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492B1 - 현상기,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의 탈착방법 - Google Patents

현상기,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의 탈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492B1
KR100950492B1 KR1020070025428A KR20070025428A KR100950492B1 KR 100950492 B1 KR100950492 B1 KR 100950492B1 KR 1020070025428 A KR1020070025428 A KR 1020070025428A KR 20070025428 A KR20070025428 A KR 20070025428A KR 100950492 B1 KR100950492 B1 KR 100950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handle
developer housing
housing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4139A (ko
Inventor
한민수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5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492B1/ko
Priority to US11/838,413 priority patent/US20080226337A1/en
Priority to CNA2008100016324A priority patent/CN101266436A/zh
Priority to EP08152602.2A priority patent/EP1970777B1/en
Priority to BRPI0800782-9A priority patent/BRPI0800782A2/pt
Priority to RU2008110033/12A priority patent/RU2382705C2/ru
Publication of KR20080084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46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using a handle for carrying or pulling out of the main machine, legs of ca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7Frame structures using opening shell type machines, e.g. pivoting assemblies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현상기는 현상기 하우징 및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의 일측에 설치되며 파지부가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파지부는 한 쌍의 지지부에 의해 현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거나, 또는 현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된다.
현상기, 손잡이, 파지부, 현상기 탈착방향, 현상기 하우징

Description

현상기,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의 탈착방법{Developing cartridge,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detaching method of the developing cartridg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현상기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기를 탈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현상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기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화상형성장치의 상부 프레임을 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기를 탈착하는 경우에 현상기의 이동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370; 현상기 110,210; 현상기 하우징
115; 회전돌기 116; 회전돌기 수용부
120; 손잡이 121,221; 파지부
123; 한 쌍의 지지부 131; 감광매체
132; 현상부재 133; 토너공급부재
134; 토너규제부재 135; 대전부재
136; 폐토너 클리너 222; 힌지부
300; 화상형성장치 310; 본체
311; 하부 프레임 312; 상부 프레임
314; 본체 힌지부 320; 인쇄매체 공급유닛
340; 전사롤러 350; 정착유닛
354; 정착커버 360; 배지유닛
380; 노광유닛 390; 스캐닝 유닛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현상기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를 화상형성장치에서 탈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기는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와, 감광매체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재,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부재를 포함한다.
현상기를 구성하는 감광매체, 대전부재, 현상부재는 소모 부품으로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교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현상기는 하나의 유닛 내지는 모듈로 형성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대해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1에는 이와 같은 현상기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서 탈착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현상기(10)는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20)에 설치되며, 현상기(10)는 현상기 하우징(11)의 전면에 설치된 손잡이(12)를 포함한다.
손잡이(12)는 사용자가 현상기를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20)에서 분리할 때, 즉 현상기(10)를 탈착할 때,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20)에서 현상기(10)를 탈착할 때,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손잡이(12)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한 현상기(10)에서는 손잡이(12)가 현상기(10)를 탈착하는 방향으로 현상기 하우징(11)에 설치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현상기(10)를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20)에서 탈착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의 커버(21)를 연 후, 현상기(10)의 손잡이(12)를 잡고 도 1과 같이 손잡이(12)를 화상형성장치(1)의 앞쪽으로 잡아당기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현상기(10)는 손잡이(12)가 현상기(10)가 탈착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현상기(10)를 탈착하는 방향에 화상형성장치(1)의 구성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20)에서 현 상기(10)를 탈착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특히, 현상기(10)를 탈착하는 방향으로 정착유닛(미도시)이 설치된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는 정착유닛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로 인해 현상기(10)를 탈착하는 사용자가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현상기를 탈착할 때, 화상형성장치에 현상기의 탈착방향에 설치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부품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는 현상기,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의 탈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기 하우징; 및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의 일측에 설치되며, 파지부가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파지부는 한 쌍의 지지부에 의해 상기 현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거나, 상기 현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는 회전돌기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잡으면 상기 현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돌기는 상기 현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감광매체의 축과 동축 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의 하 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힌지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현상기 하우징 및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의 일측에 설치되며 파지부가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현상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는 회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현상기가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돌기 수용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의 파지부를 잡으면 상기 현상기는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프레임이 열렸을 때, 상기 현상기는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된 후, 상기 회전돌기 수용부에서 들어 올려진 다음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하부 프레임에서 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현상기가 탈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현상기의 앞에 정착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프레임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켜 하부 프레임에 대해 여는 단계;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상기 하부 프레임에 설치된 현상기의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손잡이를 잡는 단계; 상 기 손잡이를 잡고 상기 현상기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단계; 및 상기 손잡이를 잡고 상기 현상기를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의 공간으로 빼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상기의 탈착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현상기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때, 상기 현상기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설치된 정착유닛에 간섭되지 않는 높이로 들어 올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를 잡으면, 상기 현상기는 현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현상기용 손잡이이며, 상기 현상기는, 현상기 하우징; 및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형성된 회전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의 일측에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손잡이의 파지부가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상기 현상기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현상기용 손잡이이며, 상기 현상기는, 현상기 하우징; 및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형성된 회전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의 파지부가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상기 현상기의 상기 손잡이를 잡으면 상기 현상기는 상기 회전 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손잡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파지부의 하면이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후단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현상기용 현상기 하우징이며, 상기 현상기는,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손잡이; 및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형성된 회전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의 파지부는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상기 현상기의 상기 손잡이를 잡으면 상기 현상기는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현상기 하우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현상기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기(100)는 현상기 하우징(110)과 손잡이(120)를 포함한다.
