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468B1 - 코팅기능이 있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 Google Patents

코팅기능이 있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468B1
KR100561468B1 KR1020030071427A KR20030071427A KR100561468B1 KR 100561468 B1 KR100561468 B1 KR 100561468B1 KR 1020030071427 A KR1020030071427 A KR 1020030071427A KR 20030071427 A KR20030071427 A KR 20030071427A KR 100561468 B1 KR100561468 B1 KR 100561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ath
coating
transf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5701A (ko
Inventor
박상철
안병선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1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468B1/ko
Publication of KR20050035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82Special processing for irreversibly adding or changing the sheet copy material characteristics or its appearance, e.g. stamping, annotation printing, punch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789Adding properties or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 G03G2215/00801Coat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감광체, 노광유닛, 현상기, 전사기, 정착기를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있어서, 화상이 형성되는 용지를 감광체와 전사기가 대면된 전사닙을 거쳐 정착기로 안내하는 용지이송경로와, 코팅이 위하여 화상이 인쇄된 용지와 코팅용지가 이송되는 경로로서 용지이송경로와 별도로 정착기로 연결된 코팅경로와, 코팅경로의 입측에 설치되어 화상이 인쇄된 용지와 코팅용지의 인입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정상적인 화상을 인쇄하는데 영향을 주지 않는 코팅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구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코팅기능이 있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Electrophotographic printer having coating function}
도 1은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사진방식 인쇄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사사진방식 인쇄기의 일 실시예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사진방식 인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감광드럼 102......노광유닛
103......현상기 104......전사롤러
105......정착기 130......용지이송경로
140,240......코팅경로 150......이송롤러
160......검출수단 170......커버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팅기능이 있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원하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고, 상기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형성한 후 이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여 정착시킴으로써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화상이 인쇄된 용지는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 코팅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열과 압력을 가하여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정착기(3)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 정착기(3)를 이용하여 코팅하는 방안이 제안되어 있다.
코팅을 위해서는 용지와 코팅용지를 겹쳐서 피드롤러(1)에서 인쇄유닛(2)을 거쳐 정착기(3)를 연결하는 용지이송경로(10)를 따라 정착기(3)로 이송시켜야 한다. 따라서, 급지대(6)를 제거하고 피드롤러(1)에 직접 용지와 코팅용지를 겹쳐서 투입하여야 한다. 인쇄유닛(2)에는 감광체(4)와 전사롤러(5)가 마련된다. 용지와 코팅용지는 감광체(4)와 전사롤러(5) 사이를 통과하여야 한다. 용지이송경로(10)는 용지를 주로 이송시키는 경우를 염두에 두고 설계된다. 따라서, 용지와 코팅용지를 겹쳐서 이송시키면 두께가 두꺼워져서 용지이송경로(10) 중에서 잼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용지와 코팅용지가 겹쳐진 상태에서 감광체(4)와 전사롤러(5) 사이로 이송되면, 감광체(4)와 전사롤러(5)사이의 간격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감광체(4)와 전사롤러(5)와의 간격은 정밀하게 유지되어야 하는데, 잦은 코팅작업으로 인하여 이 간격이 틀어지면 정상적인 인쇄작업시에 전사효율이 열화 될 수 있다. 또한, 감광체(4)는 손상되지 쉬운 부품이어서 코팅작업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 손상될 가능성이 있으며, 그 수명이 단축될 가능성도 있다.
또한, 화상형성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는 코팅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인쇄유닛(2)이 화상형성작업을 중단하도록 제어하여야 하므로 제어의 측면에서도 부담이 된다. 제어부가 코팅작업이 수행된다는 것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인식수단이 필요한데, 일반적으로는 조작패널(미도시)에 코팅작업을 지시하는 별도의 입력키를 설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급지대를 제거하거나 또는 코팅작업을 지시하는 별도의 입력키를 조작하는 등의 번거로운 사전작업없이 코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팅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화상형성과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개선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감광체, 노광유닛, 현상기, 전사기, 정착기를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있어서, 화상이 형성되는 용지를 상기 감광체와 상기 전사기가 대면된 전사닙을 거쳐 상기 정착기로 안내하는 용지이송경로; 코팅이 위하여 화상이 인쇄된 용지와 코팅용지가 이송되는 경로로서, 상기 용지이송경로와 별도로 상기 정착기로 연결된 코팅경로; 상기 코팅경로의 입측에 설치되어 상기 화상이 인쇄된 용지와 코팅용지의 인입 여부 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노광유닛, 감광체, 현상기는 상기 용지이송경로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사기는 상기 용지이송경로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코팅경로는 상기 상측으로부터 상기 노광유닛과 상기 감광체와의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정착기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경로의 입측에는 개폐가능한 커버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노광유닛, 감광체, 현상기는 상기 용지이송경로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사기는 상기 용지이송경로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코팅경로는 상기 전사기의 하방을 통하여 상기 정착기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경로의 입측에는 용지와 코팅용지를 동시에 이송시키는 이송롤러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보면, 감광드럼(101), 노광유닛(102), 현상기(103), 전사롤러(104), 및 정착기(105)가 도시되어 있다. 참조부호 121은 용지(S)를 이송시키는 피드롤러이다. 참조부호 122과 123은 각각 용지(S)가 적재되는 제1 및 제2급지카세트이다. 참조부호 124, 125는 각각 제1급지카세트(122)와 제2급지카세트(123)로부터 용지(S)을 인출하는 픽업롤러들이다. 참조부호 125, 126은 화상이 형성된 용지(S)를 트레이(127)로 배출시키는 배출롤러들이다. 참조부호 130은 피드롤러(121)로부터 감광 드럼(101)과 전사롤러(104)가 대면된 전사닙을 거쳐 정착기(105)까지 용지(S)를 안내하는 용지이송경로이다.
