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0495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0495A
KR20070030495A KR1020050085205A KR20050085205A KR20070030495A KR 20070030495 A KR20070030495 A KR 20070030495A KR 1020050085205 A KR1020050085205 A KR 1020050085205A KR 20050085205 A KR20050085205 A KR 20050085205A KR 20070030495 A KR20070030495 A KR 20070030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plex
unit
paper
cover part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5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0495A/ko
Publication of KR20070030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1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8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duplex mode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 작업 중 용지 걸림이 발생할 경우 용지 걸림을 용이하게 해소하기 위하여,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며, 급지부, 현상부, 전사부, 정착부 및 배지부를 구비하고, 급지경로와 반전경로가 마련된 양면 인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사이드 커버부와; 및 상기 사이드 커버부와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사이드 커버부와의 사이에 반전경로를 형성하는 듀플렉스부를; 구비하며, 상기 듀플렉스부는 제1듀플렉스부 및 제2듀플렉스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1듀플렉스부의 상방에 상기 제2듀플렉스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2듀플렉스부에는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듀플렉스 커버부가 구비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이드 커버부 및 듀플렉스 커버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A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로서, 듀플렉스 커버부가 닫힌 상태이다.
도 3b는 도 1의 A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로서, 듀플렉스 커버부가 열린 상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감광체 102: 대전롤러
103: 광주사 유닛 104K, 104Y, 104M, 104C: 현상기
105: 전사벨트 106: 제1클리닝장치
109: 제2클리닝장치 110: 전사전 제전유닛
111: 정착부 112: 전사롤러
113a, 113b: 급지카세트 115a, 115b: 픽업롤러
116: 급지부 125K, 125Y, 125M, 125C: 현상롤러
140: 사이드 커버부 151: 제1 듀플렉스부
152: 제2듀플렉스부 152a: 듀플렉스 커버부
152b: 레버부 153: 가이드부재
153a: 가이드 홈 154: 이동축
155: 스프링부 200: 감광체유닛
300: 중간전사유닛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 작업 중 용지 걸림이 발생할 경우 용지 걸림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는 양면 인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일정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기를 이용하여 정전잠상을 소정 색상의 토너(toner)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단색화상 또는 칼라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은 일반적으로 감광체의 표면을 소정의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프로세스, 레이저 스캐닝 유닛(LSU)과 같은 광주사유닛에 의해 감광체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는 노광프로세스,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인 토너를 공급하 여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인 토너화상(toner image)으로 현상하는 현상프로세스, 급지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인출하여 급지부에 의해 용지가 이송되는 이송경로를 따라 용지가 급지되는 급지프로세스,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상기와 같이 급지된 용지로 전사(transfer)하는 전사프로세스, 용지로 전사된 토너화상을 정착부에서 고온, 고압으로 가압하여 용지에 정착시키는 정착프로세스, 정착이 완료된 용지를 배지부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지시키는 배지프로세스를 갖춘다.
양면 인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용지 이송경로로서 급지경로와 반전경로를 포함한다. 급지경로는 용지가 급지카세트로부터 급지부에 의해 정착부와 배지부를 거쳐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이송되는 경로이며, 반전경로는 배지부의 배지롤러가 역회전되어 급지부로 다시 이송되는 경로로서 상기 급지경로와는 구별되는 경로이다. 용지가 반전경로를 따라 이송될 때, 용지는 화상이 인쇄되지 않은 면에 화상이 인쇄될 수 있도록 역전된다. 이와 같이 역전된 용지는 다시 급지부에 의해 급지경로를 거쳐 이송되면서 이전에 화상이 인쇄되지 않았던 면에 화상이 인쇄된다.
