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649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649B1
KR100644649B1 KR1020040092792A KR20040092792A KR100644649B1 KR 100644649 B1 KR100644649 B1 KR 100644649B1 KR 1020040092792 A KR1020040092792 A KR 1020040092792A KR 20040092792 A KR20040092792 A KR 20040092792A KR 100644649 B1 KR100644649 B1 KR 100644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belt
photosensitive member
roller
transfer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328A (ko
Inventor
박문배
경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2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649B1/ko
Priority to US11/272,480 priority patent/US7412195B2/en
Publication of KR20060053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 G03G15/02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 G03G15/0233Structure, details of the charging member, e.g. chemical composition, surface propert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04Main transfer electrode
    • G03G2215/1623Transfer bel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는 전사벨트와, 전사벨트의 비전사영역의 내, 외주측에 부착되어 전사벨트를 보호하는 보호부와, 응력 집중에 의한 전사벨트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호부가 전사벨트 상에서 중첩되게 부착된 중첩부나 이어지게 부착된 이음매부가 화상형성 작업 후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와 달리 전사벨트의 특정 부위에서의 주름 발생을 방지하여, 특정 부위에서 화상이 누락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상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중간전사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전사벨트에 있어서 토너 화상의 누락이 발생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사벨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중간전사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중간전사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전사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중간전사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전사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감광체유닛과 중간전사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전사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전사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감광체 102...대전롤러
103...광주사 유닛 104...현상유닛
105...전사벨트 109...제2클리닝장치
111...정착부 112...전사롤러
113...급지카세트 115...픽업롤러
116...피드롤러 117...배출롤러
120...용지이송부 121...급지경로
122...반전경로 125...현상롤러
140...본체 프레임 200...감광체유닛
300...중간전사유닛 301, 302, 303...지지롤러
304...중간전사롤러 305...닙롤러
310...보호부 312...중첩부
314...이음매부 320...제어부
330...센서부 340...비전사영역
350...가이드부 370...치우침방지가이드부
372...돌기 380...가이드풀리부
382...가이드홈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사벨트에 의한 화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일정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유닛을 이용하여 정전잠상을 소정 색상의 토너(toner)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단색화상 또는 칼라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컬러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일반적으로, 화상 정보에 해당하는 광을 주사하는 노광부와, 노광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 색상의 토너를 각각 수용하고 감광체의 외주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4가지 색상의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4개의 현상유닛과, 감광체로부터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전사벨트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중간전사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전사벨트에 있어서 토너 화상의 누락이 발생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사벨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중간전사유닛은 전사벨트(5)와, 중간전사롤러(14)와, 다수의 지지롤러(11, 12, 13)와, 닙롤러(15)를 포함한다. 다수의 지지롤러(11, 12, 13)는 전사벨트(5)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전사벨트(5)를 지지하고 소정의 방향으로 회 전시킨다. 닙롤러(15)는 전사벨트(5)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감광체(1)와 전사벨트(5)가 일정한 닙(Nip, a)을 유지하도록 한다.
전사벨트(5)는 감광체(1)의 외주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감광체(1)로부터 전사벨트(5)로 전사될 수 있도록, 중간전사롤러(14)와 닙롤러(15) 사이의 구간에서 감광체(1)와 대면되게 설치된다. 중간전사롤러(14)에는 감광체(1)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전사벨트(5)로 전사되도록 하는 전사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전사벨트(5)의 내, 외주에는 전사벨트(5)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 두께의 보호부(20)가 부착된다. 전사벨트(5)에 보호부(20)를 부착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벨트(5)에 중첩되게 부착되는 중첩부(40)나, 이어지게 부착되는 이음매부(30)가 존재한다.
화상형성장치가 동작되지 않을 때, 이음매부(30)가 응력을 많이 받는 지점에 위치되면 전사벨트(5)와 보호부(20)의 신율의 차이 등으로 인해 주름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전사벨트(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매부(30)가 롤러의 외주면 위에 위치되는 경우 신율의 차이로 인해 이음매부(30)의 경계면에서 주름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중첩부(40)가 응력을 많이 받는 지점에 위치되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진 중첩부(40)의 가장자리부(42)에 응력이 집중되어 전사벨트(5)의 국부적인 변형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전사벨트(5)에 주름이 발생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를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전사벨트(5)의 주름 발생이 더욱더 심각해진다.
