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1517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1517A
KR20060041517A KR1020040090753A KR20040090753A KR20060041517A KR 20060041517 A KR20060041517 A KR 20060041517A KR 1020040090753 A KR1020040090753 A KR 1020040090753A KR 20040090753 A KR20040090753 A KR 20040090753A KR 20060041517 A KR20060041517 A KR 20060041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uni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겸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0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41517A/ko
Publication of KR20060041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3Feeding path after the fixing point and up to the discharge tray or the finisher, e.g. special treatment of copy material to compensate for effects from the fix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용지 분류 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개시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동일한 출력물을 여러 매 인쇄시 배지롤러로부터 배지되는 용지가 자동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용지 분류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와 달리 동일한 인쇄물을 여러 매 인쇄시 배지롤러로부터 배지되는 용지가 단계적으로 적재부에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출력물을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분류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감광체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중간전사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감광체유닛과 중간전사유닛과 폐토너 회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폐토너 회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지 분류 장치가 마련된 적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적재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용지 분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용지 분류 장치에 의해 분류되어 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보여준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감광체 102...대전롤러
103...광주사 유닛 104...현상유닛
105...전사벨트 106...제1클리닝장치
106a..제1블레이드 106b..제1이송수단
106c..제1폐토너 저장부 109...제2클리닝장치
109a..제2블레이드 109b..제2이송수단
109c..제2폐토너 저장부 110...전사전 제전유닛
111...정착부 112...전사롤러
113...급지카세트 115...픽업롤러
116...피드롤러 125...현상롤러
140...본체 프레임 200...감광체유닛
300...중간전사유닛 301, 302, 303...지지롤러
304...중간전사롤러 305...닙롤러
400...용지 분류 장치 410...가이드부
412...레버 414...탄성부재
420...캠부 422...회전축
424...캠부재 426...클러치부
450...제어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한 출력물을 여러 매 인쇄시 배지부에 용지가 단계적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용지 정렬 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의 표면을 소정의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프로세스, 레이저 스캐닝 유닛(LSU)과 같은 광주사유닛에 의해 감광체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는 노광프로세스,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인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인 토너화상(Toner image)으로 현상하는 현상프로세스, 급지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인출하여 용지가 이송되는 이송경로를 따라 용지가 급지되는 급지프로세스,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상기와 같이 급지된 용지로 전사(transfer)하는 전사프로세스, 용지로 전사된 토너화상을 고온, 고압으로 가압하여 용지에 정착시키는 정착프로세스, 정착이 완료된 용지를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지시키는 배지프로세스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프로세스에 의해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인쇄 작업시 사용자는 인쇄 매수를 체크하고 출력을 한다. 예를 들어, 인쇄될 용지가 3 페이지(page)인 파일을 인쇄매수 4 매로 선택해서 인쇄시 배지부에는 3 페이지의 파일이 4 번 출력되어 적재된다. 대부분의 화상형성장치는 한 개의 배지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하면 동일한 인쇄물을 한 부씩 찍기로 여러 매 인쇄시 출력된 인쇄물을 다시 분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동일한 출력물을 여러 매 인쇄시 출력물이 배지부에 단계적으로 적재되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배지롤러로부터 배지된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용지가 분류되어 적재되도록 상기 배지롤러로부터 배지되는 상기 용지를 선택적으로 간섭하는 용지를 분류하는 용지 분류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동일한 인쇄물을 한 부씩 찍기로 여러 매 인쇄시 각 부의 인쇄가 끝난 후에 상기 용지 분류 장치가 상기 용지에 대해 간섭과 이격을 번갈아 하도록 상기 용지 분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 분류 장치는, 배지되는 상기 용지를 간섭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선택적으로 간섭하는 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일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상기 용지를 간섭하는 측이 상기 적재부에서 멀어지도록 상기 레버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를 간섭하는 캠부재와; 상기 회전축을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클러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감광체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중간전사유닛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감광체유닛과 중간전사유닛과 폐토너 회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폐토너 회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폐토너 감지 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100)는 그 프레임(140) 내부에 감광체(101)와, 대전롤러(102)와, 광주사 유닛(103)과, 4개의 현상유닛(104)과, 전사벨트(105)를 구비한다.
감광체(101)는 원통형상의 금속제 드럼의 외주면에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광도전성 물질층이 코팅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감광체(101)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며, 후술하는 광주사 유닛(103)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다.
