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3700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3700A
KR20020063700A KR1020010004296A KR20010004296A KR20020063700A KR 20020063700 A KR20020063700 A KR 20020063700A KR 1020010004296 A KR1020010004296 A KR 1020010004296A KR 20010004296 A KR20010004296 A KR 20010004296A KR 20020063700 A KR20020063700 A KR 20020063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rame
paper guide
transfer roller
side cover
photosensitiv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5054B1 (ko
Inventor
최동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4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054B1/ko
Publication of KR20020063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04Main transfer electrode
    • G03G2215/1614Transfer ro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프린터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감광매체와 접촉회전되면서 그 사이로 통과하는 인쇄용지에 감광매체에 현상된 이미지를 전사시키는 전사롤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감광매체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린터 본체의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이드커버와; 전사롤러를 지지한 채 사이드커버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감광매체에 마주하는 일측이 인쇄용지의 이송경로를 이루는 용지 가이드프레임; 및 전사롤러와 감광매체 사이의 전사닙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전사롤러 및/또는 용지 가이드프레임을 감광매체 측으로 탄성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잼용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전사닙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광드럼과 전사롤러의 분리가 용이한 구조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과 같은 감광매체에 레이저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킨 후, 그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현상하여 소망하는 이미지를 현상한다. 그리고, 감광매체에 현상된 이미지는 감광매체와 전사롤러 사이의 전사닙(transfer nip)으로 통과하는 인쇄용지로 옮겨진 후 정착부에서 인쇄용지에 고착된다.
상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로 도 1을 참조하면, 프린터 본체(1)에는 감광드럼(2)을 가지는 현상유닛(3)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현상유닛(3)은 내부에 수용된 토너와 같은 현상제의 완전소모시 새것으로 교체되는 소모품으로서, 프린터 본체(1)의 상부커버(1a)를 열고 프린터 본체(1) 내부에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감광드럼(2)은 프린터 본체(1) 내에 장착시, 전사롤러(4)와 접촉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며, 전사롤러(4)와의 사이에 소정 전사닙을 갖게 된다.
따라서, 카세트(5) 내에 수용된 인쇄용지(P)는 소정의 이송경로(7)를 경유한 후, 상기 감광드럼(2)과 전사롤러(4) 사이의 전사닙을 통과하면서 감광드럼(2)에 형성된 이미지를 전사 받는다. 이 때, 정상적인 인쇄동작을 위해서는 상기 감광드럼(2)과 전사롤러(4) 사이의 전사닙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전사롤러(4)는 인쇄기 본체(1) 내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사롤러(4)를 감광드럼(2) 측으로 탄성가압하기 위한 스프링(8)이 구비된다. 즉, 상기 스프링(8)은 전사롤러(4)를 대략 상방으로 탄성가압하여 상기 감광드럼(2) 쪽으로 밀착시킨다.
그런데, 상기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이송경로(7)상에서 용지 잼(jam)이 발생하였을 경우, 상부커버(1a)를 열고 현상유닛(3)을 꺼낸 다음 잼용지를 제거하거나, 심할 경우 다른 부품들은 분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잼용지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 사이드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프린터 본체 11..감광드럼
12..위치결정핀 13..용지카세트
16,17..가이드부재 18..정착부
20..사이드커버 30..용지 가이드프레임
31..전사롤러 33..위치안내부재
41..제1스프링 43..제2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감광매체와 접촉회전되면서 그 사이로 통과하는 인쇄용지에 상기 감광매체에 현상된 이미지를 전사시키는 전사롤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매체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린터 본체의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이드커버와; 상기 전사롤러를 지지한 채 상기 사이드커버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감광매체에 마주하는 일측이 상기 인쇄용지의 이송경로를 이루는 용지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전사롤러와 상기 감광매체 사이의 전사닙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전사롤러 및/또는 상기 용지 가이드프레임을 상기 감광매체 측으로 탄성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용지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롤러를 상기 감광매체 측으로 가압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용지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사이드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용지 가이드프레임을 상기 감광매체 측으로 가압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이드커버를 닫을 때, 상기 용지 가이드프레임의 위치를 결정해주는 위치결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프린터 본체 내에 고정된 위치결정핀과; 상기 위치결정핀에 상대적으로 안내되어 지지되는 만곡면을 가지며, 상기 용지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되는 위치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지 가이드프레임을 상기 사이드커버에 대해 소정 거리 움직임가능하게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며, 이 연결수단은, 상기 용지 가이드프레임 또는 상기 사이드커버에 형성된 장공과; 상기 장공에 결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장공이 형성된 용지 가이드프레임 또는 사이드커버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본체(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감광매체인 감광드럼(11)과, 상기 감광드럼(11)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프린터 본체(10)의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이드커버(20)와, 용지 가이드프레임(30) 및 가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프린터본체(10) 내의 하부에는 인쇄용지(P)를 수용한 용지카세트(13)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용지카세트(13)에 수용된 인쇄용지(P)는픽업롤러(15)에 의해 픽업되어 용지 이송경로를 이루는 제1가이드부재(16)와 용지 가이드프레임(30)에 의해 가이드되어 감광드럼(11) 쪽으로 공급된다.
