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292B1 -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292B1
KR102265292B1 KR1020200172161A KR20200172161A KR102265292B1 KR 102265292 B1 KR102265292 B1 KR 102265292B1 KR 1020200172161 A KR1020200172161 A KR 1020200172161A KR 20200172161 A KR20200172161 A KR 20200172161A KR 102265292 B1 KR102265292 B1 KR 102265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ayer
display
color
base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1430A (ko
Inventor
김성갑
문병천
김영우
김포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5187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94300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2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292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컬러 강판으로 형성된 외장부재에 컬러층을 제외한 나버지 부분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을 형성하여 엘이디가 점등되었을 때에는 빛이 투과되어 상기 표시부가 외부로 표현되고, 엘이디가 소등되었을 때에는 상기 컬러층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상기 표시부 및 표시부를 구성하는 상기 다수의 관통홀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에는 가전제품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가전제품의 동작에 따른 각종 정보를 숫자나 글자, 기호 또는 그림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통해서 출력되는 정보를 확인하여 가전 제품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가전 제품의 동작을 위한 조작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최근의 가전제품들은 외관을 보다 고급스럽게 하기 위해서 금속소재로 외장부재를 형성하거나 외관이 스틸과 같은 질감이 나도록 코팅된 소재의 외장부재가 사용되며, 이들 외장부재에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외부로 가전제품의 동작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121753호에는 냉장고 도어의 금속재질 전면판의 배면에 디스플레이 유닛이 구비되고, 전면판에 다수개 형성되는 관통구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시부가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는 미세한 크기로 성형될 수 있도록 에칭 또는 레이저 드릴링 가공을 통해 형성된다.
하지만, 아무리 미세한 크기로 홀 가공을 하게 되더라도 외부로 관통구가 식별될 수 있게 되며, 특히 가까이서 표시부를 볼 경우에는 불빛이 통과되지 않는 관통구까지 보이게 되어 외관상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특히, 미세한 크기로 홀 가공을 하더라도 홀크기의 편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홀크기의 편차로 인하여 사용자의 불만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관통구의 내부에 홀메움 처리를 하게 되더라도 전면부에 요철 형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물질이 뭍거나 오염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컬러 강판으로 형성된 외장부재에 컬러층을 제외한 나버지 부분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을 형성하여 엘이디가 점등되었을 때에는 빛이 투과되어 상기 표시부가 외부로 표현되고, 엘이디가 소등되었을 때에는 상기 컬러층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상기 표시부 및 표시부를 구성하는 상기 다수의 관통홀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컬러 강판의 백코팅층 중 관통홀과 대응하는 부분만을 제거한 후 제거된 영역을 에칭하여 상기 관통홀을 형성함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전제품용 외장부재는, 다수의 엘이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커버하며, 가전제품의 색상과 질감을 형성하는 컬러층과 부식 방지를 위한 백코팅층이 전면과 배면에 형성되는 컬러 강판; 상기 다수의 엘이디와 대응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에서 상기 컬러층까지 함몰되는 다수의 제 1 관통구; 상기 다수의 제 1 관통구 각각을 메우도록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의 빛이 투과되는 홀 메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제 1 관통구들은 상기 엘이디의 점등시 빛이 상기 컬러층을 투과하여 외부에서 냉장고의 동작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형성하며, 상기 엘이디의 소등시 상기 컬러층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구가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컬러 강판은 브이시엠 강판 또는 피시엠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백코팅층은 상기 다수의 제 1 관통구들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대응하는 크기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백코팅층은 상기 다수의 제 1 관통들을 모두 포함하는 크기의 영역만큼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 메움부재는 상기 컬러 강판 배면의 상기 백코팅층이 제거된 부분을 모두 커버 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컬러층은 필름타입으로 형성되거나 도료의 도장 또는 코팅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관통홀은 염화제이철을 이용하여 에칭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메움 부재는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에서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은, 가전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컬러 강판이 입고되는 단계 [S110]; 상기 컬러 강판 배면의 백코팅층을 표시부와 대응하는 영역만큼 레이저로 제거하는 단계 [S120]; 상기 백코팅층이 제거된 컬러 강판에 노출된 베이스 메탈층의 표면에 감광성 수지 필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S130]; 제 1 관통구가 형성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설계된 마스킹 필름을 배치시킨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을 경화시키는 단계 [S140]; 상기 경화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의 나머지 부분을 현상액에 녹여서 제거하는 단계 [S150]; 에칭액을 분사하여 상기 컬러 강판의 컬러층을 남기고 상기 제 1 관통구의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 메탈층을 부식시켜 상기 제 1 관통구를 에칭 형성하는 단계 [S160]; 상기 제 1 관통구에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상기 컬러층을 지지하도록 홀 메움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S170]를 포함한다.
상기 홀 메움부재는 상기 백코팅층이 제거된 상기 표시부의 영역 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은, 가전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컬러 강판이 입고되는 단계 [S210]; 상기 컬러 강판 배면의 백코팅층을 다수의 제 1 관통구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 1 관통구의 크기만큼 레이저로 제거하는 단계 [S220]; 에칭액을 분사하여 상기 컬러 강판의 컬러층을 남기고 상기 제 1 관통구의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 메탈층을 부식시켜 상기 제 1 관통구를 에칭 형성하는 단계 [S230]; 상기 제 1 관통구에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상기 컬러층을 지지하도록 홀 메움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S2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장부재는 컬러 강판의 전면을 형성하는 컬러층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홀이 차폐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컬러층이 갖는 구조적 특징에 의해 엘이디 점등시에는 빛이 통과되어 표시부가 외부로 나타날 수 있으며, 엘이디 소등시에는 제 1 관통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엘이디 소등시 외장부재 전면으로 제 1 관통홀이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관이 보다 개선되고 고급스러운 외관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 상기 제 1 관통홀의 성형시 컬러 강판의 베이스 메탈과 반응할 수 있는 이산화철 성분의 에칭액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백코팅층을 제거한 후 에칭 성형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홀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 1 관통홀을 차폐하는 컬러층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 1 관통홀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상기 컬러 강판은 브이시엠 강판 또는 피시엠 강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완제품으로 공급되는 컬러 강판에 백코팅을 제거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제 1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상기 제 1 관통홀의 성형시 제거되는 백코팅층을 상기 제 1 관통홀을 메우는 홀 메움부재로 커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컬러 강판의 부식을 방지하고, 동시에 상기 컬러층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여섯째, 상기 제 1 관통홀의 성형시 상기 백코팅층을 레이저 마킹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홀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할 수 있으며, 베이스 메탈과 반응하는 이산화철 성분의 에칭액을 사용하여 백코팅층이 제거되어 노출된 상태의 베이스 메칼층에 상기 제 1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백코팅층이 에칭을 위한 마스킹 역할을 하게 되며, 따라서 에칭을 위한 별도의 필름 라미네이팅 공정이나 현상 등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성과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고 제조비용 또한 대폭적으로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표시부가 점등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의 구성하는 컬러 강판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컬러 강판의 컬러층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컬러 강판의 다른 컬러층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을 구성하는 다른 컬러 강판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8-8'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장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디스플레이 커버,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프레임 디스플레이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2의 12-12' 단면도이다.
