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8137B1 - 전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전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8137B1
KR100548137B1 KR1020030073273A KR20030073273A KR100548137B1 KR 100548137 B1 KR100548137 B1 KR 100548137B1 KR 1020030073273 A KR1020030073273 A KR 1020030073273A KR 20030073273 A KR20030073273 A KR 20030073273A KR 100548137 B1 KR100548137 B1 KR 100548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leaning
transfer belt
blad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8076A (ko
Inventor
경명호
박문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3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137B1/ko
Publication of KR20050038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0026Cleaning of foreign matter, e.g. paper powder, from imaging member
    • G03G2221/0068Cleaning mechanism
    • G03G2221/0089Mechan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전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상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과 결합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에 있어서, 상기 전사벨트에 접촉되어 클리닝하는 클리닝 위치와 상기 전사벨트로부터 이격되는 해제위치사이로 이동되게 상기 하부하우징에 설치되는 클리닝 유닛, 상기 클리닝 유닛을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유닛 및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클리닝 유닛을 작동하여 클리닝위치와 해제위치사이를 움직이면서, 상기 전사벨트를 클리닝하고 동시에 상기 전사벨트에서 제거된 토너를 실링하게 되어 구조가 단순화되며, 부품수가 감소함에 따라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줄어들고 구동장치의 작동신뢰성이 높아진다.
전사유닛, 구동장치, 클리닝, 토너, 블레이드, 실링부재

Description

전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A transfer unit and printer equipped with the same }
도 1은 종래의 전사유닛이 채용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사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사유닛의 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하부하우징의 분해사시도,
도 6a 및 6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전사유닛 101;상부하우징
201;하부하우징 257;비산방지유닛
209;클리닝유닛 264;해제유닛
272;가압부재 268;축받이부
247;레버부재 266;힌지축
본 발명은 전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리닝위치와 해제위치사이에서 클리닝 유닛을 작동하여 상기 전사벨트를 클리닝하면서 동시에 상기 전사벨트에서 제거된 토너를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나 복사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현상되는 화상을 전사받아서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유닛이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전사유닛은 상기 전사유닛에 설치된 전사벨트에 형성된 화상을 종이로 전사한 후 잔존하는 토너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토너를 제거하는 토너제거부재나 블레이드가 원활하게 작동하는 전사유닛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토너제거부재나 블레이드가 작동되는 전사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나타나듯이, 전사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크게 OPC(organic photoconductive drum) 드럼을 포함하는 감광유닛(11), 레이저 스캐닝 유닛(12), 현상 장치(13),전사벨트(14), 전사벨트(14)를 무한궤도 상의 경로에 따라 순환시키는 복수개의 롤러(15), 화상을 전사벨트(14)에 전사하는 제1전사 롤러(16), 화상을 기록지에 전사하는 제2 전사 롤러(17),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롤러(18)를 포함한다. 이러한 각종 장치들이 상호 작용하여 대전, 노광, 현상, 전사, 정착 등과 같은 화상형성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기록지 위에 원하는 화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사벨트(14)의 일측에는 상기 전사벨트(14)에 형성된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30)가 마련된다.
