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298B1 - 인광발광성 화합물, 인광발광성 조성물 및 유기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인광발광성 화합물, 인광발광성 조성물 및 유기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8298B1
KR100578298B1 KR1020047002981A KR20047002981A KR100578298B1 KR 100578298 B1 KR100578298 B1 KR 100578298B1 KR 1020047002981 A KR1020047002981 A KR 1020047002981A KR 20047002981 A KR20047002981 A KR 20047002981A KR 100578298 B1 KR100578298 B1 KR 100578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orescent
compound
unit
phosphorescent compound
trans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9313A (ko
Inventor
토키토시즈오
스즈키미츠노리
타나카이사오
이노우에유우지
시라네코로
타케우치마사타카
이토나오코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호소 교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34742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7829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호소 교카이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9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08G61/10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romatic carbon atoms, e.g. polyphen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 C08G61/123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derived from five-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 C08G61/126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derived from five-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with a five-membered ring containing one sulfur atom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5/02Polyphenyle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10K85/113Hetero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sulfur or selene, e.g. polythioph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10K85/115Polyfluorene; Derivatives thereof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4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liphatic or olefinic chains, e.g. poly N-vinylcarbazol, PVC or PTF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51Copolym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41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41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 H10K85/342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comprising iridiu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41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 H10K85/346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comprising platin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52Side-groups comprising metal complexes
    • C08G2261/1526Side-groups comprising metal complexes of Os, Ir, Pt, Ru, Rh or P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2Non-condensed aromatic systems, e.g. benz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50Physical properties
    • C08G2261/52Luminescence
    • C08G2261/524Luminescence phosphorescent
    • C08G2261/5242Luminescence phosphorescent electrophosphoresc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07Non-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1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4Carbocyclic compounds bridged by heteroatoms, e.g. N, P, Si or B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09K2211/1037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with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44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two nitrogen atoms as heteroatoms
    • C09K2211/1048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two nitrogen atoms as heteroatoms with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408Carbocyc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408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416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408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425Non-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441Heterocyclic
    • C09K2211/1458Heterocyclic containing sulfur as the only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441Heterocyclic
    • C09K2211/1466Heterocyclic containing nitrogen as the only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441Heterocyclic
    • C09K2211/1483Heterocyclic containing nitrogen and sulfur as hetero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8Metal complexes
    • C09K2211/185Metal complexes of the platinum group, i.e. Os, Ir, Pt, Ru, Rh or P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10Triple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10K85/114Poly-phenylenevinylene; Derivatives thereof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4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liphatic or olefinic chains, e.g. poly N-vinylcarbazol, PVC or PTFE
    • H10K85/146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liphatic or olefinic chains, e.g. poly N-vinylcarbazol, PVC or PTFE poly N-vinylcarbazol; Derivatives thereof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6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comprising two or more different heteroatoms per ring
    • H10K85/6565Oxadiazole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유기발광소자의 재료로서 사용되고, 안정적이며, 초고효율의 인광을 발광하는 유기고분자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유기고분자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사용한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은, 유기발광소자에 사용되고, 인광을 발광하는 중성의 유기고분자의 인광발광성 화합물로서, 인광을 발광하는 반복단위인 인광발광성 단위와, 캐리어를 수송하는 반복단위인 캐리어 수송성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광발광성 화합물, 인광발광성 조성물 및 유기발광소자{PHOSPHOR LIGHT-EMITTING COMPOUND, PHOSPHOR LIGHT-EMITTING COMPOSITOIN, AND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의 재료로서 사용하는 유기고분자의 인광발광성 화합물, 인광발광성 조성물, 유기발광소자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나 백라이트 등의 조명기구로서, 유기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박막으로부터 전계발광하는 유기발광소자가, 저전압으로 고휘도의 발광을 얻을 수 있는 소자로서 주목받고 있다.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의 박막재료로서, 유기용매나 물에 가용인 발광성 유기고분자를 이용한 대면적화의 연구개발이, 스티렌계나 플루오렌계의 유기고분자로 활발하게 행해져 오고 있다. 이러한 유기고분자의 막형성법으로서는, 스핀코트법, 인쇄법, 잉크젯법 등의 습식법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잉크젯법은, 풀컬러 디스플레이의 표시화면의 현실적인 화소형성법으로서 기대되며, 이미 소형의 풀컬러 시작(試作) 패널도 개시되어 있다.
한편, 진공증착법으로 막형성되는 저분자 화합물계로, 발광의 초고효율화의 연구가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으며, 유기화합물의 삼중항 여기상태로부터의 발광인 인광을 활용하는 백금이나 이리듐의 유기금속 착체가 보고되어 있다. 이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이용한 유기발광소자의 외부발광 양자효율은, 종래의 형광발광을 이용한 소자의 5%를 능가하여, 8%로 고효율이 얻어지며, 가장 최근에는, 소자의 구성을 연구함으로써 15%의 초고효율도 달성되고 있다(Appl. Phys. Lett., 77,904(2000)).
이 저분자 인광화합물을 유기고분자에 분산시킨 도프형 유기고분자 발광소자의 연구보고도 있으며, 이리듐 착체를 폴리(N-비닐카르바졸)(PVK)에 도프한 소자에서는, 외부 발광 양자효율로서 4%정도의 값이 얻어져, 대폭적인 개선이 인정되고 있다(Jpn.J.Appl.Phys,39,L828(2000)). 또한, 루테늄 착체를 함유하는 유기고분자에서는, 전기화학적인 발광이 보고되고 있다(J.Mater. Chem.,9,2103(1999)).
그러나 대면적화를 저비용으로 실현하는 것을 의도한 종래의 유기고분자 발광소자에서는, 발광효율의 점에서 아직 충분하지 못하다. 그 원인은, 종래의 유기고분자의 일중항 여기상태로부터의 발광인 형광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론적인 외부 발광효율로서, 5%의 상한의 벽이 존재하는 것에 의한다. 유기고분자의 발광소자는, 유기고분자층이 유기용제나 수용액으로부터 습식법에 의해 성막할 수 있다라는 큰 특징을 갖지만, 새로운 발광효율의 개선이 장래의 실용화에 대한 과제로 되고 있다.
또 유기고분자의 발광소자에 저분자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분산시킴으로써, 발광의 초고효율화가 시도되고 있지만, 호스트로 되는 고분자내에 분산되어 있는 저분자는 안정적이지 못하여, 장기신뢰성을 견디어낼 수 있는 장수명의 표시장치는 실현될 수 없다.
따라서, 유기발광소자의 장래의 실용화를 고려하여, 유기용제나 수용액으로부터 습식법으로 막형성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대면적화가 저비용으로 실현될 수 있고, 또한 안정적 즉 장수명이며, 초고효율의 발광이 실현될 수 있는 새로운 유기고분자의 발광재료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기발광소자의 재료로서 사용되며, 안정적이며, 초고효율의 인광을 발광하는 유기고분자의 인광발광성 화합물 및 인광발광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유기고분자의 인광발광성 화합물 및 인광발광성 조성물을 사용한 유기발광소자 및 이 유기발광소자를 사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은, 유기발광소자에 사용되는 인광을 발광하는 중성의 유기고분자의 인광발광성 화합물로서, 인광을 발광하는 반복단위인 인광발광성 단위와, 캐리어를 수송하는 반복단위인 캐리어 수송성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유기발광소자에 사용되는 인광을 발광하는 중성의 유기고분자의 인광발광성 화합물로서, 인광을 발광하는 반복단위인 인광발광성 단위와, 캐리어를 수송하는 반복단위인 캐리어 수송성 단위를 포함하므로, 유기발광소자의 재료로서 사용되며, 안정적이며, 초고효율의 인광을 발광하는 유기고분자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인광발광성 단위의 반복수 m 및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반복수 n은, m<n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광발광성 단위의 반복수 m 및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반복수 n은, m<n의 관계를 만족시키므로, 인광의 발광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2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인광발광성 단위의 반복수 m 및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반복수 n은, 0.0001≤m/(m+n)≤0.2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광발광성 단위의 반복수 m 및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반복수 n은, O.OOO1≤m/(m+n)≤O.2의 관계를 만족시키므로, 더욱 효율적으로 인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인광발광성 화합물이 유기용제 또는 물에 가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광발광성 화합물이 유기용제 또는 물에 가용이므로, 용액으로부터의 습식법에 의한 막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인광발광성 화합물의 중합도가 5∼50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광발광성 화합물의 중합도가 5∼5000이므로, 유기용제에 가용이며, 균일하며 또한 안정적인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인광발광성 단위의 인광발광성 부위 및/또는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캐리어 수송성 부위가 상기 인광발광성 화합물의 측쇄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광발광성 단위의 인광발광성 부위 및/또는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캐리어 수송성 부위가 상기 인광발광성 화합물의 측쇄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합성하는 것이 용이하며, 유기용제에 용해되기 쉬운 인광발광성 화합물로 할 수 있다.
청구항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인광발광성 단위의 인광발광성 부위 및 /또는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캐리어 수송성 부위가 상기 인광발광성 화합물의 주쇄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광발광성 단위의 인광발광성 부위 및/또는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캐리어 수송성 부위가 상기 인광발광성 화합물의 주쇄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착체부분의 운동이 억제되어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광발광 성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캐리어 수송성 부위가 홀 수송성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캐리어 수송성 부위가 홀 수송성 부위이므로, 인광발광성 부위와 홀 수송성 부위의 비율을 바꿈으로써, 캐리어 밸런스가 양호하며 발광효율이 높은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캐리어 수송성 부위가 전자 수송성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9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캐리어 수송성 부위가 전자 수송성 부위이므로, 인광발광성 부위와 전자 수송성 부위의 비율을 바꿈으로써, 캐리어 밸런스가 양호하며 발광효율이 높은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캐리어 수송성 부위가 홀 수송성 부위 및 전자 수송성 부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0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캐리어 수송성 부위가 홀 수송성 부위 및 전자 수송성 부위로 이루어지므로, 발광성, 홀 수송성 및 전자 수송성의 모든 기능을 갖추어서, 다른 유기재료를 배합하는 일이 없으며, 열적으로 안정적이며 장수명이다.
청구항11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인광발광성 단위는, 인광발광성 부위가 천이금속 또는 희토류금속의 착체의 1가기 또는 2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광발광성 단위의 인광발광성 부위가 천이금속 또는 희토류금속의 착체의 1가기 또는 2가기이므로, 인광의 발광효율이 높은 인광발광성 부위로 할 수 있다.
청구항1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1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천이금속 또는 희토류금속의 착체의 1가기는, 주쇄에 대하여 스페이서 부분을 개재해서 측쇄로서 결합하고, 상기 스페이서 부분은, 헤테로원자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유기기 또는 탄소원자를 갖지 않는 헤테로 원자수 1∼10의 무기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천이금속 또는 희토류금속의 착체의 1가기는, 주쇄에 대하여 스페이서 부분을 개재해서 측쇄로서 결합하고, 상기 스페이서 부분은, 헤테로 원자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유기기 또는 탄소원자를 갖지 않는 헤테로 원자수 1∼10의 무기기를 함유하므로, 착체부분의 운동의 자유도가 높아져 유기용제에의 용해성이 높아지며, 균일한 박막을 도포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음으로써, 안정적이며, 높은 발광효율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1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캐리어 수송성 부위가 카르바졸의 1가기, 제3급 아민의 1가기, 이미다졸 유도체의 1가기, 트리아졸 유도체의 1가 기, 옥사디아졸 유도체의 1가기, 스티렌의 2가기 및 플루오렌의 2가기로 이루어지는 기의 군 및 상기 기를 치환기로 치환한 기의 군으로부터 적어도 1종류이상 선택되는 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는, 캐리어 수송성 부위가 카르바졸의 1가기, 제3급 아민의 1가기, 이미다졸 유도체의 1가기, 트리아졸 유도체의 1가기, 옥사디아졸 유도체의 1가기, 스티렌의 2가기 및 플루오렌의 2가기로 이루어지는 기의 군 및 상기 기를 치환기로 치환한 기의 군으로부터 적어도 1종류이상 선택되는 기를 함유하므로, 캐리어를 수송하는 성능이 높은 캐리어 수송성 부위로 할 수 있다.
청구항1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에 있어서, 소정의 1색으로 발광하는 1종류 또는 소정의 서로 다른 2색이상으로 발광하는 2종류이상의 인광발광성 단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1색으로 발광하는 1종류 또는 소정의 서로 다른 2색이상으로 발광하는 2종류이상의 인광발광성 단위를 가지므로, 임의로 선택한 단색 또는 복수의 색으로 바람직하게 발광할 수 있다.
청구항1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4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인광발광성 단위는, 청색 또는 녹색 및 황색 또는 적색으로 발광하는 2종류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백색으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광발광성 단위는, 청색 또는 녹색 및 황색 또는 적색으로 발광하는 2종류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백색으로 발광하 므로, 백색의 색으로 바람직하게 발광할 수 있다.
청구항1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4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인광발광성 단위는, 청색, 녹색 및 적색으로 발광하는 3종류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백색으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광발광성 단위는, 청색, 녹색 및 적색으로 발광하는 3종류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백색으로 발광하므로, 백색의 색으로 바람직하게 발광할 수 있다.
청구항1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조성물이다.
청구항1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함유하므로, 바람직한 인광발광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1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4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이고,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인광발광성 단위를 1 또는 2종류이상 갖는 것을 복수배합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조성물이다.
청구항1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14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이고,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인광발광성 단위를 1 또는 2종류이상 갖는 것을 복수배합해서 이루어지므로, 바람직한 인광발광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1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8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조성물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백색으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9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백색으로 발광하므로, 바람직 한 인광발광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2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8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조성물에 있어서, 청색 또는 녹색으로 발광하는 인광발광성 단위를 갖는 인광발광성 화합물 및 황색 또는 적색으로 발광하는 인광발광성 단위를 갖는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배합해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백색으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0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색 또는 녹색으로 발광하는 인광발광성 단위를 갖는 인광발광성 화합물 및 황색 또는 적색으로 발광하는 인광발광성 단위를 갖는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배합해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백색으로 발광하므로, 바람직한 인광발광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21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 또는 인광발광성 조성물 및 캐리어 수송성 고분자 화합물을 배합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조성물이다.
