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6978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6978A
KR20080026978A KR1020060092289A KR20060092289A KR20080026978A KR 20080026978 A KR20080026978 A KR 20080026978A KR 1020060092289 A KR1020060092289 A KR 1020060092289A KR 20060092289 A KR20060092289 A KR 20060092289A KR 20080026978 A KR20080026978 A KR 20080026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developing cartridge
main body
body frame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2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6978A/ko
Priority to US11/770,784 priority patent/US20080075501A1/en
Priority to CNA2007101518395A priority patent/CN101149579A/zh
Publication of KR20080026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84Projections on process cartridge for guiding mounting thereof in main machine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현상카트리지와;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현상카트리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다른 하나에 대해 결합 및 결합해제되는 버튼과;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현상카트리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버튼과 결합하는 버튼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본체프레임에 현상카트리지를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 본체프레임에 현상카트리지가 결합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프레임과 현상카트리지가 결합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수용부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이 본체프레임에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카트리지가 본체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카트리지가 본체프레임으로부터 탈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화상형성장치 20 : 현상카트리지
28 : 케이싱 29 : 버튼
29a : 버튼본체 29b : 탄성부재
29c : 빗면 29d : 플랜지
70 : 본체케이싱 71 : 본체프레임
72 : 버튼수용부 72a : 버튼수용부본체
72b : 플랜지수용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프레임에 대한 현상카트리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출력신호에 따라 호스트에서 저장된 화상데이타를 용지에 가시화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감광체 상에 현상제를 선택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와, 감광체 상에 현상된 현상제를 용지에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수단 등을 마련하여 원하는 화상을 용지에 가시화한다.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그리고 이들을 포함하는 복합기 등이 있다.
종래 화상형성장치는 급지부와 전사수단 그리고 광주사장치 등을 포함하는 본체와,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며 감광체와, 현상롤러, 그리고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카트리지를 포함한다. 현상카트리지는 내부에 저장된 현상제가 소진되면 현상제가 충진된 새 현상카트리지로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프레임(110)에 현상카트리지(120)가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화상형성장치(100)는 사용자가 현상카트리지(120)를 본체프레임(110)에 화살표방향으로 가압하면 본체프레임(110) 내부에 현상카트리지(120)가 장착된다. 이 때, 종래 화상형성장치(100)는 현상카트리지(120)가 본체프레임(110)에 완전히 장착되면, 본체프레임(110)의 양단부에 마련된 탄성부재(130)가 현상카트리지(120)의 장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현상카트리지(120)가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 화상형성장치(100)는 토션스프링으로 구현되는 탄성부재(130)가 현상카트리지(120)에 가하는 탄성력이 현상카트리지(120)의 이동방향에 평행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현상카트리지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는 탄성력과, 현상카트리지(120)가 본체프레임(1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탄성력의 중간값을 갖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탄성부재(130)가 갖는 탄성력이 상술한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탄성력이 큰 경우 사용자가 현상카트리지(120)를 탈착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고, 탄성력이 작은 경우 화상형성도중 현상카트리지(120)가 이동하여 화상품질이 저하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현상카트리지를 본체프레임에 용이하게 착탈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상카트리지가 본체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일정한 화상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복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현상카트리지와;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현상카트리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다른 하나에 대해 결합 및 결합해제되는 버튼과;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현상카트리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버튼과 결합하는 버튼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은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현상카트리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다른 하나에 대해 돌출 및 후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버튼은 버튼본체와, 상기 버튼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본체가 탄성적으로 돌출 및 후퇴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본체는 일측에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결합방향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마련된 빗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버튼본체는 상기 돌출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버튼본체의 선단부로 갈수록 연장폭이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버튼수용부는 일측에 상기 플랜지를 수용하는 플랜지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현상카트리지와;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현상카트리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다른 하나에 대해 돌출 및 후회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버튼이 돌출 및 후퇴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현상카트리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버튼을 수용하여 맞물리는 버튼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은 상기 수용부에 대해 돌출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버튼을 후퇴하도록 하는 빗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빗면은 곡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버튼은 상기 돌출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버튼의 선단부로 갈수록 연장폭이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버튼수용부는 일측에 상기 플랜지를 수용하는 플랜지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용지를 적재하며 용지를 현상카트리지(20)로 공급하는 급지부(10)와, 본체케이싱(70)에 착탈가능하게 마련 되어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카트리지(20)와, 현상카트리지(20)의 감광체(22)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유닛(30)과, 감광체(22)에 도포된 현상제를 용지로 전사하는 전사유닛(40)과, 현상카트리지(20)와 전사유닛(40) 사이에서 현상제가 도포된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부(50)와, 용지가 배지되는 배지부(60)와, 이들을 지지하는 본체케이싱(70)을 포함한다.
