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4568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4568A
KR20060024568A KR1020040073368A KR20040073368A KR20060024568A KR 20060024568 A KR20060024568 A KR 20060024568A KR 1020040073368 A KR1020040073368 A KR 1020040073368A KR 20040073368 A KR20040073368 A KR 20040073368A KR 20060024568 A KR20060024568 A KR 20060024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belt
photosensitive member
roller
transfer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현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4568A/ko
Publication of KR20060024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5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개시된다. 개시된 현상기 구동장치는 두 개의 감광체를 갖는 2 패스(Pass)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하나 또는 두 개의 구동원을 정역회전으로 구동시켜 각각의 감광체 주위에 배치된 두 개의 현상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현상기 구동장치와 달리 하나 또는 두 개의 구동원을 이용해 복수의 현상기를 분리 구동시킴으로써 부하변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화상 밴딩이나 화상정렬(Registration)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현상기가 다른 현상기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방지할 수 있어 우수한 화상품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장치를 간단화할 수 있고,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a는 종래의 중간전사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감광체유닛과 중간전사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감광체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중간전사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광체유닛과 중간전사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감광체 102...대전롤러
103...노광부 104...현상기
105...전사벨트 109...제2클리닝장치
111...정착기 112...전사롤러
113...급지카세트 115...픽업롤러
116...피드롤러 117...배출롤러
120...용지이송부 121...급지경로
122...반전경로 125...현상롤러
140...하우징
200...감광체유닛 201...샤프트
202...핸들 203...제1블레이드
204...이송수단 205...안내부재
300...중간전사유닛 301, 302, 303...지지롤러
304...중간전사롤러 305...닙롤러
306...제2블레이드 307...제2이송수단
308...제1지지부 309...제2지지부
350...가이드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사벨트의 진동 및 화상 떨림을 방지하는 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일정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기를 이용하여 정전잠상을 소정 색상의 토너(toner)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단색화상 또는 칼 라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컬러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일반적으로, 화상 정보에 해당하는 광을 주사하는 노광부와, 노광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 색상의 토너를 각각 수용하고 감광체의 외주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4가지 색상의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4개의 현상기와, 감광체로부터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전사벨트를 구비한다.
도 1a는 종래의 중간전사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감광체유닛과 중간전사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중간전사유닛은 전사벨트(5)와, 중간전사롤러(14)와, 다수의 지지롤러(11, 12, 13)와, 닙롤러(15)를 포함한다.
다수의 지지롤러(11, 12, 13)는 전사벨트(5)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전사벨트(5)를 지지하고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닙롤러(15)는 전사벨트(5)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감광체(1)와 전사벨트(5)가 일정한 닙(Nip, a)을 유지하도록 한다.
전사벨트(5)는 감광체(1)의 외주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감광체(1)로부터 전사벨트(5)로 전사될 수 있도록, 중간전사롤러(14)와 닙롤러(15) 사이의 구간에서 감광체(1)와 대면되게 설치된다. 중간전사롤러(14)에는 감광체(1)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전사벨트(5)로 전사되도록 하는 전사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컬러화상정보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에 해당하는 정보가 혼합된 것이다.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의 순서로 각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5)에 중첩적으로 전사된다.
네 가지 색상의 토너화상의 전사가 끝이 나면 전사벨트(5)에서 용지(S)로 토너화상이 2차 전사되고, 이 토너화상은 지지롤러(12)와 전사롤러(2)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S)에 2차 전사가 된다. 토너화상이 전사된 용지(S)가 정착기(미도시)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용지(S)에 정착됨으로써 화상의 인쇄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컬러 화상을 인쇄시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블랙(blacK) 색상의 순서로 감광체(1)에 토너화상이 현상된다. 각각의 색상을 현상시, 해당 현상기(4)의 현상롤러 구동 클러치가 온(On) 되며, 감광체(1)가 계속하여 회전됨에 따라 순서상으로 뒤에 있는 현상기(4)의 현상롤러 클러치가 온(On) 된다. 일반적으로 현상기(4)에 구비된 현상롤러 클러치가 온(On), 오프(Off)되는 시점에 현상롤러에는 강한 진동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진동이 현상롤러에서 감광체(1)로 전달되고, 감광체(1)에서 전사벨트(5)로 전달된다. 이러한 진동에 의해 감광체(1)로부터 전사벨트(5)로 전사가 진행중인 토너화상에 흐트러짐이나 떨림에 의한 가로 밴드가 발생된다.
