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710A -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 Google Patents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710A
KR20170040710A KR1020150140035A KR20150140035A KR20170040710A KR 20170040710 A KR20170040710 A KR 20170040710A KR 1020150140035 A KR1020150140035 A KR 1020150140035A KR 20150140035 A KR20150140035 A KR 20150140035A KR 20170040710 A KR20170040710 A KR 20170040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hole
metal plate
las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0032B1 (ko
Inventor
김성갑
문병천
김영우
김포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0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032B1/ko
Priority to EP16187178.5A priority patent/EP3147609B1/en
Priority to US15/763,069 priority patent/US10641542B2/en
Priority to CN201680055954.XA priority patent/CN108139141B/zh
Priority to EP16848836.9A priority patent/EP3355011B1/en
Priority to PCT/KR2016/009953 priority patent/WO2017052110A1/ko
Priority to US15/274,731 priority patent/US10054361B2/en
Priority to CN201910862382.1A priority patent/CN110595143A/zh
Priority to CN201610848931.6A priority patent/CN106996674B/zh
Publication of KR20170040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032B1/ko
Priority to US15/999,558 priority patent/US10520243B2/en
Priority to US16/712,171 priority patent/US10871322B2/en
Priority to US16/848,616 priority patent/US1130035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10Etching compositions
    • C23F1/14Aqueous compositions
    • C23F1/16Acidic compositions
    • C23F1/28Acidic compositions for etching iron group met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양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금속판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코팅층이 형성되는 상기 금속판에서 관통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천공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은 에칭액과 반응하지 않는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코팅층의 천공을 통한 에칭 가공으로 상기 관통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에칭 가공 전 상기 금속판의 보호를 위한 별도의 표면처리 및 에칭 가공 후 표면처리를 제거하는 등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공정이 단순해 지고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Description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에는 가전제품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가전제품의 동작에 따른 각종 정보를 숫자나 글자, 기호 또는 그림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통해서 출력되는 정보를 확인하여 가전 제품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가전 제품의 동작을 위한 조작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최근의 가전제품들은 외관을 보다 고급스럽게 하기 위해서 금속판로 외장부재를 형성하거나 외관이 스틸과 같은 질감이 나도록 코팅된 소재의 외장부재가 사용되며, 이들 외장부재에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외부로 가전제품의 동작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121753호에는 냉장고 도어의 금속재질 전면판의 배면에 디스플레이 유닛이 구비되고, 전면판에 다수개 형성되는 관통구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시부가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는 미세한 크기로 성형될 수 있도록 에칭 또는 레이저 드릴링 가공을 통해 형성된다.
하지만, 에칭 가공의 경우 에칭 가공시 상기 전면판에서 상기 관통구가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전면판이 보호되도록 해야한다. 따라서, 에칭 가공을 위해서 복잡하고 많은 추가 공정이 필요하게 되고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레이저 드릴링 가공의 경우 관통구의 둘레에 열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며, 전면판의 표면이 열변형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양면에 에칭액과 반응하지 않는 성분의 코팅층이 형성된 금속판을 투입하고, 제 1 관통구가 형성되는 부분의 코팅층만을 제거하여 에칭 가공을 함으로써, 최소한의 공정 수로 제 1 관통구가 형성된 외장부재가 제조 가능한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면에 유색의 컬러 코팅층이 형성된 금속판을 사용하여, 제 1 관통구가 형성되는 부분의 코팅층을 제거하고 제 1 관통구를 형성함으로써, 유색의 컬러에 의한 외관의 미감을 충족함과 동시에 제 1 관통구를 통해 빛이 통과 될 수 있도록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양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금속판을 투입하고, 레이저 가공에 의해 제 1 관통구를 형성하며, 레이저 가공시 레이저의 에너지를 최소화하여 코팅층의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장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은, 금속판에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미세한 관통구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표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금속판의 양면에는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천공이 형성된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은 에칭액에 반응하지 않는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는 상기 코팅층에 형성된 천공을 통한 에칭 가공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판의 양면에 형성된 코팅층의 천공은 레이저에 의해서 가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금속판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 코팅층과 배면에 형성되는 배면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배면 코팅층에 형성된 천공의 내경은 상기 전면 코팅층에 형성된 천공의 내경 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는 상기 금속판의 전면에서 에칭에 의해 함몰되는 전면홈과 상기 금속판의 배면에서 상기 전면홈과 마주보는 위치에서 에칭에 의해 함몰되는 배면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홈은 상기 관통구의 노출되는 직경을 형성하고 상기 배면홈은 상기 전면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면홈은 함몰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내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홈과 배면홈은 동시에 가공된다.
그리고, 상기 코팅층의 천공은 상기 금속판이 금속판 고정 지그에 고정된 상태에서 레이저 가공에 의해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팅층에서 상기 금속판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 코팅층은 유색의 색상을 가지는 컬러 코팅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에는 홀메움 부재가 메워진다.
그리고, 상기 전면 코팅층의 전면에는 상기 관통구에 홀메움 부재를 충진하기 위해 상기 전면 코팅층의 천공을 차폐하는 보호필름이 부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전제품용 외장부재는 및 그 제조 방법은, 금속판에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미세한 관통구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표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금속판의 양면에는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천공이 형성된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의 천공과 상기 관통구는 상기 금속판의 배면으로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서 가공된다.
상기 코팅층의 천공과 상기 관통구는 상기 금속판의 배면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가공된다.
그리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금속판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 코팅층과 상기 금속판의 배면에 형성되는 배면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배면 코팅층의 천공은 상기 전면 코팅층의 천공 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레이저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관통구과 상기 코팅층의 천공은 연속되는 내주면을 가지며, 상기 내주면은 배면 코팅층에서 상기 전면 코팅층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와 상기 코팅층의 천공은, 10~20w의 출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를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가공 시 상기 전면 코팅층에는 PET 재질의 보호비닐이 실리콘 성분의 점착제에 의해서 점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양면에 코팅층이 형성되는 금속판에서 관통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천공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은 에칭액과 반응하지 않는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코팅층의 천공을 통한 에칭 가공으로 상기 관통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에칭 가공 전 상기 금속판의 보호를 위한 별도의 표면처리 및 에칭 가공 후 표면처리를 제거하는 등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공정이 단순해 지고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둘째, 상기 코팅층의 천공을 레이저 가공으로 형성함으로써,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하여 의도하는 위치와 크기의 코팅층을 용이하게 제거 가능하다.
셋째, 상기 관통구는 전면홈과 배면홈의 에칭 가공에 의해 형성되며, 특히 상기 전면홈은 상기 관통구의 노출되는 직경을 형성하므로, 상기 전면홈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고 상기 금속판의 두께에 따라서 상기 배면홈의 크기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금속판의 두께가 달라지더라고 균일한 크기의 관통구를 형성할 수 있다.
넷째, 상기 배면홈이 함몰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을 모아 상기 관통구를 통해 외부로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볼 때 상기 관통구를 통해 투과되는 빛이 강해질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의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코팅층의 천공은 상기 금속판이 금속판 고정 지그에 고정된 상태에서 레이저 가공된다. 따라서, 레이저 가공 시 흔들림이 방지되고 가공 위치가 정렬되어 의도하는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크기의 코팅층을 제거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전면 코팅층은 유색을 색상을 가지는 컬러 코팅으로 제공되고,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는 위치의 코팅층이 제거되므로, 다양한 컬러를 적용하여 다양한 미적인 외관을 연출할 수 있으며,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이 코팅층에 의해 차단되지 않으므로 상기 표시부의 시인성 또한 확보 가능하게 된다.