새로운 인쇄 작업의 시작시 주름이 발생된 부위와 감광체(미도시)와의 접촉 이 불안정하게 되므로, 감광체에서 전사벨트(5)로의 전사시 토너화상의 누락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현상유닛에 의해 감광체의 외주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시, 현상유닛의 현상롤러 구동 클러치가 온(On), 오프(Off)되는 시점에 현상롤러에는 강한 진동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진동이 현상롤러에서 감광체로 전달되고, 감광체에서 전사벨트(5)로 전달된다. 이러한 진동에 의해 감광체로부터 전사벨트(5)로 전사가 진행중인 토너화상에 흐트러짐이나 떨림에 의한 가로 밴드가 발생된다.
또한, 감광체로부터 전사벨트(5)로 전사시 중간전사롤러(14)의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화상의 흐트러짐(퍼짐현상)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전사벨트(5)에 전사된 토너화상이 용지로 2차 전사시 화상의 떨림이나 흐트러짐이 발생된다.
또한, 지속적인 인쇄 작업시 전사벨트(5)의 사행이 발생하여 화상품질이 악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전사벨트에 부착된 보호부의 중첩부나 이음매부의 근처에서 발생되는 전사벨트의 주름 발생을 방지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상롤러 클러치의 온(On), 오프(Off)시 전사벨트에 전해지는 진동을 방지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광체로부터 전사벨트로 전사시 토너 화상의 흐트러짐(퍼짐현상)을 감소시키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사벨트의 사행을 방지하면서도 소형화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 궤도를 회전 주행하며 감광체의 외주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전사벨트와; 상기 전사벨트의 비전사영역의 내, 외주측 중 적어도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전사벨트를 보호하는 보호부와; 응력 집중에 의한 상기 전사벨트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호부가 상기 전사벨트 상에서 중첩되게 부착된 중첩부나 이어지게 부착된 이음매부가 화상형성 작업 후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첩부나 상기 이음매부가 상기 복수의 롤러와 롤러 사이의 스팬(span)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에는 상기 전사벨트가 특정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전사벨트의 정지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전사벨트의 폭방향 중 그 양단부 근처에 상기 전사벨트의 회전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전사벨트에 접착시 500 gf/mm 이하의 접착 텐션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토너화상을 상기 전사벨트로 전사하는 중간전사롤러와, 상기 전사벨트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를 이송하는 지지롤러와, 상기 전사벨트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체와 상기 전사벨트가 일정한 닙(Nip)을 유지하도록 하는 닙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감광체와 대면되게 상기 전사벨트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체와 상기 전사벨트가 소정의 닙을 유지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닙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도전성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0.1∼3 ㏁ 의 저항과 26°∼38°의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중간전사롤러와 상기 닙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사벨트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상기 보호부에는 상기 전사벨트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돌기상의 치우침방지가이드부;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적어도 한 개에는 상기 전사벨트에 접 하는 외주면에 상기 치우침방지가이드부의 폭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가이드풀리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우침방지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풀리부는, 상기 전사벨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가이드풀리부에 의해 상기 전사벨트가 상기 가이드풀리부의 외주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우침방지가이드부의 두께는, 0.8 mm 이상 1.2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중간전사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중간전사유닛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전사벨트의 단면도이고, 도 9는 중간전사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그 프레임(140) 내부에 감광체(101)와, 대전롤러(102)와, 광주사 유닛(103)과, 4개의 현상유닛(104)과, 전사벨트(105)를 구비한다.
감광체(101)는 원통형상의 금속제 드럼의 외주면에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광도전성 물질층이 코팅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감광체(101)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며, 후술하는 광주사 유닛(103)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다.
대전롤러(102)는 감광체(101)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102)는 감광체(101)의 외주면과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회전하면서 전하를 공급하여 감광체(101)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한다. 대전롤러(102)에는 감광체(101)의 외주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하여 대전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대전롤러(102) 대신에 코로나 방전기(미도시)가 채용될 수 있다.
광주사 유닛(103)은 감광체(101)의 하방에 설치되며,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대전된 감광체(101)에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컴퓨터 신호에 따라 주사하여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광주사 유닛(103)은 레이저빔을 주사하는 광원(미도시)과, 광원에서 조사된 레이저빔을 편향시키는 빔편향기를 포함한다. 상기 빔편향기로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면서 광을 주사하는 폴리곤미러(polygon mirror, 미도시)가 채용될 수 있다. 한편, 폴리곤미러(미도시) 대신에 디스크면에 형성된 홀로그램 패턴에 의해 회절 주사시킴에 의해 광을 편향 주사시키는 홀로그램 디스크(미도시)가 채용될 수도 있다. 광주사 유닛(103)으로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사용된다.
