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8079A -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8079A
KR20050038079A KR1020030073276A KR20030073276A KR20050038079A KR 20050038079 A KR20050038079 A KR 20050038079A KR 1020030073276 A KR1020030073276 A KR 1020030073276A KR 20030073276 A KR20030073276 A KR 20030073276A KR 20050038079 A KR20050038079 A KR 20050038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fe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upp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6169B1 (ko
Inventor
경명호
박문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3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169B1/ko
Priority to US10/941,901 priority patent/US7418221B2/en
Priority to JP2004307225A priority patent/JP2005128548A/ja
Publication of KR20050038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1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transf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transf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4Frame structures using extractable subframes, e.g. on rails or hinges

Abstract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이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된 감광유닛에서 화상을 전사받는 무한궤도상의 전사벨트, 상기 전사벨트를 주행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는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에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사벨트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유닛을 구비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전사유닛의 하우징이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이 용이한 구조로 개선되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시 감광유닛과 같은 접촉물과의 상대위치가 조절되어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편리하고 또한 전사유닛의 교환 작업에 도움이 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A transfer unit for printer }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된 감광유닛에서 화상을 전사받는 무한궤도상의 전사벨트, 상기 전사벨트를 주행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는 상부하우징과 전사벨트의 클리닝 유닛를 구비한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어 화상형성장치에 상하로 착탈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나 복사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현상되는 화상을 전사받아서 다시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유닛이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전사유닛은 그 사용 기간이 장기화되면 화상의 정밀도(精密度)가 서서히 열화된다. 따라서 일정 수명이 지나면 이들을 교환주어야만 깨끗한 화상을 지속적으로 현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전사유닛은 인쇄기에서 용이하게 착탈되어야 하고, 그 구조가 컴팩트하면서도 취급하기 용이해야 하므로 이러한 전사유닛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사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이다.
도면에서 나타나듯이, 전사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크게 OPC(organic photoconductive drum) 드럼을 포함하는 감광유닛(11), 레이저 스캐닝 유닛(12), 현상 장치(13), 전사벨트(14), 전사벨트(14)를 무한궤도 상의 경로에 따라 순환시키는 복수개의 롤러(15), 화상을 전사벨트(14)에 전사하는 제1전사 롤러(16), 화상을 용지에 전사하는 제2 전사 롤러(17),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롤러(18)를 포함하며, 이러한 각종 장치들이 상호 작용하여 대전, 노광, 현상, 전사, 정착 등과 같은 화상형성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용지위에 원하는 화상을 형성한다.
도 2는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종래의 전사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사유닛(20)이 화상형성장치 내부에 마련된 가이드레일(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사유닛(20)은 크게 상기 전사유닛(2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사하우징(23), 상기 전사하우징(23)의 내부에 구비된 전사벨트(14), 상기 전사벨트(14)내에 설치된 복수의 롤러(15)(16)(1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사하우징(23)의 외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42)과 결합하여 슬라이딩하는 가이드부재(35)가 형성된다. 상기 전사유닛(20)의 하부에는 감광유닛(11)이 설치되어, 상기 감광유닛(11)에서 형성된 화상이 상기 전사유닛(20)으로 전사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종래의 전사유닛(20)을 새것으로 교환하기 위해서는, 먼저 화상형성장치 본체(미도시)에 마련된 도어(미도시)를 열고, 화상형성장치 본체(미도시)에 설치된 레버(미도시)를 이용하여 감광유닛(11)을 이격시켜 본체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전사유닛(20)의 제1손잡이(21)를 잡아당겨서 가이드레일(42)을 따라 전사유닛(20)을 빼낸다.
