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568B1 - 적층 콘덴서 및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 콘덴서 및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568B1
KR101079568B1 KR1020090122207A KR20090122207A KR101079568B1 KR 101079568 B1 KR101079568 B1 KR 101079568B1 KR 1020090122207 A KR1020090122207 A KR 1020090122207A KR 20090122207 A KR20090122207 A KR 20090122207A KR 101079568 B1 KR101079568 B1 KR 101079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ultilayer capacitor
elementary body
connection surfac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7622A (ko
Inventor
마사아키 도가시
스나오 마스다
히로시 아베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7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02Mountings
    • H01G2/06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a printed-circuit suppor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H05K3/3421Leaded components
    • H05K3/3426Leaded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le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636Leadless chip, e.g. chip capacitor or resis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742Details of leads
    • H05K2201/1075Shape details
    • H05K2201/10856Divided leads, e.g. by slot in length direction of lead, or by branching of the lea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742Details of leads
    • H05K2201/10886Other details
    • H05K2201/10946Leads attached onto leadless component after manufacturing th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리 울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실장 밀도 및 실장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층 콘덴서, 및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 적층 콘덴서에서는, 전압 인가시의 적층 콘덴서에 전왜(電歪) 진동이 발생한 경우라도, 금속 단자의 연결면이 휘어짐으로써 전왜 진동이 완화되어, 소리 울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면에는 오려냄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휘어지기 쉬움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또한, 이 적층 콘덴서에서는, 단자 접속면, 기판 접속면, 및 연결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계단부가, 유전체층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소체와 겹치는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땜납 필릿(fillet)이 소체로부터 밀려나오는 일도 없으며, 실장 기판(K) 위에서의 실장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땜납 필릿의 상태를 외부로부터 시인하기 쉽고, 접속의 수율도 확보할 수 있다.
유전체층, 소체, 단자 전극, 금속 단자, 단자 접속면, 기판 접속면, 연결면, 적층 콘덴서

Description

적층 콘덴서 및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Multilayer capac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적층 콘덴서 및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전체층을 복수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소체와, 소체 내에 형성된 복수의 내부 전극과, 소체의 양 단면(端面)을 덮도록 형성된 한 쌍의 단자 전극을 구비한 적층 콘덴서가 있다. 적층 콘덴서에 전압을 인가한 경우, 전왜 효과에 의해서 소체에 인가 전압에 따른 크기의 기계적 변형이 생긴다. 특히 교류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에는, 이 기계적 변형에 의해서 적층 콘덴서에 진동(전왜 진동)이 발생한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를 기판에 실장하고, 교류 전압을 인가하면, 전왜 진동이 기판에 전파되어, 소위 소리 울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66110호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에서는, 단자 전극이 형성된 소체 측면을 클램프하는 내측 접속부와, 단자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소체 측면을 클램프하는 외측 접속부와, 이들의 내측 접속부 및 외측 접속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를 가지는 금속 단자를 설치하고 있다. 이 적층 콘덴서에서는, 중간부가 내측 접속부에서도 가늘게 되어 있어, 중간부가 휘어짐으 로써 전왜 진동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 단자의 휘어짐을 이용한 전왜 진동의 흡수는, 적층 콘덴서의 소리 울림의 발생 방지에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이러한 금속 단자를 구비한 적층 콘덴서의 구성을 더욱 연구하여, 전왜 진동의 흡수 성능을 강화시키거나, 제조 편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해진다.
또한, 적층 콘덴서가 다른 전자부품과 함께 실장 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고려하면, 실장 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85446호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에서는, 소체의 하부에서 금속 단자의 다리부를 기립(起立)시키는 동시에, 다리부의 선단 부분을 소체의 외측으로 꺾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문헌의 구조에서는, 적층 콘덴서를 땜납 리플로에서 실장 기판에 접속할 때, 소체의 하부에 있어서 금속 단자의 기립면의 내측에 땜납 필릿이 위치하게 된다. 그 때문에, 땜납 필릿의 상태를 외부로부터 시인하기 어렵고, 접속의 수율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소리 울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실장 밀도 및 실장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층 콘덴서, 및 이러한 적층 콘덴서를 간단한 절차로 제작할 수 있는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콘덴서는, 유전체층을 복수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소체와, 소체의 단면을 덮도록 형성된 단자 전극과, 소체의 주위에 형성된 금속 단자를 구비한 적층 콘덴서로서, 금속 단자는, 소체의 저면측에서 단자 전극에 접속된 단자 접속면과, 소체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한 상태로, 단자 접속면보다도 소체의 중앙측에 배치된 기판 접속면과, 기판 접속면으로부터 기립하여 단자 접속면에 연결된 연결면을 가지고, 단자 접속면, 기판 접속면, 및 연결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계단부(段部)가, 유전체층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소체와 겹치는 영역 내에 위치하고, 이 계단부에 있어서 적어도 연결면에 오려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적층 콘덴서에서는, 소체의 주위에 형성된 금속 단자에 의해, 전압 인가시의 적층 콘덴서에 전왜 진동이 발생한 경우라도, 이 금속 단자에 있어서 기판 접속면과 단자 접속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이 휘어짐으로써 전왜 진동이 완화되고, 소리 울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면에는 오려냄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휘어지기 쉬움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또한, 이 적층 콘덴서에서는, 단자 접속면, 기판 접속면, 및 연결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계단부가, 유전체층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소체와 겹치는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리플로에서 실장 기판에 접속할 때의 땜납 필릿이 소체로부터 밀려나오는 일도 없으며, 실장 기판상에서의 실장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판 접속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연결면의 외측에 땜납 필릿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땜납 필릿의 상태를 외부로부터 시인하기 쉽고, 접속의 수율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오려냄부는, 계단부에 있어서 단자 접속면으로부터 기판 접속면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연결면의 휘어지기 쉬움이 한층 확보되므로, 소리 울림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 단자는, 소체의 단면을 따르도록 단자 접속면으로부터 기립하는 기립면을 더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금속 단자에 의해 소체가 확실하게 지지된다. 또한, 소체에 금속 단자를 접속할 때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진다.