그런데, 용지가 상기 급지경로나 반전경로를 따라 이송될 때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용지 걸림이 종종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이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부가적 장치의 필요성은 화상형성장치의 전체적인 무게 또는 제조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면 인쇄 방식의 화상 형성장치에서 급지경로나 반전경로에서 용지 걸림이 발생한 경우, 이를 용이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전경로를 구성하는 구조물의 배치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무게가 감소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며, 급지부, 현상부, 전사부, 정착부 및 배지부를 구비하고, 급지경로와 반전경로가 마련된 양면 인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사이드 커버부와; 및 상기 사이드 커버부와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사이드 커버부와의 사이에 반전경로를 형성하는 듀플렉스부를 구비하며, 상기 듀플렉스부는 제1듀플렉스부 및 제2듀플렉스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1듀플렉스부의 상방에 상기 제2듀플렉스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2듀플렉스부에는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듀플렉스 커버부가 구비된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듀플렉스부는 상기 정착부를 중심으로 상기 급지부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2듀플렉스부는 상기 정착부를 중심으로 상기 배지부쪽에 배치되며, 상기 제1듀플렉스부와 상기 제2듀플렉스부는 상호 이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듀플렉스 커버부는 개방시 상기 제2 듀플렉스부와 상기 사이드 커버부 사이에 위치한 반전경로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듀플렉스부는, 상기 듀플렉스 커버부에 연결되고 상기 듀플렉스 커버부의 개폐동작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이동축과; 상기 이동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듀플렉스 커버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축의 적어도 일단부를 수용하며, 상기 이동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그리고 상기 이동축 및 상기 가이드부재에 양단부 중 각 일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듀플렉스 커버부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축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듀플렉스부는, 상기 제1듀플렉스부와 상기 사이드 커버부 사이에 형성되는 반전경로의 길이가 급지되는 용지의 길이보다 짧도록 형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이드 커버부 및 듀플렉스 커버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101), 대전롤러(102), 광주사 유닛(103), 4개의 현상기(104), 전사벨트(105), 사이드 커버부(140) 및 적어도 제1, 제2듀플렉스부(151, 152)를 갖는 듀플렉스부 (150)구비한다.
회전체인 감광체(101)는 원통형상의 금속제 드럼의 외주면에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광도전성 물질층이 코팅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감광체(101)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광주사 유닛(103)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대전롤러(102)는 감광체(101)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102)는 감광체(101)의 외주면과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회전하면서 전하를 감광체(101)에 공급하여 감광체(101)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한다. 대전롤러(102)에는 감광체(101)의 외주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하여 대전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대전롤러(102) 대신에 코로나 방전기(미도시)가 채용될 수 있다.
광주사 유닛(103)은 감광체(101)의 하방에 설치되며,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대전된 감광체(101)에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에 따라 주사하여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광주사 유닛(103)은 레이저빔을 주사하는 광원(미도시)과, 광원에서 조사된 레이저빔을 편향시키는 빔편향기를 포함한다. 상기 빔편향기로는 공지공용의 편향기, 예를 들어, 폴리곤미러(polygon mirror, 미도시) 또는 홀로그램 디스크(미도시)가 채용될 수 있다. 광주사 유닛(103)으로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사용된다.
4 개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 형식으로, 그 내부에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고체분말상의 토너가 수용된다. 상기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는 이들 토너를 감광체(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롤러(125K, 125Y, 125M, 125C)를 각각 구비한다.
각 현상롤러(125K, 125Y, 125M, 125C)들은 현상기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그 외주에 부착시켜 감광체(101)로 공급한다. 현상롤러(125K, 125Y, 125M, 125C)는 고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체(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현상시킨다. 현상롤러(125K, 125Y, 125M, 125C)에는 이들 토너를 감광체(101)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4 개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는 현상롤러(125K, 125Y, 125M, 125C)가 감광체(101)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의 현상갭(Dg)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전기장에 의해 감광체(101)에서 현상롤러(125K, 125Y, 125M, 125C)로 향하는 힘이 발생하며, 하전된 토너는 현상갭(Dg) 사이에 형성된 현상영역에서 진동 왕복운동을 하면서 이송되어 현상이 이루어진다. 전사벨트(105)에는 감광체(101)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토너화상이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상기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에 중첩 전사됨으로써 컬러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전사벨트(105)의 길이는 컬러토너화상이 최종적으로 수용되는 용지(S)의 길이와 같거나 적어도 그보다 길어야 한다.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에 토너화상이 전사된 면과 대면되도록 설치되어, 전사벨트(105)에 전사된 토너화상이 용지(S)로 옮겨지도록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다. 상기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에 컬러토너화상이 전사되는 동안에는 전사벨트(10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가, 전사벨트(105)에 컬러토너화상이 완전히 전사되면 이를 용지(S)로 전사하기 위해 전사벨트(105)와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된다. 또한, 전사벨트(105)의 외측면에 전사된 토너화상은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의 접촉 압력에 의해 전사롤러(112)와 전사벨트(105)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S)에 전사될 수도 있다.