상기 클리닝 장치(30)는 클리닝 블레이드(21), 실링부재(24) 및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21)에서 제거된 토너를 수집하는 토너저장부(22)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21)에는 블레이드 구동부재(23)가 설치되며, 상기 실링부재(24)에는 실링 구동부재(2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구동부재(23)에는 제1구동원(27)이 연결되고, 상기 실링 구동부재(25)에는 제2구동원(26)이 연결되며, 상기 제1,2구동원(27)(26)은 화상형성장치 본체(미도시)의 구동원(미도시)에서 각각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블레이드(21) 및 실링부재(24)를 구동하여 전사벨트(14)와 접촉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21) 및 상기 실링부재(24)가 상기 전사벨트(14)를 향하여 밀착시에는 상기 전사벨트(14)에 형성된 토너를 제거한다. 상기 블레이드(21)와 실링부재(24)가 전사벨트(14)에서 이격된 경우에는 상기 감광유닛(11)으로 부터 전사벨트(14)로 화상이 전사되고, 이렇게 전사된 화상이 다시 용지로 전사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가진 클리닝 장치(30)를 구비한 전사유닛(20)은 블레이드(21) 및 실링부재(24)가 각각의 부품으로 구성되므로, 부품수가 증가하여 상기 장치(30)를 포함하는 전사유닛(20)의 작동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부품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 구조가 필연적으로 복잡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부품에 따른 점유공간이 늘어나서 상기 구동장치(30)가 대형화되고, 이에 따라 전사유닛(20) 및 화상형성장치도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 기 블레이드(21) 및 실링부재(24)가 각각 연동하므로 상기 전사벨트(14)에 동시에 밀착하여 토너제거 및 실링작용을 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클리닝위치와 해제위치사이에서 전사벨트를 클리닝하면서 동시에 전사벨트에서 제거된 토너를 실링할 수 있는 구조가 개선되고 동작이 간단한 전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사유닛은 상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과 결합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에 있어서,상기 전사벨트에 접촉되어 클리닝하는 클리닝 위치와 상기 전사벨트로 부터 이격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되게 상기 하부하우징에 설치되는 클리닝 유닛;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구동원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클리닝 유닛을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유닛; 및 상기 클리닝 유닛을 상기 클리닝 위치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하부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상의 토너를 제거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의 상류에 위치되게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된 토너의 비산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클리닝위치에서 적어도 상기 블레이드보다 먼저 전사벨트와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클리닝 위치에서 상기 전사벨트에 동시에 접촉되며,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실링부재는 탄성부재로 형성된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해제유닛은, 상기 하부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클리닝 유닛을 상기 해제위치와 상기 클리닝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는 레버부재; 및 상기 레버부재를 지지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하우징 각각에는 힌지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가 대응되게 마련된 것이 좋다.
이와 동시에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클리닝 유닛을 간섭하는 간섭돌기;및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간섭돌기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원에 의해 간섭되는 동력전달돌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되어 화상이 형성되는 감광유닛;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된 감광유닛으로 부터 화상을 전사받는 전사벨트가 주행가능하게 설치된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전사벨트에 접촉되어 클리닝하는 클리닝 위치와 상기 전사벨트로 부터 이격되는 해제위치사이로 이동되게 상기 하부하우징에 설치되는 클리닝 유닛; 상기 상부 및 하부하우징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클리닝 유닛을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유닛; 상기 클리닝 유닛을 상기 클리닝 위치로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해제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 다.
이때,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해제유닛과 접촉하여 상기 해제유닛을 회동시키는 캠부재; 및 상기 캠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벨트로 전사된 화상이 전사매체로 전사된 후 상기 구동유닛을 작동하여 상기 클리닝 유닛을 클리닝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하부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상의 토너를 제거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의 상류에 위치되게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된 토너의 비산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클리닝 위치에서 상기 전사벨트에 동시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실링부재는 탄성부재로 형성된 것이 좋다.
이와 동시에 상기 해제유닛은, 상기 하부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클리닝 유닛을 상기 해제위치와 상기 클리닝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는 레버부재; 및 상기 레버부재를 지지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하우징 각각에는 힌지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가 대응되게 마련된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클리닝 유닛을 간섭하는 간섭돌기; 및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간섭돌기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유닛으로 부터 간섭되는 동력전달돌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사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사유닛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100)은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하우징(101) 및 상기 상부하우징(101)과 결합하는 하부하우징(201)을 포함한다.
상부하우징(101)에는 화상형성면을 가지는 무한궤도상의 전사벨트(103)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하우징(101)의 상면에는 손잡이(15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101)은 상부는 밀폐되고, 하부는 개방되어 상기 전사벨트(103)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유닛(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감광유닛(283)과 접촉하게 된다.
