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7386A -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7386A
KR20120017386A KR1020110013308A KR20110013308A KR20120017386A KR 20120017386 A KR20120017386 A KR 20120017386A KR 1020110013308 A KR1020110013308 A KR 1020110013308A KR 20110013308 A KR20110013308 A KR 20110013308A KR 20120017386 A KR20120017386 A KR 20120017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substrate
image
board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5092B1 (ko
Inventor
시로 스즈키
데츠오 이시즈카
후미오 후루사와
오사무 우토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7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6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potential of the developing electro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제 1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기판과, 상기 화상 처리 기판의 한 쪽 측에서 그 화상 처리 기판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1개의 기능을 갖는 기능 기판과, 상기 화상 처리 기판의 상기 제 1 접속부와는 반대측에 부착되며 상기 본체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판과, 상기 화상 처리 기판에 대한 상기 기능 기판과 동일한 측에서 그 화상 처리 기판의 다른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상기 화상 처리 기판에 대하여 독립해서 착탈되는 확장 기판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2006-191217호 공보의 화상 처리 장치는, 중계 기판으로 되는 백플레인(backplane) 기판의 한 쪽의 면에 출력 장치 제어 회로 기판을 접속하고, 다른 쪽의 면에 화상 처리 회로 기판과 비디오 실렉터 회로 기판을 접속하고 있다.
일본국 특개2008-153364호 공보의 화상 형성 장치는, 주(主) 전장(電裝) 기판 유닛의 바로 아래에 추가 전장 기판 유닛을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교환하는 확장 기판을 갖는 구성이어도 소형화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방안에 따르면, 내부에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제 1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기판과, 상기 화상 처리 기판의 한 쪽 측에서 그 화상 처리 기판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1개의 기능을 갖는 기능 기판과, 상기 화상 처리 기판의 상기 제 1 접속부와는 반대측에 부착되며 상기 본체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판과, 상기 화상 처리 기판에 대한 상기 기능 기판과 동일한 측에서 그 화상 처리 기판의 다른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상기 화상 처리 기판에 대하여 독립해서 착탈되는 확장 기판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방안에 따르면, 상기 제 2 접속부에의 상기 확장 기판의 접속 방향은, 상기 제 1 접속부에의 상기 화상 처리 기판의 접속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되고, 상기 확장 기판을 상기 제 2 접속부에 접속하고, 상기 화상 처리 기판을 상기 제 1 접속부에 접속했을 때에, 상기 측판이 상기 확장 기판에 접촉한다.
본 발명의 제 3 방안에 따르면, 상기 화상 처리 기판을 상기 제 1 접속부에 접속시킬 때에 조작력을 증폭하는 레버 기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 기구부에 의해 증폭된 조작력이 상기 측판을 통해서 전달되어 상기 확장 기판의 상기 제 2 접속부에의 접속력으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제 4 방안 내지 제 6 방안에 따르면,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제 1 방안 내지 제 3 방안의 화상 처리 장치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화상 처리 후의 화상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제 1 방안에 따르면, 화상 처리 기판, 기능 기판, 및 확장 기판을 겹쳐서 배치하는 구성에 비해, 사용자가 교환하는 확장 기판을 갖는 구성이어도, 화상 처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방안에 따르면, 화상 처리 기판을 접속할 때에 화상 처리 기판의 측판과 확장 기판이 접촉하지 않는 구성에 비해, 제 2 접속부에 확장 기판을 접속할 때의 확장 기판의 빠짐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방안에 따르면, 화상 처리 기판을 접속 방향으로 가압하는 접촉부가 측판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성에 비해, 제 2 접속부에 확장 기판을 접속할 때의 삽입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제 4 방안 내지 제 6 방안에 따르면, 화상 정보에 의거하는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이측(裏側)에서 본 사시도.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분해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를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단면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기판을 화상 형성 장치 측에서 본 설명 도이며, (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확장 기판을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각 기판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핸들의 사시도.
도 8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핸들을 쓰러뜨린 상태, 세운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기판 및 확장 기판의 길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기판 및 확장 기판을 중계 기판에 접속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화상 형성 장치(10)가 나타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상하 방향(화살표 V 방향)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서, 기록 용지(P)가 수용되는 용지 수용부(12)와, 용지 수용부(12)의 위에 설치되며 용지 수용부(12)로부터 공급되는 기록 매체의 일례로서의 기록 용지(P)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부(14)와, 화상 형성부(14)의 위에 설치되며 판독 원고(G)를 판독하는 원고 판독부(16)와, 원고 판독부(16)에서 판독된 데이터를 화상 처리해서 화상 형성부(14)(화상 형성 유닛(50))에 화상 처리 후의 화상 정보를 전달하는 화상 처리 장치(100)와, 화상 형성부(14) 내에 설치되며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0)(도 6의 출력 제어 기판(120)을 포함)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장치 본체(10A)의 상하 방향을 화살표 V 방향, 수평 방향을 화살표 H 방향이라고 기재한다.
