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961B1 - 냉장고 및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961B1
KR102474961B1 KR1020200033461A KR20200033461A KR102474961B1 KR 102474961 B1 KR102474961 B1 KR 102474961B1 KR 1020200033461 A KR1020200033461 A KR 1020200033461A KR 20200033461 A KR20200033461 A KR 20200033461A KR 102474961 B1 KR102474961 B1 KR 102474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teel plate
plate
strippe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7085A (ko
Inventor
송성민
황영주
박근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3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961B1/ko
Priority to EP23193200.5A priority patent/EP4253889A3/en
Priority to EP21163055.3A priority patent/EP3882544B1/en
Priority to US17/204,132 priority patent/US11890662B2/en
Priority to CN202110284515.9A priority patent/CN113494831B/zh
Publication of KR20210117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961B1/ko
Priority to US18/390,762 priority patent/US2024011609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B21D28/265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with relative movement of sheet and tools enabling the punching of holes in predetermined locations of the sheet, e.g. holes punching with tem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03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in punching machines or punching tools
    • B21D45/006Stripping-off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28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23Digital print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ink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1Inks specially adapted for printing processes involving curing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with UV-curing following the pri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4Household 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및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며, 금속 소재로 형성된 아웃 플레이트에 의해 전면 외관이 형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는, 상기 도어 내부의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타공되며, 다수개의 조합에 의해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관통홀; 및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후면에서 상기 관통홀과 동심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평탄화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 {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out plate for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도어에는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냉장고의 동작에 따른 각종 정보를 숫자나 글자, 기호 또는 그림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통해서 출력되는 정보를 확인하여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냉장고의 동작을 위한 조작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7-000045062호에는 냉장고 도어의 전면이 금속 소재로 형성된 아웃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고, 아웃 플레이트에는 다수의 관통홀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며, 엘이디가 켜지게 되면 대응하는 관통홀을 통과하는 빛에 의해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은 애칭에 의해 미세한 크기로 형성되는 사상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애칭에 의한 미세홀의 성형시 상기 관통홀의 사이즈가 균일하지 못하여 외관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애칭 공정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으며, 애칭을 위한 전체 공정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121753에는 상기 관통홀은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으나, 레이저 가공시 관통홀 주변의 코팅층이 열변형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관통홀의 성형 후 발생되는 버를 제거하기 위한 추가의 후처리 가공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뿐만아니라, 레이저 가공을 이용하게 되는 겨우 제조 비용이 현저하게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균일한 직경을 가지는 미세한 관통홀의 성형이 가능하게 되어 디스플레이부의 외관을 개선하고 식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관통홀의 성형 과정에서 관통홀의 인접 부위의 변형이 방지되고 및 상기 관통홀 둘레의 버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외관이 보다 개선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제조 공정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냉장고 및 그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관통홀의 형성을 펀칭에 의해 형성하여 관통홀의 성형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관통홀 내부의 홀 메움부재의 미충전을 방지하여 외관이 한층 더 개선되도록 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및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며, 금속 소재로 형성된 아웃 플레이트에 의해 전면 외관이 형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는, 상기 도어 내부의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타공되며, 다수개의 조합에 의해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관통홀; 및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후면에서 상기 관통홀과 동심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평탄화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영역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강판 후면이 마모되어 상기 강판 후면의 다른 영역에 비해 밝은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영역은 상기 관통홀들의 돌출된 둘레가 눌려져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영역의 내측단은 상기 관통홀의 개구된 후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의 개구된 후면의 직경은 상기 관통홀의 개구된 전면의 직경과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평탄화 영역은 상기 관통홀의 개구된 후면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는, 상기 평탄화 영역을 포함한 상기 관통홀의 개구된 후면을 차폐하며, 빛이 확산 투과되는 확산시트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홀 메움부재가 채워지며, 상기 홀 메움부재의 후면은 상기 확산시트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홀 메움 부재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전면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아웃 플레이트의 전면에 보호 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 타공 형성되고, 상기 보호 필름은 홀 메움 부재를 전방에서 채워 넣은 후 제거되어,상기 홀 메움부재의 돌출 높이는 상기 보호 필름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는 스테인레스 강판, 피시엠 강판 또는 브이시엠 강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는, 빛이 투과되는 관통홀들의 조합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도어의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강판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다이; 상기 다이 상방에서 승강되어 상기 강판을 관통하며, 상기 다이에서 이동되는 상기 강판에 다수의 관통홀들을 하나씩 타공하는 펀치; 상기 펀치가 통과되어 상기 펀치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펀치와 함께 승강되어 상기 강판을 상방에서 눌러 고정하는 스트리퍼;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의 상면에는 상기 펀치의 하단이 통과되는 다이 홀이 형성되며, 상기 다이 홀의 둘레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관통홀들의 타공시 각 타공홀의 둘레를 가압하는 다이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이 돌출부는 상기 타공홀의 가공시 이미 성형된 관통홀과 간섭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이 돌출부의 외측단은 타공되는 상기 관통홀과 이웃하는 관통홀 사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다이 돌출부는 3㎛ ~ 10㎛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펀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보다 작은 크기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헤드부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강판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을 형성하는 인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퍼는, 상기 헤드부가 관통되며, 상기 헤드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스트리퍼 바디와; 상기 스트리퍼 바디의 하방와 이격된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인선부가 통과되는 스트리퍼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는 상기 펀치의 하방 이동시 함께 이동되어 상기 강판의 상면을 누를 수 있다.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함몰된 스트리퍼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트리퍼 함몰부는 상기 다이 돌출부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스트리퍼 함몰부의 내측에 상기 다이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및 그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에칭 또는 레이저 가공과 비교할 때 물리적으로 상기 관통홀을 뚫어서 형성하게 되므로 균일한 크기의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다수개의 미세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로 빛이 통과되는 본 발명의 구조의 특성상 상기 관통홀의 크기가 균일하게 되는 경우 외관 품질이 매우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펀치에 의해 가공되므로, 에칭 가공시 필요한 별도의 마스킹 작업이나 대형화 되고 복잡한 에칭 설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공정이 간단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레이저 가공시에는 강판의 코팅층 또는 필름의 손상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고 관통홀 주변부에 열 변형에 의한 버가 발생되지만, 펀치에 의한 가공으로 코팅층 및 필름의 손상이 원천적으로 발생되지 않으며, 상기 관통홀의 주변에 버가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제조시 펀치에 의해 관통홀을 하나씩 형성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소재 강판을 누르는 스트리퍼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반복적으로 소재 강판을 누르게 된다. 특히, 상기 스트리퍼는 가공되는 상기 관통홀과 인접하는 위치의 성형된 관통홀들을 상방에서 누르게 되며, 결국 상기 성형된 관통홀들에 형성된 버가 상기 스트리퍼가 하방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눌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재 강판의 배면에는 상기 버가 눌려지게 되어 버가 돌출되지 않고 평탄화된 배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관통홀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소재 강판은 상기 다이에 안착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재 강판이 수평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다이의 다이 돌출부에 의해 상기 관통홀 배면에 돌출된 버와 돌출부위들이 마찰에 의해 연마되거나 상기 펀치의 승강에 의해 다져지게 되어 상기 관통홀 배면에는 돌출부위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관통홀을 형성하기 위한 이동 과정 중에 상기 관통홀가공시 형성되는 버 또는 돌출부위가 더욱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 배면이 평면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별도의 버 제거를 위한 작업을 추가로 진행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제조 공정이 단순화 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면,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 배면의 버 또는 돌출부위가 제거됨으로서 확산시트의 부착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확산시트의 밀착 부착으로 인해 상기 홀 메움부재의 성형을 위해 채워지는 잉크의 누수를 방지하여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펀치는 소재 강판을 구성하는 상기 제 1 보호 필름과 강판을 한꺼번에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의 전면 둘레에는 상기 제 1 보호 필름에 의해 커버될 수 있으며, 상기 홀 메움부재의 성형을 위한 상기 잉크가 채워질 때 마스킹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잉크를 채우기 위한 작업시 별도의 마스킹 작업이 필요치 않게 되며, 상기 제 1 보호 필름을 이용하여 추가의 공정과 구성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잉크는 상기 강판의 전면에서 채워지고, 배면에는 확산시트가 부착되어 잉크가 채워질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의 배면을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차폐구성을 추가하는 작업 없이 확산시트를 이용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공정의 단축과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홀 메움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잉크가 상기 관통홀의 전방에서 채워지는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상기 아웃 플레이트 전면에서 볼 때 잉크가 기포에 의해 채워지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홀 메움부재가 상기 관통홀의 전면을 완전히 채우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외관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청소시 이물질이 상기 관통홀에 끼거나 빛의 투과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잉크가 상기 관통홀의 전면에서 채워지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홀 메움부재의 완전한 경화 후 상기 제 2 보호 필름의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보호 필름을 부착하더라도 상기 제 2 보호 필름의 접착제와 상기 홀 메움부재간의 반응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 2 보호 필름의 제거시 상기 홀 메움부재의 전면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외관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어의 디스플레이부 및 터치 조작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어의 아웃 플레이트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어로부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
도 6은 도 2의 6-6' 단면도이다.