이때 전사유닛(20)이 어느 정도 빠져나오면 상면에 설치된 제2손잡이(22)를 펴서 전사유닛(20)이 떨어지지 않도록 잡아준다. 이후, 새로운 유닛의 장착은 이와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를 가진 전사유닛(20)은 상기 전사하우징(23)을 빼내거나 장착할 때마다 상기 전사하우징(23)의 전면측 손잡이(21)를 잡고 앞으로 잡아당겨서 빼내기 때문에, 너무 세차게 잡아당기는 등 조금만 부주의한 조작을 하면, 상기 전사하우징(23)이 상기 가이드레일(42)에서 빠져나오는 순간에 바닥으로 떨어뜨려서 손상을 입히기가 쉽다.
또한, 상기 전사하우징(23)은 인쇄기 본체(미도시)에서 탈착할 경우, 두 손으로 상기 제1,2손잡이(21)(22)를 잡아서 인쇄기 본체(미도시)에서 좌우측 방향으로 착탈해야 하므로, 상기 전사유닛(20)의 교환작업에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전사유닛의 교환 및 장착작업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시 감광유닛과 같은 접촉물과의 상대위치가 조절되는 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된 감광유닛에서 화상을 전사받는 무한궤도상의 전사벨트 및 상기 전사벨트를 주행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는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에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사벨트를 클리닝 하는 클리닝 유닛을 구비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로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롤러는, 감광유닛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전사롤러; 상기 전사벨트상의 화상을 전사받는 전사매체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구동롤러; 상기 전사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롤러; 상기 구동롤러에 따라 아이들 회전하는 닙롤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백업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각각의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수직벽;상기 수직벽들을 연결하며 벨트의 일부외측을 감싸서 보호하는 커버벽;을 가지는 하우징 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제1 및 제2수직벽에는 상기 텐션롤러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슬롯이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가이드 슬롯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텐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텐션부재와 상기 가이드 슬롯사이에는 피스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가 상기 전사유닛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사벨트의 장력이 상기 피스가 상기 전사유닛에서 제거된 상태에서의 상기 전사벨트의 장력보다 작은 것이 좋으며,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시 장착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롤러들중 어느 하나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제1가이드부재; 및 상기 롤러들중 다른 하나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제2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전사롤러를 감광유닛 쪽으로 가압하는 제1텐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전사롤러의 양단에는 상기 전사벨트와 감광유닛와의 접촉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갭링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부에 회전가능한 손잡이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은 벨트의 주행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클리닝 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하우징 본체; 상기 하부하우징 본체내에 설치되어 클리닝된 폐토너를 회수하는 회수유닛; 및 상기 하부하우징 본체내의 하측에 설치되어 그에 대응되는 감광유닛의 화상농도를 감지하는 화상농도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하부하우징 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에 선택적으로 접촉 및 분리 가능하며, 상기 하부하우징 본체에는 상기 클리닝 유닛을 연동시켜 움직이게 하는 회동부재가 설치된 것이 좋으며,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하부하우징 본체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서로 연동되는 복수의 기어를 가지는 동력전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상부하우징의 롤러들중 어느 하나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수유닛으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유닛의 사시도, 도 4은 도 3에 도시된 전사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사유닛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사유닛(100)은 크게 상부하우징(101) 및 하부하우징(201)을 포함하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하우징(101)에는 화상형성면을 가지는 무한궤도상의 전사벨트(103)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하우징(101)의 상면에는 손잡이(15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101)의 상부는 밀폐되고, 하부는 개방되어 상기 전사벨트(103)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유닛(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감광유닛(283)과 접촉하게 된다.
하부하우징(201)은 상기 상부하우징(101)과 결합하여 상기 전사벨트(103)의 화상형성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먼저, 상부하우징(101)을 중심으로 설명한 후, 상기 상부하우징(101)과 결합하는 하부하우징(201)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하우징(101)은 상부하우징 본체(102), 상기 상부하우징 본체(102)에 설치되는 전사벨트(103)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벨트(103)의 내부에는 상기 전사벨트(103)를 주행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롤러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하우징 본체(102)는 상기 각각의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2수직벽(104)(106) 및 상기 수직벽들(104)(106)을 연결하며 상기 전사벨트(103)의 일부외측을 감싸서 보호하는 커버벽(108)을 가진다.
