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964B1 -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964B1
KR102474964B1 KR1020200164762A KR20200164762A KR102474964B1 KR 102474964 B1 KR102474964 B1 KR 102474964B1 KR 1020200164762 A KR1020200164762 A KR 1020200164762A KR 20200164762 A KR20200164762 A KR 20200164762A KR 102474964 B1 KR102474964 B1 KR 102474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cover
lever
guide
wat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6018A (ko
Inventor
박지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4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964B1/ko
Publication of KR20220076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2001/0087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 B67D2001/0089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operated by lever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구비되며, 함몰부를 형성하는 디스펜서 케이스; 상기 함몰부의 상면을 관통하여 연장되며, 물이 취출되는 출수부; 상기 함몰부 내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출수부의 물 취출이 조작되는 레버; 및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출수부를 전방에서 차폐하는 디스펜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 커버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커버 가이드와,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슬라이드 삽입에 의해 상기 함몰부의 내측에서 걸림 구속되는 커버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 {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dispenser }
본 발명은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특히,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의 외측에서 고내에서 냉각된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가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등록 실용신안 제20-0162292호에는 물이 취출되는 급수 호스와 취출콕을 차폐하는 디스펜서 커버가 구비되고, 취출콕와 디스펜서 커버를 고정하는 스크류를 체결하여 디스펜서 커버가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냉장고에서는 디스펜서 커버의 조립 장착 또는 분해를 위해 스크류를 체결하거나 분리하여야 하며, 스크류 체결 작업을 위한 공간이 비교적 협소하여 조립성과, 서비스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안정적인 고정과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 없어 상기 디스펜서 커버가 정확한 장착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디스펜서 커버의 조립 및 서비스 작업성이 향상되는 구조를 가지는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장착시 정확한 위치로의 장착을 안내할 수 있는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스크류 체결 없이 디스펜서 커버의 조립 분해가 가능하면서도 견고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디스펜서 커버의 조립 분해시 결합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디스펜서는,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구비되며, 함몰부를 형성하는 디스펜서 케이스; 상기 함몰부의 상면을 관통하여 연장되며, 물이 취출되는 출수부; 상기 함몰부 내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출수부의 물 취출이 조작되는 레버; 및 상기 함몰부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 브라켓; 상기 레버 브라켓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레버 브라켓과 상기 출수부를 전방에서 차폐하는 디스펜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의 상면에는 상기 출수부의 양측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스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 브라켓의 양측에는 고정 홈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 커버는, 상기 케이스 가이드에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연장되는 커버 가이드; 및 상기 커버 가이드가 상기 케이스 가이드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홈에 구속되는 커버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커버는,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커버 전면; 상기 커버 전면의 좌우 양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커버 가이드와 상기 커버 후크가 형성되는 커버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커버 측면의 상단은 상기 함몰부의 상면과 접하고, 상기 커버 측면의 후단은 상기 함몰부의 후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측면의 상단은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의 상면은 상기 커버 측면의 상단과 대응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측면은 상기 함몰부의 좌우 양측면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함몰부의 좌우 양측면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케이스 가이드는, 상기 함몰부 상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좌우 양측방으로 절곡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가이드는, 상기 수평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수평부와, 상기 가이드 수평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에 의해 구속되는 가이드 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함몰부의 후면에는 상기 레버 브라켓이 삽입되는 브라켓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브라켓은, 좌우 양측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레버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 1 회전축 홀이 형성된 한쌍의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와의 결합을 위한 스크류가 체결되는 한쌍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연장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도어 전면에 구비되며, 함몰부를 형성하는 디스펜서 케이스; 상기 도어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냉장실 내부의 냉기에 의해 냉각되는 워터 탱크; 상기 워터 탱크에서 상기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함몰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며, 물이 취출되는 출수부; 상기 함몰부 내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출수부의 물 취출이 조작되는 레버; 상기 함몰부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 브라켓; 상기 레버 브라켓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레버 브라켓과 상기 출수부를 전방에서 차폐하는 디스펜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의 상면에는 상기 출수부의 양측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스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 브라켓의 양측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며,상기 디스펜서 커버는, 상기 케이스 가이드에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연장되는 커버 가이드; 및 상기 커버 가이드가 상기 케이스 가이드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홈에 구속되는 커버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디스펜서 커버가 삽입 장착될 때, 상기 커버 측면의 상단은 상기 함몰부의 상면과 접하고, 상기 커버 가이드는 상기 케이스 가이드와 접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의 내측에는, 상기 취출부를 눌러 물이 취출 되도록 하는 푸시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푸시부재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삭제
