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7836A -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7836A
KR20060057836A KR1020040097021A KR20040097021A KR20060057836A KR 20060057836 A KR20060057836 A KR 20060057836A KR 1020040097021 A KR1020040097021 A KR 1020040097021A KR 20040097021 A KR20040097021 A KR 20040097021A KR 20060057836 A KR20060057836 A KR 20060057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roller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운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7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7836A/ko
Publication of KR20060057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79Copy medium holder
    • G03G2215/00383Casset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96Pick-up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대해서 개시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는 일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와, 일측은 커버부에 설치되고 타측은 적재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커버부의 열림 동작에 연동되어 적재부를 하강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급지장치와 달리 화상형성장치로부터 급지카세트를 분리시키지 않고도 용지를 적재할 수 있으므로 화상형성장치의 설치 공간 및 재료비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Paper feeding apparatus of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급지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감광체 102...대전롤러
103...광주사 유닛 104C, 104M, 104Y, 104K...현상기
105...전사벨트 106...제1클리닝장치
108...고전압전원공급부 109...제2클리닝장치
110...전사전 제전유닛 111...정착부
112...전사롤러 113a..급지카세트
115a..픽업롤러 125...현상롤러
140...본체 프레임 200...급지장치
202...적재부 206...탄성부재
210...커버부 220...연결부
222...연결부재 224, 226, 228...지지부재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에 고정 설치되는 급지카세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감광체는 소정의 패턴의 노광에 의해 목적하는 형상의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갖는다.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분말상의 토너에 의해 토너화상으로 현상되고, 이 토너화상은 전사매체를 경유하여 용지에 전사(transfer)된다.
도 1은 종래의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다.
도면을 참조하면, 급지장치는 급지카세트(1)와 적재대(2)와 탄성부재(4)와 픽업롤러(5) 및 픽업롤러(5)를 구동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픽업롤러(5)의 구동부는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픽업롤러(5)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미도시), 모터로부터 상기 픽업롤러(5)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요소, 그리고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회로(미도시)를 포함한다. 급지카세트(1)에는 용지(3)가 적재되는 적재대(2)가 설치된다. 이 적재대(2)는 탄성부재(4)에 의해 탄성바이어스된다. 픽업롤러(5)는 적재대(2)의 일측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대(2)에 적재된 용지(3)를 급지장치의 외부로 픽업한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상기와 같은 급지장치, 급지장치로부터 이송된 용지(3)를 감광체(7)에 공급하는 피딩롤러(6),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7), 감광체(7)의 표면을 일정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8), 컴퓨터신호에 의해 감광체(7)에 빛을 조사하는 노광부(9), 상기 감광체(7)의 정전잠상을 토너(14)로 현상하는 현상롤러(11) 및 현상된 토너화상을 용지(3) 위에 전사시키는 전사기(15)를 포함한다. 현상롤러(11)의 외측에는 현상롤러(11)에 토너(14)를 부착시키는 공급롤러(12)와 현상롤러(11)에 일정한 토너층을 형성하기 위한 토너층 규제부재(13)가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체에서, 호스트(컴퓨터)로부터 화상정보와 함께 프린팅 명령이 입력되면, 노광부(9)는 화상정보에 해당하는 광을 조사한다. 대전기(8)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7)의 외주면에는 노광에 의하여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한편, 토너(14)는 공급롤러(12)에 의하여 현상롤러(11)로 공급된다. 현상롤러(11)의 외주에 부착된 토너(14)는 토너층 규제부재(13)에 의하여 균일한 두께로 박층화가 된다. 이때, 토너(14)는 현상롤러(11)와 토너층 규제부재(13)에 의하여 마찰되면서 대전된다. 감광체(7)의 외주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토너층 규제부재(13)를 통과하면서 하전된 토너(14)에 의해 현상된다. 현상에 의해 얻어진 토너화상은 전 기적으로 바이어스된 전사기(15)와 감광체(7) 사이에 형성된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감광체(7)에서 용지(3)로 전사된다. 이 용지(3)가 고온, 고압의 정착기(17)를 통과하면 토너화상은 용지(3)에 용융, 고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에 용지(3)를 적재하기 위해서는 급지카세트(1)를 탈착하여 적재대(2)에 용지(3)를 적재한 후, 급지카세트(1)를 본체에 삽입 장착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카세트(1)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하단에 급지카세트(1)가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슬롯을 만들어야 하므로 두 개의 유닛이 생기게 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설치시 급지카세트(1)가 열리고 닫히는 데 충분한 공간이 있어야 하므로,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게 된다. 또한, 급지카세트(1) 내에서 잼(jam)이 생겼을 경우 급지카세트(1)를 탈착시 적재대(2)가 하강하지 않음으로써 용지(3) 걸림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용지를 본체 내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는,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를 갖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픽업롤러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는, 일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와; 일측은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부의 열림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적재부를 하강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측은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의 열림 동작시 상기 적재부를 하강시키는 연결부재와; 상기 급지카세트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동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와이어이며, 상기 커버부의 닫힘 동작시 상기 적재부가 상승되도록 상기 적재부를 상기 픽업롤러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는, 일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와; 일측은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부의 열림 및 닫힘 동작에 각각 연동되어 상기 적재부를 하강 및 상승시키는 링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급지장치가 구비된 화상형성장치를 먼저 설명하고,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급지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프레임(140) 내부에 감광체(101)와, 대전롤러(102)와, 광주사 유닛(103)과, 4개의 현상기(104)와, 전사벨트(105)를 구비한다.
