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520B1 -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520B1
KR0137520B1 KR1019950009924A KR19950009924A KR0137520B1 KR 0137520 B1 KR0137520 B1 KR 0137520B1 KR 1019950009924 A KR1019950009924 A KR 1019950009924A KR 19950009924 A KR19950009924 A KR 19950009924A KR 0137520 B1 KR0137520 B1 KR 0137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 cartridge
frame
cartridge
photosensitive member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9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9867A (ko
Inventor
히로노부 이소베
아쯔시 구보따
요시야 노무라
간지 요꼬모리
시게오 미야베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하지메
Publication of KR950029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9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5Pivotable subunit conn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52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84Projections on process cartridge for guiding mounting thereof in main machine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감광 부재 상에서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카트리지 프레임과,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조립체 상에 장착될 때 주조립체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며 감광 부재의 축방향 단부에 인접한 카트리지 프레임의 제1 프레임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제1 돌기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조립체 상에 장착될 때 주조립체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며 감광 부재의 다른 축방향 단부에 인접한 카트리지 프레임의 제2 프레임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제2 돌기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주조립체에 장착할 때 주조립체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정확히 위치 결정하도록 주조립체의 제1 고정부에 접촉하며 제1 돌기 및 제2 돌기와 협동하도록 카트리지 프레임 내에 배치된 제한 접촉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주조립체로부터 분해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회전 피봇을 제공하도록 주조립체의 제2 고정부에 접촉하도록 카트리지 프레임 내에 배치된 해제 접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적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우측면도.
제6도는 제1도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측면도.
제7도는 제1도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
제8도는 제1도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하부에서 본 외관 사시도.
제9a도는 제1도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세척 유니트의 외관 사시도.
제9b도는 제1도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 유니트의 외관 사시도.
제10도는 내지 제17도는 제1도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설치 또는 이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들을 도시한 측면도.
제18도는 상기 장치의 주조립체 내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19a도는 상기 장치의 주조립체 내부의 다른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제19b도는 상기 장치의 주조립체의 또 다른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
제20도 및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적용한 또 다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면도.
제22도 내지 제2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적용한 또 다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면도.
제26도 및 제27도는 접촉점들을 대응 접촉 부재들에 접촉 상태로 유지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부분의 단면도.
제28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적용한 또 다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 시스템2 : 기록매체
3 : 이송 수단5 : 정착 수단
6 : 배출 트레이7 : 감광 드럼
8 : 대전 롤러9 : 현상 수단
10 : 세척 수단11,12 : 프레임
13 : 세척 수단부15 : 덮개
20 : 축100 : 하우징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화상 장치는 전자 사진 복사기, (예를 들어 LED 프린터, 레이저빔 프린터와 같은) 전자 사진 프린터, 전자 사진 팩시밀리 기계, 전자 사전 워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수단은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대전 수단과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설치 가능한 유니트로서 갖는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대전 수단과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을 유니트로서 포함하기도 한다. 또한, 현상 수단과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유니트로서 포함하기도 한다.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는 숙련된 수리공의 도움없이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작업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대한 착탈 작업성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873,548호, 제5,047,803호 및 EP-A 520802에는 상기와 같은 몇몇 개선점을 제안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873,548호에는 제1프레임이 위치결정 부재를 갖추고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2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2프레임이 폐쇄되었을 때 상기 위치결정 부재가 위치결정을 수행하도록 된 것을 개시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5,047,803호에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개폐가능한 부재의 개방에 반응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EP-A 520802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부 표면에 인접부를 마련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인접부가 주조립체의 고정 부분에 접촉하게 함으로써 설치 위치의 정확도를 개선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내용들은 착탈 작업성을 개선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상기 개선 내용에 더하여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제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탈이 용이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참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이후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외관 사시도이다. 제3도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적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들로서, 제3도는 단면도이고, 제4도는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이고, 제5도는 우측면도이고, 제6도는 좌측면도이고, 제7도는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제8도는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A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B]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적용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측면도이다.
제1도에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A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통하여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형태이다. 먼저, 토너 화상은 화상 담지 부재로서의 드럼형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이후에는 감광 드럼이라 함)상에 형성된다.
한편, 카세트(3a)에 위치한 기록 매체(2) 시트는 한 쌍의 롤러(3a, 3c)와 한 쌍의 기록 롤러(3d, 3e)를 포함하는 이송 수단(3)에 의해 이송되어 토너 화상 형성과 동시에 공급된다. 그 다음에, 전압이 전사 수단인 전사 롤러(4)에 인가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포함하는 감광 드럼 상에 토너 화상이 형성되고, 이 화상이 기록매체(2)에 전사된다. 그 다음에, 토너화상을 받은 기록 매체가 정착 수단(5)에 전달된다. 이 정착 수단(5)은 구동 롤러(5c)와 가열기(5a)를 포함하는 정착 롤러(5b)를 포함하며, 정착 수단(5)을 통과하는 기록 매체(2)에 열 및 압력을 인가하고, 이에 의해 전사된 토너 화상이 정착된다.
그 다음에, 토너 화상이 정착되어 있는 기록 매체(2)는 일군의 배출 롤러 쌍(3g, 3h,3i)에 의해 시트 반전 토너(3j)를 통해서 이송되어 배출 트레이(6)로 배출된다. 이 배출 트레이(6)는 주조립체의 장치 A의 상부 표면상에 마련된다. 이 장치 A는 또한 피봇 가능한 플래퍼(3k)와 배출 롤러 쌍(3m)을 포함하며, 이 플래퍼(3k)가 작동되면 기록 매체(2)는 배출 롤러 쌍(3m)을 통해서 플립되지 않고 시트 반전 통로(3j)를 거치지 않고 배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B에서 감광 층(7e,제26도)을 갖는 화상 담지 부재로서의 감광 드럼(7)의 표면은 대전 수단인 대전 롤러(8)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감광 드럼(7)이 회전되는 동안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 다음에, 화상 데이타를 갖는 레이저빔 수단은 광 시스템(1)에 의해 노광 개구(9)를 통해서 감광 드럼(7)상에 투영되며, 이로써 잠상이 감광 드럼(7)상에 형성된다. 잠상은 현상 수단(9)에 의해 토너로 현상된다.
대전 롤러(8)는 감광 드럼(7)을 대전시키도록 감광 드림(7)에 접촉하게 위치하며, 여기에서 대전 롤러(8)는 감광 드럼(7)상에서 회전부에 의해 회전된다. 현상 수단(9)은 현상될 구역상에서 감광 드럼(7)에 토너를 공급함으로써 감광 드럼(7)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게 된다. 광 시스템(1)은 레이저 다이오드(1a)와 다각형 미러(1b)와 렌즈(1c) 및 전반사 미러(1d)를 포함한다.
이 현상 롤러(9)에서는 자석이 부착되어 있는 현상 롤러가 회전됨으로써 현상 블레이드(9d)에 의해 마찰 전기식으로 대전된 토너 층이 현상 롤러(9c)의 표면에 형성된다. 토너는 이 토너 층으로부터 현상될 구역상의 감광 드럼(7)에 공급된다. 토너가 잠상에 따라 감광 드럼(7)에 공급 되면 잠상이 가시화된다. 현상 블레이드(9d)는 현상 롤러(9c)의 주연 표면상에 덮여 있는 코팅된 토너량을 조절한다. 또한, 토너를 순환시키기 위한 교반 부재는 현상 롤러(9c)에 인접하게 회전식으로 설치된다.
그 다음에, 토너 화상의 극성과는 반대인 극성의 전압이 전사 롤러(4)에 인가되어 감광 드럼(7)상의 토너 화상이 기록 매체(2)에 전사된다. 그러면, 감광 드럼(7)상의 잔류 토너는 세척 수단에 의해 제거된다. 세척 수단(10)은 세척 블레이드(10a)를 포함하며, 감광 드럼(7)상에 잔류하는 토너는 탄성 세척 블레이드(10a)에 의해 모아져서 페기토너 수집기(10b)에 수집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B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토너 용기(11a)의 일부를 구성하는 카트리지 프레임(이후에는 토너 챔버 프레임이하 함)의 토너 챔버부(11)와, 현상 롤러(9c)와 같은 현상 수단을 포함하는 프레임(이후에는 현상 챔버 프레임이라 함)의 현상 챔버부(12)와, 감광 드럼(7) 및 블레이드(10a) 등을 포함하는 프레임(이후에는 세척 수단 프레임이라 함)의 세척 수단부(13)를 포함한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B는 장치 A의 주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설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B는 화상 데이타를 갖고 있는 광 빔이 감광 드럼(7) 상에 조사되게 허용해주는 노광 개구(9)와 감광 드럼(7)이 기록 매체(2)에 직접 면하도록 해주는 전사 개구(15)를 갖추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실시예의 하우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 B는 다음 방식으로 조립된다. 먼저, 토너 챔버 프레임(11)과 현상 챔버 프레임(12)을 연결한다. 그 다음에 세척 수단 프레임(13)을 두개의 프레임부에 앞서서 결합함으로써 형성된 구조물에 회전식으로 부착함으로써 카트리지 하우징이 완성된다. 그 다음에 상술한 감광 드럼(7)과 대전 롤러(8)와 현상 수단(9)과 세척 수단(10) 등을 하우징 내에 배치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 B를 완성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B는 장치의 주조립체(14) 내에 마련된 카트리지 설치 수단에 제거가능하게 설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하우징의 구조]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하우징은 토너 챔버 프레임(11)과 현상 챔버 프레임(12) 및 세척 수단 프레임(13)을 결합함으로써 조립되며, 그 구조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제3도 내지 제9(a)도 및 9(b)도에서 토너 챔버 프레임(11)은 토너 이송 부재(9b)가 설치되어 있는 토너 저장 용기부(9a)를 포함한다. 현상 롤러(9c) 및 현상 블레이드(9d)는 현상 챔버 프레임(12)상에 설치되고, 현상 챔버 내의 토너를 순환시키는 교반 부재(9c)는 현상 롤러(9c)에 인접하게 회전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토너챔버 프레임(11)과 현상 프레임(12)은 일체형 제2 프레임 부재로서의 현상 유니트 D를 형성하도록 용융 용접(이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용접에 의함) 된다(제9(b)도 참조).
