한다. 제2바디(120)는 스탑퍼(14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고, 락킹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면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F)(R)이 형성된 본체(2)와, 저장실(F)(R)을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40)와, 저장실(F)(R)을 여닫는 도어(4)(6)를 포함한다.
냉각 장치(40)는 외부와 열교환하여서 저장실(F)(R)을 냉각시킨다. 냉각 장치(40)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재질이 다르고 이격되게 배치된 제 1, 2 금속으로 전류를 인가하여 제 1 금속과 제 2 금속 중 하나가 흡열되고 다른 하나가 발열되게 하는 열전 소자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냉동 사이클 장치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한다.
냉각 장치(40)는 냉매는 압축기->응축기->팽창기구->증발기->압축기로 순환되면서 증발기를 냉각시킨다.
냉각 장치(40)는 증발기가 저장실(F)(R) 외벽에 접촉되어 저장실(F)(R)을 직접 냉각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저장실(F)(R)의 공기를 증발기와 저장실(F)(R)로 순환시키는 냉기 순환팬(50)을 더 포함하여 저장실(F)(R) 내의 공기가 저장실(F)(R)과 증발기를 순환하면서 저장실(F)(R)을 냉각시킬 수도 있다.
본체(2)의 저장실(F)(R)의 내부에는 음식재료나 반찬 등의 저장물이 올려지는 선반(8)(10)과 상면을 통해 저장물이 출입되고 저장실(F)(R)로 전후 슬라이드되는 드로워(12)(14) 등이 배치된다.
도어(4)(6)는 본체(2)에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 중 한 방향으로 회전되게 배치되고, 도어(4)(6)를 닫았을 때 저장실(F)(R)을 향하는 면(즉, 배면)에 생수, 우유, 주스, 주류 등의 음료나 아이스크림 등의 빙과류 등이 보관되는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16)이 배치된다.
저장실(F)(R)은 냉동실(F)과 냉장실(R)을 포함하고, 도어(4)(6)는 냉동실(F)을 여닫는 냉동실 도어(4)와, 냉장실(R)을 여닫는 냉장실 도어(6)를 포함하며, 선반(8)(10)은 냉동실(F)에 배치된 냉동실 선반(8)과, 냉장실(R)에 배치된 냉장실 선반(10)을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높이조절장치(100)는 본체(2)의 하방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높이조절장치(100)는 본체(2)의 저면(22)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높이조절장치(100)는 본체에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체의 후방은 도어(4)(6)형성된 방향과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체(2)의 저면(22) 중 본체(2)의 전방에는 높이조절나사(60)와, 이동바퀴(20)가 형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만, 연장케이블(180)은 본체(2)의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본체(2)의 저면(22)에는 연장케이블(180)의 처짐을 방지하는 거치부(70)가 일정 피치로 형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장치(100)가 설치되는 것은 냉장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과 가구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냉장고를 측면에서 바라 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지면에 일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보통은 본체(2)의 전방에 설치된 높이조절나사(60)를 높이조절을 통해 냉장고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이조절나사(60)의 높이조절의 한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 냉장고의 수평은 맞출 수 없게 되거나, 본체(2)의 후방에 플레이트 등을 배치하는 방법을 사용하곤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번거롭고, 특히, 냉장고가 가정에 배치된 공간으로 수용되는 경우, 본체(2)의 후방으로는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때, 실시예는 도 7와 같이, 본체(2)의 전방에서, 연장케이블(180)에 외력을 가해 스팝퍼를 해제하고, 미세한 힘으로 냉장고의 수평을 조절하면, 제2바디(120)가 탄성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아래로 돌출되게 된다.
