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227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227B1
KR101713227B1 KR1020100058862A KR20100058862A KR101713227B1 KR 101713227 B1 KR101713227 B1 KR 101713227B1 KR 1020100058862 A KR1020100058862 A KR 1020100058862A KR 20100058862 A KR20100058862 A KR 20100058862A KR 101713227 B1 KR101713227 B1 KR 101713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ter supply
slider
case
ho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8777A (ko
Inventor
이승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8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227B1/ko
Priority to EP11798385.8A priority patent/EP2585777B1/en
Priority to CN201180031072.7A priority patent/CN102947660B/zh
Priority to PCT/KR2011/004572 priority patent/WO2011162550A2/en
Priority to US13/704,298 priority patent/US9341404B2/en
Publication of KR20110138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도어 또는 저장공간에 구비되어, 아이스 메이커 또는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용기 연결 어셈블리; 상기 도어 또는 저장공간에 제공되며,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에 제공되며,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조작에 의해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의 구속을 선택할 수 있는 조작유닛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 의하여 저온 저압 상태로 변화된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냉기를 발생시키고, 상기 냉기에 의하여 저장 공간이 저온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음식물이 신선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편의장치 중 대표적인 것으로, 상기 냉장고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장치와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상기 제빙장치와 디스펜서는 사용자에게 얼음 또는 음용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고내와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빙장치는, 제빙용 트레이에 직접 물을 채우는 방식, 또는, 1회 제빙을 위한 용량을 가지는 급수용기에 물을 넣어 장착하고, 상기 급수용기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제빙용 트레이로 공급되도록 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1회분 만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으며, 만약 용량이 큰 급수용기를 사용하게 될 경우 냉동실의 온도 특성상 급수용기 내부의 물이 결빙되어 제빙작업의 지속적인 수행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도와 직접 연결되는 급수라인을 제공하여 제빙장치가 지속적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급수라인이 디스펜서와도 연결되어 디스펜서를 통해 음용수를 취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가 개발되었다.
그리고, 고내에 제빙을 위한 물이 공급되는 급수용기가 제공되고, 펌프 및 급수유로를 통해서 제빙장치와 디스펜서로 물이 공급되는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가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용기 연결 어셈블리에 제공되는 조작유닛을 조작하여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도어 또는 저장공간에 구비되며, 아이스 메이커 또는 디스펜서로 부터 연장되는 급수유로가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함몰 형성되며, 함몰된 내측면에 상기 급수유로의 일단이 노출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급수유로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용기 고정부재; 상기 안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 고정부재에 장착되는 용기 연결 어셈블리;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에 장착되며, 물이 저장되는 급수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는,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용기 고정부재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급수용기의 물이 상기 급수유로로 이동되는 흡입유로를 형성하며, 일단이 상기 급수유로의 일단과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급수유로와 연결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이 노출된 상기 케이스의 일측과 반대되는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연결관의 좌우 양측에 위치되며,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따라 상기 용기 고정부재를 향하여 인출입되어 상기 용기 고정부재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고정부재는 양단이 상기 케이스를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고, 양단의 사이에 상기 슬라이더를 향하여 개구된 슬라이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더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고정부재를 구속하여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의 탈거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용기 고정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함몰된 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 고정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구속부에 삽입되어 걸림 구속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된 상기 용기 고정부재의 일단은 상기 슬라이더 수용부 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제공되어, 탄성 변형에 의해서 상기 구속부와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더 수용부의 폭과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고정부재의 탄성 변형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 고정부재는 일단에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된 ‘U’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 양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단부가 인출입되도록 천공된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단부가 상기 출입구를 통해서 인출입될 수 있도록 상기 출입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는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는 바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용기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에 형성된 용기 삽입구에 삽입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는, 상기 연결관의 좌우 양측에 위치된 한쌍의 상기 슬라이더를 연결하며, 상기 조작부재와 연동되어 이동되는 바디; 상기 바디를 지지하며, 상기 바디가 최초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는 노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 조작되며, 상기 바디는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와 바디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각 대응하는 형상의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시 상기 경사부들은 상대운동하여 상기 바디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어 또는 저장공간의 내측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는 장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 또는 저장공간의 내측에 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용기는 상용 생수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급수용기와 결합된 용기 연결 어셈블리를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의 조작유닛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가 장착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속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용기가 냉장고 도어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냉장고 도어가 회동 하거나 충격을 받게 되더라도 상기 급수용기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용기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작유닛을 조작하여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의 구속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은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의 구속상태 조작을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조작유닛의 조작을 