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745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745B1
KR100739745B1 KR1020050099338A KR20050099338A KR100739745B1 KR 100739745 B1 KR100739745 B1 KR 100739745B1 KR 1020050099338 A KR1020050099338 A KR 1020050099338A KR 20050099338 A KR20050099338 A KR 20050099338A KR 100739745 B1 KR100739745 B1 KR 100739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op cover
cover portion
rear cover
sca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3270A (ko
Inventor
장재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9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745B1/ko
Priority to US11/496,451 priority patent/US7555240B2/en
Priority to CN200610126336A priority patent/CN100587615C/zh
Publication of KR20070043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8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directed to paper handling or jam trea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transf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7Frame structures using opening shell type machines, e.g. pivoting assembl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매체 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커버부 잠금장치의 설치공간을 축소하며, 커버부 잠금장치와 관련된 제조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며 급지부, 현상부, 전사부, 및 배지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원고의 화상을 광학적으로 읽어 들여 전기적인 화상신호를 생성시키는 스캐너부와; 상기 스캐너부의 하방에 상기 스캐너부의 평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며 개폐가능하게 구성된 리어 커버부와; 및 상기 스캐너부의 하방에 상기 스캐너부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리어 커버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탑 커버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리어 커버부 및 탑 커버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리어 커버부와 탑 커버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도면에 정착기 커버부가 추가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프레임 101: 감광체
102: 대전롤러 103: 광주사 유닛
104K, 104Y, 104M, 104C: 현상기 105: 전사벨트
106: 제1클리닝장치 109: 제2클리닝장치
110: 전사 전 제전유닛 111: 정착기
112: 전사롤러 113a, 113b: 급지카세트
115a, 115b: 픽업롤러 116: 급지부
125K, 125Y, 125M, 125C: 현상롤러 150: 듀플렉스부
200: 감광체유닛 205: 리어 커버부
210: 탑 커버부 215: 정착기 커버부
220: 가이드 리브 230: 스캐너부
300: 중간전사유닛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매체 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커버부 잠금장치의 설치공간을 축소할 수 있으며, 커버부 잠금장치와 관련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급지부, 노광부, 현상부, 전사부, 정착부, 배지부, 및 커버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 중 스캐너나 복사기 또는 복합기는 스캐너부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급지부는 인쇄매체를 화성형성장치의 내부로 투입시키고, 스캐너부는 원고의 화상을 광학적으로 읽어 들여 전기적인 화상신호를 생성시키며, 노광부는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며, 현상부는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인 토너를 공급하여 상기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킨다.
정착부는 히트롤러와 가압롤러를 구비하며 토너화상이 부착된 인쇄매체에 높은 열과 높은 압력을 가해 정착부를 통과하는 인쇄매체에 토너화상을 용융, 고착시 킨다. 한편, 정착부에는 인쇄매체에 토너화상을 정착시키기 위해 고온 및 고압이 인가되므로 인쇄매체가 유연해진다. 이와 같은 이유 또는 다른 이유들 때문에, 인쇄매체는 정착부 닙(fuser nip)을 통해 배출될 때 히트롤러에 엉겨 붙고 이의 주위에 휘감기기 시작하여, 소위 아코디언 잼(accordion jam) 또는 아코디언 효과(accordion effect) 등의 인쇄매체 걸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배지부는 배지롤러를 구비하며 정착이 완료된 인쇄매체를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시킨다.
커버부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를 수용하여 이를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탑 커버부, 정착기 커버부, 및 리어 커버부를 포함한다.