일곱째, 상기 관통구를 홀메움 부재로 메움으로써, 상기 관통구를 통한 이물의 유입으로 인한 상기 관통구가 막히거나 내장 부재들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여덟째, 양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금속판에서, 관통구가 상기 금속판의 배면으로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서 가공되므로,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 코팅층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레이저에 의한 가공으로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잇다.
아홉째, 레이저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관통구가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므로,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을 모아 외부로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볼 때 상기 관통구를 통해 투과되는 빛이 강해질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의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열째, 상기 관통구를 형성하는 레이저의 출력이 10~20w로 조사되므로 코팅층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외관의 품질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열한째, 레이저 가공시 전면 코팅층에 PET 재질의 보호비닐이 실리콘 성분의 점착제로 점착되어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 코팅층의 손상이 방지되며, 내열성이 우수한 실리콘 성분의 점착제의 소재 전이가 최소화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장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디스플레이 커버,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프레임 디스플레이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7-7'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 3의 10-10'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양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금속판에 에칭을 이용하여 제 1 관통구를 성형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순서에 의한 제 1 관통구의 성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13 은 도 11의 코팅층 제거 공정에서 금속판를 고정하는 금속판 고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양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금속판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제 1 관통구를 성형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순서에 의한 제 1 관통구의 성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부재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부재가 구비된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부재가 구비된 식기세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부재가 구비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장고의 도어에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장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은 외장부재에 다수의 미세한 관통구 형성되고 빛이 통과되는 관통구들의 조합에 의해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를 포함한 가전기기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장착되어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좌우 양측 및/또는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공간의 개구된 전면에는 각각의 공간을 개폐하는 다수의 냉장고 도어(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10)는 슬라이딩 또는 회전 방식으로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냉장고 도어(10) 중 일측의 냉장고 도어(10)에는 사용자의 조작 및 식별이 용이한 높이에 표시부(11)와 터치 조작부(12)가 제공된다.
상기 표시부(11)는 냉장고(1)의 작동 상태를 외부로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면서 기호 또는 숫자 등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외부에서 이를 통해 냉장고의 동작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터치 조작부(12)는 사용자가 냉장고(1)의 동작을 위해 터치 조작하는 부분으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일부 영역에 제공되며, 누름 조작이 감지될 수 있는 부분이 인쇄처리되거나 에칭과 같은 표면 가공과 같은 방법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터치 조작부(12)는 복수의 상기 냉장고 도어(10) 중 상기 표시부(11)가 구비되는 냉장고 도어(10)가 아닌 다른 냉장고 도어(10)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냉장고 도어(10)가 아닌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터치 조작부(12)는 터치 방식이 아닌 스위치 또는 버튼 방식의 조작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 도어(10)는 전체적으로 전면 패널(20)에 의해 전면 외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전면 패널(20)은 외장부재와 동일한 개념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전면 패널(20)이라 할 뿐 다른 실시 예들의 외장부재와 동일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10)는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전면 패널(20)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30)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데코부재(40,43)의 결합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전면 패널(20)은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상의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은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전체는 물론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측면 일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의 표면에는 지문방지 처리가 되거나, 특정 패턴이나 문양이 표현될 수 있으며, 메탈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헤어라인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1)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 1 관통구(2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는 숫자나 기호를 나타낼 수 있도록 일정한 배치로 천공된 다수의 제 1 관통구(21)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데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의 집합은 7 세그먼트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특정 기호나 문양의 형상, 글자를 나타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1)는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의 제 2 관통구(220) 및 제 3 관통구(321)들의 배치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 관통구(21)들 중 빛이 조사되는 상기 엘이디(313)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중 적어도 일부의 제 1 관통구(21)들을 통과하여 빛이 조사될 수 있으며, 빛이 조사되는 제 1 관통구(21)들은 특정 숫자나 문자 모양 등을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관통구(21)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전면과 후면에서 서로 연통되는 미세한 홀 형상으로 에칭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구(21)의 형상과 성형 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배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되된 것과 같이, 상기 전면 패널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냉장고 도어의 측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은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외관을 형성하므로 충분한 강도가 보장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의 표시부(11) 영역에는 다수의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구(21)는 상기 전면 패널(2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구(21)는 전방에서 볼 때 0.2 ~ 0.3mm의 미세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엘이디(313)가 점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와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10)측을 바라보게 되면, 상기 제 1 관통구(21)의 크기가 미세하여 명확하게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 도어(10)는 전면에 상기 표시부(1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과 같이 보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전체가 다른 구성이 없이 매끈한 스테인레스 판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제 1 관통구(21)는 상기 엘이디(313)의 점등시 특정한 문자나 기호의 형태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표시부(1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구(21)는 상기 전면 패널(20)을 전면과 배면 양면에서 에칭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통구(21)는 미세한 크기의 홀 형상으로 형성되고 동시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두께를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전면 패널(20)의 양면에서 각각 홈 형상으로 에칭하는 것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관통구(21)는 레이저 드릴링에 의해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전면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서 레이저 드릴링을 실시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장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배면을 형성하는 상기 도어 라이너(30)는 상기 전면 패널(20)과 결합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을 향하는 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3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되며, 둘레를 따라서 가스켓이 배치되거나 바스켓 등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30)는 상기 전면 패널(20)과의 결합시 상기 도어 라이너(30)와 전면 패널(2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이 공간에는 단열재(24)를 형성하는 발포액이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는 프레임(100)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서 발포액이 충진되지 않는 별도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 프레임 디스플레이(400) 등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데코부재(40,43)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상부와 하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 패널(20)과 도어 라이너(3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상단과 하단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데코부재(40,43) 중 상기 냉장고 도어(10) 상부의 데코부재(40)에는 삽입구(41)와 상기 삽입구(41)를 개폐하는 삽입구 커버(42)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구(41)는 상기 데코부재(40)를 관통하며 상기 프레임(100)이 형성하는 공간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조립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삽입구(41)를 통해서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삽입구(41)는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데코부재(40)의 일측에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회전 축이 되는 힌지가 장착되는 힌지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홀을 통해서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안내되는 전선이 출입되어 상기 프레임(10) 내부의 전방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고, 동작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장고 도어(10) 하부의 데코부재(43)에는 도어 핸들(44)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핸들(44)은 포켓 형태로 함몰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10)를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냉장고 도어(10) 하부의 데코부재(43)에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개폐 조작을 위한 레버(45)가 더 구비되며, 상기 레버(45)의 조작에 의해 래치 어셈블리(31)가 구동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개방 또는 닫힘 상태의 유지를 선택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부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는 엘이디(313)가 실장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장착을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 양면테이프 또는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접착부재(25)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상기 전면 패널(20)의 