용지 수용부(12)는, 사이즈가 상이한 기록 용지(P)가 수용되는 제 1 수용부(22), 제 2 수용부(24), 및 제 3 수용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수용부(22), 제 2 수용부(24), 및 제 3 수용부(26)에는, 수용된 기록 용지(P)를 화상 형성 장치(10) 내에 설치된 반송로(28)에 송출하는 송출 롤(32)이 설치되어 있고, 반송로(28)에 있어서의 송출 롤(32)보다 하류측에는, 기록 용지(P)를 1매씩 반송하는 각각 한 쌍의 반송 롤(34) 및 반송 롤(3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로(28)에 있어서의 기록 용지(P)의 반송 방향에서 반송 롤(36)보다 하류측에는, 기록 용지(P)를 일단 정지시킴과 함께, 결정된 타이밍에 후술하는 이차 전사 위치로 송출하는 위치맞춤 롤(38)이 설치되어 있다.
반송로(28)의 상류측 부분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정면에서 보아서, 화살표 V 방향을 향해서 용지 수용부(12)의 좌측으로부터 화상 형성부(14)의 좌측 하부까지 직선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로(28)의 하류측 부분은, 화상 형성부(14)의 좌측 하부로부터 화상 형성부(14)의 우측면에 설치된 배지(排紙)부(15)까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로(28)에는, 기록 용지(P)의 양면에 화상 형성을 행하기 위해서 기록 용지(P)가 반송 및 반전되는 양면 반송로(29)가 접속되어 있다.
양면 반송로(29)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정면에서 보아서, 반송로(28)와 양면 반송로(29)의 전환을 행하는 제 1 전환 부재(31)와, 화상 형성부(14)의 우측 하부로부터 용지 수용부(12)의 우측까지 화살표 V 방향(도시된 하향이 -V, 상향이 +V)으로 직선 형상으로 설치된 반전부(33)와, 반전부(33)에 반송된 기록 용지(P)의 후단이 진입함과 함께 화살표 H 방향에 있어서의 도시의 좌측으로 반송되는 반송부(37)와, 반전부(33)와 반송부(37)의 전환을 행하는 제 2 전환 부재(35)를 갖고 있다. 그리고, 반전부(33)에는, 한 쌍의 반송 롤(42)이 간격을 두고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고, 반송부(37)에는, 한 쌍의 반송 롤(44)이 간격을 두고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전환 부재(31)는, 삼각 기둥 형상의 부재이며, 구동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선단부가 반송로(28) 또는 양면 반송로(29)의 어느 한 쪽으로 이동됨으로써, 기록 용지(P)의 반송 방향을 전환하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전환 부재(35)는, 정면에서 보아 삼각 기둥 형상의 부재이며,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선단부가 반전부(33) 또는 반송부(37)의 어느 한 쪽으로 이동됨으로써, 기록 용지(P)의 반송 방향을 전환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반송부(37)의 하류측 단부는, 반송로(28)의 상류측 부분에 있는 반송 롤(36)의 전방 측에 안내 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부(14)의 좌측면에는, 절첩식의 수동 급지부(46)가 설치되어 있고, 수동 급지부(46)로부터 들여보내지는 기록 용지(P)의 반송 경로가, 반송로(28)의 위치맞춤 롤(38)의 전방에 접속되어 있다.
원고 판독부(16)는, 판독 원고(G)를 1매씩 자동으로 반송하는 원고 반송 장치(52)와, 원고 반송 장치(52)의 하측에 배치되며 1매의 판독 원고(G)가 실리는 플래튼 글래스(54)와, 원고 반송 장치(52)에 의해 반송된 판독 원고(G) 또는 플래튼 글래스(54)에 실린 판독 원고(G)를 판독하는 원고 판독 장치(56)가 설치되어 있다.
원고 반송 장치(52)는, 한 쌍의 반송 롤(53)이 복수 배치된 자동 반송로(55)를 갖고 있고, 자동 반송로(55)의 일부는 기록 용지(P)가 플래튼 글래스(54) 위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원고 판독 장치(56)는, 플래튼 글래스(54)의 좌단부에 정지한 상태로 원고 반송 장치(52)에 의해 반송된 판독 원고(G)를 판독하고, 또는 화살표 H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플래튼 글래스(54)에 실린 판독 원고(G)를 판독하게 되어 있다.
한편, 화상 형성부(14)는, 토너(현상제)를 이용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의 일례로서의 화상 형성 유닛(50)을 갖고 있다. 화상 형성 유닛(50)은, 후술하는 감광체(62), 대전 부재(64), 노광 장치(66), 현상 장치(72), 전사 유닛(70), 및 클리닝 장치(73)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사 유닛(70)은, 후술하는 중간 전사 벨트(68), 일차 전사 롤(67), 보조 롤(69), 및 이차 전사 롤(71)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14)에 있어서의 장치 본체(10A)의 중앙에는, 잠상 유지체인 원통 형상의 감광체(62)가 설치되어 있다. 감광체(62)는, 구동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화살표 +R 방향(도시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함과 함께 광 조사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유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감광체(62)의 상측이며 또한 감광체(62)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감광체(62)의 표면을 대전하는 코로트론(corotron) 방식의 대전 부재(64)가 설치되어 있다.
감광체(62)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대전 부재(64)보다 하류측이며 또한 감광체(62)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노광 장치(66)가 설치되어 있다. 노광 장치(66)는, 도시하지 않은 반도체 레이저, f-θ 렌즈, 폴리곤 미러, 결상 렌즈, 및 복수의 미러를 갖고 있고,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을 폴리곤 미러에 의해 편향 주사하고, 대전 부재(64)에 의해 대전된 감광체(62)의 외주면에 조사(노광)해서, 정전 잠상을 형성하게 되어 있다. 또한, 노광 장치(66)는, 레이저 광을 폴리곤 미러에 의해 편향 주사하는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LED(Light Emitting Diode) 방식이어도 된다.