상기 디스펜서 커버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는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취출부를 비롯한 구성들을 차폐하여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페서 커버는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디스펜서 내부의 청소와 정비 및 서비스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디스펜서 커버는 양측의 한쌍의 커버 후크에 의해 고정 및 고정해제 될 수 있으므로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탈착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후크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양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디스펜서 커버는 구조적으로 좌우 양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고 커버 후크와 같은 결합 구조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커버에는 커버 가이드가 형성되고, 디스펜서 케이스에 형성된 케이스 가이드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장착시 상기 디스펜서 가이드와 상기 커버 가이드의 안내에 의해 삽입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정렬이 필요 하지 않고 슬라이딩 삽입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서 상기 커버 후크가 구속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조립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잇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장착시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양측면 상단이 상기 함몰부의 상면과 접하고, 상기 케이스 가이드와 커버 가이드 또한 서로 접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은 물론 좌우측 방향으로의 상기 디스페서 커버의 유동을 방지하고 한층 더 견고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 커버가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 후크가 걸림 구속됨으로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는 상하방향과 좌우 방향은 물론 전후 방향으로 의 구속이 이루어져 상기 디스펜서 커버는 견고하게 장착될수 있다. 특히, 걸림 구속이 이루어지는 커버 후크를 최소화 하면서도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스크류 결합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한 장착 방식이 아닌 간편하고 손쉬운 장착 방식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를 후방에서 본 후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어에서 워터 탱크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디스펜서가 분해된 모습을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디스펜서가 분해된 모습을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레버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디스펜서 케이스의 상부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디스펜서 커버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를 후방에서 본 후면도이다.
도 10는 도 1의 X-X'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XI-XI'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디스펜서의 조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디스펜서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가 장착 중인 상태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가 장착된 상태의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상하로 구획된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캐비닛의 상방에는 냉동실이 형성되고, 상기 냉동실의 하방에는 냉장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 도어(21)와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21)는 냉동실 도어일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도어는 냉장실 도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도어(22)의 전면에는 디스펜서(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30)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조작하여 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 도어(22)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된 함몰부(31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함몰부(310) 내측에서 레버(33)를 조작하여 물이 취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펜서(30)는 하부 도어(22)에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디스펜서(30)는 도어의 위치와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 도어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하부 도어를 도어라 부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도어(22)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를 후방에서 본 후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도어에서 워터 탱크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22)는 하부 저장 공간 즉, 냉장실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22)의 전면에는 상기 디스펜서(30)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22)의 후면에는 워터 탱크(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22)는 프론트 플레이트(221)와 도어 라이너(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21)는 상기 도어(22)의 전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21)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21)의 양단은 절곡되어 상기 도어(22)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21)의 양단은 상기 도어 라이너(222)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22)는 상기 도어(22)의 후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진공 성형에 의해 굴곡을 가지는 상기 도어(22)의 후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22)의 후면에는 도어 바스켓(228)과 워터 탱크(4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도어 라이너(222)는 상기 도어 바스켓(228)과 워터 탱크(40)가 탈착 가능한 요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어(22)의 후면 상부에는 상기 워터 탱크(40)가 장착되는 탱크 장착부(226)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40)는 상기 디스펜서(30)로 취출되는 물이 저장 되며, 상기 탱크 장착부(226)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탱크 장착부(226)는 상기 디스펜서(30)의 상방에서 전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워터 탱크(4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탱크 장착부(226)의 하면은 상기 워터 탱크(4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 장착부(226)의 하방에는 디스펜서부(2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부(227)는 상기 디스펜서(30)의 위치와 대응하는 부분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부(227)의 상단은 상기 탱크 장착부(226)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탱크 장착부(226)의 하단과 상기 디스펜서(30)는 동일 높이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40)는 상기 디스펜서(30)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어(22)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워터 탱크(40)는 상기 냉장실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 내부의 냉기에 의해 자연스럽게 냉각되어 상기 디스펜서(30)로 냉각된 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40)는 상기 디스펜서(3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30)의 조작시 상기 워터 탱크(40) 내부의 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3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40)는 물이 저장되는 탱크 바디(41)와 상기 탱크 바디(41)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탱크 커버(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 바디(41)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워터 탱크(4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양을 쉽게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 바디(41)의 하면 및 좌우 양측면은 상기 탱크 