통해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흡입유로가 탄성부재에 의해 상하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흡입유로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유로가 정위치인 중앙에 위치하도록 정렬되어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의 탈착 조작이 용이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와 하우징 및 용기 연결 어셈블리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와 급수용기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1 과 도 12는 상기 조작유닛의 조작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사이드바이사이드 타입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아이스 메이커 또는 디스펜서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용기가 구비된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10)은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내부는 베리어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어 각각 냉동실(12)과 냉장실(14)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2)과 냉장실(14)의 내부에는 다수의 선반과 서랍 등 식품의 수납을 위한 구성들이 제공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4)과 냉동실(12)을 각각 차폐할 수 있도록 냉장실 도어(24)와 냉동실 도어(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에 힌지(16)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14)과 냉동실(12)은 상기 냉장실 도어(24)와 냉동실 도어(22)의 회동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4)와 냉동실 도어(22)에는 각각 도어 핸들(26)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4)에는 홈바(28)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 도어(2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디스펜서(30) 및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40)와 같이 물이 공급되는 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동실 도어(22)의 전면에는 음용수 및/또는 얼음의 취출이 가능한 디스펜서(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22)의 배면에는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40)는 아래에서 설명할 급수용기(100)로부터 공급되는 물로 얼음을 만드는 것으로, 상기 디스펜서(30)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냉장고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30)가 냉장실 도어(24)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40)는 상기 냉동실(12)의 내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펜서(30)가 상기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40)가 상기 냉동실 도어(22)에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40)는 급수되는 물을 얼려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32)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32)의 하방에 구비되며, 제빙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뱅크(3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32)는 자동으로 제빙을 위한 물이 급수되고, 상기 냉동실(12)의 냉기에 의해 얼음이 만들어진 후에는 상기 아이스 뱅크(34) 측으로 자동으로 이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통상의 아이스 메이커(3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32)에서 제빙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뱅크(34)에 저장되며, 상기 디스펜서(30)의 조작시, 상기 아이스 뱅크(34)와 상기 디스펜서(30)를 연결하는 아이스 슈트(36)를 통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32)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24)의 배면에는 급수용기(100)가 제공된다. 상기 급수용기(10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2) 및/또는 디스펜서(30)로 공급되는 제빙용수 및/또는 음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 도어(24)에서 급수용기(100)를 분리한 후 상기 급수용기(100)에 직접 물을 급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수용기(100)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냉장실 도어(24)에 탈착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상기 급수용기(100)는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에 연결 가능한 전용 용기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용기(100)는 시판되고 있는 생수병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는 전용 용기와 일반적인 생수병 모두 탈착 가능한 구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4)의 배면에는 다수개의 바스켓이 구비되며, 상기 바스켓은 탈착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바스켓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급수용기(100)를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용기(100) 내부의 물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급수유로(210)와 흡입유로(220)로 구성되는 유로(200)를 통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32)와 디스펜서(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로(200)는 상기 급수용기(100)의 위치 및 상기 아이스 메이커(32)와 디스펜서(30)의 위치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며, 상기 캐비닛(10)과 도어(20)를 연결하는 힌지(16)를 통해서 상기 캐비닛(10)과 도어(20)로 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와 하우징 및 용기 연결 어셈블리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와 급수용기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 도어(24)의 배면에는 하우징(300)이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급수용기(100)와 결합된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에는 상기 급수용기(100) 내측의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00)을 통해서 상기 급수유로(210)의 일측이 노출되며,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의 장착시 상기 급수유로(210)에 상기 흡입유로(220)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냉장실 도어(24)의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21)의 성형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0)은 별도로 성형되어 상기 도어 라이너(21)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300)의 양측에는 장착부(320)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 라이너(21)에 형성된 안착돌기(23)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300)이 불필요한 경우 상기 안착돌기(23)에 대응하는 크기의 바스켓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300)에는 펌프 수용부(310)와 안착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펌프 수용부(310)는 후면이 개구되어 상기 펌프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 수용부(310)의 측방에는 안착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330)는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의 크기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330)의 대략 중앙에는 유로 삽입구(332)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 삽입구(332)는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 내측의 연결관(222)이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아이스 메이커 또는 디스펜서(30)로부터 연장되는 급수유로(210)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의 장착시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연결관(222)이 상기 유로 삽입구(332)를 통해서 상기 급수유로(210)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로 삽입구(332)에는 상기 급수유로(210)와 연결관(222)이 기밀상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실링부재(334)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 삽입구(332)의 좌우 양측에는 용기 고정부재(340)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 고정부재(340)는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의 장착시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에 형성된 구속부(520)와 결합되어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용기 