현상기 하우징(110)은 현상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면(111)에는 노광 유닛(380, 도 4 참조)에서 발광된 레이저 빔이 입사되는 레이저 빔 구멍(112)이 형성되고, 하면(113)에는 감광매체(131, 도 4 참조)의 일부가 노출되는 감광매체 구멍(114)이 형성된다.
현상기 하우징(110)의 양 측면에는 한 쌍의 회전돌기(115)가 형성된다. 한 쌍의 회전돌기(115)는 화상형성장치(300, 도 4 참조)의 본체(310)에 형성된 한 쌍의 회전돌기 수용부(116)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현상기(100)는 사용자가 손잡이(120)를 잡은 경우에 한 쌍의 회전돌기(115)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한 쌍의 회전돌기(115)는 현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감광매체(131)의 축(131a, 도 4 참조)과 동축 상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매체(131), 현상부재(132), 토너공급부재(133), 토너규제부재(134), 대전부재(135), 폐토너 클리너(136)가 설치된다.
감광매체(13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노광유닛(380)에서 발광된 레이저 빔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매체(131)는 현상기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부는 현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감광매체 구멍(11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현상부재(132)는 감광매체(131)로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매체(131)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현상부재(132)는 롤러 형상으로 형성되며, 감광매체(131)의 일측으로 현상기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토너공급부재(133)는 현상부재(132)로 토너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 토너공급부재(133)는 롤러 형상으로 형성되며, 현상부재(132)의 일측으로 현상기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토너규제부재(134)는 현상부재(132)와 접촉하도록 현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토너공급부재(133)에 의해 현상부재(132)로 이송된 토너를 박층화한다. 이때, 현상부재(132) 상에 있는 토너는 토너규제부재(134)와의 마찰에 의해 대전된다.
대전부재(135)는 감광매체(131)를 소정 전압으로 대전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대전부재(135)는 롤러 형상으로 형성되며, 현상기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폐토너 클리너(136)는 토너 화상이 인쇄매체(P)로 전사된 후 감광매체(131)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감광매체(131)와 접촉하도록 현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현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소정 량의 토너가 저장되는 토너저장공간(137)과 감광매체(131)로부터 제거된 폐토너가 저장되는 폐토너 저장공간(138)이 마련된다.
손잡이(120)는 사용자가 현상기(100)를 화상형성장치(300)의 본체(310)에서 탈착할 때 잡는 것으로서 현상기 하우징(110)의 상면(111)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손잡이(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100)가 화상형성장치(300)의 본체(310)에서 탈착되는 방향(도 5의 화살표 A)으로 현상기 하우징(110)의 상 면(111)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상기(100)가 탈착되는 방향(도 의 화살표 A)의 현상기 하우징(110)의 일단을 현상기 하우징(110)의 선단(110a)이라고 하고 그 반대쪽을 현상기 하우징(110)의 후단(110b)이라고 할 때, 손잡이(120)는 그 입구(120a)가 현상기 하우징(110)의 후단(110b)을 바라보도록 형성된다.