도 13는 도 12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외장부재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6은 상기 외장부재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17은 상기 외장부재의 제 1 관통구에 홀 메움부재를 성형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8는 상기 제 1 관통구에 홀 메움부재를 인쇄 성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면 패널의 배면에 스크린 인쇄 공정이 실시되는 모습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상기 스크린 인쇄를 위한 제판의 메쉬와 제 1 관통구와의 관계를 나타낸 확대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외장부재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2는 상기 외장부재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부재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부재가 구비된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부재가 구비된 식기세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부재가 구비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장고의 도어에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장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은 외장부재에 다수의 미세한 관통구 형성되고 빛이 통과되는 관통구들의 조합에 의해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를 포함한 가전기기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장착되어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좌우 양측 및/또는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공간의 개구된 전면에는 각각의 공간을 개폐하는 다수의 냉장고 도어(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10)는 슬라이딩 또는 회전 방식으로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냉장고 도어(10) 중 일측의 냉장고 도어(10)에는 사용자의 조작 및 식별이 용이한 높이에 표시부(11)와 터치 조작부(12)가 제공된다.
상기 표시부(11)는 냉장고(1)의 작동 상태를 외부로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면서 기호 또는 숫자 등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외부에서 이를 통해 냉장고의 동작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서 빛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 에서와 같이 상기 표시부(11)는 외부로 나타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서 빛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에 상기 표시부(11)와 같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지 않은 것과 같은 외관을 가지게 된다.
상기 터치 조작부(12)는 사용자가 냉장고(1)의 동작을 위해 터치 조작하는 부분으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일부 영역에 제공되며, 누름 조작이 감지될 수 있는 부분이 인쇄처리되거나 에칭과 같은 표면 가공과 같은 방법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터치 조작부(12)는 복수의 상기 냉장고 도어(10) 중 상기 표시부(11)가 구비되는 냉장고 도어(10)가 아닌 다른 냉장고 도어(10)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냉장고 도어(10)가 아닌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터치 조작부(12)는 터치 방식이 아닌 스위치 또는 버튼 방식의 조작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조작부(12) 또한 상기 표시부(11)와 같이 상기 냉장고 도어(10) 내부에서 빛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 외부로 나타나지 않도록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표시부가 점등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 도어(10)는 전체적으로 전면 패널(20)에 의해 전면 외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전면 패널(20)은 외장부재와 동일한 개념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전면 패널(20)이라 할 뿐 다른 실시 예들의 외장부재와 동일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10)는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전면 패널(20)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30)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데코부재(40,43)의 결합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전면 패널(20)은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상의 컬러 강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은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전체는 물론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측면 일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을 형성하는 컬러 강판에는 지문방지 처리가 되거나, 특정 패턴이나 문양이 표현될 수 있으며, 메탈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헤어라인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1)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 1 관통구(2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는 숫자나 기호를 나타낼 수 있도록 일정한 배치로 천공된 다수의 제 1 관통구(21)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데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의 집합은 7 세그먼트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특정 기호나 문양의 형상, 글자를 나타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1)는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의 제 2 관통구(220) 및 제 3 관통구(321)들의 배치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 관통구(21)들 중 빛이 조사되는 상기 엘이디(313)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중 적어도 일부의 제 1 관통구(21)들을 통과하여 빛이 조사될 수 있으며, 빛이 조사되는 제 1 관통구(21)들은 특정 숫자나 문자 모양 등을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관통구(21)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서 에칭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컬러 강판의 표면에 의해 차폐된다. 따라서, 상기 엘이디(313)가 점등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컬러 강판의 표면을 형성하는 컬러층(235)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구(21)가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냉장고 도어(10)를 통해 상기 표시부(11) 및 표시부(11)를 형성하는 상기 제 1 관통구(21)를 볼 수 없게 된다.
하지만, 상기 엘이디(313) 중 적어도 일부가 점등될 경우 도 2에 개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 중 점등된 상기 엘이디(313)와 대응하는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은 빛이 투과되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노출되는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의 조합에 의해 특정한 숫자(예컨데 도 2에서와 같이 4, -12)로 표현될 수 있으며 문자 또는 그림 등으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의 구성하는 컬러 강판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전면 패널(20)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측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은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외관을 형성하므로 충분한 강도가 보장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의 표시부(11) 영역에는 다수의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구(21)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20)을 형성하는 컬러 강판의 컬러층(235)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엘이디(313)가 점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10)측을 바라보게 되면, 상기 제 1 관통구(21)가 상기 컬러층(235)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외부로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전체가 디스플레이와 같은 구성이 없이 매끈한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제 1 관통구(21)는 상기 엘이디(313)의 점등시 특정한 문자나 기호의 형태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표시부(1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의 전체적인 형상은 점등되는 상기 엘이디(313)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11)는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이 배치된 영역 전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는 홀 메움부재(22)가 형성된다.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 중 상기 표시부(11)가 형성되는 부분에 인쇄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홀 메움부재(22)에 의해 상기 다수의 제 1 관통구(21) 전체는 물론 상기 전면 패널(20)의 표시부(11) 영역에 해당하는 배면 일부가 커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20)은 컬러 강판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컬러 강판은 빛의 투과되는 컬러층(235)을 가지는 브이시엠(VCM) 강판(23) 또는 피시엠(PCM) 강판(23')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전면 패널(20)을 구성하는 컬러 강판은 브이시엠 강판(2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브이시엠 강판(23)은 용융아연금강판(GI) 또는 전기아연도금강판(EGI)으로 형성된 베이스 메탈층(231)을 기준으로 상면에 화학적 세척 또는 코팅 처리된 전처리층(233)과 프라이머층(234) 그리고 색상 및 질감의 표현을 위한 컬러층(235)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을 기준으로, 베이스 메탈층(231)의 하면에는 후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브이시엠 강판(23)의 배면의 부식 방지 등의 처리가 된 백코팅층(2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이시엠 강판(23)의 가장 상면을 형성하는 컬러층(235)은 필름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전면 패널(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백코팅층(232)은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냉장고 도어(10)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재(24)와 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면 패널(20)상에 제 1 관통구(21)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브이시엠 강판(23)의 하면에 형성된 백코팅층(232)의 일부를 벗겨낸 후 상기 에칭을 실시하게 된다. 즉, 상기 브이시엠 강판(23)의 백코팅층(232)이 벗겨지게 되어 노출된 베이스 메탈층(231)에 에칭액을 이용하여 제 1 관통구(21)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성형 완료한 후에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의 홀 메움부재(22)가 상기 제 1 관통구(21)를 메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면 부식을 방지하고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개구를 차폐하는 상기 컬러층(235)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채울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의 배면 중 에칭을 위해 상기 백코팅층(232)이 벗겨진 부분을 커버하여 도 3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아래에서 설명될 인쇄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도포, 코팅, 부착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컬러층(235)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20)의 외관 즉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외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컬러층(235)은 다양한 색감과 질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컬러층(235)은 필름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상기 브이시엠 강판(23)의 종류에 따라 피브이시 타입과 피브이시 프리 타입으로 구성되어 프라이머가 도포된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에 접착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컬러 강판의 컬러층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컬러층(235)은 피브이시 프리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컬러층(235)은 핫멜트층(235a)이 가장 바닥에 형성되고, 필름 컬러층(235b)과 프라이머층(235c), 증착층(235d), 프라이머층(235e), 피이티층(235f)이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핫멜트층(235a)은 상기 브이시엠 강판(23)의 프라이머층(234)과 접착되어 상기 컬러층(235)이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필름 컬러층(235b)은 상기 컬러층(235)의 색상을 결정할 수 있으며, 투명한 색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색상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증착층(235d)은 상기 컬러층(235)이 특정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금속과 같은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름 컬러층(235b)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이티층(235f)은 컬러층(235)의 가장 상면에 위치되어 컬러층(235)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상기 컬러 강판의 다른 컬러층의 단면도이다.