누름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장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삽입구(41)를 통해서 상기 프레임(100) 내부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표시부(11)를 지나 외부로 조사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디스플레이 커버,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프레임 디스플레이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100)은 전면과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되었을 때 상면이 개구된 공간(11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100)의 상단을 제외한 둘레가 상기 전면 패널(20)을 향하여 절곡되며, 그 단부가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프레임 접착부(12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 접착부(120)에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제공되어 상기 프레임(100)이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단이 상기 데코부재(40)의 하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개구된 상면이 상기 삽입구(41)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 상기 단열재(24)의 형성을 위한 발포액의 주입시에도 상기 프레임(100) 내부의 공간으로 발포액이 유입되지 않고 보호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 좌우 양측단에는 서포트 플레이트(141)가 안착되는 플레이트 지지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41)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 공간의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 패널(20)을 후방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20)의 대응하는 부분이 일렁거리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 충격에 의해 전면 패널(2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100)의 측면 상부에는 전선 출입구(150)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 출입구(150)는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장 부품들과 상기 캐비닛 상의 전원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전선이 출입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선 출입구(150)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힌지와 가까운 측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힌지 홀과 가까운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측에 발포액을 주입할 때에는 마감 처리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로 발포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좌우 양측에는 구속홈(160)이 형성된다. 상기 구속홈(160)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좌우 양측단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구속부(23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속홈(160) 하부의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를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170)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지지부(170)는 상기 프레임(100)의 좌우 양측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좌우 양측단을 후방에서 눌러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는 판상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좌우 양측단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속홈(160)에 삽입되는 구속부(23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장착되는 수용부(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는 상기 표시부(11)와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제 2 관통구(220)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관통구(220)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제 1 관통구(2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관통구(220)는 상기 7세그먼트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기타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다양한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 2 관통구(220)의 둘레에는 차단부(221)가 형성된다. 상기 차단부(221)는 상기 제 2 관통구(220)의 외측에서 상기 제 2 관통구(2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접착을 위한 접착부재(25)는 상기 차단부(221)의 외측 영역에만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부착시 상기 접착부재(25)의 두께에 의해 발생되는 제 1 관통구(21)와 제 2 관통구(220)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 공간을 통해서 빛이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단부(221)의 돌출 높이는 빛 샘을 차단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 전면에 부착되는 접착부재(25)가 압축되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접착부재(25)의 압축 전 높이보다는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상기 엘이디(313)가 실장된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의 전면에 배치되는 리플렉터(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에는 상기 엘이디(313)의 구동을 위한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의 구동을 위한 센서 제어부가 실장된다. 즉, 상기 센서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를 통해서 감지된 상기 전면 패널(20)의 조작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 상에서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 내부의 센서 피시비(미도시)와 디스플레이 피시비(310)는 케이블 커넥터(600)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600)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 내부의 센서 피시비와 연결되는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와 연결되는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는 서로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에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외측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케이블 커넥터(600)의 전체 길이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에서 상기 삽입구(41)까지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41)의 외측에서 서로 연결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의 전면에는 상기 엘이디(313)의 빛이 상기 제 1 관통구(21)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리플렉터(320)가 구비된다. 상기 리플렉터(320)는 상기 엘이디(313)의 빛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리플렉터(320)의 두께만큼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자(311)가 상기 전면 패널(20)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정전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전면 패널(20)이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표시부(11)에 인접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배치되어야 하는 구조의 특성상 사용 중 발생되는 정전기에 취약할 수 있으나, 상기 리플렉터(32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가 구조적으로 상기 전면 패널(20)과 이격되면서도 빛의 전달이 우수하도록 하여 정전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플렉터(32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에 실장된 엘이디(313)의 배치와 대응하며, 상기 제 2 관통구(220) 및 제 1 관통구(21)와 연통될 수 있는 제 3 관통구(321)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관통구(21)와 제 2 관통구(220) 및 제 3 관통구(321)는 모두 밀착되고 서로 연통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표시부(11)를 통해서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가 안착 가능한 판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둘레를 따라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테두리(410)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좌우 양측단에는 좌우 양측으로 절곡되는 슬라이딩 삽입부(415)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삽입부(415)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24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는 상기 슬라이딩 삽입부(415)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 상단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 핸들(420)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 핸들(420)은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결합될 때 사용자가 쥐고 조작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 커버(42)를 닫게 되면, 상기 삽입구 커버(42)는 상기 프레임 핸들(420)과 접하게 된다.
도 7은 도 2의 7-7'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상기 접착부재(25)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관통구(21)와 제 2 관통구(220)가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관통구(21)의 크기는 아주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관통구(220)의 크기보다 훨씬 더 작게 되며,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은 상기 하나의 제 2 관통구(220)의 내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3 관통구(321)가 상기 제 2 관통구(220)와 서로 일치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2 관통구(220)와 제 3 관통구(321)는 그 크기가 동일하며, 상기 리플렉터(32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후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 2 관통구(220)와 제 3 관통구(321)는 서로 완전히 겹쳐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관통구(321)와 제 2 관통구(220) 그리고 제 1 관통구(21)는 모두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제 3 관통구(321)와 제 2 관통구(220) 및 제 1 관통구(21)를 차례로 지나 냉장고 도어(10)의 외부로 조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된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는 확산시트(25)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확산시트(25)는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켜 상기 제 1 관통구(21)를 통과하는 빛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며, 상기 표시부(11)를 통해 조사되는 빛이 고르게 밝게 되어 상기 표시부(11)를 통해 표현되는 문자 나 숫자 기호 등이 명확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상기 표시부(11)는 다수의 제 1 관통구(21)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7세그먼트 형태와 기호의 형태 등으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표시부(11)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엘이디(313)가 점등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식별하기 어려운 미세한 홀의 형태를 가지며, 다소 거리가 떨어진 위치에서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을 통해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철판의 형태로 보여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 조작부(12)를 터치하거나, 내부의 설정에 의해 상기 엘이디(313)가 점등되면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제 3 관통구(321)와 제 2 관통구(220) 및 제 1 관통구(21)를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조사된다.
이때, 상기 엘이디(313)의 점등 상태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제 1 관통구(21) 중 일부의 제 1 관통구(21)에서 빛을 발산하게 되며, 나머지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은 빛을 발산하지 않게 되어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엘이디(313)의 빛이 통과되어 빛을 발산하는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은 서로 조합되어 특정 숫자나 문자 또는 기호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와 같이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 중 일부의 제 1 관통구(21)들에서 빛을 발산하여 도시된 것과 같이 4℃, -12℃와 같이 정보를 숫자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에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가시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점등되는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을 통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외장 부재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 3의 10-10' 단면도이다.