급지부(10)는 용지를 적재하는 녹업플레이트(11)와, 녹업플레이트(11)를 픽업롤러(13)로 승강시키는 탄성부재(11a)와, 녹업플레이트(11)의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13)와, 픽업롤러(13)에서 픽업된 용지를 현상카트리지(20)와 전사유닛(40) 사이로 이송하는 이송롤러(15)를 포함한다. 급지부(10)는 본체케이싱(70)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며 인쇄신호의 인가에 따라 녹업플레이트(11)를 픽업롤러(13) 측으로 탄성적으로 승강시켜 용지를 급지한다. 픽업롤러(13)는 녹업플레이트(11)의 용지에 마찰력을 부여하여 용지를 이송한다. 이 때, 픽업롤러(13)는 일측에 마련된 중송방지부재(13a)와의 연동에 따라 최상위 용지만을 이송한다.
이송롤러(15)는 픽업롤러(13)와 현상카트리지(20) 사이의 용지이송경로에 마련되어 용지의 이송을 돕는다. 이송롤러(15)는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며 용지를 이송하는 구동롤러(15a)와, 구동롤러(15a)에 맞물려 회전하는 아이들롤러(15b)로 마련된다. 이송롤러(15)는 용지이송경로의 구조와 형상에 따라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현상카트리지(20)는 감광체(22)와, 감광체(22)를 소정 전위로 대전하는 대전롤러(21)와, 감광체(22)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현상롤러(23)와,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저장부(24)와, 현상제저장부(24)의 현상제를 감광체(22)로 공급하는 공급롤러(24a)와, 공급롤러(24a)에서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을 일정 두께로 조절하는 닥터블레이드(25)와, 용지로 현상제를 전사한 후 감광체(22) 표면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블레이드(26)와, 클리닝블레이드(26)에 의해 감광체(22) 표면에서 이탈된 폐토너를 수거하는 폐토너저장부(27)와, 이들을 수용하는 케이싱(28)을 포함한다.
여기서, 감광체(22), 대전롤러(21), 공급롤러(24a), 닥터블레이드(25), 클리닝블레이드(26), 폐토너저장부(27)의 구성은 종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싱(28)은 상술한 구성을 지지하며, 본체케이싱(70)에 착탈된다. 케이싱(2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싱(70)의 본체프레임(71)에 장착되는 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돌출 및 후퇴가능하게 마련되어 본체프레임(71)과 결합하는 버튼(29)과, 버튼(29)이 후퇴될 때 버튼(29)이 삽입되는 버튼수용공(미도시)을 포함한다. 버튼(29)은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및 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버튼본체(29a)와, 버튼본체(29a)의 내측에 마련되어 버튼본체(29a)가 케이싱(28)에 대해 돌출 및 후퇴가능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29b)와, 버튼본체(29a)의 일영역에 마련되어 본체프레임(71)에 대해 버튼본체(29a)가 후퇴하도록 유도하는 빗면(29c)과, 버튼본체(29a)의 돌출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플랜지(29d)를 포함한다.
버튼본체(29a)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을 갖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버튼본체(29a)는 케이싱(28)의 판면으로부터 소정길이(l1)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29)은 버튼본체(29a)의 접촉면(a)으로부터 경사지게 마련된 빗면(29c)을 포함한다. 빗면(29c)은 접촉면(a)의 소정역역에 걸쳐 경사지게 마련되어 현상카트리지(20)가 본체프레임(71)에 결합할 때 본체프레임(71)과 접촉하며 버튼본체(29a)가 후퇴하도록 유도한다. 빗면(29c)은 경사지게 마련되거나 소정 곡율을 갖는 곡면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접촉면(a)은 평면으로 마련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굴곡을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버튼본체(29a)와 케이싱(28) 사이에는 탄성부재(29b)가 마련된다. 버튼본체(29a)는 내부가 관통된 중공형상으로 마련되며, 탄성부재(29b)가 중공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탄성부재(29b)의 일단부는 케이싱(28)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버튼본체(29a)에 결합되어 버튼본체(29a)가 본체프레임(71)과 접촉할 때 탄성적으로 후퇴하고, 버튼수용부(72)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탄성부재(29b)는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부재(29b)는 버튼본체(29a)가 본체프레임(71)과 접촉하며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용이하게 후퇴할 수 있도록 적절한 탄성계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탄성부재(29b)는 코일스프링 외에 여타 탄성을 갖는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플랜지(29d)는 버튼본체(29a)의 돌출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플랜지(29d)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8)의 판면으로부터 버튼본체(29a)의 선단부(a)로 갈수록 연장폭(w)이 좁아지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현상카트리지(20)를 탈착하기 위해 현상카트리지(20)를 회전시킬 때 플랜지수용부(72)로부터 플랜지(29d)가 이탈되며 플랜지(29d)가 본체프레임(71)을 가압 하여 버튼본체(29a)가 버튼수용부(72)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케이싱(28)의 일단부에는 사용자가 현상카트리지(20)의 착탈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A)가 마련된다. 