감광체(62)의 회전 방향에서 노광 장치(66)의 노광 광이 조사되는 부위보다 하류측에는, 감광체(6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결정된 색의 토너로 현상해서 가시화하는 회전 전환식의 현상 장치(72)가 설치되어 있다.
현상 장치(72)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K), 제 1 특별색(E), 제 2 특별색(F)의 각 토너 색에 각각 대응하는 6개의 현상기(부호를 생략함)가, 둘레 방향으로(도시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이 순번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중심각에서 60°씩 회전함으로써, 현상 처리를 행하는 각 현상기가 전환되어, 감광체(62)의 외주면과 대향하게 되어 있다. 또한, Y, M, C, K의 4색의 화상 형성을 행할 경우에는, 제 1 특별색(E) 및 제 2 특별색(F)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K에 대응하는 현상기로부터 Y에 대응하는 현상기로의 회전 각도가 180°로 된다.
각 현상기에는, 각 토너 카트리지(78Y, 78M, 78C, 78K, 78E, 78F)로부터 토너 공급로(도시 생략)를 경유해서 공급되는 토너 및 캐리어로 이루어지는 현상제(도시 생략)가 충전되어 있다. 또한, 각 현상기에는, 외주면이 감광체(62)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현상 롤(74)이 설치되어 있다. 현상 롤(74)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통 형상의 현상 슬리브와, 그 현상 슬리브의 내측에 고정된 복수의 자극으로 이루어지는 자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현상 장치(72)는, 현상 슬리브가 회전함으로써 현상제(캐리어)의 자기 브러시를 형성함과 함께, 감광체(62)의 외주면에 형성된 잠상(정전 잠상)에 따른 토너를 부착시켜서 현상을 행한다.
한편, 전사 유닛(70)은, 감광체(62)의 외주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68)가 설치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68)는, 무단(無端) 형상의 벨트이며, 감광체(62)의 회전 방향에서 현상 장치(72)보다 하류측이며 또한 감광체(62)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68)는, 제어부(20)(도 6의 출력 제어 기판(120)을 포함함)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롤(61), 중간 전사 벨트(68)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장력 부여 롤(65), 중간 전사 벨트(68)의 이면에 접촉해서 종동 회전하는 복수의 반송 롤(63), 및 후술하는 이차 전사 위치에 있어서 중간 전사 벨트(68)의 이면에 접촉해서 종동 회전하는 보조 롤(69)에 감겨 걸려 있다. 그리고, 중간 전사 벨트(68)는, 구동 롤(61)이 회전함으로써, 화살표 -R 방향(도시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주회(周回) 이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68)를 사이에 끼워서 감광체(62)의 반대측에는, 감광체(62)의 외주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68)에 일차 전사시키는 일차 전사 롤(67)이 설치되어 있다. 일차 전사 롤(67)은, 감광체(62)와 중간 전사 벨트(68)가 접촉하는 위치(이것을 일차 전사 위치라고 함)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68)의 이동 방향 하류측에 떨어진 위치에서, 중간 전사 벨트(68)의 이면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일차 전사 롤(67)은, 전원(도시 생략)으로부터 통전됨으로써, 접지되어 있는 감광체(62)와의 전위차에 의해 감광체(62)의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68)에 일차 전사하게 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68)를 사이에 끼워서 보조 롤(69)의 반대측에는, 중간 전사 벨트(68) 위에 일차 전사된 토너 화상을 기록 용지(P)에 이차 전사시키는 이차 전사 롤(71)이 설치되어 있고, 이차 전사 롤(71)과 보조 롤(69)의 사이가 기록 용지(P)에 토너 화상을 전사하는 이차 전사 위치로 되어 있다. 이차 전사 롤(71)은, 접지됨과 함께 중간 전사 벨트(68)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고, 전원(도시 생략)으로부터 통전된 보조 롤(69)과 이차 전사 롤(71)의 전위차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68)의 토너 화상을 기록 용지(P)에 이차 전사하게 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68)를 사이에 끼워서 구동 롤(61)의 반대측에는, 중간 전사 벨트(68)의 이차 전사 후의 잔류 토너를 회수하는 클리닝 블레이드(59)가 설치되어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59)는,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싱(도시 생략)에 부착되어 있고, 클리닝 블레이드(59)의 선단부에 의해 긁어내진 토너가, 케이싱 내에 회수되게 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68)의 주위에서 반송 롤(63)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중간 전사 벨트(68)의 표면에 첨부된 마크(도시 생략)를 검지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68) 상의 미리 정해진 기준 위치를 검출하고, 화상 형성 처리의 개시 타이밍의 기준이 되는 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검출 센서(83)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검출 센서(83)는, 중간 전사 벨트(68)를 향해서 광을 조사함과 함께 마크의 표면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68)의 이동 위치를 검출하게 되어 있다.