감광 드럼(7)과 대전 롤러(8) 및 세척 수단(11)은 세척 프레임(13)상에 설치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B를 장치 A의 주조립체에서 꺼낼 때 감광 드럼(7)을 덮어서 보호하는 드럼 셔터 부재(18)는 제1일체형 부재로서의 세척 유니트 C를 형성하도록 프레임의 세척 수단부(13)에 부착된다. (제9(a)도 참조)
그러면, 현상 유니트 D와 세척 유니트 C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B를 완성시키도록 결합 부재(22)로 결합된다. 특히, 제9(a)도 및 제9(b)도에서 축(20)은 프레임의 현상 챔버부(12)의 각 종방향 단부에 형성된 아암부(19)의 단부에 마련된다(제9(b)도 참조). 한편, 축(20)이 현상 유니트 D와 세척 유니트 C 사이의 위치 관계를 고정시키도록 끼워지게 되어 있는 요부(21)는 프레임의 세척 수단부(13)의 각 종방향 단부에 마련된다(제9(a)도 참조). 결합 부재(22)는 축(20)을 요부(21) 안에 삽입함으로써 프레임의 세척 수단부(13)상에 설치되며, 이로써 현상 유니트 D 및 세척 유니트 C는 축(20)을 중심으로 서로 피봇되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현상 롤러(9c)가 현상 유니트 D의 자중에 의해 감광 드럼(7)쪽으로 가압되게 해준다. 또한, 결합 부재(22)는 현상 챔버 프레임(12)이 하방 가압되어 현상 롤러(9c)를 감광 드럼(7)쪽으로 신뢰성 있게 누르도록 압축 스프링(22a)을 갖추고 있다. 또한, 스페이서 링(9f)은 현상 롤러 (9)의 각 종방향 단부에 마련되며, 이 링은 감광 드럼(7)과 현상 롤러(9c) 사이를 소정 거리(대략 300㎛ )로 유지하도록 감광 드럼(7)상에 가압된다.
결합 부재(22)를 사용하여 현상 유니트 D와 세척 유니트 C 사이를 연결하는 것은 일본국 공개 특허 제18920/1992호(공개일: 1992.10.29)에 개시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가이드 수단의 구조]
다음으로 카트리지 B가 장치 A의 주조립체에 설치 또는 이로부터 제거될 때 카트리지 B를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에 대하여 제4도, 제9(a)도 및 제9(b)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제5도는 카트리지 B가 장치 A의 주조립체 안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카트리지 B를 화살표 X 방향에서 취한 우측면도 (우측은 현상 유니트 D측으로부터 본 것임)이고, 제6도는 그 좌측면도이다.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설치 또는 이로부터 제거될 때 가이드로서 작용하는 가이드 수단은 하우징(100)의 각 종방향 단부 상에 마련된다. 이 가이드 수단은 제1 안내 부재로서의 도웰부(13a)와 제 2 안내 부재로서의 긴 가이드(12a) 및 제3 안내 부재로서의 짧은 가이드(13b)를 포함한다.
돌기 또는 도웰부(13a)는 감광 드럼(7)을 지지하는 드럼 축(7a)을 회전식으로 지지하기 위한 원통형 부재이며, 세척 수단 프레임(13)의 각 측표면 상에 마련된다. 긴 가이드(12a)는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각 종방향 단부 표면상에 마련되고 현상 챔버 프레임(12)과 세척 수단 프레임(13)의 표면들을 연결한다. 짧은 가이드(13b)는 도웰부(13a) 위에 세척 수단 프레임(13)의 각 종방향 단부 상에 마련된다.
긴 가이드(12a)는 카트리지 B가 삽입되는 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삽입되는 각과 거의 같은 각으로 고정된다. 도웰부(13a)는 카트리지 삽입 방향으로 긴 가이드(12a)의 가상 연장 통로에 맞게 배열되도록 위치하고, 짧은 가이드(13b)는 긴 가이드(13a)에 거의 평행하다. 도웰부(13a)와 제2 안내 부재(12a) 및 제3 안내 부재(13b)는 제10도에 도시된 것의 대응하는 길이방향 측표면 상에 마련되고, 그들의 형상 및 위치는 제10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이들 세개의 안내 부재는 동일 평면에 있는 세척 수단 프레임(13)과 현상 챔버 프레임으로부터 거의 동일 거리로 돌출한다.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가이드로서의 도웰부(13)는 세척 유니트 C의 각 측표면들 C1(우측 13c) 및 C2(좌측 13d)상에 마련되며, 여기에서 측면 C1은 카트리지 B를 현상 유니트 D측으로부터 (카트리지 B를 이 카트리지 B의 삽입 방향의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감광 드럼(7)의 축방향에 대한 세척 수단 프레임(13)의 좌측부이다. 이 도웰부(13a)는 세척 수단 프레임(13)의 각 종방향 단부표면(13c, 13d)으로부터 감광 드럼(7)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원통형 부재이다. 드럼 축(7a)은 드럼 축(7a) 둘레에 끼워지는 원통형 부재(13a)에 의해 지지된다. 즉, 드럼 축(7a)은 이후에 설명하는 것처럼 원통형 부재(13a)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안내 부재(16a)에 의해 안내되며, 그 후에 드럼 축(7a)의 위치는 홈(16a5)에 의해 고정된다.
제2 안내 부재로서의 긴 가이드(12a)는 현상 유니트D의 각 종방향 단부 표면들 D1(우측 12c) 및 D2(좌측 12d)상에 마련되며, 여기에서 측면부 중 하나의 표면 D1은 감광 드럼(7)의 축방향에 대한 현상 챔버 프레임부(12)의 우측부(12c)이고, 다른 표면 D2는 감광 드럼(7)의 축방향에 대한 현상 챔버 프레임부(12)의 좌측부(12d)이다. 긴 가이드(12a)는 원통형 부재(13a)로부터 멀리 배열되어 카트리지 삽입 방향(화살표 X방향)에 대하여 원통형 부재(13a)의 상류측 상에 위치한다. 특히, 긴 가이드(12a)는 원통형 부재(13a)의 삽입 방향에 평형하고 그 주연 표면으로부터 접하면서 연장되는 상부 및 바닥부 가상선(11, 12; 제5도)들 사이에 형성된 구역(1)내에 배열되며, 이 긴 가이드(12a)는 그 삽입 단부(12a1)가 세척 프레임부(13)의 측표면 영역에 걸쳐(약 1 내지 3mm의 거리로) 연장되면서 현상 챔버 프레임(12)과 세척 수단 프레임부(13) 사이를 연결한다.
제3 안내 부재로서의 짧은 가이드(13b)는 원통형 부재(13a) 위에서 세척 유니트 c의 측표면(13c, 13d)상에 마련된다. 특히, 짧은 가이드(13b)는 카트리지 삽입 방향으로부터 본 것처럼 원통형 부재(13a) 바로 위에 놓인다. 즉, 짧은 가이드(13b)는 원통형 부재(13a)의 주연 표면에 접선으로 되고 카트리지 삽입 방향(화살표 x 방향)에 거의 수직하게 그려지는 두개의 평행선(13, 14) 사이에 형성된 구역(15) 내에 배열된다. 또한, 짧은 가이드(13b)는 긴 가이드(13a)에 거의 평행하다.
안내 부재의 대표적인 치수에 대하여 하기에 설명한다.
제1 안내 부재(13a)의 직경은 약 10.0mm (허용 공차 범위:7.5 내지 10.0mm), 제2 안내 부재(12a)의 길이는 약36.0mm(허용 공차 범위: 15.0 내지 41.0mm)이고 폭은 약 8.0mm (허용 공차: 1.5 내지 10.0mm), 짧은 가이드(13b)의 길이는 약 10.0mm(허용 공차 범위: 3.0 내지 17.0mm)이고 폭은 약 4.0mm(허용 공차: 1.5 내지 7.0mm)이다. 또한, 제1 안내 부재(13a)의 주연 표면과 제2 안내 부재(12a)의 삽입 단부(12a1) 사이의 거리는 약 9.0mm이다.
제1 안내 부재(13a)의 주연 표면과 제3 안내 부재(13b)의 바닥부 단부 팁(13a1) 사이의 거리는 약 7.5mm(허용 공차: 5.5 내지 9.5 mm)이다.
다음으로 세척 유니트 C의 상부 표면(13d)상에 마련된 조정 접촉부(13e)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세척 유니트 C의 표면과 같은 부분인 상부 표면 수단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장치 A의 주조립체 안에 설치되었을 때 상방을 향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표면 수단은 세척 유니트 C의 상부 표면(13i)이다.
조정 접촉부(13e) 및 분리 접촉부(13e)는 이 표면(13i)의 각 종 방향 단부(13c, 1d)상에 마련된다. 이 조정 접촉부(13e)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위치를 장치 A의 주조립체 내에 고정시킨다. 특히,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장치 A의 주조립체 안에 삽입되면 접촉부(13e)는 장치 A의 주조립체 상에 마련된 고정 부재(25)와 접촉되며, 이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위치가 조정된다. 분리 접촉부(13f)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B를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제거할 때 그 기능을 나타낸다.
특히, 프로세스 카트리지 B를 장치 A의 주조립체로부터 꺼낼 때에는 카트리지 B를 매끄럽게 제거하는 작용을 하도록 고정 부재(25)에 접촉하게 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B를 설치 및 제거하는 단계에 대하여 제10도 내지 제17도를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요부(13g)는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대하여 각 측 방향 모서리에서 세척 유니트 C상에, 세척 유니트 C의 상부 표면(13g)상에 마련된다. 이 요부(13g)는 삽입 방향(화살표 X 방향)에 대하여 카트리지 B의 선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상방 연장되는 제1 경사 표면(13g1)과, 경사 표면(13g3)의 상단부(13g2)로부터 후방으로 하방 연장되는 제2 경사 표면(13g3)과, 경사 표면(13g3)의 바닥 단부(13g4)로 부터 후방으로 더 하방 연장되는 제4 경사 표면(13g5)을 갖추고 있다. 경사 표면(13g5)의 바닥 단부(13g6)에는 벽(13g7)이 마련되어 있다. 제2 경사 표면(13g3)은 조정 접촉부(13e)에 대응하고, 벽(13g7)은 분리 접촉부(13f)에 대응한다.
