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477B1 - 박리 시트 및 점착체 - Google Patents

박리 시트 및 점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477B1
KR101479477B1 KR1020107010063A KR20107010063A KR101479477B1 KR 101479477 B1 KR101479477 B1 KR 101479477B1 KR 1020107010063 A KR1020107010063 A KR 1020107010063A KR 20107010063 A KR20107010063 A KR 20107010063A KR 101479477 B1 KR101479477 B1 KR 101479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sity
polyolefin
agent layer
release sheet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0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5614A (ko
Inventor
시오리 벱프
나오키 다야
도시오 스기자키
Original Assignee
린텍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린텍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75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on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on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19/00Labels, ba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5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2423/045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10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2423/105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6Releas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8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롤형으로 권취한 상태에서 장기 보관한 후에도 뛰어난 박리 성능을 가지고, 또 블록킹이 발생하지 않는 비실리콘계 박리 시트를 제공한다. 박리 시트(10)는 박리 시트 기재(11)에 언더코트층(12), 박리제층(13)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박리제층(13)은 멀티사이트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밀도 0.800 내지 0.905g/㎤의 폴리올레핀계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다. 이제층(13)은 나노인덴테이션법으로 측정한 표면으로부터 깊이 50 내지 1000nm의 23℃에서의 평균 탄성률이 0.1 내지 0.3GPa이며, 또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그 표면 거칠기 Ra1이 100 내지 700nm이다.

Description

박리 시트 및 점착체{Release sheet and adhesive material}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박리제층을 가지는 박리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정밀 전자기기의 명판 라벨, 저발(低發) 가스성 테이프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박리 시트에 관한 것이다.
점착 테이프 등에 사용되는 박리 시트는 기재 시트 위에 박리제층이 적층되어 구성되고, 박리제층에는 실리콘계 박리제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리콘계 박리제는 박리 성능이 우수하지만, 저분자량 실리콘 화합물의 일부가 점착제로 전이되어, 점착 테이프가 점착되는 피점착체가 실리콘 화합물에 의해 오염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점착 시트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전자기기의 고정 용도에 사용되는 경우, 실리콘 오염에 의해 전자기기의 오작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 등에 대한 실리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실리콘계 박리제 대신에, 장쇄 알킬계 박리제, 알키드계 박리제, 불소계 박리제, 폴리올레핀계 박리제 등의 비실리콘계 박리제를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장쇄 알킬계 박리제 및 알키드계 박리제는 그 박리력이 크기 때문에 용도가 한정적이며, 또 불소계 박리제는 박리력이 작지만, 고가이며 대량생산에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
한편, 폴리올레핀계 박리제는 박리력을 비교적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박리력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특허문헌 1 내지 6 참조).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박리제는 최근 여러가지 개량이 이루어지고 있고,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박리제층의 박리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 박리제층 표면에 표면 거칠기 Ra가 1 내지 3㎛의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검토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50650호 특허 제3776120호 공보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14729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47294호 특공평11-508958공보 일본 특허공보 소57-45790호
그런데, 박리 시트는 점착 시트에 점착되기 전에는 롤형으로 권취되어 보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박리제층에 사용한 박리 시트는 롤형으로 권취되어 보관됨으로써, 박리 시트의 배면과 박리제층이 부착되는 이른바 블록킹이 발생하기 쉬워져, 시트를 롤로부터 풀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박리제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상, 메타로센 촉매 등의 싱글사이트 촉매로 중합한 것이 사용된다. 그러나, 싱글사이트 촉매로 중합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그 분자량이나 조성의 분포 범위가 좁기 때문에, 소정 온도로 가열되면 그 물성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제조 직후에 있어서는 블록킹이 발생하지 않아도, 비교적 고온하에서 장기간 보관되어 있는 동안에 블록킹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마찬가지로, 제조 직후에는 박리 성능이 양호하여도, 장기 보관 후에는 박리 성능이 나빠지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롤형으로 권취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한 후라도 우수한 박리 성능을 가지고, 또한 블록킹이 발생하지 않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박리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박리 시트는 멀티사이트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밀도 0.800 내지 0.905g/㎤의 폴리올레핀계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고, 나노인덴테이션법에 의해 측정한 표면으로부터 깊이 50 내지 1000nm의 23℃에서의 평균 탄성율이 0.1 내지 0.3GPa이며, 또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그 표면 거칠기 Ra1이 100 내지 700nm인 박리제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면 거칠기 Ra2가 박리 시트를 30일간 40℃의 환경하에 방치한 후의 박리제층의 표면 거칠기로 하면, 표면 거칠기 비 Ra2/Ra1은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1.1이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멜트플로레이트가 1 내지 2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열 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4-메틸-1-펜텐), 및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1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한다.