청구항2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인광발광성 조성물이 청구항 1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 또는 인광발광성 조성물 및 캐리어 수송성 고분자 화합물을 배합해서 이루어지므로, 안정적이며 장수명이다. 또한, 인광발광성 화합물 및 캐리어 수송성 고분자 화합물의 비율을 바꿈으로써, 캐리어 밸런스가 양호하며 발광효율이 높은 인광발광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2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21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수송성 고분자 화합물은 홀 수송성 고분자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캐리어 수송성 고분자 화합물은 홀 수송성 고분자 화합물이므로, 안정적이며 장수명이다. 또한, 인광발광성 화합물 및 홀 수송성 고분자 화합물의 비율을 바꿈으로써, 캐리어 밸런스가 양호하며 발광효율이 높은 인광발광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2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21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수송성 고분자 화합물은 전자 수송성 고분자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캐리어 수송성 고분자 화합물은 전자 수송성 고분자 화합물이므로, 안정적이며 장수명이다. 또한, 인광발광성 화합물 및 전자 수송성 고분자 화합물의 비율을 바꿈으로써, 캐리어 밸런스가 양호하며 발광효율이 높은 인광발광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2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 또는 인광발광성 조성물 및 캐리어 수송성 저분자 화합물을 배합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조성물이다.
청구항2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인광발광성 조성물이 청구항1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 또는 인광발광성 조성물 및 캐리어 수송성 저분자 화합물을 배합해서 이루어지므로, 안정적이며 장수명이다. 또한, 인광발광성 화합물 및 캐리어 수송성 저분자 화합물의 비율을 바꿈으로써, 캐리어 밸런스가 양호하며 발광효율이 높은 인광발광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2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24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수송성 저분자 화합물은 홀 수송성 저분자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캐리어 수송성 저분자 화합물은 홀 수송성 저분자 화합물이므로, 안정적이며 장수명이다. 또한, 인광발광성 화합물 및 홀 수송성 저분자 화합물의 비율을 바꿈으로써, 캐리어 밸런스가 양호하며 발광효율이 높은 인광발광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2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24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수송성 저분자 화합물은 전자 수송성 저분자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캐리어 수송성 저분자 화합물은 전자 수송성 저분자 화합물이므로, 안정적이며 장수명이다. 또한, 인광발광성 화합물 및 전자 수송성 저분자 화합물의 비율을 바꿈으로써, 캐리어 밸런스가 양호하며 발광효율이 높은 인광발광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27에 기재된 발명은, 양극과 음극에 끼워진 1개 또는 복수의 유기고분자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고분자층의 적어도 1층은 청구항1 내지 2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 또는 인광발광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기고분자층의 적어도 1층은 청구항1 내지 2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 또는 인광발광성 조성물을 함유하므로, 안정적이며, 초고효율의 인광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28에 기재된 발명은, 양극과 음극에 끼워진 1개 또는 복수의 유기고분자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양극과, 양극이 형성되는 투명기판 사이에 컬러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유기고분자층의 적어도 1층은 청구항15 또는 16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 또는 청구항19 또는 20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양극과, 양극이 형성되는 투명기판 사이에 컬러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유기고분자층의 적어도 1층은 청구항15 또는 16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 또는 청구항19 또는 20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조성물을 함유하므로, 안정적이며, 초고효율의 컬러 광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2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27 또는 28에 기재된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플라스틱기판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9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양극은 플라스틱기판상에 형성되므로, 유연한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3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27 내지 2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고분자층은 잉크젯법 또는 인쇄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0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기고분자층은 잉크젯법 또는 인쇄법에 의해 형성되므로, 대면적의 유기고분자층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31에 기재된 발명은, 표시화면을 갖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화면의 각 화소는, 청구항27 내지 2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발광소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화소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표시화면의 각 화소는, 청구항27 내지 2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발광소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화소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가지므로, 액티브 매트릭스방식의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유기고분자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의 전형적인 구조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의 적층구조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3은 실시예6-3에서 제작한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4는 실시예7-2에서 제작한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의 재료로서 사용하는 유기고분자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의 발명으로서, 인광을 발광하는 반복단위(인광발광성 단위라고 한다)와 전자 나 홀 등의 캐리어를 수송하는 반복단위(캐리어 수송성 단위라고 한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기고분자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은 인광발광성 단위와 캐리어 수송성 단위가 고분자쇄중에 불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랜덤 공중합체이어도 좋고, 또 비이온성, 즉 중성의 고분자이다. 본 발명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에서는 인광발광성 단위와 캐리어 수송 단위가 고분자쇄에 연결되어 있어, 인광발광성 단위의 응집은 억제되므로, 안정적 즉 장수명이며, 또한 형광이 아닌 인광발광성 단위를 갖기 때문에, 초고효율의 발광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의 구조는, 전형적으로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광발광성 단위와 캐리어 수송성 단위를 형성하는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 (a)인광발광성 부위와 캐리어 수송성 부위가 모두 고분자의 주쇄내에 있는 경우, (b)인광발광성 부위는 고분자의 측쇄에 있고, 캐리어 수송성 부위는 고분자의 주쇄내에 있는 경우, (c)인광발광성 부위는 고분자의 주쇄내에 있고, 캐리어 수송성 부위는 고분자의 측쇄에 있는 경우, (d)인광발광성 부위와 캐리어 수송성 부위가 모두 고분자의 측쇄에 있는 경우의 4가지가 있다. 단 인광발광성 부위란, 인광발광성 단위중에서 인광을 발광하는 기능을 갖는 부분을 나타내며, 캐리어 수송성 부위란, 캐리어 수송성 단위중에서 캐리어를 수송하는 기능을 갖는 부분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인광발광성 부위, 캐리어 수송성 부위 중 적어도 한쪽은 인광발광성 화합물의 고분자의 주쇄에, 측쇄로서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1의 (b)∼(d)). 이 경우에는,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합성하는 것이 용이하며, 또 유기용제에 용해되기 쉬운 인광발광성 화합물로 할 수 있다.
또한 인광의 발광효율이 높은 인광발광성 부위로 하기 위해서, 인광발광성 부위는, 천이금속 또는 희토류금속의 착체의 1가기 또는 2가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광발광성 부위의 구체예로서는
Figure 112004008305273-pct00001
에 나타내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리간드를 함유하는, 천이금속 착체의 1가기 또는 2가기 또는 희토류금속 착체의 1가기 또는 2가기가 있다. 상기의 천이금속 착체에 사용되는 천이금속은 주기율표의 제1천이원소계열 즉 원자번호 21의 Sc부터 30의 Zn까지, 제2천이원소계열 즉 원자번호 39의 Y부터 48의 Cd까지, 제3천이원소계열 즉 원자번호 72의 Hf부터 80의 Hg까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희토류금속 착체에 사용되는 희토류금속은, 주기율표의 란탄족계열 즉 원자번호 57의 La부터 71의 Lu 까지를 포함한다. 또 리간드는 상기의 리간드와 다른 리간드이어도 좋다.
캐리어를 수송하는 성능이 높은 캐리어 수송성 부위의 구체예는, 본 발명의 유기고분자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이 홀 수송성 고분자의 경우와 전자 수송성 고분자경우에서 다르다.
홀 수송성 고분자의 경우에는,
Figure 112004008305273-pct00002
에 나타내는 제3급 아민인 카르바졸(HT-1), 트리페닐아민(HT-2), 이들의 다량체(HT-3) 등의 1가기가 대표적이며, 이들의 1가기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전자 수송성 고분자의 경우에서는,
Figure 112004008305273-pct00003
에 나타내는 옥사디아졸 유도체(ET-1, 2), 트리아졸 유도체(ET-4), 또는 이미다졸 유도체(ET-3)의 1가기를 들 수 있다. 이들 유도체의 1가기의 방향환은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또,
Figure 112004008305273-pct00004
에 나타내는 형광성 고분자에 있어서 홀의 수송능력을 가지며 주쇄가 공역계로 되는 고분자를 형성하는, 치환기로 치환된, 티오펜의 2가기(TF), 벤젠의 2가기(PP), 스티렌의 2가기(PV), 또는 플루오렌의 2가기(FO)를 사용해도 좋다. 여기서 치환기 R은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에 있어서, 이들 2가기는 인광발광성 부위로서 고분자의 주쇄에 결합된다.
상술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 고분자의 예로서는,
Figure 112004008305273-pct00005
에 나타내는 주쇄인 비닐구조의 측쇄에 인광발광성 부위의 이리듐 착체 또는 백금착체의 1가기와, 홀(캐리어) 수송성 부위로서의 카르바졸, 또는 그 유도체의 1가기를 갖는 고분자(P1, P3, P4)가 있으며, 또 전자(캐리어) 수송성 부위로서, 측쇄에 옥사디아졸 유도체의 1가기를 사용한 고분자(P2)가 있다. 이들 공중합 고분자는 비닐화합물로부터 반응개시제를 사용한 라디컬 공중합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이리듐 착체의 리간드의 1개에 중합성 관능기를 도입한 단량체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된다. 그 합성방법은, 3개의 리간드에 각각 1개씩 반응성 치환기(수산기, 아미노기 등)를 도입한 중간체를 합성하고, 이 중간체와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중합성 산할로겐화물, 중합성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1:1에 가까운 몰비 로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정제해서 단관능의 단량체를 얻는 방법이다. 또, 상기의 반응후에는, 생성물에 잔류하는 반응성 치환기를 비반응성으로 하기 위해서, 생성물과 비중합성 화합물(알킬할라이드, 카르복실산 할로겐화물 등)을 반응시킨다.
또한,
Figure 112004008305273-pct00006
에 나타낸 이리듐 착체의 리간드의 1개가 아세틸아세톤 또는 피콜린산으로서, 이 아세틸아세톤 등을 개재해서 이리듐 착체가 고분자의 주쇄에 결합된 구조의 공중합 고분자도 있다. 여기에서, 화학식중의 *표시는 고분자의 화학식중에 나타낸 치환기 R에 접속하는 부분(결합)인 것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2종류의 리간드(이하, 2개 배위하고 있는 쪽을 제1리간드, 1개 배위하고 있는 쪽을 제2리간드라고 한다)를 1개 도입하고, 제2리간드에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이리듐 착체의 단량체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된다. 그 합성방법은, 공지의 방법(S. Lamansky, et al., Inorganic Chemistry, 40, 1704(2001))에 의해 합성한 이리듐의 2핵착체(제1리간드를 갖는 것)와,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제2리간드를 반응시킴으로써,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단핵의 이리듐 착체를 얻는 방법이다. 또, 2핵착체와, 반응성 치환기를 갖는 제2리간드를 반응시킴으로써, 반응성 치환기를 갖는 단핵 이리듐 착체를 얻고, 이것과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단핵의 이리듐 착체를 얻어도 좋다.
또, 상기 공중합 고분자와 같이, 인광발광성 부위로서의 이리듐 착체 등의 천이금속 착체부분 또는 희토류금속 착체부분이 고분자의 주쇄에 대하여 측쇄로서 결합되는 경우에는, 천이금속 착체 또는 희토류금속 착체의 1가기와 고분자의 주쇄 사이에 스페이서 부분을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 부분이란, 주쇄를 구성하는 고분자 화합물에 있어서의 치환가능한 원자가 결합하고 있는 다가원자와, 인광발광성 부위의 기초가 되는 저분자 화합물 에 있어서의 치환가능한 원자가 결합하고 있는 다가원자 사이를 결합하는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스페이서 부분은, 헤테로원자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유기기 또는 탄소원자를 갖지 않는 헤테로원자수 1∼10의 무기기를 함유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 부분으로서, 예를 들면, 탄소수 1∼20의 알킬렌기나,
Figure 112004008305273-pct00007
Figure 112004008305273-pct00008
에 나타내는 (S-1)부터 (S-15)와 같은 연결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S-1)부터 (S-15)에 있어서, R1,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렌기 또는 치환 또는 미치환의 페닐렌기를 나타내며, k,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1, 또는 2이다.
또, 인광발광성 부위 및 캐리어 수송성 부위를 측쇄가 아닌, 주쇄에 결합한 구조의 공중합 고분자도 있다.
Figure 112004008305273-pct0000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환된 티오펜, 벤젠, 플루오렌의 2가기와 이리듐 착체의 2가기가 중합해서 주쇄를 형성하고 있다.
이상, 공중합 고분자의 예로서, 홀 수송성 부위 또는 전자 수송성 부위 중 어느 한 쪽과 인광발광성 부위의 공중합체를 들었지만, 본 발명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은 홀 수송성 부위, 전자 수송성 부위 및 인광발광성 부위의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이 경우, 홀 수송성 부위, 전자 수송성 부위 및 인광발광성 부위는, 각각 독립적으로 공중합체의 주쇄를 구성하고 있어도 좋고, 측쇄를 구성하고 있어도 좋다.
인광발광성 단위의 반복수를 m,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반복수를 n으로 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인광의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m<n의 관계, 즉 인광발광성 단위의 반복수가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반복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단 m, n은 양자 모두, 1 또는 그 이상의 자연수이다. 반대로 m≥n인 경우에는, 농도소광에 의해 인광의 발광이 억제되어 버린다. 또 인광의 초고효율의 발광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광발광성 단위 및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총수 중, 인광발광성 단위의 반복수의 비율은 0.2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인광발광성 단위의 반복수의 비율이 지나치게 작으면, 인광발광성 부위가 적어져서 발광효율이 떨어진다. 이 때문에, 인광발광성 단위의 반복수의 비율은 너무 적어서는 안되고, 0.0001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0.0001≤m/(m+n)≤0.2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은, 1색으로 발광하는 1종류의 인광발광성 단위 를 가져도 좋고, 또, 서로 다른 2색이상으로 발광하는 2종류이상의 인광발광성 단위를 가져도 좋다.