종래에 탑 커버부는, 화상형성장치의 배면 쪽 단부는 본체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전면 쪽 단부는 본체 프레임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었다. 그런데, 스캐너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탑 커버부의 위쪽에는 스캐너부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장착되어 있고, 탑 커버부 전체가 이러한 스캐너부에 의해 덮여 있으며, 인쇄매체 걸림 현상이 주로 발생하는 정착기는 탑 커버부의 배면 쪽 아래에 배치되어 있었다. 따라서, 탑 커버부의 전면 쪽 단부를 열어 정착기 부근에 걸려있는 인쇄매체를 제거하려면 손을 스캐너부 밑으로 넣고 길게 뻗어 이를 제거해야 하므로 인쇄매체를 제거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인쇄매체 걸림현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먼저 리어 커버부를 연 다음, 탑 커버부와 정착기 커버부를 차례로 열어 인쇄매체 걸림 현상을 제 거하였다. 이 경우, 리어 커버부는 상기 탑 커버부와 마찬가지로 본체 프레임에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여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정착기 커버부는 정착기에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여 개폐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커버부들을 개폐가능하게 하는 잠금장치는 별도의 부재로써 구성되므로 부품의 수와 제조공정의 수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탑 커버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매체 걸림이 발생한 경우, 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종 커버부의 잠금장치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잠금장치의 설치공간을 축소하고 잠금장치의 설치와 관련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며 급지부, 현상부, 전사부, 및 배지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원고의 화상을 광학적으로 읽어 들여 전기적인 화상신호를 생성시키는 스캐너부;
상기 스캐너부의 하방에 상기 스캐너부의 평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설 치되며 개폐가능하게 구성된 리어 커버부; 및
상기 스캐너부의 하방에 상기 스캐너부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리어 커버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탑 커버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탑 커버부는 상기 리어 커버부의 상단부를 하방으로 잡아 당겨 연 다음, 상기 탑 커버부의 상기 리어 커버부 쪽 단부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열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어 커버부는 그 상단부에 후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어 커버부는 그 측단면이 ㄱ 자 형상이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ㄱ 자 형상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크부는 그 측단면이 갈고리 형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탑 커버부는 그 저면에 상기 탑 커버부의 평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설치된 가이드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리브의 하단부에는 상기 리어 커버부의 후크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리어 커버부의 후크부는 상기 걸림턱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탑 커버부의 하방에는 토너화상을 용융시켜 인쇄매체에 고착시키는 정착기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탑 커버부의 저면에는 상기 정착 기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정착기 커버부가 더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착기 커버부는 상기 탑 커버부를 상방으로 열면, 상기 탑 커버부와 함께 상방으로 열리도록 형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리어 커버부 및 탑 커버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리어 커버부와 탑 커버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도면에 정착기 커버부가 추가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101), 대전롤러(102), 광주사 유닛(103), 4개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 전사벨트(105), 정착기(111), 스캐너부(230), 리어 커버부(205), 듀플렉스부(150) 및 탑 커버부(210)를 구비한다.
회전체인 감광체(101)는 원통형상의 금속제 드럼의 외주면에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광도전성 물질층이 코팅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감광체(101)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광주사 유닛(103)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대전롤러(102)는 감광체(101)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 다. 대전롤러(102)는 감광체(101)의 외주면과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회전하면서 전하를 감광체(101)에 공급하여 감광체(101)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한다. 대전롤러(102)에는 감광체(101)의 외주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하여 대전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대전롤러(102) 대신에 코로나 방전기(미도시)가 채용될 수 있다.
광주사 유닛(103)은 감광체(101)의 하방에 설치되며,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대전된 감광체(101)에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에 따라 주사하여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광주사 유닛(103)은 레이저빔을 주사하는 광원(미도시)과, 광원에서 조사된 레이저빔을 편향시키는 빔편향기를 포함한다. 상기 빔편향기로는 공지공용의 편향기, 예를 들어, 폴리곤미러(polygon mirror, 미도시) 또는 홀로그램 디스크(미도시)가 채용될 수 있다. 광주사 유닛(103)으로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사용된다.
4 개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 형식으로, 그 내부에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고체분말상의 토너가 수용된다. 상기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는 이들 토너를 감광체(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롤러(125K, 125Y, 125M, 125C)를 각각 구비한다.