하부하우징(201)은 상기 상부하우징(101)과 결합되어, 상기 전사벨트(103)의 화상형성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먼저, 상부하우징(101)을 중심으로 설명한 후, 상기 상부하우징(101)과 결합하는 하부하우징(201)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전사유닛(100)의 양 측면에는 복수의 가이드부재(121)(122) 및 복수의 텐션부재(167)가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재(121)(122)는 상기 전사유닛(100)을 화상형성장치에 결합 및 분리시 가이드하는 역활을 하며, 상기 복수의 텐션부재(167)는 상기 전사유닛(100)의 전사벨트(103)에 텐션을 제공하며, 제1텐션부재(165) 및 제2텐션부재(163)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하우징(101)의 상기 전사벨트(103)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롤러가 설치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텐션롤러(119), 제1전사롤러(113), 제2전사롤러(111), 닙롤러(115) 및 클리닝백업롤러(117)가 설치된다.
상기 텐션롤러(119)는 상기 전사벨트(103)의 장력을 조절한다. 상기 텐션롤러(119)의 양단부에는 텐션링(120)과 탄성부재(135)가 설치되어 상부하우징(101)과 결합한다. 그리고 제1전사롤러(113)는 감광유닛(283)의 화상을 전사벨트(103)에 전사하며, 상기 제1전사롤러(113)의 양단부에는 텐션링(141) 및 탄성부재(137)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전사롤러(111)는 상기 전사벨트(103)에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전사벨트(103)의 화상형성면에 형성된 화상을 용지에 전사하며 제2전사롤러(111)의 양단부에는 제1가이드돌기(121)가 설치된다. 상기 클리닝 백업롤러(117)는 상기 제2전사롤러(111)의 구동력에 따라 전사벨트(103)에 의해 피동회전된다. 제2가이드돌기(124)는 클리닝백업롤러(117)에 설치되어 화상형성장치내에 결합시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닙롤러(115)는 전사벨트(103)의 주행시 마찰에 의해 아이들(idle) 회전한다.
이러한 복수의 롤러(111)(113)(115)(117)(119)에 지지된 전사벨트(103)는 상기 감광유닛(283)에서 형성된 화상을 전사받아, 다시 용지에 전사하게 된다. 상기 전사벨트(103)의 내측에는 상기 전사벨트(103)가 상기 복수의 롤러(111)(113)(115)(117)(119)와 결합시 무한궤도상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벨트가이드(14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101)의 양측면에는 각각 상기 클리닝 백업롤러(117), 닙롤러(115), 텐션롤러(119), 제1전사롤러(113) 및 제2전사롤러(111)가 설치되도록, 각각의 롤러에 대응하는 복수의 슬롯(161)(159)(157)(153)(151)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하우징(201)은 상기 상부하우징(10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전사유닛(100)의 하부에는 감광유닛(283)이 설치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사유닛의 하부하우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하부하우징(201)에는 클리닝 유닛(209), 해제유닛(264), 비산방지유닛(257), 가압부재(272) 및 회수유닛(229)이 설치된다.
클리닝유닛(209)은 상기 하부하우징(20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크게 수집개구(204)가 형성된 브라켓(202), 실링부재(203) 및 블레이드(205)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202)의 양측으로는 힌지부재(206)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재(206)는 상기 하부하우징(201)의 구멍(262)과 결합하여 상기 하부하우징(201)에서 회동되며, 상기 힌지(206)와 상기 힌지구멍(262)은 결합수단(26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블레이드(205)는 상기 브라켓(202)의 수집개구(204)의 일측에 전사벨트(103)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103)상의 토너를 제거한다. 상기 실링부재(203)는 상기 수집개구(204)의 타측에 상기 블레이드(205)의 상류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205)에서 제거된 토너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블레이드(205) 및 상기 실링부재(203)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02)에는 상기 수집개구(204)를 통하여 상기 회수유닛(229)으로 이동되지 못한 폐토너를 상기 비산방지유닛(257)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막(207)이 설치된다.
