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133B1 - 정보 저장 매체,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 카트리지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저장 매체,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 카트리지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133B1
KR100473133B1 KR10-2002-0036563A KR20020036563A KR100473133B1 KR 100473133 B1 KR100473133 B1 KR 100473133B1 KR 20020036563 A KR20020036563 A KR 20020036563A KR 100473133 B1 KR100473133 B1 KR 100473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tact
contact
main body
substrate
abu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9391A (ko
Inventor
가라까마도시유끼
시라또리다쯔야
고또신지
이소베히로노부
노다신야
노나까후미또
모리도모노리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9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1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78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03G21/1882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details of the communication with memory, e.g.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 G03G21/1885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details of the communication with memory, e.g.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position of the memory; memory housings; electro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G03G21/1871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 G03G2215/0697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being an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6Electrical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보 저장 매체는 기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저장 요소, 저장 요소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저장 요소를 덮는 보호부, 저장 요소가 제공되는 기판의 측부상의 상기 보호부 옆에 제공되고 저장 요소와 전기 접속되는 전기 접점, 및 상기 전기 접점 상에 제공된 활주 영역을 가진다.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저장 매체가 장치 본체 상에 장착될 때, 전기 접점은 장치 본체 상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한다. 또한, 전기 접점과 본체 전기 접점이 상호 접촉할 때, 본체 전기 접점은 활주 영역에서 전기 접점 상에서 활주한다.

Description

정보 저장 매체,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INFORMATION STORING MEDIUM, UNIT,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된 정보 저장 매체,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탈거식으로 장착가능한 유닛, 현상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전기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일예로는 전자사진 복사기, 전자사진 프린터(예컨대 레이저 비임 프린터, LED 프린터등), 팩스기, 워드 프로세서 등이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프로세스 수단으로 각각 기능하는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이 전자사진 감광체와 함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탈거식으로 장착가능한 카트리지로 일체로 조합시킨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체를 프로세스 수단으로 각각 기능하는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중 적어도 하나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카트리지로 일체로 조합시킨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프로세스 수단으로 기능하는 적어도 현상 수단을 전자사진 감광체와 함께 장치 본체의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카트리지로 일체로 조합시킨다.
현상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을 (이후로는 "토너"로 지칭될) 현상제를 내장하기 위한 (이후로는 "토너 내장부"로 지칭될) 현상제 용기와 함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카트리지로 일체로 조합시킨다.
또한, 유닛은 전자사진 감광체만을 구비한다. 선택적으로는, 유닛은 현상 수단과 세척 수단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 수단을 구비한다. 소정의 경우에 있어서, 유닛은 고정 수단 등을 구비한다. 이 유닛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하다.
사용자가 장치 본체에서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현상 카트리지를 혼자서 탈부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어려움없이 장치 본체에 대해 유지보수를 수행하게 된다.
통상적으로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는, 전자사진 감광체가 이 전자사진 감광체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카트리지로 일체로 조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이 채용된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으로, 사용자는 서비스맨에 의존하지 않고 장치에 대한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고, 이로써 작동성 면에서 실질적인 개선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널리 사용된다.
또한, 최근에는, 여러 종류의 서비스 정보 및 프로세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저장 소자)가 카트리지에 장착된 제품이 구현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로는, 화질과 카트리지 유지보수의 용이성은 이 카트리지의 메모리 정보를 사용하여 개선된다. 또한, 소정의 경우에 있어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상에 제공된 커넥터와의 전기 접속을 통해 카트리지의 메모리와의 전기통신이 수행된다.
그러나, 종래의 접촉 커넥터가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신뢰성있는 전기 접속을 구현하기 위해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의 통신 기구와 카트리지측 상의 메모리의 접점은 복잡해지고, 프린터와 같은 장치의 크기 및 비용을 감소시키기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미해결된 문제점에 대한 관점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 저장 매체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장치 본체 상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이 안정적으로 신뢰성있게 정보 저장 매체의 전기 접점과 접촉하는 정보 저장 매체,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기 감소와 공간 절감을 구현하는 정보 저장 매체,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보 저장 매체의 전기 접점이 장치 본체 상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할 때 신뢰성있게 접촉 조건을 유지할 수 있는 정보 저장 매체,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산된 현상제 등이 본체 전기 접점 또는 전기 접점에 접착되어도 이 접착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신뢰성있는 전기 접속을 보장할 수 있는 정보 저장 매체,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저장 요소, 상기 저장 요소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저장 요소를 덮는 보호부, 상기 저장 요소가 제공되는 상기 기판의 측부상의 상기 보호부 옆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 요소와 전기 접속되는 전기 접점, 및 상기 전기 접점 상에 제공된 활주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 매체가 상기 본체 상에 장착될 때, 상기 전기 접점은 상기 장치 본체 상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고, 상기 전기 접점과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상호 접촉할 때,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활주 영역의 상기 전기 접점 상에서 활주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는 정보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저장 요소, 상기 저장 요소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저장 요소를 덮는 보호부, 상기 저장 요소가 제공되는 상기 기판의 측부상의 상기 보호부 옆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 요소와 전기 접속되는 전기 접점, 및 상기 전기 접점 상에 제공된 활주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 저장 매체와, 상기 정보 저장 매체가 장착되는 정보 저장 매체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이 상기 장치 본체 상에 장착될 때, 상기 전기 접점은 상기 장치 본체 상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고, 상기 전기 접점과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상호 접촉할 때,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활주 영역의 상기 전기 접점 상에서 활주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 사진 감광체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 상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기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저장 요소, 상기 저장 요소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저장 요소를 덮는 보호부, 상기 저장 요소가 제공되는 상기 기판의 측부상의 상기 보호부 옆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 요소와 전기 접속되는 전기 접점, 및 상기 전기 접점 상에 제공된 활주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 저장 매체와, 상기 정보 저장 매체가 장착되는 정보 저장 매체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 상에 장착될 때, 상기 전기 접점은 상기 장치 본체 상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고, 상기 전기 접점과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상호 접촉할 때,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활주 영역의 상기 전기 접점 상에서 활주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사진 감광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과, 기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저장 요소, 상기 저장 요소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저장 요소를 덮는 보호부, 상기 저장 요소가 제공되는 상기 기판의 측부상의 상기 보호부 옆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 요소와 전기 접속되는 전기 접점, 및 상기 전기 접점 상에 제공된 활주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 저장 매체와, 상기 정보 저장 매체가 장착되는 정보 저장 매체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 상에 장착될 때, 상기 전기 접점은 상기 장치 본체 상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고, 상기 전기 접점과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상호 접촉할 때,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활주 영역의 상기 전기 접점 상에서 활주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 본체 전기 접점과, (ii) 전자사진 감광체; 상기 전자 사진 감광체 상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 기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저장 요소, 상기 저장 요소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저장 요소를 덮는 보호부, 상기 저장 요소가 제공되는 상기 기판의 측부상의 상기 보호부 옆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 요소와 전기 접속되는 전기 접점, 및 상기 전기 접점 상에 제공된 활주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 저장 매체; 및 상기 정보 저장 매체가 장착되는 정보 저장 매체 장착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분해식으로 장착하는 장착 수단과, (iii) 상기 기록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 매체가 상기 본체 상에 장착될 때, 상기 전기 접점은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고, 상기 전기 접점과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상호 접촉할 때,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활주 영역의 상기 전기 접점 상에서 활주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거가능하게 장착되어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 본체 전기 접점과, (ii) 전자사진 감광체; 상기 전자 사진 감광체 상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 기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저장 요소, 상기 저장 요소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저장 요소를 덮는 보호부, 상기 저장 요소가 제공되는 상기 기판의 측부상의 상기 보호부 옆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 요소와 전기 접속되는 전기 접점, 및 상기 전기 접점 상에 제공된 활주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 저장 매체; 및 상기 정보 저장 매체가 장착되는 정보 저장 매체 장착부를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를 분해식으로 장착하는 장착 수단과, (iii) 상기 기록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 매체가 상기 본체 상에 장착될 때, 상기 전기 접점은 상기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고, 상기 전기 접점과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상호 접촉할 때,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활주 영역의 상기 전기 접점 상에서 활주하는, 현상 카트리지가 탈거가능하게 장착되어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한다. 이 장치는 레이저 다이오드, 다각 미러, 렌즈 및 반사 미러를 갖는 광학 수단(1)을 구비하고 광학 수단(1)으로부터 획득된 화상 정보에 의해 레이저 광을 조사한다. 이 조사의 결과로, 정전 잠상은 드럼 현상을 갖는 전자사진 감광체인 감광체 드럼(11) 상에 화상 정보에 의해 형성된다. 이 정전 잠상은 현상 수단에 의해 현상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조)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프로세스 수단중 하나인 현상 수단은 감광체 드럼(11)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 롤러(21)와, 현상 롤러(21)의 표면에 접착되는 현상제량을 조절하기 위한 현상 블레이드(22)를 구비한다. 또한, 현상 장치인 현상 유닛(20)은 현상 롤러(21), 현상 블레이드(22), 이 부품(21, 22)을 보유하는 현상 프레임(23), 및 현상제를 내장한 토너 내장부(24a)를 갖는 토너 용기(24)를 결합시킴으로써 구성된다.
현상 프레임(23)은 현상 챔버(23a)를 구비한다. 현상 챔버(23a)에 인접한 토너 내장부(24a)의 토너는 토너 급송 부재(25)의 회전에 의해 현상 챔버(23a)의 현상 롤러(21)로 급송된다. 현상 프레임(23)은 현상 롤러(21) 부근에 회전식 토너 교반 부재(26)를 구비한다. 이 현상 프레임(23)은 토너 내장부(24a)로부터 급송된 현상 챔버(23a)의 토너를 또한 순환시킨다. 또한, 토너는 자성을 가지며 고정 자석은 현상 롤러(21) 내에 내장된다. 이 구조로, 토너는 현상 롤러(21) 상에 접착된다.
또한, 현상 롤러(21)를 회전시킴으로써, 토너는 반송되고 현상 블레이드(22)에 의해 마찰 대전된다. 그런 후, 소정의 두께를 갖는 토너층은 현상 롤러(21) 상에 형성되어 감광체 드럼(11)의 현상 영역으로 반송된다. 이 현상 영역에 공급된 토너는 감광체 드럼(11)의 잠상 상에 전사되어, 이로써 감광체 드럼(11)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현상 롤러(21)가 장치 본체 상에 제공된 현상 편의 회로에 연결된다는 것에 유의하자. 그런 후, 통상의 경우에 있어서, DC 전압이 AC 전압에 중첩된 현상 편의 전압이 인가된다.
한편, 시트 급송 시스템(3)은 토너 화상의 형성과 동기식으로 픽업 롤러(3b)와 이송 롤러 쌍(3c, 3d, 3e)를 사용하여 전사 위치로 시트 급송 카세트(3a)에 설정된 기록 매체(P)를 이송한다. 전사 수단으로 기능하는 전사 롤러(4)는 전사 위치에 배열되어 감광체 드럼(11) 상의 토너 화상은 전압의 인가에 의해 기록 매체(P) 상으로 전사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기록 매체(P)는 이송 가이드(3f)에 의해 고정 수단(5)으로 이송된다. 고정 수단(5)은 히터(5a)가 내장된 고정 롤러(5b)와 구동 롤러(5c)를 구비하고, 이 롤러들 사이를 지나가는 기록 매체(P) 상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기록 매체(P) 상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고정시킨다.
기록 매체(P)는 토출 롤러쌍(3g, 3h)에 의해 이송되어, 가역 통로(3j)를 통해 토출 트레이(6)로 토출된다. 이 토출 트레이(6)는 장치 본체의 상부면 상에 제공된다. 요동성 플래퍼(flapper, 3k)가 작동될 때, 가역 통로(3j)를 우회함으로써 기록 매체(P)를 토출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하자. 전술된 바와 같이, 시트 이송 시스템(3)은 픽업 롤러(3b), 이송 롤러쌍(3c, 3d, 3e), 이송 가이드(3f) 및 토출 롤러쌍(3g, 3h)으로 구성된다.
토너 화상이 전사 롤러(4)에 의해 기록 매체(P) 상으로 전사된 후에, 감광체 드럼(11) 상에 잔류한 토너는 세척 수단(12)에 의해 제거된다. 이에 이어, 감광체 드럼(11)은 다음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사용된다. 세척 수단(12)은 감광체 드럼(11)에 대항하여 맞닿도록 제공된 세척 블레이드(12a)를 사용하여 감광체 드럼(11) 상의 잔류 토너를 벗겨낸다. 벗겨진 토너는 폐토너 저장소(12b)에 수집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조)
프로세스 카트리지(2)로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24)는 현상 롤러(21)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23)에 용접되어 현상 유닛(20, 현상 장치)을 일체로 형성한다. 토너 용기(24)는 토너를 내장한 토너 내장부(24a)와 토너 내장부(24a)의 토너를 현상 챔버(23a)에 공급하기 위한 토너 공급 개구(24b)를 형성하고, 토너 내장부(24a)에 토너 급송 부재(25)를 회전식으로 지지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사용될 때까지 토너 공급 개구(24b)가 (도시되지 않은) 현상제 시일로 밀봉된다는 것에 유의하자.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사용되는 처음에는, 사용자는 현상제 시일을 당기고, 이로써 토너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현상 프레임(23)은 현상 롤러(21)와 현상 블레이드(22)를 지지한다.
또한, 세척 블레이드(12a), 감광체 드럼(11) 및 대전 롤러(7)는 드럼 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되고, 이로써 세척 유닛(10)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는 현상 유닛(20)을 세척 유닛(10)과 함께 카트리지로 일체로 조합시킨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플랜지는 감광체 드럼(11)의 각 단부에 부착되고, 기어 플랜지중 하나는 드럼 베어링(14)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되고, 기어 플랜지중 다른 하나는 도4에 도시된 드럼축(15)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그런 후, 드럼 베어링(14)과 드럼축(15)은 드럼 프레임(13)에 부착되어, 이로써 세척 유닛(10)을 구성하게 된다.
(세척 유닛과 현상 유닛의 결합)
다음, 현상 유닛(20)과 세척 유닛(10)을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가 기술될 것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유닛(10)과 현상 유닛(20)은 양 측부상에서 측부 커버(30, 40)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도3에 있어서, 우측의 측부 커버(30)는 기준 구멍(31) 내로 드럼 베어링(14)의 원통형부(14a)를 끼움으로써 세척 유닛(10)에 대항하여 위치되어, 나사(51)로 고정된다. 그런 후, 현상 유닛(20)의 기준 구멍(31) 내로 측부 커버(30)의 기준 보스를 끼움으로써, 현상 유닛(20)은 위치되어 전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나사(52)로 고정된다.
한편, 좌측의 측부 커버(40)는 기준 구멍(41) 내로 감광체 드럼(11)의 드럼축(15)의 원통형부(15a)를 끼움으로써 세척 유닛(10)에 대항하여 위치되어 나사(53)로 고정된다. 또한, 현상 유닛(20)은 반대 측부와 동일한 방식으로 나사(54)로 고정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용 가이드 수단의 구조)
다음, 장치 본체(100)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2)를 탈부착하는 데에 사용되는 가이드 수단은 도14 및 도15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1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치 본체(100)에 장착되는 방향[화살표 방향(X)]으로 바라본 현상 유닛(20)의 우측에 위치된 장치 본체(100)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15는 현상 유닛(20)의 좌측에 위치된 본체 프레임(100)의 일부를 유사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세척 유닛(10)의 외측면 모두 상에서, 도3 및 도4에 도시된 드럼 베어링(14)의 원통형부(14a)의 외경과 드럼축(15)의 원통형부(15a)의 외경은 장치 본체(100)에 프로세스 카트리지(2)를 탈부착하는 데에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측 상에 가이드 수단(가이드 부재)을 구성한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유닛(10)을 구성하는 드럼 프레임(13)의 상면,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치 본체(100)에 장착될 때 상향으로 위치된 표면상에서, 조절 맞닿음부(16, 17)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착되는 방향에 수직인 종방향으로 단부에 각각 제공된다. 이 맞닿음부(16, 17) 모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치 본체(100)에 장착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위치를 조절한다.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치 본체(100)에 장착될 때, 맞닿음부(16, 17)는 도14 및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0) 상에 제공된 고정 부재(101, 102)에 대항하여 각각 맞닿는다. 그 결과, 중심이 베어링(114)의 원통형부(14a)와 드럼축(15)의 원통형부(15a)인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회전 위치가 조절된다.
