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422B1 - 감광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감광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422B1
KR100561422B1 KR1020040027771A KR20040027771A KR100561422B1 KR 100561422 B1 KR100561422 B1 KR 100561422B1 KR 1020040027771 A KR1020040027771 A KR 1020040027771A KR 20040027771 A KR20040027771 A KR 20040027771A KR 100561422 B1 KR100561422 B1 KR 100561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hotosensitive member
frame
exposed portio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2413A (ko
Inventor
백충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7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422B1/ko
Priority to US11/098,547 priority patent/US7248816B2/en
Publication of KR20050102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03G2215/018Linearly moving set of developing units, one at a time adjacent the recording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0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03G2221/1609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protective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am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한 감광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의해 가리워지지 않는 감광체 외주면의 노출부를 감싸서 가리는 커버(cov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의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전송(轉送)하여 가시(可視)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기와, 상기 가시 화상이 전사(轉寫)되는 전사매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와,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의해 가리워지지 않는 감광체 외주면의 노출부를 감싸서 가리는 커버(cover)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감광체 유닛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광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Optical photoconductor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with}
도 1은 종래의 감광체 유닛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내부에 배치된 감광체 유닛, 전사벨트 유닛, 및 현상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광체 유닛의 정면도로서, 도 4는 커버가 닫혔을 때를, 도 5는 커버가 열렸을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05 ...노광 유닛
110 ...감광체 유닛 111 ...감광드럼
120 ...감광체 유닛 프레임 123 ...치차부재
130 ...핸들 141, 143 ...커버
150 ...전사벨트 유닛 151 ...전사벨트
160 ...현상기 161 ,,,현상롤러
171 ...전사롤러 175 ...정착기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광체의 노출부를 가릴 수 있는 커버를 구비한 감광체 유닛과,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란, 일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기를 이용하여 정전잠상을 현상제인 토너(toner)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단색 화상 또는 컬러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컬러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전자사진방식 컬러화상형성장치는 통상적으로, 화상 정보에 해당하는 광을 주사하는 노광 유닛과, 상기 노광 유닛으로부터 주사된 광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 색상의 토너를 각각 수용하고 이를 감광체의 정전잠상에 전송(轉送)하여 가시(可視)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4개의 현상기와, 상기 감광체의 토너화상이 전사(傳寫)되는 전사벨트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기, 감광체, 또는 전사벨트는 그 사용수명이 다하면 새 것으로 교환되어야 하는 소모품으로 화상형성장치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유닛 형태로 제공되는데, 도 1에는 이러한 종래의 감광체 유닛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감광체 유닛(1)은 광도전(光導電) 물질이 외주면에 증착된 감광체(2)와, 상기 감광체의 회전축(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연결되는 핸들(7)과, 상기 감광체(2)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롤러(5)를 구비한다. 상기 감광체(2)의 외주면에는 인쇄 과정중에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상기 정전잠상에 현상기(미도시)로부터 현상제인 토너가 전송(轉送)되어 가시(可視) 토너화상이 형성되며, 상기 가시 토너화상은 전사매체(미도시)로 전사된다. 따라서 상기 감광체(2) 외주면 중 상기 현상기와 대면하는 부분(2a)과, 상기 전사매체와 대면하는 부분(2b)은 프레임(10)에 의해 가리워지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감광체(2)의 외주면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감광체(2) 외주면의 광도전 물질층의 광(光)에 대한 민감성이 떨어지는 소위 '광피로' 현상이 빨리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광피로 현상은 감광체 유닛(1)을 화상형성장치와 분리하여 외부에 방치하였을 때 더욱 심한데, 이로 인해 용지에 음영의 차이가 크지 않은 흐릿한 화상이 인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광피로 현상이 나타난 감광체 유닛(1)은 그 수명이 다했다고 볼 수 있으므로 감광체 유닛(1)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감광체 유닛이 새 것으로 교체되어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감광체 외주면의 노 출을 제한하며 이를 보호하는 커버를 구비한 감광체 유닛과,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한 