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206B1 - 박리 라이너 및 이를 사용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 Google Patents

박리 라이너 및 이를 사용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206B1
KR100798206B1 KR1020050039284A KR20050039284A KR100798206B1 KR 100798206 B1 KR100798206 B1 KR 100798206B1 KR 1020050039284 A KR1020050039284 A KR 1020050039284A KR 20050039284 A KR20050039284 A KR 20050039284A KR 100798206 B1 KR100798206 B1 KR 100798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nsitive adhesive
pressure
peeling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7765A (ko
Inventor
다카히로 노나카
신지 이구치
마사히로 오우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coating being discontinu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5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release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38Metal co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04Next to met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리층에 실리콘계 박리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박리층과 감압성 접착제층이 원활하게 박리될 수 있는 박리 라이너를 제공한다.
상기 박리 라이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의해 형성된 박리층을 갖고 있고, 박리층 표면이 요철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리층 표면의 요철 형상은 불규칙적으로 다른 형상의 각 요철부가 불규칙적인 위치 관계로 배치된 형태의 요철부에 의한 요철 형상일 수도 있다. 박리층 표면의 표면 조도 Ra는 1 내지 3㎛인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뷰텐, 폴리(4-메틸-1-펜텐), 및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1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박리 라이너 및 이를 사용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RELEASE LINER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USING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박리 라이너의 일례를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박리 라이너의 다른 예를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박리 라이너의 다른 예를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박리 라이너를 사용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또는 시트)의 예를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박리 라이너를 사용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또는 시트)의 예를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기재(박리 라이너용 기재)
2: 언더코팅층(undercoating layer; 下引層)
3: 표면이 요철 형상인 박리층(표면 요철 박리층)
4, 4a, 4b, 4c, 4d: 박리 라이너 5: 감압성 접착제층
6: 지지 기재(감압성 접착 테이프용 지지 기재)
7, 7a, 7b, 7c: 감압성 접착 테이프 8: 대전방지층
본 발명은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와 이에 사용되는 박리 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으로서 유용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와 이에 사용되는 박리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감압성 접착 테이프에 사용되는 박리 라이너는 일반적으로 박리 라이너용 기재 및 이 기재 상에 구비된 박리제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박리제층으로서 실리콘계의 박리처리제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것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감압형 양면 접착 테이프 등에서는, 실리콘계 박리제를 도포한 박리 라이너 상에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을 구비한 것이 이에 해당하지만, 이러한 실리콘계 박리제를 도포한 박리 라이너에서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사용할 때 접착제층측에 박리 라이너 중의 실리콘 화합물의 일부가 부착하기 때문에, 접착제층을 오염시켜 접착 성능을 현저히 손상시켜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 종류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HDD(자기 기록 장치) 등의 전자 기기의 고정 용도 등으로 사용하면, 특히 전자 기기 내부에 사용되는 경우, 전자 기기 내부의 부식이나 오동작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박리 라이너 중의 실리콘 화합물에 유래하는 접착제층의 오염 부위가 실록세인 가스의 발생원이 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실리콘계 박리제를 사용하지 않고 박리 기능을 부여시킨 박리 라이너로서, 예컨대 박리 라이너용 기재 상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박리층을, 상기 층에서의 표면의 산화를 억제하면서 압출 적층한 것(일본 특허공고 제 1976-20205 호 공보 및 일본 실용신안공개 제 1998-85642 호 공보 참조), 박리 라이너 기재 상에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저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저결정성 에틸렌-뷰텐-1 랜덤 공중합체의 혼합 수지에 의한 박리층을 압출 적층한 것(일본 특허공고 제 1982-45790 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제 1994-155687 호 공보 참조), 기재 상에 언더코팅층을 통해 에틸렌계 중합체에 의한 박리층이 특정의 두께 비로 형성되면서 가스방출(outgassing)량이 규정된 것(일본 특허공개 제 2003-127299 호 공보 참조)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점착제에 미세구조를 붙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박리 라이너의 요철 구조에 점착제를 추종시켜 점착제층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키는 것 등도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공표 제 1997-50423 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표 제 2001-507732 호 공보 참조). 나아가, 다른 박리제로서, 불소계 박리제를 사용한 박리 라이너 등도 널리 알려져 있다. 이들 박리 라이너는 다음 공정에서 감압성 접착제층을 설치하여 감압성 접착 시트 또는 테이프로서 사용된다.
또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용 감압성 접착 테이프(또는 시트)는, 최근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급속한 저비용화에 대응하기 위해, 부착 시에는 인원 비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자동 기계 부착으로 수행하고, 양산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고속으로 부착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고속 자동 기계 부착에서는, 우선 점착 테이프의 기재면(점착제층 면의 반대면 또는 배면)을 에어 흡착 테이블 상에서 에어 흡착하고, 그대로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부착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이 때 에어 흡착이 지나치게 강하면 점착 테이프 자체에 요철 모양이 생겨 현저히 외관을 손상시키는 동시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용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기능의 하나인 기밀성이 손상되기 때문에, 에어 흡착은 필요 최소한의 에어 흡착 강도로밖에 수행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이러한 고속 박리 시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용 감압성 접착 테이프(또는 시트)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박리시킬 때의 박리력은 필요 최소한의 에어 흡착력보다 약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에어 흡착력보다도 약한 박리력으로서는, 박리속도 1m/min 및 박리각도 180°의 조건으로 박리 라이너를 박리시켰을 때의 박리력이 0.3N/50mm 이하이다.
또한, 박리력을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박리층 표면의 형상이 요철 형상으로 되어 있는 박리 라이너가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공개 제 2002-219778 호 공보 참조). 그러나, 종래의 표면 요철 형상을 갖는 박리 라이너에서는, 박리제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사용되지 않고 실리콘계 수지나 불소계 수지 등의 박리제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HDD(자기 기록 장치) 등의 정밀 전자 기기는 정전기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쉽고, HDD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정전기가 발생할 경우 정전기에 의해 기기에 장 해가 미치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실리콘계 박리제를 사용하지 않고 박리 기능이 부여된 박리 라이너로서, 예컨대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의한 박리층을 갖는 박리 라이너는, 높은 점착성을 갖는 감압성 접착제에 대해서는 양호한 박리 기능을 나타내지 않고, 에어 흡착력보다도 강한 박리력이 되어 고속 자동기에서의 박리에 대응할 수 없다. 또한, 박리 시에 감압성 접착제가 박리층에 잡히거나 펄스상의 박리(소위 "스틱 슬립(stick slip)")가 되어 버리거나 하여 감압성 접착제층의 표면이 거칠어지기 때문에, 본래의 성능을 유효하고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없다.
한편, 불소계의 박리제를 사용한 박리 라이너는 감압성 접착제층으로부터의 원활한 박리성이라는 점에서는 양호하게 되지만,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최근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저비용화에 따른 재료의 저비용화에 대응할 수 없다.
