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330B1 - 대차식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대차식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330B1
KR100923330B1 KR1020077028466A KR20077028466A KR100923330B1 KR 100923330 B1 KR100923330 B1 KR 100923330B1 KR 1020077028466 A KR1020077028466 A KR 1020077028466A KR 20077028466 A KR20077028466 A KR 20077028466A KR 100923330 B1 KR100923330 B1 KR 100923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bogie
conveyance
trolle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8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9608A (ko
Inventor
지로 나카무라
노부히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080019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8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trains of unconnected load-carriers, e.g. belt sections, movable in a path, e.g. a closed path, adapted to contact each other and to be propelled by means arranged to engage each load-carrier in tu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1/00Turntables; Traversers;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other rail vehicles or dol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48Controlling attitudes of load-carriers dur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바닥측의 캠 레일로 제어되는 승강 가능한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대차를 이용하는 반송 장치에 있어서, 해당 대차의 방향 전환용 턴테이블을 저바닥(low-floor) 구조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특징은, 반송 대차(1) 상에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한 피반송물 지지대가 설치되고, 해당 반송 대차(1)의 저부에는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와 연동하여 상하동하는 캠 종동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반송 대차(1)의 주행 경로 중에는 상기 캠 종동 롤러를 밀어올리는 캠 장치(58)를 구비하며 피반송물 지지대가 상승 위치에 유지되는 작업 구간(3A)이 마련된 대차식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 구간(3A)보다 하류의 주행 경로에는 반송 대차(1)의 방향 전환용 턴테이블(7)이 배설되고, 적어도 이 턴테이블(7)에 진입하기 직전부터 회전한 해당 턴테이블(7)로부터 완전히 퇴출할 때까지의 반송 대차(1)의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를 상승 위치에 유지시켜 두는 수단이 설치된 점에 있다.
Figure 112007087746058-pct00001
반송 대차, 피반송물 지지대, 턴테이블, 캠 종동 롤러, 캠 레일, 대차식 반송 장치.

Description

대차식 반송 장치{CARRIAGE-TYPE CONVEYANCE DEVICE}
본 발명은 바닥측의 캠 레일로 제어되는 승강 가능한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대차식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대차식 반송 장치, 즉 일정 주행 경로 상을 주행 가능한 반송 대차 상에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한 피반송물 지지대가 설치되고, 해당 반송 대차의 저부(低部)에는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와 연동하여 상하동하는 캠 종동 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반송 대차의 주행 경로 중에는 상기 캠 종동 롤러를 밀어올리는 캠 레일을 구비하며 피반송물 지지대가 상승 위치에 유지되는 작업 구간이 마련된 대차식 반송 장치는 특허 문헌 1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주지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4-331366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대차식 반송 장치에서 반송 대차의 주행 경로 중에 해당 반송 대차의 방향 전환용 턴테이블이 배설되는 경우, 피반송물 지지대 상에 피반송물이 탑재되어 있거나 없거나 관계없이 피반송물 지지대를 하강 위치로 복귀시킨 상태에서 턴테이블 상에 올라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대차 저부에 피반송물 지지대와 연동하여 상하동하는 피반송물 지지대 승강 조작용 캠 종동 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피반송물 지지대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캠 종동 롤러는 바닥면에 접근하는 아래 위치에 있어, 턴테이블을 구성할 때에는 아래 위치에 있는 캠 종동 롤러와 턴테이블 측이 간섭하지 않도록 고려하여야 한다. 즉 반송 대차를 지지 안내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바닥면 상에 부설되어 있는 것과 같은 구성에서는 해당 가이드 레일과 동일 레벨로 턴테이블 상의 반송 대차 지지 안내용 가이드 레일을 부설하기 위하여 턴테이블의 표면을 바닥면과 동일 레벨로 할 필요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턴테이블을 바닥면 아래로 파서 축조한 피트 내에 수납하게 되어 반송 대차의 방향 전환을 위한 설비 비용이 매우 비싸며, 바닥면 아래에 피트를 파서 축조할 수 없는 건옥 구조의 경우에는 턴테이블과 같은 방향 전환 수단을 채용할 수 없게 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대차식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대차식 반송 장치는, 후술하는 실시 형태의 참조 부호를 괄호로 묶어 표시하면, 일정 주행 경로 상을 주행 가능한 반송 대차(1) 상에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한 피반송물 지지대(17)가 설치되고, 해당 반송 대차(1)의 저부에는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17)와 연동하여 상하동하는 캠 종동 롤러(42a, 42b, 44)가 설치되고, 상기 반송 대차(1)의 주행 경로 중에는 상기 캠 종동 롤러(42a, 42b, 44)를 밀어올리는 캠 레일(59A, 60)을 구비하며 피반송물 지지대(17)가 상승 위치에 유지되는 작업 구간(3A)이 마련된 대차식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 구간(3A)보다 하류의 주행 경로에는 반송 대차(1)의 방향 전환용 턴테이블(7)이 배설되고,
반송 대차(1)가 적어도 상기 턴테이블(7)에 진입하기 직전부터 회전한 해당 턴테이블(7)로부터 완전히 퇴출할 때까지의 동안에 해당 반송 대차(1)의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17)를 상승 위치에 유지시켜 두는 피반송물 지지대 상승 위치 유지 수단(로킹(lock) 수단(51))이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피반송물 지지대(17)를 상승 위치에 유지해 두는 작업 구간(3A)의 전역이나,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 상승 위치 유지 수단으로 피반송물 지지대(17)를 상승 위치에 유지해 두는 구간(턴테이블(7) 상의 주행 경로 전역을 포함함.)의 전역에 상기 캠 종동 롤러(42a, 42b, 44)를 통하여 피반송물 지지대(17)를 밀어올리는 캠 레일(59A, 60)을 부설할 수도 있는데, 청구항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반송 대차(1)에 피반송물 지지대(17)를 상승 위치에서 로킹하는 수단(51)을 설치하고, 주행 경로 중의 피반송물 지지대(17)를 하강 위치까지 낮추는 위치에는 상기 로킹 수단(51)의 로킹 해제 수단(로킹 해제용 캠(61))을 배설하고, 피반송물 지지대(17)를 상승 위치에 유지해 두는 구간의 입구 부분에만 상기 캠 레일(59A, 60)을 부설하고,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 상승 위치 유지 수단을 상기 로킹 수단(51)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작업 구간(3A)과 턴테이블(7) 사이에 피반송물 지지대(17)를 하강 위치로 낮춘 상태에서 고속 주행시키는 고속 주행 구간(3B)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턴테이블(7)의 직전 위치에 상기 캠 종동 롤러(42a, 42b, 44)를 밀어올리는 캠 레일(59A, 60)을 배설하면 된다. 바꾸어 말하면, 작업 구간(3A)의 직후에 상기 턴테이블(7)이 배설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작업 구간(3A)으로부터 퇴출한 반송 대차(1)를 그 피반송물 지지대(17)를 상승 위치에 유지시킨 채 턴테이블(7) 상의 주행 경로로 송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턴테이블(7)은 예컨대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해당 턴테이블(7) 상의 반송 대차 주행 경로를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64a, 64b), 해당 양 가이드 레일(64a, 64b)을 그 내측에서 연결 일체화하는 중간 프레임(65), 이 중간 프레임(65)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기 위하여 바닥측으로부터 돌출설치된 수직 지축(66), 상기 양 가이드 레일(64a, 64b)의 외측에 부착되며 바닥측의 지지 안내면(74) 상을 전동하는 복수의 지지용 롤러(67a∼67d) 및 이들 지지용 롤러(67a∼67d)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68a, 68b)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청구항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턴테이블(7)의 지지용 롤러(67a∼67d)는 양 가이드 레일(64a, 64b)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부착하고, 양 가이드 레일(64a, 64b)의 단부에는 다른 지지용 보조 롤러(69a∼69d)를 부착하고, 턴테이블(7) 상의 반송 대차 주행 경로가 상류측 주행 경로 또는 하류측 주행 경로에 접속하였을 때 해당 주행 경로의 단부에 인접하는 상기 지지용 보조 롤러(69a, 69c) 또는 (69b, 69d)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 단부를 레벨링하는 보조 지지 안내면(75, 76)을 바닥측에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반송 대차(1)가 자주식(自走式)인 경우에는, 해당 반송 대차(1)의 자주에 의해 턴테이블(7) 상으로의 탑승 및 턴테이블(7)로부터의 퇴출을 실행시킬 수 있는데, 반송 대차(1)가 자주식이 아닌 경우나 자주식이라 하더라도 유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반송 대차(1)일 때에는 주행 경로 측에 배설한 구동 수단으로 해당 반송 대차(1)의 턴테이블(7) 상으로의 탑승 및 턴테이블(7)로부터의 퇴출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류측 주행 경로로부터 상기 턴테이블(7) 상으로의 반송 대차 송입 수단(81)과 상기 턴테이블(7) 상으로부터 하류측 주행 경로로의 반송 대차 송출 수단(82)을 바닥측에 배설하고, 이들 바닥측의 반송 대차 송입 수단(81)과 반송 대차 송출 수단(82)은 반송 대차(1)에 설치된 주행 방향과 평행한 좌우 양측면의 일측에 압접하는 마찰 구동륜(83, 85)과 타측에 맞닿는 백업 롤러(84, 86)로 구성하고, 상기 턴테이블(7)은 이 턴테이블(7) 상의 반송 대차 주행 경로의 일단이 상류측 주행 경로에 접속하는 위치(반송 대차의 수취 위치)와 해당 턴테이블(7) 상의 반송 대차 주행 경로의 타단이 하류측 주행 경로에 접속하는 위치(반송 대차 송출 위치) 사이의 범위를 정역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반송 대차 송입 수단(81)의 마찰 구동륜(83)은 턴테이블(7) 상에 송입한 반송 대차(1)가 턴테이블(7)의 회전에 의해 멀어져 가는 측의 바닥측에 배설하고, 상기 반송 대차 송출 수단(82)의 마찰 구동륜(85)은 턴테이블(7) 상의 반송 대차(1)가 턴테이블(7)의 회전에 의해 접근해 오는 측의 바닥측에 배설하고, 반송 대차 송입 수단(81) 및 반송 대차 송출 수단(82)의 백업 롤러(84, 86)는 턴테이블(7)의 회전에 의한 턴테이블(7) 상의 반송 대차(1)의 회전 공간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퇴출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청구항 6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청구항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턴테이블(7) 상의 반송 대차 주행 경로가 접속하는 상류측 주행 경로(왕행 경로부(3))의 단부에는 반송 대차 낙하 방지용 기복 가능한 상폐(常閉) 스토퍼(90)를 설치하고, 상기 반송 대차 송입 수단(81)의 백업 롤러(84)의 퇴출 이동에 연동하는 캠 수단(캠 레일(94))을 설치하고, 해당 캠 수단(캠 레일(94))이 상기 반송 대차 송입 수단(81)의 백업 롤러(84)의 퇴출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상폐 스토퍼(90)를 비작용 위치로 전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대차식 반송 장치에 의하면, 반송 대차가 턴테이블에 의해 방향 전환될 때, 적어도 해당 턴테이블에 진입하기 직전부터 회전한 해당 턴테이블로부터 완전히 퇴출할 때까지의 반송 대차의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가 피반송물 지지대 상승 위치 유지 수단에 의해 상승 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해당 피반송물 지지대를 승강 조작하는 대차 저부의 캠 종동 롤러도 윗(上) 위치로 올라간 상태에 있다. 