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076B1 -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용기의 랩어라운드용 라벨 - Google Patents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용기의 랩어라운드용 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076B1
KR101660076B1 KR1020117031244A KR20117031244A KR101660076B1 KR 101660076 B1 KR101660076 B1 KR 101660076B1 KR 1020117031244 A KR1020117031244 A KR 1020117031244A KR 20117031244 A KR20117031244 A KR 20117031244A KR 101660076 B1 KR101660076 B1 KR 101660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ess
ppm
polyester
biaxially ori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1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6895A (ko
Inventor
히데키 이토
마사카즈 이와사키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6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4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4Organic non-macromolecular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70Scrap or recyc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19/00Labels, ba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0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4Magnesium hydr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9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the composition being defined by the absence of a certain addit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51Sleeve shaped label, i.e. wrapped around a de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72Labels for containers
    • G09F2003/0273Labels for bottles, flas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2Recycling of unreacted starting or intermediat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33Recycled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Wrap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과제] 올리고머 함유량이 적은 폴리에스테르로 되며, 필름의 생산성, 및 품위를 손상시키지 않고, 정전기에 의한 트러블이 극히 일어나기 어려운 음료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이축배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이 9000 ppm 이하이고, 온도 285℃에 있어서의 용융 비저항이 1.0×108 Ω·㎝ 이내이며, 적어도 편면의 상대습도 65%하에 있어서의 표면 고유 저항이 13 logΩ 이하인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상기 필름으로 되는 용기의 랩어라운드용 라벨.

Description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용기의 랩어라운드용 라벨{Biaxially-oriented polyester film for use as wrap-around container label, and wrap-around container label}
본 발명은,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발명은, 올리고머 함유량이 적은 폴리에스테르로 되며, 또한 생산성 및 필름의 품위를 손상시키지 않고 필름을 제막하는 것이 가능한,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제2 발명은, 또한 필름의 품위를 손상시키지 않고, 올리고머 함유량이 적은 폴리에스테르로 되며, 정전기에 의한 트러블 발생이 극히 일어나기 어려운 용기의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대표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는, 우수한 역학 특성, 내약품성 등을 가지고 있어 섬유, 필름 등의 성형품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PET 수지는 저렴하고, 또한 위생적인 면에서도 우수하기 때문에, 식품용기, 특히 음료용 용기로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용기는 일반적으로 "페트(PET)병"이라 칭해지고, 그 사용량은 방대하다. 또한, 최근 들어서의 환경문제의 고조, 및 자원의 절약 측면에서, 사용이 끝난 음료 페트병에 대해서는, 이전부터 재활용이 행해지고 있어, 그 활용방법이 주목되고 있다.
PET로 되는 필름은 통상, PET를 구금으로부터 용융압출하고, 압출한 필름형상 용융물을 회전 냉각드럼 표면에서 급랭하여 미연신 필름으로 하고, 계속해서 그 미연신 필름을 세로, 가로방향으로 연신하여 제조된다. 이 경우, 필름의 표면 결점을 없애 두께의 균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필름형상 용융물과 회전 냉각드럼의 표면의 밀착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압출 구금으로부터 용융압출한 시트형상물을 회전 냉각드럼 면에서 급랭할 때, 그 시트형상물과 드럼 표면의 밀착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 시트형상물과 드럼 표면의 밀착성을 높이는 방법으로서, 압출 구금과 회전 냉각드럼 사이에 와이어형상의 전극을 설치하여 고전압을 인가하고, 미고화의 시트형상물 면에 정전기를 석출시켜서, 그 시트를 냉각체 표면에 밀착시키면서 급랭하는 방법(정전 밀착 캐스트법)이 유효하다.
정전 밀착 캐스트법을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곧, 시트형상물과 드럼 표면의 정전 밀착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고, 그를 위해서는, 시트형상물 표면에 얼마나 많은 전하량을 석출시키는지가 중요하다. 전하량을 많게 하기 위해서는, 폴리에스테르를 개질하여 그 비저항을 낮게 하는 것이 유효하여, 다대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PET 제조시에, 마그네슘 원자와 인원자의 원자수 비가 특정 범위의 값이 되도록 마그네슘 화합물과 인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비저항을 낮게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상기 문헌에 의하면, 마그네슘 화합물, 나트륨 화합물 및 인 화합물의 첨가 시기를 특정함으로써, 촉매에 기인하는 이물질을 감소시켜, 필름의 품질이 향상되는 것도 개시되어 있다.
한편, 재활용된 페트병으로부터 재생된 PET는, 원래 필름 용도를 의도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부터 비저항치가 높아, 필름의 생산성 측면에서 정전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질이 불가결하다.
또한, 재활용된 페트병은, 오염, 장착된 라벨 및 장착된 라벨에 행해진 인쇄 잉크, 먼지 등 병에 부착된 이물질의 혼입 등이 일어나기 쉬워, 재활용된 페트병 유래의 원료를 필름으로 했을 때에는 그들 이물질이 결점이 되는 등 필름의 품위를 저하시키고, 더 나아가서는 음료 페트병의 랩어라운드 라벨로서 사용될 때에 외관을 손상시키는 것으로도 이어지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제품의 경우에는, 자원 절약화를 목표로 한다는 의미도 희박해지기 쉬워, 품위를 떨어뜨리지 않고 환경부하를 저감하는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종래의 필름은 절연체인 것으로부터, 정전기가 발생·축적되기 쉬운 등의 문제도 있었다. 정전기는 가공시의 트러블, 예를 들면, 제조공정이나, 인쇄, 접착, 기타 2차 가공 공정 등에 있어서, 필름이 롤에 휘감기거나, 필름과 접촉한 인체에 충격을 주거나, 취급이 곤란해져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소위 부분적으로 인쇄되지 않음의 발생, 라벨로 한 후의 장착성 불량이나 필름 표면의 오염의 원인이 되는 등, 상품가치의 저하를 초래한다.
일본국 특허공개 소59-64628호 공보(특허청구범위 등) 일본국 특허공개 평7-138388호 공보(단락번호 0001~0005 등)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과제를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1 발명의 목적은, 올리고머 함유량이 적은 폴리에스테르로 되며, 또한 필름의 생산성, 및 품위를 손상시키지 않고, 정전기에 의한 트러블이 극히 일어나기 어려운 음료 등의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발명은, 올리고머 함유량이 적은 폴리에스테르로 되며, 또한 필름의 품위를 손상시키지 않고, 정전기에 의한 트러블이 극히 일어나기 어려운 음료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에 나타내는 수단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으로 된다.
1. 이축배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이 9000 ppm 이하이고, 온도 285℃에 있어서의 용융 비저항이 1.0×108 Ω·㎝ 이내이며, 적어도 편면의 상대습도 65%하에 있어서의 표면 고유 저항이 13 log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랩어라운드(胴捲)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2. 필름 1 ㎡당 크기 1 ㎜ 이상의 이물질이 1.0개 미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1에 기재된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3. 필름 중에 적어도 알칼리토류 금속 화합물을 알칼리토류 금속 원소의 원자의 양으로서 20 ppm 이상 함유하고, 또한 인 화합물을 인원자의 양으로서 9 ppm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에 기재된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이축배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이 9000 ppm 이하이고, 필름 1 ㎡당 크기 1 ㎜ 이상의 이물질이 1.0개 미만이며, 적어도 편면의 상대습도 65%하에 있어서의 표면 고유 저항이 13 log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5.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탄소수 10~20의 알킬기를 갖는 음이온계 대전방지제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음이온계 대전방지제가 필름 제조공정 내의 최종 열처리 전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1 내지 제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열풍 150℃, 처리시간 30분에 있어서의 수축률이, 가로 세로 어느 방향에 있어서도 3%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이 6000 ppm 이하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10 중량% 이상 함유되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1 내지 제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이 6000 ppm 이하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페트병으로부터 재활용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8에 기재된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이 6000 ppm 이하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필터 배압 상승계수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8 또는 제9에 기재된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필름의 Co-b값이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1 내지 제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2. 상기 제1 내지 제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랩어라운드용 라벨.
