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071B1 - 전자사진 인쇄기기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인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071B1
KR100338071B1 KR1019990037393A KR19990037393A KR100338071B1 KR 100338071 B1 KR100338071 B1 KR 100338071B1 KR 1019990037393 A KR1019990037393 A KR 1019990037393A KR 19990037393 A KR19990037393 A KR 19990037393A KR 100338071 B1 KR100338071 B1 KR 100338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main body
guide
cover
transf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6180A (ko
Inventor
허길재
박서원
안병화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37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8071B1/ko
Publication of KR20010026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0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사진 인쇄기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 소정 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단측에 누름부가 형성된 현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상기 현상기 커버의 개폐에 따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현상기를 고정 지지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기가 장착 및 이탈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됨으로써 사용자가 현상기를 교환할 때 보다 용이하게 현상기를 교환할 수 있고, 현상기의 감광드럼과 전사롤러가 정확한 위치에서 접촉할 수 있어 기기의 작업 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사진 인쇄기기{IMAGE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복합기 등 현상기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인쇄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상기의 장착 및 이탈을 원활하게 하고, 감광드럼과 전사롤러의 정확한 위치에서 접촉시킬 수 있는 전자사진 인쇄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 인쇄기기는 인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토너(tuner)가 충전된 현상기가 구비된다.
그리고, 현상기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드럼(30a)과, 감광드럼(30a)과 접촉되는 현상 롤러(30c)와, 현상 롤러(30c)로 토너(t)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 롤러(30d)와, 현상 롤러(30c)에 부착되는 토너의 양을 조절하는 블레이드(미도시)와, 토너를 토너 공급 롤러 측으로 공급하는 교반기(미도시)와, 이들이 장착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현상기(30)는 케이스에 의해 단품화되어 시중에 유통된다.
이러한 현상기는 일회용 소모품으로 현상기 내의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새로운 토너로 교환해야 하며, 새로운 토너로 교환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기기의 상부에 위치한 현상기 커버를 열고 사용자가 현상기에 일정한 힘을 가하여 기기에서 분리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인쇄기기를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10)의 일측에 회동되어 본체(10)의 일측을 개폐하는 현상기 커버(20)가 구비되고, 현상기 커버(20)의 하측으로 현상기(30)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현상기(30)가 삽입되는 공간의 양측으로 현상기(3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현상기 가이드(40)가 구비된다.
여기서, 본체(10)에 힌지 고정된 현상기 커버(20)의 고정단측에는 현상기 가이드(40)와 접하여 현상기 커버(40)의 개폐에 따라 현상기 가이드(40)에 압력을 가하거나 해제하는 누름부(20a)가 마련된다.
한편, 현상기 가이드(40)에는 본체(10)에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현상기 커버(20)의 누름부(20a)와 접하는 상단부에는 판스프링(40a)을 구비하고, 하단부에는 현상기(3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40b)가 구비된다.
또한, 현상기(30)의 양쪽 끝단부에는 현상기 가이드(40)의 고정부(40b)와 접하는 고정돌기(3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사진 인쇄기기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너가 모두 소비된 현상기(30)의 교환을 위하여, 사용자는 현상기 커버(200)를 열고 일정한 힘을 가하여 본체(10)에 삽입되어 있는 현상기(30)를 강제적으로 이탈시키고, 새로운 현상기(30) 장착을 위해 현상기(30)를 수평으로 유지한 채 본체(10)의 형성된 가이드에 강제적으로 삽입하고, 현상기 커버(20)를 닫으면 현상기 커버(20)의 고정단측에 구비된 누름부(20a)가 현상기 가이드(40)의 판스프링(40a)을 눌러 현상기 가이드(40)가 하강하고 현상기 가이드(40)의 고정부(40b)가 현상기의 고정돌기(35)를 지지하여 현상기(30)가 기기본체(10)에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자사진 인쇄기기는 새로운 현상기(30)로 교체하기 위하여 현상기(30)를 삽입할 때 현상기 가이드(40)가 자중에 의해 항상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있어 현상기(30) 삽입시 현상기(30)에 마련된 고정돌기(35)와 접촉하여 현상기의 원활한 장착을 방해한다.