한편, 상기 컬러층(235)은 피브이시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컬러층(235)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색상를 가지는 피브이시(PVC)층(235g)이 가장 바닥에 형성되고 프라이머층(235c)과 증착층(235d), 프라이머층(235e), 피이티층(235f)이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브이시층(235g)은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의 상방에서 상기 프라이머층(234)과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브이시층(235g)은 상기 컬러층(235)의 색상을 결정할 수 있으며, 투명한 색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증착층(235d)은 상기 컬러층(235)이 특정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금속과 같은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름 컬러층(235b)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이티층(235f)은 컬러층(235)의 가장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컬러층(235)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브이시엠 강판(23)의 컬러층(235)은 피브이시 타입과 피브이시 프리 타입 모두 적용 가능할 것이며, 빛의 투과가 가능한 필름 소재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패널(20)을 형성하는 컬러 강판은 브이시엠 강판(23) 외에도 피시엠 강판(23')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을 구성하는 다른 컬러 강판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피시엠 강판(23')은 용융아연금강판(GI) 또는 전기아연도금강판(EGI)으로 형성된 베이스 메탈층(231)을 기준으로 상면에 화학적 세척 또는 코팅 처리된 전처리층(233)과 프라이머층(234) 그리고 색상 및 질감의 표현을 위한 컬러층(2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을 기준으로 하면에는 노출되는 브이시엠 강판(23)의 배면의 부식 방지 등의 처리가 된 백코팅층(2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시엠 강판(23')의 가장 상면을 형성하는 상기 컬러층(235)은 빛의 투과가 가능한 도료를 이용하여 도장 또는 코팅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백코팅층(232)은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냉장고 도어(10)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재(24)와 접할 수 있다.
상기 컬러층(236)을 제외한 나머지 베이스 메탈층(231)과 백코팅층(232), 전처리층(233) 및 프라이머층(234)은 전술한 브이시엠 강판(23)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동일 도면부호로 표시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전면 패널(20)상에 제 1 관통구(21)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피시엠 강판(23')의 하면에 형성된 백코팅층(232)의 일부를 벗겨낸 후 상기 에칭을 실시하게 된다. 즉, 상기 피시엠 강판(23')의 백코팅층(232)이 벗겨지게 되어 노출된 베이스 메탈층(231)에 에칭액을 이용하여 제 1 관통구(21)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성형 완료한 후에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의 홀 메움부재(22)가 상기 제 1 관통구(21)를 메울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채울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 중에서 중 에칭을 위해 상기 백코팅층(232)이 벗겨진 부분을 커버하여 도 3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8-8'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전면 패널(20)에는 다수의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 1 관통구(21)들은 균일한 직경을 갖도록 천공 형성되며, 0.5mm의 설계 직경을 갖도록 에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은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의 상기 백코팅층(232) 일부를 제거하여 노출되는 베이스 메탈층(231)을 에칭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에칭액은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과 반응하여 녹일 수 있는 염화제이철(FeCl3)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백코팅층(232)을 제거한 부분을 에칭액을 이용하여 에칭시킬 경우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을 완전히 관통하는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개구가 균일한 사이즈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오버 에칭을 실시할 수 있으며, 오버 에칭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개구의 직경(D)은 설계 직경보다 다소 큰 0.5 ~ 0.7mm 사이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구(21)의 크기는 오버 에칭에 의해 설계 직경보다 다소 커지게 되지만,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을 스트레이트하게 동일 직경으로 완전히 관통할 수 있게 되므로서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개구의 크기가 모두 균일하게 되며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 간에 겹침이나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구(21)의 크기가 다소 커지게 되더라도 상기 엘이디(313)가 점등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상기 컬러층(235)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구(21)는 가려지게 되어 외부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채우는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 인쇄 방식으로 형성되며, 이때,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가 형성하는 상기 표시부(11)영역까지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의 제 1 관통구(21)는 상기 홀 메움부재(22)로 채워지게 되며, 상기 표시부(11)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서 대략 35 ~ 55㎛의 두께를 가지는 인쇄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성형되며,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완전히 채우고 상기 표시부(11)와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의 노출된 부분을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의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홀 메움부재(22)의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 투과되는 빛의 확산도가 떨어지게 되며, 너무 두꺼운 경우 상기 전면 패널(20)의 판금 성형시 홀 메움부재(22)에 의한 굴곡이 상기 전면 패널(20)의 전면으로 드러나게 된다.
상기 홀 메움부재(22)의 성형을 위해서는 열 건조 방식의 인쇄잉크 즉, 아크릴 수지 잉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쇄잉크는 20,000cps ~ 40,000cps의 점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쇄잉크의 점도가 20,000cps 보다 더 낮을 때에는 잉크의 건조 후에도 잉크가 누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40,000cps 보다 높을 때에는 미세한 크기의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부에 인쇄잉크가 완전히 채워지지 않기 때문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잉크로 미세한 크기의 상기 제 1 관통구(21)를 효과적으로 채우기 위해서는 적절한 점도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잉크 성분의 특성에 의해 상기 인쇄잉크는 우수한 동점도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할 스크린 인쇄를 통해 미세한 크기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을 균일하게 채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홀 메움부재(22)를 형성하는 상기 아크를 수지 잉크의 주요 성분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전체 코팅액의 중량을 100%로 할 때 메인 수지인 실리콘 아크릴 폴리올 33w%, 아크릴 폴리올 34w%이 혼합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메인 수지의 혼합으로 스크린 인쇄 방식의 구현이 가능하며 투명도와 열적 안정성 등의 물성을 만족하게 된다.
