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820B1 -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820B1
KR100889820B1 KR1020070095069A KR20070095069A KR100889820B1 KR 100889820 B1 KR100889820 B1 KR 100889820B1 KR 1020070095069 A KR1020070095069 A KR 1020070095069A KR 20070095069 A KR20070095069 A KR 20070095069A KR 100889820 B1 KR100889820 B1 KR 100889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mage forming
developing apparatus
main body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일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5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820B1/ko
Priority to US12/127,177 priority patent/US8213829B2/en
Priority to RU2008124886/12A priority patent/RU2383442C1/ru
Priority to BRPI0802150-3A priority patent/BRPI0802150B1/pt
Priority to CN2008101253153A priority patent/CN101393417B/zh
Priority to EP08160120.5A priority patent/EP20401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46Process cartridge using a handle for carrying or pulling out of the main machi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84Projections on process cartridge for guiding mounting thereof in main machine

Abstract

화상형성장치를 소형화하는데 유리하도록 그 장착 구조 및 분리 구조를 개선하고, 현상장치를 착탈하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킨 현상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현상장치는 손잡이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현상장치가 장착되는 방향인 제1방향으로 손잡이부의 전방에 위치되는 감광체와, 제1방향으로 감광체의 전방에 위치되는 회전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현상장치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손잡이부는 상방으로 회전된다. 프레임의 측면에는 현상장치의 장착 위치를 결정하는 제1돌기가 구비되는데, 제1돌기는 상기 손잡이부가 상방으로 회전될 때 상기 손잡이부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Description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복사기 및 팩스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급지, 현상, 전사 정착 및 배지 과정을 거쳐 용지에 화상을 인쇄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일반적으로 감광체, 대전수단 및 현상수단 등을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한 카트리지 형태의 현상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현상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체에 장착된 현상장치가 신뢰성있게 동작하여 양질의 화상을 현상할 수 있으려면 현상장치가 정확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장착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현상장치를 교환하거나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를 점검하는 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려면 현상장치를 착탈하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서, 미국 등록특허 제5,937,240호에는 현상 장치의 손잡이부를 밀고 당기는 동작만으로 현상장치를 본체에 착탈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현상장치는 그 측면에 제1돌기와 제2돌기를 구비한다. 제1돌기는 현상장치의 장착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2돌기는 현상장치의 장착 방향에 대해 제1돌기의 후방에 위치된다. 제2돌기는 현상장치의 자세를 유지하는 한편, 카트리지를 본체로부터 분리할 때 회전 중심으로 기능한다.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는 제1돌기와 제2돌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가이드홈의 하단에는 위치결정홈이 마련된다.
한편 개시된 현상장치는 감광체의 일단에 설치되는 감광체 기어를 구비한다. 현상장치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때 감광체 기어는 본체에 설치된 구동기어에 맞물린다.
위와 같은 현상장치를 화상형성장치에 착탈하는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상장치의 제1돌기를 본체의 가이드홈에 끼운 상태에서 현상장치를 밀어 넣으면 제1돌기와 제2돌기가 가이드홈에 의해 안내되고, 최종적으로 제1돌기가 위치결정홈에 안착되면 현상장치의 장착이 완료된다. 제1돌기가 위치결정홈에 안착되는 시점에서 감광체 기어는 구동기어에 맞물린다.
사용자가 본체에 장착된 현상장치를 잡아 당기면 현상장치가 제2돌기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제1돌기와 감광체 기어가 위로 이동하여 위치결정홈과 구동기어로부터 각각 분리된다. 또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현상장치를 그대로 잡아 당기면 제1돌기와 제2돌기가 가이드홈에 의해 안내되면서 현상장치가 본체로부터 분리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현상장치는 현상장치가 제2돌기를 중심으로 회동할 때 그 동작 범위가 커서 현상장치 주위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현상장치에서 제2돌기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부분(다시 말해 동작 범위가 상대적으로 큰 부분)은 화상형성장치의 내부에서 거의 중심부에 위치하는데, 화상형성장치의 중심부는 각종 부품들이 조밀하게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지역에 넓은 공간을 확보하려면 화상형성장치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를 소형화하는데 있어 매우 불리하다.
