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710B1 -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천연 고효능 감미료 조성물, 그 제제 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천연 고효능 감미료 조성물, 그 제제 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710B1
KR101385710B1 KR1020137023865A KR20137023865A KR101385710B1 KR 101385710 B1 KR101385710 B1 KR 101385710B1 KR 1020137023865 A KR1020137023865 A KR 1020137023865A KR 20137023865 A KR20137023865 A KR 20137023865A KR 101385710 B1 KR101385710 B1 KR 101385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sweet taste
acid
taste improving
poly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9250A (ko
Inventor
인드라 프라카쉬
그랜트 이. 듀보이스
프라샨티 젤라
조지 에이. 킹
미구엘 라파엘 아이. 산
켈리 에이치. 셉식
딥티 케이. 위라신궤
뉴톤 알. 화이트
Original Assignee
더 코카콜라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89176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8571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더 코카콜라 컴파니 filed Critical 더 코카콜라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30109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8Taste or flavour enhanc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23L27/34Sugar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23L27/36Terpene glycos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Obesit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Seasoning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 Dairy Product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천연 고효능 무칼로리 또는 저칼로리 감미료의 맛을 개선시키는 것 및 이러한 감미료로 감미롭게 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당과 더욱 유사한 맛이나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천연 고효능 무칼로리 또는 저칼로리 감미료의 맛을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조성물 및 방법은 단맛의 개시 및 단맛의 잔류을 포함하는, 당과 더욱 유사한 시간 특성 및/또는 삼투미를 포함하는, 당과 더욱 유사한 향미 특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천연 고효능 감미료 조성물, 그 제제 방법 및 용도{NATURAL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TEMPORAL PROFILE AND/OR FLAVOR PROFILE, METHODS FOR THEIR FORMULATION, AND US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천연 고효능 무칼로리 또는 저칼로리 감미료의 맛을 개선시키는 것 및 이러한 감미료로 감미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당(糖)과 더욱 유사한 맛이나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천연 고효능 무칼로리 또는 저칼로리 감미료의 맛을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조성물 및 방법은 단맛의 개시 및 단맛의 잔류을 포함하는, 당과 더욱 유사한 시간 특성 및/또는 삼투미(渗透味)를 포함하는, 당과 더욱 유사한 향미 특성을 제공한다.
수크로스, 프락토스 및 글루코스와 같은 천연 칼로리 당은 그들의 좋은 맛으로 인하여 음료, 식품, 약제 및 구강 위생/화장품 산업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수크로스는 소비자에게 바람직한 맛을 부여한다. 수크로스는 우수한 단맛 특성을 제공하지만 칼로리가 있다. 칼로리는 몸의 적정한 기능을 위하여 필요하지만, 앉아서 일하는 생활 방식의 소비자 또는 칼로리에 민감한 소비자를 위하여 당과 유사한 맛을 가진 무칼로리 또는 저칼로리 감미료를 시장에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무칼로리 또는 저칼로리 감미료는 단맛의 개시가 지연되는 것; 단 뒷맛이 남는 것; 쓴 맛; 금속성의 맛; 수렴성 맛; 차가운 맛; 감초와 유사한 맛;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이 소비자에게 좋지 않은 맛을 연상시킨다.
천연 고효능 감미료, 예컨대 리바우디오사이드 A, 리바우디오사이드 B, 리바우디오사이드 C, 리바우디오사이드 D, 리바우디오사이드 E, 리바우디오사이드 F, 둘코사이드 A, 둘코사이드 B, 루부소사이드,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Luo Han Guo) 감미료, 시아메노사이드, 모나틴 및 이들의 염 (모나틴 SS, RR, RS, SR), 커큘린, 글리시리즈산 및 이들의 염, 토마틴, 모넬린, 마빈린, 브라제인, 헤르난둘신, 필로둘신, 글리시필린, 플로리드진, 트리로바틴, 바이유노사이드, 오스라딘, 폴리포도사이드 A, 테로카르요사이드 A, 테로카르요사이드 B, 무쿠로지오수드, 플롬이소사이드 I, 페리안드린 I, 아브루소사이드 A 및 사이클로카리오사이드 I은 일반적으로 당과 대비시 상이한 시간 특성, 최대 반응, 향미 특성, 입에 닿는 느낌 및/또는 적응 행동을 보이는 단맛을 나타낸다. 예컨대, 천연 고효능 감미료의 단맛은 당에 의한 단맛에 비하여 개시가 늦지만 더 오래 지속되고, 따라서 식품 조성물 맛의 균형에 변화를 가져온다. 이러한 차이로 인하여, 식품 또는 음료에 있어서, 당과 같은 벌크 감미료를 대신하여 천연 고효능 감미료를 사용하는 것은 균형 잡히지 않은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가져오게 된다. 시간 특성에 있어서의 상이점에 더하여, 고효능 감미료는 (i) 당보다 더 낮은 최대 반응, (ii) 쓴, 금속성의, 차가운, 수렴성, 감초와 유사한 맛 등을 포함하는 좋지 않은 맛 (off taste) 및/또는 (iii) 맛의 반복으로 단맛이 떨어지는 것을 일반적으로 보인다. 조성물 중의 감미료를 바꿈에 있어 향미 및 기타 맛 성분 (예컨대, 산처럼 쓴 맛)의 재균형이 필요하다는 것은 식품/음료 제제의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잘 알려진 사실이다. 만약 천연 고효능 감미료의 맛 특성이 당과 더욱 유사한 특정의 소망하는 맛 특성을 부여하도록 개질될 수 있다면, 그 감미료를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의 타입과 변형이 상당히 확대될 것이다. 따라서, 천연 고효능 감미료의 맛 특성을 선택적으로 개질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무칼로리 또는 저칼로리 당 대신 감미료로 감미된 음료, 식품, 약제, 건강 식품 (nutraceutical), 담배 및 구강 위생/화장용 제품의 맛 특성을 개질하기 위한 몇몇의 방법 및/또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왔다.
그러나, 수크로스, 프락토스 또는 글루코스의 단맛 및 당과 유사한 특성과 매우 유사한 만족도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무칼로리 또는 저칼로리 천연 감미료의 단맛 및 당과 유사한 특성을 개선시키는 것은 아직도 필요하다.
발명의 요약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시간 특성 또는 향미 특성 또는 양자가 개선된 천연 고효능 감미료 (NHPS) 조성물, NHPS의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NHPS는 개선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로 조성물을 감미롭게 하며) 및 NHPS 감미된 조성물의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의 필요성을 충족시킨다. 특히, 본 발명은 당과 더욱 유사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개선시킨다.
특히,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NHPS 및/또는 1종 이상의 개질된 NHPS 및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들의 배합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함유하는, 당과 더욱 유사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의 NHPS 조성물을 포괄한다.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NHPS 및/또는 1종 이상의 개질된 NHPS,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들의 배합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배합함으로써 NHPS에 당과 더욱 유사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부여하는 방법을 포괄한다.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감미(被甘味: sweetenable) 조성물, 1종 이상의 NHPS 및/또는 1종 이상의 개질된 NHPS 및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들의 배합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함유하는 당과 더욱 유사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가진, NHPS 감미된 조성물을 포괄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상태에 따르면, NHPS 감미된 조성물은 음료, 식품, 약제, 건강 식품, 담배, 구강 위생/화장용 제품 및 이와 유사한 것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감미 조성물, 1종 이상의 NHPS 및/또는 1종 이상의 개질된 NHPS 및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들의 배합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배합함으로써 NHPS 감미된 조성물에 당과 더욱 유사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부여하는 방법을 포괄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상태에 따르면, NHPS 감미된 조성물은 음료, 식품, 약제, 담배, 구강 위생/화장용 제품, 건강 식품 및 이와 유사한 것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우수한 점은 다음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설명되거나 또는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무 경험을 통하여 알게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하지 아니하다고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 및 약어는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숙련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것과 비슷하거나 균등한 방법 및 조성물이 본 발명의 실무에서 사용될 수 있음에도, 적절한 방법 및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을 그러한 방법 및 조성물로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설명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 상태에 관한 상세한 설명
I. 개요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상태를 이제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각각의 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실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사실상, 본 발명의 본질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개질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아게 분명할 것이다. 예컨대, 하나의 실시 상태의 일부로서 설명되고 개시되는 특징들은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추가의 실시 상태가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서 그러한 개질 및 변형을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위에서 요약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천연 고효능 감미료 (NHPS) 조성물, NHPS의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NHPS는 개선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로 조성물을 감미롭게 하며) 및 NHPS 감미된 조성물의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포괄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당과 더욱 유사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NHPS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부여함으로써 NHPS의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개선시킨다.
II . 단맛
A. 당과 유사한 맛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당과 유사한 특성", "당과 유사한 맛", "당과 비슷하게 단", "당의" 및 "당과 유사한"의 구들은 같은 의미이다. 당과 유사한 특성은 수크로스의 특성과 유사한 어떠한 특성도 포함하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최대 반응, 향미 특성, 시간 특성, 적응 행동, 입에 닿는 느낌, 농도/반응 기능, 미각 자극 물질/및 향미/단맛 상호 작용, 공간적 패턴 선택성 및 온도 효과를 포함한다. 이들 특성은 수크로스의 맛이 NHPS의 맛과는 상이하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들 중에서 향미 특성 및 시간 특성은 특히 중요하다. 단 식품 또는 음료의 단일의 맛을 내는데 있어서, 수크로스와 NHPS에 관하여 관찰된 것 간의 (1) 감미료의 향미 특성을 이루는 속성 및 (2) 감미료의 시간 특성을 이루는, 단맛의 개시 및 소산 (dissipation) 속도에 있어서의 상이점이 주시될 수 있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 상태는 단맛 개선 조성물 없이 NHPS을 함유하는 조성물보다 당과 더욱 유사한 시간 특성, 당과 유사한 향미 특성 또는 양자를 나타낸다. 특성이 당과 더욱 유사한지 아닌지는 전문가 관능 패널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이들은 당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NHPS을 함유하는 조성물, 모두 단맛 개선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과 함유하지 않은 것을 맛보고, NHPS를 함유하는 조성물, 단맛 개선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 및 단맛 개선 조성물을 함유하지 않은 것의 특성과, 당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특성의 유사점에 관한 그들의 인상을 제공한다. 조성물이 당과 더욱 유사한 맛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상태에 개시할 것이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평가자 패널에게 단맛의 잔류의 감소를 측정하도록 한다. 간단히 설명하면, 평가자 패널 (일반적으로 8 내지 12명의 사람들)은 시료를 입에 처음 넣었을 때부터 그것을 뱉어낸 후 3분까지의 몇몇의 시점에 단맛 인지를 평가하고 단맛을 측정하도록 훈련된다. 통계 분석을 사용하여, 첨가제를 함유하는 시료와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시료 간의 결과를 비교한다. 입에 시료가 전혀 없게 된 후의 시점에 있어서의 점수의 감소는 단맛 인지에 있어서의 감소가 있었음을 나타낸다.
평가자 패널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숙련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훈련될 수 있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평가자 패널은 Spectrum™ Descriptive Analysis Method (Meilgaard 외, 관능 평가 Techniques , 3rd 개정, 제11장)를 사용하여 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훈련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은 기본적인 맛; 특히 단맛을 인지 및 측정하는 것이다. 결과의 정확성 및 재생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각각의 평가자는 시료당 약 3 내지 3번 단맛의 남은 정도의 감소의 측정을 반복하고, 각 반복 및/또는 시료 사이에 5분 이상의 휴식을 두며, 물로 잘 헹구어내어 입을 깨끗히 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단맛을 측정하는 방법은, 10 mL 시료를 입에 넣는 것, 5초 동안 입 안에 시료를 머금고 있는 것, 입 안에서 시료를 부드럽게 돌리는 것, 5초에 인지된 단맛 세기의 등급을 매기는 것, 시료를 뱉는 것 (삼키지 않고 시료를 뱉는), 한모금의 물로 헹구는 것 (예컨대, 마치 입안을 씻는 것과 같이 물을 입 안에서 강하게 움직이는) 및 헹군 물을 뱉어내는 것, 헹군 물을 뱉어낸 후에 즉시 인지되는 단맛 세기의 등급을 매기는 것, 45초 기다리는 것 및, 45초 기다리는 동안 최대 인지 단맛 세기의 시간을 확인하고 그때의 단맛 세기의 등급을 매기는 것 (일반적으로 입을 움직이고 필요한 만큼 삼키는, 또 다른 10초 후 단맛 세기의 등급을 매기는 것, 또 다른 60초 후 단맛 세기의 등급을 매기는 것 (헹군 후 누적 120초) 및 또 다른 60초 후 단맛 세기의 등급을 매기는 것 (헹군 후 누적 180초)을 포함한다. 시료 사이에 입을 깨끗히 하기 위하여 물로 잘 헹구는 5분간의 휴식을 둔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 상태의 본질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당 및 NHPS 간의 향미 및 시간 특성에 있어서의 상이점을 추가로 설명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론에 구애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면, 추가 설명은 다음과 같다.
B. 향미 특성
감미료의 향미 특성은 나타나는 모든 맛 속성의 상대적인 강도에 대한 정량적인 특성이다. 이러한 특성은 종종 히스토그램 또는 레이더 그래프로 설명된다. 수크로스는 본래 단맛만을 내는 것으로 인정되어 왔고, 사실상 일반적으로 순수한 단맛 성질의 표준으로서 사용된다. 대부분의 고효능 감미료는 단맛 이외에 기타 맛의 성질을 나타낸다. 따라서, 예컨대, 인공 감미료인 사카린은 쓴맛 및 금속성의 불쾌한 맛을 모두 내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또 다른 예로서, 사이클라메이트는 쓰고 짠 불쾌한 맛을 낸다. 예컨대, 스테비오사이드 및 헤르난둘신, 양자 모두 NHPS인데 이 역시 쓰고 불쾌한 맛을 가진다. 고효능 감미료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기타의 맛 속성은 차갑고 감초와 유사하면서 때때로 떫은 맛을 포함한다.
그러나, 수크로스가 단맛 이외의 맛 속성 또는 심지어 맛 속성들을 나타낸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쓴맛, 신맛, 짠맛 및 감칠맛 (umami) 속성은 그것을 묘사하는 게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맛은 맛을 본 최초 수초 간 단맛만을 내는 고효능 감미료 (예컨대, 아스파탐)의 맛과 쉽게 구별된다. 따라서, 수크로스의 맛은 감미료들 중, 심지어는 전술한 "불쾌한" 맛을 내지 않는 것들 중에서 독특한 것이다.
문헌에서는 수크로스의 이 독특한 맛의 특징을 다양한 방식으로 언급하여 왔다. "구감" 및 "입체감" 등의 용어가 점도 또는 기타 촉감을 암시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구감"은 또한 조성물을 맛볼 경우, 인간 소비자가 입 안에서 탐지하는 질감, 입체감, 물리적 느낌 및 전반적인 느낌을 가르킬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당과 유사한 구감은 당과 유사한 질감, 입체감, 물리적 느낌 및 전반적인 느낌을 가르키는 것이다. 그러나, 고효능 감미료와 비교시 수크로스의 독특한 맛은 촉감이 아니라고 알려져 있다. 기타 탄수화물 감미료 뿐만 아니라 수크로스의 독특한 맛에 대한 그럴듯한 설명은 고삼투성 용액이 미뢰 (tast bud) 세포 부피를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미뢰 세포 수축에 동반하는 특정 효과들은 NaCl에 대한 짠맛에 민감한 미뢰 세포로부터의 강화된 신호와 심지어 산이 없는 경우에도 신맛에 민감한 미뢰 세포로부터의 강화된 신호이다. 단맛에 민감한 미뢰 세포에서의 효과가 평가되지는 않았지만, 이것은 수크로스 및 일반적인 탄수화물 감미료들이 감미료 수용체 T1R2/T1R3으로 매개되는 것 이외의 경로로 미각 반응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부가적인 경로는 당 용액의 고삼투성 특성에 의하여 유도되는 미뢰 세포 수축에 의하여 매개되는 것 같다. 따라서, 수크로스의 독특한 맛은 이들 두 가지 신호 경로의 중첩으로부터 유도되는 것 같다. 수크로스는 신맛 또는 짠맛 또는 그 문제에 있어서는 쓴맛 또는 감칠맛도 감지되지 않는다. 그러나, 수크로스의 독특한 맛은 통상 별개의 방식 (예컨대, 단맛에 민감한 세포로부터의 강한 신호, 신맛에 민감한 세포로부터의 약한 신호, 짠맛에 민감한 세포로부터의 약한 신호 등)인 미뢰 세포에 의하여 뇌로 전달되는 신호로부터 유도되는 것 같다. 이러한 양상의 활성은 일정 부분 수크로서의 독특한 맛으로 인한 것으로 믿어진다. 요약하면, 수크로스는 순수한 단맛 자극만이 아니라 제2 맛 속성을 나타내고, 이들 두 가지 속성의 겹침이 "수크로스 맛"을 구성하는 것 같다. 수크로스의 이 제2 맛 속성이 그 삼투압 특성으로 인한 것이라는 것을 고려하여, 이것은 "삼투미"로서 지칭된다.
위에서 전개한 일련의 이유들과 일관되게, 수크로스의 삼투미는 수크로스 단맛이 없는 경우에도 관찰될 수 있었다. 락티솔 (Lactisole)은 공지의 단맛 억제제이고, 락티솔 0.2% (w/v)와 함께 수크로스 10% (w/v)를 맛본다면, 수크로스의 삼투미 특성은 강한 단맛에 의하여 복잡하게 얽히지 않은 채 관찰될 수 있다. 수크로스/락티솔 제제의 맛은 "두께감" 또는 "입체감"뿐만 아니라 엷은 단맛, 엷은 신맛을 나타낸다. NHPS는 삼투미를 내지 않기 때문에, 불쾌한 맛 없이 표적이 되는 수크로스 용액의 오스몰 농도 (osmolarity)를 재형성하는 첨가제들이 포함되지 않는 한, 수크로스의 향미 특성을 재형성하지 않을 것이다.
원칙적으로, 보통의 침의 오스몰 농도 수준보다 더 높은 오스몰 농도 수준이 구강 내의 삼투미의 적어도 일부에서 나타난다. 침의 거의 모든 오스몰 농도의 원인이 되는 침 중의 무기 이온의 평균 농도는 아래의 표 1에 설명된 바와 같다. 제시된 자료로부터, 침의 오스몰 농도는 통상 70 mOsM이라는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10% 수크로스는 4배 더 높은 292 mOsM이어서, 미뢰 세포 부피 및 중추 신경계(CNS)로의 신호의 유의적인 수축의 원인이 될 것이다.

무기 이온

침의 농도 ( mM )