따라서, 작업 구간을 포함하는 주행 경로의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바닥면 상에 부설되어 있어, 대차 저부의 캠 종동 롤러의 아래 위치(피반송물 지지대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의 캠 종동 롤러의 위치)가 상기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사이의 바닥면 가까이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턴테이블 상의 주행 경로를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사이에 아래 위치의 캠 종동 롤러가 이동하는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턴테이블 상의 주행 경로를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해당 양 가이드 레일의 내측에서 서로 연결 일체화하여 턴테이블을 박형(薄型)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종래와 같이 바닥면을 파서 턴테이블의 가이드 레일 하측 부분이 끼워져 들어가는 피트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져 설비 비용의 대폭적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나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턴테이블 상이나 작업 구간의 전역에 반송 대차의 캠 종동 롤러를 밀어올리는 캠 레일을 부설해 둘 필요가 없어져, 턴테이블을 포함하는 설비 전체의 비용을 훨씬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반송 대차의 방향 전환용 턴테이블을 용이하게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청구항 5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주요한 지지용 롤러의 회전 반경을 작게 하고, 바닥측의 지지 안내면을 바닥 위에 부설된 다른 판재로 구성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다른 판재의 반경을 작게 하여 비용을 낮출 수 있고, 게다가 턴테이블 상의 가이드 레일의 반송 대차가 옮겨지는 측의 단부는 바닥측의 보조 지지 안내면에서 확실하게 소정 레벨로 지지시켜, 반송 대차의 옮기기를 안전하고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청구항 6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자주식이 아닌 반송 대차라 하더라도 마찰 구동 방식으로 해당 반송 대차를 턴테이블과의 사이에서 옮겨지게 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필요한 마찰 구동 수단인 마찰 구동륜과 백업 롤러를 턴테이블 상에 탑재하지 않고 바닥측에 반송 대차 송입 수단과 반송 대차 송출 수단으로 나누어 설치하므로 턴테이블에 필요한 강도를 낮추어 박형 경량의 턴테이블로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턴테이블 회전 시에 마찰 구동 수단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이 청구항 7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구동원을 갖지 않는 백업 롤러측만을 이동시키면 되므로 반송 대차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턴테이블 전체의 구성이 훨씬 간단해져 염가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턴테이블 상의 주행 경로가 접속하지 않은 상류측 주행 경로의 단부에는 반송 대차 낙하 방지용 상폐 스토퍼가 필요해지는데, 이 경우, 청구항 7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폐 스토퍼를 턴테이블 접속 시에 자동으로 비작용 위치로 전환하는 액추에이터로서 턴테이블에의 반송 대차 송입 수단에서의 백업 롤러를 턴테이블 회전에 앞서 퇴출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로 겸용시킬 수 있어, 상폐 스토퍼 전용 액추에이터를 설치하는 경우보다 제어가 간단해져 설비 비용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레이아웃의 전체를 도시한 일부 절단 평면도이다.
도 2의 A는 반송 대차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일부 종단 측면도, B는 연결 수단의 연결 작용 전의 상태를 도시한 요부의 종단 측면도, C는 동 연결 수단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3은 반송 대차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의 A는 피반송물 지지대가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반송 대차의 배면도, B는 피반송물 지지대가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반송 대차의 배면도이다.
도 5는 피반송물 지지대가 하강 위치에서 상승 시작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 한 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6은 피반송물 지지대가 중간 높이까지 상승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7은 피반송물 지지대가 상승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9는 피반송물 지지대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피반송물 지지대가 상승 위치부터 중간 높이까지 낮추어졌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1의 A는 피반송물 지지대가 상승 위치에서의 로킹이 해제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요부의 종단 측면도, B는 피반송물 지지대가 상승 위치에서의 로킹이 해제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2는 반송 대차의 방향 전환용 턴테이블이 상류측 주행 경로에 접속해 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반송 대차의 방향 전환용 턴테이블이 하류측 주행 경로에 접속해 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요부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턴테이블 본체 부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턴테이블 본체 부분과 반송 대차 송입 수단을 도시한 정면 도이다.
도 17의 A는 턴테이블 전후 양단의 대차 낙하 방지용 스토퍼가 도복(倒伏) 비작용 자세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요부의 정면도, B는 동 대차 낙하 방지용 스토퍼가 기립 작용 자세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18의 A는 턴테이블에 병설된 반송 대차 송입 수단에서의 백업 롤러의 퇴출 구동 수단과 왕행 경로부 상으로부터의 반송 대차 낙하 방지용 상폐 스토퍼를 도시한 평면도, B는 동 상폐 스토퍼만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9는 턴테이블 위치 결정 수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반송 대차, 2a, 2b…가이드 레일,
2c…진동 방지용 가이드 레일, 3…왕행 경로부,
3A…작업 구간, 3B, 3C…고속 주행 구간,
4…복행 경로부, 5, 6…횡행 경로부,
7∼10…반송 대차 방향 전환용 턴테이블,
11A…뒷밀이용 구동 수단, 11B…제동용 구동 수단,
11C…고속 구동 수단, 11D…가변속 구동 수단,
12, 83, 85…마찰 구동륜, 13, 84, 86…백업 롤러,
14, 83a, 85a…마찰 구동륜의 구동용 모터,
15…차륜, 16…진동 방지용 수직축 롤러,
17…승강 가능한 피반송물 지지대, 18…연결 수단,
20…연결구, 22…연결구 개방용 캠 레일,
22b…연결구 개방용 캠 종동 롤러,
23…피반송물 지지대 승강용 크로스링크 기구,
24a, 24b…크로스링크, 33, 38…슬라이드 가이드,
39…제1 피조작부, 40…제2 피조작부,
42a, 42b…제1 피조작부의 캠 종동 롤러,
43…토글 링크, 44…제2 피조작부의 캠 종동 롤러,
51…피반송물 지지대의 로킹 수단, 52…로킹 수단용 피걸림부,
53…로킹 수단용 걸림구,
57…로킹 수단용 걸림구의 캠 종동 롤러,
58, 99, 100…피반송물 지지대 승강 제어용 캠 장치,
59A…시작단측 제1 캠 레일, 59B…끝단측 제1 캠 레일,
60…제2 캠 레일, 61…로킹 해제용 캠,
62…대차 부상 방지용 캠 레일, 63…대차 부상 방지용 백업 롤러,
64a, 64b…턴테이블 상의 가이드 레일,
65…중간 프레임, 66…턴테이블의 회전 중심 수직 지축,
67a∼67d…턴테이블 지지용 롤러, 68a, 68b…턴테이블 구동용 모터,
69a∼69d…턴테이블 지지용 보조 롤러,
70a, 70b…대차 낙하 방지용 스토퍼, 71…환상 지지판,
72a, 72b…턴테이블 회전 제한용 스토퍼,
74…지지 안내면, 75, 76…보조 지지 안내면,
78…스토퍼 본체, 79…캠 종동 롤러,
80a, 80b…대차 낙하 방지용 스토퍼의 제어용 캠 레일,
81…반송 대차 송입 수단, 82…반송 대차 송출 수단,
87…백업 롤러 출퇴 구동용 실린더 유닛,
88…가동대, 89…반송 대차 위치 결정 수단,
90…상폐 스토퍼, 92…스토퍼 본체,
93…캠 종동 롤러, 94…상폐 스토퍼의 제어용 캠 레일,
95, 96…턴테이블 위치 결정 수단, 95a, 96a…걸림구,
95b, 96b…걸림구 퇴출 구동용 실린더 유닛,
97a, 97b…위치 결정용 피걸림부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에서, 1은 반송 대차로서,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2a, 2b)로 구성된 순환 주행 경로 상을 주행한다. 해당 순환 주행 경로는 각각 직선형으로 서로 병렬하는 왕행 경로부(3)와 복행 경로부(4), 양 경로부(3, 4)의 단부 사이의 횡행 경로부(5, 6) 및 양 경로부(3, 4)의 각 단부와 이들 각 단부에 인접하는 횡행 경로부(5, 6)의 단부를 접속하는 반송 대차 방향 전환용 턴테이블(7∼1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왕행 경로부(3)는 그 전체 길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작업 구간, 즉 전후의 반송 대차(1)가 서로 맞부딪치는 연속 상태에서 저속 주행하는 작업 구간(3A) 과, 해당 작업 구간(3A)의 양단의 고속 주행 구간, 즉 전후의 반송 대차(1)가 서로 멀어져서 고속 주행하는 고속 주행 구간(3B, 3C)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행 경로부(4)에 대해서는 그 이용 형태를 생략하였으나, 왕행 경로부(3)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그 전체 길이를 고속 주행 구간으로 할 수 있다.
이리하여 작업 구간(3A)에는 그 입구에 반송 대차(1)를 정속으로 추진시키는 뒷밀이용 구동 수단(11A)이 설치됨과 아울러, 출구에는 반송 대차(1)를 정속으로 송출하기 위한 제동용 구동 수단(11B)이 설치되어 있다. 고속 주행 구간(3B, 3C)에는 반송 대차(1)를 고속으로 추진시키는 고속 구동 수단(11C)이 반송 대차(1)의 전체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짧은 간격으로 배설됨과 아울러, 각 고속 주행 구간(3B, 3C)의 끝단에는 반송 대차(1)의 주행 속도를 일정 속도까지 감속하여 송출하는 가변속 구동 수단(11D)이 배설되어 있다. 더욱이 각 횡행 경로부(5, 6)에는 상류측의 턴테이블(7∼9)로부터 송출되는 반송 대차(1)를 일시 정지시켜 하류측의 턴테이블(8∼10)이 반송 대차 수용 상태가 되었을 때 해당 하류측의 턴테이블(8∼10)로 송입하는 가변속 구동 수단(11D)이 배설되어 있다. 물론, 이 각 횡행 경로부(5, 6)의 경로 길이가 길 때에는 고속 구동 수단(11C)도 병용된다. 복행 경로부(4)에는 구동 수단을 도시 생략하였으나, 이 복행 경로부의 이용 형태에 따라 적당한 구동 수단(11A∼11D)이 배설된다.