장착부(2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 바디(41)는 상기 탱크 장착부(226)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 바디(41)에는 출수부(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수부(43)는 상기 워터 탱크(40)의 물이 상기 디스펜서(30)에서 취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출수부(43)는 상기 레버(33)의 조작에 따라 개폐되는 밸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부(43)는 출수 노즐 또는 취룰 코크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출수부(43)는 상기 탱크 바디(41)의 전면과 하면이 접하는 모서리 영역에의 탱크 연결부(41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전방 및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40)의 장착시 상기 도어(22)를 관통하는 출수 통로(314)를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출수부(43)의 단부가 상기 디스펜서(30)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워터 탱크(40)를 상기 탱크 장착부(226)에 장착하게 되면, 상기 탱크 바디(41)의 하면과 전면 및 좌우 양측면이 상기 탱크 장착부(226)와 접하여 지지되고, 상기 출수부(43)는 상기 탱크 장착부(226)로 노출되는 상기 출수 통로(314)를 통과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탱크 커버(42)는 상기 탱크 바디(41)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으며, 상기 탱크 바디(4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워터 탱크(40)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탱크 커버(42)를 상기 탱크 바디(41)와 분리하여 물을 넣거나 상기 워터 탱크(40)를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 커버(42)의 일측에는 커버 리드(4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리드(421)를 개폐하여 상기 워터 탱크(40)가 상기 도어(22)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워터 탱크(40)에 물을 채워 넣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22) 후면의 둘레는 도어 가스켓(225)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가스켓(225)은 상기 도어(22)가 닫혔을 때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밀착되어 상기 저장 공간의 냉기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도어(22)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도어(22)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224)와 로어 캡데코(2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캡데코(224)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21)와 도어 라이너(222)의 상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2)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캡데코(224)의 전면에는 함몰된 공간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도어의 개방을 위해 손으로 잡을수 있는 손잡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로어 캡데코(223)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21)와 도어 라이너(222)의 하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2)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21)와 도어 라이너(222), 어퍼 캡데코(224) 및 로어 캡데코(223)는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발포 단열재(229)가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21)에는 상기 디스펜서(30)가 장착되는 디스펜서 개구(22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개구(221a)는 상기 워터 탱크(40)보다 하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 개구(221a)에 상기 디스펜서(30)를 구성하는 디스펜서 케이스(31)와, 레버(33) 및 디스펜서 커버(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30)가 상기 도어(22)에 장착되면, 상기 디스펜서 개구(221a)의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310)의 내측에 상기 레버(33)와 디스펜서 커버(35)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펜서(30)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디스펜서가 분해된 모습을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디스펜서가 분해된 모습을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레버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디스펜서 케이스의 상부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디스펜서(30)는 함몰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펜서 케이스(31)와 물 취출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33) 그리고 상기 출수부(43)를 차폐하는 디스펜서 커버(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31)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 개구(221a)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22)의 전면에 함몰된 함몰부(31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31)에 의해 사용자가 용기를 넣어 물을 취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레버(33) 및 출수부(43)의 배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21)는 상기 디스펜서 개구(221a)를 따라 절곡되는 플레이트 절곡부(221b)를 형성하며,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221b)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35)의 상기 함몰부(310) 둘레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31)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21)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21)의 후면은 상기 도어 내부에 채워지는 단열재(229)에 의해 지지되어 배치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31)의 상면에는 상기 출수부(43)가 삽입되는 출수 통로(3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 통로(314)는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31)의 상면으로 개구된 하면이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수 통로(314)를 통해 상기 출수부(43)의 단부가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 통로(314)의 개구된 하단은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31) 상면의 좌우 양측 중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출수 통로(314)는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31)의 상면에서 상기 탱크 장착부(226)의 하면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31)와 상기 탱크 장착부(226)에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 통로(314)의 내측면에는 상기 출수 통로(314)의 중앙을 향하여 돌출되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31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314a)는 상기 출수부(43)의 외측면과 접할 수 있으며, 상기 워터 탱크(40)가 장착될 때 상기 출수부(43)가 상기 출수 통로(314)의 내측에서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31)의 상면에는 케이스 가이드(3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는 디스펜서 케이스(31)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35)의 장착시 상기 디스펜서 커버(35)와 결합되면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35)가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는 한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출수 통로(314)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35)가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는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31) 상면의 전반부에서 후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의 후단은 상디 디스펜서 케이스(31)의 후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35)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313a)의 연장된 단부에서 측방으로 절곡되는 수평부(313b)를 포함할 수 잇다.