또한, 현상기 가이드(40)의 상단부에 마련된 판스프링(40a)의 압력에 의해 현상기(30)의 감광드럼(30a)이 현상기(30) 하부에 위치한 전사롤러(50)를 누르며 장착되는데 사용자 현상기(30)를 완전히 밀어 주지 않으면 감광드럼(30a)과 전사롤러(50)가 불완전하게 접촉하여 인쇄물의 떨림 및 왜곡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다시 장착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사진 인쇄기기에서 현상기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고, 현상기가 본체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 전자사진 인쇄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사진 인쇄기기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전자사진 인쇄기기의 현상기 장착시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전자사진 인쇄기기의 현상기 교환시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인쇄기기의 현상기 장착시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인쇄기기의 현상기 교환시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인쇄기기의 현상기 장착시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인쇄기기의 현상기 교환시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인쇄기기의 현상기 장착시를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인쇄기기의 현상기 교환시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12,13 : 기기본체
20,21,22,23 : 현상기 커버
30,31,32,33 : 현상기
40,41,42,43 : 현상기 가이드
50,51,52,53 ; 전사롤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전자사진 인쇄기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 소정 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단측에 누름부가 형성된 현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상기 현상기 커버의 개폐에 따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현상기를 고정 지지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부는 상기 가압 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고정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고정 돌기에 착탈되는 고정 홈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 소정 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단측에 누름부가 형성된 현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현상기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본체와 상기 가압 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가압 부재를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 상기 탄성 부재의 일측이 결합되는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재에 상기 탄성 부재의 타측이 지지되는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 소정 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단측에 누름부가 형성된 현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현상기와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하는 전사롤러와; 상기 본체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현상기 커버의 개폐에 따라 승강되는 가압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의 일측에 접하며, 회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전사롤러를 승강시키는 힌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사롤러의 하부에서 전사롤러를 상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수단은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인쇄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세 가지의 실시예가 예시된다. 이 세 가지의 실시예의 구성은 약간의 차이를 두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과 기술적 사상에 따른 구성 요소들은 서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인쇄기기의 첫 번째 실시예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11)의 일측에 회동되어 본체(11)의 일측을 개폐하는 현상기 커버(21)가 구비되고, 현상기 커버(21)의 하측으로 현상기(31)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현상기(31)가 삽입되는 공간의 양측으로 현상기(31)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현상기 가이드(41)가 구비된다.
여기서, 현상기 가이드(41)는 현상기(31)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여 회동 가능하게 힌지(41c) 고정되고 현상기 커버(21) 측의 상단부에는 결합홈(41a)을 구비하고, 하단부에는 현상기(3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41b)가 구비된다.
한편, 현상기(31)의 양쪽 끝단부에는 현상기 가이드(41)의 고정부(41b)와 접하는 고정돌기(3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체(11)에 힌지 고정된 현상기 커버(21)의 고정단측에 마련된 누름부(21a)에는 현상기 커버(21)의 개폐에 따라 현상기 가이드(41)에 마련된 결합홈(41a)과 이탈 및 결합하여 현상기 가이드(41)를 회동시켜 현상기(31)에 마련된 고정돌기(36)에 압력을 가하거나 해제하는 결합돌기(21b)가 마련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전자사진 인쇄기기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너가 모두 소비된 현상기(31)를 교환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현상기 커버(21)를 개방하면, 현상기 커버(21)의 고정단측에 마련된 결합돌기(21b)가 현상기 가이드(41)의 결합홈(41a)에서 이탈되면서 기기본체(11)에 힌지(41c) 고정된 현상기 가이드(41)를 회동시키고, 이에 따라 현상기 가이드(41)의 고정부(41b)가 현상기(31)의 고정돌기(36)에서 이탈되어 현상기(31)를 지지하고 있던 압력이 사라진다.
또한, 현상기(31)의 장착시에는 현상기 커버(21)가 개방되면서 회동된 현상기 가이드(41)와 기기본체(11)에 형성된 공간으로 사용자가 현상기(31)를 삽입하여 안착시킨다. 그후, 사용자가 현상기 커버(21)를 닫으면 현상기 커버(21)의 고정단측에 마련된 결합돌기(21b)가 현상기 커버(21)가 회동함에 따라 힌지(41c) 고정된 현상기 가이드(41)의 결합홈(41a)과 결합하여 현상기 가이드(41)를 회동시키고, 현상기 가이드(41)의 현상기 고정부(41b)가 현상기(31)에 마련된 고정 돌기(36)에 압력을 가해 고정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인쇄기기의 두 번째 실시예를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12)의 일측에 회동되어 본체(12)의 일측을 개폐하는 현상기 커버(22)가 구비되고, 현상기 커버(22)의 하측으로 현상기(32)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현상기(32)가 삽입되는 공간의 양측으로 현상기(32)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현상기 가이드(42)가 구비된다.