상기 전사벨트(103)의 내측에는 상기 전사벨트(103)가 상기 복수의 롤러와 결합시 무한궤도상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벨트가이드(14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101)의 제1,2수직벽(104)(106)에는 가이드 슬롯(157)(15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101)에 형성된 센서장착부(154)에는 센서(152)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152)에는 발광부 및 수광부가 구비되어 상기 전사벨트(103)에 형성된 센싱마크(156)에서의 신호를 감지한다. 이때, 감지된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전사벨트(103)의 초기점을 감지하여 벨트의 주행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101)에는 지지부재(131)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131)는 상기 상부하우징(101)의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01)이구조적으로 취약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하우징(101)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상부하우징(101)을 견고한 구조로 형성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롤러는 텐션롤러(119), 전사롤러(113), 구동롤러(111), 닙롤러(115), 적어도 하나이상의 백업지지롤러(117)를 포함한다.
상기 텐션롤러(119)는 상기 전사벨트(103)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사벨트(103)의 장력을 조절하며, 상기 상부하우징(101)의 양 수직벽(104)(106)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텐션롤러(119)의 양단부에는 텐션링(120)이 설치되며, 상기 텐션링(120)에는 탄성부재(135)가 연결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01)과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135)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사롤러(113)는 도 6에서 도시된 감광유닛(283)의 화상을 상기 전사벨트(103)에 전사하도록 상기 감광유닛(283)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전사롤러(113)의 양측면에는 전사링(114)과 텐션링(141)이 더 설치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01)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상부하우징(101)에는 상기 텐션링(14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37)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롤러(111)는 상기 전사벨트(103)에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전사벨트(103)의 화상형성면에 형성된 화상을 용지와 같은 전사매체에 전사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롤러(111)의 양단부 각각에는 상기 전사벨트(103)에 접촉시 베어링역할을 하는 베어링(129)이 설치된다. 어느 한 베어링(129)에는 연결부재(133)가 연결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01)과 결합하며, 반대측 베어링(129)에는 구동기어(112)가 연결된다. 또한 연결부재(133)와 구동기어(112) 각각에는 후술할 제1가이드부재(121)가 결합된다.
상기 백업지지롤러(117)는 상기 구동롤러(111)의 구동력에 따라 회전하며, 추후 설명할 하부하우징(201)의 회수유닛(227)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백업지지롤러(117)의 양단부 각각에는 베어링(127)이 설치된다. 상기 백업지지롤러(117)의 일단부에는 상기 베어링(127)과 결합하는 백업링(118)이 설치되며, 타단부에는 클리닝기어(123)가 베어링(127)과 상기 백업지지롤러(117)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닙롤러(115)는 상기 구동롤러(111)에 따라 아이들(idle) 회전하며, 상기 닙롤러(115)의 양측에는 갭링(116)이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103)가 감광유닛(283)과 결합시 소정거리를 이격시킨다.
상기 벨트가이드(143)에 대응하여, 상기 베어링(127)(129), 립롤러(115), 전사롤러(113), 텐션롤러(119)에는 상기 벨트가이드(143)의 폭에 해당하는 만큼 원형으로 단차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하우징(101)의 제1,2수직벽(104)(106)에는 복수의 가이드부재(122) 및 복수의 텐션부재(16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의 제1,2수직벽(104)(106)에는 상기 복수의 텐션부재(167)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롯(157)(153)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재(122)는 상기 전사유닛(100)을 화상형성장치에 결합 및 분리시 가이드하는 역활을 하며, 상기 복수의 롤러중 어느 하나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제1가이드부재(121) 및 상기 롤러들중 다른 하나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제2가이드부재(12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가이드부재(121)는 상기 구동롤러(111)의 양단부에 설치되며, 제2가이드부재(124)는 백업지지롤러(117)에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텐션부재(167)는 상기 전사유닛(100)의 전사벨트(103)에 텐션을 제공하며, 제1텐션부재(165) 및 제2텐션부재(163)를 포함한다.