다음, 장치 본체(100)측 상에 제공된 프로세스 카트리지(2)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이 기술될 것이다. 도1에 도시된 장치 본체(100)의 개폐 부재(100a)가 그 지주부에 대해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때, 장치 본체(100)의 상부는 개방된다. 도14 및 도15는 이 조건하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좌우단부 모두 상에 가이드부를 장착하는 것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로, 장착 가이드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를 장치 본체(100)로 안내한다. 도14 및 도1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전술된 방식으로 탈부착되는 방향(X 방향)으로 개/폐 부재(100a)를 개방함으로써 획득된 개방부를 통해 바라본 장치 본체(100)의 내부벽의 좌우측을 각각 도시한다.
가이드 부재(121)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0)의 내부벽의 우측에 배열되고, 가이드 부재(122)는 도15에 도시된 내부벽의 좌측에 형성된다.
가이드 부재(121, 12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삽입되는 방향인 화살표 방향(X)에서 바라본 경우에 전방으로부터 하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제공된 가이드부(121a, 122a)를 각각 구비한다. 또한, 가이드 부재(121, 122)는 이 가이드부(121a, 122a)에 각각 연결된 반원형 위치설정 홈(121b, 122b)을 각각 구비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드럼 베어링(14)의 원통형부(14a)와 드럼축(15)의 원통형부(15a)가 위치설정 홈(121b, 122b) 내로 끼워진다. 이 위치설정 홈(121b, 122b)의 주연벽은 원통형상을 가지고 이 위치설정 홈(121b, 122b)의 중심은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치 본체(100)에 장착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드럼 베어링(14)의 원통형부(14a)와 드럼축(15)의 원통형부(15a)의 중심과 각각 일치하고, 감광체 드럼(11)의 중심선과 또한 일치한다.
가이드 부재(121, 122)의 폭은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탈부착되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드럼 베어링(14)의 원통형부(14a)와 드럼축(15)의 원통형부(15a)가 헐겁게 끼워지도록 설정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치 본체(100)에 장착되는 조건하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드럼 베어링(14)의 원통형부(14a)와 드럼축(15)의 원통형부(15a)는 장치 본체의 가이드 부재(121, 122)의 위치설정 홈(121b, 122b) 내로 각각 끼워진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드럼 프레임(13)의 양 측부의 맞닿음부(16, 17)는 장치 본체의 고정 부재(101, 102)에 대항하여 맞닿는다.
(레이저 셔터의 구조)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치 본체(100)에 장착되지 않는 조건하에서 광학 수단(1)으로부터의 레이저 광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레이저 광로를 차단하기 위한 레이저 셔터(130)가 제공된다.
레이저 셔터(130)는 (도시되지 않은) 스핀들등에 의해 장치 본체(100)의 셔터 지주부(131)에 대해 회전식으로 제공된다. 레이저 셔터(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셔터 링크(132)는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 등에 의해 본체 프레임(100) 상에 회전식으로 제공된다. 또한,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셔터 링크(13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착될 때 드럼 프레임(13)의 맞닿음부(16)가 맞닿는 고정 부재(101)와,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착되는 화살표 방향(X, 도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의 방향]에 수직인 Y 방향의 장치 본체(100)의 우측벽 사이에 배열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이 셔터 링크(132)는 고정 부재(101)의 배면측 상에 배열된다.
다음, 레이저 셔터(130)와 셔터 링크(132)가 작동하는 방법이 기술될 것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치 본체(100)에 장착되지 않을 때, 레이저 셔터(130)는 셔터 지주부(131)에 대해 도16의 시계방향으로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등에 의해 가압된다. 셔터부(130a)가 광학 수단(1)에 대항하여 맞닿는 위치에서, 레이저 셔터(130)는 레이저 광로를 차단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를 장치 본체(100)에 장착하는 단계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드럼 프레임(13)의 맞닿음부(16) 옆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 요소와 전기 접속되는 벽 부재인 리브(18)는 셔터 링크(132)의 맞닿음부(132a)에 대항하여 맞닿는다(도4 및 도17 참조). 전술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드럼 프레임(13)의 리브(18)가 셔터 링크(132)의 맞닿음부(132a)에 대항하여 맞닿을 때, 셔터 링크(132)는 스핀들(132b)에 대해 도16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조건하에서, 셔터 링크(132)의 보스(132c)는 레이저 셔터(130)의 맞닿음부(130a)에 대해 맞닿아서 이에 의해 가압된다. 그 결과, 레이저 셔터(130)는 셔터 지지부(131)에 대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셔터부(130b)는 점선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광로로부터 후퇴된다.
그 결과,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치 본체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될 때, 레이저 광로는 레이저 셔터(130)의 셔터부(130b)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이는 레이저 광을 감광체 드럼(11) 상에 조사시킬 수 있게 한다.
(메모리 태그의 구조)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저장 매체인 메모리 태그(60)는 카트리지(2)의 드럼 프레임(13)의 표면에 부착된다.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태그(60)는 저장 요소(61), 접점(62), 및 이후에 기술될 커넥터(140)의 본체 범핑 부재(141)가 맞닿는 맞닿음부(63)를 기부체인 기판(인쇄 기판) 상에 배열시킴으로써 획득된 태그형 부재이다.
저장 요소(61)는 중심에 배열되어 수지로 제조된 코팅층(65, 보호부)으로 보호된다. 또한, 접점(62)은 저장 요소(61)와 동일한 평면 및 저장 요소(61)를 보호하는 코팅층(65)의 양 측부상에서 평행하게 배열된다. 또한, 각 접점(62) 부근에는, 도10에 도시된 커넥터(140)의 범핑부(141)가 맞닿는 맞닿음부(63)가 평행하게 배열된다.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40)는 그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접촉 압력을 생성하는 금속으로 제조된 전기 접점(142, 본체 전기 접점)이 제공된다. 또한, 도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2)가 장치 본체에 장착될 때, 각 전기 접점(142)의 선단부(142a)는 메모리 태그(60)의 대응 접점(62, 전기 접점)에 대항하여 먼저 맞닿는다. 다음, 도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범핑부(141)는 메모리 태그(60)의 대응 맞닿음부(63)에 대항하여 맞닿는다. 그 결과, 각 전기 접점(142)의 변형량은 일정해지고, 이로써 소정의 접촉 압력으로 메모리 태그(60)의 각 접점(62) 상에 가해진 접촉 압력을 설정하여 전기 접속을 안정화한다.
또한, 메모리 태그(60)의 맞닿음부(63)는 접점(62)과 기판(64)의 동일한 표면측 상에 제공되어, 메모리 태그(60)의 접점(62)과 맞닿음부(63)의 높이 방향으로의 크기 정확성이 향상된다. 그 결과, 커넥터(140)의 전기 접점(142)의 접촉 압력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메모리 태그(60)의 접점(62)에 대해서, 구리 박면은 Ni 도금되고 추가로 금 도금된다. 이 방식으로 다층 도금함으로써, 접촉 핀(62)의 부식 및 마모가 방지된다.
또한, 접점(62)은 메모리 태그(60)의 저장 요소(61)를 보호하는 코팅층(65, 보호부)의 양측부 상에 제공되고, 맞닿음부(63)는 접점(62)에 인접한 정도로 접점(62) 모두의 연장선 상에서 평면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와 같이 맞닿음부를 제공함으로써, 전기 접점(142)으로의 거리(L2)와 대체로 동일한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커넥터 홀더(150)의 회전축(151)으로부터 커넥터(140)의 범핑부(140)로의 거리(L1)가 달성될 수 있게 된다. 이는 범핑부(141) 사이의 높이 크기의 변경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고 전기 접점(142)의 접촉 압력을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메모리 태그(60)의 맞닿음부(63)는 접점(62)에 평행하게 제공되고 맞닿음부(63)로부터 커넥터(140)의 범핑부로의 거리는 전기 접점(142)으로의 거리와 대체로 동일하다. 그 결과, 균일한 압력 균형이 달성되고 접점(62) 등에 대한 불충분한 접촉 압력으로 인한 불량한 전도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닿음부(63)는 코팅층(65)이 그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접점(62)에 평행하게 제공된다는 것을 본원에서 유의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맞닿음은 접점(63) 또는 접점(62)의 외주연부에 대항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 메모리 태그(60)를 부착하기 위한 구조가 기술될 것이다.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태그(60)는 카트리지(2)의 프레임인 드럼 프레임(13)의 장착부(13a, 정보 저장 매체 장착부)에 부착된다. 한편, 가로 방향으로의 메모리 태그(60)의 일단부측 상에는, 종방향으로 접점(62) 사이의 오목형 노치부인 홈부(60a)가 제공된다. 또한, 메모리 태그(60)의 종방향에 수직인 접촉부 위치설정부인 리브(71,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설정 부재)는 카트리지(2)를 위해 형성된다. 메모리 태그(60)의 오목형 홈부(60a) 내로 리브(71)를 끼움으로써, 종방향으로의 위치설정이 수행된다. 또한, 가로방향으로의 위치설정은 장착부(13a, 정보 저장 매체 장착부) 상에 제공된 위치설정부(72)에 대항하여 메모리 태그(60)의 범핑부(60b)와 맞닿음으로써 수행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은 오목형 노치부를 사용하여 수행되어, 메모리 태그(60)에 대해 카트리지(2)의 부착부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된 몰드가 당겨지는 방향이 메모리 태그(60)의 접점(62)을 구비한 표면에 평행하지 않더라고, 종방향으로의 위치설정을 수행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몰드의 구조는 종방향으로의 메모리 태그(60)의 위치설정에 영향을 받지 않고 복수의 제품에 사용될 수 있어서, 양산에 의해 유발되는 이점으로 인해 비용 절감에 기여한다.
또한, 위치설정이 구멍(원형 구멍, 사각 구멍)을 이용하여 수행된다면, 메모리 태그의 크기는 증가된다. 그러나, 전술된 오목 형상의 노치부가 사용되기 때문에, 메모리 태그의 크기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치설정이 구멍(원형 구멍, 사각 구멍)을 이용하여 수행된다면, 위치설정 보스가 위치설정 구멍에 끼워질 때 탐색해야 하는 가능성이 있어, 조립성이 저하될 우려가 발생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약 0.6mm의 두께를 갖는 얇은 기판이 사용되어, 탐색하는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조립성이 저하되는 우려가 상승된다. 그러나, 전술된 오목 형상으로, 탐색할 가능성이 없고, 이에 따라 조립성의 저하를 회피하게 된다.
또한, 불규칙한 방향으로 메모리 태그(60)를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 부착하려는 시도를 한다면, 리브(71,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설정 부재)는 메모리 태그(60)의 기판(64)에 대항하여 맞닿게 되어, 장착을 방해한다. 이는 리브(71)가 메모리 태그(60)의 역부착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 장치 본체(100) 상에 제공된 커넥터의 구조가 기술될 것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접촉 압력을 생성하는 금속으로 제조된 1개 또는 2개의 전기 접점(142)은 메모리 태그(60)의 각 접점(62)에 대해 커넥터(140) 상에 배열된다. 2개의 전기 접점(142)이 사용되는 경우에, 이 전기 접점(142) 사이의 간격은 약 2mm로 설정된다. 또한, 전기 접점(142) 옆에, 메모리 태그(60)의 맞닿음부(63)에 대항하여 각각 맞닿는 범핑부(141)는 종방향으로 양단부 부근에 제공된다. 메모리 태그(60)와의 접촉부에 대향된 각 전기 접점(142)의 측부상에는, 리드 와이어가 연결되고, 이로써 장치 본체(100)의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와의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커넥터 홀더(150)는 회전축(151), 커넥터 부착부(152), 종방향 위치설정 레버(153), 및 맞닿음 회전 레버(154)를 구비한다.
커넥터(140)는 (도시되지 않은) 스냅 끼움식 연결구, 나사 등으로 커넥터 홀더(150)에 고정된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커넥터 홀더(150)는 회전축(151)에 대해 회전한다. 또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51)은 종방향[화살표(C) 방향]으로 활주가능하도록 베어링(151a)을 통해 장치 본체(100)에 의해 보유된다.
다음, 커넥터(140)와 메모리 태그(60) 사이의 접속은 장치 본체(100)에 카트리지(2)를 장착하기 위한 이후의 순서에 의해 기술될 것이다.
카트리지(2)의 우측상의 맞닿음부(16)는 일단부가 장치 본체(100)의 레이저 광 차단 부재(노광 차단 부재)인 레이저 셔터(130)를 개폐하는 리브(18)인 장착 가이드부인 홈(16a) 내에 제공된다. 또한, 좌측상의 맞닿음부(17)는 그 외측부가 개방된 장착 가이드부인 홈(17a) 내에 제공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2)가 화살표(X) 방향으로 장치 본체(100) 내로 삽입된다면, 장치 본체(100)의 고정 부재(101, 102)는 삽입 중에 장착 가이드부인 홈(16a, 17a)에 의해 각각 끼워지고, 이로써 카트리지(2)가 장착되는 방향으로의 안내를 수행한다. 카트리지가 더 삽입될 때,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열된 커넥터 홀더(150)의 종방향 위치설정 레버(153)는 홈(16a)의 단부 내로 또한 진입하여, 커넥터(140)와 카트리지(2)가 종방향으로 위치된다.
즉, 장착 가이드부인 홈(16a)의 단부는 종방향으로 카트리지(2)에 부착된 커넥터(140)와 메모리 태그(60)의 위치설정을 수행하는 카트리지(2)의 종방향 위치설정부를 구성한다. 카트리지(2)가 더 삽입될 때, 삽입 방향으로의 카트리지(2)의 선단부는 커넥터 홀더(150)의 맞닿음 로터리 레버(154)에 대항하여 맞닿고, 커넥터(140)는 (도8의 시계방향으로) 커넥터 홀더(150)의 회전축(151)에 대해 메모리 태그(60)측으로 회전한다.
이에 이어, 카트리지(2)의 드럼 베어링(14)의 원통형부(14a)와 드럼축(15)의 원통형부(15a)는 장치 본체의 위치설정 홈(121b, 122b)에 도달한다(도14 및 도15 참조).
카트리지(2)가 드럼 베어링(14)의 원통형부(14a)의 중심과 드럼축(15)의 원통형부(15a)를 연결하는 중심선에 대해 세척 유닛(10)측과 현상 유닛(20)측으로 분할된다면, 카트리지(2)의 무게는 이 중심선이 수평으로 유지될 때 현상 유닛(20)측이 세척 유닛(10)측보다 큰 주요 모멘트를 생성하도록 분산된다. 그 결과, 카트리지(2)는 드럼 베어링(14)의 원통형부(14a)와 드럼축(15)의 원통형부(15a)를 연결하는 선상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카트리지(2)의 맞닿음부(16, 17)는 고정 부재(101, 102)에 대항하여 맞닿고, 이로써 카트리지를 삽입하기 위한 작동을 종료한다. 또한, 동시에, 커넥터(140)는 메모리 태그(60)에 대항하여 맞닿는다.
도13a는 커넥터(140)가 메모리 태그(60)에 대항하여 완전히 맞닿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13b는 커넥터(140)가 메모리 태그(60)에 대항하여 완전히 맞닿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접점(142, 본체 전기 접점)의 선단부(142a)가 접점(62)에 대항하여 맞닿을 때, 이 선단부는 △s만큼만 탄성 변형된다. 그런 후, 선단부(142a)는 소정량만큼 접점(62)의 표면상에서 활주가능하게 이동한다. 그 결과, 도13b에 도시된 상태가 달성된다. 즉,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접점(62)은 선단부(142a)가 활주가능하게 이동하는 활주 영역(62a)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접점(62)에는 각각에서 전기 접점(142)이 영역과 접촉하면서 활주하는 2개의 영역이 제공된다. 전술된 구조로, 각 접점(62)과 전기 접점(142) 사이의 전기 접속의 신뢰성은 개선된다. 또한, 선단부(142a)가 활주하는 활주 방향으로의 각 활주 영역(62a)의 길이는 0.2mm 내지 5mm의 범위이다.