본 발명의 제1 발명에 의해, 올리고머 함유량이 적은 폴리에스테르로 되며, 또한 필름의 생산성 및 품위를 손상시키지 않는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발명에 의해, 음료용 등의 올리고머 함유량이 적은 폴리에스테르로 되며, 또한 필름의 품위를 손상시키지 않고, 정전기에 의한 트러블이 극히 일어나기 어려운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필름은 적어도 한 층의 단층 구조여도 되고, 2층 이상의 적층 구조여도 된다. 2층, 3층, 4층, 5층이어도 상관없다. 2층인 경우는 적층부/기층부, 3층인 경우는 적층부(A)/기층부/적층부(B)이고, 3층의 경우, 적층부(A)와 적층부(B)가 동일한 조성·구성이어도 되고, 상이한 조성, 예를 들면 무입자층/기층부/입자 함유층의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여도 되고, 상이한 두께여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층부(A)와 적층부(B)를 동일한 조성으로 설계하는 것이 생산이 용이하여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필름은, 이것을 구성하는 상기 각 층의 적어도 한 층이 이축으로 배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층 이상의 적층구조 중, 모든 층이 이축으로 배향되어 있으면 특히 바람직하다. 모든 층이 무배향이나 일축배향인 경우는 랩어라운드 라벨 용도로 사용하기 어려워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폴리머,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2,6 나프탈레이트 등을 혼합해도 되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여도 된다. 공중합 성분의 예로서는, 아디핀산, 세바신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5-나트륨설포이소프탈산, 트리멜리트산 등의 다가 카르복실산 성분, 또는, 디에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옥시알킬글리콜, p-크실렌글리콜, 1,4-시클로헥실디메탄올 등의 다가 알코올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열안정제, 개질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조금도 지장없다.
또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이활성(易滑性)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이산화티탄, 미립자상 실리카, 카올린, 탄산칼슘 등의 무기 활제(滑劑), 또한 예를 들면, 장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유기 활제를 첨가나 도포해도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착색제, 대전방지제, 자외선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 또는 도포해도 된다.
본 발명의 필름의 적어도 한 층에는 올리고머 함유량이 적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료가 사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중의 올리고머 함유량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이 9000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중의 올리고머에는, 미반응 테레프탈산 외에, 비스-2-히드록시메틸에틸테레프탈레이트(MHET),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BHET) 및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2~10량체 등이 포함되나, 통상 가장 함유량이 많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3량체의 함유량을 확인하는 것이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이 9000 ppm 이하이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제막시의 오염이 발생하기 어렵고, 특히 캐스팅 롤 상에 오염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필름 제품의 제막 도중에서의 이물질 혼입 위험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9000 ppm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0 pp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7500 ppm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6500 ppm 이하이다. 그러나, 극도로 순도가 높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얻는 것은, 비용 상승을 초래하기 때문에, 4000 ppm 이상이면 되고, 5000 ppm 이상이어도 상관없다.
3층 이상의 구성으로 한 경우, 기층부의 폴리에스테르는 실질적으로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여도 되고,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입자종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무기 입자로서 탄산칼슘, 실리카, 카올린, 알루미나, 황산바륨, 산화티탄 등 폴리에스테르에 불용인 미세입자여도 되며, 또한, 가교 폴리스티렌 등의 유기 입자가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칼슘 또는 리튬 등을 포함하는 내부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을 9000 ppm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이 적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료를 사용하여 제막하면 된다.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이 6000 ppm 이하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료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5500 ppm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 ppm 이하이다. 그러나, 올리고머 함유량이 적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제작하는데는 비용이 커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은 3000 ppm 이상이면 되고, 4000 ppm 이상이어도 상관없다.
상기와 같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이 적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료를 합리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통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합 레진을 고상 중합하여, 중합도를 높여 환상 3량체를 비롯한 올리고머 함유량을 줄이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리고, 실제로는 그러한 처리가 이루어진 것으로서 페트병 재생 원료가 있어, 바람직하게 이용 가능하다. 페트병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레진은, 내용물인 음료를 위생에 관련하여 올리고머 함유량이 적은 고상 중합품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사용이 끝난 페트병 회수품으로부터 재생된 펠릿도 그 특성이 계승된다.
여기서, 그 필름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페트병의 재생 원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체로 하는 용기의 재활용품을 주체로 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차음료, 청량음료 등의 음료용 용기의 재활용품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적절히 배향되어 있어도 되며, 무색의 것이 바람직하나, 약간의 착색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페트병으로 되는 재생 원료는, 통상의 중합법 및 고상 중합법으로 제조, 성형된 폴리에스테르이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체로 하는 것으로, 다른 폴리에스테르 성분, 공중합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지장 없다. 촉매로서 안티몬, 게르마늄, 티탄 등의 금속 화합물, 안정제로서의 인 화합물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고유점도는 0.5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0.60~0.8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통상 페트병용의 폴리에스테르에는 촉매로서 게르마늄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페트병 재생 원료를 사용하여 필름화하면, 필름 중에 게르마늄이 1 ppm 이상 포함되는 것이 된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촉매의 함유량이기 때문에, 통상 고작 100 ppm 이하이고, 보통은 50 ppm 이하이다.
집약된 사용이 끝난 재활용 페트병으로부터, 음료의 나머지, 금속 성분, 라벨에 사용되고 있는 잉크 성분 등의, 비폴리에스테르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세, 분쇄함으로써, 본 발명의 원료에 제공할 수 있다. 분쇄 등의 처리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일반적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로 세로 1~10 ㎜ 정도로 분쇄한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이 6000 ppm 이하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료는 필름의 10 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중량%보다 적으면 필름의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3량체 함유량을 줄이는 효과가 희박해질뿐 아니라,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이 6000 ppm 이하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료가 페트병 재생 원료인 경우, 환경부하 저감에 따른 사회적 공헌효과가 부족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중량%를 초과하는 사용량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5 중량% 이상이다. 그러나,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이 6000 ppm 이하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료의 사용량이 너무 많으면, 고유점도의 조절이 곤란해져 필름의 역학적 특성을 조절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90 중량% 이하여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용융 비저항이 1.0×108 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나, 그 때문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후기 측정법에 의한 285℃에서의 용융 비저항치가 1.0×108 Ω·㎝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85℃에서의 용융 비저항치가 1.0×108 Ω·㎝를 초과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만을 사용하여 전술한 이상 방전을 피하는 생산 조건으로, 냉각드럼으로 밀착시키고자 한 경우, 용융 수지 시트와 냉각드럼 사이에서 국소적으로 공기가 혼입된 상태에서 냉각되기 때문에, 시트 표면에 핀너 버블이 생겨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핀너 버블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토출된 용융 수지가 냉각드럼에서 충분히 밀착될 수 있을 정도까지 생산속도를 저하시킬 필요가 생겨, 생산하는 비용이 증대되어 버린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있어서, 용융 비저항치를 전술한 범위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그 수지 중에 알칼리토류 금속 화합물과 인 화합물을 함유시키면 된다. 함유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페트병으로부터 재생된 PET에 대해, 알칼리토류 금속 화합물과 인 화합물을 함유시킨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혼합하거나 해도 상관없다. 알칼리토류 금속 화합물 중의 알칼리토류 금속 원자(M2)는, 수지의 용융 비저항치를 저하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알칼리토류 금속 화합물은, 통상, 다가 카르복실산류와 다가 알코올류로부터 에스테르를 생성할 때의 촉매로서 사용되나, 촉매로서의 필요량 이상으로 적극 첨가함으로써, 용융 비저항치의 저하 작용을 발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알칼리토류 금속 화합물의 함유량을, M2 기준으로 20 ppm(질량 기준, 이하 동일) 이상, 바람직하게는 22 pp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4 pp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추장된다. 한편, 알칼리토류 금속 화합물의 함유량은, M2 기준으로 40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350 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ppm 이하로 하는 것이 추장되며, 그 이상 사용해도, 그 양에 어울리는 만큼의 효과는 얻어지지 않고, 오히려, 이 화합물에 기인하는 이물질의 생성이나 착색 등의 폐해가 커진다.
바람직한 알칼리토류 금속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알칼리토류 금속의 수산화물,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염(초산염, 부티르산염 등, 바람직하게는 초산염), 방향족 차카르복실산염, 페놀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과의 염(페놀과의 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알칼리토류 금속으로서는,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등(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산화마그네슘, 초산마그네슘, 초산칼슘, 초산스트론튬, 초산바륨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초산마그네슘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알칼리토류 금속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근래에는 마그네슘을 알칼리토류 금속에 포함하지 않는 정의도 있는 듯은 하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의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정의의 알칼리토류 금속을 의도하고 있다. 바꿔말하자면, 주기표 IIa족의 원소를 의도하고 있다.