상기 제1텐션부재(165)는 전사롤러(113)를 감광유닛(283) 쪽으로 가압하며, 상기 전사롤러(113)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슬롯(153)에 설치되고, 텐션링(141)과 상기 텐션링(141)에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부하우징(101)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텐션부재(163)는 텐션롤러(119)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슬롯(157)에 설치되고, 텐션링(120)과 상기 텐션링(1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텐션부재(163)와 상기 가이드슬롯(157) 사이에는 피스(17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피스(171)는 상기 전사유닛(100)이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되기 전에 상기 제2텐션부재(163)의 스프링 텐션을 고정하며, 상기 전사유닛(100)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설치시에는 상기 가이드슬롯(157)에서 제거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피스(171)가 상기 가이드슬롯(157)에 설치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상기 전사벨트(103a)의 장력이 80%정도의 장력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스(171)가 제거된 경우에는 상기 전사벨트(103c)의 장력이 100%정도로 형성되고, 상기 피스(171)가 제거된 상기 전사유닛(100)이 화상형성장치에 완전히 장착되어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사벨트(103b)는 90%의 장력으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경우에 따라서 각각의 전사벨트(103a)(103b)(103c)에 작용하는 장력이 다르게 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하부하우징을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하부하우징(201)은 상기 상부하우징(101)과 결합하며, 상기 하부하우징(201)의 하방에는 감광유닛(283)의 화상농도를 감지하는 화상농도 감지센서(261)가 설치되어 토너의 농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하우징(201)은 하부하우징 본체(212), 상기 본체(212)에 설치되는 클리닝 유닛(209), 회동부재(247), 비산방지유닛(257) 및 회수유닛(229)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12)의 측면에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서로 연동되는 복수의 기어를 가지는 동력전달유닛(263)이 구비되며, 상기 동력전달유닛(263)은 상기 상부하우징(101)의 복수의 롤러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수유닛(229)으로 전달한다.
상기 클리닝유닛(209)은 상기 하부하우징(201)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103)에 선택적으로 접촉 및 분리되며, 크게 관통개구(204)가 형성된 브라켓(202), 실링부재(203) 및 블레이드(205)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202)의 양측으로는 힌지(206)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206)는 상기 하부하우징(201)의 힌지구멍(262)과 결합하여 상기 하부하우징(201)에서 회동되며, 상기 힌지(206)와 상기 힌지구멍(262)은 결합수단(26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블레이드(205)는 상기 브라켓(202)의 관통개구(204)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103)에서 형성된 토너를 제거하며, 상기 실링부재(203)는 상기 관통개구(204)의 타측에 상기 블레이드(205)와 대향하여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205)에서 제거된 토너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202)에는 제거된 토너가 상기 관통개구(204)를 통하여 수집되지 않은 경우에 미수집 토너를 일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막(207)이 상기 블레이드(205)의 하부에 상기 전사벨트(103)와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02)이 상기 하부하우징(201)과 결합하는 양측에는 제2완충부재(208)가 설치된다.
상기 비산방지유닛(257)은 상기 전사벨트(103)에서 제거된 폐토너가 상기 클리닝유닛(209)을 통하여 상기 하부하우징(201) 내부로 수집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폐토너의 비산을 방지하며, 이러한 폐토너를 보충적으로 수집한다.
이러한 비산방지유닛(257)은 상기 하부하우징(201)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리브(251), 상기 복수개의 리브(251)와 결합하는 비산방지막(253) 및 상기 비산방지막(253)에 형성된 흡착부(255)를 포함한다.
상기 리브(251)는 상기 하부하우징(20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리브(251)사이에는 리브스페이스(252)가 형성된다. 그리고 비산방지막(253)은 상기 리브(251)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흡착부(255)는 상기 비산방지막(253)에서 상기 전사벨트(103)를 향하는 전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비산방지막(253) 자체에 흡착부(255)를 형성시키거나, 별도의 부재로 흡착부(255)를 결합시킬 수 도 있다.
