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729B1 - 릴 다리 고정 장치,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릴 다리 고정 장치의 후드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릴 다리 고정 장치,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릴 다리 고정 장치의 후드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729B1
KR101907729B1 KR1020150041747A KR20150041747A KR101907729B1 KR 101907729 B1 KR101907729 B1 KR 101907729B1 KR 1020150041747 A KR1020150041747 A KR 1020150041747A KR 20150041747 A KR20150041747 A KR 20150041747A KR 101907729 B1 KR101907729 B1 KR 101907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mandrel
hood portion
reinforcing fibers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1875A (ko
Inventor
가츠히로 오이카와
고이치 이토
히데유키 나이토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63122A external-priority patent/JP62534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70775A external-priority patent/JP61219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70774A external-priority patent/JP6121936B2/ja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1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29C70/2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oriented in a single direction, e.g. roofing or other parallel fibres
    • B29C70/205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oriented in a single direction, e.g. roofing or other parallel fibres the structure being shaped to form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29C70/22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orient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forming a two dimensional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29C70/22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orient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forming a two dimensional structure
    • B29C70/222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orient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forming a two dimensional structure the structure being shaped to form a three dimension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2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on a rotating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fibres or filaments of different layers, e.g. the fibres or filaments being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e.g. denser near its 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81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before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9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after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2260/023Two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32B2262/0269Aromatic 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박육화 및 경량화된 후드부를 갖는 릴 다리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릴 다리 고정 장치는, 낚시용 릴의 릴 다리가 삽입되는 개구(15c)를 구비하고, 복수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적층하여 성형되는 통 형상의 후드부(15A)를 조작 너트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후드부(15A)는,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의 비율이, 상기 조작 너트측보다도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릴 다리 고정 장치,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릴 다리 고정 장치의 후드부의 제조 방법{APPARATUS FOR FIXING REEL FOOT, METHOD FOR MANUFACTURING OF APPARATUS FOR FIXING REEL FOO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STRUCTURE OF HOOD OF APPARATUS FOR FIXING REEL FOOT}
본 발명은 낚싯대에 장착되어, 각종 낚시용 릴을 설치 가능하게 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릴 다리 고정 장치의 후드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축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이동 후드와 고정 후드를 구비하고, 릴 다리의 일단부를 고정 후드에 삽입하고, 릴 다리의 타단부를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후드로 가압함으로써 낚시용 릴을 고정하는 타입의 릴 다리 고정 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고정 후드 및 이동 후드는, 벗 섹션 로드(butt section rod)의 외주에 피착되는 파이프 형상의 릴 시트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동 후드에 인접 배치된 조작 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동 후드를 고정 후드에 대하여 접근/이반시키고, 이것에 의하여 낚시용 릴의 착탈이 이루어진다. 통상, 상술한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이동 후드 및 고정 후드(이하, 후드부라고도 칭함)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삽입되는 릴 다리가 접촉하는 부분(후드부의 내면)에 합성 수지에 의한 패드부를 배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낚싯대의 경량화를 도모할 것이 요구되고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후드부를 금속 재료로 형성하는 것은 경량화의 방해로 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는,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 시트를 복수 층 중첩시키고, 이를 통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후드부를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 특허문헌 2에는, 후드부를, 복수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적층하여 성형하는 데 있어서 강도 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 층에 있어서의 프리프레그 시트의 중첩부를 릴 다리의 다리 보유 지지부 이외의 영역에 위치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소57-187064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1975호
상술한 후드부는 섬유 강화 수지재로 형성함으로써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지만, 낚싯대를 경량화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박육화하여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후드부를 박육화함으로써, 그만큼 릴 다리 고정 장치를 경량화할 수 있음과 함께, 고정되는 릴 다리나 릴 시트 본체와의 사이에서의 단차가 적어져 그립감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상술한 특허문헌 2에는, 후드부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데 있어서, 사양이 상이한 복수 매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중첩 부분의 위치를 다리 보유 지지부로부터 어긋나게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는 데 불과하며, 후드부의 강도의 유지를 도모하면서 가능한 한 박육화하여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 특히 릴 다리의 단부가 삽입되는 후드부의 개구 부근에서는, 비틀림에 대한 보강이 필요하지만, 박육화하면서 그러한 보강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에 대하여 특허문헌 2는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불필요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배치하는 등 불필요한 보강이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후드부가 후육화되어 충분한 경량화가 달성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프리프레그 시트를 맨드럴에 권회할 때, 소정의 위치에 절결을 형성해 두어 주름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도 개시되어 있지만, 프리프레그 시트에 절입을 형성해 두면 그 위치에서는 강화 섬유가 끊어진 상태로 되어, 강도 저하나 파손 등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되어 버린다.
그런데 상술한 후드부는, 경량화가 요구됨과 함께, 외관 디자인도 양호하게 하고자 한다는 요망이 있다. 후드부는, 릴 다리가 적재되는 측에 릴 다리를 삽입하도록 팽출부가 형성된 통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팽출부의 양 사이드로부터 하방에 이르는 부분에 대해서는 비스듬히 커트하여 경량화를 도모함과 함께, 디자인을 향상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이하, 이와 같이 커트하는 부분을 경사 단부라고도 칭함).
상술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드부를 보다 경량화하기 위하여 섬유 강화 수지재로 성형하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후드부에 대하여 경사 단부를 형성하면 강도 저하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후드부를 섬유 강화 수지재로 성형하는 경우,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 시트를 소정 형상의 맨드럴에 권회하여 통 형상체를 제조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러한 통 형상체에 대하여 경사 단부를 형성할 때는, 통 형상체의 단부면을 경사 방향으로 커트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통 형상의 섬유 강화 수지재(성형된 후드부)의 단부를 비스듬히 커트하면, 그 커트면에서는 강화 섬유가 끊어진 상태로 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릴 다리가 삽입되는 팽출부에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지향된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한 구성에서는, 경사 단부를 형성하면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가 절단되어 버려, 원하는 강도를 유지할 수 없음과 함께, 끊어진 강화 섬유 부분으로부터 박리나 균열 등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필요한 부위에 필요한 강도를 효율적으로 확보하면서 박육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후드부를 갖는 릴 다리 고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과 경량화가 도모됨과 함께, 충분한 강도를 유지한 경사 단부가 구비된 후드부를 갖는 릴 다리 고정 장치, 및 그러한 후드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릴 다리 고정 장치는, 낚시용 릴의 릴 다리가 삽입되는 개구를 구비하고, 복수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적층하여 성형되는 통 형상의 후드부를 조작 너트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드부는,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의 비율이, 상기 조작 너트측보다도 상기 개구측 쪽이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의 릴 다리 고정 장치에 의하면, 통 형상의 후드부를, 복수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적층하여 성형하기 때문에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후드부에는, 릴 다리를 삽입하여 고정할 때, 개구 부분에 있어서 둘레 방향을 따라 넓히도록 하는 부하가 작용하지만, 이 개구 부분에서는,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의 비율이 조작 너트측보다도 많아지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보강이 가능해진다. 즉, 후드부 전체적으로 불필요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배치하지 않고 효율적인 보강을 하고 있으므로, 후드부의 박육화 및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적층하여 성형됨과 함께, 낚시용 릴의 릴 다리를 수용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하도록 팽출되는 팽출부를 갖는 통 형상의 후드부를 조작 너트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릴 다리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는, 그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적어도 축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가 끊어지지 않고 연속하여 연장됨과 함께, 상기 축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가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영역을 상기 팽출부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의 릴 다리 고정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적층하여 통 형상의 후드부를 성형하기 때문에,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드부는, 그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적어도 축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가 끊어지지 않고 연속하여 연장되기 때문에, 강도 저하나 파손 등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후드부는, 축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가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영역을 상기 팽출부에 갖기 때문에, 이 영역에서는, 섬유의 경사에 기인하여 비틀림 방향에 대하여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역은, 후드부의 팽출부의 임의의 부위에 연속적으로(예를 들어 후드부의 개구까지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비틀림 방향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영역은 특히 후드부의 외층측에서, 후드부의 좌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큰 비틀림이 발생하기 쉬운 후드부의 개구 부근에 상기 영역을 형성하면, 이 부분에서 비틀림을 확실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속하는 축 길이 방향 섬유를 필요한 부위에서 경사지게 하여 비틀림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면, 후드부 전체적으로 불필요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배치하지 않고 효율적인 보강을 실현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후드부 전체의 박육화 및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특징을 갖는 후드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도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릴 다리 고정 장치는, 낚시용 릴의 릴 다리가 삽입되는 개구를 구비하고, 섬유 강화 수지재에 의하여 성형되는 통 형상의 후드부를 갖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의 후드부는, 릴 다리가 삽입되는 개구 영역으로부터 양 사이드의 표면을 따라 반대측에 이르는 영역에,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 단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섬유 강화 수지재는, 상기 경사 단부에 따르는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지향된 경사 방향 섬유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의 릴 다리 고정 장치에 의하면, 통 형상의 후드부는 섬유 강화 수지재에 의하여 성형되기 때문에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드부에는, 릴 다리가 삽입되는 개구 영역으로부터 양 사이드의 표면을 따라 반대측에 이르는 영역에,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 단부가 형성되지만, 이 경사 단부에서는, 강화 섬유가 그 경사 방향을 따라 지향되어 있기 때문에,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강화 섬유가 절단되지 않고 원하는 강도가 유지된다. 또한 강화 섬유가 절단되지 않으므로, 박리나 균열 등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상술한 구성의 후드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후드부의 형상에 대응한 표면 형상을 갖는 맨드럴에 대하여, 강화 섬유를 일방향으로 정렬시킨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가 권회된 보빈으로부터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를 조출하면서, 상기 맨드럴에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를 권회하여 상기 경사 방향 섬유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경사 방향 섬유층을 형성할 때, 상기 보빈으로부터 조출되는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를 상기 맨드럴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제어하여 상기 경사 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상술한 구성의 후드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후드부의 형상에 대응한 표면 형상을 갖는 맨드럴에 대하여, 강화 섬유를 상기 경사 단부에 따른 방향으로 정렬시킨 2매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상기 개구의 정상부 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일 측면측에 반(半) 플라이(ply) 권회함과 함께, 타 측면측에 반플라이 권회함으로써 상기 경사 방향 섬유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상술한 구성의 후드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후드부의 형상에 대응한 표면 형상을 갖는 맨드럴에 대하여, 강화 섬유를 상기 맨드럴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편성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하고, 상기 경사 방향 섬유층의 경사 단부는, 상기 편성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강화 섬유의 경사 방향을 따라 커트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박육화 및 경량화된 후드부를 갖는 릴 다리 고정 장치와 필요한 부위에 필요한 강도를 효율적으로 확보하면서 박육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후드부를 갖는 릴 다리 고정 장치 가 얻어지게 되고, 경량화가 도모됨과 함께, 충분한 강도를 유지한 후드부를 갖는 릴 다리 고정 장치가 얻어짐과 함께, 그러한 후드부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릴 다리 고정 장치가 장착된 낚싯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에 있어서, 이동 후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4의 (a)는 도 3의 주요부의 확대도, (b)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이동 후드부를 개구측에서 본 도면.