인 화합물은, 그 자체 필름의 용융 비저항치를 저하시키는 작용은 갖지 않으나, 알칼리토류 금속 화합물, 및 후술하는 알칼리 금속 화합물과 조합함으로써, 용융 비저항치의 저하에 기여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명확하지는 않으나, 인 화합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이물질의 생성을 억제하여, 전하 담체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인 화합물의 함유량은, 인원자(P) 기준으로 10 ppm(질량 기준, 이하 동일) 이상, 바람직하게는 11 pp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pp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추장된다. 인 화합물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밑돌면, 용융 비저항치의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또한, 이물질 생성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인 화합물의 함유량은, P 기준으로 60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550 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ppm 이하로 하는 것이 추장되고, 그 이상 사용해도, 그 양에 어울리는 만큼의 효과는 얻어지지 않고, 용융 비저항치의 저하효과가 포화된다. 또한, 디에틸렌글리콜의 생성을 촉진하여, 필름의 물성 저하를 일으킨다.
상기의 인 화합물로서는, 인산류(인산, 아인산, 차아인산 등), 및 그의 에스테르(알킬에스테르, 아릴에스테르 등), 및 알킬포스폰산, 아릴포스폰산 및 그들의 에스테르(알킬에스테르, 아릴에스테르 등)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인 화합물로서는, 인산, 인산의 지방족 에스테르(인산의 알킬에스테르 등;예를 들면, 인산 모노메틸에스테르, 인산 모노에틸에스테르, 인산 모노부틸에스테르 등의 인산 모노C1-6알킬에스테르, 인산 디메틸에스테르, 인산 디에틸에스테르, 인산 디부틸에스테르 등의 인산 디C1-6알킬에스테르, 인산 트리메틸에스테르, 인산 트리에틸에스테르, 인산 트리부틸에스테르 등의 인산 트리C1-6알킬에스테르 등), 인산의 방향족 에스테르(인산 트리페닐, 인산 트리크레딜 등의 인산의 모노, 디, 또는 트리C6-9아릴에스테르 등), 아인산의 지방족 에스테르(아인산의 알킬에스테르 등;예를 들면, 아인산 트리메틸, 아인산 트리부틸 등의 아인산의 모노, 디, 또는 트리C1-6알킬에스테르 등), 알킬포스폰산(메틸포스폰산, 에틸포스폰산 등의 C1-6알킬포스폰산), 알킬포스폰산 알킬에스테르(메틸포스폰산 디메틸, 에틸포스폰산 디메틸 등의 C1-6알킬포스폰산의 모노 또는 디C1-6알킬에스테르 등), 아릴포스폰산 알킬에스테르(페닐포스폰산 디메틸, 페닐포스폰산 디에틸 등의 C6-9아릴포스폰산의 모노 또는 디C1-6알킬에스테르 등), 아릴포스폰산 아릴에스테르(페닐포스폰산 디페닐 등의 C6-9아릴포스폰산의 모노 또는 디C6-9아릴에스테르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인 화합물에는, 인산, 인산 트리알킬(인산 트리메틸 등)이 포함된다. 이들 인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알칼리토류 금속 화합물과 인 화합물은, 알칼리토류 금속 원자(M2)와 인원자(P)의 질량비(M2/P)로 1.2 이상 5.0 이하로 필름 중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M2/P값이 1.2 이하인 경우는, 용융 비저항치의 저하효과가 현저히 감소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이상이다. 한편, M2/P값이 5.0을 초과하면, 용융 비저항치의 저하효과보다도, 이물질 생성이 촉진되거나, 필름이 착색되는 등의 폐해가 커져, 바람직하지 않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압출기 내에서 용융상태로 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필터로 여과한 후, 구금으로부터 용융 수지를 시트형상으로 압출하고, 정전 밀착법으로 냉각드럼에 밀착, 냉각 고화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계 미연신 수지 시트를 성형한다. 그 후, 필요에 따라, 종방향 및, 또는 횡방향으로 연신한다. 횡방향으로 연신할 때, 클립으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트의 양단부를 파지하고, 횡연신시키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계 미연신 시트의 양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단부의 일부에 얇은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그 부분에 연신시의 응력이 집중되어, 횡연신시 찢어짐이 생기는 경우가 있어, 그것을 방지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미연신 시트의 횡방향의 두께 분포로 할 필요가 있다. 이 가로 두께 분포 조정방법은, 구금의 립 구멍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가능하다. 단, 구금으로부터 용융 수지 시트가 압출되고, 정전 밀착법으로 냉각드럼 상에 밀착되어, 냉각 고화되고, 폴리에스테르계 미연신 시트로 성형될 때까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트의 폭 수축이 발생하여, 양단부의 두께가 커지는 것을 고려한 조정이 필요하다.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계 미연신 수지 시트의 단부의 가로 두께 분포는, 횡연신시에 연신되지 않는 부분(연신 나머지)의 두께를, 그 시트의 단부방향일수록 크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정전 밀착방법은, 와이어형상 전극, 또는 밴드형상 전극에 의한 정전하 부여방법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침형상 전극은, 전극 표면으로부터 용융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향하여, 발생하는 전기의 지향성이 강하여, 이상 방전이 발생하기 쉽고, 그것에 의한 시트의 찢어짐, 냉각드럼의 흠집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조조건으로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와이어형상 전극의 직경ø은, 0.05~1.0 ㎜가 바람직하고, 특히 0.08~0.5 ㎜가 바람직하다. 와이어형상 전극의 직경ø이 0.05 ㎜보다도 작으면, 공진이나 기계 진동에 의한 전극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형상 전극에 가하고 있는 장력에 견디지 못하고 와이어가 끊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직경ø이 1.0 ㎜보다 크면, 정전하를 용융 수지 시트에 효율적으로, 균일하게 가하기 위해서는, 과대한 전압 전류가 필요해져, 이상 방전이 매우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와이어형상 전극은, 릴 등에 권취하여 정해진 속도로 수시로 새로운 전극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식 전극의 경우, 용융된 수지로부터 발생하는 모노머, 선상 올리고머나 환상 올리고머 등의 승화물이 전극에 부착되기 때문에, 품질 좋은 폴리에스테르계 미연신 수지 시트를 얻고자 하면, 가하는 정전하량을 경시적으로 올려야만 하기 때문에, 이상 방전의 가능성이 올라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권취한 와이어형상 전극을 릴로부터 송출하는 속도는, 0.1~10 m/시간이 바람직하다. 와이어형상 전극을 송출하는 속도가 0.1 m/시간보다도 작으면, 용융된 수지로부터 발생하는 모노머, 선상 올리고머나 환상 올리고머 등의 승화물의 전극으로의 퇴적 부착 방지가 불충분하여, 용융 수지 시트에 대해 정전하를 부여할 수 없어, 핀너 버블과 같은 표면 결점을 포함하는 품질이 떨어지는 필름밖에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와이어형상 전극을 송출하는 속도가 10 m/시간보다 크면, 새로운 릴로의 교환 빈도가 많아져서, 생산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교환 빈도를 적게 할 수 있는 만큼, 커다란 릴로 와이어를 권취한 경우는, 현행 사용하고 있는 설비에 수납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커다란 설비의 개조를 수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 전극 이동장치를 예시하자면 니시다 공업 주식회사 제조 와인딩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와이어형상 전극의 재질을 예시하자면, 텅스텐, 철, 니켈, 코발트, 몰리브덴, 티탄, 탄탈, 알루미늄, 동, 스테인리스강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합금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이들 사용하는 와이어형상 전극에 내촉성, 내산화성 향상을 목적으로, 와이어형상 전극의 표면에 금, 백금 등으로 도금처리를 행해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와이어형상 전극은, 공진, 기계 진동, 수지의 수반 공기류, 쿨롱력 등에 의한 전극 흔들림 방지의 목적으로, 와이어형상 전극에 장력을 가하고 있다. 와이어형상 전극에 가하는 장력은, 전극 재질의 보증장력 범위 내에서 전극 흔들림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4.7~24.5 N의 장력을 와이어형상 전극에 가함으로써, 와이어형상 전극이 절단되는 것도, 전극 흔들림도 일어나지 않는 상태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트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와이어형상 전극에 이러한 일정 장력을 가하는 장치로서, 주식회사 고신 정공소 제조 파마토크(HC-4-4-J)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와이어형상 전극의 양단부에는, 이상 방전을 억제하는 방전 방지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구금으로부터 용융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냉각드럼 상으로 압출하고, 와이어형상 전극으로 정전 인가하는 경우, 와이어형상 전극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두께가 큰 시트 단부나 압출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덮여 있지 않은 노출된 냉각드럼부재 상에 이상 방전이 선택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으로, 방전 방지부재를 그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이상 방전의 발생 확률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트를 제조할 때의 이상 방전을 억제하기 위한 방전 방지부재의 위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트의 단부로부터 내측의 5~30 ㎜의 위치에 방전 방지부재의 단부가 있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전 방지부재의 소재로서는, 가공성, 내열성, 절연성의 관점에서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메틸실리콘, 페닐비닐실리콘, 플루오로실리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불소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중합체〔테플론(등록상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전 방지부재는, 와이어형상 전극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어, 구금으로부터 용융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트를 냉각드럼 상으로 압출하여, 와이어형상 전극으로 정전 인가하는 경우, 그 수지 시트의 폭에 맞춰 조정할 수 있는 가변식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트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냉각드럼의 회전 수를 올리고, 또한 핀너 버블 등의 표면 결점이 없는 품질 좋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와이어형상 전극에 흐르게 하는 전류값을 전압을 일정하게 하여 올리거나 전류를 일정하게 하고 전압값을 올리는 방법과, 와이어형상 전극에 흐르게 하는 전류 전압을 일정하게 하고, 와이어형상 전극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트에 접촉시키지 않도록 서서히 근접시키는 방법으로 크게 나눠 2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들 2가지 방법을 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와이어형상 전극에 흐르게 하는 전류 전압을 일정하게 하고, 와이어형상 전극을 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트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위치까지 근접시키더라도, 핀너 버블 등이 발생하는 경우, 와이어형상 전극에 흐르게 하는 전류값을 전압을 일정하게 하여 올리거나 전류를 일정하게 하고 전류값을 올리거나 하여, 핀너 버블과 같은 표면 결점을 소멸시키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트의 단부로 기체의 스프레이를 행하고, 또한 와이어형상 전극에 의한 정전 밀착을 행한 후에, 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트의 단부로 침형상 전극으로 정전기를 부여시키고 있다. 이는, 방전 방지부재에 의해 차단되어 있는 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트 단부의 냉각드럼과의 밀착 부족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침형상 전극으로 정전기를 부여하지 않으면, 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트 단부의 냉각드럼과의 밀착 불량에 의해, 시트 단부가 결정화되어 버려, 횡연신시의 필름 찢어짐의 발생이나 횡연신의 클립 파지가 불가능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 1 ㎡당 크기 1 ㎜ 이상의 이물질이 1개 미만인 것이 필름 품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 재생 원료를 사용하면서도 품위 좋은 필름이라 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0개이다. 상기의 적은 이물질의 수는 후술하는 페트병 재생 원료의 필터 배압 상승의 작음과 커다란 관계를 갖는 것이다.