대전롤러(102)는 감광체(101)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102)는 감광체(101)의 외주면과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회전하면서 전하를 공급하여 감광체(101)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한다. 대전롤러(102)에는 감광체(101)의 외주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하여 대전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대전롤러(102) 대신에 코로나 방전기(미도시)가 채용될 수 있다.
광주사 유닛(103)은 감광체(101)의 하방에 설치되며,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대전된 감광체(101)에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컴퓨터 신호에 따라 주사하여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광주사 유닛(103)은 레이저빔을 주사하는 광원(미도시)과, 광원에서 조사된 레이저빔을 편향시키는 빔편향기를 포함한다. 상기 빔편향기로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면서 광을 주사하는 폴리곤미러(polygon mirror, 미도시)가 채용될 수 있다. 한편, 폴리곤미러(미도시) 대신에 디스크면에 형성된 홀로그램 패턴에 의해 회절 주사시킴에 의해 광을 편향 주사시키는 홀로그램 디스크(미도시)가 채용될 수도 있다. 광주사 유닛(103)으로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사용된다.
4 개의 현상유닛(104C, 104M, 104Y, 104K)은 본체 프레임(14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 형식으로, 그 내부에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고체분말상의 토너가 수용된다. 상기 현상유닛(104C, 104M, 104Y, 104K)은 이들 토너를 감광체(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롤러(125)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현상유닛(104C, 104M, 104Y, 104K)은 그 내부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체된다.
현상롤러(125)는 현상유닛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그 외주에 부착시켜 감광체(101)로 공급한다. 현상롤러(125)는 고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체(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현상시킨다. 현상롤러(125)에는 이들 토너를 감광체(101)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4개의 현상유닛(104C, 104M, 104Y, 104K)은 현상롤러(125)가 감광체(101)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의 현상갭(Dg)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전기장에 의해 감광체(101)에서 현상롤러(125)로 향하는 힘이 발생하며, 하전된 토너는 현상갭(Dg) 사이에 형성된 현상영역에서 진동 왕복운동을 하면서 이송되어 현상이 이루어진다. 현상갭(Dg)은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벨트(105)에는 감광체(101)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토너화상이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상기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에 중첩 전사됨으로써 컬러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전사벨트(105)의 길이는 컬러토너화상이 최종적으로 수용되는 용지(S)의 길이와 같거나 적어도 그보다 길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감광체유닛(200)과 전사벨트(105)가 포함되는 중간전사유닛(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140, 도 1 참조) 내부의 메인프레임(150)에 감광체(101)를 포함하는 감광체유닛(200), 전사벨트(105)를 포함하는 중간전사유닛(300), 현상롤러(125)를 각각 포함하는 4개의 현상유닛(104C, 104M, 104Y, 104K)이 장착된 다.
감광체유닛(200)은 상하방향(Z)으로 착탈될 수 있게 설치된다. 중간전사유닛(300)은 감광체유닛(200)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하방향(Z)으로 착탈될 수 있게 설치된다. 4개의 현상유닛(104C, 104M, 104Y, 104K)은 감광체(101)의 측방에서 횡방향(X)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착탈될 수 있게 설치된다. 메인프레임(150)에는 상기 감광체유닛(200)과 중간전사유닛(300)을 프레임(140) 내부에서 위치 고정하기 위한 잠금장치(160)가 설치되고, 상기 감광체유닛(200)과 중간전사유닛(300)이 고정되는 위치까지 안내하는 가이드경로(152, 155, 156)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잠금장치(160)는 중간전사유닛(300)과 감광체유닛(200)을 사이에 두고 맞은편에도 마련된다.
