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727B1 -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727B1
KR102509727B1 KR1020160096322A KR20160096322A KR102509727B1 KR 102509727 B1 KR102509727 B1 KR 102509727B1 KR 1020160096322 A KR1020160096322 A KR 1020160096322A KR 20160096322 A KR20160096322 A KR 20160096322A KR 102509727 B1 KR102509727 B1 KR 102509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ayer
metal layer
rear surfa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3125A (ko
Inventor
박소희
김영우
정혜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6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727B1/ko
Priority to US15/763,069 priority patent/US10641542B2/en
Priority to PCT/KR2016/009953 priority patent/WO2017052110A1/ko
Priority to CN201680055954.XA priority patent/CN108139141B/zh
Priority to EP16848836.9A priority patent/EP3355011B1/en
Publication of KR20180013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125A/ko
Priority to US16/848,616 priority patent/US1130035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1LED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면에 실장된 발광소자와 같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관통홀은 금속층의 전면에 부착된 필름층에 의해 발광소자의 소등시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가전 제품의 외관에 대한 고급스러움 및 심미감이 향상된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가전 제품의 작동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작동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 제품에는 가전 제품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가전 제품의 동작에 따른 각종 정보를 숫자나 글자, 기호 또는 그림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통해서 출력되는 정보를 확인하여 가전 제품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고, 가전 제품의 동작을 위한 조작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최근의 가전 제품들은 외관을 보다 고급스럽게 하기 위해서 금속소재로 외장 부재를 형성하거나 외관이 스틸과 같은 질감이 나도록 코팅된 소재의 외장 부재가 사용되며, 이들 외장 부재에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외부로 가전 제품의 동작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121753호에는 냉장고 도어의 금속재질 전면판의 후면에 디스플레이 유닛이 구비되고, 전면판에 복수개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시부가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은 미세한 크기로 성형될 수 있도록 에칭 또는 레이저 드릴링 가공을 통해 형성된다.
하지만, 아무리 미세한 크기로 홀 가공을 하게 되더라도 외부로 관통홀이 식별될 수 있게 되며, 특히 가까이서 표시부를 볼 경우에는 광이 통과되지 않는 관통홀까지 보이게 되어 외관상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특히, 미세한 크기로 홀 가공을 하더라도 홀 크기의 편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홀 크기의 편차로 인하여 사용자의 불만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관통홀의 내부에 홀메움 처리를 하게 되더라도 전면부에 요철 형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물질이 뭍거나 오염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은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을 구현하는 전면 패널용으로 사용되는 외장 부재에 금속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을 배치하며, 금속층의 전면에는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는 필름층을 부착함으로써, 발광소자의 소등시 금속층에 배치된 관통홀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층에 관통홀을 형성할 때 발생하는 공정 오차 및 편차 등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관통홀의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발광소자의 점등시 관통홀을 통해 표시되는 작동 정보의 품질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는 필름층 및 필름층의 후면에 부착되며, 복수의 발광소자가 배치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커버하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가 제공된다.
이 때, 금속층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소자와 대응하는 소정의 영역에 상기 금속층을 관통하며, 금속층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의 폭이 금속층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 개구부의 폭보다 작은 복수의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을 메우는 광 투과성의 잉크층을 포함한다.
금속층을 관통하는 관통홀은 전면 개구부의 폭이 후면 개구부의 폭보다 작게 구비됨에 따라 관통홀의 전면 개구부와 후면 개구부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음에 따라 외부에서 볼 때 전면 개구부의 형상과 상이한 형태로 광이 출사되거나 광이 불규칙적으로 출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층을 관통하는 관통홀은 예를 들어, 금속층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 또는 계단 형상을 가짐으로써 관통홀의 메움시 잉크의 점도에 영향을 덜 받아 광 투과성의 잉크층이 관통홀에 빈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충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층은 관통홀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인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층은 관통홀을 메움과 동시에 금속층의 후면 중 일부 영역을 커버하도록 인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층은 적어도 관통홀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관통홀 내 불완전하게 충진된 잉크층에 의해 광 투과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발광소자로부터 관통홀을 향해 조사되는 광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금속층에 관통홀을 형성할 때 발생하는 공정 오차 및 편차 등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금속층에 관통홀을 형성할 시 금속층의 후면으로 에칭액을 분사하여 금속층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의 폭이 금속층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 개구부의 폭보다 작은 복수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때, 금속층의 후면으로 분사되는 에칭액의 분사 농도, 분사 속도 및 분사 시간 등을 조절함으로써 금속층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예를 들어, 금속층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 또는 계단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는 필름층에 의해 복수의 발광소자가 배치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커버하는 금속층의 전면이 커버된다. 여기서,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금속층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관통홀(특히, 관통홀의 전면 개구부)은 필름층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소자의 점등시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은 관통홀을 메우는 잉크층과 필름층을 순차적으로 투과하여 가전 제품의 전면에 가전 제품의 작동 정보를 나타내게 되나, 발광소자의 소등시에는 관통홀의 전면 개구부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게 된다. 이를 통해, 보다 고급스럽고 심미감이 뛰어난 가전 제품의 외관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층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에칭 공정시 금속층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염화제이철 성분의 에칭액을 사용함으로써 금속층의 전면에 부착된 필름층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금속층에 관통홀을 형성한 후 그 위에 필름층을 부착할 필요없이 필름층이 부착된 상태로 공급되는 금속층에 곧바로 관통홀을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로서 사용되기 위한 금속층은 전면에 필름층이 부착되고, 후면에는 금속층의 부식 등과 같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백코팅층이 부착된 상태로 납품된다. 이 때, 금속층의 후면으로부터 관통홀을 형성하는 에칭 공정을 수행할 때 백코팅층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위치를 마킹함으로써 별도의 필름 라미네이팅 공정 또는 현상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제조 단가 역시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가 사용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부가 점등된 상태인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의 표시부가 소등(a) 및 점등(b)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 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커버,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프레임 디스플레이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절단선 12-12'를 따라 절단한 냉장고 도어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 디스플레이 커버 및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4의 절단선 8-8'을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의 단면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에 잉크층이 채워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에 잉크층이 채워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커버 및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 디스플레이 커버 및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도 20의 필름층의 단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를 제조하는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 내지 도 27은 금속층에 형성된 관통홀에 잉크층을 인쇄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8은 잉크층의 인쇄시 사용되는 제판의 메쉬와 금속층에 형성된 관통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를 제조하는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가 사용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가 사용된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가 사용된 식기세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가 사용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에서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는 가전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로서, 전면 패널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와 전면 패널을 혼용할 수 있으나, 이는 단순히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동일한 부재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 강판은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에 강성을 제공하는 금속판으로서, 이하에서 강판 또는 금속판으로서 지칭된다. 다만, 강판은 금속판의 전면에 필름층이 부착된 형태의 VCM 강판 또는 PCM 강판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개시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장고의 도어에 장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외장 부재가 적용 가능한 다양한 가전 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가 사용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에 장착되어 내부의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여기서, 냉장고 도어(10)는 냉장고(1)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는 외장 부재를 사용하여 마련된다.
내부 저장 공간은 필요에 따라 좌우 양 측 및/또는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저장 공간의 개구된 전면에는 각각의 공간을 개폐하는 복수의 냉장고 도어(10)가 구비될 수 있다. 냉장고 도어(10)는 슬라이딩 또는 회전 방식으로 저장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닫힌 상태에서는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복수(도 1에서 2개)의 냉장고 도어(10) 중 일 측의 냉장고 도어(10)에는 사용자의 조작 및 식별이 용이한 높이에 표시부(11)와 터치 조작부(12)가 제공된다.
