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342B1 -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342B1
KR102128342B1 KR1020170080217A KR20170080217A KR102128342B1 KR 102128342 B1 KR102128342 B1 KR 102128342B1 KR 1020170080217 A KR1020170080217 A KR 1020170080217A KR 20170080217 A KR20170080217 A KR 20170080217A KR 102128342 B1 KR102128342 B1 KR 102128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developing
frame
resin
bea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4662A (ko
Inventor
후미토 노나카
히로오미 마츠자키
세이이치 시노하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32399A external-priority patent/JP68660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32392A external-priority patent/JP6758959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4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handling means after the supply and before the regulating, e.g. means for preventing developer block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Abstract

상기 고정 부재와 수지 부새 사이의 걸림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수지 부재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베어링 부재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다. 현상 장치에 사용되는 부품이 교환되거나, 현상 장치에 현상제가 보충된다. 수지 부재가 프레임에 연결됨으로써 베어링 부재를 프레임에 연결한다. 고정 부재는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수지 부재와 걸림결합되고 수지 부재를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베어링 부재를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한다.

Description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REPRODUCTION METHOD FOR DEVELOPING DEVICE}
본 발명은, 감광 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기술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먼저, 대전 롤러에 의해 감광 드럼을 균일하게 대전한다. 이어서, 대전된 감광 드럼이 선택적으로 노광됨으로써, 감광 드럼 위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에 의해 토너상으로서 현상된다.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토너상은, 기록 용지나 플라스틱 시트 등의 기록재에 전사되고, 기록재 상에 전사된 토너상은, 가열/가압에 의해 기록재에 정착된다. 또한, 감광 드럼상의 토너상이 기록재에 전사된 후에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한 토너는, 클리닝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토너의 보급 및 각종 프로세스 수단의 유지보수가 필요해진다. 이 토너 보급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감광 드럼, 대전 롤러, 현상 장치, 및 클리닝 블레이드 등의 프로세스 수단이 카트리지로서 일체화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실용화되고 있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교환함으로써, 프로세스 수단의 교환 및 토너의 보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의 유지보수를 유저 자신이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유용성이 우수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감광체 유닛(C)은, 감광 드럼(10)과 대전 롤러(11)와 클리닝 블레이드(12)를 일체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클리닝 프레임(13)을 갖고 있다. 또한, 현상 유닛(D)은, 현상 롤러(23)와, 공급 롤러(22)와, 규제 부재로서의 현상 블레이드(24)를 일체적으로 지지하고, 현상제를 수납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20)을 구성하는 현상 프레임(21)을 갖고 있다. 현상 롤러(23)는, 감광 드럼(10)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를 담지하며, 공급 롤러(22)는 현상 롤러(23)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현상 블레이드(24)는, 현상 롤러(23)에 담지된 현상제의 층 두께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현상 유닛(D)은, 현상 롤러(23)와 공급 롤러(22)의 회전 중심 축선 방향에서의 현상 프레임(21)의 양단에, 현상 롤러(23)와 공급 롤러(22)를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31)와 베어링 부재(39)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일본 특허 제5460824호에 개시된 기술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본 특허 제5460824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현상 롤러(23)와 공급 롤러(22)의 회전 중심 축선 방향에서의 현상 프레임(21)의 단부에는, 축선 방향으로 개구를 갖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현상 프레임(21)에 대하여 현상 블레이드(24)가 스크류(50)로 고정되고, 각 스크류(50)의 선단이 구멍 안으로 돌출한다. 또한, 베어링 부재(31)에는 관통 구멍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하여, 베어링 부재(31)가 현상 프레임(21)에 부착되는 상태에서는, 현상 프레임(21)의 구멍과 베어링 부재(31)의 관통 구멍이 서로 연통한다. 또한, 현상 프레임(21)의 구멍과 베어링 부재(31)의 관통 구멍이 서로 연통하고 있는 상태에서, 용융된 도전 수지가 베어링 부재(31)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주입되고, 현상 프레임(21)의 구멍과 베어링 부재(31)의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고화된다. 일본 특허 제5460824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도전 수지를 사용하여 베어링 부재(31)와 현상 프레임(21)을 결합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현상 유닛(D)의 제조에 있어서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도전 수지를 고화시킴으로써 형성된 수지 성형부는 현상 블레이드(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로 인해, 수지 성형부의 급전 위치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현상 블레이드(24)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13-134299호에 개시된 기술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13-134299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베어링 부재(31)와 현상 프레임(21)을 분해(분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13-134299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현상 프레임(21)의 외벽으로부터 현상 프레임(21)의 단부에 형성된 원통형 구멍을 향해서 스크류(50)가 삽입된다. 이에 의해, 현상 프레임(21)의 구멍에 형성된 도전 수지 성형부에, 스크류(50)가, 구멍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13-134299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도전 수지 성형부는, 베어링 부재(31)에 대하여 고정되며, 현상 프레임(21)에 대해서는 오직 스크류(5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스크류(50)를 분리하는 것만으로, 도전 수지 성형부가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걸림결합해제될 수 있고, 베어링 부재(31)와 현상 프레임(21)이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분해된 베어링 부재(31), 현상 프레임(21) 등을 다시 재료로서 사용한다.
그러나, 베어링 부재(31), 현상 프레임(21) 등을 다시 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베어링 부재(31) 및 현상 프레임(21)을 미세하게 절단하고 용융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용융된 재료를 몰드를 사용하여 다시 성형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분해된 베어링 부재(31), 현상 프레임(21) 등을 재료로서 재사용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과 비용이 들지 않는 현상 장치를 재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베어링 부재(31)와 현상 프레임(21)을 분해한 후, 도전 수지 성형부로부터 스크류(50)를 인발했을 때에 형성된 구멍에 다시 스크류(50)를 삽입하고, 따라서 분해된 현상 프레임(21)과 도전 수지 성형부를 서로 고정하는 특징을 검토하였다.