감광체(101)는 원통형상의 금속제 드럼의 외주면에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광도전성 물질층이 코팅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감광체(101)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며, 후술하는 광주사 유닛(103)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다.
대전롤러(102)는 감광체(101)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102)는 감광체(101)의 외주면과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회전하면서 전하를 공급하여 감광체(101)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한다. 대전롤러(102)에는 감광체(101)의 외주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하여 대전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대전롤러(102)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미도시)가 채용될 수 있다.
광주사 유닛(103)은 감광체(101)의 하방에 설치되며,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101)에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컴퓨터 신호에 따라 주사하여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광주사 유닛(103)은 레이저빔을 주사하는 광원(미도시)과, 광원에서 조사된 레이저빔을 편향시키는 빔편향기를 포함한다. 광주사 유닛(103)으로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사용된다.
4 개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는 본체 프레임(14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 형식으로, 그 내부에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고체분말상의 토너가 수용된다. 상기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는 이들 토너를 감광체(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롤러(125)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현상기(104C, 104M, 104Y, 104K)은 그 내부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체된다.
현상롤러(125)는 현상기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그 외주에 부착시켜 감광체(101)로 공급한다. 현상롤러(125)는 고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체(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현상시킨다. 현상롤러(125)에는 이들 토너를 감광체(101)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4개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는 현상롤러(125)가 감광체(101)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의 현상갭(Dg)만큼 이격되거나 또는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현상기 (104C, 104M, 104Y, 104K)와 감광체(101)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감광체(101)에서 현상롤러(125)로 향하는 힘이 발생되며, 하전된 토너는 현상갭(Dg) 사이에 형성된 현상영역에서 진동 왕복운동을 하면서 이송되어 현상이 이루어진다. 상기 4개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의 일측에는 이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현상기 구동 장치(104A)가 설치된다.
4개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는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시안 현상기(104C), 마젠타 현상기(104M), 옐로우 현상기(104Y), 블랙 현상기(104K)의 순서로 배치된다. 가장 위쪽에 위치되는 현상기(104K)의 상방에는 전사전 제전유닛(110)이 위치된다. 감광체(101)의 하방에는 광주사 유닛(103)과 제전램프(107)가 위치된다. 감광체(101)를 중심으로 현상기(104C, 104M, 104Y, 104K)의 반대쪽에는 용지이송유닛(120)이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전사벨트(105)에는 감광체(101)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토너화상이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상기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에 중첩 전사됨으로써 컬러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전사벨트(105)의 길이는 컬러토너화상이 최종적으로 수용되는 용지(S)의 길이와 같거나 적어도 그보다 길어야 한다.
전사벨트의 내주에는 다수의 지지롤러가 전사벨트(105)를 지지하고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닙롤러(105a)는 전사벨트(105)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가 일정한 닙(Nip, A)을 유지하도록 한다. 중간전사롤러(105b)에는 감광체 (101)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전사되도록 하는 제1전사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전사벨트(105)는 감광체(101)의 외주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 전사될 수 있도록, 중간전사롤러(105b)와 닙롤러(105a) 사이의 구간에서 감광체(101)와 대면되게 설치된다. 즉, 전사벨트(105)는 복수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 궤도를 회전 주행하며, 감광체(101)의 외주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된다.
제1클리닝장치(106)는 감광체(101)의 표면에 접촉되어 전사 과정 후에 감광체(101)의 표면에 잔류되는 폐토너를 긁어내리는 제1블레이드(106a)와, 폐토너를 폐토너 저장부(미도시) 쪽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수단(106b)을 구비한다.