또한, 전기 접점(142)은 선단부(142a)가 탄성 변형하고 메모리 태그(60)의 접점(62)의 표면상에서 와이핑(wiping)을 수행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전기 접점(142)은 탄성 부재이고, 그 기부(142b)는 커넥터(140)에 고정된다. 또한, 선단부(142a)는 굴곡된다. 이에 따라, 선단부(142a)가 접점(62)에 대항하여 맞닿을 때, 전기 접점(142)은 도13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13b에 도시된 상태로 전환된다[전기 접점(142)은 디깅(digging)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또한, 선단부(142a)는 활주 영역(62a) 상에서 활주한다. 탄성을 갖는 전도성 수지 재료 등을 사용하여 전기 접점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전기 접점(142)이 탄성 부재인 금속 스프링 재료(인청동)를 사용하여 구성된다는 것에 유의하자.
따라서, 비산된 토너 등이 메모리 태그(60) 또는 핀(142a)의 접점(62)에 접착되어도, 접착제를 벗겨냄으로써 이 부품을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항상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선단부(142a)의 변형량(△s)은 커넥터(140)의 각 단부에 형성된 범핑부(141)의 높이에 이해 정확하게 조정된다. 전기 접점(142)의 선단부(142a)의 변위량은 메모리 태그(60)의 맞닿음부(63)에 대항한 이 범핑부(141)의 범핑에 의해 조절된다.
설계 작업은 전기 접점(142)이 소정량으로 변위되었을 때, 선단부(142a)의 상부가 커넥터(140)의 각 단부 상에 형성된 범핑부(141)의 상부와 대체로 동일하게 직선 상에 위치되도록 수행된다. 본 발명은 본체 전기 접점이 활주하는 활주 영역을 전기 접점이 구비하는 한 임의의 다른 구조를 구비한다는 것에 유의하자. 예컨대, 본 발명은 표시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뿐만 아니라 표시가 활주 영역에 형성된 경우를 구비한다.
또한, 도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접점(142)의 외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 즉 커넥터의 각 단부에는, 범핑부(141)가 배열되어, 돌출부의 높이 크기가 허용오차 내에서 변하더라도, 커넥터(140)가 극도로 기울어지는 상황이 방지되게 된다. 이에 따라, 4개의 전기 접점(142)의 접촉 압력이 좌우측 사이에서 불균일해지기 때문에 전기 접속이 불안정해지는 상황에 대한 영향이 억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선단부(142a)는 범핑 방향으로 0.5 내지 2mm로 변위되고 전기 접점의 가로 방향으로 0.5 내지 2mm로 와이핑이 수행된다는 것에 유의해야할 것이다. 이 경우의 접촉 압력은 핀당 40 내지 80g이다.
선단부(142a)의 와이핑만으로 접착제를 완전히 세척하기 위해서, 전기 접점(142)의 맞닿음 압력의 증가 또는 와이핑 중의 이동량의 증가와 같은 임의의 기준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준이 취해지면, 이는 메모리 태그의 접점의 도금을 벗겨내는 것을 촉진한다. 그 결과, 현상 카트리지의 수명이 소멸되기 전에 불량한 전도가 발생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범핑부(141)는 동일 표면상에서 전기 접점(142)과 분리되어 제공된 맞닿음부(63)에 대항하여 범핑된다. 이는 전기 접점(142)의 폭을 증가시키지 않고 접촉을 정확하게 이루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범핑부(141)의 마모에 의해 생성된 분말은 전기 접점(142)에 접착되지 않아서, 접촉 저항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홈(16a)은 카트리지(2)의 메모리 태그(60) 부근에 배열되고, 장치 본체(100)의 커넥터(140)가 부착되는 커넥터 홀더(150)는 홈(16a)에 의해 위치된다. 따라서, 고정밀도로 커넥터(140)에 대항하여 메모리 태그(60)를 맞닿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는 메모리 태그(60)의 접점의 변위를 방지하고 커넥터 유닛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홈(16a)은 카트리지(2)를 장치 본체(100)에 장착하는데 사용된 장착 가이드부와 겸용이어서, 커넥터 유닛의 종방향 이동폭은 감소되어, 이는 커넥터 유닛의 이동폭을 구비한 장치 본체(100)에 의해 점유된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일측부의 홈(16a)의 벽은 장치 본체(100)의 레이저 셔터(130)를 개/폐하는 리브(18)이다. 그 결과, 공간은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홈(16a)은 카트리지(2)의 장착중에 가이드와 겸용으로, 셔터(130)의 개/폐 기구에 대한 장치 본체(100)의 위치 정확성을 개선시키고 장치 본체(100)의 셔터(130)를 개/폐시키는 부분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본 실시예의 기술로, 메모리 태그의 저장 요소(61)를 보호하는 코팅층(65)과 접점(63)은 대체로 직선 상에 배열되어, 메모리 태그(60)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카트리지로의 부착 위치에 관해 가요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접점(62)이 저장 요소(61)를 보호하는 코팅층(65)의 각 측부상에 제공되고 맞닿음부(63)가 양 접점의 연장선 상의 접점에 평행하게 제공되는 구조가 사용된다. 그 결과, 커넥터로부터 범핑부로의 거리는 접점으로의 거리와 동일해지고 압력 균형은 균일해져서, 불충분한 접촉 압력 등으로 인한 불량한 전도가 신뢰성있게 방지된다.
또한, 형상으로는, 메모리 태그의 측부 에지에 제공된 오목형 노치부를 사용하여 위치설정을 수행함으로써, 카트리지의 메모리 태그의 부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가 당겨지는 방향이 메모리 태그의 접점을 구비한 표면에 평행하지 않아도, 종방향으로의 위치설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몰드의 구조는 종방향으로의 메모리 태그의 위치설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복수의 제품에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양산에 의해 유발되는 이점으로 인한 비용 절감에 기여한다.
또한, 위치설정이 구멍(원형 구멍, 사각 구명)을 사용하여 수행된다면, 메모리 태그의 크기는 증가된다. 그러나, 오목 형상으로, 메모리 태그의 크기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위치설정이 구멍(원형 구멍, 사각 구멍)을 사용하여 수행된다면, 위치설정 보스가 위치설정 구멍에 끼워졌을 때 탐색하는 위험이 있고, 이는 조립성이 저하될 우려가 발생시킨다. 특히, 얇은 기판이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탐색하는 가능성과 조립성이 저하되는 우려가 있다. 그러나, 오목 형상으로, 탐색하는 가능성이 제거되고, 이에 따라 조립성의 저하가 회피된다.
<제2 실시예>
도19는 제2 실시예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한다. 이후의 기술에 있어서, 장치의 전방측은 전사 프로세스로부터 고정 프로세스로의 기록 매체의 이송에 대해 상류측(도19의 우측)을 의미한다. 또한, 장치 본체, 현상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에 대한 좌우는 각각 장치 전방측으로부터 바라보았을 때 좌우이다. 또한, 종방향은 기록 매체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기록 매체가 이송되는 방향을 (대체로 수직으로) 교차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작동의 개요}
도19는 전자사진 시스템을 사용하여 색상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인 4색을 사용한 전색 레이저 비임 프린터의 구조의 개요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이 장치는 화상 정보에 기초한 빛을 생성하기 위한 광학 수단(201), 전자사진 감광체인 감광체 드럼(221), 중간 전사 유닛(222) 등이 유닛으로 조합된 카트리지(202), 및 4색(230Y, 230M, 230C, 230K)용 현상 카트리지(230)를 갖는 현상 장치(203)를 구비한다.
화상(토너 화상)이 광학 수단(201)으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기초한 빛을 조사함으로써 화상 보유 부재인 감광체 드럼(221) 상에 형성되는 구조가 달성된다. 그런 후, 전사 재료(기록 매체)는 토너 화상의 형성과 동기식으로 이송 수단(204)에 의해 이송된다. 감광체 드럼(221)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 유닛(222)의 중간 전사 벨트(222a) 상에 전사된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222a) 상의 토너 화상은 제2 전사 롤러(241)에 의해 전사 재료 상에 전사된다. 이 전사 재료는 가압 롤러(251a)와 가열 롤러(251b)를 갖는 고정 수단(205)에 이송되고, 전사된 토너 화상은 고정되고, 전사 재료는 토출부(252)로 토출된다.
전술된 화상 형성 단계가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중간 전사 벨트(222a)의 회전과 동기식으로, 감광체 드럼(221)은 도19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감광체 드럼(221)의 표면은 대전 장치(223)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런 후, 예컨대, 황색 화상용 빛의 조사는 광학 수단(201)에 의해 수행된다. 이 방식으로, 감광체 드럼(221) 상에 황색용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광학 수단(201)은 외부 장치 등에서 판독한 화상 정보에 의거한 빛의 조사에 의해 감광체 드럼(221) 상에 광 화상을 조사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광학 수단(201)은 레이저 다이오드, 다각 미러, 스캐너 미러, 화상 렌즈 및 반사 미러를 내장한다.
또한, 화상 신호가 외부 장치 등으로부터 주어질 때, 레이저 다이오드는 화상 신호에 따라 빛을 방출하고 화상 광으로서 다각 미러 상에 방출된 빛을 조사한다. 이 다각 미러는 스캐너 모터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된다. 다각 미러에 의해 반사된 화상 광은 화상 렌즈와 반사 미러를 통해 감광체 드럼(221) 상에 조사되고 감광체 드럼(221)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노출되어, 이로써 정전 잠상을 형성하게 된다.
정전 잠상의 형성과 동시에, 현상 장치(203)는 현상 위치에 황색용 현상 카트리지(230Y)를 회전식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되고, 소정의 편의는 황색 토너를 정전 잠상에 접착시키도록 인가되고, 이로써 잠상을 형성한다. 이후에, 토너와 반대인 극성을 갖는 전압은 중간 전사 벨트(222a)의 가압 롤러인 제1 전사 롤러(222b)에 인가되어, 이로써 중간 전사 벨트(222a) 상에 감광체 드럼(221) 상의 황색 토너 화상을 제1 전사시키게 된다.
황색 토너 화상의 제1 전사가 이 방식으로 종료된 후에, 다음 현상 카트리지(230M)는 감광체 드럼(221)에 대향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회전 및 이동된다. 황색 경우와 동일한 단계는 마젠타색, 시안색, 및 흑색의 각 색상에 대해 반복되어, 중간 전사 벨트(222a) 상에 4색의 토너 화상을 중첩시킨다.
이 작동 중에, 제2 전사 롤러(241)는 이 롤러(241)가 중간 전사 벨트(222a)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에, 세척 유닛으로 기능하는 세척 대전 롤러(222c)는 이 롤러가 중간 전사 벨트(222a)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 또한 배치된다.
그런 후, 중간 전사 벨트(222a) 상의 4색의 토너 화상의 형성이 종료된 후에, 제2 전사 롤러(241)는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벨트(222a)와 가압 접촉되게 된다. 또한, 제2 전사 롤러(241)의 가압 접촉과 동기식으로, 이송 수단(204)의 정합 롤러쌍(242) 부근의 소정의 위치에 대기하는 전사 재료는 중간 전사 벨트(222a)와 제2 전사 롤러(241) 사이의 닙부로 보내진다.
여기서, 정합 롤러쌍(242) 바로 전에, 전사 재료의 전단 에지를 검출하고 정합 롤러쌍(24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차단하고 전사 재료를 소정의 위치에 대기하게 하는 센서(243)가 제공된다.
토너와 반대인 극성을 갖는 편의 전압은 제2 전사 롤러(241)에 인가되고 중간 전사 벨트(222a) 상의 토너 화상은 한번의 작동에 의해 이송된 전사 재료의 표면상에 제2 전사된다.
토너 화상이 이 방식으로 제2 전사된 전사 재료는 이송 벨트 유닛(244)을 통해 고정 수단(205)에 이송된다. 고정이 수행된 후에, 전사 재료는 시트 토출 롤러쌍(253)에 의해 시트 토출 가이드(254)를 따라 이송되어, 토출 롤러쌍(255)에 의해 장치의 상부에 존재하는 토출부(트레이, 252)로 토출된다. 이 방식으로, 화상 형성이 종료된다.
한편, 제2 전사 후에, 세척 대전 롤러(222c)는 중간 전사 벨트(222a)와 가압 접촉하게 된다. 제2 전사 후에도 중간 전사 벨트(222a)의 표면상에 잔류하는 잔류 토너에 대해서, 잔류 전기 하전은 소정의 편의 전압의 인가에 의해 방전된다(diselectrified).
방전된 잔류 토너는 제1 전사 닙을 통해 중간 전사 벨트(222a)로부터 감광체 드럼(221) 상에 정전식으로 재전사되고 중간 전사 벨트(222a)의 표면은 세척된다. 감광체 드럼(221) 상에 재전사되는 제2 전사 후에도 잔류한 잔류 토너는 감광체 드럼(221)을 위한 세척 블레이드(221a)에 의해 제거 및 수집되는 것에 유의하자.
수집된 잔류 토너는 폐토너와 같은 이 토너를 반송하는 이후에 기술될 반송로를 취하여 폐토너 상자(225)에 수집 및 축적된다.
{현상 카트리지의 구조의 개요}
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색, 마젠타색, 시안색, 및 흑색의 각 색상의 토너를 내장한 현상 카트리지(230, 230Y, 230M, 230C, 230B)는 현상 장치(203)의 로터리(203a) 내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다. 도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203a)는 장치 본체(300)에 의해 지지된 축(3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형판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로터리 플랜지(321)를 구비한다(도19 참조). 각 현상 카트리지(230)는 이 로터리 플랜지(321)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되고 현상 카트리지(230)가 로터리(203a)의 회전 중에 로터리(203a)로부터 분리되는 상황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현상 카트리지(230)를 장치 본체(300)의 외측으로 추출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부면 상의 그립(233)을 파지하여 로터리(203a)로부터 상향으로 현상 카트리지(230)를 당긴다. 각 현상 카트리지(230)는 예컨대 나선형 코일 스프링 또는 스톱퍼에 의해 로터리 플랜지(321)에 잠기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230)를 장착 및 분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20a 및 도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현상 카트리지(230)는 현상 수단인 현상 롤러(231)와 토너 용기(232)를 구비한다. 소정 색상의 토너는 각 토너 용기(232a)에 충전되고, 토너의 소정량은 교반 수단(232b)의 회전에 의해 현상부로 반송된다. 반송된 토너는 현상부의 스폰지형 토너 공급 롤러(232c)의 회전에 의해 현상 롤러(231)의 표면에 공급된다. 또한, 공급된 토너는 전기 대전되고 얇은 판형 현상 블레이드(232d)와 현상 롤러(231) 사이의 마찰에 의해 얇은 층으로 변환된다. 얇은 층으로 변환된 현상 롤러(231) 상의 토너는 회전에 의해 현상부로 반송되고 소정의 현상 편의가 주어지고, 이로써 토너 화상으로서 감광체 드럼(221) 상의 정전 잠상을 시각화하게 된다.
감광체 드럼(221) 상의 잠상의 시각화에 기여하지 않는 현상 롤러(231)의 표면상의 토너 이외의 잔류 토너는 토너 공급 롤러(232c)에 의해 다시 벗겨진다. 이 작동과 동시에, 새로운 토너는 현상 롤러(231) 상에 공급되어, 새로운 현상 작동이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조}
도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는, 감광체 드럼(221), 중간 전사 벨트(222a), 폐토너 상자(225) 등이 상호 결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된다. 도35는 카트리지(202)의 좌측으로부터 취한 수직 단면도이고 도36은 카트리지(202)의 좌측으로부터 취한 사시도이고, 도37은 우측으로부터 취한 사시도이다.
카트리지(202)는 감광체 드럼(220)을 구비한 감광체 드럼 유닛(220)과 폐토너 상자(225)와 중간 전사 벨트(222a)를 구비한 중간 전사체 유닛(222)인 2개의 유닛으로 구성된다. 감광체 드럼 유닛(220)이 중간 전사체 유닛(222)의 돌출 방향으로 상측부 상에 배열되고 중간 전사체 유닛(222)의 좌우측(226, 227) 상의 평판이 감광체 드럼 유닛(220)의 양측이 측부로부터 감광체 드럼 유닛(220)을 보유할 때까지 연장하는 구조가 구현된다.