표시부(11)는 냉장고(1)의 작동 상태(예를 들어, 온도, 습도, 운전 모드 등)를 외부로 나타내는 영역이다. 표시부(11)는 냉장고 도어(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조사되는 광이 투과되어 기호 또는 숫자 등으로 표시되며,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부(11)에 표시되는 정보를 통해 냉장고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광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는 외부로 나타나지 않게 된다. 즉, 표시부(11)가 임의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필요가 없는 경우, 표시부(11)는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다. 따라서, 마치 냉장고 도어(10)에 표시부(11)와 같이 냉장고(1)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임의의 구성이 구비되지 않은 것으로 느낄 수 있는 외관을 가지게 된다.
터치 조작부(12)는 사용자가 냉장고(1)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거나 운전 모드 등을 변경하기 위해 터치, 스위치 또는 버튼 방식으로 조작하는 부분이다.
터치 조작부(12)는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중 일부 영역에 제공되며, 누름 조작이 감지될 수 있는 부분이 인쇄 처리되거나 에칭과 같은 표면 가공과 같은 방법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조작부(12)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냉장고 도어(10) 중 표시부(11)가 구비되는 냉장고 도어(10)가 아닌 다른 냉장고 도어(10)에 구비되거나, 냉장고 도어(10)가 아닌 캐비닛의 일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조작부(12)는 표시부(11)와 같이 냉장고 도어(10)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광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부가 점등된 상태인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의 표시부가 소등(a) 및 점등(b)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냉장고 도어(10)는 전체적으로 외장 부재(20)에 의해 전면 외관이 형성된다.
냉장고 도어(10)는 전면의 외관(색상, 질감 등)을 형성하는 외장 부재(20),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30)와 냉장고 도어(1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데코 부재(40, 43)의 결합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장 부재(20)는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전체는 물론 냉장고 도어(10)의 측면 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장 부재(20)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에는 지문방지 처리되거나, 특정 패턴이나 문양이 표현될 수 있으며, 메탈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헤어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11)는 외장 부재(2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2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표시부(11)는 문자, 숫자, 도형 또는 기호(이하에서 "세그먼트"라 함)를 나타낼 수 있도록 일정한 배치로 천공된 복수의 관통홀(21)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관통홀(21)들의 집합은 숫자 "4"의 형상으로 배치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특정 기호나 문양의 형상, 문자를 나타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표시부(11)는 외장 부재(2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조사되는 광이 관통홀(21)을 투과함으로써 전술한 세그먼트가 나타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관통홀(21)은 하나의 단위 집합을 이루며, 복수의 관통홀(21)을 포함하는 하나의 단위 집합은 하나의 세그먼트를 형상화하거나 복수의 단위 집합이 하나의 세그먼트를 형상화(예를 들어, 4개의 단위 집합이 사각형의 각 변을 형상화)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외장 부재(20)의 내측에 실장된 발광소자는 이에 대응하는 관통홀(21)들의 단위 집합을 향해 광을 조사함으로써 하나의 단위 집합을 이루는 복수의 관통홀(21)을 통해 광이 출사되도록 한다. 외장 부재(20)의 내측에 배치되는 발광소자는 복수의 관통홀(21)로 이루어진 하나의 단위 집합과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단위 집합당 배치되는 발광소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발광소자의 점등에 의해 표시되는 세그먼트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복수의 관통홀(21)로 이루어진 하나의 단위 집합이 하나의 세그먼트를 전체적으로 형상화할 경우, 하나의 단위집합당 배치되는 발광소자의 수는 세그먼트의 충분한 휘도를 구현하기 위해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복수의 단위 집합이 하나의 세그먼트를 형상화(예를 들어, 4개의 단위 집합이 사각형의 각 변을 형상화)할 경우, 하나의 세그먼트가 차지하는 영역은 하나의 단위 집합이 하나의세그먼트를 전체적으로 형상화하는 경우보다 작으므로, 하나의 단위집합당 배치되는 발광소자의 수는 하나로도 충분할 것이다.
관통홀(21)은 외장 부재(20)의 후면에서 에칭 가공되어 형성되되, 관통홀(21)의 개구된 전면(즉, 전면 개구부)는 외장 부재(20)의 표면을 형성하는 필름층에 의해 차폐된다.
여기서, 필름층은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함과 동시에 광 투과성을 가진다. 따라서, 외장 부재(20)의 내측에 실장된 발광소자가 소등된 상태에서는 외장 부재(20)의 내측이 외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어둡기 때문에 관통홀(21)은 가려지게 된다. 특히, 필름층의 색상이 다소 진하거나 필름층이 금속 박막층을 포함할 경우, 관통홀(21)은 효과적으로 가리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소자의 소등시 표시부(11)를 형성하는 관통홀(21)은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다. 따라서, 마치 외장 부재(20)에 관통홀(21)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느낄 수 있는 외관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 조작부(12)를 터치하거나, 이미 설정되어 있는 어떤 동작에 의해 외장 부재(20)의 내측에 실장된 발광소자가 점등될 경우,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은 관통홀(21)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 때, 발광소자의 선택적인 점등 및 소등에 따라 점등된 발광소자의 상부에 배치된 세그먼트는 표시되며, 소등된 발광소자의 상부에 배치된 세그먼트는 비표시됨으로써 특정 세그먼트를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소자의 선택적인 점등 및 소등에 의해 4, -12℃와 같은 세그먼트의 집합에 따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냉장고 도어(10)의 전면에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가시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 세그먼트만이 냉장고 도어(10)에 표시되는 미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의 배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부재(20)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냉장고 도어(10)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구현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장 부재(20)는 냉장고 도어(10)의 외관을 형성하므로 충분한 강도가 보장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장 부재(20)의 전면에는 가전 제품의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는 필름층이 위치하며, 외장 부재(20)의 후면에는 냉장고 도어(10)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내며, 냉장고 도어(10)의 강성을 제공하는 강판이 위치한다. 강판의 후면에는 강판의 부식 등과 같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백코팅층(232)이 구비될 수 있다.
외장 부재(20)의 표시부(11)에는 복수의 관통홀(21)이 구비되며, 관통홀(21)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에는 잉크층(22)이 채워지게 된다. 잉크층(22)은 외장 부재(20)의 전면의 표시부(11)에 대응하는 후면에 스크린 인쇄 방식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외장 부재(20)의 후면에 백코팅층(232)이 구비된 경우, 표시부(11)에 대응하는 영역에 한하여 백코팅층(232)이 제거되고, 백코팅층(232)이 제거된 영역에 잉크층(22)이 인쇄될 수 있다.
잉크층(22)은 관통홀(21)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만을 채우도록 인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층(22)은 관통홀(21)을 메움과 동시에 외장 부재(20)의 후면 중 일부 영역을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잉크층(22)은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거나 후면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됨과 동시에 외장 부재(20)의 후면 중 일부 영역도 동시에 커버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잉크층(22)이 관통홀(21) 내 불완전하게 충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관통홀(21)을 형성하는 에칭 공정에서 관통홀(21)의 내주면 또는 후면 개구부 등이 매끄럽게 에칭되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잉크층(22)을 과충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관통홀(21)을 불완전하게 메우는 잉크층(22)에 의해 광 투과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 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냉장고 도어(10)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30)는 외장 부재(20)와 결합되며, 저장 공간의 내측을 향하는 면을 형성한다. 도어 라이너(3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되며, 둘레를 따라서 가스켓이 배치되거나 바스켓 등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라이너(30)는 외장 부재(20)와 결합시 도어 라이너(30)와 외장 부재(2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이 공간에는 단열재(24)를 형성하는 발포 부재가 충진될 수 있다.