상기 해제유닛(264)은 상기 상부하우징(101) 및 하부하우징(201)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하우징(201)에 설치되며 레버부재(247) 및 힌지축(266)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부재(247)는 상기 하부하우징(20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힌지축(266)은 상기 레버부재(247)를 지지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266)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268)가 상부하우징(101) 및 하부하우징(201)에 서로 대응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부재(247)는 상기 클리닝 유닛(209)을 간섭하는 간섭돌기(245) 및 상기 힌지축(266)을 기준으로 간섭돌기(245)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된 구동원에 의해 부터 간섭되는 동력전달돌기(241)를 구비한다.
상기 비산방지유닛(257)은 상기 하부하우징(201)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103)에서 제거된 폐토너가 상기 하부하우징(201) 내부의 회수유닛(229)으로 수집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폐토너의 비산을 방지한다.
이러한 비산방지유닛(257)은 비산방지막(253), 복수의 리브(251), 상기 비산방지막(253)에 형성된 흡착부(255)를 포함한다.
상기 비산방지막(253)은 상기 하부하우징(201)에 상기 전사벨트(103)와 마주 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클리닝 유닛(209)에 의해 제거된 토너가 상기 전사벨트(103)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비산방지막(253)에는 흡착부(255)가 형성되어 상기 클리닝유닛(209)에서 제거되어 비산되는 토너를 흡착한다. 이 흡착부(255)는 상기 비산방지막(253)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마련할 수 있고, 또는 접착제를 비산방지박(253)에 도포하여 마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리브(251)는 상기 하부하우징(201)과 상기 비산방지막(253) 사이에 설치되어 토너의 이동을 방지한다. 그리고 리브(251)사이에는 리브스페이스(252)가 형성되어 상기 클리닝유닛(209)에서 제거된 토너가 수집된다. 상기 리브(251)들은 상기 비산방지막(253)을 지지하도록 상기 전사벨트(103)의 자세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진다.
상기 가압부재(272)는 상기 클리닝 유닛(209)을 전사벨트(103)를 향하여 가압하며, 상기 클리닝 유닛(209)에 설치된 제1가압부재(208) 및 상기 하부하우징(201)의 내측에 제1가압부재(208)에 대응하여 설치된 제2가압부재(275)를 포함한다. 상기 제1,2가압부재(208)(275)는 상기 클리닝유닛(209)에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클리닝유닛(209)이 회동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스폰지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수유닛(229)은 상기 하부하우징(201)에 설치되어, 상기 클리닝유닛(209)에서 제거된 폐토너를 수집하며, 크게 토너담지부(221), 상기 토너담지부(221)내에 설치된 오우거(223), 및 토너배출부재(225)를 포함한다.
상기 토너담지부(221)는 상기 하부하우징(201)내에 설치되며, 상기 오우거(223)는 상기 토너담지부(221)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오우거(223)가 회전됨에 따라 이송되는 폐토너를 배출하는 토너배출부재(225)가 상기 하부하우징(201)의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하우징(201)의 타측에는 기어유닛(263)이 설치되어 상기 오우거(223)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도 4에서 나타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전사유닛(100)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전사유닛(100), 화상형성장치 본체(300)에 마련되어 화상이 형성되는 감광유닛(283), 상기 전사유닛(100)에 구비된 해제유닛(26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310) 및 상기 구동유닛(310)을 제어하는 제어부(303)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유닛(310)은 도 5에 도시된 상기 해제유닛(264)과 접촉하여 상기 해제유닛(264)을 회동시키는 캠부재(269) 및 상기 캠부재(269)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원(301)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캠부재(269)는 편심캠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03)는 화상형성장치 본체(300)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유닛(310)의 구동원(301)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구동유닛(310)을 제어하며, 상기 구동원(301)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300)에 구동력을 제공하며, 일반적인 구동모터로 구성되어 상기 캠부재(269)에 기어유닛으로 연결되거나 타이밍벨트로 연결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a,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유닛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6a는 클리닝 유닛(209)이 상기 전사벨트(103)에 접촉되어 전사벨트(103)상의 토너를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때 클리닝 유닛(209)이 상기 전사벨트(103)에 접촉하는 위치를 클리닝위치라 한다. 