제1클리닝장치(106)는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전사된 후에도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계속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한다. 또한, 제2클리닝장치(109)는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 후에 전사벨트(105) 상에 계속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한다.
전사전 제전유닛(pre-transfer eraser, 110)은 감광체(101) 상의 토너화상을 전사벨트(105)로 전사시키기 전에 감광체(101) 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비화상영역)의 전하를 제거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의 전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전램프(107)는 대전 전단계에서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잔류되는 전하를 제거하는 제전수단의 구체적 일 예이다. 제전램프(107)는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일정한 광량의 빛을 조사하여 감광체(101)의 표면에 잔류되는 전하를 제거한다.
전원공급기(108)는 현상기(104)로부터 감광체(101)로 토너를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바이어스전압, 현상기(104)로부터 감광체(101)로 토너가 부착되는 것을 방 지하는 현상방지바이어스전압,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제1전사바이어스전압, 전사벨트(105)로부터 용지(S)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제2전사바이어스전압, 대전롤러(102)에 제공되는 대전바이어스전압을 제공한다.
정착부(111)는 히트롤러(123) 및 그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124)를 구비하며, 용지(S)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킨다. 히트롤러(123)는 토너화상을 영구 고착시키기 위한 열원으로 가압롤러(124)에 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가압롤러(124)는 히트롤러(123)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용지(S)에 높은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킨다.
배지부(117)는 정착이 완료된 용지(S)를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한다.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지된 용지(S)는 배지대(180)에 적재된다.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하부에 마련되어 용지(S)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113a)를 구비한다. 급지카세트(113a)는 용지(S)가 적재되는 적재수단의 일 예이다. 적재수단에는 추가적으로 용지(S)를 장착할 수 있는 제2급지카세트(113b)가 포함될 수 있다.
픽업롤러(115a, 115b)는 급지카세트(113a, 113b)에 적재된 용지(S)를 한 장씩 픽업(pick-up)하여 인출한다.
급지부(116)는 픽업롤러(115a, 115b)에 의해 급지카세트(113a, 113b)로부터 인출된 용지(S)를 정렬롤러(118) 쪽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한다.
정렬롤러(Registration roller, 118)는 용지(S)가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 (112) 사이를 통과하기에 앞서 용지(S)의 원하는 부분에 토너화상이 전사될 수 있도록 용지(S)의 선단부를 정렬한다. 정렬롤러(118)의 의해 정렬된 용지(S)는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를 거쳐 정착부(111)를 통과하며 배지부(117)에 의해 화상형성장치의 밖으로 배출된다. 정렬롤러(118)는 후술하는 듀플렉스부(151, 152) 부근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급지부(116)와 정착부(111) 사이에서 용지(S)를 안내하는 용지 이송 경로는 급지경로(121)로 지칭된다. 양면 인쇄시에는 배지부(117)의 롤러가 역회전되고, 용지(S)는 반전경로(122)를 따라 이송된다. 그러면, 화상이 인쇄되지 않은 면에 화상이 인쇄될 수 있도록 용지(S)가 역전된다. 역전된 용지(S)는 다시 급지부(116)에 의해 급지경로(121)를 거쳐 이송되면서 화상이 인쇄되지 않은 다른 면에 화상이 인쇄된다.
사이드 커버부(140)는 화상형성장치의 측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그 일측에 마련된 힌지부(212)를 통해 화상형성장치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사이드 커버부(140)는 인쇄가 진행되는 중 용지(S)의 걸림이 발생되는 경우 이의 제거를 위해 개폐된다.