4개의 현상유닛(104C, 104M, 104Y, 104K)은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시안 현상유닛(104C), 마젠타 현상유닛(104M), 옐로우 현상유닛(104Y), 블랙 현상유닛(104K)의 순서로 배치된다. 가장 위쪽에 위치되는 현상유닛(104K)의 상방에는 전사전 제전유닛(110)이 위치된다. 감광체유닛(200)의 하방에는 광주사 유닛(103)과 제전램프(107)가 위치된다. 도 2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감광체 유닛(200)을 중심으로 현상유닛(104C, 104M, 104Y, 104K)의 반대쪽에는 용지이송유닛(120, 도 1 참조)이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감광체유닛(200)은 샤프트(2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감광체(101)와, 제1클리닝장치(106)를 포함한다. 감광체유닛(200)은 대전롤러(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광체유닛(200)은 메인프레임(150, 도 2 참조)에 설치된 제전 램프(107)로부터 조사된 광을 감광체(101)로 안내하는 광안내부재(20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감광체유닛(200)은 샤프트(20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20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핸들(202)은 감광체유닛(200)을 장착 또는 제거할 때 202a 위치로 회동되고, 감광체유닛(200)이 메인프레임(150)에 장착된 후에는 202b 위치로 회동된다.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제1클리닝장치(106)는 감광체(101)의 표면에 접촉되어 전사 과정 후에 감광체(101)의 표면에 잔류되는 폐토너를 긁어내리는 제1블레이드(106a)와, 폐토너를 제1폐토너 저장부(106c, 도 6 참조) 쪽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수단(106b)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이송수단(106b)으로 나선형 날개를 구비하며,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며 폐토너를 이송시키는 오거(auger)가 사용될 수 있다. 제1폐토너 저장부(106c)로 이송된 폐토너는 중력(gravity) 등에 의해 자유낙하하여 저장부(106c)에 적재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중간전사유닛(300)은 전사벨트(105)와, 중간전사롤러(304)와, 다수의 지지롤러(301, 302, 303)와, 닙롤러(305)와, 제2클리닝장치(109)를 포함한다.
다수의 지지롤러(301, 302, 303)는 전사벨트(105)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전사벨트(105)를 지지하고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지지롤러(301)는 구동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롤러(301)의 반대측에 배치된 지지롤러(302)는 전사롤러(112)와 대면된다.
중간전사유닛(300)의 양측부에는 제1지지부(308)와 제2지지부(309)가 구비된 다. 제1지지부(308)와 제2지지부(309)는 가이드경로(155, 156, 도 2 참조)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제1지지부(308)는 지지롤러(301)와 인접된 위치에, 제2지지부(309)는 지지롤러(302)와 인접된 위치에 마련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닙롤러(305)는 전사벨트(105)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가 일정한 닙(Nip, A)을 유지하도록 한다. 중간전사롤러(304)에는 감광체(101)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전사되도록 하는 제1전사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전사벨트(105)는 감광체(101)의 외주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 전사될 수 있도록, 중간전사롤러(304)와 닙롤러(305) 사이의 구간에서 감광체(101)와 대면되게 설치된다. 즉, 전사벨트(105)는 복수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 궤도를 회전 주행하며, 감광체(101)의 외주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된다. 전사벨트(105)로는 대전성능이 우수한 폴리 이미드 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벨트(105)는 두께가 얇을수록 대전 성능이 우수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두께 약 75㎛인 폴리 이미드 벨트를 사용하였다.
제2클리닝장치(109)는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 후에 전사벨트(105) 상에 잔류되는 폐토너를 제거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제2클리닝장치(109)는 전사벨트(105)의 표면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긁어내리는 제2블레이드(109a)와, 폐토너를 제2폐토너 저장부(109c) 쪽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수단(109b)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이송수단(109b)으로 나선형 날개를 구비하며,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며 폐토너를 이송시키는 오거(auger)가 사용될 수 있다. 제2폐토너 저장부(109c)로 이송된 폐토너는 중력(gravity) 등에 의해 자유낙하하여 저장부(109c)에 적재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중간전사유닛(300)의 양측부에는 제1지지부(308)와 제2지지부(309)가 구비된다. 제1지지부(308)와 제2지지부(309)는 가이드경로(155, 156, 도 2 참조)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제1지지부(308)는 지지롤러(301)와 인접된 위치에, 제2지지부(309)는 지지롤러(302)와 인접된 위치에 마련된다.