그리고, 열 경화제인 에폭시와 멜라민 수지가 15w%가량 혼합되며, 용제 8w%, 동점도의 조절을 위한 증점제로 흄드실리카(fumed slica) 2w%~3w%, 경화제 1w%, 그리고 나머지 잔량은 소포제와 레벨링제와 부착 증진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홀 메움부재(22)를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의 성분비는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상기 흄드 실리카는 설정된 점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2~3w% 사이에서 결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흄드 실리카에 의한 동점도 조절에 의해 스크린 인쇄시 상기 아크릴 수지 잉크가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채워서 상기 홀 메움부재(22)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아크릴 수지 잉크는 스크린 인쇄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점도가 낮아지면서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으로 쉽게 유입될 수 있으며,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점성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에 부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건조되어 상기 홀 메움부재(22)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을 효과적으로 채울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부는 홀 메움부재(22)에 의해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상기 제 1 관통구(21)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이 상기 홀 메움부재(22)에 의해 채워짐으로써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가공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도 9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장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배면을 형성하는 상기 도어 라이너(30)는 상기 전면 패널(20)과 결합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을 향하는 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3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되며, 둘레를 따라서 가스켓이 배치되거나 바스켓 등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30)는 상기 전면 패널(20)과의 결합시 상기 도어 라이너(30)와 전면 패널(2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이 공간에는 단열재(24)를 형성하는 발포액이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는 프레임(100)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서 발포액이 충진되지 않는 별도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 프레임 디스플레이(400) 등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데코부재(40,43)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상부와 하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 패널(20)과 도어 라이너(3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상단과 하단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데코부재(40,43) 중 상기 냉장고 도어(10) 상부의 데코부재(40)에는 삽입구(41)와 상기 삽입구(41)를 개폐하는 삽입구 커버(42)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구(41)는 상기 데코부재(40)를 관통하며 상기 프레임(100)이 형성하는 공간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조립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삽입구(41)를 통해서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삽입구(41)는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데코부재(40)의 일측에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회전 축이 되는 힌지가 장착되는 힌지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홀을 통해서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안내되는 전선이 출입되어 상기 프레임(10) 내부의 전방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고, 동작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장고 도어(10) 하부의 데코부재(43)에는 도어 핸들(44)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핸들(44)은 포켓 형태로 함몰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10)를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냉장고 도어(10) 하부의 데코부재(43)에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개폐 조작을 위한 레버(45)가 더 구비되며, 상기 레버(45)의 조작에 의해 래치 어셈블리(31)가 구동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개방 또는 닫힘 상태의 유지를 선택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부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는 엘이디(313)가 실장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장착을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 양면테이프 또는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접착부재(25)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상기 전면 패널(20)의 누름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장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삽입구(41)를 통해서 상기 프레임(100) 내부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표시부(11)를 지나 외부로 조사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디스플레이 커버,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프레임 디스플레이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100)은 전면과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되었을 때 상면이 개구된 공간(11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100)의 상단을 제외한 둘레가 상기 전면 패널(20)을 향하여 절곡되며, 그 단부가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프레임 접착부(12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 접착부(120)에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제공되어 상기 프레임(100)이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단이 상기 데코부재(40)의 하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개구된 상면이 상기 삽입구(41)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 상기 단열재(24)의 형성을 위한 발포액의 주입시에도 상기 프레임(100) 내부의 공간으로 발포액이 유입되지 않고 보호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 좌우 양측단에는 서포트 플레이트(141)가 안착되는 플레이트 지지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41)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 공간의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 패널(20)을 후방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20)의 대응하는 부분이 일렁거리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 충격에 의해 전면 패널(2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100)의 측면 상부에는 전선 출입구(150)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 출입구(150)는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장 부품들과 상기 캐비닛 상의 전원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전선이 출입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선 출입구(150)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힌지와 가까운 측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힌지 홀과 가까운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측에 발포액을 주입할 때에는 마감 처리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로 발포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좌우 양측에는 구속홈(160)이 형성된다. 상기 구속홈(160)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좌우 양측단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구속부(23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속홈(160) 하부의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를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170)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지지부(170)는 상기 프레임(100)의 좌우 양측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좌우 양측단을 후방에서 눌러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는 판상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좌우 양측단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속홈(160)에 삽입되는 구속부(23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장착되는 수용부(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는 상기 표시부(11)와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제 2 관통구(220)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관통구(220)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제 1 관통구(2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관통구(220)는 상기 7세그먼트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기타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다양한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 2 관통구(220)의 둘레에는 차단부(221)가 형성된다. 상기 차단부(221)는 상기 제 2 관통구(220)의 외측에서 상기 제 2 관통구(2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접착을 위한 접착부재(25)는 상기 차단부(221)의 외측 영역에만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부착시 상기 접착부재(25)의 두께에 의해 발생되는 제 1 관통구(21)와 제 2 관통구(220)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 공간을 통해서 빛이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단부(221)의 돌출 높이는 빛 샘을 차단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 전면에 부착되는 접착부재(25)가 압축되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접착부재(25)의 압축 전 높이보다는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상기 엘이디(313)가 실장된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의 전면에 배치되는 리플렉터(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에는 상기 엘이디(313)의 구동을 위한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의 구동을 위한 센서 제어부가 실장된다. 즉, 상기 센서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를 통해서 감지된 상기 전면 패널(20)의 조작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 상에서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 내부의 센서 피시비(미도시)와 디스플레이 피시비(310)는 케이블 커넥터(600)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600)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 내부의 센서 피시비와 연결되는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와 연결되는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는 서로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에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외측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케이블 커넥터(600)의 전체 길이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에서 상기 삽입구(41)까지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41)의 외측에서 서로 연결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의 전면에는 상기 엘이디(313)의 빛이 상기 제 1 관통구(21)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리플렉터(320)가 구비된다. 상기 리플렉터(320)는 상기 엘이디(313)의 빛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리플렉터(320)의 두께만큼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자(311)가 상기 전면 패널(20)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정전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전면 패널(20)이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표시부(11)에 인접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배치되어야 하는 구조의 특성상 사용 중 발생되는 정전기에 취약할 수 있으나, 상기 리플렉터(32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가 구조적으로 상기 전면 패널(20)과 이격되면서도 빛의 전달이 우수하도록 하여 정전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플렉터(32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에 실장된 엘이디(313)의 배치와 대응하며, 상기 제 2 관통구(220) 및 제 1 관통구(21)와 연통될 수 있는 제 3 관통구(321)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관통구(21)와 제 2 관통구(220) 및 제 3 관통구(321)는 모두 밀착되고 서로 연통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표시부(11)를 통해서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가 안착 가능한 판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둘레를 따라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테두리(410)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좌우 양측단에는 좌우 양측으로 절곡되는 슬라이딩 삽입부(415)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삽입부(415)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24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는 상기 슬라이딩 삽입부(415)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 상단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 핸들(420)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 핸들(420)은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결합될 때 사용자가 쥐고 조작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 커버(42)를 닫게 되면, 상기 삽입구 커버(42)는 상기 프레임 핸들(420)과 접하게 된다.
*도 12는 도 2의 12-12'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3는 도 12의 A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상기 접착부재(25)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관통구(21)와 제 2 관통구(220)가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관통구(21)의 크기는 아주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관통구(220)의 크기보다 훨씬 더 작게 되며,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은 상기 하나의 제 2 관통구(220)의 내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3 관통구(321)가 상기 제 2 관통구(220)와 서로 일치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2 관통구(220)와 제 3 관통구(321)는 그 크기가 동일하며, 상기 리플렉터(32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후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 2 관통구(220)와 제 3 관통구(321)는 서로 완전히 겹쳐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관통구(321)와 제 2 관통구(220) 그리고 제 1 관통구(21)는 모두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제 3 관통구(321)와 제 2 관통구(220) 및 제 1 관통구(21)를 차례로 지나 냉장고 도어(10)의 외부로 조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된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는 확산시트(25)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확산시트(25)는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켜 상기 제 1 관통구(21)를 통과하는 빛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며, 상기 표시부(11)를 통해 조사되는 빛이 고르게 밝게 되어 상기 표시부(11)를 통해 표현되는 문자 나 숫자 기호 등이 명확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상기 표시부(11)는 다수의 제 1 관통구(21)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점등되는 상기 엘이디(313)에 따라서 7세그먼트 형태의 숫자와 기호의 형태 등으로 나타나게 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표시부(11)는 도 14의 (a)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엘이디(313)가 점등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외부로 상기 제 1 관통구(21)가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세히, 상기 컬러층(235)은 색상 또는 특정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빛의 투과가 가능한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냉장도 도어(10)의 내측에서 상기 엘이디(313)의 빛이 조사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측 영역이 상대적으로 더 어둡게 되어 외부로 보여지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컬러층(235)의 색상이 다소 진하거나 상기 컬러층(235)의 구성 중 증착층(235d)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컬러 강판의 컬러층(235)이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차폐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빛이 조사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외부에서 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은 것과 같이 보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 조작부(12)를 터치하거나, 이미 설정되어 있는 어떤 동작에 의해 상기 엘이디(313)가 점등되면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제 3 관통구(321)와 제 2 관통구(220) 및 제 1 관통구(21)를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조사된다.
