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967B1 - 용지 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967B1
KR100813967B1 KR1020060004172A KR20060004172A KR100813967B1 KR 100813967 B1 KR100813967 B1 KR 100813967B1 KR 1020060004172 A KR1020060004172 A KR 1020060004172A KR 20060004172 A KR20060004172 A KR 20060004172A KR 100813967 B1 KR100813967 B1 KR 100813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guide
cassette
paper guide
paper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4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5662A (ko
Inventor
임광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4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967B1/ko
Priority to US11/640,392 priority patent/US7871067B2/en
Priority to CN200710002015A priority patent/CN100576097C/zh
Publication of KR20070075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26Duplicate, alternate, selective, or coacting fe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66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10Modular constructions, e.g. using preformed element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60Coupling, adapter or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 B65H2404/612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and shaped for curvilinear transport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3Front, i.e. portion adjacent to the feeding / delivering side
    • B65H2405/1134Front, i.e. portion adjacent to the feeding / delivering side movable, e.g. pivo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3Front, i.e. portion adjacent to the feeding / delivering side
    • B65H2405/1138Front, i.e. portion adjacent to the feeding / delivering side cur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3Compartmented support
    • B65H2405/332Superpose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10Ensuring correct operation
    • B65H2601/11Clearing faulty handling, e.g. jams

Abstract

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급지카세트는 급지카세트 본체,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 적재부에 대해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제1 용지가이드, 및 제1 용지가이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회동 위치에 따라 제1 용지가이드에 대해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제2 용지 가이드를 구비한다.
따라서, 개시된 급지카세트는 급지경로에서 용지 걸림이 발생한 경우 급지카세트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이로써 용지 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지 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Paper feeding cassette having paper feeding structure to easily remove paper ja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메인 급지카세트를 위로부터 아래로 비스듬하게 내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메인 급지카세트를 아래로부터 위로 비스듬하게 올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급지 구조물를 도시한 발췌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용지 가이드들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급지 구조물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용지 걸림이 제거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프레임 110: 현상카트리지
120: 전사벨트 121,122,123,124: 지지롤러
130: 노광부 140: 전사롤러
150: 정착기 160: 인쇄유닛
170a, 170b: 급지카세트 172a, 172b: 픽업롤러
174a, 174b: 이송롤러 200: 제1 용지가이드
201: 제2 용지가이드 203: 제3 용지가이드
211: 제1 급지경로 212: 제2 급지경로
본 발명은 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급지경로에서 용지 걸림이 발생한 경우 급지카세트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이로써 용지 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의 표면을 소정의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프로세스, 레이저 스캐닝 유닛(LSU)과 같은 광주사 유닛에 의해 감광체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는 노광프로세스,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인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인 토너화상(Toner image)으로 현상하는 현상프로세스, 급지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인출하여 용지가 급지되는 급지경로를 따라 급지시키는 급지프로세스,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상기와 같이 급지된 용지로 전사(transfer)시키는 전사프로세스, 용지로 전사된 토너화상을 고온, 고압으로 가압하여 용지에 정착시키는 정착프로세스, 정착이 완료된 용지를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지시키는 배지프로세스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프로세스에 의해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급지카세트(이하, 메인 급지카세트)의 용지 탑재능력은 보통 150~250 매 정도이고, 더 많은 용량의 용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구동 메커니즘을 갖는 보조 급지카세트(second cassette feeder: SCF)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더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보조 급지카세트는 보통 메인 급지카세트의 하부에 장착되어 용지를 공급하게 되는데, 이에는 일반적으로 적재된 용지를 화상형성장치로 공급하기 위하여 픽업롤러와, 통상 중계롤러로 불리우는 이송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메인 급지카세트와 본체 각각에는 상보적으로 용지의 원활한 이송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지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용지가 보조 급지카세트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내부로 급지될 경우, 급지경로 상에서 용지 걸림이 발생하게 되면, 이 걸린 용지가 메인 급지카세트 및 본체 각각에 설치된 용지 가이드들 사이에 단단히 끼어, 결과적으로 각 부분에 설치된 용지 가이드들을 단단히 결합시키는 결합부재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용지 걸림을 제거하기 위해 메인 급지카세트를 본체로부터 분리시키려고 해도 그 분리가 쉽지 않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이의 분리를 위하여 무리한 힘을 가해 메인 급지카세트를 잡아 당겨야 하므로 불편하다. 