또한, 금속 단자의 높이는, 소체의 높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적층 콘덴서의 저배화(低背化)가 도모된다.
또한, 금속 단자는, 유전체층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겹침 부분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리드 프레임을 일 방향으로 프레스함으로써, 간단하게 금속 단자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콘덴서는, 유전체층을 복수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소체와, 소체의 단면을 덮도록 형성된 단자 전극과, 소체의 주위에 형성된 금속 단자를 구비한 적층 콘덴서로서, 금속 단자는, 소체의 저면측에서 단자 전극에 접속된 단자 접속면과, 소체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한 상태에서, 단자 접속면보다도 소체의 중앙측에 배치된 기판 접속면과, 기판 접속면과 단자 접속면에 연결된 연결면을 가지고, 연결면은, 소정 거리보다도 짧은 거리로 소체의 저면으로부터 이격한 상태로, 단자 접속면과 기판 접속면 사이의 위치에 배치된 중간면과, 기판 접속면으로부터 기립하여 중간면에 연결된 제 1 기립면과, 중간면으로부터 기 립하여 단자 접속면에 연결된 제 2 기립면을 가지고, 단자 접속면, 기판 접속면, 및 연결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계단부가, 유전체층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소체와 겹치는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적층 콘덴서에서는, 소체의 주위에 형성된 금속 단자에 의해, 전압인가시의 적층 콘덴서에 전왜 진동이 발생한 경우라도, 이 금속 단자에 있어서 기판 접속면과 단자 접속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이 휘어짐으로써 전왜 진동이 완화되고, 소리 울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면은, 중간면, 제 1 기립면, 및 제 2 기립면에 의해 구성되고, 충분한 길이가 확보되므로, 휘어지기 쉬움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또한, 이 적층 콘덴서에서는, 단자 접속면, 기판 접속면, 및 연결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계단부가, 유전체층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소체와 겹치는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리플로에서 실장 기판에 접속할 때의 땜납 필릿이 소체로부터 밀려나오는 일도 없으며, 실장 기판상에서의 실장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판 접속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연결면의 외측에 땜납 필릿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땜납 필릿의 상태를 외부로부터 시인하기 쉽고, 접속의 수율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연결면에 오려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오려냄부에 의해서 연결면의 휘어지기 쉬움이 한층 확보되므로, 소리 울림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판 접속면에 오려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오려냄부에 의해 금속 단자로부터 실장 기판측으로의 전왜 진동의 전달이 억제되므 로, 소리 울림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 단자는, 소체의 단면을 따르도록 단자 접속면으로부터 기립하는 기립면을 더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금속 단자에 의해 소체가 확실하게 지지된다. 또한, 소체에 금속 단자를 접속할 때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진다.
또한, 금속 단자의 높이는, 소체의 높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적층 콘덴서의 저배화가 도모된다.
또한, 금속 단자는, 유전체층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겹침 부분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리드 프레임을 일 방향으로 프레스함으로써, 간단하게 금속 단자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으로서, 금속 단자에 상당하는 적어도 한 쌍의 평판 부분이 서로 대향하도록 패턴 형성되고, 상기 평판 부분이 프레임 연결부에 의해서 외측 프레임에 연결된 리드 프레임을 준비하는 공정과, 평판 부분을 각각 일 방향으로 프레스하여 굴곡시키고, 단자 접속면, 기판 접속면, 및 연결면에 의한 계단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단자 접속면에 소체를 재치하고, 소체의 단자 전극과 단자 접속면을 접속하는 공정과, 평판 부분으로부터 프레임 연결부를 분리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에서는, 리드 프레임의 평판 부분을 일 방향으로 프레스하는 것만의 간단한 절차로, 단자 접속면, 기판 접속면, 및 연결면에 의한 계단부를 1회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단자 접속면에 소체를 재치함으로써, 소체의 단자 전극과 단자 접속면을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연결부는, 평판 부분에 있어서의 단자 접속면 상당부와 상기 외측 프레임을 연결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평판 부분의 프레스의 전후에서 단자 접속면의 위치의 변동이 억제되므로, 단자 접속면에 소체를 재치할 때의 소체의 단자 전극과 단자 접속면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평판 부분에 있어서, 프레임 연결부와의 연결 부분에 프레스에 의해 굴곡하지 않는 여백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평판 부분으로부터 프레임 연결부를 분리할 때에 다소의 절단 어긋남이 생겼다고 해도, 단자 전극으로의 대미지(damage)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연결부는, 평판 부분에 있어서의 기판 접속면 상당부와 외측 프레임을 연결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평판 부분의 프레스의 전후에서 기판 접속면의 위치 변동이 억제되므로, 프레스에 의한 평판 부분 간의 피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드 프레임의 표면에 땜납 도금이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단자 접속면에 소체를 재치한 후, 가열 처리에 의해서 간단하게 소체의 단자 전극과 단자 접속면을 접속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따르면, 소리 울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실장 밀도 및 실장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 명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이러한 적층 콘덴서를 간단한 절차로 제작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콘덴서 및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1)는, 예를 들면 2012 타입(길이 2.0mm, 폭 1.2mm, 높이 1.0mm)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이며, 유전체층(2)을 복수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소체(3)와, 소체(3)의 장변 방향의 단면(3a, 3a)을 덮도록 형성된 한 쌍의 단자 전극(4, 4)과, 소체(3)의 주위에 형성된 한 쌍의 금속 단자(5, 5)를 구비하고 있다.