이 결과, 스크류(50)를 재이용하고, 재이용된 스크류(50)를 도전 수지 성형부에 형성된 구멍에 끼우는 경우에, 스크류(50)가 도전 수지 성형부에 대하여 느슨해질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스크류(50)가 도전 수지 성형부에 대하여 느슨해지는 경우, 도전 수지 성형부가 현상 프레임(21)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결정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현상 프레임(21)은 베어링 부재(31)에 대하여 정화하게 위치결정될 수 없다. 즉, 현상 롤러(23)가 현상 프레임(21)에 대하여 부정확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고, 감광 드럼(10)에 형성된 정전 잠상이 충분한 정확도로 현상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해된 현상 프레임과 베어링 부재를 재결합하는 경우에, 베어링 부재를 현상 프레임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현상 장치의 프레임과,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제공된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제공되는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걸림결합되는 수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산 방법은,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수지 부재 사이의 걸림결합을 해제하고, 상기 수지 부재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현상 장치에 사용되는 부품을 교환하거나, 상기 현상 장치에 현상제를 보충하는 단계와,
상기 수지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연결하는 단계와,
제2 고정 부재를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수지 부재와 걸림결합시켜 상기 수지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베어링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현상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을 시간과 비용을 들이지 않고 재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분해된 현상 프레임과 베어링 부재를 재결합시킬 경우에, 베어링 부재를 현상 프레임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현상 블레이드를 현상 유닛에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현상 프레임에 현상 블레이드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베어링 부재가 현상 프레임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베어링 부재가 현상 프레임에 대하여 위치결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접합부에 용융된 도전성 수지를 주입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용융된 수지가 고화된 후의 수지 성형부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프레임으로부터 스크류를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프레임으로부터 스크류를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프레임으로부터 베어링 부재를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프레임으로부터 베어링 부재를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롤러를 현상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프레임으로부터 현상 블레이드를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실시예 1에 따른 베어링 부재를 현상 프레임에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1에 따른 베어링 부재를 현상 프레임에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블레이드를 현상 프레임에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롤러를 현상 프레임에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1에 따른 베어링 부재를 현상 프레임에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실시예 2에서 스크류를 현상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예 3에서 스크류를 현상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실시예 4에 따른 현상 블레이드를 현상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예 4에서 현상 블레이드를 현상 유닛에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실시예 4에서 현상 프레임에 현상 블레이드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5a 및 도 25b는 실시예 4에서 베어링 부재가 현상 프레임에 대하여 위치결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실시예 4에 따른 현상 프레임으로부터 스크류를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실시예 4에 따른 현상 프레임으로부터 스크류를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실시예 4에 따른 현상 프레임으로부터 베어링 부재를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실시예 4에 따른 베어링 부재를 현상 프레임에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0은 실시예 4에 따른 현상 블레이드를 현상 프레임에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1a 및 도 31b는 실시예 5에 따른 현상 블레이드를 현상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요소의 크기, 재료, 형상, 그 상대적인 배치 등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성, 다양한 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요소의 크기, 재료, 형상, 그 상대적인 배치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하의 실시형태로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화상 형성 장치(100)>
도 1을 참조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 전체의 개략 구성을 기록 매체(P)의 흐름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A)에서, 잠상 데이터를 수신한 스캐너부(1)에 의해, 상 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10)에 잠상이 형성된다.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23)의 둘레면 상의 현상제가 잠상에 따라서 감광 드럼(10)에 전사됨으로써, 감광 드럼(10) 상의 잠상이 현상제 상으로서 가시화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에는, 기록 매체(P)를 수납할 수 있는 급지 카세트(2)가 제공되어 있고, 급지부(3)에 의해 기록 매체(P)가 1매씩 급지된다. 그리고, 급지된 기록 매체(P)는 레지스트 롤러(4)에 반송된다. 레지스트 롤러(4)에 의해 반송된 기록 매체(P)에는, 전사 롤러(5)에 의해, 감광 드럼(10) 상의 현상제 상이 전사된다. 계속해서, 기록 매체(P)는, 정착 유닛(6)에 반송되고, 정착 롤러(7)에 의해 현상제 상이 정착된다. 그 후, 화상이 정착된 후의 기록 매체(P)는 배출부(8)에 의해 배지부(9)에 배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감광체 유닛(C)과 현상 장치로서의 현상 유닛(D)을 카트리지 안으로 통합함으로써 구성되며 장치 본체(A)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감광체 유닛(C)은, 감광 드럼(10), 대전 수단인 대전 롤러(11), 클리닝 수단인 클리닝 블레이드(12) 및 클리닝 프레임(13)을 포함한다.
현상 유닛(D)은, 현상 수단으로서의 현상 롤러(23), 공급 롤러(22), 규제 부재로서의 현상 블레이드(24) 및 현상제 수납부(20)를 구성하는 프레임으로서의 현상 프레임(2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 수단은 다음의 방식으로 현상을 행한다. 먼저, 현상제 수납 유닛(20)의 현상제를 공급 롤러(22)의 회전에 의해 현상 롤러(23)에 공급하고, 현상 블레이드(24)가 현상 롤러(23) 상의 현상제층의 층 두께를 규제한다. 그리고, 현상제를 잠상에 따라서 감광 드럼(10)에 전사함으로써 감광 드럼(10) 상에 현상제 상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수단에서, 클리닝 블레이드(12)는, 감광 드럼(10) 상의 현상제 상이 기록 매체(P)에 전사된 후에 감광 드럼(10) 상에 잔류한 현상제를 제거한다.
<현상 유닛(D)>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유닛(D)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현상 유닛(D)의 사시도이며, 도 3은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유닛(D)에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현상 유닛(D)은,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와, 현상제를 수납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20)과, 공급 롤러(22)와, 현상 롤러(23)와, 현상 블레이드(24)와, 현상 프레임(21)을 포함한다. 현상 블레이드(24)는, 현상 롤러(23)에 접촉하는 접촉부(26)와, 접촉부(26)를 지지하는 금속 지지 시트(25)를 포함한다. 접촉부(26)로서 고무나 얇은 금속 등의 탄성 부재가 사용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 및 종래예에서, 접촉부(26)로서는, 두께가 0.08mm인 스테인리스강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이들 부품에 의해 구성되는 현상 블레이드(24)는, 현상 프레임(21)에 대하여,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크류(50)(제1 고정 부재 및 제1 스크류 부재에 대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현상 롤러(23) 및 공급 롤러(22)는 베어링 부재(31)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현상 유닛(D)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거나, 독립적인 유닛으로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A)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후술하는 실시예 2 및 3에서는, 현상 유닛(D)을 분해하고, 부품의 교환 또는 현상제의 보충을 행한 후에, 현상 유닛(D)을 재생산할 때에도, 현상 유닛(D)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스크류(50)를 사용한다. 이 경우에는, 스크류(50)는 제2 고정 부재 및 제2 스크류 부재에도 대응한다.