도 7은 도어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커버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터치 어셈블리, 이너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8-8'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아웃 플레이트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의 펀치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펀치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펀치가 상기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를 관통하여 관통홀이 형성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의 다이를 상방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4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의 스트리퍼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5는 상기 관통홀의 성형후 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고 16은 상기 관통홀을 상방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17은 상기 관통홀을 하방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18은 상기 도 16의 18-18' 단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일 예로 스테인레스 강판에 상기 관통홀을 형성한 전면, 후면 및 단면의 사진이다.
도 20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일 예로 피시엠 강판에 상기 관통홀을 형성한 전면, 후면 및 단면의 사진이다.
도 21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일 예로 브이시엠 강판에 상기 관통홀을 형성한 전면, 후면 및 단면의 사진이다.
도 22는 상기 관통홀에 홀 메움부재가 채워지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은 상기 관통홀에 홀 메움부재가 채워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4는 상기 홀 메움부재가 형성된 강판의 제 1 보호 필름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5는 상기 홀 메움부재가 형성된 강판에 제 2 보호필름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6은 완성된 아웃 플레이트의 관통홀을 확대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그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바텀 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 구비되는 한쌍의 냉장실 도어 중 일측의 냉장실 도어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은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방향을 정의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그와 반대되는 캐비닛(10)의 높은 면을 향하는 방향을 상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20)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그리고 상기 도어(20)를 기준으로 캐비닛(10)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의되지 않는 방향을 이야기 하고자 할 때에는 각 도면을 기준으로 방향을 정의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장착되어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20a,20b)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저장공간은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방에 냉장실이 형성되고, 하방에 냉동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의 개구된 전면에는 각각의 공간을 개폐하는 다수의 도어(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슬라이딩 또는 회전 방식으로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을 차폐하는 한쌍의 냉장실 도어(20,20a)와 냉동실을 차폐하는 한쌍의 냉동실 도어(2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0,20a)와 냉동실 도어(20b)는 모두 좌우 양측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좌우양측의 상기 냉장실 도어(20,20a) 중 우측의 냉장실 도어(20a)는 별도의 도어 저장 공간과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도어와 상기 메인 도어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의 일부는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구성되어 도어 저장 공간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좌측의 냉장실 도어(20)에는 사용자의 조작 및 식별이 용이한 높이에 디스플레이부(211)와 터치 조작부(212)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1)와 터치 조작부(212)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므로, 좌측의 상기 냉장실 도어(20)를 도어(20)라 부르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좌측의 냉장실 도어(2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부(211)와 터치 조작부(212)가 구비될 수 있는 모든 도어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도어의 디스플레이부 및 터치 조작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20)는 전체적으로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21)와,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22)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캡 데코(23)의 결합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아웃 플레이트(21)는 상기 도어(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상의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21)는 스테인레스 강판, 또는 스테인레스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된 컬러 강판(VCM, PCM)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는 대략 0.5mm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20)의 전면에는 지문방지 처리가 되거나, 특정 색상이나, 패턴, 문양이 표현될 수 있으며, 메탈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헤어라인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는 디스플레이부(211)와 터치 조작부(21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1)는 냉장고(1)의 작동 상태를 외부로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어(20)의 내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면서 기호 또는 숫자 등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외부에서 이를 통해 냉장고(1)의 동작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211)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213)에 의해 외부로 보여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1)는 숫자나 기호를 나타낼 수 있도록 일정한 배치로 연속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213)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데, 다수의 상기 관통홀(213)들의 집합은 7 세그먼트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특정 기호나 문양의 형상, 글자를 나타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관통홀(213)는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의 관통홀들(312,614)의 배치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의 발광부재(511)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에 형성되는 관통홀(213)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에 구비되는 관통홀(312,614)들과 구별될 수 있도록 제 1 관통홀(213)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213)은 직경이 작은 미세한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관통홀(213)은 0.4mm ~ 0.7mm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이저 가공, 에칭 또는 엔시티(NCT)가공 등에 의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213)은 그 크기가 미세하고, 내부에 홀 매움부재(214)가 채워져 있어 상기 발광부재(511)가 켜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외부로 잘 드러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재(511)가 온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관통홀(213)은 빛이 투과되면서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관통홀(213)들 중 빛이 조사되는 상기 발광부재(511)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일부의 상기 제 1 관통홀(213)들을 통과하여 빛이 조사될 수 있으며, 빛이 조사되는 상기 제 1 관통홀(213)들은 특정 숫자나 문자 모양 등을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발광부재(511) 중 적어도 일부가 점등될 경우,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홀(213) 중 점등된 상기 발광부재(511)와 대응하는 상기 제 1 관통홀(213)들은 빛이 투과되면서 외부로 보여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노출되는 상기 제 1 관통홀(213)들의 조합에 의해 특정한 숫자로 표현될 수 있으며 문자 또는 그림 등으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재(511)가 오프되어 상기 도어(20)의 내부에서 빛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211)가 잘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재(511)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20)에 상기 디스플레이부(211)와 같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지 않은 것과 같은 외관을 가지게 된다.