상기한 각 구동 수단(11A∼11D)의 배설에 의해 작업 구간(3A) 내에서는 전후의 반송 대차(1)가 단부끼리 서로 맞닿는 상태(맞부딪침 상태)에서 연속하고, 작업 구간(3A)의 입구에서 뒷밀이용 구동 수단(11A)에 의해 구동되는 최후미의 반송 대 차(1)에 의해 작업 구간(3A) 내의 모든 반송 대차(1)가 정속으로 뒷밀이 구동된다. 이 때, 작업 구간(3A)의 출구의 제동용 구동 수단(11B)은 뒷밀이용 구동 수단(11A)보다 저토크이면서 해당 뒷밀이용 구동 수단(11A)의 구동 속도보다 약간 저속으로 구동되고 있는 것으로서, 작업 구간(3A) 내의 선두의 반송 대차(1)에 대하여 제동을 걸어 뒷밀이되는 반송 대차(1)가 관성으로 정속 이상의 속도로 주행하여 반송 대차(1)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 구간(3A) 내로부터 반송 대차(1)를 정속으로 한 대씩 송출하고 있다. 고속 주행 구간(3B, 3C) 내의 각 반송 대차(1)는 전후의 반송 대차(1)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고속 주행하고, 끝단의 가변속 구동 수단(11D)에 의해 일정한 저속으로 감속되어 하류측으로 송출된다.
상기 각 구동 수단(11A∼11D)에는 평면 형상이 주행 방향으로 긴 사각형의 반송 대차(1)의 좌우 양측면(마찰 구동면)을 사이에 개재하는 마찰 구동륜(12)과 백업 롤러(13)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마찰 구동 수단이 이용되고 있다. 마찰 구동륜(12)은 모터(14)에 의해 구동된다.
도 2∼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대차(1)는 각 주행 경로(3∼6)를 구성하기 위하여 바닥면 상에 부설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2a, 2b)의 각각에 지지되는 좌우 한 쌍, 전후 2조의 차륜(15)과, 한쪽 측의 가이드 레일(2a)의 내측에 부설된 하나의 진동 방지용 가이드 레일(2c)을 전후의 차륜(15)의 근방 위치에서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좌우 한 쌍, 전후 2조의 수직축 롤러(16)에 의해 각 주행 경로(3∼6)를 따라 직진 가능하게 지지되며, 중앙 상부에는 승강 가능한 피반송물 지지대(17)를 구비함과 아울러, 전단에는 직전의 반송 대차(1)와의 연결 수단(18)을 구비하고 있다. 이 연결 수단(18)은 반송 대차(1)의 전단 하측에서 수평 지축(19)에 의해 시소 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전후 방향으로 긴 연결구(20)를 구비한 것으로서, 이 연결구(20)는 그 후단에 중추부(20a)와 캠 종동 롤러(20b)가 설치됨과 아울러 전단에는 상향으로 걸림부(20c)가 연속 설치되고,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단측(중추부(20a) 등 스프링을 병용할 수도 있음)에 작용하는 하향의 가압력으로 연결구(20)의 후반부가 반송 대차(1) 측의 받침 부재(21)에 받아들여져서 해당 연결구(20)가 대략 수평의 연결 자세가 되었을 때, 걸림부(20c)가 이 반송 대차(1)의 전단에 맞닿기 직전의 반송 대차(1)의 후단 좌우 횡방향 부재(1a)의 내측에 아래로부터 들어가 해당 직전의 반송 대차(1)가 선행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연결구(20)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경로 측에 부설된 연결구 개방용 캠 레일(22)에 캠 종동 롤러(20b)가 얹혀짐으로써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걸림부(20c)가 내려가도록 경사 이동하여 연결 자세에서 개방 자세로 전환되고, 걸림부(20c)가 직전의 반송 대차(1)의 후단 좌우 횡방향 부재(1a)로부터 하방으로 이탈하고, 해당 직전의 반송 대차(1)의 선행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된다. 이리하여, 상기한 연결구 개방용 캠 레일(22)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구간(3A)의 입구부와 출구부에 배설되고, 작업 구간(3A)의 입구측의 캠 레일(22)은 작업 구간(3A)에 진입하려고 하는 반송 대차(1)의 연결구(20)를 상기한 개방 자세로 전환하고, 해당 반송 대차(1)의 전단이 작업 구간(3A)에 진입한 최후미의 반송 대차(1)의 후단에 맞닿는 것을 허용함과 아울러, 그 후의 연결구(20)의 연결 자세로의 복귀에 의해 해당 연결구(20)의 걸림부(20c)를 직전의 반송 대차(1)의 후단 좌우 횡방향 부재(1a)에 자동 걸어 맞춤시키고, 작업 구간(3A)의 출구측의 캠 레일(22)은 작업 구간(3A)으로부터 퇴출하려고 하는 전측 반송 대차(1)에 연결 상태인 후측 반송 대차(1)의 연결구(20)를 개방 자세로 전환하여 해당 전측 반송 대차(1)의 선행 이동(후측 전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 도 5∼도 11을 참조하여 반송 대차(1) 상의 피반송물 지지대(17)의 승강 구동 수단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피반송물 지지대(17)는 이 피반송물 지지대(17)의 하측에서 반송 대차(1)와의 사이에 개재된 크로스링크 기구(23)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크로스링크 기구(23)는 주행 방향과 평행한 2개의 크로스링크(24a, 24b)를 피반송물 지지대(17)의 하측 좌우 양측에 병렬 배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크로스링크 기구(23)가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 크로스링크(24a, 24b)는 중앙 교차부가 서로 동심형의 중앙 지점축(27)으로 피벗 장착된 2개의 링크(25a, 25b) 및 (26a, 26b)로 이루어지고, 각 2개의 링크(25a∼26b) 중 내측이 되는 양 링크(25a, 26a)의 전단부는 반송 대차(1) 측의 지지 프레임(28) 상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베어링 부재(29)에 서로 동심형의 위치 고정 지점축(30)에 의해 상하 요동 가능하게 피벗 장착되고, 해당 양 링크(25a, 26a)의 후단부는 공통 슬라이드 지점축(31)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해당 공통 슬라이드 지점축(31)의 양단에 축지지된 롤러(32)가 피반송물 지지대(17)의 후단부 하측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전후 방 향 슬라이드 가이드(33)에 전후 방향으로 전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있다. 각 2개의 링크(25a∼26b) 중 외측이 되는 양 링크(25b, 26b)의 전단부는 피반송물 지지대(17)의 전단부 하측에서 상기 좌우 한 쌍의 베어링 부재(29)의 바로 위 위치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베어링 부재(34)에 서로 동심형의 위치 고정 지점축(35)에 의해 상하 요동 가능하게 피벗 장착되고, 해당 양 링크(25b, 26b)의 후단부는 공통 슬라이드 지점축(36)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해당 공통 슬라이드 지점축(36)의 양단에 지승된 롤러(37)가 반송 대차(1) 측의 지지 프레임(28) 상에서 상기 전후 방향 슬라이드 가이드(33)의 바로 아래 위치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전후 방향 슬라이드 가이드(38)에 전후 방향으로 전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있다.
크로스링크 기구(23)에는 제1 피조작부(39)와 제2 피조작부(40)가 병설되어 있다. 제1 피조작부(39)는 좌우 한 쌍의 크로스링크(24a, 24b)를 구성하는 각 2개의 링크(25a∼26b) 중 내측이 되는 양 링크(25a, 26a)로부터 하향으로 연속 설치된 돌출부(41a, 41b)의 하단에 서로 동심형의 좌우 수평 지축으로 축지지된 캠 종동 롤러(42a, 42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41a, 41b)는 양 링크(25a, 26a)의 중앙 지점축(27)과 공통 슬라이드 지점축(31)의 중간 위치에서 중앙 지점축(27)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속 설치된 것으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반송물 지지대(17)가 하강 한계 높이에 있을 때 반송 대차(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캠 종동 롤러(42a, 42b)가 바닥면에 가까운 위치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피조작부(40)는 크로스링크 기구(23)에 병설된 토글 링크(43)에 축지지된 하나의 캠 종동 롤러(44)로 구성되어 있다. 토글 링크(43)는 긴 링크(45)와 짧 은 링크(46)를 중간 절곡 지점축(47)으로 서로 연결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각 링크(45, 46)는 각각 좌우 한 쌍의 링크 단체(45a, 45b 및 46a, 46b)로 구성되고, 상기 캠 종동 롤러(44)는 내측이 되는 긴 링크(45)의 링크 단체(45a, 45b) 사이에서 상기 중간 절곡 지점축(47)에 의해 지승되어 있다. 이 토글 링크(43)는 좌우 한 쌍의 크로스링크(24a, 24b) 사이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 것으로서, 긴 링크(45)의 자유단은 크로스링크(24a, 24b)를 구성하는 내측의 양 링크(25a, 26a)의 중앙 지점축(27)과 공통 슬라이드 지점축(31)의 중간 위치에 링크(25a, 26a) 사이에 좌우 수평 방향으로 가설된 축 형상의 가설 부재(지축 부재)(48)에 의해 피벗 장착되어 있다. 짧은 링크(46)의 자유단은 반송 대차(1) 측의 지지 프레임(28) 상에 부가 설치된 베어링 부재(49)에 크로스링크(24a, 24b)의 중앙 지점축(27)의 하방에 위치하는 지축(50)에 의해 피벗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8, 도 9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크로스링크 기구(23)에는 피반송물 지지대(17)를 상승 위치에서 로킹하는 로킹 수단(51)이 병설되어 있다. 이 로킹 수단(51)은 크로스링크(24a, 24b)를 구성하는 외측의 양 링크(25b, 26b) 사이에 가설된 상기 공통 슬라이드 지점축(36)을 피걸림부(52)로 하고, 이 피걸림부(52)에 대하여 자동 걸어 맞춰지는 좌우 한 쌍의 걸림구(53)를 구비한 것이다. 각 걸림구(53)는 제1 피조작부(39)의 좌우 한 쌍의 캠 종동 롤러(42a, 42b)와 제2 피조작부(40)의 하나의 캠 종동 롤러(44)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제2 피조작부(40)에 대하여 좌우 갈라진 상태로 배치된 동일 구조의 것으로서, 각각은 반송 대차(1) 측의 지지 프레임(28) 상에 설치된 베어링 부재(54)에 서로 동 심형의 좌우 수평 방향의 지축(55)에 의해 상하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각 걸림구(53)에 부가 설치된 맞닿음 부재(56)가 상기 베어링 부재(54)에 받아들여지는 홈 포지션에 중력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또한, 각 걸림구(53)에는 하향으로 암부(53a)가 일체로 연속 설치되고, 이 암부(53a)의 하단에 서로 동심형의 좌우 수평 지축을 통하여 캠 종동 롤러(57)가 축지지되어 있다. 이 캠 종동 롤러(57)는 반송 대차(1)의 저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피반송물 지지대(17)는 통상은 중력에 의해 도 5에 도시한 하강 위치까지 강하하여 안정되어 있다. 이 때의 피반송물 지지대(17)의 높이는 반송 대차(1) 측에 세워 설치한 높이 조정 가능한 지지구(종래 주지의 것으로서 도시 생략하였음)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반송물 지지대(17)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에는 크로스링크 기구(23)의 좌우 한 쌍의 크로스링크(24a, 24b)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복 상태에 있어, 제1 피조작부(39)의 좌우 한 쌍의 캠 종동 롤러(42a, 42b)는 반송 대차(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최대량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피조작부(40)의 캠 종동 롤러(44)는 제1 피조작부(39)의 캠 종동 롤러(42a, 42b)와 거의 동일한 레벨에 있어, 해당 캠 종동 롤러(44)를 구비한 토글 링크(43)는 양 링크(45, 46)의 자유단 지점(가설 부재(지축 부재)(48) 및 지축(50))이 모두 캠 종동 롤러(44)에 대하여 반송 대차(1)의 주행 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절첩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캠 종동 롤러(44)를 상향으로 밀어올려 크로스링크(24a, 24b)를 기립시킬 수 없다.