도 5는 이동 후드부를 성형하는 프리프레그 시트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프리프레그 시트에 의하여 성형된 이동 후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의 (a) 및 (b)는 각각 이동 후드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도 7의 (a)에 도시하는 이동 후드부를 성형하는 프리프레그 시트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이동 후드부를 성형하는 프리프레그 시트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팽출부를 갖지 않는 이동 후드부를 갖는 릴 다리 고정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의 (a)는 도 10에 도시하는 이동 후드부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b)는 도 11의 (a)에 도시하는 이동 후드를 개구측에서 본 도면.
도 12의 (a)는 이동 후드를 성형하기 위하여 프리프레그 시트가 권회되는 맨드럴의 측면도, (b)는 이동 후드부를 성형하기 위한, 축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를 갖는 프리프레그 시트의 평면도.
도 13의 (a)는 통 형상으로 권회되어 후드부를 구성한 도 12의 (b)의 프리프레그 시트의 측면도, (b)는 도 13의 (a)의 프리프레그 시트의 평면도.
도 14는 이동 후드를 성형하기 위한 변형예에 따른 프리프레그 시트를 맨드럴에 감아 후드부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의 간략화된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의 (a)는 이동 후드부를 성형하기 위한, 축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를 갖는 변형예에 따른 도 14의 프리프레그 시트의 평면도, (b)는 축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지향된 강화 섬유가 정렬된 직포 형상의 보강용 프리프레그 시트의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에 있어서, 이동 후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18의 (a)는 도 17의 주요부의 확대도, (b)는 도 18의 (a)에 도시하는 이동 후드를 개구측에서 본 도면.
도 19는 이동 후드부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맨드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맨드럴에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를 권회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권회 개시 위치의 보빈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b)는 경사 단부측을 권회할 때의 보빈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도 20에 도시한 제조 방법으로 성형되는 이동 후드부의 강화 섬유의 배열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도 20에 도시한 제조 방법으로 성형되는 이동 후드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강화 섬유의 배열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이동 후드부의 다른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프리프레그 시트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도 23에 도시하는 제조 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이동 후드부의 다른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프리프레그 시트의 다른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도 25에 도시하는 제조 방법으로 성형된 통 형상의 이동 후드의 커트 라인을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릴 다리 고정 장치가 장착되는 낚싯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낚싯대(1)는 복수의 섹션 로드를 이어 붙임으로써 구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벗 섹션 로드(3), 2번 로드(5) 및 팁 섹션 로드(7)의 3개의 섹션 로드를 노멀 조인트식으로 이어 붙이고 있다. 2번 로드(5)에 대해서는 없는 구성이어도 되고, 2개 이상 이어 붙이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낚싯대는 노멀 조인트식 이외에도 싱글 폴 타입, 쉐이킹 타입, 인터라인 타입 등, 그 구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다.
벗 섹션 로드(3)에는, 낚시용 릴(70)이 장착되는 릴 다리 고정 장치(10)가 설치되고, 각 섹션 로드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낚시용 릴로부터 조출되는 낚시줄을 안내하는 복수의 낚시줄 가이드(8){팁 섹션 로드(7)의 선단부는 톱 가이드(8a)}가 장착되어 있다. 낚시줄 가이드(8)에 대해서는, 섹션 로드에 대하여 고정되는 고정 가이드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섹션 로드에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한 유동 가이드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벗 섹션 로드(3), 2번 로드(5) 및 팁 섹션 로드(7)는 강화 섬유(주로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 등)에 에폭시 수지 등의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섬유 강화 수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상체 또는 중실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벗 섹션 로드(3)에 설치되는 릴 다리 고정 장치(10)는 고정 후드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후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낚시용 릴의 릴 다리를 고정 후드에 삽입한 상태에서 이동 후드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낚시용 릴을 탈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고정 후드는 팁 섹션측에 있어도 되고, 기단부측에 있어도 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릴 다리 고정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2로부터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 2는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에 있어서 이동 후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4의 (a)는 도 3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이동 후드를 개구측에서 본 도면, 도 5는 이동 후드부를 성형하는 프리프레그 시트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 그리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프리프레그 시트에 의하여 성형된 이동 후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릴 다리 고정 장치(10)는 벗 섹션 로드(3)에 대하여 외부 끼움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릴 시트 본체(이하, 본체라고 칭함)(11)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1)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에 의하여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낚시용 릴(70)의 릴 다리(71)가 적재되는 적재면(12)과, 적재면(12)의 팁 섹션측에 배치된 고정 후드(13)와, 적재면(12)의 기단부측에 배치된 이동 후드(15)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후드(13)는, 본체(11)에 일체 형성되고, 상기 릴 다리(71)의 팁 섹션측 다리부(71a)를 수용할 수 있도록 팽출된 후드부(13A)를 구비하고 있으며, 릴 다리(71)의 팁 섹션측 다리부(71a)는 후드부(13A)의 개구(13a)를 통하여 삽입된다. 또한 후드부(13A)는, 후술하는 이동 후드의 후드부와 마찬가지로 본체(11)와 별체로서 형성되며, 본체(11)와 일체화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동 후드(15)는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본체(11)와 별체로서 형성된 후드부(15A)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후드부(15A)는, 릴 다리(71)의 기단부측 다리부(71b)를 수용할 수 있도록 팽출된 팽출부(15a)와, 팽출부(15a)의 기단부측에 일체 형성된 원통부(15b)를 구비하고 있다. 즉, 팽출부(15a)는, 원통부(15b)의 외주의 소정 범위의 원호 영역이 팁 섹션측으로 이행됨에 따라 점차 상승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릴 다리(71)의 기단부측 다리부(71b)는 그러한 팽출부(15a)의 개구(15c)를 통하여 삽입된다.
팽출부(15a)의 내측에는, 삽입되는 릴 다리(71)의 기단부측 다리부(71b)의 표면과 압접하도록 패드 부재(16)가 배치되어 있다. 이 패드 부재(16)는, 이동 후드(15)가 고정 후드측을 향하여 이동되었을 때, 릴 다리(71)의 기단부측 다리부(71b)의 표면에 가압되는 부분이며, 릴 다리(71)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패드 부재(16)는 릴 다리(71)의 기단부측 다리부(71b)의 표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돌기(16a)를, 이동 후드(15)의 팽출부(15a)에 형성된 구멍(15d)에 끼워 맞춤으로써, 팽출부(15a)의 내면과 일체화된다.
본체(11)의 기단부측에는 수나사부(11a)가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나사부(11a)에는, 회전 조작함으로써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조작 너트(18)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조작 너트(18)는, 그 전단부가 이동 후드(15)의 후드부(15A){원통부(15b)}와 걸림 결합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의 걸림 결합 관계는, 조작 너트(18)를 체결하는 방향으로 회전 조작했을 때 이동 후드(15)를 회전시키지 않고 고정 후드측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조작 너트(18)를 헐겁게 하는 방향으로 회전 조작했을 때 이동 후드(15)를 회전시키지 않고 고정 후드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너트(18)의 원통부(15b)측의 단부 테두리(18e)에 환상 돌기(18a)를 형성하고, 이 선단부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18f)를 형성함과 함께, 원통부(15b)의 조작 너트(18)측의 단부 테두리(15e)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15f)를 형성하여, 이들 걸림 돌기(18f)와 걸림 돌기(15f)를 걸어 지지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조작 부재(18)와 후드부(15A){원통부(15b)}의 걸림 결합 관계에 의하면, 조작 너트(18)를 체결하는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조작 너트(18)는 고정 후드측을 향하여 나사 전진함과 함께, 후드부(15A){원통부(15b)}는 회전하지 않고 단부 테두리(18e)와 단부 테두리(15e)의 접촉 관계에 의하여 고정 후드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즉, 적재면(12)에 적재된 릴 다리(71)는 한 쌍의 후드부{고정 후드(13A), 이동 후드(15A)}에 의하여 체결 고정된다. 또한 조작 너트(18)를 헐겁게 하는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조작 너트(18)는 고정 후드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나사 전진함과 함께, 후드부(15A){원통부(15b)}는 회전하지 않고 걸림 돌기(15f, 18f)의 걸림 결합 관계에 의하여 고정 후드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을 향하여 이동된다. 즉, 적재면(12)에 적재된 릴 다리(71)는 한 쌍의 후드부{고정 후드(13A), 이동 후드(15A)}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이동 후드(15)의 후드부(15A)는, 일정한 강도가 유지되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섬유 강화 수지재, 구체적으로는 사양이 상이한 복수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통 형상으로 되도록 적층함으로써 성형되어 있다. 이 경우, 프리프레그 시트는 탄소 섬유, 유리 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의 강화 섬유가 소정의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 또는 편성된 시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가소성 수지(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페닐술피드, 열가소 폴리우레탄)나 열경화성 수지(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매트릭스 수지로서 함침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후드부(15A)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후드부(15A)는, 릴 다리(71)에 대한 체결력이 커지면, 그 개구(15c)의 부분에는, 접촉한 릴 다리(71)의 기단부측 다리부(71b)의 표면으로부터 개구를 넓히고자 하는 힘이 작용한다. 즉, 팽출부(15a)의 개구측, 특히 개구(15c)의 단부 테두리 영역에 대해서는, 강화 섬유가 축 길이 방향(벗 섹션 로드(3)의 축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되어 있으면, 축 길이 방향으로 균열이 발생하는 경향으로 되어, 강도 저하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구 영역에 대해서는, 개구를 넓히고자 하는 부하에 대항하도록 강화 섬유가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어 있는 프리프레그 시트가 많이 사용된다.
또한 후드부(15A)의 팽출부(15a)의 개구 이외의 영역에 대해서는, 릴 다리의 체결 상태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개구를 넓히고자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부하는 적지만, 축 길이 방향을 따라 휘는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구 영역으로부터 원통부(15b)에 이르는 영역에 대해서는, 주로 휨 방향의 부하에 대항하도록 강화 섬유가 축 길이 방향으로 지향되어 있는 프리프레그 시트가 사용된다.