또한, 일반적인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서는, 박리 라이너를 박리할 때 박리 대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이 때 발생한 미약 전류가 정밀 전자 기기에 장해를 미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박리층에 실리콘계 박리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박리층과 감압성 접착제층이 원활하게 박리될 수 있는 박리 라이너, 및 상기 박리 라이너가 사용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또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로부터 박리 라 이너를 박리시킬 때 발생하는 박리 대전의 전압 레벨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박리 라이너, 및 상기 박리 라이너가 사용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부착하였을 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오염시키지 않고, 더구나 감압성 접착제층이 고점착성을 갖고 있더라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부착할 때는 "고속 자동 기계 부착 수단"을 이용할 수 있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으로서 유용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및 상기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 사용되는 박리 라이너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 사용하는 박리 라이너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의해 형성된 박리층을 갖고, 또한 박리층이 특정의 표면 형상을 갖는 박리 라이너를 사용하면, 박리층에 실리콘계 박리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박리층과 감압성 접착제층이 원활하게 박리될 수 있고, 그 때문에 상기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으로서 이용하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오염시키지 않으며, 더구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부착할 때는 "고속 자동 기계 부착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의해 형성된 박리층을 갖고 있는 박리 라이너로서, 박리층 표면이 요철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라이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박리 라이너에 있어서, 박리층 표면의 요철 형상은 불규칙적으로 다른 형상의 각 요철부가 불규칙적인 위치 관계로 배치된 형태의 요철부에 의한 요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층 표면의 표면 조도 Ra는 1 내지 3㎛인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뷰텐, 폴리(4-메틸-1-펜텐), 및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1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박리층이 기재 상에 직접 또는 다른 층을 통해 적층된 구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 라이너로서는 대전방지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박리 라이너로서는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또는 기재 중에 대전방지처리층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전방지층으로서는 금속박층 또는 금속증착층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는, 감압성 접착제층을 갖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로서, 감압성 접착제층 상에 상기 박리 라이너가, 감압성 접착제층과 박리층이 접하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도 포함된다.
상기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 있어서, 감압성 접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 기재 상에 감압성 접 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층 상에 박리 라이너가 접합된 구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용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필요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부재 또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경우가 있다.
[박리 라이너]
도 1은 본 발명의 박리 라이너의 일례를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기재(박리 라이너용 기재), 2는 언더코팅층, 3은 표면이 요철 형상인 박리층("표면 요철 박리층"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 4는 박리 라이너이다. 도 1에 도시된 박리 라이너(4)는 기재(1), 상기 기재(1)의 한 쪽에 형성된 언더코팅층(2) 및 상기 언더코팅층(2) 상에 형성된 표면 요철 박리층(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표면 요철 박리층(3)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표면은 요철 형상으로 되어 있다(요철 구조를 갖고 있다). 즉, 박리 라이너(4)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의해 형성되면서 표면이 요철 형상인 박리층(3)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박리 라이너는 박리층이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감압성 접착제층의 표면 보호에 사용되더라도 실리콘계 박리제에 유래하는 실리콘 성분을 감압성 접착제층에 이행(移行)시키는 일이 없다. 더구나, 박리 라이너는 실리콘계 박리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 않고 폴리올레핀계 수 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더라도, 표면의 형상이 요철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박리층과 감압성 접착제층을 원활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박리 라이너를 사용하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용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감압성 접착제층으로부터 감압성 접착제층에 적층된 박리 라이너를 박리할 때의 180° 박리력(인장속도 1m/min, 23℃×60% RH)을 0.3(N/50mm) 이하[바람직하게는 0.25(N/50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N/50mm) 이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박리 라이너를, 예컨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용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 있어서의 감압성 접착제층의 보호에 사용하였을 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용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감압성 접착제층이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의해 형성된 박리층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부착하였을 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실리콘 성분에 의한 오염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더구나, 감압성 접착제층이 고점착성을 갖고 있더라도, 감압성 접착제층을 보호하고 있는 박리층은 그 표면이 요철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부착할 때는 고속 자동 기계로 박리층과 감압성 접착제층을 원활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고속 자동 기계에 의해 부착하는 수단인 "고속 자동 기계 부착 수단"을 이용하더라도 아무런 문제가 없이 고속 자동 기계에 의해 박리 라이너를 감압성 접착제층으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어, 우수한 작업성으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부착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부착의 자동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하드 디스크 드라이 브 장치의 양산화나 비용 저감 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용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 있어서의 감압성 접착제층으로서는 종래 이용되고 있는 감압성 접착제층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되는 감압성 접착제층에 아무런 제한이 생기지 않는다. 물론, 박리 라이너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박리층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용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점착성에 아무런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박리 라이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의해 형성되면서 표면이 요철 형상인 박리층(표면 요철 박리층)을 갖고 있으면 좋고, 표면 요철 박리층 이외의 층(예컨대, 기재나 언더코팅층, 대전방지층 등)은 갖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박리 라이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 상에 언더코팅층 및 표면 요철 박리층이 이 순서로 형성된 구성을 갖고 있을 수도 있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 상에 표면 요철 박리층이 형성된 구성, 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요철 박리층만으로 형성된 구성을 갖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박리 라이너는, 하기의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 상에 대전방지층, 언더코팅층 및 표면 요철 박리층이 이 순서로 형성된 구성, 또는 하기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방지층을 내부에 갖는 기재 상에 언더코팅층 및 표면 요철 박리층이 이 순서로 형성된 구성을 갖고 있을 수도 있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박리 라이너의 다른 예를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a 및 2b에 있어서, 4a 및 4b는 각각 박리 라이너이고, 1 및 3은 상기와 동일한 것으로 1은 기재, 3은 표면 요철 박리층이다. 도 2a에 도시된 박리 라이너(4a)는 기재(1) 및 상기 기재(1)의 한 쪽에 직접 형성된 표면 요철 박리층(3)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 2b에 도시된 박리 라이너(4b)는 표면 요철 박리층(3)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박리 라이너의 다른 예를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a 및 3b에 있어서, 1a 및 1b는 각각 기재(박리 라이너용 기재), 8은 대전방지층, 4c 및 4d는 각각 박리 라이너이다. 또한, 1, 2 및 3은 상기와 동일한 것으로 1은 기재, 2는 언더코팅층, 3은 표면 요철 박리층이다. 도 3a에 도시된 박리 라이너(4c)는 기재(1), 상기 기재(1)의 편면 상에 형성된 대전방지층(8), 상기 대전방지층(8) 상에 형성된 언더코팅층(2) 및 언더코팅층(2) 상에 형성된 표면 요철 박리층(3)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박리 라이너(4d)는 기재(1a), 상기 기재(1a)의 편면 상에 형성된 대전방지층(8), 상기 대전방지층(8) 상에 형성된 기재(1b), 상기 기재(1b)의 편면 상에 형성된 언더코팅층(2) 및 언더코팅층(2) 상에 형성된 표면 요철 박리층(3)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면 요철 박리층)
표면 요철 박리층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박리제로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표면은 요철 형상을 갖고 있다. 표면 요철 박리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 촉매법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 폴리프로필렌, 폴리뷰텐[예컨대, 폴리(1-뷰텐) 등], 폴리(4-메틸-1-펜텐), α-올레핀 공중합체[예컨대,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1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프로필렌과 탄소 수 4 내지 1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에틸렌과 α-올레핀 이외의 성분의 공중합체[예컨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등의 에틸렌-불포화 카복실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EEA), 에틸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EMMA) 등의 에틸렌-(메트)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EVA); 에틸렌-바이닐 알코올 공중합체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1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에 있어서, 탄소수 3 내지 10의 α-올레핀으로서는 프로필렌, 1-뷰텐, 1-헥센, 4-메틸-1-펜텐 및 1-옥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α-올레핀(공단량체)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는 예컨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있어서, 탄소수 4 내지 10의 α-올레핀으로서는 1-뷰텐, 1-헥센, 4-메틸-1-펜텐 및 1-옥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α-올레핀(공단량체)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는 예컨대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특히,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뷰텐, 폴리(4-메틸-1-펜텐) 및 에틸렌-α-올레 핀 공중합체가 적합하고, 그 중에서도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에틸렌계 중합체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계 중합체로서는 적어도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함과 동시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적합하다.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고, 또한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 이들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0 내지 25중량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30 내지 3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합 비율의 범위를 이탈하면, 박리 기능이 손상되거나 성형성이 불충분해지거나 하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있어서, 에틸렌과 함께 사용되는 공단량체 성분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1-헥센 및 1-옥텐이 적합하다.