상기 제1 및 제2클리닝장치(106, 109)에 의해 제거된 상기 폐토너는 각각 소정의 이송수단(106b, 109b)에 의해 이송되어 폐토너 저장부(106c, 109c)에 수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소정의 이송수단(106b, 109b)에 의해 이송된 폐토너는 폐토너 유입구(미도시)를 통해 폐토너 저장부(106c, 109c)에 수용된다. 폐토너 저장부(106c, 109c) 내부에 폐토너가 충만하게 되면 폐토너 저장부(106c, 109c)를 교체하거나, 또는 내부에 수용된 폐토너를 제거한 후 다시 장착하여 사용한다.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에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면과 대면되도록 설치되어, 전사벨트(105)에 전사된 토너화상이 용지(S)로 옮겨지도록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사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다. 상기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에 컬러토너화상이 전사되는 동안에는 전사벨트(10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가, 전사벨트(105)에 컬러토너화상이 완전히 전사되면 이를 용지(S)로 전사하 기 위해 전사벨트(105)와 소정 압력으로 접촉된다. 또한, 전사벨트(105)의 외측면에 전사된 토너화상은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의 접촉 압력에 의해 전사롤러(112)와 전사벨트(105)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S)에 전사될 수 있다.
전사전 제전유닛(pre-transfer eraser, 110)은 감광체(101) 상의 토너화상을 전사벨트(105)로 전사시키기 전에 감광체(101) 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비화상영역)의 전하를 제거한다. 전사전 제전유닛(110)은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의 전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제전램프(107)는 대전 전단계에서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잔류하는 전하를 제거하는 제전기의 일 예이다. 제전램프(107)는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일정한 광량의 빛을 조사하여 감광체(101)의 표면에 잔류하는 전하를 제거한다.
전원공급기(108)는 현상유닛(104)으로부터 감광체(101)로 토너를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전압, 현상유닛(104)으로부터 감광체(101)로 토너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현상방지 바이어스전압,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제1전사 바이어스전압, 전사벨트(105)로부터 용지(S)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제2전사 바이어스전압, 대전롤러(102)에 제공되는 대전 바이어스전압을 제공한다.
정착부(111)는 히트롤러(123) 및 그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124)를 구비하며, 용지(S)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킨다. 히트롤러(123)는 토너화상을 영구 고착시키기 위한 열원으로 가압롤러(124)에 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가압롤러(124)는 히트롤러(123)와 대향 되도록 설치되어 용지(S)에 고압의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킨다.
배지롤러(117)는 정착이 완료된 용지(S)를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한다.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지된 용지(S)는 적재부(180)에 적재된다. 적재부(180)의 일측에는 배지롤러(117)로부터 배지되는 용지(S)를 선택적으로 간섭하여 분류하는 용지 분류 장치(400, 도 7 참조)가 마련된다. 용지 분류 장치(4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참조부호 113a는 급지카세트로서, 용지(S)가 적재되는 적재수단의 일 예이다. 적재수단에는 추가적으로 용지(S)를 장착할 수 있는 제2급지카세트(113b) 및 MPF(multi-purpose feeder, 113c)가 포함될 수 있다. MPF(113c)는 OHP용지나 비규격 용지(S)를 이송시키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피드롤러(116)는 픽업롤러(115a, 115b, 115c)에 의해 급지카세트(113a, 113b, 113c)로부터 인출된 용지(S)를 용지이송부(120) 쪽으로 이송시킨다.
용지이송부(120)는 피드롤러(116)와 정착부(111) 사이에서 용지(S)를 안내하는 급지경로(121)와, 양면인쇄를 위한 반전경로(duplex path)(122)를 포함한다. 용지이송부(120)에는 용지정렬기(registration roller, 118)가 설치된다. 용지정렬기(118)는 피드롤러(116)로부터 이송된 용지(S)가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를 통과하기에 앞서 용지(S)의 원하는 부분에 토너화상이 전사될 수 있도록 용지(S)를 정렬한다. 상기와 같이 이송된 용지(S)는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를 통과하며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다. 용지(S)로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착 부(111)를 거쳐 용지(S)에 정착되고, 배지롤러(117)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 밖으로 배지된다.
양면인쇄시에는 배지롤러(117)가 역회전되고, 용지(S)는 반전경로(122)를 따라 이송된다. 그러면, 화상이 인쇄되지 않은 면에 화상이 인쇄될 수 있도록 용지(S)가 역전된다. 역전된 용지(S)는 다시 피드롤러(116)에 의해 급지경로(121)를 거쳐 이송되면서 다른 면에 화상이 인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컬러화상정보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에 해당하는 정보가 혼합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의 순서로 각 색상의 토너화상을 전사벨트(105)에 중첩시키고 이를 용지(S)로 전사한 후에 정착시킴으로써 컬러화상을 형성한다.