한편, 반송 대차(1)의 주행 경로 중의 작업 구간(3A)에는 피반송물 지지대 승강 제어 등을 위한 캠 장치(58)가 병설되어 있다. 이 캠 장치(58)는 이하에 설명하는 캠 레일(59A, 59B, 60 및 61)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 구간(3A)(도 1 참조)의 시작단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피조작부(39)의 좌우 한 쌍의 캠 종동 롤러(42a, 42b)를 반송 대차(1)의 전진 주행에 따라 밀어올리는 좌우 한 쌍의 시작단측 제1 캠 레일(59A)이 부설되고, 상기 작업 구간(3A)의 끝단부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하하는 제1 피조작부(39)의 좌우 한 쌍의 캠 종동 롤러(42a, 42b)를 받친 후, 반송 대차(1)의 전진 주행에 따라 해당 캠 종동 롤러(42a, 42b)를 강하시키는 좌우 한 쌍의 끝단측 제1 캠 레일(59B)이 부설되고, 나아가 상기 시작단측 제1 캠 레일(59A)의 끝단부 부근에서부터 상기 끝단측 제1 캠 레일(59B)의 시작단부 부근까지의 상기 작업 구간(3A)에는 제2 피조작부(40)의 캠 종동 롤러(44)를 반송 대차(1)의 전진 주행에 따라 밀어올려 소정 높이로 유지하는 제2 캠 레일(60)이 부설되어 있다.
이리하여, 반송 대차(1)가 상기 작업 구간(3A) 내에 진입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피조작부(39)의 좌우 한 쌍의 캠 종동 롤러(42a, 42b)가 좌우 한 쌍의 시작단측 제1 캠 레일(59A)에 얹혀가고, 해당 좌우 한 쌍의 시작단측 제1 캠 레일(59A)이 좌우 한 쌍의 캠 종동 롤러(42a, 42b)를 통하여 좌우 한 쌍의 크로스링크(24a, 24b)의 내측의 링크(25a, 26a)를 밀쳐올리게 된다. 따라서, 좌우 한 쌍의 크로스링크(24a, 24b)가 연동하여 기립 운동하게 되고, 해당 좌우 한 쌍의 크로스링크(24a, 24b)로 지지되어 있는 피반송물 지지대(17)가 수평 자세를 유지한 채 상승 이동하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캠 종동 롤러(42a, 42b)가 좌우 한 쌍의 시작단측 제1 캠 레일(59A)의 최상 평탄면 상에 도달함으로써 피반송물 지지대(17)가 소정의 중간 높이(H1)에 도달하는데, 이 피반송물 지지대(17)의 하강 위치부터 중간 높이(H1)까지 상승하는 동안의 크로스링크(24a, 24b)의 기립 운동에 따라 토글 링크(43)가 도 5에 도시한 절첩 상태에서 V자형으로 약간 전개되고, 캠 종동 롤러(44)가 후방으로 거의 동일 레벨로 이동하게 되고, 해당 토글 링크(43)의 자유단 지점(가설 부재(지축 부재)(48) 및 지축(50))이 캠 종동 롤러(44)에 대하여 전후 갈라지는 형태로 배치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캠 종동 롤러(44)를 밀어올림으로써 토글 링크(43)를 더 전개시켜 크로스링크(24a, 24b)를 기립 운동시킬 수 있다.
캠 종동 롤러(42a, 42b)가 시작단측 제1 캠 레일(59A)의 최상 평탄면 상을 전동하고 있는 동안에, 제2 피조작부(40)의 캠 종동 롤러(44)가 제2 캠 레일(60)에 얹혀지기 시작하도록 제2 캠 레일(60)이 부설되어 있다. 물론, 시작단측 제1 캠 레일(59A)에는 실질적으로 최상 평탄면을 없애고, 캠 종동 롤러(42a, 42b)가 시작단측 제1 캠 레일(59A)의 최상 위치에서 벗어나기 직전에 제2 피조작부(40)의 캠 종동 롤러(44)가 제2 캠 레일(60)에 얹혀지기 시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리하여, 반송 대차(1)의 주행에 따라 제2 피조작부(40)의 캠 종동 롤러(44)가 제2 캠 레일(60) 상에 얹혀가면, 토글 링크(43)의 짧은 링크(46)가 지축(50)의 부근에서 상방으로 요동하고, 긴 링크(45)가 가설 부재(지축 부재)(48)를 통하여 크로스링크(24a, 24b)를 밀쳐올려 더 기립 운동시키게 되므로, 캠 종동 롤러(44)가 제2 캠 레일(60)의 최상 평탄면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스링크(24a, 24b)가 완전히 기립 상태가 되어, 피반송물 지지대(17)가 중간 높이(H1)부터 상승 위치(H2)까지 상승한다.
상기와 같이 크로스링크(24a, 24b)가 기립 운동하여 피반송물 지지대(17)가 상승될 때, 좌우 한 쌍의 크로스링크(24a, 24b)에서의 상하 각 공통 슬라이드 지점축(31, 36)이 롤러(32, 37) 및 슬라이드 가이드(33, 38)를 통하여 수평 전방으로 슬라이드하게 되는데, 피반송물 지지대(17)가 상승 위치(H2)에 도달하기 직전에 하측의 공통 슬라이드 지점축(36)(피걸림부(52))이 로킹 수단(51)의 좌우 한 쌍의 걸림구(53)를 그 선단 하측의 경사면을 통하여 밀어올리면서 통과하고, 피반송물 지지대(17)가 상승 위치(H2)에 도달하였을 때, 즉 제2 피조작부(40)의 캠 종동 롤러(44)가 제2 캠 레일(60)의 최상 평탄면에 도달하였을 때, 해당 하측의 공통 슬라이드 지점축(36)(피걸림부(52))에 대하여 좌우 한 쌍의 걸림구(53)의 오목한 걸림부(53b)가 위로부터 중력에 의해 끼워 맞추어 걸리게 된다. 물론, 각 걸림구(53)를 하향으로 강제 가압하는 스프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즉, 반송 대차(1)가 작업 구간(3A)에 진입하였을 때, 하강 위치에 있던 피반송물 지지대(17)가 상승 위치(H2)까지 자동으로 올라가는데, 이 때 상기와 같이 로킹 수단(51)의 걸림구(53)가 자동으로 크로스링크(24a, 24b)에서의 피걸림부(52)(하측의 공통 슬라이드 지점축(36))에 자동 걸어 맞추어지고, 좌우 한 쌍의 크로스링크(24a, 24b)가 기립 상태로부터 도복 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즉 피반송 물 지지대(17)가 상승 위치(H2)에서 하강할 때, 기립 상태의 크로스링크(24a, 24b)의 공통 슬라이드 지점축(36)(피걸림부(52))의 후방으로의 슬라이드를, 해당 공통 슬라이드 지점축(36)(피걸림부(52))에 끼워 맞춰지는 양 걸림구(53)의 오목한 걸림부(53b)가 저지하므로, 만일 반송 대차(1)가 피반송물 지지대(17)를 상승 위치에 올려 두는 작업 구간(3A) 내를 주행하는 중에, 제2 캠 레일(60)에 의해 밀려올라가 있는 캠 종동 롤러(44)를 축지지하고 있는 토글 링크(43)가 절곡되거나 파단되어도 피반송물 지지대(17)가 상승 위치(H2)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작업 구간(3A)의 끝단부 직전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 해제용 캠(61)이 부설되어 있다. 이 로킹 해제용 캠(61)은 반송 대차(1)의 주행에 따라 걸림구(53)의 캠 종동 롤러(57)가 얹혀지도록 각 걸림구(53)에 대응하여 제2 캠 레일(6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것으로서, 해당 로킹 해제용 캠(61)에 캠 종동 롤러(57)가 얹혀 걸림구(53)가 중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요동하고, 해당 걸림구(53)의 오목한 걸림부(53b)가 크로스링크(24a, 24b)의 공통 슬라이드 지점축(36)(피걸림부(52))으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여 기립 상태의 크로스링크(24a, 24b)에 대한 로킹이 해제된다.