상기 수직부(313a)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35)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313a)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디스펜서 커버(35)의 커버 가이드(353)와 결합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313b)는 상기 수직부(313a)의 하단에서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313b)는 수직부(313a)와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313b)는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31)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좌우 양측에 배치된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의 상기 수평부(313b)는 상기 디스펜서(30)의 좌우 양측면 중 가까운 측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즉,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의 상기 수평부(313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는 걸림부(313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13c)는 상기 수평부(313b)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방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13c)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35)의 장착시 상기 커버 가이드(353)와 걸림 구속되어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31)의 후면에는 브라켓 장착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장착부(311)는 상기 레버(3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 브라켓(32)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장착부(311)는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31)의 좌우 양측을 기준으로 중앙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31)의 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장착부(311)는 상기 출수 통로(314) 및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와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장착부(311)는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31)의 함몰된 후면에서 후방으로 더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장착부(311)의 좌우 양측면 상단에는 상기 레버 브라켓(32)을 지지하는 브라켓 지지부(312)가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지지부(312)에는 상기 레버 브라켓(32)을 관통하는 스크류(S)가 체결되는 스크류 홀(31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장착부(311)에는 상기 레버 브라켓(32)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브라켓(32)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브라켓 장착부(311)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31)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브라켓(32)은 상기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33)와 아래에서 설명할 푸시부재(34)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레버 브라켓(32)은 상기 브라켓 장착부(311)에 삽입되는 브라켓 바디(3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바디(321)는 브라켓 장착부(311)의 후면과 접하는 후면부(321a)와, 상기 후면부(321a)의 좌우 양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부(321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321b)는 상기 브라켓 장착부(311)의 좌우 양측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바디(321)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된 상기 측면부(321b)에는 제 1 회전 홀(3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 홀(322)은 좌우 양측의 상기 측면부(321b)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 홀(322)에는 상기 레버(33)의 회전을 위한 레버 회전축(333)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33)는 상기 브라켓 바디(32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바디(321)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된 상기 측면부(321b)에는 제 2 회전 홀(32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 홀(323)은 상기 제 1 회전 홀(322)보다 상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좌우 양측의 상기 측면부(321b)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 홀(322)에는 상기 푸시부재(34)의 회전을 위한 푸시 회전축(343)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부재(34)는 상기 브라켓 바디(32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부(321b)에는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2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324)는 상기 브라켓 지지부(312)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324)에는 상기 스크류(S)가 관통되는 관통홀(32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S)는 상기 관통홀(324a)을 통과하여 상기 스크류 홀(312a)에 체결되어 상기 레버 브라켓(32)이 상기 브라켓 장착부(311)에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좌우 양측의 상기 연장부(324)의 외측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커거 고정부(3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25)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35)의 고정을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부(325)에는 고정 홈(325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홈(325a)은 아래에서 설명할 커버 후크(354)가 걸림 구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 바디(321)의 상면부(313c)에는 상기 출수 통로(314)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출수부(43)의 단부가 간섭되지 않도록 함몰된 브라켓 함몰부(32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함몰부(326)는 상기 브라켓 바디(321)의 상면부(313c)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부(31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레버(33)는 상기 레버 브라켓(3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함몰부(3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눌러서 회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레버(33)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33)의 회전 조작을 위해 사용자가 손 또는 용기로 누르는 레버 바디(3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 바디(331)는 중앙에서 좌우 양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바디(331)의 후면 상부에는 후방 및 상방으로 돌출되는 레버 연결부(3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연결부(332)는 상기 측면부(321b) 사이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레버(33)의 장착시 상기 브라켓 바디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연결부(332)는 