4 개의 현상유닛(104C, 104M, 104Y, 104K)은 본체 프레임(14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 형식으로, 그 내부에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 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고체분말상의 토너가 수용된다. 상기 현상유닛(104C, 104M, 104Y, 104K)은 이들 토너를 감광체(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롤러(125)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현상유닛(104C, 104M, 104Y, 104K)은 그 내부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체된다.
현상롤러(125)는 현상유닛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그 외주에 부착시켜 감광체(101)로 공급한다. 현상롤러(125)는 고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체(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현상시킨다. 현상롤러(125)에는 이들 토너를 감광체(101)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4개의 현상유닛(104C, 104M, 104Y, 104K)은 현상롤러(125)가 감광체(101)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의 현상갭(Dg)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전기장에 의해 감광체(101)에서 현상롤러(125)로 향하는 힘이 발생하며, 하전된 토너는 현상갭(Dg) 사이에 형성된 현상영역에서 진동 왕복운동을 하면서 이송되어 현상이 이루어진다. 현상갭(Dg)은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벨트(105)에는 감광체(101)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토너화상이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상기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에 중첩 전사됨으로써 컬러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전사벨트(105)의 길이는 컬러토너화상이 최종적으로 수용되는 용지(S)의 길이와 같거나 적어도 그보다 길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감광체유닛(200)과 전사벨트(105)가 포함되는 중간전사유닛(300) 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140, 도 4 참조) 내부의 메인프레임(150)에 감광체(101)를 포함하는 감광체유닛(200), 전사벨트(105)를 포함하는 중간전사유닛(300), 현상롤러(125)를 각각 포함하는 4개의 현상유닛(104C, 104M, 104Y, 104K)이 장착된다.
감광체유닛(200)은 상하방향(Z)으로 착탈될 수 있게 설치된다. 중간전사유닛(300)은 감광체유닛(200)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하방향(Z)으로 착탈될 수 있게 설치된다. 4개의 현상유닛(104C, 104M, 104Y, 104K)은 감광체(101)의 측방에서 횡방향(X)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착탈될 수 있게 설치된다. 메인프레임(150)에는 상기 감광체유닛(200)과 중간전사유닛(300)을 프레임(140) 내부에서 위치 고정하기 위한 잠금장치(160)가 설치되고, 상기 감광체유닛(200)과 중간전사유닛(300)이 고정되는 위치까지 안내하는 가이드경로(152, 155, 156)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잠금장치(160)는 중간전사유닛(300)과 감광체유닛(200)을 사이에 두고 맞은편에도 마련된다.
4개의 현상유닛(104C, 104M, 104Y, 104K)은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시안 현상유닛(104C), 마젠타 현상유닛(104M), 옐로우 현상유닛(104Y), 블랙 현상유닛(104K)의 순서로 배치된다. 가장 위쪽에 위치되는 현상유닛(104K)의 상방에는 전사전 제전유닛(110)이 위치된다. 감광체유닛(200)의 하방에는 광주사 유닛(103)과 제전램프(107)가 위치된다. 도 5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감광체 유닛(200)을 중심으로 현상유닛(104C, 104M, 104Y, 104K)의 반대쪽에는 용지이송유닛 (120, 도 4 참조)이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중간전사유닛(300)은 전사벨트(105)와, 중간전사롤러(304)와, 다수의 지지롤러(301, 302, 303)와, 닙롤러(305)와, 제2클리닝장치(109)를 포함한다.
다수의 지지롤러(301, 302, 303)는 전사벨트(105)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전사벨트(105)를 지지하고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지지롤러(301)는 구동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롤러(301)의 반대측에 배치된 지지롤러(302)는 전사롤러(112)와 대면된다.
중간전사유닛(300)의 양측부에는 제1지지부(308)와 제2지지부(309)가 구비된다. 제1지지부(308)와 제2지지부(309)는 가이드경로(155, 156, 도 5참조)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제1지지부(308)는 지지롤러(301)와 인접된 위치에, 제2지지부(309)는 지지롤러(302)와 인접된 위치에 마련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닙롤러(305)는 전사벨트(105)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가 일정한 닙(Nip, A)을 유지하도록 한다. 중간전사롤러(304)에는 감광체(101)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전사되도록 하는 제1전사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전사벨트(105)는 감광체(101)의 외주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 전사될 수 있도록, 중간전사롤러(304)와 닙롤러(305) 사이의 구간에서 감광체(101)와 대면되게 설치된다. 즉, 전사벨트(105)는 복수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 궤도를 회전 주행하며, 감광체(101)의 외주에 현상된 토너화상 이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된다. 전사벨트(105)로는 대전성능이 우수한 폴리 이미드 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벨트(105)는 두께가 얇을수록 대전 성능이 우수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두께 약 75㎛인 폴리 이미드 벨트를 사용하였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전사벨트(105)의 비전사영역(340)의 내, 외주측 중 적어도 일측에는 전사벨트(105)를 보호하는 보호부(310)가 부착된다.(도 9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전사벨트(105)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부(310)로 소정 두께의 보호 테이프를 사용하였다.