감광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의해 가리워지지 않는 감광체 외주면의 노출부를 감싸서 가리는 커버(cov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플렉서블 필름(flexible film)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광체 외주면의 노출부는, 현상제가 전송(轉送)되는 제1 노출부와, 상기 현상제 전송에 의해 현상되는 가시(可視) 화상이 전사(轉寫)되는 제2 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손으로 움켜쥘 수 있도록 그립부가 마련된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이 회전하여 상기 그립부가 프레임에서 더 멀리 이격됨에 따라, 상기 커버가 감광체 외주면의 노출부를 더 많이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된 커버 개폐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 개폐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감광체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부가 커버에 연결되며, 상기 일단부에 제1 치차부( 齒車部)가 형성된 치차부재와, 핸들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치차부에 치합(齒合)된 제2 치차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 개폐수단은, 일단이 상기 감광체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이 커버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핸들이 회전하며 상기 연결부재를 밀어 감광체 외주면이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감광체 외주면의 노출부를 가리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의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전송(轉送)하여 가시(可視)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기와, 상기 가시 화상이 전사(轉寫)되는 전사매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와,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의해 가리워지지 않는 감광체 외주면의 노출부를 감싸서 가리는 커버(cover)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감광체 유닛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플렉서블 필름(flexible film)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광체 외주면의 노출부는, 현상기와 대면하여 현상제가 전송(轉送)되는 제1 노출부와, 전사매체와 대면하여 상기 현상제 전송에 의해 현상되는 가시(可視) 화상이 전사(轉寫)되는 제2 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광체 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손으로 움켜쥘 수 있도록 그립부가 마련된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이 회전하여 상기 그립부가 프레임에서 더 멀리 이격됨에 따라, 상기 커버가 감광체 외주면의 노출부를 더 많이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된 커버 개폐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 개폐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감광체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부가 커버에 연결되며, 상기 일단부에 제1 치차부(齒車部)가 형성된 치차부재와, 핸들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치차부에 치합(齒合)된 제2 치차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 개폐수단은, 일단이 상기 감광체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이 커버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핸들이 회전하며 상기 연결부재를 밀어 감광체 외주면이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감광체 외주면의 노출부를 가리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광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내부에 배치된 감광체 유닛, 전사벨트 유닛, 및 현상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광체 유닛의 정면도로서, 도 4는 커버가 닫혔을 때를, 도 5는 커버가 열렸을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그 하우징(101) 내부에 감광체인 감광드럼(111), 대전롤러(115), 노광유닛(105), 4개의 현상기(160), 및 전사벨트(151)를 구비한다.
감광드럼(111)은 원통형상의 금속제 드럼의 외주면에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광도전 물질층이 형성된 것이다. 대전롤러(115)는 감광드럼(111)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115)는 감광드럼(111)의 외주면과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회전하면서 전하를 공급하여 감광드럼(111)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한다. 노광유닛(105)은 감광드럼(111)의 아래쪽에 설치되며,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대전된 감광드럼(111)에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유닛(105)으로서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사용된다.
4개의 현상기(160C, 160M, 160Y, 160K)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고체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드럼(11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전송(轉送)하여 가시(可視) 토너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롤러(161K, 161Y, 161M, 161C)를 각각 구비한다. 4개의 현상기(160C, 160M, 160Y, 160K)는 상기 현상롤러들이 감광드럼(111)의 외주면과 현상갭(Dg)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현상갭(Dg)은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정도이다.
전사벨트(151)에는 감광드럼(111)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가시 토너화상이 순차적으로 전사되어 중첩됨으로써 컬러토너화상이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전사벨트(151)의 길이는 컬러토 너화상이 최종적으로 전사(轉寫)되는 용지(S)의 길이와 같거나 적어도 그보다 길다.