도 5는 상술한 바와 같은 후드부(15A)에 작용하는 부하를 고려한 프리프레그 시트의 제1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후드부(15A)는,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맨드럴(80)에, 사양이 상이한 복수의 프리프레그 시트(30 내지 32)를 권회하고, 이를 가열하여 합성 수지를 경화한 후, 맨드럴(80)을 탈심함으로써 성형된다.
상기 맨드럴(80)의 표면에는, 후드부(15A)의 형상과 대응하여 팽출부(80a)와 원기둥부(80b)가 형성되어 있다. 즉, 원기둥부(80b)는 단면이 원 형상이며, 후드부(15A)의 원통부(15b)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된다. 또한 팽출부(80a)는 원기둥부(80b)의 단부(80c)의 둘레 방향의 일부(삽입되는 릴 다리에 대응하는 소정의 원호 범위)를 전방을 향하여 점차 상승하도록 경사지게 하고 있으며{경사 단부(80d)는 후드부(15A)의 팽출부(15a)의 개구(15c)에 대응함}, 후드부(15A)의 팽출부(15a)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맨드럴(80)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후드부(15A)의 축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배치되는 프리프레그 시트(본체 프리프레그 시트; 본체층)(30, 31)와, 후드부(15A)의 개구 영역을 보강하는 프리프레그 시트(보강 프리프레그 시트; 보강층)(32)를 권회함으로써, 후드부(15A)가 성형된다.
후드부(15A)의 내층측은, 강화 섬유(30A)가 둘레 방향으로 정렬된 프리프레그 시트(30)를 축 방향에 걸쳐 권회함으로써, 둘레 방향 섬유층(30)이 배치된다(도 6에서는, 프리프레그 시트와 섬유층을 동일한 참조 부호로 하고 있음). 여기서, 프리프레그 시트(30)는 그 후단부 테두리(30b)를 맨드럴의 원기둥부(80b)의 부분에 위치 정렬하고, 전단부 테두리(30a)를 맨드럴의 팽출부(80a)의 경사 단부(80d)에 위치 정렬하여 권회된다. 이 결과,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는, 둘레 방향에 걸쳐 끊어지지 않고 배치된다. 또한 프리프레그 시트(30)의 전단부 테두리(30a)에 대해서는, 맨드럴의 경사 단부(80d)보다도 다소 앞측에 권회해 두고 열경화한 후, 커트해도 된다.
상기와 같이 권회되는 프리프레그 시트(30)의 외층측에는, 강화 섬유(31A)가 축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프리프레그 시트(31)가 권회됨으로써, 축 길이 방향 섬유층(31)이 배치된다. 이 프리프레그 시트(30)의 후단부 테두리(31b) 및 전단부 테두리(31a)는, 상술한 프리프레그 시트(30)의 후단부 테두리(30b) 및 전단부 테두리(30a)와 일치하도록 위치 부여되어 권회된다. 이 결과, 축 길이 방향 지향되는 강화 섬유에 대해서도, 축 길이 방향에 걸쳐 끊어지지 않고 배치된다.
또한 프리프레그 시트(31)의 내층측(프리프레그 시트(30)의 외층측)에는, 강화 섬유(32A)가 둘레 방향으로 정렬된 보강용의 프리프레그 시트(32)가 권회된다. 이 프리프레그 시트(32)는, 후단부 테두리(32b)가 맨드럴의 팽출부(80a)의 중간부에 위치 정렬되고, 전단부 테두리(32a)가 프리프레그 시트(30)의 전단부 테두리(30a) 및 프리프레그 시트(31)의 전단부 테두리(31a)와 일치하도록 위치 정렬되어 권회된다. 이 경우, 보강용의 프리프레그 시트(32)는 프리프레그 시트(30)를 권회한 후, 그 위로부터 권회해도 되고, 프리프레그 시트(30)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프리프레그 시트(31)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프리프레그 시트(30 내지 32)가 권회되어 성형된 후드부(15A)는, 축 길이 방향을 따라 단면에서 보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내층측에는, 상술한 프리프레그 시트(30)에 의하여, 강화 섬유가 둘레 방향으로 정렬된 둘레 방향 섬유층(30)이 축 길이 방향에 걸쳐 배치된다. 또한 개구(15c)측에는, 둘레 방향 섬유층(30)의 외층측에, 상술한 보강용의 프리프레그 시트(32)에 의하여, 강화 섬유가 둘레 방향으로 정렬된 둘레 방향 섬유층(32)이 배치된다. 즉, 팽출부(15a)의 개구(15c)측은,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의 비율이, 조작 너트(18)측보다도 많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둘레 방향 섬유층(30, 32)의 외층측에는, 강화 섬유가 축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축 길이 방향 섬유층(31)이 축 길이 방향에 걸쳐 배치된다.
상술한 복수의 프리프레그 시트(30 내지 32)에 의하여 성형된 후드부(15A)는, 원통부(15b)와 비교하여 팽출부(15a)의 개구(15c)측이 보강용의 프리프레그 시트(32)의 분만큼 후육화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15b)측의 단부에 원주 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걸림 돌기(15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후드부(15A)를 구비한 릴 다리 고정 장치에 의하면, 통 형상의 후드부(15A)를, 복수의 프리프레그 시트(30 내지 32)를 적층하여 성형했기 때문에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후드부(15A)에는 릴 다리(71)을 고정할 때, 개구 부분에 있어서 둘레 방향을 따라 넓히도록 하는 부하가 작용하지만, 이 개구 부분에서는,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의 비율이 조작 너트(18)측보다도 많아지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파손 등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즉, 후드부 전체적으로 강도가 약한 부분을 효율적으로 보강하고 있기 때문에, 후드부로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박육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것에 의하여 그립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 부분에 배치되는 둘레 방향 섬유층은, 삽입되는 릴 다리측으로 되는 내층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 부분에 있어서의 강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는, 1둘레 권회될 때 도중에서 끊어지는 일없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 저하나 박리 등이 발생하지도 않고 축 길이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에 대해서도 도중에 끊어진 부분이 없기 때문에, 강도가 저하되는 일은 없다. 또한 개구 부분에서는, 보강용의 프리프레그 시트(32)의 분만큼 둘레 방향 섬유층을 많게 하여 후육화를 도모하고 있기 때문에, 압궤 강성이 높아져 압궤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둘레 방향 섬유층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개구 부분의 내층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조작 너트(18)측과 비교하여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어 있는 강화 섬유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많아져 있으면 되며, 내층측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보강용의 프리프레그 시트(32)를 프리프레그 시트(31)의 이면에 부착하고 복수 회 권회함으로써, 개구 영역에 있어서 축 길이 방향 섬유층과 둘레 방향 섬유층을 교대로 적층한 구성으로 해도 되며, 프리프레그 시트(31)의 표면에 설치해도 된다. 즉, 복수의 프리프레그 시트(30 내지 32)의 적층 순서에 대해서는 임의이다.
또한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의 비율에 대해서는, 개구(15c)의 부분(개구 영역)과 조작 너트(18)측의 부분을 비교하여 개구측 쪽이 많아져 있으면 되고, 릴 다리가 삽입되는 영역에 있어서 둘레 방향 섬유층이 대략 균일한 두께로 되어 있어도 되며, 개구측을 향하여 점차 두께가 두꺼워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는 조작 너트(18)측과 개구(15c)측 사이에, 둘레 방향 섬유층이 얇아지는 영역이 있거나, 둘레 방향 섬유층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드부(15A)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한 두께의 축 길이 방향 섬유층(31)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휨 방향으로 작용하는 부하에 대한 강도의 향상이 도모된다.
도 7의 (a) 및 (b)는 각각 후드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후드부(15A)의 두께는 개구측을 두껍게 했지만, 축 길이 방향에 걸쳐 균일한 두께로 해도 된다. 이 경우, 개구측에서는,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의 비율을 많게 하므로,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층측에 배치되는 둘레 방향 섬유층(40)은, 팽출부(15a)의 영역에 있어서 개구측으로 이행되는 데 따라 점차 후육화되고, 또한 그 후육화에 수반하여 축 길이 방향 섬유층(41)은 점차 박육화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둘레 방향 섬유층(40) 및 축 길이 방향 섬유층(41)을 갖는 후드부(15A)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프리프레그 시트(40, 41)에 의하여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후드부(15A)의 내층측은, 강화 섬유(40A)가 둘레 방향으로 정렬된 프리프레그 시트(40)를 권회함으로써 둘레 방향 섬유층으로 된다. 여기서 프리프레그 시트(40)는, 그 후단부 테두리(40b)가 맨드럴에 대하여 1플라이, 전단부 테두리(40a)가 맨드럴에 대하여 2플라이 되도록 경사 테두리(40c)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재단된 프리프레그 시트(40)를 권회함으로써,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 방향 섬유층(40)을, 팽출부(15a)에 있어서 개구측을 향하여 점차 후육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후드부(15A)의 외층측은, 강화 섬유(41A)가 축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프리프레그 시트(41)를 권회함으로써 축 길이 방향 섬유층으로 된다. 여기서 프리프레그 시트(41)는, 그 후단부 테두리(41b)가 맨드럴에 대하여 2플라이, 전단부 테두리(41a)가 맨드럴에 대하여 1플라이 되도록 경사 테두리(41c)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재단된 프리프레그 시트(41)를 권회함으로써,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 길이 방향 섬유층(41)을, 팽출부(15a)에 있어서 개구측을 향하여 점차 박육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후드부(15A)의 두께를 축 길이 방향에 걸쳐 균일화함과 함께, 개구측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의 비율을 많게 함으로써, 보다효율적으로 강도를 유지하면서 전체를 박육화,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후드부(15A)에서는, 릴 다리를 체결 고정한 상태에서 낚시용 릴에 대하여 벗 섹션 로드(3)의 둘레에 큰 부하가 작용하면, 릴 다리의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이격된 위치일수록(릴 다리(71)의 기단부측 다리부(71b)의 선단부일수록) 휨 방향의 부하가 커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축 길이 방향 섬유층(41)은, 팽출부(15a)의 기단부측 쪽이 후육화되어 있기 때문에 후드부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강도를 유지하여, 박육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서는,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는 섬유의 비율을, 팽출부(15a)의 영역에서 개구측으로 이행되는 데 따라 점차 후육화하였지만,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출부(15a)의 영역에 있어서 대략 균일해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강화 섬유가 일방향(둘레 방향)으로 정렬된 프리프레그 시트를 사용했지만, 직포 형상으로 편성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지향된 강화 섬유(51A) 및 축 길이 방향으로 지향된 강화 섬유(51B)를 직포 형상으로 한 프리프레그 시트(51)를 본체층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프리프레그 시트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후단부 테두리(51b)를 맨드럴(도 5 참조)의 원기둥부(80b)의 부분에 위치 정렬하고, 전단부 테두리(51a)를 맨드럴의 팽출부(80a)의 경사 단부(80d)에 위치 정렬하여 권회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권회된 프리프레그 시트(51)의 내층측에는, 강화 섬유(50A)가 둘레 방향으로 정렬된 보강용의 프리프레그 시트(50)가 권회된다. 이 프리프레그 시트(52)는, 후단부 테두리(50b)가 맨드럴의 팽출부(80a)의 중간부에 위치 정렬되고, 전단부 테두리(50a)가 프리프레그 시트(51)의 전단부 테두리(51a)와 일치하도록 위치 정렬되어 권회된다.