그리고 도6b는 클리닝 유닛(209)이 상기 전사벨트(103)에서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때 클리닝 유닛(209)이 이격된 위치를 해제위치라 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303)는 상기 전사벨트(103)로 전사된 화상이 용지와 같은 전사매체로 전사된 후 상기 구동유닛(310)을 작동하여 상기 해제유닛(264)을 통하여 클리닝 유닛(209)을 클리닝 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구동유닛(310)의 구동원(301)에서 동력을 전달받은 캠부재(269)는 해재유닛(264)의 레버부재(24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허용한다. 그러면, 상기 클리닝 유닛(209)은 가압부재(272)의 복원력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실링부재(203)는 적어도 상기 블레이드(205)보다 먼저 전사벨트(103)와 접촉하여 전사벨트(103)상의 토너를 제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리닝유닛(209)의 블레이드(205) 및 실링부재(203)는 동시에 상기 전사벨트(103)에 접촉하여 전사벨트(103)상의 토너를 제거하여, 전사벨트(103)상의 토너가 전사유닛(100)내에서 비산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클리닝 유닛(209)의 상기 블레이드(205) 및 실링부재(203)는 상기 전사벨트(103)에 동시에 접촉하여 블레이드(205)는 전사벨트(103)상의 토너를 제거하고 실링부재(203)는 제거된 토너의 비산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제거된 토너는 상기 수집개구(204)를 통하여 토너담지부(221)로 수집되며, 미수집된 토너는 비산방지유닛(257)으로 다시 수집된다.
따라서, 상기 클리닝위치에서 클리닝 유닛(209)의 블레이드(205) 및 실링부재(203)가 하나의 브라켓(202)에 설치되어 동시에 전사벨트(103)에 접촉하므로, 상기 전사벨트(103)를 클리닝하면서 동시에 실링하게 되어 효과적으로 토너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클리닝 작업이 끝나고, 다시 감광유닛(283)에서 화상을 전사받아 용 지로 전사하는 과정에는 제어부(303)가 상기 클리닝 유닛(209)을 해제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구동유닛(310)의 캠부재(269)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제유닛(264)의 레버부재(247)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클리닝 유닛(209)은 전사벨트(103)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해제위치에서 전사유닛(100)은 감광유닛(283)에서 화상을 전사받아 다시 종이와 같은 전사매체로 재전사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이 끝나면, 다시 제어부(303)에서 구동유닛(310)을 제어하여 클리닝 유닛(209)을 클리닝위치로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272)는 압축상태에서 벗어나 다시 클리닝 유닛(209)을 전사벨트(103)를 향하여 가압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해제유닛(264)은 상기 제어부(303)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클리닝유닛(209)을 클리닝위치와 해제위치에서 이동시키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상기 전사유닛(100)의 전사 및 클리닝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전사유닛(100)은 전사유닛(100)내에 구비된 클리닝 유닛(209)이 원활하게 클리닝 위치와 해제위치 사이를 움직이면서,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고 이러한 클리닝 작업중 토너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전사유닛(100)내에서의 화상의 전사되는 과정이 용이하게 되고 이러한 전사유닛(100)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는 내구성이 향상되고 고장이 줄어들게 된다.
전사유닛내에 구비된 클리닝 유닛이 원활하게 클리닝 위치와 해제위치사이 를 움직이면서,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고 이러한 클리닝 작업중 단순한 구조로 토너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이러한 전사유닛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는 내구성이 향상되고 고장이 줄어들어 전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작동신뢰성이 높아진다.