제어부(32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에 장착되어 인쇄 후 전사벨트(105)의 정지 위치를 제어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320)는 응력 집중에 의한 전사벨트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부(310)가 전사벨트(105) 상에서 중첩되게 부착된 중첩부(312)나, 이어지게 부착된 이음매부(314)가 인쇄 후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320)는 중첩부(312)나 이음매부(314)가 복수의 롤러와 롤러 사이의 스팬(span)부(B)에 위치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중첩부(312)나 이음매부(314)의 정지 위치를 응력 집중이 없는 스팬부(B)에 위치시킴으로써, 인쇄 작업 초기시 전사벨트(105)의 국부적인 변형에 의한 화질 열화를 방지하게 된다. 중첩부(312)나 이음매부(314)는 전사벨트(105)의 장력이 가장 작게 작용하는 부분에서 정지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호부(310)에는 전사벨트(105)의 정지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부(33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부(330)는 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한 재 질로 형성되며, 본체에 형성된 광센서(미도시) 등과 상호작용하여 전사벨트(105)가 특정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한 재질을 이용하여 센싱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전사벨트(105)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부(310)는 전사벨트(105)의 폭방향 중 그 양단부 근처에 전사벨트(105)의 회전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온/고습한 환경에서 전사벨트(105)와 보호부(310)의 신율의 차이 및 응력의 집중에 의해 전사벨트(105)에 주름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부(310)는 전사벨트(105)에 500 gf/mm 이하의 접착 텐션력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에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면과 대면되도록 설치되어, 전사벨트(105)에 전사된 토너화상이 용지(S)로 옮겨지도록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사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다. 상기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에 컬러토너화상이 전사되는 동안에는 전사벨트(10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가, 전사벨트(105)에 컬러토너화상이 완전히 전사되면 이를 용지(S)로 전사하기 위해 전사벨트(105)와 소정 압력으로 접촉된다. 또한, 전사벨트(105)의 외측면에 전사된 토너화상은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의 접촉 압력에 의해 전사롤러(112)와 전사벨트(105)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S)에 전사될 수 있다.
제1클리닝장치(106)는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전사된 후에도 감광체 (101)의 외주면에 계속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한다. 제1클리닝장치(106)는 감광체(101)의 표면에 접촉되어 전사 과정 후에 감광체(101)의 표면에 잔류되는 폐토너를 회수하는 블레이드(106a)와, 폐토너를 저장부(미도시) 쪽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106b)을 구비한다. 이송수단(106b)으로 나선형 날개를 구비하며,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며 폐토너를 이송시키는 오거(auger)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클리닝장치(109)는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 후에 전사벨트(105) 상에 계속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한다. 제2클리닝장치(109)는 전사벨트(105)의 표면에 잔류되는 폐토너를 긁어내리는 블레이드(109a)와, 폐토너를 저장부(미도시) 쪽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109b)을 구비한다. 이송수단(109b)으로 나선형 날개를 구비하며,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며 폐토너를 이송시키는 오거(auger)가 사용될 수 있다.
전사전 제전유닛(pre-transfer eraser, 110)은 감광체(101) 상의 토너화상을 전사벨트(105)로 전사시키기 전에 감광체(101) 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비화상영역)의 전하를 제거한다. 전사전 제전유닛(110)은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의 전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제전램프(107)는 대전 전단계에서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잔류하는 전하를 제거하는 제전기의 일 예이다. 제전램프(107)는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일정한 광량의 빛을 조사하여 감광체(101)의 표면에 잔류하는 전하를 제거한다.
전원공급기(108)는 현상유닛(104)으로부터 감광체(101)로 토너를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전압, 현상유닛(104)으로부터 감광체(101)로 토너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현상방지 바이어스전압,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제1전사 바이어스전압, 전사벨트(105)로부터 용지(S)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제2전사 바이어스전압, 대전롤러(102)에 제공되는 대전 바이어스전압을 제공한다.