여기서, 본체(12)에 힌지 고정된 현상기 커버(22)의 고정단측에는 현상기 가이드(42)와 접하여 현상기 커버(22)의 개폐에 따라 현상기 가이드(42)에 압력을 가하거나 해제하는 누름부(22a)가 마련된다.
한편, 현상기 가이드(42)는 현상기(32)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의 양측에 위치하여 기기본체(12)에 구비된 가이드 홈(12a)에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42c)가 마련되어 승강 및 하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현상기 커버(22) 측에는 현상기 커버(22)의누름부(22a)와 접하는 상단부(42a)를 구비하고, 하단부에는 현상기(2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42b)가 구비된다.
또한, 기기본체(12)에 마련된 가이드 홈(12a)과 현상기 가이드(42)에 마련된 가이드 돌기(42c) 사이에는 현상기 가이드(42)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 수단으로 스프링(s)을 구비한다.
그리고, 현상기(32)의 양쪽 끝단부에는 현상기 가이드(42)의 고정부(42b)와 접하는 고정돌기(37)가 마련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전자사진 인쇄기기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너가 모두 소비된 현상기(32)를 교환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현상기 커버(22)를 개방하면, 현상기 커버(22)의 고정단측에 마련된 누름부(22a)가 현상기 가이드(42)의 상단부(42A)에서 이탈되고, 현상기 가이드(42)가 기기본체(12)의 가이드 홈(12a)과 현상기 가이드(42)의 가이드 돌기(42c)의 사이에 마련된 스프링(s)에 의해 상승하고, 이에 따라 현상기 가이드(42)의 고정부(42b)가 현상기의 고정돌기(37)에서 이탈되어 현상기(32)를 지지하고 있던 압력이 사라진다.
또한, 현상기(32)의 장착시에는 현상기 커버(22)가 개방되면서 상승한 현상기 가이드(42)와 기기본체(12)에 형성된 공간으로 사용자가 현상기(32)를 삽입하여 안착시킨다. 그후, 사용자가 현상기 커버(22)를 닫으면 현상기 커버(22)의 고정단 측의 마련된 누름부(22a)가 현상기 가이드(42)의 상단부(42a)에 접촉하여 현상기가이드(42)를 하강시켜 현상기 가이드(42)의 현상기 고정부(42b)가 현상기(32)에 마련된 고정 돌기(37)에 압력을 가해 고정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인쇄기기의 세 번째 실시예를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13)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본체(13)의 일측을 개폐하는 현상기 커버(23)가 구비되고, 현상기 커버(23)의 하측으로 현상기(33)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본체(13)에 현상기(33)가 삽입되는 위치 하부에는 현상기(33)에 구비된 감광드럼(33a)과 접하는 전사롤러(53)와, 현상기(33)가 삽입되는 공간의 양측으로 전사롤러(53)를 지지하는 전사롤러 가이드(43)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기기본체(13)에 힌지 고정된 현상기 커버(23)의 고정단측에는 현상기 가이드(43)와 접하여 현상기 커버(23)의 개폐에 따라 전사롤러 가이드(43)에 압력을 가하거나 해제하는 누름부(23a)가 마련된다.
한편, 전사롤러 가이드(43)는 기기본체(12)에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현상기 커버(23)와 접하기 위한 상단부(43a)와 힌지판(60)을 회동시켜 전사롤러(53)를 상승시키기 위한 고정부(43b)가 하단에 마련된다.
또한, 전사롤러(53)의 하단으로는 전사롤러(53)의 양축의 끝단을 지지하고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s)이 구비되며, 스프링(s)의 하부는 지지대(60a)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s)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대(60a)의 하측으로는 일측이본체(13)의 소정 위치에 힌지 고정되어 일측이 스프링(s) 지지대(60a)에 접하고 타측이 전사롤러 가이드(43)의 고정부(43b)에 접하는 힌지판(60)이 구비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전자사진 인쇄기기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너가 모두 소비된 현상기(33)를 교환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현상기 커버(23)를 개방하면, 현상기 커버(23)의 누름부(23a)와 접촉하여 있는 전사롤러 가이드(43)가 현상기 커버(23)의 회동에 따라 상승하여 전사롤러(53) 하단에 위치하여 전사롤러(53)를 지지하고 있는 힌지판(60)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힌지판(60)이 회동하여 전사롤러(53)가 하강하고 현상기(33)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된다.