상술한 프리프레그 시트(50, 51)에서 후드부(15A)를 성형하더라도,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의 비율이, 조작 너트측보다도 개구측 쪽이 많아지도록 배치되므로,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후드부의 표면은, 강화 섬유가 편성된 직포층으로 되기 때문에, 강화 섬유의 찢어짐이나 박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강도의 향상 및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릴 다리 고정 장치의 후드부를 섬유 강화 수지재에 의하여 성형할 때,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의 비율을, 조작 너트측보다도 개구측 쪽이 많아지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강도를 향상시켜 경량화, 박육화를 도모하는 데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후드부를 성형하는 프리프레그에 대해서는, 강화 섬유의 종류나 탄성률, 수지 함침량, 두께 등의 구성 및 적층 상태 등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휨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축 길이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를 사용했지만,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 방향으로 지향된 강화 섬유를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경사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팽출부(15a)나 원통부(15b)에 있어서의 비틀림 방향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후드부(15A)의 원통부(15b)는,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가 존재하지 않아도 되지만, 조작 너트(18)와의 정렬 부분임과 함께 진원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둘레 방향 섬유층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드부(15A)의 개구측에 대해서도 둘레 방향 섬유층만으로 구성해도 되지만, 축 길이 방향 섬유층, 직포층, 경사 방향 섬유층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둘레 방향을 포함하여 3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지향된 상태로 되는 프리프레그를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경량이고 강도적으로 우수한 후드부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릴 다리 고정 장치의 후드부(15A)는 팽출부(15a)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지만, 후드부로서는 팽출부가 없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후드(15)의 후드부(15A)를 원통부(15b)로 구성하고, 조작 너트(18)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으로 한 채, 팽출부를 형성하지 않고 릴 다리를 삽입하는 개구(15c)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후드부(15A)의 내면에 부착되는 패드 부재(16)를, 도 3에 도시한 구성보다도 다소 후육화하여, 삽입되는 릴 다리와 대응하는 내면을 구비한 형상으로 형성하면 된다. 이러한 후드부(15A)에 의하면, 후드부를 성형하기 위한 맨드럴은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프리프레그 시트의 권회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대해서는, 고정 후드(13)의 후드부(13A)에 적용해도 된다. 이 경우, 고정 후드에서는, 둘레 방향의 강화 섬유의 비율이, 기단부측보다도 개구측이 많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되는 후드부에 대해서는, 외관 향상이나 표면의 보호를 위하여 도장을 하거나, 금속이나 세라믹스를 증착하거나 해도 된다.
이하, 후드부(15A)의 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후드부(15A)에는, 특히 태클(tackle)을 투척할 때나 낚싯대를 조작하고 있을 때 비틀림력이 작용하기 쉽다. 즉, 팽출부(15a)의 개구측, 특히 개구(15c)의 단부 테두리 영역의 부근에 있어서는, 강화 섬유가 단순히 축 길이 방향(벗 섹션 로드(3)의 축 길이 방향)에만 정렬된 상태로 되어 있으면 비틀림 강도가 약해져, 태클 투척 시나 낚싯대 조작 시의 비틀림에 의하여 후드부(15A)에 전단력이 작용하여, 균열이나 파손을 야기하는 경향으로 된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후드부(15A)의 팽출부(15a)의 영역에 있어서는, 특히 비틀림 부하에 대항하도록 축 방향의 강화 섬유의 지향성에 일정한 변동부를 설치하고 있다.
도 12는 상술한 바와 같은 후드부(15A)에 작용하는 비틀림 부하를 고려한 프리프레그 시트(30)와, 그것이 권회되는 맨드럴(8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후드부(15A)는,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맨드럴(80)에, 사양이 상이한 복수의 프리프레그 시트(도 12에는, 간단화를 위하여 프리프레그 시트(30)만이 도시됨)를 권회하고, 이를 가열하여 합성 수지를 경화한 후, 맨드럴(80)을 빼냄함으로써 성형된다.
맨드럴(80)의 표면에는, 후드부(15A)의 형상과 대응하여 팽출부(80a)와 원기둥부(80b)가 형성되어 있다. 즉, 원기둥부(80b)는 단면이 원 형상이며, 후드부(15A)의 원통부(15b)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된다. 또한 팽출부(80a)는 원기둥부(80b)의 단부(80c)의 둘레 방향의 일부(삽입되는 릴 다리(71)에 대응하는 소정의 원호 범위)를 전방을 향하여 점차 상승하도록 경사지게 하고 있으며{경사 단부(80d)는 후드부(15A)의 팽출부(15a)의 개구(15c)에 대응함}, 후드부(15A)의 팽출부(15a)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맨드럴(80)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후드부(15A)의 축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배치되는 프리프레그 시트(30)를 포함하는 1개 이상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함으로써, 후드부(15A)가 성형된다.
후드부(15A)의 내층측은, 강화 섬유가, 예를 들어 둘레 방향(또는 축 방향에 대하여 90° 미만의 각도를 이루는 경사 방향이어도 됨)으로 정렬된, 도시 생략된 프리프레그 시트를 축 방향에 걸쳐 권회함으로써, 예를 들어 둘레 방향 섬유층(경사 방향 섬유층, 예를 들어 직포 형상의 섬유층이어도 됨)이 적어도 배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권회되는 프리프레그 시트의 외층측에는, 강화 섬유(30A)가 축 길이 방향으로 끊어지지 않고 연속하여 정렬된 프리프레그 시트(30)가 권회됨으로써, 축 길이 방향 섬유층이 배치된다.
여기서, 축 길이 방향 섬유층을 형성하는 프리프레그 시트(30)의 후단부 테두리(30b) 및 전단부 테두리(30a)는, 내층측의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의 후단부 테두리 및 전단부 테두리와 일치하도록 위치 정렬되어 맨드럴(80)에 권회된다. 구체적으로는 후단부 테두리(30b)를 맨드럴(80)의 원기둥부(80b)의 부분에 위치 정렬하고, 전단부 테두리(30a)를 맨드럴(80)의 팽출부(80a)의 경사 단부(80d)에 위치 정렬하여 권회된다. 이 결과, 축 길이 방향 지향되는 강화 섬유(30A)는 축 길이 방향에 걸쳐 끊어지지 않고 배치된다.
또한 프리프레그 시트(30)의 전단부 테두리(30a)에 대해서는, 맨드럴(80)의 경사 단부(80d)보다도 다소 앞측에 권회해 두고, 열경화한 후 커트해도 된다. 또한 프리프레그 시트(30)는 원기둥부(80b)의 둘레 길이보다도 팽출부(80a)의 둘레 길이가 긴 것을 고려하여, 후단부 테두리(30b)가 맨드럴(80)에 대하여, 예를 들어 1플라이, 전단부 테두리(30a)가 맨드럴(80)에 대하여 1플라이 이상 되도록 한쪽 측단부측에 경사 테두리부(30c)를 갖는다.
이와 같이 하여 프리프레그 시트(30)를 맨드럴(80)에 권회하면, 팽출부(80a)에서는, 프리프레그 시트(30)를 구성하는 수지의 확산에 의하여 강화 섬유(30A)가 구부러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부(15A)의 팽출부(15a)에 대응하는 소정의 부위, 일반적으로는 맨드럴(80)의 원기둥부(80b)의 단부(80c)로부터 경사 단부(80d)를 향하는 소정의 길이 영역에 대응하는 팽출부(15a)의 부위에, 축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30A)가 축 방향 X에 대하여 경사지는 영역(400)이 형성된다. 또한 도 13에는, 통 형상으로 권회되어 후드부(15A)를 구성한 프리프레그 시트(30)가 참조 부호 30'로 나타나 있으며, 도 13의 (a)는 통 형상으로 권회되어 후드부를 구성한 도 12의 (b)의 프리프레그 시트의 측면도, 도 13의 (b)는 도 13의 (a)의 프리프레그 시트의 평면도이다.
영역(400)에서의 강화 섬유(30A)의 축 방향 X에 대한 경사 각도 θ는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각도 θ는, 이 영역(400)의 전체에 걸쳐 일정한 각도여도 되지만, 후드부(15A)의 개구(15c)로 이행됨에 따라 점차 증대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영역(400)은 후드부(15A)의 팽출부(15a)의 임의의 부위에 연속적으로(예를 들어 후드부(15A)의 개구(15c)까지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비틀림 방향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영역(4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후드부(15A)의 좌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3의 (b)에는 대칭축 L이 도시됨). 특히 큰 비틀림이 발생하기 쉬운 후드부(15A)의 개구(15c) 부근에 영역(400)을 형성하면, 이 부분에서 비틀림을 확실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유익하다.
영역(400)을 후드부(15A)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는 제조 방법이, 일례로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다. 또한 이 제조 방법은, 영역(400)을 특히 간단히 형성하기 위한 일례에 불과하며, 영역(400)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제조 방법에서는, 대칭축 L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의 형상을 이루는(축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50A)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는) 변형예에 따른 도 15의 (a)에 도시되는 프리프레그 시트(50)가 사용되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프레그 시트(50)의 좌우 대칭축선 L 상에 맨드럴(80)을 위치시켜 프리프레그 시트(50)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맨드럴(80)의 외주에 감는다. 이것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팽출부(80a)에서의 프리프레그 시트(30)의 수지의 확산에 의하여 강화 섬유(30A)가 맨드럴(80)의 팽출부(80a)에서 구부러져, 축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50A)가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영역(400)(도 13 참조)이 후드부(15A)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또한 맨드럴(80)에 대한 프리프레그 시트(50)의 권회 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리프레그 시트(50)의 후단부 테두리(50b)를 맨드럴(80)의 원기둥부(80b)의 부분에 위치 정렬하고, 전단부 테두리(50a)를 맨드럴(80)의 팽출부(80a)의 경사 단부(80d)에 위치 정렬하여 권회된다. 이 결과, 축 길이 방향 지향되는 강화 섬유(50A)는, 축 길이 방향에 걸쳐 끊어지지 않고 배치된다. 또한 프리프레그 시트(50)는 원기둥부(80b)의 둘레 길이보다도 팽출부(80a)의 둘레 길이가 긴 것을 고려하여, 후단부 테두리(50b)가 맨드럴(80)에 대하여, 예를 들어 1플라이, 전단부 테두리(50a)가 맨드럴(80)에 대하여 1플라이 이상 되도록, 좌우의 측단부에 경사 테두리부(50c, 50d)를 갖는다.