상기 레버 바디(331)의 후면 상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후 상방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연결부(332)는 상기 레버 바디(331)의 좌우 양측을 기준으로 대략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 연결부(332)의 연장된 상단은 상기 레버 바디(331)의 상단보다 더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 연결부(332)의 좌우 양측면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레버 회전축(3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회전축(333)은 상기 제 1 회전 홀(32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33)가 상기 레버 브라켓(32)에 회전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레버 회전축(333)에는 탄성부재(33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35)는 상기 레버(33)가 항상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레버(33)를 누름 조작할 때 탄성 변형되며, 상기 레버(33)에 가하는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레버(33)가 조작 전의 상태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탄성부재(335)는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레버 회전축(333)에 의해 관통될 수 있으며, 단부가 상기 레버(33)와 상기 레버 브라켓(32)에 고정되어 상기 레버(33)의 회전에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레버 연결부(332)의 상단에는 상기 푸시부재(34)와 접하는 레버 접촉부(3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접촉부(334)는 상기 레버 연결부(332)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푸시부재(34)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33)를 눌러 상기 레버(33)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레버 접촉부(334)는 회전되고, 상기 푸시부재(34)를 밀어 상기 푸시부재(34)가 상기 레버(33)의 회전에 연동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부재(34)는 상기 출수부(43)의 개폐 조작을 위한 것으로, 상기 레버(33)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부재(34)는 회전에 의해 상기 출수부(43)를 선택적으로 눌러 상기 출수부(43)로부터 상기 워터 탱크(40)의 물이 취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푸시부재(34)는 상기 출수부(43)의 하단이 통과될 수 있는 개구(341)를 형성하는 푸시 바디(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바디(342)는 상기 출수부(43)의 단부 둘레와 접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링과 같은 곡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시 상기 출수부(43)의 단부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전단이 후단보다 다소 높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 바디(342)의 좌우 양측면에는 좌우 양측방으로 돌출되는 푸시 회전축(3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 회전축(343)은 상기 푸시 바디(342)의 후단 좌우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 회전축(343)은 상기 제 2 회전 홀(323)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푸시부재(3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푸시 바디(342) 후면에는 푸시 접촉부(3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 접촉부(344)는 상기 푸시 회전축(343)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으며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부재(34)가 상기 레버 브라켓(3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 접촉부(344)의 후면은 상기 레버 접촉부(334)의 전면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33)의 조작시 상기 레버 접촉부(334)가 회전되면서 상기 푸시 접촉부(34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푸시 접촉부(344)의 회전에 의해 상기 푸시부재(34)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푸시 바디(342)의 상단은 상기 출수부(43)의 하단 둘레를 상방으로 누르게 되며, 상기 출수부(43)를 통한 출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31)의 상부에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3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는 상기 출수부(43)가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는 상기 레버(33)의 상단 즉, 상기 레버(33)와 상기 레버 브라켓(32)이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푸시부재(34)와 레버 브라켓(32) 또한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는 상기 함몰부(310)의 내측 상단에 위치되며, 좌우 양측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는 상기 출수부(43)와 푸시부재(34) 및 레버 브라켓(32)의 좌우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 바디(331)의 상단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35)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전방에서 상기 디스펜서(30)를 바라볼 때 상기 함몰부(310)의 내측에 디스펜서 커버(35)와, 상기 디스펜서 커버(35)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레버(33)만이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는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3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출수부(43) 또는 상기 레버(33)의 이상이 발생하거나, 세척을 위해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는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3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는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에 의해 장착이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 브라켓(32)과 결합되어 상기 함몰부(310)의 내측에서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35)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상기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디스펜서 커버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를 후방에서 본 후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1의 X-X'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3의 XI-XI'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는 커버 전면(351)과, 상기 커버 전면(351)의 좌우 양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커버 측면(35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는 후면과 상하면이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 커버(35)는 상기 커버 측면(352)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커버(35)의 장착시 상기 디스펜서 커버(35)의 상단은 상기 함몰부(310) 상면과 접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 커버(35)의 후단은 상기 함몰부(310)의 후면과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는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출수부(43)의 하단, 상기 레버(33)의 상단, 푸시부재(34) 및 레버 브라켓(32)을 전방에서 가릴 수 있다.
