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686B1 - 현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 장착방법과 탈착방법 - Google Patents

현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 장착방법과 탈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686B1
KR100888686B1 KR1020070025434A KR20070025434A KR100888686B1 KR 100888686 B1 KR100888686 B1 KR 100888686B1 KR 1020070025434 A KR1020070025434 A KR 1020070025434A KR 20070025434 A KR20070025434 A KR 20070025434A KR 100888686 B1 KR100888686 B1 KR 100888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eveloping device
photosensitive medium
develop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4142A (ko
Inventor
안동철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5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686B1/ko
Priority to US11/933,578 priority patent/US7953346B2/en
Priority to ES07122347.3T priority patent/ES2466665T3/es
Priority to EP07122347.3A priority patent/EP1970776B1/en
Priority to CN2008100024299A priority patent/CN101266437B/zh
Priority to RU2008107795/28A priority patent/RU2466441C2/ru
Priority to BRPI0800459-5A priority patent/BRPI0800459A2/pt
Publication of KR20080084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7Frame structures using opening shell type machines, e.g. pivoting assemblies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기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하부 본체와, 하부 본체에 설치되며 감광매체를 포함하는 현상기와, 하부 본체의 상측에 하부 본체와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현상기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부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에 설치되며 현상기를 위 방향으로 가압하는 하부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현상기의 감광매체의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한 경우에 상부 가압부재에 의해 현상기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와 하부 가압부재에 의해 현상기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현상기, 힘의 모멘트, 기준돌기, 현상기 가압부재, 전사롤러

Description

현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 장착방법과 탈착방법{Developing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nd separating a developing cartridg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기를 꺼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상부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가압부재가 현상기를 누르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현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서 구동기어가 회전할 때 현상기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서 상부 본체가 열려 있을 때 현상기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서 구동기어가 회전하지 않을 때 현상기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화상형성장치 10; 하부 본체
11; 하부 프레임 13; 지지홈
15; 구동기어 19; 하부 스토퍼
20; 인쇄매체 공급유닛 30; 이송롤러유닛
40; 전사롤러 50; 정착유닛
60; 배지유닛 70; 현상기
71; 케이스 73; 기준돌기
75; 감광매체 77; 현상기 메모리의 단자부
80; 상부 본체 81; 상부 프레임
83; 상부 힌지부 85; 메모리 접속부재
87; 현상기 가압부재 90; 노광유닛
100; 스캐닝 유닛 101; 스캔 모듈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현상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는 방법과 탈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매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한 후, 이 토너 화상을 종이와 같은 인쇄매체에 전사함으로써 인쇄작업을 수행한다.
그런데, 감광매체와 감광매체로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수단은 일정 매수의 인 쇄를 한 후에는 교체를 해야 하는 소모성 부재이다. 따라서, 감광매체와 현상수단의 교체를 쉽게 하기 위해 감광매체와 현상수단을 하나의 유닛으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에서는 감광매체와 현상수단이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된 것을 현상기라 한다.
현상기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하면, 현상기의 감광매체가 전사롤러와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인쇄매체가 감광매체와 전사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 감광매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감광매체의 토너 화상이 인쇄매체로 정상적으로 전사되기 위해서는 감광매체가 전사롤러에 대해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하여야 한다. 특히, 현상기를 사용자가 교체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는 품질 좋은 인쇄를 하기 위해서는, 사용한 현상기를 탈착하고 새로운 현상기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하였을 때, 현상기의 감광매체가 본체의 전사롤러에 대해 설계시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교체 후에도 감광매체가 전사롤러에 대해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현상기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와, 화상형성장치에 현상기를 장착하는 현상기의 장착방법,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기를 탈착하는 현상기의 탈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기의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에 설치되며, 감광매체를 포함하는 현상기; 상기 하부 본체의 상측에 상기 하부 본체와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현상기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부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상부 본체; 상기 상부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 상기 하부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기의 감광매체로부터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및 상기 하부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기를 위 방향으로 가압하는 하부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기의 감광매체의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한 경우에 상기 상부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현상기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와 상기 하부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현상기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현상기는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현상기는 양 측면에 설치된 기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본체는 상기 기준돌기를 지지하는 지지홈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기는 상기 하부 가압부재 또는 상기 상부 가압부재에 의한 힘의 모멘트에 의해 상기 기준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하부 본체는 상기 현상기의 회전을 제한하는 하부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압부재는 현상기 가압부재 또는 메모리 접속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가압부재는 전사롤러 또는 구동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감광매체가 회전하면, 상기 상부 가압부재와 상기 하부 가압부재에 의해 각각 상기 현상기에 가해지는 힘의 모멘트가 평 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광매체가 회전을 시작할 때, 상기 현상기는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해 미세하게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상부 본체가 열리면, 상기 현상기는 상기 감광매체가 회전할 때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미세하게 회전한다.