또한 이 제조 방법에서는(물론 도 12에 도시되는 프리프레그 시트 권회 형태에 있어서도), 후드부(15A)의 전방측에 보강층이 형성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리프레그 시트(50)의 전방측{팽출부(15a)측}의 내층측 또는 외층측에, 축 방향에 대하여 ±90° 미만의 각도를 이루어 경사 방향으로 지향된 강화 섬유(60A, 60B)를 직포 형상으로 편성하여 이루어지는 보강용의 프리프레그 시트(60)가 권회된다. 이 프리프레그 시트(60)는, 후단부 테두리(60b)가 맨드럴(80)의 원기둥부(80b)의 중간부에 위치 정렬되고, 전단부 테두리(60a)가 프리프레그 시트(50)의 전단부 테두리(50a)와 일치하도록 위치 정렬되어 권회된다.
이상과 같이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프리프레그 시트를 적층하여 통 형상의 후드부(15A)를 성형하기 때문에,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드부(15A)는, 그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적어도 축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가 끊어지지 않고 연속하여 연장되기 때문에, 강도 저하나 파손 등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후드부(15A)는, 축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가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영역(400)을 팽출부(15a)에 갖기 때문에, 이 영역(400)에서는, 섬유의 경사에 기인하여 비틀림 방향에 대하여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축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를 수반하는 동일한 프리프레그 시트에, 축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가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연속하는 축 길이 방향 섬유를 필요한 부위에서 경사지게 하는) 영역(400)을 형성하면, 후드부 전체적으로 불필요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배치하지 않고 효율적인 보강을 실현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후드부 전체의 박육화 및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맨드럴(80)의 팽출부(80a)의 형상을 이용한 프리프레그 시트의 강화 섬유의 맨드럴 권회 시의 변형에 의하여 영역(400)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지만, 영역(400)의 형성 방법은 임의이다. 요컨대, 축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를 수반하는 동일한 프리프레그 시트에, 축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가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연속하는 축 길이 방향 섬유를 필요한 부위에서 경사지게 하는) 영역(400)이 팽출부(15a)에서 형성되면 된다.
이하, 다른 실시 형태의 릴 다리 고정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16으로부터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 16은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측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에 있어서 이동 후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18의 (a)는 도 17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18의 (b)는 도 18의 (a)에 도시하는 이동 후드를 개구측에서 본 도면이다.
릴 다리 고정 장치(10)는, 벗 섹션 로드(3)에 대하여 외부 끼움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릴 시트 본체(이하, 본체라고 칭함)(11)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1)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에 의하여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낚시용 릴(70)의 릴 다리(71)가 적재되는 적재면(12)과, 적재면(12)의 팁 섹션측에 배치된 고정 후드(13)와, 적재면(12)의 기단부측에 배치된 이동 후드(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 후드(13)는, 본체(11)에 일체 형성되고, 상기 릴 다리(71)의 팁 섹션측 다리부(71a)를 수용할 수 있도록 팽출된 후드부(13A)를 구비하고 있으며, 릴 다리(71)의 팁 섹션측 다리부(71a)는 후드부(13A)의 개구(13a)를 통하여 삽입된다. 또한 후드부(13A)는, 후술하는 이동 후드의 후드부와 마찬가지로 본체(11)와 별체로서 형성되며, 본체(11)와 일체화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이동 후드(15)는,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본체(11)와 별체로서 형성된 후드부(15A)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후드부(15A)는, 릴 다리(71)의 기단부측 다리부(71b)를 수용할 수 있도록 팽출된 팽출부(15a)와, 팽출부(15a)의 기단부측에 일체 형성된 원통부(15b)를 구비하고 있다. 즉, 팽출부(15a)는, 원통부(15b)의 외주의 소정 범위의 원호 영역이 팁 섹션측으로 이행되는 데 따라 점차 상승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릴 다리(71)의 기단부측 다리부(71b)는 그러한 팽출부(15a)의 개구(15c)를 통하여 삽입된다.
상기 팽출부(15a)의 내측에는, 삽입되는 릴 다리(71)의 기단부측 다리부(71b)의 표면과 압접하도록 패드 부재(16)가 배치되어 있다. 이 패드 부재(16)는, 이동 후드(15)가 고정 후드측을 향하여 이동되었을 때, 릴 다리(71)의 기단부측 다리부(71b)의 표면에 가압되는 부분이며, 릴 다리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패드 부재(16)는 릴 다리(71)의 기단부측 다리부(71b)의 표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돌기(16a)를, 이동 후드(15)의 팽출부(15a)에 형성된 구멍(15d)에 끼움결합함으로써 팽출부(15a)의 내면과 일체화된다.
상기 본체(11)의 기단부측에는 수나사부(11a)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나사부(11a)에는, 회전 조작함으로써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조작 너트(18)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조작 너트(18)는, 그 전단부가 상기 이동 후드(15)의 후드부(15A){원통부(15b)}와 걸림 결합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의 걸림 결합 관계는, 조작 너트(18)를 체결하는 방향으로 회전 조작했을 때, 이동 후드(15)를 회전시키지 않고 고정 후드측에 이동시키고, 또한 조작 너트(18)를 헐겁게 하는 방향으로 회전 조작했을 때, 이동 후드(15)를 회전시키지 않고 고정 후드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너트(18)의 원통부(15b)측의 단부 테두리(18e)에 환상 돌기(18a)를 형성하고, 이 선단부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18f)를 형성함과 함께, 원통부(15b)의 조작 너트(18)측의 단부 테두리(15e)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15f)를 형성하여, 이들 걸림 돌기(18f)와 걸림 돌기(15f)를 걸어 지지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조작 부재(18)와 후드부(15A){원통부(15b)}의 걸림 결합 관계에 의하면, 조작 너트(18)를 체결하는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조작 너트(18)는 고정 후드측을 향하여 나사 전진함과 함께, 후드부(15A){원통부(15b)}는 회전하지 않고 단부 테두리(18e)와 단부 테두리(15e)의 접촉 관계에 의하여 고정 후드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즉, 적재면(12)에 적재된 릴 다리(71)는 한 쌍의 후드부{고정 후드(13A), 이동 후드(15A)}에 의하여 체결 고정된다. 또한 조작 너트(18)를 헐겁게 하는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조작 너트(18)는 고정 후드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나사 전진함과 함께, 후드부(15A){원통부(15b)}는 회전하지 않고 걸림 돌기(15f, 18f)의 걸림 결합 관계에 의하여 고정 후드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을 향하여 이동된다. 즉, 적재면(12)에 적재된 릴 다리(71)는 한 쌍의 후드부{고정 후드(13A), 이동 후드(15A)}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후드부(15A)의 개구측의 단부 테두리에는 경사 단부(15h)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 단부(15h)는 후드부(15A)의 경량화를 도모함과 함께, 외관 디자인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릴 다리(71)가 삽입되는 개구 영역으로부터 양 사이드의 표면을 따라 반대측에 이르는 영역에,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양 사이드에서 대칭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음).
또한 상술한 이동 후드(15)의 후드부(15A)는, 일정한 강도가 유지되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섬유 강화 수지재를 통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통 형상으로 성형되는 섬유 강화 수지재는, 예를 들어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 시트(사양이 상이한 것을 복수 매 사용해도 됨)나, 강화 섬유를 일방향으로 정렬시킨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프리프레그 시트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됨) 등이 사용된다.
이 경우, 프리프레그 시트는 탄소 섬유, 유리 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의 강화 섬유가 소정의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 또는 편성된 시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가소성 수지(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페닐술피드, 열가소 폴리우레탄)나 열경화성 수지(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매트릭스 수지로서 함침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도 프리프레그 시트와 마찬가지로 강화 섬유를 일방향으로 정렬시키고,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후드부(15A)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후드부(15A)는, 릴 다리(71)에 대한 체결력이 커지면 그 개구(15c)의 부분에는, 접촉된 릴 다리(71)의 기단부측 다리부(71b)의 표면으로부터 개구를 넓히고자 하는 힘이 작용한다. 즉, 팽출부(15a)의 개구측, 특히 개구(15c)의 단부 테두리 영역에 대해서는, 강화 섬유가 축 길이 방향(벗 섹션 로드(3)의 축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되어 있으면, 축 길이 방향으로 균열이 발생하는 경향으로 되어, 강도 저하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개구 영역에 대해서는, 개구를 넓히고자 하는 부하에 대항하도록 강화 섬유가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어 있는 섬유 강화 수지재가 사용된다.
또한 후드부(15A)의 팽출부(15a)의 개구 이외의 영역에 대해서는, 릴 다리의 체결 상태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개구를 넓히고자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부하는 적지만, 축 길이 방향을 따라 휘는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 때문에, 개구 영역으로부터 원통부(15b)에 이르는 영역에 대해서는, 주로 휨 방향의 부하에 대항하도록 강화 섬유가 축 길이 방향으로 지향되어 있는 섬유 강화 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 영역에 대해서는, 강화 섬유가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어 있는 섬유 강화 수지재가 사용되지만, 본 발명과 같이 경사 단부(15h)가 존재하는 통 형상체를 성형할 때는, 축 길이 방향(벗 섹션 로드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지향되어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는, 통 형상체를 성형한 후, 경사 단부(15h)를 형성하기 위하여 경사 방향으로 커트하면,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어 있는 강화 섬유가 절단되어 버려, 강도 저하되거나 균열, 파손 등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후드부(15A)에 있어서의 섬유 강화 수지재는, 경사 단부(15h)를 따르는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지향되도록 하여,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가 1둘레에 걸쳐 끊어져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강화 섬유가 이러한 방향으로 지향되어 있는 층을 경사 방향 섬유층이라고 칭함).