또한, 클리닝 유닛에 실링부재 및 블레이드가 동시에 설치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부품수가 감소하게 되어 생산공정이 감소하고 가격경쟁력이 높아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기술분야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7)

  1. 상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과 결합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에 있어서,
    상기 전사벨트에 접촉되어 클리닝하는 클리닝 위치와 상기 전사벨트로 부터 이격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되게 상기 하부하우징에 설치되는 클리닝 유닛;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구동원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클리닝 유닛을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유닛; 및
    상기 클리닝 유닛을 상기 클리닝 위치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하부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상의 토너를 제거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의 상류에 위치되게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된 토너의 비산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클리닝위치에서 적어도 상기 블레이드보다 먼저 전사벨트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클리닝 위치에서 상기 전사벨트에 동시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5.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실링부재는 탄성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유닛은,
    상기 하부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클리닝 유닛을 상기 해제위치와 상기 클리닝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는 레버부재; 및
    상기 레버부재를 지지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하우징 각각에는 힌지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가 대응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클리닝 유닛을 간섭하는 간섭돌기;및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간섭돌기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원에 의해 간섭되는 동력전달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9.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되어 화상이 형성되는 감광유닛;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된 감광유닛으로 부터 화상을 전사받는 전사벨트가 주행가능하게 설치된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전사벨트에 접촉되어 클리닝하는 클리닝 위치와 상기 전사벨트로 부터 이격되는 해제위치사이로 이동되게 상기 하부하우징에 설치되는 클리닝 유닛;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클리닝 유닛을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유닛;
    상기 클리닝 유닛을 상기 클리닝 위치로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해제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해제유닛과 접촉하여 상기 해제유닛을 회동시키는 캠부재; 및
    상기 캠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벨트로 전사된 화상이 전사매체로 전사된 후 상기 구동유닛을 작동하여 상기 클리닝 유닛을 클리닝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하부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상의 토너를 제거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의 상류에 위치되게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된 토너의 비산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클리닝 위치에서 상기 전사벨트에 동시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실링부재는 탄성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유닛은,
    상기 하부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클리닝 유닛을 상기 해제위치와 상기 클리닝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는 레버부재; 및
    상기 레버부재를 지지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하우징 각각에는 힌지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가 대응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클리닝 유닛을 간섭하는 간섭돌기; 및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간섭돌기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유닛으로 부터 간섭되는 동력전달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30073273A 2003-10-21 2003-10-21 전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548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273A KR100548137B1 (ko) 2003-10-21 2003-10-21 전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273A KR100548137B1 (ko) 2003-10-21 2003-10-21 전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076A KR20050038076A (ko) 2005-04-27
KR100548137B1 true KR100548137B1 (ko) 2006-02-02

Family

ID=37240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273A KR100548137B1 (ko) 2003-10-21 2003-10-21 전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1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439B1 (ko) * 2017-04-10 2018-07-13 주식회사신도리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439B1 (ko) * 2017-04-10 2018-07-13 주식회사신도리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076A (ko)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1328A (en) Process cartridge having connectable first and second frames and a recording apparatus using such a process cartridge
JP4695913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20120288303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6555967B2 (ja) 画像形成装置
JP3969990B2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27234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095538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548137B1 (ko) 전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2003195649A (ja) 電子写真装置用ベルトユニット
JP3680914B2 (ja) 画像形成装置
EP0712052A2 (en) Transfer device of image forming machine
JP4163472B2 (ja) 処理装置及びシート処理装置
JPH11315891A (ja) 回転体駆動装置
JP5725338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516170B1 (ko)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JP2001100550A (ja) 画像形成装置
KR100516169B1 (ko)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JPH09236993A (ja) 画像形成装置
JP5495927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用現像装置
JP2005062274A (ja) 画像形成装置
JP269017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304368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352220A (ja) 画像形成装置
JPS62145258A (ja) 画像形成装置
JP4766366B2 (ja) 回転装置、給紙装置、画像形成装置、回転装置の組立方法及び解体方法並びに給紙装置の組立方法及び解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