이를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 1 관통구(21)는 전면에서 에칭되는 전면홈(21a)와 배면에서 에칭되는 배면홈(21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홈(21a)과 배면홈(21b)이 서로 접하여 연통되어서 상기 제 1 관통구(21)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전면홈(21a)과 배면홈(21b)은 각각 1대 1로 매칭될 수 있으며, 서로 홀 대 홀(hole to hole) 방식으로 서로 연통되어 상기 제 1 관통구(2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면홈(21a)에 의해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직경을 0.15 ~ 0.3mm로 미세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면홈(21b)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전면홈(21a)보다 직경이 더 큰 0.8-1.5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20)의 두께가 다소 두껍더라도 상기 배면홈(21b)이 더 깊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홈(21a)의 단부와 접하여 서로 연통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전면 패널(20)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단면 구조를 살펴보면,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홈(21a)의 개구 직경(D1)는 설정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면홈(21b)은 상기 전면홈(21a)과 접하는 크기와 깊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20)의 소재가 되는 금속판(20')을 관통하기 위해서 상기 배면홈의 개구 직경(D3)은 상기 전면홈(21a)의 개구 직경(D1)의 크기보다 훨씬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에칭에 의해 사익 전면홈(21a)과 배면홈(21b)이 접하여 서로 연통되는 부분의 직경(D2)는 전면홈(21a)의 개구(D1)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홈(21a)과 배면홈(21b)의 직경의 차이로 인하여 상기 전면홈(21a)과 배면홈(21b)의 깊이 또한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전면홈(21a)의 깊이(H1)는 상기 배면홈(21b)의 깊이(H2)보다 현저히 얕게 되며, 상기 전면홈(21a)의 직경(D1)에 의해 상기 전면홈(21a)의 깊이(H1)가 결정되며, 이에 따라서 상기 배면홈(21b)이 전면홈(21a)과 접하는 깊이(H2)로 가공되며 이때 상기 배면홈(21b)의 직경(D2)이 정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면홈(21a)과 배면홈(21b)은 함몰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면서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배면홈(21b)의 후방에서 엘이디(313)에 의해 조사되는 빛은 넓은 상기 배면홈(21b)의 내측에 많은 양이 입사되고, 상기 배면홈(21b)의 내측면의 라운드 형상으로 된 부분을 통과하면서 집중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관통구(21)를 통과하는 빛이 집중될 수 있게 되어 외부에서 볼 때, 상기 제 1 관통구(21)를 통과하는 빛이 보다 밝게 보일 수 있게 되며 상기 표시부(11)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전면홈(21a)과 배면홈(21b)이 서로 접하는 부분은 단순히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지 않고 일정한 직경이 유지되면서 서로 연통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관통구에는 홀 메움부재(22)가 형성된다.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 중 상기 표시부(11)가 형성되는 부분에 인쇄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성형되며, 상기 제 1 관통구를 완전히 채우고 상기 표시부와 대응하는 상기 금속판(20')의 일부 영역에 소정의 두께의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홀 메움부재(22)의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 투과되는 빛의 확산도가 떨어지게 되며, 너무 두꺼운 경우 상기 전면 패널(20)의 판금 성형시 홀 메움부재(22)에 의한 굴곡이 상기 전면 패널(20)의 전면으로 드러나게 된다.
상기 홀 메움부재(22)의 성형을 위해서는 열 건조 방식의 인쇄잉크 즉, 아크릴 수지 잉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쇄잉크는 20,000cps ~ 40,000cps의 점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쇄잉크의 점도가 20,000cps 보다 더 낮을 때에는 잉크의 건조 후에도 잉크가 누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40,000cps 보다 높을 때에는 미세한 크기의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부에 인쇄잉크가 완전히 채워지지 않기 때문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잉크로 미세한 크기의 상기 제 1 관통구(21)를 효과적으로 채우기 위해서는 적절한 점도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잉크 성분의 특성에 의해 상기 인쇄잉크는 우수한 동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홀 메움부재(22)를 형성하는 상기 아크를 수지 잉크의 주요 성분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전체 코팅액의 중량을 100%로 할 때 메인 수지인 실리콘 아크릴 폴리올 33w%, 아크릴 폴리올 34w%이 혼합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메인 수지의 혼합으로 스크린 인쇄 방식의 구현이 가능하며 투명도와 열적 안정성 등의 물성을 만족하게 된다.
그리고, 열 경화제인 에폭시와 멜라민 수지가 15w%가량 혼합되며, 용제 8w%, 동점도의 조절을 위한 증점제로 흄드실리카(fumed slica) 2w%~3w%, 경화제 1w%, 그리고 나머지 잔량은 소포제와 레벨링제와 부착 증진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홀 메움부재(22)를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의 성분비는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상기 흄드 실리카는 설정된 점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2~3w% 사이에서 결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흄드 실리카에 의한 동점도 조절에 의해 스크린 인쇄시 상기 아크릴 수지 잉크가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채워서 상기 홀 메움부재(22)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아크릴 수지 잉크는 스크린 인쇄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점도가 낮아지면서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으로 쉽게 유입될 수 있으며,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점성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에 부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건조되어 상기 홀 메움부재(22)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을 효과적으로 채울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부는 홀 메움부재(22)에 의해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상기 제 1 관통구(21)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이 상기 홀 메움부재(22)에 의해 채워짐으로써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가공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양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금속판에 에칭을 이용하여 제 1 관통구를 성형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순서에 의한 제 1 관통구의 성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제 1 관통구의 성형 공정을 차례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장부재 즉, 상기 전면 패널(2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전면 패널(20)의 소재가 되는 금속판(20')이 적절한 길이로 절단되어 입고된다.
상기 금속판(20')은 스테인레스 강판일 수 있으며 전면과 배면에 각각 코팅층(26,27)이 형성되어 입고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26,27)은 에칭액과 반응하지 않는 성분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상기 제 1 관통구의 성형을 위한 에칭시 에칭액으로부터 상기 금속판(20')이 부식되지 않도록 보호하게 된다.
상기 금속판(20')의 전면은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전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 코팅층(26)은 냉장고의 표면에 지문이나 얼룩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내지문 코팅 또는 외적인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컬러 코팅일 수 있다. 물론, 내지문 코팅과 컬러 코팅이 적층되어 형성되거나 유색의 컬러를 가지는 내지문 코팅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면 코팅층(26)은 에칭액에 반응하지 않도록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속판(20')의 배면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 패널(20)과 상기 데코부재(40,43)의 사이에 수용되는 각종 전장부재들 및 물이 유동되는 파이프 등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배면 코팅층(27)은 에폭시 수지로 형성되어, 에칭액과 반응하지 않으며 물과 열 등에 저항성이 높은 성질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코팅층(26,27)은 두께가 두꺼울수록 밀착성이 떨어지고 상기 전면 패널(20)과 상기 데코부재(40,43)의 조립시 간섭을 일으켜 조립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반면에, 두께가 얇을수록 에칭액으로 부터의 상기 금속판(20')을 보호하는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코팅층(26,27)은 최대한 얇게 형성되되 에칭시 에칭액으로부터 상기 금속판(20')의 부식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5㎛ 이상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5㎛ 이상에서 10㎛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배면 코팅층(27)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공정 비용 절감 및 공정 시간의 단축을 위해 5㎛ 보다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금속판 투입 단계, S110]
상기 코팅층(26,27)이 형성된 상기 금속판(20')은 코팅층 천공 형성 단계로 투입된다. 상기 코팅층 천공 형성 단계는 에칭 단계 전에 상기 제 1 관통구가 형성되는 부분의 코팅층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전면 코팅층(26)과 배면 코팅층(27)에서 상기 전면홈(21a)과 배면홈(21b)에 대응하는 부분의 코팅층을 제거하여 상기 코팅층(26,27)에 천공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금속판(20')에서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되는 부분은 상기 코팅층(26,27)으로 보호되지 않는 노출된 상태가 된다.