소체(3)를 구성하는 유전체층(2)은, 예를 들면 BaTiO3계, Ba(Ti,Zr)O3계, 또는 (Ba,Ca)TiO3계와 같은 유전체 세라믹을 포함하는 세라믹 그린시트의 적층체를 소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소체(3)에서는, 각 유전체층(2)은 서로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는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소체(3)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제 1 내부 전극 및 제 2 내부 전극이 형 성되어 있다. 제 1 내부 전극 및 제 2 내부 전극은, 예를 들면 Ni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 등에 의해 세라믹 그린시트에 패턴 형성하고, 상기 패턴이 세라믹 그린시트와 함께 소결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 1 내부 전극과 제 2 내부 전극은, 적어도 그린 시트 1층분에 상당하는 유전체층(2)을 끼우도록 하여 적층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내부 전극의 단부는, 소체에 있어서의 장변 방향의 단면(3a)의 한쪽까지 신장하고, 제 2 내부 전극의 단부는, 소체에 있어서의 장변 방향의 단면(3a)의 다른쪽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 1 내부 전극과 제 2 내부 전극에 의해 끼워지는 소체 영역은, 적층 콘덴서(1)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이 소체 영역은, 전왜 효과에 의해 기계적 변형이 생기는 영역이기도 하다. 즉, 소체 영역은, 제 1 내부 전극과 제 2 내부 전극의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소체(3)의 적층 방향으로 팽창하고, 소체(3)가 대향하는 측면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수축한다.
단자 전극(4)은, 예를 들면 도전성 금속 분말 및 글래스 프릿을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소체(3)의 단면(3a, 3a)에 각각 부여하고, 이것을 소결함으로써 형성된다. 소결된 단자 전극(4)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도금층이 형성된다. 도전성 페이스트의 부여에는, 예를 들면 침지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금속 단자(5)에 대하여 설명한다. 금속 단자(5)는, 소체(3)와 대략 등폭의 판형을 이루고, 단자 전극(4)으로의 접속단이 되는 단자 접속면(11)과, 실장 기판(K)으로의 접속단이 되는 기판 접속면(12)과, 단자 접속면(11)과 기판 접속 면(12)을 연결하는 연결면(13)과, 단자 접속면(11)으로부터 기립하는 기립면(14)과, 기립면(14)의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면(15)을 구비하고 있다.
단자 접속면(11)은, 소체(3)의 저면(3b)에 있어서의 장변 방향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연장되고, 예를 들어 크림 땜납(P; 도 5a 참조)의 리플로에 의해서, 소체(3)의 저면(3b)측으로 돌아들어가고 있는 단자 전극(4)의 전극부분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기판 접속면(12)은, 소체(3)의 저면(3b)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한 상태로, 단자 접속면(11)보다도 소체(3)의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면(13)은, 단자 접속면(11) 및 기판 접속면(12)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배치되고, 단자 접속면(11)에 있어서의 소체(3) 중앙측의 단부와, 기판 접속면(12)에 있어서의 소체 외측의 단부를 연결함으로써 계단부(16)를 형성하고 있다.
이 계단부(16)는, 적층 콘덴서(1)를 유전체층(2)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소체(3)와 겹치는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고, 실장 상태에 있어서 적층 콘덴서(1)와 실장 기판(K)에 끼워지는 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다. 계단부(16)는, 기판 접속면(12)을 랜드 전극(도시하지 않음)에 접촉시킨 상태로, 예를 들면 크림 땜납의 리플로에 의해서 실장 기판(K)에 접속되어 있다. 땜납 필릿(17)은, 소체(3)로부터 밀려나오는 일이 없으며, 기판 접속면(12)으로부터 기립하는 연결면(13)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계단부(16)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직사각형의 오려냄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오려냄부(18)는, 단자 접속면(11)에 있어서의 소체(3) 중앙측의 단부로부터 연결면(13)을 거쳐서 기판 접속면(12)에 있어서의 소체 외측의 단부까지 연장 되어 있다. 이러한 오려냄부(18)에 의해, 연결면(13)의 면적이 작아지고, 연결면(13)의 휘어지기 쉬움이 확보되어 있다.
기립면(14)은, 단자 접속면(11)의 소체 외측의 단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소체(3) 높이의 대략 반분(半分) 정도의 높이로 기립하고, 소체(3)의 단면(3a)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이 기립면(14)은, 소체(3)에 금속 단자(5)를 접속할 때의 위치 맞춤 부재로서 기능하고, 금속 단자(5)에 접속된 소체(3)가 확실하게 지지된다.
또한, 플랜지면(15)은, 기립면(14)의 선단으로부터 소체(3)의 외측을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돌출하고 있다. 플랜지면(15)의 돌출 폭은, 예를 들면 0.3mm 정도로 되어 있고, 후술하는 적층 콘덴서(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금속 단자(5)를 리드 프레임(21; 도 4a 및 도 4b 참조)으로부터 분리할 때의 단자 전극(4)의 보호 부재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금속 단자(5)에 있어서, 단자 접속면(11), 기판 접속면(12), 연결면(13), 기립면(14) 및 플랜지면(15)은, 소체(3)에 있어서의 유전체층(2)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겹침 부분을 가지고 있지 않고, 리드 프레임(21)을 일 방향으로 프레스하는 것만의 간단한 절차로 금속 단자(5)를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금속 단자(5)에 있어서, 기판 접속면(12)의 위치로부터 플랜지면(15)의 위치까지의 높이는, 소체(3)의 높이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로써, 적층 콘덴서(1)의 저배화가 도모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적층 콘덴서(1)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 프레임(21)을 준비한다. 리드 프 레임(21)에는, 예를 들면 금속판의 펀칭 가공에 의해, 금속 단자(5)에 상당하는 한 쌍의 평판 부분(22, 22)이 서로 대향하도록 소정의 피치로 패턴 형성되어 있다.