각 현상롤러(125K, 125Y, 125M, 125C)들은 현상기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그 외주에 부착시켜 감광체(101)로 공급한다. 현상롤러(125K, 125Y, 125M, 125C)는 고 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체(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현상시킨다. 현상롤러(125K, 125Y, 125M, 125C)에는 이들 토너를 감광체(101)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4 개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는 현상롤러(125K, 125Y, 125M, 125C)가 감광체(101)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의 현상갭(Dg)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전기장에 의해 감광체(101)에서 현상롤러(125K, 125Y, 125M, 125C)로 향하는 힘이 발생하며, 하전된 토너는 현상갭(Dg) 사이에 형성된 현상영역에서 진동 왕복운동을 하면서 이송되어 현상이 이루어진다. 전사벨트(105)에는 감광체(101)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토너화상이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상기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에 중첩 전사됨으로써 컬러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전사벨트(105)의 길이는 컬러 토너화상이 최종적으로 전사되는 인쇄매체(S)의 길이와 적어도 같거나 그 보다 길어야 한다.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에 토너화상이 전사된 면과 대면되도록 설치되어, 전사벨트(105)에 전사된 토너화상이 인쇄매체(S)로 옮겨지도록 토너화상과 반대극성의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인쇄매체(S)로 전사된다. 상기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에 컬러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동안에는 전사벨트(10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가, 전사벨트(105)에 컬러 토너화상이 완전히 전사되면 이를 인쇄매체(S)로 전사하기 위해 전사벨트(105)와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된다. 또한, 전사벨트(105)의 외측면에 전사된 토너화상은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의 접촉 압력에 의해 전사롤러(112)와 전사벨트(105)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S)에 전사될 수도 있다.
제1클리닝장치(106)는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전사된 후에도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계속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한다. 또한, 제2클리닝장치(109)는 토너화상이 인쇄매체(S)로 전사된 후에 전사벨트(105) 상에 계속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한다.
전사 전 제전유닛(pre-transfer eraser, 110)은 감광체(101) 상의 토너화상을 전사벨트(105)로 전사시키기 전에 감광체(101) 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비화상영역)의 전하를 제거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의 전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전램프(107)는 대전 전단계에서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잔류되는 전하를 제거하는 제전수단의 구체적 일 예이다. 제전램프(107)는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일정한 광량의 빛을 조사하여 감광체(101)의 표면에 잔류되는 전하를 제거한다.
전원공급기(108)는 현상기(104)로부터 감광체(101)로 토너를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바이어스전압, 현상기(104)로부터 감광체(101)로 토너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현상방지바이어스전압,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제1전사바이어스전압, 전사벨트(105)로부터 인쇄매체(S)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제2전사바이어스전압, 대전롤러(102)에 제공되는 대전바이어스전압을 제공한다.
정착기(111)는 히트롤러(123) 및 그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124)를 구비하며, 인쇄매체(S)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인쇄매체(S)에 정착시킨다. 히트롤러(123)는 토너화상을 영구 고착시키기 위한 열원으로 가압롤러(124)에 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가압롤러(124)는 히트롤러(123)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인쇄매체(S)에 높은 압력을 가하여 인쇄매체(S)에 토너화상을 정착시킨다.
스캐너부(230)는 원고의 화상을 광학적으로 읽어 들여 전기적인 화상신호를 생성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배지부(117)는 정착이 완료된 인쇄매체(S)를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한다.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지된 인쇄매체(S)는 배지대(180)에 적재된다.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하부에 마련되어 인쇄매체(S)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113a)를 구비한다. 급지카세트(113a)는 인쇄매체(S)가 적재되는 적재수단의 일 예이다. 적재수단에는 추가적으로 인쇄매체(S)를 장착할 수 있는 제2급지카세트(113b)가 포함될 수 있다.
픽업롤러(115a, 115b)는 급지카세트(113a, 113b)에 적재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pick-up)하여 인출한다.
급지부(116)는 픽업롤러(115a, 115b)에 의해 급지카세트(113a, 113b)로부터 인출된 인쇄매체(S)를 정렬롤러(118) 쪽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한다.