상기 회동부재(247)는 크게 회동바디(243), 상기 회동바디(243)의 일측에서 상기 클리닝유닛(209)을 향하여 형성된 회동돌기(245), 상기 회동바디(243)의 타측에 형성된 캠돌기(241)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바디(243)는 상기 하부하우징(201)에 힌지결합되며, 캠돌기(241)는 회동부재(247)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도 8에 도시된 편심캠(269)과 접촉하여 상기 편심캠(269)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247)를 일정한 주기로 회동시킨다. 이러한 회동부재(247)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클리닝 유닛(209)의 브라켓(202)이 회동하여 상기 전사벨트(103)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전사벨트(103)상의 토너를 제거하게 된다.
회수유닛(229)은 상기 하부하우징(201)에 설치되어, 상기 클리닝유닛(209)에서 제거된 폐토너를 수집하며, 크게 토너담지부(221), 상기 토너담지부(221)내에 설치된 오우거(223), 및 토너배출부재(225)를 포함한다.
상기 토너담지부(221)는 상기 하부하우징(201)내에 형성되며, 상기 오우거(223)는 상기 토너담지부(221)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오우거(223)의 일측에는 상기 동력전달유닛(263)이 연결되며, 타측에는 오우거(223)가 회전됨에 따라 이송되는 폐토너를 배출하는 토너배출부재(225)가 설치된다.
상기 토너배출부재(225)는 상기 오우거(223)를 통하여 이송된 폐토너를 화상형성장치의 토너저장부(미도시)로 배출시키며, 상기 토너배출부재(225)는 상기 전사유닛(100)이 화상형성장치에 미결합시는 밀폐된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전사유닛(100)이 화상형성장치에 결합시는 오픈되어 상기 토너저장부(미도시)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하우징(201)의 내부에는 제1완충부재(275)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1완충부재(275)는 상기 클리닝유닛(209)에 설치된 상기 제2완충부재(208)와 대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2완충부재(275)(208)는 상기 클리닝유닛(209)을 상기 전사벨트(103)를 향하여 가압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유닛(100)이 상기 전사벨트(103) 상의 토너를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내에 구비된 구동원(271)으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상기 편심캠(269)의 회전에 따라 주기적으로 회동부재(247)가 회동하고, 이러한 회동부재(247)의 회동에 따라 상기 브라켓(202)이 회동하여 상기 브라켓(202)에 설치된 블레이드(205)와 실링부재(203)가 상기 전사벨트(103)를 향하여 주기적으로 왕복운동함으로써, 클리닝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클리닝작업을 통하여 제거된 폐토너는 상기 브라켓(209)에 형성된 관통개구(204)를 통하여 수집되며, 이때, 상기 관통개구(204)를 통하여 수집되지 못한 폐토너는 상기 비산방지유닛(257)의 리브(251) 사이로 수집되거나, 상기 비산방지막(253)의 흡착부(255)에 흡착된다.
그리고, 상기 클리닝 작업을 통하여 상기 관통개구(204)로 유입된 폐토너는 상기 토너담지부(221)로 수집되어, 상기 토너담지부(221)에 설치된 오우거(223)를 통하여 상기 토너배출부재(225)로 배출된다.
이하, 이러한 구조와 동작을 가지는 전사벨트가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300)의 장착부 상방에는 도어(320)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전사유닛(100)의 교환은 이 상방의 출입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300) 내의 장착부에는 프레임(310)이 설치되어 있고, 이 프레임(310)에는 제1,2가이드레일(332)(331)이 마련되어 있다. 이중 제2가이드레일(331)은 전사유닛(100)의 제2가이드부재(124)를 가이드하게 되며, 제1가이드레일(332)은 전사유닛(100)의 제1가이드부재(121)를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감광유닛(283)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300)에 장착된 상태로써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300)에는 상기 제1,2가이드레일(332)(331)을 타고 본체(300) 안에 장착된 상기 전사유닛(100)을 로킹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는데, 이 로킹수단은 마주보고 있는 양측 프레임(310)에 하나씩 즉, 한 쌍이 대칭되게 설치된다. 그 구성요소로는, 회전레버(341), 회전캠(342) 및 상기 회전레버(341)가 연동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바(343) 등이 포함된다.