또한,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에 닫히면, 상기 현상기는 상기 상부 본체가 열릴 때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미세하게 회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본체가 열리면 하부 본체에 설치된 현상기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해 일 방향으로 미세하게 회전하는 단계; 및 상기 현상기가 상기 하부 본체로부터 탈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상기 탈착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는, 하부 본체에 설치된 현상기의 감광매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가 정지하면 상기 현상기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해 미세하게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상부 본체가 열리면 상기 현상기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해 상기 단계에서 회전하였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미세하게 회전하는 단계; 및 상기 현상기가 상기 하부 본체로부터 탈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상기 탈착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 본체에 현상기가 장착되는 단계; 및 상부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에 닫히면 상기 현상기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해 일 방향으로 미세하게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상기 장착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현상기의 감광매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가 회전하면 상기 현상기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해 상기 단계에서 회전하였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미세하게 회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현상기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힘을 받는 피가압부가 상면에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기준돌기;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하면으로 일 부분이 노출되는 감광매체; 및 상기 감광매체와 동축 상으로 설치되는 감광매체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기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기준돌기를 회전 중심으로 상기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 기어에 작용하는 힘의 모우멘트와 상기 피가압부에 작용하는 힘의 모우멘트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현상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케이스는 복수 개의 피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피가압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된 현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힘을 받는 압력 지지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된 메모리 접속부재와 접촉하는 현상기 메모리의 단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현상기에 있어서, 상면에 2개의 압력 수용부와 단자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하면으로 일 부분이 노출되는 감광매체; 및 상기 감광매체와 동축 상으로 설치되는 감광매체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기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상측에서 상기 2개의 압력 수용부와 단자부에 작용하는 힘은 상기 케이스가 상기 감광매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감광매체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에 의해 하측에서 받는 힘은 상기 케이스가 상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현상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현상기용 감광매체이며, 상기 현상기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된 현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힘을 받는 압력 지지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된 메모리 접속부재와 접촉하는 현상기 메모리의 단자부가 상면에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기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감광매체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감광매체의 일단에 상기 감광매체와 동축 상으로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감광매체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기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구동기어가 회전을 시작하면, 상기 기준돌기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압력 지지부와 현상기 메모리의 단자부에 작용하는 힘의 모우멘트와 상기 감광매체 기어에 작용하는 힘의 모우멘트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감광매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 감광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현상기; 상기 현상기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감광매체를 이동시키고 상기 현상기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기에 의해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롤러;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현상기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기를 제1회전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현상기가 상기 제1회전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현상기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현상기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적어도 제1 및 제2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현상기가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스토퍼와 인접하도록 상기 현상기를 탄성지지하며,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을 극복하여 상기 현상기가 상기 제2스토퍼에 인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현상기가 상기 제2스토퍼에 인접하는 동안 상기 감광매체의 화상 전사 중에 상기 감광매체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감광매체는 감광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측 부와 하측 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부는 하측 부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개폐할 수 있으며, 상기 현상기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 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이 닫혔을 때, 상기 하우징의 상측 부로부터의 힘을 상기 현상기로 전달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하우징과 현상기 중의 어느 하나에 형성된 홈과 상기 하우징과 현상기중의 나머지 하나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홈돌기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상기 홈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홈은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 상기 감광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기; 상기 현상기가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화상을 상기 현상기 외부의 인쇄매체로 전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사롤러; 및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상기 현상기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현상기가 상기 제2위치에 있는 동안 화상을 상기 현상기의 감광매체로부터 상기 현상기 외부의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사동작 후에 상기 현상기를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기구로 상기 감광매체를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현상기를 상기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은 상기 현상기를 제1위치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의 힘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기를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은 상기 구동기구로부터의 힘을 상기 현상기에 인가하여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인가되는 힘을 극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상기를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은 상기 현상기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제1스토퍼에 인접하도록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이동 동작은 상기 현상기를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기를 상기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은 상기 하우징의 이동가능한 상측 부의 힘을 상기 현상기를 상기 제1위치로 탄성지지하는 상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현상기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 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상부 본체가 열린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는 하부 본체(10), 상부 본체(80), 및 현상기(70)를 포함한다.
하부 본체(10)는 하부 프레임(11), 인쇄매체 공급유닛(20), 이송롤러유닛(30), 전사롤러(40), 정착유닛(50), 배지유닛(60)을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11)은 하부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하며, 인쇄매체 공급유닛(20), 이송롤러유닛(30), 전사롤러(40), 정착유닛(50), 배지유닛(60)을 보호하며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인쇄매체 공급유닛(20)은 하부 프레임(11)의 내측에 설치되며, 복수 매의 인쇄매체(P)를 적재할 수 있다. 인쇄매체 공급유닛(20)의 선단에는 적재된 인쇄매체(P)를 한 장씩 픽업하여 공급하는 픽업롤러(21)가 설치된다. 또한, 인쇄매체 공급유닛(20)에는 인쇄매체(P)가 적재되어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는 인쇄매체 검출센서(23)가 설치된다.
이송롤러유닛(30)은 적어도 한 쌍의 이송롤러(31,32)를 포함하며, 인쇄매체 공급유닛(20)에서 픽업된 인쇄매체(P)를 전사롤러(40)로 이동시킨다. 한 쌍의 이송롤러(31,32)는 서로 접촉하며 회전하는 구동이송롤러와 백업이송롤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이송롤러유닛(30)은 두 쌍의 이송롤러(31,32)를 포함한다.