상술한 부분들의 대표적인 치수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정 접촉부(13e)의 각은 장치 A의 주조립체의 카트리지 B의 수평 방향에 대하여 0˚이고,길이는 약 6.0mm(허용공차 범위: 4.5 내지 8.0mm)이다. 분리 접촉부(13f)는 수평 방향(1)에 대하여 θ1(약45˚)의 각으로 경사지고, 그 길이는 약 10.0mm(허용공차 범위: 8.5 내지 15.0mm)이다.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 B를 장치 A 주조립체에 설치하거나 프로세스 카트리지 B를 장치 A 주조립체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제10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B는 장치 A 주조립체 내의 마련된 카트리지 수납 수단 내로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제18도, 제19(a)도 및 제19(b)도를 참조하면, 조작자가 피봇식 덮개(15)를 개방함에 따라, 카트리지 수납 공간(S)과, 장치 A 주조립체의 대응 측면들에 장착된 좌· 우측 카트리지 설치 가이드(16)들이 노출된다. 각각의 카트리지 설치 가이드(16)는 대향 측면 상에서 서로 대응하는 항 쌍의 가이드, 즉 제1 가이드(16a) 및 제2 가이드(16b)를 포함한다. 장치 A 주조립체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설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B를 가이드(16a,16b)를 따라 삽입시키고 덮개(15)를 폐쇄함으로써 성취된다. 카트리지 B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 그 방향은 감광 드럼(7)의 축 방향 선과 교차하는 방향이며, 특히 제10도 내지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 드럼(7)의 축방향 선에 직각인 방향이다. 상기 경우에, 세척 유니트 C측은 선단측이 되고, 현상 유니트 D측은 말단측이 된다.
카트리지 B 상에는 요부(17)가 마련되고, 요부(17)는 조작자가 카트리지의 설치 또는 제거시에 카트리지를 파지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제3도 참조).
더욱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B는 드럼 셔터(18)(제3도 참조)을 포함하며, 드럼 셔터(18)의 이동은 카트리지의 설치 또는 제거시에 카트리지의 이동과 연동된다.
카트리지 B가 장치 A 주조립체로부터 제거될 때, 셔터(18)는 전사 개구와 대면한 감광 드럼(7)의 일부를 보호하도록 폐쇄된다. 셔터(18)는 아암(18a)에 의해 지지되고, 피봇식 덮개(15)는 피봇점(15a)(제1도)을 중심으로 피봇된다.
제1 가이드(16a)는 안내 부재(16)의 바닥부이고, 프로세스 카트리지 B측 상에 마련된 길이가 긴 가이드(12a) 및 원통형 부재(13a)를 안내한다. 상기 제1 가이드(16a)는 주가이드(16a1), 계단부(16a2), 요부(16a3), 보조 가이드(16a4) 및 위치 결정 장홈(16a5)을 포함하며, 이들은 삽입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으로부터 하류 측을 향해 이러한 순서로 배치된다. 주가이드(16a1)는 길이가 긴 가이드(12a)및 원통형 부재(13a)를 안내한다. 보조 가이드(16a4)는 원통형 부재(13a)를 위치 결정 장홈(16a5) 내로 안내한다. 위치 결정 장홈(16a5)에서는 원통형 부재(13a)가 장치 A 주조립체 내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끼워 맞춤된다. 제2 가이드(16a)는 안내 부재(16)의 상부이고, 경사면(16b1) 및 리세스(16b2)를 포함하며, 이들은 삽입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이러한 순서로 배치된다.
더욱이, 장치 A 주조립체의 카트리지 수납 공간(S)에 있어서, 좌·우측면 상에 고정 부재(25)(회전 조절 부재)가 마련된다. 고정 부재(25)는 지주(stay, 27)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 부재(25)는 카트리지 B의 시계 방향 회전을 조절하도록 전술한 조절 접촉부(13e)와 접촉하게 된다. 특히, 카트리지 B는 원통형 부재(13a)가 장홈(16a5) 내로 끼워 맞춤되고 조절 접촉부(13e)가 고정 부재(25)와 접촉하게 됨에 따라 장치 A 주조립체 내에 정확히 위치된다. 더욱이, 카트리지 B가 꺼내질 때, 고정 부재(25)는 카트리지 B의 원활한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분리 접촉부(13f)와 접촉한다.
더욱이, 카트리지 수납 공간(S)에 있어서, 가압 부재(26)는 좌·우측면 상에 배치된다. 코일 스프링(26a)의 탄력성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가압된 상기 가압 부재(26)는 지지점(fulcrum, 26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카트리지 B의 상부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장치 A가 진동 등을 받을 때 카트리지 B가 진동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카트리지 B의 설치 또는 제거시에, 장치 A 주조립체 상에 마련된 설치 안내 부재(16)와 카트리지 B상에 마련된 가이드(12a, 13a, 13b) 사이의 관계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0도 내지 제15도는 개략도로서, 카트리지 설치 초기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설정 위치에 최종적으로 위치될 때까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B를 설치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제10도 및 제15도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전체 측면도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장치 주조립체의 설치 안내 부재가 2점쇄선(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카트리지 설치의 중간 단계를 도시하는 제11도 내지 제14도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안내 부재만이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다른 부분은 2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제10도를 참조하면, 장치 A 주조립체로의 카트리지 B의 설치 초기에, 카트리지 B의 원통형 부재(13a) 및 길이가 긴 가이드(guide, 12a)는 가이드(guide portion, 16a) 상에서 활주하는 방식으로 가이드(16a)에 의해 안내된다. 이때, 길이가 짧은 가이드(13b)는 가이드(16a)에 의해 안내되지 않고, 설정 거리(1)(본 실시예에서는 약 2.0mm 내지 4.0mm)만큼 가이드(16a)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또한, 이때, 가압 부재(26)는 카트리지 B의 상부면에 마련된 경사면(13i)을 따라 상방으로 회전하여, 가압 부재(26)가 카트리지 설치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카트리지 B가 더욱 삽입됨에 따라, 가압 부재(26)는 카트리지 B의 상부면 상에서 계속 활주하고 첵킹(checking)함으로써 카트리지 B의 상방 이동을 유지한다. 카트리지 B가 장치 A에 설치된 후에도, 가압 부재(26)는 카트리지 B가 장치 A 내에 있는 한 카트리지 B의 상부면을 계속 가압한다.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더욱 삽입되어 제11도에 도시된 상태에 있을 때, 원통형 부재(13a)는 제1 설치 가이드(16a) 상에 마련된 계단부(16a2)를 통과하여 제 1 설치 가이드(16a)상에 또한 마련된 요부(16a3) 상으로 이동할 준비가 완료된다. 가이드(16a)의 상기 요부(16a3)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설정 지점(제15도)까지 삽입될 때 길이가 긴 가이드(12a)를 구속하지 않으며, 요부(16a3)의 길이(m)(본 실시예에서는 약 4.0 mm 내지 8.0 mm)는 상기 거리(1)보다 더 크게 설정된다(1m). 이때, 길이가 짧은 가이드(13b)는 제2 가이드(16b)(16b1)과 접촉되어 있지 않다.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제12도에 도시된 상태가 될 때까지 더욱 삽입됨에 따라, 길이가 짧은 가이드(13b)는 카트리지 B의 원통형 부재(13a)가 요부(16a3)의 바닥에 도달하기 전에 가이드(16b)와 접촉한다. 바꿔 말하면, 이때, 길이가 긴 가이드(12a) 및 짧은 가이드(13b) 모두는 삽입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계단부 등에 의해 카트리지 B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이 감소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더욱 삽입됨에 따라, 제13도에 도시된 상태가 이루어진다. 상기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길이가 긴 가이드(12a)의 말단부는 제1가이드(16a)의 요부(16a3)의 모서리에 있으며,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원통형 부재(13a)는 보조 가이드(16a4)와 접촉하여 가이드(16a4)를 따를 준비가 된다.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원통형 부재(13a) 및 길이가 짧은 가이드(13b)는 제1 가이드(16a) 및 제2 가이드(16b)에 의해 각각 안내된다(제14도).
다음으로, 카트리지 B가 더욱 삽입되어 제14도에 도시된 상태가 될 때, 길이가 짧은 가이드(13b)는 제2 가이드(16b)의 요부(16b2)에 위치된다. 이러한 길이가 짧은 가이드(13b)가 요부(16b2) 내로 떨어지는 단기간 동안에, 원통형 부재(13a)만이 보조 가이드(16a4)에서 장치 A 주조립체와 접촉하며,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B는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하고, 마지막으로 원통형 부재(13a)는 가이드(16a)의 장홈(16a5) 내로 떨어진다(제15도). 거의 동시에 세척 수단 프레임부(13) 상에 마련된 조절 접촉부 (13c)는 장치 A 주조립체에 고정된 고정 부재(25)의 회전 조절부 (25a)(제15도)와 접촉하게 된다. 결국, 장치 A 내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B 의 전체 위치 및 각도 위치는 고정된다. 상기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위치는 단일 지점,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중심[원통형 부재(13a)]에 의해 고정되고, 다른 가이드[길이가 긴 가이드(12a) 및 짧은 가이드(13b)]는 장치 A 주조립체의 설치 안내 부재(16)의 어느 부분과도 접촉하지 않으며, 따라서 카트리지 B의 위치는 정확히 고정된다.
조절 접촉부(13e)와 회전 조절부(25a) 사이의 위치 관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구동됨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 B에 생성된 모멘트가 조절 접촉부(13e)와 회전 조절부(25a) 사이의 접촉부에 의해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조절 접촉부(13e)와 원통형 부재(13a)의 중심 사이의 거리와, 회전 조절부(25a)와 원통형 부재(13a)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길이가 긴 가이드(12a)와 원통형 부재(13a)의 중심 사이의 거리와, 길이가 짧은 가이드(13b)와 원통형 부재(13a)의 중심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다. 따랄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각도 위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구동될 때 더욱 안정 상태를 유지한다.
제15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축방향 단부들 중 하나에서 감광 드럼(7) 상에 마련된 헬리 컬 기어(7b)는 장치 A측 상에 마련된 구동 헬리 컬 기어(28)와 결합한다.