상기 터치 조작부(212)는 사용자가 냉장고(1)의 동작을 위해 조작을 입력하는 부분으로 상기 도어(20)의 전면 일부 영역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211)의 하방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1)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조작부(212)는 누름 조작이 감지될 수 있는 부분이 인쇄처리되거나 에칭 등과 같은 표면 가공을 통해 사용자에게 조작 부위가 보일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조작부(212)와 대응하는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터치 센서 어셈블리(7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기 터치 조작부(212)의 누름 조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와 터치 센서 어셈블리(70)의 배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도어의 아웃 플레이트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도어로부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2의 6-6'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는 아웃 플레이트(21)와 도어 라이너(22) 및 캡 데코(23)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와 도어 라이너(22) 및 캡 데코(23)가 결합된 상기 도어(20)의 내부 공간에는 단열재(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24)는 발포액을 주입하여 발포 성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디스플레이 커버(30),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와 터치 센서 어셈블리(70)의 장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 케이스(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25)는 상단이 상기 캡 데코(23)의 하면과 결합되고, 전면 둘레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와 결합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25)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도어(20)에 발포액의 주입될 때 발포액이 침투되지 않도록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7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의 장착을 위해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내측 공간에는 디스플레이 커버(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배면에 밀착되어 장착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구되어 상방에서 하방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의 상단과 상기 캡 데코(23) 사이에는 보강판(2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판(26)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배면에 부착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25) 내측 공간으로 아웃 플레이트(21)가 굴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개구된 상면은 상기 캡 데코(23)에 형성된 데코 개구(231)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 개구(231)는 데코 커버(23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 커버(232)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를 상기 이너 케이스(25) 내측의 공간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는 상면이 개구되고, 상기 이너 케이스(25) 내측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삽입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의 개구된 상면으로 삽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는 자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의 내측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 커버(232)가 상기 데코 개구(231)를 차폐하도록 장착될 때 상기 데코 커버(232)의 하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의 상단을 눌러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완전히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도록 안내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와 디스플레이 커버(30)는 서로 접하거나 형합되는 다수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의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 내측에서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의 발광부재(511)와 제 3 관통홀(614),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의 제 2 관통홀(312)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제 1 관통홀(213)이 서로 연통되도록 정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재(511)가 온되면, 상기 발광부재(511)에서 조사되는 빛은 차례로 제 3 관통홀(614), 제 2 관통홀(312) 및 제 1 관통홀(213)을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조사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어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커버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터치 어셈블리, 이너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20)의 내부에는 이너 케이스(25)가 장착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내측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에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와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7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는 케이스 상면(521)과 케이스 전면(252)이 형성되며, 내측에 전방과 상방으로 개구된 공간(250)을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 상면(251)은 상기 캡 데코(23)와 접하며, 케이스 전면(252)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후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전면(252)은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공간(250) 상단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후면에는 전체적으로 보강 리브(256)가 배치되어 상기 단열재(24)의 성형시 압력에 상기 이너 케이스(25)가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상측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25) 내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70)와 연결되는 전선들이 출입되는 전선 홀(253)이 측방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공간 좌우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커버 지지부(2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지지부(255)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를 후방에서 지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가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지지부(255)의 상측에는 측방으로 함몰된 케이스 홈(25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홈(254)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 상단의 어퍼 가이드(321)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내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는 커버 전면(31)이 아웃 플레이트(21)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전면(31)과 이격된 커버 후면(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전면(31)과 커버 후면(33)을 연결하는 커버 둘레면(32)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에는 다수의 제 2 관통홀(312)이 형성되는 커버 라이트 가이드(3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전면(31)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70)가 장착되는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4)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는 상기 발광부재(511) 등이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피시비(50)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50)가 고정 장착되며, 상기 도어(20)의 외측에서 상기 데코 개구(231)를 통해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은 손잡이부(66)와, 좌우 양측에서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는 제 1 사이드 연장부(62) 및 제 2 사이드 연장부(63) 그리고 상기 제 1 사이드 연장부(62)와 제 2 사이드 연장부(63)의 사이를 연결하는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는 상기 제 2 관통홀(312)과 연통되는 제 3 관통홀(6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66)에는 와이파이 모듈(41)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70)는 터치 센서(712)가 장착되는 터치 피시비(71)와, 상기 터치 피시비(7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72) 그리고 상기 터치 피시비(71)를 차폐하는 터치 커버(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2)와 터치 피시비(71) 및 터치 커버(73)는 차례로 상기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4)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의 동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211)가 가시화되는 상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도 2의 8-8'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중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유도하고자 하거나,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재(511)가 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11)는 불이 켜지면서 가시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11)를 구성하는 다수의 제 1 관통홀(213)들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11)는 특정 숫자나 문자, 기호 또는 모향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의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발광부재(511)가 점등되면, 상기 발광부재(511)에 의해 조사되는 빛은 정렬 상태로 결합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와 디스플레이 커버(30)에 의해서 상기 제 3 관통홀(614)과 제 2 관통홀(312) 및 제 1 관통홀(213)을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조사된다.
이때, 상기 발광부재(511)이 구비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50)는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에 수용되고, 상기 체결 돌기(67)와 체결 홀(512)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기 발광부재(511)의 빛이 제 3 관통홀(614)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는 상기 제 2 관통홀(312) 내측에 다수의 제 1 관통홀(213)들이 정렬 상태가 되도록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에 결합된 상택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관통홀(312)을 통과한 빛은 상기 제 2 관통홀(312) 내측 영역의 제 1 관통홀(213)들을 통과하여 외부로 빛이 조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사이에는 확산 시트(28)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 1 관통홀(213)을 통과하는 빛이 보다 밝게 되어 상기 제 1 관통홀(213)이 보다 선명하고 밝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관통홀(213) 내측에는 투명한 홀 메움부재(214)가 구비되어 있으며, 조사되는 빛은 상기 홀 메움부재(214)를 통과하여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의 내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 및 디스플레이 커버(30)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될 때 서로 결합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는 정렬 상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관통홀(614)을 통과하는 빛은 모두 제 2 관통홀(312)로 안내될 수 있으며, 빛이 새지 않고 모두 상기 제 1 관통홀(213)로 안내되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아웃 플레이트(21)에 관통홀(213)과 홀 메움부재(215)가 형성되는 아웃 플레이트(21) 제조 방법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방향을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21)를 바닥에 놓았을 때 상기 냉장고의 전면과 대응하는 방향을 상면 또는 상방이라 할 수 있으며, 그와 반대되는 방향을 하면 또는 하방이라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아웃 플레이트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웃 플레이트(21)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재 강판(100)을 입고하여 가공을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소재 강판(100)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21) 형상으로 성형되기 전의 구성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소재 강판(100)에 상기 홀 메움부재(215)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20)와 조립 가능하게 최종 가공된 상태의 아웃 플레이트(21)와 구별될 수 있다.
상기 소재 강판(100)은 롤 상태에서 시트 형상으로 절단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13)의 형성을 위해서는 상기 소재 강판(100)의 반복적인 수평방향 이동이 보장되어야 하므로 상기 소재 강판(100)은 반드시 시트 형상으로 절단된 상태로 한장씩 공급되어야 한다. 일 예로, 상기 소재 강판(100)은 판금 가공 전의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와 동일한 사이즈로 절단되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소재 강판(100)은 강판(101)과 상기 강판(101)의 전면에 제 1 보호 필름(102) 부착된 제 1 보호 필름(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판(101)은 일반적으로 냉장고(1) 또는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스테인레스 강판 또는 피시엠(PCM:Pre-coated Metal) 및 브이시엠(VCM:Vinyl Coated Metal) 강판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재 강판(100)은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강판(101)의 전면에 외장층(103)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외장층(103)의 전면에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이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은 상기 강판(101)의 이송 및 보관시 상기 강판(101)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소재 강판(100) 입고시 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은 대략 60㎛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강판(101) 표면의 보호는 물론 상기 홀 메움부재(215)의 성형시에는 마스킹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소재 강판(100)은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이 부착된 상태로 입고되며, 이때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이 상방을 바라보도록 상기 소재 강판(1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은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관통홀(213)의 성형시 상기 펀치(110)에 의해 강판(101)과 함께 타공되기 때문에 타공시 성형성이 좋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S100]
입고된 상기 소재 강판(100)은 홀 가공장치에 의해 상기 관통홀(213)이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홀 가공 장치는 NCT(Numerical control turret punch press)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NCT장치에 상기 관통홀(213)을 성형하기 위해 설계된 펀치(110)와 스트리퍼(120) 및 다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펀치(110)와 스트리퍼(120) 및 다이(130)를 포함한 구성들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2)(이하 '제조 장치(2)'라 함)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소재 강판(100)은 1장씩 상기 다이(130)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다이에 상기 소재 강판(100)이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다이(130) 상방의 펀치(110)와 스트리퍼(120)가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관통홀(213)을 1개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재 강판(100)은 다음 관통홀(213)을 가공하기 위해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211)를 형성하는 모든 상기 관통홀(213)들을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성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펀치(110)와 스트리퍼(120)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고속으로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관통홀(213)을 성형하고, 상기 다이(130)는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재 강판(100)이 상기 관통홀(213)이 형성될 수 있도록 위치를 바꾸면서 빠르게 수평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재 강판(100)은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따라서 상기 펀치(110)는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과 상기 강판(101)을 한꺼번에 관통하여 상기 제 1 관통홀(213)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213)이 성형된 상태에서도 상기 강판(101)의 전면에는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관통홀(213)은 대략 0.4 ~ 0.7 mm의 직경을 가지는 미세한 크기로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213)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11)를 형성하기 위해서 하나의 소재 강판(100)에 수십에서 수백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숫자나 문자 또는 기호 도형 등을 형성하기 위해서 다수개가 소정의 여역 내에 밀집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상기 관통홀(213)을 연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소재 강판(100)은 반복적으로 상기 다이(130)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펀치(110)에 의한 상기 관통홀(213) 성형시 상기 관통홀(213)의 후단에 형성되는 버(Burr)들이 모두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즉, 별도의 후가공 처리할 필요 없이 상기 제조 장치(2)에 의한 상기 관통홀(213)의 성형 가공만으로 상기 관통홀(213)의 배면 둘레가 매끈한 아웃 플레이트(21)의 제조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13)의 성형 및 상기 관통홀(213)의 버가 제거되는 공정은 상기 제조 장치(2)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아래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S200]
한편, 상기 관통홀(213)이 형성된 상기 소재 강판(100)은 이송되어 상기 관통홀(213)의 내측에 상기 홀 메움부재(215)가 형성되기 위한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재 강판(100)의 배면에는 상기 확산시트(28)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213)의 내측에 액상의 잉크가 상기 소재 강판(100)의 전면에서부터 채워지게 된다.