전사롤러(40)는 현상기(70)의 감광매체(75)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인쇄매체(P)로 전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전사롤러(40)는 탄성을 구비한다. 또한, 전사롤러(4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탄성부재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전사롤러(40)의 양단 쪽 부근의 하측 프레임(11)에는 후술하는 현상기(70)의 기준돌기(73)를 지지하는 지지홈(13, 도 5 참조)이 형성된다. 현상기(70)의 기준돌기(73)가 지지홈(13)에 위치하면 현상기(70)의 감광매체(75)는 전사롤러(40)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하부 본체(10)의 지지홈(13)은 현상기(70)가 기준돌기(73)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현상기(70)가 하부 본체(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현상기(7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하부 본체(10)는 현상기(70)의 반 시계방향의 회전을 제한하는 하부 스토퍼(19)를 포함한다. 하부 스토퍼(19)는 현상기(70)의 케이스(71)와 접촉하여 현상기(70)의 반 시계방향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부 프레임(11)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다.
전사롤러(40)의 일측에는 지지홈(13)에 위치한 현상기(70)의 감광매체(75)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15)가 설치된다. 구동기어(15)는 하부 본체(10)에 설치된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한다. 구동기어(15)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감광매체(75)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구조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정지하고 있던 구동기어(15)가 회전하면 감광매체(75)는 구동기어(15)의 회전력에 의해 힘을 받게 된다. 만일, 구동기어(15)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감광매체(75)는 반 시계방향의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현상 기(70)는 기준돌기(73)를 중심으로 상측(즉,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는 하부 본체(10)에 설치된 전사롤러(40)에 의해 현상기(70)가 위 방향으로 가압된다. 즉, 전사롤러(40)가 현상기(70)를 위 방향으로 가압하는 하부 가압부재의 역할을 한다.
또한, 구동기어(1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70)가 기준돌기(73)를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는 현상기(70)가 구동기어(15)에 의해 상 방향으로 가압되는 힘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기어(15)도 현상기(70)를 위 방향으로 가압하는 하부 가압부재의 역할을 한다.
전사롤러(40)와 이송롤러유닛(30) 사이에는 전사롤러(40)와 감광매체(75) 사이로 인입되는 인쇄매체를 감지하는 피드센서(41)가 설치된다.
정착유닛(50)은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인쇄매체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것으로서, 가압롤러(52)와 가열롤러(51)를 포함한다.
배지유닛(60)은 정착이 완료된 인쇄매체를 화상형성장치(1)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배지롤러와 백업배지롤러로 구성된다.
배지유닛(60)과 정착유닛(50) 사이에는 정착유닛(50)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인쇄매체를 검출하는 배지센서(61)가 설치된다.
상부 본체(80)는 하부 본체(10)의 상측에 하부 본체(10)를 덮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상부 본체(80)는 하부 본체(10)에 힌지 결합 되며, 상부 프레임(81), 스캐닝 유닛(100), 노광유닛(90)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81)은 상부 본체(80)가 하부 본체(10)의 상측 커버 역할을 하도록 하며, 스캐닝 유닛(100)과 노광유닛(90)을 지지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프레임(81)의 일단에는 2개의 상부 힌지부(83)가 설치되고, 각각의 상부 힌지부(83)에는 힌지축(83a)이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부 본체(10)의 하부 프레임(11)에는 2개의 상부 힌지부(83)에 대응되는 2개의 하부 힌지부가 형성되고, 2개의 하부 힌지부에는 힌지축(83a)이 삽입되는 힌지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본체(80)는 힌지축(83a)을 중심으로 하부 본체(10)에 대해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스캐닝 유닛(100)은 원고를 스캔하는 것으로서, 직선 이동하며 원고를 스캔하는 스캔 모듈(101)과 원고가 놓이는 원고대(103)를 포함한다. 스캔 모듈(101)과 원고대(103)는 일반적인 복합기에 사용되는 평판형 스캐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노광유닛(90)은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이저 빔을 쏘아 감광매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노광유닛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 프레임(81)의 하면에는 노광유닛(90)에서 발광된 레이저 빔이 통과하는 노광구멍(82, 도 3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본체(80)는 상부 본체(80)가 닫혔을 때 현상기(70)를 가압하는 현상기 가압부재(87)를 포함한다. 현상기 가압부재(87)는 상부 본체(80)의 하면에 설치되며, 현상기(70)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여 현상기(70)의 감광매체(75)가 전사롤러(40)와 접촉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본 체(80)의 하면에 소정 거리 떨어져서 2개의 현상기 가압부재(87)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상기 가압부재(87)는 가압레버(87a)와 가압스프링(87b)을 포함한다. 가압레버(87a)는 일단이 상부 본체(8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타단은 상부 본체(80)의 하면에서 돌출되며 가압스프링(87b)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가압레버(87a)의 타단의 하면에는 현상기(70)를 안정적으로 누를 수 있도록 돌기부(87c)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본체(80)로 하부 본체(10)를 닫으면 현상기 가압부재(87)의 가압레버(87a)의 타단에 형성된 돌기부(87c)가 현상기(70)의 케이스(71)의 압력 지지부(72)를 누르게 된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 의한 현상기 가압부재(87)의 구조는 일 예일 뿐이며, 상부 본체(80)가 하부 본체(10)를 덮었을 때 현상기 가압부재(87)가 현상기(70)를 누를 수 있으면 어떠한 구조로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본체(80)는 하면에 설치된 메모리 접속부재(85)를 포함한다. 메모리 접속부재(85)는 현상기(70)에 설치된 현상기 메모리(미도시)를 화상형성장치(1)의 제어부(미도시)와 연결하여 제어부가 현상기 메모리를 읽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부 본체(80)가 하부 본체(10)를 덮으면 메모리 접속부재(85)가 현상기 메모리의 단자부(77)와 접촉하게 된다. 현상기 메모리의 단자부(77)는 4개의 단자(77a)를 포함하며, 4개의 단자(77a)는 3개의 신호단자와 1개의 전원단자로 구성된다. 따라서, 메모리 접속부재(85)도 현상기 메모리의 단자부(77)에 대응하여 4개의 접속부(85a)를 포함한다. 각각의 접속부(85a)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금속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메모리 접속부재(85)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 본체(80)가 하부 본체(10)를 덮으면 메모리 접속부재(85)가 현상기 메모리의 단자부(77)와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본체(80)를 닫으면 메모리 접속부재(85)가 현상기(70)의 단자부(77)를 가압하여 현상기(70)가 아래 방향의 힘을 받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는 상부 본체(80)를 하부 본체(10)에 대해 닫으면, 상부 본체(80)에 있는 현상기 가압부재(87) 및 메모리 접속부재(85)가 현상기(70)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한다. 즉, 현상기 가압부재(87)와 메모리 접속부재(85)가 현상기(70)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부 가압부재의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는 상부 본체(80)에 스캐닝 유닛(100)이 설치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부 본체(80)는 스캐닝 유닛(100)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부 본체(80)는 단순히 하부 본체(10)의 상측을 덮는 상부 커버의 역할을 하게 된다.