에틸렌계 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공지된 방법에 기초하여 그 중합 반응 조건 및 그 후의 정제, 분별 조건 등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시판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표면 요철 박리층은 표면에 요철부(특히, 미세한 요철부)를 갖고 있다. 표면 요철 박리층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부는 각 요철부의 형상이 전부 동일한 형상일 수도 있고, 또한 부분적으로 동일한 형상일 수도 있으며, 나아가 전부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각 요철부의 형상이 부분적으로 동일하거나 전부 다른 형상인 경우(즉, 전부 동일한 형상이 아닌 경우), 각 요철부의 형상은 규칙적으로 다른 형상을 갖고 있을 수도 있고, 불규칙적으로 다른 형상을 갖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각 요철부가 배치된 형태는 규칙적인 위치 관계로(또는 간격으로) 배치된 형태일 수도 있고, 불규칙적인 위치 관계로(또는 간격으로) 배치된 형태일 수도 있다. 따라서, 요철부는 전부 동일하거나, 또는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다른 형상의 각 요철부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위치 관계로(또는 간격으로) 배치된 형태를 갖고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요철부는 불규칙적으로 다른 형상의 각 요철부가 불규칙적인 위치 관계로 배치된 형태의 요철부("불규칙성 요철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각 요철부는 미세한 각 요철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즉, 박리층 표면의 요철 형상은 불규칙성 요철부에 의한 요철 형상(특히, 미세한 요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박리층은 요철 형상의 표면을 갖고 있다. 박리층 표면의 표면 조도(평균 조도) Ra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0.5 내지 5㎛(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고, 특히 1.5 내지 2㎛인 것이 적합하다. 박리층 표면의 표면 조도 Ra가 0.5㎛보다도 작으면 충분한 박리성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한편 5㎛보다도 크면 점착제층에 붙은 자리가 기밀성(밀봉성)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박리층 표면의 최대 조도 Rt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1 내 지 15㎛(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고, 특히 4 내지 8㎛인 것이 적합하다. 박리층 표면의 최대 조도 Rt가 1㎛보다도 작으면 충분한 박리성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한편 15㎛보다도 크면 점착제층에 붙은 자리가 기밀성(밀봉성)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박리층 표면의 표면 조도 Ra 및 최대 조도 Rt는 TENCOR사 제조의 접촉식 표면 조도 측정장치 "P-11"을 사용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표면 요철 박리층에 있어서의 요철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 내지 관용의 요철부 형성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용융 상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요철 조각(彫刻)을 실시한 성형 롤 등에 가압하여 요철 형상을 전사하는 방법,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의한 층을 형성한 후, 요철 형상을 갖는 롤 등을 가압하여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고, 목적으로 하는 요철부의 형상이나 박리 라이너의 층 구성 등에 따라 공지 내지 관용의 방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표면 요철 박리층은 단층 또는 다층 중 어느 구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표면 요철 박리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5 내지 20㎛일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이다. 표면 요철 박리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두께가 균일해지지 않고, 한편 지나치게 두꺼우면 기재 필름의 편면에만 구비한 경우에 컬 방지성이 저하되며, 또한 양면에 구비한 경우에 가스방출량이 증가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표면 요철 박리층의 두께란 볼록부의 정점(정부)으로부터 표면 요철 박리층의 하부까지의 두께를 의미한다. 표면 요철 박리층의 두께를 구할 때의 볼 록부는 높이가 최대인 볼록부 및 높이가 평균적인 볼록부 중 어느 것이어도 좋지만, 높이가 최대인 볼록부를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기재)
기재는 임의로 사용되고 있다. 기재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박리 라이너 전체의 보강층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또한 박리 라이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원하지 않는 오염(예컨대, 분진 등)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또한 미세가공 적성을 갖는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재로서는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구성된 필름 또는 시트[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나,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텐-1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각종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소위 "나일론" 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 폴리스타이렌 등의 스타이렌계 수지; 폴리염화바이닐 등의 공지된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구성된 필름 또는 시트 등], 금속박(예컨대, 알루미늄박, 스테인레스박, 구리박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재의 소재로서의 열가소성 수지나 금속 등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기재로서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스터에 의해 구성된 필름 또는 시트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재는 단층 또는 다층 중 어느 구성을 갖고 있어도 좋고, 예컨대 기재는 금속증착 필름일 수 있다.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10 내지 100㎛(바람직하게는 25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재의 표면은 코로나 방전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수행되어 있을 수도 있다.
(언더코팅층)
언더코팅층은 임의로 사용되고 있다. 언더코팅층은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할 수 있고, 기재와 표면 요철 박리층 사이의 층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언더코팅층은 예컨대 상기 표면 요철 박리층과 동일한 폴리올레핀계 수지(특히,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언더코팅층은 단층 또는 다층 중 어느 구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언더코팅층의 두께는 예컨대 5 내지 20㎛(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언더코팅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두께가 균일해지지 않고, 한편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기재의 편면에만 구비한 경우에 컬 방지성이 저하되며, 또한 양면에 구비한 경우에도 가공 적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박리 라이너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 요철 박리층을 갖고 있다면, 기재 상에 표면 요철 박리층이 적층된 구성을 갖고 있을 수도 있고 표면 요철 박리층만으로 형성된 구성을 갖고 있을 수도 있다. 기재 상에 표면 요철 박리층이 적층된 구성으로서는, 도 1 및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의 한쪽 면에 표면 요철 박리층이 적층된 구성이나, 기재의 양면에 표면 요철 박리층이 적층된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즉, 박리 라이너는 표면 요철 박리층이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편면 또는 양면) 상에 각각 직접 또는 다른 층을 통해 적층된 구성을 갖고 있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재를 갖는 박리 라이너의 층 구성으로서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의 편면에 언더코팅층 및 표면 요철 박리층이 이 순서로 형성된 구성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의 편면에 표면 요철 박리층이 형성된 구성 외에, 기재의 양면에 언더코팅층 및 표면 요철 박리층이 이 순서로 형성된 구성, 기재의 한쪽 면에 언더코팅층 및 표면 요철 박리층이 이 순서로 형성되면서 기재의 다른 쪽 면에 표면 요철 박리층이 형성된 구성, 기재의 양면에 표면 요철 박리층이 형성된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박리 라이너의 제조방법은 그 층 구성 등에 따라, 공지된 박리 라이너의 형성 방법 등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요철 박리층의 표면의 요철부는 기재나 언더코팅층 등의 소정의 면 상에 박리층을 형성할 때, 박리층이 미경화 상태일 때 요철 조각을 실시한 성형 롤 등을 사용하여 형성한 후, 경화시키는 방법이나, 기재나 언더코팅층 등의 소정의 면 상에 표면이 평면인 박리층을 형성한 후, 요철 형상을 갖는 롤 등을 사용하여 표면이 평면인 박리층에 요철부를 형성하는 방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박리 라이너의 제조에 있어서는, 압출법, 공압출법, 압출 라미네이트법 등의 각종 적층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압출 라미네이트법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언더코팅층을 갖는 경우, 탠덤 방식에 의한 압출 라미네이트법(탠덤 압출 라미네이트법)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요철 박리층을 탠덤 압출 라미네이트법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경우, 압출 직후의 냉각 롤로 매트 롤을 사용하여, 탠덤 압출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압출된 직후의 미경화 박리층에 요철 구조를 만드는 방법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 롤은 목적으로 하는 표면 요철 박리층의 요철 형상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리 라이너를 구성하는 각 층은 필요에 따라 소량의 다른 성분(예컨대, 수지 성분이나 첨가물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재와 표면 요철 박리층 또는 언더코팅층 사이 등에, 필요에 따라 하도층이나 대전방지층(금속박층이나 금속증착층 등) 등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하도층에 따른 하도제로서는, 기재와 표면 요철 박리층 또는 언더코팅층과의 접착성이 충분하게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HDD용 감압성 접착 테이프(또는 시트)의 박리 라이너로서 사용할 때 불량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하도제로서는 예컨대 에스터 우레탄계 접착제, 에터 우레탄계 접착제를 용제(예컨대, 아세트산에틸 등의 아세트산 에스터류, 메틸 에틸 케톤이나 아세톤 등의 케톤류 등의 유기 용제 등)에 용해시켜 얻어지는 하도제(앵커 코팅제)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틸렌이민계 화합물이나 실레인 커플링제 등을 포함하는 하도제는 HDD 내부의 부식이나 오염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도층의 두께는 0.5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전방지층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 또는 기재 중에 구비할 수 있다. 