상기와 같은 경사 단부를 갖는 후드부에 대해서는, 통 형상체를 성형할 때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후드부(15A)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후드부(15A)를 통 형상으로 성형할 때 사용되는 맨드럴(8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맨드럴(80)의 표면에는, 후드부(15A)의 형상과 대응하여 팽출부(80a)와 원기둥부(80b)가 형성되어 있다. 즉, 원기둥부(80b)는 단면이 원 형상이며, 후드부(15A)의 원통부(15b)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된다. 또한 팽출부(80a)는 원기둥부(80b)의 단부(80c)의 둘레 방향의 일부(삽입되는 릴 다리에 대응하는 소정의 원호 범위)를 전방을 향하여 점차 상승하도록 경사지게 하고 있으며(경사 단부(80d)는 후드부(15A)의 팽출부(15a)의 개구(15c)에 대응함), 후드부(15A)의 팽출부(15a)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맨드럴(80)에 대하여 강화 섬유(500A)를 일방향(인출 방향)으로 정렬시킨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500)를 권회함으로써, 후드부를 성형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500)는 폭이 1 내지 10㎜ 정도인 것이 사용되며, 이러한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500)는 보빈(520)에 권회된 상태에서 인출되면서 상기 맨드럴(80)의 소정 위치에 권회되어, 경사 방향 섬유층(500B)이 형성된다(도 21 참조). 이 경우, 경사 방향 섬유층(500B)을 형성할 때는, 보빈(520)으로부터 조출되는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500)를, 맨드럴(80)의 축 길이 방향(도 20의 X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제어함으로써 경사 단부(15h)를 형성하도록 하고,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500)를 권회함과 동시에 경사 단부(15h)의 방향으로 강화 섬유를 지향시켜, 경사 단부(15h)에 있어서 섬유 부스러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시 생략된 구동 기구 및 제어 장치에 의하여, 맨드럴(80)은 축 길이 방향(도 20의 X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구동되고, 또한 보빈(520)은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500)를 인출하면서 X 방향으로 구동된다. 또한 보빈(520)은 X 방향을 따라 구동될 때, 도면에 나타내는 D1, D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 제어된다. 즉, 맨드럴(80)을 회전 구동하고, 또한 보빈(520)을 X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맨드럴(80)의 원하는 위치에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500)가 권회된다(도 21에 도시하는 섬유 강화 수지층(500B)이 형성됨).
상술한 맨드럴(80)과 보빈(520)의 구동 형태에 의하여 후드부(15A)를 형성하는 경우, 처음에 맨드럴(80)과 보빈(520)의 위치 관계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맨드럴의 원기둥부(80b)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부터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500)가 권회되도록, 보빈(520)은 X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를 조출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보빈(520)은 후드부의 기단부측에서는, 맨드럴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를 조출하는 직각 위치에 위치 부여됨}.
이 상태에서 보빈(520)으로부터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를 조출하면서, 보빈(520)을 X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 또한 맨드럴(80)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후드부(15A)의 원기둥부(15b) 및 팽출부(15a)가 형성된다. 그리고 권회 상태가 경사 단부(80d){후드부(15A)의 팽출부(15a)의 개구(15c)에 대응함}에 이를 때, 보빈(520)은 맨드럴(80)의 회전과 동기하여, 도면에 나타내는 D1, D2 방향의 회전 구동이 제어된다. 이 경우, 도 20의 (a)에 도시하는 보빈 위치로부터 D1 방향으로 보빈(520)을 회전시키면, 도면에 있어서 전방측의 경사 단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도 20의 (b)로부터 D2 방향으로 보빈(520)을 회전시키면, 도면에 있어서 안측의 경사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맨드럴(80)을 회전 구동할 때, 맨드럴이 180° 회전할 때마다 보빈(520)을 D1 방향 및 D2 방향으로 회전 제어함으로써, 후드부의 양 사이드에, 경사 단부의 방향을 따르도록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500)를 권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도 20의 (b)에 도시하는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500)의 경사 위치에서 경사 단부(15h)(도 21 참조)가 형성되는 것이면, 다음 맨드럴(80)의 180°의 회전 시에서는 보빈(520)을 D2 방향으로 회전 제어하고, 도 20의 (b)에 나타내는 각도와 같은 경사 각도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반대면(도에서는 이면)측의 경사 단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후드부의 개구측에서는, 맨드럴(80)의 축 길이 방향(X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를 조출하는 경사 위치로 보빈을 회전 제어함으로써, 경사 단부에 따른 방향으로 강화 섬유(500A)를 지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보빈(520)은 후드부의 개구측에서는, 맨드럴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를 조출하는 경사 위치로 회전됨}.
또한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500)를 맨드럴에 권회할 때,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출부(80a)에 있어서 경사 단부(80d)로 이행됨에 따라,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500)의 경사 각도가 점차 커지도록 권회하는 것이면, 맨드럴이 180° 회전할 때마다 보빈(520)을 D1, D2 방향으로 회전 제어함과 함께, 그 회전의 각도를, 경사 단부(80d)로 이행됨에 따라 점차 커지도록 제어하면 된다.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500)를 맨드럴(80)에 대하여 권회함과 동시에 원통부(15b) 및 팽출부(15a)가 형성되고, 또한 경사 단부(15h)에서는, 그 방향을 따르도록 강화 섬유가 지향된 상태가 얻어지게 된다(도 21 참조). 즉, 후드부(15A)를 형성함과 동시에 경사 단부(15h)가 형성되고, 또한 경사 단부(15h)에 있어서, 1둘레에 걸쳐 섬유 부스러기가 없는 섬유 강화 수지층(둘레 방향 섬유층)(500B)을 갖는 구성이 용이하게 얻어진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서는, 보빈(520)을, 도 20에 나타낸 D1, D2 방향(지면(紙面)을 따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했지만, 보빈(520)을 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 제어하더라도 경사 단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500)가 권회된 맨드럴(80)은 가열하여 합성 수지를 경화하고, 그 후 맨드럴(80)을 빼냄함으로써,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후드부(15A)가 성형된다.
상술한 구성에서는, 맨드럴(80)의 경사 단부(80d)의 영역에서 보빈(520)을 회전 제어하여 경사 단부(15h)를 형성했지만, 보빈을 도 20의 (a)에 도시하는 수직 상태로 유지한 채, 경사 단부(80d)의 영역(후드부의 개구측)에서, X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속도를 고속화하는 것에 의해서도 경사 단부(15h)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보빈(520)의 이동 속도가 빨라지면, 맨드럴(80)에 대해서는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500)가 경사 방향으로 권회되도록 되어, 경사 단부(15h)를 따르는 방향으로 권회되도록 된다. 이 때문에, 맨드럴(80)의 경사 단부(80d)의 영역(개구 부분)에 있어서, 보빈(520)의 X 방향의 이동 속도, 및 맨드럴(80)이 180° 회전했을 때의 보빈(520)의 X 방향의 복귀의 이동 속도를 고속화함으로써, 개구부의 양 사이드에 경사 단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동 방식에서는, 보빈(520)을 D1, D2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킬 필요가 없어, 제조 장치의 구성이 간략화된다.
또한 상술한 제조 방법에서는, 보빈(520)을 경사 단부(80d)의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소정의 위치까지 반전 구동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0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 도 20의 (b)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보빈(520)을 소정의 위치{팽출부(15a)가 형성되는 위치}까지 X 방향으로 반전 이동함과 함께, 180°마다의 권회 방향이 역방향으로 되도록 보빈을 회전 제어함으로써,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500)의 강화 섬유(500A)가 크로스된 섬유 강화 수지층(500B')이 얻어지게 된다. 즉, 조출되어 권회되는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500)의 강화 섬유(500A)는, 도면 부호 (500A')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향되므로, 팽출부(15a)에 있어서 강화 섬유가 크로스된 섬유 강화 수지층(500B')이 얻어지게 되어, 릴 다리로부터 큰 부하가 가해지는 부분의 강도가 보다 향상된 후드부가 얻어지게 된다. 또한 보빈(520)을 회전하지 않는 구성에서는, 팽출부(15a)를 형성하는 영역에서, 보빈(520)을 고속으로 반전 구동함과 함께, 권회 방향이 역방향으로 되도록 제어하면 된다.
상술한 제조 방법에서는, 보빈(520)을 X 방향을 따라 구동했지만, 보빈(520)을 이동시키지 않고 맨드럴(80)을 X 방향을 따라 구동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조 방법에서는,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500)권회한 후에, 또한 프리프레그 시트(예를 들어 강화 섬유가 축 길이 방향이나 경사 방향으로 정렬된 프리프레그 시트)를 중첩시켜 권회해도 된다.
도 23은 경사 단부(15h)를 갖는 후드부(15A)의 다른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프리프레그 시트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구성의 맨드럴(80)에, 사양이 상이한 복수의 프리프레그 시트(600 내지 620)를 권회하고, 이를 가열하여 합성 수지를 경화한 후 맨드럴(80)을 빼냄함으로써, 후드부가 성형된다.
도면에 도시한 2매의 프리프레그 시트(600, 610)는, 각각 강화 섬유(600A, 610A)를 경사 단부(15h)를 따른 방향으로 정렬시킨 것이며, 후드부(15A)의 개구(15c)의 정상부 라인(개구 정상부를 통과하는 X 방향의 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일 측면측에 반(半)플라이 권회됨과 함께, 타 측면측에 반플라이 권회되도록 재단되어 있다. 즉, 프리프레그 시트(600, 610)는, 맨드럴(80)의 팽출부(80a)의 영역{원기둥부(80b)의 단부(80c)로부터 경사 단부(80d) 사이의 영역}에서 맞대든지 중첩시킴으로써, 각각 반(半)플라이씩 권회되도록 재단되어 있으며, 각 프리프레그 시트(600, 610)가 경사 방향 섬유층을 구성함과 함께, 각 경사 전단부(600a, 610a)가 그대로 후드부(15A)의 경사 전단부(15h)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2매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할 때는, 프리프레그 시트(600)의 경사 전단부(600a)의 코너부(600c)를 맨드럴(80)의 경사 단부(80d)에 위치 부여하고, 또한 후단부(600b)를 맨드럴(80)의 단부(80c)에 위치 부여한다. 또한 프리프레그 시트(610)의 경사 전단부(610a)의 코너부(610c)를 맨드럴(80)의 경사 단부(80d)에 위치 부여하고, 또한 후단부(600b)를 맨드럴(80)의 단부(80c)에 위치 부여한다.