따라서, 구동력은 장치 A 주조립체로부터 기어(28, 7b)에 의해 감광 드럼으로 전달되며, 구동력이 기어(28)로부터 기어(7b)로 전달됨에 따라 카트리지 B는 시계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게 된다. 그러나, 카트리지 B에 생성된 이동은 접촉부(13e)에 의해 조절된다.
기압 부재(26)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B를 위로부터 하방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원통형 부재(13a)가 장치 A 주조립체 의 장홈(16a5) 내로 떨어지지 못하게 될지라도, 회전 조절부(25a)와 접촉부(13e) 사이의 접촉점을 중심으로 모멘트가 발생됨으로써 원통형 부재(13a)는 장홈(16a5)내로 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제16도 및 제17도를 참조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 B를 장치 A로부터 꺼내는 단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화살표(Y)로 표시된 방향은 프로세스 키트리지 B가 제거되는 방향이다.
제16도를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장치 A로부터 제거될 때, 조작자는 핸들부(17)[핸들을 제공하도록 카트리지 B 상에 형성된 요부]를 파지하고 핸들부(17)에 의해 카트리지 B를 들어올림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 B는 원통형 부재(13a)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결국,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조절 접촉부(13f)는 장치 A 주조립체 상에 마련된 고정 부재(25)의 분리 접촉부(25b)와 접촉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더욱 상승됨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 B는 조절 접촉부(13f)와 분리 접촉부(25b)사이의 접촉점 D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결국, 원통형 부재(13a)는 장홈(16a5) 외부로 상승된다. 이때, 드럼 기어(7b)와 구동 기어(28)는 분리된다. 상기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B는 제14도, 제13도, 제12도, 제11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단계를 따라 이러한 순서로 장치 A의 외부로 곧장 잡아 당겨질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요부는 파지 작용을 용이하게 하는데 유리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다르면, 제2 안내 부재로서의 길이가 긴 가이드는 현상 유니트 D 및 세척 유니트 C의 측면들에 걸쳐 연결하는 방식으로 카트리지 삽입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설치 또는 제거시에 흔들리지 않게 된다. 결국, 카트리지 설치는 더욱 신뢰성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다.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조립체에 설치되거나 장치 주조립체로부터 제거될 때 가이드로서 역할하는 가이드 수단은 3개의 안내 부재, 즉 원통형 부재(13a), 긴 가이드(12a) 및 짧은 가이드(13b)로 구성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 B는 설치 또는 제거시에 적어도 2개의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며, 따라서 장치 주조립체의 설치 안내 부재 상에 계단부 등이 있을지 라도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받게 되는 충격은 완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위치는 카트리지가 구동될 때 카트리지에 발생되는 모멘트를 제어하도록 위치된 회전 조절부(25a) 및 원통형 부재(13a)에 의해 고정되는 반면에, 다른 가이드[긴 가이드(12a) 및 짧은 가이드(13b)]는 장치 주조립체의 안내 부재들과 비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각도 위치는 화상 형성 장치가 (화상 형성 중에) 구동되는 동안에도 더욱 안정되게 유지된다.
카트리지를 설치 또는 제거하는 가이드 수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는 상이한 위치에 3개의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가이드 수단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 대신에 본 발명은 제1 안내 부재로서의 원통형 부재와 제2 안내 부재로서의 길이가 긴 가이드를 적어도 포함하는 가이드 수단이거나, 전술한 3개의 안내 부재 외에 추가의 언내 부재(들)를 포함하는 가이드 수단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설치 또는 제거시에 카트리지를 안정시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20도 및 제21도를 참조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 B를 설치 또는 제거하는 전술한 단계들 이외의 일련의 단계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동일 참조 부호로 나타내었으며 간단히 하기위해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B는 감광 드럼(7)(제20도는 한 측면만을 도시한다)의 회전축(7a)과 일치하여 카트리지 프레임의 대응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위치 결정부로서의 한 쌍의 축(40)과, 대응 좌 우측면 상에 배치된 안내 부재(16)를 포함한다. 안내 부재(16)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하방으로 연장되고 카트리지 B가 설치될 때 위치 결정 축(40)을 안내하는 안내 장홈(16i)이 마련된다. 안내 장홈(16i)의 가장 깊은 단부에는 요부(16k)가 있다. 위치 결정 축(40)이 상기 요부(16k) 내로 떨어질 때, 장치 내에서의 카트리지 B의 위치가 고정된다.
바꿔 말하면, 장치 A 내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위치는 카트리지 B가 장치 A 내로 삽입됨에 따라 고정되어, 카트리지 프레임의 대응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위치 결정 축(40)이 대응 위치 결정 리세스(16k) 내로 떨어질 때까지 대응 안내 장홈(16i)을 따르도록 한다.
제2도 및 제21도를 참조하면,본 실시예에서, 조절 접촉부(13e) 및 분리 접촉부(13f)는 카트리지 프레임의 상부 상에 있지만, 회전 조절부(25a) 및 분리 접촉부(25b)는 단일편으로 합체된다.
바꿔말하면, 요부(13g)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상부면 상에 마련되고, 상기 요부(13g)의 2개의 표면은 각각 조절 접촉부(13e) 및 분리 접촉부(13f)로서 역할한다. 화상 형성 장치 A에는 설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B 위에 있고 요부(13g)내로 끼워 맞춤되도록 배치된 고정 부재(25)가 또한 마련된다. 상기 고정 부재(25)의 2개의 표면은 회전 조절부(25a) 및 분리 접촉부(25b)로서 역할한다.
적재 적소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인해,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장치 A 주조립체 내로 설치될 때, 조절 접촉부(13e)는 제20도에 도시된 회전 조절부(15a)와 접촉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꺼내질 때, 분리 접촉부(13f)는 조작자가 카트리지 B를 파지하여 들어올림에 따라 분리 접촉부(25b)와 접촉함으로써, 카트리지 B는 접촉점 D를 중신으로 회전된다. 결국, 원통형 부재(13a)는 장홈(16a5) 외부로 들어 올려지고, 드럼 기어(7b)와 구동 기어(28)는 분리된다.
고정 부재(25)는 기록 매체의 경로에 있지 않으므로, 기록 매체와의 간섭을 염려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구성 요소의 위치 결정에 관한 제한이 존재하지 않는다.
더욱이, 단일 부재는 회전 조절 접촉부(25a) 및 분리 접촉부(25b)를 일체로 포함하고, 따라서 정밀한 구성 요소가 생산될 수 있으며, 구성 요소의 비용이 절감되고, 위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고정 부재(25)가 설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B 위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그러나, 상기 고정 부재(25)는 설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측면 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2도 및 제23도를 참조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 B를 설치 또는 제거하는 다른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2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조절 접촉부(4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화상 형성 장치 A 내로 삽입되는 방향에 대한 선단부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상부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조절 접촉부(42)는 회전 조절부(41)와 접촉하는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또한, 카트리지 B프레임의 바닥면 상에는 분리 접촉부(44)가 형성된다. 상기 분리 접촉부(44)는 분리 돌기(43)와 접촉하는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제22도를 참조하면, 장치 A 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안내 장홈(16i)을 따라 삽입되고 위치 결정 축(40)이 요부(16k) 내로 떨어짐에 따라 조절 접촉부(42) 위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배치된 회전 조절부(41)와, 분리 접촉부(44) 아래에 위치되도록 배치된 분리 돌기(43)를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B는 감광 드럼(7)의 회전축(7a) 상에 장착된 드럼 기어(7b)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 기어(7b)는 카트리지 B의 위치 결정 축(40)이 요부(16k) 내로 떨어지기 전에 장치 A 주조립체 상에 마련된 구동 기어(28)와 결합한다. 구동력은 상기 결합을 통해 감광 드럼(7)으로 전달된다. 이때, 기어(7b, 28)가 결합함에 따라, 기어(7b, 28)를 결합시키는 조작자에 의해 가해진 힘(F)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 B에 위치 결정 축(40)을 중심으로 한 시계 방향 이동이 발생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조절 접촉부(42)는 이러한 모멘트에 의해 회전 조절부(41)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각도 위치는 유지된다.
한편, 제23도를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제거될 때, 조작자는 먼저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핸들부를 파지하여 상방으로 잡아당기며, 이러한 것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위치 결정 축(4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결국, 분리 접촉부(44)는 분리 돌기(43)와 접촉한다. 다음으로, 조작자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더욱 상방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 B는 이때의 접촉부(44, 43)들 사이의 접촉점 D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바꿔말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 B는 그 지지점이 접촉점 D인 레버처럼 기능하며, 따라서 위치 결정 축(40)이 위치 결정 요부(16k) 외부로 들어 올려짐과 동시에 드럼 기어(7b)와 구동 기어(28)는 분리된다. 상기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B는 안내 장홈(16i)을 따라 장치 A 주조립체 외부로 바로 잡아 당겨질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접촉부(42, 44)와, 화상 형성 장치 A 주조립체의 회전 조절부(41) 및 분리 접촉부(43)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 B는 적절히 설치될 수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각도 위치가 적절히 유지되며, 카트리지 제거 중에 기어들은 용이하게 분리될 수있다.
다음으로, 제24도 및 제25도를 참조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 B를 설치 또는 제거하는 다른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4도 및 제25도에 도시된 본 실시예,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분리 접촉부(44)가 카트리지 프레임의 측면 상에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44)가 접촉하는 화상 형성 장치 A측의 분리 접촉부(43)가 장치 주조립체의 내부 측면에 위치되므로, 제22도 및 제23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하다.
바꿔 말하면, 요부(45)는 카트리지 프레임의 각각의 측면 상에 형성되며, 일측면[요부(45)의 상부면]은 분리 접촉부(44)로서 사용된다. 분리 접촉부(43)에 있어서, 분리 접촉부(43)는 카트리지 수납 공간(S)의 대응 측면 상의 대응 설정 위치로부터 상기 공간(S) 내로 돌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이 이루어질 때,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의 위치 결정에 관한 요건들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제25도를 참조하면, 접촉부(44)는 접촉부(43)와 접촉하고, 이들 사이의 접촉점은 카트리지 B의 회전 중심으로서 역할한다. 상기 접촉부(44, 43)는 기록 매체 경로 내에 있지 않으며, 따라서 기록 매체와의 간섭에 관하여 염려할 필요가 없게되고, 구성 요소의 위치 결정에 관한 제한의 개수를 감소시킨다.