고정부재(340)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으로 연장된 후 절곡되어 다시 하우징(30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고정부재(340)는 절곡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할 구속부재(720)의 일부가 삽입되는 슬라이더 수용부(342)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고정부재(340)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후크 형상의 고정돌기(344)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344)는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의 장착시 상기 구속부(520)에 삽입되어 걸림 구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는 상기 안착부(330)와 대응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조작부재(7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의 후면 중앙에는 연결관(222)이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의 후면 양측 모서리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구속부(52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구속부(520)는 상기 용기 고정부재(340)의 고정돌기(344)가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344)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에는 상기 급수용기(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흡입관(224)이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흡입관(224)의 하단에는 흡입되는 물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재(22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용기(100)는 일반적인 생수병과 같은 메인 급수용기(110)와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에 장착하기 위해 전용으로 제작된 서브 급수용기(1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 급수용기(11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물이 출입되는 입구가 상방에 형성되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병 형상의 시판되는 생수병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급수용기(110)는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에 장착 가능하도록 입구에 나사(112)가 형성된 다양한 크기의 생수병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시판되는 다양한 크기의 생수병을 뚜껑을 제거하여 개봉한 후 바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급수용기(420)는 도 3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급수용기(410)의 용량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급수용기(100)가 수납되는 바스켓(53)의 크기와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의 높이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서브 급수용기(120)는 물이 저장되는 용기 본체(122)와, 상기 용기 본체(122)의 개구된 상면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용기 커버(124)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용기 커버(124)에는 물이 출입되는 개구부(126)와 상기 개구부(126)의 양측에서 돌출되는 용기 결합돌기(128)가 더 형성된다.
상기 용기 결합돌기(128)는 아래에서 설명할 용기 결합홀(62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서브 급수용기(120)가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의 하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하방이 개구된 케이스(500)와 상기 케이스(500)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케이스(500)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는 바텀 플레이트(60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500)의 후면 중앙에는 상기 연결관(222)이 관통되는 관통홀(510)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51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222)이 상기 하우징(300)의 유로 삽입구(3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500)가 상하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500)의 후면 좌우 양측단에는 함몰 형성되는 상기 구속부(520)가 형성된다. 구속부(520)는 상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용기 고정부재(340)와 전후방향의 억지끼움방식 외에도 하방에서 상방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용기 고정부재(340)와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부(52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구속부재(720)의 단부가 출입되는 슬라이더 출입구(522)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 출입구(522)는 상기 하우징(300)의 슬라이더 수용부(34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 출입구(522)를 통해 돌출되는 상기 구속부재(720)의 단부는 상기 슬라이더 수용부(342)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바텀 플레이트(600)의 대략 중앙부에는 용기 삽입구(610)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 삽입구(610)는 상기 급수용기(100)의 입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용기 삽입구(610)의 내측은 상기 메인 급수용기(110)인 생수병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급수용기(110)의 입구에 형성되는 나사(112)와 대응하는 나사(61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급수용기(110)의 입구를 삽입한 후 돌려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급수용기(120)의 개구부(126)는 상기 용기 삽입구(6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서브 급수용기(120)의 장착시 상기 서브 급수용기(120)의 개구부(126)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 삽입구(610)의 좌우 양측에는 용기 결합홀(620)이 형성된다. 상기 용기 결합홀(620)은 상기 서브 급수용기(120)에 형성되는 상기 용기 결합돌기(128)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며, 삽입부(622)과 회동부(624)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622)는 상기 용기 결합돌기(128)의 단면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천공되어, 상기 용기 결합돌기(128)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624)는 상기 용기 결합돌기(128)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기(128)의 회전을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용기 결합돌기(128)의 단면보다 좁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용기 결합돌기(128)가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동부(624)는 소정의 길이와 곡률을 가지며, 상기 서브 급수용기(120)의 회전에 의해 고정되었을 때,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와 상기 서브 급수용기(120)가 정위치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 내부를 관통하는 흡입유로(220)는 상기 연결관(222)과 흡입관(224)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관(224)은 상기 급수용기(100)의 내측의 물을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222)은 상기 흡입관(224)의 상단과 상기 급수유로(210)를 연결하는 것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흡입관(224)과 연결관(222)은 동일 소재로 일체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흡입관(224)과 연결관(222)은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222)은 상기 급수유로(210)와 흡입관(224)에 삽입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관(224)은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상기 급수용기(100)에 적용 가능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222)의 상측에는 좌우측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223)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223)는 상기 흡입유로(220)의 상대이동시 상기 흡입유로(220)가 회전하거나 유동하지 않고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용기 삽입구(610)의 상방에는 유로 수용부(63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유로 수용부(630)의 하측은 상기 급수용기(100)의 입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인 하부 수용부(632)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수용부(632)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흡입유로(220)를 수용 및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부(634)가 더 형성된다.
