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5492A -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5492A
KR20070045492A KR1020050101836A KR20050101836A KR20070045492A KR 20070045492 A KR20070045492 A KR 20070045492A KR 1020050101836 A KR1020050101836 A KR 1020050101836A KR 20050101836 A KR20050101836 A KR 20050101836A KR 20070045492 A KR20070045492 A KR 20070045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harging
developing
cover frame
photosensitiv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동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1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5492A/ko
Publication of KR20070045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4Arrangements for purging used developer from the develop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은 현상제 수용부와 폐현상제 수용부가 구비되며, 공급롤러, 현상롤러, 감광매체 및 대전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현상 케이스; 현상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프레임; 및 커버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대전롤러를 클리닝하는 대전 클리닝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상형성장치, 현상유닛, 커버프레임, 대전롤러, 대전클리닝롤러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Developer for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의 상측에 설치된 커버 프레임에 대전 클리닝롤러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현상 케이스 111; 현상제 수용부
112; 폐현상제 수용부 120; 공급롤러
130; 현상롤러 140; 감광매체
150; 대전롤러 151; 대전 클리닝롤러
200; 커버 프레임 210; 지지부
220; 투과창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현상유닛은 현상 케이스(10), 공급롤러(20), 현상롤러(30), 감광매체(40), 대전롤러(50)를 포함한다.
현상 케이스(10)는 현상제 수용부(11)와 폐현상제 수용부(12)를 포함한다. 현상제 수용부(11)에는 인쇄전 단계의 현상제가 수용되며, 폐현상제 수용부(12)에는 인쇄에 사용되지 못한 잔류 현상제가 클리닝되어 수용된다.
공급롤러(20)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11)에 수용된 현상제를 현상롤러(30) 측으로 이송하며, 현상롤러(30)는 공급롤러(20)로부터 전달받은 현상제를 감광매체(40)측으로 이송한다. 감광매체(40)는 대전롤러(50)에 의해, 표면이 일정전위를 가지도록 대전되며, 미도시된 광주사장치에서 인쇄정보가 포함된 빛을 받아 대전된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한편, 대전롤러(50)는 감광매체(40)와 접촉 회전하면서, 감광매체(40) 표면을 일정 전위로 대전하는데, 이 과정에서 감광매체(40) 표면에 잔류된 폐현상제가 대전롤러(50)를 오염시킬 수 있다. 대전롤러(50)가 오염될 경우, 감광매체(40)가 균일하게 대전되지 못하므로, 대전롤러(50)를 클리닝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롤러(50)와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대전롤러 클리닝 롤러(51)가 구비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일반적인 현상유닛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매체(40), 대전롤러(50) 및 대전롤러 클리닝 롤러(51)가 중심을 기준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므로, 현상유닛의 높이가 높아지고, 폐현상제 수용부(12)의 용적이 작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상 케이스(10)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전롤러 클리닝 롤러(51)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 대전롤러 클리닝 롤러(51)를 분리하기 위해 현상유닛 전체를 분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상유닛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대전롤러 클리닝 롤러의 분해조립이 간편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은 현상제 수용부와 폐현상제 수용부가 구비되며, 공급롤러, 현상롤러, 감광매체 및 대전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현상 케이스; 상기 현상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커버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대전롤러를 클리닝하는 대전 클리닝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대전 클리닝롤러의 회전축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감광매체에 레이저 광을 투과하는 투과창;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커버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대전 클리닝롤러는 회전축의 수평방향 위치가 대전롤러의 회전축과 감광매체의 회전축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대전롤러와 대전 클리닝롤러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A)과, 상기 대전롤러와 감광매체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B)이 대전롤러의 회전 중심에서 이루는 각(θ)이 0도~45도 이내의 값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현상유닛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케이스(110), 공급롤러(120), 현상롤러(130), 감광매체(140), 대전롤러(150) 및 커버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현상 케이스(110)는 내부에 현상제 수용부(111)와 폐현상제 수용부(112)를 포함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형태로 형성된다. 공급롤러(120), 현상롤러(130), 감광매체(140) 및 대전롤러(150)는 그 구성 및 동작이 앞서 설명한 종래기술과 큰 차이가 없으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커버 프레임(20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케이스(110)에 착탈 가능한 별도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대전롤러(150)를 클리닝하는 대전 클리닝롤러(15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커버 프레임(200)은 대전 클리닝롤러(151)의 회전축(152)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부(210)와 감광매체(140)에 미도시된 광주사장치에서 주사되는 레이저 광을 투과하는 투과창(220)을 포함한다.
지지부(210)는 커버 프레임(20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52)의 양 단을 지지할 수 있는 수용홈(211)을 가진다.
한편, 대전 클리닝롤러(1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52)의 수 평방향 위치가 대전롤러(150)의 회전축과 감광매체(140)의 회전축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대전롤러(150)와 대전 클리닝롤러(151)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A)과, 대전롤러(150)와 감광매체(140)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B)이 대전롤러의 회전 중심에서 이루는 각(θ)이 0도~45도 이내의 값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대전 클리닝롤러(151)의 회전축(152)이 대전롤러(150)와 감광매체(140)의 회전축 사이에 위치할 경우, 폐현상제 수용부(112)의 용적이 증가되므로, 현상유닛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동작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현상유닛의 동작은 종래기술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종래기술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인쇄시, 현상유닛은 소정의 구동유닛에 의해 내부에 설치된 각각의 롤러들이 회전하면서, 현상제를 현상제 수용부(111)에서 감광매체(140) 측으로 이송시킨다. 그리고,ㅂ 감광매체(140)는 대전롤러(150)에 의해 표면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런데, 장시간 현상유닛을 사용할 경우, 감광매체(140)에 잔류한 폐현상제가 모두 제거되지 않고 대전롤러(150)를 오염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대전롤러(150)를 오염시킨 폐현상제는 대전롤러(150)와 일정 닙을 가지도록 접촉 회전되는 대전 클리닝롤러(151)에 의해 제거된다.
한편, 오랜 시간 현상유닛을 사용하게되면, 상기 대전 클리닝롤러(151) 역시 오염되어 정상적으로 대전롤러(150)를 클리닝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전 클리닝롤러(151)의 교체시기가 되면, 사용자는 커버 프레임(200)을 현상 케이스(110)로부터 분리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대전 클리닝롤러(151)를 분리하여 새것으로 교체한다. 이때, 대전 클리닝롤러(151)는 별도 고정수단 없이 커버 프레임(200)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210)에 끼워맞춤 되므로, 분해 및 조립에 별도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리고, 대전 클리닝롤러(151)의 교체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다시 커버 프레임(200)을 현상 케이스(110)에 조립한다.
이와 같이, 대전 클리닝롤러(150)가 현상 케이스(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프레임(200)에 설치되므로, 대전 클리닝롤러(150)의 유지보수가 간편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폐현상제 수용부의 용적을 늘릴 수 있으며, 대전 클리닝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 프레임이 현상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대전 클리닝롤러의 분해조립이 간편하다.