정렬롤러(Registration roller, 118)는 인쇄매체(S)가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를 통과하기에 앞서 인쇄매체(S)의 원하는 부분에 토너화상이 전사될 수 있도록 인쇄매체(S)의 선단부를 정렬한다. 정렬롤러(118)에 의해 정렬된 인 쇄매체(S)는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를 거쳐 정착기(111)를 통과하며 배지부(117)에 의해 화상형성장치의 밖으로 배출된다. 정렬롤러(118)는 후술하는 듀플렉스부(150) 부근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급지부(116)와 정착기(111) 사이에서 인쇄매체(S)를 안내하는 용지 이송 경로는 급지경로(121)로 지칭된다. 양면 인쇄시에는 배지부(117)의 롤러가 역회전되고, 인쇄매체(S)는 반전경로(122)를 따라 이송된다. 그러면, 화상이 인쇄되지 않은 면에 화상이 인쇄될 수 있도록 인쇄매체(S)가 역전된다. 역전된 인쇄매체(S)는 다시 급지부(116)에 의해 급지경로(121)를 거쳐 이송되면서 화상이 인쇄되지 않은 다른 면에 화상이 인쇄된다.
리어 커버부(205)는 화상형성장치의 배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그 일측에 마련된 힌지부(212)를 통해 화상형성장치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어 커버부(205)는 스캐너부(230)의 하방에 상기 스캐너부(230)의 평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리어 커버부(205)가 스캐너부(230)의 평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설치된다는 것은 리어 커버부(205)가 스캐너부(230)의 평평한 쪽 면에 수직하거나, 또는 이 면에 완전히 수직하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 보아 수직하다고 인정할 수 있게 설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리어 커버부(205)는 인쇄가 진행되는 동안 인쇄매체(S)의 걸림이 발생되는 경우 이의 제거를 위해 개폐된다. 리어 커버부(205)는 개폐를 위해 그 상단부에 후크부(205a)를 구비한다. 즉, 리어 커버부(205)는 그 측단면이 ㄱ 자 형상이고, 후크부(205a)는 상기 ㄱ 자 형상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후크부 (205a)는 그 측단면이 갈고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어 커버부(205)와 이에 구비되는 후크부(205a)는 다른 다양한 위치에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듀플렉스부(150)는, 리어 커버부(205)와의 사이에는 반전경로(122)를 형성하고, 반전경로(122)의 반대쪽에는 급지경로(121)를 형성하는 부재를 지칭하며, 리어 커버부(205)와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된다. 듀플렉스부(150)와 리어 커버부(205) 사이에는 제1, 제2 반송롤러(161, 162)가 배치되어 반전경로(122)로 인쇄매체(S)를 이송한다.
탑 커버부(210)는 본체 프레임(100)의 상부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탑 커버부(210)는 화상형성장치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스캐너부(230)와 정착기(111)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탑 커버부(210)는 스캐너부(230)의 평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탑 커버부(210)가 스캐너부(230)의 평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는 것은 탑 커버부(210)가 스캐너부(230)의 평평한 쪽 면에 평행하거나, 또는 이 면에 완전히 평행하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 보아 평행하다고 인정할 수 있게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탑 커버부(210)는, 그 일단부의 일부분 및 타단부의 일부분은 본체 프레임(2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탑 커버부(210)의 본체 프레임(100)에 대한 회전축 중심선을 기준으로 그 반대쪽에 있는 단부는 리어 커버부(205)에 후크 방식 등에 의해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탑 커버부(210)는 그 저면(210a)에 가이드 리브(220)를 구비한다. 여기서, 가이드 리브(220)는 탑 커버부(210)의 평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설치되고, 이러한 가 이드 리브(220)의 하단부에는 리어 커버부(205)의 후크부(205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걸림턱(220a)이 형성된다. 