또한, 이와 같이 메인 급지카세트에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면, 걸린 용지는 그 힘을 견디지 못하고 찢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급지경로에서 용지 걸림이 발생한 경우 급지카세트를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이로써 용지 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지되는 용지의 선단부를 정렬할 수 있는 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지카세트 본체;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대해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제1 용지가이드; 및
상기 제1 용지가이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회동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용지가이드에 대해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제2 용지 가이드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인쇄유닛;
상기 인쇄유닛으로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급지카세트;
상기 인쇄유닛에 보조 급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보조 급지카세트; 및
상기 메인 급지카세트 또는 보조 급지카세트로부터 급지된 용지를 상기 인쇄유닛으로 가이드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3 용지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급지카세트는,
급지카세트 본체와,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에 대해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제1 용지가이드와, 상기 제1 용지가이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회동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용지가이드에 대해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제2 용지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용지가이드는 상기 제1 용지가이드와 함께 상기 메인 급지카세트의 적재부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로 용지가 급지되는 제1 급지경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용지가이드는, 상시, 제1 급지경로를 차단하는 위치로 회동되어 있고, 상기 메인 급지카세트로부터 제1 급지경로를 통해 용지가 급지되게 되면 상기 제2 용지가이드는 급지되는 용지에 밀려 상기 제1 급지경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급지카세트 본체의 상기 제1 및 제2 용지가이드의 전방에는 상기 급지카세트 본체를 하방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급지카세트에는 상기 메인 급지카세트의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또 다른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들은 상기 보조 급지카세트로부터 상기 인쇄유닛으로 용지가 급지되는 제2 급지경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용지가이드는 상기 제1 용지 가이드에 힌지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용지가이드 및 상기 제2 용지가이드를 연결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용지가이드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1 급지경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상기 제2 용지가이드가 상기 제1 용지가이드에 용지의 폭방향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용지가이드는 상기 제2 용지가이드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및 제3 용지가이드는, 상기 제2 급지경로로 용지가 급지되고 상기 용지의 상하 양면 중 어느 일면의 일부분이 상기 제2 및 제3 용지가이드 중 어느 한 용지가이드에 대향되는 경우, 그 해당하는 부분의 타면은 다른 한 용지가이드에는 대향되지 않도록 지그재그방식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용지가이드의 하단부는, 상기 제2 용지가이드가 상기 제1 급지경로를 개방하는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급지카세트 본체의 평활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용지가이드의 상단부 보다 낮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급지경로 상에서 용지 걸림이 발생한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메인 급지카세트를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제2 용지가이드는 걸린 용지에 의해 밀려 상기 제1 급지경로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카세트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메인 급지카세트를 위로부터 아래로 비스듬하게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메인 급지카세트를 아래로부터 위로 비스듬하게 올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급지 구조물를 도시한 발췌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0)와, 전자사진 프로세스에 의하여 용지(S1, S2)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160)과, 인쇄유닛(160)으로 용지(S1, S2)를 급지하기 위한 메인 급지카세트(170a)와, 및 인쇄유닛(160)에 보조 급지를 제공하기 위한 보조 급지카세트(170b)를 구비한다.
인쇄유닛(160)은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예를 들면 시안(C: cyan), 마젠타 (M: magenta), 옐로우(Y: yellow), 블랙(K: blac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된 4개의 현상카트리지(110), 전사벨트(120), 노광부(130), 전사롤러(140), 정착기(150)를 포함한다.
전사벨트(120)는 다수의 지지롤러들(121, 122, 123, 124)에 의해 지지되어 순환 주행된다. 이러한 지지롤러들(121, 122, 123, 124) 중 적어도 한 지지롤러는 메인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고, 나머지 지지롤러들은 상기의 구동되는 지지롤러에 의해 종동되게 된다.