한편 현상장치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에 설치된 구동원에 의해 구동기어가 회전하면, 회전력이 감광체 기어를 통해 감광체로 전달된다. 이러한 동력 전달 과정에서 현상장치가 진동할 수 있으므로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는 현상장치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그 움직임을 억제하는 가압장치가 구비되기도 한다.
그런데 상기 문헌에 개시된 현상장치는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가압장치의 가압력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크게 회동한다. 즉 가압장치의 가압력은 하방으로 작용하는 반면에 가압력이 작용하는 부분에서 현상장치는 상방으로 회동하며 본체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압장치의 가압력을 극복할 수 있는 정도의 힘을 현상장치에 가해야지 현상장치를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고려하여 가압장치의 가압력을 낮추면 현상장치의 진동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생기고, 반대로 가압장치의 가압력을 높이 면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현상장치의 상면에는 현상장치가 본체에 장착될 때 본체의 설치된 각종 부품들과 접하는 부품(예를 들어, 각종 단자)이 설치되는데, 개시된 종래의 현상장치에서와 같이 현상장치가 전체적으로 상방으로 회동하는 경우 현상장치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현상장치의 상면에 설치된 부품들이 파손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를 소형화하는데 유리하도록 그 장착 구조 및 분리 구조를 개선한 현상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장치를 착탈하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킨 현상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장치를 본체로부터 분리할 때 현상장치의 상면에 설치된 부품들이 파손되는 일이 개선된 현상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는 화상형성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손잡이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메모리 장치;와 현상장치가 장착되는 방향인 제1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에 위치되는 감광체; 및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감광체의 전방에 위치되는 회전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가 설치되며, 상기 단자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현상장치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감광체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단자는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현상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현상장치의 장착 위치를 결정하는 제1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손잡이부가 상방으로 회전될 때 상기 손잡이부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제1돌기의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감광체는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회전 가이드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1돌기는 상기 감광체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마련되는 회전 가이드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가이드면은 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현상장치는 상기 제1돌기의 후방에서 상기 프레임의 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현상장치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2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는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된 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 동작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 동작부재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는 화상형성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손잡이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현상장치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에 위치되는 위치결정용 돌기;와 현상장치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의 전단부에서 상기 프레임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단자;와 현상장치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단자와 상기 위치결정용 돌기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현상장치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위치결정용 돌기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프레임의 전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회전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장치는 손잡이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측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현상장치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제1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1돌기;와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제1돌기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회전 운동을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드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전방에 위치되는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상기 현상장치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단자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회전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1돌기를 수용하는 위치결정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가 상방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돌기는 상방으로 회전하며 상기 위치결정홈에서 빠져 나온다.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마련되는 회전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회전 가이드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가 상방으로 회전할 때 상기 회전 가이드면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현상장치는,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회전 가이드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감광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돌기는 상기 감광체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현상장치는 상기 감광체의 단부에 설치되는 감광체 기어를 더 포함하고,상기 본체는 상기 감광체 기어에 맞물리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가 상방으로 회전할 때 상기 감광체 기어는 상방으로 회전하며 상기 구동기어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은 주위의 각종 부품들이 조밀하게 배치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중심부에서 현상장치가 작게 회동하도록 구성되므로 화상형성장치를 소형화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장치가 가압장치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에서 작게 회동하므로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현상장치를 손쉽게 회전시켜 본체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장치를 본체로부터 분리할 때 현상장치의 상면에 설치된 부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는 본체(10)를 구비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급지장치(20), 광주사장치(30), 현상장치(100), 전사장치(40), 정착장치(50), 배지장치(60) 및 양면인쇄장치(70)가 설치된다.
본체(10)에는 본체(10)의 전면부를 개폐하는 커버(11)가 힌지 결합된다. 사용자는 커버(11)를 통해 본체(10)의 전면부를 개방한 후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를 점검하거나 현상장치(100)와 같은 소모품을 교환할 수 있다.