이어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유닛(D)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특히,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에 결합하는 방법 및 현상 블레이드(2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도전 경로의 구성에 대해서, 현상 블레이드(24) 및 베어링 부재(31)의 조립 순서를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유닛(D)을 조립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 경우, 현상 프레임(21)에 현상제를 충전하고 현상 프레임(21)에 공급 롤러(22)를 조립한 후의 상태의 현상 프레임(21)에 부품을 조립한다.
<현상 블레이드(24)의 조립>
도 3은, 현상 프레임(21)에 현상 블레이드(24)를 조립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상태에서는, 베어링 부재(31)(도 2a 참조)는 아직 현상 프레임(21)에 부착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4는, 현상 프레임(21)에 현상 블레이드(24)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상태에서는, 베어링 부재(31)는 아직 현상 프레임(21)에 부착되어 있지 않다.
현상 프레임(21)에 현상 블레이드(24)를 조립할 때에는, 먼저, 현상 프레임(21)에 제공된 2개의 좌면(27)에 현상 블레이드(24)를 스크류(50)에 의해 고정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스크류 구멍(27a)(관통 구멍)은 현상 프레임(21)을 관통하여 베어링 부재(31)와의 접합면에 제공된 접합부(32)와 연통한다. 이로 인해, 스크류(50)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 선단(51)이 접합부(32)의 공간 안으로 돌출한다. 여기서,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에 조립하는 프로세스는 안정된 화상 형성을 실현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그로 인해, 현상 블레이드(24)가 미리결정된 부착 위치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현상 블레이드(24)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현상 블레이드(24)를 조립할 수 있다.
<베어링 부재(31)의 조립>
도 5는, 베어링 부재(31)가 현상 프레임(21)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6a 및 도 6b는, 베어링 부재(31)가 현상 프레임(21)에 대하여 위치결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 6a는, 베어링 부재(31)가 현상 프레임(21)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현상 유닛(D)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6b는, 베어링 부재(31)가 현상 프레임(21)에 대하여 위치결정된 상태에서의 현상 유닛(D)의 부분 단면도이다. 여기서, 베어링 부재(31)는, 현상 롤러(23)의 회전축의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31d)와, 공급 롤러(22)의 회전축의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31e)를 갖고 있다. 또한, 베어링 부재(31)에는, 현상 프레임(21)에 대하여 베어링 부재(31)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31a)와, 위치결정부(31b)와, 위치결정부(31c)와, 용융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33)가 제공된다.
여기서, 베어링 부재(31)의 재료로서는 미끄럼성이 뛰어난 수지(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수지 등)가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주입부(33)에 주입하는 용융 수지로서는, 베어링 부재(31)의 재료와 상용성이 없는 재료를 선택하고 있다. 베어링 부재(31)에 제공된 주입부(33)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입구(33a), 수지 유로부(33b), 수지 유로부(33b)의 내경을 감소시키기 위한 단차부(35), 및 주입 노즐부(34)를 갖고 있다(도 6b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주입구(33a)로부터 주입 노즐부(34)까지의 전체 경로는 용융 수지의 유로이다. 또한, 주입구(33a)로부터 주입 노즐부(34)까지의 경로는, 베어링 부재(31)를 관통하고, 현상 프레임(21)에 제공된 오목부인 접합부(32)와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이 유로(주입구(33a)로부터 주입 노즐부(34)까지)와, 접합부(32)와, 접합부(32) 안으로 돌출하는 스크류(50)의 스크류 선단(51)에 의해, 용융 수지로 충전된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현상 프레임(21)과 베어링 부재(31)는, 베어링 부재(31)의 위치결정부(31a 내지 31c)(도 5 참조)를 현상 프레임(21)의 위치결정부(21a 내지 21c)(도 3 참조)와 걸림결합함으로써 조립된다.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에 결합하는 방법>
도 7은, 접합부(32)에 용융한 도전성 수지를 주입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용융 수지가 고화된 후의 수지 성형부(40) 근방의 단면도이다. 접합부(32) 내에 용융된 도전성 수지를 주입할 때에는, 용융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 주입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노즐 선단(52)을 주입부(33)의 주입구(33a)와 접촉시킨다. 베어링 부재(31)의 수지 유로부(33b)를 개재해서 현상 프레임(21)의 접합부(32)의 공간에, 적당량의 용융된 도전성 수지를 주입한다. 용융된 수지는 화살표 Y 방향으로 유동한다. 주입된 도전성 수지는 주입 후 바로 고화(경화)되어 수지 성형부(40)(수지 부재)가 된다(도 8). 이에 의해, 현상 프레임(21)과 베어링 부재(31)을 결합하는 작업은 완료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성형부(40)는, 현상 프레임(21)에서의 접합부(32)에서, 스크류(50)의 스크류 선단(51)의 주위에서 수지가 냉각 및 고화되는 것에 의해, 스크류(50)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수지 성형부(40)가 현상 프레임(21)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것은, 스크류 선단(51)이, 수지 성형부(4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스크류(50)는 현상 프레임(21)에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성형부(40)는 현상 프레임(21)에 대해서도 고정된다. 한편, 수지 성형부(40)는, 베어링 부재(31)의 단차부(35)에 대응하는 단차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지 성형부(40)에서의 단차 형상은 베어링 부재(31)의 단차부(35)와 걸림결합됨으로써, 베어링 부재(31)가 현상 프레임(21)에 조립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수지 성형부(40)가 베어링 부재(3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용융된 수지 재료를 충전하는 공간에서, 주입구(33a)와 접합부(32)를 연통시키는 부분의 폭(단차부(35) 근방에서의 구멍의 내경)은, 주입구(33a)의 폭(내경) 및 접합부(32)의 폭(내경)보다 작다. 이에 의해, 현상 프레임(21)에 대하여 수지 성형부(40)가 고정되고, 수지 성형부(40)가 베어링 부재(31)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지 성형부(40)는 스크류(50)에 의해 현상 장치 프레임(21)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현상 프레임(21)과 베어링 부재(31)가 함께 결합된다.