박리 시트는 기재 위에 언더코트층을 개재하여 박리제층이 적층되어 구성되어도 좋고, 또한 실질적으로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점착체는 기재와, 그 기재에 적층된 박리제층과, 박리제층에 밀착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박리제층이 멀티사이트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밀도 0.800 내지 0.905g/㎤의 폴리올레핀계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고, 나노인덴테이션법에 의해 측정한 표면으로부터 깊이 50 내지 1000nm의 23℃에서의 평균 탄성율이 0.1 내지 0.3GPa이며, 또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그 표면 거칠기 Ra1이 100 내지 7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점착제층은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점착체도 실질적으로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박리 시트에 있어서, 장기간 보관해도 우수한 박리 성능을 유지하고, 또한 블록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박리 시트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점착체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박리 시트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점착체의 모식적인 단면도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10)는 박리 시트 기재(11)의 한쪽면에 언더코트층(12), 박리제층(13)이 차례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박리제층(13)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표면(13A)에는 무수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점착체(2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착 시트 기재(21)의 한쪽면에 점착제층(22)이 적층되어 형성된 점착 시트(23)가, 점착제층(22)이 박리제층(13)의 표면(13A)에 밀착하도록, 박리 시트(10)에 점착되어 구성된다. 박리 시트(10)는 단체로 롤형으로 권취되어 보관되어도 좋고, 점착 시트(23)에 부착하여 점착체(20)로 한 후에 롤형으로 권취되어 보관되어도 좋다.
박리제층(13)을 형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적어도 멀티사이트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밀도 0.800 내지 0.905g/㎤의 폴리올레핀계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밀도는 JIS K7112-1999에 준거하여 측정된 것이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열 가소성 수지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850 내지 0905g/㎤, 특히 바람직하게는 0.880 내지 0.905g/㎤이다.
상기 멀티사이트 촉매로서는 치글러계 촉매, 필립스계 촉매 및 스탠다드계 촉매를 들 수 있다. 치글러계 촉매는 티타늄 화합물이나 바나듐 화합물 등의 변이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주촉매, 유기 알루미늄 등의 유기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조촉매(활성화제) 및 규소, 티타늄, 마그네슘 등의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촉매 담체로 구성되는 촉매다. 필립스계 촉매는 산화크롬으로 이루어지는 주촉매와 알루미늄 등의 산화물로부터 이루어지는 촉매 담체로 구성되는 촉매다. 스탠다드계 촉매는 산화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지는 주촉매와 알루미늄 등의 산화물로부터 이루어지는 촉매 담체로 구성되는 촉매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열 가소성 수지의 겔퍼미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Mw/Mn)는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Mw/Mn이 3 내지 1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Mw/Mn이 3.6 내지 8이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열 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4-메틸-1-펜텐),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1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1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열 가소성 수지의 밀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박리 시트(10)의 박리 성능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가소성 수지가 멀티사이트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것이면, Mw/Mn을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용이하고, 박리 시트(10)를 롤형으로 권취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한 후라도 박리 재료층의 표면에 형성한 요철이 변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소정의 박리 성능이 유지되고, 또한 블록킹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수지성분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밀도 0.800 내지 0.905g/㎤의 폴리올레핀계 열 가소성 수지만을 포함하여도 좋지만, 성막성의 관점에서 이 밀도 범위 외의 것을 포함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밀도 : 0.910g/㎤ 이상 0.930g/㎤ 미만),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밀도 : 0.930g/㎤ 이상 0.942g/㎤ 미만),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밀도 : 0.942g/㎤ 이상) 등의 폴리에틸렌 수지;폴리프로필렌 수지(PP);올레핀계 엘라스토머(TPO) 등의 폴리올레핀계 열 가소성 수지를 더욱 포함하여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고, 특히,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의 겔퍼미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Mw/Mn)는 6 이상인 것이 성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밀도 0.800 내지 0.905g/㎤의 멀티사이트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폴리올레핀계 열 가소성 수지의 비율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100중량%로 하면, 바람직하게는 50중량% 내지 10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60중량% 내지 100중량%이다. 물론,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한 폴리올레핀계 열 가소성 수지 이외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그 밖의 수지를 포함하여도 좋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그 멜트플로레이트(MFR)가 1 내지 2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MFR이 1g/10분을 하회하면, 수지의 유동성이 낮아 성막하기 어려워지고, 20g/10분을 상회하면 수지의 유동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일정한 두께의 막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MFR은 JIS K7210-1997에 준거하여, 온도 190℃, 하중 21.2N의 측정 조건하에서 측정된 것이다. 또, 박리제층(13)의 두께는 3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지가 적당히 혼합되거나 또는 단독으로 사용됨으로써, 박리제층(13)의 표면(13A)으로부터 깊이 50 내지 1000nm의 23℃에서의 평균 탄성율이 0.1 내지 0.3GPa로 설정되어 있다. 23℃에서의 평균 탄성율은 나노인덴테이션법[측정 기기 : 나노인덴터(상품명.Nano Indenter SA2, MTS사 제조)]로 측정된 것이며, 박리제층(13)의 표면(13A)의 20개소를 임의로 선정하고, 그 각 표면으로 깊이 50nm의 위치부터 깊이 1000nm의 위치까지 균등하게 70개소에 있어서 탄성율을 측정하고, 그 상가(相加) 평균값을 요구한 것이다.
박리제층(13)의 23℃에서의 평균 탄성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박리 시트(10)를 점착 시트(23)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력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23℃에서의 평균 탄성율을 0.1GPa 이상으로 함으로써, 박리 시트(10) 또는 점착체(20)를 롤형으로 했을 때 블록킹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박리제층(13)의 표면(13A)에는 그 표면 거칠기 Ra1이 100 내지 700nm가 되도록 무수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표면 거칠기 Ra1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박리 시트(10)를 박리할 때의 박리력을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블록킹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표면(13A)의 요철은 예를 들면, 엠보스 가공 등에 의해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 롤러 등이, 용융한 박리제층(13)에 가압되어 형성된다.
표면 거칠기 Ra1은 ANSI/ASME B46. 1:1995에 기초하여, 23℃에서 광 간섭식 표면 조도계(상품명 WYKO NT1100, Veeco회 제조)에 의해, 대물 렌즈 배율 50배, 내부 렌즈 배율 1배의 조건으로 측정된 산술 평균 거칠기이다. 박리제층(13)은 부드럽기 때문에, 접촉식으로 표면 거칠기 Ra1을 측정하면, 접촉시의 표면 변화에 의해 측정 오차가 커질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면, 더욱 정확한 표면 거칠기 Ra1을 얻을 수 있다.
박리 시트(10)는 고온 조건하에서 장기간 방치한 후라도 표면 거칠기의 변화가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박리 시트(10)가 롤형으로 권취되어 소정 온도 조건하(40℃)에서 장기간(30일간) 방치된 후, 다시 시트형으로 풀어냈을 때의, 박리 시트(10)의 표면 거칠기를 Ra2로 하면, 표면 거칠기 비 Ra2/Ra1은 0.9 내지 1.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표면 거칠기 Ra2는 표면 거칠기 Ra1과 같은 조건으로 측정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박리 시트(10)는 비교적 낮은 박리력이 요구되는 용도에 사용되는 박리 시트이며, 박리 시트(10)를 점착 시트(23)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력은 50 내지 500mN/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력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박리력이 지나치게 무거워져, 점착제의 일부가 박리 시트(10)와 함께 벗겨지는 박리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하한을 하회하면, 박리력이 지나치게 가벼워, 점착 시트(23)가 갑자기 박리 시트(10)로부터 벗겨질 우려가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박리력은 JIS Z0237에 준거하여 측정하여 얻어진 값을 말한다.
언더코트층(12)은 박리 시트 기재(11)의 한쪽의 면에, 압출 적층, 코팅 등이 되어 형성되는 층이며, 박리 시트 기재(11)와 박리제층(13) 사이의 층으로서 형성된다. 언더코트층(12)은 상기 박리제층(13)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어도 좋지만,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이 적절하게 사용되어, 상기한 평균 탄성율이 박리제층(13)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언더코트층(12) 위에는 또한 1 이상의 다른 층이 형성되어도 좋다.