[전기 접촉점의 구조]
이하 제5도, 제8도, 제9도 및 제19도를 참조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장치 A 주조립체 내로 설치될 때 이둘 사이에서 전기 연결하는 접촉점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B에는 복수개의 전기 접촉점, 즉 (1) 장치 A 주조립체를 통해 감광 드럼(7)을 접지시키도록 감광 드럼(7)에 전기 연결된 전도성 접지 접촉점(119)과, (2) 대전 롤러 축(8a)에 연결된 전도성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120)과, (3) 장치 A 주조립체로부터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하기 위하여 현상 롤러(9b)에 전기 연결된 전도성 현상 바이어스 접촉점(121)과, (4) 잔류 토너량을 검출하기 위해 안테나 선(라인)에 전기 연결된 전도성 토너 검출 접촉점(122)이 마련된다. 상기 4개의 접촉점(119 내지 122) 모두눈 카트리지 프레임의 측면(우측면) 상에서 이들 사이에서의 누전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큰 간격을 유지한 채 노출되어 있다. 토너 검출 접촉점(122)은 장치 A 주조립체 내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존재(또는 부존재)를 검출하는 카트리지 검출 접촉점으로서 이중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접지 접촉점(119)은 감광 드럼(7)의 전도성 축방향 축(7a), 또는 수지 재료로 된 축(7) 내에 성형된 전도성 삽입체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지 접촉점(119)은 철 등으로 된 금속제 축(7a)으로 구성된다. 다른 접촉점(120, 121, 122)은 두께가 약 0.1mm 내지 0.3mm인 전도성 금속편이며, 이들의 다리부가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부까지 도달하도록 표면상에 배치된다. 대전 접촉점(120)은 세척 유니트 C의 구동측 표면[측면(C1)] 상에서 노출되어 있고, 현상 접촉점(121) 및 토너 탐지 접촉점(122)은 현상 유니트 D의 구동측 표면[측면(D1)] 상에서 노출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7)의 축방향으로 감광 드럼(7)의 일 단부에 헬리컬 기어(7b)가 마련된다. 헬리컬 기어(7b)는 장치 A 주조립체 상에 마련된 헬리컬 기어(28)와 결합하여 드럼(7)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상기 헬리컬 기어(7b)가 회전함에 따라, 헬리컬 기어(7b)는 [제26도의 화살표(d)의 방향으로] 추력을 발생시켜, 길이 방향으로 약간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세척 수단 프레임부(13)상에 장착된 드럼(7)을 헬리컬 기어(7b)의 방향을 향해 가압한다.
결국, 헬리컬 기어(7b)의 측면들 중의 한 측면(7b1)은 카트리지 프레임의 세척 수단 프레임(13)의 측면들 중의 한 측면(13b)의 내부면(13b1)과 접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카트리지 B 내부에서의 드럼(7)의 축방향으로의 위치가 조절된다. 접지 접촉점(119) 및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120)은 프레임의 세척 수단 프레임부(13)의 측면들 중 한 측면(13b) 상에서 노출되어 있으며, 접지 접촉점(119)은 드럼 축(7a)의 일 단부에 있고 전술한 원통형 부재(13a)의 단부를 지나 약간(약 0.8mm)외측으로 돌출한다. 드럼 축(7a)은 감광층으로 피복된 드럼 실린더(7d)(본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 실린더)를 통해 배치되고, 원통형 부재(13a)에 의해 일 단부에서 지지되어서 측면(13c, 13d) 상에서 지지된다. 드럼 실린더(7d) 및 축(7a)은 드럼 실린더(7d)의 내부면(7d1) 및 축(7a)의 외주면(7a1)과 접촉하는 접지판(7f)과 연결된다.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120)은 길이가 긴 가이드(12)의 바로 위에, 즉 대전 롤러(8)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세척 수단 프레임부(13)에 인접하여 위치된다(제8도).
또한,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120)은 대전 롤러 축(8a)과 접촉하여 있는 전도성 부재(120a)를 통해 대전 롤러 축(8a)에 전기 연결된다.
다음, 현상 바이어스 접촉점(121) 및 토너 탐지 접촉점(122)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두 접촉점(121 및 122)은 현상 유니트 D의 측면의 한 표면(D1), 즉, 프레임의 세척 수단부(13)의 측면(13b)과 같은 측면 상에 위치된다. 현상 바이어스 접촉점(121)은 긴 가이드(12a) 바로 아래에 현상 롤러(9c) 내에 포함된 자석(9d)이 지지되는 프레임부(12c)에 인접하여 위치되며(제5도), 현상 롤러(9c)의 측단부와 접한 전기 전도성 부재(121a)를 통해 현상 롤러(9c)에 전기 접촉된다(제9(b)도). 토너 탐지 접촉점(122)은 카트리지 삽입 방향(화살표 A 방향)에 대해 긴 가이드(12a)의 상류측 상에 배치되며, 안테나 로드(9e)와 접하는 전기 전도성 부재(9f)를 통해 현상 롤러(9c)와 평행하게 현상 롤러(9c)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안테나 로드(9e)에 연결된다. 안테나 로드(9e)는 현상 롤러(9c)로부터 소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이 안테나 로드(9e)와 현상 롤러(9c) 사이의 커패시던스는 두 부품 사이에 존재하는 토너량에 따라 변화되며; 따라서, 잔류 토너량은 장치 A 주조립체 내의 탐지 회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전위차 변화로서 이러한 커패시턴스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탐지된다.
여기서, 잔류 토너량이란 용어는 현상 롤러(9c)와 안테나 로드(9e) 사이에 존재함으로써 커패시턴스의 소정량을 발생시키는 토너량을 의미한다. 즉, 소정량의 커패시턴스의 탐지는 토너 챔버(11a)내에 잔류 토너량이 소정량에 이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커패시턴스가 소정 제1 값에 도달했다는 것이 장치 A 주조립체 내에 제공되며 토너 탐지 접촉점(122)을 통해 카트리지 B에 연결된 탐지 회로에 의해 탐지되며 ; 그에 의해 토너 챔버(11a) 내의 잔류 토너량이 소정량에 도달했다는 것이 판단된다. 커패시턴스가 상술된 소정 제1 값에 도달했다는 것이 탐지된 경우, 장치 A 주조립체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B 교환의 필요성을 표시한다(예를 들어, 반짝이는 빛, 윙윙 울리는 소리). 탐지회로에 의해 탐지된 커패시턴스가 제1 값 보다 작은 소정의 제2 값일 경우, 탐지 회로는 카트리지 B가 장치 A 주조립체 내에 설치 된 것을 판단한다. 탐지 회로는 장치 A가 카트리지 B가 장치 주조립체 내에 설치된 것을 탐지하지 않으면 탐지 회로는 주조립체가 구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 않는다. 경고 신호(예를 들어, 점멸광 등)가 장치 내에 카트리지 B의 존재를 조작자에게 알리도록 제공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다음, 카트리지 B 상에 제공된 접촉점과 장치 주조립체 상에 제공된 접촉점 부재 사이의 연경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제19도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A 내에 설치될 경우 대응 접촉점(119 내지 122)과 접촉하는 네개의 접촉점 부재가 화상 형성 장치 A의 카트리지 수용 공간(S)의 한 측벽 상에 제공된다(접지 접촉점(119)을 접촉하는 접지 접촉점 부재(119),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120)을 접촉하는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 부재(124), 현상 바이어스 접촉점(121)을 접촉하는 현상 접촉점 부재(125), 토너 탐지 접촉점(122)을 접촉하는 토너 탐지 접촉점 부재(126)).
제19(a)도 및 제19(b)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접촉점 부재(123)는 홈(16a5)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현상 바이어스 접촉점 부재(125) 및 토너 탐지 접촉점 부재(126)는 제1 안내부(16a) 아래에 배치된다.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 부재(124)는 제2 가이드(16b)위로 배치된다.
이하, 접촉점과 가이드 사이의 위치 관계를 기술하기로 한다.
우선, (수평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 관계에 대해, 현상 바이어스 접촉점(121)은 최하부에 있으며; 토너 탐지 접촉점(122), 긴 가이드(12a) 및 원통형 부재(13a)(접지 접촉점(119))는 대략 같은 높이에 바이어스 접촉점(121) 위에 배치되며; 그들 위에 짧은 가이드(13b), 최상부에는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120)이 있다. 카트리지 삽입 방향(화살표 X 방향)으로의 위치 관계에 대해,토너 탐지 접촉점(122)이 가장 상류에 있으며; 긴 가이드(12a)가 다음이며;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120) 및 현상 바이어스 접촉점(121)이 보다 하류에 위치되며; 짧은 가이드(13b) 및 원통형 부재(13a)가 가장 하류에 위치된다(접지 접촉점(119)). 상술된 바와 같이 접촉점을 배치함으로써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120)이 대전 롤러(8) 근처에; 현상 바이어스 접촉점(121)이 현상 롤러(9c) 근처에; 토너 탐지 접촉점(122)이 안테나 로드(9e) 근처에; 그리고 접지 접촉점(119)이 감광 드럼(7) 근처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접지용 배선은 단축될 수 있다.
접촉점의 측정은 다음과 같다: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120)은 높이 및 폭이 약(10.0mm)(허용범위 8.0mm 내지 12.0mm)이며; 현상 바이어스 접촉점(121)은 높이가 약 9.0mm(허용 범위 6.0mm 내지 12.0mm) 및 폭이 약 8.0mm(허용 범위 5.0mm 내지 10.0mm)이며; 토너 탐지 접촉점(122)은 높이가 약 8.0mm(허용 범위 6.0mm 내지 10.0mm) 및 폭이 약 9.0mm(허용 범위 약7.0mm 내지 11.0mm)이며; 접지 접촉점(119)은 원형이며 직경이 약 7.0mm이다.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120), 현상 바이어스 접촉점(121) 및 토너 탐지 접촉점(122)은 사각형이다.