수지 성형부(40)는 냉각 및 고화될 때 약간 수축한다. 이 성질에 의해, 수지 성형부(40)가 고화된 후에는, 스크류(50)의 주위 수지가 스크류(50)를 가압한다. 또한, 수지 성형부(40)가 고화된 후에는, 단차부(35) 및 주입 노즐부(34)의 주위의 수지가, 단차부(35)와 주입 노즐부(34)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단차부(35)와 주입 노즐부(34)를 가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수지 성형부(40)가 베어링 부재(31)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베어링 부재(31)와 현상 프레임(21)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현상 프레임(21)에 대하여 힘이 작용한다. 그로 인해, 베어링 부재(31)가 현상 프레임(21)을 가압한 상태가 되어, 베어링 부재(31)와 현상 프레임(21) 사이의 밀착성이 높아진다. 특히, 용융된 수지가 충전되는 공간에서, 수지 성형부(40)가 접합부(32)로부터 빠지는 방향과 교차(직교)하는 방향으로 스크류(50)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베어링 부재(31)와 현상 프레임(21)은 더 견고하게 고정된다.
<현상 유닛(D)의 재생산 방법>
이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유닛(D)의 재생산 방법(재이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D)의 재생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1) 스크류(50)를 현상 프레임(21) 및 수지 성형부(40)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2)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3) 현상 롤러(23)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4)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5)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단계;
(6)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단계;
(7) 스크류(50)를 현상 프레임(21) 및 수지 성형부(40)에 대하여 체결하는 단계;
(8) 현상 롤러(23)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단계; 및
(9) 베어링 부재(39)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단계.
<(1) 스크류(50)를 현상 프레임(21) 및 수지 성형부(40)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이하, 현상 프레임(21) 및 수지 성형부(40)로부터 스크류(50)를 분리하는(걸림결합(스크류결합)을 해제하는) 단계에 대해서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9는,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스크류(50)(스크류(50a), 스크류(50b))를 제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스크류(50a)를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단계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프레임(21)에 현상 블레이드(24)를 고정하는 2개의 스크류(50)(스크류(50a), 스크류(50b))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한다. 스크류(50a)는, 베어링 부재(31)와 가까운 위치에 제공되어 있고, 본 단계에서, 스크류(50a)가 현상 프레임(21) 및 수지 성형부(40)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성형부(40)에서, 스크류(50a)와 걸림결합된 스크류 구멍으로서의 오목부(40c)가 노출된다. 또한, 본 단계에서는, 현상 블레이드(24)는 이 시점에서는 아직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2)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이하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에 대해서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베어링 부재(31)를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는,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베어링 부재(31)를 제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수지 성형부(40)는 베어링 부재(31)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 단계에서는, 베어링 부재(31)와 수지 성형부(40)는 일체적으로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베어링 부재(31)와 수지 성형부(40)가 일체적으로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수지 성형부(40)는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는 분리되고, 수지 성형부(40)는 베어링 부재(31)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류(50)가 수지 성형부(40)와 걸림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스크류(50)의 스크류 선단(51)은, 현상 장치 프레임(21)의 접합부(32)로부터 수지 성형부(4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크류(50)가 수지 성형부(40)와 걸림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베어링 부재(31)는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술한 단계 (1)(스크류(50)를 분리하는 단계)에서 스크류(50a)를 제거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수지 성형부(40)가 접합부(3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없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조합에서는, 수지 성형부(40)와 현상 프레임(21)의 재료는 서로 상용성이 없다. 이상과 같은 이유에 의해, 수지 성형부(40)는 현상 프레임(21)의 접합부(32)로부터는 분리된다. 한편, 수지 성형부(40)는, 단차부(35)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베어링 부재(31)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베어링 부재(31)와 수지 성형부(40)를 일체적으로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부재(31)의 반대측에 제공되고 현상 롤러(2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39)는 스크류 등에 의해 현상 프레임(21)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스크류 등을 제거함으로써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베어링 부재(39)가 분리된다. "베어링 부재(39)를 분리하는 단계"는, "(3) 현상 롤러(23)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보다 전이라면 언제라도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라.
<(3) 현상 롤러(23)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도 13은,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롤러(23)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단계에서는, 현상 롤러(23)는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된다. 앞의 단계에서 현상 롤러(23)의 회전축의 양단을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31) 및 베어링 부재(39)는 분리되었기 때문에, 현상 롤러(23)는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4)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도 14는,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현상 블레이드(24)를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단계에서는, 현상 블레이드(24)는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된다. 앞의 단계에서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에 고정하는 스크류(50)가 분리되었기 때문에, 현상 블레이드(24)는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5)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단계>
도 15a는, 실시예 1에 따른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6은, 실시예 1에 따른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단계에서는, 앞의 단계에서 일체적으로 분리된 수지 성형부(40)와 베어링 부재(31)가 현상 프레임(21)에 재부착된다.
또한, 일체적으로 분리된 수지 성형부(40)와 베어링 부재(31)는, 반드시 원래 부착되어 있었던 현상 프레임(21)에 부착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일체적으로 분리된 수지 성형부(40)와 베어링 부재(31)는 동일 유형의 다른 현상 프레임(21)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5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성형부(40)를 접합부(32)에 삽입하고, 위치결정부(31a 내지 31c)(도 15a 참조)를 위치결정부(21a 내지 21c)(도 15b 참조)에 각각 걸림결합하고,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에 대하여 연결시킨다.
<(6) 현상 블레이드(24)의 현상 프레임(21)에 대한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본 단계에서는, 현상 블레이드(24)의 현상 프레임(21)에 대한 위치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크류(50)를 사용해서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할 수 있도록, 현상 블레이드(24)의 현상 프레임(21)에 대한 위치를 조정한다.
<(7)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에 고정하는 단계>
도 17은,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에 대하여 위치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단계에서는, 스크류(50)를 사용해서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한다. 먼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프레임(21)에 제공된 2개의 좌면(27)에 현상 블레이드(24)를 접촉시킨다. 이어서, 2개의 스크류(50)(스크류(50a), 스크류(50b))를 사용해서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에 고정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현상 블레이드(24)에 제공된 구멍에 각 스크류(50)를 통과시키고, 스크류(50)를 수지 성형부(40)에 걸림결합시킴으로써,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에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성형부(40)의 오목부(40c)에 스크류(50)를 삽입(나사결합)함으로써, 스크류(50a)의 나사부가 수지 성형부(40)와 걸림결합하고, 스크류(50)가 수지 성형부(40)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에 의해, 수지 성형부(40)와 스크류(5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전력 공급 부재(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지 성형부(40)를 개재해서 금속 지지 시트(25)에 전력이 공급된다. 현상 블레이드(24)를 고정밀도로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할 경우에는, 현상 블레이드(24)를 2개의 스크류(50)(스크류(50a)와 스크류(50b))에 의해 가체결하고, 현상 블레이드(24)의 선단 위치를 측정하면서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에 고정시킬 수 있다.