제2클리닝장치(109)는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 후에 전사벨트(105) 상에 잔류되는 폐토너를 제거한다. 제2클리닝장치(109)는 전사벨트(105)의 표면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긁어내리는 제2블레이드(109a)와, 폐토너를 폐토너 저장부(미도시) 쪽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수단(109b)을 구비한다.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에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면과 대면되도록 설치되어, 전사벨트(105)에 전사된 토너화상이 용지(S)로 옮겨지도록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사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다. 상기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로 컬러토너화상이 전사되는 동안에는 전사벨트(10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가, 전사벨트(105)에 컬러토너화상이 완전히 전사되면 이를 용지(S)로 전사하 기 위해 전사벨트(105)와 소정 압력으로 접촉된다. 또한, 전사벨트(105)의 외측면에 전사된 토너화상은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의 접촉 압력에 의해 전사롤러(112)와 전사벨트(105)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S)에 전사될 수도 있다.
전사전 제전유닛(pre-transfer eraser, 110)은 감광체(101) 상의 토너화상을 전사벨트(105)로 전사시키기 전에 감광체(101) 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비화상영역)의 전하를 제거한다. 전사전 제전유닛(110)은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의 전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제전램프(107)는 대전 전단계에서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잔류하는 전하를 제거하는 제전기의 일 예이다. 제전램프(107)는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일정한 광량의 빛을 조사하여 감광체(101)의 표면에 잔류하는 전하를 제거한다.
고전압전원공급부(High voltage power supply, 108)는 현상기(104)로부터 감광체(101)로 토너를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전압, 현상기(104)로부터 감광체(101)로 토너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현상방지 바이어스전압,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제1전사 바이어스전압, 전사벨트(105)로부터 용지(S)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제2전사 바이어스전압, 대전롤러(102)에 제공되는 대전 바이어스전압 등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구성요소들에 전압을 제공한다.
정착부(111)는 히트롤러(123) 및 그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124)를 구비하며, 용지(S)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킨다. 히트롤러(123)는 토너화상을 영구 고착시키기 위한 열원으로 가압롤러 (124)에 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가압롤러(124)는 히트롤러(123)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용지(S)에 고압의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킨다.
배지롤러(117)는 정착이 완료된 용지(S)를 화상형성장치(100) 밖으로 배출한다. 화상형성장치(100) 밖으로 배지된 용지(S)는 배지부(180)에 적재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그 하부에 마련되어 용지(S)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113a)를 구비한다. 급지카세트(113a)는 용지(S)가 적재되는 적재수단의 일 예로서, 용지(S)가 적재되는 적재부(202)를 구비한다. 적재수단에는 추가적으로 용지(S)를 장착할 수 있는 MPF(multi-purpose feeder, 113c)가 포함될 수 있다. MPF(113c)는 OHP용지나 비규격 용지(S)를 이송시키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급지카세트(113a)는 종래 발명과 달리 화상형성장치(1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급지카세트(113a)는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210)와, 상기 커버부(210)와 연동되어 적재부(202)의 동작을 간섭하는 연결부(220)를 구비한다.
적재부(202)는 용지(S)가 적재되는 것으로, 일점(20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적재부(202)에 적재된 용지(S)는 후술하는 탄성부재(206)에 의해 픽업롤러(115a)와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된다.
커버부(210)는 급지카세트(113a)와 힌지(212) 결합되어 일점(21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연결부(220)는 일측(220a)은 커버부(210)에 설치되고 타측(220b)은 적재부 (202)에 설치되는 것으로, 커버부(210)의 열림 동작에 연동되어 적재부(202)의 동작을 구속한다. 용지(S)의 교체나 적재를 위해 커버부(210)를 화살표 방향으로 열게 되면, 커버부(210)의 열림 동작에 연동되어 적재부(202)가 아래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연결부(220)는 연결부재(222)와 지지부재(224, 226, 228)를 구비한다. 연결부재(222)는 일측(220a)은 커버부(210)에 설치되고 타측(220b)은 적재부(202)에 설치되어 커버부(210)의 열림 동작시 적재부(202)를 하강시킨다. 연결부재(222)로는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연결부재(222)는 와이어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결부재(222)로 링크(link) 기구를 이용하거나, 캠(Cam)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지지부재(224, 226, 228)는 급지카세트(113a)에 설치되는 것으로, 커버부(210)의 동작에 연동되는 연결부재(222)의 동작을 지지한다. 또한, 지지부재(224, 226, 228)는 커버부(210)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적재부(202)가 하강과 상승을 하도록 연결부재(222)에 걸리는 힘의 방향을 바꿔주는 역할도 한다. 지지부재(224, 226, 228)는 커버부(210)의 개폐 동작시 이와 연동되는 적재부(202)의 승강 동작이 원활히 되도록 롤러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206)는 적재부(202)에 적재된 용지(S)를 픽업롤러(115a)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킨다. 커버부(210)의 열림 동작시 연결부재(222)에 의해 적재부(202)는 하강하게 된다. 적재부(202)에 용지(S)를 적재한 후 커버부(210)를 닫으면 적재부(202)는 탄성부재(206)에 의해 픽업롤러(115a)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즉, 탄성부재(206)는 적재부(202)가 상승되도록 적재부(202)를 픽업롤러(115a)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켜, 적재부(202)에 적재된 용지(S)가 픽업롤러(115a)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되게 한다.