급지장치(20)는 인쇄매체인 용지(S)를 현상장치(100) 쪽으로 공급한다. 급지장치(20)는 용지(S)가 적재되는 급지트레이(21)와, 급지트레이(21)에 적재된 용지 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용지를 현상장치(10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현상장치(100)는 감광체(110)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토너 화상으로 현상한다. 현상장치(100)는 카트리지 형태로 마련되어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현상장치(100)가 착탈되는 동작과 이에 관련된 구성은 후술한다.
현상장치(100)는 광주사장치(30)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110), 감광체(110)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롤러(121), 감광체(110)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롤러(122) 및 현상롤러(122)로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123)를 구비한다.
전사장치(40)는 감광체(110) 상의 토너 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킨다. 전사장치(40)는 감광체(110)와 마주하도록 본체(10)에 설치되는 전사롤러(41)로 구성될 수 있다. 전사롤러(41)는 감광체(110) 표면의 토너 화상이 용지에 전사되도록 용지를 감광체(110) 쪽으로 가압한다.
정착장치(50)는 용지로 전사된 토너 화상을 용지에 고정시킨다. 정착장치(50)는 내부에 열원이 설치되는 가열롤러(51)와, 가열롤러(51)에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되는 제1가압롤러(52)와 제2가압롤러(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지가 가열롤러(51)와 가압롤러들(52)(53)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5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51)와 가압롤러들(52)(53)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화상이 용지에 고정된다.
배지장치(60)는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1배지롤러(61), 제2배지롤러(62) 및 제3배지롤러(63)를 구비하여 정착장치(50)을 통과한 용지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한편 양면인쇄장치(70)는 용지의 양면을 모두 인쇄할 수 있도록 한쪽 면이 인쇄된 용지를 다시 현상장치(100)의 상류로 이송한다. 양면인쇄장치(70)는 양면인쇄경로(71)를 형성하는 양면인쇄 가이드(72)와, 양면인쇄경로(71) 상에 설치되어 용지를 이송하는 일련의 양면인쇄롤러들(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양면인쇄 시에는 일면이 인쇄된 용지가 제3배지롤러(63)에 의해 배지되다가 특정 시점에서 반전되어 양면인쇄경로(71)로 이송되고, 양면인쇄롤러들(71)에 의해 다시 현상장치(100)로 이송되어 현상장치(100) 및 정착장치(50)를 차례로 거치면서 나머지 일면이 인쇄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본체의 일부분과 현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장치(100)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130)을 구비한다. 프레임(130)의 후방에는 사용자가 현상장치(100)를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31)가 마련된다.
프레임(130)의 내부에는 감광체(1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감광체(110)는 현상장치(100)가 본체(10)에 장착되는 방향(A방향)에 대해 손잡이부(131)의 전방에 위치된다. 감광체(110)의 회전축(111)은 프레임(130)의 측면 외 측으로 돌출된다(도 2 및 도 3 참조). 회전축(111)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고, 좌우 측면으로 돌출된 회전축(111)은 현상장치(100)가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10)의 전원부(미도시)나 접지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감광체(110)의 일단에는 감광체 기어(112)가 설치되고, 본체(10)에는 감광체 기어(112)에 대응하여 구동기어(12)가 설치된다(도 4 참조). 감광체 기어(112)는 현상장치(100)가 본체(10)에 장착될 때 구동기어(12)에 맞물린다. 구동기어(12)가 본체(10)에 설치된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면, 회전력이 감광체 기어(112)를 통해 감광체(110)로 전달된다.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현상장치 프레임(130)은 A방향으로 감광체(110)의 전방에 위치되는 회전 가이드부(140)를 구비하고, 화상형성장치 본체(10)는 프레임(130)의 회전 가이드부(140)를 지지하는 지지부(13)를 구비한다. 도 2에서는 본체(10)의 좌측에 구비되는 지지부(13) 만이 도시되었고, 본체(10)의 우측에 구비되는 지지부는 생략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 가이드부(140)는 감광체 회전축(111)의 전방에 위치된다. 회전 가이드부(140)는 현상장치(100)가 본체(10)로부터 분리될 때 지지부(13)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현상장치(100)의 회전 운동을 가이드한다.