또한, 감광체(1)로부터 전사벨트(5)로 1차 전사시 중간전사롤러(14)의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화상의 흐트러짐(퍼짐현상)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전사벨트(5)에 전사된 토너화상이 용지(S)로 2차 전사시 화상의 떨림이나 흐트러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롤러 클러치의 온(On), 오프(Off)시 전사벨트에 전해지는 진동을 방지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광체로부터 전사벨트로 전사시 토너 화상의 흐트러짐(퍼짐현상)을 감소시키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토너화상이 현상되는 감광체와, 상기 토너화상을 전사벨트로 전사하는 중간전사롤러와, 상기 전사벨트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를 이송하는 지지롤러와, 상기 전사벨트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체와 상기 전사벨트가 일정한 닙(Nip)을 유지하도록 하는 닙롤러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와 대면되게 상기 전사벨트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체와 상기 전사벨트가 소정의 닙을 유지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닙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는 도전성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는 0.1∼3 ㏁ 의 저항과 26°∼38°의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중간전사롤러와 상기 닙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감광체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중간전사유닛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광체유닛과 중간전사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그 하우징(140) 내부에 감광체(101)와, 대전롤러(102)와, 노광부(103)와, 4개의 현상기(104)와, 전사벨트(105)를 구비한다.
감광체(101)는 원통형상의 금속제 드럼의 외주에 광도전성층이 형성된 것이다. 대전롤러(102)는 감광체(101)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102)는 감광체(101)의 외주면과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회전하면서 전하를 공급하여 감광체(101)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한다. 노광부(103)는 감광체(101)의 하방에 설치되며,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대전된 감광체(101)에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부(103)로서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사용된다.
4 개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고체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체(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롤러(125)를 각각 구비한다. 4개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는 현상롤러(125)가 감광체 (101)의 외주면과 현상갭(Dg)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현상갭(Dg)은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벨트(105)에는 감광체(101)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토너화상이 순차적으로 전사되어 중첩됨으로써 컬러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전사벨트(105)의 길이는 컬러토너화상이 최종적으로 수용되는 용지(S)의 길이와 같거나 적어도 그보다 길어야 한다.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와 대면되도록 설치된다.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에 컬러토너화상이 전사되는 동안에는 전사벨트(10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가, 전사벨트(105)에 컬러토너화상이 완전히 전사되면 이를 용지(S)로 전사하기 위해 전사벨트(105)와 소정 압력으로 접촉된다.
참조부호 110는 전사전 제전유닛(pre-transfer eraser)이다. 전사전 제전유닛(110)은 감광체(101)상의 토너화상을 전사벨트(105)로 전사시키기 전에 감광체(101)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비화상영역)의 전하를 제거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의 전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참조부호 107은 제전램프이다. 제전램프(107)는 대전 전 단계에서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잔류되는 전하를 제거하는 제전기의 일 예이다. 제전램프(107)는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일정한 광량의 빛을 조사하여 감광체(101)의 표면에 잔류되는 전하를 제거한다.
참조부호 108은 전원공급기이다. 전원공급기(108)는 현상기(104)로부터 감광 체(101)로 토너를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전압, 현상기(104)로부터 감광체(101)로 토너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현상방지 바이어스전압,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제1전사 바이어스전압, 전사벨트(105)로부터 용지(S)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제2전사 바이어스전압, 대전롤러(102)에 제공되는 대전 바이어스전압을 제공한다.
정착기(111)는 용지(S)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킨다. 상기 정착기(111)는 한 쌍의 롤러(123, 124)가 서로 소정의 압력으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된 것이다. 한 쌍의 롤러(123, 124)에는 토너화상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마련된다. 토너화상이 전사된 용지(S)가 정착기(111)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용지(S)에 정착됨으로써 화상의 인쇄가 완료된다.
참조부호 113a는 급지카세트로서, 용지(S)가 적재되는 적재수단의 일 예이다. 적재수단에는 추가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제2급지카세트(113b) 및 MPF(multi-purpose feeder, 113c)가 포함될 수 있다. MPF(113c)는 OHP용지나 비규격 용지(S)를 이송시키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피드롤러(116)는 픽업롤러(115a, 115b, 115c)에 의해 급지카세트(113a, 113b, 113c)로부터 인출된 용지(S)를 이송시킨다.