Na+

10

K+

10~25

Ca2 +

1.7~3

Mg2 +

0.5~1

Cl-

15~29

H2PO4 -

4~5

HCO3 -

5~7
위에서는, 수크로스의 독특한 맛은 미뢰 세포 신호의 두 가지 경로의 결과라는 것이 제시되어 있는데, 제1 경로는 감미료 수용체 T1R2/T1R3에 직접 작용하여 단맛에 민감한 미뢰 세포를 활성화하는 것에 의하여만 진행하고, 제2 경로는 수크로스 자극의 삼투성의 증가로 인한 세포 수축에 의하여 매개되는 메카니즘에 의하여 다수의 미뢰 세포 아류형 (예컨대, 단맛, 신맛 및 짠맛에 민감한 미뢰 세포)을 활성화하는 것에 의하여 진행한다. 이것이 그러한 경우인 것으로 믿어지는 한, 수크로스의 독특한 맛에 대한 완벽한 설명은 여전히 다소 복잡한 것일 수 있다. 감미료 수용체 T1R2/T1R3은 각각 일반적으로 비너스 플라이트랩 도메인 (Venus Flytrap Domain) (VFD)이라고 하는 세포외 도메인을 함유하는 서로 결합된 2개의 단백질로 구성된 헤테로다이머 (heterodimeric) 수용체이다. 수크로스가 수용체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VFD 2개에 모두 결합한다는 증거가 제공되었다. 동시에, 고효능 감미료가 상이하게 결합한다는 것이 알려졌다. 따라서, 아스파탐 및 네오탐은 T1R2의 VFD에만 결합하고, 사이클라메이트는 VFD 도메인에는 결합하지 않지만, T1R3의 막통과 도메인에 결합한다. VFD 2개에 모두 결합하여 수크로스 자극으로부터 잇따르는 활성 T1R2/T1R3 수용체는 고효능 감미료의 상이한 결합으로부터 유래하는 활성 수용체와 모양에서 다소 차이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비칼로리 감미료에 의한 수크로스 맛의 완벽한 재현은 T1R2/T1R3의 2개 VFD 모두에 감미료가 동시에 결합하는 것을 필요로 할 것이다.
C. 시간 특성
1. 단맛의 개시 및 잔류
수크로스는 최대 반응이 신속하게 감지되고 감지된 단맛이 음식이나 음료를 삼킬 때 비교적 신속하게 사라지는 단맛을 낸다. 반대로, 본질적으로 모든 고효능 감미료의 단맛은 수크로스보다 이들의 최대 반응에 다소 더 느리게 도달하고 그 강도가 더 느리게 감소한다. 이 단맛의 감소는 종종 "단맛의 잔류 (sweetness linger)"라고 부르며 NHPS를 포함하는 고효능 감미료의 주요 한계이다. 단맛의 늦은 개시도 역시 문제일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단맛의 잔류가 더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는 단맛의 잔류에 있어서의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조성물의 "시간 특성"은 인간이 조성물의 맛을 볼 때 시간 경과에 따라 감지되는 단맛의 강도를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타 탄수화물 및 폴리올 감미료뿐만 아니라 당의 단맛은 단맛이 신속히 개시되고 이어서 신속히 감소되는 반면, NHPS는 전형적으로 당보다 단맛의 개시가 늦고 당보다 더 길게 단맛이 잔류한다.
전부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NHPS는 구강을 통하여 비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따라서, 이들은 세포의 말단부에 붙어 세포막으로 분산되어, 대부분 미뢰 세포가 아닌 세포 속으로 분산될 수 있다. 이것이 단맛 개시의 지연을 설명할 수 있는데, 이는 최대 수용체 점유의 달성은 비특이적 결합 부위의 거대한 농도 이상의 비칼로리 감미료의 분산에 이어 발생할 것이고, 최대 단맛 개시의 지연은 비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감미료의 성향에 비례할 것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수용체로부터 방출되는 감미료 분자들은 수용체 바로 옆에 비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수용체 뒤로 분산하고 그것을 계속 자극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과정은 감미료 수용체로부터 감미료를 없애는 데에 필요한 시간 (즉, 단맛 감지를 소실하는 시간)을 지연시킬 것이다. 따라서, NHPS의 비정형적인 시간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두 가지 접근으로 (i) 미뢰 및 상피 세포에 의하여 NHPS의 비특이적 결합의 억제 및 (ii) 미뢰 및 상피 세포와 이들의 막으로부터 NHPS의 배출 속도 억제를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NHPS와 특정의 단맛 개선 첨가제의 배합은 구강에 있는 세포막에 비칼로리 감미료가 비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감소시킨다. 특히, 특정 단맛 개선 첨가제 중의 어떤 것은 고삼투압 자극원이고, 상피 및 미뢰 세포막의 수축을 일으켜 NHPS의 비특이적 흡수 작용을 하는 막의 능력을 지연시킨다. 특히 양호한 단맛 개선 첨가제는 불쾌한 맛을 과도하게 도입하지 않고 오스몰 농도를 증가시킨다.
그 밖에, 특히 양호한 단맛 개선 첨가제들은 세포막으로부터 비특이적으로 흡수된 고효능 감미료의 방출 속도를 늦춰 단맛의 잔류를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세포막의 유동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세포 표면에 결합하는 폴리머들은 이 방법에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상태에 따르면, NHPS의 단맛의 잔류는 맛이 오래가는 특성을 내는 기타 성분들의 존재에 의하여 차폐된다. 예를 들어, NHPS는 미네랄산 (예컨대, H3PO4), 수렴성 화합물 및 지체되는 관능 기록 (sensory note)을 도입하는 기타의 화합물의 신맛에 비하여 잔류하는 신맛을 나타내는 식품용 산 (예컨대,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등의 산성 물질)과 배합될 수 있다. 이들 실시 상태는 신맛의 잔류과 기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체적인 맛을 균형있게 하는 기타의 잔류 특성으로 불쾌한 단맛 잔류를 압도시킨다.
2. 미뢰 및 상피 세포에 의한 NHPS 의 비특이적 결합의 억제
다시 이론에 의하여 구애되는 일이 없이, 높은 오스몰 농도의 용액은 NHPS의 시간 특성을 당과 더 유사하게 개선시킨다. 통상 NHPS는 단맛 개시와 단맛의 잔류가 느리다. 수크로스 및 기타 탄수화물 또는 폴리올 감미료 용액의 높은 오스몰 농도 특성은 단맛 감각에 기여한다. 일반적으로, (i) 높은 오스몰 농도의 용액은 미뢰 세포의 현저한 수축을 일으키고, (ii) 미뢰 세포들은 화학 구조가 다양한 고효능 감미료를 흡수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높은 오스몰 농도의 용액이 구강 속 미뢰 세포뿐만 아니라 상피 세포에 있는 막 지질 분자들을 단단히 쌓아서 이러한 세포들의 NHPS 흡수 능력을 감소시킨다고 가설을 세운다. 그러므로, 미뢰 및 상피 세포막에 영향을 미치기에 충분한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는 임의의 화합물들은 비특이적 결합을 감소시켜, NHPS가 시간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한 단맛을 내도록 하게 된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증가된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는 임의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이 메카니즘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되게 되는 것이다.
3. 미뢰 및 상피 세포와 이들의 막으로부터의 인공 감미료의 방출 속도 억제
NHPS의 시간 특성이 개선될 수 있는 또 다른 경로는 흡수된 감미료들의 미뢰 및 상피 세포와 이들의 막으로부터의 방출 속도를 느리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세포막의 유동성을 감소시키는 단맛 개선 조성물들은 NHPS의 시간 특성을 당과 더 유사하게 개선시킨다. 흡수된 감미료들의 미뢰 및 상피 세포와 이들의 막으로부터의 방출 속도를 느리게 하는 조성물의 예로서는, 단맛 개선 계면 활성 첨가제, 단맛 개선 양이온 폴리머 첨가제, 단맛 개선 하이드로콜로이드성 첨가제 및 기타 단맛 개선 폴리머 첨가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흡수된 감미료의 미뢰 및 상피 세포와 이들의 막으로부터의 방출 속도를 느리게 하는 적절한 조성물로서는, 폴리-L-라이신 (예컨대, 폴리-L-α-라이신 또는 폴리-L-ε-라이신), 폴리-L-오르티닌 (예컨대,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ε-오르니틴), 폴리에틸렌이민 및 키토산 등의 양이온 폴리머제 뿐만 아니라, 수크로스 에스테르, 소르브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소르비탄 에스테르, 음이온성 세정제, 폴리소르베이트, 폴리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에스테르, 글리세롤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에스테르, 에스테르 착물 (예컨대, 락테이트, 타르트레이트 및 이와 유사한 것 등), 양이온 세정제, 아카시아 세네갈 고무 (gum acacia senegal), 아카시아 세얄 고무 (gum acacia seyal), 음이온성 폴리머 (예컨대, 폴리아스파르트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레시틴 및 사포닌을 포함하는 표면 활성 조성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머제는 세포 표면에 결합하고, 결합 접촉의 복합 지점에 관계하며, 세포막의 유동성을 감소시킨다고 가정한다.
Ⅱ. NHPS 감미료 및 감미된 조성물
당과 더 유사한 맛을 부여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과 배합한 1종 이상의 NHPS 및/또는 개질된 NHPS가 발견되기에 이르렀다. 양호한 실시 상태로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조성물과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 상태로서, 피감미 조성물, 1종 이상의 NHPS 및/또는 1종 이상의 개질된 NHPS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함유하는,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한 NHPS로 감미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A. 경구 섭취 가능한 피감미 조성물
단맛이 부여되어질 수 있는 적절한 조성물, 즉 적절한 피감미 조성물은 감미료로 단맛을 내기에 적절한 임의의 물질일 수 있고, 좋기로는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이라는 용어는 입으로 넣은 다음에 뒤이어 입에서 내뱉는 물질과 마시거나, 먹거나, 삼키거나 또는 소화되는 물질을 비롯하여, 인간 또는 동물의 입과 접촉하고,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에서 사용시 인간 또는 동물이 소비하는 데에 안전한 물질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로 사용시 인간이 소비하는 데에 안전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의하여 포함되는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의 유형에는 제한이 없다. 이들 조성물로는 식품, 음료, 약제, 담배, 건강 식품, 구강 청결제/화장품 및 이와 유사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제품의 예로는, 콜라, 진저 에일, 루트 비어, 사이다, 과일향 소프트 드링크 (예컨대, 레몬 라임 또는 오렌지 등의 시트러스 향의 소프트 드링크), 분말로 된 소프트 드링크 (예컨대, 콜라, 주스, 차, 물, 커피) 및 이와 유사한 것 등의 비탄산 음료 및 탄산 음료; 과일 또는 야채 유래의 과일 주스, 즙을 짠 주스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비롯한 과일 주스, 과일 입자를 함유한 과일 주스, 과일 음료, 과일 주스 음료, 과일 주스를 함유한 음료, 과일맛 음료, 야채 주스, 야채를 함유한 주스 및 과일과 야채를 함유한 배합 주스; 스포츠 드링크, 에너지 드링크, 물에 가까운 드링크 및 이와 유사한 것 (예컨대, 천연 또는 인공 향미제가 있는 물); 커피, 코코아, 홍차, 녹차, 우롱차 및 이와 유사한 것 등의 차 유형 또는 좋아하는 유형의 음료; 우유 음료, 우유 성분이 함유된 커피, 카페오레, 밀크티, 과일 밀크 음료, 마실수 있는 요거트, 젖산 박테리아 음료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등의 우유 성분을 함유하는 음료; 유제품; 베이커리 제품; 요거트, 젤리, 마실수 있는 젤리, 푸딩, 바바리안 크림, 블라망쥬, 케이트, 브라우니, 무스 및 티타임 또는 식사 후에 먹는 맛이 단 기타 식품 등의 디저트류; 냉동 식품; 예컨대 아이스크림, 아이스밀크, 락토 아이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다양한 종류의 원료 및 감미료가 우유 제품에 첨가되고 그 결과 생성되는 혼합물이 섞인 채 얼려진 식품) 등의 아이스크림 유형 및 샤베트, 디저트 아이스 및 이와 유사한 것 (기타 다양한 종류의 원료가 당질액에 첨가되고 그 결과 생성되는 혼합물이 섞인 채 얼려진 식품) 등의 아이스 당과 등의 차가운 당과; 아이스크림; 케이크, 크래커, 비스킷, 땅콩잼이 있는 번 및 이와 유사한 것 등의 구운 당과 또는 수증기를 쐰 당과 등의 일반적인 당과; 떡 및 스낵; 식탁용 제품; 츄잉검 (예컨대, 예투롱, 구타카이 고무 또는 먹을 수 있는 천연 합성 수지 또는 왁스를 비롯한 치클 또는 이들의 대체물 등의 실질적으로 수불용성, 저작(詛嚼) 가능한 검 기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 캔디, 소프트 캔디, 민트, 누가 캔디, 젤리빈 및 이와 유사한 것 등의 일반적인 당 당과; 과일향 소스, 초콜릿 소스 및 이와 유사한 것을 비롯한 소스; 먹을수 있는 겔; 버터 크림, 밀가루 페이스트, 휘핑 크림 및 이와 유사한 것을 비롯한 크림; 딸기잼, 마말레이드 및 이와 유사한 것을 비롯한 잼; 스위트 브레드 및 이와 유사한 것 또는 기타 녹말 제품을 비롯한 브레드; 양념; 구운 고기, 구운 가금류, 바베큐 고기 및 이와 유사한 것에 사용되는 양념 간장 소스, 토마토 케첩, 소스, 누들 수프 및 이와 유사한 것을 비롯한 일반적인 양념; 가공 농산품, 축산품 또는 해산물; 소시지 및 이와 유사한 것 등 가공 육류; 레토르트 식품, 피클, 간장 소스에서 끓인 보존 식품, 델리케시 (delicacies), 사이드 디쉬; 감자칩, 쿠키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등의 스낵; 시리얼; 경구 투여되거나 구강 내에 사용되는 약물 또는 의약외품 (예컨대, 비타민, 기침 시럽, 기침 점적제, 저작 가능한 의약 정제, 아미노산, 쓴맛이 나는 제제, 신맛이 나는 제제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등), 여기서 상기 약물은 환약제, 정제, 분무제, 캡슐제, 시럽제, 점적제, 트로키제, 분말제 및 이와 유사한 것 등의 고형, 액상, 겔 또는 가스 제제일 수 있다; 입안을 청결하게 하는 제품, 가글제, 입헹굼제, 치약, 치아 광택제, 치약 (dentrifice), 구강 분사제, 치아 미백제 및 이와 유사한 것 등 구강에 사용되는 기타 구상 조성물 등 개인 위생 제품; 음식 보충제; 스너프, 담배, 파이프 및 시가 담배 등 연기가 있는 담배와 연기가 없는 담배 및 조각 필터, 잎, 줄기, 대, 균질화된 잎, 종이, 펠렛 또는 기타 형태의 분말, 미분 또는 에테르원으로부터 재조합된 담배 및 재조합 결합제를 비롯한 담배 제품, 비담배 물질, 담그거나 저작하는 담배로부터 제제된 담배 대체물; 동물 사료; 질병 (예컨대, 심장 혈관 질환 및 고콜레스테롤, 당뇨병, 골다공증, 염증 또는 자가 면역 장애)의 치료 및 예방을 비롯한 의약 또는 건강상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식품 또는 식품의 일부를 포함하는 건강 식품, 건강 식품의 비제한적인 예는 마늘, 콩, 항산화제, 섬유소, 피토스테롤 및 피토스타놀 등의 천연 영양소가 풍부하거나 활성 약물 식품과 이들의 에스테르, 글루코사민, 황산 콘드로이틴, 스테놀, 스타놀, 인삼, 징코, 에크나세아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들 수 있다; 식물 또는 동물 (연어 및 기타 산물 물고기 또는 조류(藻類))원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ALA, 아미노산, 비타민, 미네랄, 카로테노이드, 음식 섬유소,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 DHA 또는 EPA 등의 지방산, 플라보노이드, 페놀, 폴리올, 폴리페놀 (예컨대, 카테킨, 프로안토시아니딘, 프로시아니딘, 안토시아닌, 케르세틴, 레스베라트롤, 이소플라본, 커큐민, 푸니칼라진, 엘라지타닌, 헤스페리딘 및 나린진 등의 신맛이 나는 플라보노이드 및 클로로젠산 등), 프리바이오틱/프로바이오틱, 피토에스트로겐, 황화물/티올, 폴리코사놀, 사포닌, 루비스코 펩티드, 식욕 억제제, 수화제, 자가면역제, C 반응성 단백질 환원제 또는 항염증제; 또는 당뇨병, 골다공증, 염증 또는 혈액 내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 등의 특정 질환이나 증상의 치료에 유리한 기타 기능 성분들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NHPS가 감미된 조성물은 경구 섭취 가능한 피감미 조성물, 1종 이상의 NHPS 및/또는 1종 이상의 개질된 NHPS와,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들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NHPS 감미된 음료는 수용성 음료 조성물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등의 경구 섭취 가능한 음료 조성물과,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한 NHPS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NHPS가 감미된 식품은 경구 섭취 가능한 식품 조성물 및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한 NHPS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NHPS가 감미된 약제는 약학적으로 활성인 조성물 및/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과,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한 NHPS 조성물을 포함한다. 그 밖에, 별법으로서,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NHPS가 감미된 약제는 약학적으로 활성인 조성물 및/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 및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복과,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한 NHPS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NHPS가 감미된 담배 제품은 담배 및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한 NHPS가 감미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NHPS가 감미된 건강 식품은 경구 섭취 가능한 건강식 조성물 및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한 NHPS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NHPS가 감미된 구강 청결제는 경구 섭취 가능한 구상 청결 조성물 및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한 NHPS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NHPS가 감미된 화장품은 경구 섭취 가능한 화장용 조성물 및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한 NHPS 조성물을 포함한다.
B. 천연 고효능 감미료
본 명세서에서 "천연 고효능 감미료" 또는 "NHPS"라는 용어는 가공하지 않은, 추출된, 정제된 또는 어떠한 기타 형태로서, 단일 또는 배합물로 있을 수 있고, 특히 수크로스, 프락토스 또는 글루코스보다 더 큰 단맛 효능을 가지고, 칼로리는 덜 가질 수 있는, 자연에서 발견되는 어떠한 감미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적절한 NHPS의 비제한적 예로는 천연 고효능 감미료, 예컨대 리바우디오사이드 A, 리바우디오사이드 B, 리바우디오사이드 C, 리바우디오사이드 D, 리바우디오사이드 E, 리바우디오사이드 F, 둘코사이드 A, 둘코사이드 B, 루부소사이드,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시아메노사이드, 모나틴 및 이들의 염 (모나틴 SS, RR, RS, SR), 커큘린, 글리시리즈산 및 이들의 염, 토마틴, 모넬린, 마빈린, 브라제인, 헤르난둘신, 필로둘신, 글리시필린, 플로리드진, 트리로바틴, 바이유노사이드, 오스라딘, 폴리포도사이드 A, 테로카르요사이드 A, 테로카르요사이드 B, 무쿠로지오사이드, 플롬이소사이드 I, 페리안드린 I, 아브루소사이드 A 및 사이클로카리오사이드 I이 있다. 대안적으로, 가공되지 않은, 추출된 또는 정제된 NHPS는 개질될 수 있다. 개질된 NHPS는 천연 또는 합성에 의하여 변경된 NHPS를 함유한다. 예컨대, 개질된 NHPS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발효되거나, 효소와 접촉되거나 또는 유도된 NHPS 또는 1종 이상의 원자가 NHPS에 1종 이상의 원자가 첨가되거나, 제거되거나 치환되는 어떠한 방법의 제품이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개질된 NHPS는 1종 이상의 NHPS와 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개질된 NHPS은 NHPS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개질된 NHPS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어떠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NHPS가 치환되거나, NHPS와 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간단히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상태의 설명에 있어서, 개질된 NHPS는 개질되지 않은 NHPS에 대한 대안으로서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개질된 NHPS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상태에서 NHPS를 치환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NHPS의 추출물은 어떠한 순도 백분율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NHPS가 비추출물로서 사용될 때, NHPS의 순도는, 예컨대, 약 25% 내지 약 100%의 범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NHPS의 순도는 약 50% 내지 약 100%; 약 70% 내지 약 100%; 약 80% 내지 약 100%; 약 90% 내지 약 100%; 약 95% 내지 약 100%; 약 95% 내지 약 99.5%; 약 97% 내지 약 100%; 약 98% 내지 약 100%; 및 약 99% 내지 약 100%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제는, NHPS 추출물 중에, 가공되지 않거나 정제된 형태로서 존재하는 각 NHPS 화합물의 백분율을 가리킨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스테비올글리코사이드 추출물은 특정 순도의 특정 스테비올글리코사이드를 함유하고, 기타 스테비올글리코사이드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스테비오글리코사이드 추출물을 남긴다.
NHPS, 예컨대 리바우디오사이드 A의 특히 순수한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로 조추출물을 정제하는 것이 필수적일 수 있다. 그러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숙련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NHPS, 예컨대 리바우디오사이드 A를 정제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발명자 DuBois 등에 의하여 2006년 6월 19일에 출원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조성물 및 리바우디오사이드 A를 정제하는 방법"이라는 제목으로 함께 출원되어 있는 특허 출원 제60/805,216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가 참고로 본 명세서에 병합되어 있다.
간단히 설명하며,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를 약 10 중량% 내지 약 25 중량%, 특히 약 15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1종 이상의 유기 용매 및 물을 함유하는 수성 유기 용액으로부터 하나의 단계로 결정화시킨다. 유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아세톤 및 아세토니트릴을 함유한다. 알코올의 비제한적 예로는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란올, 1-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tert-부탄올 및 이소부탄올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1종 이상의 유기 용매는 수성 유기 용액 중에 약 20 부 내지 약 1 부 에탄올 대 1 부 메탄올,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부 내지 약 1 부 에탄올 대 1 부 메탄올의 범위 내의 중량 비율로 존재하는 에탄올 및 메탄올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성 유기 용매 및 조(祖) 리바우디오사이드 A의 중량 비율은 약 10 내지 약 4 부 수성 유기 용매 대 1 부 조(祖) 리바우디오사이드 A, 특히 약 5 내지 약 3 부 수성 유기 용매 대 1 부 조(祖) 리바우디오사이드 A의 범위 내이다.
대표적인 실시 상태에서, 리바우디오사이드 A를 정제하는 방법은 대략 실온에서 수행된다.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리바우디오사이드 A를 정제하는 방법은 추가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용액을 약 20℃ 내지 약 40℃ 범위 내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또는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약 0.25 시간 내지 약 8 시간 동안 환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대표적인 실시 상태에서, 리바우디오사이드 A를 정제하는 방법은 리바우디오사이드 A 용액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방법은 추가로 약 0.5 시간 내지 약 24시간 동안 약 4℃ 내지 약 25℃ 범위 내의 온도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용액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 상태에 따르면, 리바우디오사이드 A의 순도는 약 50% 내지 약 100%; 약 70% 내지 약 100%; 약 80% 내지 약 100%; 약 90% 내지 약 100%; 약 95% 내지 약 100%; 약 95% 내지 약 99.5%; 약 96% 내지 약 100%; 약 97% 내지 약 100%; 약 98% 내지 약 100%; 및 약 99% 내지 약 100%의 범위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조(祖) 리바우디오사이드 A의 결정화시,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조성물은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약 95 중량% 이상의, 최대 약 100 중량%의 순도로 리바우디오사이드 A를 함유한다. 기타 대표적인 실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는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약 97% 이상, 최대 약 100%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약 98% 이상, 최대 약 100%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약 99% 이상, 최대 약 100%의 리바우디오사이드 A의 순도 수준을 함유한다. 단일 결정화 단계 중의 리바우디오사이드 A 용액은 교반되거나 교반되지 않을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 상태에서, 리바우디오사이드 A를 정제하는 방법은 추가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용액을 적절한 온도에서 리바우디오사이드 A의 결정이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를 형성하는 것을 증진시키기에 충분한, 고순도 결정 리바우디오사이드 A로 시딩 (seeding)하는 단계 (임의 단계)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의 결정화를 증진시키기에 충분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의 양은 용액 중에 존재하는 리바우디오사이드 A가 약 0.0001 중량% 내지 약 1 중량%, 특히 약 0.01 중량% 내지 약 1 중량%의 리바우디오사이드 A의 양을 함유한다. 단계에 대하여 적절한 온도는 약 18℃ 내지 약 35℃이다.
또 다른 대표적인 실시 상태에서, 리바우디오사이드 A의 정제법은 상기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조성물을 분리 세척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수직 및 수평 관통 바스켓 원심 분리기, 고체 보울 원심 분리기, 디켄터 원심 분리기, 필러 (peeler)형 원심 분리기, 밀대형 원심 분리기, 하인켈 (Heinkel)형 원심 분리기, 디스크 스택 (disc stack) 원심 분리기 및 사이클론 (cyclone) 분리를 비롯한, 원심력을 이용하는 여러 가지 고체-액체 분리 기법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조성물을 상기 수용성 유기 용액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에, 벨트, 드럼, 넛쉬 (nutsche)형, 리프 (leaf)형, 플레이트형, 로센문드 (Rosenmund)형, 스파클러 (sparkler)형 및 백 (bag) 필터와 필터 프레스의 사용을 비롯한, 가압 여과법, 진공 여과법 및 중력 여과법에 의하여 분리를 강화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바우디오사이드 A 고체-액체 분리 장치의 작동은 연속, 반연속 또는 뱃치 모드 (batch mode)일 수 있다.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조성물은 여러 가지 유기 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분리 장치상에서도 역시 세척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조성물은 일부 또는 전부가 질소 및 아르곤을 비롯한 여러 가지 기체를 사용하는 분리 장치상에서 건조되어서 잔류 액체 용매를 증발시킬 수 있으나, 이들 기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조성물은 액체, 기체 또는 기계적인 수단을 사용하는 분리 장치로부터 상기 고체를 용해시키거나 또는 상기 고체형을 유지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 다른 대표적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리바우디오사이드 A의 정제법은 회전 진공 건조기, 액상층 건조기, 회전 터널 건조기, 플레이트 건조기, 트레이 (tray) 건조기, 나우타 (Nauta)형 건조기, 분무 건조기, 플래쉬 (flash) 건조기, 미크론 (micron) 건조기, 팬 (pan) 건조기, 고속 및 저속 패들 (paddle) 건조기 및 마이크로파 건조기를 비롯하여,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기법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을 사용하는 상기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조성물의 건조 공정을 더 포함한다. 대표적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건조 공정은 40℃ 내지 약 60℃ 범위의 온도에서 약 5 시간 내지 약 100 시간 상기 잔류 용매를 제거시키는 질소 또는 아르곤 정화법을 사용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의 건조를 포함한다.
상기 조(粗) 리바우디오사이드 A 혼합물이 리바우디오사이드 D 불순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인 또 다른 대표적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리바우디오사이드 A의 정제법은 상기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조성물을 건조시키는 공정에 앞서 상기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의 조성물을 수용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슬러리로 만드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이 슬러리는 고체 및 수용성 유기 용매 또는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혼합물이며, 여기서 상기 고체는 상기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조성물을 함유하고, 수용성 유기 용매 또는 유기 용매에 아주 소량만 용해되는 것이다.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조성물 및 수용성 유기 용매는 상기 슬러리 중에 약 15부로부터 1부의 수용성 유기 용매, 1부의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조성물 범위의 중량비로 존재한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는 실온에서 유지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공정은 상기 슬러리를 약 20℃ 내지 약 40℃ 범위의 온도로의 가열을 포함한다. 상기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조성물은 약 0.5 시간 내지 약 24 시간 슬러리화 시킨다.
또 다른 대표적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리바우디오사이드 A의 정제법은 상기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조성물의 건조 공정에 이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조성물을 상기 슬러리의 상기 수용성 유기 용매 또는 유기 용매로부터 분리시켜고 상기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조성물을 세척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정제가 더 필요한 경우,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리바우디오사이드 A의 정제법을 반복하거나 또는 상기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조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별도의 정제법을 사용하여 더 정제할 수 있다.
기타의 NHPS는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정제법을 사용하여 정제될 수 있으며,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숙련자에게 자명하게 되는 약간의 실험을 요하게 된다는 사실도 역시 생각될 수 있다.
전술한 결정화에 의하여 리바우디오사이드 A를 정제하면 다음의 4 가지 이상의 상이한 다형체 (多形), 즉 제1형: 리바우디오사이드 A 수화물, 제2형: 리바우디오사이드 A 무수물, 제3형: 리바우디오사이드 A 용매 화합물, 제4형: 무정형 리바우디오사이드 A가 형성된다. 상기 정제 과정의 수용성 유기 용액 및 온도는 상기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조성물에 있어서 형성되는 다형체에 영향을 미친다. 도 1 내지 5는 다형체 제1형 (수화물), 제2형 (무수물), 제3A형 (메탄올 용매 화합물), 제3B형 (에탄올 용매화합물) 및 제4형 (무정형) 각각의 대표적인 분말 X선 회절 (XRPD) 스캔이다.
상기 4종의 리바우디오사이드 A 다형체의 물성은 다음의 표에 요약되어 있다.

리바우디오사이드 A 다형체

다형체 제1형

다형체 제2형

다형체 제3형

다형체 제4형

25℃에서 H2O 중에 용해되는 속도

매우 느림
(<0.2%/60분)

중간
(<30%/5분)

고속
(>30%/5분)

고속
(>35%/5분)