<(8) 현상 롤러(23)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단계>
도 18은, 현상 롤러(23)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단계 (5)에서, 베어링 부재(31)는 현상 프레임(21)에 이미 부착되어 있고, 현상 롤러(23)의 회전축은 베어링 부재(31)의 베어링부(31d)에 걸림결합된다.
<(9) 베어링 부재(39)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단계>
이하, 베어링 부재(39)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단계에 대해서 도 2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베어링 부재(39)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단계에서는, 베어링 부재(39)의 현상 롤러 지지부(39a)에 현상 롤러(23)의 회전축을 걸림결합시키며, 스크류 등(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베어링 부재(39)를 현상 프레임(21)에 체결시킨다. 베어링 부재(39)를 현상 프레임(21)에 조립한 후,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기어(38) 등을 덮기 위한 사이드 커버(37)를 현상 프레임(21)에 재부착함으로써, 현상 유닛(D)의 재생산이 종료된다.
현상 프레임(21)에 현상제를 재충전할 경우에는, 현상제를 현상 프레임(21)에 재충전하는 단계의 순서는 특히 제약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현상제를 현상 프레임(21)에 재충전하는 단계는, 단계 (4)(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후에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현상제를 현상 프레임(21)에 재충전하는 단계는, 단계 (9)(베어링 부재(39)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단계) 후에 실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1)(스크류(50)를 현상 프레임(21) 및 수지 성형부(40)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후에, 단계 (2)(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행한다. 그로 인해, 수지 성형부(40)의 파괴없이,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류(50a)는 베어링 부재(31)와 현상 프레임(21)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단계 (1)보다 앞서 단계 (2)를 행하는 경우, 수지 성형부(40)가 스크류(50a)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지 성형부(40)가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되려고 하기 때문에, 수지 성형부(40)가 파괴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신규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또한 수지 성형부(40)를 파괴하지 않고, 현상 유닛(D)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재생산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어서, 실시예 2에 대해서 도 8과 도 2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품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D)을 재생산하기 위해 실행되는 단계의 순서는 실시예 1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지 성형부(40)와 스크류(50a)를 개재해서 금속 지지 시트(25)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스크류(50a)와 수지 성형부(40)는 전기적으로 접속될 필요가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유닛(D)을 새롭게(재생산이 아님) 조립하는 때에는, 수지 성형부(40)가 열 수축을 일으키므로, 스크류(50a)가 수지 성형부(40)에 밀착하기 때문에, 스크류(50a)와 수지 성형부(40)는 전기적으로 안정되어 접속된다. 그러나, 현상 유닛(D)을 재생산할 경우에는, 수지 성형부(40)의 오목부(40c)(스크류 구멍의 내부에 대응함)에 대한 스크류(50a)의 삽입 및 발출을 반복적으로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수지 성형부(40)의 오목부(40c)의 내벽면은 스크래치되기 때문에, 현상 유닛(D)이 새로운 유닛인 경우에 비해, 스크류(50a)와 수지 성형부(40)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50a)의 스크류 선단(51)과 수지 성형부(40)의 오목부(40c) 중 적어도 하나에 도전 그리스(grease)(60)를 도포하고, 스크류(50a)를 현상 프레임(21)에서의 스크류 구멍(27a) 및 오목부(40c)에 체결한다. 여기서, 도전 그리스(60)는 점성을 갖는 것이며 도전 부재를 예시한다. 그로 인해, 스크류(50a)를 수지 성형부(40)에 걸림결합시킨 후에는, 스크류 선단(51)과 수지 성형부(40) 사이에 도전 그리스(60)가 개재된다. 상기와 같이, 스크류 선단(51) 등에 도전 그리스(60)를 도포함으로써, 현상 유닛(D)을 재생산했을 경우에도, 스크류(50a)와 수지 성형부(40)를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접속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류 선단(51) 등에 도전 그리스(60)를 도포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알루미늄 박 등의 얇은 금속 시트를 스크류(50a) 주위에 감아도 된다. 스크류(50a)와 수지 성형부(40) 사이에 변형가능한 도전성 부개가 개재되어 있는 한, 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류(50a)에 도전 그리스(60) 등을 도포함으로써, 현상 유닛(D)을 재생산했을 경우에도, 스크류(50a)와 수지 성형부(40)를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접속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이어서, 실시예 3에 대해서 도 21을 참고해서 설명한다. 도 21은, 실시예 3에서 스크류(50a)를 현상 프레임(21)에 고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 유닛(D)을 재생산하기 위해 실행되는 단계의 순서는 실시예 1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과 다른 방법에 의해, 스크류(50a)와 수지 성형부(40)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된 스크류(50a)를 다시 수지 성형부(40)에 삽입할 때에, 스크류(50a)가 가열되고, 스크류(50a)가 수지 성형부(40)에 접촉하도록 삽입된다. 이 경우, 스크류(50a)를 가열한 후에 스크류(50a)를 수지 성형부(40)에 삽입함으로써, 수지 성형부(40)의 오목부(40c)의 내벽면이 용융되고, 용융된 수지가 스크류(50a)의 스크류 선단(51)에 밀착된다. 이에 의해, 용융된 수지가 그 후 고화되는 경우, 수지 성형부(40)의 오목부(40c)와 스크류(50a)가 서로 밀착되기 때문에, 스크류(50a)와 수지 성형부(40)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류(50a)가 가열된 후에, 스크류(50a)를 수지 성형부(40)에 삽입하고 있다. 이에 의해, 수지 성형부(40)의 오목부(40c)와 스크류(50a)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되고, 스크류(50a)와 수지 성형부(40)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 및 후술하는 실시예 5에서는, 현상 유닛(D)의 부품의 교환 또는 현상 유닛(D)에의 현상제의 보충 전과 후에, 현상 프레임(21)에 제공된 스크류 구멍(27a)에 삽입되고, 수지 성형부(40)와 걸림결합하는 제1 및 제2 고정 부재로서, 상이한 스크류를 사용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50)(제1 고정 부재 및 제1 스크류 부재에 대응함) 및 스크류(55)(제2 고정 부재 및 제2 스크류 부재에 대응함)에 대해서 도 22a 및 도 22b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2a 및 도 22b는,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50) 및 스크류(55)의 측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2a는 스크류(50)의 측면도이며, 도 22b는 스크류(55)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류(50)의 선단 부분인 스크류 선단(51)은 나사화되지 않은 원통 형상을 갖는다. 한편, 스크류(55)의 선단 부분인 스크류 선단(56a)은 나사화된 스크류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D)을 제조할 때에 스크류(50)를 사용하고, 현상 유닛(D)을 재생산할 때에 스크류(55)를 사용한다. 이에 의해, 현상 블레이드(24)는 현상 프레임(21)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류(55)와 수지 성형부(40) 사이의 전기적 접속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현상 유닛(D)을 제조할 때에 실행되는 단계는, 스크류(50)의 선단부인 스크류 선단(51)의 형상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이들 단계의 설명을 생략한다. 단, 본 실시예에서의 스크류(50)는, 나사가 없는 스크류 선단(51)을 갖기 때문에,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유닛(D)에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현상 프레임(21)에 현상 블레이드(24)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5a 및 도 25b는 베어링 부재(31)가 현상 프레임(21)에 대하여 위치결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5a는, 베어링 부재(31)가 현상 프레임(21)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현상 유닛(D)의 측면도이다. 도 25b는, 베어링 부재(31)가 현상 프레임(21)에 대하여 위치결정된 상태에서의 현상 유닛(D)의 부분 단면도이다.