각 노광부(130)는 시안(C: cyan), 마젠타(M: magenta), 옐로우(Y: yellow), 블랙(K: black)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제어신호에 따라 각 현상카트리지(110)의 감광드럼(111)에 조사한다.
각 현상카트리지(110)는 감광드럼(111), 현상롤러(112), 대전롤러(113), 공급롤러(114), 및 규제부재(116)를 포함한다. 감광드럼(111)은 그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며 금속제 드럼의 외주에 광전도성 물질층이 코팅되어 있다.
대전롤러(113)에는 감광드럼(111)의 외주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해 대전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대전롤러(113) 대신에 코로나 방전기(미도시)가 채용될 수 있다. 현상롤러(112)는 그 외주에 토너를 부착시켜 감광드럼(111)으로 공급한다. 현상카트리지(110)는 고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드럼(11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현상시킨다. 현상롤러(112)에는 이들 토너를 감광드럼(111)으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현상롤러(112)의 외측 프레임(100)에는 현상롤러(112)에 토너를 부착시키는 공급롤러(114)와, 현상롤러(112)에 부착된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토너층 규제부재(116)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현상카트리지(110)는 노광부(130)에 의하여 주사된 광이 감광드럼(111)에 조사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개구(117)를 구비한다. 감광드럼(111)의 외주로 노출된 외주면은 전사벨트(120)와 대면한다.
4개의 전사롤러(140)는 전사벨트(120)를 사이에 두고 각 현상카트리지(110)의 감광드럼(111)과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사롤러들(140)은 지지롤러들(121, 122, 123, 124) 중 적어도 한 지지롤러가 구동되면, 상기의 구동되는 지지롤러에 의해 순환 주행되는 전사벨트(120)에 의해 종동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전사롤러(140)는 감광드럼(111)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용지(S1, S2)로 전사되도록 상기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감광드럼(111)과 전사롤러(140)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용지(S1, S2)로 전사된다. 감광드럼(111)의 외주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용지(S1, S2)로 전사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와 같은 직접전사방식 외에 감광드럼(111)의 토너화상을 일단 전사벨트(미도시)로 전사한 후, 이 전사벨트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다시 용지(S1, S2)로 전사시키는 간접전사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정착기(150)는 가열롤러(heating roller, 151)와 가압롤러(152)를 포함하며, 용지(S1, S2)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S1, S2)에 정착시킨다. 가열롤러(151)는 토너화상을 영구 고착시키기 위한 열원으로 가압롤러(152)에 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가압롤러(152)는 가열롤러(151)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용지(S1, S2)에 높은 압력을 가하여 용지(S1, S2)에 토너화상을 정착시킨다.
배지롤러(176)는 정착이 완료된 용지(S1, S2)를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시킨다. 인쇄유닛(160)으로부터 용지이송경로(180)를 따라 배지롤러(176)에서 배지된 용지(S1, S2)는 적재부(190)에 적재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는 그 하부에 마련되어 용지(S1)를 인쇄유닛(160)으로 급지하는 메인 급지카세트(170a), 및 메인 급지카세트(170a)의 급지 용량을 보완하는 보조 급지카세트(170b)를 구비한다.
메인 급지카세트(170a)는 급지카세트 본체(170a1)와, 용지(S1)가 적재되는 적재부(171a)와, 제1 및 제2 용지가이드(200, 201)를 구비한다.