본 발명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은 서로 다른 2색이상으로 발광하는 2종류이상의 인광발광성 단위를 도입함으로써, 1색으로 발광하는 1종류의 인광발광성 단위만을 갖는 인광발광성 화합물에서는 얻을 수 없는 발광색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 청색, 녹색 및 적색으로 발광하는 3종류의 인광발광성 단위를 적당한 비율로 1개의 화합물에 도입함으로써, 백색발광용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이 얻어진다. 여기에서, 청색, 녹색 또는 적색으로 발광하는 인광발광성 단위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서 1개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형성한 경우에, 광루미네선스의 발광색이 각각 청색, 녹색 또는 적색을 나타내는 것이나, 또는 다시 후술하는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해서 발광시킨 경우에, 그 발광색이 각각 청색, 녹색 또는 적색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발광색의 청색은 발광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피크파장이 400∼490㎚인 것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녹색은 피크파장이 490∼570㎚인 것을 말하며, 적색은 피크파장이 570∼700㎚인 것을 말한다.
또, 백색발광용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은, 각각 청색 또는 녹색 및 황색 또는 적색으로 발광하는 2종류의 인광발광성 단위를 적당한 비율로 1개의 화합물에 도입 함으로써도 얻어진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발광색의 청색 또는 녹색은 발광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피크파장이 400∼570㎚인 것을 말하고, 마찬가지로, 황색 또는 적색은 피크파장이 570∼700㎚인 것을 말한다.
또, 백색발광용의 인광발광성 재료는, 상기와 같은 단일의 인광발광성 화합물로서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발광색을 나타내는 1종류이상의 인광발광성 단위를 갖는 복수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배합한 조성물로서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청색으로 발광하는 인광발광성 단위 및 녹색으로 발광하는 인광발광성 단위의 2종류의 인광발광성 단위를 갖는 제1 인광발광성 화합물과, 적색으로 발광하는 1종류의 인광발광성 단위를 갖는 제2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배합한 인광발광성 조성물, 각각 청색, 녹색 및 적색으로 발광하는 인광발광성 단위를 1종류씩 갖는 3개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배합한 인광발광성 조성물, 각각 청색 및 주황색으로 발광하는 인광발광성 단위를 1종류씩 갖는 2개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배합한 인광발광성 조성물 등을 들 수 있지만, 하등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유기고분자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은, 습식법에 의해 막형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식법에서는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용액으로 하므로, 유기용제 또는 물에 가용인 것이 필요하다. 특히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유기용매에 가용으로 하는 위해서는, 인광발광성 부위에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등의 비교적 긴 탄소쇄로 치환한 금속 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기고분자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은 중합도가 5∼5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도가 5보다 작으면, 균일한 막형성이 곤란해지고, 또 결정화가 일어나기 쉬워 막의 안정성이 나빠진다. 또 중합도가 5000보다 큰 유기고분자는 생성이 곤란하며, 유기용제에 녹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중합도를 5∼5000으로 함으로써, 균일하며 안정적인 막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는,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유기고분자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발광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는, 본 발명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의 캐리어 수송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인광발광성 화합물과 캐리어 수송성 화합물을 배합한 조성물을 발광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이 홀 수송성인 경우에는 전자 수송성 화합물을 혼합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이 전자 수송성인 경우에는 홀 수송성 화합물을 혼합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수송성 화합물 및 홀 수송성 화합물은, 각각 저분자 화합물이어도 좋고, 또한, 고분자 화합물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에 배합하는 저분자의 홀 수송성 화합물로서는, TPD(N,N'-디페닐-N,N'-(3-메틸페닐)-1,1'-비페닐-4,4'-디아민), α-NPD(4,4'-비스〔N-(1-나프틸)-N-페닐아미노〕비페닐), m-MTDATA(4,4',4"-트리스(3-메틸페닐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 등의 트리페닐아민 유도체, CBP(4,4'-N-N'-디카르바졸-비페닐) 등의 카르바졸 유도체를 비롯한 기지의 홀 수송재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에 배합하는 고분자의 홀 수송성 화합물로서는, 폴리비닐카르바졸, 트리페닐아민계의 저분자 화합물에 중합성 관능기를 도입해서 고분자화한 것,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8-15757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 는 트리페닐아민 골격의 고분자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에 배합하는 저분자의 전자 수송성 화합물로서는, Alq3(트리스알루미늄퀴놀리놀) 등의 퀴놀리놀 유도체 금속 착체, 옥사디아졸 유도체, 트리아졸 유도체, 이미다졸 유도체, 트리아진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에 배합하는 고분자의 전자 수송성 화합물로서는, 상기 저분자의 전자 수송성 화합물에 중합성 관능기를 도입해서 고분자화한 것,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10-166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폴리PBD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막형성해서 얻어지는 막의 물성 등을 더욱 개량할 목적으로, 본 발명의 인광발광성 화합물 또는 인광발광성 조성물에, 발광특성에는 관여하지 않는 고분자 화합물을 혼합해서 조성물로 하고, 이것을 발광재료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막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혼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 적어도 1층에 상술의 유기고분자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는 인광발광성 화합물의 인광발광성 단위와 캐리어 수송성 단위가 고분자쇄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유기발광소자의 연속구동이나 과열에 의한 인광발광성 화합물의 인광발 광성 단위의 응집이 억제되어, 안정적인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형광이 아닌 인광발광성 단위를 갖기 때문에 초고효율의 발광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사용한 유기발광소자는, 도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한 쌍의 양극과 음극에 끼운 1층구성으로도 기능하지만, 인광의 발광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2의 (b)와 같은 전자 수송성 고분자를 사용한 전자수송층과의 적층구성, 또는 도2의 (c)와 같은 홀 수송성 고분자를 사용한 홀 수송층과의 적층구성이 바람직하다. 이들 캐리어(전자, 홀) 수송성 고분자로서는,
Figure 112004008305273-pct00010
와 같은 제3급 아민 및 그 유도체(HTP1, 2), 옥사디아졸 유도체(ETP1, 2), 이미다졸 유도체(ETP3)의 기를 함유하는 고분자,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CP1), 폴리디알킬플루오렌(CP2) 등을 들 수 있다.
도2의 (b)의 적층구성을 갖는 발광소자에 있어서, 인광발광성 화합물로서 상기 P1의 고분자를 사용하고, 전자 수송성 고분자로서 옥사디아졸 유도체의 기를 함 유하는 고분자 ETP2를 사용한 유기발광소자로, 발광기구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금속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는 전자 수송층을 통해서 수송되어, 인광발광성 화합물 P1의 층에 주입되는 한편, ITO 양극으로부터 주입된 홀은 인광발광성 화합물 P1의 카르바졸환을 포함하는 반복단위를 전도한다. 주입된 전자가 카르바졸환상에서 홀과 재결합함으로써, 카르바졸환의 반복단위의 여기상태가 생성되고, 다음에 이리듐 착체의 반복단위로 에너지가 이동한다. 그 결과, 이리듐 착체의 반복단위에 있어서 여기 삼중항상태가 형성되고, 에너지완화에 의해 인광의 발광이 관찰된다. 단, 주입된 홀과 전자의 재결합이 이리듐 착체의 반복단위상에서 일어나는 기구도 생각되어진다.
양극은, 일반적으로는 투명기판인 유리기판상에 형성되고, 발광투과성 재료를 사용한다. ITO(산화주석인듐), 산화인듐, 산화주석, 또는 산화인듐 산화아연 합금이 바람직하다. 금, 백금, 은, 마그네슘 등의 금속의 박막을 사용해도 좋다.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고분자도 사용가능하다.
음극에는, 일함수가 낮은 Li, K 등의 알카리금속이나 Mg, Ca 등의 알칼리토류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전자주입 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이들 금속과 비교해서 화학적으로 안정된 Al 등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전자주입 효율과 화학적 안정성을 양립시키기 위해서 2종이상의 재료를 함유하는 층으로 해도 좋다. 이들 재료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공개 평2-15595, 일본 특허공개 평5-121172 등에 기재되어 있으며, 세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등의 알카리금속이나 알카리토류금 속의 박층(0.01∼10㎛ 정도)을 Al층의 아래에(음극측을 상측, 양극측을 하측으로 함) 끼워도 좋다.
양극과 음극은, 진공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플레이팅법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전극(특히 발광투과성 재료의 전극)의 패터닝은 포토리소그래피 등에 의한 화학적 에칭, 레이저 등을 사용한 물리적 에칭 등에 의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마스크를 겹쳐서 진공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을 행해서 패터닝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기판으로서 통상의 유리기판 이외에 플라스틱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기판으로서 사용하는 플라스틱은 내열성, 치수안정성, 내용제성, 전기절연성, 가공성, 저통기성 및 저흡습성이 우수한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플라스틱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알릴레이트, 폴리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연한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유연한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기판의 전극측의 면, 전극과 반대측의 면, 또는 그 양쪽의 면에 투습방지층(가스배리어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습방지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질화규소나 산화규소 등의 무기물이 바람직하다. 투습방지층은 고주파 스퍼터링법 등에 의해 막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하드코트층이나 언더코트층을 형성해도 좋다.
인광발광성 화합물, 전자 수송성 고분자, 홀 수송성 고분자 등의 유기고분자층의 막형성법으로서는 용액으로부터의 스핀코트법이 일반적이며, 그 외에도 대면적의 유기고분자층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인쇄법, 잉크젯법, 스프 레이법, 디스펜서법 등을 들 수 있지만, 하등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에 의해 표시화면의 각 화소가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소마다 유기고분자를 분리해서 도포할 수 있어 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을 풀컬러화할 수 있다. 특히 잉크젯법은 이 화소마다의 분리 도포, 표시화면의 풀컬러화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표시화면의 각 화소가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소마다 2개이상의 트랜지스터를 배치하고, 이들 트랜지스터에 의한 화소의 어드레스와 구동에 의해, 액티브매트릭스방식의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최저한으로 필요한 2개의 트랜지스터 중, 1개는 화소를 구성하는 유기발광소자에 전류를 주입하는 구동용 트랜지스터이며, 다른 한개는, 이 구동용 트랜지스터에의 전류주입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환용 트랜지스터이다. 또한 이들 트랜지스터를 유기 트랜지스터로 함으로써, 플라스틱기판에의 적용도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의 실시예 및 그 합성법을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단순한 예시이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1-1) 인광발광성 화합물의 단량체 : [2-(3-메타크릴페닐)피리딘]비스[2-(3-프로피오닐페닐)피리딘]이리듐(III)(이하 간단히 Ir(MPPy)(PrCOPPy)2라고 한다)의 합성
먼저, 스킴(1)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2-(3-메톡시페닐)피리딘(Me0PPy)을 합성했다.
Figure 112004008305273-pct00011
구체적으로는, 3-브로모아니솔 8.98g(48mmol)을 탈수 테트라히드로푸란(THF) 60㎖중에서 Mg을 사용해서 3-메톡시페닐마그네슘브로마이드를 합성했다. 또한, 2-브로모피리딘 6.32g(40mmol), [1,2-비스(디페닐포스피노)에탄]디클로로니켈(0) (Ni(dppe)Cl2) 0.74g을 탈수 THF 40㎖에 용해한 용액에, 앞서 얻어진 3-메톡시페닐마그네슘브로마이드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반응시킴으로써 무색투명의 2-(3-메톡시페닐)피리딘(MeOPPy)을 6.03g(32.4mmol)얻었다. 동정(同定)은 CHN 원소분석, NMR, IR로 행했다.
다음에, 스킴(1)에서 얻어진 Me0PPy와 트리스(아세틸아세토나토) 이리듐(III)(Ir(acac)3)을 스킴(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온으로 반응시켜 트리스(2-(3-메톡시페닐)피리딘)이리듐(III)(Ir(MeOPPy)3)을 합성했다.
Figure 112004008305273-pct00012
구체적으로는, MeOPPy 0.50g(2.70mmol)과 Ir(acac)3 0.20g(O.41mmol)을 글리세롤 20㎖중, 25O℃에서 9시간 반응시켜, 칼럼으로 정제함으로써, 형광성 황색분말로서 Ir(MeOPPy)3 0.020g(0.027mmol)을 얻었다. 동정은 CHN 및 Ir 원소분석, IR로 행했다.
스킴(2)에서 얻어진 Ir(MeOPPy)3을 스킴(3)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염산수용액중에서 MeO기를 가수분해해서 OH기로 하고, 분말의 트리스(2-(3-히드록시페닐)피리딘)이리듐(III)(Ir(HOPPy)3)을 얻었다.
Figure 112004008305273-pct00013
스킴(3)에서 얻어진 Ir(HOPPy)3을 스킴(4)에 따라, 메타크릴산클로라이드와 몰비 1:1로 반응시킴으로써, OH기의 일부분을 메타크릴화시켜 Ir(MPPy)(HOPPy)2가 주성분으로 되는 착체를 합성했다. 계속해서 나머지의 OH기를 프로피온산클로라이드(PrCOCl)와 반응시켜 Ir(MPPy)(PrCOPPy)2가 주성분으로 되는 착체를 얻었다.
Figure 112004008305273-pct00014
구체적으로는, 반응용기에 탈수 THF 8㎖, Ir(HOPPy)3 0.706g(1mmol), 탈산제로서 트리에틸아민 0.600g(5.9mmol)을 넣은 후, 메타크릴산클로라이드 0.106g(1mmol)을 탈수 THF 4㎖에 용해한 용액을 30분에 걸쳐 적하하고, 20℃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용액에 다시 프로피온산클로라이드 0.370g(4mmol)을 탈수 THF 4㎖에 용해한 용액을 30분에 걸쳐 적하하고, 20℃에서 5시간 반응시킴으로써 나머지의 OH기를 반응시켜서 트리에틸아민의 염산염을 여과분별했다. 여과액의 용매를 증발건고하고, 얻어진 고형성분은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용매로 재결정을 2회 함으로써 정제하여 목적으로 하는 Ir(MPPy)(PrCOPPy)2 0.523g(0.59mmol)을 분말 로서 얻었다. 이 착체의 동정은 CHN 및 Ir의 원소분석, IR로 행했다.