상기 커버 전면(351)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부(310)의 좌우측 방향 폭보다 더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전면(351)은 적어도 상기 레버(33)의 좌우 폭 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 브라켓(32)의 좌우 폭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 측면(352)은 상기 커버 전면(351)의 좌우 양측단에서 후방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측면(352)은 상기 커버 전면(351)에서 수직하게 후방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부(310)의 좌우 좌우 양측면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측면(352)에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35)의 고정 장착을 위한 커버 가이드(353)와, 커버 후크(3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 가이드(353)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35)의 슬라이딩 인출입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커버 측면(352)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가이드(353)는 좌우 양측의 커버 측면(352)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가이드(353)는 상기 커버 측면(352)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측면(352)의 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가이드(353)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35)의 중앙을 향하여 돌출되는 가이드 수평부(353a)와, 상기 가이드 수평부(353a)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구속부(35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수평부(353a)는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의 상기 수평부(313b)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부(313b)의 상방에서 상기 수직부(313a)와 인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35)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수평부(353a)와 상기 수평부(313b)는 서로 겹쳐진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구속부(353b)는 상기 사이드 수평부(313b)의 연장된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 커버(35)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의 상기 걸림부(313c)와 서로 걸림 구속되어 상기 디스펜서 커버(35)가 좌우측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커버 가이드(353)가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로부터 임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는 장착을 위해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와 커버 가이드(353)를 정렬시킨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가 형성하는 공간에 상기 커버 가이드(353)가 삽입되면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구속부(353b)와 걸림부(313c)의 구속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는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측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커버 측면(352)의 상단은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310)의 상면 또한 상기 커버 측면(352)의 상단과 대응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35)의 장착시 상기 커버 가이드(353)가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 측면(352)의 상단과 상기 함몰부(310)의 상면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는 장착 과정에서 좌우 유동이 방지될 수 있으며,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는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31)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측면(352)의 내측면에는 커버 후크(35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후크(354)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35)가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커버 측면(352)의 후단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후크(354)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35)가 완전히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 브라켓(32)의 고정 홈(325a)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후크(354)는 돌출된 단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354a)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35)가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의 안내에 따라 후방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면(354a)은 상기 레버 브라켓(32)의 고정부(325)와 접하게 되며, 상기 디스펜서 커버(35)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커버 후크(354)의 단부는 상기 고정 홈(325a) 내측에 삽입되어 걸림 구속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디스펜서(30)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상기 디스펜서의 조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디스펜서(30)가 상기 도어(22)에 조립 장착되고, 상기 워터 탱크(40)가 상기 도어(22)의 배면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워터 탱크(40)의 출수부(43)가 상기 출수 통로(314)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출수부(43)의 단부가 상기 함몰부(310)의 내측으로 노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출수부(43) 내측의 밸브부재(431)는 스프링(433)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가 되고, 상기 밸브부재(431)의 출수구(432)는 닫힌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브부재(431)의 단부는 상기 푸시부재(34)와 다소 이격되거나 단순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출수부(43)의 내부 구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푸시부재(34)의 동작에 의해 개폐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출수부(43)는 전기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밸브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33)는 상단의 레버 회전축(333)이 상기 레버 브라켓(32)에 장착된 상태이며, 상기 레버(3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35)에 의해서 상기 레버(33)는 하단이 상단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 접촉부(334)는 상기 푸시 접촉부(344)와 전하는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33)의 회전력을 전달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는 상기 상기 레버(33)의 상단을 포함한 상기 레버(33)의 상방의 구성들이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게 된다. 