현상기(70)가 상부 가압부재(85,87)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눌리면, 현상기(70)는 기준돌기(73)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즉, 도 8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부 본체(80)는 현상기(7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부 스토퍼(89, 도 6 참조)를 포함한다. 상부 스토퍼(89)는 현상기(70)의 케이스(71)와 접촉하여 현상기(70)의 시계방향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81)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현상기(70)의 회전은 상부 스토퍼(89)와 하부 스토퍼(19)에 의해 제한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현상기(70)가 기준돌기(73)를 중심으로 대략 1~3도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부 본체(80) 및 하부 본체(10)에 각 각 상부 스토퍼(89)와 하부 스토퍼(19)가 설치되어 있다.
현상기(70)는 감광매체(75)의 표면에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케이스(71), 감광매체(75), 현상롤러(미도시), 대전롤러(미도시), 클리닝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케이스(71)는 감광매체(75), 현상롤러, 대전롤러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며, 소정량의 토너를 저장한다. 케이스(71)의 양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기준돌기(73)가 형성된다. 도 5의 현상기(70)에는 일 측면의 기준돌기(73)만이 표시되어 있으나, 케이스(71)의 반대 측면에도 동일한 기준돌기(73)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기준돌기(7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 본체(10)에 설치된 지지홈(13)에 안치된다. 기준돌기(73)는 그 중심축이 감광매체(75)의 회전축(도 6의 축 C)과 일치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케이스(71)의 상면에는 상부 가압부재에 의해 눌리는 피가압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가압부재가 복수 개인 경우 피가압부도 복수 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케이스의 상면에 현상기 가압부재(87)에 의해 눌리는 압력 지지부(72)가 마련된다. 압력 지지부(72)는 기준돌기(73)의 중심축에서 일정 거리 떨어져서 있기 때문에 현상기 가압부재(87)가 압력 지지부(72)를 누르면 현상기(70)는 기준돌기(73)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감광매체(75)는 노광유닛(90)에서 발광된 레이저 빔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케이스(7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감광매체(75)는 일부분이 케이스(71)의 하면으로 노출되어 있어, 현상기(70)가 화상형성장치(1)의 하부 본체(10)에 장착되면 전사롤러(40)와 접촉하게 된다. 감광매 체(75)의 일단에는 구동기어(1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감광매체 기어(74)가 동축 상으로 설치된다. 현상기(70)가 하부 본체(10)의 지지홈(13)에 장착되면 감광매체 기어(74)는 구동기어(15)와 치합된다.
현상롤러는 케이스(71)의 내측에 감광매체(75)의 일측에 설치되며 케이스(71)에 저장된 토너를 감광매체(75)로 공급한다. 현상롤러의 일측에는 현상롤러로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대전롤러는 감광매체(75)의 표면을 소정 전압으로 대전시키며, 클리닝부재는 감광매체(75)의 표면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한다. 대전롤러와 클리닝부재는 종래 기술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현상기(70)는 현상기 메모리를 포함하며, 현상기 케이스(71)의 상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 메모리의 단자부(77)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단자부(77)는 총 4개의 단자(77a), 즉 3개의 신호단자와 1개의 전원단자로 구성된다. 단자부(77)는 메모리 접속부재(85)에 의해 가압되므로 단자부(77)가 피가압부의 역할을 한다. 현상기 메모리는 현상기(70)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면, 현상기(70)가 인쇄를 수행한 인쇄매체의 매수, 토너의 잔량, 감광매체(75)의 수명 등과 같이 현상기(70)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임의의 현상기(70)를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하였을 경우에 화상형성장치(1)의 제어부(미도시)는 메모리 접속부재(85)를 통해 현상기 메모리를 읽어 장착된 현상기(70)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그 상태를 LCD와 같은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현상기 메모리, 화상형성장치(1) 의 제어부, 표시부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현상기(70)를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하는 방법 및 그 경우에 현상기(70)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들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현상기(70)를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할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상부 본체(80)를 힌지축(83a)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들어올려 열고, 현상기(70)를 하부 본체(10)에 삽입한다. 이때, 현상기(70)의 기준돌기(73)가 하부 본체(10)의 지지홈(13)에 놓이도록 한다.