(실시예1-2) 인광발광성 화합물: [2-(3-메타크릴페닐)피리딘]비스[2-(3-프로피오닐페닐)피리딘]이리듐(III)/N-비닐카르바졸 공중합체(이하 간단히 Ir(MPPy)(PrCOPPy)2/VCz 공중합체라고 함)의 합성
스킴(5)에 따라, 반응용기에 실시예1에서 합성한 Ir(MPPy)(PrCOPPy)2 착체 0.222g(0.25mmol), N-비닐카르바졸(VCz) 0.918g(4.75mmol)(Ir(MPPy)(PrCOPPy)2와 VCz가 몰비로 5:95),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10g(0.061mmol), 초산부틸 10㎖를 넣어서 질소치환을 행한 후, 80℃에서 10시간 반응시켰다.
Figure 112004008305273-pct00015
반응후, 생성물을 아세톤에 투입해서 재침전을 행하고, 여과에 의해 공중합 체를 회수했다. 회수한 공중합체의 클로로포름 용액을 메탄올중에 투입해서 재침전시키는 것을 다시 2회 행함으로써 정제하고, 침전회수후에 진공건조하여 목적으로 하는 Ir(MPPy)(PrCOPPy)2/VCz 공중합체 0.946g을 분말로서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CHN 및 Ir의 원소분석은, Ir(MPPy)(PrCOPPy)2와 VCz가 5:95의 몰비로 공중합하고 있는 것을 지지하고 있었다. 즉 인광발광성 단위의 반복수 m/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반복수 n=5/95라고 생각되어진다. 또, 공중합체의 클로로포름중의 GPC로부터, 중량평균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12000이었다(중량평균분자량으로부터 계산되는 평균 중합도는 37). 또한 본 발명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은 클로로포름 등의 유기용제에 가용이다.
(실시예1-3) 유기발광소자의 시작
Ir(MPPy)(PrCOPPy)2/VCz 공중합체와 전자수송재료인 옥사디아졸 유도체(tBu-PBD)의 클로로포름 용액을 조제했다. 비율은, Ir(MPPy)(PrCOPPy)2/VCz 공중합체가 65중량%에 대해서 tBu-PBD를 35중량%로 했다. 이 용액을 투명전극인 산화주석인듐(ITO)이 형성된 유리기판상에 스핀코트하여 두께 100nm의 막을 형성하고, 그 위에 진공증착법으로 Ca를 10nm, Al을 100nm증착해서 음극으로 했다. 이 유기발광소자의 ITO측에 플러스의, Al측에 마이너스의 전압을 인가한 결과, 이리듐 착체에 기인한 녹색의 발광이 관찰되었다. 발광 양자효율은 약 4%였다.
(실시예2-1) 인광발광성 화합물의 단량체: {2-[3-(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피리딘}비스[2-(3-프로피오닐페닐)피리딘]이리듐(III)(이하 간 단히 Ir(MiPPy)(PrCOPPy)2라고 함)의 합성
실시예1-1에서 합성한 단량체의 중간체 Ir(HOPPy)3을 스킴(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M0I, 쇼와덴코 제품)와 1:1로 반응시키고, 계속해서 나머지의 OH기를 PrCOCl과 반응시켜 Ir(MiPPy)(PrCOPPy)2가 주성분으로 되는 착체를 얻었다.
Figure 112004008305273-pct00016
구체적으로는, 반응용기에 탈수 THF 8㎖, Ir(HOPPy)3 0.706g(1mmol), MOI 0.106g(1mmol)을 넣고, 20℃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용액에 탈산제로서 트리에틸아민 0.600g(5.9mmol)을 첨가한 후, 프로피오닐클로라이드 0.370g(4mmol)을 탈수 THF 4㎖에 용해시킨 용액을 30분에 걸쳐 적하하고, 다시 20℃에서 5시간 반응시킴으로써 나머지의 OH기를 반응시켜, 트리에틸아민의 염산산염을 여과분별했다. 여과액의 용매를 증발건고하고, 얻어진 고형성분은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용매로 재결정을 2회 행함으로써 정제하여 목적으로 하는 Ir(MiPPy)(PrCOPPy)2 0.613g(0.63mmol)을 분말로서 얻었다. 이 동정은 CHN 및 Ir의 원소분석, IR로 행했다.
(실시예2-2) 인광발광성 화합물: {2-[3-(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카르바모일옥시페닐]피리딘}비스[2-(3-프로피오닐페닐)피리딘]이리듐(III)/N-비닐카르바졸 공중합체(이하 간단히 Ir(MiPPy)(PrCOPPy)2/VCz 공중합체라고 함)의 합성
스킴(7)에 따라, 반응용기에 실시예3에서 합성한 Ir(MiPPy)(PrCOPPy)2 착체 0.243g(0.25mmol), N-비닐카르바졸(VCz) 0.918g(4.75mmol)(Ir(MiPPy)(PrCOPPy)2와 VCz가 몰비로 5:95),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10g(0.061mmol), 초산부틸 10㎖를 넣어서 질소치환을 행한 후, 80℃에서 10시간 반응시켰다.
Figure 112004008305273-pct00017
반응후, 아세톤에 투입해서 재침전을 행하고, 여과에 의해 공중합체를 회수했다. 회수한 공중합체의 클로로포름용액을 메탄올중에 투입해서 재침전시키는 것을 다시 2회 행함으로써 정제하고, 침전회수후에 진공건조하여 목적으로 하는 Ir(MiPPy)(PrCOPPy)2/VCz 공중합체 1.053g을 분말로서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CHN 및 Ir의 원소분석은 Ir(MiPPy)(PrCOPPy)2와 VCz가 5:95의 몰비로 공중합하고 있는 것을 지지하고 있었다. 즉 인광발광성 단위의 반복수 m/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반복수 n=5/95이다라고 생각되어진다. 또, 공중합체의 클로로포름중의 GPC로부터, 중량평균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23000이었다(중량평균분자량으로부터 계산되는 평균 중합도는 64). 또한 본 발명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은 클로로포름 등의 유 기용제에 가용이다.
(실시예2-3) 유기발광소자의 시작
Ir(MiPPy)(PrCOPPy)2/VCz 공중합체와 tBu-PBD의 클로로포름 용액을 조제했다. 비율은, Ir(MiPPy)(PrCOPPy)2/VCz 공중합체가 65중량%에 대하여 tBu-PBD를 35중량%로 했다. 이 용액을 ITO가 형성된 유리기판상에 스핀코트해서 두께 100㎚의 막을 형성하고, 그 위에 진공증착법으로 Ca를 10㎚, Al을 100㎚증착해서 음극으로 했다. 이 유기발광소자의 ITO측에 플러스의, Al측에 마이너스의 전압을 인가한 결과, 이리듐 착체에 기인한 녹색의 발광이 관찰되었다. 발광 양자효율은 약 3%였다.
(실시예3-1) 인광발광성 화합물:[2-(3-헥실페닐)피리딘]비스(2-페닐피리딘)이리듐(III)/3-헥실티오펜 공중합체(이하 간단히 Ir(HPPy)PPy2/HT 공중합체라고 함)의 합성
스킴(8)에 나타낸 바와 같이, 5-브로모-2-(4-브로모-3-헥실페닐)피리딘 (HPPyBr2) 0.099g(0.25mmol)과 3-헥실-2,5-디브로모티오펜(HTBr2) 1.549g(4.75mmol) ((HPPyBr2) 과 (HTBr2)가 몰비로 5:95)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디메틸포름아미드(DMF) 1O㎖중에서 Ni(COD)2(0)(단 COD는 시클로옥타디에닐기를 나타낸다)촉매로 공중합하고, 2-(3-헥실페닐)피리딘/3-헥실티오펜 공중합체(HPPy/HT 공중합체)를 합성했다. 다음에, 이 Hppy/HT 공중합체 0.625g(4mmol)과 Ir(acac)3 0.099g(0.2mmol)을 메타크레졸중에서 용해하여, 250℃에서 10시간 반응시켰다. 또 한 이 용액에 페닐피리딘(PPy)을 0.062g(0.4mmol)을 첨가하여, 250℃에서 10시간 반응시켰다.
Figure 112004008305273-pct00018
반응후, 아세톤에 투입해서 재침전을 행하고, 여과에 의해 공중합체를 회수했다. 회수한 공중합체의 DMF용액을 아세톤중에 투입해서 재침전을 다시 2회 행함으로써 정제하고, 침전회수후에 진공건조해서 목적으로 하는 Ir(Hppy)PPy2/HT 공중합체 0.564g을 분말로서 얻었다.
공중합체의 CHN 및 Ir의 원소분석은 추정구조를 지지하고 있었다. 즉 인광발광성 단위의 반복수 m/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반복수 n=5/95이다라고 생각되어진다. 또,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중의 공중합체의 GPC로부터, 중량평균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18000이었다(중량평균분자량으로부터 계산되는 평균 중합도는 68). 또한 본 발명의 인광발광성 화합물은 DMF 등의 유기용제에 가용이다.
(실시예3-2) 유기발광소자의 시작
Ir(HPPy)PPy2/HT 공중합체와 tBu-PBD의 클로로포름 용액을 조제했다. 비율은 Ir(HPPy)PPy2/HT 공중합체가 65중량%에 대하여 tBu-PBD를 35중량%로 했다. 이 용액을 ITO가 형성된 유리기판상에 스핀코트해서 두께 1OO㎚의 막을 형성하고, 그 위에 진공증착법으로 Ca를 10㎚, Al을 100㎚ 증착해서 음극으로 했다. 이 유기발광소자의 ITO측에 플러스의, Al측에 마이너스의 전압을 인가한 결과, 이리듐 착체에 기인한 황색의 발광이 관찰되었다. 발광 양자효율은 약 1%였다.
(실시예4-1) 전자 수송성 화합물의 단량체:2-(4-tert-부틸-페닐)-(4'-(비닐-비페닐-4-일)-[1,3,4]옥사디아졸(이하 간단히 VPBD라고 함)의 합성
일본 특허공개 평10-166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VPBD를 합성했다.
(실시예4-2) 인광발광성 화합물: [2-(3-메타크릴페닐)피리딘]비스[2-(3-프로피오닐페닐)피리딘]이리듐(III)/N-비닐카르바졸/2-(4-tert-부틸-페닐)-5-(4'-비닐- 비페닐-4-일)-[1,3,4]옥사디아졸 공중합체 (이하 간단히 Ir(MPPy)(PrCOPPy)2/ VCz/VPBD 공중합체라고 함)의 합성
하기 스킴(9)에 따라, 실시예1-1에서 합성한 Ir(MPPy)(PrCOPPy)2착체 0.222g(0.25mmol), VCz 0.628g(3.25mmol), 상기 실시예4-1에서 합성한 VPBD 0.571g(1.50mmol)(몰비가 Ir(MPPy)(PrCOPPy)2:VCz:VPBD=5:65:30),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10g(0.061mmol), 벤젠 10㎖를 반응용기에 넣어서 질소치환을 행한 후, 80℃에서 10시간 반응시켰다.
반응후, 생성물을 아세톤에 투입해서 재침전을 행하고, 여과에 의해 공중합 체를 회수했다. 회수한 공중합체의 클로로포름 용액을 메탄올중에 투입해서 재침전시키는 것을 다시 2회 행함으로써 정제하고, 침전회수후에 진공건조하여 목적으로 하는 Ir(MPPy)(PrCOPPy)2/VCz/VPBD 공중합체 0.080g을 분말로서 얻었다.
Figure 112004008305273-pct00019
얻어진 공중합체(인광발광성 화합물)의 CHN 및 Ir의 원소분석은 몰비가 Ir(MPPy)(PrCOPPy)2:VCz:VPBD=5:65:25로 공중합하고 있는 것을 지지하고 있었다. 즉, (인광발광성 단위의 반복수:k)/(캐리어 수송 단위의 반복수 m+n)=5/90이다라고 생각되어진다. 또, 공중합체의 클로로포름중의 GPC로부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30000이었다(중량평균분자량으로부터 계산되는 평균 중합도는 2.5). 이 공중합체는 클로로포름 등의 유기용제에 가용이다.
(실시예4-3) 유기발광소자의 시작
실시예4-2에서 얻어진 Ir(MPPy)(PrCOPPy)2/VCz/VPBD 공중합체의 클로로포름 용액을 조제했다. 이 용액을 투명전극인 산화주석인듐(ITO)이 형성된 유리기판상에 스핀코트해서 두께 100㎚의 막을 형성하고, 그 위에 진공증착법으로 Ca를 10㎚, Al을 100㎚ 증착해서 음극으로 하여 유기발광소자를 얻었다. 이 유기발광소자의 ITO측을 플러스로 하고, Al측을 마이너스로 하여 전압을 인가한 결과, 이리듐 착체에 기인한 녹색의 발광이 관찰되었다. 발광 양자효율은 약 3%였다.
(실시예5-1) 전자 수송성 고분자 화합물:폴리-VPBD(이하 간단히 PVPBD라고 함)의 합성
일본 특허공개 평10-165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PVPBD를 합성했다.
(실시예5-2)
실시예1-2에서 얻어진 Ir(MPPy)(PrCOPPy)2/VCz 공중합체와 실시예5-1에서 얻어진 PVPBD의 클로로포름 용액을 조제했다. 비율은 Ir(MPPy)(PrCOPPy)2/VCz 공중합체가 65중량%에 대하여 PVPBD를 35중량%로 했다. 이 용액을 투명전극인 산화주석인듐(ITO)이 형성된 유리기판상에 스핀코트해서 두께 100㎚의 막을 형성하고, 그 위에 진공증착법으로 Ca를 10㎚, Al을 100㎚증착해서 음극으로 하여 유기발광소자를 얻었다. 이 유기발광소자의 ITO측을 플러스로 하고, Al측을 마이너스로 하여 전압을 인가한 결과, 이리듐 착체에 기인한 녹색의 발광이 관찰되었다. 발광 양자효율 은 약 4.5%였다.