참조부호 117은 용지(S)를 배출시키는 배출롤러이다. 용지이송부(120)는 피드롤러(116)와 정착기(111) 사이에서 용지(S)를 안내하는 급지경로(121)와, 양면인쇄를 위한 반전경로(duplex path)(122)를 포함한다.
정착기(111)를 통과하여 일면에 화상이 인쇄된 용지(S)는 배출롤러(117)에 의해 배출된다. 양면인쇄를 위해서는 배출롤러(117)가 역회전되고, 용지(S)는 반전경로(122)로 이송된다. 그러면, 화상이 인쇄되지 않은 면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도록 용지(S)가 역전된다. 역전된 용지(S)는 다시 피드롤러(116)에 의해 급지경로(121)를 통하여 이송되면서 다른 면에 화상이 인쇄된다.
제1클리닝장치(106)는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전사된 후에도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계속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한다. 또한, 제2클리닝장치(109)는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 후에 전사벨트(105) 상에 계속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한다. 상기 제1및 제2클리닝장치(106, 109)에 의해 제거된 상기 폐토너는 각각 소정의 이송경로(미도시)를 통해 폐토너 저장용기(미도시)에 수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컬러화상정보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에 해당하는 정보가 혼합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의 순서로 각 색상의 토너화상을 전사벨트(105)에 중첩시키고 이를 용지(S)로 전사한 후에 정착시킴으로써 컬러화상을 형성한다.
대전롤러(102)에 의해 감광체(101)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노광부(103)에 의해 시안(C) 색상의 화상정보에 해당하는 광신호가 회전하는 감광체(101)에 주사되면, 광이 주사된 부분은 저항이 감소하면서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부착된 전하가 빠져나간다. 따라서 광이 주사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과의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며, 이에 의해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체(101)가 회전하면서 정전잠상이 시안 현상기(104C)에 접근하면, 시안 현상기(104C)의 현상롤러(125)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시안 현상기(104C)의 현상롤러(125)에 전원공급기(108)로부터 현상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다른 현상기(104M, 104Y, 104K)의 현상롤러(125)에는 현상을 방지하는 현상방지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시안색상의 토너만이 현상갭(Dg)을 가로질러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시안색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감광체(101)의 회전에 의해 시안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에 접근하면, 제1전사 바이어스전압 또는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와의 접촉 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전사된다.
시안(C)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에 완전히 전사되면, 다음으로,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색상의 토너화상도 상술한 단계를 거쳐 전사벨트(105)에 중첩되게 전사된다.
상기 과정 중에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4가지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모두 중첩적으로 전사되어 전사벨트(105) 상에 컬러토너화상이 형성되면, 이 컬러토너화상을 용지(S)로 전사하기 위해 전사롤러(112)가 전사벨트(105)와 접촉된다.
전사벨트(105)에 형성된 컬러토너화상의 선단이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가 접촉된 지점에 도달하는 때에 맞추어, 용지(S)의 선단이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가 접촉된 지점에 도달하도록 급지카세트(113a)(또는 급지카세트 (113b)) 또는 MPF(113c)로부터 용지(S)가 공급된다. 용지(S)가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를 통과하면 제2전사 바이어스전압에 의해 컬러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되며, 계속하여 정착기(111)에서 열 및 압력에 의해 컬러토너화상을 용지(S)에 고착시켜 배출함으로써 컬러화상형성이 완료된다.
다음 번 인쇄를 위해 제1 및 제2클리닝장치(106)(109)는 각각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에 잔류되는 폐토너를 제거하며, 제전램프(107)는 감광체(101)에 광을 조사하여 감광체(101) 상의 잔류전하를 제거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광체유닛(200)과 중간전사유닛(300)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40, 도 2 참조) 내부의 메인프레임(150)에 감광체(101)를 포함하는 감광체유닛(200), 전사벨트(105)를 포함하는 중간전사유닛(300), 현상롤러(125)를 각각 포함하는 4개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가 장착된다.