전사롤러(171)는 전사벨트(151)와 대면되도록 설치된다. 전사롤러(171)는 전사벨트(151)에 컬러토너화상이 전사되는 동안에는 전사벨트(151)로부터 이격되어 있다가, 전사벨트(151)에 컬러토너화상이 완전히 전사되면 이를 용지(S)로 전사하기 위해 전사벨트(151)와 소정 압력으로 접촉된다.
참조부호 107은 전사전 제전유닛(pre-transfer eraser)이다. 전사전 제전유닛(107)은 감광드럼(111)상의 가시 토너화상을 전사벨트(151)로 전사시키기 전에 감광드럼(111)상의 화상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인 비화상영역의 전하를 제거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감광드럼(111)으로부터 전사벨트(151)로의 전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참조부호 117는 제전램프이다. 제전램프(117)는 대전 전 단계에서 감광드럼(111)의 외주면에 잔류되는 전하를 제거하는 제전기의 일 예이다. 제전램프(117)는 감광드럼(111)의 외주면에 일정한 광량의 빛을 조사하여 감광드럼(111)의 표면에 잔류되는 전하를 제거한다.
참조부호 108는 전원공급기이다. 전원공급기(108)는 현상기(160)로부터 감광드럼(111)으로 토너를 전송(傳送)하여 토너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바이어스, 현상기(160)로부터 감광드럼(111)으로 토너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현상방지바이어스, 감광드럼(111)으로부터 전사벨트(151)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제1 전사바이어스, 전사벨트(151)로부터 용지(S)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제2 전사 바이어스, 대전롤러(115)에 제공되는 대전바이어스를 제공한다.
정착기(175)는 용지(S)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킨다. 상기 정착기(175)는 한 쌍의 롤러(176, 177)가 서로 소정의 압력으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롤러(176, 177)에는 토너화상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마련된다. 토너화상이 전사된 용지(S)가 정착기(175)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용지(S)에 정착됨으로써 화상의 인쇄가 완료된다.
참조부호 180a는 용지(S)가 적재되는 적재수단의 일 예인 제1 급지카세트이다. 적재수단에는 이 외에 추가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제2 급지카세트(180b) 및 MPF(multi-purpose feeder, 180c)가 포함될 수 있다. MPF(180c)는 OHP용지나 비규격 용지(S)를 이송시키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피드롤러(183)는 픽업롤러(181a, 181b, 181c)에 의해 급지카세트(180a, 180b, 180c)로부터 인출된 용지(S)를 이송한다. 참조부호 185는 용지(S)를 하우징(101)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지롤러이다. 도 2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0)는, 피드롤러(183)로부터 정착기(175)까지 사이에 용지(S)를 위로 안내하는 급지경로(185) 뿐만 아니라, 양면인쇄를 위해 용지(S)를 아래로 안내하는 반전경로(duplex path, 186)를 포함한다.
정착기(175)를 통과하여 일면에 화상이 인쇄된 용지(S)는 배지롤러(185)에 의해 하우징(101) 밖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양면인쇄를 위해서는 배지롤러(185)가 역회전되고, 용지(S)는 반전경로(186)를 따라 이송된다. 그리하면, 화상이 인쇄되지 않은 면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도록 용지(S)가 역전되고, 이와 같이 역전된 용 지(S)는 다시 피드롤러(183)에 의해 급지경로(185)를 통하여 이송되면서 다른 면에 화상이 인쇄된다.
제1 클리닝장치(119)는 전사벨트(151)로 전사되지 못하고 감광드럼(111)의 외주면에 계속 잔류하는 폐토너를 감광드럼(111)으로부터 긁어내 제거한다. 또한, 제2 클리닝장치(159)는 용지(S)로 전사되지 못하고 전사벨트(151)에 계속 잔류하는 폐토너를 전사벨트(151)로부터 긁어내 제거한다. 상기 제1 및 제2 클리닝장치(119, 159)에 의해 제거된 폐토너는 각각 소정의 이송경로(미도시)를 통해 폐토너 저장용기(미도시)에 수용된다.
이제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의 화상형성과정을 살펴본다.