상기한 로킹 해제 동작 후, 반송 대차(1)가 상기 작업 구간(3A)의 끝단부에 도달하고, 제2 피조작부(40)의 캠 종동 롤러(44)가 반송 대차(1)의 주행에 따라 제2 캠 레일(60)의 끝단 하향 구배부를 강하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피반송물 지지대(17)가 중력으로 크로스링크(24a, 24b)를 도복 운동시키면서 강하하게 된다. 이리하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대차(1)의 주행에 따라 피반송물 지지 대(17)가 중간 높이(H1)에 도달하였을 때, 즉 캠 종동 롤러(44)가 제2 캠 레일(60)로부터 멀어지기 직전이 되었을 때, 제1 피조작부(39)의 좌우 한 쌍의 캠 종동 롤러(42a, 42b)가 좌우 한 쌍의 끝단측 제1 캠 레일(59B)의 최상 평탄면에서 받아들여지고, 이 후의 반송 대차(1)의 주행에 따라 캠 종동 롤러(42a, 42b)가 끝단측 제1 캠 레일(59B)의 하향 구배부를 강하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피반송물 지지대(17)가 중력으로 크로스링크(24a, 24b)를 도복 운동시키면서 중간 높이(H1)로부터 더 강하하게 된다. 그리고 반송 대차(1)가 상기 작업 구간(3A)에서 나왔을 때 캠 종동 롤러(42a, 42b)가 끝단측 제1 캠 레일(59B)로부터 멀어지고, 크로스링크(24a, 24b)가 완전히 도복하여 피반송물 지지대(17)는 홈 포지션인 하강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캠 장치(58)에는 도 4B에 도시한 대차 부상 방지용 캠 레일(62)을 추가할 수 있다. 즉 반송 대차(1)의 저부의 적당한 곳, 바람직하게는 측면에서 보아 피반송물 지지대(17)의 센터 바로 아래 위치, 정면에서 보아 반송 대차(1)의 좌우 폭 방향의 센터에 대한 좌우 대칭 두 곳에 반송 대차(1)의 저부에 가능한 한 접근시켜 수평 지축으로 백업 롤러(63)를 축지지하고, 이들 좌우 한 쌍의 백업 롤러(63)에 덮어씌워져서 반송 대차(1)의 부상을 방지하는 좌우 한 쌍의 대차 부상 방지용 캠 레일(62)을 부설할 수 있다. 이 대차 부상 방지용 캠 레일(62)은 제1 캠 레일(59)이나 제2 캠 레일(60)에 의해 피반송물 지지대(17)가 반송 대차(1)의 주행에 따라 밀려올라갈 때, 피반송물 지지대(17)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한 하중을 초과할 때와 같은 경우에 피반송물 지지대(17)가 반송 대차(1)에 대하여 상승하지 않고 반송 대차(1) 자체가 부상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작업 구간(3A)으로 송입된 반송 대차(1)는 선행하는 직전의 반송 대차(1)의 후단에 전단이 맞닿는 맞부딪침 상태로 됨과 아울러 연결 수단(18)에 의해 연결되고, 그리고 피반송물 지지대(17)가 상승 위치로 올라간 상태에서 뒷밀이 구동에 의해 정속(저속) 주행하게 되고, 이 동안에 반송 대차(1) 상에 올라탄 작업자에 의해 피반송물 지지대(17) 상에 올려져 있는 피반송물에 대한 부품 조립 작업 등이 행해진다. 그리고 작업 구간(3A)의 끝단에 도달한 선두의 반송 대차(1)로부터 피반송물 지지대(17)가 하강 위치까지 낮추어짐과 아울러 직후의 반송 대차(1)의 연결 수단(18)에 의한 해당 직후의 반송 대차(1)와의 연결이 해제되고, 고속 구동으로 전환되어 직후의 반송 대차(1)로부터 분리되고, 작업 구간(3A)으로부터 퇴출하게 된다. 이 후, 반송 대차(1)는 이미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가변속 구동 수단(11D)에 의해 턴테이블(7) 상으로 송입되는데, 이 턴테이블(7)의 구성을 이하에 설명한다.
턴테이블(7)은, 도 1, 도 12∼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7) 상의 반송 대차 주행 경로를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64a, 64b), 해당 양 가이드 레일(64a, 64b)을 그 내측에서 연결 일체화하는 중간 프레임(65), 이 중간 프레임(65)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기 위하여 바닥측으로부터 돌출설치된 수직 지축(66), 각 가이드 레일(64a, 64b)의 외측에서 수직 지축(66)으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레일 길이 방향의 중간 각 2곳에 상기 수직 지축(66)과 직교하는 수평 지축에 의해 축지지된 지지용 롤러(67a∼67d), 한쪽 측의 가이드 레일(64b)의 외측에 부착 된 2개의 지지용 롤러(67c, 67d)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68a, 68b), 각 가이드 레일(64a, 64b)의 양단 외측에 각각 상기 수직 지축(66)과 직교하는 수평 지축에 의해 축지지된 지지용 보조 롤러(69a∼69d) 및 양 가이드 레일(64a, 64b)의 양단 사이에서 중간 프레임(65)에 부착된 대차 낙하 방지용 스토퍼(70a, 70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중간 프레임(65)은 양 가이드 레일(64a, 64b)끼리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재(65a)와 이들 연결재(65a) 사이에 가설된 경사 보강재(65b) 및 중앙 위치에 있는 2개의 연결재(65a) 사이에 가설되어 상기 수직 지축(66)의 베어링을 구비한 베어링판(65c)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가이드 레일(64a, 64b)의 저면으로부터는 높이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 프레임(65) 상에는 왕행 경로부(3)나 횡행 경로부(5)의 진동 방지용 가이드 레일(2c)에 접속하는 진동 방지용 가이드 레일(64c)이 가이드 레일(64a)의 내측에 인접하여 부설되어 있다.
턴테이블(7)의 바닥측에는 환상 지지판(71), 턴테이블 회전 제한용 스토퍼(72a, 72b) 및 보조 지지판(73a∼73d)이 배설되어 있다. 환상 지지판(71)은 각 지지용 롤러(67a∼67d)를 전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안내면(74)을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 지축(66)과 동심형으로 바닥면 상에 부설되어 있다. 턴테이블 회전 제한용 스토퍼(72a)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가이드 레일(64a, 64b)의 일단(대차 낙하 방지용 스토퍼(70a) 측의 단부)이 왕행 경로부(3)의 가이드 레일(2a, 2b)과 접속하였을 때에, 횡행 경로부(5) 측에 위치하는 일측의 가이드 레일(64a)의 왕행 경로부(3) 측의 단부 근방 측면에 맞닿도록 바닥면 상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턴테이블 회전 제한용 스토퍼(72b)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가이드 레일(64a, 64b)의 타단(대차 낙하 방지용 스토퍼(70b) 측의 단부)이 횡행 경로부(5)의 가이드 레일(2a, 2b)과 접속하였을 때 왕행 경로부(3) 측에 위치하는 타측의 가이드 레일(64b)의 횡행 경로부(5) 측의 단부 근방 측면에 맞닿도록 바닥면 상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보조 지지판(73a, 73b)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7)의 회전이 상기 턴테이블 회전 제한용 스토퍼(72a)에서 제한되었을 때, 왕행 경로부(3)에 인접하는 측의 좌우 한 쌍의 지지용 보조 롤러(69a, 69c)가 얹혀져서 턴테이블(7) 상의 양 가이드 레일(64a, 64b)의 일단을 왕행 경로부(3)의 가이드 레일(2a, 2b)의 단부와 동일 레벨로 레벨링하는 보조 지지 안내면(75)을 구성하기 위하여 바닥면 상에 각각 별도로 부설되어 있다. 보조 지지판(73c, 73d)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7)의 회전이 상기 턴테이블 회전 제한용 스토퍼(72b)에서 제한되었을 때, 횡행 경로부(5)에 인접하는 측의 좌우 한 쌍의 지지용 보조 롤러(69b, 69d)가 얹혀져서 턴테이블(7) 상의 양 가이드 레일(64a, 64b)의 타단을 횡행 경로부(5)의 가이드 레일(2a, 2b)의 단부와 동일 레벨로 레벨링하는 보조 지지 안내면(76)을 구성하기 위하여 바닥면 상에 부설되어 있다.
대차 낙하 방지용 스토퍼(70a, 70b)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프레임(65)의 연결재(65a)에 가이드 레일(64a, 64b)과 평행한 수평 지축(77)에 의해 중간 위치가 축지지된 스토퍼 본체(78)와, 이 스토퍼 본체(78)의 하단부에 축지지된 캠 종동 롤러(79)로 이루어지며, 캠 종동 롤러(79) 측에 작용하는 중력(스프링을 병용할 수도 있음)에 의해 도 17B에 도시한 기립 작용 자세로 유지되어 있으며, 이 기립 작용 자세에 있는 스토퍼 본체(78)의 상단부가 턴테이블(7) 상에 옮겨진 반송 대차(1)가 가이드 레일(64a, 64b) 상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리하여, 바닥측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7)의 회전이 상기 턴테이블 회전 제한용 스토퍼(72a)에서 제한되었을 때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7)의 회전이 상기 턴테이블 회전 제한용 스토퍼(72b)에서 제한되었을 때 각각에서,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 종동 롤러(79)가 얹혀져서 스토퍼 본체(78)가 반송 대차(1)의 주행 경로 하측으로 퇴피하는 비작용 자세로 회전하여 넘어지도록 캠 레일(80a, 80b)이 부설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7)은 지지용 롤러(67c, 67d)를 모터(68a, 68b)로 정역회전 구동함으로써 가이드 레일(64a, 64b)의 일단이 왕행 경로부(3)의 가이드 레일(2a, 2b)에 접속하는 반송 대차 수취 위치(도 12 참조)와 가이드 레일(64a, 64b)의 타단이 횡행 경로부(5)의 가이드 레일(2a, 2b)에 접속하는 반송 대차 송출 위치(도 13 참조) 사이의 90도의 범위 내에서 정역회전시킬 수 있고, 턴테이블(7)이 반송 대차 수취 위치에 있을 때 왕행 경로부(3)에서 턴테이블(7) 상으로 반송 대차(1)를 송입하고, 턴테이블(7)이 반송 대차 송출 위치에 있을 때 턴테이블(7) 상에서 횡행 경로부(5)로 반송 대차(1)를 송출할 수 있는데, 자주 수단을 갖지 않는 상기 반송 대차(1)를 턴테이블(7) 상으로 송입하기 위한 반송 대차 송입 수단(81)과, 턴테이블(7) 상에서 횡행 경로부(5)로 해당 반송 대차(1)를 송출하기 위한 반송 대차 송출 수단(82)이 바닥측에 배설되어 있다.