평판 부분(22)은, 선단측으로부터 차례대로, 기판 접속면 상당부(23), 연결면 상당부(24), 단자 접속면 상당부(25), 기립면 상당부(26)로 되어 있고, 기판 접속면 상당부(23)로부터 단자 접속면 상당부(25)에 걸쳐서 오려냄부(18)에 상당하는 직사각형의 구멍부(27)가 미리 형성되어 있다. 평판 부분(22)에 있어서의 단자 접속면 상당부(25)측의 가장자리부로부터는, 띠형의 프레임 연결부(28)가 연장되어 있고, 이로써, 평판 부분(22)은, 리드 프레임(21)의 외측 프레임(29)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소정의 지그(jig)를 사용함으로써, 평판 부분(22)을 각각 일 방향으로 프레스하여 굴곡시키고,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접속면(11), 기판 접속면(12), 및 연결면(13)에 의한 계단부(16)와, 기립면(14) 및 오려냄부(18)를 동시에 형성한다. 이 때, 평판 부분(22)에 있어서, 프레임 연결부(28)와의 연결 부분에, 프레스에 의해서 굴곡하지 않는 여백 부분(30)을 형성해 둔다.
평판 부분(22)의 프레스를 행한 후,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접속면(11)의 표면에, 오려냄부(18)를 사이에 두고 2개소에 볼형의 크림 땜납(P, P)을 배치한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립면(14)이 소체(3)의 단면(3a)을 따르도록 단자 전극(4)을 위치 맞춤하면서 소체(3)를 단자 접속면(11)에 재치하고, 리플로에 의해 평판 부분(22)과 소체(3)를 접속한다.
그 후에, 블레이드 등으로 프레임 연결부(28)의 선단을 절단하고, 평판 부 분(22)을 프레임 연결부(28)로부터 분리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적층 콘덴서(1)가 완성된다. 프레임 연결부(28)의 선단의 절단시, 여백 부분(30)이 그대로 금속 단자(5)의 플랜지면(15)이 된다. 이로써, 평판 부분(22)으로부터 프레임 연결부(28)를 분리할 때에 다소의 절단 어긋남이 생겼다고 해도, 단자 전극(4)으로의 대미지를 회피할 수 있다. 적층 콘덴서(1)와 실장 기판(K)의 접속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크림 땜납의 리플로에 의해서, 기판 접속면(12)으로부터 기립하는 연결면(13)의 외측에 땜납 필릿(17)을 형성하고, 실장 기판(K)의 랜드 전극과 기판 접속면(12)을 접합하면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1)에서는, 소체(3)의 주위에 형성된 금속 단자(5)에 의해, 전압 인가시의 적층 콘덴서에 전왜 진동이 발생한 경우라도, 금속 단자(5)에 있어서 기판 접속면(12)과 단자 접속면(11)을 연결하는 연결면(13)이 휘어짐으로써 전왜 진동이 완화되고, 소리 울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면(13)에는, 단자 접속면(11)에 있어서의 소체(3) 중앙측의 단부로부터 연결면(13)을 거쳐서 기판 접속면(12)에 있어서의 소체 외측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오려냄부(1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휘어지기 쉬움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또한, 이 적층 콘덴서(1)에서는, 단자 접속면(11), 기판 접속면(12), 및 연결면(13)에 의해서 형성되는 계단부(16)가, 유전체층(2)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소체(3)와 겹치는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리플로에서 적층 콘덴서(1)를 실장 기판(K)에 접속할 때의 땜납 필릿(17)이 소체(3)로부터 밀려나오는 일도 없으며, 실장 기판(K) 위에서의 실장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판 접속 면(12)으로부터 기립하는 연결면(13)의 외측에 땜납 필릿(17)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땜납 필릿(17)의 상태를 외부로부터 시인하기 쉽고, 접속의 수율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에서는, 리드 프레임(21)의 평판 부분(22)을 일 방향으로 프레스하는 것만의 간단한 절차로, 단자 접속면(11), 기판 접속면(12), 및 연결면(13)에 의한 계단부(16)를 1회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단자 접속면(11)에 소체(3)를 재치함으로써, 소체(3)의 단자 전극(4)과 단자 접속면(11)을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는 동시에, 계단부(16)가 유전체층(2)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소체(3)와 겹치는 영역 내에 배치된다.
또한, 리드 프레임(21)에 있어서, 프레임 연결부(28)는, 평판 부분(22)에 있어서의 단자 접속면 상당부(25)측과 외측 프레임(29)을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평판 부분(22)의 프레스의 전후에서 단자 접속면(11)의 위치 변동이 억제되므로(도 4a 및 도 4b 참조), 단자 접속면(11)에 소체(3)를 재치할 때의 소체(3)의 단자 전극(4)과 단자 접속면(11)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계속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그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41)는, 금속 단자(45)에 있어서의 연결면(53)의 구성이 제 1 실시 형태와 다르 다. 즉, 적층 콘덴서(41)에서는, 금속 단자(45)의 연결면(53)이, 단자 접속면(51)과 기판 접속면(52) 사이의 위치에 배치된 중간면(53a)과, 기판 접속면(52)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기립하여 중간면(53a)에 연결된 제 1 기립면(53b)과, 중간면(53a)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기립하여 단자 접속면(51)에 연결된 제 2 기립면(53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중간면(53a)은 단자 접속면(51)과 기판 접속면(52)의 대략 중간의 높이에 위치하고, 소체(3)의 저면(3b)으로부터의 거리는, 기판 접속면(52)과 소체(3)의 저면(3b)의 거리의 대략 반분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기립면(53b)은, 기판 접속면(52)에 있어서의 소체 외측의 단부와, 중간면(53a)에 있어서의 소체 중앙측의 단부를 연결하고, 제 2 기립면(53c)은, 중간면(53a)에 있어서의 소체 외측의 단부와, 단자 접속면(51)에 있어서의 소체 중앙측의 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단자 접속면(51), 기판 접속면(52), 및 연결면(53)에 의해서 형성되는 계단부(56)는,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적층 콘덴서(41)를 유전체층(2)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소체(3)와 겹치는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고, 실장 상태에 있어서 적층 콘덴서(1)와 실장 기판(K)에 끼워져 있는 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다. 계단부(56)는, 기판 접속면(52)을 랜드 전극(도시하지 않음)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예를 들면 크림 땜납의 리플로에 의해 실장 기판(K)에 접속되어 있다. 땜납 필릿(57)은, 소체(3)로부터 밀려나오는 일이 없고, 기판 접속면(52)으로부터 기립하는 제 1 기립면(53b)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계단부(56)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직사각형의 오려냄부(58)가 형성되 어 있다. 오려냄부(58)는 연결면(53)에 있어서, 제 2 기립면(53c)의 상부로부터 중간면(53a)에 있어서의 소체 중앙측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오려냄부(58)에 의해, 연결면(53)의 면적이 작아지고, 연결면(53)의 휘어지기 쉬움이 확보되어 있다.