알코올 함량

<0.5%

<1%

1~3%

물 함량

>5%

<1%

<3%

6.74%
형성된 다형체의 종류는 상기 수용성 유기 용액의 조성물, 상기 결정화 공정의 온도 및 상기 건조 공정 중의 온도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제1형 및 제3형은 단일의 결정화 공정 중에 형성되는 반면에, 제2형은 제1형 또는 제3형으로부터의 변환 후에 상기 건조 공정 중에 형성된다.
상기 결정화 공정 중에 온도를 약 20℃ 내지 약 50℃의 범위로 낮추고 상기 수용성 유기 용매에 있어서 유기 용매에 대한 물의 비율을 낮추면 제3형이 형성된다. 상기 결정화 공정 중에 온도를 약 50℃ 내지 약 80℃의 범위로 높이고 상기 수용성 유기 용매에 있어서 유기 용매에 대한 물의 비율을 높이면 제1형이 형성된다. 제1형은 실온에서 (2~16 시간) 또는 약 0.5~3 시간 환류 온도에서 무수 용매 중에서의 슬러리화에 의하여 제3형으로 변환될 수 있다. 제3형은 실온에서 약 16 시간 또는 환류 온도에서 약 2~3 시간 상기 다형체을 수중 슬리러화시킴으로서 제1형으로 변환될 수 있다. 제3형은 건조 공정 중에 제2형으로 변환될 수 있지만, 상기 건조 온도를 70℃ 이상으로 높이거나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조성물의 건조 시간을 연장시키면, 그 결과 리바우디오사이드 A가 분해되고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조성물 중에 남아 있는 리바우디오사이드 B 불순물이 증가될 수 있다. 제2형은 물을 가하여 제1형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제4형은 제1, 2, 3형 또는 이들의 배합물로부터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숙련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으로서는 용융 가공, 볼 밀링 (ball milling), 결정화 및 분무 건조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제4형은 전술한 정제법에 의하여 얻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조성물로부터 이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 조성물의 용액을 분무 건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NHPS는 개별적으로 또는 배합 효과가 상기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 또는 경구용 감미 조성물의 맛에 역효과를 일으키지 않는 한 다른 NHPS와 배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의 실시 상태는 스테비올글리코사이드 등의 NHPS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배합될 수 있는 적절한 스테비올글리코사이드의 예로서는, 리바우디오사이드 A, 리바우디오사이드 B, 리바우디오사이드 C, 리바우디오사이드 D, 리바우디오사이드 E, 리바우디오사이드 F, 둘코사이드 A, 둘코사이드 B, 루부소사이드, 스테비오사이드 및 스테비올비오사이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정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의하면, 고효능 감미료의 배합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 B, 리바우디오사이드 C, 리바우디오사이드 E, 리바우디오사이드 F, 스테비오사이드, 스테비올비오사이드, 둘코사이드 A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배합된 형태의 리바우디오사이드 A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특정의 실시 상태에 따르면, 리바우디오사이드 A는 고효능 감미료 배합물의 약 50 내지 약 99.5 중량%의 범위, 좋기로는 약 70 내지 약 90 중량%의 범위 및 더 좋기로는 약 75 내지 약 85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스테비올글리코사이드 배합물 중에 존재한다.
또 다른 특정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리바우디오사이드 B는 고효능 감미료 배합물의 약 1 내지 약 8 중량%의 범위, 좋기로는 약 2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 및 더 좋기로는 약 2 내지 약 3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고효능 감미료 배합물 중에 존재한다.
또 다른 특정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리바우디오사이드 C는 고효능 감미료 배합물의 약 1 내지 약 10 중량%의 범위, 좋기로는 약 3 내지 약 8 중량%의 범위 및 더 좋기로는 약 4 내지 약 6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고효능 감미료 배합물 중에 존재한다.
또 다른 특정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리바우디오사이드 E는 고효능 감미료 배합물의 약 0.1 내지 약 4 중량%의 범위, 좋기로는 약 0.1 내지 약 2 중량%의 범위 및 더 좋기로는 약 0.5 내지 약 1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고효능 감미료 배합물 중에 존재한다.
또 다른 특정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리바우디오사이드 F는 고효능 감미료 배합물의 약 0.1 내지 약 4 중량%의 범위, 좋기로는 약 0.1 내지 약 2 중량%의 범위 및 더 좋기로는 약 0.5 내지 약 1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고효능 감미료 배합물 중에 존재한다.
또 다른 특정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둘코사이드 A는 고효능 감미료 배합물의 약 0.1 내지 약 4 중량%의 범위, 좋기로는 약 0.1 내지 약 2 중량%의 범위 및 더 좋기로는 약 0.5 내지 약 1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고효능 감미료 배합물 중에 존재한다.
또 다른 특정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둘코사이드 B는 고효능 감미료 배합물의 약 0.1 내지 약 4 중량%의 범위, 좋기로는 약 0.1 내지 약 2 중량%의 범위 및 더 좋기로는 약 0.5 내지 약 1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고효능 감미료 배합물 중에 존재한다.
또 다른 특정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스테비오사이드는 고효능 감미료 배합물의 약 0.5 내지 약 10 중량%의 범위, 좋기로는 약 1 내지 약 6 중량%의 범위 및 더 좋기로는 약 1 내지 약 4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고효능 감미료 배합물 중에 존재한다.
또 다른 특정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스테비올비오사이드는 고효능 감미료 배합물의 약 0.1 내지 약 4 중량%의 범위, 좋기로는 약 0.1 내지 약 2 중량%의 범위 및 더 좋기로는 약 0.5 내지 약 1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고효능 감미료 배합물 중에 존재한다.
특히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상기 NHPS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 A, 스테비오사이드, 리바우디오사이드 B, 리바우디오사이드 C 및 리바우디오사이드 F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리바우디오사이드 A는 상기 NHPS 배합물 중에 이 NHPS 배합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75 내지 약 85 중량%의 범위로 존재하고, 스테비오사이드는 약 1 내지 약 6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며, 리바우디오사이드 B는 약 2 내지 약 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고, 리바우디오사이드 C는 약 3 내지 약 8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며, 리바우디오사이드 F는 약 0.1 내지 약 2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그 밖에,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숙련자는 상기 감미료 조성물은 필요로 하는 칼로리 함량을 얻기 위하여 조절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저칼로리 또는 무칼로리의 NHPS는 고칼로리의 천연 감미료 및/또는 기타의 고칼로리 첨가제와 배합되어서 칼로리 함량이 양호한 감미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C. 단맛 개선 조성물
본 명세서에서 "단맛 개성 조성물"이라는 용어는 NHPS에 당과 더 유사한 시간 특성, 당과 유사한 향미 특성 또는 양자를 모두 부여하는 임의의 조성물을 가리킨다. 단맛 개선 조성물의 예로는,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및 당과 유사한 특성을 부여하는 기타 단맛 개선 맛 첨가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탄수화물"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히드록실기로 치환된 일반식이 (CH20)n (식 중에서, n은 3~30이다)인 알데히드 또는 케톤과 이들의 올리고머 및 폴리머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탄수화물은 1개 이상의 위치에서 치환되거나 탈산(脫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탄수화물은 미개질(unmodified) 탄수화물, 탄수화물 유도체, 치환된 탄수화물 및 개질(modified) 탄수화물을 포함한다. 개질 탄수화물은 1개 이상의 원자가 첨가, 제거, 치환되거나 또는 이들이 복합적으로 일어난 임의의 탄수화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탄수화물 유도체 또는 탄수화물 치환체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사카라이드류 및 다당류가 포함된다. 상기 탄수화물 유도체 또는 치환된 탄수화물은 필요에 따라 임의의 대응하는 C 위치에서 탈산되거나, 수소, 할로겐, 할로알킬, 카르복실, 아실, 아실옥시, 아미노, 아미도, 카르복실 유도체,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알콕시, 아릴옥시, 니트로, 시아노, 술포, 메르캅토, 이미노, 술포닐, 술페닐, 술피닐, 술파모일, 카르보알콕시, 카르복스아미노, 포스포닐, 포스피닐, 포스포릴, 포스피노, 티오에스테르, 티오에테르, 옥시미노, 히드라지노, 카르바밀, 포스포, 포스포나토 또는 탄수화물 유도체 또는 치환된 탄수화물에 NHPS의 단맛을 개선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임의의 기타 기 등의 1개 이상의 부분 (moiety)에 의하여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탄수화물의 예로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스, 람노스, 사이클로덱스트린 (예컨대,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Fibersol-2™ 등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비롯한), 덱스트란, 수크로스, 글루코스, 리불로스, 프룩토스, 트레오스, 아라비노스, 크실로스, 릭소스, 알로스, 알트로스, 만노스, 이도스, 락토스, 말토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스로스, 데옥시리보스, 글루코스, 이도스, 탈로스, 에리스루로스, 자일루로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코산, 글루코-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beet) 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스 등),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자일로트리오스, 자일로비오스 등),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젠티오비오스, 젠티오트리오스, 젠티오테트라오스 등), 소르보스, 니게로-올리고사카라이드,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푸코스,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 (케스토스, 니스토스 등),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말토펜타오스, 말토헥사오스, 말토헵타오스 등), 락툴로스, 멜리비오스, 라피노스, 람노스, 리보스, 높은 프룩토스 곡물/전분 시럽 등의 이성화 액상 당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당 (coupling sugar), 대두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글루코스 시럽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탄수화물은 D형 또는 L형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알킬"이라는 용어는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포화 직쇄, 분지쇄, 고리 , 1차, 2차 또는 3차 탄화수소, 전형적으로 C1 내지 C18을 지칭하고, 구체적으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펜틸, 사이클로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헥실, 이소헥실,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헥실메틸, 3-메틸펜틸, 2,2-디메틸부틸, 2,3-디메틸부틸 및 3,3-디메틸부틸을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알킬기는 히드록실기, 카르복시기, 카르복사미도기, 카르보알콕시기, 아실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술포기, 술파토기, 포스포기, 포스파토기 또는 포스포나토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 부분으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알케닐"이라는 용어는,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직쇄, 분지쇄 또는 이중 결합이 1개 이상인 C2 내지 C10 고리 탄화수소를 가리킨다. 필요에 따라, 알케닐기는 알킬기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치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기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알키닐"이라는 용어는,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삼중 결합이 1개 이상인 C2 내지 C10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를 가리킨다. 필요에 따라, 알키닐기는 알킬기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치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기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아릴"이라는 용어는,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페닐, 바이페닐 또는 나프틸을 가리키고, 좋기로는 페닐을 가리킨다. 아릴기는 필요에 따라, 히드록실, 아실, 아미노, 할로, 카르복시, 카르복사미도, 카르보알콕시, 알킬아미노, 알콕시, 아릴옥시, 니트로, 시아노, 술포, 술파토, 포스포, 포스파토 또는 포스포나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부분으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방향족"이라는 용어는 방향족 고리 안에 1개 이상의 황, 산소, 질소 또는 인을 포함하는 방향족 또는 비치환 고리 부분을 가리킨다. 예로는 푸릴, 피리딜, 피리미딜, 티에닐, 이소티아졸릴, 이미다졸릴, 테트라졸릴, 피라지닐, 벤조푸라닐, 벤조티오페닐, 퀴놀릴 이소퀴놀릴, 벤조티에닐, 이소벤조푸릴, 피라졸릴, 인돌릴, 이소인돌릴, 벤지미다졸릴, 푸리닐, 카바졸릴, 옥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1,2,4-티아디아졸릴, 이소옥사졸릴, 피롤릴, 퀴나졸리닐, 피리다지닐, 피라지닐, 신놀리닐, 프탈라지닐, 퀴녹살리닐, 크산티닐, 히폭산티닐 및 프테리디닐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헤테로 또는 헤테로방향족기는 히드록실, 아실, 아미노, 할로, 알킬아미노, 알콕시, 아릴옥시, 니트로, 시아노, 술포, 술파토, 포스포, 포스파토 또는 포스포나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부분으로 치환될 수 있다.
"헤테로고리"라는 용어는 치환될 수 있는 포화된 비방향족 고리기를 가리키는 것으로, 고리 안에는 산소, 황, 질소 또는 인 등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가 있다. 필요에 따라 헤테로고리기는 헤테로 아릴기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아랄킬"이라는 용어는,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전술한 알킬기에 의하여 분자에 결합된 전술한 아릴기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 "알크아릴"이라는 용어는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전술한 아릴기에 의하여 분자에 결합된 전술한 알킬기를 가리킨다. 필요에 따라, 아랄킬 또는 알크아릴기는 히드록실, 카르복시, 카르복사미도, 카르보알콕시, 아실, 아미노, 할로, 알킬아미노, 알콕시, 아릴옥시, 니트로, 시아노, 술포, 술파토, 포스포, 포스파토 또는 포스포나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부분으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할로"라는 용어는 구체적으로 클로로, 브로코, 요도 및 플루오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알콕시"라는 용어는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O-알킬 구조 로 된 부분을 가리키는데, 여기서 알킬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아실"이라는 용어는 구조식이 C(O)R'인 기를 가리키는데, 여기서 R'는 알킬, 아릴, 알크아릴 또는 아랄킬기이거나, 치환된 알킬, 아릴, 아랄킬 또는 알크아릴이고, 이들 기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폴리올"이라는 용어는 1개 이상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분자를 말한다. 폴리올은 각각 2개, 3개 및 4개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디올, 트리올, 테트라올일 수 있다. 또한, 폴리올은 각각 5개, 6개 또는 7개의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하는 펜타올, 헥사올, 헵타올 등과 같이 4개를 초과하는 히드록실기를 함유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카르보닐기 (알데히드 또는 케톤, 환원당)은 1차 또는 2차 히드록실기로 환원된 것인, 탄수화물의 환원형인 당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폴리알코올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폴리올의 예로서는,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트레이톨, 갈락티톨, 팔라티노스, 환원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 말토스 시럽, 환원 글루코스 시럽 및 당 알코올 또는 환원 가능한 임의의 기타 탄수화물로서 NHPS 또는 상기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의 맛에 역효과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맛 개선 첨가제"라는 용어는 NHPS에 당과 더 유사한 시간 특성 또는 당과 유사한 향미 특성 또는 이 두 가지를 모두 부여하는 임의의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유용한 적절한 단맛 개선 첨가제로는 아미노산과 이들의 염, 폴리아미노산과 이들의 염, 펩티드, 당산과 이들의 염, 뉴클레오티드와 이들의 염, 유기산, 무기산, 유기산과 유기 염기를 포함하는 유기염, 무기산염 (예콘대,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쓴맛이 나는 화합물, 향미제와 착향 성분, 떫은 맛이 나는 화합물, 폴리머,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계면 활성제,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및 인공 감미료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의 예로서는,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테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리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부티르산 (알파, 베타 또는 감마 이성질체), 글루타민, 하이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및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산염 등의 이들의 염형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에, 상기 아미노산은 적절한 경우에 α, β, γ, δε의 이성질체일 수 있다. 상기의 아미노산과 이들의 대응하는 염 (예컨대,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또는 이들의 기타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또는 산염)의 배합물도 역시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적절한 단맛 개선 첨가제이다. 상기 아미노산은 천연 또는 합성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은 역시 개질될 수도 있다. 개질 아미노산은 1개 이상의 원자가 첨가, 제거, 치환되거나 이들이 복합적으로 일어난 임의의 아미노산 (예컨대, n-알킬 아미노산, n-아실 아미노산 또는 n-메틸 아미노산)을 말한다. 개질 아미노산의 예로서는, 트리메틸 글리신, N-메틸-글리신 및 N-메틸-알라닌 등의 아미노산 유도체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아미노산은 개질 및 미개질 아미노산의 양자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아미노산은 펩티드와 글루타티온 및 L-알라닐-L-글루타민 등의 폴리펩티드 (예컨대, 디펩티드, 트리펩티드, 테트라펩티드 및 펜타펩티드)를 역시 포함할 수도 있다. 적절한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로서는, 폴리-L-아스파르트산, 폴리-L-리산 (예컨대, 폴리-L-α-리신 또는 폴리-L-ε-리신), 폴리-L-오르니틴 (예컨대,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ε-오르니틴), 폴리-L-아르기닌, 기타의 아미노산의 폴리머형 및 이들의 염형 (예컨대, 마그네슘염, 칼슘염, 칼륨염 또는 L-글루탐산일나트륨염 등의 나트륨염)을 들 수 있다. 상기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는 역시 D형 또는 L형일 수도 있다. 그 밖에, 상기 폴리아미노산은 적절한 경우에 α, β, γ, δε의 이성질체일 수 있다. 상기의 폴리아미노산 또는 이들의 대응하는 염 (예컨대,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또는 이들의 기타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또는 산염)의 배합물도 역시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적절한 단맛 개선 첨가제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상기 폴리아미노산은 역시 상이한 아미노산의 공폴리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아미노산은 천연 또는 합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노산은 1개 이상의 원자가 첨가, 제거, 치환되거나 이들이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예컨대, N-알킬 폴리아미노산 또는 N-아실 폴리아미노산) 방식으로 개질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폴리아미노산은 개질 및 미개질 폴리아미노산의 양자를 모두 포함한다. 특정의 실시 상태에 따르면, 개질 폴리아미노산으로서는 분자량 (MW)이 1,500인, MW가 6,000인, MW가 25,200인, MW가 63,000인, MW가 83,000인 또는 MW가 300,000인 폴리-L-α리신 등의 다양한 MW의 폴리아미노산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당산 첨가제로서는, 알돈산, 우론산, 알다르산, 알진산, 글루콘산, 글루쿠론산, 글루카르산, 갈락타르산, 갈락투론산과 이들의 염 (예컨대,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또는 이들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들의 배합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뉴클레오티드 첨가제로서는, 모노인산이노신 (IMP), 모노인산구아노신 (GMP), 모노인산아데노신 (AMP), 모노인산시토신 (CMP), 모노인산우라실 (UMP), 디인산이노신, 디인산구아노신, 디인산아데노신, 디인산시토신, 디인산우라실, 트리인산이노신, 트리인산구아노신, 트리인산아데노신, 트리인산시토신, 트리인산우라실과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및 이들의 배합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뉴클레오티드는 뉴클레오티드 관련 첨가제, 예컨대 뉴클레오시드 또는 핵산 염기들 (예컨대, 시토신, 아데닌, 티민 및 우라실)을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로서는, -COOH 부분을 포함하는 임의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로서는, C2~C30 카르복시산, 치환된 C2~C30 카르복시산, 벤조산, 치환된 벤조산 (예컨대, 2,4-디하이드록시벤조산), 치환된 신남산, 하이드록시산, 치환된 하이드록시벤조산, 치환된 사이클로헥실 카르복시산, 탄닌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클루콘산, 글루코헵톤산, 지방산, 하이드록시시트르산, 말산, 프루이타르산 (말산, 푸마르산 및 타르타르산의 혼합물),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클로로젠산, 살리실산, 크레아틴, 글루코노 델타 락톤, 카페인산, 담즙산(膽汁酸), 아세트산, 어스코르빈산, 알긴산, 에리토르브산, 폴리글루탐산과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및 이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에, 상기 유기산 첨가제는 D형 또는 L형 중의 어느 하나를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로서는, 모든 유기산의 나트륨염, 칼슘염,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 예컨대 시트르산염, 말산염, 타르트레이트, 푸마르산염, 락트산염 (예컨대, 락트산나트륨), 알긴산염 (예컨대, 알긴산나트륨), 아스코르빈산염 (예컨대, 아스코르빈산나트륨), 벤조산염 (예컨대, 벤조산나트륨 또는 벤조산칼륨) 및 지방산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의 예로서는, 필요에 따라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 할로알킬, 카르복실, 아실, 아실옥시, 아미노, 아미도, 카르복실 유도체,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알콕시, 아릴옥시, 니트로, 시아노, 술포, 티올, 이민, 술포닐, 술페닐, 술피닐, 술파밀, 카르복스알콕시, 카르복스아미도, 포스포닐, 포스피닐, 포스포릴, 포스피노, 티오에스테르, 티오에테르, 무수물, 옥시미노, 히드라지노, 카르바밀, 포스포, 포스포나토 및 상기 치환된 유기산염 첨가제에 상기 NHPS의 단맛을 개선시키는 성능을 제공하는 기타 가변 작용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부분으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로서는, 인산, 아인산, 폴리인산, 염산, 황산, 탄산, 인산이수소나트륨과 이들의 대응하는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킬리 토금속염 (예컨대, 이노시톨 헥사포스페이트 Mg/Ca)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쓴맛이 나는 화합물 첨가제로서는, 카페인, 키닌, 요소, 쓴맛이 나는 오렌지 오일, 나린진, 쿠아시아 및 이들의 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향미제 및 착향 성분으로서는, 바닐린, 바닐라 추출물, 망고 추출물, 계피, 감귤, 코코넛, 생강, 비리디플로올, 아몬드, 멘톨 (박하가 없는 멘톨을 포함한다), 포도 껍질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향미제"와 "착향 성분"은 동의어이며, 천연 또는 합성 물질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향미제는 향을 가하는 임의의 기타 물질도 역시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경우 인간 또는 동물에게 안전한 천연 또는 비천연 (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허 향미제의 예로서는, 돌러™ (Dohler™ Natural Flavoring Sweetness Enhancer K14323 (Dohler™ Darmstadt, 독일)), 심리스™ (Symrise™ Natural Flavor Mask for Sweeteners 161453 및 164126 (Symrise, Holzminden™ 독일)), 내츄럴 어드벤티지™ (Natural Advantage™ Bitterness Blockers 1, 2, 9 및 10 (Natural Advantage™ Freehold, 뉴저지주, 미국)) 및 수크라마스크™ (Sucramask™ (Creative Research Management, Stockton, 캘리포니아주, 미국))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폴리머 첨가제로서는, 키토산, 펙틴, 펙트산, 펙틴산, 폴리유론산, 폴리칼락투론산, 전분, 식품 하이드로콜로이드 또는 이들의 조질의 추출물 (예컨대, 아카시아 세네갈 고무 (Fibergum™), 아카시아 세얄 고무, 카라기난 (carageenan)), 폴리-L-리신 (예컨대, 폴리-L-α-리신 또는 폴리-L-ε-리신), 폴리-L-오르니틴 (예컨대,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ε-오르니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폴리아르기닌, 폴리아스파르트산, 폴리글루탐산, 폴리에틸렌이민,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알긴산나트륨, 소듐 헥사메타포스페이트와 이들의 염 및 기타의 양이온성 및 음이온성 폴리머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로서는, 소 혈청 알부민 (BSA), 유청 단백질 (90% 인스턴트 유청 단백질 단리물, 34% 유청 단백질, 50% 가수 분해된 유청 단백질 및 80% 유청 단백질 농축물 등의 이들의 분획 또는 농축물을 포함한다), 용해성 쌀 단백질, 대두 단백질, 단백질 단리물, 단백질 가수 분해물, 단백질 가수 분해물의 반응 생성물, 글리코단백질 및/또는 아미노산 함유 프로테오글리칸 (예컨대, 글리신, 알라닌, 세린,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르기닌, 발린, 이소류신, 류신, 노르발린, 메티오닌, 프롤린, 티로신, 하이드록시프롤린 등), 콜라겐 (예컨대, 젤라틴), 부분 가수 분해된 콜라겐 (예컨대, 가수 분해된 어류 콜라겐) 및 콜라겐 가수 분해물 (예컨대, 돼지의 콜라겐 가수 분해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계면 활성제 첨가제로서는, 폴리소르빈산염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폴리소르빈산염 80), 폴리소르빈산염 20, 폴리소르빈산염 60),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디옥틸술포숙신산염 또는 디옥틸술포숙신산나트륨, 도데실황산나트륨, 염화세칠피리디늄 (염화헥사데실피리디늄), 브롬화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담즙산나트륨, 카르바모일, 염화콜린, 글리코콜산나트륨, 타우로데옥시콜산나트륨, 라우릭 알기네이트, 소듐 스테아로일 락틸레이트, 타우로콜산나트륨, 레시틴, 수크로스 올레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스 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스 팔미테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스 라우레이트 에스테르 및 기타의 유화제 등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플라보노이드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플라보놀, 플라본, 플라바논, 플라반-3-올, 이소플라본 또는 안토시아니딘으로 분류된다. 플라보노이드 첨가제의 예로서는, 카테킨 (예컨대, 폴리페논™ (Polyphenon™) 60, 폴리페논™ 30 및 폴리페논™ 25 (미추이 노린(Mitsui Norin)사, 일본), 폴리페놀, 루틴 (예컨대, 효소 개질 루틴 산멜린™ 에이오 (Sanmelin™ AO) (산에이 겐 에프에프아이사 (San-fi Gen F.F.I., Inc., 오사카, 일본))) 등의 녹차 추출물), 네오헤스페리딘, 나린진,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등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로서는, 에탄올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단맛 개선 떫은 맛이 나는제 화합물 첨가제로서는, 탄닌산, 염화유로퓸 (EuCl3), 염화가돌리늄 (GdCl3), 염화테르븀 (TbCl3), 명반 (明礬) 및 폴리페놀 (예컨대, 차 폴리페놀)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단맛 개선 비타민으로서는, 니코틴아미드 (비타민 B3) 및 염산피리독살 (비타민 B6)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막 개선 인공 감미료 첨가제는 수크랄로스, 아세술팜 포타슘 또는 기타 염,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사이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이들의 염 및 이와 유사한 것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맛 개선 조성물을 함유하는 인공 감미료 조성물의 특정 실시 상태는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고 문헌으로 병합되어 있는 DuBois 등의 2005년 11월 23일에 제출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인공 감미료 조성물과 이들의 제제 방법 및 용도"라는 제목의 미국 가출원 제60/739,124호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맛 개선 조성물은 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염의 형태일 수도 있다. "염"이라는 용어는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단맛 개선 조성물의 목적하는 화학적 활성을 유지하며,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에서 인간 또는 동물이 섭취하기에 안전한 복합체를 말한다. 알칼리 금속 (예컨대, 나트륨 또는 칼륨) 또는 알칼리 토금속 (예컨대, 칼슘 또는 마그네슘)의 염류도 역시 제조될 수 있다. 염은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의 배합물도 역시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염의 예로서는, (a) 무기산에 의하여 형성된 산부가염 및 유기산에 의하여 형성된 염, (b) 칼슘, 비스무스, 바륨, 마그네슘, 알루미늄, 구리, 코발트, 니켈, 카드뮴, 나트륨, 칼륨 등의 금속 양이온에 의하여 또는 암모니아,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D-글루코사민, 테트라에틸암모늄 또는 에틸렌디아민으로부터 형성된 양이온과 함께 형성된 염기 부가염 또는 (c) (a) 및 (b)의 배합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단맛 개선 조성물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 임의의 염 형태는 상기 단맛 개선 첨가제의 염이 NHPS 또는 NHPS를 함유하는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의 맛에 역효과를 일으키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실시 상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염 형태는 NHPS 감미료 조성물에 이들의 산 또는 염기 형태와 동일한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특정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단맛 개선 첨가제로서 유용한 단맛 개선 무기염의 적절한 예로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황산나트륨, 인산마그네슘, 시트르산칼륨, 염화유로퓸 (EuCl3), 염화가돌리늄 (GdCl3), 염화테르븀 (TbCl3), 황산마그네슘, 명반, 염화마그네슘, 인산의 모노-, 디-, 트리-염기성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 (예컨대, 무기 인산염), 염산염 (예컨대, 무기 염화물), 탄산나트륨, 중황산나트륨 및 중탄산나트륨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에, 특정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단맛 개선 첨가제로서 유용한 적절한 유기염으로서는 염화콜린, 알긴산 나트륨염, 글루코헵톤산나트륨, 글루콘산나트륨, 글루콘산칼륨, 구아니딘 HCl, 글루코사민 HCl, 아밀로라이드 HCl, 글루타민산일나트륨 (MSG), 모노인산아데노신, 글루콘산마그네슘, 주석산칼륨 (일수화물) 및 주석산나트륨 (이수화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단맛 개선 조성물의 실시 상태는 NHPS의 맛에 더 분명하고 명확한 감각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맛 개선 조성물의 실시 상태는 저칼로리 또는 제로칼로리의 감미료 조성물에 당과 더 유사한 특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NHPS의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개선시키는 데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D. 시간 특성 조절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 상태에 따르면, NHPS 조성물은 그 NHPS 조성물 중에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상기 NHPS 조성물의 수용액에 10 mOsmoles/ℓ이상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함유하고, 여기서 상기 NHPS는 이 수용액에 10 중량%의 수크로스 수용액과 등가인 최대 단맛 강도를 부여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mOsmoles/ℓ"는 1 ℓ당 밀리오스몰을 말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따르면, 상기 NHPS 조성물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그 NHPS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NHPS 조성물의 수용액에 10 내지 500 mOsmoles/ℓ, 좋기로는 25 내지 500 mOsmoles/ℓ, 더 좋기로는 100 내지 500 mOsmoles/ℓ, 더 좋기로는 200 내지 500 mOsmoles/ℓ, 더 좋기로는 300 내지 500 mOsmoles/ℓ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효율적인 양으로 함유하고, 여기서 상기 1종 이상의 NHPS는 상기 수용액 중에 10 중량%의 수크로스 수용액과 등가인 최대 감미료 강도를 부여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다수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NHPS와 배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상기 부여된 오스몰 농도는 상기 다수의 단맛 개선 조성물의 총배합물의 오스몰 농도이다.
오스몰 농도는 용액 1 ℓ당 용질의 몰삼투압의 측정 값을 말하는데, 여기서 오스몰은 이상(理想) 용액 중의 삼투압적으로 활성인 입자의 몰수와 등가인 반면에 (예컨대, 글루코스의 1 몰은 1 오스몰이다), 염화나트륨 1 몰은 2 오스몰이다 (1 몰의 나트륨과 1 몰의 염소). 따라서, 상기 NHPS 조성물의 맛의 품질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상기 삼투압적으로 활성인 화합물 또는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는 화합물은 상기 제제에 대한 현저한 맛의 저하를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천연 고효능 감미료 또는 피감미 조성물의 시간 특성이 더 당과 유사하도록 개선시키는 적절한 단맛 개선 조성물로는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예컨대, 당산과 이들의 염, 뉴클레오티드, 유기산, 무기산, 유기산염 및/또는 유기염기염을 포함하는 유기염, 무기염, 쓴맛이 나는 화합물, 떫은 맛이 나는 화합물,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계면 활성제, 유화제, 프라보노이드, 알코올 및 인공 감미료)를 들 수 있다.
더 양호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는 적절한 화합물의 예로는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 단맛 개선 유기염 첨가제, 단맛 개선 유기염기염 첨가제,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 단맛 개선 맛이 쓴 첨가제, 단맛 개선 맛이 떫은 첨가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는 적절한 화합물로는 수크로스, 프룩토스, 글루코스, 말토스 락토스, 만노스, 갈락토스, 타가토스, 에리트리톨,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인산 (이들에 상응하는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을 포함),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아디프산, 글루코사민과 글루코사민염, 콜린염, 구아니딘염,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글리신, 알라닌, 세린, 트레오닌, 테아닌, 카페인, 퀴닌, 우레아, 나린긴, 탄닌산 (tannic acid), AlNa(SO4), AlK(SO4)2 및 기타 명반(明礬) 형태 및 이들의 배합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적절한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분자량이 500 이하, 좋기로는 분자량이 50 내지 500이다. 특정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분자량이 500 이하인 적절한 탄수화물로서는 수크로스, 프룩토스, 글루코스, 말토스, 락토스, 만노스, 갈락토스 및 타가토스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탄수화물은 NHPS 조성물 중에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이 명세서에서, ppm이라는 용어는 백만분의 1 중량 또는 부피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500 ppm은 1 리터 중의 500 ㎎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타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탄수화물은 NHPS가 감미된 조성물 중에 약 2,500 내지 약 1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50 내지 약 500의 범위인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적절한 폴리올 첨가제는 분자량이 500 이하, 좋기로는 76 내지 500의 분자량을 나타낸다. 특정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분자량이 500 이하인 적절한 폴리올로는, 에리트리톨,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폴리올은 NHPS 조성물 중에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기타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폴리올은 NHPS 조성물 중에 조성물의 약 5,000 내지 약 40,000 ppm의 양, 특히 조성물의 약 10,000 내지 약 3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기타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1종 이상의 NHPS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은 감미료 조성물 중에 각각 약 1:4 내지 약 1:800; 특히 약 1:20 내지 약 1:600; 특히 약 1:50 내지 약 1:300; 및 특히 약 1:75 내지 약 1:150의 비율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피감미 조성물에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76 내지 약 500인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알코올은 NHPS 조성물 중에 약 625 내지 약 1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피감미 조성물에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46 내지 약 500 범위인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약 46 내지 약 500의 범위인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의 예로서는, 에탄올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250 이하의 분자량을 나태내고, 좋기로는 75 내지 250의 분자량을 나타낸다. 특정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분자량이 250 이하인 적절한 아미노산의 예로서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테아닌 및 트레오닌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호한 아미노산으로는, 고농도에서 단맛을 내지만, 좋기로는 그들의 단맛 감지 임계점 이하의 양에서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존재하는 것들을 들 수 있다. 그들의 단맛 감지 한계점 이하의 양에서 단맛 개선 아미노산의 혼합물이 더 양호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NHPS 조성물 중에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 특히 약 1,000 내지 약 10,000 ppm의 양 및 더 특히 약 2,500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기타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NHPS가 감미된 조성물 중에 약 250 내지 약 7,5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에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250 범위인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는 NHPS 조성물 중에 약 25 내지 약 10,000 ppm의 양, 특히 약 1,000 내지 약 7,500 ppm의 양 및 더 특히 약 2,500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피감미 조성물에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300 범위인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를 들 수 있다.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300 범위인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의 예로서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테아닌 및 트레오닌의 염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는 NHPS 조성물 중에 약 200 내지 약 5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피감미 조성물에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300 범위인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300 범위인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의 예로서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및 트레오닌을 함유하는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는 NHPS 조성물 중에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피감미 조성물에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로서는, 인산, HCl, H2SO4 및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인간 또는 동물이 소비하기에 안전한 임의의 기타 무기산 첨가제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피감미 조성물에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36 내지 약 98 범위인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는 NHPS 조성물 중에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피감미 조성물에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로서는, 무기산의 염, 예컨대 인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과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인간 또는 동물이 소비하기에 안전한 기타의 무기산 첨가제 (예컨대, 중황산 나트륨)의 임의의 기타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로는 염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염화나트륨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피감미 조성물에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58 내지 약 120 범위인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NHPS 조성물 중에 약 10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피감미 조성물에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로서는, 크레아틴, 시트르산, 말산, 숙신산, 하이드록시시트르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글루타르산, 지방산 및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인간 또는 동물의 소비용으로 안전한 임의의 기타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약 60 내지 약 208의 분자량 범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는 NHPS 조성물 중에 약 20 내지 약 1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피감미 조성물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로서는,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글루타르산, 지방산, 하이드록시시트르산 및 숙신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과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인간 또는 동물의 소비용으로 안전한 임의의 기타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의 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는 약 140 내지 약 208의 분자량 범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염기염 첨가제는 NHPS 조성물 중에 약 10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피감미 조성물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 염기염 첨가제로서는, 글루코사민염, 콜린염 및 구아니딘염 등의 유기 염기의 무기 및 유기산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떫은 맛이 나는 첨가제는 NHPS 조성물 중에 약 25 내지 약 1,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피감미 조성물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떫은 맛이 나는 첨가제로는, 탄닌산, 차 폴리페놀, 카테킨, 황산알루미늄, AlNa(SO4)2, AlK(SO4)2 및 기타의 명반형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뉴클레오티드 첨가제는 NHPS 조성물 중에 약 5 내지 약 1,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피감미 조성물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뉴클레오티드 첨가제로서는, 아데노신 일인산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는 NHPS 조성물 중에 약 30 내지 약 2,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피감미 조성물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로서는, 폴리-L-리신 (예컨대, 폴리-L-α-리신 또는 폴리-L-ε-리신), 폴리-L-오르니틴 (예컨대,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ε-오르니틴) 및 폴리-L-아르기닌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폴리머 첨가제는 NHPS 조성물 중에 약 30 내지 약 2,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피감미 조성물에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폴리머 첨가제로서는, 키토산, 소듐 헥사메타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염, 펙틴, 아카시아 세네갈 고무 등의 하이드로콜로이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계면 활성제 첨가제는 NHPS 조성물 중에 약 1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피감미 조성물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계면 활성제 첨가제로서는, 폴리소르베이트, 염화콜린, 타우로콜산나트륨, 레시틴, 수크로스 올레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스 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스 팔미테이트 에스테르 및 수크로스 라우레이트 에스테르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플라보노이드 첨가제는 NHPS 조성물 중에 약 0.1 내지 약 1,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피감미 조성물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플라보노이드 첨가제로서는, 나린진, 카테킨, 루틴, 네오헤스페리딘 및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 향미 특성 조절
위에서 가정한 바와 같이, 향미 특성은 NHPS에 당과 유사한 특성을 부여한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NHPS에 당과 유사한 향미 특성을 부여하는 임의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이 메카니즘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될 것이다. 특히, 당과 더 유사한 삼투미를 부여하는 임의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이 메카니즘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될 것이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천연 고효능 감미료 또는 피감미 조성물의 삼투미를 비롯한 향미 프로파일을 더 당과 유사하도록 개선시키는 적절한 단맛 개선 조성물로는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및 기타 단맛 개성 첨가제 (예컨대, 폴리아미노산, 펩티드, 당산과 이들의 염, 뉴클레오티드, 유기산, 무기산, 유기산과 유기염기염을 포함하는 유기염, 무기염, 쓴맛이 나는 화합물, 향미제와 착향 성분, 떫은 맛이 나는 화합물,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계면 활성제, 유화제,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및 인공 감미료)를 들 수 있다.
NHPS의 삼투미를 당과 더 유사하도록 촉진하는 단맛 개선 조성물의 예로서는,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 단맛 개선 폴리머 첨가제 및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로는 분자량이 250 이하인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에서,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으로는 글리신, 류신,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하이드록시프롤린, 알라닌, 세린, 테아닌 및 트레오닌 등 저분자량의 아미노산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NHPS의 삼투미를 당에 더 유사하도록 개선시키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50 내지 약 500의 범위인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50 내지 500 범위인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의 예로서는, 수크로스, 프룩토스, 글루코스, 말토스, 락토스, 만노스, 갈락토스, 리보스, 람노스, 트레할로스 및 타가토스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NHPS의 삼투미를 당에 더 유사하도록 개선시키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76 내지 약 500의 범위인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약 76 내지 약 500 범위인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예로서는, 에리트리올,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기타의 적절한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로서는, 당(糖)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NHPS의 삼투미를 당에 더 유사하도록 개선시키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46 내지 약 500 범위인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약 46 내지 약 500 범위인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의 예로서는, 에탄올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NHPS의 삼투미를 당에 더 유사하도록 개선시키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250의 범위인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250 범위인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의 예로서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류신,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하이드록시프롤린, 글루타민, 테아닌 및 트레오닌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NHPS의 삼투미를 당에 더 유사하도록 개선시키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300의 범위인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300 범위인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의 예로서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류신,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하이드록시프롤린, 글루타민, 테아닌 및 트레오닌의 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NHPS의 삼투미를 당에 더 유사하도록 개선시키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300 범위인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300의 범위인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의 예로서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류신,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하이드록시프롤린, 글루타민 및 트레오닌을 함유하는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NHPS의 삼투미를 당에 더 유사하도록 개선시키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로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KH2PO4 및 NaH2PO4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삼투미를 개선시키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는 약 58 내지 약 120 분자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NHPS의 삼투미를 당에 더 유사하도록 개선시키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쓴맛 첨가제로서는, 카페인, 키닌, 요소, 쿠아시아, 탄닌산 및 나린진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단맛 개선 조성물은 시간 특성 (예컨대, 단맛 개시 또는 단맛 잔류), 최대 반응, 향미 특성 (예컨대 삼투미), 적응 행동 및 향미 특성으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메카니즘을 통하여, 수크로스와 유사하게 NHPS를 개선시킨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단맛 조성물은 NHPS가 시간 특성, 최대 반응, 향미 특성, 적응 행동 및 향미 특성으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메카니즘을 통하여, 수크로스와 유사해지도록 개선시키고, 필요에 따라, NHPS의 불쾌한 맛을 억제, 감소 또는 제거하도록 차폐 효과를 부여하고/부여하거나 NHPS에 당과 유사한 특성을 부여한다.
F. NHPS 및 단맛 개선 조성물의 배합물
1종 이상의 NHPS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의 배합물이 삼투미를 비롯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당과 더욱 비슷하도록 개선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본 발명의 교시에 의하여, NHPS 및 단맛 개선 조성물의 모든 가능한 배합물에 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NHPS 및 단맛 개선 조성물의 비제한적인 배합물로서는 다음의 배합물을 들 수 있다:
1. 1종 이상의 NHPS 및 1종 이상의 탄수화물;
2. 1종 이상의 NHPS 및 1종 이상의 폴리올;
3. 1종 이상의 NHPS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4. 1종 이상의 NHPS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5. 1종 이상의 NHPS,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6. 1종 이상의 NHPS,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폴리올;
7. 1종 이상의 NHPS,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8. 1종 이상의 NHPS,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9. 1종 이상의 NHPS,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0. 1종 이상의 NHPS,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11. 1종 이상의 NHPS,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12. 1종 이상의 NHPS,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3. 1종 이상의 NHPS,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14. 1종 이상의 NHPS,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및
15. 1종 이상의 NHPS,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또한, 상기 NHPS 또는 이 NHPS를 함유하는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의 전체적인 맛을 개선시키기 위한 이들 15종의 주요 배합물들은 추가의 배합물로 분류될 수 있다.
1. NHPS 배합물
단일의 NHPS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과 배합될 수 있거나, 복수의 NHPS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과 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맛 개선 조성물은 앞서 확인한 폴리올, 탄수화물, 아미노산,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NHPS는 배합 효과가 단맛 개선 조성물과의 배합물 중의 NHPS의 맛 또는 NHPS를 함유하는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의 맛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NHPS는 배합물 중의 각각의 NHPS의 바람직하지 않은 맛을 상쇄시키도록 배합될 수 있다.
2. 단맛 개선 조성물의 배합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맛 개선 조성물은 폴리올, 탄수화물, 아미노산,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들의 배합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유용한 기타의 단맛 개선 첨가제들은 위에 기재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단일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단일의 NHPS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단일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NHPS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단일의 NHPS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NHPS와 배합되어 사용되는 복수의 단맛 개선 조성물들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대한 단맛 개선 조성물의 배합물의 비제한적인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i.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ii.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iii.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iv.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탄수화물;
v.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vi.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vii.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viii.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따른 기타 단맛 개선 조성물 배합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당산;
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풍미제 또는 풍미 성분;
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1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또는 저분자량 아미노산의 단백질 가수 분해물;
1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1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유화제;
1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무기염,
1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유기염,
1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1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1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풍미제 또는 풍미 성분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머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알코올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3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3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3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3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3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3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3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3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폴리머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3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폴리머,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3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폴리머,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4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폴리머,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4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4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4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4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4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4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4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4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4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5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5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5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5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5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5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5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5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5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5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6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6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6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6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6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6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6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6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6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6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7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7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7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7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7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7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7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7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8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8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8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8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8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8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8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8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8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8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9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9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9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9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9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머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9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머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9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머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머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0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10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0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0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및
10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따른 기타 단맛 개선 조성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당산;
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8.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풍미제 또는 풍미 성분;
9.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10.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1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1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유화제;
1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무기염;
1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유기염;
1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또는 저분자량 아미노산의 혼합물;
1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1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풍미제 또는 풍미 성분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머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3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알코올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3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3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3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3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3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3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3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3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폴리머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3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폴리머,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4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폴리머,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4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폴리머,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4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4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4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4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4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4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4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4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5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5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5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5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5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5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염;
5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5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염;
5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5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6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6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6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6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6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6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6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6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6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6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7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7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7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7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7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7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7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또는 단백질 단백질 가수 분해물;
7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7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8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8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8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8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8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8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8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8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8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8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9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9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9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9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9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9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9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9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머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10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머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10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머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0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머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0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10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0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0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0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0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에리트리톨;
10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티톨;
11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만니톨;
11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소르비톨;
11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락티톨;
11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자일리톨;
11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소말트;
11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프로필렌 글리콜;
11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글리세롤;
11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팔라티노스;
11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환원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11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환원된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12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환원된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12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환원된 말토스 시럽;
12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환원된 글루코스 시럽;