접지 접촉점 부재(123)는 전기 전도성 판 스프링 부재이며, 카트리지 B가 장착된 접지 접촉점(119)이 카트리지 B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배치된 홈(16a5) 내에 장착되며, 그에 의해 접지 접촉점 부재(123)는 장치 주조립체의 새시를 통해 접지된다(제16도 및 제26도). 다른 접촉점 부재(124, 125 및 126)는 대응 압축 스프링(129)에 의해 돌출되도록 된 방식으로 대응 홀더 커버(127) 내에 장착된다. 이러한 설계를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 부재(12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제26도에서,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 부재(124)는 돌츨되나 벗겨지지는 않도록 홀더 커버 아래에 위치되며, 이러한 홀더 커버(127)는 장치 주조립체의 한 측벽 상에 장착된 회로 기판(128)에 고정되며, 그에 의해 접촉점 부재는 전기 전도성 압축 스프링(129)에 의해 배선 패턴에 전기 접촉된다.
다음, 제27도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화상 형성 장치 A 내로 설치될 때 카트리지 측면 상의 접촉점이 어떻게 화상 형성 장치 측면 상의 대응 접촉점 부재와 접하는가에 대해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 부재(119)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제27도는 화상 형성 장치 A 내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상태를 도시하는 전개도이며, 여기서 화살표(H)는 카트리지 B가 화상 형성 장치 A 내로 설치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 B에 대해 장치 주조립체 상의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124)의 이동을 표시 한다. 제27도는 제5도의 선에서의 단면이다.
가이드로서 안내 부재(16a 및 16b)를 사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 A 내로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설치 중,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 부재(124)는 고정 배치될 소정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제27도에서 도시된 상태에 있다. 이 때,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 부재(124)는 프레임의 세척 수단부(12)의 편평면(20)과 접하지 않는다. 카트리지 B가 더욱 삽입되면서,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 부재(124)는 제27도의 위치(b)로 진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 부재는 프레임의 세척 수단부(13)의 측벽 상에 형성된 경사면(31, 제5도)과 접하며; 경사면이 점차 압박되어 그에 의해 이 경사면(31) 상의 슬라이드는 압축 스프링(129)을 압축하여;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120)이 노출된 편평면(32)에서 부드럽게 이동한다. 삽입된 카트리지 B가 소정 위치에 도달할 때, 접촉점 부재(124)는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120)과 접하는 제27도의 위치(c)에 도달한다. 다른 접촉점(125 및 126)은 같은 방식으로 각각 접촉점(121 및 122)과 접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배치하면, 카트리지 B가 소정 카세트 수용 위치 내로 안내 부재(16)에 의해 안내될 때, 접촉점 및 대응 접촉점 부재는 서로 확실히 접촉하도록 위치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장치 A 주조립체 내의 소정 위치에 위치될 때, 판 스프링 형태의 접지 접촉점 부재(123)는 원통형 부재(13a)로부터 돌출한 접지 접촉점(119)과 접하게 된다(제26도).
다음, 감광 드럼(7)이 화상 형성 장치 A를 구동함으로써 회전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감광 드럼(7)은 화상 형성 장치 A 내로 프로세스 카트리지 B를 설치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도록 축방향으로 약 2mm 내지 3mm의 축방향 여유 공간(trust play)이 주어진다. 그러므로, 대전 바이어스 접촉점 부재(124) 등이 축방향 여유 공간보다 큰 거리만큼 돌출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 B가 장치 주조립체 내에 있을 때 장치 주조립체의 한 측면(접촉점 부재(123 내지 126)가 위치된 측면)을 향해 프로세스 카트리지 B를 압박하는 판 스프링(45)이 제공된다. 이러한 판 스프링(45)은 제1 설치 가이드(16a) 위로 접촉점 부재가 위치된 측면에 반대 측면 상에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접촉점(119 내지 122)이 배치될 때, 본 실시예에서는, 헬리컬 기어(7b)를 통해 장치 주조립체에 의해 키트리지 B를 기계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연결, 및 접촉점(119 내지 122)을 통한 카트리지 B와 장치 주조립체 사이의 전기 접촉이 카트리지 B의 동일한 측면 상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카트리지 B의 상술된 측면이 기준면으로 사용될 때, 부품 크기의 복합 에러는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접촉점 및 헬리컬 기어를 보다 정확히 장착할 수 있게한다.
또한, 헬리컬 기어가 위치된 측면을 향한 방향의 추력을 발생하도록 된 방향으로 치형(tooth cut)을 갖는 헬리컬 기어가 사용될 때, 축방향으로 감광 드럼(7)의 위치는 접촉점이 위치된 측면 상에 고정되며,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상술된 효과에 추가하여 감광 드럼(7)과 접촉점 사이의 위치 관계에서의 정확도는 개선된다. 또한, 드럼 셔터(18)를 개폐하기 위한 레버(18b)가 위치될 때,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접촉점(119 내지 122)이 위치되는 측면에 반대 측면 상에, 카트리지 B가 화상 형성 장치 A내로 삽입되면서 접촉점(119 내지 122)에 의해 카트리지의 한 측면 상에 발생된 마찰 저항이 드럼 셔터가 개방될 때 다른 측면에 배치된다; 즉, 카트리지 B가 삽입될 때 발생된 저항이 카트리지 B의 길이방향으로 균등하게 분포된다. 그러므로, 카트리지 B는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B의 모든 접촉점이 카트리지 프레임의 동일한 하나의 측벽 상에 위치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판 스프링에 의해 발생된 탄성 압력 하에 있을 경우, 접촉점 및 장치 주조립체 측면 상의 대응 접촉점 부재 사이의 안정된 전기 접촉을 제공할 수 있다.
제28도는 상술된 레버(18b)가 위치된 측면 상에 접촉점이 위치된 설계를 도시한다. 이러한 설계는 상술된 효과를 또한 충분히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종래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B는 단색 화상을 형성하도록 사용된 종류이나,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현상 수단을 포함하며 다색(2색, 3색 또는 완전 칼라) 화상을 형성하도록 사용된 다색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또한 적용 가능하다.
전자 사진(electrophotograph) 감광 부재에 대해서는, 상술된 감광 드럼(7)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이하에도 적용 가능하다. 우선, 광전도성(photoconductive)재질은 감광 재료로서 사용 가능하다. 광전도성 재질로는 비결정 실리콘(amorphous silicon), 비결정 셀레늄(amorphous selenium), 산화 아연(zinc oxide), 산화 티타늄(titanium oxide), 유기 광전도체(OPC) 등이 사용 가능 하다. 또한, 감광 재료가 위치되는 베이스 부재의 형상으로는, 드럼 또는 벨트 형태의 베이스 부재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드럼형태의 베이스 부재의 경우에는, 일루미늄 합금 등의 실린더 상에 유사한 수단에 의해 감광 재료가 피막되거나, 적충되거나 또는 위치된다.
현상 방법으로는, 본 발명은 이중 부품 자기 브러시 현상 방법(double component magnetic brush developing method), 캐스케이드 현상 방법(cascade developing method), 터치 다운 현상 방법(touch down developing method)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공지 방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대전 수단의 구조에 관하여는, 소위 접촉 대전 방법이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알루미늄의 금속실드 등이 텅스텐 와이어의 세 면 상에 위치되며, 텅스텐 와이어에 높은 전압을 가함으로써 발생된 양 또는 음이온이 드럼을 균일하게 대전하도록 감광 드럼의 표면에 전달되는 방법과 같은 다른 종래의 대전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대전 수단은 상술된 롤러 형태 이외에 블레이드 형태, (대전 블레이드), 패드 형태, 블럭 형태, 로드 형태, 와이어 형태 등일 수도 있다.