현상기(70)가 하부 본체(10)에 장착되고, 상부 본체(80)는 열린 경우에, 현상기(70)에 작용하는 힘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현상기(70)의 감광매체(75)는 전사롤러(40)와 접촉하고 있다. 전사롤러(40)는 상측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현상기(70)는 전사롤러(40)에 의해 위 방향의 힘을 받고 있다. 따라서, 현상기(70)는 전사롤러(40)에 의해 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부 본체(80)로 하부 본체(10)를 닫는다. 이때, 상부 본체(80)는 힌지축(83a)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부 본체(80)가 하부 본체(10)에 덮이면, 상부 가압부재(85,87)가 현상기(70)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한다. 즉, 현상기 가압부재(87)는 현상기 케이스(71)의 양 측단의 상면을 눌러 현상기(70)가 아래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고, 메모리 접속부재(85)는 현상기 메모리의 단자부(77)를 눌러 현상기(70)가 아래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현상기 가압부재(87)가 현상기 케이스(71)를 누르는 지점이 기준돌기(73)의 중심(C)으로부터 오른쪽으로 r1 떨어져 있고, 메모리 접속부재(85)가 현상기 메모리의 단자부(77)를 누르는 지점이 기준돌기(73)의 중심(C)으로부터 오른쪽으로 r2 떨어져 있으므로 현상기(7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는다. 즉, 현상기(70)는 현상기 가압부재(87)와 메모리 접속부재(85)에 의해 기준돌기(73)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의 모멘트 M1과 M2를 받는다.
여기서, 현상기 가압부재(87)가 현상기(70)를 누르는 힘을 F1, 메모리 접속부재(85)가 현상기 메모리의 단자부(77)를 누르는 힘을 F2라 하면, 힘의 모멘트는 각각 M1 = F1 x r1, M2 = F2 x r2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현상기(70)는 전사롤러(40)에 의해 위 방향으로 가압되는 힘을 받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사롤러(40)가 감광매체(75)를 가압하는 지점이 기준돌기(73)의 중심(C)으로부터 오른쪽으로 r3 떨어져 있으므로 현상기(70)는 전사롤러(40)에 의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는다. 즉, 현상기(70)는 전사롤러(40)에 의해 기준돌기(73)를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의 모멘트 M3를 받는다. 따라서, 전사롤러(40)가 감광매체(75)에 가하는 힘을 F3라 하면, M3 = F3 x r3로 나타낼 수 있다.
현상기 가압부재(87)와 메모리 접속부재(85)에 의한 힘의 모멘트 M1과 M2의 합이 전사롤러(40)에 의한 힘의 모멘트 M3보다 큰 경우에는, 상부 본체(80)를 하부 본체(10)에 대해 덮거나 닫는 순간에 현상기(70)는 기준돌기(73)를 중심으로 도 8 의 화살표 B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현상기(70)의 시계방향회전은 상부 본체(80)에 설치된 상부 스토퍼(89)에 의해 제한된다. 즉, 하부 본체(10)에 장착된 현상기(70)는 상부 본체(80)를 닫는 것에 의해 미세하게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현상기(70)가 미세하게 회전하면 현상기(70) 내부에 담겨 있는 토너가 충격을 받아 흔들리게 되므로 토너가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본체(80)를 닫은 후, 화상형성장치(1)를 동작시키면, 모터에 의해 구동기어(15)가 회전한다. 구동기어(15)가 회전하면, 구동기어(15)와 맞물려 있던 감광매체 기어(74)도 구동기어(15)에 의해 힘을 받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동기어(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감광매체 기어(74)는 반 시계방향의 힘을 받게 된다. 감광매체 기어(74)의 회전축은 현상기(70)의 기준돌기(73)의 중심(C)과 동일 축 상에 있으므로 현상기(70)는 구동기어(15)에 의해 기준돌기(73)를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즉, 현상기(70)는 구동기어(15)가 회전하여 감광매체(75)를 회전시키면, 구동기어(15)에 의해 기준돌기(73)를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의 모멘트 M4를 받는다. 이때, 기준돌기(73)의 중심(C)으로부터 구동기어(15)와 감광매체 기어(74)가 접촉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r4라 하면, M4 = F4 x r4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구동기어(15)에 의한 힘의 모멘트 M4는 구동기어(15)가 회전하면 전사롤러(40)에 의한 힘의 모멘트 M3와 구동기어(15)에 의한 힘의 모멘트 M4의 합에 의해 현상기(70)가 기준돌기(73)를 중심으로 도 7의 화살표 A와 같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정해진다. 따라서, 구동기어(15)가 회전하면, 현상기(70)는 상부 본체(80)를 닫을 때 회전하였던 방향(도 8의 화살표 B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현상기(70)의 반 시계방향의 회전은 하부 본체(10)에 설치된 하부 스토퍼(19)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구동기어(15)에 의한 힘의 모멘트 M4가 매우 큰 경우에도 현상기(70)의 반 시계방향 회전은 하부 스토퍼(19)에 의해 제한된다. 즉, 하부 본체(10)에 장착된 현상기(70)는 구동기어(15)를 구동시켜 감광매체(75)를 회전시키면 미세하게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현상기(70)가 미세하게 회전하면 현상기(70) 내부에 담겨 있는 토너가 흔들리게 된다. 따라서, 현상기(70)에 저장된 토너가 굳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구동기어(15)에 의한 힘의 모멘트를 적절하게 정하면, 구동기어(15)가 회전할 때 현상기(70)에 작용하는 4개의 힘의 모멘트들은 평형을 이루게 된다. 즉, M1 + M2 = M3 + M4가 성립된다. 이와 같이 4개의 힘의 모멘트가 균형을 이루면 현상기(7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현상기(70)의 감광매체(75)의 전사롤러(40)에 대한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현상기(70)의 감광매체(75)의 토너 화상이 감광매체(75)와 전사롤러(40)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로 안정적으로 전사된다.