12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에리트리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2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티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2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만니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2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소르비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2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락티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2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자일리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2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이소말트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3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프로필렌 글리콜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3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글리세롤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3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팔라티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3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환원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3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환원된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3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환원된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3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환원된 말토스 시럽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및
13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환원된 글루코스 시럽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따른 기타 단맛 개선 조성물 배합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타가토스;
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트레할로스;
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갈락토스;
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람노스;
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덱스트린;
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γ-사이클로덱스트린;
8.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덱스트린;
9.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덱스트란;
10.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수크로스;
1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글루코스;
1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프락토스;
1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트레오스;
1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아라비노스;
1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자일로스;
1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라이조스;
1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알로스;
18.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알트로스;
19.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만노스;
20.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아이도스;
2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탈로스;
2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락토스;
2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스;
2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전화당;
2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트레할로스;
2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이소트레할로스;
2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네오트레할로스;
28.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팔라티노스;
29.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갈락토스;
30.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3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3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이소말토스;
3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이소말토트리오스;
3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파노스;
3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3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자일로트리오스;
3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자일로비오스;
38.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39.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젠티오비오스;
40.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젠티오트리오스;
4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젠티오테트라오스;
4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소르보스;
4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니제로-올리고사카라이드;
4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4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푸코스;
4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4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케스토스;
48.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니스토스;
49.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테트라올;
50.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트리올;
5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5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트리오스;
5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테트라오스;
5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펜타오스;
5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헥사오스;
5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헵타오스;
5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락툴로스;
58.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멜리비오스;
59.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라피노스;
60.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람노스;
6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리보스;
6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이성화된 액체 당;
6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고함량 프락토스 옥수수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또는 녹말 시럽;
6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커플링 슈가;
6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콩 올리고사카라이드;
6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글루코스 시럽;
67. 1종 이상의 폴리올, 타가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68. 1종 이상의 폴리올, 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69. 1종 이상의 폴리올, 갈락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70. 1종 이상의 폴리올, 람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71. 1종 이상의 폴리올, 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72. 1종 이상의 폴리올,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73. 1종 이상의 폴리올,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74.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75. 1종 이상의 폴리올, 덱스트란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76. 1종 이상의 폴리올, 수크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77. 1종 이상의 폴리올, 글루코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78. 1종 이상의 폴리올, 프락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79. 1종 이상의 폴리올, 트레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80. 1종 이상의 폴리올, 아라비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81. 1종 이상의 폴리올, 자일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82. 1종 이상의 폴리올, 라이조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83. 1종 이상의 폴리올, 알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84. 1종 이상의 폴리올, 알트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85. 1종 이상의 폴리올, 만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86. 1종 이상의 폴리올, 아이도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87. 1종 이상의 폴리올, 탈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88. 1종 이상의 폴리올, 락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89.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90. 1종 이상의 폴리올, 전화당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91. 1종 이상의 폴리올, 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92. 1종 이상의 폴리올, 이소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93. 1종 이상의 폴리올, 네오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94. 1종 이상의 폴리올, 팔라티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95. 1종 이상의 폴리올, 갈락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96. 1종 이상의 폴리올,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97. 1종 이상의 폴리올,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98. 1종 이상의 폴리올, 이소말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99. 1종 이상의 폴리올, 이소말토트리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00. 1종 이상의 폴리올, 파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01. 1종 이상의 폴리올,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02. 1종 이상의 폴리올, 자일로트리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03. 1종 이상의 폴리올, 자일로비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04. 1종 이상의 폴리올,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05. 1종 이상의 폴리올, 젠티오비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06. 1종 이상의 폴리올, 젠티오트리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07. 1종 이상의 폴리올, 젠티오테트라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08. 1종 이상의 폴리올, 소르보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09. 1종 이상의 폴리올, 니제로-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10. 1종 이상의 폴리올,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11. 1종 이상의 폴리올, 푸코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12. 1종 이상의 폴리올,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13. 1종 이상의 폴리올, 케스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14. 1종 이상의 폴리올, 니스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15.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테트라올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16.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트리올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17.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18.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트리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19.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테트라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20.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펜타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21.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헥사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22.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헵타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23. 1종 이상의 폴리올, 락툴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24. 1종 이상의 폴리올, 멜리비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25. 1종 이상의 폴리올, 라피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26. 1종 이상의 폴리올, 람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27. 1종 이상의 폴리올, 리보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28. 1종 이상의 폴리올, 이성화된 액체 당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29. 1종 이상의 폴리올, 고함량 프락토스 옥수수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또는 녹말 시럽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30. 1종 이상의 폴리올, 커플링 슈가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31. 1종 이상의 폴리올, 콩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32. 1종 이상의 폴리올, 글루코스 시럽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3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에리트리톨;
13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말티톨;
13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만니톨;
13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소르비톨;
*13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락티톨;
13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자일리톨;
13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이소말트;
14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프로필렌 글리콜;
14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글리세롤;
14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팔라티노스;
14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환원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14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환원된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14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환원된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14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환원된 말토스 시럽;
14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환원된 글루코스 시럽;
14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에리트리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4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말티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5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만니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5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소르비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5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락티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5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자일리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5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이소말트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5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프로필렌 글리콜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5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글리세롤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5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팔라티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5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환원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5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환원된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6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환원된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6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환원된 말토스 시럽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및
16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환원된 글루코스 시럽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따른 기타 단맛 개선 조성물 배합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당산;
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풍미제 또는 풍미 성분;
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1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1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1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또는 저분자량 아미노산의 혼합물;
1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유화제;
*1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무기염;
1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1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1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풍미제 또는 풍미 성분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머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알코올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3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3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3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3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3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3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3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3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폴리머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3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폴리머,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3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폴리머,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4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폴리머, 1종 이상의 단백질 가수 분해물,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4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4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4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4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4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4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4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4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4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5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5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5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5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5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5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5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5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5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5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6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6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6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6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6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6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6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6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6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6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7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7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7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7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7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7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7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7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8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8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8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8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8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8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8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8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8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8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9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폴리머;
9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9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9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9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머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9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머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9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머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머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0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10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0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0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0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0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D-타가토스;
10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트레할로스;
10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D-갈락토스;
10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람노스;
10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덱스트린;
*11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11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β-사이클로덱스트린;
11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덱스트린;
11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덱스트란;
11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수크로스;
11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글루코스;
11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프락토스;
11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트레오스;
11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아라비노스;
11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자일로스;
12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라이조스;
12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알로스;
12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알트로스;
12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만노스;
12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아이도스;
12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탈로스;
12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락토스;
12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스;
12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전화당;
12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트레할로스;
13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소트레할로스;
13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네오트레할로스;
13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팔라티노스;
13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갈락토스;
13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13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13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소말토스;
13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소말토트리오스;
13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파노스;
13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14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자일로트리오스;
14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자일로비오스;
14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14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젠티오비오스;
14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젠티오트리오스;
14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젠티오테트라오스;
14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소르보스;
14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니제로-올리고사카라이드;
14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14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푸코스;
15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15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케스토스;
15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니스토스;
15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테트라올;
15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트리올;
15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15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트리오스;
15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테트라오스;
15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펜타오스;
15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헥사오스;
16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헵타오스;
16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락툴로스;
16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멜리비오스;
16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라피노스;
16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람노스;
16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리보스;
16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성화된 액체 당;
16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고함량 프락토스 옥수수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또는 녹말 시럽;
16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커플링 슈가;
16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콩 올리고사카라이드;
17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글루코스 시럽;
17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D-타가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7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7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D-갈락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7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람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7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7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7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7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7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덱스트란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8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수크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8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글루코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8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프락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8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트레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8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아라비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8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자일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8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라이조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8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알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8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알트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8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만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9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아이도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9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탈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9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락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9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9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전화당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9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9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이소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9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네오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9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팔라티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9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갈락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0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0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0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이소말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0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이소말토트리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0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파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0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0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자일로트리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0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자일로비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0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0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젠티오비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1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젠티오트리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1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젠티오테트라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1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소르보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1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니제로-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1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1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푸코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1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1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케스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1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니스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1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테트라올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2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트리올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2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2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트리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2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테트라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2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펜타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2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헥사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2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헵타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2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락툴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2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멜리비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2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라피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3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람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3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리보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3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이성화된 액체 당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3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고함량 프락토스 옥수수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또는 녹말 시럽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3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커플링 슈가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3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콩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및
23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글루코스 시럽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NHPS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의 배합은 바람직하지 않은 맛을 억제, 감소 또는 제거하고, NHPS 조성물에 당과 유사한 특성을 부여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바람직하지 않은 맛"이라는 표현은 글루코스, 수크로스, 프락토스 또는 유사한 사카라이드와 같은 당에 의하여 부여되지 않는 어떠한 맛 성질도 포함한다. 바람직하지 않은 맛의 비제한적 예로는 단맛의 개시가 지연되는 것, 단 뒷맛이 남는 것, 금속성의 맛, 쓴 맛, 차가운 감각 맛 또는 멘톨과 유사한 맛, 감초와 유사한 맛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이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NHPS를 복수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와 배합시키는데, 여기서 각각의 단맛 개선 첨가제는 어떠한 단맛 개선 첨가제도 NHPS 조성물에 실질적으로 좋지 않은 맛을 부여하지 않는 양으로 존재한다. 다시 말해, NHPS 조성물 중의 단맛 개선 첨가제의 양은 균형을 이루어 어떠한 단맛 개선 첨가제도 NHPS 조성물에 실질적으로 좋지 않은 맛을 부여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단맛 개선 첨가제 각각은 피감미 조성물에 10 내지 100 mOsmoles/L 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는 양으로 NHPS 조성물 중에 존재하지만, 단맛을 개선시키는 첨가제의 배합은 피감미 조성물에 약 10 mOsmoles/L 내지 약 500 mOsmoles/L 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한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과, 이노신 모노포스페이트 ("IMP"),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 ("GMP"),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AMP"), 시토신 모노포스페이트 (CMP), 우라실 모노포스페이트 (UMP), 이노신 디포스페이트, 구아노신 디포스페이트, 아데노신 디포스페이트, 시토신 디포스페이트, 우라실 디포스페이트, 이노신 트리포스페이트, 구아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시토신 트리포스페이트, 우라실 트리포스페이트, 이들의 뉴클레오사이드, 이들의 핵산 염기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뉴클레오타이드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스, 람노스, 사이클로덱스트린 (예컨대,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저항성 말토덱스트린, 예컨대 파이버솔-2™을 포함함), 덱스트란, 수크로스, 글루코스, 리불로스, 프락토스, 트레오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라이조스, 알로스, 알트로스, 만노스, 아이도스, 락토스, 말토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트로스, 데옥시리보스, 굴로스, 아이도스, 탈로스, 에리트룰로스, 자일룰로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코노-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자일로트리오스, 자일로비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젠티오비오스, 젠티오트리오스, 젠티오테트라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소르보스, 니제로-올리고사카라이드,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푸코스,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케스토스, 니스토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말토펜타오스, 말토헥사오스, 말토헵타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락툴로스, 멜리비오스, 라피노스, 람노스, 리보스, 이성화된 액체 당 예컨대 고함량 프락토스 옥수수/녹말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슈가, 콩 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린), 트레이톨, 갈락티톨, 팔라티노스, 환원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말토스 시럽 또는 환원된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라이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트레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라이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부티르산 (알파-, 베타- 및 감마-이성질체), 글루타민, 하이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폴리-L-아스파르트산, 폴리-L-라이신 (예컨대, 폴리-L-α-라이신 또는 폴리-L-ε-라이신), 폴리-L-오르니틴 (예컨대,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ε-오르니틴), 폴리-L-아르기닌, 아미노산의 기타 폴리머 형태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알돈산, 유론산, 알다르산, 알긴산, 글루콘산, 글루쿠론산, 글루카르산, 갈락타르산, 갈락투론산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당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C2-C30 카르복실산, 치환 하이드록실 C1-C30 카르복실산, 벤조산, 치환 벤조산 (예컨대, 2,4-디하이드록시벤조산), 치환 신남산, 하이드록시산, 치환 하이드록시벤조산, 치환 사이클로헥실 카르복실산, 탄닌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글루콘산, 글루타르산, 크레아틴, 글루코헵톤산, 아디프산, 하이드록시시트르산, 말산, 푸룻타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클로로젠산, 살리실산, 카페산, 담즙산, 아세트산, 아스코르브산, 알긴산, 에리토르브산, 폴리글루탐산 또는 이들의 염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인산, 아인산, 폴리인산, 염산, 황산, 탄산, 소듐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카페인, 퀴닌, 요소, 광귤 오일, 나린진, 쿠아시아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쓴맛 화합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바닐린, 바닐라 추출물, 망고 추출물, 시나몬, 시트러스, 코코넛, 생강, 비리디플로롤, 아몬드, 멘톨, 포도 껍질 추출물 또는 포도 씨 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풍미제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풍미제 첨가제는 Doehler™ Natural Flavor Sweetness Enhancer K14323 (Doehler™, Darmstadt, Germany), Symrise™ Natural Flavor Mask for Sweeteners 161453 또는 164126 (Symrise™, Holzminden, Germany), Natural Advantage™ Bitterness Blockers 1, 2, 9 또는 10 (Natural Advantage™, Freehold, New Jersey, U.S.A.) 또는 Sucramask™ (Creative Research Management, Stockton, California, U.S.A.) 중에서 선택되는 감미료 상품을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키토산, 펙틴, 펙트산, 펙틴산, 폴리유론산, 폴리갈락투론산, 녹말, 식품 하이드로콜로이드 또는 이들의 조(祖) 추출물 (예컨대, 세네갈 아카시아 고무, 세얄 아카시아 고무, 카라기난), 폴리-L-라이신 (예컨대, 폴리-L-α-라이신 또는 폴리-L-ε-라이신), 폴리-L-오르니틴 (예컨대,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ε-오르니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폴리아르기닌, 폴리아스파르트산, 폴리글루탐산, 폴리에틸렌 이민, 알긴산, 소듐 알기네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알기네이트, 소듐 폴리에틸렌글리콜알기네이트, 소듐 헥사메타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염 또는 기타 양이온성 및 음이온성 폴리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머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소 혈청 알부민 (BSA), 유청 단백질 (이의 분획물 또는 농축물, 예컨대 90% 인스턴트 유청 단백질 분리물, 34% 유청 단백질, 50% 가물해된 유청 단백질 및 80% 유청 단백질 농축물을 포함함), 가용성 쌀 단백질, 콩 단백질, 단백질 분리물, 단백질 가수 분해물, 단백질 가물해의 반응 생성물, 아미노산 (예컨대, 글라이신, 알라닌, 세린, 트레오닌, 트레아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르기닌, 발린, 이소류신, 류신, 노르발린, 메티오닌, 프롤린, 티로신, 하이드록시프롤린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하는 글리코단백질 및/또는 프로테오글리칸, 콜라겐 (예컨대, 젤라틴), 부분적으로 가수 분해된 콜라겐 (예컨대, 가물해된 어류 콜라겐) 및 콜라겐 가수 분해물 (예컨대, 돼지 콜라겐 가수 분해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폴리소르베이트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60), 소듐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 디옥틸 술포숙시네이트 또는 디옥틸 술포숙시네이트 소듐, 소듐 도데실 술페이트,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물, 소듐 콜레이트, 카르바모일, 콜린 클로라이드, 소듐 글리코콜레이트, 소듐 타우로데옥시콜레이트, 라우르산 아르기네이트, 소듐 스테아로일 락틸레이트, 레시틴, 수크로스 올레에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스 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및 기타 유화제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계면 활성제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카테킨, 폴리페놀, 네오헤스페리딘, 나린진,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플라보노이드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에탄올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탄닌산, 유로피움 클로라이드 (EuCl3), 가돌리늄 클로라이드 (GdCl3), 테르비움 클로라이드 (TbCl3), 알룸, 탄닌산 및 폴리페놀 (예컨대, 차 폴리페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수렴성 화합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황산 나트륨, 구연산 칼륨, 유로피움 클로라이드 (EuCl3), 가돌리늄 클로라이드 (GdCl3), 테르비움 클로라이드 (TbCl3), 황산 마그네슘, 인산 마그네슘, 알룸, 염화 마그네슘, 인산의 모노-, 디-, 트리-염기성 나트륨 또는 칼륨 염 (예컨대, 무기 인산염), 염산 염 (예컨대, 무기 염화물), 탄산 나트륨, 중황산 나트륨 또는 중탄산 나트륨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뉴클레오타이드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첨가제는 이노신 모노포스페이트 ("IMP"),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 ("GMP"),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AMP"), 시토신 모노포스페이트 (CMP), 우라실 모노포스페이트 (UMP), 이노신 디포스페이트, 구아노신 디포스페이트, 아데노신 디포스페이트, 시토신 디포스페이트, 우라실 디포스페이트, 이노신 트리포스페이트, 구아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시토신 트리포스페이트, 우라실 트리포스페이트, 이들의 뉴클레오사이드, 이들의 핵산 염기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고;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첨가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스, 람노스, 사이클로덱스트린 (예컨대,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저항성 말토덱스트린, 예컨대 파이버솔-2™을 포함함), 덱스트란, 수크로스, 글루코스, 리불로스, 프락토스, 트레오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라이조스, 알로스, 알트로스, 만노스, 아이도스, 락토스, 말토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트로스, 데옥시리보스, 굴로스, 아이도스, 탈로스, 에리트룰로스, 자일룰로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코노-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자일로트리오스, 자일로비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젠티오비오스, 젠티오트리오스, 젠티오테트라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소르보스, 니제로-올리고사카라이드,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푸코스,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케스토스, 니스토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말토펜타오스, 말토헥사오스, 말토헵타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락툴로스, 멜리비오스, 라피노스, 람노스, 리보스, 이성화된 액체 당 예컨대 고함량 프락토스 옥수수/녹말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슈가, 콩 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며;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첨가제는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라이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트레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라이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부티르산 (알파-, 베타- 및 감마-이성질체), 글루타민, 하이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뉴클레오타이드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첨가제는 이노신 모노포스페이트 ("IMP"),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 ("GMP"),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AMP"), 시토신 모노포스페이트 (CMP), 우라실 모노포스페이트 (UMP), 이노신 디포스페이트, 구아노신 디포스페이트, 아데노신 디포스페이트, 시토신 디포스페이트, 우라실 디포스페이트, 이노신 트리포스페이트, 구아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시토신 트리포스페이트, 우라실 트리포스페이트, 이들의 뉴클레오사이드, 이들의 핵산 염기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고; 및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첨가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스, 람노스, 사이클로덱스트린 (예컨대,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저항성 말토덱스트린, 예컨대 파이버솔-2™을 포함함), 덱스트란, 수크로스, 글루코스, 리불로스, 프락토스, 트레오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라이조스, 알로스, 알트로스, 만노스, 아이도스, 락토스, 말토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트로스, 데옥시리보스, 굴로스, 아이도스, 탈로스, 에리트룰로스, 자일룰로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코노-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자일로트리오스, 자일로비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젠티오비오스, 젠티오트리오스, 젠티오테트라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소르보스, 니제로-올리고사카라이드,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푸코스,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케스토스, 니스토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말토펜타오스, 말토헥사오스, 말토헵타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락툴로스, 멜리비오스, 라피노스, 람노스, 리보스, 이성화된 액체 당 예컨대 고함량 프락토스 옥수수/녹말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슈가, 콩 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뉴클레오타이드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첨가제는 이노신 모노포스페이트 ("IMP"),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 ("GMP"),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AMP"), 시토신 모노포스페이트 (CMP), 우라실 모노포스페이트 (UMP), 이노신 디포스페이트, 구아노신 디포스페이트, 아데노신 디포스페이트, 시토신 디포스페이트, 우라실 디포스페이트, 이노신 트리포스페이트, 구아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시토신 트리포스페이트, 우라실 트리포스페이트, 이들의 뉴클레오사이드, 이들의 핵산 염기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고; 및 1종 이상의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노시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린), 트레이톨, 갈락티톨, 팔라티노스, 환원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말토스 시럽 또는 환원된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뉴클레오타이드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첨가제는 이노신 모노포스페이트 ("IMP"),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 ("GMP"),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AMP"), 시토신 모노포스페이트 (CMP), 우라실 모노포스페이트 (UMP), 이노신 디포스페이트, 구아노신 디포스페이트, 아데노신 디포스페이트, 시토신 디포스페이트, 우라실 디포스페이트, 이노신 트리포스페이트, 구아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시토신 트리포스페이트, 우라실 트리포스페이트, 이들의 뉴클레오사이드, 이들의 핵산 염기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고;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첨가제는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라이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트레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라이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부티르산 (알파-, 베타- 및 감마-이성질체), 글루타민, 하이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첨가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스, 람노스, 사이클로덱스트린 (예컨대,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저항성 말토덱스트린, 예컨대 파이버솔-2™을 포함함), 덱스트란, 수크로스, 글루코스, 리불로스, 프락토스, 트레오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라이조스, 알로스, 알트로스, 만노스, 아이도스, 락토스, 말토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트로스, 데옥시리보스, 굴로스, 아이도스, 탈로스, 에리트룰로스, 자일룰로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코노-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자일로트리오스, 자일로비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젠티오비오스, 젠티오트리오스, 젠티오테트라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소르보스, 니제로-올리고사카라이드,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푸코스,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케스토스, 니스토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말토펜타오스, 말토헥사오스, 말토헵타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락툴로스, 멜리비오스, 라피노스, 람노스, 리보스, 이성화된 액체 당 예컨대 고함량 프락토스 옥수수/녹말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슈가, 콩 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고; 1종 이상의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노시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린), 트레이톨, 갈락티톨, 팔라티노스, 환원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말토스 시럽 또는 환원된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며;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첨가제는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라이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트레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라이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부티르산 (알파-, 베타- 및 감마-이성질체), 글루타민, 하이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첨가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스, 람노스, 사이클로덱스트린 (예컨대,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저항성 말토덱스트린, 예컨대 파이버솔-2™을 포함함), 덱스트란, 수크로스, 글루코스, 리불로스, 프락토스, 트레오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라이조스, 알로스, 알트로스, 만노스, 아이도스, 락토스, 말토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트로스, 데옥시리보스, 굴로스, 아이도스, 탈로스, 에리트룰로스, 자일룰로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코노-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자일로트리오스, 자일로비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젠티오비오스, 젠티오트리오스, 젠티오테트라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소르보스, 니제로-올리고사카라이드,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푸코스,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케스토스, 니스토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말토펜타오스, 말토헥사오스, 말토헵타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락툴로스, 멜리비오스, 라피노스, 람노스, 리보스, 이성화된 액체 당 예컨대 고함량 프락토스 옥수수/녹말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슈가, 콩 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고; 및 1종 이상의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노시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린), 트레이톨, 갈락티톨, 팔라티노스, 환원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말토스 시럽 또는 환원된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첨가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스, 람노스, 사이클로덱스트린 (예컨대,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저항성 말토덱스트린, 예컨대 파이버솔-2™을 포함함), 덱스트란, 수크로스, 글루코스, 리불로스, 프락토스, 트레오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라이조스, 알로스, 알트로스, 만노스, 아이도스, 락토스, 말토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트로스, 데옥시리보스, 굴로스, 아이도스, 탈로스, 에리트룰로스, 자일룰로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코노-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자일로트리오스, 자일로비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젠티오비오스, 젠티오트리오스, 젠티오테트라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소르보스, 니제로-올리고사카라이드,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푸코스,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케스토스, 니스토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말토펜타오스, 말토헥사오스, 말토헵타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락툴로스, 멜리비오스, 라피노스, 람노스, 리보스, 이성화된 액체 당 예컨대 고함량 프락토스 옥수수/녹말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슈가, 콩 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고;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첨가제는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라이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트레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라이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부티르산 (알파-, 베타- 및 감마-이성질체), 글루타민, 하이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노시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린), 트레이톨, 갈락티톨, 팔라티노스, 환원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말토스 시럽 또는 환원된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고;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첨가제는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라이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트레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라이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부티르산 (알파-, 베타- 및 감마-이성질체), 글루타민, 하이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노시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린), 트레이톨, 갈락티톨, 팔라티노스, 환원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말토스 시럽 또는 환원된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고; 및 1종 이상의 무기염 첨가제는 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황산 나트륨, 구연산 칼륨, 유로피움 클로라이드 (EuCl3), 가돌리늄 클로라이드 (GdCl3), 테르비움 클로라이드 (TbCl3), 황산 마그네슘, 알룸, 염화 마그네슘, 인산의 모노-, 디-, 트리-염기성 나트륨 또는 칼륨 염 (예컨대, 무기 인산염), 염산 염 (예컨대, 무기 염화물), 탄산 나트륨, 중황산 나트륨 또는 중탄산 나트륨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첨가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스, 람노스, 사이클로덱스트린 (예컨대,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저항성 말토덱스트린, 예컨대 파이버솔-2™을 포함함), 덱스트란, 수크로스, 글루코스, 리불로스, 프락토스, 트레오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라이조스, 알로스, 알트로스, 만노스, 아이도스, 락토스, 말토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트로스, 데옥시리보스, 굴로스, 아이도스, 탈로스, 에리트룰로스, 자일룰로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코노-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자일로트리오스, 자일로비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젠티오비오스, 젠티오트리오스, 젠티오테트라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소르보스, 니제로-올리고사카라이드,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푸코스,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케스토스, 니스토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말토펜타오스, 말토헥사오스, 말토헵타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락툴로스, 멜리비오스, 라피노스, 람노스, 리보스, 이성화된 액체 당 예컨대 고함량 프락토스 옥수수/녹말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슈가, 콩 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고; 및 1종 이상의 무기염 첨가제는 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황산 나트륨, 구연산 칼륨, 유로피움 클로라이드 (EuCl3), 가돌리늄 클로라이드 (GdCl3), 테르비움 클로라이드 (TbCl3), 인산 마그네슘, 황산 마그네슘, 알룸, 염화 마그네슘, 인산의 모노-, 디-, 트리-염기성 나트륨 또는 칼륨 염 (예컨대, 무기 인산염), 염산 염 (예컨대, 무기 염화물), 탄산 나트륨, 중황산 나트륨 또는 중탄산 나트륨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첨가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스, 람노스, 사이클로덱스트린 (예컨대,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저항성 말토덱스트린, 예컨대 파이버솔-2™을 포함함), 덱스트란, 수크로스, 글루코스, 리불로스, 프락토스, 트레오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라이조스, 알로스, 알트로스, 만노스, 아이도스, 락토스, 말토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트로스, 데옥시리보스, 굴로스, 아이도스, 탈로스, 에리트룰로스, 자일룰로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코노-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자일로트리오스, 자일로비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젠티오비오스, 젠티오트리오스, 젠티오테트라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소르보스, 니제로-올리고사카라이드,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푸코스,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케스토스, 니스토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말토펜타오스, 말토헥사오스, 말토헵타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락툴로스, 멜리비오스, 라피노스, 람노스, 리보스, 이성화된 액체 당 예컨대 고함량 프락토스 옥수수/녹말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슈가, 콩 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고;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첨가제는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라이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트레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라이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부티르산 (알파-, 베타- 및 감마-이성질체), 글루타민, 하이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며; 및 1종 이상의 무기염 첨가제는 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황산 나트륨, 구연산 칼륨, 유로피움 클로라이드 (EuCl3), 가돌리늄 클로라이드 (GdCl3), 테르비움 클로라이드 (TbCl3), 인산 마그네슘, 황산 마그네슘, 알룸, 염화 마그네슘, 인산의 모노-, 디-, 트리-염기성 나트륨 또는 칼륨 염 (예컨대, 무기 인산염), 염산 염 (예컨대, 무기 염화물), 탄산 나트륨, 중황산 나트륨 또는 중탄산 나트륨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를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노시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린), 트레이톨, 갈락티톨, 팔라티노스, 환원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말토스 시럽 또는 환원된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고; 및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첨가제는 폴리-L-아스파르트산, 폴리-L-라이신 (예컨대, 폴리-L-α-라이신 또는 폴리-L-ε-라이신), 폴리-L-오르니틴 (예컨대,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ε-오르니틴), 폴리-L-아르기닌 및 아미노산의 기타 폴리머 형태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1종 이상의 기능성 성분 및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는 소 혈청 알부민 (BSA), 유청 단백질 (이의 분획물 또는 농축물, 예컨대 90% 인스턴트 유청 단백질 분리물, 34% 유청 단백질, 50% 가물해된 유청 단백질 및 80% 유청 단백질 농축물을 포함함), 가용성 쌀 단백질, 콩 단백질, 단백질 분리물, 단백질 가수 분해물, 단백질 가물해의 반응 생성물, 아미노산 (예컨대, 글라이신, 알라닌, 세린, 트레오닌, 트레아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르기닌, 발린, 이소류신, 류신, 노르발린, 메티오닌, 프롤린, 티로신, 하이드록시프롤린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하는 글리코단백질 및/또는 프로테오글리칸, 콜라겐 (예컨대, 젤라틴), 부분적으로 가물해된 콜라겐 (예컨대, 가물해된 어류 콜라겐) 및 콜라겐 가수 분해물 (예컨대, 돼지 콜라겐 가수 분해물) 중에서 선택되고;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는 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황산 나트륨, 구연산 칼륨, 유로피움 클로라이드 (EuCl3), 가돌리늄 클로라이드 (GdCl3), 테르비움 클로라이드 (TbCl3), 인산 마그네슘, 황산 마그네슘, 알룸, 염화 마그네슘, 인산의 모노-, 디-, 트리-염기성 나트륨 또는 칼륨 염 (예컨대, 무기 인산염), 염산 염 (예컨대, 무기 염화물), 탄산 나트륨, 중황산 나트륨 또는 중탄산 나트륨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이 아닌, 리바우디오사이드 A와 1종 이상의 NHPS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 포타슘 및 기타 염,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사이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이들의 염 및 이와 유사한 것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성 감미료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리바우디오사이드-A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ppm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의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글라이신 또는 알라닌이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이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리바우디오사이드-A (REBA) (스테비올 글리코사이드 혼합물 중에 적어도 50 % REBA가 있는)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NHPS 조성물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을 함유한다. NHPS 조성물의 특정 실시 상태에서, 리바우디오사이드 A는 총 감미료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3,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에리트리톨은 총 감미료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기능성 감미료 조성물의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리바우디오사이드 A는 총 감미료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3,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에리트리톨은 총 감미료 조성물의 약 5,000 내지 약 4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NHPS 조성물의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리바우디오사이드 A는 총 감미료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3,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에리트리톨은 총 감미료 조성물의 약 10,000 내지 약 3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NHPS 조성물의 또 다른 특정 실시 상태에서, 리바우디오사이드 A 및 에리트리톨은 각각 감미료 조성물 중에 약 1:4 내지 약 1:800의 비율로 존재한다. NHPS 조성물의 또 다른 특정 실시 상태에서, 리바우디오사이드 A 및 에리트리톨는 각각 감미료 조성물 중에 약 1:20 내지 약 1:600; 특히 약 1:50 내지 약 1:300; 및 특히 약 1:75 내지 약 1:150의 비율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기능성 성분 및 리바우디오사이드-A (REB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을 함유하는 감미료 조성물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합성 감미료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기능성 감미료 조성물은 1종 이상의 기능성 성분 및 리바우디오사이드-A (REBA)와 조성물의 약 10 ppm 내지 약 100 ppm의 양으로 사카린 또는 아세술팜 포타슘 또는 기타 염을 함유하는 감미료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00 ppm 내지 약 5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의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글라이신 또는 라이신이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또는 글라이신, 알라닌, 세린, 류신,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또는 트레오닌을 포함하는 단백질의 가물해 반응 생성물이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00 ppm 내지 약 5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의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또는 글라이신, 알라닌, 세린, 류신,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또는 트레오닌을 포함하는 단백질의 가물해 반응 생성물이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이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의 실시 상태에서, 조성물은 REBA 및 조성물의 약 10,000 ppm 내지 약 80,000 ppm의 양의 글루코스, 수크로스, HFCS 또는 D-프락토스를 함유한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5,000 내지 약 6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REBA와, 프로필렌 글리콜, 에리트리톨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 등이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은 에리트리톨을 함유한다. 