손잡이부(A)는 현상카트리지(20)로부터 소정길이 연장형성되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8)의 회동축(h)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광주사유닛(30)은 광을 발생하는 광원(31)과, 광원(31)에서 발생된 광을 폴리곤미러(35) 방향으로 집광하는 렌즈유닛(33)과, 렌즈유닛(33)을 통해 수령된 광을 회전하며 감광체(22)의 부주사방향으로 주사하는 폴리곤미러(35)와, 폴리곤미러(35)를 구동하는 구동모터(36)를 포함한다. 광주사유닛(30)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사유닛(40)는 전위차에 의해 감광체(22) 표면에 도포된 현상제에 전사전압을 인가하여 용지로 현상제를 전사시킨다. 전사유닛(40)은 용지의 종류와 특성을 감지하여 최적의 전사전압을 인가한다. 전사유닛(40)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정착부(50)는 전사유닛(40)에 의해 현상제가 도포된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화상을 정착시킨다. 정착부(50)는 용지에 열을 가하는 히팅롤러(53)와, 압력을 가하는 프레싱롤러(51)를 포함한다. 용지는 히팅롤러(53)와 프레싱롤러(51) 사이에 형성되는 닙을 통과하며 현상제가 압착되고 화상이 정착된다.
배지부(60)는 정착부(50)를 경유한 용지를 외부로 배지한다. 배지부(60)는 정착부(50)의 용지를 배지부(60)로 안내하는 배지롤러(61)를 포함한다.
케이싱(70)은 상술한 구성을 지지하는 본체프레임(71)을 포함한다. 본체프레임(71)은 현상카트리지(20)가 외부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수용한다. 본체프레임(71)에서 현상카트리지(20)가 장착되며 접촉하는 카트리지접촉면(71a, 71b)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9)을 수용하며 맞물리는 버튼수용부(72)가 마련된다. 버튼수용부(72)는 버튼본체(29a)가 수용되는 버튼본체수용부(72a)와 플랜지(29d)가 수용되는 플랜지수용부(72b)를 포함한다. 버튼본체수용부(72a)와 플랜지수용부(72b)는 일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본체수용부(72a)는 버튼본체(29a)의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되며, 버튼본체(29a)가 끼어맞춤되도록 버튼본체(29a)의 직경과 유사한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현상카트리지(20)가 화상형성도중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화상형성이 가능해진다.
한편, 플랜지수용부(72b)의 길이는 버튼본체수용부(72a)에 수용되는 버튼본체(29a)의 길이(도 7b의 d)에 대응하는 플랜지(29d)의 연장폭(w1)에 맞춤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수용부(72b)의 형성방향은 현상카트리지(20)의 장착시 플랜지(29d)의 방향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현상카트리지의 착탈과정을 도5a 내지 도8c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도3과 같이 본체프레임(70)을 향하여 현상카트리지(20)의 손잡이(A)를 가압한다. 가압에 의해 현상카트리지(20)가 본체프레임(71)의 카트리지 접촉면(71a, 71b)에 접촉하게 되면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29)의 빗면(29c)의 절곡영역(n)이 카트리지접촉면(71a)의 모서리영역(m)과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모서리영역(m)이 빗면(29c)를 가압하게 되고 버튼(29)은 도6b와 같이 후퇴하게 된다. 버튼(29)이 후퇴한 상태로 현상카트리지(20)는 본체프레임(70) 내로 계속 가압하게 되고 버튼(29)은 후퇴한 길이(l2)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수용부(72)와 대응되는 위치에 이르게 되면 버튼본체(29a)와 플랜지(29d)가 버튼수용부(72)에 삽입되며 돌출되게 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71)에 장착된 현상카트리지(20)는 버튼(29)이 현상카트리지(20)의 이동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본체프레임(71)에 힘을 가하기 때문에 이동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화상형성시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현상카트리지(20)에 저장된 현상제가 소진되거나, 용지걸림이 발생하여 현상카트리지(20)를 본체프레임(71)으로부터 탈착해야 할 경우 사용자는 도7a에 도시한 손잡이를 도 8a와 같이 아랫방향으로 회동한다. 현상카트리지(20)의 회동에 의해 도7b와 같이 플랜지수용부(72b)에 수용되었던 플랜지(29d)가 도8b와 같이 카트리지접촉면(71a)으로부터 이탈되며 카트리지접촉면(71a)에 가압되게 된다.