또한, 구동기어(15)에 의한 힘의 모멘트가 큰 경우에도 현상기(70)의 회전이 하부 스토퍼(19)에 의해 제한되므로 현상기(7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감광체(70)의 토너 화상이 안정적으로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이하,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된 현상기(70)를 탈착하는 방법 및 이 경우에 현상기(70)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들에 대해 첨부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1)가 동작 중인 경우에는 모터를 정지시켜 구동기어(15)가 정지하도록 한다. 구동기어(15)가 정지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70)에는 구동기어(15)에 의한 힘의 모멘트 M4가 작용하지 않고, 현상기 가압부재(87)와 메모리 접속부재(85)에 의한 힘의 모멘트 M1,M2와 전사롤러(40)에 의한 힘의 모멘트 M3 만이 작용한다. 이때, 현상기 가압부재(87)와 메모리 접속부재(85)에 의한 힘의 모멘트 M1, M2가 전사롤러(40)에 의한 힘의 모멘트 M3보다 크므로 현상기(70)는 기준돌기(73)를 중심으로 화살표 B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현상기(70)의 시계방향회전은 상부 본체(80)의 상부 스토퍼(89)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현상기(70)는 기준돌기(73)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미세하게 회전한다. 현상기(70)가 회전하면, 그 충격에 의해 현상기(70) 내부에 저장된 토너가 흔들리게 되므로 토너의 공급이 원활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과 같이 하부 본체(10)에 덮여 있는 상부 본체(80)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도 2와 같이 상부 본체(80)가 하부 본체(10)에 대해 열린 상태가 된다. 이때, 현상기(70)에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사롤러(40)에 의한 힘의 모멘트 M3 만이 작용한다. 따라서, 현상기(70)는 전사롤러(40)에 의해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 M3에 의해 기준돌기(73)를 중심으로 화살표 A와 같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현상기(70)는 구동기어(15)를 정지시킬 때 회전하였던 방향(도 8의 화살표 B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현상기(70)를 하부 본체(10)로부터 꺼내면, 현상기(70)의 탈착이 완료된다. 이때, 현상기(70)는 전사롤러(40)에 의해 상측으로 힘을 받고 있는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현상기(70)를 하부 본체(1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1)가 인쇄 데이터와 함께 인쇄명령을 수신하면, 노광유닛(90)을 동작시켜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레이저 빔을 발광한다. 노광유닛(90)에서 발광된 레이저 빔은 상부 본체(80)에 형성된 노광구멍(82, 도 3 참조)을 통해 하부 본체(10)에 설치된 현상기(70)의 감광매체(75)로 입사되어 감광매체(75)의 표면에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감광매체(75)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토너에 의해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는 인쇄명령이 수신되면, 인쇄매체 공급유닛(20)을 동작시켜 인쇄매체(P)를 한 장 픽업하여 이송롤러유닛(30)으로 이송한다. 인쇄매체 검출센서(21)는 인쇄매체 공급유닛(20)에 인쇄매체(P)가 적재되어 있는지를 검출한다.
픽업된 인쇄매체(P)는 2쌍의 이송롤러(31,32)를 통과하여 현상기(70)의 감광매체(75)와 전사롤러(40) 사이로 진입한다. 이때, 피드센서(41)가 감광매체(75)와 전사롤러(40) 사이로 이송되는 인쇄매체를 검출한다.
인쇄매체가 감광매체(75)와 전사롤러(40) 사이로 진입하면, 감광매체(75)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이때, 현상기(70)는 상부 가압부재(85,87)와 하부 가압부재(15,40)에 의해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감광매체(75)도 전사롤러(40)에 대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현상기(70)의 감광매체(75)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안정적으로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는 정착유닛(50)으로 이동된다. 인쇄매체가 정착유닛(50)의 가압롤러(52)와 가열롤러(51)의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에 토너 화상이 인쇄매체에 정착된다.