감광 드럼 상의 잔류 토너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세척 수단은 블레이드, 모피 브러시, 자기 브러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함께 사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되며, 착탈 작동성이 개선된다.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아래의 특허 청구의 범위의 범주 또는 개선의 목적 내에 있을 수 있는 변형 또는 변경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Claims (54)

  1.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상기 감광 부재 상에서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카트리지 프레임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 상에 장착될 때 주조립체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며 상기 감광 부재의 축방향 단부에 인접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제1 프레임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제1 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 상에 장착될 때 주조립체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며 상기 감광 부재의 다른 축방향 단부에 인접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제2 프레임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제2 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주조립체에 장착할 때 상기 주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정확히 위치 결정하도록 상기 주조립체의 제1 고정부에 접촉하며 제1 돌기 및 제2 돌기와 협동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내에 배치된 제한 접촉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주조립체로부터 분해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회전 피봇을 제공하도록 상기 주조립체의 제2 고정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키트리지 프레임 내에 배치된 해제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는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는 상기 감광 부재를 지지하는 축 주위에 원형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접촉부는 상기 감광 부재의 축방향에 대해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각 단부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접촉부는 경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요부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접촉부는 상기 감광 부재의 축방향에 대해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각 단부에 제공된 것을 특징을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접촉부는 경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요부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돌기 수직 상방의 위치에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는 외향 돌출 제3 돌기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제2 돌기 수직 상방의 위치에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는 외향 돌출 제4 돌기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은 상기 감광 부재와 상기 감광 부재 상에 잔류하는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 하는 현상 수단 및 세척 유니트와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해 사용될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돌기 상류측 위치에서 외향 돌출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는 제5 돌기가 제공되며, 상기 제 2 프레임에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제2 돌기 상류측 위치에서 외향 돌출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는 제6 돌기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상기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감광 부재 및 상기 감광 부재 상에 잔류하는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수단을 구비한 세척 유니트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현상 유니트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립체에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헬리컬 기어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받도록 상기 주조립체의 상기 헬리컬 기어에 결합 가능한 헬리컬 기어가 제공되며, 상기 헬리컬 기어 사이의 결합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회전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5.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상기 감광 부재 상에서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카트리지 프레임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 상에 장착될 때 주조립체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며 상기 감광 부재의 축방향 단부에 인접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감광 부재의 축선과 동축으로 외향 돌출 하는 제1 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 상에 장착될 때 주조립체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며 상기 감광 부재의 다른 축방향 단부에 인접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제2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감광 부재의 축선과 동축으로 외향 돌출하는 제2 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주조립체에 장착할 때 상기 주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정확히 위치 결정하도록 상기 주조립체의 제1 고정부에 접촉하며 제1 돌기 및 제2 돌기와 협동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상면의 각 단부에 배치된 제한 접촉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주조립체로부터 분해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회전 피봇을 제공하도록 상기 주조립체의 제2 고정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상면의 각 단부에 배치된 해제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는 상기 감광 부재를 지지하는 축주위에 원형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접촉부는 경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요부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접촉부는 경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요부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돌기 수직 상방의 위치에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는 외향 돌출 제3 돌기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제2 돌기 수직 상방의 위치에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는 외향 돌출 제4 돌기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2. 제15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은 상기 감광 부재 상에 잔류하는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 및 세척 유니트와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해 사용될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3. 제15항, 제16항 또는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돌기 상류측 위치에는 외향 돌출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는 제5 돌기가 제공되며,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제2 돌기 상류측 위치에서 외향 돌출하며 상기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는 제6 돌기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상기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감광 부재 및 상기 감광 부재 상에 잔류하는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수단을 구비한 세척 유니트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현상 유니트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립체에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헬리컬 기어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받도록 상기 주조립체의 상기 헬리컬 기어에 결합 가능한 헬리컬 기어가 제공되며, 상기 헬리컬 기어 사이의 결합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회전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6.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상기 감광 부재 상에는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카트리지 프레임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 상에 장착될 때 주조립체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며 상기 감광 부재의 축방향 단부에 인접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감광 부재의 축선과 동축으로 외향 돌출 하는 제1 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 상에 장착될 때 주조립체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며 상기 감광 부재의 다른 축방향 단부에 인접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제2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감광 부재의 축선과 동축으로 외향 돌출하는 제2 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돌기의 수직 상방 위치에서 제1 프레임 상에 배치된 외향 돌출 제3 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돌기의 수직 상방 위치에서 제2 프레임 상에 배치된 외향 돌출 제4 돌기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돌기의 상류측 위치에서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외향 돌출하여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기 위한 제5 돌기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돌기의 상류측 위치에서 상기 제2 프레임으로부터 외향 돌출하여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기 위한 제6 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주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를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주조립체의 제1 고정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에 협동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상면의 각 단부에 제공된 제한 접촉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로부터 분해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회전 피봇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주조립체의 제2 고정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상면의 각 단부에 제공된 해제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는 상기 감광 부재를 지지하는 축주위에 원형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접촉부는 경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의 장착 방향에 대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요부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접촉부는 경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요부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은, 상기 감광 부재와 상기 감광 부재 상에 잔류하는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 및 세척 유니트와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해 사용될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은, 상기 감광 부재와 상기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현상 수단에 의해 사용될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를 구비한 현상 유니트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감광 부재 및 상기 감광 부재 상에 잔류하는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수단을 구비한 세척 유니트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4. 제26항에 있어서, 주조립체에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헬리컬 기어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받도록 상기 주조립체의 상기 헬리컬 기어와 결합 가능한 헬리컬 기어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감광 부재,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또는 세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감광 부재,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또는 세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상기 감광 부재와 현상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8.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주조립체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헬리컬 기어를 구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세척 수단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받도록 상기 주조립체의 상기 헬리컬 기어에 결합 가능한 헬리컬 기어와, 상기 감광 부재, 상기 대전 수단 및 상기 세척 수단을 구비한 세척 프레임과, 상기 현상 수단과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해 사용될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세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현상 프레임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주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고 상기 감광 부재의 축단부에 인접한 상기 세척 프레임의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감광 드럼의 축선과 동축으로 외향 돌출된 제1 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주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고 상기 감광 부재의 축단부에 인접한 상기 세척 프레임의 제2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감광 드럼의 축선과 동축으로 외향 돌출된 제2 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돌기의 수직 상방 위치에서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는 외향 돌출 제3 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돌기의 수직 상방 위치에서 상기 제2 프레임 상에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는 외향 돌출 제4 돌기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돌기의 상류측이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축선 방향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현상 프레임의 제1 프레임으로부터 외향 돌출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기 위한 제5 돌기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돌기의 상류측이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축선 방향 다른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현상 프레임의 제2 프레임으로부터 외향 돌출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기 위한 제6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주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주조립체의 제1 고정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에 협동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상면의 각 단부에 제공된 제한 접촉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로부터 분해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회전 피봇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주조립체의 제2 고정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상면의 각 단부에 제공된 해제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헬리컬 기어 사이의 결합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향 회전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는 상기 감광 부재를 지지하는 축주위에 원형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접촉부는 경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연장되는 요부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접촉부는 경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연장되는 요부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4.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의 외경은 7.5 내지 10.0mm이고, 상기 제3 돌기와 제4 돌기의 길이는 3.0 내지 17.0mm이며, 그 폭은 1.5 내지 7.0mm이고, 상기 제5 돌기와 제6 돌기의 길이는 15.0 내지 41.0mm이며, 그 폭은 1.5 내지 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5.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장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상기 감광 부재 상에서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주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며 상기 감광 부재의 축단부에 인접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제1 프레임으로부터 외향 돌출한 제1 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주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며 상기 감광 부재의 축단부에 인접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제2 프레임으로부터 외향 돌출한 제2 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주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주조립체의 제1고정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에 협동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 제공된 제한 접촉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로부터 분해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회전 피봇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주조립체의 제2 고정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 제공된 해제 접촉부와, 상기 기록 재료를 이송하는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6. 기록 재료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장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상기 감광 부재 상에서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주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며 상기 감광 부재의 축단부에 인접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감광 부재의 축선과 동축으로 외향 돌출한 제1 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주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며 상기 감광 부재의 다른 축단부에 인접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제2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감광 부재의 축선과 동축으로 외향 돌출한 제2 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주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주조립체의 제1 고정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에 협동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상면의 각 단부에 제공된 제한 접촉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로부터 분해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회전 피봇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주조립체의 제2 고정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상면의 각 단부에 제공된 해제 접촉부와, 상기 기록 재료를 이송하는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7.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장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상기 감광 부재 상에서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주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며 상기 감광 부재의 축단부에 인접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감광 부재의 축선과 동축으로 외향 돌출한 제1 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주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며 상기 감광 부재의 축단부에 인접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제2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감광 부재의 축선과 동축으로 외향 돌출한 제2 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돌기의 수직 상방 위치에서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는 외향 돌출 제3 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돌기의 수직 상방 위치에서 상기 제2 프레임 상에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는 외향 돌출 제4 돌기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돌기의 상류측 위치에서 상기 현상 프레임의 제1 프레임으로부터 외향 돌출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기 위한 제5 돌기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돌기의 상류측 위치에서 상기 현상 프레임의 제2 프레임으로부터 외향 돌출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기 위한 제6 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주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서 카트리지를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주조립체의 제1 고정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에 협동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상면의 각 단부에 제공된 제한 접촉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로부터 분해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회전 피봇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주조립체의 제2 고정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상면의 각 단부에 제공된 해제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 재료를 이송하는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8.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장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세척 수단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받도록 상기 주조립체의 헬리컬 기어와 결합 가능한 헬리컬 기어와, 상기 감광 드럼, 상기 대전 수단 및 상기 세척 수단을 수용하는 세척 프레임과, 상기 현상 수단과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해 사용될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세척 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현상 프레임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주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며 상기 감광 부재의 축단부에 인접한 상기 세척 프레임의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감광 드럼과 동축으로 외향 돌출한 제1 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주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며 상기 감광 부재의 축단부에 인접한 상기 세척 프레임의 제2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감광 드럼과 동축으로 외향 돌출한 제2 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프레임 상의 상기 돌기 수직 상방의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는 외향 돌출된 제3 돌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제2 프레임 상의 상기 돌기 수직 상방의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는 외향 돌출된 제4 돌기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돌기의 상류측이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축선 방향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현상 프레임의 제1 프레임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는 제5 돌기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돌기의 상류측이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축선 방향 다른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현상 프레임의 제2 프레임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는 제6 돌기와, 상기 주조립체에 장착된 상기 프로세서 카트리지를 상기 주조립체에 대해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주조립체의 제1 고정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에 협동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상면의 각 단부에 제공된 제한 접촉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주조립체로부터 분해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회전 피봇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주조립체의 제2 고정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상면의 각 단부에 제공된 해제 접촉부와, 상기 기록 재료를 이송하는 이송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헬리컬 기어 사이의 결합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향 회전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9.