상기 회전레버(341)는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레버(341)의 일측에는 상부안착부(331b)에 안착되는 상기 전사유닛(100)의 제2가이드부재(124)를 이탈되지 않도록 로킹시키기 위한 커버부(344)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캠(342)은 상기 제2가이드레일(331)과 연결되는 레일부(342a)를 구비하여 프레임(3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시 하부안착부(331a)에 안착된 감광유닛(283)의 가이드부재(289)를 눌러서 로킹시키는 가압부(342b)를 구비한다.
따라서, 감광유닛(283)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3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사유닛(100)을 제1,2가이드레일(332)(331)을 따라 장착한 후 상기 회전레버(341)를 돌리면 상기 회전캠(342)의 가압부(342b)는 감광유닛(283)의 가이드부재(289)를 내리 눌러서 감광유닛(283)을 로킹시키고, 동시에 상기 회전레버(341)의 커버부(344)는 상기 전사유닛(100)의 제2가이드부재(124)를 덮어서 로킹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1가이드레일(332)에는 전사유닛(100)의 제1가이드부재(121)를 로킹시키기 위한 보조로킹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보조로킹수단은, 프레임(3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간섭레버(345)와, 상기 간섭레버(345)의 자유단부(348)가 상기 제1가이드레일(332) 쪽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3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간섭레버(345)의 자유단부(348)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121)가 제1가이드레일(332)를 타고 내려올 때에는 부드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경사진 면과, 반대로 타고 올라가려면 걸리도록 단차진 면이 양쪽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감광유닛(283)이 장착된 화상형성장치 본체(300)로 전사유닛(100)을 장착할 경우에는 상기 상부하우징(101)과 하부하우징(201)이 결합된 전사유닛(200)의 제1가이드부재(121)를 제1가이드레일(332)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면서 장착위치로 진입시킨다. 이때 제1가이드부재(121)는 상기 간섭레버(345)의 자유단부(348)를 타고 넘어가서 안착된다.
이와 같이 제1가이드부재(121)의 진입이 완료되면, 이번에는 제2가이드부재(124)를 제2가이드레일(331) 안으로 진입시켜서 상부안착부(331b)에 안착시킨다. 이렇게 되면 전사유닛(100)의 본체(300) 내로의 장착은 끝나게 되며, 이어서 전사유닛(100)을 상기 본체(300)에 완전히 고정시키는 로킹작업이 진행된다.