이때, 상기 엘이디(313)의 점등 상태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제 1 관통구(21) 중 일부의 제 1 관통구(21)에서 빛을 발산하게 되며, 나머지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은 빛을 발산하지 않게 되어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엘이디의 빛이 통과되어 빛을 발산하는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은 서로 조합되어 특정 숫자나 문자 또는 기호의 형태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엘이디(313) 중 특정 엘이디(313)가점등되면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 중 일부의 제 1 관통구(21)들에서 빛을 발산하여 도시된 것과 같이 4℃, -12℃와 같이 정보를 숫자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에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가시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점등되는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을 통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외장 부재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외장부재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상기 외장부재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장부재 즉, 상기 전면 패널(20)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전면 패널(20)의 소재가 되는 컬러 강판(예를 들어 브이시엠 강판(23))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입고하게 된다.
상기 컬러 강판은 상기 컬러층(235)을 가지는 브이시엠 강판(23) 또는 피시엠 강판(23') 중의 하나로, 유통되는 제품이 입고되어 그대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패널(20)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입고된 컬러 강판은 표면의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황산 및 가성소다가 포함된 용액을 이용하여 세척될 수 있다. 세척을 통해서 상기 컬러 강판 표면의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으며, 세척 및 건조가 완료된 상태로 이어지는 가공을 위해 이동된다. 물론 상기 컬러 강판의 표면을 세척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강판 입고 단계, S110]
특정 사이즈로 가공되어 공급되는 컬러 강판은 레이저 조사 장치(2)에 의해 배면의 백코팅층(232)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백코팅층(232)은 컬러 강판의 하면, 즉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을 에칭 가공하기 위해서 제거된다.
이때,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 전체에 형성된 백코팅층(232) 중 상기 표시부(11)의 위치 즉, 상기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되는 영역만이 레이저 조사 장치(2)에 의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 중 백코팅층(232)이 제거된 부분은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이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백코팅 제거 단계, S120]
한편, 상기 백코팅층(232)이 제거되어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이 노출된 부분에는 감광성 수지 필름(26)(Dry Film)을 라미네이팅하여 부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 전체는 상기 백코팅층(232)이 형성된 부분과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이 부착된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DFR 라미네이팅 단계, S130]
그리고,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의 상방에는 마스킹 필름(27)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마스킹 필름(27)은 자동화 설비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 정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마스킹 필름(27)이 부착된 상태에서 진공 환경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을 경화시키게 된다.[노광 단계, S140]
노광에 의해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의 경화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마스킹 필름(27)을 제거하고 노광 완료된 컬러 강판을 현상액에 넣은 후, 경화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즉 빛을 받지 않은 마스킹된 부분을 현상액 속에서 녹여서 제거된다. 따라서, 경화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제거될 수 있으며, 수세 처리하여 다음 가공을 위해 이동될 수 있다.[현상단계, S150]
그리고, 현상이 완료된 상기 컬러 강판은 감광성 수지 필름(26)상의 미세 기포를 제거하고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양면을 모두 열 건조시킬 수도 있다. 이때의 온도는 대략 180~200℃의 온도로 대략 10분 동안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열처리 작업에 의해 상기 컬러 강판에 부착된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이 기포가 제거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층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이와 같은 가열 및 건조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에 에칭을 위한 부분의 현상이 완료되면 상기 컬러 강판은 상기 이동되어 에칭 처리된다. 이때, 에칭 용액은 염화제이철(FeCl3)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에칭액은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과 백코팅층(232)과는 반응되지 않으면서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이 제거되어 노출된 베이스 메탈층(231) 부위에만 반응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을 부식시켜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컬러층(235) 또한 수지재로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에칭액에 의해 부식되지 않게 되어 상기 제 1 관통구(21)는 베이스 메탈층(231)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컬러층(235)은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전방에서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성형을 위한 에칭시 에칭 시간을 길게 하여 오버 에칭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관통구(21)는 오버 에칭에 의해서 입구에서 출구까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은 직경의 편차가 크지 않게 되며 이웃하는 상기 제 1 관통구(21)들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모두 균일한 크기와 위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에칭 단계, S160]
에칭이 완료되어 상기 제 1 관통구(21)가 성형된 상태에서는,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을 제거하게 되고,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의 제거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된 상기 컬러 강판만이 남게 된다.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의 제거 완료 후에는 성형된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성형이 완료된 상태의 상기 컬러 강판에는 상기 제 1 관통구(21)에 홀 메움부재(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 메움부재(22)에 의해서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이 채워지게 되며, 따라서 상기 제 1 관통구(21)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개구를 차폐하는 상기 컬러층(235)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상기 제 1 관통구(21)는 물론 에칭을 위해 벗겨진 상기 백코팅층(232)까지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에 부식이 발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홀 메움 단계, S170]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홀 메움부재의 성형과정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7은 상기 외장부재의 제 1 관통구에 홀 메움부재를 성형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18는 상기 제 1 관통구에 홀 메움부재를 인쇄 성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성형이 완료된 상태의 컬러 강판은, 상기 컬러층(235)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개구된 일면이 차폐된 상태이고 다른 일면이 개구된 상태로 노출되어 홀 메움부재(22)의 성형을 위한 인쇄 잉크가 수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인쇄잉크를 이용한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성형이 완료된 상태의 컬러 강판은, 스크린 인쇄 전에 가열되는 예열 공정을 먼저 실시하게 된다. 상기 컬러 강판을 가열시킨 상태에서 상기 인쇄잉크가 상기 컬러 강판의 베이스 메탈층(231)에 인쇄될 경우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의 표면 에너지가 감소되어 표면장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인쇄잉크가 상기 제 1 관통구(21)를 효과적으로 채울 수 있게 된다. 즉, 가열 상태의 상기 컬러 강판의 열에 의해 상기 인쇄잉크는 일시적으로 점도가 낮아지게 되어 상기 제 1 관통구(21)로의 상기 인쇄잉크 유입을 용이하게 되며, 온도가 낮아지게 되면, 상기 인쇄잉크는 다시 점도가 높아지게 되어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채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소재예열 단계, S171]