즉, 대전방지층은 기재의 표면 또는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박리 라이너(4c)에서는, 기재(1)와 언더 코팅층(2) 사이에 대전방지층(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박리 라이너(4d)에서는, 기재(1a)와 기재(1b) 사이에 대전방지층(8)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3a 및 3b에서는, 대전방지층은 기재의 한쪽 표면(구체적으로는, 표면 요철 박리층측의 표면) 또는 기재 중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박리 라이너는 대전방지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방지 기능을 갖고 있는 박리 라이너는 대전방지제가 기재 중에 함유되어 있는 구성의 박리 라이너일 수도 있지만,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방지층을 기재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또는 기재 중에 갖고 있는 구성의 박리 라이너가 적합하다. 또한, 대전방지층이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대전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대전방지층이 기재의 편면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대전방지층은 기재의 박리층측의 면 및 기재의 박리층에 대해 반대측의 면 중 어느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대전방지층은 단층 및 복층 중 어느 형태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대전방지층이 기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대전방지층은 다른 층을 통해 기재 상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대전방지층(대전방지 처리층)은 예컨대 대전방지 성분(예컨대, 대전방지성 충전제 외에, 양이온계 대전방지제, 음이온계 대전방지제, 비이온계 대전방지제, 양성이온계 대전방지제 등)이 바인더에 분산된 대전방지제를 도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금속박층이나 금속증착층(금속증착막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방지층이 금속박층이나 금속증착층이면, 그 원료의 오염 관리를 함으로써 불순물 이온 등의 불순물 양을 조정하여 매우 낮게 설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금속박층이나 금속증착층에 따른 금속 재료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알루미늄(Al), 은(Ag), 금(Au), 니켈(Ni), 스테인레스, 구리, 철, 크롬, 타이타늄, 코발트, 몰리브덴, 백금, 텅스텐, 탄탈, 니오븀, 팔라듐, 땜납 합금, 니켈-크롬 합금, 니켈-크롬-철 합금, 구리-망간-니켈 합금, 니켈-망간-철 합금, 구리-니켈 합금 등의 각종 금속 원소 또는 각종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재료로서는 가공성 등의 관점에서 알루미늄이 적합하다. 이들 금속 재료는 박(箔)상의 형태나 분말(미분말, 미립자 등) 또는 섬유상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재료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금속박은 공지 내지 관용의 적층 방법에 의해 기재의 표면 등에 적층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상기 금속 재료의 박상물(금속박)을, 공지 내지 관용의 적층 방법에 의해, 기재에 있어서의 금속박을 적층시키는 면(예컨대, 기재의 편면 등)에 적층시킴으로써 금속박층에 의한 대전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금속의 증착은 예컨대 진공 증착법 등의 공지 내지 관용의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상기 금속 재료의 미분말 또는 섬유상물 등을, 진공 증착 방법 등의 공지 내지 관용의 증착 방법에 의해, 기재에 있어서의 금속증착막을 형성하는 면(예컨대, 기재의 편면 등)에 증착시켜 금속증착막을 형성함으로써 금속증착층에 의한 대전방지층을 제작할 수 있다.
대전방지층이 대전방지제의 도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대전방지제에 따른 대전방지 성분에 있어서 대전방지성 충전제로서는 알루미늄, 은, 금, 니켈, 스테인레스, 구리, 철, 크롬, 타이타늄, 코발트, 몰리브덴, 백금, 텅스텐, 탄탈, 니오븀, 팔라듐, 땜납 합금, 니켈-크롬 합금, 니켈-크롬-철 합금, 구리-망간-니켈 합금, 니켈-망간-철 합금, 구리-니켈 합금 등의 각종 금속 원소 또는 각종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합금(구리 합금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 분말 또는 금속 섬유; 산화아연, 산화인듐, 산화타이타늄, 타이타늄 블랙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 산화물 분말 또는 금속 산화물 섬유;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카본 블랙 등의 탄소 재료로 이루어진 탄소 분말 또는 탄소 섬유;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폴리아세틸렌, 폴리싸이오펜, 폴리페닐렌바이닐렌, 폴리아센 등의 도전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도전성 중합체 입자나, 이들 분말, 섬유 또는 입자 등의 각종 소재(금속 원소나 합금, 금속 산화물, 탄소 재료, 도전성 중합체 등)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입자(예컨대, 귀금속을 피복한 구리나 은으로 이루어진 미립자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대전방지제에 따른 대전방지 성분에 있어서, 양이온계 대전방지제, 음이온계 대전방지제, 비이온계 대전방지제, 양성이온계 대전방지제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각각 공지된 양이온계 대전방지제, 공지된 음이온계 대전방지제, 공지된 비이온계 대전방지제, 공지된 양성이온계 대전방지제 등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대전방지성 충전제 등의 대전방지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성 충전제 등의 대전방지 성분을 분산시키기 위한 바인더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아크릴계 수지, 폴리 우레탄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계 수지 등의 방사선 경화형 수지(예컨대,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바인더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대전방지제(대전방지성 충전제 등의 대전방지 성분이 바인더에 분산되어 있는 대전방지제)는 공지 내지 관용의 도공 방법에 의해, 기재에 있어서의 대전방지제로 이루어진 대전방지층을 형성하는 면(예컨대, 기재의 편면 등) 등에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대전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대전방지성 충전제 등의 대전방지 성분이 분산되어 있는 바인더로 이루어진 시트를 미리 형성한 후, 상기 시트를, 기재에 있어서의 대전방지층을 형성하는 면(예컨대, 기재의 편면 등)에 적층하여, 대전방지제가 사용된 대전방지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대전방지층의 형성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접착제 등을 사용한 각종 접착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대전방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0.01 내지 10㎛(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5㎛)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금속증착층의 두께는 통상 0.01 내지 2㎛(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1㎛)이다. 대전방지층의 두께가 0.01㎛보다 작으면 충분한 대전방지 효과가 수득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한편 10㎛보다 크면 과잉 품질이어서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본 발명의 박리 라이너에 있어서, 표면 요철 박리층이 기재, 언더코팅층 또는 대전방지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적층 구조에 있어서의 각 층의 두께의 구성비는 기재의 두께, 또는 기재 및 대전방지층의 두께(대전방지층이 있는 경우)와, 상기 기재의 어느 한쪽 면에 형성된 표면 요철 박리층의 두께, 또는 표면 요철 박리층 및 언더코팅층의 두께(언더코팅층이 있는 경우)의 비율[(기재+대전방지층의 두께):(표면 요철 박리층+언더코팅층의 두께)]이 9:1 내지 6:4인 것이 바람직하고, 8:2 내지 7:3이 더욱 적합하다. 표면 요철 박리층의 두께, 또는 표면 요철 박리층 및 언더코팅층의 두께가 기재의 두께, 또는 기재 및 대전방지층의 두께에 비해 지나치게 두꺼우면, 라미네이트 성형 후, 폴리에틸렌계 재료 수축의 영향에 의해 박리 라이너에 컬이 생겨, HDD용 감압성 접착 테이프(또는 시트)의 박리 라이너로서 사용한 경우, 미세한 펀칭 가공 등의 가공을 수행할 때의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펀칭 가공 시에 폴리에틸렌계 재료의 신도가 커지기 때문에 끊김성이 저하되어 잡아뜯긴 것 같은 가공 형상이 되거나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박리 라이너의 총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4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이다. 또한, 박리 라이너가 기재의 한쪽 면에만 표면 요철 박리층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박리 라이너의 총 두께는 4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이다. 박리 라이너의 총 두께가 이 범위 내이면, HDD용 감압성 접착 테이프(또는 시트)의 박리 라이너로서 사용한 경우, 박리 작업성이나 절단 가공성 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박리 라이너는, 도 4a, 4b,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 있어서의 감압성 접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도 4a, 4b, 5a 및 5b는 본 발명의 박리 라이너를 사용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예를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a, 4b, 5a 및 5b에 있어서, 5는 감압성 접착제층, 6은 지지 기재(감압성 접착 테이프용 지지 기재), 7, 7a, 7b 및 7c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이다. 또한, 1 내지 4, 4b 및 4c는 상기와 동일한 것으로 1은 기재, 2는 언더코팅층, 3은 표면 요철 박리층, 4, 4b 및 4c는 박리 라이너이다. 