일 예로, 상기 잉크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자외선 경화 수지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크스크린 방식으로 다수의 상기 관통홀(213)의 내부를 한꺼번에 채울 수 있다. 이때, 상기 강판(101)의 전면에 부착된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은 상기 관통홀(213)을 제외한 상기 강판(101)의 전면 전체를 커버하고 있으므로 마스킹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홀 메움부재(215)의 성형을 위해서 추가의 마스킹을 형성하거나 상기 강판(101)의 배면에 별도의 잉크를 막아주기 위한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도 이미 부착된 상기 확산시트(28)과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을 이용하여 상기 관통홀(213)에 잉크를 채워 넣을 수 있게 된다. [S300]
상기 관통홀(213)에 잉크를 채워 넣은 후에는 상기 잉크를 경화시키게 된다. 상기 잉크의 효과적인 경화를 위해서 상기 소재 강판(10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잉크를 건조시키게 된다. 상기 잉크가 완전히 건조되어 굳게 되면 상기 관통홀(213)의 내부에는 상기 홀 메움부재(215)가 성형되어 상기 관통홀(213)을 완전히 채우게 된다. 이때, 상기 홀 메움부재(215)는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S400]
한편, 상기 홀 메움부재(215)가 완전히 경화되면,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은 제거 된다. 그리고, 상기 강판(101)의 전면에는 상기 터치 조작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조작부(212)는 상기 터치 센서(712)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강판(101)의 전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터치 조작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이 제거된 상기 강판(101)의 표면에 상기 터치 조작부(212)가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터치 조작부(212)는 인쇄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강판(101) 표면을 가공하여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강판(101)의 전면에 상기 터치 조작부(212)를 형성한 후에는 상기 강판의 전면에 제 2 보호 필름(104)을 부착하게 된다. 상기 제 2 보호 필름(104)은 상기 홀 메움부재(215)를 포함한 상기 강판(101)의 전면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보호 필름(104)의 부착으로 상기 소재 강판(100)은 다수의 장이 적재된 상태로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강판(101)의 표면이 손상되거나 상기 홀 메움부재(215)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보호 필름(104)은 상기 강판(101)의 전면을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강판(101)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이나 코팅이 형성된 경우 해당되는 표면과의 부착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S500]
상기 제 2 보호 필름(104)이 부착된 상태의 상기 소재 강판(100)은 최종적인 형상의 가공을 위해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된 상태의 소재 강판(100)은 상기 도어(20)와의 조립을 위한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소재 강판(100)은 판금 가공에 의해 상기 도어(20)와 조립 가능한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강판(101)의 표면에 부착된 제 2 보호 필름(104)은 상기 소재 강판(100)이 상기 도어(20)와 조립된 후에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보호 필름(104)이 제거된 상태의 강판(101)을 아웃 플레이트(21)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21)는 상기 도어(20)와 조립되어 상기 도어(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 2 보호 필름(104)은 상기 소재 강판(100)이 상기 도어(20)를 구성하기 위해 조립된 후 최종적으로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될 때에 제거될 수도 있다. [600]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홀(213)의 성형 과정 및 상기 관통홀(213)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 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의 펀치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펀치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펀치가 상기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를 관통하여 관통홀이 형성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의 다이를 상방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의 스트리퍼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기 관통홀의 성형후 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조 장치(2)는 상기 펀치(11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소재 강판(100)의 이동을 거리를 수치 제어할 수 있는 NCT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미세한 크기의 상기 관통홀(213)의 성형을 위해서 상기 펀치(110)와 스트리퍼(120) 및 다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 장치(2)의 다른 구성은 일반적인 NCT장치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아래에서는 상기 제조 장치(2)의 구성 중 상기 소재 강판의 가공을 위한 상기 펀치(110)와 스트리퍼(120) 및 다이(13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 펀치(110)와 스트리퍼(120) 및 다이(130)는 일반적인 구조와 달리 미세한 크기를 가지는 상기 관통홀(213)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펀치(110)는 상기 소재 강판(100)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213)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트리퍼(120)의 안내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펀치(110)는 상기 소재 강판(100)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고, 반복적인 사용에도 변형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매우 높은 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펀치(110)는 초경합금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펀치(11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봉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펀치(110)는 헤드부(111)와 인선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헤드부(111)는 상기 펀치(110)의 주요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스트리퍼(120)의 내측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11)는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선부(112)는 실질적으로 상기 소재 강판(100)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213)이 성형되도록 가공하는 부분이다. 상기 인선부(112)는 상기 헤드부(111)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213)의 직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인선부(112)의 직경은 0.4mm ~ 0.7 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선부(112)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동일한 직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인선부(112)가 형성되는 상기 헤드부(111)의 하단은 경사 또는 라운드 지도록 형성되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선부(112)와 헤드부(111)는 동일한 중심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헤드부(111)가 상기 스트리퍼(120)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이 가이드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소재 강판(100)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퍼(120)는 상기 펀치(1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편, 상기 소재 강판(100)을 상방에서 눌러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리퍼(120)는 상기 펀치(110)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관통홀(213)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트리퍼(120)가 먼저 상기 소재 강판(100)과 접하는 위치까지 이동되고, 이후 상기 펀치(110)가 상기 스트리퍼(12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하방으로 더 이동되어 상기 인선부(112)가 상기 소재 강판(100)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213)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스트리퍼(120)는 길이가 긴 상기 펀치(11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인선부(112)가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면서 상기 소재 강판(100)을 관통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트리퍼(120)는 상기 헤드부(111)를 가이드하는 스트리퍼 바디(121)와, 상기 인선부(112)를 가이드하는 스트리퍼 플레이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퍼 바디(121)는 상기 스트리퍼(120)의 대부분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헤드부(111)의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리퍼 바디(121)의 중앙에는 바디 안내부(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안내부(121a)는 상기 스트리퍼 바디(121)의 중앙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헤드부(111)의 직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부(111)는 상기 스트리퍼 바디(121)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바디 안내부(121a)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부(111)의 길이는 상기 펀치(110)의 전체 길이를 대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펀치(110)의 상하 이동시 상기 펀치(110)가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122)는 상기 스트리퍼(12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스트리퍼 바디(121)의 하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122)는 상기 스트리퍼 바디(121)의 하단과 이격된 하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인선부(112)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122)의 중앙에는 상기 인선부(112)가 통과되는 플레이트 안내부(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안내부(122a)는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122)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인선부(112)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 안내부(122a)의 내경은 상기 인선부(112)의 직경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펀치(110)의 상하 이동시 상기 인선부(112)의 유동을 방지하고 정확한 위치에서 상기 관통홀(213)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안내부(122a)의 상단에는 경사부(12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22b)는 상기 인선부(112)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레이트 안내부(122a)의 중앙을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 안내부(122a)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펀치(110)는 도 10과 같이 상기 펀치(110)의 하강이 시작되기 전에는 상기 스트리퍼(120)의 내측에 위치되며, 특히 상기 인선부(112)의 하단은 상기 플레이트 안내부(122a)의 내측에 위치되되 상기 경사부(122b)의 영역 또는 상기 경사부(122b)의 하단보다 더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펀치(11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인선부(112)가 상기 플레이트 안내부(122a)의 내측의 중앙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213)을 정확한 위치에서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펀치(110)가 완전히 하강하게 되면, 상기 인선부(112)의 하단은 상기 스트리퍼(120)의 하단을 지나 상기 소재 강판(100) 즉,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과 상기 강판(101)을 차폐로 관통하면서 상기 관통홀(213)을 성형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소재 강판(100)은 상기 다이(130)에 안착된 상태로 하면은 상기 다이(130)에 의해 지지되고, 상면은 상기 스트리퍼(120)에 의해 눌려진 상태로 고정된다.(도 11에서 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펀치(110)가 더 하강되면서 상기 인선부(112)가 상기 소재 강판(100)을 관통하게 된다.(도 11에서 ②)