이 로킹작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로킹수단의 회전레버(341)를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회전레버(341)를 로킹상태로 돌리게 되면, 회전레버(341)의 커버부(344)는 전사유닛(100)의 제2가이드부재(124)를 덮어서 상방으로의 이탈을 막아주고, 상기 회전캠(342)의 가압부(342b)는 감광유닛(283)의 가이드부재(289)를 하부안착부(331a) 쪽으로 눌러서 움직이지 않도록 로킹시킨다. 따라서, 이후에는 상기 회전레버(341)를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리지 않는 한 상기 로킹수단에 의해 상기 전사유닛(100)이 안정된 로킹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사유닛(100)에 설치된 복수의 텐션부재(167)는 상기 화상형성장치(300)내에 구비된 감광유닛(283)과 같은 상대적 접촉물에 대하여 상기 전사유닛(100)의 위치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앞서 언급한 상기 전사벨트(103)의 장력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사유닛(100)을 빼낼 때에는 도어(320)를 열고, 회전레버(341)를 원래 위치인 언로킹 상태로 돌린 후 상기 전사유닛(100)을 들어내고, 필요하다면, 감광유닛(283)도 들어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전사유닛(100)은 화상형성장치 본체(300)에 착탈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며, 화상형성장치 본체(300)에 착탈시 상기 복수의 텐션부재(167)로 인하여 감광유닛(283)과 같은 접촉물과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전사유닛(100)의 상대적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사유닛 유닛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이 용이한 구조로 개선되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시 감광유닛과 같은 접촉물과의 상대위치가 조절되어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편리하고 또한 교환 작업에 도움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기술분야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사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
도 2은 종래의 전사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유닛의 사시도,
도 4은 도 3에 도시된 전사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사유닛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전사유닛의 측면도,
도 7는 도 4에 도시된 전사유닛의 하부하우징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유닛의 클리닝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전사유닛 101;상부하우징
201;하부하우징 121;제1가이드부재
124;제2가이드부재 165;제1텐션부재
163;제2텐션부재

Claims (17)

  1.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된 감광유닛에서 화상을 전사받는 무한궤도상의 전사벨트 및 상기 전사벨트를 주행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는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에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사벨트를 클리닝 하는 클리닝 유닛을 구비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로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장착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는,
    감광유닛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전사롤러;
    상기 전사벨트상의 화상을 전사받는 전사매체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구동롤러;
    상기 전사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롤러;
    상기 구동롤러에 따라 아이들 회전하는 닙롤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백업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각각의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수직벽;상기 수직벽들을 연결하며 벨트의 일부외측을 감싸서 보호하는 커버벽;을 가지는 하우징 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수직벽에는 상기 텐션롤러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6. 제 3 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가이드 슬롯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텐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텐션부재와 상기 가이드 슬롯사이에는 피스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가 상기 전사유닛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사벨트의 장력이 상기 피스가 상기 전사유닛에서 제거된 상태에서의 상기 전사벨트의 장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시 장착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롤러들중 어느 하나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제1가이드부재; 및
    상기 롤러들중 다른 하나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제2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전사롤러를 감광유닛 쪽으로 가압하는 제1텐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롤러의 양단에는 상기 전사벨트와 감광유닛와의 접촉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갭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부에 회전가능한 손잡이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벨트의 주행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클리닝 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하우징 본체;
    상기 하부하우징 본체내에 설치되어 클리닝된 폐토너를 회수하는 회수유닛; 및
    상기 하부하우징 본체내의 하측에 설치되어 그에 대응되는 감광유닛의 화상농도를 감지하는 화상농도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하부하우징 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에 선택적으로 접촉 및 분리 가능하며,
    상기 하부하우징 본체에는 상기 클리닝 유닛을 연동시켜 움직이게 하는 회동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하부하우징 본체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서로 연동되는 복수의 기어를 가지는 동력전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상부하우징의 롤러들중 어느 하나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수유닛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KR10-2003-0073276A 2003-10-21 2003-10-21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KR100516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276A KR100516169B1 (ko) 2003-10-21 2003-10-21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US10/941,901 US7418221B2 (en) 2003-10-21 2004-09-16 Transfer unit used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307225A JP2005128548A (ja) 2003-10-21 2004-10-21 画像形成装置の転写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276A KR100516169B1 (ko) 2003-10-21 2003-10-21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079A true KR20050038079A (ko) 2005-04-27
KR100516169B1 KR100516169B1 (ko) 2005-09-22

Family

ID=34510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276A KR100516169B1 (ko) 2003-10-21 2003-10-21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18221B2 (ko)
JP (1) JP2005128548A (ko)