도 4a에 도시된 감압성 접착 테이프(7)에서는, 지지 기재(6) 상에 감압성 접착제층(5)이 구비되고, 추가로 상기 감압성 접착제층(5) 상에 박리 라이너(4)가, 표면 요철 박리층(3)이 감압성 접착제층(5)에 접하도록 적층되어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감압성 접착 테이프(7a)에서는, 지지 기재(6) 상에 감압성 접착제층(5)이 구비되고, 추가로 상기 감압성 접착제층(5) 상에 박리 라이너(4b)가, 표면 요철 박리층(3)이 감압성 접착제층(5)에 접하도록 적층되어 있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감압성 접착 테이프(7b)에서는, 지지 기재(6) 상에 감압성 접착제층(5)이 구비되고, 추가로 상기 감압성 접착제층(5) 상에 박리 라이너(4c)가, 표면 요철 박리층(3)이 감압성 접착제층(5)에 접하도록 적층되어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감압성 접착 테이프(7d)에서는, 감압성 접착제층(5)의 양면에 박리 라이너(4c)가, 표면 요철 박리층(3)이 감압성 접착제층(5)에 접하도록 적층되어 있다.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도 4a, 4b,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성 접착제층(5) 상에, 상기 박리 라이너(4, 4b, 4c)의 표면 요철 박리층(3)과 감압성 접착제층(5)이 접하도록, 상기 박리 라이너(4, 4b, 4c)가 적층된 형태를 갖고 있다. 또한, 도 4a, 4b 및 5a에서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 트(7, 7a, 7b)는 지지 기재(6)와 감압성 접착제층(5)이 적층된 형태를 갖고 있어, 기재 부착 타입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이다. 또한, 도 5b에서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7c)는 감압성 접착제층(5)만의 형태를 갖고 있어, 기재 없는 타입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이다.
(지지 기재)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 있어서의 지지 기재로서는,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텐-1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 폴리스타이렌 등의 스타이렌계 수지, 폴리염화바이닐 등의 열가소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필름이나 시트 및 그 발포체; 알루미늄박, 스테인레스박, 구리박 등의 금속박; 및 이들의 적층체 등이 사용된다. 상기 적층체로서,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알루미늄박이나 구리박 등의 금속박의 적층체(폴리에스터 필름/금속박, 폴리에스터 필름/금속박/폴리에스터 필름 등) 등을 들 수 있다. 지지 기재의 두께는 취급성 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5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이다.
(감압성 접착제층)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 있어서의 감압성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감압성 접착제로서는 여러 가지의 감압성 접착제를 선택 사용할 수 있지만, 하나의 바람직한 감압성 접착제로서 폴리(메트)아크릴산 에스터계 접착제(아크릴계 접착제) 를 들 수 있다. 이 접착제는 용액 중합법, 에멀젼 중합법 등에 의해 수득되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주제(主劑)로 하고, 이것에 필요에 따라 가교제, 점착부여제, 연화제, 노화방지제, 충전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가하여 조제된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예컨대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5 이하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에 필요에 따라 공중합가능한 개질용 단량체로서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 스타이렌, 아세트산바이닐 등의 다른 단량체를 가한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들 아크릴계 중합체를 주제로 하는 아크릴계 접착제에 의하면, 박리성에 있어서 매우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감압성 접착제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취급성 등의 면에서 용제계, 에멀젼계, 고온 용융계(무용제계) 등의 형태가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의 각 감압성 접착제는 접착제로서의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라면, 단독으로 사용하는 외에, 2종 이상의 접착제를 종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혼합, 교반한 블렌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감압성 접착제층은 용제계, 에멀젼계 또는 고온 용융계 등의 접착제를, 예컨대 지지 기재 상에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감압성 접착제층의 형성에 있어서, 감압성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감압성 접착제를 표면 요철 박리층 상에 직접 도포하여 형성한 경우에는 양호한 박리성이 수득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감압성 접착제층을 지지 기재 상에 형성한 후, 감압성 접착제층에 표면 요 철 박리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박리 라이너를 접합하여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성 접착제층의 두께는 10 내지 200㎛(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이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상기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편면만이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편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일 수도 있고, 양면이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일 수도 있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경우, 지지 기재를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기재 부착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및 지지 기재를 갖지 않는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기재 없는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는, 표면 요철 박리층을 갖는 박리 라이너가 적어도 1장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편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인 경우, 1장의 박리 라이너가 사용된다. 한편,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인 경우, 2장의 박리 라이너가 사용될 수도 있고, 양면이 표면 요철 박리층의 표면으로 되어 있는 박리 라이너 1장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예컨대 전자 재료 분야, 특히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 장치용의 실리콘 무함유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 부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상품명 "루미러 S-105-50", 도오레사 제조; 두께: 50㎛; 기재) 상에, 탠덤 방식으로 저밀도 폴리에틸렌(상품명 "L-1850A", 아사히가세이 썬테크사 제조)을, 다이 밑 온도 325℃에서,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압출 적층하여 언더코팅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이 언더코팅층 상에, 혼합 수지(상품명 "모어텍 0628D", 이데미쓰세키유가가쿠사 제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대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15중량% 첨가한 혼합 수지) 100부에 대하여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상품명 "터프머 P0l80", 미쓰이가가쿠사 제조) 300부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박리층의 구성성분)을, 다이 밑 온도 273℃에서,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압출 적층하여 박리층을 형성하고, 추가로 냉각 롤로서 엠보싱 가공을 실시한 냉각 매트 롤을 사용하여 박리층의 표면에 미세요철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표면이 요철 형상인 박리층(표면 요철 박리층)을 형성하여 박리 라이너를 제작하였다.
또한, 상기 표면 요철 박리층의 요철 형상은 불규칙적으로 다른 형상의 각 요철부가 불규칙적인 위치 관계로 배치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표면 요철 박리층에 있어서, 그 표면의 표면 조도 Ra는 1.5㎛이고, 또한 최대 조도는 4㎛이었다.
또한, 상기 박리 라이너는, 기재로서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라미네이트 수지층(언더코팅층 및 박리층)의 두께의 구성비가 5:2(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두께:라미네이트 수지층의 두께)이고, 총 두께가 70㎛이다
한편, n-뷰틸 아크릴레이트 93부 및 아크릴산 7부를, 아세트산에틸을 용매로 하고 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을 개시제로 하여 통상적 방법에 의해 용액 중합시켜 중량평균분자량이 150만인 아크릴계 중합체의 용액(고형분 농도: 25중량%)을 수득하였다. 이 용액에 가교제(상품명 "콜로네이트 L", 닛폰폴리우레탄사 제조;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의 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부가물)를 아크릴계 중합체 100부당 2부의 비율로 배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의 용액(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으로 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의 용액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50㎛) 상에 도포하고, 140℃에서 3분간 건조하여 두께 25㎛의 점착제 조성물의 층(감압성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그 점착면(감압성 접착제층의 표면)에 상기 박리 라이너를 박리층이 접하도록 접합하여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박리층의 구성성분으로서, 혼합 수지(상품명 "모어텍 0628D" 이데미쓰세키유가가쿠사 제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대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15중량% 첨가한 혼합 수지) 100부에 대하여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상품명 "터프머 P0180" 미쓰이가가쿠사 제조) 100부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고, 또한 표면 조도 Ra가 2㎛이면서 최대 조도가 8㎛인 표면 요철 박리층을, 불규칙적으로 다른 형상의 각 요철부가 불규칙적인 위치 관계로 배치된 형상으로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박리 라이너를 제작하였다.