또한 프리프레그 시트(620)는 강화 섬유(620A)를 둘레 방향을 따라 정렬시킨 것이며, 후드부(15A)의 원통부(15b)를 형성하도록 재단되어 있다. 즉, 전단부(620a)를 맨드럴(80)의 단부(80c)에 위치 부여하여 권회하고, 전단부(620a)에서 1플라이 이상, 후단부(620b)에서도 1플라이 이상 권회되도록 재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경사 단부(15h)를 갖는 후드부(15A)는, 복수 매의 프리프레그 시트(600, 610)를 맨드럴(80)에 권회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별도로 강화 섬유가 축 길이 방향이나 경사 방향으로 정렬된 프리프레그 시트를 중첩시켜 권회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프리프레그 시트(600 내지 620)를 권회할 때는, 프리프레그 시트(600, 610)의 맞댐 부분(중첩 부분)에,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용의 프리프레그 시트(65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강용의 프리프레그 시트(650)에 대해서는, 릴 다리가 삽입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강화 섬유(650A)가 둘레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보강용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배치함으로써, 깨짐 등이 발생하기 쉬운 팽출부의 정상부 영역을 효과적으로 보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5는 경사 단부(15h)를 갖는 후드부(15A)의 또 다른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프리프레그 시트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구성의 맨드럴(80)에, 사양이 상이한 복수의 프리프레그 시트(700, 710)을 권회하고, 이를 가열하여 합성 수지를 경화한 후 맨드럴(80)을 빼냄함으로써, 후드부가 성형된다.
도면에 도시한 프리프레그 시트(700)는 강화 섬유(700A, 700B)를 맨드럴(80)의 축 길이 방향(X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편성한 것이며, 경사 방향 섬유층을 구성하고 교차되는 강화 섬유(700A, 700B)는, 맨드럴(80)에 권회했을 때, 후드부(15A)의 개구(15c)의 정상부로부터 양 사이드에서, 각각 경사 단부(15h)를 따르는 방향으로 지향되도록 편성되어 있다. 이 경우, 프리프레그 시트(700)는 후단부(700b)를 맨드럴(80)의 단부(80c)에 위치 부여하고, 전단부(700a)를 맨드럴(80)의 경사 단부(80d)의 끝의 위치에 위치 부여하여, 각각 1플라이 이상 권회하도록 재단되어 있다.
또한 프리프레그 시트(710)는 강화 섬유(710A)를 둘레 방향을 따라 정렬시킨 것이며, 후드부(15A)의 원통부(15b)를 형성하도록 재단되어 있다. 즉, 전단부(710a)를 맨드럴(80)의 단부(80c)에 위치 부여하여 권회하고, 전단부(710a)에서 1플라이 이상, 후단부(710b)에서도 1플라이 이상 권회되도록 재단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프리프레그 시트(700, 710)를 맨드럴(80)에 권회하고 가열, 빼냄한 후, 도 2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프레그 시트(700)의 강화 섬유(700A, 700B){강화 섬유(700B)는 도면의 반대측으로 됨)의 방향을 따라 커트함으로써(커트 라인 C), 경사 단부(15h)를 따라 강화 섬유가 지향된 후드부(15A)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경사 단부(15h)를 갖는 후드부(15A)는, 강화 섬유가 경사 방향으로 편성된 1매의 프리프레그 시트(700)를 맨드럴(80)에 권회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조되는, 경사 단부가 구비된 후드부(15A)를 구비한 릴 다리 고정 장치에 의하면, 통 형상의 후드부(15A)는 섬유 강화 수지재로 성형되기 때문에 경량화가 도모됨과 함께, 경사 단부(15h)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외관을 향상시켜 그립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경사 단부(15h)에서는, 강화 섬유가 그대로 끊어지지 않고 1둘레에 걸쳐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릴 다리가 삽입되어 둘레 방향으로 넓히고자 하는 부하가 작용하더라도 깨짐이나 파손 등이 발생하는 일도 없어, 효과적으로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릴 다리 고정 장치의 후드부를 섬유 강화 수지재에 의하여 성형할 때, 후드부의 경사 단부를 따르는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지향된 경사 방향 섬유층을 갖는 데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후드부를 성형하는 프리프레그에 대해서는, 강화 섬유의 종류나 탄성률, 수지 함침량, 두께 등의 구성 및 적층 상태 등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후드부를 구성하는 경사 방향 섬유층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후드부로서 그 이외의 섬유층, 예를 들어 강화 섬유가 축 길이 방향으로 지향된 섬유층,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 방향으로 지향된 섬유층, 강화 섬유를 2방향 이상으로 편성한 직포층을 배치해도 된다. 이러한 섬유층을 배치함으로써, 팽출부(15a)나 원통부(15b)에 있어서의 비틀림 방향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킴과 함께, 효율적으로, 경량이고 강도적으로 우수한 후드부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릴 다리 고정 장치의 후드부(15A)는 팽출부(15a)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지만, 후드부로서는 팽출부가 없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이동 후드(15)의 후드부를 원통부(15b)로 구성하고, 조작 너트(18)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으로 한 채, 팽출부를 형성하지 않고 릴 다리를 삽입하는 개구(15c)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후드부(15A)의 내면에 부착되는 패드 부재(16)를 도 17에 도시한 구성보다도 다소 후육화하여, 삽입되는 릴 다리와 대응하는 내면을 구비한 형상으로 형성하면 된다. 이러한 후드부에 의하면, 후드부를 성형하기 위한 맨드럴은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은 프리프레그 시트의 권회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대해서는, 고정 후드(13)의 후드부(13A)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되는 후드부에 대해서는, 외관 향상이나 표면의 보호를 위하여 도장을 하거나, 금속이나 세라믹스를 증착하거나 해도 된다.
10: 릴 다리 고정 장치
13A, 15A: 후드부
15a: 팽출부
15b: 원통부
15c: 개구
30, 50: 프리프레그 시트
32, 40: 둘레 방향 섬유층
70: 낚시용 릴
71: 릴 다리
80: 맨드럴
400: 영역

Claims (17)

  1. 낚시용 릴의 릴 다리를 수용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하도록 팽출하는 팽출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적층하여 성형되는 통 형상의 후드부를 조작 너트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릴 다리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는,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의 비율이, 상기 조작 너트측보다도 상기 개구측 쪽이 많고,
    상기 후드부는 축 길이 방향에 걸쳐 균일 두께이고,
    상기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에 의한 둘레 방향 섬유층은, 개구측을 향하여 점차 후육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에 의한 둘레 방향 섬유층은, 상기 후드부의 내층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
  5. 복수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적층하여 성형됨과 함께, 낚시용 릴의 릴 다리를 수용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하도록 팽출되는 팽출부를 갖는 통 형상의 후드부를 조작 너트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릴 다리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적어도 축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가 끊어지지 않고 연속하여 연장됨과 함께, 상기 축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가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영역을 상기 팽출부에 갖고,
    상기 후드부의 내층측에는 강화 섬유가 둘레 방향으로 정렬된 프리프레그 시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는, 상기 후드부의 좌우 양측에서 대칭적으로 그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이 상기 후드부의 상기 개구 부근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를 수반하는 축 방향 섬유층이, 상기 후드부의 외층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에서의 상기 강화 섬유의 축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
  10. 제5항에 기재된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상기 후드부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이며,
    축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프리프레그 시트를 설치하는 스텝과,
    원기둥부와, 상기 원기둥부의 단부의 둘레 방향의 일부를 전방을 향하여 점차 상승하도록 경사지게 한 팽출부를, 상기 후드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갖는 맨드럴을 설치하는 스텝과,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의 좌우 대칭축선 상에 상기 맨드럴을 위치시켜,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상기 맨드럴의 외주에 감음으로써, 상기 맨드럴의 상기 팽출부에서, 상기 축 방향으로 지향되는 강화 섬유가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영역을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1. 낚시용 릴의 릴 다리를 수용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하도록 팽출하는 팽출부를 구비하고, 섬유 강화 수지재에 의하여 성형되는 통 형상의 후드부를 갖는 릴 다리 고정 장치이며,
    상기 통 형상의 후드부는, 릴 다리를 수용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하도록 팽출하는 팽출부 영역으로부터 양 사이드의 표면을 따라 반대측에 이르는 영역에,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 단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섬유 강화 수지재는, 상기 경사 단부를 따르는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지향된 경사 방향 섬유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다리 고정 장치.
  12. 제11항에 기재된 통 형상의 후드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후드부의 형상에 대응한 표면 형상을 갖는 맨드럴에 대하여, 강화 섬유를 일방향으로 정렬시킨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가 권회된 보빈으로부터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를 조출하면서, 상기 맨드럴에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를 권회하여 상기 경사 방향 섬유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경사 방향 섬유층을 형성할 때, 상기 보빈으로부터 조출되는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를 상기 맨드럴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제어하여 상기 경사 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부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경사 방향 섬유층을 형성할 때 맨드럴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후드부의 기단부측에서는, 상기 맨드럴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를 조출하는 직각 위치에 있으며, 상기 후드부의 개구측에서는, 상기 맨드럴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를 조출하는 경사 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부의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경사 방향 섬유층을 형성할 때 맨드럴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후드부의 기단부측에서는, 상기 맨드럴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섬유 강화 수지 테이프를 조출하는 직각 위치에 있으며, 상기 후드부의 개구측에서는, 이동 속도가 고속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부의 제조 방법.
  15. 제11항에 기재된 통 형상의 후드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후드부의 형상에 대응한 표면 형상을 갖는 맨드럴에 대하여, 강화 섬유를 상기 경사 단부에 따른 방향으로 정렬시킨 2매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상기 개구의 정상부 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일 측면측에 반(半) 플라이 권회함과 함께, 타 측면측에 반 플라이 권회함으로써 상기 경사 방향 섬유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부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정상부 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권회되는 상기 2매의 프리프레그 시트의 맞댐 부분 또는 중첩 부분에, 상기 맨드럴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정렬된 보강용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부의 제조 방법.
  17. 제11항에 기재된 통 형상의 후드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후드부의 형상에 대응한 표면 형상을 갖는 맨드럴에 대하여, 강화 섬유를 상기 맨드럴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편성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하고,
    상기 경사 방향 섬유층의 경사 단부는, 상기 편성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강화 섬유의 경사 방향을 따라 커트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부의 제조 방법.