외장 부재(20)의 후면에는 프레임(100)이 부착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 발포액이 충진되지 않는 별도의 공간을 제공하며, 디스플레이 커버(200),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 및 프레임 디스플레이(400) 등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데코 부재(40, 43)는 냉장고 도어(10)의 상부 및 하부의 외관을 형성하며, 외장 부재(20)와 도어 라이너(30)의 결합 후 냉장고 도어(10)의 상단과 하단 또는 상단, 하단과 측면에 결합되어 냉장고 도어(10)의 내부 공간을 차폐한다.
데코 부재(40, 43) 중 냉장고 도어(10) 상단의 데코 부재(40)에는 삽입구(41)와 삽입구(41)를 개폐하는 삽입구 커버(42)가 구비된다. 삽입구(41)는 데코 부재(40)를 관통하며, 프레임(100)이 형성하는 공간과 연통된다. 또한, 냉장고 도어(10)의 조립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 결합된 상태로 삽입구(41)를 통해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삽입구(41)는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데코 부재(40)의 일 측에는 냉장고 도어(10)의 회전 축이 되는 힌지가 장착되는 힌지 홀이 형성된다. 또한, 힌지 홀을 통해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안내되는 전선이 삽입되어 프레임(10) 내부에 배치된 전자 부품들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동작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냉장고 도어(10) 하부의 데코 부재(43)에는 도어 핸들(44)이 제공될 수 있다. 도어 핸들(44)은 포켓 형태로 함몰되어 냉장고 도어(10)를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냉장고 도어(10) 하부의 데코 부재(43)에는 냉장고 도어(10)의 개폐 조작을 위한 레버(45)가 더 구비되며, 레버(45)의 조작에 의해 래치 어셈블리(31)가 구동되어 냉장고 도어(10)를 열거나 닫을 수 있게 한다.
외장 부재(20)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부착된다. 디스플레이 커버(200)는 복수의 발광소자가 실장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장착을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층(25)에 의해 외장 부재(2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일 측에는 사용자의 외장 부재(20)의 누름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장착된다. 디스플레이 커버(200)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외장 부재(20)에 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 장착된 상태로 삽입구(41)를 통해 프레임(100) 내부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내측에 위치되며, 발광소자의 점등에 의해 출사된 광은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표시부(11)의 관통홀(2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도 7은 터치 센서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커버,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프레임 디스플레이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임(100)은 전면과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외장 부재(20)에 부착되었을 때 상면이 개구된 공간(110)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프레임(100)의 상단을 제외한 둘레가 외장 부재(20)을 향하여 절곡되며, 그 단부가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프레임 접착부(120)를 형성한다. 프레임 접착부(120)에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제공되어 프레임(100)이 외장 부재(2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100)은 외장 부재(2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단이 데코 부재(40)의 하면과 접하게 된다. 프레임(100)의 개구된 상면은 삽입구(41)와 연통될 수 있으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 단열재(24)의 형성을 위한 발포액의 주입시에도 프레임(100) 내부의 공간으로 발포액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프레임(100)의 상부의 양 측단에는 서포트 플레이트(141)가 안착되는 플레이트 지지부(140)가 구비된다. 서포트 플레이트(141)는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장 부재(20)을 후방에서 지지한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외장 부재(2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100)의 측면 상부에는 전선 출입구(150)가 구비된다. 전선 출입구(150)는 프레임(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자 부품들과 캐비닛 상의 전원부를 연결하는 전선이 출입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전선 출입구(150)는 냉장고 도어(10)의 힌지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어 냉장고 도어(10)의 힌지 홀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00)의 좌우 양 측에는 구속홈(160)이 구비된다. 구속홈(160)은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양 측단으로부터 돌출된 구속부(230)가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구속홈(160)의 하부에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디스플레이 커버(200)를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170)가 구비된다. 커버 지지부(170)는 프레임(100)의 좌우 양 측면에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양 측단을 후방에서 눌러 지지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커버(200)는 판상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외장 부재(20)에 부착된 상태에서 프레임(100)의 내측에 수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양 측단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속홈(160)에 삽입되는 구속부(230)가 구비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커버(200)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장착되는 수용부(210)를 더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커버(200)는 표시부(11)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가이드홀(220)을 포함한다. 가이드홀(220)은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외장 부재(20)의 후면에 부착될 때 관통홀(21)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즉, 디스플레이 커버(200)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소자와 대응하는 소정의 영역에 디스플레이 커버(200)를 관통하며,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외장 부재(20)의 관통홀(21) 또는 복수의 관통홀(21)로 이루어진 단위 집합(세그먼트)으로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 홀(220)이 배치된다.
가이드홀(220)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세그먼트로 가이드하도록 발광소자와 관통홀(21)을 연통하며, 가이드홀(220)은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복수의 발광소자가 실장된 기판(310)과 기판(310)의 전면에 배치되는 리플렉터(320)를 포함한다. 기판(310)에는 복수의 발광소자의 구동을 위한 제어부가 포함되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의 구동을 위한 센서 제어부가 실장된다. 센서 제어부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를 통해서 감지된 외장 부재(20)의 조작 신호를 기판(310) 상에서 처리하게 된다. 이를 위해,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 내부의 센서 피시비(미도시)와 기판(310)은 케이블 커넥터(600) 등과 같은 연결 수단을 통해 연결된다.
케이블 커넥터(600)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 내부의 센서 피시비와 연결되는 제1 케이블 커넥터(610) 및 기판(310)과 연결되는 제2 케이블 커넥터(620)를 포함하며, 제1 케이블 커넥터(610)와 제2 케이블 커넥터(62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냉장고 도어(10)에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제1 케이블 커넥터(610)와 제2 케이블 커넥터(620)는 냉장고 도어(10)의 외측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600)의 전체 길이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에서 삽입구(41)까지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삽입구(41)의 외측에서 서로 연결된 후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기판(310)의 전면에는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이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가이드홀(220)과 외장 부재(20)의 관통홀(21)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리플렉터(320)가 구비된다. 리플렉터(320)는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리플렉터(320) 자체의 두께만큼 기판(310) 및 디스플레이 단자(311)가 외장 부재(20)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발생한 정전기에 의해 기판(310)과 기판(310)에 실장된 다양한 전자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외장 부재(20)가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표시부(11)에 인접하게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배치될 경우, 가전 제품의 사용 중 정전기가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리플렉터(320)에 의해 기판(310)과 외장 부재(20)가 구조적으로 이격될 경우, 기판(310)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320)는 광 반사 소재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내주면이 광 반사 소재로 코팅됨으로써 발광소자로부터 다양한 방향으로 출사된 광을 반사시켜 적어도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가이드홀(220)에 이르는 동안 손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리플렉터(320)에는 기판(310)에 실장된 발광소자의 위치에 대응하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가이드홀(220)과 외장 부재(20)의 관통홀(21)과 연통될 수 있는 보조 관통홀(321)이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장착되며, 관통홀(21), 가이드홀(220) 및 보조 관통홀(321)은 모두 서로 이격되는 공간없이 밀착되어 서로 연통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이 외장 부재(20)의 내측에서 손실됨없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는 기판(310)이 장착되기 위한 판상 구조를 가지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절곡되는 테두리(410)가 형성되어 기판(310)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양 측단에는 측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슬라이딩 삽입부(415)가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24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는 슬라이딩 삽입부(415)에 의해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장착된다.