페트병 재생 원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필터 배압 상승계수가 1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 이하이다. 필터 배압 상승계수가 10을 초과하면 필름 제막공정에 있어서의 압출기 필터 압력의 이상 상승에 수반하는 트러블이나 얻어진 필름의 투명성 저하, 이물질에 기인하는 조대 돌기, 피쉬 아이 등의 결점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에 의한 필름 품위의 저하 등이 일어나 바람직하지 않다. 필터 배압 상승계수는 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실제 제막성을 고려하면 1 이상이어도 상관없다.
여기서 말하는 페트병 재생 원료란, 페트병 등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용기의 재생 원료를 말하고, 머티리얼 재생 원료, 케미컬 재생 원료가 있는데 한쪽만을 사용해도 되고 혼합해서 사용해도 상관없다.
머티리얼 재활용에 의한 페트병 재생 원료의 필터는 배압 상승계수를 10 이하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필터의 강화가 유효하다. 특히 페트병을 분쇄한 플레이크형상의 폴리에스테르를 출발 원료로 하고, 압출기로 용융하여, 필터를 통과시켜 여과를 행하여 펠릿화할 때에, 혼입된 이물질을 제막공정에서 사용되는 필터와 동일 정도의 메쉬 사이즈의 필터를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여과 분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막공정에 제공되는 펠릿으로 성형되기 이전에 3회 이상 여과 분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의 메쉬 사이즈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나, 불순물이 많은 단계에서 너무 작은 메쉬 사이즈의 필터를 사용하면 배압 상승계수가 커서, 공정 관리가 곤란해지기 때문에, 공정을 따라, 서서히 메쉬 사이즈가 작은 필터로 순차 3회 이상 여과 분별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1회째 200 메쉬, 2회째 400 메쉬, 3회째 50 ㎛라는 식으로 서서히 메쉬 사이즈가 작은 필터로 변경하여 3회 이상 여과하면 된다. 물론, 최종적으로 펠릿화하기 직전에는 예를 들면 20~60 ㎛ 등의 미세한 필터로 여과해두면, 필름 스펙에 충분한 폴리에스테르 재생 원료가 생겨 바람직하다.
또한 제막공정에 있어서도, 용융압출 전에 2회 이상의 필터 여과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물질이 적은 필름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탄소수 10~20의 알킬기를 갖는 음이온계 대전방지제가, 적어도 편면(바람직하게는 양면)에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필름의 2차 가공시 등에서 정전의 발생·축적을 억제하여, 이 정전기에 의해 초래되는 각종 트러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필름의 적어도 편면의 상대습도 65%RH하에 있어서의 표면 고유 저항을 13 logΩ 이하로 하는 것은 대전방지성의 지표로, 표면 고유 저항이 13 logΩ을 초과하면, 대전방지성이 불충분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logΩ 이하이다. 단, 실용상 2 logΩ 이상이면 상관없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주로 용기로의 랩어라운드용 라벨 용도인데, 이 용기에 랩어라운드 하는 후가공 공정에 있어서, 정전기는 취급성을 악화시켜, 랩어라운드의 미스를 유발하기 때문에, 필름의 대전방지성은 중요하다.
상기의 음이온계 대전방지제는, 탄소수 10 이상 20 이하의 것이다. 이러한 분자구조를 갖는 대전방지제의 경우는, 예를 들면, 필름 가공시(필름 제조시 및 2차 가공시)에 있어서, 그 필름이 열을 받은 경우에도, 대전방지제가 필름 표면으로부터 비산·소실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대전방지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즉, 탄소수가 상기 범위를 밑도는 음이온계 대전방지제의 경우는, 필름 가공시에 받는 열에 의해, 필름으로부터 비산·소실되는 비율이 매우 커져, 대전방지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탄소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음이온계 대전방지제의 경우는, 대전방지효과가 불충분한 것이 있어, 대전방지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효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음이온계 대전방지제의 탄소수는 12 이상 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이온계 대전방지제로서는, 고급 알코올 황산 에스테르염, 알킬페놀산화에틸렌 부가체의 황산에스테르염, 알킬설폰산염, 알킬알릴설폰산염 등의 황산 및 설폰산 유도체 등 중, 탄소수가 10~20인 알킬기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킬설폰산염, 알킬벤젠설폰산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알킬에톡시황산에스테르염, 알킬인산에스테르염 등으로, 탄소수 10~20의 알킬기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도데실설포네이트,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에 있어서, 필름 표면에 상기 음이온계 대전방지제를 존재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필름 표면에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하는 방법(도포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대전방지책으로서는, 도포법 외에, 필름의 원료 수지에 대전방지제를 이겨 넣고, 이것을 사용하여 제막하는 방법(이겨넣기법)도 있다. 이겨넣기법을 채용한 필름의 경우는, 그 필름 내부로부터 대전방지제가 표면에 베어나옴으로써 대전방지효과가 발휘된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경우,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가 일반적으로 높기 때문에, 상온 부근의 온도에서는 필름 표면에 대전방지제가 베어나오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대전방지효과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제막온도가 비교적 높고, 또한 폴리에스테르가 갖는 극성기의 반응성이 높은 것도 있어, 대전방지제가 배합되어 있으면, 제막시에 폴리에스테르의 열화(劣化)가 촉진되어 물리적 성질의 저하가 일어나거나, 착색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도포법의 경우는, 대전방지제를 필름 표면에 직접 존재시키기 위해,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의 높이에 상관없이 대전방지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되며, 또한, 대전방지제의 도입에 의한 필름 열화나 착색 등도 방지할 수 있다.
필름 표면에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하는 타이밍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용융 압출 후·연신 전의 미연신 필름에 도포해도 되며, 연신 후의 필름(1축연신 후 또는 2축연신 후)의 필름에 도포해도 된다(상세하게는 후술한다).