{감광체 드럼 유닛의 구조}
도36 및 도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 유닛(220)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221)의 양단부는 우측부 상의 베어링(220a) 및 좌측부 상의 회전축(220b)에 의해 회전식으로 보유된다. 또한, 소정의 회전 구동력은 우측 단부의 커플링(220c)을 통해 장치 본체(300)로부터 전달된다.
도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 롤러(223a)는 양측부 상의 베어링(223b)을 통해 압축 스프링(223c)에 의해 주어진 소정의 힘으로 감광체 드럼(221)과 가압 접촉되게 된다. 이 구조로, 대전 롤러(223a)는 구동 및 회전된다.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223b)은 전도성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되고, 소정의 대전 편의 전압을 대전 롤러(223a)에 인가함으로써, 감광체 드럼(221)의 표면은 균일하게 대전된다. 이와 같은 접촉 전기 대전 시스템을 채용하는 대전 장치는 일본 공개 제63-149669호에 개시된다.
감광체 드럼 유닛(220)에는 장치 본체(300)로 탈부착하기 위한 작동과 동기식으로 개폐되는 드럼 셔터(228)가 또한 제공된다.
감광체 드럼(221)에는 소정의 위치에 세척 블레이드(221a)가 제공된다. 이 구조로, 전술된 반대 전기 대전이 주어진 중간 전사 벨트(222a) 상의 잔류 토너는 감광체 드럼(221) 상에 수집되어 감광체 드럼(221) 상의 잔류 토너를 따라 벗겨진다.
중간 전사 벨트(222a) 상에 벗겨진 폐토너가 떨어지는 것은 스쿱 시트(scoop sheet, 221b)에 의해 방지된다. 또한, 세척 블레이드(221a)와 스쿱 시트(221b) 사이에 축적된 잔류 토너는 감광체 드럼 용기(221d)의 배면 밖으로, 즉 감광체 드럼(221)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되는 방향으로 급송 블레이드(221c)의 회전에 의해 닦여진다.
또한, 제1 나사(221e)는 급송 블레이드(221c)에 대해 더 후방으로 제공되고, 이 제1 나사(221e)의 회전에 의해, 폐토너는 (도35의 전방 방향으로) 장치 전방측에서 바라본 경우에 좌측에 반송된다.
감광체 드럼 용기(221d)에는, 제1 나사(221e)가 배열되는 홈부의 좌측 하단부에 개구(221f)가 제공된다. 폐토너는 제1 나사(221e)에 의해 좌단부로 반송되어, 기구(221f)로부터 떨어지고 중간 전사 유닛(222)의 수용 개구(222d)로 보내진다. 개구(221f)의 하면 상에는, 시일 부재(221g)가 제공되고, 이로써 수용 개구(222d)와의 접속부에서의 토너 누출이 방지된다.
{중간 전사 유닛의 구조}
중간 전사 유닛(222)은 중간 전사 벨트(222a)에 의해 감광체 드럼(221)으로부터 전사된 화상을 전사 재료 상에 전사하고, 폐토너는 폐토너 상자(225)에 수집 및 축적된다.
중간 전사 벨트(222a)는 구동 롤러(222f)와 피동 롤러(222g)인 2개의 롤러에 의해 중간 전사체 프레임(222e) 주위에 감기고 신장된다. 구동 롤러(222f)의 양단부는 우측 베어링(222h)과 좌측 베어링(222i)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식으로 보유되고, 소정의 회전 구동력은 우측 단부의 커플링(222j)을 통해 장치 본체로부터 전달된다(도36 및 도37 참조).
피동 롤러(222g)의 양단부의 베어링(222k)에는 압축 스프링이 제공된다. 이 구조로, 소정의 인장력은 중간 전자 벨트(222a)에 주어진다.
중간 전사 벨트(222)가 그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감광체 드럼(221)에 대향된 위치에, 양단부에서 베어링을 통해 압축 스프링에 의해 소정의 힘으로 가압 접촉되게 되는 제1 전사 롤러(222b)가 제공된다. 이 구조로, 제1 전사 롤러(222b)는 구동 및 회전된다.
제1 전사 롤러(222b)의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은 전도성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되고, 제1 전사 롤러(222b)에 소정의 전사 편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감광체 드럼(221)의 표면상의 토너는 중간 전사 벨트(222a) 상에 제1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222a)의 구동 롤러(222f)에 대향된 위치에서, 중간 전사 벨트(222a) 상의 잔류 토너에 소정의 편의 전압을 인가하고 잔류 전기 하전을 방전시키는 세척 대전 롤러부(222m)가 제공된다. 세척 대전 롤러(222c)는 양단부에서 베어링(222n)을 통해 압축 스프링에 의해 소정의 힘으로 가압 접촉되게 된다. 이 구조로, 세척 대전 롤러(222c)가 구동 및 회전된다.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222n)은 전도성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되고 세척 대전 롤러(222c)는 잔류 전기 하전을 방전하도록 소정의 편의 전압을 인가한다. 그런 후, 잔류 토너는 감광체 드럼(221) 상에 정전식으로 재전사되고 세척 블레이드(221a)에 의해 제거 및 수집되고 전술된 바와 같이 폐토너 상자(225)에 축적된다.
폐토너 상자(225)는 중간 전사체 프레임(222e)의 일부에 격판을 연결시킴으로써 상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감광체 드럼(221) 상의 잔류 토너는 이 폐토너 상자(225)에 종국에는 내장된다.
임펠러 커버(222p)는 중간 전사체 프레임(222e)의 좌측면에 접합되고 시일 부재(221g)는 그 사이에 끼워진다. 이 임펠러 커버(222p)는 그 상측부에 개구를 구비하고, 이 개구는 시일 부재(221g)가 그 사이에 끼워지도록 감광체 드럼 용기(221d)의 좌측 하단부에 제공된 개구(221f)에 접합된다. 이 구조로, 개구(221f)로부터 떨어진 폐토너는 임펠러 커버(222p)의 내부에 떨어진다.
임펠러 커버(222p)에서, 임펠러(222q)는 좌측에서 바라본 경우에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로써 이 커버의 폐토너를 폐토너 상자(225)로 반송시키게 된다. 임펠러 커버(222p)는 폐토너 상자(225)의 좌측면을 중첩시키고, 임펠러 커버(222p)의 내부와 연통하는 구멍은 중첩부에 제공된다.
또한, 제2 나사(222r)는 종방향으로 구멍으로부터 연장하는 선상의 위치에 제공되고, 임펠러(222q)에 의해 반송된 폐토너는 제2 나사(222r)의 회전에 의해 좌측으로부터 폐토너 상자(225)의 배면 및 우측으로 반송된다.
폐토너 상자(225)는 제2 나사(222r)에 수직인 복수의 격벽에 의해 다수의 작은 공간으로 분할되고 폐토너는 좌측 단부의 작은 공간 내에 먼저 충전되고, 그런 후 우측상의 인접한 작은 공간 내로 연속적으로 충전된다. 또한, 가장 우측의 작은 공간에는 폐토너 상자(225)가 폐토너로 충전되는 상황을 검출하는 검출부(225a, 225b)가 제공된다.
{장치 본체에 대항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설정시키는 방법}
다음, 장치 본체(300)로부터/본체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02)의 부착/장착 및 소정의 위치로 프로세스 카트리지(202)를 고정시키는 방법이 기술될 것이다.
도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300)의 상부 뚜껑은(300a)이 개방될 때, 감광체 드럼(221)의 우측 베어링(202a)을 지지하는 지지부(310)에 제공되고 회전 구동력을 감광체 드럼(221)으로 전달하는 커플링과 중간 전사 벨트(222a)의 구동 롤러(222f)의 우측 베어링(222h)을 지지하는 지지부(311)에 제공되고 회전 구동력을 중간 전사 벨트(222a)의 구동 롤러(222f)에 전달하는 커플링은 축방향으로 활주하고 후퇴된다(결합 해제 상태).
커플링의 결합 기구 및 후퇴 방법은, 예컨대 일본 공개 11-109836에 개시되므로, 본원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장치 본체 내에, 감광체 드럼 가이드 레일(312)과 중간 전사 유닛 가이드 레일(313)은 단차 형성부가 달성되도록 양측부 상에 제공된다.
우측 베어링(220a)과 카트리지(202)의 감광체 드럼(221)을 지지하는 좌측 회전축(220b)은 감광체 드럼 가이드 레일(312) 상에서 활주하면서 삽입된다. 또한, 측부 커버(226, 227) 모두 상에 제공된 돌출부(226a, 227a)와 중간 전사 벨트(222a)의 구동 롤러(222f)의 양 베어링(222h, 222i)은 중간 전사체 가이드 레일(313) 상에서 활주하면서 삽입된다.
최종적으로, 감광체 드럼(221)의 베어링(220a)과 회전축(220b)은 장치 본체(300)의 지지부(310) 내로 하강하고, 구동 롤러(222f)와 중간 전사 벨트(222a)의 베어링(222h, 222i)은 지지부(311) 내로 하강한다. 측부 커버(226, 227) 모두에 제공되는 돌출부(226a, 2227a)는 위치설정홈(314) 내로 하강하여 나선형 코일 스프링(315)에 의해 본체 프레임(300)의 위치설정부에 대항하여 가압되고 이에 고정된다.
{현상 카트리지의 탈부착}
황색, 마젠타색, 시안색, 및 흑색의 각 색상의 토너를 내장한 현상 카트리지[230(230Y, 230M, 230C, 230K)]는 로터리(203a)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다. 각 현상 카트리지(230)를 로터리(203a)에 위치설정하는 방법이 도31 내지 도34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로터리(203a)는 축(320)에 대해 선회하고 디스크형 로터리 플랜지(321)는 축(320)의 양측부 상에 고정된다(도32 참조).
각 로터리 플랜지(321)에 대해, 도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230)의 탈부착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321a), 현상 카트리지(230)의 위치설정 중심인 제1 수용부(321b), 및 현상 카트리지(230)의 멈춤(detent)을 수행하는 제2 수용부(321c)가 형성된다. 또한, 종방향으로의 제1 수용부(321b)의 측부 상에는, 구멍(321d)이 위치설정을 위한 중심축 상에 제공된다. 이 구멍(321d)은 로터리(203a)로부터 현상 카트리지(230)가 하강하는 것을 방치하는 후킹 구멍(hooking hole)으로 기능한다.
한편, 현상 카트리지(230)의 좌우측 표면상에는, 현상 카트리지(230)의 탈부착을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230a), 현상 카트리지(230)의 위치설정 중심인 아크형 제1 돌출부(230b), 및 현상 카트리지(230)의 멈춤을 수행하는 아크형 제2 돌출부(230c)가 형성된다.
로터리 플랜지(321)의 가이드 홈(321a)에는, 도면의 평면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230)를 회전식으로 촉진하는 에너자이징 스프링(321e)이 배열된다. 현상 카트리지(230)의 제2 돌출부(230c)는 에너자이징 스프링(321e)에 의해 로터리 플랜지(321)의 제2 수용부(321c)와 긴밀 접촉을 하게 된다.
또한, 종방향으로 연장가능한 이동식 돌출부(230d)는 현상 카트리지(230)의 제1 돌출부(230b)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한다(도20 참조). 이 이동식 돌출부(230d)는 그 길이가 현상 카트리지(230)의 길이의 대략 절반인 막대형 슬라이더의 단부에 형성된다. 막대형 부재의 활주에 의해, 이동식 돌출부(230d)는 제1 돌출부(230b)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후퇴된다.
도20a 및 도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230)의 중심 부근에 제공된 그립(233)은 개방 방향으로 나선형 코일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좌우측 상의 2개의 힌지(233a)를 가진다. 각 힌지(233a)는 전술된 슬라이더와 결합되고 슬라이더는 그립(233)의 힌지(233a)의 개폐 작동과 동기식으로 전후방으로 이동한다.
보통 상태 하에서, 힌지(233a)는 나선형 코일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고 개방 상태로 배치된다. 슬라이더의 이동식 돌출부(230d)는 제1 돌출부(230b)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사용자가 그립(233)을 파지할 때, 힌지(233a)가 폐쇄되고 슬라이더의 이동식 돌출부(230d)가 제1 돌출부(230b)의 단부면에 대해 내향으로 후퇴되는 구조가 달성된다.
또한, 기어 치부는 중심으로 설정된 회전부를 갖는 파지부에 대향된 측부상의 각 힌지(233a)에 대해 형성된다. 이 기어는 상호 결합된다. 이 구조로, 일측부 상의 힌지(233a)가 폐쇄되면, 다른 측부상의 힌지(233a) 또한 폐쇄된다. 그 결과, 양측부의 슬라이더가 동시에 전후방으로 항상 이동하는 구조가 달성된다.
현상 카트리지(230)를 삽입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그립(233)의 힌지(233a)를 파지하여 현상 카트리지(230)의 양측부의 가이드 리브(230a)가 로터리 플랜지(321)의 가이드 홈(321a)을 따라 활주하게 함으로써 카트리지를 삽입한다. 다음, 현상 카트리지(230)의 측면 상에 형성된 아크형 제1 돌출부(230b)가 로터리 플랜지(321)의 제1 수용부(321b)에 대항하여 범핑되는 시점에서, 사용자는 파지된 그립(233)을 해제한다. 그 결과, 각 단부의 이동식 돌출부(230d)는 제1 돌출부(230b)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종방향으로 로터리 플랜지(321)의 제1 수용부(321)의 측면 상에 제공된 전술된 후킹 구멍(321d)에 후킹된다.
제1 돌출부(230d)와 이동식 돌출부(230d)는 동축으로 제공되어, 현상 카트리지(230)가 제1 돌출부(230b)에 대해 스윙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현상 카트리지를 도면의 평면에서 시계방대방향으로 회전 및 촉진하기 위한 에너자이징 스프링(321e)은 로터리 플랜지(321)의 가이드 홈(321a)에 배열된다. 현상 카트리지(230)의 제2 돌출부(230c)는 이 에너자이징 스프링(321e)에 의해 로터리 플랜지(321)의 제2 수용부(321c)와 긴밀 접촉하게 된다. 이 방식으로, 현상 카트리지(230)의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현상 카트리지(230)를 착탈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그립(233)을 파지한다. 그 결과, 이동식 돌출부(230d)는 후퇴하여 후킹 구멍(321d)과 결합해제되고, 이로써 상향 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230)를 착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를 탈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된 고정 방법으로, 현상 카트리지가 로터리로부터 하강하는 상황이 유발되지 않고 로터리의 회전을 수행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현상 카트리지를 구동하기 위한 구조}
다음, 현상 카트리지(230)를 구동하기 위한 구조가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31 및 도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로터리 플랜지(321)의 측면 상에는, 로터리 측판(322)이 배열되고 축(320)이 로터리 플랜지(321)와 로터리 측판(322) 모두를 통과하도록 잠겨진다. 즉, 로터리 플랜지(321)와 축(320)은 로터리 측판(322)에 의해 지지되어 선회식으로 보유된다.
복수의 기어는 이 기어들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로터리 측판(322)중 하나에 고정된다. 도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230)의 입력 기어(234)는 이 로터리 측판(322) 상에서 한줄로 배열된 기어중에서 가장 하류측의 단부 기어(323)와 결합되어, 이로써 현상 롤러(231)와 같은 회전 부재를 회전식으로 구동시킨다.
현상 카트리지(230)는 로터리 플랜지(321)를 따라 소정각으로 선회되고, 이에 의해 로터리 측판(322)의 단부 기어(323)에 연결된다. 여기서, 현상 카트리지(230)가 로터리(203a)의 선회를 따라 회전 및 이동할 때, 로터리 측판(322)의 단부 기어(323)의 치부 선단이 현상 카트리지(230)의 입력 기어(234)의 치부 선단과 충돌하게 될 가능성이 있고, 이에 의해 치형은 상호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230)는 로터리 플랜지(321)의 제1 수용부(321b)에 대해 활주하여 일시 후퇴된다. 이 방식으로, 이 치부들 사이의 결합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지는 구조가 구현된다.