한편, 감광체(62)의 회전 방향에서 일차 전사 롤(67)보다 하류측에는, 중간 전사 벨트(68)에 일차 전사되지 않고 감광체(62)의 표면에 잔류된 잔류 토너 등을 청소하는 클리닝 장치(73)가 설치되어 있다. 클리닝 장치(73)는, 감광체(62) 표면에 접촉하는 클리닝 블레이드 및 브러시 롤에 의해 잔류 토너 등을 회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감광체(62)의 회전 방향에서 클리닝 장치(73)의 상류측(일차 전사 롤(67)보다 하류측)에는, 감광체(62)의 외주면에 일차 전사 후에 잔류된 토너의 제전(除電)을 행하는 코로트론(8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광체(62)의 회전 방향에서 클리닝 장치(73)의 하류측(대전 부재(64)보다 상류측)에는, 클리닝 후의 감광체(62)의 외주면에 광을 조사해서 제전을 행하는 제전 장치(7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차 전사 롤(71)에 의한 토너 화상의 이차 전사 위치는, 전술한 반송로(28)의 도중에 설정되어 있고, 반송로(28)에 있어서의 기록 용지(P)의 반송 방향(도시의 화살표 A 방향)에서 이차 전사 롤(71)보다 하류측에는, 이차 전사 롤(71)에 의해 토너 화상이 전사된 기록 용지(P)에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90)가 설치되어 있다. 정착 장치(90)는, 가열에 의해 정착을 행하는 정착 롤(92)과, 정착 롤(92)을 향해서 기록 용지(P)를 가압하는 가압 롤(94)을 갖고 있다. 또한, 반송로(28)에 있어서의 기록 용지(P)의 반송 방향에서 정착 장치(90)보다 하류측에는, 배지부(15) 또는 반전부(33)를 향해서 기록 용지(P)를 반송하는 반송 롤(39)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화상 처리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100)는,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기판(104)과, 화상 처리 기판(104)에 접속된 기능 기판의 일례로서의 제 1 업그레이드 기판(154)(도 3의 (A) 참조)과, 화상 처리 기판(104)에 부착된 측판(106)과, 확장 기판(108)(도 3의 (A) 참조)을 갖고 있고, 화상 처리 기판(104) 및 확장 기판(108)은, 장치 본체의 일례로서의 케이싱(102) 내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102)은, 평면에서 보아서 직사각형 형상의 하우징이며, 상면은 도시하지 않은 판금에 의해 막혀서 전파 노이즈에 강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4개의 측벽 중 1개가 제거되어서 개구부(10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02)은, 개구부(102A)가 화상 형성 장치(10)의 장치 본체(10A)의 배면측에 설치된 배면 패널(11)에 배치되도록, 화상 형성 장치(10) 내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화상 처리 장치(100)는, 화상 형성 장치(10)를 배면측에서 보아, 화상 형성부(14)의 중앙보다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으로의 방향을 화살표 Z 방향으로 나타낸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102)의 개구부(102A)와는 반대측에 있는 안쪽 벽(102B)에는, 중계 기판(110)이 연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나사에 의해 체결 고정되어 있다. 중계 기판(110)은, 개구부(102A) 측의 면에 제 1 접속부의 일례로서의 제 1 커넥터(112, 114)가 좌우로 나열되어 설치되어 있고, 제 1 커넥터(114)의 하측에는, 제 2 접속부의 일례로서의 제 2 커넥터(1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안쪽 벽(102B)에 있어서, 개구부(102A) 측의 면이며 또한 중계 기판(110)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는, 화상 처리 기판(10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급전 커넥터(11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102)은, 안쪽 벽(102B)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도 2의 화살표 Z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좌측벽(102C), 우측벽(102D)과, 저벽(102E)을 갖고 있다. 좌측벽(102C) 및 우측벽(102D)에는, 케이싱(102)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한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레일(122, 12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벽(102E)의 중앙에는, 정면에서 보아서 단면 L자 형상의 가이드 레일(126)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126)은, 상부가 가이드 레일(124)을 향해서 절곡되어서 평탄부(126A)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벽(102C)에 있어서의 가이드 레일(122)의 상측에는, 케이싱(102)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한 가이드부(128)가 설치되어 있고, 우측벽(102D)에 있어서의 가이드 레일(124)의 상측에는, 케이싱(102)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한 가이드부(129)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화상 처리 기판(104)의 좌우 가장자리부(측판(106) 측에서 본 좌우 가장자리부)에는, 금속제의 지지 프레임(132, 134)이 부착되어 있고, 지지 프레임(132)이 가이드 레일(122)과 가이드부(128)의 사이로 안내되고, 지지 프레임(134)이 가이드 레일(124)과 가이드부(129)의 사이로 안내됨으로써, 화상 처리 기판(104)이 안쪽 벽(102B)을 향해서 삽입되게 되어 있다. 한편, 지지 프레임(132, 134)은 일체 프레임이어도 상관없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 기판(104)에 있어서의 측판(106)이 부착된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제 1 커넥터(112, 114)(도 3의 (A) 참조)에 접속되는 커넥터(136, 138)와, 급전 커넥터(118)(도 3의 (A) 참조)에 접속되는 커넥터(14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 기판(104)을 화살표 Z 방향(도 3의 (A) 참조)으로 보아서, 화상 처리 기판(104)의 좌측의 상면에는 위쪽(화살표 +V 방향)을 향해서 상(上) 커넥터(144)가 설치되어 있고, 좌측의 하면에는 아래쪽(화살표 -V 방향)을 향해서 하(下) 커넥터(14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처리 기판(104)의 측판(106) 측의 단부에는, 측판(106)으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된 커넥터(148)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의 (A) 및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 기판(104)의 하측(확장 기판(108)과 같은 측)에는 기능 기판의 일례로서의 제 1 업그레이드 기판(154)이 배치되어 있고, 화상 처리 기판(104)의 상측에는 제 2 업그레이드 기판(152)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업그레이드 기판(154)은, 커넥터(155)를 갖고 있고, 커넥터(155)가 하 커넥터(146)에 접속됨으로써 화상 처리 기판(10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2 업그레이드 기판(152)은, 커넥터(153)를 갖고 있고, 커넥터(153)가 상 커넥터(144)에 접속됨으로써 화상 처리 기판(104)에 접속되어 있다.