상기 코팅층 천공 형성 단계에서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상기 코팅층(26,27)의 천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마킹용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레이저는 10~20w의 비교적 낮은 출력으로 조사되어, 상기 금속판(20')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제 1 관통구(21)에 대응되는 부분의 상기 코팅층(26,27)만 효과적으로 제거 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26,27)의 천공은 상기 금속판(20')의 전면과 후면으로 동시에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금속판(20')의 전면과 후면 중 일면으로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서 일면에 천공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판(20')을 뒤집어서 타면에 천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의도하는 크기의 상기 전면홈(21a)과 배면홈(21b)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전면 코팅층(26)에 형성되는 천공의 내경은 의도하는 상기 전면홈(21a)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배면 코팅층(27)에 형성되는 천공의 내경은 의도하는 상기 배면홈(21b)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정확한 위치에 균일한 크기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면홈(21a)과 배면홈(21b)이 각각 상기 금속판(20')의 전면과 배면에서 서로 대응되는 정확한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전면홈(21a)과 배면홈(21b)이 동일 연장선상에 중심이 배치되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전면 코팅층(26)과 배면 코팅층(27)에 형성되는 천공은 서로 대응되는 정확한 위치에서 동일 연장선상에 중심이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코팅층(26)과 배면 코팅층(27)에 형성되는 천공이 서로 대응되는 정확한 위치에 형성 가능하도록, 상기 금속판(20')은 레이저 가공시 별도의 고정 부재에 고정된 상태로 제공되어, 흔들림이 방지되고 레이저 가공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상기 금속판(20')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는 금속판 고정 부재(도13, 700)일 수 있으며, 상기 금속판 고정 부재(700)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코팅층 천공 형성 단계, S120]
상기 코팅층 천공 형성 단계 후, 상기 코팅층(26,27)의 일부가 제거된 상기 금속판(20')은 에칭 단계로 투입된다. 상기 에칭 단계에서는, 에칭액을 이용하여 상기 코팅층(26,27)이 제거된 상기 전면홈(21a)과 배면홈(21b)에 대응하는 부분이 부식되도록 한다. 에칭액은 염화제이철(FeC12)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판(20')의 전면과 배면을 동시에 에칭 가공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전면홈(21a)이 먼저 에칭에 의해 가공되고 이후에 배면홈(21b)이 에칭에 의해 가공될 수 있도록 2차의 에칭 가공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전면홈(21a)은 상기 전면 패널(20)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홀로써, 미세하고 균일한 사이즈로 성형될 수 있도록 가공된다. 그리고 상기 배면홈(21b)은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 형성되며 외부로는 노출되지 않는 부분으로, 상기 제 1 관통구(21)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전면홈(21a)과 연통될 수 있도록 에칭 가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홈(21a)은 미세하고 균일한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외부로 노출되는 개구의 사이즈를 만족할 수 있도록, 상기 배면홈(21b)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더 얕은 깊이로 에칭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면홈(21b)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며, 다만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제 1 관통구(21)를 투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홈(21b)과 연통될 수 있는 깊이로 에칭 가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면홈(21b)을 크게 하면 할수록 상기 배면홈(21b)의 깊이가 깊어지며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깊이가 깊어지게 되어 결국 상기 금속판(20')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전면 패널(20)의 강도를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배면홈(21b)의 직경을 크게 하여 상기 배면홈(21b)의 깊이를 깊게 하게 된다. 물론, 상기 배면홈(21b)은 이웃하는 배면홈들과 접하거나 겹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의 두께를 두껍게 하기 위해서 상기 배면홈(21b)의 직경을 크게 하고 상기 배면홈(21b) 의 깊이를 깊이 하기 위해서, 상기 배면홈(21b) 의 에칭 가공 시간을 상기 전면홈(21a)의 에칭 가공 시간 보다 더 길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전면홈(21a)과 배면홈(21b)의 직경은 상기 코팅층 천공 형성 단계에서 제거되는 코팅층의 직경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코팅층 천공 형성 단계에서는 의도하는 상기 전면홈(21a)과 배면홈(21b)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상기 코팅층(26,27)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배면홈(21b)이 상기 전면홈(21a)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전면 코팅층(26)에 형성된 천공의 내경이 상기 배면 코팅층(27)에 형성된 천공의 내경 보다 더 크도록 상기 코팅층(26,27)을 제거할 수 있다. [에칭 단계, S130]
상기 에칭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금속판(20')에는 보호필름(28)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28)은 상기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된 금속판(20')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 중 스크래치 등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금속판(20')의 전면 전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관통구의 전면은 상기 보호필름에 의해서 차폐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 필름(28)은 점착제에 의해서 상기 금속판(20')에 접착되어, 상기 금속판(20')으로 부터 제거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보호필름 부착 단계, S140]
상기 보호필름(28)의 부착 단계 후에는, 상기 금속판(20')의 배면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차폐되지 않은 배면을 통해서 홀메움 인쇄를 실시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전면이 상기 보호필름(28)에 의해서 차폐되어 있으므로, 홀메움 부재(22)는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전면을 통해서 유출되지 않고 제 1 관통구(21)의 내부에 충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관통구(21)에는 홀메움 부재(22)가 충진되어 상기 제 1 관통구(21)는 완전히 차폐되고 이물의 유입이 방지된다. [홀메움 인쇄 단계, S150]
상기 홀메움 인쇄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금속판(20')은 판금에 의해 좌우 양측단이 절곡되는 등의 공정을 거쳐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20)(20)로 가공된다. 물론, 상기 전면 패널(20)의 가공은 상기 제 1 관통홀의 에칭 단계 이전 또는 상기 코팅층 천공 형성 단계 이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3 은 도 11의 코팅층 천공 형성 단계에서 금속판를 고정하는 금속판 고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상기 금속판(20')의 정확한 위치에서 정확한 크기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코팅층 천공 형성 단계에서 정확한 위치에서 정확한 크기의 코팅층이 제거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금속판(20')은 코팅층을 제거하기 전에 정확한 가공 위치에 놓인 상태로 제공되어야 하며, 상기 코팅층(26,27)을 제거할 때 흔들림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코팅층 천공 형성 단계에서 상기 금속판(20')은 금속판 고정 부재(700)에 고정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금속판 고정 부재(700)는, 상기 금속판(20')의 양면에서 상기 금속판(20')을 밀착 고정시키는 제 1 고정지그(710)와 제 2 고정지그(720) 그리고, 상기 금속판(20')이 밀착 고정된 상기 제 1 고정지그(710)와 제 2 고정지그(720)가 고정되는 가이드 지그(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 지그(710)와 제 2 고정 지그(720)는 상기 금속판(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판(20') 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금속판(20')이 대략 중앙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판(20') 보다 외측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고정지그(710)와 제 2 고정지그(720)에서 상기 금속판(20')보다 외측으로 더 연장된 부분에는 핀 고정홀(712,72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지그(730)에서 상기 핀 고정홀(712,722)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핀 고정홀(712,722)이 관통되어 가이드되도록 돌출된 가이드 핀(7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731)과 상기 핀 고정홀(712,722)은 서로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핀 고정홀(712,722)이 상기 가이드 핀(731)에 관통됨으로써, 상기 고정지그(710,720)는 상기 가이드 지그(7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그(710,720)의 사이에서 밀착 고정된 상기 금속판(20') 또한 견고하게 고정되어 정확한 위치의 코팅층이 레이저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핀 고정홀(712,722)은 상기 제 1 고정지그(710)와 제 2 고정지그(720)에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로 형성된 상기 핀 고정홀(712,722)은 상기 고정지그(710,720)의 중심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지그(710,720)와 금속판(20')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지그(710,720)에는 천공된 개구부(711,7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711,721)는 상기 금속판(20')이 상기 고정지그(710,720)의 사이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천공된다. 즉, 상기 금속판(20')에서 상기 코팅층(26,27)이 제거되어야 할 부분은 상기 개구부(711,721)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어 레이저에 의한 코팅층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양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금속판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제 1 관통구를 성형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순서에 의한 제 1 관통구의 성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제 1 관통구의 성형 공정을 차례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장부재 즉, 상기 전면 패널(2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전면 패널(20)의 소재가 되는 금속판(20')이 적절한 길이로 절단되어 입고된다.