또한, 프레임 디스플레이(400) 상단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프레임 핸들(420)이 구비된다. 프레임 핸들(420)은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결합될 때 사용자가 쥐고 조작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적절한 길이를 가진다.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구 커버(42)를 닫게 되면, 삽입구 커버(42)는 프레임 핸들(420)과 접하게 된다.
도 8은 도 2의 절단선 12-12'를 따라 절단한 냉장고 도어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디스플레이 커버 및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접착 부재(25)에 의해 외장 부재(20)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관통홀(21)과 가이드홀(220)은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가이드홀(220)은 발광소자(313)로부터 출사된 광을 관통홀(21)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관통홀(21)의 크기는 가이드홀(22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복수의 관통홀(21)들은 하나의 가이드홀(220)의 내측 영역에 배치되며, 하나의 가이드홀(220)의 내측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통홀(21)은 하나의 세그먼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홀(220)의 후면에 배치된 발광소자(313)가 점등할 경우, 가이드홀(220)은 발광소자(313)로부터 출사된 광을 하나의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복수의 관통홀(21)로 균일하게 가이드함으로써 외장 부재(20)에 표시되는 세그먼트는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되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 상태에서 보조 관통홀(321)은 가이드홀(220)과 서로 일치하도록 연통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홀(220)과 보조 관통홀(321)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리플렉터(320)가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후면에 밀착됨으로써 가이드홀(220)과 보조 관통홀(321)이 서로 완전히 중첩된다.
이에 따라, 보조 관통홀(321), 가이드홀(220) 및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관통홀(21)은 모두 밀착된 상태로 연통되며, 발광소자(313)로부터 출사된 광은 광 손실이 최소로 된 상태에서 보조 관통홀(321), 가이드홀(220) 및 관통홀(2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냉장고 도어(10)의 외부로 방출된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리플렉터(320)가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역할을 대체함으로써 리플렉터(320)의 전면에 외장 부재(20)가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외장 부재(20)와 리플렉터(320) 사이에 정전기 발생 등을 방지하기 위해 외장 부재(20)와 리플렉터(320) 사이에 절연층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도 4의 절단선 8-8'을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의 단면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금속층(231)의 전면에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는 필름층(235)이 부착된 강판(23)에서 금속층(231)에는 금속층(231)의 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소자와 대응하는 소정의 영역에 복수의 관통홀(21)이 구비된다.
이 때, 서로 이웃한 두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 사이의 간격(d1)은 적어도 0.1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0.2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mm 내지 1.0 mm로 확보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층(231)의 두께(l1)는 관통홀(21)을 형성하기 위한 에칭 공정에 정확성 등을 고려하여 0.1 mm 내지 0.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이웃한 두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 사이의 간격(d1)이 0.2 mm 미만인 경우, 전면 개구부 사이의 간격(d1)이 너무 가까워 외부에서 두 관통홀(21)을 통해 광이 방출될 경우 두 관통홀(21)간 구분이 불명확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전면 개구부 사이의 간격(d1)이 너무 협소하기 때문에 관통홀(21)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이웃한 두 관통홀(21)이 서로 연결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서로 이웃한 두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 사이의 간격(d1)이 0.7 mm를 초과할 경우, 두 관통홀(21)간 거리가 너무 멀어 관통홀(21)에 의해 표시되는 세그먼트의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한 두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 사이의 간격(d2)은 적어도 0.01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0.05 mm 이상 내지 0.5 mm로 확보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한 두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 사이의 간격(d2)이 0.05 mm 미만인 경우, 후면 개구부 사이의 간격(d2)이 너무 협소하기 때문에 관통홀(21)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이웃한 두 관통홀(21)이 서로 연결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서로 이웃한 두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 사이의 간격(d2)이 0.5 mm를 초과할 경우, 두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 사이의 적정 간격(d1)을 확보하기 위해 관통홀(21)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관통홀(21)은 금속층(231)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의 폭과 금속층(231)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 개구부의 폭이 상이하도록 금속층(23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 때, 관통홀(21)은 금속층(231)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의 폭(d3)이 금속층(231)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 개구부의 폭(d4)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금속층(231)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의 폭(d3)은 0.2 mm 내지 0.6 mm일 수 있으며, 금속층(231)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 개구부의 폭(d4)은 0.3 mm 내지 0.7 mm일 수 있다.
금속층(231)을 관통하는 관통홀(21)은 전면 개구부의 폭(d3)이 후면 개구부의 폭(d4)보다 작게 구비됨에 따라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와 후면 개구부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음에 따라 외부에서 볼 때 전면 개구부의 형상과 상이한 형태로 광이 출사되거나 광이 불규칙적으로 출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층(231)을 관통하는 관통홀(21)은 예를 들어, 금속층(231)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 또는 계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관통홀(21)은 금속층(231)을 수직으로 관통하되, 필름층(235)과 인접한 영역에서 관통홀(21)의 폭이 좁아짐에 따라 결과적으로 금속층(231)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의 폭이 금속층(231)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 개구부의 폭보다 작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홀(21)의 폭이 금속층(231)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하지 않고, 금속층(231)의 후면보다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의 폭이 작도록 함으로써 관통홀(21)의 메움시 잉크의 점도에 따른 영향을 덜 받아 광 투과성의 잉크층(22)이 관통홀(21)에 빈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충진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21)이 금속층(231)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경우에 비해 관통홀(21)의 내주면과 잉크층(22)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관통홀(21)과 잉크층(22)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관통홀(21)로부터 잉크층(22)이 누설 내지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에 잉크층이 채워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에 잉크층이 채워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잉크층(22)은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높이(l2)만큼 돌출되도록 인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층(22)은 관통홀(21)을 메움과 동시에 금속층(231)의 후면 중 일부 영역을 커버하도록 인쇄될 수 있다. 이 때, 잉크층(22)은 금속층(231)의 후면으로부터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잉크층(22)과 다른 부재의 접촉 또는 마찰 등에 의해 잉크층(22)이 관통홀(21)로부터 누설 내지 이탈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잉크층(22)은 금속층(231)의 후면 중 일부 영역도 동시에 커버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금속층(231)과의 접촉 면적을 늘림으로써 관통홀(21) 내 잉크층(22)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잉크층(22)은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거나 후면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됨과 동시에 금속층(231)의 후면 중 일부 영역도 동시에 커버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잉크층(22)이 관통홀(21) 내 불완전하게 충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발광소자로부터 관통홀(21)을 향해 조사되는 광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관통홀(21)을 형성하는 에칭 공정에서 관통홀(21)의 내주면 또는 후면 개구부 등이 매끄럽게 에칭되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잉크층(22)을 과충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관통홀(21)을 불완전하게 메우는 잉크층(22)에 의해 광 투과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잉크층(22)이 관통홀(21)을 채움과 동시에 금속층(231)의 후면을 커버함으로써 금속층(231)의 후면이 공기 또는 수분과 접촉함으로써 부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잉크층(22)이 돌출되는 높이(l2)는 강판(23)의 후면으로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커버와 과도한 이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0.1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커버 및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며,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 디스플레이 커버 및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우선, 도 16을 참조하면, 발광소자(313)가 실장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전면에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부착된다.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양면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 부재(221)를 통해 서로 견고히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사이를 통해 발광소자(313)로부터 출사된 광이 접착 부재(221)에 의해 생긴 틈새를 통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 사이의 간격은 0.5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3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mm 이하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금속층(231)의 전면에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는 필름층(235)이 부착되며, 금속층(231)에는 금속층(231)의 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소자(313)와 대응하는 소정의 영역에 복수의 관통홀(21)이 구비된다. 복수의 관통홀(21)에는 각각 잉크층(22)이 충진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와 디스플레이 커버(200) 및 외장 부재(20)를 구조적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리플렉터(320)가 구비된다. 리플렉터(320)는 광 반사 소재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내주면이 광 반사 소재로 코팅됨으로써 발광소자(313)로부터 다양한 방향으로 출사된 광을 반사시켜 적어도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가이드홀(220)에 이르는 동안 광이 손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플렉터(320)는 발광소자(313)의 실장 위치에 대응하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가이드홀(220)과 외장 부재(20)의 관통홀(21)과 연통될 수 있는 보조 관통홀(321)을 포함한다.