도 5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업그레이드 기판(152)은, 화상 처리 기판(104)에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의 측판(106) 측의 단부의 상측 및 하측에 커넥터(156, 15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업그레이드 기판(154)은, 화상 처리 기판(104)에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의 측판(106) 측의 단부의 하측에 커넥터(162)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156, 158, 162)는, 화상 처리 기판(104)에 제 1 업그레이드 기판(154) 및 제 2 업그레이드 기판(152)을 접속한 상태로, 측판(106)으로부터 외측에 노출된다. 여기에서, 제 1 업그레이드 기판(154)은, 화상 처리 기판(104)의 한쪽 측(하측)에서 그 화상 처리 기판(104)의 일부(하면의 좌측)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3의 (A) 및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장 기판(108)은, 가이드 레일(124)과 가이드 레일(126)의 사이에 수용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고, 화살표 Z 방향의 일단에는, 제 2 커넥터(116)에 접속되는 커넥터(16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확장 기판(108)은, 화살표 Z 방향의 타단(측판(106) 측)에 측판(165) 및 커넥터(16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확장 기판(108)은, 화살표 Z 방향으로 보아서 좌우의 가장자리부에 금속제의 지지 프레임(167, 168)이 부착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167, 168)은, 가이드 레일(124)의 하면 및 가이드 레일(126)의 우측면을 따라 안내된다. 여기에서,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장 기판(108)의 커넥터(166)는, 측판(106)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 기판의 커넥터(148)보다 하측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106A)로부터 외측에 노출하게 되어 있다. 한편, 지지 프레임(167, 168)은 일체 프레임이어도 상관없다.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장 기판(108)은, 화상 처리 기판(104)에 대한 제 1 업그레이드 기판(154)과 같은 측에서 그 화상 처리 기판(104)의 다른 일부(하면의 우측)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 2 커넥터(116)(도 3의 (A) 참조)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화상 처리 기판(104)에 대하여 독립해서 착탈되게 되어 있다. 또한, 확장 기판(108)은, 화상 처리 기판(104), 제 1 업그레이드 기판(154), 측판(106)(도 3의 (A) 참조), 및 중계 기판(11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확장 기판(108)은, 화상 처리 기판(104) 및 측판(106)을 화살표 Z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뽑아냄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화상 처리 장치(100)의 각 기판의 접속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는, 화상 처리 장치(100)의 개략 구성이 나타나 있다. 중계 기판(110)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 기판(104) 측과는 반대측(도 3의 (A)에 있어서의 화살표 Z 방향 안쪽 측)에는, 중계 기판(110)에 설치된 커넥터(169A)에 접속되는 커넥터(169B)를 갖는 출력 제어 기판(120)이 설치되어 있다. 출력 제어 기판(120)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172)와 스크린 처리부(174)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고, 수취한 화상 데이터를 화상 형성 유닛(50)(도 1 참조)을 이용해서 화상 출력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 처리 등을 행한다. CPU(172)는, 출력 제어 기판(120)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스크린 처리부(174)는, 화상의 계조 표현을 위해 화상 처리 기판(104)으로부터 보내져 온 화상 데이터의 화소를 제어해서 스크린 생성하는 회로이다. 또한, 출력 제어 기판(120)은, 케이싱(121)(도 9의 (A) 참조)에 의해 덮여 있다.
화상 처리 기판(104)은, 원고 판독부(16)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것이며, 제어를 행하는 CPU(176)와, 화상 처리 모듈(178)과, 시리얼/패럴렐 변환부(182)와, 데이터의 전송로(도시 생략)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화상 처리 모듈(178)은, 시리얼/패럴렐 변환부(182)를 통해서 수취한 화상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화상 처리 기판(104)은, 커넥터(148) 및 케이블(도시 생략)을 통해서 원고 판독부(1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2 업그레이드 기판(152) 및 제 1 업그레이드 기판(154)은, 전술한 커넥터(156, 158, 162)(도 5의 (A) 참조. 도 6에서는 도시 생략)를 통해서 외부 기기에 접속되게 되어 있고, 화상 형성 장치(10)의 기능 변경 등에 맞춰서 교환되게 되어 있다.
확장 기판(108)은, 일례로서, 비디오 실렉터 회로 기판이며, 스캔 비디오 실렉터(184)와, 프린트 비디오 실렉터(185)와, 디시리얼라이저(186)와, 시리얼라이저(188)와,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192)와, 이들 사이의 전송로(도시 생략)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것들은, 화상 처리 기판(104)과 외부 제어 장치(13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원고 판독부(16)로부터 보내진 화상 데이터는, 확장 기판(108)의 스캔 비디오 실렉터(184)에 의해 외부 제어 장치(130)에 공급되고, 외부 제어 장치(13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는, 프린트 비디오 실렉터(185)를 통해서 출력 제어 기판(120)에 보내져서, 화상 형성 유닛(50)(도 1 참조)에서 화상 출력된다.