상기 금속판(20')은 스테인레스 강판일 수 있으며 전면과 배면에 각각 코팅층(26,27)이 형성되어 입고될 수 있다.
상기 금속판(20')의 전면은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전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 코팅층(26)은 냉장고의 표면에 지문이나 얼룩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내지문 코팅 또는 외적인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컬러 코팅일 수 있다. 물론, 내지문 코팅과 컬러 코팅이 적층되어 형성되거나 유색의 컬러를 가지는 내지문 코팅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면 코팅층(26)은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속판(20')의 배면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 패널(20)과 상기 데코부재(40,43)의 사이에 수용되는 각종 전장부재들 및 물이 유동되는 파이트 등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배면 코팅층(27)은 에폭시 수지로 형성되어, 물과 열 등에 저항성이 높은 성질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코팅층(26,27)은 두께가 두꺼울수록 밀착성이 떨어지고 상기 전면 패널(20)과 상기 데코부재(40,43)의 조립시 간섭을 일으켜 조립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반면에, 두께가 얇을수록 상기 금속판(20')을 보호하는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코팅층(26,27)은 최대한 얇게 형성되되 상기 금속판(20')의 효과적인 보호를 위해서 5㎛ 이상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배면 코팅층(27)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공정 비용 절감 및 공정 시간의 단축을 위해 5㎛ 보다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금속판 투입 단계, S110]
상기 코팅층(26,27)이 형성된 금속판(20')은 레이저 타공 단계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타공 단계에서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코팅층(26,27)과 금속판(20')을 한번에 뚫어서 상기 코팅층(26,27)의 천공과 레이저 관통구(2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레이저 관통구(21')는 상술된 상기 제 1 관통구(21)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즉, 레이저에 가공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제 1 관통구(21)로 정의된다.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코팅층(26,27)의 천공과 상기 레이저 관통구(21')를 한번에 형성할 때 레이저의 출력은, 상기 코팅층(26,27)의 천공만을 형성할 때의 레이저 출력 보다 더 높거나 동일한 수준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수준의 출력으로 레이저 가공이 실시될 때는, 레이저 가공 시간을 더 길게 하여 금속재질로 형성된 상기 금속판(20')에 상기 레이저 관통구(21')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 타공 단계에서 레이저는 상기 금속판(20')의 배면에 조사되어, 상기 금속판(20')의 배면에서부터 타공을 실시 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전면 코팅층(26)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배면 코팅층(27) 보다 비교적 적게 손상될 수 있다.
한편, 레이저가 상기 금속판(20')의 배면에 조사됨으로써, 상기 레이저 관통구(21')의 전면의 내경은 배면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이저 타공에 의한 레이저 관통구(21')의 내주면은 전면을 향할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경사진 내주면을 가지는 레이저 관통구(21')에 의해서 집중되어 외부에서 볼 때, 빛이 보다 밝게 보일 수 있게 되며 시인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레이저 타공 단계, S220]
상기 레이저 타공이 완료된 상기 금속판(20')은 디버링(Deburring) 단계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디버링 단계에서는 상기 레이저 타공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레이저 관통구(21')의 내주면과 상기 금속판(20')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막 및 버(Burr)를 제거하게 된다.[디버링 단계, S230]
상기 디버링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금속판(20')에는 보호필름(28)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28)은 상기 레이저 관통구(21')가 형성된 금속판(20')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 중 스크래치 등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금속판(20')의 전면 전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이저 관통구(21')의 전면은 상기 보호필름에 의해서 차폐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 필름(28)은 점착제에 의해서 상기 금속판(20')에 접착되어, 상기 금속판(20')으로 부터 제거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보호필름 부착 단계, S140]
상기 보호필름(28)의 부착 단계 후에는, 상기 금속판(20')의 배면에 해당하는 상기 레이저 관통구(21')의 차폐되지 않은 배면을 통해서 홀메움 인쇄를 실시하게 된다. 즉, 상기 레이저 관통구(21')의 전면이 상기 보호필름(28)에 의해서 차폐되어 있으므로, 홀메움 부재(22)는 상기 레이저 관통구(21')의 전면을 통해서 유출되지 않고 레이저 관통구(21')의 내부에 충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이저 관통구(21')에는 홀메움 부재(22)가 충진되어 상기 레이저 관통구(21')는 완전히 차폐되고 이물의 유입이 방지된다. [홀메움 인쇄 단계, S150]
상기 홀메움 인쇄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금속판(20')은 판금에 의해 좌우 양측단이 절곡되는 등의 공정을 거쳐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20)로 가공된다. 물론, 상기 전면 패널(20)의 가공은 상기 제 1 관통홀(21)의 에칭 단계 이전 또는 상기 코팅층 천공 형성 단계 이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성형이 완료된 후의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조립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전면 패널(20)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전면 패널(2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전면에는 접착부재(25)가 부착되며, 상기 접착부재(25)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동시에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 부착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부착 전에 상기 전면 패널(20) 배면의 상기 표시부 영역에는 확산시트(2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확산시트(25)는 상기 제 1 관통구과 상기 제 2 관통구(220)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을 분산시켜 고른 밝기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면 패널(20)에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부착이 완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0)을 상기 전면 패널(20)에 고정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30)와 상기 데코부재(40)를 조립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측에는 발포액이 주입되어 상기 단열재(24)를 발포 성형하게 된다. 상기 단열재(24)는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 영역을 제외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 공간 전체에 충진되며, 상기 프레임(1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조립 완료된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수용부(210)에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 결합부(511)가 상기 수용부(210)에 결합되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외형의 조립 및 상기 단열재(24)의 성형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를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 장착하게 된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프레임 디플레이(4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와 연결된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에 실장된 상기 센서 제어부(330)와 연결된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는 이미 단열재(24)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발포액의 충진 및 단열재의 성형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한 상기 센서 제어부(33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를 서로 연결한 후에는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를 상기 삽입구(41)를 통해 삽입하게 되며, 상기 프레임 핸들(420)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후면에 완전히 밀착되며, 상기 제 1 관통구(21)와 제 2 관통구(220) 및 제 3 관통구(321)는 모두 차례로 정렬 및 연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삽입구 커버(42)를 상기 삽입구(41)에 장착하여 상기 삽입구(41)를 닫고 상기 프레임 핸들(420)의 상단을 고정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제조를 완료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한 냉장고 도어에만 구비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가전제품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외장부재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및 외장부재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공기조화기에 형성되는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60)는 케이스에 의해 전체적인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는 베이스(61)와, 상기 베이스(61)의 후반부 상측에 배치된 후방 캐비닛(62)과, 상기 베이스(61)의 전반부 상측에 배치된 전방 캐비닛(6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캐비닛(63)의 전면에는 외장부재(6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1)와 후방 캐비닛(62) 및 전방 캐비닛(63)은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공간의 내부에는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위한 송풍팬과 유로가 제공되고, 흡입공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 어셈블리, 흡입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 및 냉동사이클의 구동을 위한 구성 등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1)와 후방 캐비닛(62) 및 전방 캐비닛(63)에는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다수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외장부재(64)는 상기 전방 캐비닛(6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외장부재(64)의 회동 또는 착탈에 의해 상기 전방 캐비닛(63)의 전면을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캐비닛(63)의 내외측에 구비된 구성들의 조작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물론, 상기 외장부재(64)는 상기 실내기(60)의 외관을 구성하는 일 구성으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고정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장부재(64)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65)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구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들은 전술한 에칭에 의한 홀의 성형 방법과 스크린 인쇄에 의해 홀 메움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표시부(65)의 일측에는 터치 조작부(66)가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65)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7)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7)에 의해 상기 표시부(65)로 빛을 조사하여 공기조화기의 동작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7)는 엘이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또는 기호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조작부(66)와 대응하는 상기 외장부재(64)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터치 