손잡이(12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파지부(121)와 파지부(121)를 현상기 하우징(110)에 연결하는 한 쌍의 지지부(123)를 포함한다.
파지부(121)는 현상기 하우징(110)의 상면(111)에 대해 예각(도 6a의 α)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파지부(121)는 그 하면(121b)이 현상기 하우징(110)의 후단(110b)을 향하게 된다. 다시 말해, 손잡이(120)의 파지부(121)가 도 5와 같이 현상기(100)를 화상형성장치(300)의 본체(310)에서 탈착하는 방향(화살표 A)에 대해 둔각(β)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상기 하우징(110)의 대략 중앙부 상측에서 손잡이(120)의 입구(120a)로 손을 넣어 파지부(121)를 잡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지부(121)의 하면(121b)이 현상기 하우징(110)의 후단(110b)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현상기(100)를 화상형성장치(300)의 본체(310)에서 소정 거리 들어올린 후 현상기(100)를 화상형성장치(300)의 본체(310)에서 빼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파지부(121)가 현상기 하우징(110)의 상면(111)과 예각(α)을 이루도록 형성하면, 파지부(121)가 손의 아랫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가능한 한 크게 할 수 있다. 손잡이(120)의 파지부(121)가 손의 아랫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적 이 넓으면 현상기(100)를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으며, 충분한 힘으로 현상기(10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123)는 파지부(121)를 현상기 하우징(110)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파지부(121)의 양 측면에 연결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현상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도 3a는 손잡이를 펴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현상기를 탈착하기 위해 손잡이를 편 상태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현상기(200)는 현상기 하우징(210)과 손잡이(220)를 포함한다.
현상기 하우징(210)은 현상기(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현상기 하우징(110)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손잡이(220)는 사용자가 현상기(200)를 화상형성장치(300, 도 4 참조)의 본체(310, 도 4 참조)에서 탈착할 때 잡는 것으로서 현상기 하우징(210)의 상면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손잡이(22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200)가 화상형성장치(300)의 본체(310)에서 탈착되는 방향(도 5의 화살표 A 참조)으로 현상기 하우징(210)의 상면(211)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22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파지부(221)와 파지부(221)와 현상기 하우징(210)을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222)를 포함한다.
힌지부(222)는 파지부(221)가 현상기 하우징(210)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이때, 힌지부(222)는 파지부(221)가 현상기 하우징(210)의 상 면(211)에 대해 90도 이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222)는 파지부(221)를 폈을 때 파지부(221)가 현상기 하우징(210)의 상면(211)에 대해 예각(α)을 이루도록 제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현상기(200)를 탈착하기 위해 파지부(221)를 잡아당기면 파지부(221)는 현상기 하우징(210)의 상면(211)에 대해 예각(α)을 이루게 된다.
파지부(221)는 힌지부(222)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현상기(200)가 화상형성장치(300)의 본체(310)에 장착된 경우에 파지부(221)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 하우징(210)의 상면(211)과 접촉한 상태가 되고, 현상기(200)를 탈착할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221)는 펴진 상태가 된다. 이때, 파지부(221)는 현상기 하우징(210)의 상면(211)에 대해 예각(α)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 의한 현상기(200)의 파지부(221)는 힌지부(222)에 의해 현상기 하우징(210)에 설치된다는 점 외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현상기(100)의 손잡이(120)의 파지부(121)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기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기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300)는 본체(310), 인쇄매체 공급유닛(320), 이송롤러유닛(330), 노광유닛(380), 현상기(370), 정착유닛(350), 및 배지유닛(360)을 포함한다.
본체(310)는 화상형성장치(300)의 외관을 형성하며, 하부 프레임(311)과 상부 프레임(312)을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311)의 내측에 인쇄매체 공급유닛(320), 이송롤러유닛(330), 현상기(370), 전사롤러(340), 정착유닛(350), 및 배지유닛(360)이 설치된다.
인쇄매체 공급유닛(320)은 복수 매의 인쇄매체(P)를 적재하며, 선단에 설치된 픽업롤러(321)가 적재된 인쇄매체(P)를 한 장씩 픽업하여 이송롤러유닛(330)으로 공급한다.
이송롤러유닛(330)은 적어도 한 쌍의 이송롤러를 포함하며, 인쇄매체 공급유닛(320)에서 픽업된 인쇄매체(P)를 전사롤러(340)와 현상기(370)의 감광매체(131) 사이로 이동시킨다.