감광체유닛(200)은 상하방향(Z)으로 착탈될 수 있게 설치된다. 중간전사유닛(300)은 감광체유닛(200)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하방향(Z)으로 착탈될 수 있게 설치된다. 4개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는 감광체(101)의 측방에서 횡방향(X)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착탈될 수 있게 설치된다. 메인프레임(150)에는 상기 감광체유닛(200)과 중간전사유닛(300)을 하우징(140) 내부에서 위치 고정하기 위한 잠금장치(160)가 설치되고, 상기 감광체유닛(200)과 중간전사유닛(300)이 고정되는 위치까지 안내하는 가이드경로(152, 155, 156)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잠금장치(160)는 중간전사유닛(300)과 감광체유닛(200)을 사이에 두고 맞은편에도 마련된다.
4개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는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시안 현상기(104C), 마젠타 현상기(104M), 옐로우 현상기(104Y), 블랙 현상기(104K) 현상기의 순서로 배치된다. 가장 위쪽에 위치되는 현상기(104K)의 상방에는 전사전 제전유닛(110)이 위치된다. 감광체유닛(200)의 하방에는 노광부(103)와 제전램프(107)가 위치된다.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감광체 유닛(200)을 중심으로 현상기(104C, 104M, 104Y, 104K)의 반대쪽에는 용지이송유닛(120, 도 2 참조)이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감광체유닛(200)은 샤프트(2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감광체(101)를 포함하며, 제1클리닝장치(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광체유닛(200)은 또한 대전롤러(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광체유닛(200)은 메인프레임(150, 도 3 참조)에 설치된 제전램프(107)로부터 조사된 광을 감광체(101)로 안내하는 광안내부재(20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감광체유닛(200)은 샤프트(20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20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핸들(202)은 감광체유닛(200)을 장착 또는 제거할 때 202a 위치로 회동되고, 감광체유닛(200)이 메인프레임(150)에 장착된 후에는 202b 위치로 회동된다. 제1클리닝장치(106)는 감광체(101)의 표면에 접촉되어 전사 과정 후에 감광체(101)의 표면에 잔류되는 폐토너를 긁어내리는 제1블레이드(203)와, 폐토너를 수용하는 폐토너 저장용기(미도시)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수단(204)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이송수단(204)으로서 나선형 날개를 구비하며 회전됨으로써 폐토너를 이송시키는 오거(auger)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중간전사유닛(300)은 전사벨트(105)와, 중간전사롤러(304)와, 다수의 지지롤러(301, 302, 303)와, 닙롤러(305)와, 가이드부(350)를 포함한다.
다수의 지지롤러(301, 302, 303)는 전사벨트(105)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전사벨트(105)를 지지하고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닙롤러(305)는 전사벨트(105)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가 일정한 닙(Nip, A)을 유지하도록 한다.
중간전사롤러(304)에는 감광체(101)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전사되도록 하는 제1전사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전사벨트(105)는 감광체(101)의 외주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 전사될 수 있도록, 중간전사롤러(304)와 닙롤러(305) 사이의 구간에서 감광체(101)와 대면되게 설치된다. 전사벨트(105)로는 대전성능이 우수한 폴리 이미드 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벨트(105)는 두께가 얇을수록 대전 성능이 우수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두께 약 75㎛인 폴리 이미드 벨트를 사용하였다.
컬러 화상을 인쇄시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블랙(blacK) 색상의 순서로 감광체(101)에 토너화상이 현상된다. 각각의 색상을 현상시 해당 현상기(104)의 현상롤러(125) 구동 클러치가 온(On) 되며, 감광체(101)가 계 속하여 회전됨에 따라 순서상으로 뒤에 있는 현상기(104)의 현상롤러(125) 클러치가 온(On) 된다. 감광체(101)의 정전잠상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전사되는 동안, 각 현상기(104)의 현상롤러(125) 클러치가 온(On)되는 시점에 현상롤러(125)가 강한 진동을 일으킨다. 이와 같은 진동이 현상롤러(125)에서 현상갭(Dg)을 거쳐 감광체(101)로 전달되고, 감광체(101)에서 전사벨트(105)로 전달된다. 이러한 진동에 의해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 전사가 진행중인 토너화상에 흐트러짐이나 떨림에 의한 가로 밴드가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부(350)를 추가한다.