한편, 상기 다이(13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다이(130)의 상면에 상기 소재 강판(10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소재 강판(100)의 위치는 상기 제조 장치(2)에 의해 설정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소재 강판(100)은 상기 제조 장치(2)의 베드(미도시)에 안착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다이(130)의 상면과 접하는 상태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다이(130)에는 다이 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이 홀(131)은 상기 펀치(110)의 하단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다이(13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 홀(131)은 상기 다이(130)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재 강판(100)에 상기 관통홀(213)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펀치(11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인선부(112)의 하단은 상기 다이 홀(131)의 내측까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이 홀(131)의 내경(Dh)은 상기 펀치(110)의 인선부(112) 외경(Dp)보다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설정된 공차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공차는 상기 강판(101) 두께의 10%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강판(101)의 두께가 0.5mm 일 때 상기 공차는 0.05mm 가 될 수 있다. 상기 공차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상기 인선부(112)의 원활한 상하 이동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상하로 반복적이고 고속으로 이동되는 상기 펀치(110)의 특성상 적절한 공차 관리를 통해서 연속적인 상기 관통홀(213)의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공차가 너무 큰 경우 상기 관통홀(213)의 크기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상기 강판(101)은 상기 아웃 도어(2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대략 0.3 mm ~ 0.7mm 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다이 홀(131)의 내경(Dh)은 상기 소재 강판(100)의 두께와 공차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다이 홀(131) 하부는 상기 다이 홀(131)의 상단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213)의 성형시 발생되는 상기 소재 강판(100)의 조각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다이 홀(131)의 상면에는 다이 돌출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이 돌출부(132)는 상기 관통홀(213)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관통홀(213)과 동심을 가지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이 돌출부(132)는 두께가 얇은 상기 소재 강판(100)을 상기 펀치(110)로 가공하게 될 때, 상기 관통홀(213)의 주변부가 하방으로 눌려지게 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금속 소재의 아웃 플레이트(21)는 미세한 굴곡이 발생하더라도 소재의 특성상 굴곡진 부분이 쉽게 눈에 띌 수 있으므로 상기 관통홀(213)의 성형시에도 상기 소재 강판(100) 자체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수십 또는 수백개의 관통홀(213)이 밀집된 영역에서 성형되는 과정에서 상기 소재 강판(100)의 변형은 필연적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 돌출부(132)를 상기 관통홀(213)의 주위에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다이 홀(131)의 상면을 기준으로 설정 높이(H)만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다이 돌출부(132)의 상면은 상기 다이(130)의 상면과 평행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재 강판(100)을 하방에서 지지하게 된다.
상기 다이 돌출부(132)는 상기 관통홀(213)의 주변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일 예로, 상기 설정 높이(H)는 대략 3㎛ ~ 10㎛가 될 수 있다. 상기 다이 돌출부(132)가 너무 높을 경우에는 상기 다이 돌출부(132)의 둘레에 의해 상기 소재 강판(100)이 눌려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다이 돌출부(132)가 너무 낮을 경우에는 상기 관통홀(213) 주변부 변형에 대한 보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세히, 상기 펀치(110)가 상기 관통홀(213)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소재 강판(100)을 관통하게 될 때, 상기 다이 돌출부(132)와 대응하는 상기 소재 강판(100)의 관통홀(213) 둘레 영역을 미세하게 상방으로 밀어올려 상기 소재 강판(100)이 하방으로 눌려지는 것을 상쇄하게 된다. 결국, 상기 소재 강판(100)은 상기 관통홀(213)의 주변부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상기 관통홀(213)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과정에서도 상기 소재 강판(100)에 굴곡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 돌출부(132)는 상기 관통홀(213)의 가공시 이미 성형된 이웃하는 관통홀(213)과의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수의 관통홀(213)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서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다이 돌출부(132)의 외측단은 이웃 하는 상기 관통홀(213) 까지 연장되지 않고, 상기 관통홀(213)들의 사이 영역에 그 단부가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이 돌출부(132)의 직경은 상기 관통홀(213)의 직경보다는 더 크고 상기 관통홀(213)의 사이즈에 상기 관통홀(213)들 사이 거리의 2배를 더한 길이보다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펀치(110)가 상기 관통홀(213)을 성형하기 위해 상기 소재 강판(100)을 관통하게 될 때 상기 스트리퍼(120)는 소재 강판(100)을 상방에서 누르게 된다. 상기 스트리퍼(120)의 하면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소재 강판(1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퍼(120)는 상기 소재 강판(100)의 종류에 따라서 그 형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 개시된 상기 스트리퍼(120)는 상기 소재 강판(100)으로 스테인레스가 사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스트리퍼(120)의 하면에는 스트리퍼 함몰부(122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리퍼 함몰부(122c)는 상기 소재 강판(100)이 상기 스테인레스 강판 보다 강도가 더 높은 브이시엠(VCM) 또는 피시엠(PCM) 강판으로 형성된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리퍼 함몰부(122c)는 상기 펀치(110)가 상기 소재 강판(100)을 관통하게 될 때 상기 다이 돌출부(132)의 상방으로 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관통홀(213)의 둘레에 상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보다 커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강도가 높은 상기 소재 강판(100)을 관통하게 될 때 상기 관통홀(213)의 둘레가 하방으로 눌려지면서 변형되는 부분을 상방으로 밀어올려 보다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트리퍼 함몰부(122c)는 상기 플레이트 안내부(122a)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리퍼 함몰부(122c)의 폭(Ws)은 상기 다이 돌출부(132)의 폭(Wd)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방에서 바라 볼 때, 상기 다이 돌출부(132)는 상기 스트리퍼 함몰부(122c)의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리퍼 함몰부(122c)의 둘레는 경사 또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트리퍼 함몰부(122c)는 상기 스트리퍼 함몰부(122c)의 외측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 또는 라운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서 상기 스트리퍼(120)와 상기 다이(130) 사이에 상기 소재 강판(100)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트리퍼(120)와 펀치(110)가 상기 소재 강판(100)을 누르게 되더라도 상기 스트리퍼 함몰부(122c)와 상기 다이 돌출부(132)의 둘레 사이에 상기 소재 강판(100)이 끼거나 변형되는 전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리퍼(120)의 하면의 크기는 상기 스트리퍼 함몰부(122c)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다이 돌출부(132) 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스트리퍼(120)가 상기 소재 강판(100)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이웃 하는 상기 관통홀(213) 둘레의 버가 눌려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트리퍼(120)는 상기 펀치(110)에 의해 가공되는 상기 관통홀(213)을 포함하여 적어도 이웃하는 하나 이상의 성형된 상기 관통홀(213)을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트리퍼(120)의 하면 직경은 적어도 두개의 관통홀(213)의 직경과 상기 관통홀(213)들의 사이 거리를 더한 길이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트리퍼(120)가 상기 관통홀(213)의 가공을 위해 상기 소재 강판(100)을 누르게 되면, 가공되는 상기 관통홀(213)에 이웃하는 이미 성형된 상기 관통홀(213)을 상방에서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213)의 둘레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버들이 눌려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수의 상기 관통홀(213)이 가공되는 동안에 연속하여 상기 스트리퍼(120)는 상기 소재 강판(100)을 반복하여 누르게 되고 따라서 상기 버들은 연속적으로 눌려지게 되어 결국 상기 소재 강판(100)의 배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고, 상기 소재 