컬러화상정보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에 해당하는 정보가 혼합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의 순서로 각 색상의 토너화상을 전사벨트(151)에 중첩시키고 이를 용지(S)로 전사한 후에 정착시킴으로써 컬러화상을 형성한다.
대전롤러(115)에 의해 감광드럼(111)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노광유닛(105)에 의해 시안(C) 색상의 화상정보에 해당하는 광신호가 회전하는 감광드럼(111)에 주사되면, 광이 주사된 부분은 저항이 감소하면서 감광드럼(111)의 외주면에 부착된 전하가 빠져나간다. 따라서 광이 주사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과의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며, 이에 의해 감광드럼(111)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드럼(111)이 회전하면서 정전잠상이 시안 현상기(160C)에 접근하면, 시안 현상기(160C)의 현상롤러(161C)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시안 현상기(160C)의 현상롤러(161C)에 전원공급기(108)로부터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된다. 그리고, 다른 현상기(160M, 160Y, 160K)의 현상롤러(161M, 161Y, 161K)에는 현상을 방지하는 현상방지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시안색상의 토너만이 현상갭(Dg)을 가로질러 감광드럼(11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시안색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감광드럼(111)의 회전에 의해 시안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51)에 접근하면, 제1 전사바이어스 또는 감광드럼(111)과 전사벨트(151)와의 접촉 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51)로 전사된다.
시안(C)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51)에 완전히 전사되면, 다음으로,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색상의 토너화상도 상술한 단계를 거쳐 전사벨트(151)에 중첩되게 형성된다.
상기 과정 중에 전사롤러(171)는 전사벨트(151)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4가지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51)로 모두 중첩적으로 전사되어 전사벨트(151) 상에 컬러토너화상이 형성되면, 이 컬러토너화상을 용지(S)로 전사하기 위해 전사롤러(171)와 전사벨트(151)가 접촉한다.
전사벨트(151)에 형성된 컬러토너화상의 선단이 전사벨트(151)와 전사롤러(171)가 접촉된 지점에 도달하는 때에 맞추어, 용지(S)의 선단이 전사벨트(151)와 전사롤러(171)가 접촉된 지점에 도달하도록 급지카세트(180a, 180b, 180c 중의 하나)로부터 용지(S)가 공급된다. 용지(S)가 전사벨트(151)와 전사롤러(171) 사이를 통과하면 제2 전사바이어스에 의해 컬러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되며, 계속하여 정착기(175)에서 열 및 압력에 의해 컬러토너화상을 용지(S)에 고착시켜 배출함으로써 컬러화상형성이 완료된다.
다음 번 인쇄를 위해 제1 및 제2클리닝장치(119, 159)는 각각 감광드럼(111)과 전사벨트(151)에 잔류되는 폐토너를 제거하며, 제전램프(117)는 감광드럼(111)에 광을 조사하여 감광드럼(111) 상의 잔류전하를 제거한다.
상기 감광드럼(111), 전사벨트(151), 현상기(160)는 각각 나름의 사용수명이 있고 그 사용수명이 다 하면 교체되어야 하는 소모품으로, 상기 하우징(101)에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도록 각각 유닛(unit) 형태로 제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감광체 유닛(110)의 감광드럼(111)과, 전사벨트 유닛(150)의 전사벨트(151, 도 2 참조)는 각각 몰딩부재인 감광체 유닛 프레임(120)과, 전사벨트 유닛 프레임(155)에 지지된다. 또한, 4개의 현상기(160C, 160M, 160Y, 160K)도 각각 현상롤러(161C, 161M, 161Y, 161K)를 지지하는 몰딩부재로 된 현상기 프레임(165C, 165M, 165Y, 165K)을 구비한다.