급지카세트(113a)에는 용지 분리수단의 하나인 핑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핑거는 급지카세트(113a)의 일측 선단에 설치되어 픽업롤러(115a)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S)를 한 장씩 분리시킨다. 핑거는 급지카세트(113a)에 적재된 용지(S)가 픽업롤러(115a)에 의해 한 장씩 이송되도록 하는 용지 분리수단의 하나로, 이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급지장치(200)와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를 설명한다. 이는 도면으로 첨부되지는 않았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실시예와 작용, 효과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였다. 급지장치(200)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지카세트(113a)는 일점(21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210)와, 일측(220a)은 커버부(210)에 설치되고 타측(220b)은 적재부(202)에 설치되는 것으로 커버부(210)의 열림 및 닫힘 동작에 각각 연동되어 적재부(202)를 하강 및 상승시키는 링크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링크부(미도시)는 커버부(210)의 닫힘 동작시 적재부(202)를 간섭하여 적재부(202)를 상승시킨다. 탄성부재(206)는 적재부(202)에 적재된 용지(S)를 픽업롤러(115a)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킨다.
상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연결부(220)나 링크부(미도시)는 커버부(210)에 설치되지 않고, 그 일측이 커버부(210)의 개폐 동작에 간섭되도록 설치되어 적재부(202)를 승강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례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픽업롤러(115a, 115c)는 급지카세트(113a)나 MPF(113c)의 상측에 설치되어 급지카세트(113a)나 MPF(113c)에 적재된 용지(S)를 후술하는 피드롤러(116) 측으로 이송시킨다. 급지카세트(113a)에서 픽업롤러(115a)에 의해 이송된 용지(S)는 용지가이드(114)에 의해 가이드되어 피드롤러(116) 측으로 이송된다.
피드롤러(116)는 픽업롤러(115a, 115c)에 의해 급지카세트(113a, 113c)로부터 인출된 용지(S)를 용지이송부(120) 쪽으로 이송시킨다.
용지이송부(120)는 피드롤러(116)와 정착부(111) 사이에서 용지(S)를 안내하는 급지경로(121)와, 양면인쇄를 위한 반전경로(duplex path)(122)를 포함한다. 용지이송부(120)에는 용지정렬기(registration roller, 118)가 설치된다. 용지정렬기(118)는 피드롤러(116)로부터 이송된 용지(S)가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를 통과하기에 앞서 용지(S)의 원하는 부분에 토너화상이 전사될 수 있도록 용지(S)를 정렬한다. 상기와 같이 이송된 용지(S)는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를 통과하며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다. 용지(S)로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착부(111)를 거쳐 용지(S)에 정착되고, 배지롤러(117)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 밖으로 배지된다.
양면인쇄시에는 배지롤러(117)가 역회전되고, 용지(S)는 반전경로(122)를 따 라 이송된다. 그러면, 화상이 인쇄되지 않은 면에 화상이 인쇄될 수 있도록 용지(S)가 역전된다. 역전된 용지(S)는 다시 피드롤러(116)에 의해 급지경로(121)를 거쳐 이송되면서 다른 면에 화상이 인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컬러화상정보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에 해당하는 정보가 혼합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의 순서로 각 색상의 토너화상을 전사벨트(105)에 중첩시키고 이를 용지(S)로 전사한 후에 정착시킴으로써 컬러화상을 형성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용지(S)를 적재하거나 교환하기 위해 화상형성장치(100)에 고정 설치된 급지카세트(113a)의 커버부(210)를 연다. 이때, 연결부(220)에 의해 적재부(202)가 도 3 → 도 4 → 도 5의 순서로 하강하게 된다. 용지(S)를 커버부(210) 측으로 삽입 적재한 후 커버부(210)를 닫으면, 이와 연동되는 적재부(202)가 도 5 → 도 4 → 도 3의 순서로 상승하게 된다. 즉, 적재부(202)는 탄성부재(206)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지(S)를 적재부(202)에 적재한 후 커버부(210)를 닫으면, 아래와 같은 화상형성프로세스가 진행된다.