상기 인쇄잉크는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 즉, 상기 컬러층(235)이 부착된 면의 반대 면에 스크린 인쇄 방식에 의해 인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쇄잉크를 이용한 스크린 인쇄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구(21)에는 인쇄잉크가 채워지고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 일부를 도포하게 되며, 상기 홀 메움부재(22)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홀 메움부재(22)의 성형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면 패널의 배면에 스크린 인쇄 공정이 실시되는 모습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0은 상기 스크린 인쇄를 위한 제판의 메쉬와 제 1 관통구와의 관계를 나타낸 확대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열 완료된 컬러 강판을 스크린 인쇄를 위해 배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컬러 강판은 상기 컬러층(235)이 형성된 면이 아래쪽으로 가도록 배치되며, 이때,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과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개구된 면이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11)와 대응하는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에 스크린 인쇄를 위한 제판(51)을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관통구(21)는 모두 상기 제판(51)의 영역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스크린 인쇄에 의해 전체 상기 제 1 관통구(21)들에 인쇄잉크를 채워 넣을 수 있게 된다.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대략 100목의 제판(51)으로 스크린 인쇄하게 되며, 2행정으로 2도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채워 넣음과 동시에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인쇄층을 더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쇄층은 상기 표시부(11)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컬러 강판 후방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상기 제 2 관통구(220)를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판(51)에 의해 인쇄되는 상기 홀 메움부재(22)의 형상은 후방에서 바라볼 때,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홀 메움부재(22)의 외곽선 형상은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차단부(221)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모든 상기 제 1 관통구(21)는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홀 메움부재(22)의 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장착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터치 조작부(12)와의 간섭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크린 인쇄를 위한 제판(51)은 패턴의 인쇄를 위한 스크린 인쇄시와 달리 홀을 메우는 것이 주 목적이므로 상기 제 1 관통구(21)를 효과적으로 메울 수 있도록 상기 제 1 관통구(21) 하나에 대한 메쉬수가 일반적인 스크린 제판(51)에 비해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도록 45°견장각을 가지는 제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세히,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판(51)의 메쉬(55)의 견장각은 45°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관통구(21)의 하나에 13칸의 메쉬(55)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일반적인 스크린 인쇄에 비하여 더 많은 수의 메쉬(55)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부에 상기 인쇄잉크를 효과적으로 채워 넣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판(51)은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과 대략 5mm이내의 가까운 위치에서 접하도록 안착되며, 상기 제판(51)의 들림을 방지하여 컬러 강판의 배면과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상기 제판(51) 텐션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에 균일한 채움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판(51)의 상방에는 상기 인쇄잉크를 상기 제 1 관통구(21)에 채워넣기 위한 스퀴즈(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판(51)에 인쇄잉크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스퀴즈(52)는 상기 제판(51)을 누르면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판(51) 내측의 인쇄잉크를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퀴즈(52)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판(51)의 표면과 접촉되면서 이동시에 상기 제판(51)을 누르도록 가압될 수 있으며, 가압상태에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퀴즈(52)의 단부 즉, 상기 제판(51)의 메쉬(55)들과 직접 접촉되는 하단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 인쇄시 일반적인 인쇄와 비교할 때보다 잉크의 내림량을 증가시켜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에 인쇄잉크를 효과적으로 채워 넣을 수 있게 된다.
즉, 일반적인 스크린 인쇄에 사용되는 스퀴즈(52)의 경우 단부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스퀴즈(52)의 단부에는 라운드진 라운드부(53)가 형성되어 상기 스퀴즈(52)의 이동시 상기 제판(51)의 인쇄잉크가 보다 많은 양이 상기 제판(51)의 메쉬(55)를 통과하여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에 채워질 수 있게 되나.
한편, 상기 스퀴즈(52)에는 지지부재(5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4)는 상기 스퀴즈(52)의 일면에 제공되며, 상기 스퀴즈(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4)는 탄성소재의 스퀴즈(52)가 이동시 높은 압력에 의해 변형될 경우 반복적인 이동 상황에서 동일한 인쇄 두께 확보 및 재현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틸과 같은 강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퀴즈(52) 단부의 라운드부(53) 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라운드부(53)에 의한 인쇄잉크의 누름 작용을 간섭하지는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퀴즈(52)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상기 스퀴즈(52)가 이동되더라도 상기 스퀴즈(52)는 전체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54)는 필요에 따라 상기 스퀴즈(52)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으며, 철판이 아닌 다른 소재 또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홀 메움부재(22)의 성형을 완료한 후에는 상기 홀 메움부재(22)의 표면에 추가의 인쇄층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추가의 인쇄층은 검정색으로 인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집합으로 형성되는 7세그먼트의 단위 부분의 경계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외측으로 빛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쇄층은 연속되는 스크린 인쇄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스크린 인쇄 단계, S172]
상기 홀 메움부재(22)의 인쇄가 완료되면 100~120℃의 온도에서 15분간 건조하게 되며, 건조 과정에서 기포의 제거 및 상기 홀 메움부재(22)가 안정화될 수 있도록 한다.[열건조 단계, S173]
상기 열건조 단계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전면 패널(20)은 판금에 의해 좌우 양측단이 절곡되는 등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면 패널(20)의 성형은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에칭 이전 또는 스크린 인쇄에 의한 상기 홀 메움부재(22)의 형성 이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전면 패널(2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전면에는 접착부재(25)가 부착되며, 상기 접착부재(25)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동시에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부착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부착 전에 상기 전면 패널(20) 배면의 상기 표시부 영역에는 확산시트(2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확산시트(25)는 상기 제 1 관통구과 상기 제 2 관통구(220)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을 분산시켜 고른 밝기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면 패널(20)에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부착이 완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0)을 상기 전면 패널(20)에 고정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30)와 상기 데코부재(40)를 조립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측에는 발포액이 주입되어 상기 단열재(24)를 발포 성형하게 된다. 상기 단열재(24)는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 영역을 제외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 공간 전체에 충진되며, 상기 프레임(1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조립 완료된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수용부(210)에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 결합부(511)가 상기 수용부(210)에 결합되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외형의 조립 및 상기 단열재(24)의 성형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를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 장착하게 된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프레임 디플레이(4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와 연결된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에 실장된 상기 센서 제어부(330)와 연결된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는 이미 단열재(24)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발포액의 충진 및 단열재의 성형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한 상기 센서 제어부(33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를 서로 연결한 후에는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를 상기 삽입구(41)를 통해 삽입하게 되며, 상기 프레임 핸들(420)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후면에 완전히 밀착되며, 상기 제 1 관통구(21)와 제 2 관통구(220) 및 제 3 관통구(321)는 모두 차례로 정렬 및 연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삽입구 커버(42)를 상기 삽입구(41)에 장착하여 상기 삽입구(41)를 닫고 상기 프레임 핸들(420)의 상단을 고정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제조를 완료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외장부재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외장부재는 상기 백코팅층 중 상기 제 1 관통구과 대응하는 부분만 레이저 조사 장치(2)로 홀 마킹하여 간단하게 에칭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외장부재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할 때 백코팅층의 박리위치와 형상 그리고 에칭공정에 차이가 있으며, 다른 구조는 모두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외장부재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22는 상기 외장부재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장부재 즉, 상기 전면 패널(20)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전면 패널(20)의 소재가 되는 컬러 강판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입고하게 된다.