부연하면, 로터리 측판(322)의 단부 기어(323)의 치부 선단이 현상 카트리지(230)의 입력 기어(234)의 치부 선단과 충돌하게 되는 경우에, 현상 카트리지(230)는 로터리 플랜지(321)의 제1 수용부(321b)에 대한 로터리(203a)의 반경 방향으로의 충격으로 인해 어느 정도 활주한다. 현상 카트리지(230)의 이 활주의 결과로, 치부 선단이 상호 충돌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이 방식으로, 현상 카트리지(230)는 전술된 로터리 플랜지(321)의 에너자이징 스프링(321e)에 의해 소정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230)의 구동이 종료되고 현상 카트리지(230)가 다음 위치로 선회하는 경우에, 로터리 측판(322)의 단부 기어(323)는 관통 상태로 개방되지 않더라고, 현상 카트리지(230)의 요동 기구는 현상 카트리지(230)와 로터리 플랜지(321)가 단부 기어(323)의 결합부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허용한다.
로터리 측판(322)의 단부 기어(323)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할 때, 현상 카트리지(230)의 입력 기어(234)는 결합력(F)을 수용한다. 이 결합력(F)의 결과로, 현상 카트리지(230)는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 플랜지(321)의 제1 수용부(321b)에 대한 도면의 평면의 시계반대 방향으로의 각도 모멘트를 수용한다.
각도 모멘트의 결과로, 현상 카트리지(230)의 제2 돌출부(230c)는 로터리 플랜지(321)의 제2 수용부(321c)에 대항하여 가압되어(도33 참조), 이는 현상 카트리지(230)가 구동중에 로터리 플랜지(321)의 위치설정부로부터 배치되는 상황이 방지된다. 이 결합력은 로터리(203a) 내의 폐쇄력 시스템이고, 감광체 드럼(221) 상으로 현상 카트리지(230)에 의해 가해지는 이후에 기술될 가압력에 대한 영향이 감소된다.
{메모리 태그의 구조}
도20a, 도20b 도21a 및 도21b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230)에 부착된 정보 저장 매체인 메모리 태그(정보 저장 매체, 260)는 기부체인 기판(인쇄 기판, 264) 상에 저장 요소(261), 접점(262), 및 맞닿음부(263)를 배열시킴으로써 획득된 태그형 부재이다.
메모리 태그(260)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230)의 사용에 관한 정보와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설정 정보와 히스토리 정보가 저장된다. 장치 본체의 엔진 제어부는 적절한 시기에 메모리 태그(260)로의 (이후로는 "R/W"로 지칭될) 판독/쓰기를 수행하여, 이로써 현상 카트리지(230)의 사용에 관한 정보를 검출한다. 메모리 태그(260)로의 R/W는 이후에 기술될 커넥터(340)의 전기 접점(본체 전기 접점, 342)을 통해 엔진 제어부에 의해 수행된다(도26 참조).
메모리 태그(260)에 사용되는 저장 요소(261)는 기판의 중심에 배열되어 수지로 제조된 코팅층(보호층, 265)으로 보호된다. 접점(262)은 저장 요소(261)의 각측부 상에 배열되고, 이는 총 2개의 접점(262)이 배열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커넥터(340)의 범핑부(본체측 범핑 부재, 341)가 범핑되는 맞닿음부(263)는 각 접점(262)의 측부에 제공된다. 또한, 2개의 접점(262)과 2개의 맞닿음부(263)는 메모리 태그(260)의 종방향으로 한줄로 배열된다.
메모리 태그(260)에 사용되는 인쇄 기판의 기부 재료로는, 예컨대 유리 섬유 에폭시, 유리계 에폭시, 유리 페이퍼 에폭시, 페이퍼 에폭시, 페이퍼 폴리에스테르, 페이퍼 페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면 기판 및 양면 기판 모두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모리 태그(260)의 각 접점(262)의 영역은 사각형으로 장치 본체(300)의 커넥터(340)의 맞닿음 위치의 변위에 대처할 수 있는 최소폭을 보장한다. 본 실시예의 메모리 태그(260)의 접점(262)에 대해서 구리 박면은 Ni 도금되고 추가로 금 도금된다. 이 방식으로 다층 도금함으로써, 접점(262)의 마모 및 부식이 방지된다.
또한, 적어도 0.05㎛(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3㎛)의 두께를 갖는 표면층인 금도금을 보장함으로써, 장치 본체의 커넥터(340)가 적어도 천회의 결합/결합해제 작동을 하게 되는 테스트 중에 낮고 안정적인 접촉 저항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메모리 태그(260)의 맞닿음부(263)는 기판(264)의 저항면, 즉 접점(262)과 동일한 평면상에 존재한다. 즉, 기판의 단부의 저항면은 맞닿음부로 사용된다. 또한, 접점의 높이가 맞닿음부와 동일해지도록 제조작업이 수행된다.
다음, 메모리 태그(260)를 부착하기 위한 구조가 기술될 것이다.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태그(260)가 부착되는 함몰 플랜지[오목 플랜지(270), 정보 저장 매체 장착부]는 현상 카트리지(230)의 외부면에 형성되고, 플랜지(270)는 반경 방향 구획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그 중심이 로터리(203a)의 축(320)이고 반경 방향 내향으로 함몰된 오목 플랜지이다. 즉, 메모리 태그(260)는 로터리(203a)의 회전 방향으로의 접선면에 평행하도록 고정된다.
그 결과, 이후에 기술될 R/W를 위한 정지 위치에서, 장치 본체의 커넥터(340)가 메모리 태그(260)에 대항하여 수직으로 범핑될 수 있고, 이는 안정적인 와이핑 작동을 수행하고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이루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메모리 태그(260)가 부착되는 플랜지(270)는 토너 용기(232)에 형성된 오목부이다. 플랜지(270)의 중심에는, 메모리 태그(260)의 홈부(260a)와 결합되도록 리브(271)가 배열된다. 또한, 중심의 리브(271)의 좌우측의 각각에는, 범핑부(260b)를 범핑시킴으로써 가로 방향으로 메모리 태그(260)의 대응 범핑부(260b)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설정부(272)가 형성된다.
리브(271)와 홈부(260a)의 결합의 결과로, 메모리 태그(260)의 종방향으로의 위치설정은 수행된다. 또한, 가로방향으로의 위치설정은 위치설정부(272)에 대항하여 메모리 태그(260)의 장측부 상에 범핑부(260b)를 범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리브(271)는 메모리 태그(260)가 180도로 잘못 회전되어 좌우측을 바뀌어 메모리 태그를 부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져도 리브(271)가 기판(261)에 대항하여 맞닿고 메모리 태그(260)를 부착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는 위치에 제공된다.
종방향으로의 위치설정부가 구멍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 카트리지측의 위치설정부는 보스로, 구멍과 보스는 상호 결합된다. 이 경우에, 카트리지의 부착면에 대해 부착이 바로 수행되지 않는다면, 메모리 태그의 구멍과 카트리지의 보스 사이를 탐색할 필요성이 있고 조립 성능이 저하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메모리 태그의 위치설정홈부는 사각형의 오목홈 형상을 가져서, 카트리지의 부착면에 대해 범핑이 바로 수행되지 않아도, 위치설정부들 사이의 결합을 달성하고 조립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메모리 태그에 대해 형성된 종방향으로의 위치설정부가 구멍 형성을 가지는 경우에 있어서, 메모리 태그의 폭은 증가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설정부는 사각형의 오목홈 형상을 가져서, 메모리 태그의 폭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방향으로 메모리 태그를 위치시키기 위한 홈부는 오목홈 형상을 가져서, 메모리 태그가 부착되는 토너 용기측 상의 위치설정부는 몰드가 당겨지는 방향에 평행할 필요가 없어서, 다양한 용기 설계를 갖는 다른 모델의 카트리지의 위치설정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메모리 태그(260)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제로 현상 카트리지(230)에 착탈식으로 고정된다. 또한, 메모리 태그(260)가 부착되는 플랜지(270)에 대해,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 스크루드라이버와 같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도구가 탈거를 돕도록 삽입되는 오목부(270a)가 형성된다.
이 구조의 결과로, 메모리 태그(260)의 파손 또는 결함이 공장에서 선적 검수 중에 발견되는 경우에, 어려움없이 도구를 오목부(270a) 내로 삽입하여 메모리 태그(260)를 탈거 및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공지된 수집 시스템에 의해 재생 플랜트로 수집된 각 카트리지 또는 파손 등으로 인해 제조자에게 복귀된 각 카트리지로부터 메모리 태그를 용이하게 탈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각각의 종류의 카트리지에 대해 메모리 태그 R/W 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서, 단일 도구로 모든 종류의 카트리지의 히스토리 정보를 체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메모리 태그의 히스토리 정보를 체크함으로써, 시장에서 발생하는 저 품질에 관한 문제점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히스토리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소비자에게 보다 큰 만족감을 주는 카트리지를 개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메모리 태그는 작은 크기로, 조립성 및 조립해체성이 탁월하고, 다양한 적용 목적을 갖는 복수의 제품에 부착될 수 있어서, 메모리 태그의 공통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메모리 태그의 양산에 의해 유발되는 이점이 증가되어, 이는 메모리 태그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커넥터의 구조}
다음, 메모리 태그(260)로의 R/W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본체에 배열된 커넥터(340)의 구조가 기술될 것이다.
커넥터(340)는 이후에 기술될 기구에 의해 장치 본체(300) 내의 현상 카트리지(230)에 고정되고, 커넥터(340)는 자유롭게 후퇴되도록 고정된다. 도23, 도24a, 및 도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핑부(341)는 커넥터(340)의 각 단부에 형성되고, 금속으로 제조된 4개의 전기 접점(342, 본체 전기 접점)은 이 범핑부(341) 내에 배열된다. 또한, 각 전기 접점(342)의 선단부(342a)와 범핑부(341)는 커넥터(340)의 종방향을 따라 한줄로 배열된다.
2개의 선단부(342a)는 메모리 태그(260)의 2개 위치에 배열된 각 접점(262a)과 접촉하여, 이로써 커넥터(340)의 전기 접속을 이루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잉여 설계 작업은 복수의 전기 접점이 메모리 태그의 각 접속점과 접촉하게 함으로서 수행된다. 그 결과, 임의의 이유로 2개의 전기 접점중 하나에 대해 불량한 전도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나머지 전기 접점을 사용하여 전기 접속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전기 접점(342)은 구리 합금등으로 제조된 얇은 판을 절단하고 절단된 얇은 판을 굴곡함으로써 제조된다. 메모리 태그의 접점(262)과 같이, 각 전기 접점(342)의 선단부(342a)는 Ni 도금되고 추가로 금도금되어, 그 내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선단부(342a)는 절단 방향에 대해 90도로 굴곡되고 절단 에지부는 메모리 태그의 접점(262)과 접촉한다.
도24a 및 도25a는 커넥터(340)가 메모리 태그(260)에 대항하여 아직 완전히 맞닿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도24b 및 도25b는 커넥터(340)가 메모리 태그(260)에 대항하여 완전히 맞닿은 상태를 도시한다. 제1 실시예에 기술된 도12a, 도12b, 도13a, 및 도13b와 동일한 작동이 수행된다.
{커넥터의 맞닿음과 이격을 제어하기 위한 기구}
다음, 커넥터(340)의 맞닿음과 이격을 제어하기 위한 기구가 도26 내지 도31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커넥터(340)는 커넥터 홀더(350)에 착탈식으로 고정된다. 커넥터(340)의 접점에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사건시에 커넥터를 교체하도록 커넥터 홀더(350)로부터 커넥터(340) 만을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넥터 홀더(350)는 커넥터(340)의 종방향에 평행한 회전축(351), 커넥터 부착부(352), 및 종방향 위치설정 레버(353)를 구비한다. 회전축(351)은 베어링(354)과 커넥터(340)에 의해 지지되고, 커넥터 홀더(350)는 회전축(351)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전 및 이동된다. 커넥터 홀더(350)의 회전축(351)은 로터리 스테이(322a)로부터 연장된 소정 아암에 의해 보유되어 베어링(354)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커넥터 홀더(350)의 하면 상에는, 도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51)에 수직 외향으로 연장하는 후퇴 아암이 형성된다. 커넥터(340)와 커넥터 홀더(350)의 이격 및 가압 작동은 맞닿음/이격 아암(356)에 대해 후퇴 아암(355)의 단부 리브를 맞닿게 하고 후퇴시킴으로써 제어된다.
커넥터 홀더(350)는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 가압 스프링에 의해 회전식으로 가압된다. 후퇴 아암(355)이 맞닿음/이격 캠(356)과 접촉하지 않는 조건하에서, 커넥터(340)는 메모리 태그(260)에 대항하여 맞닿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후퇴 아암(355)이 맞닿음/이격 캠(356)과 접촉하는 경우에, 커넥터(340)는 메모리 태그(260)에 대해 후퇴된다. 이 커넥터 홀더(350)와 커넥터(340)의 이격 및 가압 작동은 소정 시간 주기동안 맞닿음/이격 캠(356)을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회전 플래그(358)는 맞닿음/이격 캠(356)의 회전축(357)의 단부에 부착된다. 맞닿음/이격 캠(356)이 회전하는 방향의 검출은 회전 플래그(358)가 이격 검출 센서(359)를 차단하는 타이밍을 감지함으로써 수행된다.
맞닿음/이격 캠(356)은 도시되지 않은 맞닿음/이격 모터에 의해 회전 및 구동되고, 이 맞닿음/이격 모터는 이후에 기술될 로터리(203a)의 맞닿음/이격을 또한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맞닿음/이격 모터가 회전하는 방향을 절환함으로써, 커넥터(340)는 2개의 위치, 즉 커넥터(340)가 메모리 태그(260)와 접촉하는 가압 위치와 커넥터(340)가 후회하는 이격 위치중 하나로 이동된다.
커넥터(340)가 메모리 태그(260)와 접촉하게 하기 위한 가압 작업은 소정 기간 주기 동안 맞닿음/이격 모터를 후방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소정 각도로 맞닿음/이격 캠(356)을 회전시킴으로써, 커넥터 홀더(350)의 후퇴 캠(355)은 맞닿음/이격 캠(356)으로부터 분리되고, 커넥터(34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외부로 추진되어 메모리 태그(260)에 대항하여 맞닿는다(도29 참조).
메모리 태그(260)로부터 커넥터(340)를 후퇴시키기 위한 이격 작업은 소정 기간 주기 동안 맞닿음/이격 모터를 전방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가압에 대향하여, 커넥터(350)의 후퇴 아암(355)은 맞닿음/이격 캠(356)에 의해 후퇴되고 커넥터(340)는 메모리 태그(260)로부터 멀리 이격된다(도30 참조).
이격 검출 센서(359)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커넥터(3400의 가압/후퇴에 관한 위치 검출이 수행된다는 것은 본원에서 유의해야할 것이다. 이 제어는 이후에 기술될 로터리의 맞닿음/이격 작동에 또한 적용된다.
커넥터 홀더(350)의 중심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종방향 위치설정 레버(353)는 현상 카트리지(230)의 종방향 위치설정 수단인 가이드 홈(274) 내로 진입하도록 배열된다. 이 방식으로 종방향 위치설정 레버(353)를 가이드 홈(274)과 결합시킴으로써, 트러스트 방향으로의 메모리 태그(260)에 대한 커넥터(340)의 위치 일탈이 억제되는 구조가 달성된다.
{메모리 태그로의 R/W}
각 현상 카트리지(230)는 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230)를 로터리(203a)에 장착할 수 있는 분해 위치로부터 90도 하류측에서 메모리 태그(260)로의 R/W를 수행한다.
장치 본체에 고정된 일반적인 카트리지에 비해, 현상 카트리지(230)는 로터리를 사용하여 선회 및 이동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 현상 카트리지(230)의 메모리 태그(260)와 장치 본체의 커넥터(340) 사이의 접촉은 수회 반복된다.
5000부가 완료될 때 각 색상용 카트리지의 수명이 소멸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에, 메모리 태그로의 R/W는 작업이 완료될 때만 수행된다면, 최대 5000회의 R/W 작동은 각 색상에 대해 메모리 태그에 수행된다.
한편, 장치 본체의 커넥터는 황색, 마젠타색, 시안색, 및 흑색의 각 4색에 대해 메모리 태그와 접촉하며, 이는 각 카트리지 세트에 대해 최대 2만회가 반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10만부가 완성될 때 장치 본체의 수명이 소멸되는 경우에, 커넥터가 최대 40만회의 접촉을 수행한다는 것이 계산으로부터 구해진다.