냉장고가 수평이 되면, 사용자는 연장케이블(180)의 외력을 해제하여, 스팝퍼로 제2바디(12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쉽게 냉장고의 수평을 맞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2)
-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바디와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바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에 탄성력을 부과하는 제1탄성수단; 및
상기 제2바디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탑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제1바디 내부로 일정 길이 삽입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탑퍼는,
상기 제1바디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2바디의 이동방향의 수직방향에서 상기 제2바디를 가압하는 높이조절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탑퍼와 상기 제1바디의 사이에 탄성력을 부과하는 제2탄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높이조절장치.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탑퍼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연장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연장케이블은 상기 제1바디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높이조절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탑퍼의 일면 중 상기 제2바디와 접촉하는 면에는 요철이 형성되는 높이조절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에는 상기 돌출부가 가이드되는 가이드 슬릿이 더 포함하는 높이조절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의 일면 중 상기 스탑퍼와 접촉하는 면에는 요철이 형성되는 높이조절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수단은 탄성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에는 상기 탄성스프링을 가이드 하는 스프링가이드가 더 포함되는 높이조절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에는 휠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장치. -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의 하방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바디와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바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에 탄성력을 부과하는 제1탄성수단 ; 및
상기 제2바디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탑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제1바디 내부로 일정 길이 삽입되어 냉장고의 수평이 조절되는 냉장고.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본체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스탑퍼에는 외부에서 스탑퍼를 이동시키도록 연장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연장케이블은 상기 제1바디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냉장고.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케이블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연장케이블의 처짐을 방지하는 거치부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9980A KR102024085B1 (ko) | 2013-04-11 | 2013-04-11 | 높이조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9980A KR102024085B1 (ko) | 2013-04-11 | 2013-04-11 | 높이조절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2920A true KR20140122920A (ko) | 2014-10-21 |
KR102024085B1 KR102024085B1 (ko) | 2019-09-23 |
Family
ID=51993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9980A KR102024085B1 (ko) | 2013-04-11 | 2013-04-11 | 높이조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408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O20160849A1 (en) * | 2016-05-20 | 2017-09-11 | Autostore Tech As | Leveling Foot |
CN110594540A (zh) * | 2019-08-20 | 2019-12-20 | 徐州天能矿山机械有限责任公司 | 一种可以调节矿山机械工作的设备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11397A (ja) * | 1998-04-27 | 1999-11-09 | Futaba Kinzoku Kogyo Kk | 高さ調整機能付きフット |
KR20010003377A (ko) * | 1999-06-23 | 2001-01-15 | 윤종용 | 냉장고용 지지장치 |
-
2013
- 2013-04-11 KR KR1020130039980A patent/KR1020240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11397A (ja) * | 1998-04-27 | 1999-11-09 | Futaba Kinzoku Kogyo Kk | 高さ調整機能付きフット |
KR20010003377A (ko) * | 1999-06-23 | 2001-01-15 | 윤종용 | 냉장고용 지지장치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O20160849A1 (en) * | 2016-05-20 | 2017-09-11 | Autostore Tech As | Leveling Foot |
NO341214B1 (en) * | 2016-05-20 | 2017-09-11 | Autostore Tech As | Leveling Foot |
WO2017198784A1 (en) | 2016-05-20 | 2017-11-23 | Autostore Technology AS | Leveling foot |
CN109068854A (zh) * | 2016-05-20 | 2018-12-21 | 自动存储科技股份有限公司 | 调平脚 |
CN109068854B (zh) * | 2016-05-20 | 2020-02-28 | 自动存储科技股份有限公司 | 调平脚 |
US10660438B2 (en) | 2016-05-20 | 2020-05-26 | Autostore Technology AS | Leveling foot |
CN110594540A (zh) * | 2019-08-20 | 2019-12-20 | 徐州天能矿山机械有限责任公司 | 一种可以调节矿山机械工作的设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24085B1 (ko) | 2019-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45604B2 (en) | Refrigerator | |
US9534833B2 (en) | Basket for refrigerator | |
KR102253253B1 (ko) | 냉장고 | |
AU2016204133B2 (en) | Refrigerator | |
KR101564911B1 (ko) | 냉장고 | |
US10401073B2 (en) | Refrigerator having a thermoelectric module | |
EP2594874B1 (en) | Refrigerator | |
KR20220054275A (ko) | 냉장고 | |
KR20100130357A (ko) | 냉장고 | |
KR100431346B1 (ko) | 선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 |
KR20170065216A (ko) | 도어가드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냉장고 | |
KR20130039436A (ko) | 냉장고 | |
KR20140122920A (ko) | 높이조절장치 | |
KR20120009651A (ko) | 냉장고 | |
KR20150029785A (ko) | 냉장고 바스켓 | |
KR20120009650A (ko) | 냉장고 | |
CN106705550B (zh) | 容纳装置及具有该容纳装置的制冷设备 | |
KR101929776B1 (ko) | 래치장치 및 래치장치와 보조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 |
KR101611610B1 (ko) | 냉장고 | |
KR101988306B1 (ko) | 냉장고 | |
KR101952680B1 (ko) | 냉장고 | |
KR20110117333A (ko) | 냉장고 | |
KR101623792B1 (ko) | 냉장고 | |
KR200290940Y1 (ko) | 반찬 냉장고의 도어 | |
KR20230116579A (ko) | 냉장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