(실시예6-1) 청색 인광발광성 부위를 갖는 단량체: 이리듐(III)비스(2-(2,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디나토)(5-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피콜리나토) (이하 간단히 Ir(2,4-F-ppy)2(5-CH2MA-pic)라고 함)의 합성
스킴(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리듐(III)비스(2-(2,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디나토)(5-(히드록시메틸)피콜리나토)(이하 간단히 Ir(2,4-F-ppy)2(5-CH2OH-pic)라고 함)를 합성했다. 즉, [Ir(2,4-F-ppy)2Cl]2 121.6㎎(0.1mmol), 5-히드록시메틸피콜린산 45.9㎎(0.3mmol), 탄산나트륨 106.0㎎(1.0mmol)에 아르곤 기류하에서 탈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를 첨가하여, 80℃에서 2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에 50㎖의 물을 첨가한 후,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그 용액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후, 농축하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메탄올:클로로포름=1:19(체적비))로 정제했다. 다시 그것을 헥산/클로로포름으로부터 재결정함으로써 황색의 결정으로서 Ir(2,4-F-ppy)2(5-CH2OH-pic) 108.7㎎을 얻었다. 수율 75%. 동정은 1H-NMR과 CHN 원소분석으로 행했다. 1H-NMR(270 ㎒, DMS0-d6), ppm:8.54(d, 1H, J=4.6), 8.3-8.2(m, 2H), 8.1-8.0(m, 4H), 7.70(s, 1H), 7.61(d, 1H, J=4.9), 7.49(dd, 1H, J=6.6, .6.6), 7.32(dd, 1H, J=6.6, .6.6), 6.9-6.7(m, 2H), 5.71(dd, 1H, J=8.9, 2.4), 5.46(dd, 1H, J=8.5, 2.3), 5.42(t, 1H, J=4.6), 4.49(d, 2H, J=4.6). Anal. Found: C 48.05, H 2.54, N 5.86. Calcd: C 48.06, H 2.50, N 5.80.
Figure 112004008305273-pct00020
계속해서, 스킴(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Ir(2,4-F-ppy)2(5-CH2MA-pic)를 합성했다. 즉, Ir(2,4-F-ppy)2(5-CH2OH-pic) 72.5㎎(0.1mmol)과 2,6-디-tert-4-메틸페놀 0.2㎎을 아르곤 기류하에서 탈수 디클로로메탄 10㎖에 용해하고, 트리에틸아민 101.2㎎(1.0mmol)과 메타크릴산클로라이드 52.3㎎(0.5mmo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에 물 50㎖를 첨가하여,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했다. 그 용액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후, 농축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메탄올:클로로포름=3:97(체적비))로 정제했다. 다시 그것을 헥산/클로로포름으로부터 재결정함으로써 황색의 결정으로서 Ir(2,4-F-ppy)2(5-CH2MA-pic) 70.6㎎을 얻었다. 수율 89%. 동정은 1H-NMR과 CHN 원소분석으로 행했다. 1H-NMR(270 ㎒, DMS0-d6 ), ppm:8.53(d, 1H, J=5.1), 8.28(d, 1H, J=8.4), 8.22(d, 1H, J=8.6), 8.1-8.0(m, 4H), 7.70(s, 1H), 7.66(d, 1H, J=4.9), 7.48(dd, 1H, J=6.5, .6.5), 7.31(dd, 1H, J=6.5, .6.5), 6.9-6.7(m, 2H), 5.84(s, 1H), 5.7-5.6(m, 2H), 5.47(dd, 1H, J=8.8, 2.6), 5.24(d, 2H, J=2.7), 1.78(s, 3H). Anal. Found: C 49.92, H 2.87, N 5.28. Calcd: C 50.00, H 2.80, N 5.30.
Figure 112004008305273-pct00021
(실시예6-2) 녹색의 인광발광성 부위를 갖는 단량체: [6-(4-비닐페닐)-2,4-헥산디오나토]비스(2-페닐피리딘)이리듐(III)(이하 간단히 Ir(ppy)2[1-(StMe)-acac]라고 함)의 합성
스킴(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세틸아세톤과 4-비닐벤질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서 6-(4-비닐페닐)-2,4-헥사디온을 합성했다. 즉, 수소화나트륨 1.23g(60% in oil)(31mmol)을 질소분위기하에서 칭량하고, 이것에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이하 간단히 THF라고 함) 60㎖를 첨가해서 빙욕에서 0℃로 냉각했다. 이 현탁액에 아세 틸아세톤 2.5g(24mmol)과 헥사메틸포스폴릭트리아미드 1㎖의 혼합용액을 적하하면 무색의 침전이 생성되었다. O℃에서 1O분간 교반한 후, n-부틸리튬의 헥산용액(1.6M) 17.5㎖(28mmol)를 적하하면 침전이 용해되고, 다시 0℃에서 20분간 교반했다. 얻어진 옅은 황색의 용액에 4-비닐벤질클로라이드 4.0g(26mmol)을 적하하고, 반응액을 실온으로 되돌려서 20분간 교반후, 희염산을 첨가하여 물층을 산성으로 했다. 유기층을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회전증발기(rotary evaporator)로 용매를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칼럼에 첨가하여 헥산/디클로로메탄의 1:1(체적비) 혼합용매로 전개하고, 주생성물을 분별하였다. 얻어진 용액으로부터 감압으로 용매를 증류제거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6-(4-비닐페닐)-2,4-헥사디온 3.0g(14mmol)을 갈색의 액체로서 얻었다. 수율 56%. 동정은 CHN 원소분석, 1H-NMR로 행했다. 1H NMR(CDCl3 ):enol; δ7.33(d, J=8.1㎐, 2H, aromatlc), 7.14(d, J=8.4㎐, 2H, aromatic), 6.68(dd, J=8.1㎐, 1H, vinylic), 5.70(d, J=17.0㎐, 1H, vinylic), 5.46(s, 1H, diketonate-methine), 5.20(d, J=11.1㎐, 1H, vinylic), 2.91(t, J=5.7㎐, 2H, methylene), 2.58(t, J=7.3㎐, 2H, methylene), 2.03(s, 3H, methyl). keto; δ7.33(d, J=8.1㎐, 2H, aromatic), 7.14(d, J=8.4㎐, 2H, aromatic), 6.68(dd, J=8.1㎐, 1H, vinylic), 5.70(d, J=17.0㎐, 1H, vinylic), 5.20(dd, J=11.1㎐, 1H, vinylic), 3.53(s, 2H, C(=0)CH2C(=O)), 2.89(m, 4H, ethylene), 2.19(s, 3H, methyl). enol:keto=6:1. E.A.:Calcd for C14H9O2:C, 77.75; H, 7.46. Found: C, 77.49; H, 7.52.
Figure 112004008305273-pct00022
계속해서, 스킴(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6-(4-비닐페닐)-2,4-헥산디온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합성한 [Ir(ppy)2Cl]2를 반응시켜서 Ir(ppy)2[1-(StMe)-acac]를 합성했다. 즉, [Ir(ppy)2Cl]2 342㎎(O.32mmol), 탄산나트륨 158㎎(1.5mmol) 및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5㎎(0.023mmol)을 5㎖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이하 간단히 DMF라고 함)에 용해하고, 이것에 6-(4-비닐페닐)-2,4-헥사디온 210㎎(0.97mmol)을 첨가해서 65℃에서 1시간 가열교반했다. 다음에 실온까지 냉각한 반응용액에 희염산 수용액을 첨가한 후, 옅은 황색의 성분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했다. 회전증발기를 사용해서 용매를 증류제거후, 잔사를 소량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액:디클로로메탄)로 황색의 주생성물을 분별했다. 이 용액을 감압건고하고, 디클로로메탄-헥산 혼합용액을 첨가하여 -20℃에서 재결정을 행하여, 목적으로 하는 Ir(ppy)2[1-(StMe)-acac] 354㎎(0.49mmol)을 옅은 황색결정으로서 얻었다. 수율 78%. 동정은 CHN 원소분석, 1H-NMR로 행했다. 1H NMR(CDCl3): δ8.47(d, J=5.7㎐, 1H, ppy), 8.21(d, J=5.7㎐, 1H, ppy), 7.9_7.5(m, 6H, ppy), 7.18(d, J=8.1㎐, 2H, stylyl-aromatic), 7.00(m,2H, ppy), 6.89(d, J=8.1㎐, 2H, stylyl-aromatic), 6.75(m, 5H, ppy and vinylic), 6.28(t, J=7.3㎐, 2H, ppy), 7.67(d, J=17.6㎐, 1H, vinylic), 5.19(d, J=9.5㎐, 1H, vinylic), 5.17(s, 1H, diketonate-methine), 2.60(t, J=73㎐, 2H, ethylene), 2.36(m, 2H, ethylene), 1.75(s, 3H, methyl). E.A.:Calcd for C36H31IrN2O2: C, 60.40; H, 4.36; N, 3.91. Found: C, 61.35; H, 4.34; N, 3.83.
Figure 112004008305273-pct00023
(실시예6-3) 적색의 인광발광성 부위를 갖는 단량체:[6-(4-비닐페닐)-2,4-헥산디오나토]비스[2-(2-피리딜)벤조티에닐]이리듐(III){이하 간단히 Ir(btp)2[1-(StMe)-acac]라고 함}의 합성
스킴(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세틸아세톤과 4-비닐벤질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서 6-(4-비닐페닐)-2,4-헥산디온을 합성했다. 즉, 수소화나트륨 1.23g(60% in oil)(31mmol)을 질소분위기하에서 칭량하고, 이것에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이하 간단히 THF라고 함) 60㎖를 첨가해서 빙욕에서 0℃로 냉각했다. 이 현탁액에 아세틸아세톤 2.5g(24mmol)과 헥사메틸포스폴릭트리아미드(이하 간단히 HMPA라고 함) 1㎖의 혼합용액을 적하하면 무색의 침전이 생성되었다. 0℃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n-부틸리튬의 헥산용액(1.6M) 17.5㎖(28mol)를 적하하면 침전이 용해되어, 다시 0℃에서 20분간 교반했다. 얻어진 옅은 황식의 용액에 4-비닐벤질클로라이드 4.0g(26mmol)을 적하하고, 반응액을 실온으로 되돌려서 20분간 교반후, 희염산을 첨가해서 물층을 산성으로 했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회전증발기로 용매를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칼럼에 첨가하여 헥산/디클로로메탄의 1:1(체적비) 혼합용매로 전개하고, 주생성물을 분별했다. 얻어진 용액으로부터 감압에 의해 용매를 증류제거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6-(4-비닐페닐)-2,4-헥산디온 3.0g(14mmol)을 갈색의 액체로서 얻었다. 수율 56%. 동정은 CHN 원소분석, 1H-NMR로 행했다. 1H NMR:enol; δ7.33(d, J=8.1㎐, 2H, aromatic), 7.14(d, J=8.4㎐, 2H, aromatic), 6.68(dd, J=8.1㎐, 1H, vinylic), 5.70(d, J=17.0㎐, 1H, vinylic), 5.46(s, 1H, enol-methine), 5.20(d, J=11.1㎐, 1H, vinylic), 2.91(t, J=5.7㎐, 2H, methylene), 2.58(t, J=7.3㎐, 2H, methylene), 2.03(s, 3H, methyl). keto;δ7.33(d, J=8.1㎐, 2H, aromatic), 7.14(d, J=8.4㎐, 2H, aromatic), 6.68(dd, J=8.1㎐, 1H, vinylic), 5.70(d, J=17.0㎐, 1H, vinylic), 5.20(d, J=11.1 ㎐, 1H, vinylic), 3.53(s, 2H, C(=0)CH2C(=0)), 2.89(m, 4H, ethylene), 2.19(s, 3H, methyl). enol:keto=6:1. E.A.:Calcd for C14H902: C, 77.75; H, 7.46. Found: C, 77.49; H, 7.52.
Figure 112004008305273-pct00024
rPthrgotj, 스킴(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6-(4-비닐페닐)-2,4-헥산디온과 상법(예를 들면 S. Lamansky, et al., Inorganic Chemistry, 40, 1704(2001)에 기재)에 따라 합성한 디(μ-클로로)테트라키스(2-(2-피리딜)벤조티에닐)디이리듐(이하 간단히, [Ir(btp)2Cl]2라고 함)을 반응시켜서 Ir(btp)2 [1-(St-Me)-acac]를 합성했다. 즉, [Ir(btp)2Cl]2 253㎎(O.20mmol)을 10㎖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이하 간단히 DMF라고 함)에 현탁시키고, 161㎎의 6-(4-비닐페닐)-2,4-헥산디온(0.74mmol)과 64㎎의 탄산나트륨 및 1.9㎎의 2,6-디-tert-부틸-4-, 메틸페놀(이하 간단히 BHT라고 함)(0.0086mmol)을 첨가하여 80℃에서 1시간 가열교반했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에 100㎖의 물과 50㎖의 클로로포름을 첨가해서 잘 흔들고,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후, 회전증발기로 감압건고했다. 다음에 디클로로메탄을 용출액으로서, 거친 정제물을 실리카겔 칼럼으로 정제하여 적갈색의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헥산을 첨가해서 -20℃에서 재결 정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Ir(btp)2[1-(StMe)-acac] 153㎎(0.18mmol)을 적갈색의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47%). 동정은 CHN 원소분석, 1H-NMR로 행했다. 1H NMR: δ8.40(d, J=5.4㎐, 1H, btp), 7.97(d, J=5.4㎐, 1H, btp), 7.65(m, 6H, btp), 7.1_6.7(m, 10H, aromatic), 6.63(dd, J=17.8, 11.1㎐, 1H, vinylic), 6.24(d, J=8.1㎐, 1H, btp), 6.16(d, J=7.8㎐, 1H, btp), 5.65(d, J=17.8㎐, 1H, vinylic), 5.22(s, 1H, diketonate-methine), 5.18(d, J=11.1㎐, 1H, vinylic), 2.56(m, 2H, ethylene), 2.37(m, 2H, ethylene), 1.75(s, 3H, methyl). E.A.:Calcd for C40H31IrN2O2S2: C, 58.02, H, 3.77; N, 3.38. Found: C, 57.79: H, 3.81; N, 3.55
Figure 112004008305273-pct00025
(실시예6-4) 백색 인광발광성 화합물의 합성
실시예6-1∼6-3에서 합성한 발광기능을 갖는 3종류의 단량체 및 홀 수송기능을 갖는 N-비닐카르바졸을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합성했다.