상기 컬러 강판은 상기 컬러층(235)을 가지는 브이시엠 강판(23) 또는 피시엠 강판(23') 중의 하나로, 유통되는 제품이 입고되어 그대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패널(20)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입고된 컬러 강판은 표면의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황산 및 가성소다가 포함된 용액을 이용하여 세척될 수 있다. 세척을 통해서 상기 컬러 강판 표면의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으며, 세척 및 건조가 완료된 상태로 이어지는 가공을 위해 이동된다. 물론 상기 컬러 강판의 표면을 세척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강판 입고 단계, S210]
특정 사이즈로 가공되어 공급되는 컬러 강판은 레이저 조사 장치(2)에 의해 배면의 백코팅층(232)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백코팅층(232)은 컬러 강판의 하면, 즉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을 에칭 가공하기 위해서 제거된다.
이때,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 전체에 형성된 백코팅층(232) 중 상기 제 1 관통구의 개구와 대응하는 크기만 레이저로 제거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제 1 관통구(21) 전체를 포함하는 표시부(11)의 전체 영역에 대해 상기 백코팅층(232)이 제거되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과 대응하는 부분 각각에 홀 마킹 방식으로 상기 백코팅층(232)이 제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 각각과 대응하는 다수의 홀 모양으로 상기 백코팅층(232)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백코팅층(232)이 제거된 홀의 직경은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직경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조사 장치(2)에 의해 상기 백코팅층(232)을 제거하게 되면 개구된 홀을 통해서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이 노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백코팅층(232)은 이후 진행되는 에칭 가공시 가공 부위와 가공되지 않는 부위를 구분하는 마스크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백코팅 제거 단계, S230]
상기 백코팅층(232)의 제거가 완료되면 상기 컬러 강판은 상기 이동되어 에칭 처리된다. 이때, 에칭 용액은 염화제이철(FeCl3)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에칭액은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에 덮여진 백코팅층(232)과는 반응되지 않으면서 상기 백코팅층(232)이 제거되어 노출된 베이스 메탈층(231) 부위에만 반응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층을 부식시켜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컬러층(235) 또한 수지재로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에칭액에 의해 부식되지 않게 되어 상기 제 1 관통구(21)는 베이스 메탈층(231)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컬러층(235)은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전방에서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성형을 위한 에칭시 에칭 시간을 길게 하여 오버 에칭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관통구(21)는 오버 에칭에 의해서 입구에서 출구까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은 직경의 편차가 크지 않게 되며 이웃하는 상기 제 1 관통구(21)들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모두 균일한 크기와 위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에칭 단계, S240]
이와 같이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성형이 완료된 상태의 상기 컬러 강판에는 상기 제 1 관통구(21)에 홀 메움부재(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 메움부재(22)에 의해서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이 채워지게 되며, 따라서 상기 제 1 관통구(21)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개구를 차폐하는 상기 컬러층(235)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상기 제 1 관통구(21)는 물론 에칭을 위해 벗겨진 상기 백코팅층(232)까지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에 부식이 발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홀 메움 단계, S240]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외장부재는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한 냉장고 도어에만 구비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가전제품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외장부재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및 외장부재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부재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60)는 케이스에 의해 전체적인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는 베이스(61)와, 상기 베이스(61)의 후반부 상측에 배치된 후방 캐비닛(62)과, 상기 베이스(61)의 전반부 상측에 배치된 전방 캐비닛(6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캐비닛(63)의 전면에는 외장부재(6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1)와 후방 캐비닛(62) 및 전방 캐비닛(63)은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공간의 내부에는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위한 송풍팬과 유로가 제공되고, 흡입공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 어셈블리, 흡입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 및 냉동사이클의 구동을 위한 구성 등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1)와 후방 캐비닛(62) 및 전방 캐비닛(63)에는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다수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외장부재(64)는 컬러 강판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 캐비닛(63)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장부재(64) 또는 상기 외장부재(64)가 장착된 구성의 회동 또는 착탈에 의해 상기 전방 캐비닛(63)의 전면을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캐비닛(63)의 내외측에 구비된 구성들의 조작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물론, 상기 외장부재(64)는 상기 실내기(60)의 외관을 구성하는 일 구성으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고정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장부재(64)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65)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구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들은 전술한 에칭에 의한 홀의 성형 방법에 의해 형성되되 컬러층에 의해 차폐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관통구들은 홀 메움부재에 의해 채워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표시부(65)의 일측에는 터치 조작부(66)가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65)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7)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7)에 의해 상기 표시부(65)로 빛을 조사하여 공기조화기의 동작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7)는 엘이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또는 기호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7)의 엘이디가 점등되면 상기 관통구들을 통과하는 빛에 의해 상기 외장부재(64)의 전면으로 표시부가 나타날 수 있게 되며, 상기 엘이디가 소등되면 상기 관통구들은 상기 외장부재(64)의 컬러층에 의해 차폐되는 상태가 되어 표시부는 물론 상기 관통구 자체도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터치 조작부(66)와 대응하는 상기 외장부재(64)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터치 조작부(66)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부재가 구비된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세탁기(70)는 외관을 형성하는 세탁기 본체(71)와,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과, 드럼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와, 세탁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장치와,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 등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세탁기 본체(71)의 전면 일부는 개구되어 세탁물을 상기 드럼에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세탁기 본체(71)의 개구는 도어(72)에 의해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72)는 상기 본체(7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도어(72)를 제외한 상기 세탁기 본체(71)의 전면 및 상면에는 컬러 강판에 의해 형성되는 외장부재(7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장부재(73) 중 적어도 일부에는 표시부(74)와 터치 조작부(7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74)는 상기 세탁기(7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구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들은 전술한 에칭에 의한 홀의 성형 방법에 의해 형성되되 컬러층에 의해 차폐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관통구들은 홀 메움부재에 의해 채워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조작부(75)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세탁기(70)가 운전 및 운전 선택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세탁기(70)의 조작을 위한 다이얼 형태의 노브(76)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74)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7)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7)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창(74)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세탁기(70)의 동작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7)는 엘이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또는 기호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7)의 엘이디가 점등되면 상기 관통구들을 통과하는 빛에 의해 상기 외장부재(73)의 전면으로 표시부가 나타날 수 있게 되며, 상기 엘이디가 소등되면 상기 관통구들은 상기 외장부재(73)의 컬러층에 의해 차폐되는 상태가 되어 표시부는 물론 상기 관통구 자체도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터치 조작부(75)와 대응하는 상기 외장부재(73)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터치 조작부(75)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부재가 구비된 식기세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구비된 식기세척기(8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본체(81)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식기세척기 본체(81)의 내부에는 세척을 위한 식기가 수용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에서 인출입되며 식기가 안착되는 렉부재, 그리고 캐비티의 내부로 세척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그리고 세척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식기세척기 본체(81)에는 도어(82)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82)는 상기 식기세척기 본체(81)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8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식기세척기(8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82)는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도어의 조작시 상기 상부 도어가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도어에는 상기 도어(82)의 개폐를 위한 손잡이(8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82)의 전면 즉,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의 전면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부재(84)가 부착된다. 상기 외장부재(84)는 컬러 강판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82)의 전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외장부재(84)에는 상기 식기세척기(8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8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85)은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구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85)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구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들은 전술한 에칭에 의한 홀의 성형 방법에 의해 형성되되 컬러층에 의해 차폐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관통구들은 홀 메움부재에 의해 채워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85)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7)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7)에 의해 상기 표시부(85)로 빛을 조사하여 식기세척기(80)의 동작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7)는 엘이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또는 기호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7)의 엘이디가 점등되면 상기 관통구들을 통과하는 빛에 의해 상기 외장부재(84)의 전면으로 표시부가 나타날 수 있게 되며, 상기 엘이디가 소등되면 상기 관통구들은 상기 외장부재(84)의 컬러층에 의해 차폐되는 상태가 되어 표시부는 물론 상기 관통구 자체도 보이지 않게 된다.