정착부(111)는 히트롤러(123) 및 그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124)를 구비하며, 용지(S)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킨다. 히트롤러(123)는 토너화상을 영구 고착시키기 위한 열원으로 가압롤러(124)에 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가압롤러(124)는 히트롤러(123)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용지(S)에 고압의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킨다.
배지롤러(117)는 정착이 완료된 용지(S)를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한다.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지된 용지(S)는 배지대(180)에 적재된다.
참조부호 113a는 급지카세트로서, 용지(S)가 적재되는 적재수단의 일 예이다. 적재수단에는 추가적으로 용지(S)를 장착할 수 있는 제2급지카세트(113b) 및 MPF(multi-purpose feeder, 113c)가 포함될 수 있다. MPF(113c)는 OHP용지나 비규격 용지(S)를 이송시키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피드롤러(116)는 픽업롤러(115a, 115b, 115c)에 의해 급지카세트(113a, 113b, 113c)로부터 인출된 용지(S)를 용지이송부(120) 쪽으로 이송시킨다.
용지이송부(120)는 피드롤러(116)와 정착부(111) 사이에서 용지(S)를 안내하는 급지경로(121)와, 양면인쇄를 위한 반전경로(duplex path)(122)를 포함한다. 용 지이송부(120)에는 용지정렬기(registration roller, 118)가 설치된다. 용지정렬기(118)는 피드롤러(116)로부터 이송된 용지(S)가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를 통과하기에 앞서 용지(S)의 원하는 부분에 토너화상이 전사될 수 있도록 용지(S)를 정렬한다. 상기와 같이 이송된 용지(S)는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를 통과하며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다. 용지(S)로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착부(111)를 거쳐 용지(S)에 정착되고, 배지롤러(117)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 밖으로 배지된다.
양면인쇄시에는 배지롤러(117)가 역회전되고, 용지(S)는 반전경로(122)를 따라 이송된다. 그러면, 화상이 인쇄되지 않은 면에 화상이 인쇄될 수 있도록 용지(S)가 역전된다. 역전된 용지(S)는 다시 피드롤러(116)에 의해 급지경로(121)를 거쳐 이송되면서 다른 면에 화상이 인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컬러화상정보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에 해당하는 정보가 혼합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의 순서로 각 색상의 토너화상을 전사벨트(105)에 중첩시키고 이를 용지(S)로 전사한 후에 정착시킴으로써 컬러화상을 형성한다.
대전롤러(102)에 의해 감광체(101)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광주사 유닛(103)에 의해 시안(C) 색상의 화상정보에 해당하는 광신호가 회전하는 감광체(101)에 주사되면, 광이 주사된 부분은 저항이 감소하면서 감광체(101)의 외주 면에 부착된 전하가 빠져나간다. 따라서 광이 주사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과의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며, 이에 의해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체(101)가 회전하면서 정전잠상이 시안 현상유닛(104C)에 접근하면, 시안 현상유닛(104C)의 현상롤러(125)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시안 현상유닛(104C)의 현상롤러(125)에 전원공급기(108)로부터 현상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다른 현상유닛(104M, 104Y, 104K)의 현상롤러(125)에는 현상을 방지하는 현상방지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시안(C) 색상의 토너만이 현상갭(Dg)을 가로질러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시안(C) 색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감광체(101)의 회전에 의해 시안(C)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에 접근하면, 제1전사 바이어스전압 또는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와의 접촉 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전사된다.
시안(C)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에 완전히 전사되면, 다음으로,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토너화상도 상술한 단계를 거쳐 전사벨트(105)에 중첩되게 전사된다.
상기 과정 중에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4가지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모두 중첩적으로 전사되어 전사벨트(105) 상에 컬러토너화상이 형성되면, 이 컬러토너화상을 용지(S)로 전사하기 위해 전사롤러(112)가 전사벨트(105)와 접촉된다.
전사벨트(105)에 형성된 컬러토너화상의 선단이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가 접촉된 지점에 도달하는 때에 맞추어, 용지(S)의 선단이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가 접촉된 지점에 도달하도록 급지카세트(113a)(또는 급지카세트(113b)) 또는 MPF(113c)로부터 용지(S)가 공급된다. 용지(S)가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를 통과하면 제2전사 바이어스전압에 의해 컬러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되며, 계속하여 정착부(111)에서 열과 압력에 의해 컬러토너화상을 용지(S)에 고착시켜 배출함으로써 컬러화상형성이 완료된다.