상기 감광드럼(11)은 프린터본체(10) 내에 위치고정되어 회전구동된다. 이 감광드럼(11)은 레이저 주사장치(LSU;미도시)에서 주사된 광에 의해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상기 정전잠상에는 토너공급부(미도시)에서 공급된 토너가 옮겨져 현상됨으로서 원하는 이미지를 현상하게 된다. 현상된 이미지는 감광드럼(11)과 전사롤러(31) 사이로 통과하는 인쇄용지(P)에 옮겨진 후 제2가이드부재(17)와 용지 가이드프레임(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정착부(18)로 이송된다. 상기 정착부(18)에서는 인쇄용지(P)에 옮겨진 이미지를 압착하여 고착시킨다.
상기 사이드커버(20)는 하단의 힌지축(H)을 중심으로 선회되도록 프린터본체(10)에 설치된다. 이 사이드커버(20)는 프린터 본체(10) 내에서 용지 잼(jam)이 발행될 경우, 잼용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감광드럼(11)과 전사롤러(31)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사이드커버(20)는 외측으로 노출된 손잡이(21)와, 이 손잡이(21)와 함께 회동되면서 프린터본체(10)에 마련된 걸림돌기(10a)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후크(23)를 가진다.
상기 용지 가이드프레임(30)은 사이드커버(20)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사롤러(31)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용지 가이드프레임(30)은 감광드럼(11)과 사이드커버(20) 사이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 가이드부재(16)(17)에 마주하는 내측면(30a)은 가이드부재(16,17)와 함께 인쇄용지(P)의 이송경로를 이룬다. 또한, 용지 가이드프레임(30)은 사이드커버(20)와 함께 힌지축(H)을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프린터본체(10)의 측면을 개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이드커버(20)를 닫을 때, 전사롤러(31)와 감광드럼(11)이 정상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용지 가이드프레임(30)의 위치를 결정해주는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프린터 본체(10) 내에 고정된 위치결정핀(12)과, 이 위치결정핀(12)에 상대적으로 안내되어 지지되게 용지 가이드프레임(30)에 설치되는 위치안내부재(33)를 구비한다. 상기 위치안내부재(33)는 위치결정핀(12)을 감싸듯이 접촉되어 지지되는 만곡면(33a)을 가짐으로서, 위치결정핀(12)과의 결합 및 분리를 자연스럽게 유도한다.
또한, 상기 용지 가이드프레임(30)을 사이드커버(20)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고,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수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사이드커버(20)에 형성된 장공(24)과, 상기 장공(24)에 결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용지 가이드프레임(30)에 형성된 돌기(34)를 구비한다. 상기 돌기(34)는 장공(24)을 따라 이동되면서 용지 가이드프레임(30)의 사이드커버(20)에 대한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장공(24)과 돌기(34)는 서로 위치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상기 가압수단은 전사롤러(31)와 감광드럼(11) 사이의 전사닙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전사롤러(31) 및/또는 용지 가이드프레임(30)을 감광드럼(11) 측으로 탄성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가압수단은 제1스프링(41)과, 제2스프링(43)을 구비한다. 상기 제1스프링(41)은 용지 가이드프레임(30)에 설치되어 전사롤러(31)를 감광드럼(11) 측으로 가압한다. 이 제1스프링(41)에 의해 가압된 전사롤러(31)는적정한 압력으로 감광드럼(11)에 접촉되고, 그 사이에서는 이미지의 전사에 필요한 소정 전사닙이 유지된다. 상기 제2스프링(43)은 용지 가이드프레임(30)과 사이드커버(2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제2스프링(43)은 용지가이드프레임(30)을 감광드럼(11) 측으로 가압함으로서 제1스프링(41)과 함께 전사닙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2스프링(43)은 양단이 용지 가이드프레임(30)과 사이드커버(20) 각각에 연결되어 용지 가이드프레임(30)과 사이드커버(20) 사이의 갭이 가감됨에 따라 인장 또는 압축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제2스프링(43)은 제1스프링(41)의 스프링력이 약해졌을 경우, 용지 가이드프레임(30)을 감광드럼(11) 측으로 가압함으로서 전사닙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제2스프링(43)은 제1스프링(41)의 스프링력이 너무 클 경우, 방대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제1스프링(41)의 가압력을 약화시키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커버(20)가 인쇄기 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1스프링(41)과 제2스프링(43)의 스프링력에 의해 전사롤러(31)는 감광드럼(11)과 일정한 전사닙을 유지하도록 접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인쇄명령이 입력되면 용지카세트(13) 내의 인쇄용지(P)는 픽업롤러(15)에 의해 픽업되어 제1가이드부재(16)와 용지 가이드프레임(30)의 내측면(30a) 사이를 통해 감광드럼(11)과 전사롤러(31) 사이로 이송된다. 그러면, 감광드럼(11)의 표면에 현상된 이미지는 상기 전사닙을 통과하는 인쇄용지(P)로 전사된다. 이미지가 전사된인쇄용지(P)는 제2가이드부재(17)와 내측면(30a) 사이를 통해 정착부(18)로 보내진다. 정착부(18)에서는 인쇄용지(P)를 고온고압으로 정착하여 인쇄용지(P)에 전사된 이미지를 고착시킨다. 정착부(18)를 통과한 인쇄용지(P)는 인쇄기 본체(10) 외부로 배출되어 적재된다.