감광드럼(101)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photoreceptor)의 일 예로서, 금속제 드럼의 외주에 광도전성 물질층이 형성된 것이다. 감광드럼(101) 대신에 감광벨트(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노광유닛(102)은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대전된 감광드럼(101)에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유닛(102)으로서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사용된다.
현상기(103)는 현상제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현상제를 감광드럼(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토너화상은 건식과 습식화상을 통칭하는 용어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건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사롤러(104)는 감광체와 대면되어 용지(S)의 배면으로부터 전사바이어스를 공급하여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되도록 하는 전사지의 일 예이다. 전사롤러(104) 대신에 코로나 방전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또는 제2급지카세트(122)(123)로부터 인출된 용지(S)는 피드롤러(121)에 의해 용지이송경로(130)를 따라 전사닙으로 이송된다. 전사닙에서 감광드럼(101)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용지(S)로 전사된다.
토너화상이 전사된 용지(S)는 용지이송경로(130)를 따라 정착기(105)로 인입된다. 정착기(105)는 토너화상이 전사된 용지(S)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킨다. 화상형성이 완료된 용지(S)는 배출롤러(125)(126)에 의해 트레이(127)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용지이송경로(130) 외에 코팅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코팅경로(140)를 별도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를 보면, 용지이송경로(130)를 기준으로하여 감광드럼(101), 노광유닛(102), 현상기(103)은 그 상측에, 전사롤러(104)는 그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코팅경로(140)는 트레이(127)로부터 정착기(105)의 입구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때, 코팅경로(140)는 노광유닛(102)으로부터 감광드럼(101)에 이르는 광경로와 교차된다. 따라서, 코팅경로(140) 도중에 광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통로(142)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노광유닛(102)이 도 2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는 코팅경로(140)와 광경로가 교차되지 않으므로 광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통로(142)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코팅경로(140)의 입측(142)에는 검출수단(160)이 구비된다. 검출수단(160)은 코팅을 위하여 용지(S)와 코팅용지(C)가 인입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제어부(미도시)는 검출수단(16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코팅작업이 수행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코팅경로(140)의 입측(141)에는 또한 커버(17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커버(1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됨으로써 코팅경로(140)를 개폐한다. 코팅작업이 수행되지 않는 동안에는 커버(170)가 코팅경로(140)를 막음으로써 배출롤러(125, 126)에 의해 배출되는 용지(S)를 가이드할 뿐 아니라 코팅경로(140)를 통하여 먼지가 인쇄기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코팅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커버(170)를 연다. 용지(S)와 코팅용지(C)는 코팅경로(140)를 통하여 정착기(105)까지 인입될 수 있다. 또한, 코팅경로(140)의 입측(141)에는 이송롤러(150)가 구비되어 용지(S)와 코팅용지(C)를 정착기(105)로 이송시킬 수도 있다. 이송롤러(150)는 검출수단(160)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코팅작업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70)를 열고, 용지(S)와 코팅용지(C)를 겹쳐서 코팅경로(140)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검출수단(160)은 용지(S)와 코팅용지(C)가 인입되었음을 제어부로 전달한다. 제어부는 이에 의해 코팅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제어부는 감광드럼(101), 노광유닛(102), 현상기(103), 전사롤러(104), 피드롤러(121), 픽업롤러(124, 125) 등 코팅작업과 무관한 구성요소들은 동작시키지 않고, 정착기(105)와 배출롤러(125, 126)만을 동작시킨다. 또한. 이송롤러(150)가 구비된 경우에는 이송롤러(150)를 동작시킨다. 용지(S)와 코팅용지(C)는 이송롤러(150)에 의해 정착기(105)로 인입되며, 정착기(105)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서로 압착되어 코팅된다. 코팅된 용지(S)는 배출롤러(125, 126)에 의해 트레이(127)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코팅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제어부는 검출수단(160)에 의해 코팅작업의 개시여부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인쇄기에서와 같이 코팅작업의 수행여부를 제어부로 알리기 위해 조작패널(미도시)에 별도의 입력키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용지(S)와 코팅용지(C)는 용지이송경로(130)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감광드럼(101)을 손상시키거나 또는 전사롤러(104)와 감광드럼(101)와의 간격을 교 란시켜 정상적인 화상을 형성할 때 전사효율을 열화시킬 위험도 없다. 또한, 제1 또는 제2급지카세트(122, 123)를 제거하는 등의 사전 작업도 불필요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보면, 코팅경로(240)가 전사롤러(104)의 하방을 따라 정착기(105)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코팅경로(240)의 입측(241)에는 검출수단(160)가 마련되며, 이송롤러(15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용지이송경로와 별도로 코팅경로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인쇄기에서와 같이 코팅작업에 의해 감광체를 비롯한 화상형성에 관여하는 구성요소들이 손상 또는 열화되는 것을 방치할 수 있다.
둘째, 코팅작업을 위한 입력키가 구비될 필요가 없어 조작패널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 입력키는 다른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어 조작패널을 효과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 론이다.