<현상 유닛(D)의 재생산 방법>
본 실시예에서의 현상 유닛(D)의 재생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갖고 있다. 즉, 현상 유닛(D)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단계 (1)에서 분리되는 스크류(50)와, 현상 유닛(D)을 재생산하기 위해 사용되고 단계 (7)에서 체결되는 스크류(55)가 상이하다. 이 점을 제외하고, 본 실시예에서의 현상 유닛(D)의 재생산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 스크류(50)를 현상 프레임(21) 및 수지 성형부(40)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2)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3) 현상 롤러(23)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4)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5)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단계;
(6)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단계;
(7) 스크류(55)를 현상 프레임(21) 및 수지 성형부(40)에 대하여 체결하는 단계;
(8) 현상 롤러(23)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단계; 및
(9) 베어링 부재(39)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단계.
이하에서, 현상 유닛(D)의 재생산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스크류(50)를 현상 프레임(21) 및 수지 성형부(40)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이하, 현상 프레임(21) 및 수지 성형부(40)로부터 스크류(50)를 분리하는(걸림결합(스크류결합)을 해제하는) 단계에 대해서 도 26 및 도 2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스크류(50)(스크류(50a), 스크류(50b))를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7은,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스크류(50a)를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단계에서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프레임(21)에 현상 블레이드(24)를 고정하는 2개의 스크류(50)(스크류(50a), 스크류(50b))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한다. 스크류(50a)는, 베어링 부재(31)와 가까운 위치에 제공되어 있고, 본 단계에서, 스크류(50a)가 현상 프레임(21) 및 수지 성형부(40)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성형부(40)에서, 스크류(50a)와 걸림결합하고 있었던 오목부(40c)(스크류 구멍에 대응함)가 노출된다. 본 단계에서는, 현상 블레이드(24)는, 이 시점에서는 아직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2)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이하,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에 대해서 도 2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베어링 부재(31)를 분리하는 방식은 실시예 1에서 도 1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또한, 도 28은,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베어링 부재(31)를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단계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3) 현상 롤러(23)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현상 롤러(23)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하는 방식은, 실시예 1에서 도 1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본 단계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4)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현상 블레이드(24)를 분리하는 방식은 실시예 1에서 도 1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본 단계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5)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단계>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방식은 실시예 1에서 도 15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또한, 도 29는, 실시예 4에 따른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단계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7)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에 고정하는 단계>
도 30은, 실시예 4에 따른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에 대하여 위치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단계에서는, 스크류(55)를 사용해서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한다. 먼저,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프레임(21)에 제공된 2개의 좌면(27)에 현상 블레이드(24)를 접촉시킨다. 이어서, 2개의 스크류(55)(스크류(55a), 스크류(55b))를 사용해서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에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현상 블레이드(24)에 제공된 구멍에 스크류(55)를 통과시키고, 스크류(55)를 수지 성형부(40)에 결합시킴으로써,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에 고정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도 22a 및 도 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류(50)의 스크류 선단(51)(단부 근방에 위치함)에서의 외경(제1 선단 외경)은, 스크류(50)의 나사부(수지 성형부(40)와 접촉하는 부분)의 외경(제2 선단 외경)보다 작게 설정된다. 한편, 스크류(55)는 스크류의 선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균일하게 나사화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류(55)의 스크류 선단(56a)의 외경은 스크류(55)의 나사부의 외경과 동일하다. 즉, 스크류(55)의 스크류 선단(56a)의 외경은, 스크류(50)와 달리, 스크류(55)의 나사부의 외경보다 작지 않다. 또한, 스크류(50)와 스크류(55)를 비교하면, 스크류(50)의 나사부의 외경은 스크류(55)의 나사의 외경과 동일하다. 한편, 스크류(55)의 스크류 선단(56a)의 외경은 스크류(50)의 스크류 선단(51)의 외경보다 크다.
그로 인해, 수지 성형부(40)의 오목부(40c)에 스크류(55)가 삽입(스크류결합)되는 경우에, 나사부인 스크류 선단(56a)이 수지 성형부(40)와 걸림결합되고, 수지 성형부(40)와 스크류(55)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수지 성형부(40)와 스크류(55)가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접속되기 때문에, 전력 공급 부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지 성형부(40)를 개재해서 금속 지지 시트(25)에 안정적으로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현상 블레이드(24)를 충분한 정확도로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할 경우에는, 현상 블레이드(24)를 2개의 스크류(55)에 의해 가체결할 수 있고, 현상 블레이드(24)의 선단 위치를 측정하면서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에 고정시킬 수 있다.