반송 대차 송입 수단(81)은, 반송 대차 수취 위치(도 12 참조)에 있는 턴테이블(7) 상의 정위치에 있는 반송 대차(1)의 후단부 좌우 양측면을 사이에 개재하 는 마찰 구동륜(83)과 백업 롤러(84) 및 마찰 구동륜(83)을 구동하는 모터(83a)를 구비하며, 반송 대차 송출 수단(82)은 반송 대차 송출 위치(도 13 참조)에 있는 턴테이블(7) 상의 정위치에 있는 반송 대차(1)의 전단부 좌우 양측면을 사이에 개재하는 마찰 구동륜(85)과 백업 롤러(86) 및 마찰 구동륜(85)을 구동하는 모터(85a)를 구비하고 있다. 이리하여, 반송 대차 송입 수단(81)의 마찰 구동륜(83)은 턴테이블(7) 상의 반송 대차(1)가 해당 턴테이블(7)의 반송 대차 송출 위치에의 회전에 의해 멀어져 가는 측에 배설되고, 상기 반송 대차 송출 수단(82)의 마찰 구동륜(85)은 턴테이블(7) 상의 반송 대차(1)가 해당 턴테이블(7)의 반송 대차 수취 위치에의 회전에 의해 접근해 오는 측에 배설되며, 각각의 백업 롤러(84, 86)는 턴테이블(7)의 회전에 의한 해당 턴테이블(7) 상의 반송 대차(1)의 회전 공간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퇴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8A의 반송 대차 송입 수단(81) 측의 백업 롤러(84)와 같이 각 백업 롤러(84, 86)는 이들 백업 롤러(84, 86)가 맞닿는 반송 대차(1)의 측면과 평행하게 왕복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실린더 유닛(87)에 의해 왕복 구동되는 가동대(88)의 선단부 상에 축지지되어 있고, 실린더 유닛(87)으로 가동대(88)를 왕복 구동함으로써 백업 롤러(84, 86)가 반송 대차(1)의 측면에 맞닿는 작용 위치와, 턴테이블(7)의 회전에 의한 해당 턴테이블(7) 상의 반송 대차(1)의 회전 공간으로부터 퇴출한 비작용 위치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턴테이블(7) 상의 반송 대차(1)를 해당 턴테이블(7) 상의 정위치(도 12 및 도 13의 가상선 참조)에서 로킹하기 위한 반송 대차 위치 결정 수단(89)이 턴테이블(7)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 대차 위치 결정 수단(89)은 턴테이 블(7) 상의 정위치에 정지한 반송 대차(1)의 측면 적당한 곳에 설치된 피걸림부에 대하여 걸고 벗김 가능한 걸림핀을 실린더 유닛 등의 적당한 액추에이터로 구동하도록 한 것일 수도 있으나, 턴테이블(7)을 저바닥(低床) 구조로 하기 위하여 걸림핀은 수평 방향으로 실린더 유닛으로 출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왕행 경로부(3)의 턴테이블(7) 측의 단부에는 턴테이블(7)이 도 12에 도시한 반송 대차 수취 위치에 대기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왕행 경로부(3)로부터 반송 대차(1)가 턴테이블(7) 측으로 유동하여 왕행 경로부(3) 상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복 가능한 상폐 스토퍼(9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폐 스토퍼(90)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대차 송입 수단(81)에서의 백업 롤러(84)를 출퇴 이동시키는 가동대(88)의 내측에 인접하여 설치된 것으로서, 수평 지축(91)에 의해 기립 작용 자세와 상단이 후방 하방으로 도복한 도복 비작용 자세 사이에서만 기복 가능하게 축지지됨과 아울러 하단부(92a)에 작용하는 중력(스프링을 병용할 수도 있음)으로 기립 작용 자세로 유지되는 스토퍼 본체(92)로 구성되고, 이 스토퍼 본체(92)의 하단부(92a)에 축지지된 캠 종동 롤러(93)를 통하여 해당 스토퍼 본체(92)를 도복 비작용 자세로 전환하는 캠 레일(94)이 이 상폐 스토퍼(90)에 인접하는 상기 가동대(88)에 부착되어 있다. 이 캠 레일(94)은 턴테이블(7)이 도 12에 도시한 반송 대차 수취 위치로 회전 복귀한 상태에서 실린더 유닛(87)이 가동대(88)를 진출 이동시키고, 백업 롤러(84)를 마찰 구동륜(83)에 대면하는 작용 위치로 전환하였을 때, 도 18B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가동대(88)의 진출 이동에 연동하여 캠 종동 롤러(93)를 전방 상방으로 밀어올리고, 스토퍼 본 체(92)를 도복 비작용 자세로 전환한다. 따라서, 턴테이블(7)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백업 롤러(84)가 가동대(88)에 의해 퇴출 이동되었을 때에는, 캠 레일(94)도 캠 종동 롤러(93)의 바로 아래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후퇴 이동하고, 스토퍼 본체(92)가 가압력에 의해 기립 작용 자세로 자동 복귀하고, 왕행 경로부(3)의 끝단부에서 턴테이블(7) 측으로의 반송 대차(1)의 유동을 저지할 수 있다.
나아가 턴테이블(7)에는 해당 턴테이블(7)을 도 12에 도시한 반송 대차 수취 위치에서 로킹하는 턴테이블 위치 결정 수단(95)과, 해당 턴테이블(7)을 도 13에 도시한 반송 대차 송출 위치에서 로킹하는 턴테이블 위치 결정 수단(96)이 병설되어 있다. 이들 양 턴테이블 위치 결정 수단(95, 96)은 턴테이블(7) 상의 한쪽 측의 가이드 레일(64a)의 양단 외측에 돌출설치된 위치 결정용 피걸림부(97a, 97b)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턴테이블 위치 결정 수단(95)은, 도 12에 도시한 반송 대차 수취 위치에서 정지한 턴테이블(1)의 상기 위치 결정용 피걸림부(97a)에 대하여 걸고 벗김 가능한 걸림구(95a)와, 해당 걸림구(95a)를 출퇴 이동시키는 실린더 유닛(95b)으로 구성되며, 턴테이블 위치 결정 수단(96)은, 도 13에 도시한 반송 대차 송출 위치에서 정지한 턴테이블(1)의 상기 위치 결정용 피걸림부(97b)에 대하여 걸고 벗김 가능한 걸림구(96a)와, 해당 걸림구(96a)를 출퇴 이동시키는 실린더 유닛(9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용 피걸림부(97a, 97b)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64a)로부터 돌출설치시킨 상하 양측판(98a) 사이에 좌우 한 쌍의 수직축 롤러(98b, 98c)를 적당한 간격을 두고 축지지한 것으로서, 양 수직축 롤러(98b, 98c) 사이에 끝이 뾰족한 두꺼운 판상의 걸림구(95a, 96a)가 진입함 으로써 턴테이블(7)이 정밀하게 위치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왕행 경로부(3)의 끝단에서 상기 구성의 턴테이블(7) 상으로 반송 대차(1)가 송입되는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왕행 경로부(3)의 끝단부, 즉 고속 주행 구간(3B)의 끝단 부근에는 턴테이블(7)에 송출되기 전의 반송 대차(1) 상의 피반송물 지지대(17)를 작업 구간(3A)에의 송입 시와 동일하게 도 4A에 도시한 하강 위치에서 도 4B에 도시한 상승 위치로 전환하기 위한 캠 장치(99)가 배설되어 있다. 이 캠 장치(99)는 작업 구간(3A)에 배설된 캠 장치(58), 즉 도 5∼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캠 장치(58) 중 시작단측 제1 캠 레일(59A)과 제2 캠 레일(60)을 이용한 것으로서, 반송 대차(1)가 턴테이블(7) 상에 옮겨지기 전에 피반송물 지지대(17)를 해당 반송 대차(1)의 주행에 따라 상승 위치로 전환하는 것인데, 제2 캠 레일(60)은 피반송물 지지대(17)를 상승 위치로 완전히 전환할 때까지의 영역에만 부설되고, 피반송물 지지대(17)가 로킹 수단(51)에 의해 상승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반송 대차(1)가 턴테이블(7) 측으로 송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 12에 도시한 반송 대차 수취 위치로 복귀한 턴테이블(7)이 턴테이블 위치 결정 수단(95)에 의해 해당 반송 대차 수취 위치에 로킹되어 턴테이블(7) 측의 가이드 레일(64a, 64b)이 왕행 경로부(3) 측의 가이드 레일(2a, 2b)에 접속함과 아울러, 턴테이블(7) 상의 왕행 경로부(3)에 인접하는 측의 대차 낙하 방지용 스토퍼(70a)가 캠 레일(80a)에 의해 도복 비작용 자세로 전환되고, 나아가 반송 대차 송입 수단(81)의 백업 롤러(84)가 진출 작용 위치로 전환됨과 아울러 왕행 경로부(3)의 끝단의 상폐 스토퍼(90)가 백업 롤러(84)의 진출 이동 에 따라 도복 비작용 위치로 전환되었을 때 턴테이블(7)의 반송 대차 수용 준비가 완료되므로, 이 상태에서 왕행 경로부(3)의 끝단부, 즉 고속 주행 구간(3B)의 끝단의 가변속 구동 수단(11D)의 위치에서 대기해 있거나 또는 해당 가변속 구동 수단(11D)의 위치에 도착하는 반송 대차(1)를 캠 장치(99)에 의해 피반송물 지지대(17)를 상승 위치로 올린 상태에서 가변속 구동 수단(11D)에 의해 턴테이블(7) 측으로 송출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대차 송입 수단(81)의 마찰 구동륜(83)을 모터(83a)에 의해 대차 송입 방향으로 구동해 둠으로써 가변속 구동 수단(11D)으로부터 멀어지기 직전에 해당 반송 대차(1)를 반송 대차 송입 수단(81)의 마찰 구동륜(83)과 진출 작용 위치에 있는 백업 롤러(84)로 하여금 이어받게 하여 연속적으로 마찰 구동하고, 해당 반송 대차(1)를 턴테이블(7)의 가이드 레일(64a, 64b) 상으로 옮겨지게 할 수 있다. 반송 대차(1)가 턴테이블(7) 상의 정위치에서 정지되었다면, 반송 대차 위치 결정 수단(89)에 의해 해당 반송 대차(1)를 정위치에 로킹 한다.
상기와 같이 반송 대차(1)를 턴테이블(7) 상에 옮겨지게 할 때, 해당 반송 대차(1)의 피반송물 지지대(17)는 상승 위치로 전환된 상태이므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반송물 지지대(17)가 하강 위치에 있었을 때에는 반송 대차(1)의 저부 아래로 크게 돌출되어 있던 피반송물 지지대 승강 조작용 각 캠 종동 롤러(42a, 42b, 44)가 반송 대차(1)의 저면으로부터 상방 또는 약간 저부 아래로 돌출하는 정도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턴테이블(7)을 도시 및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64a, 64b)끼리를 그 높이의 범위 내에서 연결되는 중간 프레임(65)에 의해 연 결하고, 이 중간 프레임(65)을 바닥면 상에 돌출설치된 수직 지축(66)으로 축지지하여 된 저바닥 구조로 할 수 있었던 것이다.
반송 대차(1)가 턴테이블(7) 상의 정위치로 송입되어 반송 대차 위치 결정 수단(89)에 의해 로킹되었다면, 턴테이블 위치 결정 수단(95)의 걸림구(95a)를 실린더 유닛(95b)에 의해 턴테이블(1) 측의 위치 결정용 피걸림부(97a)로부터 퇴출시켜 턴테이블(7)의 로킹을 해제함과 아울러, 반송 대차 송입 수단(81)의 백업 롤러(84)를 실린더 유닛(87)에 의해 후퇴 비작용 위치로 전환한다. 이 때, 반송 대차 송출 수단(82)의 백업 롤러(86)도,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퇴 비작용 위치로 전환되어 있다. 이 결과, 턴테이블(7)이 도 12의 턴테이블 회전 제한용 스토퍼(72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해당 턴테이블(7) 상의 정위치에 있는 반송 대차(1)가 반송 대차 송입 수단(81)의 백업 롤러(84)나 반송 대차 송출 수단(82)의 백업 롤러(86)와 간섭하는 것은 회피되므로, 턴테이블(7)이 구비하는 2개의 지지용 롤러(67c, 67d)를 모터(68a, 68b)로 회전 구동하고, 턴테이블(7)을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 회전 제한용 스토퍼(72b)에서 제한되는 반송 대차 송출 위치까지 90도 회전시켜 탑재하는 반송 대차(1)의 방향을 90도 전환하고, 해당 반송 대차(1)의 전단을 횡행 경로부(5)를 향하게 한 상태로 정지시킬 수 있다. 이 턴테이블(7)의 회전 중 해당 턴테이블(7) 상의 주행 경로(가이드 레일(64a, 64b))의 양단은 모두 기립 작용 자세에 있는 대차 낙하 방지용 스토퍼(70a, 70b)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며, 만일 반송 대차 위치 결정 수단(89)의 동작 불량 등으로 인해 반송 대차(1)가 정위치에 로킹되지않는 상황이 발생하여도 해당 반송 대차(1)가 턴테이블(7) 상으로부터 예기치 않게 낙하할 우려는 없다.