회전 가이드부(140)는 프레임(130)의 하면에 마련되는 회전 가이드면(141)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 가이드면(141)은 본체(10)의 지지부(13)에 대응하여 좌우측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된다. 회전 가이드면(141)은 현상장치(100)의 회전 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아크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30)은 그 측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150)를 구비한다. 제1돌기(150)는 현상장치(100)가 본체(10)에 착탈될 때 현상장치(100)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현상장치(100)의 장착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는 프레임(130)의 우측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프레임(130)의 좌측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가 도시되어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는 프레임의 제1돌기(15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14)을 구비한다. 도 2에서는 본체(10)의 좌측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14)만이 도시되었다. A방향으로 가이드 레일(14)의 전방에는 위치결정홈(15)이 마련된다. 현상장치(100)가 본체(10)에 장착될 때 제1돌기(150)가 위치결정홈(15)에 안착됨으로써 현상장치(100)의 장착 위치가 결정된다.
도 4와 같이, 제1돌기(150)는 회전 가이드부(140)에 인접하여 회전 가이드부(140)의 후방에 위치된다. 이 때 제1돌기(150)는 감광체(110)의 회전축(111)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회전축(111)에 동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 현상장치 프레임(130)은 제1돌기(150)의 후방에서 프레임(130)의 양 측면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제2돌기(16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돌기(160)는 현상장치(100)가 본체(10)에 착탈될 때 제1돌기(150)와 함께 현상장치(100)의 움직임을 가이드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에는 현상장치(100)를 아래쪽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가압장치는 감광체(11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현상장치(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감광체(110)의 구동 중에 발 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현상장치(10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에는 가압장치에 의한 가압력이 화살표 P로 표시되어 있다.
한편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장치(100)의 내부에는 메모리 장치(170)가 설치될 수 있다. 메모리 장치(170)에는 현상장치 ID, 토너 잔량 및 폐토너량과 같은 정보가 저장된다. 메모리 장치(17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회전 가이드부(140)의 전방에서 프레임(130)의 상면에는 단자(171)가 노출된다. 이 단자(171)는 현상장치(100)가 본체(10)에 장착될 때 본체(10)의 마련된 전원단자(미도시)에 접속된다.
또한 프레임(130)의 상면에서 회전 가이드부(140)의 전방에는 스위치 동작부재(180)가 구비된다. 스위치 동작부재(180)는 현상장치(100)가 본체(10)에 착탈될 때 본체(10)에 설치된 마이크로 스위치(미도시)를 동작시킨다. 현상장치(100)가 본체(10)에 장착됨에 따라 스위치 동작부재(180)가 마이크로 스위치를 가압하면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현상장치(100)가 장착되었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다. 또 현상장치(100)가 본체(1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스위치 동작부재(180)가 마이크로 스위치로부터 이격되면 제어부는 현상장치(100)가 분리되었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를 화상형성장치에 착탈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를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현상장치를 장착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현상 장치(100)의 손잡이부(131)를 잡고 현상장치(100)의 제1돌기(150)를 본체(10)의 가이드 레일(14) 위에 올려 놓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현상장치(100)를 A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제1돌기(150)는 가이드 레일(14)에 의해 안내된다. 현상장치(100)가 어느 정도 삽입되면 제2돌기(160)가 가이드 레일(14) 위로 진입하여 제1돌기(150)와 함께 현상장치(100)의 움직임을 가이드한다. 현상장치(100)가 A방향으로 계속 삽입되어 제1돌기(150)가 위치결정홈(15)에 안착되면 현상장치(100)의 장착 위치가 결정되고,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장착 동작이 완료된다.
현상장치(100)의 장착이 완료되면, 감광체 기어(112)는 본체(10)의 구동기어(12)에 맞물린다. 이러한 상태에서 인쇄 명령이 발생하면, 감광체(110)로 동력이 전달되고 감광체(110)가 회전하면서 화상 형성 동작이 수행된다.