이와 연동되어, 버튼수용부(72a)에 수용되었던 버튼본체(29a)도 회동되며 후퇴하게 된다. 사용자는 도 8c와 같이 버튼(29)이 후퇴된 상태로 현상카트리지(20)를 본체프레임(71) 외측방향으로 힘을 가야여 현상카트리지(20)를 탈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상카트리지(20)는 버튼의 돌출과 후퇴에 의해 본체프레임(71)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버튼의 빗면에 의해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 현상카트리지(20)를 본체프레임(71)으로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현상카트리지를 탈착하기 위해서는 현상카트리지를 소정각도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플랜지가 회동하며 버튼이 버튼수용부로부터 이탈되며 후퇴하므로 힘을 들이지 않고 탈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현상카트리지는 현상카트리지를 착탈하는 방향과 현상카트리지와 본체프레임이 결합하는 방향이 상이하므로 화상형성중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화상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 현상카트리지를 착탈할 수 있으므로 종래 현상카트리지의 착탈시 현상카트리지가 파손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돌출 및 후퇴가능하게 마련된 버튼이 현상카트리지에 마련되고, 버튼을 수용하는 버튼수용부가 본체프레임에 마련되었으나, 이와 달리 버튼이 본체프레임에 마련되고 버튼수용부가 현상카트리지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한 개의 버튼과 버튼수용부를 포함하고 있으나 현상카트리지의 용량을 고려하여 복수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모노화상형성장치 외에 컬러화상형성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과 버튼수용부의 형상에 의 해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 현상카트리지를 본체프레임에 착탈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3)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현상카트리지와;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현상카트리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다른 하나에 대해 결합 및 결합해제되는 버튼과;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현상카트리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버튼과 결합하는 버튼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현상카트리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다른 하나에 대해 돌출 및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버튼본체와, 상기 버튼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본체가 탄성적으로 돌출 및 후퇴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본체는 일측에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결합방향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마련된 빗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본체는 상기 돌출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버튼본체의 선단부로 갈수록 연장폭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수용부는 일측에 상기 플랜지를 수용하는 플랜지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현상카트리지와;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현상카트리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다른 하나에 대해 돌출 및 후회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버튼이 돌출 및 후퇴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현상카트리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버튼을 수용하여 맞물리는 버튼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수용부에 대해 돌출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버튼을 후퇴하도록 하는 빗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빗면은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돌출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버튼의 선단부로 갈수록 연장폭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수용부는 일측에 상기 플랜지를 수용하는 플랜지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60092289A 2006-09-22 2006-09-22 화상형성장치 KR20080026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289A KR20080026978A (ko) 2006-09-22 2006-09-22 화상형성장치
US11/770,784 US20080075501A1 (en) 2006-09-22 2007-06-29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A2007101518395A CN101149579A (zh) 2006-09-22 2007-09-21 成像设备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289A KR20080026978A (ko) 2006-09-22 2006-09-22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978A true KR20080026978A (ko) 2008-03-26

Family

ID=39225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289A KR20080026978A (ko) 2006-09-22 2006-09-22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075501A1 (ko)
KR (1) KR20080026978A (ko)
CN (1) CN1011495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8511B2 (en) * 2011-12-30 2014-05-06 Lexmark International, Inc. Imaging unit having a pivoting, collapsible handle
JP6991702B2 (ja) * 2016-09-21 2022-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918479B2 (ja) * 2016-12-12 2021-08-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75501A1 (en) 2008-03-27
CN101149579A (zh) 2008-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5051B2 (en)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the cartridge in and from a main body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US90085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aper dust cleaning unit movably provided on photosensitive member unit
EP2182414A2 (en) Photoconductor unit and image forming system
US73950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uxiliary tray
US8213829B2 (en) Developing device removably mountable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564530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40102866A (ko) 정착장치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7424257B2 (en) Paper guid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RU2382705C2 (ru) Картридж проявления, содержащее его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отсоединения картриджа проявления от устройства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JP4436815B2 (ja) 帯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70587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ulti-function device
KR20080026978A (ko) 화상형성장치
US9335705B1 (en) Rotor bearing member, photoconductor unit includ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08068B1 (ko) 현상기 장착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US2007002576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280288B2 (e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protection member for protecting peeling claw
US938957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removable mounted developing cartridge
JP2006030418A (ja) 画像形成装置
JP561931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30643A (ja) 画像形成装置
JP5619316B2 (ja) 画像形成装置
JP5549266B2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650107B2 (en)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8026739A (ja) 帯電装置
US20060222427A1 (en) Paper feeding cassette for preventing double-feed of pa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