필름에 도포하는 도포액에는, 용제로서 탄소수 1~3의 저급 알코올과 물의 혼합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1~3의 저급 알코올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물과 임의의 비율로 혼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가 많은 알코올은, 도포액을 조제했을 때 물과 상분리되어 버려, 이러한 도포액을 사용하면 도포 불균일이 생기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단, 상분리를 일으키지 않을 정도라면, 탄소수 1~3의 저급 알코올과 병용해도 상관없다.
상기의 저급 알코올은, 도포액 중, 10 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급 알코올량이 10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도포액의 표면장력이 커져 필름으로의 습윤성이 저하되고, 도포 불균일이 생기기 쉬워지며, 또한,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도포액을 도포 후, 건조하여 얻어지는 이축배향 필름에 있어서, 급격한 온도 습도 변화가 생긴 경우에,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되어 실용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포액 중의 저급 알코올량은 6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급 알코올량이 60 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포액 중의 유기 용제량이 많아지게 되기 대문에, 필름 제조공정 중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경우, 폭발의 위험성이 생기기 때문에 방폭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저급 알코올과 동시에, 보다 탄소수가 많은 알코올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도포액 중의 알코올의 총량을 60 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추장된다.
상기 도포액의 도포에 의한 필름 표면의 상기 음이온계 대전방지제의 존재량은, 0.001~0.5 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음이온계 대전방지제의 존재량이 상기 범위를 밑돌면, 대전방지효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음이온계 대전방지제의 존재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필름의 투명성이나 내블로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필름의 컬러b값(Co-b값)은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필름의 컬러b값(Co-b값)이 10을 초과하면, 필름으로부터의 회수 펠릿을 필름 원료로서 사용했을 때에 필름 품위의 저하가 현저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페트병 재생 원료를 사용하면서도 필름의 컬러b값(Co-b값)을 10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페트병 재생 원료의 펠릿화 공정에서의 여과 강화가 유효하여, 3회 이상의 여과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컬러b값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나, 필름으로부터의 회수 펠릿의 품위로부터 1.0 이상이어도 상관없다.
필름의 열수축률은 열풍 150℃ 30분 처리 후에 있어서, 필름의 흐름방향, 폭방향 중 어느 방향에 있어서도 3%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이다. 필름의 수축률이 3%를 초과하면 치수 안정성이 결여되어 인쇄 가공시 등에 있어서 필름이 수축되는 등의 불량이 일어나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필름의 수축률은 가능한 0%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나, 실제 사용상의 요구 성능을 고려하면 0.1% 이상이어도 상관없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또는 이들 수지의 구성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가 사용되어도 되나,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형성된 이축연신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중합체의 제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고상중합 또는 중합체를 용제 추출 등으로 올리고머 함유량을 저감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중축합 촉매(에스테르 교환법인 경우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촉매도 사용된다), 인산 또는 인산 화합물 등의 열안정제가 필수성분으로서 사용된다. 이들 이외에, 알칼리 금속염이나 알칼리토류 금속염도 적정량 함유시켜두는 것이, 시트형상의 용융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회전 냉각 롤 상에 정전 인가법에 의해 밀착 고화시켜, 두께가 균일한 미연신 시트를 얻을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의 활성(滑性), 권성(捲性), 내블로킹성 등의 핸들링성이나,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등의 마모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기재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불활성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필요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 각종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내광제, 겔화방지제, 유기 윤활제, 대전방지제, 자외선흡수제,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핸들링성이 요구되는 경우, 필름의 중심층에는 실질적으로 입자를 함유시키지 않고, 표층에만 미립자를 함유시키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본 발명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 약기한다) 필름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ET 수지, 및 페트병 재생 원료를 충분히 진공 건조한 후, 압출기에 공급하고, T 다이로부터 약 280℃ 정도의 용융 PET 수지를 회전 냉각 롤에 시트형상으로 용융 압출하여, 정전 인가법에 의해 냉각 고화시켜 미연신 PET 시트를 얻는다. 상기 미연신 PET 시트는, 단층 구성이어도 되고, 공압출법에 의한 복층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고도의 투명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수지 중에 불활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시키지 않는 것도 바람직하다.
얻어진 미연신 PET 시트를, 80~120℃로 가열한 롤로 길이방향으로 2.5~5.0배로 연신하여, 1축연신 PET 필름을 얻는다. 또한, 필름의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고, 70~140℃로 가열된 열풍 존으로 유도하여, 폭방향으로 2.5~5.0배로 연신한다. 계속해서, 160~240℃의 열처리 존으로 유도하여, 1~60초간의 열처리를 행하여 결정배향을 완료시킨다. 음이온계 대전방지제의 부여는 미연신 단계여도 1축연신 후여도 2축연신 후여도 상관없으나, 최종 열세트 전인 것이 효율적이라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용기의 랩어라운드용 라벨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여기서 말하는 용기란, 주로 비교적 대형의 1~4 리터용 정도의 음료용 페트병 등을 가리키고 있고, 필름을 필요에 따라 인쇄하여 라벨 컷트하고, 상기와 같은 음료용 페트병의 몸통에 권회하여 접착제, 용제 또는 열로 접착해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 말하는 랩어라운드용 라벨이란, 사전에 라벨의 양단을 접착하여 튜브형상 또는 슬리브형상으로 한 후에 용기에 씌워 열수축시키는 태양의 라벨과는 달리, 열수축 장착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또한, 라벨은 열수축 특성을 작게 할 수 있어, 비교적 고온 조건에서의 재고 보관에 대해서도 열수축 특성 등의 품질 변화가 작아, 취급하기 쉬운 라벨이 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은 당연히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평가방법은 이하와 같다.
1. 용융 비저항치
온도 275℃에서 용융한 시료(칩 또는 필름) 중에 1쌍의 전극판을 삽입하고, 120V의 전압을 인가한다. 그때의 전류를 측정하여, 하기 식을 토대로 용융 비저항치 Si(Ω·㎝)를 산출한다.
Si=(A/I)×(V/io)
여기서, A:전극의 면적(㎠), I:전극간 거리(㎝), V:전압(V), io:전류(A)이다.
2. 필터 배압 상승계수
폴리에스테르 펠릿을 135℃에서 12시간 건조 후, 온도 285℃, 필터 여과 직경 20 ㎛, 토출량 6 g/분, 토출시간 4시간의 조건으로 압출하고, 30분마다의 필터 압력 변화를 기록하여 하기 식으로 필터 배압 상승계수를 구하였다.
K=ΔP/(Q/S)
여기서, K:필터 배압 상승계수, ΔP=P1-P0
P1:압출 4시간 후 압력(MPa), P0:압출 개시시의 압력(MPa), Q:압출 토출량(kg/hr), S:필터 여과 면적(㎠)
3. 마그네슘의 분석
시료를 백금 도가니에서 회화 분해하고, 6 mol/L 염산을 첨가하여 증발 건고하였다. 1.2 mol/L 염산으로 용해하고, ICP 발광분석(시마즈 제작소 제조, ICPS-2000)으로 정량하였다.
4. 인의 분석
시료를 탄산소다 공존하에 있어서 건식 회화 분해하거나, 황산·질산·과염소산계 또는 황산·과산화수소수계에 있어서 습식 분해하여, 인을 오르토인산으로 하였다. 이어서, 1 mol/L 황산용액 중에 있어서 몰리브덴산염을 반응시켜서 인 몰리브덴산으로 하고, 이것을 황산 히드라진으로 환원하여 생성되는 헤테로폴리블루의 830 nm의 흡광도를 흡광광도계(시마즈 제작소 제조, UV-150-02)로 측정하여 비색 정량하였다.
5. 게르마늄의 화학 분광법
시료 2 g을 백금 도가니에서 회화 분해하고, 10% 탄사수소나트륨용액 5 ㎖를 첨가하여 증발시켜서, 추가로 염산을 첨가하고 증발 건고하였다. 전기로에서 400℃부터 950℃까지 승온하고, 30분간 방치하여, 융해시켰다. 물 10 ㎖에 가온용해시키고, 게르마늄 증발장치로 옮겼다(수세 7.5 ㎖×2). 염산 35 ㎖를 첨가하고, 증류하여 유출액 25 ㎖를 취하였다. 그 중에서 적당량을 분취하여, 최종농도 1~1.5 mol/L가 되도록 염산을 첨가하였다. 0.25% 폴리비닐알코올용액 2.5 ㎖, 1%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용액 2.5 ㎖ 및 0.04% 페닐플루오론(2,3,7-트리히드록시-9-페닐-6-플루오론)용액 5 ㎖를 첨가하고, 물로 25 ㎖로 하였다. Ge와의 황색의 착체를 형성시키고, 505 nm의 흡광도를 흡광광도계(시마즈 제작소 제조, UV-150-02)로 측정하여 비색 정량하였다.