다음은 현상장치를 분리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현상장치(100)의 손잡이부(131)를 잡고 현상장치(100)를 위로 들어 올린다. 그러면 본체(10)의 지지부(13)에 지지된 회전 가이드부(140)가 피봇으로서 기능하여 손잡이부(131)가 도 5와 같이 B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회전 가이드부(140)는 본체(10)의 지지부(13)에 접촉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현상장치(100)의 회전 운동을 가이드한다.
이와 같이 현상장치(100)가 회전하면 회전 가이드부(140)의 후방에 위치한 제1돌기(150)와 감광체 기어(112)가 상방으로 회전한다. 제1돌기(150)가 상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돌기(150)는 본체(10)의 위치결정홈(15)으로부터 빠져 나온다. 또 감광체 기어(112)가 상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감광체 기어(112)는 본체(10)의 구동기어(12)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현상장치(100)는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131)를 잡고 현상장치(100)를 C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도 6과 같이 현상장치(100)는 제1돌기(150)와 가이드 레일(14)에 의해 안내되면서 본체(10)로부터 분리된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현상장치(100)가 회전할 때 현상장치(100)에서 본체(10)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부분(현상장치의 뒤쪽 부분)이 작게 회동하도록 구성됨으로 화상형성장치를 소형화하는데 유리하다. 뿐만 아니라 현상장치(100)가 가압장치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에서 동작 범위가 크지 않도록 구성되므로 가압장치의 가압력을 크게 하더라도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현상장치(100)를 분리해낼 수 있다. 또한 현상장치(100)가 회전할 때 회전 가이드부(140)의 후방에 위치한 단자(171)와 스위치 동작부재(180)는 하방으로 회전하므로 단자(171)나 스위치 동작부재(180)가 주위의 부품들과 간섭하여 파손되는 일이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본체의 일부분과 현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를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본체 12 : 구동기어
13 : 지지부 14 : 가이드 레일
15 : 위치결정홈 100 : 현상장치
110 : 감광체 111 : 감광체의 회전축
112 : 감광체 기어 130 : 프레임
131 : 손잡이부 140 : 회전 가이드부
141 : 회전 가이드면 150 : 제1돌기
160 : 제2돌기

Claims (16)

  1. 화상형성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손잡이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메모리 장치;와
    현상장치가 장착되는 방향인 제1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에 위치되는 감광체; 및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감광체의 전방에 위치되는 회전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가 설치되며, 상기 단자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현상장치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감광체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단자는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회전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현상장치의 장착 위치를 결정하는 제1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손잡이부가 상방으로 회전될 때 상기 손잡이부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제1돌기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는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회전 가이드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1돌기는 상기 감광체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마련되는 회전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면은 아크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의 후방에서 상기 프레임의 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현상장치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2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는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된 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 동작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 동작부재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0. 화상형성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손잡이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현상장치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에 위치되는 위치결정용 돌기;와
    현상장치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의 전단부에서 상기 프레임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단자;와
    현상장치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단자와 상기 위치결정용 돌기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현상장치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위치결정용 돌기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프레임의 전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회전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1.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장치는
    손잡이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측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현상장치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제1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1돌기;와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제1돌기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회전 운동을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드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전방에 위치되는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상기 현상장치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단자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회전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돌기를 수용하는 위치결정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가 상방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돌기는 상방으로 회전하며 상기 위치결정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마련되는 회전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회전 가이드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방으로 회전할 때 상기 회전 가이드면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는,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회전 가이드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감광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돌기는 상기 감광체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는 상기 감광체의 단부에 설치되는 감광체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감광체 기어에 맞물리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가 상방으로 회전할 때 상기 감광체 기어는 상방으로 회전하며 상기 구동기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95069A 2007-09-19 2007-09-19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889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069A KR100889820B1 (ko) 2007-09-19 2007-09-19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12/127,177 US8213829B2 (en) 2007-09-19 2008-05-27 Developing device removably mountable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RU2008124886/12A RU2383442C1 (ru) 2007-09-19 2008-06-17 Проя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оснащенное им