대전롤러(102)에 의해 감광체(101)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광주사 유닛(103)에 의해 시안(C) 색상의 화상정보에 해당하는 광신호가 회전하는 감광체(101)에 주사되면, 광이 주사된 부분은 저항이 감소하면서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부착된 전하가 빠져나간다. 따라서 광이 주사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과의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며, 이에 의해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체(101)가 회전하면서 정전잠상이 시안 현상유닛(104C)에 접근하면, 시안 현상유닛(104C)의 현상롤러(125)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시안 현상유닛(104C)의 현상롤러(125)에 전원공급기(108)로부터 현상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다른 현상유닛(104M, 104Y, 104K)의 현상롤러(125)에는 현상을 방지하는 현상방지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시안(C) 색상의 토너만이 현상갭(Dg)을 가로질러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시안(C) 색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감광체(101)의 회전에 의해 시안(C)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에 접근하면, 제1전사 바이어스전압 또는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와의 접촉 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전사된다.
시안(C)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에 완전히 전사되면, 다음으로,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토너화상도 상술한 단계를 거쳐 전사벨트(105)에 중첩되게 전사된다.
상기 과정 중에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4가지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모두 중첩적으로 전사되어 전사벨트(105) 상에 컬러토너화상이 형성되면, 이 컬러토너화상을 용지(S)로 전사하기 위해 전사롤러(112)가 전사벨트(105)와 접촉된다.
전사벨트(105)에 형성된 컬러토너화상의 선단이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가 접촉된 지점에 도달하는 때에 맞추어, 용지(S)의 선단이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가 접촉된 지점에 도달하도록 급지카세트(113a)(또는 급지카세트(113b)) 또는 MPF(113c)로부터 용지(S)가 공급된다. 용지(S)가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를 통과하면 제2전사 바이어스전압에 의해 컬러토너화상이 용지 (S)로 전사되며, 계속하여 정착부(111)에서 열과 압력에 의해 컬러토너화상을 용지(S)에 고착시켜 배출함으로써 컬러화상형성이 완료된다.
다음 번 인쇄를 위해 제1 및 제2클리닝장치(106)(109)는 각각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하며, 제전램프(107)는 감광체(101)에 광을 조사하여 감광체(101) 상의 잔류전하를 제거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지 분류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지 분류 장치가 마련된 적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적재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용지 분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용지 분류 장치에 의해 분류되어 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보여준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지 분류 장치(4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배지롤러(117)로부터 배지되는 용지(S)가 적재부(180)에 분류되어 적재되도록 용지(S)를 선택적으로 간섭한다. 즉, 용지 분류 장치(400)는 배지롤러(117)를 통과하고 있는 용지(S)를 선택적으로 간섭한다. 용지 분류 장치(400)는 외력에 의한 파손 등을 방지 하기 위해 화상형성장치(100)의 상부에서 내려다봤을 때 프레임(140)에 의해 가려지는 부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지롤러(117)와 근접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상기 용지 분류 장치 (400)의 동작을 구속하는 제어부(4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450)는 동일한 인쇄물을 한 부씩 찍기로 여러 매 인쇄시, 각 부의 인쇄가 끝난 후에 용지 분류 장치(400)가 용지(S)에 대해 간섭과 이격을 번갈아 하도록 용지 분류 장치(400)의 동작을 구속한다. 동일한 인쇄물을 한 부씩 찍기로 여러 매 인쇄한다는 의미는 동일한 인쇄물을 한 부씩 단위로 출력되도록 인쇄한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3 페이지 분량의 파일을 3부 출력할 때, 1-1-1-2-2-2-3-3-3 page 순서로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1-2-3 page 출력 후 1-2-3, 1-2-3 순으로 용지(S)를 인쇄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450)는 1-2-3 page 출력 후 용지 분류 장치(400)를 작동하고, 그 다음 1-2-3 page 출력 후 용지 분류 장치(400)를 작동시키면 단계적으로 적재된 출력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용지 분류 장치(400)는 가이드부(410)와, 캠부(420)를 구비한다. 가이드부(410)는 레버(412)와 탄성부재(414)를 구비하며, 배지롤러(117)에서 배지되는 용지(S)를 간섭한다. 레버(412)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에 설치되는 일축(41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레버(412)는 후술하는 캠부(420)의 간섭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동하여 용지(S)를 간섭한다. 캠부(420)의 간섭이 해제된 경우, 레버(412)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도록 탄성부재(414)가 레버(412)의 일측에 결합된다. 탄성부재(414)는 레버(412)의 용지(S)를 간섭하는 측이 적재부(180)에서 멀어지도록 레버(412)를 탄성 지지한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414)가 레버(412)를 지지하도록 탄성부재(414)의 일측은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에 설치되고, 타측은 레버(412)의 회전 중심인 회전축(411)의 반대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버 (412)가 일축(411)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레버(412)는 적재부(180) 측으로 직선적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캠부(420)는 회전축(422)과 이에 결합되는 캠부재(424)와 클러치부(426)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410)를 선택적으로 간섭한다. 