또한, 카트리지의 인쇄율이 낮게 설정된 경우에, 이 카트리지는 전술된 수명보다 2배 이상의 부수를 형성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메모리 태그와의 접촉 작동의 횟수는 선형적으로 증가된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이렇게 극도로 큰 접촉 횟수를 보장하는 것은 메모리 태그와 커넥터 모두에 관해 기술적으로 난해한 장해물이 된다. 본 실시예의 메모리 태그와 커넥터는 저 비용으로 신뢰성을 보장하려 하고 다음의 제어는 R/W중에 접촉 작동 횟수를 감소시키도록 수행된다.
판독은 (1) 전원이 켜지고, (2) 카트리지 도어가 폐쇄되고, 및 (3) 비디오 제어부로부터 지시가 내려질 때 수행된다.
한편, 쓰기는 (1) 작업에 의해 지정된 부수가 완성되어고, 또는 (2) 비디오 제어부로부터 지시가 내려질 때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 태그로의 쓰기는 50부가 완성될 때마다 수행되어, 이로써 사용 정보를 갱신한다. 50부 이상이 연속으로 출력되는 경우에, 작업에 의해 지시된 부수가 완료된 후에, 메모리 태그로의 쓰기가 수행된다는 것에 유의하자. 카트리지가 수명 중간에 교체되거나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체되는 경우에, 도시되지 않은 패널 버튼이 눌러지고, 이로써 교체될 카트리지의 사용 정보를 갱신하도록 쓰기를 수행하고 이 카트리지는 분해 위치로 회전 및 이동된다.
카트리지의 메모리 내용을 저장하기 위한 미러 메모리는 DC 제어부 내에 내장되고 카트리지 사용 정보의 확인은 장치 본체의 미러 메모리의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수행된다. 즉, 카트리지의 메모리 태그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작동은 확인이 수행될 때마다 수행되지 않는다.
전원이 꺼질 때, 또는 카트리지 도어가 개방된 경우에, 카트리지가 다른 것으로 교체될 가능성이 있어서, 이러한 상황이 일어날 때마다 카트리지의 메모리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이 켜질 때, 그리고 카트리지 도어가 폐쇄될 때, 메모리 태그를 판독하기 위한 작동은 분해 위치에 존재하는 카트리지에 대해서만 수행된다.
소정 작업이 종료된 후에, 카트리지는 분해 위치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4색용 카트리지는 회전 방식으로 분해 위치로 연속적으로 이동된다.
예컨대, 황색용 카트리지가 이전 작업이 종료되었을 때, 분해 위치에 존재된 경우에, 채색 순서로 제2 색상인 마젠타색용 카트리지는 다음 작업이 종료된 후에 분해 위치로 이동된다. 그런 후, 그 다음 작업이 종료된 후에, 채색 순서로 제3 색상인 시안색용 카트리지는 분해 위치로 이동된다. 그 다음 작업이 종료된 후에, 채색 순서로 제4 색상인 흑색용 카트리지는 분해 위치로 이동된다.
즉, 작업이 종료될 때마다, 분해 위치에 존재하는 카트리지는 황색, 마젠타색, 시안색, 그 다음 흑색의 채색 순서로 회전 방식으로 변경된다.
현상 카트리지의 교체 이외에, 카트리지 도어는 잼 제거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교체가 수행되는 경우에도 개폐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특정 색상용 카트리지가 분해 위치에 존재하는 상황이 방지되어, 카트리지 도어가 전술된 현상 카트리지의 교체이외의 목적으로 개방되는 경우에, 접근이 수행될 때마다 특정 색상용 카트리지의 메모리 태그로 거의 배타적으로 접근이 수행될 가능성이 감소된다.
또한, 장치 본체의 전원은 매일 꺼지는 기회가 많다. 그러나, 전원이 매일 켜지는 경우에도, 특정 색상용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분해 위치에 존재하는 상황이 방지되어, 이는 전원이 켜질 때마다 특정 카트리지의 메모리 태그로 거의 배타적으로 접근이 수행될 가능성이 감소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각 카트리지의 메모리 태그로의 R/W 접근에 관한 조건을 설정하고 회전 방식으로 분해 위치에 존재하는 카트리지의 색상을 변경함으로써, 메모리 태그와 커넥터 사이의 R/W 작동 횟수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현상 카트리지에 대해, 분해 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로터리로부터 현상 카트리지를 분해하는 것이 불가능한 구조가 달성된다는 것을 유의해야한다.
또한, 카트리지의 토너 수명이 소멸될 것이라는 예고가 검출되는 경우에 있어서, 남아있는 수명이 4색용 카트리지 중에서 가장 짧은 카트리지가 높은 우선권이 주어지고 분해 위치로 이동된다.
{현상 카트리지를 가압하기 위한 구조}
본 실시예에 있어서, 4색용 현상 카트리지는 로터리 내에 내장된다. 감광체 드럼에 대항한 이 현상 카트리지의 가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도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에서, 로터리 플랜지(321)는 로터리 측판(322)에 대해 선회식으로 보유된다. 여기서, 각 측부상의 로터리 측판(322)은 상부에 회전식으로 배열되는 요동축(324)에 의해 장치 본체의 측판에 위치 및 고정된다. 즉, 현상 카트리지(230), 로터리 플랜지(321), 및 로터리 측판(322)이 일체로 요동하는 구조가 달성된다. 즉, 현상 카트리지(230)와 로터리(203a)는 일체로 요동하는 요동 이동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230)는 감광체 드럼(221)에 대항하여 가압되고 이로부터 이격되는 구조가 달성된다.
로터리(203a)의 맞닿음 이격 작동은 가압 캠을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 가압 캠은 전술된 커넥터(340)의 맞닿음/이격 캠(356)과 동축으로 배열된다. 맞닿음/이격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절환함으로써, 로터리(203a)는 2개의 위치, 즉 가압 위치와 이격 위치로 이동된다.
로터리의 가압은 소정 시간 주기동안 맞닿음/이격 모터를 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 전방 회전에 의해, 가압 캠은 소정량 회전되고 로터리는 감광체 드럼에 대항하여 추진된다.
로터리의 이격은 가압 중에 수행된 작동에 반대인 작동에 의해 수행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맞닿음/이격 모터는 후방으로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로터리의 이격 위치로 절반 이격 및 완전 이격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는 것을 본원에서 유의해야할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절반 이격 위치에서는 현상 카트리지와 감광체 드럼 사이에 약 2mm의 거리가 유지되고, 전체 이격 위치에서는 이들 사이에 약 4mm의 거리가 유지된다.
그 결과, 로터리는 가압 위치, 절반 이격 위치, 및 완전 이격 위치인 3개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 3개의 정지 위치에의 로터리의 설정은 맞닿음/이격 모터를 사용하여 0도, 90도, 및 180도의 3단계로 가압 캠을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화상 형성 중에, 로터리는 선회되어 맞닿음/이격 작동은 절반 이격 위치에서 수행된다. 로터리의 완전 이격은 현상 카트리지가 분해 위치에 배치되고 R/W가 현상 카트리지의 메모리 태그에 대해 수행될 때 수행된다.
현상 카트리지가 완전 이격 위치로부터 감광체 드럼에 대항하여 맞닿는 경우에 비해, 현상 카트리지가 절반 이격 위치로부터 맞닿는 경우에 있어서, 짧은 이동 거리로 로터리를 가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는 감광체 드럼에 대한 쇼크와 작동 노이즈를 대략 반감시킬 수 있게 한다.
{로터리의 회전 제어}
도31 및 도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는 각 측부 상에서 로터리 플랜지(321)의 외주연면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 기어와 결합되는 한 쌍의 피동 기어(325)는 각 측부 상에 배열된다. 각 측부상의 피동 기어(325)는 회전축을 통해 상호 결합되고, 이는 일측부 상의 로터리 플랜지(321)가 회전될 때, 다른 측부상의 로터리 플랜지(321)가 이 피동 기어(325)를 경유하여 동일한 위상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구현한다.
이 구동 구조로, 로터리 플랜지(321)가 로터리 플랜지(321)의 선회 또는 현상 롤러(230)의 구동중에 뒤틀리는 상황이 방지된다.
요동축(324) 상에 있는 로터리 측판(322)의 요동 중심에서, 로터리 플랜지(321)를 회전시키기 위한 로터리 구동 기어가 배열되고, 이 로터리 구동 기어는 로터리 구동 모터(326)에 연결된다.
공지된 엔코더(327)는 로터리 구동 모터(326)의 회전축의 단부에 부착되고 로터리 구동 모터(326)의 회전량을 검출함으로써 회전 횟수를 제어한다. 한편, 돌출 플래그(328)는 로터리 플랜지(321)의 외주연부의 측부상에 형성되고 로터리 측판(322)에 고정된 광센서(photo-interrupter)를 통과하도록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래그(328)가 기준으로 광센서(329)를 차단하는 타이밍을 사용하여, 로터리(203a)가 소정 각도로 선회하도록 제어가 수행된다. 이 선회 각도의 제어는 엔코더(327)를 사용하여 회전량을 검출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로터리의 회전량은 펄스 모터등을 사용하여 통상 제어되고, 따라서 격자형 고조화파는 여기에 의해 생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구동 제어는 DC 모터를 사용하여 수행되어, 로터리의 구동을 보다 조용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로터리가 현상 카트리지의 구동중에 회전 및 변위될 위험이 있어서, 로터리의 회전을 잠글 것이 요구된다. DC 모터의 온도가 증가되어, 제동이 상기간 인가된다면 이 모터가 탈 가능성이 높지만, 로터리용 구동 모터인 DC 모터에 전기 제동을 인가함으로써 로터리의 회전을 잠그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브레이크 홈은 로터리를 따라 회전하는 피동 기어의 회전축 상에 배열되고, 스톱퍼 클로(stopper claw)는 현상 카트리지가 정지될 각 위치에서 브레이크 홈 내로 삽입된다. 이 스톱퍼 클로의 상승/하강은 소정 타이밍에 솔레노이드를 온/오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기계 브레이크로, 로터리가 정지하는 위치의 변위가 방지된다.
본 실시예의 기술로, 정보 저장 매체인 메모리 태그에는 장치 본체의 커넥터가 맞닿는 맞닿음부가 제공된다. 따라서, 탄성 변형량과 메모리 태그의 접점에 대해 커넥터에 대해 배열되는 접촉핀의 접촉 압력은 일정해지고,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달성되고, 이는 양호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항상 가능하다.
또한, 메모리 태그와 맞닿음부의 접점은 동일한 높이를 갖는 평면상에 존재한다. 이 구조는 높이 방향으로의 메모리 태그의 접점과 맞닿음부의 치수 정확성을 개선시키고, 이는 접촉핀의 탄성 변형량과 접촉 압력을 안정화시킨다.
또한, 메모리 태그의 맞닿음부와 접점은 상호 분리되어 제공되고 접촉핀의 전기 접점은 접점의 표면과 접촉한다. 이는 맞닿음이 수행될 때 커넥터의 마모에 의해 생성되는 분말이 접점을 오염시키는 가능성을 방해한다. 그 결과, 안정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메모리 태그를 위치시키기 위한 노치부는 사각형의 오목홈 현상을 가져서, 카트리지의 부착면에 바로 대항하여 범핑되지 않더라고, 위치설정부와의 결합을 성립시키고 조립성의 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메모리 태그에 대해 형성되는 종방향으로의 각 위치설정부는 사각형의 오목홈 형상을 가져서, 메모리 태그의 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카트리지와 장치 본체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카트리지측 상의 메모리 태그의 위치설정부는 몰드가 당겨지는 방향에 평행할 필요가 없고, 이는 다양한 용기 설계를 갖는 다른 모델의 카트리지의 위치설정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여러 모델에 대해 메모리 태그를 통상 사용하고 양산에 의해 유발된 이점으로 인해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커넥터는 접촉핀의 선단부의 전기 접점과 점핑부가 직선상에 배열되는 조건 하에서 메모리 태그에 대항하여 맞닿고, 이는 안정화된 접촉 압력을 보장하고 접촉 저항의 변경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여러 모델에 대해 장치 본체의 커넥터를 통상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여, 양산에 의해 유발된 이점으로 인해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메모리 태그에 대해 커넥터의 트러스트 방향을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메모리 태그의 각 접점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메모리 태그의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장치의 크기의 감소에 기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예>
도39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된 제1 실시예와 다른 아이템만이 기술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의 기술을 생략될 것이다.
(메모리 태그의 구조)
도39 및 도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저장 매체인 메모리 태그(460, 정보 저장 매체)는 프로세스 카트리지(402)의 드럼 프레임(413)의 표면에 부착된다. 메모리 태그(460)는 기부체인 기판(인쇄 기판, 464) 상에 접점(462)과 저장 요소(461)를 배열시킴으로써 획득된 태그형 부재이다.
저장 요소(461)는 중심에 배열되어 수지로 코팅된다. 또한, 접점(462)은 저장 요소(461)와 동일한 평면 및 저장 요소(461)를 보호하는 (코팅층, 보호 부재, 465)의 양측부 상에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10에 도시된 커넥터(140)의 범핑부(본체 전기 접점, 141)가 맞닿는 맞닿음부(413b)는 카트리지(402)의 드럼 프레임(413)의 메모리 태그 접점(462)의 외측에 제공된다. 전술된 커넥터(140)의 범핑부(141)는 이 맞닿음부(413b)에 대항하여 맞닿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기술로, 메모리 태그의 저장 요소(461)와 전기 접점(462)은 대체로 직선상으로 배열되어, 메모리 태그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해 그 부착 위치에 관해 가요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커넥터(140)의 범핑부(141)가 맞닿는 맞닿음부(413b)를 드럼 프레임(413)에 제공함으로써, 커넥터측상의 탄성 변형에 의한 접촉 압력을 생성하는 금속으로 제조된 전기 접점의 변형량은 일정해지고 커넥터와 메모리 태그 사이의 접촉 압력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메모리 태그(460)의 크기를 추가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기 접점(462)에 평행하게 제공된 맞닿음부(413b)가 전기 접점(462)의 각각의 연장성 상에 배열되는 구조가 달성된다. 그 구조로, 커넥터의 범핑부(141)와 전기 접점(462) 사이의 각 거리는 상호 동일해지고, 전기 접점(142)의 가압 균형은 균일해진다. 그 결과, 불충분한 접촉 압력 등으로 인한 불량한 전도가 보다 신뢰성있게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각 접점(462)에는 2개의 접점 각각이 접촉 및 활주하는 2개의 활주 영역(462a)이 제공된다. 이 구조로, 접점(462)과 전기 접점(142) 사이의 전기 접속의 신뢰성이 개선된다.
<제4 실시예>
도41은 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된 제1 실시예와 다른 아이템만이 기술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의 기술을 생략될 것이다.
(메모리 태그의 구조)
도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태그(560, 정보 저장 매체)는 기부체인 기판(인쇄 기판) 상에 저장 요소(561)와 접점(562)을 배열시킴으로써 획득된 태그형 부재이다.