가이드부(350)는 상기와 같은 토너화상의 흐트러짐이나 가로 밴드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감광체(101)와 대면되게 전사벨트(105)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가 소정의 닙(A)을 유지하도록 한다. 전사벨트(105)는 가이드부(350)의 외주에 접촉되어 회전하게 되므로, 가이드부(350)는 롤러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현상롤러(125)의 진동으로 발생되는 토너화상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부(350)는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 사이에 형성된 닙(A)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부(350)는 중간전사롤러(304)와 닙롤러(305)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전사롤러(304)에는 감광체(101)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전사되도록 하는 제1전사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감광체(101)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감광체(101)와 중간전사롤러(304)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 에 의해 전사벨트(105)로 전사가 된다. 따라서, 중간전사롤러(304)에 인접하게 설치된 가이드부(350)가 전사 바이어스전압과 유사한 도전성 성질을 갖는다면 전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350)는 도전성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0.1∼3 ㏁ 의 저항과 26°∼38°의 경도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350)가 도전성 성질을 갖게 되므로 감광체(101)에서 전사벨트(105)로 전사시 현상제인 토너의 흐트러짐(퍼짐현상)을 줄일 수 있다.
지지롤러(302)는 전사롤러(112)와 대면된다.
또한, 중간전사유닛(300)은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 후에 전사벨트(105) 상에 잔류되는 폐토너를 제거하는 제2클리닝장치(10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클리닝장치(109)는 전사벨트(105)의 표면에 접촉되어 폐토너를 긁어내리는 제2 블레이드(306)와, 폐토너를 수용하는 폐토너 저장용기(미도시)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수단(307)을 구비할 수 있다. 제2이송수단(307)으로서는 나선형 날개를 구비하며 회전됨으로써 폐토너를 이송시키는 오거(auger)가 사용된다.
중간전사유닛(300)의 양측부에는 제1지지부(308)와 제2지지부(309)가 구비된다. 제1지지부(308)와 제2지지부(309)는 가이드경로(155, 156)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제1지지부(308)는 지지롤러(301)와 인접된 위치에, 제2지지부(309)는 지지롤러(302)와 인접된 위치에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종래 발명과 달리 도전성 성질을 띈 가이드부(350)를 전사벨트(105)의 내주에 설치함으로써 현상롤러(125)의 진동에 의한 화상 흐트러짐이나 떨림, 화상의 퍼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종래 발명과 달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전사벨트의 내주에 가이드부를 설치함으로써 현상롤러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전사시 토너화상의 흐트러짐이나 떨림에 의한 가로 밴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도전성 성질을 갖는 가이드부를 설치함으로써 전사 효율을 높여 전사시 토너 화상의 퍼짐 현상을 줄여줌으로써 화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토너화상이 현상되는 감광체와, 상기 토너화상을 전사벨트로 전사하는 중간전사롤러와, 상기 전사벨트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를 이송하는 지지롤러와, 상기 전사벨트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체와 상기 전사벨트가 일정한 닙(Nip)을 유지하도록 하는 닙롤러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와 대면되게 상기 전사벨트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체와 상기 전사벨트가 소정의 닙을 유지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닙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도전성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0.1∼3 ㏁ 의 저항과 26°∼38°의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중간전사롤러와 상기 닙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73368A 2004-09-14 2004-09-14 화상형성장치 KR20060024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368A KR20060024568A (ko) 2004-09-14 2004-09-14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368A KR20060024568A (ko) 2004-09-14 2004-09-14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568A true KR20060024568A (ko) 2006-03-17

Family

ID=3713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368A KR20060024568A (ko) 2004-09-14 2004-09-14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45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3306B2 (en)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983589B2 (en)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70087505A (ko) 화상 형성 장치
KR100677576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465870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70048028A1 (en) Develop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580205B1 (ko)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4846831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US10895827B2 (en) Developer conveyor having three blades
JP4980639B2 (ja) 現像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る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51531A (ja) 画像形成装置
KR100561422B1 (ko) 감광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10656556B2 (en) Developing device having conveying member for stably conveying developer, develop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628727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619073B1 (ko) 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788672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KR100636204B1 (ko)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KR20060024568A (ko) 화상형성장치
JP3025070B2 (ja) 電子写真装置
KR100644649B1 (ko) 화상형성장치
KR100619075B1 (ko) 회전력 단속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4627247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20060041517A (ko) 화상형성장치
KR20060062346A (ko) 화상형성장치
KR100580220B1 (ko) 화상형성장치의 회전력 단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