박리제층(13)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도 예를 들면 압출 적층됨으로써, 상기 언더코트층(12) 위에, 직접 또는 1 이상의 다른 층을 개재하여 적층된다.
박리 시트 기재(11) 및 점착 시트 기재(21)로서는 박리 시트(10) 또는 점착 시트(23)의 기재로서 알려져 있는 공지의 기재로부터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열 가소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 수지 필름, 종이, 금속박, 또는 이들의 복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22)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는 비실리콘계의 점착제이면 특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등이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박리제층(13)의 평균 탄성율 및 표면 거칠기 Ra1, 및 상술한 수지의 밀도가 소정 범위 내로 설정됨으로써, 롤형으로 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블록킹이 억제되는 동시에, 박리 시트(10)의 박리력이 양호해진다. 그리고, 박리제층(13)이 멀티사이트 촉매로 중합된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박리제의 분자량 및 조성이 불균일해지기 때문에, 박리제층(13)이 가열되었을 때의 물성 변화를 제압할 수 있다. 따라서, 박리 시트가 롤형으로 된 후, 비교적 고온환경하에서 장기간 보관된 경우에도 표면 거칠기의 변화 및 박리력의 변화가 저감되고, 이것에 의해 블록킹이 억제되는 동시에 양호한 박리 성능이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박리제층(13)이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고, 또 점착제층(22)이 비실리콘계 수지로 형성됨으로써, 박리 시트(10) 및 점착체(20)가 실질적으로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대해서,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밀도 0.918g/㎤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상품명 「노바테크LD LC605Y」, 니혼폴리에틸렌(주) 제조)을, 두께 38㎛의 범용 PET필름(상품명 「루미러S-28」, 도레이(주) 제조) 위에, 두께 15㎛가 되도록 압출하고 도공하여, 언더코트층을 형성했다. 그 다음에, 언더코트층 위에, 멀티사이트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밀도 0.895g/㎤의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상품명 「엑셀렌 EUL731」, 스미토모가가쿠(주) 제조, Mw/Mn=3.9) 70중량부와, 밀도 0.918g/㎤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상품명 「노바테크LD LC604」, 니혼폴리에틸렌(주) 제조, Mw/Mn=8.0) 30중량부를 혼합하여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두께가 20㎛가 되도록, 온도 280℃에서 압출하여 도공하여 박리제층을 형성했다. 그 후, 표면에 엠보스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냉각용 라미롤에 박리제층을 대고, 박리제층을 냉각하면서, 박리제층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고, 실시예 1의 박리 시트를 얻었다. 또,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MFR은 8.2g/10분이었다.
[실시예 2]
박리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서, 멀티사이트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밀도 0.900g/㎤의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상품명 「엑셀렌VL200」, 스미토모가가쿠(주) 제조, Mw/Mn=3.9) 70중량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상품명 「노바테크LD LC604」, Mw/Mn=8.0) 30중량부를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또, 실시예 2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MFR은 3.0g/10분이었다.
[비교예 1]
박리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서, 싱글사이트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밀도 0.870g/㎤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상품명 「타후마P0280G」, 미츠이가가쿠(주) 제조, Mw/Mn=2.0) 50중량부와, 밀도 0.916g/㎤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상품명 「노바테크LD LC800」, 니혼폴리에틸렌(주) 제조) 50중량부를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또,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MFR은 5.9g/10분이었다.
[비교예 2]
박리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서, 밀도 0.919g/㎤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상품명 「노바테크LD LC605Y」, 니혼폴리에틸렌(주) 제조)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또,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MFR은 7.4g/10분이었다.
[물성 평가]
상술한 측정 방법에 의해, 각 실시예, 비교예의 박리 시트에 대해서, 박리제층의 표면 거칠기 Ra1 및 23℃에서의 평균 탄성율을 측정했다.
또, 두께 50㎛의 PET필름 위에, 아크릴계 점착제(상품명 「PL신」, 린테크(주) 제조)를, 테스트 코터를 사용하여 두께가 23㎛가 되도록 도포하고, 120℃에서 1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점착 시트를 얻었다. 그 점착 시트에, 박리제층이 점착제층에 밀착하도록, 각 실시예, 비교예의 박리 시트를 부착해 점착체를 제조하고, 그 점착체에 있어서 박리 시트의 박리력을 측정했다. 각 물성의 측정치를 표 1, 2에 나타낸다.