토너 화상의 정착이 완료된 인쇄매체는 배지유닛(60)을 통해 화상형성장치(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지센서(61)가 배출되는 인쇄매체를 검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상장치와 현상기의 탈착방법 및 장착방법에 의하면, 현상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였을 때, 현상기의 감광매체가 전사롤러에 대해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감광매체의 토너 화상이 안정적으로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와 현상기의 탈착방법 및 장착방법에 의하면, 현상기를 장착할 때 및 감광매체를 구동할 때, 현상기가 미세하게 회전하기 때문에 현상기에 저장된 토너가 충격을 받게 된다. 그러면, 현상기에 저장된 토너가 흔들려서 토너가 뭉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현상롤러에 의한 토너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와, 현상기의 탈착방법 및 장착방법에 의하면, 현상기를 탈착하기 위해 상부 본체를 열면, 상부 가압부재가 현상기를 가압하던 힘이 제거되고, 하부 가압부재에 의한 힘만이 현상기에 작용하므로 현상기를 탈착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Claims (44)

  1. 화상형성기의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에 설치되며, 감광매체를 포함하는 현상기;
    상기 하부 본체의 상측에 상기 하부 본체와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현상기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부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상부 본체;
    상기 상부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
    상기 하부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기의 감광매체로부터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및
    상기 하부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기를 위 방향으로 가압하는 하부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기의 감광매체의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한 경우에 상기 상부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현상기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와 상기 하부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현상기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는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는 양 측면에 설치된 기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본체는 상기 기준돌기를 지지하는 지지홈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기는 상기 하부 가압부재 또는 상기 상부 가압부재에 의한 힘의 모멘트에 의해 상기 기준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는 상기 현상기의 회전을 제한하는 하부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압부재는 현상기 가압부재 또는 메모리 접속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압부재는 전사롤러 또는 구동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매체가 회전하면, 상기 상부 가압부재와 상기 하부 가압부재에 의해 각각 상기 현상기에 가해지는 힘의 모멘트가 평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매체가 회전을 시작할 때, 상기 현상기는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가 열리면, 상기 현상기는 상기 감광매체가 회전할 때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에 닫히면, 상기 현상기는 상기 상부 본체가 열릴 때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전사롤러와 상기 전사롤러의 상측에 설치된 현상기를 포함하는 하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해 개폐 가능한 상부 본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현상기를 탈착하는 현상기 탈착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가 열리면 상기 하부 본체에 설치된 상기 현상기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및
    상기 현상기가 상기 하부 본체로부터 탈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탈착방법.
  12. 전사롤러와 상기 전사롤러의 상측에 설치된 현상기와 상기 현상기의 감광매체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하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해 개폐 가능한 상부 본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현상기를 탈착하는 현상기 탈착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에 설치된 상기 구동기어가 정지하면 상기 현상기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상기 상부 본체가 열리면 상기 현상기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해 상기 단계에서 회전하였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및
    상기 현상기가 상기 하부 본체로부터 탈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탈착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는 양 측면에 형성된 기준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탈착방법.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가 열리면 상기 현상기는 상기 하부 본체에 설치된 전사롤러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탈착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가 정지하면 상기 현상기는 상기 상부 본체에 설치된 상부 가압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탈착방법.
  16. 전사롤러가 설치된 하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해 개폐 가능한 상부 본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현상기를 장착하는 현상기 장착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전사롤러의 상측에 상기 현상기가 장착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해 닫히면, 상기 상부 본체에 설치된 상부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현상기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장착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의 감광매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가 회전하면,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해 닫히면 상기 현상기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에서 회전하였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현상기가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해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장착방법.
  18. 삭제
  19.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현상기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힘을 받는 피가압부가 상면에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기준돌기;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하면으로 일 부분이 노출되는 감광매체; 및
    상기 감광매체와 동축 상으로 설치되는 감광매체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기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기준돌기를 회전 중심으로 상기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 기어에 작용하는 힘의 모우멘트와 상기 피가압부에 작용하는 힘의 모우멘트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복수 개의 피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피가압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된 현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힘을 받는 압력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22.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피가압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된 메모리 접속부재와 접촉하는 현상기 메모리의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23.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현상기에 있어서,
    상면에 2개의 압력 지지부와 단자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하면으로 일 부분이 노출되는 감광매체; 및
    상기 감광매체와 동축 상으로 설치되는 감광매체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기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상측에서 상기 2개의 압력 지지부와 단자부에 작용하는 힘은 상기 케이스가 상기 감광매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감광매체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에 의해 하측에서 받는 힘은 상기 케이스가 상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매체 기어가 상기 감광매체를 회전시키면,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사롤러가 상기 감광매체에 가하는 힘에 의해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매체가 정지하면, 상기 케이스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압력 지지부와 단자부에 작용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케이스는 상기 2개의 압력 지지부와 단자부에 힘이 작용할 때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27. 화상형성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현상기용 감광매체이며,
    상기 현상기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된 현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힘을 받는 압력 지지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된 메모리 접속부재와 접촉하는 현상기 메모리의 단자부가 상면에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기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감광매체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감광매체의 일단에 상기 감광매체와 동축 상으로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감광매체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기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구동기어가 회전을 시작하면, 상기 기준돌기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압력 지지부와 현상기 메모리의 단자부에 작용하는 힘의 모우멘트와 상기 감광매체 기어에 작용하는 힘의 모우멘트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매체.