6. 필름 중의 이물질
얻어진 필름을 250 ㎜×250 ㎜의 필름편으로 하고, 스케일 부착 현미경으로, 필름면에 대해 수직방향에서 관찰했을 때의 1 ㎜ 이상의 직경을 갖는 이물질의 수를 250 ㎜×250 ㎜(0.0625 ㎡)의 범위 모두에 대해서 계측한다. 이것을 필름편 20매에 대해 행하고, 얻어진 이물질의 총 수를 총 관찰면적(1.25 ㎡)으로 나눠, 단위면적 1 ㎡당 이물질의 개수(개/㎡)로 환산하여, 소수점 이하 반올림하였다.
7. 표면 고유 저항
어드밴티스트사 제조 표면 고유 저항 측정기(본체:R8340, 시료상자:R12704)를 사용하여, 인가전압 100V, 23℃·65%RH의 분위기하에서 측정하여, 측정기의 독취값을 표면 고유 저항으로 하였다.
8. 극한점도(IV)
시료를 130℃에서 하루 진공 건조 후, 분쇄 또는 절단하고, 그의 80 ㎎을 정칭(精秤)하여,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60/40(체적비)의 혼합용액에 80℃에서 30분간, 가열용해하였다. 동일한 혼합용액으로 20 ㎖로 한 후, 30℃에서 측정하였다.
9.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의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환상 3량체의 함유량
샘플 약 100 ㎎을 정칭하고,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클로로포름=2/3(v/v), 3 mL로 용해하였다. 클로로포름 20 mL를 첨가하고, 메탄올 10 mL로 재침하였다. 여과 후, 여액을 농축 건고하여 건고물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로 재용해하였다. 이것을 원심 여과하고, 여액을 고속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제공하였다.
HPLC 분석조건
장치: L-7000(히타치 제작소 제조)
칼럼: μ-Bondasphere C18 5 μ
100Å
3.9 ㎜×15 ㎝(Waters 제조)
용리액 A: 2% 초산 수용액(v/v%)
용리액 B: 아세토니트릴
그라디언트 B%: 10%→100%, (0→55 min);
100%→100%, (55→56 min);
100%→ 10%, (56→60 min)
유속: 0.8 mL/min
검출: UV-258 nm
칼럼온도: 30℃
주입량: 10 μL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환상 3량체의 분석방법)
별도로 얻어진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환상 3량체를 사용하여, 70 ppm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환상 3량체 함유량 기지의 DMF용액을 제작하여, 상기 HPLC 분석조건으로 분석을 행하였다.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으로부터 70 ppm의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환상 3량체의 피크면적을 구하고, 이것과 샘플을 상기 분석조건으로 분석함으로써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의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환상 3량체의 피크면적으로부터, HPLC 공시액 중에 포함되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환상 3량체 농도를 구하였다. 얻어진 공시액 중의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환상 3량체 농도를 사용하여, 샘플 중에 포함되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환상 3량체 함유량을 구하였다.
10. 열수축률
폭 10 ㎜로 샘플링하여, 200 ㎜의 간격으로 표선을 마크하고, 표선의 간격을 측정(L0)한 후, 그 필름을 종이 사이에 끼우고, 150℃의 온도로 제어한 열풍 오븐에 넣어, 30분 처리한 후, 꺼내서, 표선의 간격을 측정(L)하고, 다음 식으로부터 열수축률을 구하였다.
열수축률(%)={(L0-L)/L0}×100
11. Co-b값
색차계(닛폰 덴쇼쿠 공업사 제조, Z-1001DP)에 의해, 컬러b값(Co-b값)을 구하였다.
12. 핀너 버블 평가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지는 필름을 니시다 공업 주식회사 제조 편광판을 사용하여, 육안으로 관찰해서, 필름 표면에 발생하는 핀너 버블을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인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
○:핀너 버블의 발생 없음.
△:핀너 버블의 발생이 부분적으로 확인된다.
×:핀너 버블의 발생 큼.
(폴리에스테르의 합성예)
(폴리에스테르 A)
에스테르화 반응캔을 승온하여 200℃에 도달한 시점에서, 테레프탈산[86.4 질량부] 및 에틸렌글리콜[64.4 질량부]로 되는 슬러리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촉매로서 삼산화안티몬[0.017 질량부] 및 트리에틸아민[0.16 질량부]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가열승온을 행하고, 게이지압 0.34 MPa, 240℃의 조건에서 가압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하였다.
그 후, 에스테르화 반응캔 내를 상압으로 되돌리고, 초산마그네슘 4수염[0.071 질량부], 이어서 인산트리메틸[0.014 질량부]을 첨가하였다. 추가로, 15분에 걸쳐 260℃로 승온한 후, 인산트리메틸[0.012 질량부], 이어서 초산나트륨[0.0036 질량부]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중합 반응캔으로 이송하고, 감압하에서 260℃에서 280℃로 서서히 승온한 후, 285℃에서 중축합 반응을 행하였다. 중축합 반응 종료 후, 구멍 직경 5 ㎛(초기 여과효율 95%)의 스테인리스스틸 소결체제 필터로 여과처리를 행하였다.
다음으로, 공기 중에 존재하는 직경이 1 ㎛ 이상인 이물질을, 헤파필터로 감소시킨 밀폐실 내에서, 상기 중축합 반응 생성물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펠릿화하여 폴리에스테르 A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D)
촉매로서 삼산화안티몬[0.025 질량부]을 첨가하여 가압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하고, 에스테르화 반응캔 내를 상압으로 되돌려, 초산마그네슘 4수염[0.34 질량부], 이어서 인산트리메틸[0.042 질량부]을 첨가하고, 추가로 15분에 걸쳐 260℃로 승온한 후, 인산트리메틸[0.036 질량부]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폴리에스테르 A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스테르 D를 얻었다.
또한, 표 1 중, 무기 성분(Mg, P)의 함유량은, 각 원자 기준의 농도(단위:ppm;질량기준)이다. 또한, 각 무기 성분의 유래는 하기와 같다.
Mg:주로 초산마그네슘 4수염에 유래한다.
P:주로 인산트리메틸에 유래한다.
(폴리에스테르 E)
교반기, 온도계 및 부분 환류식 냉각기를 구비한 스테인리스스틸제 오토클레이브에,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 100 몰%와, 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EG) 100 몰%를, 글리콜이 몰비로 메틸에스테르의 2.2배가 되도록 첨가하고, 에스테르 교환 촉매로서 초산아연을 0.05 몰(산성분에 대해)과, 중축합 촉매로서 삼산화안티몬 0.025 몰(산성분에 대해) 첨가하여, 생성되는 메탄올을 계외로 증류 제거하면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행하였다. 그 후, 280℃에서 26.7 Pa의 감압 조건하에서 중축합 반응을 행하고, 통상의 방법에 의해 여과하여 폴리에스테르(E)를 얻었다.
(페트병 재생 원료)
폴리에스테르(B):음료용 페트병으로부터 남아 있는 음료 등의 이물질을 씻어 없앤 후, 분쇄하여 얻은 플레이크를 압출기로 용융하고, 순차적으로 메쉬 사이즈가 미세한 것으로 필터를 바꿔 2회 추가로 미세한 이물질을 여과 분별하고, 3회째에 50 ㎛의 가장 작은 메쉬 사이즈의 필터로 여과 분별하여, 필터 배압 상승계수가 3인 재생 원료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C):상기 폴리에스테르(B)와 동일한 플레이크로부터 펠릿화하였으나, 200 메쉬의 필터로 1회 여과하여, 필터 배압 상승계수가 13인 재생 원료를 얻었다.
Figure 112011104261729-pct00001
(음이온계 대전방지 도포액의 조합(調合))
도포액 1
도데실설포네이트에 물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추가로 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하여 고형분 농도가 2 질량%인 도포액(도데실설포네이트:2 질량%, 물:63 질량%, 이소프로판올:35 질량%)을 얻었다.
(실시예 1)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A)를 40 질량%, 폴리에스테르(B)를 60 질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33 Pa의 감압하, 135℃에서 6시간 건조하였다. 그 후, 용융하고, 100 ㎛와 50 ㎛의 필터로 2회 여과한 후, 압출기에 공급하고, 약 280℃에서 시트형상으로 용융 압출하여, 표면온도 25℃로 유지한 회전 냉각 금속롤 상에서 와이어 전극에 의한 정전 인가법에 의해 회전속도 34 m/min로 급랭 밀착 고화시켜, 두께 292 ㎛의 미연신 PET 시트를 얻었다.