Claims (6)

  1. 감광체, 노광유닛, 현상기, 전사기, 정착기를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있어서,
    화상이 형성되는 용지를 상기 감광체와 상기 전사기가 대면된 전사닙을 거쳐 상기 정착기로 안내하는 용지이송경로;
    코팅이 위하여 화상이 인쇄된 용지와 코팅용지가 이송되는 경로로서, 상기 용지이송경로와 별도로 상기 정착기로 연결된 코팅경로;
    상기 코팅경로에 설치되어 상기 화상이 인쇄된 용지와 코팅용지의 인입 여부를 검출하여 제어부에 코팅과정의 개시를 인식시키는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유닛, 감광체, 현상기는 상기 용지이송경로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사기는 상기 용지이송경로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코팅경로는 상기 상측으로부터 상기 노광유닛과 상기 감광체와의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정착기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경로의 입측에는 개폐가능한 커버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유닛, 감광체, 현상기는 상기 용지이송경로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사기는 상기 용지이송경로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코팅경로는 상기 전사기의 하방을 통하여 상기 정착기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경로의 입측에는 용지와 코팅용지를 동시에 이송시키는 이송롤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6. 제3항에 있어서,
    인쇄된 용지가 적재되는 트레이;를 더 구비하며,
    상기 코팅경로는 상기 트레이로부터 상기 정착기의 입구까지 연장되며,
    상기 커버는 코팅작업이 수행되지 않는 동안에 상기 코팅경로를 막아 배출되는 용지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KR1020030071427A 2003-10-14 2003-10-14 코팅기능이 있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KR100561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427A KR100561468B1 (ko) 2003-10-14 2003-10-14 코팅기능이 있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427A KR100561468B1 (ko) 2003-10-14 2003-10-14 코팅기능이 있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701A KR20050035701A (ko) 2005-04-19
KR100561468B1 true KR100561468B1 (ko) 2006-03-16

Family

ID=3723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427A KR100561468B1 (ko) 2003-10-14 2003-10-14 코팅기능이 있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4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701A (ko) 200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5963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813967B1 (ko) 용지 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7493062B2 (en) Image-forming device having switchback conveying path
JP478982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3235137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62058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5012941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supply method
KR100561468B1 (ko) 코팅기능이 있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JP4541514B2 (ja) 画像形成装置
JP6213363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90208254A1 (en) Developing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loating developer collecting method for developing unit
JP3809016B2 (ja) 画像形成装置のシート搬送装置
JP444770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084307A (ja) 画像形成装置
JP363810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99233A (ja) 画像形成装置
JP4027260B2 (ja) 排紙装置,画像形成装置
JPH0413263B2 (ko)
JP200612648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22471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77139A (ja) 画像形成装置
JP6701561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334515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33557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056657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