금속 단자(45)에서는,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기립면(54)이 단자 접속면(51)의 소체 외측의 단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소체(3)의 높이의 대략 반분 정도의 높이로 기립하고, 소체(3)의 단면(3a)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지만, 기립면(54)의 선단에는 플랜지면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플랜지면이 소체(3)의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는 만큼, 적층 콘덴서(41)의 실장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적층 콘덴서(41)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 프레임(61)을 준비한다. 리드 프레임(61)에는, 예를 들면 금속판의 펀칭 가공에 의해, 금속 단자(45)에 상당하는 한 쌍의 평판 부분(62, 62)이 서로 대향하도록 소정의 피치로 패턴 형성되어 있다.
평판 부분(62)은, 선단측으로부터 차례대로, 기판 접속면 상당부(63), 연결면 상당부(64; 제 1 기립면 상당부(64a), 중간면 상당부(64b), 제 2 기립면 상당부(64c)), 단자 접속면 상당부(65), 기립면 상당부(66)로 되어 있고, 중간면 상당부(64b)와 제 2 기립면 상당부(64c)에 걸쳐 오려냄부(58)에 상당하는 직사각형의 구멍부(67)가 미리 형성되어 있다. 평판 부분(62)에 있어서의 단자 접속면 상당부(65)측의 가장자리부로부터는, 띠형의 프레임 연결부(68)가 연장되어 있고, 이로써, 평판 부분(62)은 리드 프레임(61)의 외측 프레임(69)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소정의 지그를 사용함으로써, 평판 부분(62)을 각각 일 방향으로 프레스하여 굴곡시키고,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접속면(51), 기판 접속면(52), 및 연결면(53)에 의한 계단부(56)와, 기립면(54)과, 오려냄부(58)를 동시에 형성한다.
평판 부분(62)의 프레스를 행한 후,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접속면(51)의 표면에, 오려냄부(58)를 사이에 두고 2개소에 볼형의 크림 땜납(P, P)을 배치한다. 그리고,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립면(54)이 소체(3)의 단면(3a)을 따르도록 단자 전극(4)을 위치 맞춤하면서 소체(3)를 단자 접속면(51)에 재치하고, 리플로에 의해서 평판 부분(62)과 소체(3)를 접속한다.
그 후, 블레이드 등으로 프레임 연결부(68)의 선단을 절단하고, 평판 부분(62)을 프레임 연결부(68)로부터 분리하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적층 콘덴서(41)가 완성된다. 적층 콘덴서(41)와 실장 기판(K)의 접속시에는, 예를 들면 크림 땜납의 리플로에 의해서, 기판 접속면(52)으로부터 기립하는 연결면(53)의 외측에 땜납 필릿(57)을 형성하고, 실장 기판(K)의 랜드 전극과 기판 접속면(52)을 접합하면 좋다.
또한, 프레임 연결부(68)의 선단의 절단시, 제 1 실시 형태와 같은 여백 부분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기립면(54)의 선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평판 부분(62)으로부터 프레임 연결부(68)를 분리할 때에 다소의 절단 어긋남이 생겼다고 해도, 단자 전극(4)으로의 대미지를 회피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41)에 있어서도, 소체(3)의 주위에 형 성된 금속 단자(45)에 의해, 전압 인가시의 적층 콘덴서에 전왜 진동이 발생한 경우라도, 금속 단자(45)에 있어서 기판 접속면(52)과 단자 접속면(51)을 연결하는 연결면(53)이 휘어짐에 의해 전왜 진동이 완화되어, 소리 울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면(53)은 중간면(53a), 제 1 기립면(53b), 및 제 2 기립면(53c)에 의해 구성됨으로써 충분한 길이가 확보되는 동시에, 중간면(53a)과 제 2 기립면(53c)에 걸친 오려냄부(58)가 형성됨으로써, 휘어지기 쉬움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또한, 이 적층 콘덴서(41)에서는, 단자 접속면(51), 기판 접속면(52), 및 연결면(53)에 의해서 형성되는 계단부(56)가, 유전체층(2)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소체(3)와 겹치는 영역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리플로에서 적층 콘덴서(41)를 실장 기판(K)에 접속할 때의 땜납 필릿(57)이 소체(3)로부터 밀려나오는 일도 없으며, 실장 기판(K) 위에서의 실장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판 접속면(52)으로부터 기립하는 연결면(53)의 외측에 땜납 필릿(57)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땜납 필릿(57)의 상태를 외부로부터 시인하기 쉽고, 접속의 수율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연결면(53)에 있어서는, 제 1 기립면(53b)에 땜납 필릿(57)이 고착하고 있어도 제 2 기립면(53c)이 프리로 되어 있어, 휘어지기 쉬움이 담보되게 된다.