저장 요소(561)는 일단부 배열되어 수지로 제조된 코팅층(565)으로 코팅된다. 또한, 전기 접점(562)은 저장 요소(561)와 동일한 평면상에서 그 일측부 상의 저장 요소(561)와 대체로 정렬된 상태로 배열되고, 커넥터(140)의 범핑부(141)가 맞닿는 맞닿음부(563)가 배열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조로, 메모리 태그의 저장 요소의 코팅층(565)과 전기 접점(562)은 대체로 직선상에 배열되고, 이는 메모리 태그(560)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해 그 부착 위치에 관한 가요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커넥터(140)의 범핑부(141)가 범핑되는 맞닿음부(563)를 각 전기 접점(562)의 측부상에 제공함으로써, 커넥터(140)의 전기 접점(142)의 변형량이 일정해지고 커넥터(140)의 전기 접점(142)의 접촉 압력을 안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모리 태그의 크기를 추가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접점에 평행하게 제공된 맞닿음부가 각 접점의 연장선상에 배열되는 구조가 달성된다. 이 구조로, 범핑부와 커넥터의 접점 사이의 거리의 각각은 상호 동일해지고 압력 균형은 균일해진다. 그 결과, 불충분한 접촉 압력 등으로 인한 불량한 전도가 신뢰성있게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같이, 각 접점(562)에는 2개의 전기 접점(142)이 각각 접촉 및 활주하는 2개의 활주 영역(562a)이 제공된다. 이 구조로, 접점(562)과 전기 접점(142) 사이의 전기 접속의 신뢰성이 개선된다.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전술된 바와 같이, 정보의 전송 및 수신이 화상 형성 장치 접점의 본체의 전기 접점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 카트리지 등과 같은 유닛의 서비스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정보 저장 매체의 표면상에 제공된 접점과 접촉하게 함으로써 수행되는 접촉 에너자이징 기구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의 전기 접점이 활주하는 부분이 정보 저장 매체의 접점 상에 제공된다. 통신 수단의 전기 접점은 전기 접점이 접점과 접촉할 때 정보 저장 매체의 접점 상에서 활주한다(이 활주는 "와이핑"으로 지칭된다). 이 와이핑의 결과로, 접착제 및 산화막은 벗겨지고, 이는 전기 접속을 신뢰성있게 이루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저장 요소 및 그 보호 부재는 한줄로 배열되어, 저장 요소가 제공된 기판의 단측부의 길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는 소형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이 기판을 배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정보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그 종방향으로의 크기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를 통과하는 종이의 최대폭보다 다소 크다. 이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측 또는 상면에 정보 저장 매체를 배열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진다면, 종방향으로 어떠한 제한도 부과되지 않는다. 그러나, 폭이 크기의 감소에 의해 감소되기 때문에 가로방향으로 제한이 부과된다. 그 결과, 전술된 바와 같이, 단측부의 최소화된 길이를 갖는 정보 저장 수단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류에 관계없이 장착가능해진다.
또한, 커넥터의 점핑부가 맞닿는 맞닿음부는 정보 저장 매체의 접점에 인접하게 제공된다. 커넥터의 전기 접점의 변위량은 전기 접점이 정보 저장 매체의 접점에 대항하여 가압될 때 커넥터 등의 범핑부의 돌출량에 의해 결정되어, 정보 저장 매체의 접점 상에 가해진 커넥터의 전기 접점의 접촉 압력을 소정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접촉 압력은 이 방식으로 맞닿음부에 의해 결정되고,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전기 접속을 안정화하고 극히 양호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접점과 맞닿음부가 저장 요소를 구비한 기판의 일면 상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2차원 단순 구조로,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용이해지고 다수의 모델에 기판을 통상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양산에 의해 유발되는 이점이 달성되고, 이는 부품 비용의 절감에 현저하게 기여한다.
또한, 일측부 상의 기판의 에지에는, 현상 카트리지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같은 유닛의 위치설정부와 결합하는 노치부가 제공된다. 그 결과, 정보 저장 매체의 부착 구조를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정보 저장 매체가 현상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등에 장착될 때 발생하는 역부착을 방지하도록 이 노치부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전술된 방법으로 구성되어 다음의 효과가 달성된다.
전자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상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은 신뢰성있게 정보 저장 매체의 전기 접점과 접촉하여, 신뢰성있는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또한, 정보 저장 매체의 전기 접점은 장치 본체에 제공된 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할 때, 안정된 방식으로 접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비산된 토너등이 본체 전기 접점 또는 전기 접점에 접착되더라도, 이 접착제를 제거함으로써 신뢰성있는 접속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정보 저장 매체의 크기의 감소와 공간 절약이 구현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2는 도1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3은 조립해체 조건하에서 도2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조립해체 사시도.
도4는 좌측으로부터 바라본 도2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5는 우측으로부터 바라본 도2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6은 메모리 태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7은 메모리 태그가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8은 메모리 태그와 커넥터의 배열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9는 메모리 태그와 커넥터의 배열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10은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1은 커넥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12a 및 도12b는 메모리 태그와 커넥터의 맞닿음부를 도시하는 부분도.
도13a 및 도1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접촉핀의 변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14는 우측상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가이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5는 좌측상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가이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6은 레이저 셔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17은 레이저 셔터의 구동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18은 레이저 셔터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20a 및 도20b는 도19의 장치의 현상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20a는 사시도이고 도20b는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1a 및 도21b는 현상 카트리지의 메모리 태그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21a 는 메모리 태그가 현상 카트리지에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21b는 메모리 태그만 도시된 평면도.
도22는 메모리 태그 및 부착부를 도시하는 조립해체 사시도.
도23은 커넥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24a 및 도24b는 커넥터와 메모리 태그의 맞닿음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24a는 커넥터가 메모리 태그에 대항하여 완전히 맞닿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부분도이고, 도24b는 커넥터가 메모리 태그에 대항하여 완전히 맞닿은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도.
도25a 및 도25b는 접촉핀의 변형을 도시한 도면.
도26은 커넥터와 커넥터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27은 커넥터, 커넥터 홀더, 메모리 태그의 배열을 도시한 사시도.
도28은 커넥터의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29는 커넥터가 메모리 태그에 대항하여 맞닿은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30은 커넥터가 메모리 태그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31은 현상 카트리지와 로터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32는 로터리와 커넥터를 구동하기 위한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33은 현상 카트리지를 로터리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34는 로터리의 요동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35는 도19의 전자사진 형성 장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36은 좌측에서 바라본 도35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37은 우측에서 바라본 도35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38은 도35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한 가이드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3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메모리 태그를 도시한 도면.
도40은 도39의 메모리 태그가 드럼 프레임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4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메모리 태그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광학 수단
2, 202, 402:프로세스 카트리지
11, 221: 감광체 드럼
72, 272: 위치설정부
100, 300: 장치 본체
230: 현상 카트리지

Claims (29)

  1.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는 정보 저장 매체이며,
    기판과,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저장 요소와,
    상기 저장 요소에 전기 접속되고 상기 기판에 제공되는 전기 접점과,
    상기 전기 접점 상에 제공되는 활주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저장 매체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전기 접점은 상기 장치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고,
    상기 전기 접점과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상호 접촉하는 경우,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활주 영역에서 활주하여 상기 전기 접점과 접촉하며,
    여기서, 상기 전기 접점이 상기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전기 접점과 본체 전기 접점의 접촉에 의해 야기되는 접촉압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제공된 본체 맞닿음 부재에 의해 규제되는 정보 저장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본체 맞닿음 부재에 대항하여 맞닿는 맞닿음부가 제공되고, 상기 접촉압의 규제는 상기 본체 맞닿음 부재와 상기 맞닿음부의 맞닿음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저장 매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제1 맞닿음부와 제2 맞닿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점은 제1 전기 접점과 제2 전기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맞닿음부, 제1 전기 접점, 제2 전기 접점 및 제2 맞닿음부는 상기 기판의 종방향으로 일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 상기 순서로 한줄로 배열되는 정보 저장 매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활주하는 활주 방향으로, 상기 활주 영역은 그 길이가 0.2mm 내지 5mm의 범위인 상태로 평행하게 2개의 위치에 제공되는 정보 저장 매체.
  5.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유닛이며,
    기판,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저장 요소, 상기 저장 요소에 전기 접속되고 상기 기판에 제공되는 전기 접점, 상기 전기 접점 상에 제공되는 활주 영역을 구비한 정보 저장 매체와,
    상기 정보 저장 매체가 장착되는 정보 저장 매체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이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전기 접점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고, 상기 전기 접점과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상호 접촉하는 경우,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활주 영역에서 활주하여 상기 전기 접점을 접속하고,
    여기서, 상기 전기 접점이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전기 접점과 본체 전기 접점의 접촉에 의해 야기되는 접촉압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제공된 본체 맞닿음 부재에 의해 규제되는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본체 맞닿음 부재에 대항하여 맞닿은 맞닿음부가 제공되고, 상기 접촉압의 규제는 상기 본체 맞닿음 부재와 맞닿음부의 맞닿음에 의해 수행되는 유닛.
  7. 제5항에 있어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닛의 프레임은 본체 맞닿음 부재가 맞닿는 맞닿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압의 규제는 상기 본체 맞닿음 부재와 맞닿음부의 맞닿음에 의해 수행되는 유닛.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제1 맞닿음부와 제2 맞닿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점은 제1 전기 접점과 제2 전기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 본체에 제공된 본체 맞닿음 부재에 대항하여 맞닿는 제1 맞닿음부, 상기 제1 전기 접점, 상기 제2 전기 접점 및 상기 제2 맞닿음부는 상기 기판의 종방향으로 일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 상기 순서로 한줄로 배열되는 유닛.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활주하는 활주 방향으로, 상기 활주 영역은 그 길이가 0.2mm 내지 5mm의 범위인 상태로 평행하게 2개의 위치에 제공되는 유닛.
  10.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전자 사진 감광체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 상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기판,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저장 요소, 상기 저장 요소에 전기 접속되고 상기 기판에 제공되는 전기 접점, 및 상기 전기 접점 상에 제공되는 활주 영역을 구비한 정보 저장 매체와,
    상기 정보 저장 매체가 장착되는 정보 저장 매체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전기 접점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고, 상기 전기 접점과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상호 접촉할 때,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활주 영역의 상기 전기 접점 상에서 활주하고,
    여기서, 상기 전기 접점이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전기 접점과 본체 전기 접점의 접촉에 의해 야기되는 접촉압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제공된 본체 맞닿음 부재에 의해 규제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본체 맞닿음 부재에 대항하여 맞닿는 맞닿음부가 제공되고, 상기 접촉압의 규제는 상기 본체 맞닿음 부재와 맞닿음부의 맞닿음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제10항에 있어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프레임은 본체 맞닿음 부재가 맞닿는 맞닿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압의 규제는 상기 본체 맞닿음 부재와 맞닿음부의 맞닿음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제1 맞닿음부와 제2 맞닿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점은 제1 전기 접점과 제2 전기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맞닿음부, 제1 전기 접점, 제2 전기 접점 및 제2 맞닿음부는 상기 기판의 종방향으로 일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 상기 순서로 한줄로 배열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활주하는 활주 방향으로, 상기 활주 영역은 그 길이가 0.2mm 내지 5mm의 범위인 상태로 평행하게 2개의 위치에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5.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이며,
    전자사진 감광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과,
    기판,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저장 요소, 상기 저장 요소에 전기 접속되고 상기 기판에 제공되는 전기 접점, 및 상기 전기 접점 상에 제공되는 활주 영역을 구비한 정보 저장 매체와,
    상기 정보 저장 매체가 장착되는 정보 저장 매체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전기 접점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고, 상기 전기 접점과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상호 접촉할 때,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활주 영역에서 활주하여 상기 전기 접점과 접촉하고,
    여기서, 상기 전기 접점이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전기 접점과 본체 전기 접점의 접촉에 의해 야기되는 접촉압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제공된 본체 맞닿음 부재에 의해 규제되는 현상 카트리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본체 맞닿음 부재에 대항하여 맞닿는 맞닿음부가 제공되고, 상기 접촉압의 규제는 상기 본체 맞닿음 부재와 맞닿음부의 맞닿음에 의해 수행되는 현상 카트리지.
  17. 제15항에 있어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프레임은 본체 맞닿음 부재가 맞닿는 맞닿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압의 규제는 상기 본체 맞닿음 부재와 맞닿음부의 맞닿음에 의해 수행되는 현상 카트리지.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제1 맞닿음부와 제2 맞닿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점은 제1 전기 접점과 제2 전기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맞닿음부, 제1 전기 접점, 제2 전기 접점 및 제2 맞닿음부는 상기 기판의 종방향으로 일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 상기 순서로 한줄로 배열되는 현상 카트리지.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활주하는 활주 방향으로, 상기 활주 영역은 그 길이가 0.2mm 내지 5mm의 범위인 상태로 평행하게 2개의 위치에 제공되는 현상 카트리지.
  20.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거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고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i) 본체 전기 접점과,
    (ii) 본체 맞닿음 부재와,
    (iii) 전자사진 감광체; 상기 전자 사진 감광체 상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 기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저장 요소, 상기 기판에 제공되고 상기 저장 요소와 전기 접속되는 전기 접점, 및 상기 전기 접점 상에 제공되는 활주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 저장 매체; 및 상기 정보 저장 매체가 장착되는 정보 저장 매체 장착부를 구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탈거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착 수단과,
    (ⅳ) 상기 기록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전기 접점은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고, 상기 전기 접점과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상호 접촉하는 경우,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활주 영역의 상기 전기 접점 상에서 활주하고,
    여기서, 상기 전기 접점이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전기 접점과 본체 전기 접점의 접촉에 의해 야기되는 접촉압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제공된 본체 맞닿음 부재에 의해 규제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21. 현상 카트리지가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하고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i) 본체 전기 접점과,
    (ii) 본체 맞닿음 부재와,
    (iii) 전자사진 감광체; 상기 전자 사진 감광체 상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 기판,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저장 요소, 상기 저장 요소에 전기 접속되고 상기 기판에 제공되는 전기 접점, 및 상기 전기 접점 상에 제공된 활주 영역을 구비한 정보 저장 매체; 및 상기 정보 저장 매체가 장착되는 정보 저장 매체 장착부를 구비한 현상 카트리지를 탈거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 수단과,
    (ⅳ) 상기 기록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전기 접점은 상기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고, 상기 전기 접점과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상호 접촉할 때,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활주 영역의 상기 전기 접점 상에서 활주하고,
    여기서, 상기 전기 접점이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전기 접점과 본체 전기 접점의 접촉에 의해 야기되는 접촉압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제공된 본체 맞닿음 부재에 의해 규제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2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기판의 종방향으로 상기 기판의 단부에 제공된 제1 맞닿음부와 종방향으로 상기 기판의 다른 단부에 제공된 제2 맞닿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점은 제1 전기 접점과 제2 전기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점은 제1 맞닿음부와 제2 맞닿음부 사이에 제공되는 정보 저장 매체.
  2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기판의 종방향으로 상기 기판의 단부에 제공된 제1 맞닿음부와 종방향으로 상기 기판의 다른 단부에 제공된 제2 맞닿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점은 제1 전기 접점과 제2 전기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점은 제1 맞닿음부와 제2 맞닿음부 사이에 제공되는 유닛.
  2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기판의 종방향으로 상기 기판의 단부에 제공된 제1 맞닿음부와 종방향으로 상기 기판의 다른 단부에 제공된 제2 맞닿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점은 제1 전기 접점과 제2 전기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점은 제1 맞닿음부와 제2 맞닿음부 사이에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기판의 종방향으로 상기 기판의 단부에 제공된 제1 맞닿음부와 종방향으로 상기 기판의 다른 단부에 제공된 제2 맞닿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점은 제1 전기 접점과 제2 전기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점은 제1 맞닿음부와 제2 맞닿음부 사이에 제공되는 현상 카트리지.
  26.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는 정보 저장 매체이며,
    기판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저장 요소와,
    상기 저장 매체가 상기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위에 부착되는 경우 전기 접점은 전자사진 화상의 본체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는, 상기 저장 요소에 전기 접속되는 전기 접점과,
    상기 전기 접점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전기 접점이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는 경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전기 접점 위로 활주하는 제1 활주 영역과,
    상기 제1 활주 영역에 사실상 평행하게 상기 전기 접점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전기 접점이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는 경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전기 접점 위로 활주하는 제2 활주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 저장 매체.
  27.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는 유닛이며,
    전자사진 감광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과,
    기판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저장 요소와, 저장 매체가 상기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위에 부착되는 경우 전기 접점은 전자사진 화상의 본체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는, 상기 저장 요소에 전기 접속되는 전기 접점과, 상기 전기 접점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전기 접점이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는 경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전기 접점 위로 활주하는 제1 활주 영역과, 상기 제1 활주 영역에 사실상 평행하게 상기 전기 접점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전기 접점이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는 경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전기 접점 위로 활주하는 제2 활주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 저장 매체와,
    상기 정보 저장 매체가 부착되는 정보 저장 매체 부착부를 포함하는 유닛.