조성물의 특정 실시 상태에서, REBA는 총 조성물의 약 100 to 약 3,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에리트리톨은 총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조성물의 또 다른 특정 실시 상태에서, REBA 및 에리트리톨은 조성물 중에 각각 약 1:4 내지 약 1:800의 비율로 존재한다. 조성물의 또 다른 특정 실시 상태에서, REBA 및 에리트리톨는 조성물 중에 각각 약 1:20 내지 약 1:600; 특히 약 1:50 내지 약 1:300; 및 특히 약 1:75 내지 약 1:150의 비율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REBA는 스테비올글리코사이드 혼합물 중에 REBA 50 중량% 이상의 순도를 가진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REBA와, 타가토스, 프락토스 또는 수크로스 및 에리트리톨의 배합물이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제한적 예로는 REBA와, NaCl, KCl, NaHSO4.H2O, NaH2PO4MgSO4, KAl(SO4)2 (알룸), 인산 마그네슘, 염화 마그네슘, KCl 및 KH2PO4 또는 기타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상태는 REBA와, 무기염 첨가제, 예컨대 나트륨, 마그네슘, 칼륨 및 칼슘의 염화물, 인산염 및 황산염 (예컨대, 염화 나트륨 및 염화 칼륨; 인산 칼륨 및 염화 칼륨; 염화 나트륨 및 인산 나트륨; 인산 칼슘 및 황산 칼슘; 염화 마그네슘 및 인산 마그네슘; 및 인산 칼슘, 황산 칼슘 및 황산 칼륨)의 혼합물과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제한적 예로는 REBA와,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콜린 클로라이드, D-글루콘산 나트륨 염, 구아니딘 HCl, D-글루코사민 HCl, 아밀로라이드 HCl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이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제한적 예로는 REBA와, 푸마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아디프산, 아스코르브산, 탄닌산, 라우르산 아르기네이트 또는 이들의 배합물과의 배합물이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1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REBA와, 글라이신, L-알라닌, L-세린, L-트레오닌, β-알라닌, 아미노부티르산 (알파-, 베타- 및 감마- 이성질체), L-아스파르트산, L-글루탐산, L-라이신, 글라이신 및 L-알라닌 혼합물, 염 유도체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이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계면 활성제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제한적 예로는 REBA와, 디옥틸 술포숙시네이트 소듐,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물, 수크로스 올레에이트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80, 레시틴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이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머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제한적 예로는 REBA와, 양이온성 폴리머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민, 폴리-L-라이신 (예컨대, 폴리-L-α-라이신 또는 폴리-L-ε-라이신), 폴리-L-오르니틴 (예컨대,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ε-오르니틴), 키토산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이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머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머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30 내지 약 2,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REBA와, 하이드로콜로이드,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 및 에리트리톨의 배합물이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제한적 예로는 REB, 소 혈청 알부민 (BSA), 유청 단백질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이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REBA와, 글라이신 및 알룸의 배합물; REBA와, 글라이신 및 염화 칼륨의 배합물; REBA와, 글라이신 및 염화 나트륨의 배합물; REBA와, 글라이신, 인산 칼륨 및 염화 칼륨의 배합물; 및 REBA와, 글라이신, 염화 나트륨 및 염화 칼륨의 배합물이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REBA와, 프락토스, 수크로스 또는 글루코스 및 알룸의 배합물; REBA와, 프락토스, 수크로스 또는 글루코스 및 염화 칼륨의 배합물; REBA와, 프락토스, 수크로스 또는 글루코스 및 염화 나트륨의 배합물; REBA와, 프락토스, 수크로스 또는 글루코스, 인산 칼륨 및 염화 칼륨의 배합물; 및 REBA와, 프락토스, 수크로스 또는 글루코스, 염화 나트륨 및 염화 칼륨의 배합물이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쓴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한정 예로는 REBA와, 요소 및 염화 나트륨의 배합물이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30 내지 약 2,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REBA와, 글라이신 및 폴리-L-α-라이신의 배합물; 및 REBA와, 글라이신 및 폴리-L-ε-라이신의 배합물이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한정 예로는 REBA와, 글라이신 및 소듐 글루코네이트의 배합물이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한정 예로는 REBA와, L-알라닌 및 프락토스의 배합물이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0 내지 약 1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한정 예로는 REBA와, 에리트리톨, 글라이신, KCl, KH2PO4 콜린 클로라이드의 배합물이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한정 예로는 REBA와, L-알라닌, 프락토스 및 에리트리톨의 배합물이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한정 예로는 REBA와, 에리트리톨, 글라이신, KCl 및 KH2PO4의 배합물이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REBA와,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한정 예로는 REBA와, 염화 나트륨의 배합물이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글리시리히진 예컨대 모노-암모늄 글리시리즈산 염 수화물과,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한정 예로는 모노암모늄 글리시리즈산 염 수화물과 염화 나트륨의 배합물이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리바우디오사이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큘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NHPS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0,000 내지 약 5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여기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복수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500 내지 약 2,500 ppm의 양, 특히 조성물의 약 500 내지 약 1,5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더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REBA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REBA는 스테비올글리코사이드 혼합물 중에 REBA 50 내지 약 1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REBA 약 80 내지 약 99.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REBA 약 97 내지 약 99.5 중량%의 순도를 가진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REBA는 조성물 중에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3,000 ppm의 양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 내지 약 2,000 ppm의 양으로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0 내지 약 75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0,000 내지 약 5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30,000 내지 약 4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500 내지 약 2,5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복수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감미료 조성물 중에 조성물의 약 500 내지 약 2,5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복수의 유기산 첨가제는 락트산 약 40 내지 약 250 ppm의 양, 시트르산 약 150 내지 약 460 ppm의 양, 말산 약 150 내지 약 460 ppm의 양 및 타르타르산 약 150 내지 약 460 ppm의 양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비한정 예로는 REBA와, 에리트리톨, 락트산,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조성물은 에리트리톨 34,000 ppm, 락트산 80 ppm, 시트르산 310 ppm, 말산 310 ppm, 타르타르산 310 ppm 및 REBA 550 ppm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REBA는 스테비올글리코사이드 혼합물 중에 REBA 약 80 내지 약 99.5 중량% , 더욱 바람직하게는 REBA 약 97 내지 약 99.5 중량%의 순도를 가진다. 조성물은 임의로 풍미제 예컨대 카라멜, 바닐라 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바와 같은 기타 풍미제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또한 함유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그러한 조성물은, 비록 기타의 음료도 예상될 수 있지만, 탄산가스로 포화시킨 소프트 드링크, 예컨대 콜라이다.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숙련자는 탄산 음료 중의 단맛 개선 유기산의 양이 약 2.3 내지 약 3.5의 pH를 얻을 수 있도록 개질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숙련자는 또한 약 2.3 내지 약 3.5의 pH를 얻기 위하여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 예컨대 인산, 벤조산 및 소르브산은 개별적으로 또는 탄산 음료와 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REBA와, 본 명세서에 개시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추가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인산, 벤조산, 소르브산 및 이들의 배합물이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REBA와, 본 명세서에 개시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추가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 및/또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250 ppm의 양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0 내지 약 10,000 ppm의 양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350 ppm의 양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48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REBA와, 에리트리톨, 염화 나트륨 또는 염화 마그네슘 및 락트산,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 REBA와, 에리트리톨, 구연산 칼륨 또는 구연산 나트륨 및 락트산,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 또는 REBA와, 에리트리톨, 염화 나트륨 및 구연산 나트륨, 락트산, 시트르산, 말산 및 타르타르산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이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REBA와, 본 명세서에 개시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추가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 및/또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250 ppm의 양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0 내지 약 10,000 ppm의 양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350 ppm의 양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48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REBA와, 에리트리톨, 인산, 염화 나트륨 또는 염화 마그네슘 및 락트산,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 REBA와, 에리트리톨, 인산, 구연산 칼륨 또는 구연산 나트륨 및 락트산,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 또는 REBA와, 에리트리톨, 인산, 염화 나트륨 및 구연산 나트륨, 락트산, 시트르산, 말산 및 타르타르산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이 있다.
NHPS 조성물 중에 NHPS의 단맛 개선 조성물(들)에 대한 바람직한 중량 비율은 특정 NHPS 및 단맛 및 최종 생성물 또는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에 있어서의 기타 특성에 따를 것이다. NHPS는 그 효능이 중량 기준으로 수크로스보다 30배 더 강력한 정도 내지 수크로스 보다 약 8,000 배 강력한 정도의 범위 내에서 크게 변화한다. 일반적으로, NHPS의 단맛 개선 조성물에 대한 중량 비율은 예컨대 10,000:1 내지 약 1:10,000의 범위일 수 있고; 또 다른 비제한적인 예는 약 9,000:1 내지 약 1:9,000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는 약 8,000:1 내지 약 1:8,00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다른 예는 약 7,000:1 내지 약 1:7,00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는 약 6,000:1 내지 약 1:600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다른 예는 약 5,000:1 내지 약 1:5,00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는 약 4,000:1 내지 약 1:4,00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다른 예는 약 3,000:1 내지 약 1:3,00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는 약 2,000:1 내지 약 1:2,00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다른 예는 약 1,500:1 내지 약 1:1,50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다른 예는 약 1,000:1 내지 약 1:1,00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는 약 900:1 내지 약 1:90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다른 예는 약 800:1 내지 약 1:80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는 약 700:1 내지 약 1:70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다른 예는 약 600:1 내지 약 1:60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는 약 500:1 내지 약 1:50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다른 예는 약 400:1 내지 약 1:40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는 약 300:1 내지 약 1:30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다른 예는 약 200:1 내지 약 1:20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는 약 150:1 내지 약 1:15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다른 예는 약 100:1 내지 약 1:10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는 약 90:1 내지 약 1:9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다른 예는 약 80:1 내지 약 1:8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는 약 70:1 내지 약 1:7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다른 예는 약 60:1 내지 약 1:6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는 약 50:1 내지 약 1:5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다른 예는 약 40:1 내지 약 1:4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는 약 30:1 내지 약 1:3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다른 예는 약 20:1 내지 약 1:2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다른 예는 약 15:1 내지 약 1:15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는 약 10:1 내지 약 1:1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다른 예는 약 9:1 내지 약 1:9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는 약 8:1 내지 약 1:8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다른 예는 약 7:1 내지 약 1:7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는 약 6:1 내지 약 1:6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다른 예는 약 5:1 내지 약 1:5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는 약 4:1 내지 약 1:4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다른 예는 약 3:1 내지 약 1:3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는 약 2:1 내지 약 1:2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및 또 다른 예는 약 1:1일 수 있으며; 특정 NHPS에 따라 선택된다.
1종 이상의 NHPS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에 배합하는 것은 NHPS 또는 NHPS를 함유하는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의 맛에 실질적으로 또는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어떠한 pH 범위 내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pH 범위의 비한정 예는 약 2 내지 약 8일 수 있다. 추가의 예에는 약 2 내지 약 5의 pH 범위가 포함된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의 맛에 실질적으로 또는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식으로 1종 이상의 NHPS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과 배합할 수 있다. 예컨대, NHPS를 단맛 개선 조성물 전에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NHPS를 단맛 개선 조성물 후에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NHPS를 단맛 개선 조성물과 동시에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NHPS를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에 첨가하기 전에 단맛 개선 조성물과 배합시킬 수 있다. 예컨대, NHPS는 액체 (예컨대, 용액), 고체 (예컨대, 분말, 큰 덩어리, 펠릿, 그레인, 블록, 결정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서스펜션, 기체 상태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순수하고, 희석되며 또는 농축된 형태로서 액체 (예컨대, 용액), 고체 (예컨대, 분말, 큰 덩어리, 펠릿, 그레인, 블록, 결정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서스펜션, 기체 상태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순수하고, 희석되고 또는 농축된 형태일 수 있는 단맛 개선 조성물과, 양자가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과 접촉되기 전에, 접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NHPS 또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이 있을 때, NHPS 및 단맛 개선 조성물의 각 성분은 동시에, 임의 선택적 패턴으로, 임의의 패턴으로 또는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의 막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기타의 어떠한 패턴으로도 첨가될 수 있다.
3. 식탁용 조성물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상태에서, NHPS 조성물은 1종 이상의 NHPS와, 1종 이상의 부형제 (bulking agent) 및 임의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 및/또는 응고 방지제 (anti-caking agent)의 배합물을 함유하고, 시간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식탁용 (tabletop)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 상태에 따라서, 적절한 "부형제"로는 말토덱스트린 (10 DE, 18 DE 또는 5 DE), 옥수수 시럽 고체 (20 또는 36 DE), 수크로스, 프락토스, 글루코스, 전화당, 소르비톨, 자일로스, 리불로스, 만노스, 자일리톨, 만니톨, 갈락티톨, 에리트리톨, 말티톨, 락티톨, 이소말트, 말토스, 타가토스, 락토스, 이눌린,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올, 폴리덱스트로스,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셀룰로스 및 셀룰로스 유도체 및 이와 유사한 것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타의 실시 상태에 따르면, 그래뉼화된 당 (수크로스) 또는 기타 칼로리 감미료 예컨대 결정질 프락토스, 기타 탄수화물 또는 당 알코올은 상당한 칼로리를 부가하지 않으면서 함량의 균일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부형제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부형제는 단맛 개선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응고 방지제" 및 "유동제"는 1종 이상의 천연 및/또는 합성 고효능 감미료 분자가 또 다른 천연 및/또는 합성 고효능 감미료 분자에 부착, 결합 또는 접촉되는 것을 예방, 감소, 방지 또는 억제하는 어떠한 조성물을 지칭한다. 대안적으로, 응고 방지제는 함량 균일성 및 균일한 용해를 보조하는 어떠한 조성물을 지칭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상태에 따르면, 응고 방지제의 비제한적 예로는 타르타르 크림, 칼슘 실리케이트, 실리콘 디옥사이드,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Avicel, FMC BioPolymer, Philadelphia, Pennsylvania) 및 트리인산 칼슘이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응고 방지제는 식탁용 기능성 감미료 조성물 중에 식탁용 기능성 감미료 조성물의 약 0.001 내지 약 3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식탁용 NHPS 조성물은 수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체화되고 포장되며, 본 발명의 식탁용 NHPS 조성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어떠한 형태일 수 있다는 것이 의도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 따르면, 비제한적 예로는 분말 형태, 그래뉼 형태, 포켓, 정제 (tablet), 사셋 (sachet), 펠릿, 큐브, 고체 및 액체가 있다.
실시 상태에서, 식탁용 NHPS 조성물은 기능성 감미료 제제의 건식 블렌드를 함유하는 1회분 (적정 분량; portion 대조군) 포켓을 함유한다. 건식 블렌드 제제은 일반적으로 분말 또는 그래뉼을 함유할 수 있다. 식탁용 NHPS 조성물은 어떠한 크기의 포켓 내에도 있을 수 있지만, 통상적인 적정 분량 식탁용 감미료 포켓의 설명적인 비한정 예는 대략 가로 2.5인치에 세로 1.5 인치이고, 감미료 조성물의 대략 1그램은 그래뉼화된 당의 2 티스푼 (~ 8 g)과 등가의 단맛을 가진다. 건식 블렌드 식탁용 NHPS 제제에서의 NHPS의 양은 상이한 NHPS의 효능의 변화에 따라 변할 것이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건식 블렌드 식탁용 NHPS 제제은 NHPS을 식탁용 NHPS 조성물의 약 1 % (w/w) 내지 약 10 % (w/w)의 양으로 함유한다.
고체 식탁용 NHPS 실시 상태는 큐브 및 정제를 포함한다. 통상적인 큐브의 비한정 예로는 대략 2.2 x 2.2 x 2.2 cm3이고, 중량이 대략 8 g인 그래뉼화된 당의 표준 큐브의 크기와 등가인 것이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고체 식탁용 감미료는 정제 형태 또는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진 어떠한 기타의 형태이다.
식탁용 NHPS 조성물은 또한 액체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는데, 여기서 NHPS는 액체 담체와 배합된다. 액체 식탁용 감미료 기능성 감미료용 담체 제제로서 적절한 비제한적 예로는 물, 알코올, 폴리올, 물에 용해된 글리세린 염기 또는 시트르산 염기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상이한 고효능 감미료의 효능의 변화에 따라, 액체 식탁용 NHPS 제제 내의 고효능 감미료의 양도 변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거나 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어떠한 형태를 위한 식탁용 NHPS 조성물과 등가인 단맛은 바람직한 단맛 특성을 얻도록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식탁용 NHPS 조성물은 표준 당의 균등량의 단맛과 비교할 수 있는 단맛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식탁용 NHPS 조성물은 당의 균등량의 단맛의 최대 100배까지의 단맛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식탁용 NHPS 조성물은 당의 균등량의 단맛의 최대 90배, 80배, 70배, 60배, 50배, 40배, 30배, 20배, 10배, 9배, 8배, 7배, 6배, 5배, 4배, 3배 및 2배의 단맛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식탁용 NHPS 조성물은 또한 소망하는 용도로, 예컨대, 음료, 식품, 약제, 화장, 허브/비타민, 담배에서 및 감미로울 수 있는 어떠한 기타 생성물에서 제제화될 수 있다. 예컨대, 제빵용 식탁용 NHPS 조성물은 캡슐화제와 같은 추가의 보호제를 가지도록 제제화될 수 있다. 기타 형태는 식탁용 감미료 분야의 숙련자에게 너무도 분명할 것이다.
포켓용의 분말 또는 그래뉼화된 NHPS 제제을 제조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유동층 응집 방법을 포함한다.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을 만드는 기타 방법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숙련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NHPS의 양과, 단맛 개선 조성물, 부형제 및/또는 응고 방지제의 양 및 타입이 개질되어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의 맛을 소망하는 특성 및 최종 용도에 맞출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식탁용 기능성 감미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의 특정 실시 상태는 DuBois 등에 의하여 2006년 6월 19일에 출원된 "시간 및/또는 향미 피로파일이 개선된 천연 고효능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 이들의 제제화 방법 및 용도"라는 제목의 미국 가출원 제60/805,209호 개시되어 있고, 그 개시 내용은 참고 문헌으로서 그 내용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병합되어 있다.
4. 경구 섭취 가능한 감미된 조성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따라 감미된 조성물은 피감미 조성물, 1종 이상의 NHPS 및/또는 1종 이상의 개질된 NHPS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함유한다. 다수의 적절한 피감미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감미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NHPS는 감미된 조성물의 특정 타입 및 그 소망하는 단맛에 따라 다양하게 변한다.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숙련자는 감미된 조성물 내에 넣는 감미료의 적정량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NHPS는 감미된 조성물의 약 1 내지 약 5,000 ppm 범위 내의 양으로 감미된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감미된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100,000 ppm 범위 내의 양으로 감미된 조성물 중에 존재한다.
특정 실시 상태에 따르면, 조성물 감미용 NHPS의 적절한 양은 리바우디오사이드 A 약 100 ppm 내지 약 3,000 ppm; 스테비아 약 50 ppm 내지 약 3,000 ppm; 스테비오사이드 약 50 ppm 내지 약 3,000 ppm; 모르구로사이드 IV 약 50 ppm 내지 약 3,000 ppm; 모르구로사이드 V 약 50 ppm 내지 약 3,000 ppm; 루오 한 구오 감미료 약 50 ppm 내지 약 3,000 ppm; 모나틴 약 5 ppm 내지 약 300 ppm, 커큘린 약 5 ppm 내지 약 200 ppm; 및 모노-암모늄 글리시리즈산 염 수화물 약 50 ppm 내지 약 3,000 ppm의 범위 내의 양을 함유한다.
하나의 특정 실시 상태에서,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은 1종 이상의 NHPS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함유하는, 탄산가스로 포화시킨 음료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NHPS는 리바우디오사이드 A, 리바우디오사이드 B, 리바우디오사이드 C, 리바우디오사이드 D, 리바우디오사이드 E, 리바우디오사이드 F, 둘코사이드 A, 둘코사이드 B, 루부소사이드,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오 한 구오 감미료, 시아메노사이드, 모나틴 및 이들의 염 (모나틴 SS, RR, RS, SR), 커큘린, 글리시리즈산 및 이들의 염, 토마틴, 모넬린, 마빈린, 브라제인, 헤르난둘신, 필로둘신, 글리시필린, 플로리드진, 트리로바틴, 바이유노사이드, 오스라딘, 폴리포도사이드 A, 테로카르요사이드 A, 테로카르요사이드 B, 무쿠로지오사이드, 플롬이소사이드 I, 페리안드린 I, 아브루소사이드 A, 사이클로카리오사이드 I 또는 이들의 배합물 중에서 선택되고;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과 이들의 대응하는 염, 폴리아미노산 및 이들의 염, 당산 및 이들의 염, 유기산, 무기산, 유기염, 무기염, 쓴맛 화합물, 풍미제, 수렴성 화합물, 폴리머,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계면 활성제, 유화제,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및 이들의 배합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따른 산란 세기 대 산란 각 2θ의 플롯에서의 리바우디오사이드 A 다형체 제1형의 분말 x선 회절 스캔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따른 산란 세기 대 산란 각 2θ의 플롯에서의 리바우디오사이드 A 다형체 제2형의 분말 x선 회절 스캔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따른 산란 세기 대 산란 각 2θ의 플롯에서의 리바우디오사이드 A 다형체 제3A형의 분말 x선 회절 스캔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따른 산란 세기 대 산란 각 2θ의 플롯에서의 리바우디오사이드 A 다형체 제3B형의 분말 x선 회절 스캔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따른 산란 세기 대 산란 각 2θ의 플롯에서의 리바우디오사이드 A 다형체 제4형의 분말 x선 회절 스캔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각 실시예에 의하여 더 설명되는데,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한계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반면에, 본 명세서의 설명을 읽은 후에, 본 발명의 정신 및/또는 첨부되어 있는 청구항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이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제안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타의 실시 상태, 변형물 및 이들의 등가물에 대한 수단을 취할 수 있다는 사실은 분명하게 인식되어야 한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는 중량%이다.
A. 실시예 A
관능 평가의 대표적인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프로토콜과 유사한, 다음의 프로토콜로서 제공된다. 이 평가 프로토콜에 있어서, 어떠한 시료도 삼키지 않았다. 모든 시료를 뱉어내었고, 맛을 본 후 입을 물로 헹구었다. 단계 1에서, 10% 수크로스 대조군 시료 ca. 10 mL를 구강 내에 재빠르게 퍼트려 맛을 보고 "단맛 세기"를 측정하였다. 이 세기는 0 내지 15 스케일 (여기서, 0은 단맛을 지각하지 못하는 것 및 15는 15% 수크로스의 단맛임) 중의 10으로 정의한다. 최대 단맛을 느낀 즉시 시료를 뱉어내고, 입을 물로 헹구며, 단맛 감퇴 속도 ("단맛의 잔류")를 측정하였는데, 물로 헹군 후 3 내지 4분 단맛에 주의를 집중하였다. 단맛의 잔류는 식품 및 음료의 관능 평가의 전문가 패널에 의하여 다음의 스케일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0 = 단맛의 잔류이 없슴, 1 = 매우 미약한 단맛의 잔류, 2 = 미약한 단맛의 잔류, 3 = 보통의 단맛의 잔류, 4 = 적당히 높은 단맛의 잔류, 5 = 높은 단맛의 잔류. 시료의 맛을 보는 것이 완료된 후, 짠 굴 크래커를 씹은 후 물로 헹구도록 하고, 다음 시료를 맛보기 전에 5분 이상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프로토콜에 의하여 관찰되는 수크로스에 대한 "단맛의 잔류" 속도를 0으로 정의하였다. 실험 시료는 동일한 프로토콜에 의하여 그 맛을 확인하였고, 관능 시스템의 재평형을 보장하기 위하여 시료 간에 충분한 시간이 확보되도록 하였다. 실험 과정 중에 대조군 시료를 다시 맛보는 것을 허용하고 장려하였다.
개시 및/또는 단맛의 잔류에 관하여 2개의 대조군과 단맛 개선 첨가제의 첨가 간의 맛 비교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B. 실시예 세트 B
실시예에서는 범위를 제공하는데, NHPS, 예컨대 리바우디오사이드-A (REBA)을 함유하는 수많은 음료에 있어서는 대응하는 단맛 개선 조성물의 1:1 희석을 사용하여 최상층 범위에서 바닥 범위까지를 5 내지 7 레벨로 행하였다. 보고되는 단맛 잔류 속도는 모든 시료에 의하여 달성되는 단맛의 잔류 (최저 수치)에 있어서 당과 가장 비슷하였다 (즉, 단맛의 잔류이 가장 짧았슴). 실시예 A의 대표적인 프로토콜에서 설명한 맛을 보는 프로토콜 및 관능 점수를 세트 B의 실시예에서 사용하였다.
대조군 시료
REBA는 가장 깨끗한 향미 특성 (즉, 오직 단)을 가지고 및 단맛의 개시 속도가 허용가능한 것인 천연 무칼로리 감미료이지만, 그 단맛은 탄수화물 감미료의 단맛보다 상당히 눈에 뛸 정도로 잔류한다.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REBA 400 ppm 의 단맛의 잔류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의 REBA 400 ppm (수크로스 8 g에 등가)의 단맛의 잔류에 대한 제제 변화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 잔류 속도는 5로 측정되었다.
당 8 g을 시트레이트 완충액 100 ml 중에 용해시켰다. 이 대조군 시료의 단맛 잔류 속도는 0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1
REBA 400 mg을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35 g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 잔류 속도는 1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2
REBA 400 mg을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D-타가토스 10 g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3
REBA 180 ppm을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HFCS 55 70 g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 잔류는 1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4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매트리스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콜린 클로라이드 1,175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5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D-타가토스 7,5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6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D-타가토스 10,000 ppm을 염기 용액에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7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모노 소듐 글루타메이트 64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8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크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비리디플로롤 1.2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9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나린진 25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10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AMP 25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11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말산 8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12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퀴닌 1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13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염화 나트륨 15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14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소듐 글루코네이트 5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15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D/L 알라닌 1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16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트레할로스 1,25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17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2,4-디하이드록시벤조산 25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18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트레아닌 1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19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카페산 112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20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10,0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21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55%) 10,0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22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염화 칼륨 15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23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포타슘 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3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24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포타슘 타르트레이트 125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25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소듐 타르트레이트 2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26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세네갈 아카시아 고무 4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27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세네갈 아카시아 고무 2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28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파이버검 4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29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클로로제산 1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30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탄올 2,5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31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타우린 2,5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32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프로필렌 글리콜 625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33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5,0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34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β-사이클로덱스트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35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β-사이클로덱스트린 2,5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36-B40은 시판되는 제품을 REBA/시트레이트 조성물 360 ppm과 1:1로 희석시켜 제조한 50% 칼로리 감소된 제품이었다. 얻어진 제품은 REBA 180 ppm (5% 수크로스에 등가임)을 함유하고, 10% 수크로스/시트레이트 조성물 (유사한 향미 수준의 제품과 비교)과 1:1로 희석시킨 제품과 비교하였다.
실시예 B36
시판되는 네스티 (Nestea) 쿨 레몬 아이스드 차 제품을 REBA/시트레이트 조성물 360 ppm과 1:1로 희석시켰다. 이것은 REBA 180 ppm (5% 수크로스에 등가임)을 함유하는 제품이다. 이 제품을 시판되는 네스티 쿨 레몬 아이스드 차와 비교하였다. REBA 제품은 향미 및 맛에서 대응하는 수크로스 제품과 매우 유사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1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37
시판되는 웰치 100% 포도 쥬스 제품을 REBA/시트레이트 조성물 360 ppm과 1:1로 희석시켰다. 이것은 REBA 180 ppm (5% 수크로스에 등가임)을 함유하는 제품이다. REBA 제품은 향미 및 맛에서 대응하는 수크로스 제품과 매우 유사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1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38
시판되는 미닛 메이드 사과 쥬스 100% 쥬스 제품을 REBA/시트레이트 조성물 360 ppm과 1:1로 희석시켰다. 이것은 REBA 180 ppm (5% 수크로스에 등가임)을 함유하는 제품이다. 이 제품을 시판되는 미닛 메이드 사과 쥬스 100% 쥬스와 비교하였다. REBA 제품은 향미 및 맛에서 대응하는 수크로스 제품과 매우 유사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1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39
시판되는 미닛 메이드 크랜베리/사과/라스베리 25% 쥬스 제품을 REBA/시트레이트 조성물 360 ppm과 1:1로 희석시켰다. 이것은 REBA 180 ppm (5% 수크로스에 등가임)을 함유하는 제품이다. 이 제품을 시판되는 미닛 메이드 크랜베리/사과/라스베리 25% 쥬스와 비교하였다. REBA 제품은 향미 및 맛에서 대응하는 수크로스 제품과 매우 유사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1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40
시판되는 미닛 메이드 크랜베리/포도 25% 쥬스 제품을 REBA/시트레이트 조성물 360 ppm과 1:1로 희석시켰다. 이것은 REBA 180 ppm (5% 수크로스에 등가임)을 함유하는 제품이다. 이 제품을 시판되는 미닛 메이드 크랜베리/포도 25% 쥬스와 비교하였다. REBA 제품은 향미 및 맛에서 대응하는 수크로스 제품과 매우 유사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1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41
REBA 500 ppm 감미된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단맛 농도 10% 수크로스 등가)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의 단맛의 잔류는 5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42
3.5% 에리트리톨로 REBA 400 ppm 감미된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단맛 농도 10% 수크로스 등가)을 제조하였다. 이 제품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43
8% 에리트리톨로 REBA 180 ppm 감미된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단맛 농도 10% 수크로스 등가)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의 단맛의 잔류는 1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44
3.3% 수크로스 및 3.5% 에리트리톨로 REBA 180 ppm 감미된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단맛 농도 10% 수크로스 등가)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의 단맛의 잔류는 1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45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파이버검-P 400 ppm (예컨대, 세네갈 아카시아 고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46
REBA 5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1 리터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MW 83,000, 100 ppm 내지 3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47
5% 수크로스 (최종 제품의 부피 중량, weight by volume) 및 REBA 80 ppm을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3.5% 에리트리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0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48
5% 수크로스 (최종 제품의 부피 중량) 및 REBA 180 ppm을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49
5% 수크로스 (최종 제품의 부피 중량) 및 REBA 80 ppm을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0.75%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50
5% 수크로스 (최종 제품의 부피 중량) 및 REBA 80 ppm을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3.5% 에리트리톨 및 0.75%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0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51
3.3% 수크로스 (최종 제품의 부피 중량) 및 REBA 160 ppm을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3.5% 에리트리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1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52
3.3% 수크로스 (최종 제품의 부피 중량) 및 REBA 160 ppm을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3.5% 에리트리톨 및 0.75%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1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53
3.3% 수크로스 및 REBA 280 ppm을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0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54
REBA 36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3.5% 에리트리톨, 0.75% 글라이신, 염화 칼륨 250 ppm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65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55
REBA 48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0.75% 글라이신, 염화 칼륨 250 ppm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65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56
REBA 32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3.5% 에리트리톨, 0.75% 프락토스, 염화 칼륨 250 ppm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65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57
REBA 45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0.75% 프락토스, 염화 칼륨 250 ppm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65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58
REBA 36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3.5% 에리트리톨 및 파이버검-P (예컨대, 세네갈 아카시아 고무) 4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59
REBA 48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파이버검-P (예컨대, 세네갈 아카시아 고무) 4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60
REBA 36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3.5% 에리트리톨, 0.5% 글라이신, 0.25% 알라닌, 염화 칼륨 250 ppm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65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1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61
REBA 48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0.5% 글라이신, 0.25% 알라닌, 염화 칼륨 250 ppm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65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62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크레아틴 2,5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B63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L-소듐 락테이트 250-5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B64
2개의 용액을 제조하였다. 각각에 있어서,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78 ppm 내지 156 ppm 및 1,250 ppm의 가용성 쌀 단백질을 각각의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들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이들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B65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312 ppm 내지 625 ppm의 가용성 쌀 단백질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B66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1,000 ppm 내지 2,000 ppm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알기네이트 (PGA)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5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B67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글리세린 5,0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68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2,500 ppm의 파이버솔-2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1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69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125 ppm 콜라겐 (가향되지 않은 젤라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B70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2,000 ppm 콜라겐 (가향되지 않은 젤라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B71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효소 개질된 루틴 산멜린™ AO (San-Ei Gen F.F.I., Inc., Osaka, Japan) 125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B72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효소 개질된 루틴 산멜린™ AO (San-Ei Gen F.F.I., Inc., Osaka, Japan) 25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B73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포도 껍질 추출물 625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B74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감미료 164126에 대한 심라이스™ 천연 향미 차단제 (Symrise™, Holzminden, Germany) 625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B75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감미료 164126에 대한 심라이스™ 천연 향미 차단제 (Symrise™, Holzminden, Germany) 1,250 ppm 내지 2,500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B76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천연 어드벤티지™ 쓴맛 차단제 9 (Natural Advantage™, Freehold, New Jersey, U.S.A.) 2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B77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천연 어드벤티지™ 쓴맛 차단제 2 (Natural Advantage™, Freehold, New Jersey, U.S.A.) 1 ppm 내지 2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78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천연 어드벤티지™ 쓴맛 차단제 1 (Natural Advantage™, Freehold, New Jersey, U.S.A.) 2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B79
REBA 400 ppm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천연 어드벤티지™ 쓴맛 차단제 10 (Natural Advantage™, Freehold, New Jersey, U.S.A.) 4 ppm 내지 8 ppm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C. 실시예 세트 C
대조군 시료
모노-암모늄 글리시리즈산 염 수화물 (단맛 농도 4% 수크로스 등가) 375 mg을 탄소 처리 물 1리터 중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5로 측정되었다.
수크로스 10 g을 100 ml의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켰다. 이 대조군 시료의 단맛 잔류 속도는 0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C1
375 mg의 모노암모늄 글리시리즈산 염 수화물을 탄소 처리 물 1리터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50,000 ppm의 NaCl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1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C2
375 mg의 모노암모늄 글리시리즈산 염 수화물을 탄소 처리 물 1리터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25,000 ppm의 NaCl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C3
375 mg의 모노-암모늄 글리시리즈산 염 수화물을 탄소 처리 물 1리터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10,000 ppm의 NaCl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C4
375 mg의 모노-암모늄 글리시리즈산 염 수화물을 탄소 처리 물 1리터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5,000 ppm의 NaCl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5로 측정되었다.
*D. 실시예 세트 D
실시예 D1
400-500 ppm의 스테비아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파이버검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
5%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스테비아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
5%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스테비아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4
5%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스테비아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및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5
3.3%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스테비아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6
3.3%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스테비아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및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7
3.3%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스테비아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실시예 D8
400-500 ppm의 스테비아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글라이신,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9
400-500 ppm의 스테비아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0
400-500 ppm의 스테비아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프락토스,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1
400-500 ppm의 스테비아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프락토스,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2
400-500 ppm의 스테비아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및 파이버검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3
400-500 ppm의 스테비아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파이버검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4
400-500 ppm의 스테비아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글라이신, 알라닌,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5
400-500 ppm의 스테비아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알라닌,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6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D-글루콘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7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D-글루콘산, 칼륨 염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8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트레오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9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세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0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알라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1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2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β-알라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3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폴리-L-α-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4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폴리-L-ε-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5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아디프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6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63,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7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6,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8
400-500 mg을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83,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9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1,300,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0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푸룻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1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타르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2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중황산 나트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3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라우르산 아르기네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4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L-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5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6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요소 및 염화 나트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7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요소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8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콜린 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9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D-글루코사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40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폴리-L-ε-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41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염화 나트륨 및 염화 칼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42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황산 알루미늄 (알룸)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43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염화 칼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44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소듐 글루코네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45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폴리에틸렌이민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46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키토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47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폴리 L-오르니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48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염화 마그네슘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49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유청 단백질 (농축물 34%)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400-500 mg의 스테비아를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1리터 탄소 처리 물 및 인산 (75%) 중에 용해시킨다. 그런 후에 푸마르산, 말산 및 타르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50
400-500 ppm의 스테비오사이드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파이버검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51
5%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스테비오사이드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52
5%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스테비오사이드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53
5%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스테비오사이드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및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54
3.3%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스테비오사이드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55
3.3%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스테비오사이드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및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56
400-500 ppm의 스테비오사이드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글라이신,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57
400-500 ppm의 스테비오사이드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58
400-500 ppm의 스테비오사이드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프락토스,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59
400-500 ppm의 스테비오사이드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프락토스,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60
400-500 ppm의 스테비오사이드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및 파이버검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61
400-500 ppm의 스테비오사이드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파이버검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62
400-500 ppm의 스테비오사이드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글라이신, 알라닌,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63
400-500 ppm의 스테비오사이드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알라닌,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64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D-글루콘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65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D-글루콘산, 칼륨 염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66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트레오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67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세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68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알라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69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70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β-알라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71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폴리-L-α-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72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폴리-L-ε-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73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아디프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74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63,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75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6,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76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93,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77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1,300,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78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푸룻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79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타르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80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중황산 나트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81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라우르산 아르기네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82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83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84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요소 및 염화 나트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85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요소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86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콜린 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87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D-글루코사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88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ε-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89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염화 나트륨 및 염화 칼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90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황산 알루미늄 (알룸)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91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염화 칼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92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소듐 글루코네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93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에틸렌이민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94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키토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95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 L-오르니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96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염화 마그네슘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97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유청 단백질 (농축물 34%)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400-500 mg의 스테비오사이드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푸마르산, 말산 및 타르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98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IV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파이버검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99
5%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IV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00
5%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IV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실시예 D101
5%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IV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02
5%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IV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및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03
3.3%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IV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04
3.3%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IV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및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05