또한 여기서, 리어 커버부(205)의 후크부(205a)는 가이드 리브(220)의 걸림턱(220a)에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여 리어 커버부와 탑 커버부를 본체 프레임에 각각 개폐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잠금장치를 구비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이러한 잠금장치의 설치와 관련된 공간을 대폭 축소시키고 잠금장치의 설치와 관련된 부품의 수 및 제조공정의 수를 대폭 감소시켜 전체적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후크부(205a)와 걸림턱(220a)은 리어 커버부(205) 및 탑 커버부(210)의 제조공정에 각각 포함되어 리어 커버부(205) 및 탑 커버부(210)와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탑 커버부(210)를 열기 위해서, 먼저 리어 커버부(205)의 상단부를 아래로 잡아 당겨 연다. 이 때, 리어 커버부(205)의 후크부(205a)는 가이드 리브(220)의 걸림턱(220a) 위를 비켜 넘어감으로써 상기 걸림턱(220a)과의 결합이 해제된다. 다음으로, 탑 커버부(210)의 리어 커버부(205) 쪽 단부, 즉 탑 커버부(210)의 배면 쪽 단부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연다. 즉, 화상형성장치의 전면 쪽이 열리도록 한 종래 기술과는 달리 화상형성장치의 배면 쪽이 열리도록 탑 커버부(210)를 구성함으로써, 탑 커버부(210)를 열면 정착기(111) 주변에 걸려 있는 인쇄매체(S)가 곧바로 관찰될 수 있도록 하였고 또한 인쇄매체(S)에의 접근성이 높아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탑 커버부(210)의 상방에 스캐너부(230)가 장착되어 있는 구조에서 도, 단순히 탑 커버부(210)를 열기만 하면 정착기(111) 주변에 걸려 있는 인쇄매체(S)에 쉽게 손이 닿을 수 있어 인쇄매체의 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탑 커버부(210)의 저면(210a)에는 정착기 커버부(215)가 더 설치된다. 이러한 정착기 커버부(215)는 정착기(111)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정착기 커버부(215)는 정착기(111)에서 발생하는 열이 탑 커버부(210) 또는 리어 커버부(205) 등으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이들 커버부들(205, 210) 등에 신체 접촉을 함으로써, 화상을 입거나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인체매체의 걸림 현상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먼저 리어 커버부(205)를 열고, 이 후 탑 커버부(210)를 상방으로 열면, 정착기 커버부(215)가 탑 커버부(210)와 함께 상방으로 열리게 된다. 즉, 이와 같이 정착기 커버부(215)가 상방으로 열리게 되면, 정착기(111) 주변에 걸려 있는 인쇄매체(S)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컬러화상정보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에 해당하는 정보가 둘 이상 혼합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의 순서로 각 색상의 토너화상을 전사벨트(105)에 중첩시키고 이를 인쇄매체(S)로 전사한 후에 정착시킴으로써 컬러화상을 형성한다.
대전롤러(102)에 의해 감광체(101)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광 주사 유닛(103)에 의해 시안(C) 색상의 화상정보에 해당하는 광신호가 회전하는 감광체(101)에 주사되면, 광이 주사된 부분은 저항이 감소하면서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부착된 전하가 빠져나간다. 따라서 광이 주사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과의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며, 이에 의해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체(101)가 회전하면서 정전잠상이 시안 현상유닛(104C)에 접근하면, 시안 현상유닛(104C)의 현상롤러(125C)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시안 현상유닛(104C)의 현상롤러(125C)에 전원공급기(108)로부터 현상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다른 현상유닛(104M, 104Y, 104K)의 현상롤러(125M, 125Y, 125K)에는 현상을 방지하는 현상방지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시안(C) 색상의 토너만이 현상갭(Dg)을 가로질러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시안(C) 색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인쇄매체(S)는 픽업롤러(115a, 115b)에 의하여 급지카세트(113a, 113b)로부터 인출되어 정렬롤러(118)에 의해 정렬된 다음, 용지이송경로(121, 122)를 거쳐 이송된 후 배지부(117)에 의해 화상형성장치의 밖으로 배지된다.
감광체(101)의 회전에 의해 시안(C)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에 접근하면, 제1전사 바이어스전압 또는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와의 접촉 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전사된다.
시안(C)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에 완전히 전사되면, 다음으로,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토너화상도 상술한 단계를 거쳐 전사벨트 (105)에 중첩되게 전사된다.