금속층(231)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사이에는 정전기 방지뿐만 아니라 발광소자(313)로부터 출사된 광이 확산되어 복수의 관통홀(21)에 균일하게 도달할 수 있는 광 경로의 확보 등을 위해 플라스틱 소재의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개재된다. 금속층(231)과 디스플레이 커버(200),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 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리플렉터(320)는 양면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 부재를 통해 서로 견고히 부착될 수 있다. 아울러, 금속층(231)과 디스플레이 커버(200),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사이를 통해 발광소자(313)로부터 출사된 광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층(231)과 디스플레이 커버(200),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 사이의 간격은 0.5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3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mm 이하이다.
디스플레이 커버(200)에는 전면으로는 복수의 관통홀(21), 후면으로는 발광소자(313)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홀(220)이 구비된다. 가이드홀(220)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에 실장된 발광소자(313)로부터 출사된 광이 복수의 관통홀(21)에 채워진 인쇄층(22)을 투과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가이드홀(220)의 내주면은 반사성 소재로 코팅됨으로써 가이드홀(220)을 다양한 방향으로 통과하는 광을 반사시켜 광의 손실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가이드홀(220)은 가이드홀(220)을 통과하는 광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적어도 디스플레이 커버(20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홀(220)의 전면 개구부의 폭(d5)은 후면 개구부의 폭(d6)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가이드홀(220)의 후면 개구부측에서 광이 불필요하게 반사되거나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금속층(231)과 디스플레이 커버(200) 사이에는 광 확산 시트(28)가 부착될 수 있다.
광 확산 시트(28)는 발광소자(313)에서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켜 관통홀(21)를 통과하는 광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표시되는 숫자, 문자, 도형 또는 기호 등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광 확산 시트(28)를 구비함으로써 광 경로가 짧은 경우에도 충분한 광 확산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두께를 보다 얇게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광 확산 시트(28)는 금속층(231)과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사이를 통해 발광소자(313)로부터 출사된 광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0.5 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 19를 참조하면,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예보다 리플렉터(320)를 두껍게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커버(200)를 생략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커버(200)를 생략함으로써 짧아진 광 경로는 광 확산 시트(28)에 의해 충분히 보상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외장 부재에 사용된 강판(23)은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기 위해 필름층을 사용하는 VCM 타입 또는 도료층을 사용하는 PCM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VCM 타입의 강판에 대한 예시를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장 부재(20)는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함과 동시에 광 투과성의 필름층(235)과 필름층(235)의 후면에 부착되며, 복수의 발광소자(313)가 배치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를 커버하는 강판(23)을 포함한다.
여기서, 강판(23)은 용융아연도금강판(GI) 또는 전기아연도금강판(EGI) 그 자체를 의미하거나, 용융아연도금강판(GI) 또는 전기아연도금강판(EGI)에 해당하는 금속층(231)을 기준으로 전면에 화학적 세척(산 또는 염기 처리) 또는 코팅 처리된 전처리층(233), 접착층으로서 프라이머층(234) 및 필름층(235)을 포함하는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234)의 전면으로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는 필름층(235)이 부착되며, 금속층(231)의 후면으로 금속층(231)의 부식 등과 같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백코팅층(232)이 형성된다. 여기서, 백코팅층(232)은 외장 부재(20)의 후면을 형성하며, 냉장고 도어(10)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재(24)와 접함으로써 금속층(231)이 수분 또는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금속층(231)에 관통홀(21)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금속층(231)의 후면에 형성된 백코팅층(232)의 일부를 제거하여 금속층(231)의 후면을 노출시킨 후 소정의 영역에서 에칭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어서, 금속층(231)에 대한 에칭이 완료되어 관통홀(21)이 형성된 경우, 관통홀(21)이 배치된 금속층(231)의 후면으로 광 투과성의 잉크층(22)을 인쇄하여 관통홀(21)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을 메우게 된다. 잉크층(22)은 관통홀(21)의 내측면이 공기 또는 수분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관통홀(21)의 내측면의 오염을 방지하며,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를 차폐하는 필름층(235)을 후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잉크층(22)은 금속층(231)의 후면으로부터 백코팅층(232)이 제거된 영역을 커버하도록 인쇄함으로써 백코팅층(232)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VCM 타입으로 제공되는 외장 부재(20)에는 PVC 타입과 PVC-free 타입의 필름층(235)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도 20의 VCM 타입으로 제공되는 가전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에 사용된 필름층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PVC-free 타입의 필름층(235)으로서, 금속층(231) 또는 선택적으로 전처리층(233) 또는 프라이머층(234)과 접하는 제1 접착제층(235a),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을 결정하는 도료층(235b), 금속 박막층(235d)과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질감을 결정하는 패턴층(235f)이 순차적으로 증착 또는 부착된 구조를 가진다.
필름층(235)은 프라이머층(234) 또는 접착제층(235a)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두 층 모두 금속층(231)과 필름층(235)의 나머지 층들을 견고히 부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접착제층(235a)로는 다양한 열 또는 광 경화성 수지계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도료층(235b)은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을 결정하기 위해 도료가 선택적으로 포함된 수지층으로서, 도료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은 금속 박막층(235d)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필름층(235)은 금속 박막층(235d)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금속 박막층(235d)이 포함된 경우, 금속 박막층(235d)과 다른 층들 사이의 견고한 접착을 위해 도료층(235b)과 금속 박막층(235d) 사이 또는 금속 박막층(235d)과 패턴층 사이(235f)에는 접착제층(235c, 235e)이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에 특정 질감을 부여하고 싶은 경우, 금속 박막층(235d)의 전면에 사피아노, 헤어라인 등과 같이 다양한 패턴이 임프린팅된 패턴층(235f)이 부착될 수 있다.
패턴층(235f)은 PET 필름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면에 패턴을 임프린팅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전면과 후면에 모두 패턴이 임프린팅될 경우, 전면과 후면에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한 패턴을 임프린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에는 가죽과 같은 촉감을 제공하는 사피아노 패턴을 임프린팅하고 후면에는 헤어라인 패턴을 임프린팅함으로써 다양한 감각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고급스러움과 심미감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2는 PVC 타입의 필름층(235)으로서, 금속층(231) 또는 선택적으로 전처리층(233) 또는 프라이머층(234)과 접하는 PVC층(235g), 금속 박막층(235d)과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질감을 결정하는 패턴층(235f)이 순차적으로 증착 또는 부착된 구조를 가진다.
PVC층(235g)은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을 결정하기 위해 도료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도료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은 금속 박막층(235d)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전제품용 외장부재(전면 패널)를 제조하는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우선, 전면에는 가전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는 필름층(235)이 부착되며, 후면에는 금속층의 부식 등과 같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백코팅층(232)이 부착된 강판(23)을 포함하는 외장 부재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공급한다(S110).
강판(23)은 표면의 이물질 제거 및 평탄화 등을 위해 산 또는 염기성 용액으로 전처리될 수 있다.