현상기(370)는 노광유닛(380)에서 발광된 레이저 빔에 의해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기(100)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현상기(370)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의 현상기(100)의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한다.
전사롤러(340)의 양단 쪽 부근의 하부 프레임(311)에는 현상기(100)의 회전돌기(115, 도 2 참조)를 지지하는 회전돌기 수용부(116, 도 2 참조)가 형성된다. 현상기(100)의 회전돌기(115)가 회전돌기 수용부(116)에 위치하면 현상기(100)의 감광매체(131)는 전사롤러(340)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하부 프레임(311)의 회전돌기 수용부(116)는 현상기(100)가 회전돌기(115)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현상기(100)가 하부 프레임(31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현상기(1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하부 프레임(311)과 상부 프레 임(312)에는 현상기(1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스토퍼는 현상기(100)의 현상기 하우징(110)과 접촉하여 현상기(1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312)과 하부 프레임(311)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다.
현상기(100)가 하부 프레임(311)에 장착되면, 손잡이(120)는 현상기(100)가 화상형성장치(300)의 본체(310)에서 빠지는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즉, 현상기(100)의 손잡이(120)는 정착유닛(350) 가까이에 위치하게 된다.
전사롤러(340)는 현상기(100)의 감광매체(131)와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하부 프레임(311)에 설치되며, 감광매체(131)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인쇄매체 공급유닛(320)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P)로 전사되도록 한다.
정착유닛(350)은 현상기(100)의 앞쪽에 하부 프레임(311)에 설치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에 정착유닛(3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100)를 하부 프레임(311)에서 탈착하는 방향(화살표 A)으로 현상기(100)의 앞에 설치된다. 정착유닛(350)은 가압롤러(352)와 가열롤러(351)를 포함하며, 가압롤러(352)와 가열롤러(351)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P)에 고온의 열과 고압을 가하여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P)에 정착시킨다. 정착유닛(350)의 상측에는 상측 프레임(312)이 열렸을 때, 사용자의 손이 정착유닛(350)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착커버(354)가 설치된다. 인쇄 중에는 정착커버(354)는 정착유닛(350)의 가열롤러(351)에 의해 가열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이 정착커버(354)에 접촉하여도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배지유닛(360)은 정착유닛(350)을 통과하며 정착이 완료된 인쇄매체(P)를 화상형성장치(300)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부 프레임(312)은 하부 프레임(311)을 덮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상부 프레임(312)은 하부 프레임(311)에 힌지 결합 되며, 스캐닝 유닛(390), 노광유닛(380)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312)의 일단에는 상부 프레임(312)을 하부 프레임(311)과 힌지 결합하는 본체 힌지부(314)가 설치된다. 본체 힌지부(314)는 힌지축과 힌지구멍으로 형성된다. 상부 프레임(312)에 힌지축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하부 프레임(311)에 힌지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312)은 힌지부(314)를 중심으로 하부 프레임(311)에 대해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부 프레임(312)은 하부 프레임(311)에 대해 힌지부(314)를 중심으로 40~80도 정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스캐닝 유닛(390)은 원고를 스캔하는 것으로서, 직선 이동하며 원고를 스캔하는 스캔 모듈(391)과 원고가 놓이는 원고대(392)를 포함한다. 스캔 모듈(391)과 원고대(392)는 일반적인 복합기에 사용되는 평판형 스캐너와 유사하다. 따라서, 스캐닝 유닛(39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노광유닛(380)은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이저 빔을 발광하여 현상기(100)의 감광매체(131)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현상기(100)의 상측으로 상부 프레임(312)에 설치된다. 노광유닛(380)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노광유닛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상형성장치(3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300)는 인쇄명령을 수신하면, 현상기(100)의 대전부재(135)에 전압을 인가하여 감광매체(131)의 표면을 소정 전압으로 대전시키고, 감광매체(131)를 회전시킨다.
이와 거의 동시에 노광유닛(380)을 동작시켜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레이저 빔을 발광한다. 노광유닛(380)에서 발광된 레이저 빔은 현상기(100)의 현상기 하우징(110, 도 2 참조)의 상면(111, 도 2 참조)에 형성된 레이저 빔 구멍(112, 도 2 참조)을 통해 감광매체(111)로 입사되어 대전부재(135)에 의해 대전된 감광매체(131)에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감광매체(131)가 회전을 계속하면, 감광매체(131)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부재(132)와 마주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그러면, 현상부재(132)에 의해 이송되는 토너에 의해 정전잠상이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 현상기 하우징(110)의 토너저장공간(137)에 저장된 토너는 토너공급부재(133)에 의해 현상부재(132)로 공급되고, 토너규제부재(134)에 의해 박층화되어 감광매체(131)로 공급된다.