제1듀플렉스부(151), 제2듀플렉스부(152)를 갖춘 듀플렉스부(150)는, 사이드 커버부(140)와의 사이에는 반전경로(122)를 형성하고, 반전경로(122)의 반대쪽에는 급지경로(121)를 형성하는 부재를 지칭하며, 사이드 커버부(140)와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듀플렉스부(150)는 정착부(111)를 사이에 두고 양분되는데, 즉 정착부(111)를 중심으로 하여, 급지부(116)쪽에는 제1듀플렉스부 (151)가 배치되고, 배지부(117)쪽에는 제2듀플렉스부(152)가 배치된다.
제1듀플렉스부(151)는, 제1듀플렉스부(151) 및 사이드 커버부(140) 사이에 형성되는 반전경로(122)의 길이가 급지되는 용지(S)의 길이보다 짧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화상형성장치에는 다양한 크기의 용지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사용되는 용지 중 길이가 가장 짧은 용지를 기준으로 제1듀플렉스부(151)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용지 걸림이 발생하여 용지(S)가 제1듀플렉스부(151)와 사이드 커버부(140) 사이에 위치하는 반전경로(122)에 걸려 있는 경우, 용지(S)의 적어도 일단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되고, 따라서, 걸려있는 용지(S)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제1듀플렉스부(151)와 사이드 커버부(140) 사이에는 제1, 제2 반송롤러(161, 162)가 배치되어 반전경로(122)로 용지(S)를 이송한다.
또한, 제1듀플렉스부(151)와 제2듀플렉스부(152)는 상호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1듀플렉스부(151)와 제2듀플렉스부(152) 사이의 공간에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착부(111) 등이 배치될 수 있고, 이들 제1, 제2듀플렉스부(151, 152) 사이에 형성된 공간만큼 듀플렉스부(150)의 전체적인 부피가 작아지므로 듀플렉스부의 무게가 대폭 감소되며, 이는 결국 화상형성장치의 전체적인 무게 감소로 이어진다. 또한, 이러한 무게 감소 외에도 듀플렉스부의 재료비 절감으로 인해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제2듀플렉스부(152)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듀플렉스 커버부(152a)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용지 걸림이 발생한 경우 사이드 커버부(140)를 연 상 태에서 제2듀플렉스부(152)의 듀플렉스 커버부(152a)만을 열어 반전경로(122)에 걸려 있는 용지(S)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듀플렉스 커버부(152a)는 손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듀플렉스 커버부(152a)는 개방시 제2듀플렉스부(152)와 사이드 커버부(140) 사이에 위치한 반전경로(122)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용지 걸림이 발생하여 제2듀플렉스부(152) 및 사이드 커버부(140) 사이에 위치한 반전경로(122)에 용지가 걸려있는 경우, 듀플렉스 커버부(152a)를 개방시켜 외부로 노출된 용지(S)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에는 사이드 커버부(140)와 듀플렉스 커버부(152a)가 닫힌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이들 양 커버부(140, 152a)가 열려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는 도 1의 A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로서, 듀플렉스 커버부가 닫힌 상태이고, 도 3b는 도 1의 A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로서, 듀플렉스 커버부가 열린 상태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2듀플렉스부(152)는 듀플렉스 커버부(152a), 레버부(152b), 가이드부재(153), 이동축(154), 및 스프링부(155)를 구비한다.