N-비닐카르바졸 1.55g(8.0mmol), Ir(2,4-F-ppy)2(3-ST-pic) 58.0㎎ (0.08mmol), Ir(ppy)2[1-(St-Me)-acac] 1.1㎎(0.0015mmol), Ir(btp)2[1-(StMe)-acac] 1.2㎎(0.0015mmol), AIBN 13㎎(0.08mmol)을 탈수 톨루엔 40㎖에 용해시키고, 다시 1시간 아르곤을 불어넣었다. 이 용액을 80℃까지 승온시키고, 중합반응을 개시시켜서 그대로 8시간 교반했다. 냉각후, 반응액을 메탄올 250㎖중에 적하해서 중합물을 침전시키고, 여과에 의해 회수했다. 또한, 회수한 중합물을 클로로포름 25㎖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메탄올 250㎖중에 적하해서 재침전시킴으로써 정제한 후, 60℃에서 12시간 진공건조시킴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청색, 녹색 및 적색으로 발광하는 3종류의 인광발광성 단위를 갖는 백색 인광발광성 화합물 116.3㎎을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인광발광성 화합물)의 Ir의 원소분석 결과, Ir 착체(인광발광성 단위)의 함유량은 1.07mol%였다. 또한, 공중합체의 클로로포름중의 GPC로부터 중량평균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12400이었다.
(실시예6-5) 유기발광소자의 시작
Ir(MPPy)(PrCOPPy)2/VCz 공중합체로 바꾸고, 실시예6-2에서 합성한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1-3과 마찬가지로 해서 유기발광소자의 시작을 행했다.
이 유기발광소자의 ITO측에 플러스의, Al측에 마이너스의 전압을 인가한 결과, 육안으로 백색의 발광이 관찰되었다.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스펙트럼을 도3에 나타낸다. 3종류의 인광발광성 단위(청색, 녹색, 적색)에 대응하는 발광피크가 각각, 480㎚, 520㎚, 620㎚로 관측되었다. 발광색의 색도는 (0.32, 0.33)이었다.
(실시예7-1) 청색의 인광발광성 부위를 갖는 단량체: 이리듐(III)비스(2-(2,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디나토)(3-(4-비닐페닐)메톡시피콜리나토)(이하 간단히 Ir(2,4-F-ppy)2(3-ST-pic)라고 함)의 합성
스킴(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2-(2,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을 합성했다. 즉, 아르곤 기류하에서 2-브로모피리딘 8.69g(55.0mmol)을 탈수 테트라히드로푸란 200㎖에 용해해서 -78℃까지 냉각하고, 1.6M n-부틸리튬의 헥산용액 38.7㎖(61.9mmol)를 30분에 걸쳐 적하했다. 적하후, 다시 염화아연 7.5g(55.0mmol)을 탈수 테트라히드로푸란(THF) 50㎖에 용해한 용액을 30분에 걸쳐 적하했다. 적하후, 0℃까지 천천히 승온시키고, 1-브로모-2,4-디플루오로벤젠 9.65g(55.0mmol)과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2.31g(2.0mmol)을 첨가하여 환류하에 6시간 교반한 후, 반응액에 포화 식염수 200㎖를 첨가하여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했다. 추출액을 건조후, 농축하여 칼럼 크로파토그래피(실리카겔; 클로로포름: 헥산=1:1(체적비))로 정제함으로써, 2-(2,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을 무색 투명의 오일로서 얻었다. 수량 6.00g. 수율 63%. 동정은 1H-NMR과 CHN 원소분석으로 행했다. 1H-NMR(270㎒, CDCl3), ppm:8.71(d, 1H, J=4.6㎐), 800(td, 1H, J=8.9, 65㎐), 7.8-7.7(m, 2H), 7.3-7.2(over wrapped with CHCl3, 1H), 7.1-6.8(m, 2H). Anal. Found: C 68.98, H 3.80, N 7.31. Calcd: C 69.11, H 3.69, N 7.33.
Figure 112004008305273-pct00026
계속해서, 스킴(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리듐의 2핵착체, 비스(μ-클로로)테트라키스)(2-(2,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디이리듐(III) (이하 간단히 [Ir(2,4-F-ppy)2Cl]2라고 한다)을 합성했다. 즉, 2-(2,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딘 0.96g(5.0mmol)과 헥사클로로이리듐(III)산나트륨 n수화물(와코쥰야쿠고교 제품) 1.00g을 2-에톡시 에탄올:물=3:1의 혼합용매 40㎖에 용해하고, 30분간 아르곤가스를 불어넣은 후, 환류하에 5시간 교반했다. 생성된 침전을 여과하고, 에탄올과 소량의 아세톤으로 세정하고, 진공하에서 5시간 건조함으로써, [Ir(2,4-F-ppy)2Cl]2을 황색분말로서 얻었다. 수량 0.79g. 수율 86%. 동정은 1H-NMR과 CHN 원소분석으로 행했다. 1H-NMR(270㎒, CDCl3), ppm: 9.12(d, 4H, J=5.7㎐), 8.31(d, 4H, J=8.6㎐), 7.83(dd, 4H, J=7.6, 7.6㎐), 6.82(dd, 4H, J=7.3, 7.3㎐), 6.34(ddd, 4H, J=11.6, 10.0, 2.4㎐), 5.29(dd, 4H, J=9.5, 2.4㎐). Anal. Found: C 43.69, H 3.53, N 3.54. Calcd: C 43.88, H 3.45, N 3.56.
Figure 112004008305273-pct00027
계속해서, 스킴(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리듐(III)비스(2-(2,4-디플루오로페닐)피리디나토)(3-히드록시피콜리나토)(이하 간단히 Ir(2,4-F-ppy)2(3-OH-pic)라고 한다)를 합성했다. 즉, [Ir(2,4-F-ppy)2Cl]2 121.6㎎(0.1mmol), 3-히드록시피콜린산 41.7㎎(0.3mmol), 탄산나트륨 106.0㎎(1.0mmol)에 아르곤기류하에서 탈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10㎖를 첨가하여, 80℃에서 2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에 50㎖의 물을 첨가한 후,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그 용액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후, 농축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메탄올:클로로포름=3:97(체적비))로 정제했다. 또한 그것을 헥산/클로로포름으로부터 재결정함으로써 황색의 결정으로서 Ir(2,4-F-ppy)2(3-OH-pic) 101.0㎎을 얻었다. 수율 71%. 동정은 1H-NMR과 CHN 원소분석으로 행했다. 1H-NMR(270㎒, DMSO-d6), ppm: 13.6(br, 1H), 8.50(d, 1H, J=5.9㎐), 8.25(d, 2H, J=11.1㎐), 8.1-8.0(m, 2H), 7.69(d, 1H, J=5.7㎐), 7.62(d, 1H, J=8.1㎐), 7.53(d, 1H, J=4.6㎐), 7.50(d, 1H, J=5.7㎐), 7.36(t, 1H, J=4.5㎐), 7.24(d, 1H, J=5.1㎐), 6.9-6.7(m, 2H), 5.66(dd, 1H, J=8.6, 2.4㎐), 5.48(dd, 1H, J=8.6, 2.4㎐). Anal. Found: C 47.29, H 2.33, N 5.86. Calcd: C 47.32, H 2.27, N 5.91.
Figure 112004008305273-pct00028
계속해서, 스킴(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Ir(2,4-F-ppy)2(3-ST-pic)를 합성했다. 즉, Ir(2,4-F-ppy)2(3-OH-pic) 106.5㎎(0.15mmol), 탄산칼륨 207.3㎎(1.5mmol), 2,6-디-t-부틸히드록시톨루엔 0.3㎎에 아르곤기류하에서 탈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를 첨가하고, 다시 4-비닐벤질클로라이드 91.5㎎(0.6mmol)을 첨가하여 80℃에서 4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에 물 100㎖를 첨가해서 생성물을 침전시켜 여과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메탄올:클로로포름=3:97(체적비))로 정제했다. 또한 그것을 헥산/클로로포름으로부터 재결정함으로써 황색의 결정으로서 Ir(2,4-F-ppy)2(3-ST-pic) 72.0㎎을 얻었다. 수율 58%. 동 정은 1H-NMR과 CHN 원소분석으로 행했다. 1H-NMR(270㎒, DMSO-d6), ppm: 8.59(d, 1H, J=5.1㎐), 8.3-8.2(m, 2H), 8.1-8.0(m, 2H), 7.9(d, 1H, J=8.6㎐), 7.67(d, 1H, J=5.1㎐), 7.6-7.3(m, 7H), 6.9-6,7(m, 3H), 5.85(d, 1H, J=17.8㎐), 5.67(dd, 1H, J=8.9, 2.4㎐), 5.45(dd, 1H, J=8.9, 2.4㎐), 5.29(s, 2H), 5.27(d, 1H, J=11.1㎐). Anal. Found: C 53.71, H 2.90, N 5.03, Calcd: C 53.75, H 2.93, N 5.08.
Figure 112004008305273-pct00029
(실시예7-2) 청색 인광발광부위를 갖는 Ir(2,4-F-ppy)2(3-ST-pic)와 홀 수송성 기능을 갖는 비닐카르바졸의 공중합체(이하 간단히 Ir(2,4-F-ppy)2(3-ST-pic)/VCz 공중합체라고 함)의 합성
N-비닐카르바졸 966㎎(5.0mmol) 및 실시예7-1에서 합성한 Ir(2,4-F-ppy)2(3- ST-pic) 41㎎(0.05mmol), AIBN 8.2㎎(0.05mmol)을 탈수 톨루엔 25㎖에 용해시키고, 다시 1시간 아르곤을 불어넣었다. 이 용액을 80℃까지 승온시키고, 중합반응을 개시하여 그대로 8시간 교반했다. 냉각후, 반응액을 메탄올 250㎖중에 적하해서 중합물을 침전시키고, 여과에 의해 회수했다. 또한, 회수한 중합물을 클로로포름 25㎖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메탄올 250㎖중에 적하해서 재침전시킴으로써 정제한 후, 60℃에서 12시간 진공건조시킴으로써 목적물인 Ir(2,4-F-ppy)2(3-ST-pic)/VCz 공중합체 722㎎을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인광발광성 화합물)의 Ir의 원소분석 결과로부터, Ir 착체(인광발광성 단위)의 함유량은 1.04mol%였다. 또한, 공중합체의 클로로포름중의 GPC로부터 중량평균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11400이었다.
(실시예7-3) 적색 인광발광성 부위를 갖는 [6-(4-비닐페닐)-2,4-헥산디오나토]비스[2-(2-피리딜)벤조티에닐]이리듐(III)과 홀 수송성 기능을 갖는 비닐카르바졸의 공중합체(이하 간단히 Ir(btp)2[1-(StMe)-acac]/VCz 공중합체라고 한다)의 합성
N-비닐카르바졸 1.55g(8.0mmol), 실시예6-3에서 합성한 Ir(btp)2[1-(StMe)-acac] 33.1㎎(0.04mmol), AIBN 13㎎(0.08mmol)을 탈수 톨루엔 40㎖에 용해시키고, 다시 1시간 아르곤을 불어넣었다. 이 용액을 80℃까지 승온시키고, 중합반응을 개시하여 그대로 8시간 교반했다. 냉각후, 반응액을 메탄올 250㎖중에 적하해서 중합물을 침전시키고, 여과에 의해 회수했다. 또한, 회수한 중합물을 클로로포름 25㎖ 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메탄올 250㎖중에 적하해서 재침전시킴으로써 정제한 후, 60℃에서 12시간 진공건조시킴으로써 목적물인 Ir(btp)2[1-(StMe)-acac]/VCz 공중합체 1.12g을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인광발광성 화합물)의 Ir의 원소분석 결과로부터, Ir 착체(인광발광성 단위)의 함유량은 0.59mol%였다. 또한, 공중합체의 클로로포름중의 GPC로부터 중량평균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10800이었다.
(실시예7-4) 유기발광소자의 시작
실시예7-2에서 합성한 1r(2,4-F-ppy)2(3-ST-pic)/VCz 공중합체, 실시예7-3에서 합성한 Ir(btp)2[1-(StMe)-acac]/VCz 공중합체 및 tBu-PBD의 클로로포름 용액을 조제했다. 비율은, Ir(2,4-F-ppy)2(3-ST-plc)/VCz 공중합체가 66.85질량%, Ir(btp)2[1-(StMe)-acac]/VCz 공중합체가 3.15질량%、 tBu-PBD가 30.00질량%로 했다.
이 용액을 ITO가 형성된 유리기판상에 스핀코트해서 두께 100㎚의 막을 형성하고, 그 위에 진공증착법으로 Ca를 10㎚, Al을 100㎚증착해서 음극으로 했다.