KR (1) KR1005161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491B1 (ko) * 2005-07-21 2007-12-05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950492B1 (ko) * 2007-03-15 2010-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의 탈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3821B2 (ja) * 2006-08-11 2012-12-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12781B2 (ja) * 2012-06-01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6027353A (ja) * 2013-08-22 2016-02-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225935B2 (ja) * 2015-03-09 2017-11-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0369A (en) * 1989-11-15 1992-08-18 Konica Corporatio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rocess cartridge containing a belt shaped image carrier, toner replenishing means and detachable paper cartridge
JPH06110261A (ja) * 1992-09-25 1994-04-22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101133B2 (ja) 1993-09-07 2000-10-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画像記録装置
US5612771A (en) * 1993-09-07 1997-03-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color electrophotographic printer having multiple image forming units for creating multiple toner images in registry
JP3340545B2 (ja) 1993-12-28 2002-11-0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129146B2 (ja) * 1994-09-07 2001-01-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H08137181A (ja) * 1994-11-11 1996-05-31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154642B2 (ja) 1995-04-28 2001-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トナー現像枠体とクリーニング枠体の結合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81004A (ja) 1995-09-18 1997-03-28 Canon Inc 回収トナー容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9152791A (ja) * 1995-09-26 1997-06-1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887228A (en) * 1995-10-16 1999-03-23 Ricoh Company, Ltd.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process cartridge
JP3397590B2 (ja) 1996-07-04 2003-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133450A (ja) * 1996-11-05 1998-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6408158B1 (en) * 1997-01-31 2002-06-18 Seiko Epson Corporation Intermediate transfer unit
JPH10301464A (ja) * 1997-02-27 1998-11-1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5983062A (en) * 1997-04-18 1999-11-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hifting means to position image transfer unit
JP3508499B2 (ja) * 1997-09-10 2004-03-22 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1242680A (ja) * 1999-06-14 2001-09-0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該装置に用いるユニット装置、並びにベルト装置
JP2001201915A (ja) 2000-01-18 2001-07-2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249522A (ja) * 2000-03-06 2001-09-14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848066B2 (ja) * 2000-08-21 2006-11-22 株式会社沖データ ベルトユニットと該ベルトユニットが装着される装置
US6611672B2 (en) * 2000-09-26 2003-08-26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mono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toner recycling apparatus and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JP2003050531A (ja) * 2001-05-29 2003-02-2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3076155A (ja) 2001-09-04 2003-03-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中間転写ユニット及び記録材搬送ユニット
US6799011B2 (en) * 2001-11-05 2004-09-28 Seiko Epson Corporation Tandem-type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3271037A (ja) 2002-03-15 2003-09-25 Seiko Epson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3295724A (ja) 2002-04-01 2003-10-15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KR100462613B1 (ko) * 2002-07-09 2004-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의 감광유닛 및 전사유닛 교환 시스템
US6990298B2 (en) * 2003-02-28 2006-01-2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44191B1 (ko) * 2003-07-05 2006-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감광유닛 및 전사유닛 교환 시스템 및 그 교환 시스템을가진 인쇄기
JP4827373B2 (ja) * 2003-10-16 2011-11-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491B1 (ko) * 2005-07-21 2007-12-05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7894734B2 (en) 2005-07-21 2011-02-22 Fuji Xerox Co., Ltd. Pressure adjusting mechanism for a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950492B1 (ko) * 2007-03-15 2010-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의 탈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28548A (ja) 2005-05-19
US20050084291A1 (en) 2005-04-21
US7418221B2 (en) 2008-08-26
KR100516169B1 (ko) 200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0924B1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915474B1 (ko) 화상 형성 장치
US836973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494519B2 (ja) 画像形成装置
US8260171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864103B1 (ko) 화상 형성 장치
JP4695913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EP0407183A2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820358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leaning member configured to clean a transparent member of an optical device
JP2009092914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067875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9016925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587188B2 (ja)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20010031153A1 (en)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16169B1 (ko)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US816550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leaning unit fixed to drawer
JP5106213B2 (ja) 画像形成装置
JP7254548B2 (ja) 画像形成装置
JP6833362B2 (ja) 画像形成装置
JP5106212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516170B1 (ko)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KR100548137B1 (ko) 전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H0367272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21135402A (ja)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301248A (ja) 作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