3.3%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IV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실시예 D106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IV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글라이신,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07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IV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08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IV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프락토스,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09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IV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프락토스,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10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IV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및 파이버검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11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IV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파이버검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12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IV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글라이신, 알라닌,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13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IV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알라닌,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14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D-글루콘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15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D-글루콘산, 칼륨 염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16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트레오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17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세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18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알라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19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20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β-알라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21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폴리-L-α-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22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폴리-L-ε-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23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아디프산을n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24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63,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25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6,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26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93,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27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1,300,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28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푸룻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29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타르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30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중황산 나트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31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라우르산 아르기네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32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33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34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요소 및 염화 나트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35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요소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36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콜린 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37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D-글루코사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38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ε-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39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염화 나트륨 및 염화 칼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40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황산 알루미늄 (알룸)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41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염화 칼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42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소듐 글루코네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43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에틸렌이민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44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키토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45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 L-오르니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46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염화 마그네슘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47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유청 단백질 (농축물 34%)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48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I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푸마르산, 말산 및 타르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49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V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파이버검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50
5%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V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51
5%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V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52
5%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V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및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53
3.3%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V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54
3.3%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V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및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55
3.3%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V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실시예 D156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V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글라이신,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57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V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58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V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프락토스,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59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V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프락토스,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60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V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및 파이버검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61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V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파이버검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62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V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글라이신, 알라닌,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63
400-500 ppm의 모그로사이드 V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알라닌,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64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D-글루콘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65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D-글루콘산, 칼륨 염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66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트레오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67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세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68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알라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69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70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β-알라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71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폴리-L-α-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72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폴리-L-ε-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73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아디프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74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63,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75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6,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76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93,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77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1,300,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78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푸룻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79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타르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80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중황산 나트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81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라우르산 아르기네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82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83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84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요소 및 염화 나트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85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요소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86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콜린 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87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D-글루코사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88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ε-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89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염화 나트륨 및 염화 칼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90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황산 알루미늄 (알룸)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91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염화 칼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92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소듐 글루코네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93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에틸렌이민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94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키토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95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 L-오르니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96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염화 마그네슘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97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유청 단백질 (농축물 34%)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98
400-500 mg의 모그로사이드 V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푸마르산, 말산 및 타르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199
400-500 ppm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파이버검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00
5%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01
5%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실시예 D202
5%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03
5%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및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04
3.3%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05
3.3% 수크로스 및 400-500 ppm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및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06
400-500 ppm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글라이신,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07
400-500 ppm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08
400-500 ppm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프락토스,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09
400-500 ppm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프락토스,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10
400-500 ppm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및 파이버검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11
400-500 ppm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파이버검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12
400-500 ppm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글라이신, 알라닌,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13
*400-500 ppm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알라닌,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14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D-글루콘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15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D-글루콘산, 칼륨 염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16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트레오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17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세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18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알라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19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20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β-알라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21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폴리-L-α-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22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폴리-L-ε-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23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아디프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24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63,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25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6,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26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93,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27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1,300,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28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푸룻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29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타르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30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중황산 나트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31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라우르산 아르기네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32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33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34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요소 및 염화 나트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35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요소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36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콜린 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37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D-글루코사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38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ε-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39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염화 나트륨 및 염화 칼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40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황산 알루미늄 (알룸)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41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염화 칼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42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소듐 글루코네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43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에틸렌이민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44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키토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45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 L-오르니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46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염화 마그네슘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47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유청 단백질 (농축물 34%)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48
400-500 mg의 루오 한 구오 감미료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푸마르산, 말산 및 타르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49
25-50 ppm의 모나틴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파이버검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50
5% 수크로스 및 25-50 ppm의 모나틴을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51
5% 수크로스 및 25-50 ppm의 모나틴을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52
5% 수크로스 및 25-50 ppm의 모나틴을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및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53
3.3% 수크로스 및 25-50 ppm의 모나틴을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54
3.3% 수크로스 및 25-50 ppm의 모나틴을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및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55
25-50 ppm의 모나틴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글라이신,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56
25-50 ppm의 모나틴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57
25-50 ppm의 모나틴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프락토스,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58
25-50 ppm의 모나틴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프락토스,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59
25-50 ppm의 모나틴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및 파이버검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60
25-50 ppm의 모나틴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파이버검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61
25-50 ppm의 모나틴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글라이신, 알라닌,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62
25-50 ppm의 모나틴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알라닌,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63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D-글루콘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64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D-글루콘산, 칼륨 염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65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트레오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66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세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67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알라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68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69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β-알라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70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폴리-L-α-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71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폴리-L-ε-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72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아디프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73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63,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74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6,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75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83,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76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1,300,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77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푸룻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78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타르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79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중황산 나트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80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라우르산 아르기네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81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82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83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요소 및 염화 나트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84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요소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85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콜린 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86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D-글루코사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87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ε-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88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염화 나트륨 및 염화 칼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89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황산 알루미늄 (알룸)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90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염화 칼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91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소듐 글루코네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92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에틸렌이민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93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키토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94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 L-오르니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95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염화 마그네슘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96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유청 단백질 (농축물 34%)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97
25-50 mg의 모나틴를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푸마르산, 말산 및 타르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98
50-200 ppm의 커큘린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파이버검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299
5% 수크로스 및 50-200 ppm의 커큘린을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00
5% 수크로스 및 50-200 ppm의 커큘린을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01
5% 수크로스 및 50-200 ppm의 커큘린을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및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02
3.3% 수크로스 및 50-200 ppm의 커큘린을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03
3.3% 수크로스 및 50-200 ppm의 커큘린을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및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04
50-200 ppm의 커큘린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글라이신,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05
50-200 ppm의 커큘린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06
50-200 ppm의 커큘린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프락토스,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07
50-200 ppm의 커큘린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프락토스,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08
50-200 ppm의 커큘린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및 파이버검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09
50-200 ppm의 커큘린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파이버검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10
50-200 ppm의 커큘린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에리트리톨, 글라이신, 알라닌,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11
50-200 ppm의 커큘린을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 중의 것과 등가인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알라닌, 염화 칼륨 및 포타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12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D-글루콘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13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D-글루콘산, 칼륨 염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14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트레오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15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세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16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알라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17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18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β-알라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19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폴리-L-α-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20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폴리-L-ε-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21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아디프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22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63,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23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6,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24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93,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25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α-라이신 (분자량 ~ 1,300,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26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푸룻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27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타르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28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중황산 나트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29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라우르산 아르기네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30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L-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31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32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요소 및 염화 나트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33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요소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34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콜린 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35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D-글루코사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36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L-ε-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37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염화 나트륨 및 염화 칼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38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황산 알루미늄 (알룸)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39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염화 칼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40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글라이신 및 소듐 글루코네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41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에틸렌이민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42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키토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43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폴리 L-오르니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44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염화 마그네슘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45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유청 단백질 (농축물 34%)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D346
50-200 mg의 커큘린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인산 (75%)을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한다. 그런 후에 푸마르산, 말산 및 타르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E. 실시예 세트 E
실시예 세트 E에서 제공되는 제제는 총합 100 중량%가 되도록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 중에서 발견되는 기타 화합물과 베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공되는 제제와의 배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은 액체, 고체, 기체, 겔 또는 제제를 위한 단체로서 작용하는 이와 유사한 것의 형태로서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물 (예컨대, 탄산가스로 포화시킨, 탄소 처리 또는 비탄산), 향미 및/또는 산미제 (acidulant)는 제공되는 제제에 추가로 사용되어 총 100 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E1
3.5 % 에리트리톨, REBA 400 ppm, 0.02% 향미 및 0.5% 타가토스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2
3.5 % 에리트리톨, REBA 400 ppm, 0.0015 향미 및 0.5% 타가토스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3
3.5 % 에리트리톨, REBA 400 ppm, 0.0033% 향미 및 0.5 % 타가토스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4
*3.4 % 수크로스, 3.5 % 에리트리톨 및 180 ppm의 REBA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5
5 % 수크로스, 3.5 % 에리트리톨 및 100 ppm의 REBA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6
360 ppm의 REBA, 0.75 % 글라이신, 250 ppm의 KCl 및 650 ppm의 KH2PO4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7
3.5 % 에리트리톨, 320 ppm의 REBA, 0.75 % 프락토스, 250 ppm의 KCl 및 650 ppm의 KH2PO4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8
3.5 % 에리트리톨, 360 ppm의 REBA 및 400 ppm의 파이버검 P (아카시아 ㅅ세세얄 고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9
3.3% 수크로스, 3.5 % 에리트리톨 및 160 ppm의 REBA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10
5 % 수크로스, 3.5 % 에리트리톨 및 90 ppm의 REBA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11
65 ppm의 글루탐산 및 5REBA 80 ppm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12
0.7 ppm의 올레놀 산, 3.5 % 에리트리톨, 5REBA 80 ppm 및 풍미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13
0.2% 타가토스 및 5REBA 80 ppm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14
0.2% 타가토스, 0.6 ppm의 풍미제 및 5REBA 80 ppm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15
3.5% 에리트리톨 및 5REBA 80 ppm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16
0.005% 풍미제 및 5REBA 80 ppm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17
20 ppm의 탈린 및 5REBA 80 ppm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18
30 ppm의 시트러스 추출물 및 5REBA 80 ppm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19
0.1 내지 0.05% 풍미제 및 5REBA 80 ppm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20
0.033 루오 한 구오 감미료 및 5REBA 80 ppm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21
3 ppm의 풍미제 및 5REBA 80 ppm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22
0.004 ppm의 쓴 오렌지 및 5REBA 80 ppm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23
0.004%의 쓴 오렌지 및 5REBA 80 ppm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24
2 ppm의 헵타디엔알 및 5REBA 80 ppm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25
0.33% 푸루타르 산 및 5REBA 80 ppm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26
1,400 ppm의 콜린 클로라이드 및 5REBA 80 ppm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27
0.1% 콜로이드 및 5REBA 80 ppm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28
0.033% 풍미제 및 5REBA 80 ppm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29
0.15%의 풍미제 및 5REBA 80 ppm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30
0.1% 폴리하이드록시 알코올 및 5REBA 80 ppm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배합한다.
실시예 E31
3.5% 에리트리톨, 65 ppm의 숙신산 및 3ppm의 풍미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REBA과 배합한다.
F. 실시예 세트 F
단맛 개선 조성물을 REBA 용액과 배합하여 그들의 단맛 잔류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초기 시료 또는 추가 희석을 살펴 보는 것은 역치 바로 위의 농도, 본 명세서에서는 "역치에 근접한 농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역치에 근접한 첨가제 농도, 6배 내지 100배 더 높은 첨가제 농도 (좋지 않은 맛 세기에 의존함) 및 중간 농도의 첨가제 농도 (역치에 근접한 것 내지 더 높은 첨가제 농도 사이의 중간)를 평가하여 REBA 용액의 단맛의 잔류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인산으로 pH 2.5 또는 시트르산 및 구연산 칼륨으로 pH 3.1에서, 인산 용액 (75%) 중의 500 ppm REBA의 제제를 제조한 후 3개 수치 농도에서의 첨가제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실시예 세트 G에서 설명한 프로토콜을 사용한 관능 평가를 사용하여 REBA 용액의 단맛의 잔류를 평가하였다.
대조군 시료
500 ppm의 REBA을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하였다. 이 대조군 시료의 단맛 잔류 속도는 5로 측정되었다.
10 g의 당을 100 ml의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하였다. 이 대조군 시료의 단맛 잔류 속도는 0으로 측정되었다.
다음의 실시예 F 1-148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상태에 따른 리바우디오사이드 A 및 단맛 개선 조성물의 배합을 설명한다:
실시예 F1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5,000 ppm의 D-프락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2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500 ppm 내지 20,000 ppm의 프로필렌 글리콜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3
36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5,000 ppm의 에리트리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4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93 ppm 내지 368 ppm의 NaC1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5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5,000 ppm 내지 50,000 ppm의 NaC1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1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6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192 ppm 내지 4,770 ppm의 KC1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7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0 ppm 내지 500 ppm의 NaHSO4.H2O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8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0,000 ppm 내지 50,000 ppm의 NaH2PO4.H2O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9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0,000 ppm 내지 20,000 ppm의 KH2PO4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0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5,000 ppm의 MgSO4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1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404 ppm 내지 1,003 ppm의 KAl(SO4)2 (알룸)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2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50 ppm의 KA1(SO4)2 (알룸)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3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4 ppm 내지 700 ppm의 염화 아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4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450 ppm의 KC1 및 680 ppm의 KH2PO4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15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470 ppm의 콜린 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6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175 ppm 내지 1,400 ppm의 콜린 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5.
실시예 F17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50 ppm 내지 1,000 ppm의 D-글루콘산, Na 염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8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50 ppm 내지 1,000 ppm의 D-글루콘산, K 염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9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0 ppm 내지 33 ppm의 구아니딘 HC1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20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500 ppm 내지 2,000 ppm의 포타슘 벤조에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21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500 ppm 내지 7,000 ppm의 D-글루코사민 HC1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22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647 ppm의 푸마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23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887 ppm의 말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24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50 ppm 내지 200 ppm의 말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25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500 ppm의 말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26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813 ppm의 타르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27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50 ppm 내지 200 ppm의 시트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28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171 ppm의 시트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29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500 ppm의 시트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30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50 ppm 내지 1,400 ppm의 아디프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31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400 ppm의 아디프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32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553 ppm의 아스코르브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33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00 ppm 내지 400 ppm의 탄닌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34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5,000 ppm의 글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1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35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750 ppm의 글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5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36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7,000 ppm의 글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37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5,000 ppm의 L-알라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38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500 ppm 및 7,000 ppm 내지 10,000 ppm의 L-알라닌을 각각의 염기 용액 중에 용해시켰다. 2개의 용액 모두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39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5,000 ppm 내지 25,000 ppm의 L-세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40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50 ppm 내지 15,000 ppm의 L-트레오닌을 각각의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들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41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500 ppm 및 10,000 ppm의 β-알라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배합물을 당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42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5,000 ppm의 β-알라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43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00 ppm 내지 10,000 ppm의 γ-아미노 부티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44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0 ppm 내지 100 ppm의 γ-아미노 부티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45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00 ppm의 L-아스파르트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46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000 ppm의 L-아스파르트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47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4,000 ppm의 L-글루탐산, Na 염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48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50 ppm 내지 750 ppm의 L-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49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500 ppm의 L-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50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5,000 ppm의 글라이신 및 2,500 ppm의 L-알라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51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750 ppm의 글라이신 및 3,750 ppm의 L-알라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52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50 ppm의 디옥틸 술포숙시네이트 소듐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53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0 ppm 내지 40 ppm의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54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0.4 ppm 내지 10 ppm의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5.
실시예 F55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0 ppm 내지 63 ppm의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물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56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500 ppm의 수크로스 올레에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57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400 ppm의 수크로스 올레에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58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0 ppm 내지 5,000 ppm의 수크로스 스테아레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59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00 ppm의 폴리소르베이트 2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60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600 ppm의 폴리소르베이트 8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61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500 ppm의 레시틴 (HLB value: 9.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62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5 ppm 내지 50 ppm의 폴리에틸렌이민 (물 중 5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63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80 ppm 내지 200 ppm의 폴리-L-오르니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64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400 ppm의 폴리-L-오르니틴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65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00 ppm의 폴리-L-α-라이신, MW 1,300,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66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400 ppm의 폴리-L-α-라이신, MW 1,300,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67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00 ppm의 폴리-L-α-라이신, MW 1,5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68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400 ppm을 폴리-L-α-라이신, MW 1,5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69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40 ppm 내지 200 ppm의 폴리-L-α-라이신, MW 25,2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70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00 ppm의 폴리-L-α-라이신, MW 6,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71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400 ppm의 폴리-L-α-라이신, MW 6,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72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00 ppm의 폴리-L-α-라이신, MW 63,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73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400 ppm의 폴리-L-α-라이신, MW 63,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74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엥 300 ppm의 폴리-L-α-라이신, MW 83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75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40 ppm의 폴리-L-α-라이신, MW 83,00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76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0 ppm 내지 1,000 ppm의 폴리-L-ε-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77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502 ppm의 폴리-L-ε-라이신 (25% 용액)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78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50 ppm의 폴리-L-ε-라이신 (25% 용액)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79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0 ppm 내지 1,000 ppm의 키토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80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000 ppm의 소 혈청 알부민 (BSA)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81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00 ppm 내지 5,000 ppm의 유청 단백질 (농축물 34%)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82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00 ppm 내지 5,000 ppm의 유청 단백질 가수 분해물, 90%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83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7,500 ppm의 L-알라닐-L-글루타민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84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5,000 ppm의 글라이신 및 375 ppm의 KA1(SO4)2.12H2O (알룸)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85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5,000 ppm의 요소 및 584 ppm의 염화 나트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86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500 ppm의 요소 및 584 ppm의 염화 나트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87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750 ppm의 글라이신 및 60 ppm 내지 90 ppm의 폴리-L-α-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88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750 ppm의 글라이신 및 10 ppm의 폴리-L-ε-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89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하후에 3,750 ppm의 글라이신 및 119 ppm의 염화 칼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90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5,000 ppm의 글라이신 및 239 ppm의 염화 칼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91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750 ppm의 글라이신 및 238 ppm의 염화 나트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92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750 ppm의 글라이신, 43 ppm의 NaC1 및 51 ppm의 KC1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93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5,000 ppm의 글라이신 및 501 ppm의 소듐 글루코네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94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000 ppm의 라우르산 아르기네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95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500 ppm의 L-알라닌 및 5,000 ppm의 프락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96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64 ppm 내지 540 ppm의 푸룻타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97
36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750 ppm 글라이신 및 35,000 ppm의 에리트리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98
36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5,000 ppm의 에리트리톨을, 3,750 ppm의 글라이신, 450 ppm의 KC1, 680 ppm의 KH2PO4 및 1,175 ppm의 콜린 클로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1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99
36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500 ppm의 L-알라닌, 5,000 ppm의 프락토스 및 35,000 ppm의 에리트리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100
36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5,000 ppm의 에리트리톨을, 3,750 ppm의 글라이신, 450 ppm의 KC1 및 680 ppm의 KH2PO4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101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625 ppm 내지 10,000 ppm의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02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625 ppm 내지 20,000 ppm의 트레할로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03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250 ppm 내지 20,000 ppm의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04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5 ppm 내지 800 ppm의 세네갈 아카시아 고무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05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000 ppm의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55%)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이 제제는 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F106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625 ppm 내지 10,000 ppm의 에탄올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07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12 ppm 내지 10,000 ppm의 프로필렌 글리콜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08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12 ppm 내지 10,000 ppm의 β-사이클로덱스트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09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7 ppm 내지 600 ppm의 NaC1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10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7 ppm 내지 600 ppm의 KC1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11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7 ppm 내지 600 ppm의 KH2PO4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12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6 ppm 내지 206 ppm의 MSG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13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2 ppm 내지 400 ppm의 AMP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14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125 ppm 내지 4,000 ppm의 소듐 글루코네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15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1 ppm 내지 1,000 ppm의 포타슘 타르트레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16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1 ppm 내지 1,000 ppm의 소듐 타르트레이트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17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00 ppm 내지 1,000 ppm의 말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18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1 ppm 내지 500 ppm의 2,4-디하이드록시벤조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19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8 ppm 내지 900 ppm의 카페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20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5 ppm 내지 400 ppm의 클로로젠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21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5 ppm 내지 400 ppm의 D/L-알라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22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25 ppm 내지 800 ppm의 트레오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23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12 ppm 내지 10,000 ppm의 타우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24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12 ppm 내지 10,000 ppm의 글라이신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25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 ppm 내지 100 ppm의 나린진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26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0.3 ppm 내지 10 ppm의 퀴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27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0.3 ppm 내지 10 ppm의 비리디플로롤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28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1 ppm 내지 1,000 ppm의 폴리페논 60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29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1 ppm 내지 1,000 ppm의 하이드록시시트르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30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00 ppm 내지 10,000 ppm의 글루코사민 HC1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31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1 ppm 내지 1,000 ppm의 살리실산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32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5% 수크로스, 3.5% 에리트리톨 및 0.75%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0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33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5% 수크로스 및 0.75%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34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3% 수크로스, 3.5% 에리트리톨 및 0.75%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1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35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3% 수크로스 및 3.5% D-타가토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36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5% 수크로스 및 3.5% 에리트리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0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37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5%의 수크로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38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3% 수크로스 및 3.5% 에리트리톨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1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39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30%의 수크로스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40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5% 에리트리톨, 0.75% 글라이신, 250 ppm의 KC1, 650 ppm의 KH2PO4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41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0.75% 글라이신, 250 ppm의 KC1, 650 ppm의 KH2PO4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42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5% 에리트리톨, 0.75% 프락토스, 250 ppm의 KC1, 650 ppm의 KH2PO4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43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0.75% 프락토스, 250 ppm의 KC1 및 650 ppm의 KH2PO4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44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5% 에리트리톨 및 400 ppm의 세네갈 아카시아 고무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45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400 ppm의 세네갈 아카시아 고무를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46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3.5% 에리트리톨, 0.5% 글라이신, 250 ppm의 KC1, 650 ppm의 KH2PO4 및 0.25%의 D-알라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1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F147
500 ppm의 REBA을 1리터 탄소 처리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가 pH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를 첨가하였다. 그런 후에 0.5% 글라이신, 250 ppm의 KC1, 650 ppm의 KH2PO4 및 0.25%의 D-알라닌을 염기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의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다음의 실시예 G1-G3, H1-H3, I, J1-J3 및 K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상태에 따라서 리바우디오사이드 A를 정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G. 실시예 세트 G