턴테이블(7)을 반송 대차 송출 위치까지 90도 회전시키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 위치 결정 수단(96)의 걸림구(96a)를 실린더 유닛(96b)에 의해 진출시켜 턴테이블(1) 측의 위치 결정용 피걸림부(97b)에 걸어 맞춤시키고, 턴테이블(7)을 반송 대차 송출 위치에 로킹하고, 그 후 반송 대차 송출 수단(82)의 백업 롤러(86)를 실린더 유닛(87)에 의해 진출시켜 작용 위치로 전환한다. 이 때, 턴테이블(7) 상의 횡행 경로부(5)에 인접하는 측의 대차 낙하 방지용 스토퍼(70b)가 캠 레일(80b)에 의해 도복 비작용 자세로 전환되어 있고, 턴테이블(7) 상의 가이드 레일(64a, 64b)은 횡행 경로부(5)의 가이드 레일(2a, 2b)에 접속 상태에 있으므로, 턴테이블(7) 상의 반송 대차 위치 결정 수단(89)에 의한 반송 대차(1)의 로킹을 해제함으로써 해당 턴테이블(7) 상의 반송 대차(1)를 왕행 경로부(5) 측으로 송출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해당 턴테이블(7) 상의 반송 대차(1)의 전단 좌우 양측면을 백업 롤러(86)와의 사이에서 개재하고 있는 반송 대차 송출 수단(82)의 마찰 구동륜(85)을 모터(85a)로 반송 대차 송출 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턴테이블(7) 상의 반송 대차(1)를 횡행 경로부(5)의 가이드 레일(2a, 2b) 상으로 송출할 수 있다.
반송 대차(1)의 송출이 완료하면, 턴테이블 위치 결정 수단(96)에 의한 턴테이블(7)의 로킹을 해제함과 아울러, 반송 대차 송출 수단(82)의 백업 롤러(86)를 후퇴 비작용 위치로 전환한 후, 턴테이블(7)의 2개의 지지용 롤러(67c, 67d)를 모터(68a, 68b)로 역회전 구동하고, 턴테이블(7)을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 블 회전 제한용 스토퍼(72a)에서 제한되는 반송 대차 수취 위치까지 90도 역회전시켜 다음 반송 대차(1)의 방향 전환에 대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 턴테이블(7)의 반송 대차 수취 위치에의 역회전 구동 시에는 해당 턴테이블(7) 상에 반송 대차(1)가 탑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반송 대차 송입 수단(81)의 백업 롤러(84)가 미리 진출 작용 위치로 복귀되어 있어도 문제 없이 턴테이블(7)을 반송 대차 수취 위치까지 회전 복귀시킬 수 있다.
턴테이블(7) 상에서 횡행 경로부(5)로 송출된 반송 대차(1)는, 다음 반송 대차 방향 전환용 턴테이블(8)이 반송 대차 수용 준비 완료하였을 때 해당 횡행 경로부(5)의 가변속 구동 수단(11D)에 의해 턴테이블(8)로 송입되는데, 이 턴테이블(8) 및 이보다 하류측의 각 턴테이블(9, 10)은 각 턴테이블(8∼10)이 반송 대차(1)를 받아들이는 상류측 주행 경로와 각 턴테이블(8∼10)이 방향 전환 후의 반송 대차(1)를 송출하는 하류측 주행 경로가 상기한 왕행 경로부(3)와 횡행 경로부(5) 사이의 턴테이블(7)과 다를 뿐이며, 구조 및 작용은 동일하다. 따라서, 턴테이블(8)로 송입된 반송 대차(1)를 각 턴테이블(8∼10)에서 반송 대차(1)를 90도 방향 전환하고, 전단을 각 턴테이블(8∼10)의 하류측 주행 경로(복행 경로부(4), 횡행 경로부(6) 및 왕행 경로부(3))를 향하게 한 상태에서 해당 하류측 주행 경로로 송출하면서 복행 경로부(4) 및 횡행 경로부(6)를 경유시켜 왕행 경로부(3)의 시작단부로 송출시킬 수 있다.
반송 대차(1)는 왕행 경로부(3)의 끝단부에서 캠 장치(99)에 의해 피반송물 지지대(17)가 상승 위치까지 올라가서 로킹 수단(51)에 의해 유지된 상태이므로, 턴테이블(7∼10) 상을 통과할 때에만 반송 대차(1)의 피반송물 지지대(17)를 상승 위치까지 올려 두기 위해서는 각 턴테이블(7∼10)의 상류측 주행 경로의 끝단부에 상기 캠 장치(99)를 배설하고, 각 턴테이블(7∼10)의 하류측 주행 경로의 시작단부에 작업 구간(3A)에 병설한 캠 장치(58)의 로킹 해제용 캠(60), 끝단측 제1 캠 레일(59B) 및 제2 캠 레일(60)의 끝단부로 이루어지는 캠 장치(100)를 배설하면 되는데, 도 1의 레이아웃에서는 횡행 경로부(5, 6)의 경로 길이가 짧기 때문에 이 횡행 경로부(5, 6)에는 캠 장치(99, 100)를 배설하지 않고 턴테이블(7)의 상류측 주행 경로(왕행 경로부(3))의 끝단부와 턴테이블(9)의 상류측 주행 경로(복행 경로부(4))의 끝단부에 피반송물 지지대(17)를 상승 위치로 전환하는 캠 장치(99)를 배설하고, 턴테이블(8)의 하류측 주행 경로(복행 경로부(4))의 시작단부와 턴테이블(10)의 하류측 주행 경로(왕행 경로부(3))의 시작단부에 피반송물 지지대(17)를 상승 위치에서 하강 위치로 복귀시키는 캠 장치(100)를 배설하였다.
상기 구성에 의해, 왕행 경로(3)의 끝단부부터 복행 경로(4)의 시작단부까지의 턴테이블(7, 8) 및 횡행 경로부(5)를 경유하는 방향 전환 경로와, 복행 경로(4)의 끝단부부터 왕행 경로부(3)의 시작단부까지의 턴테이블(9, 10) 및 횡행 경로부(6)를 경유하는 방향 전환 경로에서는 반송 대차(1)는 피반송물 지지대(17)를 상승 위치에 유지한 채 주행하게 되어, 모든 턴테이블(7∼10)을 저바닥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턴테이블(7∼10) 상을 주행 통과하는 반송 대차(1)의 피반송물 지지대(17)를 상승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반송 대차(1) 측의 로킹 수단(51)을 이용하 였으나, 턴테이블(7∼10)의 중간 프레임(65) 상에 제2 캠 레일(60)을 부설한다면, 로킹 수단(51)은 작업 구간(3A)에서의 로킹 수단(51)의 역할과 동일하게 턴테이블(7∼10) 상을 주행 통과하는 반송 대차(1)의 피반송물 지지대(17)의 예기치 않은 사고로 인한 낙하 방지 대책으로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작업 구간(3A)의 끝단부에서 피반송물 지지대(17)를 상승 위치에서 하강 위치로 낮추고, 이에 후속하는 고속 주행 구간(3B)의 끝단부에서 캠 장치(99)에 의해 다시 피반송물 지지대(17)를 상승 위치로 전환하도록 구성하였으나, 고속 주행 구간(3B)의 경로 길이가 짧은 등 상황에 따라서는 작업 구간(3A)의 끝단부에서 피반송물 지지대(17)를 하강 위치로 낮추지 않고 피반송물 지지대(17)를 상승 위치에 유지시킨 채 고속 주행 구간(3B)에서 턴테이블(7) 상으로 반송 대차(1)를 옮겨지게 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턴테이블(7)에 반송 대차(1)가 옮겨지기 전에 피반송물 지지대(17) 상에서 피반송물이 내려지고, 빈 반송 대차(1)가 턴테이블(7)에서 방향 전환되는 것과 같은 레이아웃에서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차식 반송 장치는, 예컨대 자동차 몸체에 각종 부품을 부착하는 자동차 조립 라인에서 반송 대차 상에 탑재한 자동차 몸체를 등간격으로 정속 이동시키기 위한 반송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일정 주행 경로 상을 주행 가능한 반송 대차 상에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한 피반송물 지지대가 설치되고, 해당 반송 대차의 저부에는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와 연동하여 상하동하는 캠 종동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반송 대차의 주행 경로 중에는, 상기 캠 종동 롤러를 밀어올리는 캠 레일을 구비하며 피반송물 지지대가 상승 위치에 유지되는 작업 구간이 마련된 대차식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 구간보다 하류의 주행 경로에는 반송 대차의 방향 전환용 턴테이블이 배설되고,
    반송 대차가 적어도 상기 턴테이블에 진입하기 직전부터 회전한 해당 턴테이블로부터 완전히 퇴출할 때까지의 동안에 해당 반송 대차의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를 상승 위치에 유지시켜 두는 피반송물 지지대 상승 위치 유지 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반송 대차에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상승 위치에 로킹하는 수단이 설치되고,
    주행 경로 중의 피반송물 지지대를 하강 위치까지 내리는 위치에는 상기 로킹 수단의 로킹 해제 수단이 배설되고,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 상승 위치 유지 수단이 상기 로킹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구간과 턴테이블 사이에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하강 위치로 내린 상태에서 고속 주행시키는 고속 주행 구간이 마련되고,
    상기 턴테이블의 직전 위치에는 상기 캠 종동 롤러를 밀어올리는 캠 레일이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은 이 턴테이블 상의 반송 대차 주행 경로를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해당 양 가이드 레일을 그 내측에서 연결 일체화하는 중간 프레임, 이 중간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기 위하여 바닥측으로부터 돌출설치된 수직 지축, 상기 양 가이드 레일의 외측에 부착되며 바닥측의 지지 안내면 상을 전동하는 복수의 지지용 롤러, 및 이들 지지용 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의 지지용 롤러는 상기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의 단부에는 다른 지지용 보조 롤러가 부착되며,
    턴테이블 상의 반송 대차 주행 경로가 상류측 주행 경로 또는 하류측 주행 경로에 접속하였을 때 해당 주행 경로의 단부에 인접하는 상기 지지용 보조 롤러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 단부를 레벨링하는 보조 지지 안내면이 바닥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바닥측에는 상류측 주행 경로로부터 상기 턴테이블 상으로의 반송 대차 송입 수단과, 상기 턴테이블 상으로부터 하류측 주행 경로로의 반송 대차 송출 수단이 배설되고,
    이들 바닥측의 반송 대차 송입 수단과 반송 대차 송출 수단은 반송 대차에 설치된 주행 방향과 평행한 좌우 양측면의 일측에 압접하는 마찰 구동륜과, 타측에 맞닿는 백업 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턴테이블은 이 턴테이블 상의 반송 대차 주행 경로의 일단이 상류측 주행 경로에 접속하는 위치와 해당 턴테이블 상의 반송 대차 주행 경로의 타단이 하류측 주행 경로에 접속하는 위치 사이의 범위를 정역회전 구동되고,
    상기 반송 대차 송입 수단의 마찰 구동륜은 턴테이블 상에 송입된 반송 대차가 턴테이블의 회전에 의해 멀어져 가는 측의 바닥측에 배설되고,
    상기 반송 대차 송출 수단의 마찰 구동륜은 턴테이블 상의 반송 대차가 턴테이블의 회전에 의해 접근해 오는 측의 바닥측에 배설되고,
    상기 반송 대차 송입 수단 및 상기 반송 대차 송출 수단의 백업 롤러는 턴테이블의 회전에 의한 턴테이블 상의 반송 대차의 회전 공간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퇴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상의 반송 대차 주행 경로가 접속하는 상류측 주행 경로의 단부에는 반송 대차 낙하 방지용 기복 가능한 상폐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반송 대차 송입 수단의 백업 롤러의 출퇴 이동에 연동하는 캠 수단이 설치되고, 해당 캠 수단이 상기 반송 대차 송입 수단의 백업 롤러의 퇴출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상폐 스토퍼를 비작용 위치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KR1020077028466A 2005-08-04 2006-07-27 대차식 반송 장치 KR100923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26199A JP4189685B2 (ja) 2005-08-04 2005-08-04 台車式搬送装置
JPJP-P-2005-00226199 2005-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608A KR20080019608A (ko) 2008-03-04
KR100923330B1 true KR100923330B1 (ko) 2009-10-22

Family

ID=37708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466A KR100923330B1 (ko) 2005-08-04 2006-07-27 대차식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658273B2 (ko)
EP (1) EP1911654A4 (ko)
JP (1) JP4189685B2 (ko)
KR (1) KR100923330B1 (ko)
CN (1) CN100584675C (ko)
BR (1) BRPI0613245B1 (ko)
CA (1) CA2607867C (ko)
RU (1) RU2373089C1 (ko)