제1 용지가이드(200)는 적재부(171a)에 대해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제2 용지 가이드(201)는 제1 용지가이드(2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예로, 제2 용지가이드(201)는 제1 용지가이드(200)에 힌지 결합되어, 그 회동 위치에 따라 제1 용지가이드(200)에 대해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2 용지가이드(201)는 제1 용지가이드(200)와 함께 적재부(171a)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로 용지(S1)가 급지되는 제1 급지경로(211)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제2 용지가이드(201)는, 자체 하중에 의해, 상시, 제1 급지경로(211)를 차단하는 위치로 회동되어 있다. 이 후, 메인 급지카세트(170a)로부터 제1 급지경로(211)를 통해 용지(S1)가 급지되게 되면 제2 용지가이드(201)는 급지되는 용지(S1)에 밀려 상기 제1 급지경로(21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메인 급지카세트(170a)로부터 용지(S1)가 급지될 때, 급지되는 용지(S1)의 선단부가 제2 용지가이드(201)에 의해 가로 막혀 소정 시간 동안 급지되지 못하게 되고, 이로써 용지(S1)의 선단부가 정렬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용지가이드(200) 및 제2 용지가이드(201)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되고, 제2 용지가이드(201)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제1 급지경로(21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용지가이드(201)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용지가이드(200)에 용지의 폭방향으로 톱니 모양으로 배열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2 용지가이드들(201)이 후술하는 제3 용지가이드들(2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게 되어 메인 급지카세트(170a)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제2, 제3 용지가이드들(201, 203)의 상대적 배치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제1 급지경로(211) 상에서 용지 걸림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용지 걸림을 방지하는 원리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급지카세트 본체(170a1)의 제1 및 제2 용지가이드(200, 201)의 전방에는 급지카세트 본체(170a1)를 하방으로 관통하는 관통홀(205)이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홀(205)은 급지카세트 본체(170a1)의 하부에 장착되는, 후술하는 보조 급지카세트(170b)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즉 인쇄유닛(160)으로 용지(S2)가 급지되는 제2 급지경로(21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메인 급지카세트(170a)에 적재된 용지(S1)가 모두 소모된 경우, 보조 급지카세트(170b)에 적재된 용지(S2)가 상기 관통홀(205)을 통해 인쇄유닛(160)으로 급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205)의 폭은 적어도 급지되는 용지(S2)의 폭 보다는 넓어야 한다. 도 3에는 메인 급지카세트(170a)에 형성된 관통홀(205)의 위치 및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메인 급지카세트(170a)에 적재된 용지(S1)는 픽업롤러(pick-up roller, 172a)에 의해 인출되어 인쇄유닛(160) 쪽으로 이송된다.
보조 급지카세트(170b)는 급지카세트 본체(170b1), 적재부(171b), 픽업롤러(172b), 및 이송롤러(174b)를 구비한다.
적재부(171b)는 보조 용지(S2)를 적재하기 위한 것으로 급지카세트 본체(170b1)에 설치된다.
픽업롤러(172b)는 적재부(171b)에 적재된 용지(S2)를 인출하여 제2 급지경로(212)로 이송한다.
이송롤러(174b)는 상기 픽업롤러(172b)에 의해 공급되는 용지(S2)를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구비된 이송롤러(174a)까지 이송시킨다.
한편,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 하부에는 2 이상의 보조 급지카세트가 장착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메인 급지카세트(170a)와 최하측 보조 급지카세트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급지카세트에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인 급지카세트(170a)의 관통홀(205)과 연통되도록 또 다른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들은 보조 급지카세트로부터 인쇄유닛(160)으로 용지(S2)가 급지되는 제2 급지경로(212)를 형성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에는 메인 급지카세트(170a) 또는 보조 급지카세트(170b)로부터 급지된 용지(S1, S2)를 인쇄유닛(160)으로 가이드하는 제3 용지가이드(203)가 설치된다. 