이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에서는, 리드 프레임(61)의 평판 부분(62)을 일 방향으로 프레스하는 것만의 간단한 절차로, 단자 접속면(51), 기판 접속면(52), 및 연결면(53)에 의한 계단부(56)를 1회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단자 접속면(51)에 소체(3)를 재치함으로써, 소체(3)의 단자 전극(4)과 단자 접속면(51)을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는 동시에, 계단부(56)가 유전체층(2)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소체(3)와 겹치는 영역 내에 배치된다.
또한, 리드 프레임(61)에 있어서, 프레임 연결부(68)는, 평판 부분(62)에 있어서의 단자 접속면 상당부(65)측과 외측 프레임(69)을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평판 부분(62)의 프레스 전후에서 단자 접속면(51)의 위치 변동이 억제되므로(도 9a 및 도 9b 참조), 단자 접속면(51)에 소체(3)를 재치할 때의 소체(3)의 단자 전극(4)과 단자 접속면(51)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크림 땜납을 사용하여 단자 접속면(11, 51)을 단자 전극(4)에 접속 하고 있지만, 리드 프레임(21, 61)의 표면에 미리 땜납 도금을 실시하고, 단자 접속면(11, 51)에 소체(3)를 재치한 후, 가열 처리를 행하여 단자 접속면(11, 51)을 단자 전극(4)에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오려냄부의 형상에 대해서도 다양한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면(53)에 있어서, 제 2 기립면(53c)의 상부로부터 중간면(53a)에 있어서의 소체 중앙측의 단부에 걸쳐서 오려냄부(58)가 연장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하는 금속 단자(75)와 같이, 제 1 기립면(53b)의 대략 하측 반분 부분으로부터 기판 접속면(52)에 있어서의 소체 중앙측의 단부에 걸쳐 오려냄부(78)를 연장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연결면(53)의 휘어지기 쉬움이 확보된다. 또한, 기판 접속면(52)과 실장 기판(K)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므로, 전왜 진동이 실장 기판(K)측으로 전달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예를 들면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 콘덴서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평판 부분(22)에 있어서의 단자 접속면 상당부(25)측과 외측 프레임(29)을 프레임 연결부(28)에서 연결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도 12a에 도시하는 리드 프레임(81)과 같이, 평판 부분(22)에 있어서의 기판 접속면 상당부(23)측과 외측 프레임(29)과 프레임 연결부(88)에서 연결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스의 전후에서 기판 접속면(12)의 위치 변동이 억제되므로, 프레스에 의한 평판 부분(22, 22) 사이의 피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구성은, 프레스 방향에 대한 평판 부분(22)의 길이가 긴 경우에 특히 의미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3a에 도시하는 리드 프레임(91)과 같이, 평판 부분(22)에 있어서의 기판 접속면 상당부(23), 연결면 상당부(24), 단자 접속면 상당부(25), 기립면 상당부(26)의 방향을 리드 프레임(21, 61, 81)의 경우와 직교시키고, 단자 접속면 상당부(25)와 외측 프레임(29)과 프레임 연결부(98)에서 연결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 프레임(91)의 평판 부분(22)을 프레스하는 것만의 간단한 절차로, 단자 접속면(11), 기판 접속면(12), 및 연결면(13)에 의한 계단부(16)를 1회에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적층 콘덴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한 적층 콘덴서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후속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적층 콘덴서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
도 9a 및 도 9b는 도 6에 도시한 적층 콘덴서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의 후속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오려냄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a 및 도 12b는 리드 프레임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a 및 도 13b는 리드 프레임이 더하는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Claims (16)

  1. 유전체층을 복수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소체와,
    상기 소체의 단면을 덮도록 형성된 단자 전극과,
    상기 소체의 주위에 형성된 금속 단자를 구비한 적층 콘덴서로서,
    상기 금속 단자는,
    상기 소체의 저면측에서 상기 단자 전극에 접속된 단자 접속면과,
    상기 소체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한 상태로, 상기 단자 접속면보다도 상기 소체의 중앙측에 배치된 기판 접속면과,
    상기 기판 접속면으로부터 기립하여 상기 단자 접속면에 연결된 연결면을 가지고,
    상기 단자 접속면, 상기 기판 접속면, 및 상기 연결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계단부가, 상기 유전체층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소체와 겹치는 영역 내에 위치하고, 이 계단부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접속면으로부터 상기 기판 접속면에 걸쳐 연장하는 오려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단자는, 상기 소체의 상기 단면을 따르도록 상기 단자 접속면으로부터 기립하는 기립면을 더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단자의 높이는, 상기 소체의 높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단자는, 상기 유전체층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겹침 부분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6. 유전체층을 복수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소체와,
    상기 소체의 단면을 덮도록 형성된 단자 전극과,
    상기 소체의 주위에 형성된 금속 단자를 구비한 적층 콘덴서로서,
    상기 금속 단자는,
    상기 소체의 저면측에서 상기 단자 전극에 접속된 단자 접속면과,
    상기 소체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한 상태로, 상기 단자 접속면보다도 상기 소체의 중앙측에 배치된 기판 접속면과,
    상기 기판 접속면과 상기 단자 접속면에 연결된 연결면을 가지고,
    상기 연결면은,
    상기 소정 거리보다도 짧은 거리로 상기 소체의 저면으로부터 이격한 상태로, 상기 단자 접속면과 상기 기판 접속면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된 중간면과,
    상기 기판 접속면으로부터 기립하여 상기 중간면에 연결된 제 1 기립면과,
    상기 중간면으로부터 기립하여 상기 단자 접속면에 연결된 제 2 기립면을 가지고,
    상기 단자 접속면, 상기 기판 접속면, 상기 연결면, 상기 제 1 기립면 및 상기 제 2 기립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계단부가, 상기 유전체층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소체와 겹치는 영역 내에 위치하고, 이 계단부에 있어서, 상기 중간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기립면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2 기립면에 있어서의 상기 단자 접속면측의 단부에 걸쳐 연장하는 오려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접속면에 오려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단자는, 상기 소체의 상기 단면을 따르도록 상기 단자 접속면으로부터 기립하는 기립면을 더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단자의 높이는, 상기 소체의 높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단자는, 상기 유전체층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겹침 부분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12.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금속 단자에 상당하는 적어도 한 쌍의 평판 부분이 서로 대향하도록 패턴 형성되고, 상기 평판 부분이 프레임 연결부에 의해서 외측 프레임에 연결된 리드 프레임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평판 부분을 각각 일 방향으로 프레스하여 굴곡시키고, 상기 단자 접속면, 상기 기판 접속면, 및 상기 연결면에 의한 상기 계단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단자 접속면에 상기 소체를 재치하고, 상기 소체의 단자 전극과 상기 단자 접속면을 접속하는 공정과,