WO (1) WO20070154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6701B2 (en) * 2007-01-30 2011-11-15 Daifuku Co., Ltd. Conveyance device using carriage
JP4895022B2 (ja) * 2007-01-30 2012-03-14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式搬送装置
JP5018263B2 (ja) * 2007-06-18 2012-09-05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コンベア装置
WO2009060528A1 (ja) * 2007-11-08 2009-05-14 Hirata Corporation 駆動ユニット及び搬送システム
KR100950684B1 (ko) * 2009-08-27 2010-03-31 (주)우신시스템 다차종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장치
CN102019975B (zh) * 2010-08-17 2012-09-26 大福(中国)有限公司 台车式柔性输送系统及其应用方法
JP5650841B2 (ja) * 2010-07-09 2015-01-07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式搬送装置
JP6044387B2 (ja) * 2013-02-27 2016-12-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搬送装置
JP2014190114A (ja) * 2013-03-28 2014-10-06 Daifuku Co Ltd 搬送用走行体の走行経路構造
JP6135332B2 (ja) * 2013-06-28 2017-05-31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通路部横断用の搬送装置
US9764903B2 (en) * 2013-07-10 2017-09-19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Transport device
JP6086048B2 (ja) * 2013-09-24 2017-03-01 トヨタ車体株式会社 台車回転装置
CN103587609B (zh) * 2013-10-16 2017-02-08 湖北华昌达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总装生产的滑板输送系统
JP6217927B2 (ja) * 2014-03-11 2017-10-25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式搬送装置
CN105236102A (zh) * 2015-11-13 2016-01-13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地拖链小车
CN105600321A (zh) * 2016-01-02 2016-05-25 玉林市达志机械配件有限公司 一种低轴转动平台
KR101923783B1 (ko) * 2016-12-29 2018-11-29 정원기 진공 열처리 장치
CN106516548A (zh) * 2016-12-30 2017-03-22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生产流水线用轻型件物流桥
US10053343B1 (en) * 2017-02-07 2018-08-21 Rodney Cameron Truck bed scissor lift
CN107539052B (zh) * 2017-09-06 2020-03-13 天津朗誉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新型台车导向机构
CN108163499A (zh) * 2017-12-13 2018-06-15 东莞市辉煌龙腾机械有限公司 一种自动化运输转向机
NL2020297B1 (en) * 2018-01-18 2019-07-29 Optimus Sorter Holding B V A weighing system
EP3561517B1 (en) 2018-04-25 2021-04-21 Aoi Seiki Co., Ltd. Holder transport apparatus
JP7067437B2 (ja) * 2018-11-21 2022-05-16 株式会社ダイフク 移載装置
CN112660177B (zh) * 2020-12-11 2023-10-10 中山市科力高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输送地板单元以及一种地板
CN113233392B (zh) * 2021-05-31 2022-11-15 广州公路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护栏施工的自稳式台车及其施工方法
CN114104646B (zh) * 2021-11-26 2024-05-17 东风专用设备科技有限公司 浮动托盘结构、合装托盘和整车合装方法
WO2024121922A1 (ja) * 2022-12-06 2024-06-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荷重サポート装置、搬送システムおよび荷重サポート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498A (ja) * 1990-05-07 1992-01-21 Maki Shinko:Kk 昇降装置
JPH07172538A (ja) * 1993-12-15 1995-07-11 Daifuku Co Ltd コンベヤ装置
JP2004331366A (ja) 2003-05-12 2004-11-25 Daifuku Co Ltd 昇降荷台付き搬送装置
JP2005187115A (ja) 2003-12-25 2005-07-14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昇降機能付き台車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95472A (fr) * 1925-03-18 1925-10-03 Ets De Dion Bouton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de retournement pour véhicules circulant sur voies ferrées
US1620273A (en) * 1925-07-21 1927-03-08 Mayer Karl Turntable
US1740937A (en) * 1928-06-05 1929-12-24 Albert E Zoller Railroad-platform bridge
US1973005A (en) * 1932-01-08 1934-09-11 Jeffrey Mfg Co Conveyer mechanism
US2640580A (en) * 1948-08-26 1953-06-02 Burgh Albert Raymond De Conveyer system
GB795673A (en) * 1956-12-19 1958-05-28 Frederick Gilbert Mitchel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ehicle handling mules
CH369403A (de) * 1960-06-11 1963-05-15 Weissenburg Mineralthermen Akt Einrichtung mit Kettenelevator zum Fördern und Stapeln von Harassen, Kisten oder dergleichen
US4416202A (en) * 1981-05-15 1983-11-22 Industrial Management Co. Conveyor bench/work station with shunt
DE3512016A1 (de) * 1985-04-02 1986-10-09 Rheiner Maschinenfabrik Windhoff Ag, 4440 Rheine Verfahrbarer und versenkbarer prellbock
US5013203A (en) * 1988-04-20 1991-05-07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Electrically driven self-propelled truck and apparatus for changing course thereof
JP2953157B2 (ja) * 1991-12-19 1999-09-27 株式会社ダイフク 可動体使用の搬送設備
JP2817489B2 (ja) * 1991-12-19 1998-10-30 株式会社ダイフク 可動体使用の搬送設備
US6105749A (en) * 1997-11-25 2000-08-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hanced matrix tray feeder
US6308404B1 (en) * 1999-07-12 2001-10-30 Daimlerchrysle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two axles onto a vehicle chassis
US6257372B1 (en) * 1999-07-15 2001-07-10 Kelley Company, Inc. Scissor lif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DE10022965C2 (de) * 2000-05-11 2002-12-05 Koenig & Bauer Ag Vorrichtungen zur Richtungsänderung von Transportmitteln
JP3879967B2 (ja) * 2000-09-14 2007-02-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レット搬送組立ライン
US7178660B2 (en) * 2002-07-02 2007-02-20 Jervis B. Webb Company Workpiece transport system with independently driven platforms
JP2004033136A (ja) 2002-07-05 2004-02-05 Fuji Photo Film Co Ltd 細胞培養担体
JP4196348B2 (ja) * 2004-08-09 2008-12-17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BRPI0512772B1 (pt) * 2004-08-09 2017-07-04 Daifuku Co., Ltd. Loading equipment with lifting support table of loaded objec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498A (ja) * 1990-05-07 1992-01-21 Maki Shinko:Kk 昇降装置
JPH07172538A (ja) * 1993-12-15 1995-07-11 Daifuku Co Ltd コンベヤ装置
JP2004331366A (ja) 2003-05-12 2004-11-25 Daifuku Co Ltd 昇降荷台付き搬送装置
JP2005187115A (ja) 2003-12-25 2005-07-14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昇降機能付き台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613245B1 (pt) 2018-05-22
RU2373089C1 (ru) 2009-11-20
CA2607867A1 (en) 2007-02-08
BRPI0613245A2 (pt) 2010-12-28
CA2607867C (en) 2010-10-12
EP1911654A4 (en) 2009-02-25
JP2007038896A (ja) 2007-02-15
US20090090598A1 (en) 2009-04-09
EP1911654A1 (en) 2008-04-16
KR20080019608A (ko) 2008-03-04
US7658273B2 (en) 2010-02-09
CN100584675C (zh) 2010-01-27
WO2007015408A1 (ja) 2007-02-08
RU2008108097A (ru) 2009-09-10
JP4189685B2 (ja) 2008-12-03
CN101238021A (zh)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330B1 (ko) 대차식 반송 장치
JP4065926B2 (ja) 台車式搬送装置
US7484616B2 (en) Transportation facility for traveling body for transportation
CA2573776C (en) Conveying apparatus with lifting/lowering to-be-conveyed object support table
KR101094792B1 (ko) 대차식 반송장치
JP6501078B2 (ja) 搬送用走行体利用の搬送設備
JP5057039B2 (ja) 台車式搬送設備
WO1999044927A9 (en) Container transfer crossover and system
JP4301214B2 (ja) 搬送用走行体の配送設備
JP2007302242A (ja) 台車式搬送装置
JP5110884B2 (ja) 手動走行式リフター
JP4507014B2 (ja) 滑り荷台利用の搬送装置
US20230243173A1 (en) Automated parking floor conveyor systems
KR20220154771A (ko) 적재하중 승강 장치 및 고정 장치를 구비한 무인 수송 차량
CN113272239A (zh) 电梯系统
JP3642510B2 (ja) ハイブリッド搬送台車用クイックトラバース機構
US3059587A (en) Drag line conveyor system
JP3545539B2 (ja) 機械式立体駐車設備のパレット落下防止装置
JP3679217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3448037B2 (ja) 平面往復式駐車装置
JP3314558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3665729B2 (ja) 駐車装置の車両ドア閉扉装置
CN116495422A (zh) 积放链输送系统
JP6150168B2 (ja) 連結台車利用の搬送装置
JP2992789B2 (ja)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パレット横送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