한편, 인쇄명령이 수신되면, 인쇄매체 공급유닛(320)은 인쇄매체(P)를 한 장 픽업하여 이송롤러유닛(330)으로 이송한다. 픽업된 인쇄매체(P)는 이송롤러유닛(330)에 의해 현상기(100)의 감광매체(131)와 하부 프레임(311)에 설치된 전사롤러(340) 사이로 진입한다.
인쇄매체(P)가 현상기(100)의 감광매체(131)와 전사롤러(340) 사이로 진입하 면, 회전하는 감광매체(131)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인쇄매체(P)로 전사된다.
감광매체(131)가 회전을 계속하면, 토너 화상이 인쇄매체(P)로 전사된 후 감광매체(131)의 표면에 잔류하는 폐토너는 폐토너 클리너(136)에 의해 제거된다. 감광매체(131)에서 제거된 폐토너는 현상기 하우징(110)의 폐토너공간(138)에 저장된다.
감광매체(131)가 회전을 계속하면 대전부재(135)가 감광매체(131)를 다시 소정 전압으로 대전한다.
소정의 전압으로 대전된 감광매체(131)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며, 계속적으로 인쇄매체(P)에 토너 화상을 전사하게 된다.
현상기(100)의 감광매체(131)로부터 토너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P)는 정착유닛(350)으로 이동된다. 인쇄매체(P)가 정착유닛(350)의 가압롤러(132)와 가열롤러(131)의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에 전사된 토너 화상이 인쇄매체(P)에 정착된다.
토너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P)는 배지유닛(360)을 통해 화상형성장치(3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300)에서 본 발명에 의한 현상기(100)를 탈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5 및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현상기(100)를 교체할 경우에,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300)의 본체(310)의 상부 프레임(311)을 하부 프레임(312)에 대해 개방한다. 즉, 상부 프레임(312)을 본체 힌지부(314)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도 5와 같이 하부 프레임(311)과 상부 프레임(312) 사이에 공간(301)을 형성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상부 프레임(312)과 하부 프레임(311) 사이에 형성된 공간(301)으로 손을 뻗어 도 6a와 같이 하부 프레임(311)에 정착유닛(350)의 뒤쪽에 장착된 현상기(100)의 손잡이(120)를 잡는다. 이때, 사용자는 손끝을 손잡이(120)의 입구(120a)로 넣어 손의 아랫면이 파지부(121)에 접촉하도록 하여 현상기(100)의 손잡이(120)를 잡는다.
사용자가 현상기(100)의 손잡이(120)를 잡으면, 도 6b와 같이 현상기(100)는 회전돌기(115)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θ) 회전한다. 이때, 손잡이(120)의 파지부(121)는 현상기 하우징(110)의 상면(111)에 대해 예각(α)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잡이(120)를 잡을 때 사용자의 손이 정착유닛(350)을 덮은 정착커버(354)에 닿지 않는다.
사용자는 손잡이(120)를 잡고 도 6c와 같이 현상기(100)를 상측으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현상기(100)의 회전돌기(115)가 하부 프레임(311)의 회전돌기 수용부(116)에서 빠지게 된다. 사용자는 현상기(100)를 상부 프레임(312)과 하부 프레임(311) 사이의 공간(301)으로 뺄 때, 현상기(100)가 정착유닛(350)에 간섭되지 않는 높이로 들어올리고 현상기(100)를 적절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사용자는 손잡이(120)를 잡고 상부 프레임(312)과 하부 프레임(311) 사이의 공간(301)을 통해 현상기(100)를 하부 프레임(311)에서 탈착한다.