<(8) 현상 롤러(23)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단계>
현상 롤러(23)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방식은 실시예 1에서 도 18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본 단계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9) 베어링 부재(39)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단계>
베어링 부재(39)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단계는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베어링 부재(39)를 현상 프레임(21)에 부착하는 방식은 실시예 1에서 도 19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류(55)의 나사부의 적어도 일부의 외경은 스크류(50)의 나사부의 외경보다도 크다. 그로 인해, 분해된 현상 프레임(21)과 베어링 부재(31)를 다시 서로 결합시킬 경우에,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5)
이어서, 실시예 5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 유닛(D)을 재생산하는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다른 스크류(57)를 사용하여,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에 대하여 다시 고정한다. 도 31a 및 도 31b는, 실시예 5에 따른 현상 블레이드(24)를 현상 프레임(21)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52) 및 스크류(57)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a는, 본 실시예 5에 따른 스크류(52)(제1 고정 부재 및 제1 스크류 부재에 대응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b는, 본 실시예 5에 따른 스크류(57)(제2 고정 부재 및 제2 스크류 부재에 대응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류(52)를 수지 성형부(40)로부터 인출함으로써,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한다. 또한, 스크류(57)를 수지 성형부(40)에 삽입함으로써,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에 다시 고정시킨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류(52)는, 실시예 1에 따른 스크류(50)와 달리, 나사부보다 외경이 작은 부분을 갖도록 형성되지 않는다. 스크류(52)에는, 스크류(52)의 실질적으로 전역에 걸쳐 나사부가 형성된다. 또한, 스크류(52)의 나사부의 외경은 일정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에 다시 고정시키기 위한 스크류(57)의 나사부의 외경(R')은 스크류(52)의 나사부의 외경(R)보다 크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류(52)는 M3(나사부의 직경이 3mm인 스크류)이며, 스크류(57)는 M4(나사부의 직경이 4mm인 스크류)이다. 이에 의해,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에 다시 고정시킬 때, 수지 성형부(40)와 스크류(57)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에 의해, 수지 성형부(40)와 스크류(57)가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접속되기 때문에, 전력 공급 부재(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지 성형부(40)를 개재해서 금속 지지 시트(25)에 안정적으로 전력이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분해된 현상 프레임(21)과 베어링 부재(31)를 다시 결합시킬 경우에, 베어링 부재(31)를 현상 프레임(21)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이며,
    상기 현상 장치는,
    상기 현상 장치의 프레임과,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와,
    도전성을 갖고, 상기 프레임에 제공된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제공되는 제1 고정 부재와,
    도전성을 갖고, 상기 베어링 부재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걸림결합되는 수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산 방법은,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수지 부재 사이의 걸림결합을 해제하고, 상기 수지 부재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현상 장치에 사용되는 부품을 교환하거나, 상기 현상 장치에 현상제를 보충하는 단계와,
    상기 수지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연결하는 단계와,
    도전성을 갖는 제2 고정 부재를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수지 부재와 걸림결합시켜 상기 수지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베어링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부재 및 상기 수지 부재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다시 상기 베어링 부재 및 상기 수지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시킬 때, 상기 제2 고정 부재 및 상기 수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도전성을 갖는 도전 부재를 부착시켜, 상기 도전 부재가 상기 수지 부재와 상기 제2 고정 부재 사이에 개재하도록 하는,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규제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재와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개재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수지 부재와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개재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수지 부재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규제 부재에 전력을 공급하는,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그리스(grease)인,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
  7.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이며,
    상기 현상 장치는,
    상기 현상 장치의 프레임과,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와,
    도전성을 갖고, 상기 프레임에 제공된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제공되는 제1 고정 부재와,
    도전성을 갖고, 상기 베어링 부재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걸림결합되는 수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산 방법은,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수지 부재 사이의 걸림결합을 해제하고, 상기 수지 부재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현상 장치에 사용되는 부품을 교환하거나, 상기 현상 장치에 현상제를 보충하는 단계와,
    상기 수지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연결하는 단계와,
    도전성을 갖는 제2 고정 부재를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수지 부재와 걸림결합시켜 상기 수지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베어링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부재 및 상기 수지 부재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다시 상기 베어링 부재 및 상기 수지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시킬 때,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가열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상기 프레임의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상기 수지 부재에 접촉시키고, 상기 수지 부재를 용융하고 다시 고화시킴으로써,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상기 수지 부재를 고정시키는,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
  8.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이며,
    상기 현상 장치는,
    상기 현상 장치의 프레임과,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와,
    도전성을 갖고, 상기 프레임에 제공된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제공되는 제1 고정 부재와,
    도전성을 갖고, 상기 베어링 부재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걸림결합되는 수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산 방법은,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수지 부재 사이의 걸림결합을 해제하고, 상기 수지 부재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현상 장치에 사용되는 부품을 교환하거나, 상기 현상 장치에 현상제를 보충하는 단계와,
    상기 수지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연결하는 단계와,
    도전성을 갖는 제2 고정 부재를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수지 부재와 걸림결합시켜 상기 수지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베어링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제1 스크류 부재이고,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제2 스크류 부재이며,
    상기 수지 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에서의 상기 제2 스크류 부재의 외경이 상기 수지 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제1 스크류 부재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의 외경보다 큰,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류 부재가 삽입되는 방향의, 상기 제1 스크류 부재의 나사부의 단부 근방의 외경을 제1 선단 외경으로 하고,
    상기 제2 스크류 부재가 삽입되는 방향의, 상기 제2 스크류 부재의 나사부의 단부 근방의 외경을 제2 선단 외경으로 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선단 외경은 상기 제2 선단 외경보다 작은,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류 부재의 나사부의 외경은 일정하고,
    상기 제2 스크류 부재의 나사부의 외경은 일정하며,
    상기 제2 스크류 부재의 나사부의 외경은 상기 제1 스크류 부재의 나사부의 외경보다 큰,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
  12.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부재로서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
KR1020170080217A 2016-07-04 2017-06-26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 KR1021283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32399 2016-07-04
JP2016132399A JP6866075B2 (ja) 2016-07-04 2016-07-04 現像装置の再生産方法
JP2016132392A JP6758959B2 (ja) 2016-07-04 2016-07-04 現像装置の再生産方法
JPJP-P-2016-132392 2016-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662A KR20180004662A (ko) 2018-01-12
KR102128342B1 true KR102128342B1 (ko) 2020-07-08

Family

ID=5926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217A KR102128342B1 (ko) 2016-07-04 2017-06-26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85251B2 (ko)
EP (1) EP3267261B1 (ko)
KR (1) KR102128342B1 (ko)
CN (1) CN1075771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099A1 (en) 2016-02-18 2017-08-24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4033304A4 (en) 2019-09-17 2023-09-13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APPARATUS AND IMAGE PRODUC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4756A (ja) * 2003-11-28 2005-06-2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US20050281580A1 (en) 2002-03-05 2005-12-22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anufacturing imaging components