상기 유로 가이드부(634)는 상기 흡입유로(220)의 외측을 감싸 상기 흡입유로(220)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흡입유로(220)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하로 상대이동할 때 상기 하우징(300)의 유로 삽입구(332)에 삽입된 상기 흡입유로(220)의 고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유로 가이드부(634)에는 좌우 양측으로 개구되는 측방 안내부(636)가 형성된다. 상기 측방 안내부(636)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리브에 의해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유로 가이드부(634)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측방 안내부(636)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223)가 수용되어, 상기 케이스(500)의 상하 이동에 의한 상기 연결관(222)의 상하 상대이동시 상기 연결관(222)가 회전되지 않도록 안내한다.
상기 유로 가이드부(634)에는 후방으로 개구되는 후방 안내부(638)가 더 형성된다. 상기 후방 안내부(638)는 상기 연결관(222)의 후방으로 절곡된 부분을 수용 및 안내하는 것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리브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후방 안내부(638)는 상기 케이스(500)의 관통홀(510) 및 상기 하우징(300)의 유로 삽입구(332)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500)가 상하방 이동될 때 상기 연결관(222)의 상대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관(222)의 상방과 하방에는 각각 제1탄성부재(640)와 제2탄성부재(650)가 배치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640)는 상기 연결관(222)의 상단과 상기 케이스(500)의 내측면에 각각 상단과 하단이 지지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640)는 상기 케이스(500)와 연결관(222)를 탄성지지하여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흡입유로(220)가 하방을 향해 상대 이동되도록 강제하게 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650)는 상기 연결관(222)의 하방으로 절곡된 부분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관(222)에 의해 상단이 지지되고, 상기 유로 가이드부(634)의 내측에서 하단이 지지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640)는 상기 케이스(500)와 연결관(222)를 탄성 지지하여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흡입유로(220)가 상방을 향해 상대 이동되도록 강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탄성부재(640)와 제2탄성부재(650)에 의해 상기 연결관(222)은 정위치에 정렬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관(222)이 외력에 의해 이동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정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500)의 내측에는 조작유닛(700)이 구비된다. 상기 조작유닛(700)은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의 장착시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의 구속상태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작유닛(700)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재(710)와 상기 조작부재(710)와 연동하여 이동되는 구속부재(720) 그리고, 상기 구속부재(720)의 복귀를 위한 탄성부재(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조작부재(710)는 원통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500)의 전면에 개구된 조작부재 장착구(530)를 통해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재(710)는 상기 케이스(500)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710)의 내측은 중공되어 후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조작부재(710)의 후단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작부재 장착구(530)의 후방에서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조작부재(710)의 후단에는 조작부재 경사부(712)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재 경사부(712)는 상기 조작부재(710)의 후단 둘레를 따라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 경사부(712)는 아래에서 설명할 구속부재 경사부(724)와 대응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재(710)의 후단 둘레를 따라서 다수개가 연속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 경사부(712)의 상단부에는 상기 조작부재(710)의 회전을 제한하는 조작부재 제한 돌기(714)가 형성된다.