강판(100)의 배면은 평탄화 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상기 관통홀(213)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상기 펀치(110)와 스트리퍼(120) 및 다이(13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소재 강판(100)이 수치 입력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매우 빠르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상기 소재 강판(100)은 상기 다이(130)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빠르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재 강판(100)이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홀(213) 배면의 버와 같이 돌출된 부분이 평탄화 될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소재 강판(100)은 다수의 상기 관통홀(213)이 형성될 때마다 상기 다이 상면에서 수평 이동하게 되고, 상기 펀치(110)와 스트리퍼(120)는 연속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관통홀(213)의 배면에 돌출된 버가 부분 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소재 강판(100)은 상기 다이(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213)이 하나씩 형성될 때마다 상기 다이(130)의 상면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재 강판(100)이 이동되는 위치는 이웃하는 다른 상기 관통홀(213)이 형성되는 위치가 될 것이며, 따라서 수십㎛ ~ 수mm 이내에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213)들은 좁은 영역에 밀집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소재 강판(100)은 반복적으로 상기 관통홀(213)의 개수만큼 즉, 수십에서 수백번을 수평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213)이 상기 인선부(112)에 의해 형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소재 강판(100)의 전면부와 가까운 상기 관통홀(213)의 상부는 상기 인선부(112)의 치수와 동일한 절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관통홀(213)의 하부는 파단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213)의 둘레를 따라서 후방으로 돌출된 버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버가 발생된 상태로 상기 소재 강판(100)이 적재되거나 이동되는 경우에는 적재된 다른 소재 강판(100)의 표면을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확산시트(28)의 부착이 견고하지 못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확산시트(28)가 떨어지거나 상기 홀 메움부재(215)의 성형시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는 반드시 제거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소재 강판(100)은 상기 다이(130)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반복적으로 수평 이동되며, 따라서 이 과정에서 돌출된 버는 상기 다이 돌출부(132)의 둘레와 지속적으로 접하면서 긁히게 되고, 연속적인 상기 펀치(110)의 상하 이동시 상기 다이 돌출부(132)에 의해 눌려지게 되면서 상기 버가 제거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관통홀(213)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소재 강판(100)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버가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소재 강판(100)의 배면 특히 상기 관통홀(213)의 배면 둘레는 버가 없는 매끈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상기 관통홀(213)이 형성되기 위해서 상기 소재 강판(100)이 상기 다이(130)를 따라 반복적으로 수평 이동되는 공정을 버 제거 공정이라 부를 수도 있으며, 상기 버 제거 공정은 다수의 상기 관통홀(213)이 형성되는 공정 동안에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상기 관통홀(213)의 성형이 모두 완료된 시점에서는 상기 관통홀(213)의 배면 둘레는 평면 형상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소재 강판(100)의 배면에 별도의 버 제거를 위한 공정을 추가로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이하에서는, 성형된 상기 관통홀(213)의 형상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6은 상기 관통홀을 상방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7은 상기 관통홀을 하방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도 16의 18-18'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소재 강판(100)에 상기 관통홀(213)이 성형 완료되면 상기 소재 강판(100)의 전면에는 상기 관통홀(213)이 설정된 직경(Df)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13) 전면의 직경(Df)은 상기 인선부(112)에 의해 항상 일정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재 강판(100)에 상기 홀 메움부재(215)가 형성되기 전까지는 상기 강판(101)의 전면에는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소재 강판(100)은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과 강판(101)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펀치(110)는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과 상기 강판(101)을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213)을 성형하게 된다.
상기 인선부(112)에 의해 상기 관통홀(213)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213) 배면의 직경(Dr)은 상기 전면의 직경(Df)과 같거나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 배면부의 직경(Dr)은 상기 인선부(112)의 마모 정도 또는 상기 강판(101)의 경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매우 많은 수량의 상기 소재 강판에 상기 관통부를 연속적으로 가공하게 되어 상기 인선부(112)의 하단이 마모된 상태이거나, 상기 강판(101)이 경도가 낮은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관통홀(213)의 성형 과정에서 상기 관통홀(213)의 하단 일부가 파단이 일어나면서 상기 관통홀(21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관통홀(213) 배면의 직경(Dr)이 전면의 직경(Df)보다 다소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관통홀(213)의 전면과 배면의 직경의 차이는 육안으로는 구별할 수 없는 정도로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한편, 다수의 상기 관통홀(213)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홀(213)의 둘레에 형성된 버들은 마모되거나 눌려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213)의 배면 둘레 영역은 돌출된 부분이 없는 평면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213)의 배면 둘레에는 평탄화 영역(1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영역(125)은 상기 버가 상기 다이 돌출부(132)에 의해 마모되거나 눌려져 다져진 부분으로 상기 버가 제거되면서 형성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상기 평탄화 영역(125)은 상기 소재 강판(100)의 배면에서 돌출되지는 않지만, 마모에 의해서 상기 소재 강판(100)의 배면 다른 부분과는 다소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평탄화 영역(125)은 상기 관통홀(213)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며, 이때 상기 평탄화 영역(125)은 소정의 폭을 가지게 된다. 즉, 상기 소재 강판(100)의 후면을 바라보면, 상기 관통홀 배면의 직경(Dr)을 따라 하나의 원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13)과 동심을 가지는 더 큰 직경(Db)을 가지는 또 다른 원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213)의 배면은 상기 평탄화 영역(125)의 내측단에 해당하며, 상기 관통홀(213) 외측의 원은 상기 평탄화 영역(125)의 외측단이 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13)의 전면과 배면 그리고 평탄화 영역(155)의 직경들의 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관통홀(213) 전면의 직경(Df)은 가장 작은 크기가 되고, 상기 관통홀(213) 배면의 직경(Dr)은 상기 전면의 직경(Df)과 같거나 더 크게 되며, 상기 평탄화 영역(125) 외측단의 직경(Db)은 상기 관통홀(213) 배면의 직경(Dr)보다 더 크게 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기 소재 강판(100) 배면의 형상을 확인하게 되면 상기 관통홀(213)이 상기 제조 장치(2)를 이용하여 소재 강판(100)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관통홀(213)을 하나씩 연속적으로 가공한 것임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강판(101)의 종류에 따라 가공된 관통홀(213)의 형상을 확대 사진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9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일 예로 스테인레스 강판에 상기 관통홀을 형성한 전면, 후면 및 단면의 사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소재 강판(100)은 상기 스테인레스 강판(100a)과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을 포함하며, 상기 소재 강판(100)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213)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소재 강판(100)의 전면에는 소정의 직경(Df)를 가지는 관통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213) 배면의 직경(Dr1)은 상기 전면의 직경(Df)보다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인레스 강판(100a)은 브이시엠 강판 또는 피시엠 강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아 상기 관통홀(213)의 성형 과정에서 상기 관통홀(213)의 배면에서 파단이 일어나 그 직경(Dr1)이 다소 커질 수 있다. 물론, 단면을 촬영한 사진상에서는 그 차이가 큰 것으로 보일 수도 있으나, 실제 상기 관통홀(213) 전면과 배면 직경의 차이는 대략 0.06mm 정도로 육안으로 구별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213)의 배면 둘레를 따라서 상기 관통홀(213)과 동심을 가지는 평탄화 영역(125)이 소정의 폭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영역(125)의 외측단은 소정의 직경(Db1)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0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일 예로 피시엠 강판에 상기 관통홀을 형성한 전면, 후면 및 단면의 사진이다.
상기 소재 강판(100)은 피시엠 강판(100b)과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재 강판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소재 강판(100)의 전면에는 소정의 직경(Df)를 가지는 관통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213) 배면의 직경(Dr2)은 상기 전면의 직경(Df)과 거의 같으며, 실제 대략 0.001mm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엠 강판(100b)은 상기 스테인레스 강판 또는 브이시엠 강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아 상기 관통홀(213)의 성형 과정에서 상기 관통홀(213)의 배면까지 깔끔하게 전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213)의 배면 둘레를 따라서 상기 관통홀(213)과 동심을 가지는 평탄화 영역(125)이 소정의 폭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영역(125)의 외측단은 소정의 직경(Db2)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1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일 예로 브이시엠 강판에 상기 관통홀을 형성한 전면, 후면 및 단면의 사진이다.