[열 촉진 처리 후의 물성 평가]
92mm 직경의 코어에, 폭 340mm, 길이 1000m의 박리 시트를 권취하여, 롤형의 박리 시트를 제작했다. 롤형의 박리 시트를, 40℃의 항온조에 넣고 30일간 방치하고, 열 촉진 처리를 실시했다. 열 촉진 처리를 실시한 박리 시트를 롤로부터 풀어내어, 시트형으로 한 다음 열 촉진 후의 표면 거칠기 Ra2를 측정했다. 또한, 열 촉진 처리 후의 박리 시트를 롤로부터 풀어내어, 상기 물성 평가와 마찬가지로, 풀어내진 시트형의 박리 시트에 점착 시트를 부착하여 점착체를 제작했다. 그리고, 그 점착체에 있어서, 열 촉진 후의 박리 시트의 박리력을 측정했다. 열 촉진 후의 표면 거칠기 Ra2 및 박리력, 표면 거칠기 비 Ra2/Ra1, 및 하기식에 의해 산출한 박리력 변화율을 표 1, 2에 나타낸다.
박리력 변화율=│(열 촉진 전의 박리력-열 촉진 후의 박리력)/열 촉진 전의 박리력│×100(%)
[내(耐)블록킹성 평가]
열 촉진 처리를 실시한 박리 시트를 롤로부터 풀어내어, 내블록킹성을 평가했다. 블록킹이 적고, 박리 시트를 스무스하게 풀어낼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표 1에 있어서 ○으로 했다. 한편, 블록킹이 많고 박리 시트를 풀어내는 것이 어려운 것에 대해서는 ×로 했다.
Figure 112010029312912-pct00001
Figure 112010029312912-pct00002
표 1,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에 있어서는 표면 거칠기 Ra1을 100 내지 700nm로, 23℃에서의 평균 탄성율을 0.1 내지 0.3GPa로 설정하고, 또 소정의 멀티사이트 촉매에 의해서 중합한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박리력을 적정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또한, 열 촉진 처리를 실시해도 표면 거칠기 등의 물성 변화를 적게 할 수 있었으므로, 내블록킹 성능 및 박리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었다.
그것에 대하여, 비교예 1에 있어서는 표면 거칠기 Ra1이나 23℃에서의 평균 탄성율을 적정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었지만, 밀도 0.800 내지 0.905g/㎤의 멀티사이트 촉매에 의해서 중합한 수지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열 촉진 처리를 실시하면, 표면 거칠기 등의 물성 변화에 의해 내블록킹이 발생하였다. 또 열 촉진 처리 후에는 박리력이 저하되는 것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장기 보관에 의해 뛰어난 박리 성능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2에서는 23℃에서의 평균 탄성률을 높게 함으로써 내블록킹 성능은 양호하게 할 수 있었지만 박리력이 지나치게 높아 뛰어난 박리 성능을 갖는 박리 시트를 얻을 수 없었다.
13 박리제층 10 : 박리 시트
20 : 점착체 23 : 점착 시트

Claims (8)

  1. 멀티사이트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밀도가 0.800 내지 0.905g/㎤이고,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Mw/Mn)가 3 이상인 폴리올레핀계 열 가소성 수지와,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Mw/Mn)가 6 이상이고, 또한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 0.910g/㎤ 이상 0.930g/㎤ 미만), 중밀도 폴리에틸렌(밀도 : 0.930g/㎤ 이상 0.942g/㎤ 미만), 고밀도 폴리에틸렌(밀도 : 0.942g/㎤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고, 나노인덴테이션법에 의해 측정한 표면으로부터 깊이 50 내지 1000nm의 23℃에서의 평균 탄성율이 0.1 내지 0.3GPa이며, 또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그 표면 거칠기 Ra1이 100 내지 700nm인 박리제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표면 거칠기 비 Ra2/Ra1이 0.9 내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시트.
    (단, Ra2는 박리 시트를 30일간 40℃의 환경하에 방치한 후의 상기 박리제층의 표면 거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멜트플로레이트가 1 내지 20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열 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4-메틸-1-펜텐), 및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1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基材) 위에 언더코트층을 개재하여 상기 박리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시트.