또한, 이 박리 라이너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박리층의 구성성분으로서, 혼합 수지(상품명 "모어텍 0628D", 이데미쓰세키유가가쿠사 제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대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15중량% 첨가한 혼합 수지) 100부에 대하여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상품명 "터프머 P0180", 미쓰이가가쿠사 제조) 10부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고, 또한 냉각 롤로서 미러 롤을 사용하여 박리층 표면에 미세 요철 가공을 실시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박리 라이너를 제작하였다.
또한, 이 박리 라이너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평가)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에 따른 박리 라이너 및 감압성 접착 테이프에 대하여, 하기에 나타낸 박리성 시험 방법에 의해 감압성 접착 테이프로부터의 박리 라이너의 박리 시의 저항력(소위 "박리력")을 측정하여 박리 라이너의 박리성에 관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박리성 시험]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50mm 폭으로 절단한 시험편을 제작하고, 상기 시험편의 박리 라이너측을 23℃ 및 60% RH의 분위기 중에서 만능인장시험기로 180° 방향 으로 크로스헤드 속도 1m/min으로 박리하여, 상기 박리 시의 저항력(박리력)(단위: N/50mm)을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 결과는 표 1의 "박리력"란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24651388-pat00001
실시예 3
한쪽 면에 알루미늄에 의한 증착층을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상품명 "메탈미 TS", 도오메타사 제조; 두께: 50㎛; 기재)에 있어서의 알루미늄 증착층의 표면 상에, 탠덤 방식으로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18g/㎤, 용융유동지수(MFR): 5.0g/10min(190℃); 상품명 "L-1850A", 아사히가세이 썬테크사 제조]을, 다이 밑 온도 325℃로,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압출 적층하여 언더코팅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이 언더코팅층 상에, 혼합 수지[밀도: 0.916g/㎤, MFR: 6.0g/10min(190℃), 상품명 "모어텍 0628D", 이데미쓰세키유가가쿠사 제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대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15중량% 첨가한 혼합 수지] 100부에 대하여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밀도: 0.88g/㎤, MFR: 4.5g/10min(190℃); 상품명 "터프머 P0180", 미쓰이가가쿠사 제조] 300부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박리층의 구성성분)을, 다이 밑 온도 273℃로,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압출 적층하여 박리층을 형성하고, 추가로 냉각 롤로서 엠보싱 가공을 실시한 냉각 매트 롤을 사용하여 박리층의 표면에 미세 요철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표면이 요철 형상인 박리층(표면 요철 박리층)을 형성하여 박리 라이너를 제작하였다.
또한, 상기 표면 요철 박리층의 요철 형상은 불규칙적으로 다른 형상의 각 요철부가 불규칙적인 위치 관계로 배치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표면 요철 박리층에 있어서, 그 표면의 표면 조도 Ra는 1.5㎛이고, 또한 최대 조도는 4㎛이었다.
또한, 상기 박리 라이너는 기재로서의 알루미늄 증착층을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라미네이트 수지층(언더코팅층 및 박리층)의 두께의 구성비가 5:2(알루미늄 증착층을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두께)이고, 총 두께가 70㎛이다.
한편, n-뷰틸 아크릴레이트 93부 및 아크릴산 7부를, 아세트산에틸을 용매로 하고 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을 개시제로 하여 통상적 방법에 의해 용액 중합시켜 중량평균분자량이 150만인 아크릴계 중합체의 용액(고형분 농도: 25중량%)을 수득하였다. 이 용액에, 가교제(상품명 "콜로네이트 L", 닛폰폴리우레탄사 제조;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의 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부가물)를 아크릴계 중합체 100부당 2부의 비율로 배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의 용액(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으로 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의 용액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9㎛)/알루미늄박(두께: 7㎛)/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9㎛)의 층 구성을 갖는 적층 지지 기재(총 두께: 31㎛; 접착제를 사용한 건식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적층되어 있음) 상에 도포하고, 140℃에서 3분간 건조하여 두께 25㎛의 점착제 조성물의 층(감압성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그 점착면(감압성 접착제층의 표면)에 상기 박리 라이너를 박리층이 접하도록 접합하여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박리층의 구성성분으로서, 혼합 수지(밀도: 0.916g/㎤, MFR: 6.0g/10min(190℃); 상품명 "모어텍 0628D", 이데미쓰세키유가가쿠사 제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대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15중량% 첨가한 혼합 수지) 100부에 대하여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밀도: 0.88g/㎤, MFR: 4.5g/10min(190℃); 상품명 "터프머 P0180", 미쓰이가가쿠사 제조] 100부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고, 또한 표면 조도 Ra가 2㎛이면서 최대 조도가 8㎛인 표면 요철 박리층을, 불규칙적으로 다른 형상의 각 요철부가 불규칙적인 위치 관계로 배치된 형상으로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박리 라이너를 제작하였다.
또한, 이 박리 라이너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박리층의 구성성분으로서, 혼합 수지[밀도: 0.916g/㎠, MFR: 6.0g/10min(190℃); 상품명 "모어텍 0628D", 이데미쓰세키유가가쿠사 제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대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15중량% 첨가한 혼합 수지] 100부에 대하여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밀도: 0.88g/㎤, MFR: 4.5g/10min(190℃); 상품명 "터프머 P0180", 미쓰이가가쿠사 제조) 10부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고, 또한 냉각 롤로서 미러 롤을 사용하여 박리층 표면에 미세 요철 가공을 실시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박리 라이너를 제작하였다.
또한, 이 박리 라이너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평가)
실시예 3 및 4와 비교예 2에 따른 박리 라이너 및 감압성 접착 테이프에 대하여, 상기에 나타낸 박리성 시험 방법에 의해 감압성 접착 테이프로부터의 박리 라이너 박리 시의 저항력(소위 "박리력")을 측정하여 박리 라이너의 박리성에 관해 평가함과 동시에, 하기에 나타낸 박리 대전량 측정 방법에 의해 감압성 접착 테이프로부터의 박리 라이너의 박리 시에 발생하는 대전량(박리 대전량)을 측정하여 박리 라이너의 대전방지성에 관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박리 대전량 측정]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50mm 폭×150mm 길이로 재단하고, 25℃ 및 65% RH의 분위기 하에서 박리 라이너를 2m/min의 속도로 감압성 잡착 테이프로부터 박리하고, 이 박리 라이너의 박리 시에 박리층 표면에 발생하는 박리 대전량을 표면전위 측정기(디지털 오실로스코프, 상품명 "DS-8812", IWATSU사 제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이 때 표면전위 측정용 프로브의 높이는 박리 라이너의 표면(박리층의 표면)으로부터 5mm이었다.
Figure 112005024651388-pat00002
표 1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해당하는 실시예 1 및 2에 따른 감압성 접착 테이프는 비교예 1에 따른 접착 테이프에 비해, 박리제로서 고가인 실리콘계 박리제가 아니라 저렴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면서도, 실리콘계 박리제를 사용한 경우와 같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오염시키는 일이 없고, 또한 양호하고 원활하게 박리할 수 있으며, 부착할 때는 "고속 자동 기계 부착 수단"에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표 2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해당하는 실시예 3 및 4에 따른 감압성 접착 테이프는 비교예 3에 따른 점착 테이프에 비해 양호하고 원활한 박리성을 가지며, 박리 라이너를 박리시킬 때는 박리 대전의 전압 레벨(즉, 박리 대전량)이 저감되었다.