    상기 평판 부분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연결부를 분리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평판 부분에 있어서의 단자 접속면 상당부측과 상기 외측 프레임을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부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연결부와의 연결 부분에 상기 프레스에 의해 굴곡하지 않는 여백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평판 부분에 있어서의 기판 접속면 상당부측과 상기 외측 프레임을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의 표면에 땜납 도금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
KR1020090122207A 2009-01-28 2009-12-10 적층 콘덴서 및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 KR101079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17086A JP4862900B2 (ja) 2009-01-28 2009-01-28 積層コンデンサ及び積層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JP-P-2009-017086 2009-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622A KR20100087622A (ko) 2010-08-05
KR101079568B1 true KR101079568B1 (ko) 2011-11-04

Family

ID=4235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207A KR101079568B1 (ko) 2009-01-28 2009-12-10 적층 콘덴서 및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15035B2 (ko)
JP (1) JP4862900B2 (ko)
KR (1) KR1010795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1732A (ko) 2022-01-19 2023-07-26 제엠제코(주) 다층 세라믹 반도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34507A1 (en) 2009-05-19 2012-03-28 Rubycon Corporation Surface mounting device and capacitor element
JP5154676B2 (ja) * 2011-06-29 2013-02-27 双信電機株式会社 コンデンサ
KR101292776B1 (ko) * 2011-09-06 2013-08-02 삼화콘덴서공업주식회사 대용량 패키지형 적층 박막 커패시터
KR101292775B1 (ko) * 2011-09-06 2013-08-02 삼화콘덴서공업주식회사 대용량 패키지형 적층 박막 커패시터
US8988857B2 (en) * 2011-12-13 2015-03-24 Kemet Electronics Corporation High aspect ratio stacked MLCC design
KR101566772B1 (ko) * 2012-03-29 2015-11-06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JP5874552B2 (ja) * 2012-07-04 2016-03-02 株式会社デンソー 接合部材
JP5725062B2 (ja) * 2013-03-15 2015-05-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それに含まれる基板型の端子、および、電子部品の実装構造
JP6032212B2 (ja) * 2013-03-19 2016-11-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電子部品およびその実装構造体
KR101508539B1 (ko) 2013-07-09 2015-04-07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JP6295662B2 (ja) * 2013-12-27 2018-03-20 Tdk株式会社 電子部品
US9949378B2 (en) * 2014-04-14 2018-04-17 Presidio Components, Inc. Electrical devices with solder dam
US9647363B2 (en) * 2014-09-19 2017-05-09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and configurations to control movement and position of surface mounted electrical devices
KR102029493B1 (ko) 2014-09-29 2019-10-07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JP6390342B2 (ja) * 2014-10-24 2018-09-19 Tdk株式会社 電子部品
KR101642593B1 (ko) 2014-11-03 2016-07-25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102052769B1 (ko) 2014-12-16 2019-12-09 삼성전기주식회사 복합 전자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139762B1 (ko) * 2015-01-08 2020-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102149789B1 (ko) * 2015-01-20 2020-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KR20160091651A (ko) 2015-01-26 2016-08-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JP6694235B2 (ja) * 2015-01-29 2020-05-13 Tdk株式会社 電子部品
KR102139758B1 (ko) * 2015-02-02 2020-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JP6443104B2 (ja) 2015-02-13 2018-12-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KR101659216B1 (ko) * 2015-03-09 2016-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JP6806354B2 (ja) * 2015-04-20 2021-01-06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キャパシタ部品及びこれを備えた実装基板
JP6571469B2 (ja) * 2015-09-26 2019-09-04 京セラ株式会社 積層型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実装構造体
KR102189804B1 (ko) * 2015-12-04 2020-12-1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전자부품 및 적층 전자부품 실장 기판
KR101751137B1 (ko) * 2015-12-08 2017-06-2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US10601335B1 (en) * 2016-01-15 2020-03-24 Apple Inc. Low inductance power inverter
JP6520850B2 (ja) * 2016-07-14 2019-05-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及び回路モジュール
JP6862789B2 (ja) * 2016-11-22 2021-04-21 Tdk株式会社 セラミック電子部品
KR102018308B1 (ko) 2017-05-04 2019-09-05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US10347425B2 (en) * 2017-05-04 2019-07-0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having the same
KR102380840B1 (ko) 2017-06-08 2022-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US10062511B1 (en) 2017-06-08 2018-08-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having the same
KR102471341B1 (ko) 2017-06-30 2022-11-2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US20190069411A1 (en) * 2017-08-25 2019-02-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having the same
KR102499464B1 (ko) 2017-09-19 2023-02-14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102463337B1 (ko) 2017-09-20 2022-11-04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JP2019062042A (ja) * 2017-09-26 2019-04-18 太陽誘電株式会社 金属端子付き電子部品および電子部品実装回路基板