제3 용지가이드(203)는 본체(10)에 설치된 용지가이드 지지부(204)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제3 용지가이드(203)는 제2 용지가이드(201)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4에는 제1, 제2, 제3 용지가이드(200, 201, 203)와, 픽업롤러(172a), 그리고 이송롤러(174a)의 배치구조 및 상대적인 배치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즉, 급지카세트 본체(170a1)에는 픽업롤러(172a) 쪽에 경사면을 갖는 제1 용지가이드(200)가 설치되어 있고, 제1 용지가이드(200)에는 역시 경사면을 갖는 복수의 제2 용지가이드(201)가 회동 가능하게 용지의 폭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픽업롤러(172a)와 이송롤러(174a) 사이에는 제3 용지가이드(203)가 형성된 용지가이드 지지부(20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메인 급지카세트(170a)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2 용지가이드(201)와 제3 용지가이드(203) 사이의 급지카세트 본체(170a1)의 위치에는 관통홀(205)이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4의 용지 가이드들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급지되는 용지(S2)가 용지가이드들(201, 203)에 의해 가이드되는 모습을 도 4의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여기서, 용지(S2)는 보조 급지카세트(170b)로부터 제2 급지경로(212)를 통해 급지된다. 또한 여기서, 제2 용지가이드(201)는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제1 급지경로(21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도 5를 참조하면, 급지되는 용지(S2)는 제2 용지가이드(201)와 제3 용지가이드(203)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 경우, 제2 및 제3 용지가이드(201, 203)는, 상기 용지(S2)의 상하 양면 중 어느 일면의 일부분이 제2 및 제3 용지가이드(201, 203) 중 어느 한 용지가이드에 대향되는 경우, 그 해당하는 부분의 타면은 다른 한 용지가이드에는 대향되지 않도록 지그재그방식으로 배치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제2 및 제3 용지가이드(201, 203)는 용지(S2)의 소정 부분의 일면 및 그 타면을 동시에 지지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3 용지가이드(203)는, 제1 급지경로(211)를 통해 급지되는 용지(S1)의 선단부가 제2 용지가이드(201)를 벗어나는 즉시, 제3 용지가이드(203)의 일부분이 상기 용지(S1)를 가이드하도록 배치된다. 즉, 제3 용지가이드(203)는 그 하단부가 제2 용지가이드(201)의 상단부와 겹치도록 배치되고, 따라서 이들 용지가이드들(201, 203) 사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랩 영역(O)이 존재하게 된다. 만약, 이들 용지가이드들(201, 203) 사이에 상기와 같은 오버랩 영역(O)이 존재하 지 않게 되면, 용지(S1)가 메인 급지카세트(170a)로부터 제1 급지경로(211), 즉 도 4의 A 방향으로 급지될 때, 이 용지(S1)는 그 선단부가 제2 용지가이드(201)를 벗어난 직후에 제3 용지가이드(203)에 곧바로 접촉되어 가이드되지 못하고 이들 용지가이드들(201, 203) 사이에 끼이게 된다. 이로 인해, 제2, 제3 용지가이드(201, 203) 사이에서 용지 걸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제2, 제3 용지가이드(201, 203)의 측단면의 구조는 후술하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2 및 제3 용지가이드(201, 203) 사이에 오버랩 영역(O)이 마련될 경우, 메인 급지카세트(170a)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에 착탈시키기 위해서는 제2, 제3 용지가이드들(201, 20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방식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메인 급지카세트(170a)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2 용지가이드(201)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용지가이드(203) 보다 본체(10)의 더 안쪽에 위치하게 되고, 메인 급지카세트(170a)가 본체(10)로부터 분리되기 위해서는 제2 용지가이드(201)가 제3 용지가이드(203) 쪽으로 이동된 후 제3 용지가이드(203)와 엇갈려 외부로 빠져 나와야 하기 때문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급지 구조물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용지 걸림이 제거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용지(S2)가 제2 급지경로(212)를 통해 급지될 때,이송롤러(174a)와 제2 급지경로(212) 사이에서 용지 걸림이 발생한 상태를 보여 준다. 이 경우, 제2 용지가이드(201)는 제1 급지경로(21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제2 용지가이드(201)가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제1 급지경로(21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용지가이드(201)는, 상시, 제1 급지경로(211)를 차단하는 위치로 회동되어 있고, 메인 급지카세트(170a)로부터 제1 급지경로(211)를 통해 용지(S1)가 급지되게 되면 제2 용지가이드(201)는 급지되는 용지(S1)에 밀려 제1 급지경로(21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6a를 참조하면, 제2 용지가이드(201)가 제1 급지경로(211)를 개방하는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 제3 용지가이드의 하단부(203a)는, 급지카세트 본체(170a1)의 평활면을 기준으로 제2 용지가이드의 상단부(201a) 보다 낮게 배치된다. 이의 효과에 관하여는 상기 도 5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도 6b는 메인 급지카세트(170a)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로부터 분리되어 용지 걸림이 제거되는 상태를 보여 준다.