인쇄를 위해 하우징(101, 도 2 참조)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사벨트 유닛(150)은 감광체 유닛(110)의 위에 위치하고, 4개의 현상기(160C, 160M, 160Y, 160K)는 감광체 유닛(110)의 좌측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전사벨트 유닛(150)의 전사벨트(151, 도 2 참조)와 감광드럼(111)은 서로 접촉하며, 감광체 유닛(110)을 운반하기 위한 핸들(130)은 전사벨트 유닛 프레임(155)에 의해 밀려 접혀진다. 또 한, 4개의 현상기(160C, 160M, 160Y, 160K) 내부의 현상롤러들(161C, 161M, 161Y, 161K)은 현상갭(Dg, 도 2 참조)을 유지한 채 감광드럼(111)과 대면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감광체 유닛(110)을 상세히 설명한다.
감광체 유닛(110)은, 인쇄 과정중에 현상롤러들(161C, 161M, 161Y, 161K, 도 2 참조)과 대면하는 감광드럼(111)의 제1 노출부(111a)를 가리기 위한 제1 커버(141)와, 인쇄 과정중에 전사벨트(151, 도 2 참조)와 대면하는 감광드럼(111)의 제2 노출부(111b)를 가리기 위한 제2 커버(143)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커버(141)와 제2 커버(143)는 비닐 수지(vinyl resin)과 같은 플렉서블 필름(flexible film)으로 형성되고, 또한, 광을 차단할 수 있는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플렉서블 필름으로 된 커버들(141, 143)은, 각각의 일단부(141a, 143a)는 상기 프레임(120)에 고정 부착되어 있지만, 타단부(141b, 143b)는 핸들(1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일단부(141a, 143a)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일단부(141a, 143a)와 타단부(141b, 143b)가 서로 가까워지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커버(141, 143)가 열려 제1 노출부(111a) 및 제2 노출부(111b)가 노출되고, 반대로 서로 멀어지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커버(141, 143)가 닫혀 제1 노출부(111a) 및 제2 노출부(111b)가 가려지게 된다.
상기 제1 커버(141)를 개폐하기 위한 제1 커버 개폐수단은, 상기 감광드럼(111)의 회전축(11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며 일단부에 제1 치차부(124)가 형성된 치차(齒車)부재(123)와, 상기 제1 치차부(124)에 치합(齒合) 되며 핸들(130)에 마련된 제2 치차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치차부재(123)는 상기 제1 커버(141)의 타단부(141b)에 연결되는 연결 와이어부(125)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치차부(135)는 핸들(130)의 회전 중심의 주변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핸들(130)은 감광체 유닛 프레임(120)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120)에 장착되고, 손으로 움켜쥘 수 있도록 지정된 그립부(131)가 그 회전 중심에서 이격된 외곽에 마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130)이 세워진 상태에서는 그립부(131)가 감광체 유닛 프레임(120)과 이격되므로 사용자는 그립부(131)를 쥐고 상기 감광체 유닛(110)을 운반할 수도 있고, 이를 하우징(101, 도 2 참조) 내부에 장착하거나 하우징(101)으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다. 한편, 인쇄 준비가 된 상태에서는 상기 핸들(130)은 전사벨트 유닛(150, 도 3 참조)에 의해 밀려 접혀지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131)가 감광체 유닛 프레임(120)에 근접하게 된다.