  7. 기재와, 그 기재에 적층된 박리제층과, 상기 박리제층에 밀착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점착체에 있어서,
    상기 박리제층은 멀티사이트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밀도가 0.800 내지 0.905g/㎤이고,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Mw/Mn)가 3 이상인 폴리올레핀계 열 가소성 수지와,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Mw/Mn)가 6 이상이고, 또한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 0.910g/㎤ 이상 0.930g/㎤ 미만), 중밀도 폴리에틸렌(밀도 : 0.930g/㎤ 이상 0.942g/㎤ 미만), 고밀도 폴리에틸렌(밀도 : 0.942g/㎤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고, 나노인덴테이션법에 의해 측정한 표면으로부터 깊이 50 내지 1000nm의 23℃에서의 평균 탄성율이 0.1 내지 0.3GPa이며, 또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그 표면 거칠기 Ra1이 100 내지 7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체.
KR1020107010063A 2007-11-08 2008-10-30 박리 시트 및 점착체 KR101479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90921 2007-11-08
JPJP-P-2007-290921 2007-11-08
PCT/JP2008/070257 WO2009060924A1 (ja) 2007-11-08 2008-10-30 剥離シート及び粘着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614A KR20100075614A (ko) 2010-07-02
KR101479477B1 true KR101479477B1 (ko) 2015-01-06

Family

ID=40625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063A KR101479477B1 (ko) 2007-11-08 2008-10-30 박리 시트 및 점착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255240A1 (ko)
JP (1) JP5284976B2 (ko)
KR (1) KR101479477B1 (ko)
CN (1) CN101855080B (ko)
WO (1) WO20090609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080B1 (ko) 2021-03-19 2021-11-19 한신피앤엘 주식회사 평활도가 개선된 이형지의 제조 방법
KR20220131143A (ko) 2021-03-19 2022-09-27 한신피앤엘 주식회사 평활도가 개선된 이형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10087B2 (en) * 1996-05-28 2015-07-29 Kureha Corporation Heat-shrinkable multi-layer film
DE102008021842A1 (de) * 2008-04-30 2009-11-05 Tesa Se Polyolefinfolie und Verwendung derselben
JP5493523B2 (ja) * 2009-07-10 2014-05-14 東洋紡株式会社 粘着シート離型用積層フィルム
JP5565230B2 (ja) * 2010-09-16 2014-08-0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ロール及び光学フィルムロールの製造方法
BE1019868A3 (nl) 2010-12-22 2012-12-04 Nitto Europ Drukgevoelige kleefstofband.
JP5989995B2 (ja) * 2011-02-04 2016-09-07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剤、離型材および粘着テープ
CN102896929A (zh) * 2012-10-24 2013-01-30 新协力包装制品(深圳)有限公司 透明胶片、透明胶片生成方法及利用透明胶片的处理方法
JP6023737B2 (ja) * 2014-03-18 2016-11-0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ウエハ加工体、ウエハ加工用仮接着材、及び薄型ウエハの製造方法
TWI735411B (zh) * 2014-06-18 2021-08-11 日商味之素股份有限公司 附保護薄膜之接著片
BR112017005563A2 (pt) * 2014-09-22 2018-01-2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envoltório de folha com propriedades de adesão
JP6354634B2 (ja) * 2015-03-26 2018-07-1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剥離性積層フィルム
KR20170023432A (ko) * 2015-08-24 2017-03-06 주식회사 덴티스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
JP7042211B2 (ja) * 2016-03-04 2022-03-2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半導体加工用シート
CN108243616B (zh) * 2016-03-04 2022-10-28 琳得科株式会社 半导体加工用片
KR102455837B1 (ko) * 2017-02-07 2022-10-18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KR102331648B1 (ko) * 2017-08-14 2021-12-01 (주)엘엑스하우시스 이형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6735B1 (ko) * 2017-08-14 2021-01-25 (주)엘지하우시스 이형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50037A1 (ja) 2018-09-07 2020-03-12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積層体
CN112662337A (zh) * 2020-12-21 2021-04-16 镝普材料(深圳)有限公司 一种非硅uv减粘膜及其制备方法
CN112574681A (zh) * 2020-12-21 2021-03-30 镝普材料(深圳)有限公司 一种pvc保护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878B1 (ko) * 1996-03-28 2001-05-02 스테픈 엘. 볼스트 실리콘이 없는 박리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테이프
JP2003096410A (ja) * 2001-09-25 2003-04-03 Lintec Corp 表面保護用粘着シート