도 6a에서와 같이 제2 용지가이드(201)가 소정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는 경우에, 메인 급지카세트(170a)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로부터 분리되게 되면, 제2 용지가이드(201)도 메인 급지카세트(170a)가 이동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고, 결국 제2 용지가이드(201)는 걸린 용지(S2)와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제2 용지가이드(201)는 걸린 용지(S2)에 밀려 제1 급지경로(211)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로써 메인 급지카세트(170a)는 본체(10)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메인 급지카세트(170a)를 분리시킴으로써 걸린 용 지(S2)도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만약, 제2 용지가이드(201)가 제1 급지경로(21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제1 용지가이드(200)에 고정되게 설치되거나, 제1, 제2 용지가이드(200, 201)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걸린 용지(S2)가 각 용지가이드들(200, 201)을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 작용하여 메인 급지카세트(170a)가 본체(10)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되지 못하고, 걸린 용지(S2)가 찢어진 후에야 비로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용지가이드(201)가, 상시, 제1 급지경로(211)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용지 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등의 전술한 효과 이외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급지카세트(170a)로부터 용지(S1)가 급지될 때, 용지(S1)의 선단부가 제2 용지가이드(201)에 부딪힘으로써 소정 시간 동안 소정의 힘을 받아 정렬되게 되는 또 다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급지경로에서 용지 걸림이 발생한 경우 급지카세트를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이로써 용지 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급지되는 용지의 선단부를 정렬할 수 있는 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급지카세트 본체;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대해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제1 용지가이드; 및
    상기 제1 용지가이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회동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용지가이드에 대해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용지가이드와 함께 상기 적재부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로 용지가 공급되는 제1급지경로를 형성하는 제2 용지 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용지가이드는 상기 제1 급지경로를 차단하는 위치로 회동되어 있고, 상기 적재부로부터 상기 제1 급지경로를 통해 용지가 급지되게 되면 상기 제2 용지가이드는 급지되는 용지에 밀려 상기 제1 급지경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2. 급지카세트 본체;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대해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제1 용지가이드;
    상기 제1 용지가이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회동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용지가이드에 대해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용지가이드와 함께 상기 적재부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로 용지가 공급되는 제1급지경로를 형성하는 제2 용지 가이드;
    상기 제1 용지가이드와 상기 제2 용지가이드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용지가이드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1 급지경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 본체의 상기 제1 및 제2 용지가이드의 전방에는 상기 급지카세트 본체를 하방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급지카세트 본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보조 급지카세트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로 용지가 급지되는 제2 급지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지 가이드에는 복수의 상기 제2 용지가이드가 상기 용지의 폭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8. 화상형성장치 본체;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것으로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인쇄유닛;
    상기 인쇄유닛으로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급지카세트;
    상기 인쇄유닛에 보조 급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보조 급지카세트; 및
    상기 메인 급지카세트 또는 보조 급지카세트로부터 급지된 용지를 상기 인쇄유닛으로 가이드하는 것으로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제3 용지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급지카세트는,
    급지카세트 본체와,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에 대해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제1 용지가이드와, 상기 제1 용지가이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회동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용지가이드에 대해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제2 용지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지가이드는 상기 제1 용지가이드와 함께 상기 메인 급지카세트로부터 상기 인쇄유닛으로 용지가 급지되는 제1 급지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지가이드는, 상시, 상기 제1 급지경로를 차단하는 위치로 회동되어 있고, 상기 메인 급지카세트로부터 상기 제1 급지경로를 통해 용지가 급지되게 되면 상기 제2 용지가이드는 급지되는 용지에 밀려 상기 제1 급지경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 본체의 상기 제2 용지가이드의 전방에는 하방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급지카세트에는 상기 메인 급지카세트의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또 다른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들은 상기 보조 급지카세트로부터 상기 인쇄유닛으로 용지가 급지되는 제2 급지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지가이드는 상기 제1 용지 가이드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지가이드 및 상기 제2 용지가이드를 연결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용지가이드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1 급지경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지가이드에는 복수의 상기 제2 용지가이드가 상기 용지의 폭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용지가이드는 상기 제2 용지가이드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용지가이드는, 상기 제2 급지경로로 용지가 급지되고 상기 용지의 상하 양면 중 어느 일면의 일부분이 상기 제2 및 제3 용지가이드 중 어느 한 용지가이드에 대향되는 경우, 그 해당하는 부분의 타면은 다른 한 용지가이드에는 대향되지 않도록 지그재그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용지가이드의 하단부는, 상기 제2 용지가이드가 상기 제1 급지경로를 