또한, 현상기(33)의 장착시에는 현상기 커버(23)가 개방되면서 하강된 전사롤러(53)의 상측으로 사용자가 현상기(33)를 삽입하여 안착시킨다.
그후, 사용자가 현상기 커버(23)를 닫으면 현상기 커버(23)가 회동함에 따라 현상기 커버(23)의 고정단측 만곡부에 마련된 눌림부(23a)가 전사롤러 가이드(43)의 일측에 접촉하여 전사롤러 가이드(43)를 하강시키고, 전사롤러 가이드(43)의 타측에 구비되어 전사롤러(43)를 지지하고 있는 힌지판(60)이 회동하여 전사롤러(53)를 상승시키고, 상승한 전사롤러(53)는 소정의 압력으로 현상기(33)의 감광드럼(33a)과 접촉하여 현상기(33)를 고정한다.
상기한 첫 번째 실시예와, 두 번째 실시예에서처럼 현상기 커버의 회동에 따른 개폐시 현상기 가이드가 상측과 하측으로 이동하여 현상기의 장착 및 이탈시 현상기가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확보하고, 또한, 세 번째 실시예에서처럼 현상기의 감광드럼과 접촉하는 전사롤러를 하강시킴으로써 현상기의 장착 및 이탈시 현상기가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확보할 수 있어 현상기의 원활한 교환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인쇄기기는 현상기가 장착 및 이탈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됨으로써 사용자가 현상기를 교환할 때 보다 용이하게 현상기를 교환할 수 있고, 현상기의 감광드럼과 전사롤러가 정확한 위치에서 접촉할 수 있어 기기의 작업 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 소정 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단측에 누름부가 형성된 현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상기 현상기 커버의 개폐에 따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현상기를 고정 지지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인쇄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에는 상기 가압 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고정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 부재에는 상기 고정 돌기에 착탈되는 고정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인쇄기기.
  3.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 소정 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단측에 누름부가 형성된 현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현상기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본체와 상기 가압 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가압 부재를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인쇄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탄성 부재의 일측이 결합되는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재에 상기 탄성 부재의 타측이 지지되는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인쇄기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인쇄기기.
  6.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 소정 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단측에 누름부가 형성된 현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현상기와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하는 전사롤러와;
    상기 본체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현상기 커버의 개폐에 따라 승강되는 가압 부재와;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압 부재의 승강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전사롤러를 현상기 측으로 밀착시키는 힌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사진 인쇄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롤러의 하부에서 전사롤러를 상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인쇄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인쇄기기의 전자사진 인쇄기기.
KR1019990037393A 1999-09-03 1999-09-03 전자사진 인쇄기기 KR100338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393A KR100338071B1 (ko) 1999-09-03 1999-09-03 전자사진 인쇄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393A KR100338071B1 (ko) 1999-09-03 1999-09-03 전자사진 인쇄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180A KR20010026180A (ko) 2001-04-06
KR100338071B1 true KR100338071B1 (ko) 2002-05-24

Family

ID=19610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393A KR100338071B1 (ko) 1999-09-03 1999-09-03 전자사진 인쇄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80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492B1 (ko) * 2002-07-02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터의 감광체 유닛 착탈장치
KR100739745B1 (ko) 2005-10-20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180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3700B2 (ja) 画像形成装置
JP7014202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888686B1 (ko) 현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 장착방법과 탈착방법
JPH08318661A (ja) 印刷ヘッドの位置決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印刷装置
KR19990067965A (ko) 특정한 프로세스카트리지만을 수납가능한 화상형성방법 및 장치
KR100338071B1 (ko) 전자사진 인쇄기기
KR20040003379A (ko) 프린터의 감광체 유닛 착탈장치
KR100453063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장치
KR100694099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장탈착방법
US5126788A (en) Clamshell type print device with optical unit stabilization
JPS61254956A (ja) 現像器支持装置
KR20060076573A (ko) 화상형성기기
JPH03231257A (ja) 電子写真印刷装置
KR100385054B1 (ko) 화상형성장치
JP2991813B2 (ja) 画像形成装置
JPH01200380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66089A (ja) 画像形成装置
JP2598454Y2 (ja) 電子写真記録装置
KR100465219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드럼 유닛
JP3298701B2 (ja)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465649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着脱方法
KR100601889B1 (ko)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0233152Y1 (ko) 화상형성장치의전사롤러고정장치
KR100395523B1 (ko) 레이저 프린터
JP2023145756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