이어서, 강판(23)의 후면에 부착된 백코팅층(232)의 일부 영역(즉, 관통홀(21)이 형성될 영역)은 레이저 조사 장치(2)를 이용한 레이저 조사를 통해 강판(23)의 후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판(23)의 후면 중 백코팅층(232)이 제거된 부분은 금속층(231)이 노출된 상태로 존재한다(S120).
이어서, 백코팅층(232)이 제거됨으로써 노출된 금속층(231)에 감광성 수지(26)를 라미네이팅한 후 선택적 경화를 위해 감광성 수지(26) 위로 복수의 홀이 패터닝된 마스킹 필름(27)을 위치시킨다(S130, S140). 이어서, 마스킹 필름의 홀을 통해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자외선이 조사된 감광성 수지(26)를 선택적으로 경화시킨다.
노광에 의해 감광성 수지(26)의 경화가 완료된 후, 마스킹 필름(27)을 제거하고, 미경화된 감광성 수지는 현상 처리를 통해 제거한다(S150). 이에 따라, 백코팅층(232)이 제거됨으로써 노출된 금속층(231)의 전면에는 감광성 수지(26)가 일정한 패턴을 가지도록 경화된 상태로 존재한다.
또한, 감광성 수지(26)가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여전히 노출된 상태로 존재하는 금속층(231)은 관통홀(21)이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된다(S150). 현상이 완료된 후, 감광성 수지(26) 내 미세 기포를 제거하거나, 감광성 수지(26)와 금속층(231) 사이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처리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감광성 수지(26)의 부분 현상 후, 감광성 수지(26), 필름층(235), 백코팅층(232)과의 미반응성인 에칭액을 분사함으로써 감광성 수지(26)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금속층(231)에 대한 에칭을 수행한다(S160). 이러한, 에칭액으로는 염화제이철(FeCl3)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염화제이철 등과 같은 에칭액은 금속층(231)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에칭 공정시 금속층(231)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염화제이철 등과 같은 에칭액을 사용함으로써 금속층(231)의 전면에 부착된 필름층(235)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필름층(235)이 PVC-free 타입의 필름층인 경우, 프라이머층(234) 및 제1 접착제층(235a)은 염화제이철 등과 같은 에칭액에 대하여 반응성이 없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됨으로써 금속층(231)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에칭 공정시 에칭액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필름층(235)이 PVC 타입의 필름층인 경우, 프라이머층(234) 및 PVC층(235g)은 염화제이철 등과 같은 에칭액에 대하여 반응성이 없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됨으로써 에칭 공정시 에칭액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에칭에 사용되는 에칭액의 농도, 에칭액의 분사 속도 또는 에칭액에 대한 노출 시간 등을 조절함으로써 금속층(231)을 관통하는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의 폭이 후면 개구부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노출된 금속층(231)의 크기보다 작은 마스크를 덧대어 에칭을 수행함으로써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의 폭이 후면 개구부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에칭이 완료된 후, 금속층(231)으로부터 감광성 수지(26)를 제거하고, 관통홀(21)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을 메우도록 잉크층(22)을 인쇄하는 공정이 수행된다(S170).
이 때, 본 발명에 따르면, 관통홀(21)은 적어도 강판(23) 또는 금속층(231)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 또는 계단 형상을 가지므로, 스크린 인쇄를 통해 관통홀(21)로 잉크를 흘려보낼 경우, 중력에 의해 필름층(235)과 맞닿는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부터 충분히 채워질 수 있다. 특히, 관통홀(21)의 충진을 위해 사용되는 잉크의 경우, 소정의 점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관통홀(21)이 수직으로 관통된 경우 관통홀(21)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 내에 균일하게 충진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홀(21)은 경사진 형태를 취함으로써, 스크린 인쇄를 통한 잉크의 충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잉크층(22)의 형성에 사용되는 잉크로는 아크릴 수지계 잉크 등과 같이 열 건조 방식의 인쇄 잉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인쇄에 의한 잉크층(22)의 형성에 사용되는 잉크는 20,000 cps 내지 40,0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의 20,000 cps 보다 작을 경우, 정상 조건에서 잉크의 충분한 점도가 확보되기 어려워 공정 중 관통홀(21)로부터 잉크가 누설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잉크이 누설되어 관통홀(21)이 충분히 메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후속 공정이 진행된 경우, 관통홀(21)의 부식 또는 관통홀(21)을 투과하는 광의 표시 품질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스크린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의 점도가 40,000 cps 보다 클 경우, 미세한 크기의 관통홀(21)의 내부에 잉크가 충분히 채워지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추가적으로, 스크린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는 전체 잉크의 중량 대비 1 내지 5 중량%의 실리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는 잉크가 적절한 점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관통홀(21)에 채워진 잉크층(22) 내 고르게 분산되어 광이 잉크층(22)을 통과할 경우 광 산란 효과를 부여하여 관통홀(21)을 통해 방출된 광의 휘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잉크를 이용한 스크린 인쇄를 통해 필름층(235)과 맞닿는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로부터 잉크가 채워지게 됨으로써, 관통홀(21)의 내주면이 공기 또는 수분과 접촉함으로써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관통홀(21)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21)에 채워진 잉크층(22)에 의해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를 차폐하는 필름층(235)은 후방에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잉크층(22)은 관통홀(21)을 완전히 메움과 동시에 금속층(231)의 후면 중 일부 영역(즉, 백코팅층(232)이 제거된 영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관통홀(21)에 잉크가 충분히 채워지지 않음으로써 관통홀(21)을 투과하는 광의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잉크층(22)이 제거된 백코팅층(232)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노출된 금속층(231)의 후면이 공기 또는 수분과 접촉하여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7은 강판에 형성된 관통홀에 잉크층을 인쇄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관통홀(21)이 형성된 강판(23)은 필름층(235)에 의해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가 차폐된 상태이며, 후면 개구부는 개방된 상태를 취함으로써, 후면 개구부를 통해 잉크층(22)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가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스크린 인쇄 전 관통홀(21)의 형성된 강판(23)을 예열한 후 스크린 인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71, S172). 강판이 소정의 온도로 예열된 경우, 금속층(231)의 표면 에너지가 감소되어 인쇄되는 잉크에 대한 표면 장력을 줄이는 것이 가능한 바,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부터 잉크를 충분히 충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온도로 예열된 금속층(231)으로 잉크를 인쇄할 경우, 잉크의 점도가 일시적으로 낮아지게 됨으로써 금속층(231)의 표면과 관통홀(21) 내에서의 잉크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스크린 인쇄가 완료된 후 열 건조를 하면 잉크의 점도가 다시 회복되어 유동성이 떨어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안정적으로 경화된 잉크층(22)을 형성하게 된다.
도 27을 참조하면, 관통홀(21)이 형성된 강판(23)의 후면으로부터 스크린 인쇄가 수행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확인할 수 있다.
예열된 강판(23)은 필름층(235)이 아래를 향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가 상부를 향하게 된다. 이어서, 관통홀(21)이 모두 제판(51)의 메쉬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메쉬를 통해 잉크를 흘러내리게 하여 관통홀(21)에 잉크를 채워넣게 된다.
또한,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잉크층(22)은 관통홀(21)를 채워 넣음과 동시에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거나 강판(23)의 후면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잉크층(22)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강판(23)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잉크층(22)의 두께는 잉크층(22)을 통해 광이 측면 방향으로 새어나가지 않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8은 잉크층의 인쇄시 사용되는 제판의 메쉬와 강판에 형성된 관통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스크린 인쇄를 위해 사용되는 제판(51)은 패턴의 인쇄를 위한 스크린 인쇄시와 달리 관통홀(21) 내에 잉크을 채우는 것이 관건이므로, 관통홀(21) 하나에 대한 메쉬수가 일반적인 스크린 제판에 비해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도록 45°견장각을 가지는 제판(51)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8을 참조하면, 제판(51)에 형성된 메쉬(55)의 견장각은 45°로서, 관통홀(21) 하나에 총 13칸의 메쉬(55)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인 스크린 인쇄에 비하여 관통홀(21) 내부에 잉크를 효과적으로 채울 수 있다.