한편, 상기 인쇄과정중에 상기 인쇄경로 즉, 각 가이드부재(16,17)와 내측면(30a) 사이 또는 전사롤러(31)와 감광드럼(11) 사이에서 용지잼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이드커버(20)의 손잡이(21)를 돌려 후크(23)를 걸림돌기(10a)에서 분리시킨 다음 사이드커버(20)를 A 방향으로 선회시킨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커버(20)와 용지 가이드프레임(30)이 함께 선회되면서 프린터본체(10)의 측면을 개방시킨다. 이와 같이, 사이드커버(20)와 용지 가이드프레임(30)이 오픈되면 전사롤러(31)와 감광드럼(11)이 분리되고, 용지 이송경로를 이루는 가이드부재(16,17)와 내측면(30a)이 분리된다. 따라서, 용지 이송경로의 잼용지는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잼용지를 제거한 다음에, 다시 사이드커버(20)를 B 방향으로 선회시켜 프린터 본체(10)에 결합시키면, 전사롤러(31)는 감광드럼(11)에 일정한 전사닙을 유지하도록 접촉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감광드럼과 전사롤러 사이 그리고, 용지 이송경로를 쉽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잼용지를 제거하기가 편리하다.
또한, 용지 가이드프레임을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하여 전사롤러와 감광드럼의 접촉력을 가압수단에 의해 제어함으로서 전사닙을 오랜 기간동안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인쇄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프린터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감광매체와 접촉회전되면서 그 사이로 통과하는 인쇄용지에 상기 감광매체에 현상된 이미지를 전사시키는 전사롤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매체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린터 본체의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이드커버와;
    상기 전사롤러를 지지한 채 상기 사이드커버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감광매체에 마주하는 일측이 상기 인쇄용지의 이송경로를 이루는 용지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전사롤러와 상기 감광매체 사이의 전사닙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전사롤러 및/또는 상기 용지 가이드프레임을 상기 감광매체 측으로 탄성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용지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롤러를 상기 감광매체 측으로가압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용지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사이드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용지 가이드프레임을 상기 감광매체 측으로 가압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커버를 닫을 때, 상기 용지 가이드프레임의 위치를 결정해주는 위치결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프린터 본체 내에 고정된 위치결정핀과;
    상기 위치결정핀에 상대적으로 안내되어 지지되는 만곡면을 가지며, 상기 용지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되는 위치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가이드프레임을 상기 사이드커버에 대해 소정 거리 움직임가능하게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용지 가이드프레임 또는 상기 사이드커버에 형성된 장공과;
    상기 장공에 결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장공이 형성된 용지 가이드프레임 또는 사이드커버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1-0004296A 2001-01-30 2001-01-30 화상형성장치 KR100385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296A KR100385054B1 (ko) 2001-01-30 2001-01-30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296A KR100385054B1 (ko) 2001-01-30 2001-01-30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700A true KR20020063700A (ko) 2002-08-05
KR100385054B1 KR100385054B1 (ko) 2003-05-23

Family

ID=27692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296A KR100385054B1 (ko) 2001-01-30 2001-01-30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721B1 (ko) * 2005-09-30 201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721B1 (ko) * 2005-09-30 201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5054B1 (ko) 200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2827A (en) Light emitting diode printer
KR100910692B1 (ko) 전자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용 이동 부재
US4806970A (en) Recording apparatus having an accessible housing
KR101615652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JP4621063B2 (ja) 画像形成装置
JP4556718B2 (ja) 位置決め機構
US7369789B2 (en) Door status switch operation mechanism for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70077594A (ko)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888686B1 (ko) 현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 장착방법과 탈착방법
KR100889820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6590577B2 (ja) 画像形成装置
JP4320517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80084139A (ko) 현상기,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의 탈착방법
KR100385054B1 (ko) 화상형성장치
US5153607A (en) Laser shutter mechanism
JPS61254956A (ja) 現像器支持装置
JPS63244064A (ja) 開放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H06186793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着脱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2001272864A (ja) 画像形成装置
JP2598454Y2 (ja) 電子写真記録装置
KR100601889B1 (ko)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465219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드럼 유닛
KR100338071B1 (ko) 전자사진 인쇄기기
JPH0120038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30403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