조작부(66)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세탁기에 형성되는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세탁기(70)는 외관을 형성하는 세탁기 본체(71)와,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과, 드럼의 회전을 위한 회저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와, 세탁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장치와,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 등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세탁기 본체(71)의 전면 일부는 개구되어 세탁물을 상기 드럼에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세탁기 본체(71)의 개구는 도어(72)에 의해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72)는 상기 본체(7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도어(72)를 제외한 상기 세탁기 본체(71)의 전면 및 상면에는 판상의 외장부재(7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장부재(73) 중 적어도 일부에는 표시부(74)와 터치 조작부(7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74)는 상기 세탁기(7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공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74)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구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들은 전술한 에칭에 의한 홀의 성형 방법과 스크린 인쇄에 의해 홀 메움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조작부(75)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세탁기(70)가 운전 및 운전 선택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세탁기(70)의 조작을 위한 다이얼 형태의 노브(76)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74)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7)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7)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창(74)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세탁기(70)의 동작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7)는 엘이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또는 기호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조작부(75)와 대응하는 상기 외장부재(73)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터치 조작부(75)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식기세척기에 형성되는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구비된 식기세척기(8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본체(81)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식기세척기 본체(81)의 내부에는 세척을 위한 식기가 수용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에서 인출입되며 식기가 안착되는 렉부재, 그리고 캐비티의 내부로 세척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그리고 세척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식기세척기 본체(81)에는 도어(82)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82)는 상기 식기세척기 본체(81)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8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식기세척기(8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82)는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도어의 조작시 상기 상부 도어가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도어에는 상기 도어(82)의 개폐를 위한 손잡이(8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82)의 전면 즉,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의 전면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부재(84)가 부착된다.
상기 외장부재(84)에는 상기 식기세척기(8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8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85)은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공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85)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구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들은 전술한 에칭에 의한 홀의 성형 방법과 스크린 인쇄에 의해 홀 메움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85)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7)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7)에 의해 상기 표시부(85)로 빛을 조사하여 식기세척기(80)의 동작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7)는 엘이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또는 기호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85)의 일측에는 터치 조작부(86)가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조작부(86)와 대응하는 상기 외장부재(84)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터치 조작부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조리기기에 형성되는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구비된 조리기기(9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본체(91)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조리기기 본체(91)에는 조리를 위한 식품이 수용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 내부의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가열수단 또는 마그네트론, 그리고 캐비티의 내부의 대류를 위한 팬어셈블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 본체(91)에는 도어(92)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92)는 상기 조리기기 본체(91)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9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조리기기(9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92)는 상기 조리기기 본체(91)에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좌우 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조리기기(90)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92)에는 상기 도어(92)의 개폐조작을 위한 손잡이(9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92)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92)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부재(9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장부재(94)는 상기 도어(92)에 제한되지 않고 조리기기 본체(91)의 일측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외장부재(94)에는 상기 조리기기(9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9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95)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공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95)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구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들은 전술한 에칭에 의한 홀의 성형 방법과 스크린 인쇄에 의해 홀 메움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95)의 일측에는 터치 조작부(96)가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95)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7)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7)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창(95)으로 빛을 조사하여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7)는 엘이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또는 기호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조작부(96)와 대응하는 상기 외장부재(94)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터치 조작부(96)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6)

  1. 가전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며, 엘이디가 실장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커버하는 금속판;
    상기 엘이디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금속판을 관통하는 제 1 관통구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엘이디의 빛이 통과되는 상기 제 1 관통구들의 조합에 의해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부;
    상기 금속판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관통구의 전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레이저에 의한 천공이 형성되는 전면 코팅층;
    상기 금속판의 배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관통구의 후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레이저에 의한 천공이 형성되는 배면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관통구는,
    상기 전면 코팅층과 배면 코팅층에 형성된 천공을 통한 에칭 가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코팅층은 유색의 색상을 가지는 컬러 코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코팅층은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코팅층은 에폭시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에칭 가공 시 사용되는 에칭액은 상기 금속판을 부식시키는 염화제이철(FeC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코팅층의 외측에는,
    상기 전면 코팅층의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필름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구는 홀메움 부재에 의해서 메워지고,
    상기 홀메움 부재는 상기 보호필름이 상기 전면 코팅층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면 코팅층의 천공을 통해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제거 가능하도록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구 전면의 내경은 상기 전면 코팅층에 형성된 천공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구 후면의 내경은 상기 배면 코팅층에 형성된 천공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코팅층에 형성된 천공의 내경은 상기 배면 코팅층에 형성된 천공의 내경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구는,
    상기 금속판의 전면에서 에칭에 의해 함몰되며 상기 제 1 관통구의 홀사이즈를 결정하는 전면홈과,
    상기 금속판의 배면의 상기 전면홈과 마주보는 위치에서 에칭에 의해 함몰되며 상기 전면홈과 연통되는 배면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홈은 함몰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내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홈과 배면홈은 동일 연장선상에 중심이 배치되며,
    상기 전면홈과 배면홈은 상기 금속판의 외측면에서 동시에 가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 1 관통구들의 집합에 의해 그림, 문자, 기호 또는 도형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15. 가전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며, 엘이디가 실장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커버하는 금속판;
    상기 엘이디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금속판을 관통하는 레이저 관통구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엘이디의 빛이 통과되는 상기 레이저 관통구들의 조합에 의해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부;