  28.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작용하기 위한 프로세스 수단과,
    기판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저장 요소와, 저장 매체가 상기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위에 부착되는 경우 전기 접점은 전자사진 화상의 본체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는, 상기 저장 요소에 전기 접속되는 전기 접점과, 상기 전기 접점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전기 접점이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는 경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전기 접점 위로 활주하는 제1 활주 영역과, 상기 제1 활주 영역에 사실상 평행하게 상기 전기 접점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전기 접점이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는 경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전기 접점 위로 활주하는 제2 활주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 저장 매체와,
    상기 정보 저장 매체가 부착되는 정보 저장 매체 부착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9.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는 현상 카트리지이며,
    전자사진 감광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과,
    기판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저장 요소와, 저장 매체가 상기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위에 부착되는 경우 전기 접점은 전자사진 화상의 본체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는, 상기 저장 요소에 전기 접속되는 전기 접점과, 상기 전기 접점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전기 접점이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는 경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전기 접점 위로 활주하는 제1 활주 영역과, 상기 제1 활주 영역에 사실상 평행하게 상기 전기 접점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전기 접점이 본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는 경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전기 접점 위로 활주하는 제2 활주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 저장 매체와,
    상기 정보 저장 매체가 부착되는 정보 저장 매체 부착부를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
KR10-2002-0036563A 2002-05-17 2002-06-28 정보 저장 매체,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 카트리지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473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42301 2002-05-17
JP2002142301A JP4194298B2 (ja) 2002-05-17 2002-05-17 情報記憶媒体、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391A KR20030089391A (ko) 2003-11-21
KR100473133B1 true KR100473133B1 (ko) 2005-03-10

Family

ID=2926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563A KR100473133B1 (ko) 2002-05-17 2002-06-28 정보 저장 매체,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 카트리지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826380B2 (ko)
EP (1) EP1363168A3 (ko)
JP (1) JP4194298B2 (ko)
KR (1) KR100473133B1 (ko)
CN (2) CN1012413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4298B2 (ja) * 2002-05-17 2008-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記憶媒体、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266321B2 (en) * 2002-09-30 2007-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supplying voltage to developing device
US20040098157A1 (en) * 2002-11-14 2004-05-20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toring product documentation in a memory device affixed to a product
JP2004205950A (ja) * 2002-12-26 2004-07-22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919779B2 (ja) * 2003-08-29 2007-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58272B2 (ja) * 2003-09-25 2007-08-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80309B2 (ja) * 2003-12-03 2009-12-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136608B2 (en) * 2003-12-19 2006-11-14 Steven Miller Removable toner cartridge universal adapter
US7177567B2 (en) * 2003-12-19 2007-02-13 Steven Miller Integrated toner cartridge with toner agitator and sensing device
JP4110143B2 (ja) 2004-01-30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に着脱可能な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250555B2 (ja) * 2004-03-09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離間部材
JP4556452B2 (ja) * 2004-03-11 2010-10-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292356A (ja) * 2004-03-31 2005-10-20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CA2681904C (en) * 2004-04-01 2013-06-25 Cartridge Corporation Of America, Inc. Integrated toner cartridge with toner agitator and sensing device
JP2006030725A (ja) * 2004-07-20 2006-02-0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現像ユニット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6106692A (ja) * 2004-09-10 2006-04-2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記憶媒体
JP4110144B2 (ja) * 2004-09-17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100442170C (zh) * 2004-09-17 2008-12-10 佳能株式会社 处理盒和成像设备
DE602005019182D1 (de) 2004-09-30 2010-03-18 Ibiden Co Ltd Wabenstruktur
JP4557809B2 (ja) * 2005-02-22 2010-10-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865341B2 (ja) * 2005-02-04 2012-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735946B2 (ja) * 2005-03-14 2011-07-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US7386249B2 (en) * 2005-06-07 2008-06-10 Lexmark International, Inc. Roller with mechanical properties influenced by rotation
KR100727943B1 (ko) * 2005-06-27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보드를 내장한 토너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4732125B2 (ja) * 2005-10-28 2011-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270494B2 (en) * 2005-12-05 2007-09-18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Easy assembly printer media transport arrangement
JP4655924B2 (ja) 2005-12-27 2011-03-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ユニットと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4804212B2 (ja) * 2006-04-19 2011-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生産方法及び再生産方法
US7660550B2 (en) * 2006-12-11 2010-02-0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464435B2 (ja) 2006-12-11 2010-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084257B2 (ja) * 2006-12-28 2012-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7983589B2 (en) * 2007-01-31 2011-07-19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840154B2 (en) * 2007-02-20 2010-11-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and cartridge
US7742717B2 (en) 2007-09-11 2010-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device, memory unit thereof,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933290B1 (ko) * 2008-02-22 2009-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부,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KR101590336B1 (ko) * 2008-04-01 201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80425B1 (ko) * 2009-07-20 2011-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2011069933A (ja) * 2009-09-25 2011-04-0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094823B2 (ja) 2009-12-02 2012-12-12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JP5693213B2 (ja) 2010-01-13 2015-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支持機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541685B2 (ja) * 2010-02-12 2014-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1197271A (ja) * 2010-03-18 2011-10-06 Ricoh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装置
KR101784850B1 (ko) 2010-06-11 2017-11-06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화상 형성 장치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정보 저장 시스템, 탈착 장치 및 토너 용기
JP5938883B2 (ja) * 2011-03-08 2016-06-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取付構造
JP2013061629A (ja) * 2011-08-25 2013-04-04 Ricoh Co Ltd 粉体収容器、トナー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粉体収容器の再生産方法
JP6184076B2 (ja) * 2011-11-07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107678261B (zh) 2011-11-09 2020-10-23 佳能株式会社 盒和成像装置
JP5460824B2 (ja) 2011-12-09 2014-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WO2013099999A2 (en) 2011-12-26 2013-07-04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drum unit
CN102540822B (zh) * 2012-02-23 2013-09-18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芯片接触机构和显影剂盒
CN202677065U (zh) * 2012-03-02 2013-01-16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影盒
JP6106934B2 (ja) * 2012-03-23 2017-04-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回路基板、印刷材収容体及び印刷装置
CN202694003U (zh) 2012-05-20 2013-01-23 株式会社东芝 色调剂容器
US9201344B2 (en) 2012-05-20 2015-12-01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container
US8879953B2 (en) * 2012-06-25 2014-11-04 Lexmark International, Inc. Retainer assembly having positioning features for processing circuitry used within an image forming device supply item
JP5518146B2 (ja) * 2012-08-10 2014-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6218493B2 (ja) 2012-09-06 2017-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ユニット、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製造方法
JP2014071428A (ja) 2012-10-01 2014-04-2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375609B2 (ja) * 2012-10-19 2018-08-22 株式会社リコー 着脱可能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20403B2 (ja) 2013-01-31 2015-11-24 株式会社沖データ 交換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取付判別部材搭載方法
JP6100110B2 (ja) * 2013-07-03 2017-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装置本体、及びカートリッジ装着システム
JP2014102506A (ja) 2013-11-29 2014-06-05 Canon Inc 記憶素子を有する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及びカートリッジの記憶素子交換方法並びに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CN104090471B (zh) * 2014-07-21 2017-09-12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激光打印机
JP6348379B2 (ja) * 2014-08-28 2018-06-27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及び着脱ユニット
JP6415199B2 (ja) * 2014-09-10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N104260555B (zh) * 2014-09-25 2016-09-21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耗材芯片和耗材容器
KR20170008025A (ko) * 2015-07-13 2017-01-23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
JP6598595B2 (ja) * 2015-08-31 2019-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に着脱可能な画像加熱装置
US9360834B1 (en) 2015-09-15 2016-06-07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positioning features for electrical contacts
US9551974B1 (en) * 2015-09-15 2017-01-24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ing features for electrical connectors of replaceable units of an image forming device
JP6602126B2 (ja) 2015-09-16 2019-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に用いられる部材
US9563169B1 (en) * 2015-12-14 2017-02-07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retractable electrical connector
JP6589630B2 (ja) 2015-12-25 2019-10-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CN205750283U (zh) * 2015-12-31 2016-11-30 珠海奔图电子有限公司 图像形成设备用粉盒、显影盒及图像形成设备
US9910403B2 (en) 2016-01-18 2018-03-06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ing features for electrical contacts of a replaceable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KR102128342B1 (ko) 2016-07-04 2020-07-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
KR102205704B1 (ko) 2016-08-26 2021-01-2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EP3629092A1 (en) 2016-08-26 2020-04-01 Canon Kabushiki Kaisha Drum unit,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CN107885057B (zh) * 2016-09-30 2022-04-22 兄弟工业株式会社 显影盒
US10459398B2 (en) * 2016-09-30 2019-10-2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having electric contact surface
JP6848455B2 (ja) * 2016-09-30 2021-03-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6880712B2 (ja) 2016-10-14 2021-06-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ドラム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US10126704B2 (en) * 2016-10-14 2018-11-1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rum cartridge and developing cartridge capable of suppressing variation in position of electrical contact surface
JP6907530B2 (ja) * 2016-12-27 2021-07-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821450B2 (ja) * 2017-01-25 2021-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6855284B2 (ja) 2017-03-03 2021-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062875B2 (ja) 2017-03-07 2022-05-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ドラム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822279B2 (ja) * 2017-03-31 2021-01-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FR3065057A1 (fr) * 2017-04-11 2018-10-12 Valeo Vision Dispositif lumineux avec contact electrique entre la glace et le boitier
US10073410B1 (en) 2017-05-11 2018-09-11 Lexmark International, Inc. Imaging unit having positioning features for electrical contacts for use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7009792B2 (ja) * 2017-06-23 2022-01-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製造または再生方法
JP7047277B2 (ja) 2017-08-01 2022-04-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639583B2 (ja) * 2018-07-24 2020-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7297467B2 (ja) * 2018-08-29 202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およびカートリッジ
US10732545B2 (en) 2018-08-29 2020-08-04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remanufacturing method and cartridge
JP7262983B2 (ja) 2018-11-30 202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0656592B1 (en) * 2019-01-09 2020-05-19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positioning features
JP7267781B2 (ja) 2019-03-05 2023-05-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2020160170A (ja) * 2019-03-25 2020-10-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端子の接続構造、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649389B1 (en) 2019-04-12 2020-05-12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s of a replaceable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10649399B1 (en) 2019-04-12 2020-05-12 Lexmark Internatioan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magnetic sensor
US10761476B1 (en) 2019-04-12 2020-09-01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mov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698363B1 (en) 2019-04-12 2020-06-30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ion for an imaging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7305417B2 (ja) 2019-04-25 202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071309B2 (ja) * 2019-04-26 2022-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1237519B2 (en) * 2019-12-27 2022-02-01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unit
US11435690B2 (en) 2020-04-01 2022-09-0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artridge including holder for holding electrical contact surface and method of recycling cartridge
JP7481912B2 (ja) 2020-06-10 2024-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2022013378A (ja) * 2020-07-03 2022-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US20230418221A1 (en) * 2022-06-24 2023-12-28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15755551A (zh) * 2022-11-14 2023-03-07 珠海奔图电子有限公司 一种导电连接结构及图像形成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684A (ko) * 1994-03-04 1995-10-16 미따라이 하지메 프린팅 헤드, 이를 사용한 프린팅 방법 및 장치, 및 그 프린팅 헤드를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
JPH10123918A (ja) * 1996-08-29 1998-05-1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接続端子の接続方法
KR19990083461A (ko) * 1998-04-25 1999-11-25 윤종용 메모리를장착한현상제유니트및그것을이용한화상형성장치의작동방법
KR20010040057A (ko) * 1999-10-12 2001-05-15 야스카와 히데아키 잉크젯식 기록 장치용 잉크 카트리지
WO2001053104A1 (fr) * 2000-01-21 2001-07-26 Seiko Epson Corporation Cartouche d'encre pour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 dispositif d'enregistrement a jet d'encr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3939A (en) * 1986-09-24 1990-10-16 Mita Industrial Co., Ltd. Cartridge discriminating system
DE3639630A1 (de) * 1986-11-20 1988-06-01 Gao Ges Automation Org Datentraeger mit integriertem schaltkrei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JPS63149669A (ja) 1986-12-15 1988-06-22 Canon Inc 接触帯電方法
US4851960A (en) 1986-12-15 1989-07-25 Canon Kabushiki Kaisha Charging device
US5260742A (en) * 1987-11-16 1993-11-09 Sanyo Electric Co., Ltd.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using memory card
US4992827A (en) * 1987-12-28 1991-02-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FR2630267B1 (fr) * 1988-04-19 1991-05-31 Europ Composants Electron Dispositif de mise en contact electrique de conducteurs repartis sur deux elements et notamment entre ceux d'une carte a memoire et ceux de son lecteur
US4994853A (en) * 1988-11-25 1991-02-19 Konica Corporation Apparatus for recording color images having interchangeable process cartridges and cartridge information on IC cards
JPH02144571A (ja) * 1988-11-25 1990-06-04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5055903A (en) * 1989-06-22 1991-10-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Circuit for reducing the latch-up sensitivity of a cmos circuit
US5208631A (en) * 1991-12-09 1993-05-04 Xerox Corporation High light color toner identification scheme
US5242314A (en) * 1992-10-08 1993-09-07 Pitney Bowes Inc. Universal electrical bus connector
JP3359245B2 (ja) 1995-10-25 2002-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9190142A (ja) * 1996-01-09 1997-07-2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9190139A (ja) * 1996-01-09 1997-07-2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15723B2 (ja) * 1996-07-24 2005-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コネクタ、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109836A (ja) 1997-10-03 1999-04-23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535298B2 (en) * 1998-10-15 2003-03-18 Hewlett-Packard Company Storing and retrieving digital camera images via a user-completed proof sheet
JP3403098B2 (ja) * 1998-11-27 2003-05-06 ケル株式会社 Icカード用コネクタ
JP3919383B2 (ja) * 1999-05-24 2007-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86836B2 (ja) * 2000-03-03 2004-01-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ワイピング構造付きカード用コネクタおよびこれに使用されるスイッチコンタクト
JP3799210B2 (ja) * 2000-03-07 2006-07-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2006702A (ja) * 2000-06-26 2002-01-11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の管理方法
JP4551544B2 (ja) 2000-08-25 2010-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697578B2 (en) * 2000-08-25 2004-02-24 Canon Kabushiki Kaisha Memory member, unit,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461330B2 (ja) * 2000-08-25 2003-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システム、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メモリー部材
JP2002072824A (ja) 2000-08-25 2002-03-12 Canon Inc 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92302B2 (ja) 2000-08-25 2004-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メモリー部材、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92301B2 (ja) * 2000-08-25 2004-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61331B2 (ja) 2000-08-25 2003-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メモリー部材、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194298B2 (ja) * 2002-05-17 2008-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記憶媒体、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684A (ko) * 1994-03-04 1995-10-16 미따라이 하지메 프린팅 헤드, 이를 사용한 프린팅 방법 및 장치, 및 그 프린팅 헤드를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
JPH10123918A (ja) * 1996-08-29 1998-05-1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接続端子の接続方法
KR19990083461A (ko) * 1998-04-25 1999-11-25 윤종용 메모리를장착한현상제유니트및그것을이용한화상형성장치의작동방법
KR20010040057A (ko) * 1999-10-12 2001-05-15 야스카와 히데아키 잉크젯식 기록 장치용 잉크 카트리지
WO2001053104A1 (fr) * 2000-01-21 2001-07-26 Seiko Epson Corporation Cartouche d'encre pour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 dispositif d'enregistrement a jet d'enc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63168A2 (en) 2003-11-19
US6826380B2 (en) 2004-11-30
US7082276B2 (en) 2006-07-25
KR20030089391A (ko) 2003-11-21
CN101241347B (zh) 2012-09-05
CN100385340C (zh) 2008-04-30
CN1459673A (zh) 2003-12-03
JP2003330335A (ja) 2003-11-19
CN101241347A (zh) 2008-08-13
US20030215261A1 (en) 2003-11-20
JP4194298B2 (ja) 2008-12-10
US20050019061A1 (en) 2005-01-27
EP1363168A3 (en)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3133B1 (ko) 정보 저장 매체,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 카트리지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0166647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0137520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JP6338460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267047B1 (ko) 현상 장치 프레임,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EP1363169B1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472889B1 (ko)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JP2003195726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20040028547A (ko)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현상카트리지
US9720374B2 (en)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artridge
JP2007047397A (ja) メモリ手段の交換方法
JP6598468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TW201736990A (zh) 卡匣、構成卡匣的構件、及畫像形成裝置
JP438793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120374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forming apparatus
EP3062168B1 (en) Side memb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125954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装着システム
JP4272860B2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29825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108171A (ja) 画像形成装置
JP4146128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CN115993764A (zh) 盒单元
JP2021107914A (ja) カートリッジユニット
JPH0219787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