즉, 전방에서 상기 디스펜서(30)를 바라 볼 때 상기 디스펜서 커버(35)의 하방으로 상기 레버(33)만이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펜서(30)를 통한 물 취출을 위해서 상기 레버(33)를 눌러 조작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레버(33)에 손 또는 용기를 대고 후방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레버(33)는 레버 회전축(33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33)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버 접촉부(334)는 상기 푸시 접촉부(344)를 밀어서 상기 푸시부재(3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푸시부재(34)는 상기 푸시 회전축(343)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푸시부재(3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출수부(43)의 단부와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푸시부재(34)는 상기 출수부(43)의 밸브를 눌러 상기 밸브부재(431)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밸브부재(431)의 개방에 의해 상기 출수부(43)의 출수구(432)에서는 상기 워터 탱크(40)의 물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면서 취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레버(33)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는 상기 출수부(43)를 통해서 지속적인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레버(33)를 누르지 않게 되면 상기 레버(33)는 상기 탄성부재(33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레버 회전축(333)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33)의 회전에 따라 상기 푸시부재(34)도 함께 회전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고, 상기 밸브부재(431)는 상기 스프링(43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출수구(432)를 닫아 물 취출이 종료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디스펜서(30)에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35)의 탈착 작업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상기 디스펜서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가 장착 중인 상태의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가 장착된 상태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디스펜서(30)의 조립시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는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31)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30)의 사용 중 문제가 발생되거가 상기 디스펜서(30)를 구성하는 구성들의 정비 또는 청소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35)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커버(35)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출수부(43)의 단부와, 출수 통로(314), 레버(33), 푸시부재(34), 레버 브라켓(32) 등의 구성이 모두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를 분리한 후 청소 및 유지 보수를 위한 작업을 수행하거나, 이상이 있는 부품을 교체한 후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를 다시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커버(35)의 장착을 위해서는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먼저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를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의 전방에 배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를 상기 함몰부(310) 내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커버 가이드(353)가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를 따라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에 상기 커버 가이드(353)가 안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를 더 삽입하여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도 14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는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에 의해서 좌우 및 상하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는 후방으로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측면(352)의 상단(352a)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310)의 경사진 상면(315)과 이격된 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스 가이드(313)를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35)가 후방으로 지속적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커버 후크(354)가 상기 레버 브라켓(32)의 고정부(325)와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를 더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커버 후크(354)의 경사면(354a)이 상기 고정부(325)의 외측면과 접하면서 이동되고, 최종적으로는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 후크(354)가 상기 고정 홈(325a)에 삽입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는 전후 방향의 이동이 구속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측면(352)의 상단은 상기 함몰부(310)의 상단과 완전히 밀착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케이스 가이드(313)와 상기 커버 가이드(353)도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는 전후 방향과 상하 방향 그리고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구속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를 다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 측면(352)을 외측으로 밀어주게 되면 상기 커버 후크(354)가 상기 고정 홈(325a)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상기 디스펜서 커버(35)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디스펜서(3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0)

  1.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구비되며, 함몰부를 형성하는 디스펜서 케이스;
    상기 함몰부의 상면을 관통하여 연장되며, 물이 취출되는 출수부;
    상기 함몰부 내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출수부의 물 취출이 조작되는 레버; 및
    상기 함몰부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 브라켓;
    상기 레버 브라켓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레버 브라켓과 상기 출수부를 전방에서 차폐하는 디스펜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의 상면에는 상기 출수부의 양측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스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 브라켓의 양측에는 고정 홈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 커버는,
    상기 케이스 가이드에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연장되는 커버 가이드; 및