KR1020150041747A 2014-03-26 2015-03-25 릴 다리 고정 장치,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릴 다리 고정 장치의 후드부의 제조 방법 KR101907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63122A JP6253472B2 (ja) 2014-03-26 2014-03-26 リール脚固定装置
JPJP-P-2014-063122 2014-03-26
JPJP-P-2014-070774 2014-03-31
JP2014070775A JP6121937B2 (ja) 2014-03-31 2014-03-31 リール脚固定装置、及びリール脚固定装置のフード部の製造方法
JPJP-P-2014-070775 2014-03-31
JP2014070774A JP6121936B2 (ja) 2014-03-31 2014-03-31 リール脚固定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875A KR20150111875A (ko) 2015-10-06
KR101907729B1 true KR101907729B1 (ko) 2018-10-12

Family

ID=5278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747A KR101907729B1 (ko) 2014-03-26 2015-03-25 릴 다리 고정 장치,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릴 다리 고정 장치의 후드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150272099A1 (ko)
EP (1) EP2933093B1 (ko)
KR (1) KR101907729B1 (ko)
CN (3) CN1072587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64835B2 (ja) * 2012-12-25 2017-07-19 株式会社シマノ 釣竿用竿体とそれを備えた釣竿並びに釣竿用竿体の製造方法
KR101391116B1 (ko) * 2013-07-23 2014-04-30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낚싯대
JP2015123063A (ja) * 2013-12-27 2015-07-0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固定フードに繊維強化樹脂シートを備えるリールシート及び該リールシートを備えた釣竿
EP2933093B1 (en) * 2014-03-26 2018-10-24 Globeride, Inc. Reel leg fixing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hood portion of the reel leg fixing apparatus
US11497202B2 (en) 2015-03-31 2022-11-15 Globeride, Inc. Reel leg fixing apparatus
US11040512B2 (en) * 2017-11-08 2021-06-22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Composite structures, forming apparatus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ES2914513T3 (es) * 2018-06-05 2022-06-13 Toray Industries Tela reforzada con fibras impregnada con líquido de recubrimiento, objeto integrado en forma de una lámina, preimpregnado, cinta de preimpregnado y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material compuesto reforzado con fibras
CN109501072A (zh) * 2018-12-21 2019-03-22 四川明日宇航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斜剖式复材筒体脱模工装及其脱模方法
JP7133503B2 (ja) * 2019-03-26 2022-09-0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リール固定装置
JP7365316B2 (ja) * 2020-10-28 2023-10-1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用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CN113119489B (zh) * 2021-03-29 2022-08-16 威海光威复合材料股份有限公司 预浸料铺贴定位方法
CN113207825B (zh) * 2021-04-30 2022-03-15 北京邮电大学 一种鱼竿用导环的自动化安装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9489B2 (ja) * 2007-07-09 2012-07-1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ルアーロッド
JP2014011975A (ja) * 2012-07-04 2014-01-23 Shimano Inc 釣竿用リールシートの筒状フード及び釣竿用リールシート並びに釣竿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9662Y2 (ko) * 1975-07-17 1978-09-26
JPS6017864B2 (ja) * 1976-01-30 1985-05-07 林作 加藤 漁網の結節構造とその編網方法
JPS57187064A (en) * 1981-05-14 1982-11-17 Nissan Motor Co Ltd Automatic coating device
JPS57187064U (ko) 1981-05-22 1982-11-27
JPS59170042A (ja) * 1983-03-18 1984-09-26 Dainippon Ink & Chem Inc しきい値電圧低下用化合物
JPS61104733A (ja) * 1984-10-26 1986-05-2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の製造法
JPS62198971A (ja) * 1986-02-26 1987-09-02 Taku Arimoto 直線の識別方式
JPH0626155Y2 (ja) * 1986-04-28 1994-07-20 株式会社シマノ 釣竿における固定フードの取付構造
JPS62198971U (ko) * 1986-06-11 1987-12-18
JPS6328365A (ja) * 1986-07-21 1988-02-06 Sankyo Foods Kk 菓子用植物の葉類
JP2545537B2 (ja) * 1987-05-11 1996-10-23 リョービ株式会社 釣竿及び釣竿の製造法
JPH01172369U (ko) * 1988-05-21 1989-12-06
JPH0361030A (ja) 1989-07-28 1991-03-15 Ryobi Ltd 釣竿、ゴルフシャフト等の積層管とその製造方法
JP2512375Y2 (ja) 1991-02-07 1996-10-0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 竿
JP3038290B2 (ja) * 1994-06-09 2000-05-08 富士工業株式会社 釣り用リールシートの摺動フード
JP3157124B2 (ja) * 1997-06-20 2001-04-16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リールシート
JPH11155431A (ja) * 1997-11-28 1999-06-15 Mamiya Op Co Ltd 釣り竿用リールシート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釣り竿
JP3566525B2 (ja) 1998-01-30 2004-09-1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
JP3685293B2 (ja) * 1998-03-25 2005-08-1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のリール脚固定装置
JP2000041541A (ja) * 1998-05-29 2000-02-15 Daiwa Seiko Inc リ―ル装着式釣竿
JP3662776B2 (ja) * 1999-06-08 2005-06-2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のリール装着装置
JP3745945B2 (ja) 2000-07-13 2006-02-1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継式釣竿
JP3866509B2 (ja) * 2000-12-08 2007-01-10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リールシートと、釣竿
JP2002233272A (ja) 2001-02-08 2002-08-20 Shimano Inc 竿体の製造方法
JP2003000780A (ja) * 2001-06-25 2003-01-07 Sumitomo Rubber Ind Ltd 繊維強化樹脂製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の製造方法及び繊維強化樹脂製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JP4159404B2 (ja) * 2003-05-16 2008-10-01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リールの取り付け構造及び釣竿用可動フード体
JP2005151929A (ja) * 2003-11-28 2005-06-16 Daiwa Seiko Inc 釣竿
JP2006166841A (ja) * 2004-12-17 2006-06-29 Shimano Inc 釣り竿
JP2006262804A (ja) * 2005-03-24 2006-10-05 Daiwa Seiko Inc 釣竿
JP2006333723A (ja) * 2005-05-31 2006-12-14 Daiwa Seiko Inc リ−ル脚固定装置
JP2007167015A (ja) * 2005-12-26 2007-07-05 Daiwa Seiko Inc 釣竿
JP2007202407A (ja) * 2006-01-30 2007-08-16 Daiwa Seiko Inc 釣竿
JP5327827B2 (ja) * 2007-08-01 2013-10-30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シート
JP5376556B2 (ja) * 2008-03-27 2013-12-25 株式会社シマノ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JP5084037B2 (ja) * 2008-04-01 2012-11-28 株式会社シマノ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JP2009296989A (ja) * 2008-06-17 2009-12-24 Shimano Inc 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JP2010172308A (ja) * 2009-01-31 2010-08-12 Globeride Inc 釣竿用部品
JP5414361B2 (ja) * 2009-05-27 2014-02-12 株式会社シマノ 筒状リールシート
JP2010273586A (ja) * 2009-05-27 2010-12-09 Shimano Inc リールシート
JP5398065B2 (ja) * 2009-07-01 2014-01-29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シート
JP2011067123A (ja) * 2009-09-25 2011-04-07 Shimano Inc 釣竿
JP2012029609A (ja) * 2010-07-29 2012-02-16 Globeride Inc 釣竿
JP5898504B2 (ja) * 2012-01-19 2016-04-06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シート
JP5898503B2 (ja) * 2012-01-19 2016-04-06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シート及びこれに用いるフードユニット
JP6017864B2 (ja) * 2012-07-04 2016-11-02 株式会社シマノ 釣竿用筒状部材とその製法
JP6164835B2 (ja) * 2012-12-25 2017-07-19 株式会社シマノ 釣竿用竿体とそれを備えた釣竿並びに釣竿用竿体の製造方法
JP2015123063A (ja) * 2013-12-27 2015-07-0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固定フードに繊維強化樹脂シートを備えるリールシート及び該リールシートを備えた釣竿
JP6133205B2 (ja) * 2013-12-27 2017-05-2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固定フードに繊維強化樹脂シートを備えるリールシート及び該リールシートを備えた釣竿
JP6121937B2 (ja) * 2014-03-31 2017-04-2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リール脚固定装置、及びリール脚固定装置のフード部の製造方法
EP2933093B1 (en) * 2014-03-26 2018-10-24 Globeride, Inc. Reel leg fixing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hood portion of the reel leg fixing apparatus
JP6730036B2 (ja) * 2015-03-31 2020-07-2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リール脚固定装置
US11497202B2 (en) * 2015-03-31 2022-11-15 Globeride, Inc. Reel leg fix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9489B2 (ja) * 2007-07-09 2012-07-1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ルアーロッド
JP2014011975A (ja) * 2012-07-04 2014-01-23 Shimano Inc 釣竿用リールシートの筒状フード及び釣竿用リールシート並びに釣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58717B (zh) 2020-10-30
EP2933093A2 (en) 2015-10-21
KR20150111875A (ko) 2015-10-06
CN104938446A (zh) 2015-09-30
US20150272099A1 (en) 2015-10-01
CN107242216B (zh) 2021-04-30
US20170280694A1 (en) 2017-10-05
CN107242216A (zh) 2017-10-13
EP2933093A3 (en) 2016-02-10
US10952417B2 (en) 2021-03-23
CN107258717A (zh) 2017-10-20
EP2933093B1 (en)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729B1 (ko) 릴 다리 고정 장치, 릴 다리 고정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릴 다리 고정 장치의 후드부의 제조 방법
EP2888939B1 (en) Reel seat having fiber-reinforced resin sheet in fixed hood and fishing rod having the reel seat
JP2001238573A (ja) 釣 竿
JP6121937B2 (ja) リール脚固定装置、及びリール脚固定装置のフード部の製造方法
JP3762577B2 (ja) 釣竿
JP4979489B2 (ja) ルアーロッド
JP4623565B2 (ja) 振出竿用の竿体
JP6730036B2 (ja) リール脚固定装置
JP6253472B2 (ja) リール脚固定装置
JP6121936B2 (ja) リール脚固定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037414A (ja) 釣竿用ハンドル部材及び釣竿
JP2005040075A (ja) 釣竿
JP7201567B2 (ja) 魚釣用リール及びそのハンドル
JP7111648B2 (ja) 釣竿
JP7148451B2 (ja) 魚釣用リール及びそのハンドル
JP7111646B2 (ja) 釣竿
JP5889604B2 (ja) 複合材のドライプリフォ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36869A (ja) 釣 竿
JP5112284B2 (ja) 釣り用スプール
JP5376594B2 (ja) インロー継合構造を有する釣竿
JP2008154511A (ja) 管状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36782A (ja) 釣 竿
JP2002218867A (ja) 釣竿とその製造方法
JP4148855B2 (ja) 竿体の製造方法
EP1013168B1 (en) Fishing r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