회전축(422)의 일단에는 후술하는 클러치부(426)가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422)은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에 구비된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캠부재(424)는 회전축(422)에 결합되는 것으로, 회전축(422)의 회전에 따라 레버(412)를 간섭하거나 간섭을 해제한다. 상기 캠부재(424)는 타원형의 형상을 갖고, 그 초점 중 하나의 초점에 상기 회전축(42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러치부(426)는 회전축(422)의 일측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422)을 제어부(450)의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클러치부(426)는 한 부씩 찍기로 여러 매 인쇄시, 각 부의 인쇄가 출력된 후 상기 회전축(422)을 180°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회전축(422)에 결합된 캠부재(424)가 레버(412)를 번갈아가며 간섭과 해제를 하게 되므로, 배지롤러(117)에서 배지된 용지(S)가 적재부(180)에 단계적으로 쌓이게 된다. 상기 클러치부(426)로는 반클러치나 기타 공지의 클러치를 사용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종래 발명과 달리 동일한 인쇄물을 한 부씩 찍기로 여러 매 인쇄시 적재부(180)에 용지(S)가 단계적으로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동일한 인쇄물을 여러 매 인쇄시 배지롤러로부터 배지되는 용지가 단계적으로 적재부에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출력물을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분류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배지롤러로부터 배지된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용지가 분류되어 적재되도록 상기 배지롤러로부터 배지되는 상기 용지를 선택적으로 간섭하여 상기 용지를 분류하는 용지 분류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동일한 인쇄물을 한 부씩 찍기로 여러 매 인쇄시, 각 부의 인쇄가 끝난 후에 상기 용지 분류 장치가 상기 용지에 대해 간섭과 이격을 번갈아 하도록 상기 용지 분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분류 장치는,
    배지되는 상기 용지를 간섭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선택적으로 간섭하는 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일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상기 용지를 간섭하는 측이 상기 적재부에서 멀어지도록 상기 레버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를 간섭하는 캠부재와;
    상기 회전축을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클러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90753A 2004-11-09 2004-11-09 화상형성장치 KR20060041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753A KR20060041517A (ko) 2004-11-09 2004-11-09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753A KR20060041517A (ko) 2004-11-09 2004-11-09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517A true KR20060041517A (ko) 2006-05-12

Family

ID=37148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753A KR20060041517A (ko) 2004-11-09 2004-11-09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415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82B1 (ko) * 2008-08-12 2010-05-14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문서발급기의 문서 정렬장치
KR20100083092A (ko) * 2009-01-12 2010-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82B1 (ko) * 2008-08-12 2010-05-14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문서발급기의 문서 정렬장치
KR20100083092A (ko) * 2009-01-12 2010-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081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9212004A (ja) 中間転写体および中間転写体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
CN101458481B (zh) 显影单元、处理盒和成像设备
US69807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60041517A (ko) 화상형성장치
KR100561422B1 (ko) 감광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788672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KR100619073B1 (ko) 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636204B1 (ko)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JP3025070B2 (ja) 電子写真装置
KR100644649B1 (ko) 화상형성장치
JP3131426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
US77388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realizing downsizing of a main body of the apparatus
JP3061709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
KR20060032076A (ko) 화상형성장치
JP4877723B2 (ja) 画像形成装置
JP3131425B2 (ja) 中間転写ベルトユニット
KR20060037955A (ko) 폐토너 감지 장치
JP2006251127A (ja) 画像形成装置
JPH08216468A (ja) 画像形成装置
JP3103542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とそれに用いる中間転写ベルトユニット
KR20060024568A (ko) 화상형성장치
KR20070030495A (ko) 화상형성장치
JP2006323301A (ja) 画像形成装置
KR20060030401A (ko)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