또한, 제판(51)은 강판(23)의 후면과 약 5 mm 이내로 인접하도록 안착시킴으로써 스크린 인쇄시 제판(51)이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린 인쇄시 강판(23)의 후면과 벌어지는 틈을 최소화함으로써 관통홀(21) 내부에 잉크를 균일하게 채우는 것이 가능하다.
스크린 인쇄시 제판(51)의 상부로는 물리적인 힘으로 관통홀(21) 내부로 잉크를 채워넣기 위한 스퀴즈(52)가 구비될 수 있다. 제판(51)에 잉크가 공급된 상태에서 스퀴즈(52)는 제판(51)을 가압하면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잉크는 제판(51)의 메쉬(55)를 통과하여 관통홀(21) 내로 충진된다. 이 때, 제판(51)과 접촉하는 스퀴즈(52)의 단부(53)는 라운드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판(51)의 메쉬(55)를 통한 잉크의 내림량을 증가시켜 관통홀(21) 내부에 스크린 인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퀴즈(52)는 지지 부재(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54)는 스퀴즈(52)의 일 측에 부착되며, 스퀴즈(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지지 부재(54)는 탄성 소재의 스퀴즈(52)가 물리적인 힘을 가한 상태로 제판(51)의 상부에서 이동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스퀴즈(52)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스크린 인쇄의 신뢰성 및 재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지지 부재(54)는 필요에 따라 스퀴즈(52)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으며, 고강도의 철판이 아닌 다른 소재 또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강판(23)의 후면에 잉크층(22)을 인쇄한 후, 잉크층(22)의 둘레를 따라 추가적인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인쇄되는 인쇄층은 잉크층(22)과 달리 광 비투과성으로 형성됨으로써 잉크층(22)이 아닌 다른 영역으로 광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를 제조하는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순서와 달리, 강판(23)의 후면으로부터 백코팅층(232)을 제거할 때, 백코팅층(232)을 하나의 관통홀(21)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거함으로써 감광성 수지의 라미네이팅, 노광 및 현상 등과 같은 부가적인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레이저 조사 장치(2)를 이용한 홀 마킹을 통해 백코팅층(232)을 하나의 관통홀(21)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거할 수 있으며, 홀 마킹에 의해 백코팅층(232)에 형성된 홀의 직경 또는 폭은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의 직경 또는 폭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20).
이에 따라, 후순위 에칭 공정이 수행될 경우, 백코팅층(232)에 형성된 홀을 통해 금속층(231)에 대한 에칭이 수행되며, 금속층(231)에 형성되는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의 크기는 백코팅층(232)에 형성된 홀의 크기와 거의 일치하게 된다(S230).
이어서, 스크린 인쇄를 통해 관통홀(21)을 메우는 광 투과성의 잉크층(22)이 형성되며, 이 때, 잉크층(22)은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인쇄된다. 바람직하게는,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돌출된 잉크층(22)의 두께는 백코팅층(232)의 두께와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강판(23) 후면의 단차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가 사용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60)는 케이스에 의해 전체적인 외형이 형성된다. 케이스는 베이스(61), 베이스(61)의 후방부의 상측에 배치된 후방 캐비닛(62) 및 베이스(61)의 전방부의 상측에 배치된 전방 캐비닛(63)을 포함하며, 전방 캐비닛(63)의 전면에는 외장 부재(64)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61)와 후방 캐비닛(62) 및 전방 캐비닛(63)은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내부에는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위한 송풍팬과 유로가 제공되고, 흡입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어셈블리, 흡입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 및 냉동 사이클의 구동을 위한 구성 등이 수용된다. 또한, 베이스(61), 후방 캐비닛(62) 및 전방 캐비닛(63)에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복수로 구비된다.
외장 부재(64)는 전방 캐비닛(63)에 장착된다. 외장 부재(64) 또는 외장 부재(64)가 장착된 구성의 회동 또는 착탈에 의해 전방 캐비닛(63)의 전면을 개방할 수 있으며, 전방 캐비닛(63)의 내외측에 구비된 구성들의 조작 및 유지 보수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외장 부재(64)는 실내기(60)의 외관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케이스의 일 측에 장착될 수 있다.
외장 부재(64)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65)가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65)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홀들의 단위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들은 전술한 냉장고와 관련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표시부(65)의 일 측에는 터치 조작부(66)가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65)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7)가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7)에 실장된 발광소자는 표시부(65)로 광을 조사하여 공기조화기의 작동 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7)는 발광소자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문자, 도형 또는 기호의 형태로 작동 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냉장고와 관련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7)의 발광소자가 점등되면 관통홀들을 통과하는 광에 의해 외장 부재(64)의 전면으로 작동 정보가 표시되나, 발광소자의 소등시 관통홀들은 외장 부재(64)의 필름층에 의해 차폐되어 표시부는 물론 관통홀의 존재는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다.
터치 조작부(66)와 대응되는 외장 부재(64)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터치 조작부(66)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가 사용된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세탁기(70)는 외관을 형성하는 세탁기 본체(71),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 드럼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 세탁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장치 및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 등을 포함한다.
세탁기 본체(71)의 전면 일부는 개구되어 세탁물을 드럼에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세탁기 본체(71)의 개구는 도어(72)에 의해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72)는 본체(7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어(72)를 제외한 세탁기 본체(71)의 전면 및 상면에는 외장 부재(7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외장 부재(73) 중 적어도 일부에는 표시부(74)와 터치 조작부(75)가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74)는 세탁기(7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며,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홀들의 단위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들은 전술한 냉장고와 관련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조작부(75)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세탁기(70)를 조작하도록 구비되며, 세탁기(70)의 조작을 위한 다이얼 형태의 노브(76)가 구비될 수도 있다.
표시부(74)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7)가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7)에 실장된 발광소자는 디스플레이 창(74)으로 광을 조사하여 세탁기(70)의 작동 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7)는 발광소자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문자, 도형 또는 기호의 형태로 작동 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냉장고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7)의 발광소자가 점등되면 관통홀들을 통과하는 광에 의해 외장 부재(73)의 전면으로 작동 정보가 표시되나, 발광소자의 소등시 관통홀들은 외장 부재(73)의 필름층에 의해 차폐 되어 표시부는 물론 관통홀 존재는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다.
터치 조작부(75)와 대응하는 외장 부재(73)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터치 조작부(75)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가 사용된 식기세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구비된 식기세척기(8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본체(81)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나, 그 형상에 제한은 없다.
식기세척기(80)는 본체(81), 본체(81)의 내부에 세척을 위한 식기가 수용되는 캐비티, 캐비티에서 인출입되며 식기가 안착되는 렉부재, 캐비티의 내부로 세척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및 세척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 등을 포함한다.
본체(81)에는 도어(82)가 구비되며, 도어(82)는 본체(81)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며, 도어(82)가 닫힌 상태에서 식기세척기(8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도어(82)는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로 구성되며, 하부 도어의 조작시 상부 도어가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도어에는 상기 도어(82)의 개폐를 위한 손잡이(83)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82)의 전면 즉,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의 전면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 부재(84)가 부착되거나 외장 부재(84)가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 그 자체를 형성할 수 있다. 외장 부재(84)는 도어(82)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게 되며, 외장 부재(84)에는 식기세척기(8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85)가 구비된다.