다음 번 인쇄를 위해 제1 및 제2클리닝장치(106)(109)는 각각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하며, 제전램프(107)는 감광체(101)에 광을 조사하여 감광체(101) 상의 잔류전하를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인쇄가 완료된 후 다음 번 인쇄시 초기에 발생되는 화질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320)는 중첩부(312)나 이음매부(314)가 스팬부(B)에 위치되도록 전사벨트(105)의 정지 위치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실시예와 작용, 효과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을 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전사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감광체유닛과 중간전사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화상형성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 전사벨트의 정지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 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중간전사유닛(300)은 전사벨트(105)와, 중간전사롤러(304)와, 다수의 지지롤러(301, 302, 303)와, 닙롤러(305)와, 가이드부(350)를 포함한다.
다수의 지지롤러(301, 302, 303)는 전사벨트(105)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전사벨트(105)를 지지하고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닙롤러(305)는 전사벨트(105)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가 일정한 닙(Nip, A)을 유지하도록 한다.
중간전사롤러(304)에는 감광체(101)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전사되도록 하는 제1전사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전사벨트(105)는 감광체(101)의 외주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 전사될 수 있도록, 중간전사롤러(304)와 닙롤러(305) 사이의 구간에서 감광체(101)와 대면되게 설치된다. 전사벨트(105)로는 대전성능이 우수한 폴리 이미드 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벨트(105)는 두께가 얇을수록 대전 성능이 우수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두께 약 75㎛인 폴리 이미드 벨트를 사용하였다.
컬러 화상을 인쇄시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블랙(blacK) 색상의 순서로 감광체(101)에 토너화상이 현상된다. 각각의 색상을 현상시 해당 현상유닛(104)의 현상롤러(125) 구동 클러치(미도시)가 온(On) 되며, 감광체(101)가 계속하여 회전됨에 따라 순서상으로 뒤에 있는 현상유닛(104)의 현상롤러 (125) 클러치가 온(On) 된다. 감광체(101)의 정전잠상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전사되는 동안, 각 현상유닛(104)의 현상롤러(125) 클러치가 온(On)되는 시점에 현상롤러(125)가 강한 진동을 일으킨다. 이와 같은 진동이 현상롤러(125)에서 현상갭(Dg)을 거쳐 감광체(101)로 전달되고, 감광체(101)에서 전사벨트(105)로 전달된다. 이러한 진동에 의해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 전사가 진행중인 토너화상에 흐트러짐이나 떨림에 의한 가로 밴드가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부(350)를 추가한다.
가이드부(350)는 상기와 같은 토너화상의 흐트러짐이나 가로 밴드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감광체(101)와 대면되게 전사벨트(105)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가 소정의 닙(A)을 유지하도록 한다. 전사벨트(105)는 가이드부(350)의 외주에 접촉되어 회전하게 되므로, 가이드부(350)는 롤러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현상롤러(125)의 진동으로 발생되는 토너화상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부(350)는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 사이에 형성된 닙(A)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부(350)는 중간전사롤러(304)와 닙롤러(305)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전사롤러(304)에는 감광체(101)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전사되도록 하는 제1전사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감광체(101)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감광체(101)와 중간전사롤러(304)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전사벨트(105)로 전사된다. 따라서, 중간전사롤러(304)에 인접하게 설치된 가이드부(350)가 전사 바이어스전압과 유사한 도전성 성질을 갖는다면 전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350)는 도전성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0.1∼3 ㏁ 의 저항과 26°∼38°의 경도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350)가 도전성 성질을 갖게 되므로 감광체(101)에서 전사벨트(105)로 전사시 현상제인 토너의 흐트러짐(퍼짐현상)을 줄일 수 있다. 지지롤러(302)는 전사롤러(112)와 대면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에 구비된 구성요소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실시예와 작용, 효과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을 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전사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전사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화상형성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 전사벨트의 정지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치우침방지가이드부(370)는 전사벨트(105)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보호부(3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사벨트(105)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속되도록 형성되며 돌기(372) 형상을 가진다. 치우침방지가이드부(370)는 전사벨트(105)의 내주면에 접착, 열용착, 고주파 용착 등의 방법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치우침방지가이드부(370)는 전사벨트(105)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돌기(372) 형상은 후술하는 가이드풀리부(380)에 마련된 가이드홈(382)에 삽입 장착된다.