Claims (5)

  1. 현상제 수용부와 폐현상제 수용부가 구비되며, 공급롤러, 현상롤러, 감광매체 및 대전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현상 케이스;
    상기 현상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커버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대전롤러를 클리닝하는 대전 클리닝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대전 클리닝롤러의 회전축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감광매체에 레이저 광을 투과하는 투과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커버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클리닝롤러는,
    회전축의 수평방향 위치가 대전롤러의 회전축과 감광매체의 회전축 사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클리닝롤러는,
    상기 대전롤러와 대전 클리닝롤러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A)과, 상기 대전롤러와 감광매체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B)이 대전롤러의 회전 중심에서 이루는 각(θ)이 0도~45도 이내의 값을 가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KR1020050101836A 2005-10-27 2005-10-27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KR20070045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836A KR20070045492A (ko) 2005-10-27 2005-10-27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836A KR20070045492A (ko) 2005-10-27 2005-10-27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492A true KR20070045492A (ko) 2007-05-02

Family

ID=3827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836A KR20070045492A (ko) 2005-10-27 2005-10-27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54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0232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7715746B2 (en) Process cartridge having electrical contac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electrical contact in urging member
US751584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an image forming unit is mounted and dismounted by rotating an intermediary transfer member
KR101615652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8295731B2 (en)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3241606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クリーニング装置
JP2006243038A (ja) 画像形成装置並びに、それに使用されるベルトユニット
KR100888686B1 (ko) 현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 장착방법과 탈착방법
KR20000029300A (ko) 세척 프레임, 세척 프레임을 구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전자 사진식화상 형성 장치
EP3396463B1 (en) Optical scanning device
JP2003076249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1024014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KR20070045492A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JP2001013762A (ja) 帯電装置
JPH0473591B2 (ko)
JP3958314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1303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11296049A (ja) 画像形成装置
JP201110764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091792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653415B2 (ja) 未転写トナー調整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252086A (ja) 転写搬送装置
JPH01242812A (ja) 回転体支持装置
JP3598085B2 (ja) 光路調整容易な読み込み光学系ユニット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4354733A (ja) 転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