상기 구속부재(720)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600)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조작부재(710)의 후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710)의 조작에 연동하도록 상기 조작부재(710)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부재(720)는 바디(722)와 슬라이더(728)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722)는 상기 구속부재(720)와 접하는 부분으로 상기 구속부재(720)와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디(722)의 둘레에는 상기 조작부재 경사부(712)와 대응하는 구속부재 경사부(724)가 형성된다. 상기 구속부재 경사부(724)는 상기 조작부재 경사부(71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부재 경사부(724)의 상단부에는 돌출 형성되는 구속부재 제한 돌기(72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유닛(700)을 조립하게 되면, 상기 조작부재 제한 돌기(714)가 상기 구속부재 경사부(724) 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구속부재 제한 돌기(726)가 상기 조작부재 경사부(712) 상에 위치하게 될 수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재(71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조작부재 제한 돌기(714)와 상기 구속부재 제한 돌기(726)는 각각 구속부재 경사부(724)와 조작부재 경사부(712)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구속부재(720)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710)를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조작부재 제한 돌기(714)와 구속부재 제한 돌기(726)가 서로 접하여 상기 조작부재(71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구속부재(720) 또한 더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구속부재(720)의 바디(722)는 상기 조작부재(710)의 개구된 후면을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722)의 삽입에 의해 상기 조작부재 경사부(712)와 구속부재 경사부(724)가 서로 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부재(720)의 바디(722)는 후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개구된 후면에는 탄성부재(730)가 장착된다. 상기 탄성부재(730)는 양단이 상기 바디(722)와 상기 유로 수용부(630)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구속부재(720)의 후방 이동시 압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재(710)의 조작을 통한 상기 고정부재의 후방 이동 조작을 완료한 후에는 상기 탄성부재(7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구속부재(720)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728)는 상기 바디(722)의 좌우 양측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728)는 다수회 절곡되며, 연장된 단부가 상기 슬라이더 출입구(522)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728)는 상기 슬라이더 삽입부(622)와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728)가 상기 슬라이더 삽입부(622)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 고정부재(340)의 탄성 변형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더(728)는 상기 조작부재(710)가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710)의 회전 조작시 상기 구속부재(720)의 후방 이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더 출입구(522)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돌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급수용기 및 용기 연결 어셈블리의 장착 과정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우선, 제빙용수 및 음용수의 사용을 위해서는 상기 급수용기(100)의 용기 본체에 물을 채워 넣고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와 상기 급수용기(100)를 결합한 후 상기 급수용기(100)가 상기 냉장실 도어(24)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급수용기(100)는 메인 급수용기(110)인 생수병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별도의 급수과정 없이 시판되는 메인 용기를 개방하여 나사(112)가 형성된 입구를 상기 용기 삽입구(610)에 삽입한 후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메인 급수용기(110)가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에 고정 장착된다. 물론 상기 급수용기(100)로 서브 급수용기(120)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 급수용기(120)의 용기 결합돌기(128)를 용기 결합홀(620)에 삽입하여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에 고정 장착된다.
이와 같이 도 8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는 상기 하우징(300)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를 상기 하우징(300)의 안착부(330)에 밀착시키게 되면, 상기 구속부(520)와 상기 용기 고정부재(340)가 서로 걸림 결합된다.
이때, 상기 용기 고정부재(340)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구속부(520)에 의해 밀려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게 되면서 상기 구속부(520)와 고정돌기(344)가 용이하게 걸림 결합되어 도 9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 용기 고정부재(340)와 구속부(52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가 상기 안착부(330)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 결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급수용기(100) 및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가 보다 안정적인 구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면, 상기 조작부재(710)를 조작하게 된다.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가 상기 하우징(300)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재(71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조작부재 경사부(712)와 상기 구속부재 경사부(724)가 서로 접하는 상태에서 상대운동하여 상기 구속부재(72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구속부재(720)의 후방 이동으로 상기 구속부재(720)의 단부를 형성하는 슬라이더(728)는 상기 슬라이더 출입구(522)를 지나 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재(710)를 완전히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728)는 상기 용기 고정부재(340)의 슬라이더 수용부(342)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슬라이더(728)는 상기 슬라이더 수용부(342)와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게 되므로 상기 슬라이더(728)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더 수용부(342)의 공간이 상기 슬라이더(728)로 채워지게 되어 도 10과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 고정부재(340)는 탄성변형을 위한 외력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외측으로 벌어질 수 없게 되며, 상기 고정돌기(344)는 상기 구속부(52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돌기(344)가 상기 구속부(520)의 