KR102494331B1 (ko) * 2017-10-24 2023-02-02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102609148B1 (ko) 2018-02-13 2023-12-05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US10658118B2 (en) * 2018-02-13 2020-05-1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having the same
KR102538898B1 (ko) * 2018-06-08 2023-06-01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부품
JP7097761B2 (ja) * 2018-06-27 2022-07-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CN110875134B (zh) * 2018-08-30 2021-11-26 三星电机株式会社 包括电容器阵列的电子组件及安装框架
KR20190121162A (ko) * 2018-08-30 2019-10-25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부품
US10515761B1 (en) * 2018-08-30 2019-12-2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Electronic component including a capacitor array
KR102142517B1 (ko) * 2018-09-04 2020-08-07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부품
KR20210026117A (ko) * 2019-08-29 2021-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US11562954B2 (en) * 2019-08-30 2023-01-24 Intel Corporation Frame-array interconnects for integrated-circuit packages
JP7428962B2 (ja) * 2019-10-28 2024-02-07 Tdk株式会社 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2021068853A (ja) * 2019-10-28 2021-04-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支持端子付きコンデンサチップ
KR20210075672A (ko) * 2019-12-13 2021-06-23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부품
KR102298427B1 (ko) * 2020-01-09 2021-09-06 삼화콘덴서공업 주식회사 리드 구조를 가지는 mlcc
KR20220033178A (ko) 2020-09-09 2022-03-16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8847A (ja) * 2003-03-20 2004-10-14 Tdk Corp 電子部品
JP2006168320A (ja) 2004-12-20 2006-06-29 Taiyo Yuden Co Ltd 電子部品又は積層電子部品用シート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8218A (en) * 1977-09-19 1979-06-12 Union Carbide Corporation Ceramic capacitor device
JPS61186225A (ja) * 1985-02-15 1986-08-19 Sumitomo Alum Smelt Co Ltd 針状ゲ−タイトの製造方法
US4908934A (en) 1987-01-14 1990-03-20 Takeshi Ikeda Process of producing a foil-roll electronic part
US4904973A (en) 1987-01-14 1990-02-27 Takeshi Ikeda Foil-roll electronic part
JP2747479B2 (ja) * 1987-01-14 1998-05-06 毅 池田 箔巻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8807825D0 (en) * 1988-03-31 1988-05-05 Romicon Inc Multiple membrane filtration systems
JPH029420U (ko) 1988-07-01 1990-01-22
JPH06151228A (ja) * 1992-11-06 1994-05-31 Mitsubishi Electric Corp チップ部品の取付け構造
JPH1041192A (ja) * 1996-07-23 1998-02-13 Rohm Co Ltd パッケージ型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構造
JP2001185446A (ja) 1999-12-24 2001-07-06 Tokin Corp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01189233A (ja) * 1999-12-28 2001-07-10 Murata Mfg Co Ltd 積層コンデンサ
JP4360588B2 (ja) * 2001-04-27 2009-11-11 日立エーアイシー株式会社 金属化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4014819B2 (ja) * 2001-05-14 2007-11-28 Necトーキン株式会社 チップ型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18286B2 (ja) 2003-03-03 2009-08-19 Tdk株式会社 電子部品
US6958899B2 (en) * 2003-03-20 2005-10-25 Tdk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JP2006024825A (ja) * 2004-07-09 2006-01-2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部品
JP2008130954A (ja) * 2006-11-24 2008-06-05 Maruwa Co Ltd 導電脚体付きチップ形積層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チップ形積層コンデンサの導電脚体形成用前駆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8847A (ja) * 2003-03-20 2004-10-14 Tdk Corp 電子部品
JP2006168320A (ja) 2004-12-20 2006-06-29 Taiyo Yuden Co Ltd 電子部品又は積層電子部品用シート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1732A (ko) 2022-01-19 2023-07-26 제엠제코(주) 다층 세라믹 반도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88798A1 (en) 2010-07-29
KR20100087622A (ko) 2010-08-05
US8315035B2 (en) 2012-11-20
JP4862900B2 (ja) 2012-01-25
JP2010177370A (ja)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9568B1 (ko) 적층 콘덴서 및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
KR101014508B1 (ko) 적층 콘덴서
KR101079567B1 (ko) 적층 콘덴서
US9053864B2 (en) Multilayer capac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5072095A (ja) 電子回路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009359A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及びその実装構造
JP4975946B2 (ja) チップ型固体電解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4952728B2 (ja) 積層コンデンサ及び積層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WO2016080350A1 (ja) 積層型コンデンサ
KR20170109823A (ko)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CN110612780B (zh) 多连配线基板、电子部件收纳用封装件以及电子装置
JP2004266110A (ja) 電子部品
JP2007142161A (ja) 下面電極型固体電解コンデンサ
JP2014229869A (ja) 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2001155953A (ja) 三次元搭載用多端子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4144265B2 (ja) 電子部品の製造方法、電子部品製造用の母基板及び電子部品の中間成形物並びに電子部品
JP4612567B2 (ja) セラミック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JP4616016B2 (ja) 回路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4646779B2 (ja) 積層コンデンサ、積層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および積層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2002343640A (ja) 積層セラミック型電子部品
JP2004172466A (ja) 電子部品
JP2019062023A (ja) 電子部品装置
JP2022181894A (ja) 積層コンデンサ
JP6571469B2 (ja) 積層型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実装構造体
JP2006100680A (ja) 電子デバイス用パッケー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圧電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