본 발명의 박리 라이너에 따르면, 박리층에 실리콘계 박리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박리층과 감압성 접착제층이 원활하게 박리될 수 있다. 또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박리시킬 때 발생하는 박리 대전의 전압 레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박리 라이너가 사용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부착하였을 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오염시키지 않고, 더구나 감압성 접착제층이 고점착성을 갖고 있더라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부착할 때는 "고속 자동 기계 부착 수단"을 이용할 수 있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16)

  1.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의해 형성된 박리층을 갖고 있는 박리 라이너로서, 박리층 표면이 요철 형상을 갖고, 상기 박리층 표면의 요철 형상이 불규칙적으로 다른 형상의 각 요철부가 불규칙적인 위치 관계로 배치된 형태의 요철부에 의한 요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라이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박리층 표면의 표면 조도 Ra가 1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라이너.
  4. 제 1 항에 있어서,
    박리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뷰텐, 폴리(4-메틸-1-펜텐), 및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1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라이너.
  5. 제 1 항에 있어서,
    박리층이 기재 상에 직접 또는 다른 층을 통해 적층된 구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라이너.
  6. 제 1 항에 있어서,
    대전방지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라이너.
  7. 제 6 항에 있어서,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또는 기재 중에 대전방지 처리층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라이너.
  8. 제 7 항에 있어서,
    대전방지층이 금속박층 또는 금속증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라이너.
  9. 감압성 접착제층을 갖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로서, 감압성 접착제층 위에 제 1 항 또는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박리 라이너가, 감압성 접착체층과 박리층이 접하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10. 제 9 항에 있어서,
    감압성 접착제층이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11. 제 9 항에 있어서,
    지지 기재 상에 감압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층 위에 박리 라이너가 접합된 구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12. 제 9 항에 있어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용 감압성 접착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13. 감압성 접착제층을 갖는 감압성 접착 시트로서, 감압성 접착제층 위에 제 1 항 또는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박리 라이너가, 감압성 접착체층과 박리층이 접하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접착 시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감압성 접착제층이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접착 시트.
  15. 제 13 항에 있어서,
    지지 기재 상에 감압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층 위에 박리 라이너가 접합된 구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접착 시트.
  16. 제 13 항에 있어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용 감압성 접착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접착 시트.
KR1020050039284A 2004-05-14 2005-05-11 박리 라이너 및 이를 사용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KR100798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45085 2004-05-14
JP2004145085 2004-05-14
JPJP-P-2005-00040246 2005-02-17
JP2005040246A JP2005350650A (ja) 2004-05-14 2005-02-17 剥離ライナー及びそれを用いた感圧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765A KR20060047765A (ko) 2006-05-18
KR100798206B1 true KR100798206B1 (ko) 2008-01-24

Family

ID=34936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284A KR100798206B1 (ko) 2004-05-14 2005-05-11 박리 라이너 및 이를 사용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34478B2 (ko)
EP (1) EP1595927B1 (ko)
JP (1) JP2005350650A (ko)
KR (1) KR100798206B1 (ko)
SG (1) SG117577A1 (ko)
TW (1) TWI40583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765B1 (ko) * 2011-07-21 2012-07-12 주식회사 한국감염관리본부 부착형 곰팡이 제거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3470A1 (en) * 2005-10-03 2008-07-24 Michael Barbetta Combined Solderable Multi-Purpose Surface Finishes on Circuit Boards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Such Boards
US20070122630A1 (en) * 2005-11-08 2007-05-31 Worthen Industries Co-extrusion or tandem extrusion of surface protection films
DE102005061766A1 (de) * 2005-12-23 2007-06-28 Lohmann Gmbh & Co Kg Abdeckung mit feinen Oberflächenstrukturen zur Verminderung der Luftblasenbildung bei der Applikation klebender Erzeugnisse
BRPI0710031B1 (pt) * 2006-03-31 2018-02-14 Avery Dennison Corporation Processo para a manufatura de gráficos de polímero
JP4905352B2 (ja) * 2006-05-09 2012-03-28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接着シート、これを用いた回路部材の接続構造及び半導体装置
JP5005277B2 (ja) * 2006-07-13 2012-08-22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DE102006043259A1 (de) * 2006-09-11 2008-06-19 Tes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oppelseitigen Haftklebebandes und seine Verwendung
JP4999413B2 (ja) * 2006-09-22 2012-08-15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ライナー付き感圧接着シート
US20080078500A1 (en) * 2006-10-02 2008-04-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structured release liner
JP5123638B2 (ja) 2006-12-05 2013-01-23 日東電工株式会社 感圧性接着シート
JP5305595B2 (ja) * 2007-01-10 2013-10-02 日東電工株式会社 熱接着シート
JP5068089B2 (ja) * 2007-03-02 2012-11-07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ライナー付き粘着シートおよび剥離ライナー
JP5121043B2 (ja) * 2007-03-09 2013-01-16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ライナー付き感圧接着シート
JP5631586B2 (ja) * 2007-03-19 2014-11-2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剥離シートおよび粘着体
JP2008231352A (ja) * 2007-03-23 2008-10-02 Sumitomo Chemical Co Ltd 粘着フィルム
JP2008239845A (ja) * 2007-03-28 2008-10-09 Sumitomo Chemical Co Ltd 粘着フィルム
KR101449079B1 (ko) * 2007-05-07 2014-10-08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JP4803827B2 (ja) * 2007-06-04 2011-10-26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ライナーおよび該ライナーを備える感圧接着シート
JP5787463B2 (ja) * 2007-08-24 2015-09-30 日東電工株式会社 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部品固定用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
JP5239260B2 (ja) * 2007-08-30 2013-07-17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
JP5157350B2 (ja) * 2007-09-28 2013-03-06 Tdk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US20100255240A1 (en) * 2007-11-08 2010-10-07 Lintec Corporation Release sheet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article
KR20100087156A (ko) * 2007-11-26 2010-08-03 린텍 코포레이션 박리 시트 및 점착체
JP5541847B2 (ja) 2008-04-30 2014-07-09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ライナー付き粘着シート
JP5155738B2 (ja) * 2008-05-29 2013-03-06 日東電工株式会社 アクリル系感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CN103991263B (zh) * 2008-06-27 2018-07-06 屈德加薄膜产品股份有限公司 光学基材叠层和多层整体卷材的制造方法
JP2010106239A (ja) * 2008-10-01 2010-05-13 Nitto Denko Corp 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セパレータ及びセパレータ付き粘着テープ
KR101233149B1 (ko) * 2008-10-29 2013-02-15 (주)엘지하우시스 엠보 이형 라이너층을 적용한 점착 시트
JP5362371B2 (ja) * 2009-01-21 2013-12-11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印刷回路基板固定用両面粘着シート
JP5243990B2 (ja) * 2009-02-18 2013-07-24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
JP2010202843A (ja) * 2009-03-06 2010-09-16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その貼付方法、剥離ライナー
JP2011157479A (ja) 2010-02-01 2011-08-18 Nitto Denko Corp 粘着テープおよび粘着テープの使用方法
JP2011252109A (ja) * 2010-06-03 2011-12-15 Nitto Denko Corp シート製品
JP2011256320A (ja) * 2010-06-11 2011-12-22 Nitto Denko Corp 粘着シートとその利用