얻어진 유기발광소자의 ITO측에 플러스의, Al측에 마이너스의 전압을 인가한 결과, 육안으로 백색의 발광이 관찰되었다.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스펙트럼을 도4에 나타낸다. Ir(2,4-F-ppy)2(3-ST-pic)/VCz 공중합체 및 Ir(btp)2[1-(StMe)-acac]/VCz 공중합체에 대응하는 발광피크 가 각각 480㎚부근과 620㎚부근에 관측되었다. 색도좌표는 (0.30, 0.35)였다.

Claims (34)

  1. 인광을 발광하는 중성의 유기고분자의 인광발광성 화합물로서,
    인광을 발광하는 반복단위인 인광발광성 단위; 및
    캐리어를 수송하는 반복단위인 캐리어 수송성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화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광발광성 단위의 반복수 m 및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반복수 n은,
    m<n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화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광발광성 단위의 반복수 m 및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반복수 n은,
    0.0001≤m/(m+n)≤0.2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화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용제 또는 물에 가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화합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도가 5∼5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화합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광발광성 단위의 인광발광성 부위 및/또는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캐리어 수송성 부위가 측쇄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화합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광발광성 단위의 인광발광성 부위 및 /또는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캐리어 수송성 부위가 주쇄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화합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캐리어 수송성 부위가 홀 수송성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화합물.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캐리어 수송성 부위가 전자 수송성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화합물.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캐리어 수송성 부위가 홀 수송성 부위 및 전자 수송성 부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화합물.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광발광성 단위의 인광발광성 부위가 천이금속 또는 희토류금속의 착체의 1가기 또는 2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화합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천이금속 또는 희토류금속의 착체의 1가기는, 주쇄에 대하여 스페이서 부분을 개재해서 측쇄로서 결합하고,
    상기 스페이서 부분은, 헤테로원자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유기기 또는 탄소원자를 갖지 않는 헤테로 원자수 1∼10의 무기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화합물.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수송성 단위의 캐리어 수송성 부위가 카르바졸의 1가기, 제3급 아민의 1가기, 이미다졸 유도체의 1가기, 트리아졸 유도체의 1가기, 옥사디아졸 유도체의 1가기, 스티렌의 2가기 및 플루오렌의 2가기로 이루어지는 기의 군 및 상기 기를 치환기로 치환한 기의 군으로부터 1종류이상 선택되는 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화합물.
  14.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1색으로 발광하는 1종류 또는 소정의 서로 다른 2색이상으로 발광하는 2종류이상의 인광발광성 단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화합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광발광성 단위는, 청색 또는 녹색 및 황색 또는 적색으로 발광하는 2종류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백색으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화합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광발광성 단위는, 청색, 녹색 및 적색으로 발광하는 3종류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백색으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화합물.
  17. 제1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조성물.
  18. 제14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이고,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인광발광성 단위를 1 또는 2종류이상 갖는 것을 복수배합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백색으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조성물.
  20. 제18항에 있어서, 청색 또는 녹색으로 발광하는 인광발광성 단위를 갖는 인광발광성 화합물 및 황색 또는 적색으로 발광하는 인광발광성 단위를 갖는 인광발광성 화합물을 배합해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백색으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조성물.
  21. 제1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 또는 제17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조성물 및 캐리어 수송성 고분자 화합물을 배합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조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수송성 고분자 화합물은 홀 수송성 고분자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조성물.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수송성 고분자 화합물은 전자 수송성 고분자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조성물.
  24. 제1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 또는 제17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조성물 및 캐리어 수송성 저분자 화합물을 배합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조성물.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수송성 저분자 화합물은 홀 수송성 저분자 화 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조성물.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수송성 저분자 화합물은 전자 수송성 저분자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발광성 조성물.
  27. 양극과 음극에 끼워진 1개 또는 복수의 유기고분자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고분자층의 1층이상은 제1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 또는 제17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28. 양극과 음극에 끼워진 1개 또는 복수의 유기고분자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양극과, 양극이 형성되는 투명기판 사이에 컬러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유기고분자층의 1층이상은 제15항 또는 제16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화합물 또는 제19항 또는 제20항에 기재된 인광발광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플라스틱기판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고분자층은 잉크젯법 또는 인쇄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31. 표시화면을 갖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화면의 각 화소는, 제27항에 기재된 유기발광소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화소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플라스틱기판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고분자층은 잉크젯법 또는 인쇄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34. 표시화면을 갖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화면의 각 화소는, 제28항에 기재된 유기발광소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화소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47002981A 2001-08-31 2002-08-30 인광발광성 화합물, 인광발광성 조성물 및 유기발광소자 KR100578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65033 2001-08-31
JP2001265033 2001-08-31
JPJP-P-2002-00079129 2002-03-20
JP2002079129 2002-03-20
JPJP-P-2002-00112352 2002-04-15
JP2002112352A JP4574936B2 (ja) 2001-08-31 2002-04-15 燐光発光性化合物及び燐光発光性組成物
PCT/JP2002/008839 WO2003018653A1 (en) 2001-08-31 2002-08-30 Phosphor light-emitting compound, phosphor light-emitting composition, and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313A KR20040039313A (ko) 2004-05-10
KR100578298B1 true KR100578298B1 (ko) 2006-05-11

Family

ID=27347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981A KR100578298B1 (ko) 2001-08-31 2002-08-30 인광발광성 화합물, 인광발광성 조성물 및 유기발광소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3) EP2159237A1 (ko)
JP (1) JP4574936B2 (ko)
KR (1) KR100578298B1 (ko)
CN (1) CN100487008C (ko)
AT (1) ATE529455T1 (ko)
ES (1) ES2373843T3 (ko)
WO (1) WO20030186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6838B2 (en) * 2000-06-12 2012-06-26 Sumitomo Chemical Co., Ltd. Polymer matrix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SG92833A1 (en) 2001-03-27 2002-11-19 Sumitomo Chemical Co Polymeric light emitting substance and polymer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JP4848999B2 (ja) * 2001-03-27 2011-12-28 住友化学株式会社 高分子発光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分子発光素子
JP4629643B2 (ja) * 2001-08-31 2011-02-09 日本放送協会 有機発光素子及び表示装置
JP4775227B2 (ja) * 2001-11-09 2011-09-21 昭和電工株式会社 重合性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0209652D0 (en) 2002-04-26 2002-06-05 Univ Cambridge Tech Solution-processable phosphorescent materials
WO2003102109A1 (de) * 2002-06-04 2003-12-11 H.C. Starck Gmbh Phosphoreszierende und lumineszierende konjugierte polymere und deren anwendung in elektrolumineszierenden anordnungen
JP2004027088A (ja) * 2002-06-27 2004-01-29 Jsr Corp 燐光発光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発光性組成物
US7090929B2 (en) * 2002-07-30 2006-08-1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allic complexes covalently bound to conjugated polymers and electronic devices containing such compositions
JP4666338B2 (ja) * 2003-04-30 2011-04-06 昭和電工株式会社 金錯体構造を有する有機高分子発光素子材料および有機高分子発光素子
JP4635873B2 (ja) * 2003-08-05 2011-02-23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用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
WO2005019374A1 (ja) * 2003-08-21 2005-03-03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TW200526694A (en) * 2003-08-29 2005-08-16 Showa Denko Kk Phosphorescent polymer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DE10343606A1 (de) 2003-09-20 2005-04-14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Weiß emittierende Copolymere, deren Darstellung und Verwendung
US20070248839A1 (en) 2003-11-10 2007-10-25 Towns Carl R Dibenzosilol Polymers, Their Preparation and Uses
GB0329364D0 (en) 2003-12-19 2004-01-21 Cambridge Display Tech Ltd Optical device
CA2551723C (en) 2003-12-24 2012-01-03 Shinichiro Isobe Single-laye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JP4649843B2 (ja) * 2004-02-20 2011-03-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JP4649842B2 (ja) * 2004-02-20 2011-03-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JP4956885B2 (ja) * 2004-03-10 2012-06-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DE102004032527A1 (de) 2004-07-06 2006-02-02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Elektrolumineszierende Polymere
KR100668305B1 (ko) * 2004-10-01 2007-01-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시클로메탈화 전이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GB2470145B (en) * 2004-12-13 2011-02-16 Cdt Oxford Ltd Phosphorescent materials
GB0427266D0 (en) 2004-12-13 2005-01-12 Cambridge Display Tech Ltd Phosphorescent OLED
JP4363319B2 (ja) * 2004-12-14 2009-11-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9179518B2 (en) 2004-12-24 2015-11-03 Cambridge Display Technology Limited Light emissive device
DE112005003284B4 (de) 2004-12-29 2016-03-03 Cambridge Display Technology Ltd. Starre Amine
GB0428444D0 (en) 2004-12-29 2005-02-02 Cambridge Display Tech Ltd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s in opto-electrical devices
GB0428445D0 (en) 2004-12-29 2005-02-02 Cambridge Display Tech Ltd Blue-shifted triarylamine polymer
JP5031276B2 (ja) * 2005-06-14 2012-09-19 昭和電工株式会社 高分子発光材料、ならびに高分子発光材料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表示装置
WO2006135076A1 (en) 2005-06-14 2006-12-21 Showa Denko K.K. Light emitting polymer material,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light emitting polymer material
DE102005032332A1 (de) * 2005-07-08 2007-01-11 Merck Patent Gmbh Metallkomplexe
GB0514476D0 (en) 2005-07-14 2005-08-17 Cambridge Display Tech Ltd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s in opto-electrical devices
JP2007059783A (ja) * 2005-08-26 2007-03-08 Showa Denko Kk 有機el素子、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JP5573853B2 (ja) * 2005-09-14 2014-08-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790382B2 (ja) * 2005-11-14 2011-10-12 昭和電工株式会社 高分子発光材料、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表示装置
JP4790383B2 (ja) * 2005-11-14 2011-10-12 昭和電工株式会社 高分子発光材料、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表示装置
JP4790381B2 (ja) * 2005-11-14 2011-10-12 昭和電工株式会社 高分子発光材料、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表示装置
DE102005056180B4 (de) 2005-11-18 2009-01-08 Samsung Sdi Germany Gmbh Emitterpolymer,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JP4932233B2 (ja) * 2005-11-24 2012-05-16 昭和電工株式会社 高分子発光材料、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表示装置
JP4932239B2 (ja) * 2005-11-30 2012-05-16 昭和電工株式会社 高分子発光材料、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表示装置
JP4932238B2 (ja) * 2005-11-30 2012-05-16 昭和電工株式会社 高分子発光材料、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表示装置
JP4932246B2 (ja) * 2005-12-15 2012-05-16 昭和電工株式会社 高分子発光材料、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表示装置
JP5043332B2 (ja) * 2005-12-15 2012-10-10 昭和電工株式会社 高分子発光材料、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表示装置
JP5043334B2 (ja) * 2005-12-19 2012-10-10 昭和電工株式会社 高分子発光材料、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表示装置
JP2007173464A (ja) * 2005-12-21 2007-07-05 Fuji Xerox Co Ltd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画像表示媒体
GB0526185D0 (en) 2005-12-22 2006-02-01 Cambridge Display Tech Ltd Electronic device
GB2433509A (en) 2005-12-22 2007-06-27 Cambridge Display Tech Ltd Arylamine polymer
GB2433833A (en) 2005-12-28 2007-07-04 Cdt Oxford Ltd Micro-cavity OLED layer structure with transparent electrode
GB2434915A (en) 2006-02-03 2007-08-08 Cdt Oxford Ltd Phosphoescent OLED for full colour display
US20080061686A1 (en) * 2006-03-22 2008-03-13 Jie Liu Phosphorescent light-emitting materials and methods of preparing
JP2007262135A (ja) * 2006-03-27 2007-10-11 Showa Denko Kk 高分子発光材料、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表示装置
JP4994688B2 (ja) 2006-03-27 2012-08-08 昭和電工株式会社 キャリア輸送性および燐光発光性を有する化合物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GB2440934B (en) 2006-04-28 2009-12-16 Cdt Oxford Ltd Opto-electrical polymers and devices
JP5105782B2 (ja) * 2006-06-29 2012-12-26 昭和電工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表示装置
WO2008015426A1 (en) 2006-08-01 2008-02-07 Cambridge Display Technology Limited Opto-electrical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GB0617167D0 (en) 2006-08-31 2006-10-11 Cdt Oxford Ltd Compounds for use in opto-electrical devices
SG174049A1 (en) * 2006-09-05 2011-09-29 Showa Denko Kk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and use thereof
GB0620045D0 (en) 2006-10-10 2006-11-22 Cdt Oxford Ltd Otpo-electrical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851579B2 (en) * 2006-12-11 2010-12-14 General Electric Company Carbazolyl polymers for organic electronic devices
DE102007002420A1 (de) 2007-01-17 2008-07-24 Universität Regensburg Polymere Anionen/Kationen
KR101418113B1 (ko) 2007-03-02 2014-07-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광 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JP4811314B2 (ja) * 2007-03-27 2011-1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デバイス
JP2008280524A (ja) * 2007-04-13 2008-11-20 Hitachi Chem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ニクス用材料、有機エレクトロニクス素子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