또한, 복수의 롤러들(301, 302, 303, 304, 305, 도 6 참조) 중 적어도 한 개에는 가이드풀리부(380)가 설치된다. 가이드풀리부(380)는 풀리부재로서, 전사벨트(105)에 접하는 외주면에 치우침방지가이드부(370)의 폭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가이드홈(382)을 구비한다. 가이드풀리부(380)는 각 롤러들과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각 롤러의 축에 결합될 수도 있고, 각 롤러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롤러(301, 302)는 벨트의 절곡을 방지하기 위해 직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롤러들 중 적어도 한 개에는 가이드홈(382)이 붙은 가이드풀리부(380)가 설치되므로, 가이드홈의 폭방향 양측 내측면에 의해 전사벨트(105)의 폭방향 이동이 규제되고, 전사벨트(105)의 사행이 방지된다.
치우침방지가이드부(370) 및 가이드풀리부(380)는 전사벨트(105)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우침방지가이드부(370)는 전사벨트(105)의 폭방향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므로, 양단부에 설치된 경우에 비해 전사벨트(105)의 요부를 약하게 할 수 있고, 전사벨트(105)의 굴곡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굴곡특성이란 원호상 만곡부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제특성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굴곡 하중, 벨트 장력, 반복 강도 등의 특성을 의미한다.
가이드풀리부(380)에 의해 전사벨트(105)가 가이드풀리부(380)의 외주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동이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벨트(105)의 일단부가 가 이드풀리부(380)의 외주면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면, 이탈시 발생되는 전사벨트(105)의 파손이나, 전사벨트(105)의 사행의 수정이 곤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사벨트(105)가 매끄럽게 굴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치우침방지가이드부(370)의 두께는 0.8 mm 이상 1.2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0.8 mm 보다 얇으면 가이드홈(382)과 결합되는 부위가 너무 얕아서 가이드홈(382)을 넘어서기가 쉬우므로 확실한 위치 규제가 어려워진다. 또한, 1.2 mm 보다 두꺼우면 전사벨트(105)를 원활하게 굴곡시키기가 어려워진다. 이 경우 두께는 제작 오차의 편차를 제외한 평균적인 두께를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두 실시예에 구비된 구성요소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하다. 다만, 치우침방지가이드부(370)와 가이드풀리부(380)가 전사벨트(105)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다는 것이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종래 발명과 달리 중첩부(312)나 이음매부(314) 근처에서 발생되는 전사벨트(105)의 주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종래 발명과 달리 도전성 성질을 띈 가이드부(350)를 전사벨트(105)의 내주에 설치함으로써 현상롤러(125)의 진동에 의한 화상 흐트러짐이나 떨림, 화상의 퍼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종래 발명과 달리 전사벨트(105)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고, 전사벨트(10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종래 발명과 달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전사벨트의 특정 부위에서의 주름 발생을 방지하여, 특정 부위에서 화상이 누락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상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전사벨트의 내주에 가이드부를 설치함으로써 현상롤러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전사시 토너화상의 흐트러짐이나 떨림에 의한 가로 밴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도전성 성질을 갖는 가이드부를 설치함으로써 전사 효율을 높여 전사시 토너 화상의 퍼짐 현상을 줄여줌으로써 화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치우침방지가이드부와 가이드홈에 의해 벨트의 사행을 방지함으로써 고화질, 소형의 화상형성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복수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 궤도를 회전 주행하며 감광체의 외주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전사벨트와;
    상기 전사벨트의 비전사영역의 내, 외주측 중 적어도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전사벨트를 보호하는 보호부와;
    응력 집중에 의한 상기 전사벨트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호부가 상기 전사벨트 상에서 중첩되게 부착된 중첩부나 이어지게 부착된 이음매부가 화상형성 작업 후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첩부나 상기 이음매부가 상기 복수의 롤러와 롤러 사이의 스팬(span)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에는 상기 전사벨트가 특정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전사벨트의 정지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전사벨트의 폭방향 중 그 양단부 근처에 상기 전사벨트의 회전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전사벨트에 접착시 500 gf/mm 이하의 접착 텐션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토너화상을 상기 전사벨트로 전사하는 중간전사롤러와, 상기 전사벨트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를 이송하는 지지롤러와, 상기 전사벨트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체와 상기 전사벨트가 일정한 닙(Nip)을 유지하도록 하는 닙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감광체와 대면되게 상기 전사벨트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체와 상기 전사벨트가 소정의 닙을 유지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닙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도전성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0.1∼3 ㏁ 의 저항과 26°∼38°의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중간전사롤러와 상기 닙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벨트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상기 보호부에는 상기 전사벨트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돌기상의 치우침방지가이드부;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적어도 한 개에는 상기 전사벨트에 접하는 외주면에 상기 치우침방지가이드부의 폭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가이드풀리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치우침방지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풀리부는 상기 전사벨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풀리부에 의해 상기 전사벨트가 상기 가이드풀리부의 외주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치우침방지가이드부의 두께는 0.8 mm 이상 1.2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첩부나 상기 이음매부가 상기 복수의 롤러와 롤러 사이의 스팬(span)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토너화상을 상기 전사벨트로 전사하는 중간전사롤러와, 상기 전사벨트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를 이송하는 지지롤러와, 상기 전사벨트의 내 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체와 상기 전사벨트가 일정한 닙(Nip)을 유지하도록 하는 닙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감광체와 대면되게 상기 전사벨트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체와 상기 전사벨트가 소정의 닙을 유지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복수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 궤도를 회전 주행하며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전사벨트;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상기 감광체와 상기 전사벨트가 소정의 닙(Nip)을 유지하도록 상기 전사벨트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두 개의 롤러;