상기 레버부(152b)는 듀플렉스 커버부(152a)와 결합되어 듀플렉스 커버부(152a)를 개폐시킨다. 즉, 듀플렉스 커버부(152a)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152b)는 초기 상태에 있게 되고, 레버부(152b)가 아래쪽으로 당겨지게 되면 레버부(152b)와 결합되어 있는 듀플렉스 커버부(152a)도 레버부 (152b)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듀플렉스 커버부(152a)가 열려 있는 상태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축(154)은 레버부(152b)에 축결합되고 레버부(152b)의 개폐동작에 연동되어 이동된다. 이하, 상기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가이드부재(153)는 상기 이동축(154)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버부(152b)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153)에는 가이드 홈(153a)이 형성되어 있어 이동축(154)의 적어도 일단부를 수용한다. 상기 가이드 홈(153a)이 형성된 가이드부재(153)는 듀플렉스 커버부(152a)의 개방시 이동축(154)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2듀플렉스부(152)에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홈(153a)은 이동축(154)이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부(155)는 그 일단부가 가이드부재(153)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이동축(154)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부(152b)가 작동됨에 따라 듀플렉스 커버부(152a)가 열리게 되면, 이동축(154)은 도 3a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때 스프링부(155)는 이동축(154)의 이동방향으로 인장되게 된다. 반대로, 레버부(152b)를 당기는 힘이 제거되게 되면, 스프링부(155)는 초기 상태로 탄성 복원되고, 따라서, 스프링부(155)에 연결되어 있는 이동축(154), 상기 이동축(154)이 고정되는 레버부(152b)가 순차적으로 상기 화살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레버부(152b)에 결합되어 있는 듀플렉스 커버부(152a)는 닫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듀플렉스 커버부(152a)의 개폐동작이 스프링부(155)와 같은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 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탄성부재 이외에도 다른 다양한 기구적 연결구조나 전자기적인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개폐동작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면 인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서 급지경로나 반전경로에서 용지 걸림이 발생한 경우, 이를 용이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전경로를 구성하는 구조물의 배치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무게가 감소된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며, 급지부, 현상부, 전사부, 정착부 및 배지부를 구비하고, 급지경로와 반전경로가 마련된 양면 인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사이드 커버부; 및
    상기 사이드 커버부와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사이드 커버부와의 사이에 반전경로를 형성하는 듀플렉스부를; 구비하며,
    상기 듀플렉스부는 제1듀플렉스부 및 제2듀플렉스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1듀플렉스부의 상방에 상기 제2듀플렉스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2듀플렉스부에는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듀플렉스 커버부가 구비된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듀플렉스부는 상기 정착부를 중심으로 상기 급지부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2듀플렉스부는 상기 정착부를 중심으로 상기 배지부쪽에 배치되며,
    상기 제1듀플렉스부와 상기 제2듀플렉스부는 상호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스 커버부는 개방시 상기 제2듀플렉스부와 상기 사이드 커버부 사이에 위치한 반전경로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듀플렉스부는,
    상기 듀플렉스 커버부에 연결되고 상기 듀플렉스 커버부의 개폐동작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이동축;
    상기 이동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듀플렉스 커버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이동축의 적어도 일단부를 수용하며, 상기 이동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이동축 및 상기 가이드부재에 양단부 중 각 일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듀플렉스 커버부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축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듀플렉스부는,
    상기 제1듀플렉스부와 상기 사이드 커버부 사이에 형성되는 반전경로의 길이가 급지되는 용지의 길이보다 짧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85205A 2005-09-13 2005-09-13 화상형성장치 KR200700304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205A KR20070030495A (ko) 2005-09-13 2005-09-13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205A KR20070030495A (ko) 2005-09-13 2005-09-13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495A true KR20070030495A (ko) 2007-03-16

Family

ID=43655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205A KR20070030495A (ko) 2005-09-13 2005-09-13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04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3683B2 (en) Belt detach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belt detaching device
US73950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uxiliary tray
KR100739745B1 (ko) 화상형성장치
JP649281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78687A (ja) 画像形成装置
US2001004639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74774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826502A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カセット
KR100561422B1 (ko) 감광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4074025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619073B1 (ko) 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22006709A (ja) 画像形成装置
KR20070030495A (ko) 화상형성장치
JP3658444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11295998A (ja) 画像形成装置
US1152609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detachable development device
US7721859B2 (en) Rotary force controll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H04247470A (ja) 画像形成用カートリッジ
JP7358855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100803608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에서 인쇄매체의 걸림 현상을감지하는 방법
EP4068002A1 (en) Manual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60041517A (ko) 화상형성장치
KR100580220B1 (ko) 화상형성장치의 회전력 단속 장치
KR20060032076A (ko) 화상형성장치
JP200626784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