US20080262184A1 (en) * 2007-04-17 2008-10-23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azolyl(meth)acrylate light emissive compositions
US8426037B2 (en) 2007-07-13 2013-04-23 Showa Denko K.K. Triazine ring-containing polymer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using the polymer compound
CN101689613B (zh) * 2007-07-13 2011-12-14 昭和电工株式会社 使用含三嗪环的高分子化合物而成的有机发光元件
WO2009034987A1 (ja) * 2007-09-14 2009-03-19 Showa Denko K.K. 燐光発光性高分子化合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GB2454890B (en) 2007-11-21 2010-08-25 Limited Cambridge Display Technology Light-emitting device and materials therefor
JP5591713B2 (ja) * 2007-12-17 2014-09-17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光電子デバイス用発光性ポリマー材料
GB2455747B (en) 2007-12-19 2011-02-09 Cambridge Display Tech Ltd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ing solution processing techniques
GB2456788B (en) * 2008-01-23 2011-03-09 Cambridge Display Tech Ltd White light emitting material
JP5026533B2 (ja) 2008-02-15 2012-09-12 昭和電工株式会社 電極の表面処理方法および電極ならびに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製造方法
GB2458454B (en) 2008-03-14 2011-03-16 Cambridge Display Tech Ltd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ing solution processing techniques
GB2459895B (en) 2008-05-09 2011-04-27 Cambridge Display Technology Limited Organic light emissive device
JP5609022B2 (ja) * 2008-06-23 2014-10-22 住友化学株式会社 金属錯体の残基を含む高分子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素子
JP5353509B2 (ja) * 2008-07-16 2013-11-27 国立大学法人群馬大学 新規錯体化合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酸素濃度測定試薬および癌の診断薬
DE102008033929A1 (de) * 2008-07-18 2010-01-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Phosphoreszente Metallkomplexverbind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dazu und strahlungsemittierendes Bauelement
GB2462410B (en) 2008-07-21 2011-04-27 Cambridge Display Tech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light-emissive devices
GB2462122B (en) 2008-07-25 2013-04-03 Cambridge Display Tech Ltd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GB2462314B (en) 2008-08-01 2011-03-16 Cambridge Display Tech Ltd Organic light-emiting materials and devices
GB0814161D0 (en) 2008-08-01 2008-09-10 Cambridge Display Tech Ltd Blue-light emitting material
US20100033082A1 (en) * 2008-08-07 2010-02-1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Manufacture of a Multi-Layer Phosphorescent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Articles Thereof
GB0814971D0 (en) 2008-08-15 2008-09-24 Cambridge Display Tech Ltd Opto-electrical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GB2462688B (en) 2008-08-22 2012-03-07 Cambridge Display Tech Ltd Opto-electrical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08057051B4 (de) * 2008-11-13 2021-06-17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JP5156657B2 (ja) * 2009-01-27 2013-03-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el発光装置
TWI468493B (zh) * 2009-02-27 2015-01-11 Nippon Steel & Sumikin Chem Co A polymer luminescent material,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GB0906554D0 (en) 2009-04-16 2009-05-20 Cambridge Display Tech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GB2469500B (en) 2009-04-16 2012-06-06 Cambridge Display Tech Ltd Method of forming a polymer
GB2469498B (en) 2009-04-16 2012-03-07 Cambridge Display Tech Ltd Polymer and polymerisation method
GB2469497B (en) 2009-04-16 2012-04-11 Cambridge Display Tech Ltd Polymers comprising fluorene derivative repeat units and their preparation
JP5513496B2 (ja) 2009-05-19 2014-06-04 昭和電工株式会社 電極の表面処理方法および電極ならびに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製造方法
DE102009023154A1 (de) * 2009-05-29 2011-06-16 Merck Patent Gmbh Zusammensetzung, enthaltend mindestens eine Emitterverbindung und mindestens ein Polymer mit konjugationsunterbrechenden Einheiten
WO2010149259A2 (en) 2009-06-22 2010-12-29 Merck Patent Gmbh Conducting formulation
CN102474929A (zh) 2009-07-21 2012-05-23 昭和电工株式会社 发光元件、发光元件的制造方法、图像显示装置和照明装置
CN102597121B (zh) 2009-10-27 2015-04-22 三星电子株式会社 阳极缓冲层用组合物、阳极缓冲层用高分子化合物、有机电致发光元件、其制造方法及其用途
GB2475246B (en) 2009-11-10 2012-02-29 Cambridge Display Tech Ltd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and method
GB2475247B (en) 2009-11-10 2012-06-13 Cambridge Display Tech Ltd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and method
JP5840621B2 (ja) 2009-12-23 2016-01-06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有機半導体化合物を含む組成物
CN101775282A (zh) * 2010-03-16 2010-07-14 西安近代化学研究所 一种含铱磷光聚合物有机电致发光材料
EP2559079B1 (en) 2010-04-12 2020-04-01 Merck Patent GmbH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organic electronic devices
JP2013533603A (ja) * 2010-05-05 2013-08-22 コモンウェルス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アンドインダストリアル リサーチ オーガナイゼーション ポリマー系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素子
GB2487342B (en) 2010-05-14 2013-06-19 Cambridge Display Tech Ltd Host polymer comprising conjugated repeat units and non-conjugated repeat units for light-emitting compositions,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GB2484253B (en) 2010-05-14 2013-09-11 Cambridge Display Tech Ltd Organic light-emitting composition and device
CN102907172A (zh) 2010-05-26 2013-01-30 昭和电工株式会社 发光元件、图像显示装置和照明装置
WO2011147523A1 (en) 2010-05-27 2011-12-01 Merck Patent Gmbh Formulation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organic electronic devices
EP2576723B1 (en) * 2010-05-27 2017-09-20 Merck Patent GmbH Compositions comprising quantum dots
KR20130058732A (ko) 2010-09-02 2013-06-04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계발광 소자, 전계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
DE102010048608A1 (de) 2010-10-15 2012-04-19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GB2485001A (en) 2010-10-19 2012-05-02 Cambridge Display Tech Ltd OLEDs
JP5912135B2 (ja) 2011-01-31 2016-04-27 ケンブリッジ ディスプレイ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ポリマー
GB2494096B (en) 2011-01-31 2013-12-18 Cambridge Display Tech Ltd Polymer
WO2012111680A1 (en) * 2011-02-16 2012-08-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body, light-emitting layer, and light-emitting device
JP2012195572A (ja) 2011-02-28 2012-10-11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層および発光素子
GB201107905D0 (en) 2011-05-12 2011-06-22 Cambridge Display Tech Ltd Light-emitting material, composition and device
KR101986859B1 (ko) 2011-07-04 2019-06-07 캠브리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중합체, 단량체 및 중합체의 형성 방법
CN102344528A (zh) * 2011-07-08 2012-02-08 南京邮电大学 一种具有电双稳性质的聚合物材料及其应用
EP2546901A1 (en) * 2011-07-13 2013-01-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Wavelength converting element
EP2737555A2 (en) 2011-07-25 2014-06-04 Merck Patent GmbH Polymers and oligomers with functionalized side groups
EP2737553A1 (en) * 2011-07-25 2014-06-04 Merck Patent GmbH Copolymers with functionalized side chains
DE102011079847A1 (de) 2011-07-26 2013-01-31 Eberhard-Karls-Universität Tübingen Komplexverbindungen mit anionischen Liganden mit zwei P-Donoren und ihre Verwendung im opto-elektronischen Bereich
DE102011079856A1 (de) 2011-07-26 2013-01-31 Eberhard-Karls-Universität Tübingen Komplexverbindungen mit einem Liganden mit einem N- und einem P-Donor und ihre Verwendung im opto-elektronischen Bereich
DE102011079857B4 (de) 2011-07-26 2013-03-21 Eberhard-Karls-Universität Tübingen Komplexverbindungen mit vierzähnigen Liganden und ihre Verwendung im opto-elektronischen Bereich
GB2505893A (en) 2012-09-13 2014-03-19 Cambridge Display Tech Ltd Compounds for use in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s
JP6271154B2 (ja) * 2013-05-10 2018-01-31 住友化学株式会社 発光素子
JP5823585B2 (ja) * 2013-08-28 2015-11-25 住友化学株式会社 燐光発光材料を含有する液状組成物
US10950803B2 (en) * 2014-10-13 2021-03-1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Compounds and uses in devices
WO2016116530A1 (de) * 2015-01-20 2016-07-28 Cynora Gmbh Zusammensetzungen, insbesondere zur verwendung in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en
KR102587272B1 (ko) * 2015-08-14 2023-10-10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유기 전계발광 소자용 페녹사진 유도체
DE102016102963A1 (de) * 2016-02-19 2017-08-24 Osram Oled Gmbh Organisches lichtemittierend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rganischen lichtemittierenden Bauelements
CN111234083B (zh) * 2020-02-24 2021-07-02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基于空间电荷转移效应的荧光/磷光混合型白光高分子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269344B (zh) * 2020-02-25 2023-07-04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基于空间电荷转移效应的白光荧光高分子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961275B (zh) * 2021-02-09 2022-04-26 福建师范大学 微波辐射合成无金属无重原子长寿命室温磷光聚合物方法
CN114409856B (zh) * 2022-01-27 2023-12-29 南京邮电大学 一类检测氧气的荧光/磷光发光寿命聚合物探针及其应用
CN114805699B (zh) * 2022-03-16 2023-09-01 南京邮电大学 同时检测HClO和pH的荧光/磷光发光寿命响应型聚合物探针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4868B2 (ja) * 1990-10-19 1998-07-09 日本石油株式会社 重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磁性体
DE4305959A1 (de) * 1993-02-26 1994-09-01 Bayer Ag Lumineszierende Copolymere
JPH0820614A (ja) * 1994-07-07 1996-01-23 Chisso Corp 共重合体、その製造法及びそれを用いた発光素子
JP3550741B2 (ja) * 1994-08-05 2004-08-04 チッソ株式会社 カルバゾール誘導体とアントラセン誘導体との共重合体を用いた電界発光素子
JP3458498B2 (ja) * 1994-12-01 2003-10-20 チッソ株式会社 白色発光素子
EP1715020A3 (en) * 1994-12-28 2007-08-29 Cambridge Display Technology Limited Polymers for use in optical devices
DE19511484A1 (de) 1995-03-29 1996-10-02 Bayer Ag (Co)Polymerisate auf Basis von Vinyl-Einheiten und ihre Verwendung in elektrolumineszierenden Anordnungen
JPH101665A (ja) * 1996-06-18 1998-01-06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電界発光素子
DE19632949A1 (de) * 1996-08-16 1998-02-19 Bayer Ag (Co)Polymerisate auf Basis von Vinyl-Einheiten und ihre Verwendung in elektrolumineszierenden Anordnungen
FR2757525B1 (fr) * 1996-12-24 1999-03-26 Thomson Csf Polymeres injecteurs de trous photopolymerisables et application en visualisation
JPH1174077A (ja) * 1997-08-28 1999-03-16 Junji Kido ビニル系重合体を用いた積層型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EP0992564A4 (en) * 1998-04-09 2006-09-27 Idemitsu Kosan Co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JP2000239318A (ja) * 1999-02-19 2000-09-05 Sharp Corp スチレン誘導体化合物及びポリスチレン誘導体化合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
JP2001151868A (ja) * 1999-11-24 2001-06-05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機能性共重合高分子及びそれを使用した有機電界発光素子、光メモリ、正孔移動素子
US6565994B2 (en) 2000-02-10 2003-05-20 Fuji Photo Film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material comprising iridium complex an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same material
JP4048521B2 (ja) 2000-05-02 2008-02-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発光素子
JP3972565B2 (ja) * 2000-08-09 2007-09-05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重合性環状構造を有する化合物又はその重合体ならびに蛍光性薄膜
JP4629894B2 (ja) * 2001-03-29 2011-02-09 三井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ポリイミドの製造方法
KR100376286B1 (ko) * 2001-03-29 2003-03-17 광주과학기술원 비닐-페닐 피리딘 단량체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분자
JP4212802B2 (ja) * 2001-12-04 2009-01-21 昭和電工株式会社 重合性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93949B2 (ja) * 2001-11-15 2007-03-14 昭和電工株式会社 重合性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35976B2 (ja) * 2001-10-02 2008-01-23 昭和電工株式会社 重合性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86004B2 (ja) * 2001-08-09 2012-07-25 昭和電工株式会社 重合性イリジウム錯体、その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51876B2 (ja) * 2001-11-09 2007-08-01 昭和電工株式会社 重合性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90242B2 (ja) 2002-03-26 2007-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高分子化合物及び電界発光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74936B2 (ja) 2010-11-04
ATE529455T1 (de) 2011-11-15
ES2373843T3 (es) 2012-02-09
CN100487008C (zh) 2009-05-13
JP2003342325A (ja) 2003-12-03
CN1547597A (zh) 2004-11-17
EP1424350A4 (en) 2007-10-03
EP1424350A1 (en) 2004-06-02
KR20040039313A (ko) 2004-05-10
EP2159237A1 (en) 2010-03-03
EP2154165A1 (en) 2010-02-17
WO2003018653A1 (en) 2003-03-06
EP2154165B1 (en) 2011-10-19
EP1424350B1 (en)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8298B1 (ko) 인광발광성 화합물, 인광발광성 조성물 및 유기발광소자
JP4629643B2 (ja) 有機発光素子及び表示装置
US7250226B2 (en) Phosphorescent compound, a phosphorescent composition and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JP5008835B2 (ja) 高分子発光材料および有機発光素子
JP7021948B2 (ja) ポリマー主鎖中に発光繰り返し単位を含む有機発光ポリマ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バイス
KR101119982B1 (ko) 인광성 폴리머 화합물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발광 소자
KR101187994B1 (ko) 트리아진환 함유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한 유기 발광 소자
JP5496084B2 (ja) 電荷輸送性高分子化合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7514832A (ja) ポリマーマトリックス電子発光材料及び装置
KR101187949B1 (ko) 트리아진환 함유 고분자 화합물 및 상기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한 유기 발광 소자
JP4780696B2 (ja) 燐光発光性高分子化合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TWI424043B (zh)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using a phosphorescent compound
KR100886949B1 (ko) 실리콘 또는/및 주석을 포함하는 비닐단위를 기본으로 하는oled 유기막용 고분자 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 소자
KR101176278B1 (ko) 인광 발광성 중합체 화합물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20060113881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재료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070001090A (ko) 붕소 함유 폴리머 화합물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발광소자
JP2011001553A (ja) 燐光発光性化合物、燐光発光性組成物、有機発光素子、及び表示装置
JP2005029782A (ja) 金属配位化合物を含有する高分子共重合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
JP4380431B2 (ja) 金属配位化合物を含有する高分子共重合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
JP5014705B2 (ja) 燐光発光性化合物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924784B2 (ja) 電子輸送材料および該電子輸送材料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JPH08190986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4288623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