여기에서, 도 6에 있어서, 출력 제어 기판(120)에 화상을 출력하는 경로로서, 원고 판독부(16)로부터 화상 처리 기판(104) 및 중계 기판(110)을 경유해서 출력 제어 기판(120)에 화상을 출력하는 경로, 화상 처리 기판(104)으로부터 중계 기판(110)을 경유해서 출력 제어 기판(120)에 출력하는 경로, 외부 제어 장치(130)로부터 확장 기판(108) 및 중계 기판(110)을 경유해서 출력 제어 기판(120)에 화상을 출력하는 경로가 있다. 또한, 화상의 판독 데이터를 보내는 경로로서, 원고 판독부(16)로부터 화상 처리 기판(104)에 판독 데이터를 보내는 경로, 원고 판독부(16)로부터 화상 처리 기판(104), 중계 기판(110), 및 확장 기판(108)을 경유해서 외부 제어 장치(130)에 판독 데이터를 보내는 경로가 있다.
다음으로, 측판(106)에 설치된 핸들(2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판(106)의 화상 처리 기판(104)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레버 기구부의 일례로서의 핸들(200) 및 지지 부재(202)가 설치되어 있다. 핸들(200)은, 수지의 일체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 쌍의 지지 부재(202)를 이용해서 측판(106)에 대하여 화살표 Z 방향, 즉, 화상 처리 기판(104)의 접속 방향에 대하여, 화살표 +R 방향(좌측벽(102C)에서 보아서 시계 회전 방향), 화살표 -R 방향(좌측벽(102C)에서 보아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200)은, 파지부(204)와 한 쌍의 다리부(206)를 일체로 구비한 ㄷ자 형상의 부재이며, 한 쌍의 다리부(206)는, 파지부(204)의 양 단부로부터 서로 동일한 방향(파지부(204)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돌출해 있다. 각각의 다리부(206)에는,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지지축(208)과, 지지축(208)보다 하측의 부위인 접촉부(210)가 설치되어 있다. 접촉부(210)는, 다리부(206)의 하부에서 다리부(206)의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측판(106)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다리부(206)를 지지축(208)의 축방향으로 보아서 단면 삼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한 쪽의 다리부(206)에는, 아암(arm)부(212)가 설치되어 있다. 아암부(212)는, 다리부(206)로부터 지지축(208)의 축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아암부(212)에는 단차가 있는 관통 구멍(2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214)은, 측판(106)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나사 구멍과 연통해서 나사결합되어, 핸들(200)이 고정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102)의 저벽(102E)에 있어서, 위쪽에 측판(106)이 배치되는 부위는 개구부(102A)보다 화살표 Z 방향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 부분에 크랭크 형상의 굽힘 가공에 의해, 레버 기구부의 일례로서의 오목부(216)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16)는, 지지축(208)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해서 위쪽이 개구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화살표 Z 방향의 안쪽 측에 입설(立設)된 측벽(216A)과 전방 측에 입설된 측벽(216B)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핸들(200)을 화살표 +R 방향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화상 처리 기판(104)을 케이싱(102) 내에 삽입하면, 접촉부(210)가 측벽(216A)과 접촉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화상 처리 기판(104)을 케이싱(102)으로부터 뽑아낼 때에는, 핸들(200)을 화살표 +R 방향으로 쓰러뜨림으로써 접촉부(210)가 측벽(216A)과 접촉해서 화상 처리 기판(104)에 인출력이 작용한다.
또한,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210)가 오목부(216) 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핸들(200)을 화살표 -R 방향으로 세우면, 접촉부(210)가 측벽(216B)과 접촉해서, 화상 처리 기판(104)을 화살표 Z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어 있다. 즉, 핸들(200), 지지 부재(202), 및 오목부(216)는, 화상 처리 기판(104)을 제 1 커넥터(112, 114)(도 4의 (C) 참조)에 접속시킬 때, 사용자에 의한 조작력이 레버(지레)의 원리로 증폭하게 되어 있고, 또한 증폭된 조작력이 측판(106)을 통해서 확장 기판(108)의 제 2 커넥터(116)에의 접속력으로서 작용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화상 처리 기판(104)과 확장 기판(108)의 접속 방향(화살표 Z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의 (A)에는, 화상 처리 기판(104) 및 확장 기판(108)의 길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가 나타나 있고, 도 9의 (B)에는, 화상 처리 기판(104) 및 확장 기판(108)을 중계 기판(110)에 접속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또한, 확장 기판(108)은, 실제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업그레이드 기판(154)에 인접하는 위치이며 또한 제 1 업그레이드 기판(154)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만, 도 9의 (A), (B)에서는, 화상 처리 기판(104), 제 1 업그레이드 기판(154), 및 확장 기판(108)의 길이 관계가 명확해지도록, 높이 방향의 확장 기판(108)과 화상 처리 기판(104)의 거리를 넓혀서 표시하고 있다.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100)에서는, 제 2 커넥터(116)로의 확장 기판(108)의 접속 방향이, 제 1 커넥터(112, 114)로의 화상 처리 기판(104)의 접속 방향과 동일 방향(화살표 Z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화상 처리 기판(104)의 화살표 Z 방향의 길이를 L1, 확장 기판(108)의 화살표 Z 방향의 길이를 L2라고 하면,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L1>L2가 되도록 각 기판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측판(106)의 내측(확장 기판(108)의 측판(165)과 대향하는 측)에는, 도전성을 갖는 가압 부재(107)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 부재(107)는, 측판(106)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일례로서, 금속제의 판 스프링이 이용된다.