상기 표시부(85)의 일측에는 터치 조작부(86)가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조작부(86)와 대응하는 상기 외장부재(84)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터치 조작부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부재가 구비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구비된 조리기기(9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본체(91)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조리기기 본체(91)에는 조리를 위한 식품이 수용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 내부의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가열수단 또는 마그네트론, 그리고 캐비티의 내부의 대류를 위한 팬어셈블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 본체(91)에는 도어(92)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92)는 상기 조리기기 본체(91)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9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조리기기(9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92)는 상기 조리기기 본체(91)에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좌우 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조리기기(90)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92)에는 상기 도어(92)의 개폐조작을 위한 손잡이(9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92)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92)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부재(9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장부재(94)는 컬러 강판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92)에 제한되지 않고 조리기기 본체(91)의 일측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외장부재(94)에는 상기 조리기기(9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9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95)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구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들은 전술한 에칭에 의한 홀의 성형 방법에 의해 형성되되 컬러층에 의해 차폐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관통구들은 홀 메움부재에 의해 채워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95)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7)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7)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창(95)으로 빛을 조사하여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7)는 엘이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또는 기호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7)의 엘이디가 점등되면 상기 관통구들을 통과하는 빛에 의해 상기 외장부재(94)의 전면으로 표시부가 나타날 수 있게 되며, 상기 엘이디가 소등되면 상기 관통구들은 상기 외장부재(94)의 컬러층에 의해 차폐되는 상태가 되어 표시부는 물론 상기 관통구 자체도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95)의 일측에는 터치 조작부(96)가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조작부(96)와 대응하는 상기 외장부재(94)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터치 조작부(96)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2)

  1. 가전제품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일부 영역에 마련된 패널; 및
    상기 패널의 이면 쪽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이 배치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로서,
    상기 패널은,
    금속 재질의 베이스 메탈층;
    상기 표시부가 마련된 영역에서 상기 광원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베이스 메탈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1 관통구; 및
    상기 복수의 제1 관통구들을 각각 채우도록 구비되며,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을 투과시키는 홀 메움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홀 메움부재는 상기 제1 관통구를 채움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메탈층의 이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이면에는 디스플레이 커버가 부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내측에 수용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 사이에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가 구비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는 상기 표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복수의 제2 관통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관통구는 상기 제1 관통구와 연통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구의 내측 영역에는 복수의 제1 관통구들이 배치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관통구들과 상기 제2 관통구 사이에 상기 홀 메움부재가 위치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구의 둘레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의 차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는 상기 차단부의 외측 영역에 부착된 접착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패널의 이면에 부착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접착부재의 압축 전 높이보다 낮은,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광원이 실장된 디스플레이 피시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의 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을 상기 제1 관통구로 가이드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며,
    상기 리플렉터에는 상기 제1 관통구 및 상기 제2 관통구와 연통된 제3 관통구가 구비된,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구, 상기 제2 관통구 및 상기 제3 관통구는 서로 밀착되어 연통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베이스 메탈층의 표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표면 외관의 색상과 질감을 형성하는 컬러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관통구는 상기 베이스 메탈층의 이면으로부터 상기 컬러층과 접하는 상기 베이스 메탈층의 표면까지 에칭 성형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구의 직경은 상기 컬러층과 접하는 상기 베이스 메탈층의 표면과 인접한 영역에서 좁아지는 형상인,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베이스 메탈층의 표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표면 외관의 색상과 질감을 형성하는 컬러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컬러층은 상기 광원의 점등시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반면, 상기 광원의 소등시 상기 제1 관통구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으며,
    상기 컬러층은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표면 외관의 색상과 질감을 나타내는 필름, 도장 또는 코팅층인,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컬러층은,
    상기 베이스 메탈층의 표면에 구비되며, 상기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표면 외관의 색상을 나타내는 필름 컬러층 또는 피브이시(PVC)층;
    상기 필름 컬러층 또는 상기 피브이시층의 표면에 구비되며, 상기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표면 외관의 색상을 나타내는 증착층; 및
    상기 증착층 상에 구비되는 피이티층;
    을 포함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은 상기 광원의 점등시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반면, 상기 광원의 소등시 상기 제1 관통구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16.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외관을 형성하고, 냉장고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일부 영역에 마련된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패널의 이면 쪽에 디스플레이 커버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이 배치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디스플레이 커버의 이면으로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는,
    금속 재질의 베이스 메탈층을 포함하는 패널을 입고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메탈층의 이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메탈층의 표면까지 제1 관통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관통구에 광 투과성의 홀 메움부재를 채우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홀 메움부재는 상기 제1 관통구를 채움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메탈층의 이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제조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구는 에칭에 의해 형성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제조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입고되는 상기 패널은, 상기 베이스 메탈층의 표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표면 외관의 색상과 질감을 형성하는 컬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통구의 에칭에 사용되는 에칭액은 컬러층 및 베이스 메탈층 중 베이스 메탈층과만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제조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에칭액으로 염화제이철을 사용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제조 방법.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홀 메움부재는 인쇄 잉크를 이용한 스크린 인쇄를 통해 제1 관통구 내에 채워지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제조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잉크는 20,000cps ~ 40,000cps의 점도를 가지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제조 방법.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잉크는 전체 중량 대비 2w%~3w%의 흄드실리카(fumed slica)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200172161A 2017-04-21 2020-12-10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265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161A KR102265292B1 (ko) 2017-04-21 2020-12-10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873A KR102194300B1 (ko) 2017-04-21 2017-04-21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00172161A KR102265292B1 (ko) 2017-04-21 2020-12-10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873A Division KR102194300B1 (ko) 2017-04-21 2017-04-21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430A KR20200141430A (ko) 2020-12-18
KR102265292B1 true KR102265292B1 (ko) 2021-06-15

Family

ID=74041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161A KR102265292B1 (ko) 2017-04-21 2020-12-10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2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7674A (ja) 2001-06-01 2002-12-13 Casio Comput Co Ltd 表示部材、時計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719B1 (ko) * 2013-04-08 2020-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7674A (ja) 2001-06-01 2002-12-13 Casio Comput Co Ltd 表示部材、時計およ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430A (ko) 2020-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1322B2 (en) Exterior member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US11300352B2 (en) External member for home appliances having light transmitting through-ho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0655840B2 (en) Touch sensor assembly and door including the same
KR101668921B1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2133189B1 (ko) 의류처리기기
KR20160076390A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2551391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아웃 플레이트
KR101731724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770032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KR102194300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265292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US20170030006A1 (en) Panel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73104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
KR20170037467A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KR102509727B1 (ko)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04405B1 (ko) 냉장고 도어
CN114717801A (zh) 屏幕组件以及衣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