이때, 현상기(100)는 현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예각(α)으로 형성된 파지부(121)를 포함하는 손잡이(120)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잡이(120)의 파지부(121)를 잡아 정착유닛(350)의 뒤쪽에 설치된 현상기(100)를 들어올려 상부 프레임(312) 과 하부 프레임(311) 사이의 좁은 공간(301)을 통해 빼내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손잡이(120)의 파지부(121)는 접촉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현상기(100)를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고, 충분한 힘으로 현상기(10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기(100)는, 사용자가 본체(310)의 하부 프레임(311)에서 현상기(100)를 탈착하는 동안에 현상기(100)가 상부 프레임(312)과 하부 프레임(311)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부 프레임(312)과 하부 프레임(311) 사이에 형성된 공간(301), 즉 현상기(100)의 탈착경로에 대응하여 현상기(100)의 자세를 제어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때, 사용자가 현상기(100)의 자세를 제어하는 것은 사용자가 손잡이(120)의 파지부(121)를 잡고 하부 프레임(311)에 대해 현상기(100)를 임의의 각도로 기울이거나 회전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기,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의 탈착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현상기를 탈착할 때 현상기의 자세를 쉽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현상기를 탈착하는 것이 용이하다. 특히, 현상기가 탈착되는 방향으로 현상기의 앞에 정착유닛이 설치된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정착유닛의 간섭을 받지 않고 현상기를 쉽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현상기는 손잡이의 파지부가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현상기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현상기는 손잡이의 파지부가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므로 파지부의 면적을 가능한 한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충분한 힘으로 현상기의 손잡이를 잡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Claims (26)

  1. 현상기 하우징;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의 일측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고정되며, 파지부가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형성된 회전돌기;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잡으면 상기 현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는 상기 현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감광매체의 축과 동축 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6. 화상형성장치의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힌지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현상기 하우징과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의 일측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파지부가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형성된 회전돌기를 포함하는 현상기;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잡으면 상기 현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한 쌍의 지지부에 의해 상기 현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현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현상기가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돌기 수용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는 상기 현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감광매체의 축과 동축 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삭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이 열렸을 때, 상기 현상기는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된 후, 상기 회전돌기 수용부에서 들어 올려진 다음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하부 프레임에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현상기가 탈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현상기의 앞에 정착유닛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상부 프레임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켜 하부 프레임에 대해 여는 단계;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상기 하부 프레임에 설치된 현상기의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의 일측의 가장자리에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손잡이를 잡는 단계;
    상기 손잡이가 잡히면, 상기 현상기가 상기 현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단계;
    상기 손잡이를 잡고 상기 현상기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단계; 및
    상기 손잡이를 잡고 상기 현상기를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의 공간으로 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의 탈착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때, 상기 현상기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설치된 정착유닛에 간섭되지 않는 높이로 들어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의 탈착방법.
  16. 삭제
  17. 화상형성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현상기용 손잡이이며,
    상기 현상기는,
    현상기 하우징; 및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형성된 회전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의 일측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손잡이의 파지부가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상기 현상기의 상기 손잡이를 잡으면,상기 현상기가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18. 화상형성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현상기용 손잡이이며,
    상기 현상기는,
    현상기 하우징; 및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형성된 회전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의 일측의 가장자리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의 파지부가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상기 현상기의 상기 손잡이를 잡으면 상기 현상기는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파지부의 하면이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후단을 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20. 화상형성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현상기용 현상기 하우징이며,
    상기 현상기는,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의 일측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손잡이; 및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형성된 회전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의 파지부는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상기 현상기의 상기 손잡이를 잡으면 상기 현상기는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하우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한 쌍의 지지부에 의해 상기 현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하우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현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하우징.