    전사시 상기 닙의 진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감광체와 대면되게 상기 전사벨트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닙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도전성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 17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두 개의 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92792A 2004-11-13 2004-11-13 화상형성장치 KR100644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792A KR100644649B1 (ko) 2004-11-13 2004-11-13 화상형성장치
US11/272,480 US7412195B2 (en) 2004-11-13 2005-11-14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eans to prevent image quality degrad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792A KR100644649B1 (ko) 2004-11-13 2004-11-13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328A KR20060053328A (ko) 2006-05-22
KR100644649B1 true KR100644649B1 (ko) 2006-11-15

Family

ID=3664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792A KR100644649B1 (ko) 2004-11-13 2004-11-13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12195B2 (ko)
KR (1) KR1006446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4227B2 (en) * 2004-08-10 2007-03-20 Xerox Corporation Imaging member belt support module
JP2010072034A (ja) * 2008-09-16 2010-04-02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感光体ユニット、転写ベルトユニット
JP6797508B2 (ja) * 2014-10-03 2020-12-09 シャープ株式会社 ベルト搬送装置、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4011A (ja) * 1994-06-03 1995-12-22 Fuji Xerox Co Ltd 転写搬送ベルト
JP2002023509A (ja) 2000-07-07 2002-01-23 Canon Inc 中間転写ベル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3295627A (ja) 2002-04-03 2003-10-1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20040009168A (ko) * 2002-07-22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 레이저 프린터의 전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0978A (en) * 1998-02-05 2000-12-12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endless belt provided with ribs and indicia
JP3700391B2 (ja) 1998-05-20 2005-09-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045395B2 (ja) 2000-09-11 2008-02-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3057914A (ja) * 2001-08-09 2003-02-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214356B2 (ja) 2001-09-20 2009-01-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3202761A (ja) * 2001-11-01 2003-07-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それに着脱可能な中間転写ユニット
JP2004094178A (ja) 2002-04-26 2004-03-25 Canon Inc 電子写真エンドレスベル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2004198557A (ja) * 2002-12-16 2004-07-15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像坦持体の保持方法
KR100485859B1 (ko) * 2003-01-25 200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팅 초기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벨트
JP2004245874A (ja) * 2003-02-10 2004-09-0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4011A (ja) * 1994-06-03 1995-12-22 Fuji Xerox Co Ltd 転写搬送ベルト
JP2002023509A (ja) 2000-07-07 2002-01-23 Canon Inc 中間転写ベル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3295627A (ja) 2002-04-03 2003-10-1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20040009168A (ko) * 2002-07-22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 레이저 프린터의 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328A (ko) 2006-05-22
US7412195B2 (en) 2008-08-12
US20060147230A1 (en)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441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EP118696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image with no degradation
US6681094B2 (e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belt/roller configuration for single-pass color electrophotographic printer
EP310692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126114B2 (en) Belt running device, transf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46081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032051B2 (en) Belt carrying device, intermediate transf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840387B2 (en) Belt conveyanc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197269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toner images to both sides of a recording medium
JP2006018177A (ja) 画像形成装置
KR100644649B1 (ko) 화상형성장치
US10274873B2 (en) Belt unit
JP2016114931A (ja) 画像形成装置
US2003005382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788672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KR100619073B1 (ko) 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7362029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360621B2 (ja) ベルト装置、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932525B2 (ja) 画像形成装置
JP682677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241862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03140474A (ja) 画像形成装置
US9996041B2 (en) Bel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1130917A (ja) 電子写真装置
JP6150568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