상기 소재 강판(100)은 상기 브이시엠 강판(100c)과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재 강판(100)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213)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소재 강판(100)의 전면에는 소정의 직경(Df)를 가지는 관통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213) 배면의 직경(Dr3)은 상기 전면의 직경(Df)보다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이시엠 강판(100c)은 상기 피시엠 강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지만 상기 스트인레스 강판보다는 경도가 높아 상기 관통홀(213)의 성형 과정에서 상기 관통홀(213)의 배면에서 파단이 일어나 그 직경(Dr2)이 다소 커질 수 있다. 물론, 단면을 촬영한 사진상에서는 그 차이가 큰 것으로 보일 수도 있으나, 실제 직경의 차이는 0.01mm 정도로 육안으로 구별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213)의 배면 둘레를 따라서 상기 관통홀(213)과 동심을 가지는 평탄화 영역(125)이 소정의 폭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영역(125)의 외측단은 소정의 직경(Db3)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소재 강판들(100a,100b,100c)에서 상기 관통홀(213)의 크기는 육안으로 확인하였을 때 서로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관통홀(213)의 배면 둘레를 따라서 평탄화 영역(125)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재 강판(100)에 관통홀(213)을 형성한 후에는 상기 관통홀(213)의 내측에 홀 메움부재(215)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홀 메움부재(215)의 성형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2는 상기 관통홀에 홀 메움부재가 채워지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3은 상기 관통홀에 홀 메움부재가 채워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4는 상기 홀 메움부재가 형성된 강판의 제 1 보호 필름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5는 상기 홀 메움부재가 형성된 강판에 제 2 보호필름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6은 완성된 아웃 플레이트의 관통홀을 확대한 사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관통홀(213)이 형성된 상태에의 상기 소재 강판(100)은 상기 홀 메움부재(215)의 형성을 위해 이송될 수 있으며, 잉크를 상기 관통홀(213)에 채워넣은 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홀 메움부재(215)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 메움부재(215)는 실크스크린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쉬 스크린(140)에 잉크를 공급한 후 스퀴즈(150)로 밀어서 상기 다수의 관통홀(213)의 내부에 잉크를 채워 넣는 방식으로 전체 관통홀(213)의 내부를 동시에 채울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재 강판(100)은 전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잉크는 상기 관통홀(213)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서 채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213)의 개구된 배면에는 상기 확산시트(28)가 부착되어 상기 관통홀(213)에 채워지는 잉크가 상기 관통홀(213) 내부에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재 강판(100)은 강판(101)의 전면에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이 부착된 상태이며,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은 상기 관통홀(213)과 동일한 형상으로 천공되어있어 상기 관통홀(213)의 둘레에 잉크가 묻지 않도록 마스킹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소재 강판(100)은 외장층(10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장층(103)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전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강판(101)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이 부착되어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외장층(103)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에 의해 표현되는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 예로 색상을 나타내는 층, 금속 질감을 표현하기 위한 증착층 또는 헤어라인층, 지문 방지를 위한 내지문 코팅층 등 상기 강판(101)의 전면에 형성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다양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쉬 스크린(140)을 상기 소재 강판(100) 전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메쉬 스크린(140)은 다수의 상기 관통홀(213) 전체를 차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메쉬 스크린(140) 상면에 상기 잉크를 공급한 후 상기 스퀴즈(150)로 상기 메쉬 스크린(140)을 누르면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잉크는 상기 메쉬 스크린(140)을 통과하면서 상기 관통홀(213)의 내측에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잉크는 상기 관통홀(213)의 전방 즉, 개구된 전면을 통해서 주입되며, 상기 스퀴즈(150)에 의해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과 대응하는 높이까지 채워질 수 있게 된다. 다수의 상기 관통홀(213)은 동시에 동일한 높이로 채워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잉크는 상기 관통홀(213)의 전방에서 채워지게 되므로 상기 관통홀(213)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관통홀(213) 전면부에 미충전되는 부분이 없이 전방에서 볼 때 완전히 채워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확산시트(28)는 상기 관통홀(213)의 후면을 차폐하여 상기 잉크가 상기 관통홀(213)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후방에서부터 상기 관통홀(213)에 잉크를 채우게 될 경우 필연적으로 상기 관통홀(213)의 전면부에 기포에 의한 잉크의 미충전 부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외관의 불량이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관통홀(213)의 전면 부위에 상기 홀 메움부재(215)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이물질이 끼거나 빛의 투과가 일정하지 않아 상기 디스플레이부(211)의 외관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상기 강판의 전면에 시트를 부착하는 경우, 잉크가 경화된 후 상기 시트를 제거하게 되면 시트의 접착제와 반응된 경화된 잉크 즉, 상기 홀 메움부재의 일부가 시트와 함께 박리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한 외관의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홀 메움부재(215)는 상기 관통홀(213)의 전방에서부터 잉크가 채워지면서 형성되어 노출되는 전면부의 상기 관통홀(213)이 완전히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퀴즈(150)에 의해 상기 홀 메움부재(215)의 전면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면부의 확산시트(28)는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확산시트(28)를 제거할 필요가 없어 상기 홀 메움부재(215)의 박리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확산시트(28)와 접하는 상기 관통홀(213)의 후면부에 기포가 발생되더라도 상기 강판(101)의 후면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부분으로 전혀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잉크는 빛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경화된 상태에서 투명 또는 반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잉크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잉크는 UV잉크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잉크를 상기 관통홀(213)에 채워 넣은 후에는 UV램프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건조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 공정에 의해서 상기 잉크가 경화되어 상기 홀 메움부재(215)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잉크는 설정된 점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잉크의 점도가 너무 높게 되면 미세한 상기 관통홀(213)의 내부를 채우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잉크의 점도가 너무 낮게 되면 상기 잉크가 상기 관통홀(213)에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잉크가 제 1 보호 필름(102)과 상기 강판(101)의 전면 사이에 스며들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잉크가 적정한 점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관통홀(213) 내측면과 접착성이 우수하게 되어 경화된 상기 홀 메움부재(215)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잉크는 대략 500Cps ~ 10000Cps의 점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잉크의 점도는 상기 관통홀(213)이 형성되는 강판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소재 강판(100)으로 상기 스테인레스 강판(100a)과 피시엠(PCM)강판(100b)이 사용되는 경우 점도가 낮은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상기 관통홀(213)을 채울 수 있으며,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과 상기 강판(101)의 전면 사이로 잉크가 스며들지 않도록 대략 4000Cps 이하의 점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재 강판(100)으로 브이시엠(VCM)강판(100c)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과 상기 강판 뿐만 아니라 상기 브이시엠 강판(100c)의 표면의 코팅층과 철판의 사이에 잉크가 스며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기 잉크의 점도가 다소 높아야 하며 대략 400Cps ~ 10000Cps의 점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잉크가 상기 관통홀(213)을 완전히 채운 상태에서 상기 잉크의 경화가 완료되면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은 제거될 수 있다. 즉, 상기 상기 잉크가 경화되어 상기 홀 메움부재(215)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은 더이상 필요치 않게 되며, 상기 강판(101)의 표면에 터치 조작부(212)의 형성을 위해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잉크가 채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홀(213) 외측에 묻은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강판(101)의 전면에는 상기 홀 메움부재(215)만이 남게 된다. 측,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은 상기 잉크가 채워지는 공정 이전에는 상기 강판(101)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잉크가 채워지는 공정부터는 마스킹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상기 홀 메움부재(215)가 상기 강판(101)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의 두께(H1)만큼 돌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은 상기 강판(101)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으면서 가능한 얇은 두께(h1)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대략 50㎛ 이하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강판(101)의 전면에는 상기 터치 조작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조작부(212)는 상기 강판(101)의 전면에 인쇄 또는 표면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조작부(212)의 인쇄가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강판(101)의 전면에는 도 2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보호 필름(104)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강판(101)에 제 2 보호 필름(104)이 부착된 상태 또한 상기 아웃 플레이트(21) 이전의 상태이므로 소재 강판(100)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제 2 보호 필름(104)은 상기 소재 강판(100)의 전면이 적층된 상태로 보관 또는 이송되더라도 손상되지 않도록 충분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보호 필름(104)은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보호 필름(104)은 상기 홀 메움부재(215)를 포함한 상기 소재 강판(100)의 전면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보호 필름(104)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소재 강판(100)은 상기 도어(20)와 조립되기 전에 최종적으로 판금 가공에 의해 절곡되어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21)를 형성하여 상기 도어(20)에 조립된 후에는 상기 제 2 보호 필름(104)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 2 보호 필름(104)은 상기 잉크가 완전히 경화되어 상기 홀 메움부재(215)를 형성한 상태에서 부착되므로, 상기 제 2 보호 필름(104)의 접착제는 상기 홀 메움부재(215)와 반응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상기 제 2 보호 필름(104)을 제거하더라도 상기 홀 메움부재(215)가 박리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 2 보호 필름(104)을 제거한 상태에서는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홀 메움부재(215)가 아웃 플레이트(21)의 전면으로부터 다소 돌출된 형상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홀 메움부재(215)의 돌출 높이(H1)는 상기 제 1 보호 필름(102)의 두께와 대응하는 높이(H1)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홀 메움부재(215)가 상기 강판(101) 즉 아웃 플레이트(21)의 전면에서 돌출된 높이는 50㎛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 메움 부재(215)는 미세한 높이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볼 때 그 높이가 잘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홀 메움부재(215)의 둘레는 상기 잉크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수축이 발생하여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홀 메움부재(215)를 만지거나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청소를 위해 닦게 되더라도 상기 홀 메움부재(215)가 박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Claims (20)

  1. 저장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및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며, 금속 소재로 형성된 아웃 플레이트에 의해 전면 외관이 형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는,
    상기 도어 내부의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타공되며, 다수개의 조합에 의해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관통홀; 및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후면에서 상기 관통홀과 동심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평탄화 영역이 형성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영역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강판 후면이 마모되어 상기 강판 후면의 다른 영역에 비해 밝은 색상으로 형성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영역은 상기 관통홀들의 돌출된 둘레가 눌려져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영역의 내측단은 상기 관통홀의 개구된 후면에 의해 형성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개구된 후면의 직경은 상기 관통홀의 개구된 전면의 직경과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평탄화 영역은 상기 관통홀의 개구된 후면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는,
    상기 평탄화 영역을 포함한 상기 관통홀의 개구된 후면을 차폐하며, 빛이 확산 투과되는 확산시트가 부착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홀 메움부재가 채워지며,
    상기 홀 메움부재의 후면은 상기 확산시트에 의해 지지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메움 부재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전면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아웃 플레이트의 전면에 보호 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 타공 형성되고,
    상기 보호 필름은 홀 메움 부재를 전방에서 채워 넣은 후 제거되어,
    상기 홀 메움부재의 돌출 높이는 상기 보호 필름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는 스테인레스 강판, 피시엠 강판 또는 브이시엠 강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냉장고.