상기 제2 커버(143)를 개폐하기 위한 제2 커버 개폐수단은, 일단이 감광드럼 회전축(11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이 제2 커버(143)의 타단부(143b)에 연결된 연결부재(127)와, 상기 핸들(130)이 접힐 때 상기 연결부재(127)를 접촉하여 밀도록 상기 핸들(130)에 마련되는 푸셔(133)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127)는, 일단이 감광체 유닛 프레임(120)에 체결된 코일 스프링(129)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2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커버(143)는 감광드럼(111)의 제2 노출부(111b)를 가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고, 핸들(130)도 세워지는 방향으 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또한, 상기 핸들(130)과 상술한 제1 커버 개폐수단에 의해 연결된 제1 커버(141)도 감광드럼(111)의 제1 노출부(111a)를 가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상기 감광체 유닛(110)이 인쇄를 위해 하우징(101, 도 2 참조) 내부에 장착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30)이 회전하여 접혀지고, 핸들(130)의 그립부(131)는 감광체 유닛 프레임(120)에 근접 위치하게 된다. 또한, 핸들(130)의 푸셔(133)는 연결부재(127)를 밀어 연결부재(127)의 타단이 하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127)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커버(143)의 타단부(143b)도 하강하여 감광드럼(111)의 제2 노출부(111b)가 노출된다. 한편, 상기 핸들(130)의 회전으로 제2 치차부(135)에 치합된 치차부재(123)의 제1 치차부(124)가 회전하고, 상기 치차부재(123)가 회전함에 따라 연결 와이어부(125)에 연결된 제1 커버(141)의 타단부(141b)가 하강하여 감광드럼(111)의 제1 노출부(111a)도 노출된다. 따라서, 4개의 현상기(160C, 160M, 160Y, 160K) 내부의 현상롤러들(161C, 161M, 161Y, 161K)은 현상갭(Dg, 도 2 참조)을 유지한 채 상기 제1 노출부(111a)와 대면하고, 전사벨트(151, 도 2 참조)은 상기 제2 노출부(111b)와 대면하게 된다.
감광드럼(111)이 하우징(101, 도 2 참조) 외부로 분리되면, 코일 스프링(12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27)가 종전과 반대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127)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커버의 타단부(143b)가 상승하여 감광드럼(111)의 제2 노출부(111b)가 제2 커버(143)에 의해 가려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부재(127)가 핸들(130)을 밀어 상기 핸들(130) 이 종전과 반대로 회전하며 그 그립부(131)가 감광체 유닛 프레임(120)에서 더욱 멀어진다. 한편, 상기 핸들(130)의 회전으로 제2 치차부(135)에 치합된 치차부재(123)의 제1 치차부(124)가 종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치차부재(123)의 회전으로 연결 와이어부(125)에 연결된 제1 커버(141)의 타단부(141b)가 상승하여 감광드럼(111)의 제1 노출부(111a)가 제1 커버(141)에 의해 가려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감광체의 노출을 막는 커버는 플렉서블 필름으로 된 것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 형태의 몰딩부재로 된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체 유닛과,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 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서 분리되었을 때 감광체를 가려 노출을 차단함으로써, 감광체의 광피로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감광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감광체의 잦은 교체로 야기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4)

  1.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한 감광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의해 가리워지지 않는 감광체 외주면의 노출부를 감싸서 가리 는 커버(cov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플렉서블 필름(flexible film)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 유닛.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외주면의 노출부는, 현상제가 전송(轉送)되는 제1 노출부와, 상기 현상제 전송에 의해 현상되는 가시(可視) 화상이 전사(轉寫)되는 제2 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 유닛.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손으로 움켜쥘 수 있도록 그립부가 마련된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이 회전하여 상기 그립부가 프레임에서 더 멀리 이격됨에 따라, 상기 커버가 감광체 외주면의 노출부를 더 많이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된 커버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 유닛.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개폐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감광체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 게 체결되고 타단부가 커버에 연결되며, 상기 일단부에 제1 치차부(齒車部)가 형성된 치차부재와, 핸들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치차부에 치합(齒合)된 제2 치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 유닛.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개폐수단은, 일단이 상기 감광체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이 커버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핸들이 회전하며 상기 연결부재를 밀어 감광체 외주면이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 유닛.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감광체 외주면의 노출부를 가리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 유닛.