여기에서, 화상 처리 장치(100)에서는, 커넥터(164)를 제 2 커넥터(116)에 접속해서 확장 기판(108)을 중계 기판(11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커넥터(136, 138)를 제 1 커넥터(112, 114)에 접속해서 화상 처리 기판(104)을 중계 기판(110)에 전기적으로 접속했을 때에, 측판(106)(가압 부재(107) 포함)이 확장 기판(108)의 측판(165)과 접촉하게 되어 있다. 또한, 확장 기판(108)은, 화상 처리 기판(104)이 중계 기판(110)에 접속됨으로써, 커넥터(166)의 부착 위치가 결정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100)에서는, 확장 기판(108)이 화상 처리 기판(104), 제 1 업그레이드 기판(154), 중계 기판(110), 및 측판(106)(도 5의 (A) 참조)에 의해 둘러싸인 빈 영역(공간)에 배치되므로, 확장 기판(108) 전용의 설치 장소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서, 화상 처리 장치(100) 전체의 대형화가 억제된다.
또한,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100)에서는, 중계 기판(110)(도 5의 (B) 참조)에 화상 처리 기판(104)을 접속할 때, 사용자가 핸들(200)을 한손으로 파지하면서 화상 처리 기판(104) 전체를 화살표 Z 방향으로 압입하게 된다. 여기에서, 중계 기판(110)의 제 1 커넥터(112, 114)(도 9의 (A) 참조)에 화상 처리 기판(104)의 커넥터(136, 138)가 접속되기 전에, 핸들(200)의 접촉부(210)가 오목부(216)의 측벽(216A)에 접촉한다.
계속해서,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상 처리 기판(104)을 화살표 Z 방향으로 더 압입하려고 하면, 핸들(200)은 지지축(208)을 중심으로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접촉부(210)가 측벽(216B)에 접촉하고, 이 접촉부가 레버의 원리의 작용점이 되는 동시에 지지축(208)이 지지점이 되어, 핸들(200)을 크게 이동시키지 않는 상태여도, 화상 처리 기판(104)을 화살표 Z 방향으로 압입하는 힘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도 9의 (A)에 있어서, 제 1 커넥터(112, 114)와 커넥터(136, 138)의 접속이 행해져서, 접속 불량이 억제된다.
또한,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100)에서는, 확장 기판(108)을 케이싱(102) 내에 삽입하고나서 화상 처리 기판(104)을 삽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화상 처리 기판(104)을 화살표 Z 방향으로 압입했을 때에 측판(106)이 가압 부재(107)를 통해서 확장 기판(108)의 측판(165)과 접촉해서 확장 기판(108)을 화살표 Z 방향으로 가압한다. 즉, 일례로서, 측판(106)을 화살표 Z 방향으로 힘 F1로 가압해서 압입하면, 측판(165)이 힘 F1에 대응한 크기의 힘 F2로 가압되어, 커넥터(136, 138)에는 가압력 F3, 커넥터(164)에는 가압력 F4가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164)와 제 2 커넥터(116)의 접속이 행해져서, 접속 불량이 억제된다.
이렇게 하여, 화상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의 접속 불량이 억제되기 때문에,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원고 판독부(16)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유닛(50)에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업그레이드 기판(154) 및 제 2 업그레이드 기판(152)은 없어도 된다. 이 경우, 설치된 업그레이드 기판과 화상 처리 기판(104)에 의해 형성되는 빈 영역에 확장 기판(108)을 설치하면 된다. 또한, 측판(106)에 가압 부재(107)를 설치하지 않고, 측판(106)과 측판(165)을 직접 접촉시켜도 된다. 또한, 각 커넥터의 배치 방향 및 각 기판의 배치 방향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연직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화상 처리 기판(104) 및 확장 기판(108)을 중계 기판(110)에 접속한 후에, 측판(106) 및 핸들(200)을 배면 커버로 덮어서 숨겨도 된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50)은, 전자 사진 방식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잉크젯 방식의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기 기재는 도시 및 설명을 위해 제공되었다. 개시된 형태에 가능한 모든 것이 포함되도록 의도하거나 본 발명을 그것에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본 발명의 원리 및 그 실질적인 적용을 가장 잘 설명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가 선택되어 기술되었고, 그에 따라 본 발명을 당업자가 의도한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실시예 및 다양한 변형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를 하기의 청구범위 및 그 동등물에 의해 규정하려는 것이다.