  23. 현상기 하우징; 및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의 일측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고정되며, 파지부가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의 파지부는 그 하면이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마주하며,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는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예각으로 열리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현상기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통해 탈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
  2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파지부는 그 하면이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마주하며,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상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가 상기 하부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예각으로 열리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현상기가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통해 탈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현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25428A 2007-03-15 2007-03-15 현상기,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의 탈착방법 KR100950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428A KR100950492B1 (ko) 2007-03-15 2007-03-15 현상기,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의 탈착방법
US11/838,413 US20080226337A1 (en) 2007-03-15 2007-08-14 Developing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etaching developing cartridge from image forming apparatus
CNA2008100016324A CN101266436A (zh) 2007-03-15 2008-01-04 显影盒、成像装置和从成像装置拆卸显影盒的方法
EP08152602.2A EP1970777B1 (en) 2007-03-15 2008-03-11 Developing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etaching developing cartridge from image forming apparatus
BRPI0800782-9A BRPI0800782A2 (pt) 2007-03-15 2008-03-12 cartucho de revelaÇço, aparelho de formaÇço de imagem dotado do mesmo, e mÉtodo de destacar cartucho de revelaÇço do aparelho de formaÇço de imagem
RU2008110033/12A RU2382705C2 (ru) 2007-03-15 2008-03-14 Картридж проявления, содержащее его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отсоединения картриджа проявления от устройства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428A KR100950492B1 (ko) 2007-03-15 2007-03-15 현상기,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의 탈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139A KR20080084139A (ko) 2008-09-19
KR100950492B1 true KR100950492B1 (ko) 2010-03-31

Family

ID=3943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428A KR100950492B1 (ko) 2007-03-15 2007-03-15 현상기,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의 탈착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226337A1 (ko)
EP (1) EP1970777B1 (ko)
KR (1) KR100950492B1 (ko)
CN (1) CN101266436A (ko)
BR (1) BRPI0800782A2 (ko)
RU (1) RU2382705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3961A (ko) * 2010-05-10 2011-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유닛 및 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686B1 (ko) * 2007-03-15 2009-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 장착방법과 탈착방법
US7742717B2 (en) 2007-09-11 2010-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device, memory unit thereof,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718511B2 (en) * 2011-12-30 2014-05-06 Lexmark International, Inc. Imaging unit having a pivoting, collapsible handle
JP5779572B2 (ja) * 2012-12-05 2015-09-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支持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587437B2 (ja) * 2015-07-01 2019-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48163A2 (en) 1994-04-28 2002-10-0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647226B2 (en) 1999-06-28 2003-11-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image forming units with handles
KR20050038079A (ko) * 2003-10-21 200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JP2005274652A (ja) * 2004-03-23 2005-10-06 Kyocera Mita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138B2 (ja) 1986-01-24 1994-11-16 東京電気株式会社 静電写真装置
US5204713A (en) 1990-08-24 1993-04-20 Tokyo Electric Co., Lt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JPH0619225A (ja) 1992-06-30 1994-01-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着脱自在な画像形成装置
US5893006A (en) * 1995-07-31 1999-04-0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detectably mountable to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KR970062827A (ko) 1996-02-17 1997-09-12 김광호 레이저 빔 프린터의 현상기착탈장치
JPH11153893A (ja) * 1997-11-20 1999-06-08 Fujitsu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004178A (ja) * 2003-05-20 2005-01-0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
JP4247688B2 (ja) * 2005-03-30 2009-04-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608068B1 (ko) 2005-05-10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장착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48163A2 (en) 1994-04-28 2002-10-0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647226B2 (en) 1999-06-28 2003-11-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image forming units with handles
KR20050038079A (ko) * 2003-10-21 200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JP2005274652A (ja) * 2004-03-23 2005-10-06 Kyocera Mita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3961A (ko) * 2010-05-10 2011-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유닛 및 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1702436B1 (ko) * 2010-05-10 2017-02-03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현상유닛 및 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70777B1 (en) 2020-04-29
US20080226337A1 (en) 2008-09-18
CN101266436A (zh) 2008-09-17
RU2008110033A (ru) 2009-09-20
EP1970777A3 (en) 2012-10-10
EP1970777A2 (en) 2008-09-17
KR20080084139A (ko) 2008-09-19
BRPI0800782A2 (pt) 2008-11-25
RU2382705C2 (ru) 201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492B1 (ko) 현상기,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의 탈착방법
JP4161952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793960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방법
US9158270B2 (en) Fix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ame, and method of smoothly detaching and attaching fixing device from and to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05166B1 (ko) 접철식 손잡이를 가지는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화상형성장치
KR101246091B1 (ko) 반송로 구조 및 화상형성장치
US5353100A (en) Image apparatus with removable process kit rotatable about a photoreceptor shaft
JP2018040886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280066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041082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JP2006030418A (ja) 画像形成装置
JP4652384B2 (ja) 画像形成装置
JP4130979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80026978A (ko) 화상형성장치
JP6380298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385541B1 (ko) 화상형성장치
JP5029595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601889B1 (ko)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2002304032A (ja) 画像形成装置
JP7091916B2 (ja)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71646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278416A (ja) シャッター部材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8040834A (ja) 画像形成装置
JPS63138359A (ja) 画像生成機
KR20020063700A (ko)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