KR20060047765A (ko) * 2004-05-14 2006-05-1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박리 라이너 및 이를 사용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0205B2 (ko) * 1973-11-30 1976-06-23
CH594675A5 (ko) * 1976-01-30 1978-01-13 Ciba Geigy Ag
SU880244A3 (ru) * 1978-08-18 1981-11-07 Мааг-Цанрэдер Унд-Машинен Аг (Фирма) Способ шлифовани зубчатых колес и станок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GB2039785B (en) * 1978-11-09 1983-04-13 Sanyo Kokusaku Pulp Co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roducts and the method for preparation of the same
JPS5580479A (en) * 1978-12-12 1980-06-17 Sanyo Kokusaku Pulp Co Ltd Manufacturing of pressure-sensitive type adhesive tape or sheet
US6228449B1 (en) * 1994-01-31 2001-05-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heet material
US6982107B1 (en) * 1997-09-15 2006-01-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lease liner f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JPH11353709A (ja) * 1998-06-05 1999-12-24 Nitto Denko Corp 光ディスク基板の接着方法及び光ディスク基板接着用両面粘着シ−ト
CN1103345C (zh) * 2000-01-24 2003-03-19 浙江大学 长纤维增强热塑性树脂基复合材料的退火处理方法
JP4841760B2 (ja) * 2001-06-29 2011-12-21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樹脂多層フィルム
US20030091817A1 (en) * 2001-11-08 2003-05-15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3147295A (ja) * 2001-11-08 2003-05-21 Nitto Denko Corp 粘着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455139B2 (ja) * 2004-04-21 2010-04-21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マザーガラス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JP4843977B2 (ja) * 2005-03-28 2011-12-21 東ソー株式会社 押出ラミネート積層体
JP5158301B2 (ja) * 2005-12-22 2013-03-06 東ソー株式会社 剥離ライナー
JP2008018679A (ja) * 2006-07-14 2008-01-31 Dainippon Printing Co Ltd 剥離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878B1 (ko) * 1996-03-28 2001-05-02 스테픈 엘. 볼스트 실리콘이 없는 박리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테이프
JP2003096410A (ja) * 2001-09-25 2003-04-03 Lintec Corp 表面保護用粘着シート
KR20060047765A (ko) * 2004-05-14 2006-05-1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박리 라이너 및 이를 사용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080B1 (ko) 2021-03-19 2021-11-19 한신피앤엘 주식회사 평활도가 개선된 이형지의 제조 방법
KR20220131143A (ko) 2021-03-19 2022-09-27 한신피앤엘 주식회사 평활도가 개선된 이형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55080A (zh) 2010-10-06
JP5284976B2 (ja) 2013-09-11
US20100255240A1 (en) 2010-10-07
WO2009060924A1 (ja) 2009-05-14
CN101855080B (zh) 2013-03-13
JPWO2009060924A1 (ja) 2011-03-24
KR20100075614A (ko) 201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477B1 (ko) 박리 시트 및 점착체
KR100798206B1 (ko) 박리 라이너 및 이를 사용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JP5123638B2 (ja) 感圧性接着シート
KR101835443B1 (ko) 표면 보호 필름
US8252401B2 (en) Release sheet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article
US20100143633A1 (en) Surface protection sheet
JP2007253435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3873379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20110010068A (ko) 점착 테이프
US20110281067A1 (en) Surface protective film
JP2015521218A (ja) 低剥離力表面保護膜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20100310808A1 (en) Release sheet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article
KR101946322B1 (ko) 적층 필름
TW200951199A (en) Thermosetting adhesive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KR20110010069A (ko) 적층 필름 및 점착 테이프
JP2010247513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1042779A (ja) 粘着テープ
KR20200070231A (ko) 적층 필름
JP5227075B2 (ja) 耐熱性及び貼り付け性に優れた粘着フィルム
JP5950572B2 (ja) 打ち抜き・絞り加工用表面保護粘着シート
JP7350642B2 (ja) 離型フィルム
KR20210148093A (ko) 적층 필름
JP2020075509A (ja) 離型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積層体
JP6655238B1 (ja) 離型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積層体
JP2010132889A (ja) 表面保護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