100 : 화상 처리 장치 102 : 케이싱
104 : 화상 처리 기판 106 : 측판
106A : 개구부 108 : 확장 기판
110 : 중계 기판 152, 154 : 업그레이드 기판
167, 168 : 지지 프레임

Claims (6)

  1. 내부에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제 1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기판과,
    상기 화상 처리 기판의 한 쪽 측에서 그 화상 처리 기판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1개의 기능을 갖는 기능 기판과,
    상기 화상 처리 기판의 상기 제 1 접속부와는 반대측에 부착되며 상기 본체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판과,
    상기 화상 처리 기판에 대한 상기 기능 기판과 동일한 측에서 그 화상 처리 기판의 다른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상기 화상 처리 기판에 대하여 독립해서 착탈되는 확장 기판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부에의 상기 확장 기판의 접속 방향은, 상기 제 1 접속부에의 상기 화상 처리 기판의 접속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되고,
    상기 확장 기판을 상기 제 2 접속부에 접속하고, 상기 화상 처리 기판을 상기 제 1 접속부에 접속했을 때에, 상기 측판이 상기 확장 기판에 접촉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기판을 상기 제 1 접속부에 접속시킬 때에 조작력을 증폭하는 레버 기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 기구부에 의해 증폭된 조작력이 상기 측판을 통해서 전달되어 상기 확장 기판의 상기 제 2 접속부에의 접속력으로서 작용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제 1 항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처리 후의 화상 정보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전달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제 2 항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처리 후의 화상 정보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전달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제 3 항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처리 후의 화상 정보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전달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10013308A 2010-08-18 2011-02-15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505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83338 2010-08-18
JP2010183338A JP5621403B2 (ja) 2010-08-18 2010-08-18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386A true KR20120017386A (ko) 2012-02-28
KR101505092B1 KR101505092B1 (ko) 2015-03-23

Family

ID=45593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308A KR101505092B1 (ko) 2010-08-18 2011-02-15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10833B2 (ko)
JP (1) JP5621403B2 (ko)
KR (1) KR101505092B1 (ko)
CN (1) CN1023753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5390B1 (en) 2000-01-14 2009-12-22 Marctec, Llc Joint replacement component having a modular articulating surface
JP6198495B2 (ja) 2013-07-12 2017-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4182003B (zh) * 2014-08-08 2017-11-24 英业达科技有限公司 服务器
JP6055807B2 (ja) * 2014-10-16 2016-12-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78823B2 (ja) * 2015-08-28 2019-09-2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CN109153273A (zh) * 2016-07-01 2019-01-04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打印设备仪表板
JP2019047409A (ja) * 2017-09-06 2019-03-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482162B2 (en) * 2017-11-30 2019-11-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equation transformation from text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5352B2 (ja) * 1988-09-08 1997-10-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5410641A (en) * 1991-10-23 1995-04-25 Seiko Epson Corporation Intelligent cartridge for attachment to a printer to perform image processing tasks in a combinatio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image processing
US5845144A (en) * 1991-12-25 1998-12-01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internal printer
EP0608418B1 (en) * 1992-05-20 1998-11-04 Seiko Epson Corporation Cartridge for electronic apparatus
US5544008A (en) * 1994-06-30 1996-08-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 expansion module apparatus
JP2001145233A (ja) * 1999-11-16 2001-05-25 Fujitsu Ten Ltd 車載用ecu
JP4489318B2 (ja) * 2001-04-06 2010-06-23 富士通株式会社 伝送装置
US6625035B1 (en) * 2002-04-01 2003-09-23 White Rock Networks Systems and methods for a latch assembly for use with a motherboard assembly having at least one daughter board
JP2004087692A (ja) * 2002-08-26 2004-03-18 Ricoh Co Ltd 電装基板収納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US6646890B1 (en) * 2002-09-04 2003-11-11 Lucent Technologies Inc. Mounting of mezzanine circuit boards to a base board
CA2468551A1 (en) * 2004-05-27 2005-11-27 Alcatel Multipart electronic circuit assembly with detachably interconnecting and locking component circuit substrates
JP4373882B2 (ja) * 2004-08-31 2009-11-2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用筐体構造、及び通信機器
JP2006191217A (ja) 2005-01-04 2006-07-20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アップグレード方法
US7170749B2 (en) * 2005-04-11 2007-01-30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ical apparatus and connector holder for electrical apparatus
JP5157151B2 (ja) * 2006-12-15 2013-03-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機器
JP5157152B2 (ja) 2006-12-15 2013-03-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08205402A (ja) * 2007-02-22 2008-09-04 Fuji Xerox Co Ltd 電子モジュール
JP5133741B2 (ja) * 2007-05-15 2013-01-30 株式会社リコー 電装基板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433036B2 (ja) * 2007-11-08 2010-03-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CN101937260B (zh) * 2009-07-02 2014-03-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75391A (zh) 2012-03-14
JP5621403B2 (ja) 2014-11-12
US20120044521A1 (en) 2012-02-23
KR101505092B1 (ko) 2015-03-23
US8810833B2 (en) 2014-08-19
JP2012040751A (ja) 2012-03-01
CN102375391B (zh)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7386A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1513824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85830A (ja) 画像形成装置
CN101515126B (zh) 成像设备
JP5241448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385693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CN106842852B (zh) 图像形成装置
JP3953006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複合機
CN108459410B (zh) 光扫描装置及图像形成装置
JP5721349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739976B2 (ja) 光学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12015075A (zh) 成像设备
JP2005192076A (ja)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2610682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detachable unit, and plural detachable units
JP200532677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72289A (ja) 画像形成装置
CN103703753A (zh) 扫描仪装置和包括该扫描仪装置的多功能设备
JP2018017912A (ja) 画像形成装置
JP201110285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05082A (ja) イメージング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1016051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186346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1501102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1673072A (zh) 调色剂用尽检测及显影设备、处理单元、及图像形成设备
JP2005084449A (ja)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