  8.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의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전송(轉送)하여 가시(可視)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기와, 상기 가시 화상이 전사(轉寫)되는 전사매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와,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의해 가리워지지 않는 감광체 외주면의 노출부를 감싸서 가리는 커버(cover)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감광체 유닛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플렉서블 필름(flexible film)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외주면의 노출부는, 현상기와 대면하여 현상제가 전송(轉送)되는 제1 노출부와, 전사매체와 대면하여 상기 현상제 전송에 의해 현상되는 가시(可視) 화상이 전사(轉寫)되는 제2 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손으로 움켜쥘 수 있도록 그립부가 마련된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이 회전하여 상기 그립부가 프레임에서 더 멀리 이격됨에 따라, 상기 커버가 감광체 외주면의 노출부를 더 많이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된 커버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개폐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감광체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부가 커버에 연결되며, 상기 일단부에 제1 치차부(齒車部)가 형성된 치차부재와, 핸들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치차부에 치합(齒合)된 제2 치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개폐수단은, 일단이 상기 감광체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이 커버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핸들이 회전하며 상기 연결부재를 밀어 감광체 외주면이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감광체 외주면의 노출부를 가리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27771A 2004-04-22 2004-04-22 감광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561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771A KR100561422B1 (ko) 2004-04-22 2004-04-22 감광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11/098,547 US7248816B2 (en) 2004-04-22 2005-04-05 Photosensitive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771A KR100561422B1 (ko) 2004-04-22 2004-04-22 감광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413A KR20050102413A (ko) 2005-10-26
KR100561422B1 true KR100561422B1 (ko) 2006-03-17

Family

ID=35136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771A KR100561422B1 (ko) 2004-04-22 2004-04-22 감광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48816B2 (ko)
KR (1) KR1005614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9158A1 (en) * 2005-01-25 2006-08-03 Gcc Ip Pty Ltd Usage indicator for a cartridge
US7751747B2 (en) * 2007-06-20 2010-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ss cartridg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20099894A1 (en) * 2010-10-20 2012-04-26 Pitas Jeffrey A Method for preventing damage to a photoconductor
US8583008B2 (en) * 2010-10-20 2013-11-12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for preventing damage to a photoconductor
JP6711636B2 (ja) * 2015-03-20 2020-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8503161A (pt) 1984-07-31 1986-03-25 Int Standard Electric Corp Metodo para investigar uma matriz de associacao
JPH066377Y2 (ja) * 1989-10-25 1994-02-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感光体カートリッジ
JPH04323664A (ja) * 1991-04-23 1992-11-12 Brother Ind Ltd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そのプロセスユニットを使用する画像記録装置
JPH08220939A (ja) 1995-02-10 1996-08-3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970012412A (ko) 1995-08-24 1997-03-29 구자홍 광자기 기록 매체
US5697017A (en) * 1995-12-07 1997-12-09 Lexmark International, In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rocess cartridge with shutter and cleaning member
JP3768632B2 (ja) * 1996-02-27 2006-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038415A (en) * 1997-07-18 2000-03-14 Minolta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carrier cartridge device which is employed in the same
JP2000147980A (ja) 1998-11-09 2000-05-26 Minolta Co Ltd 回転体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6470159B2 (en) * 2001-02-23 2002-10-22 Gcc Management Limited Retractable shield for photosensitive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48816B2 (en) 2007-07-24
KR20050102413A (ko) 2005-10-26
US20050238386A1 (en) 200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1284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depletion detection feature
US20100054796A1 (en) Cartridge
US721590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KR100739745B1 (ko) 화상형성장치
US7248816B2 (en) Photosensitive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5055579A (ja) 離間保持部材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3200448A (ja) 帯電器、像形成構造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0147980A (ja) 回転体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0601675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1152609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detachable development device
US6731894B2 (en) Protective shutter for a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having a replaceable developer cartridge
JP4978029B2 (ja) 画像形成装置
JP453010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現像剤収容部材
US77388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realizing downsizing of a main body of the apparatus
JP2008310039A (ja) 露光口保有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164764A (ja) 画像形成装置
JPH1128820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333929A (ja) 画像形成装置
KR20060041517A (ko) 화상형성장치
JP2009265314A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070030495A (ko) 화상형성장치
JP2009282538A (ja) 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2005181431A (ja) 画像形成装置
JPH04299360A (ja) 画像形成装置
KR20060024568A (ko)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