이 미연신 PET 시트를 가열된 롤군 및 적외선 히터로 100℃로 가열하고, 그 후 주속차가 있는 롤군으로 길이방향으로 4.1배 연신하여, 일축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도포액 1을 에어나이프 방식으로 일축연신 PET 필름의 편면에 건조 후의 도포량이 0.008 g/㎡가 되도록 도포한 후, 계속해서 텐터로, 130℃에서 폭방향으로 4.2배로 연신하고, 필름의 폭방향의 길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229℃에서 2.6초간 가열하고, 추가로 200℃에서 2.6초간 5.5%의 폭방향의 이완처리를 행하여, 두께 18 ㎛의 이축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
필름의 구성을 3층으로 하여, 중심층을 폴리에스테르(B) 100 질량%, 표층을 폴리에스테르(A) 100 질량%로 하고, 그 두께비율을 표층/중심층/표층=20/60/20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두께 18 ㎛의 이축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B)를 80 중량%, 폴리에스테르(D)를 20 중량%로 하고, 회전속도 60 m/min로 급랭 밀착 고화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두께 18 ㎛의 이축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B)를 100 질량%, 100 ㎛의 필터로 1회 여과로 변경하고, 도포액 1을 미도포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두께 18 ㎛의 이축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A)를 40 질량%, 폴리에스테르(C)를 60 질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100 ㎛의 필터로 1회 여과로 변경하여, 도포액 1을 미도포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두께 18 ㎛의 이축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1104261729-pct00002
Figure 112011104261729-pct00003
(실시예 4)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E)를 40 질량%, 폴리에스테르(B)를 60 질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33 Pa의 감압하, 135℃에서 6시간 건조하였다. 그 후, 용융하고, 100 ㎛와 50 ㎛의 필터로 2회 여과한 후, 압출기에 공급하고, 약 280℃에서 시트형상으로 용융 압출하여, 표면온도 25℃로 유지한 회전 냉각 금속롤 상에서 정전 인가법에 의해 급랭 밀착 고화시켜, 두께 292 ㎛의 미연신 PET 시트를 얻었다.
이 미연신 PET 시트를 가열된 롤군 및 적외선 히터로 100℃로 가열하고, 그 후 주속차가 있는 롤군으로 길이방향으로 4.1배 연신하여, 일축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도포액 1을 에어나이프 방식으로 일축연신 PET 필름의 편면에 건조 후의 도포량이 0.008 g/㎡가 되도록 도포한 후, 계속해서 텐터로, 130℃에서 폭방향으로 4.2배로 연신하고, 필름의 폭방향의 길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229℃에서 2.6초간 가열하고, 추가로 200℃에서 2.6초간 5.5%의 폭방향의 이완처리를 행하여, 두께 18 ㎛의 이축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평가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실시예 5)
필름의 구성을 3층으로 하여, 중심층을 폴리에스테르(B) 100 질량%, 표층을 폴리에스테르(E) 100 질량%로 하고, 그 두께비율을 표층/중심층/표층=20/60/20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두께 18 ㎛의 이축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평가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E)를 40 질량%, 폴리에스테르(C)를 60 질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100 ㎛의 필터로 1회 여과로 변경하여, 도포액 1을 미도포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두께 18 ㎛의 이축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평가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11104261729-pct00004
Figure 112011104261729-pct00005
본 발명에 의하면, 음료 페트병으로부터 재생된 원료를 사용하며, 또한 필름의 생산성 및 필름의 품위를 손상시키지 않고, 정전기에 의한 트러블이 극히 일어나기 어려운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조시에 제품으로 되지 않은 부스러기 필름을 회수하여, 필름 원료로서 재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 및 환경부하의 측면에서 유용하다.

Claims (12)

  1. 이축배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이 9000 ppm 이하이고,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이 6000 ppm 이하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10 중량% 이상 함유되어 되며,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페트병으로부터 재활용된 것으로, 온도 285℃에 있어서의 용융 비저항이 1.0×108 Ω·㎝ 이내이며, 적어도 편면의 상대습도 65%하에 있어서의 표면 고유 저항이 13 log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랩어라운드(胴捲)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필름 1 ㎡당 크기 1 ㎜ 이상의 이물질이 1.0개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필름 중에 적어도 알칼리토류 금속 화합물을 알칼리토류 금속 원소의 원자의 양으로서 20 ppm 이상 함유하고, 또한 인 화합물을 인원자의 양으로서 9 ppm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이축배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이 9000 ppm 이하이고,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이 6000 ppm 이하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10 중량% 이상 함유되어 되며,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페트병으로부터 재활용된 것으로, 필름 1 ㎡당 크기 1 ㎜ 이상의 이물질이 1.0개 미만이며, 적어도 편면의 상대습도 65%하에 있어서의 표면 고유 저항이 13 log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탄소수 10~20의 알킬기를 갖는 음이온계 대전방지제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이온계 대전방지제가 필름 제조공정 내의 최종 열처리 전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풍 150℃, 처리시간 30분에 있어서의 수축률이, 가로 세로 어느 방향에 있어서도 3%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삭제
  9. 삭제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환상 3량체 함유량이 6000 ppm 이하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필터 배압 상승계수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의 Co-b값이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랩어라운드용 라벨.
KR1020117031244A 2009-06-05 2010-06-01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용기의 랩어라운드용 라벨 KR101660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36513 2009-06-05
JP2009136513 2009-06-05
JP2009171035 2009-07-22
JP2009171036 2009-07-22
JPJP-P-2009-171036 2009-07-22
JPJP-P-2009-171035 2009-07-22
PCT/JP2010/059232 WO2010140575A1 (ja) 2009-06-05 2010-06-01 容器の胴巻ラベル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容器の胴巻用ラベ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895A KR20120036895A (ko) 2012-04-18
KR101660076B1 true KR101660076B1 (ko) 2016-09-26

Family

ID=43297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244A KR101660076B1 (ko) 2009-06-05 2010-06-01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용기의 랩어라운드용 라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005766B2 (ko)
EP (1) EP2439229B1 (ko)
JP (2) JP5655566B2 (ko)
KR (1) KR101660076B1 (ko)
CN (1) CN102482437B (ko)
ES (1) ES2528228T3 (ko)
PL (1) PL2439229T3 (ko)
WO (1) WO20101405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3613B2 (ja) * 2012-04-13 2016-09-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306109B2 (ja) * 2012-04-13 2018-04-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150125B2 (ja) * 2012-09-27 2017-06-21 東洋紡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036099B2 (ja) * 2012-09-27 2016-11-30 東洋紡株式会社 Petボトル再生原料を使用した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04603186B (zh) * 2012-09-27 2016-08-24 东洋纺株式会社 聚酯薄膜
JP6167798B2 (ja) * 2012-09-27 2017-07-26 東洋紡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167797B2 (ja) * 2012-09-27 2017-07-26 東洋紡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284915B1 (ko) * 2013-04-01 2013-07-10 동양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페트 필름의 제조장치
US20160009884A1 (en) * 2013-04-06 2016-01-14 Mitsubishi Plastics, Inc. Coated film
JP6465022B2 (ja) * 2014-04-14 2019-02-06 東洋紡株式会社 マスターバッチ用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6769290B2 (ja) * 2015-12-25 2020-10-14 東洋紡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これを含む光反射体用部品および光反射体
JP6919583B2 (ja) * 2018-01-25 2021-08-18 東洋紡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7103013B2 (ja) * 2018-07-20 2022-07-20 東洋紡株式会社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樹脂フィルム
WO2020031197A1 (en) * 2018-08-09 2020-02-13 Polyplex Corporation Limited Biaxially oriented formable polyester film
JP2023517154A (ja) * 2019-03-15 2023-04-24 ポリプ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リミテッド Rpetから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10283353B (zh) * 2019-06-24 2021-08-10 南京师范大学 多酸诱导废旧聚酯类塑料一步降解制备金属有机骨架材料的方法
JP6984717B1 (ja) * 2019-11-19 2021-12-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印刷樹脂フィルム、該印刷樹脂フィルムを備える積層体及び該積層体を備える包装容器、並びに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を備える積層体及び該積層体を備える包装容器
JP6984718B1 (ja) * 2019-11-19 2021-12-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蒸着樹脂フィルム、該蒸着樹脂フィルムを備える積層体及び該積層体を備える包装容器
US20220379589A1 (en) 2019-11-20 2022-12-01 Toyobo Co., Ltd. Laminated film
WO2021111941A1 (ja) 2019-12-05 2021-06-10 東洋紡株式会社 ラミネート積層体
BR112022015350A2 (pt) 2020-02-20 2022-09-20 Toyo Boseki Película laminada
US20230191763A1 (en) * 2020-04-13 2023-06-22 Toyobo Co., Ltd. Laminated body
WO2022059580A1 (ja) * 2020-09-15 2022-03-24 東洋紡株式会社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US20220317514A1 (en) * 2021-04-06 2022-10-06 Skc Co., Ltd. Light reflective resin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WO2023026953A1 (ko) 2021-08-25 2023-03-02
WO2024024959A1 (ja) * 2022-07-29 2024-02-01 東洋紡株式会社 ガスバリア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包装容器