DE102010025938A1 (de) * 2010-07-02 2012-01-05 Huhtamaki Forchheim Zweigniederlassung Der Huhtamaki Deutschland Gmbh & Co. Kg Trennfolie mit dauerhaft antistatischer Wirkung
JP5657373B2 (ja) * 2010-12-22 2015-01-21 日東電工株式会社 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用粘着ラベルおよび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用粘着ラベルの製造方法
KR20120082165A (ko) * 2011-01-13 2012-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그린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822786B (zh) 2012-09-27 2018-05-15 艾利丹尼森公司 振动阻尼粘合剂
JP6127508B2 (ja) * 2012-12-28 2017-05-17 北川工業株式会社 剥離基材及び積層体
CN103225232B (zh) * 2013-01-24 2015-10-07 浙江凯伦特种材料有限公司 聚氨酯合成革用离型纸离型层热熔树脂组合物及其采用该离型层的离型纸和制备方法
KR101596725B1 (ko) * 2013-05-22 2016-0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충전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JP5950467B2 (ja) * 2013-09-24 2016-07-1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ペリクル
DE102013223451A1 (de) * 2013-11-18 2015-05-21 Tesa Se Verfahren zur Trocknung von Klebemassen
WO2015133630A1 (ja) * 2014-03-07 2015-09-11 旭硝子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JP6453799B2 (ja) * 2015-06-26 2019-01-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磁気ディスク装置
JP2017160417A (ja) * 2016-03-02 2017-09-1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6605779B2 (ja) * 2017-03-30 2019-11-2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接着シート、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6452918B1 (ja) * 2017-03-30 2019-01-1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接着シート、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6995336B2 (ja) * 2017-07-31 2022-01-14 株式会社ピラミッド ライナー及びライナーを生産する方法
WO2019177057A1 (ja) * 2018-03-15 2019-09-1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剥離シート用基材及び剥離シート
WO2020050037A1 (ja) 2018-09-07 2020-03-12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積層体
JP7350642B2 (ja) 2019-12-04 2023-09-26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4066A (ja) * 1992-03-10 1993-10-05 Mitsubishi Paper Mills Ltd 型付け用離型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33022A (ja) * 1992-07-20 1994-02-08 Sekisui Chem Co Ltd 粘着シートもしくはテープ用基材の製造方法、及び粘着シートもしくはテープ用基材、並びに粘着シートもしくはテープ
KR20010098335A (ko) * 2000-04-24 2001-11-08 마쓰모토 치아키 표면보호필름
US20030077412A1 (en) 2001-10-19 2003-04-24 Chung-Chin Wang Adhesive tape
KR20070020450A (ko) * 2004-04-16 2007-02-21 리켄 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와 박리재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0205B2 (ko) 1973-11-30 1976-06-23
GB2039785B (en) 1978-11-09 1983-04-13 Sanyo Kokusaku Pulp Co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roducts and the method for preparation of the same
JPS5660744A (en) * 1979-10-24 1981-05-25 Nissan Motor Co Ltd Voice information transmitter for vehicle
CA1298451C (en) * 1985-08-02 1992-04-07 Hiromi Shigemoto Surface-roughened film and sheet, and process for production and use thereof
AU609859B2 (en) * 1987-08-31 1991-05-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ape and diaper closure system
US5085907A (en) * 1988-06-23 1992-02-04 Eastman Kodak Company Abrasion-resistant protective laminates
JPH0699551A (ja) 1992-09-17 1994-04-12 Dainippon Printing Co Ltd 離型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226639B2 (ja) 1992-11-18 2001-11-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剥離紙及びその製造方法
US6228449B1 (en) 1994-01-31 2001-05-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heet material
JPH0827441A (ja) 1994-07-19 1996-01-30 Sekisui Chem Co Ltd 両面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US5817386A (en) 1996-03-28 1998-10-06 Norto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Silicone-free release films
US5897930A (en) * 1996-12-31 1999-04-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ltiple embossed webs
DE19724648C2 (de) 1997-06-11 1999-06-24 Zweckform Buero Prod Gmbh Rasterförmig beschichtetes, zwischenlagenfreies, selbstklebendes Flächengebilde
JP3886225B2 (ja) * 1997-09-24 2007-02-28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ト類
JP4531911B2 (ja) 2000-03-03 2010-08-2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離型シートおよび粘着体
JP2001262093A (ja) 2000-03-16 2001-09-26 Hitachi Kasei Polymer Co Ltd 電子機器用粘着テープ類
ATE252661T1 (de) 2000-04-12 2003-11-15 Loparex Inc Strukturierte, mit polyolefin beschichtete substrate und verfahren zur deren herstellung
JP5100925B2 (ja) 2000-11-09 2012-12-19 日東電工株式会社 シート材、ならびにそれを有する感圧性接着シート
JP4437867B2 (ja) 2000-11-15 2010-03-24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シートおよびそれを有する感圧性接着シート
JP2002161252A (ja) * 2000-11-28 2002-06-04 Toshiba Corp 部品間に介在される接続部品
JP2002219778A (ja) * 2001-01-25 2002-08-06 Daikyo Giken Kogyo Kk 剥離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粘着性物品
JP2002275433A (ja) * 2001-03-16 2002-09-25 Hitachi Chem Co Ltd 接着フィルム
JP2002317160A (ja) * 2001-04-23 2002-10-31 Nitto Denko Corp 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用粘着ラベル
CA2385211C (en) * 2001-05-17 2009-11-24 Nitto Denko Corporation Adhering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adhering member
JP5005141B2 (ja) * 2001-09-25 2012-08-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表面保護用粘着シート
JP3901490B2 (ja) 2001-10-23 2007-04-04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ライナー及びそれを用いた感圧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4066A (ja) * 1992-03-10 1993-10-05 Mitsubishi Paper Mills Ltd 型付け用離型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33022A (ja) * 1992-07-20 1994-02-08 Sekisui Chem Co Ltd 粘着シートもしくはテープ用基材の製造方法、及び粘着シートもしくはテープ用基材、並びに粘着シートもしくはテープ
KR20010098335A (ko) * 2000-04-24 2001-11-08 마쓰모토 치아키 표면보호필름
US20030077412A1 (en) 2001-10-19 2003-04-24 Chung-Chin Wang Adhesive tape
KR20070020450A (ko) * 2004-04-16 2007-02-21 리켄 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와 박리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765B1 (ko) * 2011-07-21 2012-07-12 주식회사 한국감염관리본부 부착형 곰팡이 제거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10800A (en) 2006-04-01
US7534478B2 (en) 2009-05-19
JP2005350650A (ja) 2005-12-22
EP1595927B1 (en) 2009-07-15
KR20060047765A (ko) 2006-05-18
EP1595927A1 (en) 2005-11-16
US20050266195A1 (en) 2005-12-01
SG117577A1 (en) 2005-12-29
TWI405833B (zh)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8206B1 (ko) 박리 라이너 및 이를 사용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KR100610211B1 (ko) 점착시트
TWI510368B (zh) 表面保護膜
JP4941908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435449B1 (ko) 박리시트 및 점착체
KR101479477B1 (ko) 박리 시트 및 점착체
US20030077442A1 (en) Release liner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using same
KR101370766B1 (ko) 열 접착 시트
KR101318370B1 (ko) 박리 시트 및 점착체
JP2005068420A (ja) 粘着シート
JP4128058B2 (ja) 粘着フィルム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0192636A (ja) 両面粘着シート
EP2365045A1 (en) Protective Sheet and Use Thereof
KR20110137341A (ko) 커버 필름
US11358374B2 (en) Laminated film
JP5544821B2 (ja) 粘着フィルムロール
JP2000248244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8119138A (ja) 積層フィルム
JP5207660B2 (ja) ダイシング用基体フイルム及びダイシングフイルム
EP2457967A1 (en) Surface protective sheet
JP2003119435A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7287863B2 (ja) 積層フィルム
CN113613890A (zh) 层叠膜
JP4458629B2 (ja) 導体箔積層体
JP2002069407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