개방하는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급지카세트 본체의 평활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용지가이드의 상단부 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급지경로 상에서 용지 걸림이 발생한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메인 급지카세트를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제2 용지가이드는 걸린 용지에 의해 밀려 상기 제1 급지경로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60004172A 2006-01-14 2006-01-14 용지 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813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172A KR100813967B1 (ko) 2006-01-14 2006-01-14 용지 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11/640,392 US7871067B2 (en) 2006-01-14 2006-12-18 Paper cassette feeder for easily removing paper ja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0710002015A CN100576097C (zh) 2006-01-14 2007-01-15 易于消除卡纸的进纸盒和具有其的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172A KR100813967B1 (ko) 2006-01-14 2006-01-14 용지 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662A KR20070075662A (ko) 2007-07-24
KR100813967B1 true KR100813967B1 (ko) 2008-03-14

Family

ID=38262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172A KR100813967B1 (ko) 2006-01-14 2006-01-14 용지 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71067B2 (ko)
KR (1) KR100813967B1 (ko)
CN (1) CN10057609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8014B2 (ja) * 2012-03-29 2016-07-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定着部保持機構、および定着装置
JP5974624B2 (ja) * 2012-05-17 2016-08-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類搬送装置及び紙葉類取扱装置
JP5920028B2 (ja) * 2012-05-29 2016-05-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785926B2 (ja) * 2012-11-28 2015-09-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127735B2 (ja) * 2013-05-31 2017-05-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14420B2 (ja) * 2013-06-27 2016-05-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06096B2 (ja) * 2015-03-30 2018-10-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シート供給装置
US11208277B2 (en) * 2017-09-14 2021-12-28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US10146173B1 (en) 2017-09-15 2018-12-0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rocessing apparatus
EP3721419A4 (en) 2017-12-07 2021-12-08 Crane Payment Innovations, Inc. OPEN BANK NOTE ROUTE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6438A (ja) * 1993-06-25 1995-03-2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用紙搬送装置
JP2002053243A (ja) 2001-07-03 2002-02-19 Fuji Xerox Co Ltd 用紙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4738A (en) * 1985-04-28 1988-03-29 Mita Industrial Co., Ltd. Copying apparatus
JPH0464540A (ja) * 1990-07-04 1992-02-28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
JPH0569983A (ja) 1991-09-13 1993-03-23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3199503B2 (ja) * 1992-07-31 2001-08-20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
JP3205609B2 (ja) 1992-11-05 2001-09-0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用給紙装置
JPH09221247A (ja) 1996-02-16 1997-08-26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080549B2 (ja) * 1997-06-20 2008-04-23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プリン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6438A (ja) * 1993-06-25 1995-03-2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用紙搬送装置
JP2002053243A (ja) 2001-07-03 2002-02-19 Fuji Xerox Co Ltd 用紙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662A (ko) 2007-07-24
CN100576097C (zh) 2009-12-30
US7871067B2 (en) 2011-01-18
CN101000475A (zh) 2007-07-18
US20070164500A1 (en) 200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967B1 (ko) 용지 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7609994B2 (en) Image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apparatus
JP5145839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000630B2 (en) Developing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3241466A (ja) 画像形成装置
US83010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user contact prevention
KR100739745B1 (ko) 화상형성장치
KR20090105044A (ko)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기기
JP5533085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5022048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O2021183177A1 (en) Waste toner collecting for preventing full detection error
JP5638039B2 (ja) 画像形成装置
JP7423695B2 (ja) 画像形成装置
EP4068002B1 (en) Manual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7388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realizing downsizing of a main body of the apparatus
JP2011053528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装置の組立方法
US759037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openings and a cover
EP044806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0027246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installing image forming structure and method for removing image forming structure
JP4203650B2 (ja) 給紙装置
US2006011018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61468B1 (ko) 코팅기능이 있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KR20060041517A (ko) 화상형성장치
JPH09152823A (ja)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H10157225A (ja) 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