실시예 G1~3의 요약

조(粗) 리바우디오사이드 A (g)

에탄올 (95%)(㎖)

용매
메탄올 (99%)(㎖)


(㎖)

가열 온도 (℃)

건조 온도 (℃)

수득량
(g)

HPLC 순도 (wt/wt %)

G1

400

1200

400

320

50

50

130

98.9

G2

100

320

120

50

30~40

60

72

98.3

G3

50

160

60

25

~30

60

27.3

98.2
실시예 G1
시판 중인 원료로부터 조(粗) 리바우디오사이드 A (77.4% 순도) 혼합물을 얻었다. 건조 상태를 기초로 하는 HPLC를 사용하여 불순물 (6.2% 스테비오사이드, 5.6% 리바우디오사이드 C, 0.6% 리바우디오사이드 F, 1.0% 기타 스테비올글리코사이드 2, 3.0% 리바우디오사이드 D, 4.9% 리바우디오사이드 B, 0.3% 스테비올비오사이드)을 확인 및 정량하는데, 물 함량은 4.7%이었다.
조(粗) 리바우디오사이드 A (400 g), 에탄올 (95%, 1200 ㎖), 메탄올 (99%, 400 ㎖) 및 물 (320 ㎖)을 혼합하여 50℃로 10분간 가열하였다. 맑은 용액을 22℃로 16 시간 냉각시켰다. 백색의 결정을 여과하여 에탄올 (2 x 200 ㎖, 95%)로 2회 세척하고, 진공 오븐 중에서 50℃로 16-24 시간 동안 감압 (20 ㎜) 건조시켰다.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의 최종 조성물 (130 g)은 98.91 중량%의 리바우디오사이드 A, 0.06 중량%의 스테비오사이드, 0.03 중량%의 리바우디오사이드 C, 0.12 중량%의 리바우디오사이드 F, 0.13 중량%의 기타 스테비올글리코사이드, 0.1 중량%의 리바우디오사이드 D, 0.49 중량%의 리바우디오사이드 B 및 0.03 중량%의 스테비올비오사이드로 이루어져 있었다.
실시예 G2
시판 중인 원료로부터 조(粗) 리바우디오사이드 A (80.37% 순도)를 얻었다. 건조 상태를 기초로 하는 HPLC를 사용하여 불순물 (6.22% 스테비오사이드, 2.28% 리바우디오사이드 C, 0.35% 둘코사이드, 0.78% 리바우디오사이드 F, 0.72% 기타 스테비올글리코사이드, 3.33% 리바우디오사이드 B, 0.07% 스테비올비오사이드)을 확인 및 정량하는데, 물 함량은 3.4%이었다.
조(粗) 리바우디오사이드 A (100 g), 에탄올 (95%, 320 ㎖), 메탄올 (99%, 120 ㎖) 및 물 (50 ㎖)을 혼합하여 30~40℃로 10분간 가열하였다. 맑은 용액을 22℃로 16 시간 냉각시켰다. 백색 결정을 여과하여 에탄올 (2 x 50 ㎖, 95%)로 2회 세척하였다. 젖은 필터 케익 (88 g)을 에탄올 (95%, 1320 ㎖) 중에서 16 시간 슬러리로 되게 하고 여과하여, 에탄올 (95%, 2 x 100 ㎖)로 세척하고 진공 오븐 중에서 60℃로 16~24 시간 감압 (20 ㎜) 건조시켰다.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의 최종 조성물 (72 g)은 98.29 중량%의 리바우디오사이드 A, 0.03 중량%의 스테비오사이드, 0.02 중량%의 리바우디오사이드 C, 0.17 중량%의 리바우디오사이드 F, 0.06 중량%의 리바우디오사이드 D 및 1.09 중량%의 리바우디오사이드 B로 이루어져 있었다. 스테비올비오사이드는 HPLC에 의하여 검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G3
시판 중인 원료로부터 조(粗) 리바우디오사이드 A (80.37% 순도)을 얻었다. 건조 상태를 기초로 하는 HPLC에 의하여 불순물 (6.22% 스테비오사이드, 2.28% 리바우디오사이드 C, 0.35% 둘코사이드, 0.78% 리바우디오사이드 F, 0.72% 기타 스테비올글리코사이드, 3.33% 리바우디오사이드 B, 0.07% 스테비올비오사이드)을 확인하는데, 물 함량은 3.4%이었다.
조(粗) 리바우디오사이드 A (50 g), 에탄올 (95%, 160 ㎖), 메탄올 (99%, 60 ㎖) 및 물 (25 ㎖)을 혼합하여 약 30℃로 10분간 가열하였다. 맑은 용액을 22℃로 16 시간 냉각시켰다. 백색 결정을 여과하여 에탄올 (2 x 25 ㎖, 95%)로 2회 세척하였다. 젖은 여과 케익 (40 g)을 메탄올 (99%, 600 ㎖) 중에서 16 시간 슬러리로 되게 하고 여과하여, 메탄올 (99%, 2 x 25 ㎖)로 세척하고, 진공 오븐 중에서 60℃로 16~24 시간 감압 (20 ㎜) 건조시켰다.
실질적으로 순수한 리바우디오사이드 A의 최종 조성물 (27.3 g)은 98.22 중량%의 리바우디오사이드 A, 0.04 중량%의 스테비오사이드, 0.04 중량%의 리바우디오사이드 C, 0.18 중량%의 리바우디오사이드 F, 0.08 중량%의 리바우디오사이드 D 및 1.03 중량%의 리바우디오사이드 B로 이루어져 있었다. 스테비올비오사이드는 HPLC에 의하여 검출되지 않았다.
H. 실시예 세트 H

실시예 H1~3의 요약

용매

조(粗)레바우시드 A (g)

에탄올 (95%)(㎖)

유기
공용매
(㎖)


(㎖)

세척 용매

수득량
(g)

HPLC 순도 (%)

H1

5

15

메탄올(6)

3.5

EtOH/MeOH
(3:1 v/v)

2.6

>99

H2

5

15

메탄올(5)

4

EtOH/MeOH
(3:1 v/v)

2.3

>99

H3

5

16

메탄올(6)

2.5

*EtOH/MeOH
(8:3 v/v)

3.2

>98
실시예 H1
조(粗) 리바우디오사이드 A (80.37% 순도, 5 g), 에탄올 (95%, 15 ㎖), 메탄올 (5 ㎖) 및 물 (3.5 ㎖)의 혼합물을 한데 합하여 환류 온도에서 10분간 가열하였다. 맑은 용액을 교반하면서 22℃로 16 시간 냉각시켰다. 백색의 결정질 생성물을 여과하여 에탄올:메탄올 (5.0 ㎖, 3:1, v/v) 혼합물로 2회 세척하고, 진공 오븐 중에서 50℃로 16~24 시간 감압 (20 ㎜) 건조시켜서, 2.6 g의 정제 생성물 (HPLC에 의하여 >99%)을 얻었다.
실시예 H2
조(粗) 리바우디오사이드 A (80.37% 순도, 5 g), 에탄올 (95%, 15 ㎖), 메탄올 (5 ㎖) 및 물 (4.0 ㎖)의 혼합물을 한데 합하여 환류 온도에서 10분간 가열하였다. 맑은 용액을 교반하면서 22℃로 16 시간 냉각시켰다. 백색의 결정질 생성물을 여과하여 에탄올:메탄올 (5.0 ㎖, 3:1, v/v) 혼합물로 2회 세척하고, 진공 오븐 중에서 50℃로 16~24 시간 감압 (20 ㎜) 건조시켜서, 2.3 g의 정제 생성물 (HPLC에 의하여 >99%)을 얻었다.
실시예 H3
조(粗) 리바우디오사이드 A (80.37% 순도, 5 g), 에탄올 (95%, 16 ㎖), 메탄올 (6 ㎖) 및 물 (2.5 ㎖)의 혼합물을 한데 합하여 환류 온도에서 10분간 가열하였다. 맑은 용액을 교반하면서 22℃로 2 시간 냉각시켰다. 냉각 중에, 결정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교반하였다. 백색의 결정질 생성물을 여과하여 에탄올:메탄올 (5.0 ㎖, 8:3, v/v) 혼합물로 2회 세척하고, 진공 오븐 중에서 50℃로 16~24 시간 감압 (20 ㎜) 건조시켜서, 3.2 g의 정제 생성물 (HPLC에 의하여 >98%)을 얻었다.
I. 실시예 I

실시예 I의 요약

용매

조(粗)레바우시드 A
(g)

유기용매
(㎖)


(㎖)

세척 용매

수득량
(g)

HPLC 순도 (%)

I

50

EtOH(160)

40

EtOH

19.8

99.5
조(粗) 리바우디오사이드 A (80.37% 순도, 50 g), 에탄올 (95%, 160 ㎖) 및 물 (40 ㎖)의 혼합물을 한데 합하여 환류 온도에서 30분 가열하였다. 그런 후에 상기 혼합물을 상온으로 16~24 시간 냉각시켰다. 백색의 결정질 생성물을 여과하여 에탄올 (95%, 25 ㎖)로 2회 세척하고, 진공 오븐 중에서 60℃로 16~24 시간 감압 (20 ㎜) 건조시켜서, 19.8 g의 정제 생성물 (HPLC에 의하여 99.5%)을 얻었다.
J. 실시예 J

실시예 J1~3의 요약

조(粗)레바우시드 A (g)

에탄올 (95%)(㎖)

유기
공용매
(㎖)


(㎖)

메탄올
슬러리
(㎖)

수득량
(g)

HPLC 순도 (%)

J1

50

160

메탄올
(60)

25

200

12.7

>97

J2

50

160

메탄올
(60)

25

300

18.6

>97

J3

50

160

메탄올
(60)

25

350

22.2

>97
실시예 J1
조(粗) 리바우디오사이드 A (41% 순도, 50 g), 에탄올 (95%, 160 ㎖), 메탄올 (99.8%, 60 ㎖) 및 물 (25 ㎖)의 혼합물을 22℃에서 교반에 의하여 한데 합하였다. 백색의 생성물이 5~20 시간만에 결정으로 생성되었다. 상기 혼합물을 48 시간 더 교반하였다. 상기 백색의 결정질 생성물을 여과하여 에탄올 (95%, 25 ㎖)로 2회 세척하였다. 그런 후에, 상기 백색의 결정질 생성물의 젖은 케익을 메탄올 (99.8%, 200 ㎖) 중에서 16 시간 슬러리로 되게 하여 여과하고, 메탄올 (99.8%, 25 ㎖)로 2회 세척하여 진공 오븐 중에서 60℃로 16~24 시간 감압 (20 ㎜) 건조시켜서, 12.7 g의 정제 생성물 (HPLC에 의하여 >97%)을 얻었다.
실시예 J2
조(粗) 리바우디오사이드 A (48% 순도, 50 g), 에탄올 (95%, 160 ㎖), 메탄올 (99.8%, 60 ㎖) 및 물 (25 ㎖)의 혼합물을 22℃에서 교반에 의하여 한데 합하였다. 백색의 생성물이 3~6 시간만에 결정으로 생성되었다. 상기 혼합물을 48 시간 더 교반하였다. 상기 백색의 결정질 생성물을 여과하여 에탄올 (95%, 25 ㎖)로 2회 세척하였다. 그런 후에, 상기 백색의 결정질 생성물의 젖은 케익을 메탄올 (99.8%, 300 ㎖) 중에서 16 시간 슬러리로 되게 하여 여과하고, 메탄올 (99.8%, 25 ㎖)로 2회 세척하여 진공 오븐 중에서 60℃로 16~24 시간 감압 (20 ㎜) 건조시켜서, 18.6 g의 정제 생성물 (HPLC에 의하여 >97%)을 얻었다.
실시예 J3
조(粗) 리바우디오사이드 A (55% 순도, 50 g), 에탄올 (95%, 160 ㎖), 메탄올 (99.8%, 60 ㎖) 및 물 (25 ㎖)의 혼합물을 22℃에서 교반함으로써 한데 합하였다. 백색의 생성물이 15~30분만에 결정으로 생성되었다. 상기 혼합물을 48 시간 더 교반하였다. 상기 백색의 결정질 생성물을 여과하여 에탄올 (95%, 25 ㎖)로 2회 세척하였다. 상기 백색의 결정질 생성물의 젖은 케익을 메탄올 (99.8%, 350 ㎖) 중에서 16 시간 슬러리로 되게 하여 여과하고, 메탄올 (99.8%, 25 ㎖)로 2회 세척하여 진공 오븐 중에서 60℃로 16~24 시간 감압 (20 ㎜) 건조시켜서, 22.2 g의 정제 생성물 (HPLC에 의하여 >97%)을 얻었다.
*K. 실시예 K
재증류수 (50 ㎖ 중에 12.5 g, 25% 농도) 중에서 상기 혼합물을 40℃로 5분간 교반시켜 리바우디오사이드 A (HPLC에 의하여 순도 >97%)의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맑은 용액을 랩 플랜트 (Lab-Plant) 분무 건조기 SD-04 기기 (랩 플랜트사, 웨스트 요그셔, 영국)로 분무 건조하는 데 즉시 사용함으로써 무정형의 리바우디오사이드 A 다형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을 공급 펌프를 통하여 일정한 흐름의 질소/공기의 도움에 의하여 용액을 액적의 분무액으로 분무하는 노즐 분무기에 공급하였다. 건조실 내에서 통제된 온도 조건 (약 90 내지 약 97℃) 및 공기 흐름 조건하에서 액적으로부터 물을 증발시키고, 그 결과 건식 입자를 형성시켰다. 이 건식 분말 (11~12 g)을 상기 건조실로부터 연속 방출시켜서 병에 수집하였다. 실온에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35.0%로 측정되었다.
본 발명은 이들의 특정의 실시 상태와 관련하여 자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전술한 기재 내용들을 이해하는 즉시, 이들 실시 상태의 별법, 변형 및 등가물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어 있는 특허 청구 범위 및 이들의 등가물로서 평가되어야 한다.

Claims (123)

  1. 순도가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95%인 리바우디오사이드 A 및 에리트리톨을 함유하는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음료로서,
    상기 리바우디오시드 A와 에리트리톨은 중량비로 1:4 내지 1:800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인 음료.
  2. 제1항에 있어서, 리바우디오사이드 A의 순도는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97%인 것인 음료.
  3. 제1항에 있어서, 리바우디오사이드 A와 에리트리톨은 중량비로 1:20 내지 1:600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인 음료.
  4. 제1항에 있어서, 리바우디오사이드 A는 100 ppm 내지 3,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음료.
  5. 제1항에 있어서, 에리트리톨은 5,000 ppm 내지 4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음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는 시트르산/구연산 칼륨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음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는 pH가 3.1인 것인 음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는 인산 조성물인 것인 음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는 pH가 2.5인 것인 음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는 비탄산 음료 및 탄산 음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음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탄산 음료는 과일 쥬스, 과일향 음료, 과일 함유 음료, 야채 쥬스, 야채 함유 음료, 차, 커피, 유제품 음료, 스포츠 드링크, 에너지 드링크 및 가향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음료.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 음료는 콜라, 루트 비어, 과일향 음료 및 시트러스향 음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음료.
  13. 제1항에 있어서, 탄수화물, 폴리아미노산과 그의 염, 당산과 그의 염, 유기산, 무기산, 유기염, 무기염, 쓴맛 화합물, 향미제, 떫은맛 화합물, 폴리머, 단백질, 단백질 가수분해물, 계면 활성제, 유화제,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인공 감미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음료.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삭제
  102. 삭제
  103. 삭제
  104. 삭제
  105. 삭제
  106. 삭제
  107. 삭제
  108. 삭제
  109. 삭제
  110. 삭제
  111. 삭제
  112. 삭제
  113. 삭제
  114. 삭제
  115. 삭제
  116. 삭제
  117. 삭제
  118. 삭제
  119. 삭제
  120. 삭제
  121. 삭제
  122. 삭제
  123. 삭제
KR1020137023865A 2005-11-23 2006-11-17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천연 고효능 감미료 조성물, 그 제제 방법 및 용도 KR101385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3930205P 2005-11-23 2005-11-23
US60/739,302 2005-11-23
US80520906P 2006-06-19 2006-06-19
US80521606P 2006-06-19 2006-06-19
US60/805,209 2006-06-19
US60/805,216 2006-06-19
US55611306A 2006-11-02 2006-11-02
US11/556,113 2006-11-02
PCT/US2006/044574 WO2007061795A1 (en) 2005-11-23 2006-11-17 Natural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temporal profile and/or flavor profile, methods for their formulation, and us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301A Division KR101374346B1 (ko) 2005-11-23 2006-11-17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천연 고효능 감미료조성물, 그 제제 방법 및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250A KR20130109250A (ko) 2013-10-07
KR101385710B1 true KR101385710B1 (ko) 2014-04-17