    상기 금속판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레이저 관통구의 전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레이저에 의한 천공이 형성되는 전면 코팅층;
    상기 금속판의 배면에 형성되며, 상기 레이저 관통구의 후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레이저에 의한 천공이 형성되는 배면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관통구와 상기 전면 코팅층의 천공 및 상기 배면 코팅층의 천공은, 상기 금속판의 배면으로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코팅층의 천공과 상기 레이저 관통구와 상기 배면 코팅층의 천공은,
    순차적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코팅층의 천공은 상기 전면 코팅층의 천공 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코팅층의 천공과 상기 레이저 관통구 및 상기 배면 코팅층의 천공은,
    동일 연장선상에 중심이 배치되고 연속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며,
    상기 내주면은 상기 배면 코팅층에서 상기 전면 코팅층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코팅층은 유색의 색상을 가지는 컬러 코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코팅층의 외측에는,
    제거 가능하도록 접착되고 상기 전면 코팅층의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필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관통구는 홀메움 부재에 의해서 메워지고,
    상기 홀메움 부재는 상기 보호필름이 상기 전면 코팅층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면 코팅층의 천공을 통해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22. 전면에 전면 코팅층이 형성되고 후면에 배면 코팅층이 형성되며, 가전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금속판이 투입되는 단계;
    상기 전면 코팅층과 배면 코팅층에서 상기 제 1 관통구가 형성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의 코팅층을 제거하여 천공을 형성하는 코팅층 천공 형성 단계;
    상기 코팅층 천공 형성 단계 후, 상기 전면 코팅층과 배면 코팅층의 천공을 통해서 에칭액을 유입시켜, 전면홈과 배면홈이 홀대 홀로 관통되어 상기 제 1 관통구가 형성되는 에칭 단계;
    상기 에칭 단계 후, 상기 전면 코팅층의 전면에 보호필름을 부착하여 상기 전면 코팅층의 천공을 차폐하는 보호필름 부착 단계;
    상기 보호필름 부착 단계 후, 상기 배면 코팅층의 천공을 통해서 상기 제 1 관통구를 홀메움 부재로 메우는 홀메움 인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코팅층은 유색의 색상을 가지는 컬러 코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코팅층은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배면 코팅층은 에폭시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에칭액은 상기 금속판을 부식시키는 염화제이철(FeC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 천공 형성 단계에서는,
    상기 전면 코팅층에 형성된 천공의 내경을 상기 배면 코팅층에 형성된 천공의 내경 보다 더 작게 형성하여,
    상기 에칭 단계에서, 상기 제 1 관통구 전면의 내경이 상기 제 1 관통구 후면의 내경 보다 더 작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 천공 형성 단계에서는,
    상기 전면 코팅층의 천공과 배면 코팅층의 천공이 동일 연장선상에 중심이 형성되도록,
    상기 금속판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고 레이저 가공 위치를 정렬하는 금속판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금속판을 고정시킨 후 레이저 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 고정 부재는,
    상기 금속판의 양면에 각각 위치되는 제 1 고정지그와 제 2 고정지그 그리고, 상기 제 1 고정지그와 제 2 고정지그가 고정되는 가이드 지그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판은 상기 제 1 고정지그와 제 2 고정지그의 사이에서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지그와 제 2 고정지그는 상기 금속판 보다 외측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측으로 더 연장된 부분에는 천공된 핀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지그에는 상기 핀 고정홀이 관통되어 삽입되는 가이드 핀이 형성되어,
    상기 핀 고정홀이 상기 가이드 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고정지그와 제 2 고정지그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
  30.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홈은 상기 전면홈과 접하여 연통될 때까지 에칭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
  31.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홈은 상기 전면홈 보다 더 긴 시간동안 에칭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
  32.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제거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
  33. 전면에 전면 코팅층이 형성되고 후면에 배면 코팅층이 형성되며, 가전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금속판이 투입되는 단계;
    상기 배면 코팅층과 금속판 및 전면 코팅층을 레이저로 가공하여, 상기 전면 코팅층과 배면 코팅층에 천공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판에 레이저 관통구를 형성하는 레이저 타공 단계;
    상기 레이저 타공 단계 후, 상기 전면 코팅층의 전면에 보호필름을 부착하여 상기 전면 코팅층 천공을 차폐하는 보호필름 부착 단계;
    상기 보호필름 부착 단계 후, 상기 배면 코팅층의 천공을 통해서 상기 레이저 관통구를 홀메움 부재로 메우는 홀메움 인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코팅층은 유색의 색상을 가지는 컬러 코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타공 단계에서는,
    레이저 출력을 10~20w 로 하여 레이저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타공 단계에서,
    상기 전면 코팅층에는 PET재질의 보호비닐을 실리콘 성분의 점착제로 부착하여,
    레이저 타공시 상기 전면 코팅층의 손상을 방지하고, 레이저의 열에 의한 점착제의 소재 전이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


KR1020150140035A 2015-09-25 2015-10-05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KR101770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035A KR101770032B1 (ko) 2015-10-05 2015-10-05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EP16187178.5A EP3147609B1 (en) 2015-09-25 2016-09-05 A refrigerator door including an exterior member
CN201680055954.XA CN108139141B (zh) 2015-09-25 2016-09-06 用于家电的外部部件及其制造方法
EP16848836.9A EP3355011B1 (en) 2015-09-25 2016-09-06 External member for home applianc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CT/KR2016/009953 WO2017052110A1 (ko) 2015-09-25 2016-09-06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US15/763,069 US10641542B2 (en) 2015-09-25 2016-09-06 External member for home appliances having light transmitting through-ho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5/274,731 US10054361B2 (en) 2015-09-25 2016-09-23 Exterior member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CN201910862382.1A CN110595143A (zh) 2015-09-25 2016-09-23 用于家用电器的外部构件
CN201610848931.6A CN106996674B (zh) 2015-09-25 2016-09-23 用于家用电器的外部构件及冰箱
US15/999,558 US10520243B2 (en) 2015-09-25 2018-08-20 Exterior member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US16/712,171 US10871322B2 (en) 2015-09-25 2019-12-12 Exterior member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US16/848,616 US11300352B2 (en) 2015-09-25 2020-04-14 External member for home appliances having light transmitting through-ho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035A KR101770032B1 (ko) 2015-10-05 2015-10-05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794A Division KR102204405B1 (ko) 2017-08-10 2017-08-10 냉장고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710A true KR20170040710A (ko) 2017-04-13
KR101770032B1 KR101770032B1 (ko) 2017-08-30

Family

ID=5858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035A KR101770032B1 (ko) 2015-09-25 2015-10-05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0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66995A (zh) * 2018-04-04 2021-08-17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显示组件及具有该显示组件的冰箱
EP3933334A1 (en) 2020-07-01 2022-01-0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460239B2 (en) 2019-11-05 2022-10-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23027305A1 (ko) * 2021-08-27 2023-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용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3885B2 (ja) * 2001-06-01 2006-02-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部材、時計および電子機器
JP2010113348A (ja) * 2008-10-08 2010-05-20 Toppan Printing Co Ltd 情報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108208A (ja) * 2010-11-15 2012-06-07 Toppan Printing Co Ltd 金属プレートおよびその金属プレートを用いた発光表示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66995A (zh) * 2018-04-04 2021-08-17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显示组件及具有该显示组件的冰箱
CN113266995B (zh) * 2018-04-04 2023-02-17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显示组件及具有该显示组件的冰箱
US11460239B2 (en) 2019-11-05 2022-10-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EP3933334A1 (en) 2020-07-01 2022-01-0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885557B2 (en) 2020-07-01 2024-01-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23027305A1 (ko) * 2021-08-27 2023-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용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0032B1 (ko) 201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1322B2 (en) Exterior member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US11300352B2 (en) External member for home appliances having light transmitting through-ho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668922B1 (ko)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8921B1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77334B1 (ko) 냉장고 도어
KR101659180B1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59181B1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770032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KR20160078194A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 제조 방법
US20170153055A1 (en) Refrigerator
KR101731724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194300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273104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
KR20170037467A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KR102265292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95789A (ko) 냉장고 도어
KR102509727B1 (ko)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