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전자 사진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0.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는 레이저 비임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1.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전자 사진 모사 전송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2.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전자 사진 복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3.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상기 감광 부재 상에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카트리지 프레임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주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고 상기 감광 부재의 축선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으로부터 외향 돌출한 돌기와, 상기 주조립체의 제1 고정부에 접촉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 배치된 제한 접촉부와, 상기 주조립체의 제2 고정부에 접촉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 배치된 해제 접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4.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화상 카트리지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상기 감광 부재 상에서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카트리지 프레임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주조립체에 장착할 때 주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고 상기 감광 부재의 축선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으로부터 외향 돌출한 돌기와, 상기 주조립체의 제2 고정부에 접촉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 배치된 제한 접촉부와, 상기 주조립체의 제2 고정부에 접촉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 배치된 해제 접촉부로 구성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해제 접촉부를 상기 제2 고정부에 접촉시키기 위해 상기 돌기를 피봇으로 하여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향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해제 접촉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의 접촉 위치를 피봇으로 하여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향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주조립체로부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외부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50009924A 1994-04-26 1995-04-26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0137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088318 1994-04-26
JP8831894 1994-04-26
JP95-085296 1995-04-11
JP8529695 1995-04-11
JP09369195A JP3337859B2 (ja) 1994-04-26 1995-04-19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95-093691 1995-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867A KR950029867A (ko) 1995-11-24
KR0137520B1 true KR0137520B1 (ko) 1998-06-15

Family

ID=27304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9924A KR0137520B1 (ko) 1994-04-26 1995-04-26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64843A (ko)
EP (1) EP0679963B1 (ko)
JP (1) JP3337859B2 (ko)
KR (1) KR0137520B1 (ko)
CN (1) CN1064146C (ko)
CA (1) CA2147712C (ko)
DE (1) DE69524283T2 (ko)
HK (1) HK1012045A1 (ko)
SG (1) SG716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9932B2 (ja) 1996-09-26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カップリング
JP3530644B2 (ja) * 1995-07-31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フレー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45069B2 (ja) * 1996-07-24 2003-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0428083C (zh) * 1996-09-26 2008-10-22 佳能株式会社 处理盒及电照相成象装置
EP0833227B1 (en) * 1996-09-26 2003-04-0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969805B2 (ja) 1996-09-26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5768661A (en) * 1996-12-20 1998-06-16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external planar installation guides
JP3320398B2 (ja) 1999-05-20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20399B2 (ja) 1999-05-20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み立て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48506B2 (ja) 1999-05-20 2006-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JP3919383B2 (ja) 1999-05-24 2007-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38024B2 (ja) 1999-09-27 2002-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取っ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取っ手取り付け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38023B2 (ja) 1999-09-27 2002-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取っ手取り付け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549736B2 (en) 2000-01-19 2003-04-15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ngaging member therefor and method for mounting developing roller and magnet
JP3720707B2 (ja) 2000-01-19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50294B2 (ja) 2000-02-16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603939B1 (en) 2000-06-09 2003-08-05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connecting method between developing frame and developer frame, and flexible seal
US6622582B1 (en) 2000-07-14 2003-09-23 Lexmark International, Inc. Assembly for limiting axial motion of shaft in an imaging apparatus
US6564029B2 (en) 2000-09-01 2003-05-13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having developer supply opening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able therewith
JP3652246B2 (ja) 2000-12-21 2005-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677093B2 (ja) 2000-12-25 2011-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636791B2 (en) * 2001-01-05 2003-10-21 Calsonic Kansei Corporation Collision record apparatus, collision state estimation method, and record medium
JP3542583B2 (ja) 2001-02-02 2004-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333813A (ja) 2001-03-09 2002-11-2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システム
JP3840063B2 (ja) 2001-04-27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3208074A (ja) * 2002-01-11 2003-07-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125007B2 (ja) 2002-01-11 2008-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11930B2 (ja) 2002-02-20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684209B2 (ja) 2002-05-31 2005-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164293B2 (ja) * 2002-06-03 200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174380B2 (ja) 2002-07-04 2008-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978100B2 (en) * 2002-09-30 2005-12-2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cartridge and developing roller
JP3809412B2 (ja) * 2002-09-30 2006-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072603B2 (en) * 2003-08-01 2006-07-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holding member
CN100454177C (zh) * 2003-09-30 2009-01-21 佳能株式会社 处理盒和电摄影成像设备
JP3782807B2 (ja) * 2003-11-28 2006-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の取り付け方法
KR100555751B1 (ko) 2004-01-05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JP4110143B2 (ja) * 2004-01-30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に着脱可能な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5316192A (ja) * 2004-04-28 2005-11-10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17122B2 (ja) 2004-09-08 2011-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搬送部材、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886182B2 (ja) * 2004-09-27 2012-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50882B2 (ja) * 2004-10-06 2007-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50883B2 (ja) * 2004-10-06 2007-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6188312A (ja) * 2005-01-04 2006-07-20 Funai Electric Co Ltd プリンタ
JP4635645B2 (ja) * 2005-02-28 2011-02-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4794892B2 (ja) * 2005-04-11 2011-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84732B2 (ja) * 2005-04-27 2011-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100608068B1 (ko) * 2005-05-10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장착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KR100609907B1 (ko) 2005-07-26 200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4852301B2 (ja) * 2005-11-17 2012-01-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支持機構
JP4948382B2 (ja) * 2006-12-22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ドラム取り付け用カップリング部材
JP4498407B2 (ja) 2006-12-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5219462B2 (ja) * 2007-01-31 201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888686B1 (ko) * 2007-03-15 2009-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 장착방법과 탈착방법
JP5311854B2 (ja) 2007-03-23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US7711287B2 (en) 2007-05-15 2010-05-04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889820B1 (ko) * 2007-09-19 2009-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4645646B2 (ja) * 2007-12-28 2011-03-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06050B2 (ja) * 2008-06-20 201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付け方法、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外し方法
JP5127584B2 (ja) 2008-06-20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147607B2 (ja) * 2008-09-01 201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63801B2 (ja) * 2008-09-01 2011-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335329B2 (ja) * 2008-09-01 2013-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2333620A1 (en) 2008-09-01 2011-06-15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8029284B2 (en) * 2008-09-29 2011-10-04 Maxillent Ltd. Implants, tools, and methods for sinus lift and lateral ridge augmentation
JP5574886B2 (ja) * 2009-10-30 2014-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751779B2 (ja) * 2009-10-30 2015-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053402A (ja) * 2010-09-03 2012-03-1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124675B2 (ja) * 2011-06-21 2013-01-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支持機構
US9720372B2 (en) * 2014-11-28 2017-08-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1543379S (ko) * 2015-07-22 2016-02-08
AU2016420865B2 (en) * 2016-08-26 2020-07-02 Canon Kabushiki Kaisha Drum unit,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US9989917B1 (en) * 2017-05-17 2018-06-05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positional control features
US10444661B2 (en) * 2017-10-23 2019-10-15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biasing assembly for biasing a media feed roll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10185247B1 (en) 2017-10-23 2019-01-22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media feed roll assembly
JP7094705B2 (ja) * 2018-01-24 2022-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5436A (en) * 1974-06-25 1976-10-12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copying apparatus
JPS5859462A (ja) * 1981-10-05 1983-04-08 Ricoh Co Ltd 画像記録装置
US4556308A (en) * 1984-05-25 1985-12-03 Xerox Corporation Removable processing cartridge for electrostatographic reproducing apparatus
US4952989A (en) * 1985-04-16 1990-08-28 Sharp Kabushiki Kaisha Photoreceptor attachment device for an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JPS61279871A (ja) * 1985-06-06 1986-12-1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S62186274A (ja) * 1986-02-10 1987-08-14 Canon Inc プロセスカ−トリツジ型画像形成装置
US4785319A (en) * 1986-08-05 1988-11-15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graphic apparatus
DE3850678T2 (de) * 1987-01-09 1994-11-24 Canon Kk Arbeitseinheit und damit ausgestattetes Mehrfarben-Bilderzeugungsgerät.
DE3854559T2 (de) * 1987-03-31 1996-03-21 Canon Kk Bilderzeugungsgerät.
US4912563A (en) * 1987-07-04 1990-03-27 Ricoh Company, Lt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eplaceable optical unit
DE68908915T2 (de) * 1988-03-02 1994-01-20 Canon Kk Bilderzeugungsgerät mit herausnehmbarer Prozesskassette.
JPH01229270A (ja) * 1988-03-09 1989-09-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5028966A (en) * 1988-11-10 1991-07-02 Mita Industrial Co., Ltd. Image-forming machine
JPH02210482A (ja) * 1989-02-10 1990-08-21 Minolta Camera Co Ltd 画像形成装置
EP0602016B1 (en) * 1989-05-09 1998-08-05 Konica Corporatio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5027152A (en) * 1989-06-27 1991-06-25 Mita Industrial Co., Ltd. Image-forming machine having a process unit detachably mountable on a movable supporting and guiding means
US5065195A (en) * 1989-07-05 1991-11-12 Konica Corporatio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freely installable and detachable process cartridge
JP2796851B2 (ja) * 1989-09-11 1998-09-10 コニカ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3252667A (ja) * 1990-03-02 1991-11-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3252669A (ja) * 1990-03-02 1991-11-11 Canon Inc カートリッジ着脱装置
JPH03252665A (ja) * 1990-03-02 1991-11-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3252668A (ja) * 1990-03-02 1991-11-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690554B2 (ja) * 1990-07-11 1994-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0466173B1 (en) * 1990-07-13 1998-10-2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JPH0486675A (ja) * 1990-07-27 1992-03-19 Canon Inc 印字装置
JPH0490561A (ja) * 1990-08-03 1992-03-24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着脱方法
US5204713A (en) * 1990-08-24 1993-04-20 Tokyo Electric Co., Lt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US5450166A (en) * 1991-04-10 1995-09-1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process cartridge
JP3278198B2 (ja) * 1991-06-28 2002-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着脱可能な画像形成装置
DE69207992T2 (de) * 1991-08-13 1996-05-30 Tokyo Electric Co Ltd Bilderzeugungsgerät
US5331373A (en) * 1992-03-13 1994-07-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mountable within it and method for attaching photosensitive drum to process cartridge
CA2105252C (en) * 1992-09-01 1999-11-16 Michihisa Iguchi Detachable process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device
JP3259985B2 (ja) * 1992-09-04 2002-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0586042B1 (en) * 1992-09-04 1998-09-0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285392B2 (ja) * 1992-09-04 2002-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414492A (en) * 1993-03-11 1995-05-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ircuit board cover guiding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79963A3 (en) 1996-06-05
HK1012045A1 (en) 1999-07-23
CA2147712C (en) 2000-06-20
CA2147712A1 (en) 1995-10-27
US6064843A (en) 2000-05-16
JPH08339154A (ja) 1996-12-24
DE69524283T2 (de) 2002-05-23
JP3337859B2 (ja) 2002-10-28
DE69524283D1 (de) 2002-01-17
CN1123919A (zh) 1996-06-05
KR950029867A (ko) 1995-11-24
EP0679963A2 (en) 1995-11-02
CN1064146C (zh) 2001-04-04
EP0679963B1 (en) 2001-12-05
SG71643A1 (en) 2000-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7520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0166647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267047B1 (ko) 현상 장치 프레임,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870000463B1 (ko) 프로세스키트및이키트를사용한화상형성장치
KR100473133B1 (ko) 정보 저장 매체,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 카트리지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EP0757303B1 (en) A developing device hold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288971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및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JP3359245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5659847A (en) Process cartridge having positioning member for positioning optical device
KR100331921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 제조방법 및 화상형성 장치
US6144821A (en) Shutter member and process cartridge
US20030223775A1 (en)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H10240102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EP0917007B1 (en) Molded quick change photoreceptor support
US5881341A (en) Printing cartridge with molded cantilever developer roller spacing spring
CA2147713C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U738042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926740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AU714505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8305243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631624B2 (ja) 感光体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279681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現像ユニット、クリーナユニット、駆動伝達部品及びギヤ
JPH061618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が着脱自在な画像形成装置
JPH08305249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26739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