Family

ID=378917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301A KR101374346B1 (ko) 2005-11-23 2006-11-17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천연 고효능 감미료조성물, 그 제제 방법 및 용도
KR1020137023865A KR101385710B1 (ko) 2005-11-23 2006-11-17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천연 고효능 감미료 조성물, 그 제제 방법 및 용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301A KR101374346B1 (ko) 2005-11-23 2006-11-17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천연 고효능 감미료조성물, 그 제제 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9011956B2 (ko)
EP (4) EP1971228A1 (ko)
JP (4) JP2009517022A (ko)
KR (2) KR101374346B1 (ko)
CN (3) CN103393062B (ko)
AR (1) AR056220A1 (ko)
AU (1) AU2006318781B2 (ko)
BR (1) BRPI0618945A2 (ko)
CA (2) CA2969364C (ko)
DK (2) DK2526783T3 (ko)
ES (2) ES2611887T3 (ko)
MX (1) MX2008006583A (ko)
MY (1) MY149619A (ko)
TW (1) TW200738168A (ko)
UY (1) UY29928A1 (ko)
WO (1) WO2007061795A1 (ko)
ZA (1) ZA2008044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4006B2 (en) 2005-10-11 2012-12-18 Purecircle Sdn Bh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weetener and use thereof
US9107436B2 (en) 2011-02-17 2015-08-18 Purecircle Sdn Bhd Glucosylated steviol glycoside as a flavor modifier
US9386797B2 (en) 2011-02-17 2016-07-12 Purecircle Sdn Bhd Glucosyl stevia composition
US8790730B2 (en) 2005-10-11 2014-07-29 Purecircle Us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weetener and use thereof
US8257948B1 (en) 2011-02-17 2012-09-04 Purecircle Usa Method of preparing alpha-glucosyl Stevia composition
US8318459B2 (en) 2011-02-17 2012-11-27 Purecircle Usa Glucosyl stevia composition
US8337927B2 (en) * 2005-10-11 2012-12-25 Purecircle Sdn Bh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weetener and use thereof
US9392799B2 (en) 2011-02-17 2016-07-19 Purecircle Sdn Bhd Glucosyl stevia composition
US8956678B2 (en) * 2005-11-23 2015-02-17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preservative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KR101374346B1 (ko) 2005-11-23 2014-03-14 더 코카콜라 컴파니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천연 고효능 감미료조성물, 그 제제 방법 및 용도
US8435588B2 (en) * 2005-11-23 2013-05-07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an anti-inflammatory agent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US9101160B2 (en) 2005-11-23 2015-08-11 The Coca-Cola Company Condiments with high-potency sweetener
US8367137B2 (en) * 2005-11-23 2013-02-05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fatty acid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US8791253B2 (en) * 2006-06-19 2014-07-29 The Coca-Cola Company Rebaudioside A composition and method for purifying rebaudioside A
US9012626B2 (en) * 2006-06-19 2015-04-21 The Coca-Cola Company Rebaudioside a composition and method for purifying rebaudioside a
US8017168B2 (en) 2006-11-02 2011-09-13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rubisco protein, rubiscolin, rubiscolin derivatives, ace inhibitory peptides,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GB0703524D0 (en) * 2007-02-23 2007-04-04 Cadbury Schweppes Plc Improved sweetener compositions
US20080226773A1 (en) * 2007-03-14 2008-09-18 Concentrate Manufacturing Company Of Ireland Beverage Sweetened with Rebaudioside A
US20080226802A1 (en) * 2007-03-14 2008-09-18 Concentrate Manufacturing Company Of Ireland Beverage having natural sweeteners with one or more stevia components and source of berry
US8277862B2 (en) 2007-03-14 2012-10-02 Concentrate Manufacturing Company Of Ireland Beverage products having steviol glycosides and at least one acid
US8029846B2 (en) 2007-03-14 2011-10-04 The Concentrate Manufacturing Company Of Ireland Beverage products
US20080226788A1 (en) * 2007-03-14 2008-09-18 Concentrate Manufacturing Company Of Ireland Lhg compositions for reducing lingering bitter taste of steviol glycosides
US20080226790A1 (en) * 2007-03-14 2008-09-18 Concentrate Manufacturing Company Of Ireland Long chain fatty acids for reducing off-taste of non-nutritive sweeteners
US20080226794A1 (en) * 2007-03-14 2008-09-18 Concentrate Manufacturing Company Of Ireland Non-nutritive sweetened beverages with coconut milk
US9877500B2 (en) 2007-03-14 2018-01-30 Concentrate Manufacturing Company Of Ireland Natural beverage products
US8277861B2 (en) 2007-03-14 2012-10-02 Concentrate Manufacturing Company Of Ireland Beverage products having steviol glycosides and at least one acid
US20100099640A1 (en) * 2007-05-04 2010-04-22 Joannes Geuns Tissue degeneration protection
CA2686930A1 (en) * 2007-05-14 2008-11-20 Cadbury Adams Usa Llc Taste potentiator compositions in oral delivery systems
US8030481B2 (en) 2007-05-21 2011-10-04 The Coca-Cola Company Stevioside polymorphic and amorphous forms, methods for their formulation, and uses
US20080292765A1 (en) * 2007-05-22 2008-11-27 The Coca-Cola Company Sweetness Enhancers, Sweetness Enhanced Sweetener Compositions, Methods for Their Formulation, and Uses
US8709521B2 (en) * 2007-05-22 2014-04-29 The Coca-Cola Company Sweetener compositions having enhanced sweetness and improved temporal and/or flavor profiles
EP2215914B1 (en) * 2007-11-12 2013-04-24 San-Ei Gen F.F.I., INC. Method of improving sweetness qualities of stevia extract
JP5620628B2 (ja) * 2008-02-01 2014-11-05 ハウス食品グループ本社株式会社 唾液分泌促進剤
TWI475963B (zh) 2008-02-25 2015-03-11 Coca Cola Co 甜菊糖苷a衍生性產物以及製造彼的方法
US20100179229A1 (en) * 2008-03-05 2010-07-15 Basf Se Method for modulating the taste of ma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high intensity sweetener (his)
US20100178408A1 (en) * 2008-03-05 2010-07-15 Basf Se Method for modulating the taste ma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high intensity sweetener (his)
BRPI0912194A2 (pt) * 2008-05-09 2015-07-28 Cargill Inc Adoçante, método para a preparação e adoçante e aplicações do mesmo
MX2011002001A (es) * 2008-08-26 2011-05-25 Merisant Company Composiciones endulzantes que comprenden rebaudiosida a, eritritol, un carbohidrato de disacarido o fructosa y una cantidad mejorada del sabor de celulosa, y metodos para su fabricacion.
WO2010025000A1 (en) * 2008-08-29 2010-03-04 Tropicana Products, Inc. Naturally sweetened juice beverage products with beta-glucan
UA101847C2 (ru) * 2008-08-29 2013-05-13 Тропикана Продактс, Инк. Натурально подслащенные соковые продукты
ES2607005T3 (es) * 2008-11-14 2017-03-28 Cargill, Incorporated Mejora de la sensación en la boca de bebidas
EP2292103B1 (en) * 2009-09-08 2012-03-07 RUDOLF WILD GmbH & CO. KG Sweetening composition
MX353094B (es) 2009-11-12 2017-12-19 Purecircle Usa Inc Granulacion de un edulcorante de stevia.
US20110189366A1 (en) * 2010-01-29 2011-08-04 PepsiCo North America Method for modifying taste with essential oil fractions
US20110189360A1 (en) * 2010-02-04 2011-08-04 Pepsico, Inc. Method to Increase Solubility Limit of Rebaudioside D in an Aqueous Solution
EP2544538B1 (en) 2010-03-12 2022-06-15 PureCircle USA Inc. High-purity steviol glycosides
US10696706B2 (en) 2010-03-12 2020-06-30 Purecircle Usa Inc. Methods of preparing steviol glycosides and uses of the same
WO2011130414A1 (en) 2010-04-14 2011-10-20 Altria Client Services Inc. Preformed smokeless tobacco product
BR122021005287B1 (pt) 2010-06-02 2022-02-22 Evolva, Inc Hospedeiro recombinante que compreende um gene recombinante para produção de esteviol ou glicosídeo de esteviol
US9578895B2 (en) 2010-08-23 2017-02-28 Epc (Beijing) Natural Products Co., Ltd. Rebaudioside A and stevioside compositions
JP5859191B2 (ja) 2010-09-29 2016-02-10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高甘味度甘味料に対する呈味改良組成物およびその応用
WO2012054743A2 (en) * 2010-10-20 2012-04-26 Yongquan Xue Taste modifying compositions
EP2446753A1 (en) * 2010-10-26 2012-05-02 Sunshine Valley International Co., Ltd Optimized sugar substitute composition
JP2014039478A (ja) * 2010-11-15 2014-03-06 Musashino Chemical Laboratory Ltd アラニン含有食品
US9510611B2 (en) 2010-12-13 2016-12-06 Purecircle Sdn Bhd Stevia composition to improve sweetness and flavor profile
EP2651960A4 (en) * 2010-12-13 2014-07-09 Purecircle Usa REBAUDIOSIDE HIGHLY SOLUBLE
US10492516B2 (en) 2010-12-13 2019-12-03 Purecircle Sdn Bhd Food ingredients from Stevia rebaudiana
BR112013014589B1 (pt) * 2010-12-13 2019-04-02 Purecircle Usa Inc. Método para preparar uma composição de rebaudiosídeo d altamente solúvel
MX362676B (es) 2011-02-10 2019-01-31 Purecircle Usa Composición de estevia.
US9474296B2 (en) 2011-02-17 2016-10-25 Purecircle Sdn Bhd Glucosyl stevia composition
US11690391B2 (en) 2011-02-17 2023-07-04 Purecircle Sdn Bhd Glucosylated steviol glycoside as a flavor modifier
US9603373B2 (en) 2011-02-17 2017-03-28 Purecircle Sdn Bhd Glucosyl stevia composition
US9795156B2 (en) 2011-03-17 2017-10-24 E.P.C (Beijing) Plant Pharmaceutical Technology Co., Ltd Rebaudioside B and derivatives
US9894922B2 (en) 2011-05-18 2018-02-20 Purecircle Sdn Bhd Glucosyl rebaudioside C
MX364311B (es) 2011-05-31 2019-04-22 Purecircle Usa Composición de estevia.
BR112013030885B1 (pt) 2011-06-03 2019-01-02 Purecircle Usa Inc processo para produzir uma composição de ingrediente alimentício de stevia compreendendo rebaudiosídeo b
AR087158A1 (es) 2011-06-20 2014-02-26 Gen Biscuit Masita en capas saludable
US9771434B2 (en) 2011-06-23 2017-09-26 Purecircle Sdn Bhd Products from stevia rebaudiana
DK2739160T3 (en) * 2011-08-01 2016-04-18 Koninkl Douwe Egberts Bv Method of producing a liquid coffee concentrate
WO2013022989A2 (en) 2011-08-08 2013-02-14 Evolva Sa Recombinant production of steviol glycosides
US10480019B2 (en) 2011-08-10 2019-11-19 Purecircle Sdn Bhd Process for producing high-purity rubusoside
BR112014004581B1 (pt) 2011-09-07 2020-03-17 Purecircle Usa Inc. Adoçante de stevia alta solubilidade, método de produção, pó, composições de adoçante e de sabor, ingrediente alimentar, alimento, bebida e produto cosmético ou farmacêutico do referido adoçante
US10292412B2 (en) 2012-02-15 2019-05-21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High solubility natural sweetener compositions
CN110358795A (zh) 2012-05-22 2019-10-22 谱赛科有限责任公司 高纯度的甜菊醇糖苷
US9752174B2 (en) 2013-05-28 2017-09-05 Purecircle Sdn Bhd High-purity steviol glycosides
US11013248B2 (en) 2012-05-25 2021-05-25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Shelf stable, concentrated, liquid flavorings and methods of preparing beverages with the concentrated liquid flavorings
EP3653636A1 (en) 2012-12-19 2020-05-20 The Coca-Cola Compan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rebaudioside x solubility
WO2014122227A2 (en) 2013-02-06 2014-08-14 Evolva Sa Methods for improved production of rebaudioside d and rebaudioside m
MY184253A (en) 2013-02-11 2021-03-29 Evolva Sa Efficient production of steviol glycosides in recombinant hosts
US9717267B2 (en) 2013-03-14 2017-08-01 The Coca-Cola Company Beverages containing rare sugars
US20140272068A1 (en) * 2013-03-14 2014-09-18 Indra Prakash Beverages containing rare sugars
US10799548B2 (en) * 2013-03-15 2020-10-13 Altria Client Services Llc Modifying taste and sensory irritation of smokeless tobacco and non-tobacco products
US20140342044A1 (en) * 2013-05-14 2014-11-20 Pepsico, Inc. Compositions and Comestibles
US10952458B2 (en) 2013-06-07 2021-03-23 Purecircle Usa Inc Stevia extract containing selected steviol glycosides as flavor, salty and sweetness profile modifier
WO2014197898A1 (en) 2013-06-07 2014-12-11 Purecircle Usa Inc. Stevia extract containing selected steviol glycosides as flavor, salty and sweetness profile modifier
US10905146B2 (en) 2013-07-12 2021-02-02 The Coca-Cola Company Compositions for improving rebaudioside M solubility
GB201315559D0 (en) * 2013-08-02 2013-10-16 Tate & Lyle Ingredients Sweetener compositions
GB201315558D0 (en) 2013-08-02 2013-10-16 Tate & Lyle Ingredients Sweetener compositions
WO2015025263A1 (en) * 2013-08-19 2015-02-26 Plant Lipids Private Limited A novel composition of curcumin with enhanced bioavailability
CN103549363A (zh) * 2013-10-31 2014-02-05 潘昌仁 一种复合型口味甜味剂
WO2015072540A1 (ja) * 2013-11-15 2015-05-21 株式会社コーセー テアニンを用いた表面処理粉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US10264811B2 (en) 2014-05-19 2019-04-23 Epc Natural Products Co., Ltd. Stevia sweetener with improved solubility
US10357052B2 (en) * 2014-06-16 2019-07-23 Sweet Green Fields USA LLC Rebaudioside A and stevioside with improved solubilities
US10485256B2 (en) 2014-06-20 2019-11-26 Sweet Green Fields International Co., Limited Stevia sweetener with improved solubility with a cyclodextrin
WO2016023844A1 (en) 2014-08-11 2016-02-18 Evolva Sa Production of steviol glycosides in recombinant hosts
WO2015193869A1 (en) 2014-08-13 2015-12-23 Pintori Antonio Sweetener composition
EP3936513B1 (en) 2014-09-02 2024-05-22 PureCircle USA Inc. Stevia extracts enriched in rebaudioside d, e, n and/or o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SG10201901957SA (en) 2014-09-09 2019-04-29 Evolva Sa Production of steviol glycosides in recombinant hosts
EP3017708B1 (en) * 2014-10-24 2018-05-02 Red Bull GmbH Sweetening composition
KR20170102896A (ko) 2015-01-13 2017-09-12 크로모셀 코포레이션 단맛을 조정하기 위한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
CA2973674A1 (en) 2015-01-30 2016-08-04 Evolva Sa Production of steviol glycosides in recombinant hosts
US10604743B2 (en) 2015-03-16 2020-03-31 Dsm Ip Assets B.V. UDP-glycosyltransferases
JP2018522569A (ja) 2015-08-07 2018-08-16 エヴォルヴァ エスアー.Evolva Sa. 組換え宿主内でのステビオールグリコシドの産生
ES2970118T3 (es) 2015-10-26 2024-05-27 Purecircle Usa Inc Composiciones de glicósido de esteviol
WO2017085892A1 (ja) * 2015-11-20 2017-05-26 花王株式会社 酸性飲料
RU2764635C2 (ru) 2015-12-15 2022-01-19 ПЬЮРСЁРКЛ ЮЭсЭй ИНК. Композиция стевиол гликозида
WO2017153538A1 (en) 2016-03-11 2017-09-14 Evolva Sa Production of steviol glycosides in recombinant hosts
BR112018071144B1 (pt) 2016-04-13 2023-04-18 Evolva Sa Célula hospedeira recombinante que produz um ou mais glicosídeos de esteviol ou uma composição de glicosídeo de esteviol em uma cultura de células e métodos para produzir um ou mais glicosídeos de esteviol ou uma composição de glicosídeo de esteviol, bem como cultura de células e lisado celular da dita célula hospedeira recombinante
US10815514B2 (en) 2016-05-16 2020-10-27 Evolva Sa Production of steviol glycosides in recombinant hosts
MX2019000952A (es) 2016-07-27 2019-09-16 Nutrition Science Design Pte Ltd Proceso para la produccion de azucar.
WO2018045122A1 (en) * 2016-09-02 2018-03-08 Tate & Lyle Ingredients Americas Llc Use of tri-and tetra-saccharides as taste modulators
JP6121042B1 (ja) * 2016-10-31 2017-04-26 花王株式会社 酸性飲料
JP6121041B1 (ja) * 2016-10-31 2017-04-26 花王株式会社 酸性飲料
JP6121608B1 (ja) * 2016-10-31 2017-04-26 花王株式会社 酸性飲料
WO2018083338A1 (en) 2016-11-07 2018-05-11 Evolva Sa Production of steviol glycosides in recombinant hosts
US11969001B2 (en) 2016-11-29 2024-04-30 Purecircle Usa Inc. Food ingredients from Stevia rebaudiana
SG11201903372WA (en) 2016-12-21 2019-05-30 Cj Cheiljedang Corp Amino acid beverage containing allulose
MX2019007879A (es) * 2016-12-30 2019-12-05 Red Bull Gmbh Composiciones edulcorantes.
NZ757878A (en) 2017-04-03 2023-01-27 Suntory Holdings Ltd Method for reducing lingering sweet aftertaste
WO2018211032A1 (en) 2017-05-17 2018-11-22 Evolva Sa Production of steviol glycosides in recombinant hosts
WO2019071187A1 (en) * 2017-10-06 2019-04-11 Cargill, Incorporated STABILIZED GLYCOSIDE COMPOSITIONS OF STEVIOL AND USES THEREOF
BR112020009838A2 (pt) 2017-12-05 2020-11-17 Evolva Sa produção de glicosídeos de esteviol em hospedeiros recombinantes
SG10201803202WA (en) * 2018-04-17 2019-11-28 Nutrition Science Design Pte Ltd Sweetener composition
AU2019366449A1 (en) * 2018-10-25 2021-06-10 Ori Hofmekler Natural sweetening flavor composition
CZ308160B6 (cs) * 2018-12-17 2020-01-29 Agra Group A.S. Sladidlo přírodního původu chuťovým profilem imitující cukr s ovocnými tóny s až 20násobnou sladivostí oproti cukru
BR112021019811A2 (pt) 2019-04-06 2021-12-07 Cargill Inc Composição de glicosídeo de esteviol, bebida, métodos para reduzir um atributo sensorial indesejável de uma solução aquosa de glicosídeo de esteviol, para reduzir a persistência de doçura de um componente de glicosídeo de esteviol em uma composição comestível e para reduzir o amargor de um componente de glicosídeo de esteviol em uma composição comestível, e, soluções aquosa de glicosídeo de esteviol com reduzida persistência de doçura e aquosa de glicosídeo de esteviol com reduzido amargor
WO2020210161A1 (en) 2019-04-06 2020-10-15 Cargill, Incorporated Methods for making botanical extract composition
WO2023215811A1 (en) * 2022-05-04 2023-11-09 The Coca-Cola Company Juice beverages with improved taste
GB2623343A (en) * 2022-10-13 2024-04-17 Sustain Co2 Ltd Flavour improvements in beverag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2942A (en) 1984-03-08 1986-09-23 Stevia Company, Inc. Flavor enhancing and modifying materials
JPH06192283A (ja) * 1992-12-17 1994-07-12 Ikeda Pan:Kk 純粋なレバウディオサイドaを生産する方法
JPH0889207A (ja) * 1994-09-27 1996-04-09 Sanei Gen F F I Inc 低カロリー甘味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4089113A1 (en) 2003-04-08 2004-10-21 Quest International B.V. Oxigen stable active containing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1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9572A (en) * 1966-04-04 1970-01-13 Benjamin Eisenstadt Sweetening composition
US3647482A (en) * 1970-03-04 1972-03-07 Gen Mills Inc Reduction and modification of the unpleasant aftertaste of saccharin
US3647483A (en) * 1970-03-30 1972-03-07 Cumberland Packing Corp Cyclamate-free calorie-free sweetener
US4001456A (en) * 1970-07-16 1977-01-04 General Foods Corporation Low calorie sweeten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S5413498B2 (ko) * 1973-08-31 1979-05-31
US3934048A (en) * 1973-11-21 1976-01-20 General Foods Corporation Multifunctional sweetening composition
US3934047A (en) * 1974-04-02 1976-01-20 General Foods Corporation Taste modifier for artificial sweeteners
US3946121A (en) * 1974-08-08 1976-03-23 Cumberland Packing Corporation Calorie-free sweetener without sourness
US4009292A (en) * 1975-02-26 1977-02-22 General Foods Corporation Effervescent dipeptide sweetener tablets
JPS5951258B2 (ja) * 1976-04-07 1984-12-13 守田化学工業株式会社 甘味料
US4146650A (en) * 1978-04-26 1979-03-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Substituted benzodioxan sweetening compound
JPS5550866A (en) 1978-10-06 1980-04-14 Maruzen Kasei Kk Propylene glycol composition for food additive
US4254154A (en) * 1978-10-30 1981-03-03 Cumberland Packing Corp. Dipeptide sweetener compositions
US4254155A (en) * 1979-04-30 1981-03-03 Chimicasa Gmbh Preparing neohesperidin dihydrochalcone sweetener composition
JPS5611772A (en) * 1979-07-10 1981-02-05 Ajinomoto Co Inc Method for improving taste of stevioside
JPS5754575A (en) * 1980-09-18 1982-04-01 Sanyo Kokusaku Pulp Co Ltd Method for improving taste of inverted liquid sugar containing sucrose
ATE20567T1 (de) * 1981-04-29 1986-07-15 Tate & Lyle Plc Suessstoffe.
JPS5951265B2 (ja) * 1982-02-26 1984-12-13 山陽国策パルプ株式会社 飲食物などの甘味付与方法
US4439460A (en) * 1982-06-01 1984-03-27 G. D. Searle & Co. Dipeptide sweetener sulfate and sulfonate salts
LU84363A1 (de) * 1982-09-03 1983-02-28 Hoechst Ag Acesulfam-haltige zubereitungen mit verbessertem geschmack
FR2533210A1 (fr) * 1982-09-17 1984-03-23 Lyon I Universite Claude Edulcorants de synthese
US4642240A (en) * 1982-09-30 1987-02-10 General Foods Corporation Foodstuffs containing 3-aminobenzesulfonic acid as a sweetener inhibitor
US4497835A (en) * 1983-01-10 1985-02-05 Alberta Gas Chemicals, Incorporated Artificially sweetened beverage mixes and process therefor
US4571345A (en) * 1983-06-13 1986-02-18 Cumberland Packing Corp. 1,1-Diaminoalkane derived sweeteners
JPS6075252A (ja) 1983-09-30 1985-04-27 Sekisui Chem Co Ltd 低カロリ−甘味料組成物
JPS60188035A (ja) 1984-03-08 1985-09-25 Riken Vitamin Co Ltd ステビオサイドの呈味改善法
US4574091A (en) * 1984-06-28 1986-03-04 Nabisco Brands, Inc. Aspartame-sweetened gelatin dessert and sweetening composition therefor
US4564528A (en) * 1984-09-18 1986-01-14 Research Triangle Institute Aminomalonyl alanine compounds and use as dietary sweeteners
US4804548A (en) * 1984-10-05 1989-02-14 Warner-Lambert Company Novel sweetener delivery systems
US4636396A (en) * 1985-04-15 1987-01-13 General Foods Corporation Foodstuff with L-aminodicarboxylic acid gem-diamines
US4572799A (en) * 1985-04-15 1986-02-25 General Foods Corporation L-Aminodicarboxylic acid amides
US4571308A (en) * 1985-05-06 1986-02-18 General Foods Corporation L-Aminodicarboxylic acid aminoalkenoic acid ester amides
US4634792A (en) * 1985-05-06 1987-01-06 General Foods Corporation L-aminodicarboxylic acid aminoalkenoic acid ester amides
US4738856A (en) 1985-05-13 1988-04-19 Nutrition Technologies, Inc. Beverage and method for making a beverage for the nutritional supplementation of calcium in humans
US4992279A (en) * 1985-07-03 1991-02-12 Kraft General Foods, Inc. Sweetness inhibitor
JPS6279752A (ja) 1985-10-03 1987-04-13 Dainippon Ink & Chem Inc ステビア甘味料及びその製造法
JPH0679547B2 (ja) 1985-10-16 1994-10-12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ステビア甘味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4981698A (en) * 1986-12-23 1991-01-01 Warner-Lambert Co. Multiple encapsulated sweetener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preparation
JPH07100013B2 (ja) 1987-04-14 1995-11-01 三菱化学株式会社 味覚調整剤
JPS63304964A (ja) * 1987-06-04 1988-12-13 Ajinomoto Co Inc 甘味組成物
US5380541A (en) * 1987-08-07 1995-01-10 Tate & Lyle Public Limited Company Sucralose compositions
US4803082A (en) * 1987-10-28 1989-02-07 Warner-Lambert Company Flavor and sweetness enhancement delivery systems and method of preparation
JPH07100011B2 (ja) * 1987-12-28 1995-11-01 三菱化学株式会社 外観微結晶状の低カロリー甘味料組成物
JP3084530B2 (ja) 1989-03-30 2000-09-04 東和化成工業株式会社 脂肪代替物としてのマルチトールを含有する低脂肪食品の製造方法
US4986994A (en) * 1989-04-21 1991-01-22 The Southland Corporation Process for making a low calorie beverage
US4988527A (en) * 1989-09-29 1991-01-29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Use of sclareolide in augmenting or enhancing the organoleptic properties of foodstuffs
US4988532A (en) * 1989-09-29 1991-01-29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Use of sclareolide to debitter a coffee beverage
US5091015A (en) * 1990-05-22 1992-02-25 Warner-Lambert Company Polydextrose compositions
US5637618A (en) * 1990-06-01 1997-06-10 Bioresearch, Inc. Specific eatable taste modifiers
US4990354A (en) * 1990-07-05 1991-02-05 Cumberland Packing Corp. Composition for enhancing the sweetness intensity and masking the aftertaste of intense and artificial sweeteners
JPH0491753A (ja) 1990-08-02 1992-03-25 Makise Sangyo Kk 液状甘味組成物
JP2654529B2 (ja) * 1992-03-27 1997-09-17 大塚製薬株式会社 健康飲料組成物
US5286509A (en) * 1992-06-22 1994-02-15 The Coca-Cola Company L-aspartyl-D-α-aminoalkanoyl-(S)-N-alpha-alkylbenzyl amides useful as artificial sweeteners
US5433965A (en) 1993-02-16 1995-07-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verage compositions and sweetening compositions which contain juice derived from botanical subfamily Cucurbitaceae
US6015792A (en) * 1993-05-26 2000-01-18 Bioresearch, Inc. Specific eatable taste modifiers
JP3436317B2 (ja) 1993-11-24 2003-08-11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ステビア甘味料の製造方法
JPH07177862A (ja) * 1993-12-24 1995-07-18 Morita Kagaku Kogyo Kk 水難溶性甘味料
US5492715A (en) * 1994-03-31 1996-02-20 Greenland; Frederick A. Dual function fruit concentrate sweetener and fat substitute and method of making
DE4416429A1 (de) * 1994-05-10 1995-11-16 Hoechst Ag Süßungsmittel mit verbessertem saccharoseähnlichem Geschmack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JPH08214A (ja) 1994-06-17 1996-01-09 Ikeda Pan:Kk レバウディオサイドa系甘味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576039A (en) 1995-02-03 1996-11-19 Bush Boake Allen Inc. Colored jelly-type substance, method of preparation,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5855948A (en) * 1995-03-02 1999-01-05 Robinsons Soft Drinks Limited Drink compositions utilizing gelatinised starch and method of making
WO1997000945A1 (en) * 1995-06-23 1997-01-09 University Of Hawaii Recombinant sweet protein mabinlin
US6083549A (en) * 1995-07-19 2000-07-04 Ajinomoto Co., Inc. Taste-improving agent and a food having improved taste
JP4051717B2 (ja) 1995-08-04 2008-02-27 大正製薬株式会社 ビオチン含有内服液剤
JP4726269B2 (ja) 1995-11-16 2011-07-20 大正製薬株式会社 内服液剤
JP3046763B2 (ja) 1995-12-26 2000-05-29 サラヤ株式会社 不正六面体低カロリー甘味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9608153D0 (en) * 1996-04-19 1996-06-26 Cerestar Holding Bv Anti-cariogenic activity of erythritol
WO1998004156A1 (en) 1996-07-26 1998-02-05 Bateman Kristine A Dietetic one-to-one sugar substitute composition for table top, baking and cooking applications
US5731025A (en) 1996-09-11 1998-03-24 Mitchell; David C. Method and composition for inhibiting decomposition of aspartame
US5962678A (en) 1996-09-13 1999-10-05 Alberta Research Council Method of extracting selected sweet glycosides from the Stevia rebaudiana plant
JP3498505B2 (ja) * 1996-11-21 2004-02-16 三菱化学株式会社 酸性飲料
DK0946111T3 (da) * 1996-12-20 2004-06-21 Nutrinova Gmbh Fremgangsmåde til forstærkning af sødekraften og til smagsforbedring af en blanding af højintensive sødestoffer
JPH10276712A (ja) * 1997-04-08 1998-10-20 Nikken Kasei Kk 甘味組成物の製造方法
JP3475713B2 (ja) 1997-05-08 2003-12-08 三菱化学株式会社 低カロリーデザート食品プレミックス
JP3588971B2 (ja) 1997-05-08 2004-11-17 三菱化学株式会社 低カロリー調製ココア
JP4034862B2 (ja) * 1997-06-02 2008-01-16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スクロースの後味改善方法とその用途
US6673380B2 (en) * 1998-11-17 2004-01-06 Mcneil-Ppc, Inc. Fortified confectionery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CN1079653C (zh) * 1997-09-30 2002-02-27 广东省食品工业研究所 一种复配甜味剂的制作方法
JP3562785B2 (ja) 1997-10-21 2004-09-08 三菱化学フーズ株式会社 低カロリー酸性蛋白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137208A (ja) * 1997-11-14 1999-05-25 Nikken Chem Co Ltd 口腔内速溶性固形物及びその製造方法
FR2771259B1 (fr) * 1997-11-21 2000-01-28 Nutriset Aliment complet ou supplement nutritionnel stable vis a vis de l'oxydation, a haute valeur energetique, basse osmolalite, faible teneur en eau,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ses utilisations
DE69900412T2 (de) * 1998-01-30 2002-07-18 Procter & Gamble Getränke mit verbesserter textur und aromaintensität bei vermindertem feststoffgehalt
JPH11243906A (ja) 1998-03-05 1999-09-14 Morita Kagaku Kogyo Kk 甘味料
JPH11313634A (ja) * 1998-03-12 1999-11-16 Internatl Flavors & Fragrances Inc <Iff> 呈味剤とその製造方法
JP3763075B2 (ja) * 1998-04-24 2006-04-05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歯周病の予防又は治療用の食品組成物、口腔用組成物及び医薬組成物
US6855360B2 (en) * 1998-05-18 2005-02-15 Kohjin Co., Ltd. Sweetness improving agent and foods containing the same
JPH11346708A (ja) 1998-06-04 1999-12-21 Nikken Chem Co Ltd エリスリトール含有液状甘味料組成物
AU4567799A (en) * 1998-07-07 2000-01-24 Mcneil Specialty Products Company Division Of Mcneil-Ppc, Inc. Method of improving sweetness delivery of sucralose
US7186431B1 (en) * 1998-08-27 2007-03-06 Barnard Stewart Silver Sweetening compositions and foodstuffs comprised thereof
AU3122700A (en) * 1998-12-18 2000-07-12 Nutrasweet Company, The Use of n-neohexyl-alpha-aspartyl-l-phenylalanine methyl ester as a flavor modifier
JP2000236842A (ja) * 1998-12-24 2000-09-05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ステビア甘味料
JP3436706B2 (ja) 1999-03-26 2003-08-18 雪印乳業株式会社 高甘味度甘味料の苦味低減又は除去剤
US20030161879A1 (en) * 1999-06-29 2003-08-28 Shinji Ohmori Tablets quickly disintegrating in mouth
WO2001025262A1 (fr) * 1999-10-04 2001-04-12 Ajinomoto Co., Inc. Compositions d'edulcorants a fort pouvoir sucrant a pouvoir sucrant accru, correcteurs de gout et leur utilisation
JP4184558B2 (ja) 1999-12-03 2008-11-19 守田化学工業株式会社 甘味料組成物
US6783789B2 (en) * 1999-12-10 2004-08-31 Pepsico, Inc. Use of metal salts to improve the taste of low-calorie beverages sweetened with sucralose
JP3508127B2 (ja) 1999-12-13 2004-03-22 日本製紙株式会社 甘味付与方法及び甘味料
DE19961338A1 (de) * 1999-12-17 2001-06-21 Nutrinova Gmbh Feste Mischung von Lebensmittelinhalts- und Lebensmittelzusatzstoff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rselben
US20020001651A1 (en) * 2000-01-24 2002-01-03 Norris Leslie Marie Method of altering and improving taste characteristics of edible consumables with monomeric or oligomeric polyphenolic compounds
CA2398445C (en) * 2000-02-01 2012-04-03 Stevia Aps A substance for the use in a dietary supplementation or for the preparation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hypertension and/or the metabolic syndrome
US20020004092A1 (en) * 2000-02-02 2002-01-10 Riha William E. Low calorie beverages containing high intensity sweeteners and arabinogalactan
WO2001084960A1 (fr) * 2000-04-24 2001-11-15 Ajinomoto Co., Inc. Compositions pour assaisonnement, denrées alimentaires et boissons les contenant, et procédé de production de es compositions
EP1289532A2 (en) * 2000-06-02 2003-03-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carbohydrate compositions, kits thereof, and methods of use
US20020132780A1 (en) * 2001-01-12 2002-09-19 Heisey Matthew Thomas Low carbohydrate compositions, kits thereof, and methods of use
FI20002148A (fi) * 2000-09-29 2002-03-30 Xyrofin Oy Menetelmä tuotteiden talteenottamiseksi
CN1217583C (zh) * 2000-11-17 2005-09-07 花王株式会社 包装的饮料
CN1299619A (zh) * 2000-12-18 2001-06-20 广州番禺凯德食品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降低胆固醇作用的蛋白饮料
US20050002992A1 (en) * 2003-06-17 2005-01-06 Mccleary Edward Larry Foods, beverages, condiments, spices and salad dressings with specialized supplements
FI111959B (fi) * 2000-12-28 2003-10-15 Danisco Sweeteners Oy Menetelmä maltoosin puhdistamiseksi
WO2002072102A1 (en) * 2001-03-05 2002-09-19 Ortho-Mcneil Pharmaceutical, Inc. Taste masked liqui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7368285B2 (en) * 2001-03-07 2008-05-06 Senomyx, Inc. Heteromeric umami T1R1/T1R3 taste receptors and isolated cells that express same
US20030031772A1 (en) * 2001-03-28 2003-02-13 Zehner Lee R. Mixtures of fructose and lactose as a low-calorie bulk sweetener with reduced glyemic index
WO2002080704A1 (en) * 2001-04-03 2002-10-17 Michigan Biotechnology Institute Composition for improving the taste and sweetness profile of beverages having intense sweeteners
US7815956B2 (en) 2001-04-27 2010-10-19 Pepsico Use of erythritol and D-tagatose in diet or reduced-calorie beverages and food products
US20030003212A1 (en) * 2001-06-13 2003-01-02 Givaudan Sa Taste modifiers
DE10130504B4 (de) * 2001-06-25 2005-02-03 Nutrinova Nutrition Specialties & Food Ingredients Gmbh Xanthin- und Phenazon-Acesulfam-H-Komplexe mit verbessertem Geschmack,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20040031023A (ko) * 2001-08-30 2004-04-09 신미츠이 세이토 가부시키가이샤 꽃 또는 허브의 향료, 또는 꽃 또는 허브의 추출물을함유하는 음료
EP1291342A1 (en) * 2001-09-06 2003-03-12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Pyridinium-betain compounds as taste enhancer
KR100851610B1 (ko) 2001-09-21 2008-08-12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감미료 및 그 제조 방법
US6986906B2 (en) * 2001-09-25 2006-01-17 Herbasway Laboratories, Llc Cranberry based dietary supplement and dental hygiene product
US7090863B2 (en) * 2001-11-30 2006-08-15 Inpharma S.A. Hypocholesterolemic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JP2003231622A (ja) * 2001-12-04 2003-08-19 Kao Corp 口腔用組成物
JP3843009B2 (ja) 2001-12-19 2006-11-08 東洋精糖株式会社 呈味が改善された経口材、経口材の呈味の改善方法並びに酵素処理イチョウ葉エキスの使用方法
US20050013902A1 (en) * 2002-02-11 2005-01-20 Edizone, Lc Fiber nutritional drink
US7153535B2 (en) * 2002-04-08 2006-12-26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Protein sweetener
US7067150B2 (en) * 2002-04-16 2006-06-27 Scepter Holdings, Inc. Delivery systems for functional ingredients
US20040022914A1 (en) 2002-06-07 2004-02-05 Allen Ann De Wees Novel sweeten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I20021312A (fi) * 2002-07-03 2004-01-04 Danisco Sweeteners Oy Polyolikoostumusten kiteyttäminen, kiteinen polyolikoostumustuote ja sen käyttö
JP2004073197A (ja) * 2002-07-31 2004-03-11 Unitika Ltd 甘味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食品
US20040058050A1 (en) * 2002-09-25 2004-03-25 Peilin Guo Herbal sweetening composition
JP4482270B2 (ja) * 2002-10-31 2010-06-16 花王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2004168704A (ja) * 2002-11-20 2004-06-17 Otsuka Pharmaceut Co Ltd 筋肉増加用製剤
US20040120900A1 (en) * 2002-12-20 2004-06-24 Peter Arsenault Intraoral calculus dissolving gel composition
US6984732B2 (en) * 2003-03-31 2006-01-10 Mcneil-Ppc, Inc. High-intensity sweetener composition and delivery of same
US8524198B2 (en) * 2003-06-20 2013-09-03 Donald W. Bailey Xylitol dental maintenance system
US7390518B2 (en) * 2003-07-11 2008-06-24 Cadbury Adams Usa, Llc Stain removing chewing gum composition
US20050013915A1 (en) * 2003-07-14 2005-01-20 Riha William E. Mixtures with a sweetness and taste profile of high fructose corn syrup (HFCS) 55 comprising HFCS 42 and acesulfame K
US20050013916A1 (en) * 2003-07-14 2005-01-20 Susanne Rathjen Mixtures of sucrose or high fructose corn syrup (HFCS) 42 or HFCS 55 and high-intensity sweeteners with a taste profile of pure HFCS 55
US20050037121A1 (en) * 2003-08-11 2005-02-17 Susanne Rathjen Mixtures of high fructose corn syrup (HFCS) 42 or HFCS 55 and high-intensity sweeteners with a taste profile of pure sucrose
JP4216208B2 (ja) 2004-02-26 2009-01-28 サラヤ株式会社 低エネルギーキャンディ
TWI360395B (en) * 2004-03-08 2012-03-21 Fuji Oil Co Ltd Acid prothin food with mineral
US20050214412A1 (en) * 2004-03-26 2005-09-29 Jason Koo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ing nutritional supplements with beverage sweeteners
US8449933B2 (en) * 2004-06-30 2013-05-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extracting juice from plant material containing terpene glycoside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KR101216575B1 (ko) * 2004-07-14 2012-12-31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2r,4r)-모나틴 칼륨 염 결정 및 이를 함유하는 감미료조성물
US7968138B2 (en) * 2004-07-23 2011-06-28 Arnold Nerenberg Food sweetener
US20060024335A1 (en) * 2004-07-29 2006-02-02 Roger Stier E Oral compositions which mask the bitter taste of a bitter-tasting agent
US20060034993A1 (en) * 2004-08-10 2006-02-16 Katrin Saelzer Compositions for improved mouthfeel in reduced-sugar or sugar-free foodstuffs and associated methods and articles therefrom
JP4964773B2 (ja) * 2004-08-11 2012-07-04 クラフト・フーヅ・グローバル・ブランズ・エルエルシー 感覚惹起剤組成物及びそれらの送達システム
JP4287348B2 (ja) 2004-09-30 2009-07-01 株式会社ミツカングループ本社 食酢飲料
US7923552B2 (en) 2004-10-18 2011-04-12 SGF Holdings, LLC High yield method of producing pure rebaudioside A
US20060093720A1 (en) 2004-10-28 2006-05-04 Ed Tatz Pumpable, semi-solid low calorie sugar substitute compositions
KR20060074013A (ko) * 2004-12-27 2006-06-30 가부시끼가이샤 롯데 콜라겐 함유 음식품
JP4344334B2 (ja) * 2005-03-04 2009-10-14 佐藤製薬株式会社 ステビア由来甘味物質を含有する甘味料
US20070026121A1 (en) * 2005-04-20 2007-02-01 Benedict Shane R Sweetening compositions
US7851005B2 (en) 2005-05-23 2010-12-14 Cadbury Adams Usa Llc Taste potentiator compositions and beverages containing same
AR055329A1 (es) * 2005-06-15 2007-08-15 Senomyx Inc Amidas bis-aromaticas y sus usos como modificadores de sabor dulce, saborizantes, y realzadores de sabor
MX2007016366A (es) 2005-06-27 2008-03-05 Cargill Inc Composiciones de sustituto de azucar y su uso en alimentos y bebidas.
US20070003670A1 (en) * 2005-06-29 2007-01-04 Rod Jendrysik Sports drink acid blend to reduce or eliminate aftertaste
US20070014910A1 (en) * 2005-07-18 2007-01-18 Altemueller Andreas G Acidic, protein-containing drinks with improved sensor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US20070014909A1 (en) * 2005-07-18 2007-01-18 Jimbin Mai Acidic, protein-containing drinks with improved sensor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US20070020368A1 (en) * 2005-07-25 2007-01-25 Sugar Sense Inc, New Jersey Corporation Low glycemic, high fiber composition of all natural compounds that provides a sweet flavor profile for use in foods, beverages or as a sugar substitute
WO2007022069A1 (en) 2005-08-12 2007-02-22 Cadbury Adams Usa Llc Mouth-moistening compositions, delivery systems containing same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070036733A1 (en) * 2005-08-12 2007-02-15 Takasago International Corp. (Usa) Sensation masking composition
US8956677B2 (en) * 2005-11-23 2015-02-17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glucosamine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KR101374346B1 (ko) 2005-11-23 2014-03-14 더 코카콜라 컴파니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천연 고효능 감미료조성물, 그 제제 방법 및 용도
JP5195751B2 (ja) * 2007-05-08 2013-05-15 味の素株式会社 甘味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2942A (en) 1984-03-08 1986-09-23 Stevia Company, Inc. Flavor enhancing and modifying materials
JPH06192283A (ja) * 1992-12-17 1994-07-12 Ikeda Pan:Kk 純粋なレバウディオサイドaを生産する方法
JPH0889207A (ja) * 1994-09-27 1996-04-09 Sanei Gen F F I Inc 低カロリー甘味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4089113A1 (en) 2003-04-08 2004-10-21 Quest International B.V. Oxigen stable active containing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93062A (zh) 2013-11-20
BRPI0618945A2 (pt) 2011-09-27
CN103393063A (zh) 2013-11-20
JP2015130875A (ja) 2015-07-23
AU2006318781B2 (en) 2012-11-01
MX2008006583A (es) 2008-05-31
ES2611887T3 (es) 2017-05-11
US20070128311A1 (en) 2007-06-07
AR056220A1 (es) 2007-09-26
DK2526778T3 (en) 2017-03-27
ES2619949T3 (es) 2017-06-27
EP3199033B1 (en) 2020-10-07
CA2630049A1 (en) 2007-05-31
EP1971228A1 (en) 2008-09-24
EP2526778B1 (en) 2017-01-04
CN103393064A (zh) 2013-11-20
JP2012235790A (ja) 2012-12-06
JP2009517022A (ja) 2009-04-30
CA2969364C (en) 2019-01-15
US9011956B2 (en) 2015-04-21
JP2017121252A (ja) 2017-07-13
WO2007061795A1 (en) 2007-05-31
KR101374346B1 (ko) 2014-03-14
KR20080071605A (ko) 2008-08-04
TW200738168A (en) 2007-10-16
ZA200804458B (en) 2009-12-30
AU2006318781A1 (en) 2007-05-31
EP3199033A1 (en) 2017-08-02
EP2526783A1 (en) 2012-11-28
CA2630049C (en) 2017-07-18
EP2526778A1 (en) 2012-11-28
JP6113974B2 (ja) 2017-04-12
KR20130109250A (ko) 2013-10-07
CN103393062B (zh) 2016-08-31
US20230189860A1 (en) 2023-06-22
CA2969364A1 (en) 2007-05-31
MY149619A (en) 2013-09-13
UY29928A1 (es) 2007-06-29
EP2526778B2 (en) 2023-03-22
JP6609587B2 (ja) 2019-11-20
DK2526783T3 (en) 2017-02-06
EP2526783B1 (en)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710B1 (ko)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천연 고효능 감미료 조성물, 그 제제 방법 및 용도
US20210015138A1 (en) Natural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Temporal Profile and/or Flavor Profile, Methods For Their Formulation, and Uses
JP6559938B2 (ja) ミネラルを含む高甘味度甘味料組成物及びこれにより甘味を付与された組成物
TWI402040B (zh) 含維生素之高效能甜味劑組成物及經其增甜之組成物
CN101312661B (zh) 具有改良时间变化形廓及/或风味形廓的天然高效甜味剂组成物与其调和方法和用途
JP2010508823A (ja) 長鎖第一級脂肪族飽和アルコールを有する高甘味度甘味料組成物及びこれにより甘味を付与された組成物
JP2018508480A (ja) 甘味を調節するための化合物、組成物、およびその方法
AU2017204356B2 (en) Natural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temporal profile and/or flavor profile, methods for their formulation, and uses
AU2013200558B2 (en) Natural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temporal profile and/or flavor profile, methods for their formulation, and u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