표시부(85)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홀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들은 전술한 냉장고와 관련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85)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7)가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7)에 실장된 발광소자에 의해 표시부(85)로 광을 조사하여 식기세척기(80)의 작동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7)는 복수의 발광소자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문자, 도형 또는 기호의 형태로 표시하게 된다.
냉장고와 관련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7)의 발광소자가 점등되면 관통홀들을 통과하는 광에 의해 외장 부재(84)의 전면으로 작동 정보가 표시되나, 발광소자의 소등시 관통홀들은 외장 부재(84)의 필름층에 의해 차폐되어 표시부는 물론 관통홀의 존재는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다.
표시부(85)의 일 측에는 터치 조작부(86)가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조작부(86)와 대응하는 외장 부재(84)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터치 조작부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가 사용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조리기기는 오븐 또는 전자레인지 등일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구비된 조리기기(9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본체(91)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나, 그 형상에 제한은 없다.
조리기기(90)는 본체(91), 본체(91)의 내부에 조리를 위한 식품이 수용되는 캐비티, 캐비티 내부의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가열수단 또는 마그네트론 및 캐비티의 내부의 대류를 위한 팬 어셈블리 등을 포함한다.
본체(91)에는 도어(92)가 구비되며, 도어(92)는 본체(91)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며, 도어(92)가 닫힌 상태에서 조리기기(9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도어(92)는 본체(91)에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며,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조리기기(90)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도어(92)에는 도어(92)의 개폐 조작을 위한 손잡이(93)가 구비된다.
도어(92)의 전면에는 도어(92)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 부재(94)가 구비될 수 있다. 외장 부재(94)는 반드시 도어(92)에 제한되지 않고 조리기기 본체(91)의 일 측을 형성할 수도 있다.
외장 부재(94)에는 조리기기(9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95)가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95)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홀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들은 전술한 냉장고와 관련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95)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7)가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7)에 실장된 발광소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창(95)으로 광이 조사됨으로써 조리기기(90)의 작동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7)는 발광소자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문자, 도형 또는 기호의 형태로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냉장고와 관련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7)의 발광소자가 점등되면 관통홀들을 통과하는 광에 의해 외장 부재(94)의 전면으로 작동 정보가 표시되나, 발광소자의 소등시 관통홀들은 외장 부재(94)의 필름층에 의해 차폐되어 표시부는 물론 관통홀의 존재는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다.
또한, 표시부(95)의 일 측에는 터치 조작부(96)가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조작부(96)와 대응하는 외장 부재(94)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터치 조작부(96)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21)

  1.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는 필름층; 및
    상기 필름층의 후면에 부착되며, 복수의 발광소자가 배치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커버하는 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와 대응하는 소정의 영역에 상기 금속층을 관통하며, 상기 금속층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의 폭이 상기 금속층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 개구부의 폭보다 작은 복수의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을 메우는 광 투과성의 잉크층;을 포함하되,
    상기 잉크층은 상기 관통홀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며,
    상기 잉크층은 상기 관통홀을 메움과 동시에 상기 금속층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커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발광소자의 점등시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은 상기 관통홀을 메우는 상기 잉크층 및 상기 필름층을 투과하여 가전 제품의 전면에 작동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필름층은 상기 발광소자의 소등시 상기 관통홀의 전면 개구부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단면은 상기 금속층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단면은 상기 금속층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계단 형상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관통홀의 후면 개구부 사이의 간격은 0.05 mm 이상 0.5 mm 이하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관통홀의 전면 개구부 사이의 간격은 0.3 mm 이상 1.0 mm 이하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상기 금속층의 전면에 위치하는 프라이머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전면에 위치하는 도료층;
    을 포함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상기 도료층의 전면에 위치하는 금속 박막층; 및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면에 임프린팅 패턴이 존재하는 패턴층;
    을 더 포함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은 실리카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후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커버가 부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와 대응하는 소정의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를 관통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실장된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관통홀로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홀이 배치된,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후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 사이에 개재된 광 확산 시트를 더 포함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13. 제11항에 있어서,
    하나의 가이드홀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복수의 관통홀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관통홀을 연통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의 폭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 개구부의 폭보다 큰,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15.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는 필름층 및 상기 필름층의 후면에 부착된 금속층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금속층의 후면에 감광성 수지를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상기 감광성 수지의 후면에 복수의 홀이 패터닝된 마스킹 필름을 위치시킨 후 상기 마스킹 필름의 홀을 통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마스킹 필름과 미경화된 상기 감광성 수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금속층의 후면으로 에칭액을 분사하여 상기 금속층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의 폭이 상기 금속층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 개구부의 폭보다 작은 복수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관통홀에 광 투광성의 잉크층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층은 상기 관통홀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인쇄되고,
    상기 잉크층은 상기 관통홀을 메움과 동시에 상기 금속층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커버하도록 인쇄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상기 관통홀의 단면이 상기 금속층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도록 식각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의 제조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상기 관통홀의 단면이 상기 금속층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계단 형상을 가지도록 식각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의 제조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은 상기 금속층의 후면에 잉크를 스크린 인쇄하여 형성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의 제조 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는 실리카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의 제조방법.
KR1020160096322A 2015-09-25 2016-07-28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09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322A KR102509727B1 (ko) 2016-07-28 2016-07-28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US15/763,069 US10641542B2 (en) 2015-09-25 2016-09-06 External member for home appliances having light transmitting through-ho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CT/KR2016/009953 WO2017052110A1 (ko) 2015-09-25 2016-09-06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1680055954.XA CN108139141B (zh) 2015-09-25 2016-09-06 用于家电的外部部件及其制造方法
EP16848836.9A EP3355011B1 (en) 2015-09-25 2016-09-06 External member for home applianc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6/848,616 US11300352B2 (en) 2015-09-25 2020-04-14 External member for home appliances having light transmitting through-ho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322A KR102509727B1 (ko) 2016-07-28 2016-07-28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125A KR20180013125A (ko) 2018-02-07
KR102509727B1 true KR102509727B1 (ko) 2023-03-13

Family

ID=6120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322A KR102509727B1 (ko) 2015-09-25 2016-07-28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7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7674A (ja) * 2001-06-01 2002-12-13 Casio Comput Co Ltd 表示部材、時計および電子機器
JP2010113348A (ja) * 2008-10-08 2010-05-20 Toppan Printing Co Ltd 情報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719B1 (ko) * 2013-04-08 2020-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7674A (ja) * 2001-06-01 2002-12-13 Casio Comput Co Ltd 表示部材、時計および電子機器
JP2010113348A (ja) * 2008-10-08 2010-05-20 Toppan Printing Co Ltd 情報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125A (ko)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0352B2 (en) External member for home appliances having light transmitting through-ho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0054361B2 (en) Exterior member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US11131453B2 (en) Touch sensor assembly and door including the same
AU2019203689B2 (en) Refrigerator
EP3438340B1 (en) Washing machine door having decorative ring, washing machine, and laundry method
CN105051474A (zh) 冰箱及其制造方法
CN104562558B (zh) 操作面板以及洗衣机
KR20190135396A (ko) 냉장고
KR101770032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KR20190066738A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아웃 플레이트
KR101731724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194300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132428B1 (ko) 가전기기용 외장패널
KR102509727B1 (ko)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32513B1 (ko) 가전기기용 외장패널 및 외장패널이 구비된 가전기기
EP366020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a door provided thereat
KR102265292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273104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
KR20170037467A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KR102204405B1 (ko) 냉장고 도어
KR101810561B1 (ko) 가전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