JP2013134299A (ja) * 2011-12-26 2013-07-08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樹脂接合体
US20130177334A1 (en) 2011-12-09 2013-07-11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5069B2 (ja) 1996-07-24 2003-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222041A (ja) 1996-12-03 1998-08-2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63727B2 (ja) 1996-12-12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廃トナー容器の組立方法
JP3524334B2 (ja) 1997-02-10 2004-05-1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シール
JPH10228223A (ja) 1997-02-14 1998-08-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28224A (ja) 1997-02-14 1998-08-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45111B2 (ja) 1997-03-18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結合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US6128462A (en) 1998-04-02 2000-10-03 Canon Kabushiki Kaisha Cleaning member,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cleaning blade member, and process cartridge detachably attachable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0019841A (ja) 1998-07-02 2000-01-21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0098729A (ja) 1998-09-22 2000-04-07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098855A (ja) 1998-09-24 2000-04-0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098809A (ja) 1998-09-24 2000-04-07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175703B1 (en) 1998-10-23 2001-01-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JP2000131945A (ja) 1998-10-26 2000-05-12 Canon Inc 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169869B1 (en) 1999-01-28 2001-01-0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JP3768712B2 (ja) 1999-02-09 2006-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攪拌手段、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317574B1 (en) 1999-02-25 2001-11-13 Canon Kabushiki Kaisha Charging memb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372932B2 (ja) 1999-05-20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549736B2 (en) 2000-01-19 2003-04-15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ngaging member therefor and method for mounting developing roller and magnet
JP3432208B2 (ja) 2000-11-17 2003-08-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装着方法
JP3840063B2 (ja) 2001-04-27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564080B2 (ja) 2001-04-27 2004-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542569B2 (ja) 2001-04-27 2004-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4194298B2 (ja) 2002-05-17 2008-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記憶媒体、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978100B2 (en) 2002-09-30 2005-12-2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cartridge and developing roller
JP4089416B2 (ja) * 2002-12-12 2008-05-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ユニットの組立方法
US6992534B2 (en) 2003-10-14 2006-01-31 Micron Technology, Inc. Circuits and methods of temperature compensation for refresh oscillator
US7283370B2 (en) * 2003-12-30 2007-10-16 Xerox Corporation Anti-strip screw boss
JP4101248B2 (ja) 2004-04-16 2008-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CN100399210C (zh) * 2004-04-16 2008-07-02 佳能株式会社 图像处理盒的再生产方法
JP4617122B2 (ja) 2004-09-08 2011-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搬送部材、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804212B2 (ja) 2006-04-19 2011-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生産方法及び再生産方法
JP5665505B2 (ja) 2010-01-08 2015-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790999B2 (ja) 2011-03-08 2015-10-07 株式会社リコー 冷却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20025B2 (ja) 2011-07-14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420026B2 (ja) 2011-07-14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EP2733543B1 (en) 2011-07-14 2020-04-15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torage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CN103688224B (zh) 2011-07-14 2017-10-31 佳能株式会社 显影剂容纳单元、处理盒和电子照相成像设备
KR101703103B1 (ko) 2011-11-09 2017-02-0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카트리지 및 유닛
JP5911275B2 (ja) 2011-11-29 2016-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WO2013099999A2 (en) 2011-12-26 2013-07-04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drum unit
JP6157078B2 (ja) 2012-09-04 2017-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218493B2 (ja) 2012-09-06 2017-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ユニット、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製造方法
JP6116162B2 (ja) 2012-09-10 2017-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066841B2 (ja) 2012-09-10 2017-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980061B2 (ja) 2012-09-11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071428A (ja) 2012-10-01 2014-04-2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245932B2 (ja) 2012-11-06 2017-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16254B2 (ja) 2013-01-11 2017-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112971B2 (ja) 2013-01-11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282149B2 (ja) 2013-06-05 2018-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及び現像装置並び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US20160306299A1 (en) * 2015-04-20 2016-10-20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Methods for Remanufacturing Imaging Components
JP7013113B2 (ja) 2015-06-30 2022-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ル部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1580A1 (en) 2002-03-05 2005-12-22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anufacturing imaging components
JP2005164756A (ja) * 2003-11-28 2005-06-2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US20130177334A1 (en) 2011-12-09 2013-07-11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JP2013134299A (ja) * 2011-12-26 2013-07-08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樹脂接合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67261A1 (en) 2018-01-10
EP3267261B1 (en) 2019-10-02
US20180004125A1 (en) 2018-01-04
US10185251B2 (en) 2019-01-22
CN107577130B (zh) 2021-01-05
KR20180004662A (ko) 2018-01-12
CN107577130A (zh) 2018-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9954B2 (en) Cartridge with member for fixing a member-to-be-energized
US686824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rocess cartridge with connection arrangement for side frame bodies
US9632451B2 (en)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unit
US9285756B2 (en) Regulating device, image bearing member cleaning device, developing device,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3930835A (zh) 包括电极的盒
US6941092B2 (en) Remanufacturing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US20130170851A1 (en) Cartridge
KR102128342B1 (ko) 현상 장치의 재생산 방법
US11016440B2 (en) Cartridge reproduction method and cartridge
WO201519414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rtridge, and frame body used for the cartridge
JP6758959B2 (ja) 現像装置の再生産方法
JP6866075B2 (ja) 現像装置の再生産方法
US10120330B2 (en) Multicolor molded component having a bearing portion that engages with regulation portions and cartridge having the same
US8073377B2 (en) Cleaning device, developing device, cartridge, cleaning blade securing method, and developing blade securing method
JP6765876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現像装置の再生産方法
JP5717889B2 (ja) カートリッジ
JP642544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953262B2 (ja) 枠体、現像ユニット及び枠体の製造方法
JPH03126055A (ja) 電子写真記録装置の現像器ユニット
JP2021135431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9226603A (ja) 溶着用リブ及び現像剤収納部材
JP2016130774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