내측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는 상기 하우징(300)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를 상기 하우징(30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재(7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구속부재(720)의 슬라이더(728)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더 수용부(342)의 외측으로 빠져나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를 전방으로 당겨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조작부재(710)의 회전 조작에 따른 상기 구속부재(720)의 이동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1 과 도 12는 상기 조작유닛의 조작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를 살펴보면,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가 상기 하우징(300)에 장착되기 전의 도 8과 같은 상태 또는 장착된 도 9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유닛(700)은 도 11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부재(710)의 조작 전으로, 상기 탄성부재(7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구속부재(720)가 상기 케이스(500)의 내측에서 가장 후방(도 11에서 우측)에 위치한 상태가 되며, 상기 구속부재(720)의 바디가 상기 조작부재(71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 경사부(712)와 구속부재 경사부(724)가 가장 가까운 상태가 되며, 서로 접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 제한 돌기(714)는 상기 구속부재 경사부(724)의 저점에 위치하고, 상기 구속부재 제한 돌기(726)는 상기 조작부재 경사부(712)의 저점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부재(710)를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상기 조작부재(710)의 회전 정도에 따라서 상기 구속부재(72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작부재 제한 돌기(714)는 상기 구속부재 경사부(724)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상기 구속부재 제한 돌기(726)는 상기 조작부재 경사부(71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재(710)를 완전히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구속부재(720)가 후방으로 최대 돌출되는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유닛(700)은 도 12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재 제한 돌기(714)는 상기 구속부재 경사부(724)의 최상단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구속부재 제한 돌기(726)는 상기 조작부재 경사부(712)의 최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재(710)는 상기 구속부재(720)를 밀어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730)는 압축되어 상기 조작부재(7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될 경우 상기 구속부재(72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상기 조작부재(710)가 최대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부재 제한 돌기(714)가 연속하는 구속부재 제한 돌기(726)와 간섭되어 더 이상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재(710)가 최대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부재 제한 돌기(714)가 상기 구속부재 경사부(724) 상단의 평평한 부분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구속부재 제한 돌기(726) 또한 상기 조작부재 경사부(712) 상단의 평평한 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구속부재(720)가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급수용기(100)와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400)를 상기 하우징(300)에 고정 장착하게 되면, 상기 흡입유로(220)는 상기 급수유로(210)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용기(100)로부터 상기 아이스 메이커(32) 또는 디스펜서(30)로 물 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사용자의 조작시 상기 펌프가 구동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32) 및 디스펜서(30)로 물이 공급된다.
100. 급수용기 110. 메인 급수용기
120. 서브 급수용기 200. 유로
210. 급수유로 220. 흡입유로
300. 하우징 400. 용기 연결 어셈블리
500. 케이스 600. 바텀플레이트
700. 조작유닛

Claims (14)

  1.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도어 또는 저장공간에 구비되며, 아이스 메이커 또는 디스펜서로 부터 연장되는 급수유로가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함몰 형성되며, 함몰된 내측면에 상기 급수유로의 일단이 노출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급수유로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용기 고정부재;
    상기 안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 고정부재에 장착되는 용기 연결 어셈블리;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에 장착되며, 물이 저장되는 급수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는,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용기 고정부재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급수용기의 물이 상기 급수유로로 이동되는 흡입유로를 형성하며, 일단이 상기 급수유로의 일단과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급수유로와 연결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이 노출된 상기 케이스의 일측과 반대되는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연결관의 좌우 양측에 위치되며,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따라 상기 용기 고정부재를 향하여 인출입되어 상기 용기 고정부재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고정부재는 양단이 상기 케이스를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고, 양단의 사이에 상기 슬라이더를 향하여 개구된 슬라이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더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고정부재를 구속하여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의 탈거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용기 고정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함몰된 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 고정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구속부에 삽입되어 걸림 구속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된 상기 용기 고정부재의 일단은 상기 슬라이더 수용부 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제공되어, 탄성 변형에 의해서 상기 구속부와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더 수용부의 폭과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고정부재의 탄성 변형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고정부재는 일단에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된 ‘U’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 양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단부가 인출입되도록 천공된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단부가 상기 출입구를 통해서 인출입될 수 있도록 상기 출입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는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는 바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용기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에 형성된 용기 삽입구에 삽입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연결 어셈블리는,