    상기 커버 가이드가 상기 케이스 가이드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홈에 구속되는 커버 후크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는,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커버 전면;
    상기 커버 전면의 좌우 양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커버 가이드와 상기 커버 후크가 형성되는 커버 측면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측면의 상단은 상기 함몰부의 상면과 접하고, 상기 커버 측면의 후단은 상기 함몰부의 후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펜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측면의 상단은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의 상면은 상기 커버 측면의 상단과 대응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디스펜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측면은 상기 함몰부의 좌우 양측면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함몰부의 좌우 양측면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디스펜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가이드는,
    상기 함몰부 상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좌우 양측방으로 절곡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가이드는,
    상기 수평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수평부와,
    상기 가이드 수평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에 의해 구속되는 가이드 구속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후면에는 상기 레버 브라켓이 삽입되는 브라켓 장착부가 형성되는 디스펜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브라켓은,
    좌우 양측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레버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 1 회전축 홀이 형성된 한쌍의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와의 결합을 위한 스크류가 체결되는 한쌍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연장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14. 삭제
  15. 냉장실과 냉동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도어 전면에 구비되며, 함몰부를 형성하는 디스펜서 케이스;
    상기 도어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냉장실 내부의 냉기에 의해 냉각되는 워터 탱크;
    상기 워터 탱크에서 상기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함몰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며, 물이 취출되는 출수부;
    상기 함몰부 내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출수부의 물 취출이 조작되는 레버;
    상기 함몰부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 브라켓;
    상기 레버 브라켓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레버 브라켓과 상기 출수부를 전방에서 차폐하는 디스펜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의 상면에는 상기 출수부의 양측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스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 브라켓의 양측에는 고정 홈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 커버는,
    상기 케이스 가이드에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연장되는 커버 가이드; 및
    상기 커버 가이드가 상기 케이스 가이드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홈에 구속되는 커버 후크를 포함하는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가 삽입 장착될 때,
    상기 커버 측면의 상단은 상기 함몰부의 상면과 접하고,
    상기 커버 가이드는 상기 케이스 가이드와 접하면서 이동되는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내측에는,
    상기 출수부를 눌러 물이 취출 되도록 하는 푸시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푸시부재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에 의해 차폐되는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
  19. 삭제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
KR1020200164762A 2020-11-30 2020-11-30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 KR102474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762A KR102474964B1 (ko) 2020-11-30 2020-11-30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762A KR102474964B1 (ko) 2020-11-30 2020-11-30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018A KR20220076018A (ko) 2022-06-08
KR102474964B1 true KR102474964B1 (ko) 2022-12-06

Family

ID=81981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762A KR102474964B1 (ko) 2020-11-30 2020-11-30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9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2104A (zh) * 2015-04-09 2015-07-22 广东奥马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带分离式童锁的饮水机的冰箱
KR102020050B1 (ko) * 2018-01-15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8293A (ko) * 2007-10-15 2009-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2615047B1 (ko) * 2016-09-26 2023-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2104A (zh) * 2015-04-09 2015-07-22 广东奥马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带分离式童锁的饮水机的冰箱
KR102020050B1 (ko) * 2018-01-15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018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808B1 (ko) 높이조절 수납부재가 구비된 냉장고
KR101621578B1 (ko) 냉장고
US11499771B2 (en) Refrigerator
US20110283734A1 (en) Refrigerator
CN104729181A (zh) 冰箱
US9310122B2 (en) Refrigerator and dispenser of refrigerator
CN110319646B (zh) 冰箱
KR101713227B1 (ko) 냉장고
EP3935331B1 (en) Home appliance including display module
KR102474964B1 (ko)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
KR102227959B1 (ko) 냉장고
US20230114261A1 (en) Storage structure for refrigerator appliance
KR102150095B1 (ko) 냉장고
KR100608952B1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KR102179342B1 (ko) 냉장고
KR102093435B1 (ko) 냉장고
KR102111717B1 (ko) 냉장고
KR102150097B1 (ko) 냉장고
KR20220022225A (ko) 냉장고
KR102093456B1 (ko) 냉장고
KR102093461B1 (ko) 냉장고
KR102093448B1 (ko) 냉장고
CN219913611U (zh) 冰箱
KR102440981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 도어
KR102206239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