WO2024024947A1 (ja) * 2022-07-29 2024-02-01 東洋紡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包装容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8112A (ja) * 2001-10-31 2003-05-14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JP2004137356A (ja) * 2002-10-17 2004-05-13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熱収縮性帯電防止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0724A (ja) 1974-10-29 1976-05-04 Sharp Kk Nannenseisupiikayoshindobanno seizohoho
US4440924A (en) * 1982-10-05 1984-04-03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production of polyester
JPS5964628A (ja) 1982-10-05 1984-04-12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の製造法
US4605591A (en) * 1983-10-27 1986-08-12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Thermoplastic resin film laminate and production thereof
KR930002708B1 (ko) * 1984-03-22 1993-04-09 도오요오 보오세끼 가부시끼가이샤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GB2182335B (en) * 1985-10-21 1989-04-19 Diafoil Co Ltd Polyester compositions and process of preparing polyester films from them
JP2615974B2 (ja) * 1989-02-16 1997-06-04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924045B2 (ja) * 1990-01-31 1999-07-26 東洋紡績株式会社 帯電防止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3104259B2 (ja) * 1991-01-08 2000-10-30 東海興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3240652B2 (ja) 1991-11-28 2001-12-17 東洋紡績株式会社 全周胴巻きラベル貼付容器の製造方法
JP3254836B2 (ja) * 1993-08-19 2002-02-12 三菱化学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の製造方法
JPH07138388A (ja) 1993-11-17 1995-05-30 Sekisui Chem Co Ltd ポリエステル系熱収縮性フイルムの製造方法
TW320644B (ko) * 1994-04-14 1997-11-21 Asahi Chemical Ind
US5567511A (en) * 1996-03-12 1996-10-22 Eastman Chemical Company Non-shrinkable and shrinkable foamed polyester film for the labeling of pet containers
US6136420A (en) * 1996-03-12 2000-10-24 Mitsubishi Polyster Film Corporation Laminated polyester film
JPH09296056A (ja) * 1996-04-30 1997-11-18 Nippon Ester Co Ltd ラミネ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レトルト処理飲食品用容器
JP3653948B2 (ja) * 1997-09-25 2005-06-02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
CN1106262C (zh) * 1997-12-18 2003-04-23 东丽株式会社 聚酯薄膜的制备方法
CN1177882C (zh) * 1998-10-23 2004-12-01 东洋纺织株式会社 聚酯的聚合催化剂、聚酯和用于制备聚酯的方法
CN1150274C (zh) * 1998-10-26 2004-05-19 东丽株式会社 聚酯组合物,其制造方法以及聚酯膜
JP4239048B2 (ja) 1999-01-19 2009-03-18 東洋紡績株式会社 チップキャリア用表面処理フイルム
WO2001028772A1 (fr) * 1999-10-19 2001-04-26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Film polyester stratifie
AU780389B2 (en) * 1999-11-11 2005-03-17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olyester resin and its production process
JP4670127B2 (ja) * 2000-06-08 2011-04-13 東洋紡績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の乾燥方法
JP2002003623A (ja) * 2000-06-22 2002-01-09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AU2001286193A1 (en) * 2000-09-12 2002-03-26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Polymerization catalyst for polyester, polyester produced with the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polyester
DE10045604A1 (de) * 2000-09-15 2002-03-28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Mehrschichtig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mit optimierter elektrischer Leitfähigkeit über die Dicke
DE10045603A1 (de) * 2000-09-15 2002-03-28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biaxial orientierten Polyesterfolie mit hohen Geschwindigkeiten, danach hergestellte Folie und ihre Verwendung
KR20020030007A (ko) * 2000-09-29 2002-04-22 힐커트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 내가수분해성 투명이축배향 필름 및 그 제조방법
EP1293339A4 (en) * 2001-03-16 2007-03-21 Toray Industries LAMINATED POLYESTER FILM
JP4288554B2 (ja) * 2001-03-28 2009-07-01 東洋紡績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イルム
JP5055661B2 (ja) 2001-04-27 2012-10-24 東洋紡績株式会社 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451994C (en) * 2001-07-16 2011-03-22 Teijin Limited Catalyst for polyester produc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polyester with the same
JP3599010B2 (ja) * 2001-07-26 2004-12-08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3692979B2 (ja) * 2001-07-26 2005-09-07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EP1462469B1 (en) * 2002-04-11 2007-03-21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Amorphous polyester chip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method for storage of amorphous polyester chip
DE10251675A1 (de) * 2002-11-07 2004-05-1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hermoplastfolie unter Verwendung von Kunststoffflaschen-Recyclat
JP2004269601A (ja) * 2003-03-06 2004-09-30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フィルム
EP1612238B1 (en) * 2003-03-25 2007-12-05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Antistatic layered polyester film
JP5105459B2 (ja) * 2003-06-04 2012-12-26 東レ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S2337153T3 (es) * 2003-12-26 2010-04-21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Pelicula de poliester contraible por el calor y etiqueta contraible por el calor.
TW200602381A (en) * 2004-02-10 2006-01-16 Toyo Boseki Polyester polymerization catalyst, polyester produced by using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ing polyester
KR101145948B1 (ko) * 2004-05-31 2012-05-15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DE102004046771A1 (de) * 2004-09-24 2006-04-06 Zimmer Ag Mischung, Polyesterzusammensetzung, Folie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2006096791A (ja) * 2004-09-28 2006-04-13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ならびに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2006152076A (ja) 2004-11-26 2006-06-15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及びポリエステル組成物並びにそれらからなるポリエステル成形体
US7524920B2 (en) * 2004-12-16 2009-04-28 Eastman Chemical Company Biaxially oriented copolyester film and laminates thereof
JP4734973B2 (ja) * 2005-03-10 2011-07-27 東レ株式会社 食品包装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
US20060270806A1 (en) * 2005-05-26 2006-11-30 Hale Wesley R Miscible high Tg polyester/polymer blend compositions and films formed therefrom
US7915374B2 (en) * 2009-04-27 2011-03-29 Eastman Chemical Company Copolyesters having improved thermal stability and methods for making th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8112A (ja) * 2001-10-31 2003-05-14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JP2004137356A (ja) * 2002-10-17 2004-05-13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熱収縮性帯電防止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99728B2 (ja) 2015-04-15
PL2439229T3 (pl) 2015-05-29
KR20120036895A (ko) 2012-04-18
US9005766B2 (en) 2015-04-14
EP2439229A1 (en) 2012-04-11
JP5655566B2 (ja) 2015-01-21
CN102482437B (zh) 2014-12-10
EP2439229B1 (en) 2014-12-31
WO2010140575A1 (ja) 2010-12-09
EP2439229A4 (en) 2013-11-20
JP2012091862A (ja) 2012-05-17
JPWO2010140575A1 (ja) 2012-11-22
ES2528228T3 (es) 2015-02-06
US20120088112A1 (en) 2012-04-12
CN102482437A (zh)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076B1 (ko) 용기의 랩어라운드 라벨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용기의 랩어라운드용 라벨
JP6036099B2 (ja) Petボトル再生原料を使用した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22049998A1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6365737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21117736A1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428467B2 (ja) 太陽電池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169424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446561B2 (ja) 太陽電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145725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287583B2 (ja) 太陽電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7187774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1032421A (ja) 太陽電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21001251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633278B2 (ja) 太陽電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299491B2 (ja) 導電性フィルム用離型フィルム基材
JP2009226767A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23026953A1 (ja) 積層フィルム
JP2015107618A (ja) 離型フィルム
JP2009226774A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5098549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0989149B1 (en) Polyalkylene naphthalate, composition thereof, film,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se
JP5421158B2 (ja) 太陽電池裏面保護膜用積層フィルム
JP2012084719A (ja) 太陽電池表面保護シート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