    상기 연결관의 좌우 양측에 위치된 한쌍의 상기 슬라이더를 연결하며, 상기 조작부재와 연동되어 이동되는 바디;
    상기 바디를 지지하며, 상기 바디가 최초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노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 조작되며,
    상기 바디는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와 바디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각 대응하는 형상의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시 상기 경사부들은 상대운동하여 상기 바디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삭제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어 또는 저장공간의 내측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장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 또는 저장공간의 내측에 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용기는 상용 생수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00058862A 2010-06-22 2010-06-22 냉장고 KR101713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862A KR101713227B1 (ko) 2010-06-22 2010-06-22 냉장고
EP11798385.8A EP2585777B1 (en) 2010-06-22 2011-06-22 Refrigerator
CN201180031072.7A CN102947660B (zh) 2010-06-22 2011-06-22 冰箱
PCT/KR2011/004572 WO2011162550A2 (en) 2010-06-22 2011-06-22 Refrigerator
US13/704,298 US9341404B2 (en) 2010-06-22 2011-06-22 Refrigerator having a detachable water supply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862A KR101713227B1 (ko) 2010-06-22 2010-06-22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777A KR20110138777A (ko) 2011-12-28
KR101713227B1 true KR101713227B1 (ko) 2017-03-09

Family

ID=45371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862A KR101713227B1 (ko) 2010-06-22 2010-06-22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41404B2 (ko)
EP (1) EP2585777B1 (ko)
KR (1) KR101713227B1 (ko)
CN (1) CN102947660B (ko)
WO (1) WO201116255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0029B2 (en) 2011-12-09 2018-02-1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utomatic liquid dispenser
CN104769375B (zh) * 2012-10-05 2017-06-23 阿塞里克股份有限公司 包括水分配器的制冷器
KR101999179B1 (ko) 2014-07-25 2019-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A166067S (en) * 2015-08-11 2016-07-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09813037A (zh) * 2017-11-22 2019-05-28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及其供水组件
CN115479438B (zh) * 2021-06-16 2024-03-1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USD1001847S1 (en) * 2021-07-02 2023-10-1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D1001164S1 (en) * 2021-07-02 2023-10-1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4087B2 (ja) 1994-03-24 1999-03-24 松下冷機株式会社 製氷装置
CN2539113Y (zh) 2002-03-26 2003-03-05 海尔集团公司 电冰箱
WO2009061118A2 (en) * 2007-11-05 2009-05-1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60208A (en) * 1919-10-06 1923-06-26 Mohn John Pump
US1966648A (en) * 1931-03-19 1934-07-17 Fritz R Ryberg Liquid cooling apparatus
US2255280A (en) * 1938-12-19 1941-09-09 Colvin Donald Dispensing device
US2274409A (en) * 1941-02-11 1942-02-24 Gen Electric Liquid dispensing apparatus
US3208641A (en) * 1963-09-09 1965-09-28 Leroy D Brugioni Water container for refrigerator door
US6056157A (en) * 1994-03-14 2000-05-02 Gehl's Guernsey Farms, Inc. Device for dispensing flowable material from a flexible package
JP3391638B2 (ja) 1996-08-27 2003-03-31 松下冷機株式会社 製氷装置
KR100538170B1 (ko) 2003-03-29 2005-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0495629B1 (ko) 2003-07-31 200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7418830B2 (en) 2005-01-03 2008-09-02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forward projecting dispenser
JP2007085585A (ja) * 2005-09-20 2007-04-05 Nidec Sankyo Corp 飲料供給装置
KR20100037266A (ko) * 2008-10-01 2010-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4087B2 (ja) 1994-03-24 1999-03-24 松下冷機株式会社 製氷装置
CN2539113Y (zh) 2002-03-26 2003-03-05 海尔集团公司 电冰箱
WO2009061118A2 (en) * 2007-11-05 2009-05-1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777A (ko) 2011-12-28
EP2585777A2 (en) 2013-05-01
CN102947660A (zh) 2013-02-27
WO2011162550A2 (en) 2011-12-29
US9341404B2 (en) 2016-05-17
EP2585777A4 (en) 2016-09-14
WO2011162550A3 (en) 2012-04-12
EP2585777B1 (en) 2018-04-25
US20130283844A1 (en) 2013-10-31
CN102947660B (zh)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227B1 (ko) 냉장고
US11274869B2 (en) Refrigerator
US11624540B2 (en) Refrigerator
US11709007B2 (en) Refrigerator
US9222722B2 (en) Refrigerator and water tank assembly for refrigerator
KR101621578B1 (ko) 냉장고
EP3406992B1 (en) Refrigerator
KR20110112377A (ko) 냉장고
CN106839552B (zh) 制冰机组件和具有该制冰机组件的冰箱
EP3611453B1 (en) Refrigerator
US20100175417A1 (en) Refrigerator
US11493251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742828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
KR100906889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부 급수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