  11. 빛이 투과되는 관통홀들의 조합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도어의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강판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다이;
    상기 다이 상방에서 승강되어 상기 강판을 관통하며, 상기 다이에서 이동되는 상기 강판에 다수의 관통홀들을 하나씩 타공하는 펀치;
    상기 펀치가 통과되어 상기 펀치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펀치와 함께 승강되어 상기 강판을 상방에서 눌러 고정하는 스트리퍼;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의 상면에는 상기 펀치의 하단이 통과되는 다이 홀이 형성되며,
    상기 다이 홀의 둘레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관통홀들의 타공시 각 타공홀의 둘레를 가압하는 다이 돌출부가 형성되는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돌출부는 상기 타공홀의 가공시 이미 성형된 관통홀과 간섭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는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돌출부의 외측단은 타공되는 상기 관통홀과 이웃하는 관통홀 사이까지 연장되는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돌출부는 3㎛ ~ 10㎛ 높이로 돌출되는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보다 작은 크기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헤드부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강판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을 형성하는 인선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퍼는,
    상기 헤드부가 관통되며, 상기 헤드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스트리퍼 바디와;
    상기 스트리퍼 바디의 하방와 이격된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인선부가 통과되는 스트리퍼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는 상기 펀치의 하방 이동시 함께 이동되어 상기 강판의 상면을 누르는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함몰된 스트리퍼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트리퍼 함몰부는 상기 다이 돌출부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스트리퍼 함몰부의 내측에 상기 다이 돌출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00033461A 2020-03-18 2020-03-18 냉장고 및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 KR102474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461A KR102474961B1 (ko) 2020-03-18 2020-03-18 냉장고 및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
EP23193200.5A EP4253889A3 (en) 2020-03-18 2021-03-17 Method of manufacturing an outer plate for a refrigerator
EP21163055.3A EP3882544B1 (en) 2020-03-18 2021-03-17 Method of manufacturing an outer plate for a refrigerator
US17/204,132 US11890662B2 (en) 2020-03-18 2021-03-17 Method for manufacturing out plate for refrigerator
CN202110284515.9A CN113494831B (zh) 2020-03-18 2021-03-17 冰箱用外板的制造方法
US18/390,762 US20240116097A1 (en) 2020-03-18 2023-12-20 Method for manufacturing out plate for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461A KR102474961B1 (ko) 2020-03-18 2020-03-18 냉장고 및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085A KR20210117085A (ko) 2021-09-28
KR102474961B1 true KR102474961B1 (ko) 2022-12-06

Family

ID=7494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461A KR102474961B1 (ko) 2020-03-18 2020-03-18 냉장고 및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890662B2 (ko)
EP (2) EP4253889A3 (ko)
KR (1) KR102474961B1 (ko)
CN (1) CN113494831B (ko)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330244T2 (de) * 1992-12-07 2001-09-06 Fuji Photo Film Co Ltd Perforator für Metallplatten
KR100834073B1 (ko) * 2006-06-21 2008-06-02 광신금속(주) 철조망의 가시부 형성용 펀칭장치
CN101635117B (zh) * 2008-07-25 2015-06-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金属标识件的制作方法
KR20110101439A (ko) * 2010-03-08 2011-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 유닛
KR102183719B1 (ko) * 2013-04-08 2020-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US8960934B2 (en) * 2013-04-08 2015-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808993B2 (en) 2014-01-07 2020-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150081800A (ko) 2014-01-07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EP2975345B1 (en) * 2014-07-16 2019-01-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do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677334B1 (ko) * 2014-10-24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WO2016072802A1 (en) * 2014-11-07 2016-05-12 Lg Electronics Inc. Metal touch sens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having metal touch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39522B1 (ko) 2015-05-07 2016-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731724B1 (ko) 2015-10-16 2017-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37467A (ko) * 2015-09-25 2017-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EP3147609B1 (en) * 2015-09-25 2023-07-26 Lg Electronics Inc. A refrigerator door including an exterior member
KR101864825B1 (ko) * 2016-04-19 2018-06-05 주식회사 대우전자 냉장고 디스펜서용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방법
CN106016889A (zh) * 2016-05-20 2016-10-1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及其制造方法
KR102602658B1 (ko) * 2016-12-12 2023-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51391B1 (ko) * 2017-12-06 2023-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아웃 플레이트
CN110732591B (zh) * 2019-10-31 2021-01-15 宁波奥克斯厨电制造有限公司 一种冲头结构及冲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94831B (zh) 2022-12-16
EP4253889A2 (en) 2023-10-04
CN113494831A (zh) 2021-10-12
EP3882544B1 (en) 2023-09-06
EP3882544A1 (en) 2021-09-22
EP4253889A3 (en) 2023-12-27
US11890662B2 (en) 2024-02-06
US20210291251A1 (en) 2021-09-23
US20240116097A1 (en) 2024-04-11
KR20210117085A (ko)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7609B1 (en) A refrigerator door including an exterior member
KR102551391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아웃 플레이트
US20200240703A1 (en) External member for home appliances having light transmitting through-ho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2891854A1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5051474A (zh) 冰箱及其制造方法
KR102474961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용 아웃 플레이트 제조 장치
CN103545135A (zh) 发光按钮及其制造方法
KR20170040710A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EP1324362A2 (en) Film-integrated key top
KR102194300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45773A (ko)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
KR102273104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
KR102204405B1 (ko) 냉장고 도어
KR102265292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37467A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JP4695884B2 (ja) 弾球遊技機の遊技盤
KR100712664B1 (ko) 요철형상이 일체로 형성된 정보통신기기용 윈도우패널 및그 패널 제조방법
KR102509727B1 (ko)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80101943A (ko) 키패드용 도광판
CN110021491A (zh) 制造覆盖式键盘装置用键帽的方法
KR20110026890A (ko) 핸드폰 백라이트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