상기 과정 중에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4가지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모두 중첩적으로 전사되어 전사벨트(105) 상에 컬러 토너화상이 형성되면, 이 컬러 토너화상을 인쇄매체(S)로 전사하기 위해 전사롤러(112)가 전사벨트(105)와 접촉된다.
전사벨트(105)에 형성된 컬러 토너화상의 선단이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가 접촉된 지점에 도달하는 때에 맞추어, 인쇄매체(S)의 선단이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가 접촉된 지점에 도달하도록 급지카세트(113a, 113b)로부터 인쇄매체(S)가 공급된다. 인쇄매체(S)가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를 통과하면 제2전사 바이어스전압에 의해 컬러 토너화상이 인쇄매체(S)로 전사되며, 계속하여 정착기(111)에서 열과 압력에 의해 컬러 토너화상을 인쇄매체(S)에 고착시켜 배출함으로써 컬러화상형성이 완료된다.
다음 번 인쇄를 위해 제1 및 제2클리닝장치(106, 109)는 각각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하며, 제전램프(107)는 감광체(101)에 광을 조사하여 감광체(101) 상의 잔류전하를 제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탑 커버부의 개폐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매체 걸림이 발생한 경우, 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커버부의 잠금장치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잠 금장치의 설치공간을 축소하고 잠금장치의 설치와 관련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급지부, 현상부, 전사부, 및 배지부가 마련된 프레임과, 원고의 화상을 광학적으로 읽어들여 전기적인 화상신호를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는 스캐너부를 구비하여,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프레임과 상기 스캐너부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부의 하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측방을 개폐하는 리어 커버부; 및
    상기 스캐너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개폐되는 탑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탑 커버부와 상기 리어 커버부가 닫힌 위치에 위치된 때에는 상기 탑 커버부와 상기 리어 커버부의 회동중심의 반대쪽 단부들이 서로 결합되어 잠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부는 상기 리어 커버부의 상단부를 하방으로 잡아 당겨 연 다음, 상기 탑 커버부의 상기 리어 커버부 쪽 단부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부는 그 상단부에 후크부를 구비하며,
    상기 탑 커버부에는 상기 러어 커버부의 후크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리어 커버부의 후크부와 상기 걸림턱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부는 그 측단면이 ㄱ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ㄱ 자 형상의 일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그 측단면이 갈고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부의 하방에는 토너화상을 용융시켜 인쇄매체에 고착시키는 정착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부의 저면에는 상기 정착기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정착기 커버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기 커버부는 상기 탑 커버부를 상방으로 열면, 상기 탑 커버부와 함께 상방으로 열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삭제
  12.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며 급지부, 현상부, 전사부, 및 배지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원고의 화상을 읽어들이는 스캐너부;
    상기 스캐너부의 하방에 상기 스캐너부의 평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위치되는 것으로서, 개방위치와 닫힌 위치를 갖는 리어 커버부; 및
    상기 스캐너부의 하방에 상기 스캐너부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리어 커버부와 연결되어 개방위치와 닫힌 위치로 이동되는 탑 커버부;
    상기 탑 커버부와 상기 리어 커버부를 열고 액세스할 수 있도록 상기 스캐너부의 아래에 위치되는 정착기;를 구비하며,
    상기 리어 커버부와 탑 커버부가 닫힌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탑 커버부는 상기 리어 커버부에 로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부의 상단부에는 후크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부는 상기 탑 커버부의 평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설치된 가이드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리브의 하단부에는 상기 리어 커버부의 후크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는 상기 걸림턱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부는 그 측단면이 ㄱ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부의 저면에는 상기 정착기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정착기 커버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기 커버부는 상기 탑 커버부를 상방으로 열면, 상기 탑 커버부와 함께 상방으로 열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삭제
  19. 삭제
KR1020050099338A 2005-10-20 2005-10-20 화상형성장치 KR100739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338A KR100739745B1 (ko) 2005-10-20 2005-10-20 화상형성장치
US11/496,451 US7555240B2 (en) 2005-10-20 2006-08-01 Cover member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CN200610126336A CN100587615C (zh) 2005-10-20 2006-08-30 用于图像形成设备的盖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338A KR100739745B1 (ko) 2005-10-20 2005-10-20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270A KR20070043270A (ko) 2007-04-25
KR100739745B1 true KR100739745B1 (ko) 2007-07-13

Family

ID=37985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338A KR100739745B1 (ko) 2005-10-20 2005-10-20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55240B2 (ko)