BRPI0802150-3A BRPI0802150B1 (pt) 2007-09-19 2008-06-18 Dispositivo de revelação e aparelho de formação de imagem dotado do mesmo
CN2008101253153A CN101393417B (zh) 2007-09-19 2008-06-18 显影装置和具有该装置的成像设备
EP08160120.5A EP2040132B1 (en) 2007-09-19 2008-07-10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069A KR100889820B1 (ko) 2007-09-19 2007-09-19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820B1 true KR100889820B1 (ko) 2009-03-20

Family

ID=4003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069A KR100889820B1 (ko) 2007-09-19 2007-09-19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13829B2 (ko)
EP (1) EP2040132B1 (ko)
KR (1) KR100889820B1 (ko)
CN (1) CN101393417B (ko)
BR (1) BRPI0802150B1 (ko)
RU (1) RU2383442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5392B2 (en) * 2007-02-20 2011-08-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with pressing members, process cartridge, and developer cartridge
US7742717B2 (en) * 2007-09-11 2010-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device, memory unit thereof,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202911B2 (ja) 2012-09-07 2017-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311682B2 (ja) * 2015-09-10 2018-04-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60007B2 (ja) * 2016-02-23 2019-0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着脱式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821450B2 (ja) * 2017-01-25 2021-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7119502B2 (ja) * 2018-03-30 2022-08-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KR20200107454A (ko) * 2019-03-08 2020-09-16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카트리지의 파지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069A (ja) * 1994-04-28 1996-01-19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50005583A (ko) * 2003-07-05 2005-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감광유닛 및 전사유닛 교환 시스템 및 그 교환 시스템을가진 인쇄기
KR20070087738A (ko) * 2005-09-26 2007-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260U (ja) * 1984-07-09 1986-02-04 シャープ株式会社 複写機のカ−トリツジ装填装置
JP3337859B2 (ja) * 1994-04-26 2002-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774691B2 (ja) 2001-10-01 2006-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922534B2 (en) * 2001-12-28 2005-07-2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electrical connection for memory
JP4250555B2 (ja) * 2004-03-09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離間部材
KR100608068B1 (ko) * 2005-05-10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장착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KR100609907B1 (ko) 2005-07-26 200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069A (ja) * 1994-04-28 1996-01-19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50005583A (ko) * 2003-07-05 2005-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감광유닛 및 전사유닛 교환 시스템 및 그 교환 시스템을가진 인쇄기
KR20070087738A (ko) * 2005-09-26 2007-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93417A (zh) 2009-03-25
CN101393417B (zh) 2011-05-04
EP2040132A3 (en) 2014-04-02
EP2040132A2 (en) 2009-03-25
BRPI0802150B1 (pt) 2019-08-06
BRPI0802150A2 (pt) 2009-05-12
EP2040132B1 (en) 2018-12-12
US8213829B2 (en) 2012-07-03
RU2383442C1 (ru) 2010-03-10
US20090074447A1 (en) 2009-03-19
RU2008124886A (ru) 200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820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RU2624148C2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 картридж
JP5084257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0894955B1 (ko) 전자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
EP169628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toner cartridge and development cartridge
KR101260813B1 (ko) 화상 형성 장치
CN108008614B (zh) 图像形成设备
US9046871B2 (en) Process cartridge, main cartridge, sub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30011251A (ko)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5024080B2 (ja) 画像形成装置
EP2437123B1 (en) Developing Device,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and Image Form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4332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2323007B1 (ko) 트레이에 소모품 카트리지 장착을 위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06018126A (ja) 画像形成装置
JPH08647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03414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134955B2 (ja) 画像形成装置
JPS63244059A (ja) 画像形成装置
CN107132743B (zh) 图像形成设备
JP5253253B2 (ja)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22656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押込み機構
US1152612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mountability of a cartridge while conserving space
JP2006011480A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32409A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84684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9