  28. 하우징;
    감광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현상기; 및
    상기 현상기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감광매체를 이동시키고 상기 현상기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기에 의해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롤러;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현상기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기를 제1회전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현상기가 상기 제1회전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현상기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적어도 제1 및 제2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현상기가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스토퍼와 인접하도록 상기 현상기를 탄성지지하며,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을 극복하여 상기 현상기가 상기 제2스토퍼에 인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현상기가 상기 제2스토퍼에 인접하는 동안 상기 감광매체의 화상 전사 중에 상기 감광매체를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매체는 감광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측 부와 하측 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부는 하측 부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개폐할 수 있으며,
    상기 현상기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 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이 닫혔을 때, 상기 하우징의 상측 부로부터의 힘을 상기 현상기로 전달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4.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현상기 중의 어느 하나에 형성된 홈과 상기 하우징과 현상기중의 나머지 하나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홈돌기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상기 홈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된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6. 하우징;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 상기 감광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기; 상기 현상기가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화상을 상기 현상기 외부의 인쇄매체로 전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사롤러; 및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상기 현상기를 상기 현상기가 전사동작을 하기 전의 위치인 제1위치에서 상기 현상기가 상기 전사동작을 하는 위치인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현상기가 상기 제2위치에 있는 동안 화상을 상기 현상기의 감광매체로부터 상기 현상기 외부의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전사동작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동작 후에 상기 현상기를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구동기구로 상기 감광매체를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현상기를 상기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은 상기 현상기를 제1위치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의 힘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기를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은 상기 구동기구로부터의 힘을 상기 현상기에 인가하여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인가되는 힘을 극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를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은 상기 현상기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제1스토퍼에 인접하도록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동작은 상기 현상기를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41.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를 상기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은 상기 하우징의 이동가능한 상측 부의 힘을 상기 현상기를 상기 제1위치로 탄성지지하는 상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현상기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42.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동작은 상기 현상기를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43.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동작은 상기 현상기를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44.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동작은 상기 현상기를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KR1020070025434A 2007-03-15 2007-03-15 현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 장착방법과 탈착방법 KR100888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434A KR100888686B1 (ko) 2007-03-15 2007-03-15 현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 장착방법과 탈착방법
US11/933,578 US7953346B2 (en) 2007-03-15 2007-11-01 Developing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mounting/separating developing cartridge on/from image forming apparatus
ES07122347.3T ES2466665T3 (es) 2007-03-15 2007-12-05 Aparato de formación de imágenes y método de montaje de un cartucho de revelado en el aparato de formación de imágenes
EP07122347.3A EP1970776B1 (en) 2007-03-15 2007-12-05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mounting a developing cartridge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N2008100024299A CN101266437B (zh) 2007-03-15 2008-01-07 显影盒、成像装置及成像装置上安装/分离显影盒的方法
RU2008107795/28A RU2466441C2 (ru) 2007-03-15 2008-02-28 Картридж проя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удаления картриджа проявления в/из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BRPI0800459-5A BRPI0800459A2 (pt) 2007-03-15 2008-02-29 cartucho de revelaÇço, aparelho de formaÇço de imagem, e mÉtodo de montar/separar cartucho de revelaÇço no/a partir do aparelho de formaÇço de imag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434A KR100888686B1 (ko) 2007-03-15 2007-03-15 현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 장착방법과 탈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142A KR20080084142A (ko) 2008-09-19
KR100888686B1 true KR100888686B1 (ko) 2009-03-13

Family

ID=3953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434A KR100888686B1 (ko) 2007-03-15 2007-03-15 현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 장착방법과 탈착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53346B2 (ko)
EP (1) EP1970776B1 (ko)
KR (1) KR100888686B1 (ko)
CN (1) CN101266437B (ko)
BR (1) BRPI0800459A2 (ko)
ES (1) ES2466665T3 (ko)
RU (1) RU2466441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5392B2 (en) * 2007-02-20 2011-08-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with pressing members, process cartridge, and developer cartridge
US7742717B2 (en) 2007-09-11 2010-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device, memory unit thereof,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312381B2 (ja) * 2012-09-05 2018-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02374B2 (ja) * 2013-04-24 2017-09-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CN110850695A (zh) * 2013-05-30 2020-02-28 株式会社理光 调色剂容器、处理盒和成像设备
US9100521B2 (en) 2013-06-13 2015-08-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100110B2 (ja) * 2013-07-03 2017-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装置本体、及びカートリッジ装着システム
JP6582972B2 (ja) * 2015-12-25 2019-10-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907B1 (ko) 2005-07-26 200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112B2 (ja) 1993-04-28 2001-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337859B2 (ja) * 1994-04-26 2002-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6471A (ja) 1994-06-16 1996-01-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8227258A (ja) 1995-02-21 1996-09-0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359245B2 (ja) 1995-10-25 2002-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6154616A (ja) 2004-12-01 2006-06-15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950492B1 (ko) * 2007-03-15 2010-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의 탈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907B1 (ko) 2005-07-26 200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66437A (zh) 2008-09-17
BRPI0800459A2 (pt) 2008-11-18
ES2466665T3 (es) 2014-06-10
US7953346B2 (en) 2011-05-31
US20080226338A1 (en) 2008-09-18
KR20080084142A (ko) 2008-09-19
RU2466441C2 (ru) 2012-11-10
EP1970776A1 (en) 2008-09-17
EP1970776B1 (en) 2014-03-05
CN101266437B (zh) 2013-03-27
RU2008107795A (ru)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686B1 (ko) 현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 장착방법과 탈착방법
JP5084257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1615652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7953339B2 (en) Image forming device and cartridg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by terminals
CN103777494B (zh) 成像设备及在成像设备中传输电力和安装显影单元的方法
US8737863B2 (en)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17589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3174653A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327959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의 특정한 프로세스카트리지만의 수납방법
KR101101824B1 (ko) 현상전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889820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4574468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20017386A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803656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o-planer top cover and operation panel
KR20130051742A (ko) 화상형성장치
US20070003309A1 (en) Develop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H0931917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05082A (ja) イメージング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728028B1 (ko) 정렬 수단을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KR100385054B1 (ko) 화상형성장치
JP5449584B2 (ja) 筐体開閉機構
KR20070045492A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KR20060102883A (ko) 전사롤러유닛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