KR (1) KR100739745B1 (ko)
CN (1) CN10058761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5639B2 (en) * 2007-02-05 2010-12-07 Pitney Bowes Inc. Multi-function low profile print interface for a sheet handling device
JP5821459B2 (ja) * 2011-09-20 2015-1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80102B2 (ja) * 2012-02-10 2016-03-08 株式会社リコー 記録媒体収容具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990602B2 (ja) * 2015-01-19 2016-09-1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892985B2 (ja) * 2016-07-08 2021-06-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883272B2 (ja) * 2016-07-08 2021-06-0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20076980A (ja) * 2019-10-18 2020-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981A (ko) * 1999-02-12 2000-09-15 윤종용 복합기
KR20030070637A (ko) * 2002-02-26 2003-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걸림현상 감지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050003876A (ko) * 2003-07-04 200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9158A (en) * 1981-05-18 1982-11-20 Toshiba Corp Copying machine
KR920020284A (ko) 1991-04-30 1992-11-20 정몽헌 전자사진 프로세스(process)
US5337134A (en) * 1992-08-11 1994-08-09 Fujitsu Limited Sheet inverting unit and an imaging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JPH06110262A (ja) * 1992-09-28 1994-04-22 Fujitsu Ltd 画像形成装置
JPH08142445A (ja) 1994-11-21 1996-06-04 Casio Electron Mfg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897244A (en) * 1996-11-16 1999-04-27 Mita Industrial Co., Ltd. Image-forming machine capable of opening to permit ready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US6384940B1 (en) * 1997-04-21 2002-05-07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Facsimile device utilizing process unit for electrophotographic device
US5950050A (en) * 1998-01-19 1999-09-07 Mita Industrial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38071B1 (ko) 1999-09-03 2002-05-24 윤종용 전자사진 인쇄기기
JP2000162944A (ja) * 2000-01-01 2000-06-16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US6571074B2 (en) * 2001-09-13 2003-05-27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7016629B2 (en) * 2003-04-17 2006-03-2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ischarging unit of increased capacity
JP4069884B2 (ja) * 2004-03-08 2008-04-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6023618A (ja) * 2004-07-09 2006-01-26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US7298988B2 (en) * 2004-09-08 2007-11-2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981A (ko) * 1999-02-12 2000-09-15 윤종용 복합기
KR20030070637A (ko) * 2002-02-26 2003-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걸림현상 감지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050003876A (ko) * 2003-07-04 200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270A (ko) 2007-04-25
US20070092293A1 (en) 2007-04-26
CN100587615C (zh) 2010-02-03
CN1952798A (zh) 2007-04-25
US7555240B2 (en) 2009-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441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0739745B1 (ko) 화상형성장치
KR100813967B1 (ko) 용지 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2005316488A (ja)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採用した画像形成装置
US7106991B2 (en) Process cartridge smoothly and stab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process cartridge
JP2004029211A (ja) 画像形成装置
JP483567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1022279A (ja) 画像形成装置
JPH0826502A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カセット
KR100561422B1 (ko) 감광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601675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764322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822068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511713B2 (ja) 電子写真装置
JP444056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4247470A (ja) 画像形成用カートリッジ
JP2006267843A (ja) 画像形成装置
KR20070030495A (ko) 화상형성장치
JP2023030291A (ja) 画像形成装置
JP2024003869A (ja) 画像形成装置
JP3103540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とそれに用いる中間転写ユニット
KR20060057836A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JP2008026363A (ja) 画像形成装置
JPH10142889A (ja) 画像形成装置
KR20060041517A (ko)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