대전롤러(102)에 의해 감광체(101)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광주사 유닛(103)에 의해 시안(C) 색상의 화상정보에 해당하는 광신호가 회전하는 감광체(101)에 주사되면, 광이 주사된 부분은 저항이 감소하면서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부착된 전하가 빠져나간다. 따라서 광이 주사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과의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며, 이에 의해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체(101)가 회전하면서 정전잠상이 시안 현상기(104C)에 접근하면, 시안 현상기(104C)의 현상롤러(125)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시안 현상기(104C)의 현상롤러(125)에 고전압전원공급부(108)로부터 현상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다른 현상기(104M, 104Y, 104K)의 현상롤러(125)에는 현상을 방지하는 현상방지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시안(C) 색상의 토너만이 현상갭(Dg)을 가로질러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시안(C) 색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감광체(101)의 회전에 의해 시안(C)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에 접근하면, 제1전사 바이어스전압 또는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와의 접촉 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전사된다.
시안(C)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에 완전히 전사되면, 다음으로,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토너화상도 상술한 단계를 거쳐 전사벨트(105)에 중첩되게 전사된다. 이때, 현상기 구동 장치(104A)는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현상이 이루어지도록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를 구동한다.
상기 과정 중에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4가지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모두 중첩적으로 전사되어 전사벨트(105) 상에 컬러토너화상이 형성되면, 이 컬러토너화상을 용지(S)로 전사하기 위해 전사롤러(112)가 전사벨트(105)와 접촉된다.
전사벨트(105)에 형성된 컬러토너화상의 선단이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가 접촉된 지점에 도달하는 때에 맞추어, 용지(S)의 선단이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가 접촉된 지점에 도달하도록 급지카세트(113a) 또는 MPF(113c)로부터 용지(S)가 공급된다. 용지(S)가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를 통과하면 제2전사 바이어스전압에 의해 컬러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되며, 계속하여 정착부(111)에서 열과 압력에 의해 컬러토너화상을 용지(S)에 고착시켜 배출함으로써 컬러화상형성이 완료된다.
다음 번 인쇄를 위해 제1 및 제2클리닝장치(106)(109)는 각각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하며, 제전램프(107)는 감광체(101)에 광을 조사하여 감광체(101) 상의 잔류전하를 제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종래 발명과 달리 급지카세트(113a)를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도 적재부(202)에 용지(S)를 적재할 수 있다. 또한, 급지카세트(113a)의 착탈시 급지카세트(113a)와 결합되는 슬롯 유닛이 필요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는 별도의 급지카세트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화상형성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급지카세트를 분리시키지 않고도 용지를 적재할 수 있으므로 화상형성장치의 설치 공간 및 재료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를 갖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픽업롤러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는,
    일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와;
    일측은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부의 열림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적재부를 하강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측은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의 열림 동작시 상기 적재부를 하강시키는 연결부재와;
    상기 급지카세트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동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와이어이며,
    상기 커버부의 닫힘 동작시 상기 적재부가 상승되도록 상기 적재부를 상기 픽업롤러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는,
    일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와;
    일측은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부의 열림 및 닫힘 동작에 각각 연동되어 상기 적재부를 하강 및 상승시키는 링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KR1020040097021A 2004-11-24 2004-11-24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KR20060057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021A KR20060057836A (ko) 2004-11-24 2004-11-24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021A KR20060057836A (ko) 2004-11-24 2004-11-24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836A true KR20060057836A (ko) 2006-05-29

Family

ID=37153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021A KR20060057836A (ko) 2004-11-24 2004-11-24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78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313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transfer material carrier unit or an intermediate transfer body unit
KR100739745B1 (ko) 화상형성장치
US6366748B1 (en) Image forming unit with high positioning and rotating accurac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580205B1 (ko)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561422B1 (ko) 감광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636204B1 (ko)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KR100601675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060057836A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KR100246444B1 (ko) 화상형성장치및방법
KR100619075B1 (ko) 회전력 단속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3061709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
JP3265295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
JP3103540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とそれに用いる中間転写ユニット
JP3103552B1 (ja) 個別ユニット
JP3103555B1 (ja) 個別ユニット
JP3101272B1 (ja) 個別ユニット
JP3103553B1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
JP3108418B1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
KR20060041517A (ko) 화상형성장치
JP3101275B1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
JP3131425B2 (ja) 中間転写ベルトユニット
JP3103543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とそれに用いる中間転写ベルトユニット
JP3101268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とそれに用いる中間転写ベルトユニット
JP3103556B1 (ja) 個別ユニット
KR20060032076A (ko)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